You are on page 1of 15

IB MYP 단원 지도안 (과학과 샘플)

1. 단원 개요

단원명 변화가 뭐야? 차시 15


핵심개념 변화(Change) 관련개념 형태, 변화(Transformation)
과학은 우리가 물질의 형태를 변화하여, 세상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탐구 주제
되는 유용한 제품이나 서비스로 만드는 능력을 제공한다.
물건은 무엇으로 만들어지는가?
자료는 어떻게 분류하는가?
사실적 질문 우리가 매일 볼 수 있는 것 중에 무엇이 변하는가?
탐구관련 물리적 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질문 화학적 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물리적 화학적 변화는 우리가 물질을 조작하는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개념적 질문
있는가?
논쟁적 질문 모든 사람에게 맑은 물을 제공하는데에 방해 요소는 무엇인가?

이 단원에서 우리는

알아낸다 물질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지, 어떻게 하면 새로운 물질을 만들 수 있는지,


어떻게 물질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
탐구한다 새로운 것이나 더 순수한 물질을 만들기 위해 물질을 조작하는 방법을
행동을 취한다 세계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맑은 물을 더 잘 공급하기 위해

관련 교육과정

[9 과 05-01]물질의 세 가지 상태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를 입자 모형으로 표현할 수 있다.


[9 과 05-02]여러 가지 물질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고, 상태 변화 시 나타나는 현상을 입자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다.
[9 과 05-03]상태 변화가 일어날 때의 온도 변화에 대한 자료를 해석하여 녹는점, 어는점, 끓는점을
찾을 수 있다.
[9 과 05-04]상태 변화와 열에너지의 관계를 이해하고, 상태 변화 과정에서 출입하는 열에너지가
생활에 이용되는 사례를 찾고 설명할 수 있다.
2. 평가 개요

목표 평가 과제
기준 A: 알고 이해하기 전 지구인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싸고 편리한 물정화기 개발하기
기준 B: 의문을 가지고 G(목적): 전세계에 공급할 물 정화기 개발
디자인하기 R(역할): 물정화기 개발 책임 과학자
기준 C: 진행하고 A(청중): 시민단체
평가하기 S(상황): 오염된 물을 식수로 쓰고 있는 저개발국가에 물정화기를 공급
기준 D: 과학의 영향에 P(결과물): 싸고 쉽게 만들 수 있는 물정화기 모델 개발
대해 성찰하기 S(평가기준): 제품의 디자인, 설계, 개발 및 발표와 보고서
평가기준 세부평가기준
1. 과학적 지식을 대강화하기
기준 A: 알고 이해하기 2. 익숙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과학적
지식과 이해를 적용하고,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기 위해 과학적 지식과 이해를 적용하기
3.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판단을 내릴 때 정보를 해석하기
1. 과학적 조사로 테스트할 수 있는 적절한 문제와 탐구 질문을
기준 B: 의문을 가지고 대강화(outline)하기
디자인하기 2. 과학적 추론을 사용하여 테스트할 수 있는 예측을 대강화하기
3. 변인을 어떻게 조작하고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할지를 대강화하기
4. 과학적 조사를 설계하기(design)
1. 수치화 그리고/또는 시각화 된 형태로 데이터를 바르게 수집하고
조직하며 발표하기(present)
기준 C: 진행하고 2. 과학적 추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정확하게 해석하고, 결과를
대강화하기
평가하기
3. 과학적 탐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측의 타당성을 대강화하기
4. 과학적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방법의 타당성을 대강화하기
5. 더 나은 과학적 조사를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개선점이나
확장점에 대해 대강화하기
1. 특정 문제나 이슈과학적 조사로 테스트할 수 있는 적절한 문제와
탐구 질문을 대강화(outline)하기
기준 D: 과학의 영향에 2. 과학적 추론을 사용하여 테스트할 수 있는 예측을 대강화하기
대해 성찰하기 3. 변인을 어떻게 조작하고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할지를 대강화하기
4. 과학적 조사를 설계하기(design)
3. 단원 수업 개요
단계 주제 교수 학습 활동 평가
관계맺기 물건은 무엇으로 만들어지는가? 주변의 다양한 물질들에 대한
소개
집중하기 과학에서 순수하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물질의 형성평가
상태 관찰 C
조사하기 매일 볼 수 있는 거 중에 변하는 것은 관찰과 간단한 실험을 통해 형성평가
무엇인가? 물질의 상태변화 이해하기 A, B, C
조직하기 물리적 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실험을 통해 물리적 화학적
화학적 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변화 이해하기
일반화하기 물리적 화학적 변화는 우리가 물질을 실험을 통해 물질을 분리하는 형성평가
조작하는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방법 이해하기 A, C
있는가?
전이하기 모든 사람에게 맑은(순수한) 물을 주는데 물정화장치(제품) 생산하기 총괄평가
우리를 방해하는 것은 무엇인가? A, B, C, D
성찰하기 성찰하기 성찰학습지 작성하기
4. 차시별 지도안

A. 들어가며 + 무엇으로 만들어지는가?

차 주제 활동 수업자료 평가

1 물질을 나타내는 그림에서 무슨 물질이 보이는 다양한 재료(나무, 평가 없음
말 지를 설명하시오 동전, 얼음, 우유, 물,
가루 등)
무엇으로 사진을 보고 원시시대(불) –
만들었는가? 보고-생각하고-깨달은 점을 중세시대(연금술) –
말하기 현대를 대표하는
그림

B. 과학에서 순수하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차 주제 활동 수업자료 평가

2 과학에서 제품(소금, 카레가루)의 제품의 성분 분석표
순수하다는 것은 성분표를 보고 여러 물질이 섞여 사진
무슨 뜻인가? 있다는 것을 알기
물질의 상태 물질의 단단한 정도 모양이 물, 모래, 나무, 공기 평가 C
변하는 정도 등을 실험

C. 매일 볼 수 있는 것 중에 변하는 것은 무엇인가?

차 주제 활동 수업자료 평가

3 매일 볼 수 있는 교사가 물리적 변화의 예를설명 얼음이 어는 사진 등
것 중에 변하는 (초콜릿이 녹는다, 면을 삶는다, 여러 상태변화를
것은 무엇인가? 달걀프라이를 만든다) 보여주는 사진
(물리적 변화) 물리적 변화, 화학적 변화 설명
변화 만들기 초를 녹이고 굳히는 활동 초, 실험 도구 평가 C
우블랙 만들기 옥수수 가루에 우유를 섞은 후 옥수수 가루, 우유,
변화 관찰 실험 도구
4 상태의 변화 물의 상태 변화에 대한 설명 물의 상태변화를
보여주는 그림(고체
액체 기체)
물의 일생 자연계에서 일어난 물의 변화를 물의 변화를 평가 A 연습
설명하기 보여주는 그래픽
그림
5~6 혼합물에 대하여 다양한 혼합물(민트차, 더러운
강물, 탄산음료)에 대한 설명
초콜릿음료만들 실험도구를 이용하여 평가 B 연습
기(섞어서) 초콜릿음료 만들기 평가 C 연습
탄산음료에 탄산음료에 포함된 탄산의 양 평가 B
포함된 탄산의 양 측정하는 실험을 설계하여 평가 C
측정하기 실험하고 평가하기
D. 물리적 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차 주제 활동 수업자료 평가

7 모든 물질은 결정에 대한 이론적 설명 결정의 화학 모형
액체로 만들 수
있나?
결정만들기 황산구리 분말로 황산 결정 황산구리 분말을 없음
만들기 이용한 실험

E. 물리적 화학적 변화는 우리가 물질을 조작하는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가

차 주제 활동 수업자료 평가

8-9 물질의 분리 현실에 존재하는 어떤 물질을 미네랄워터, 주스,
분리해 내는 것에 대한 이론적 커피필터 등
설명
맑은 주스 사과주스를 거름망(종이필터)을 사과주스,+실험장치 평가 C 연습
이용하여 맑게 만들기
색깔 분리 검은색마커펜의 잉크을 다양한 마커펜, 평가 C 연습
색으로 분리 크래마토그래피
혼합물의 분리 교실에 새가 들어와 여러가지 평가 A
재료가 담긴 병들을 깨뜨렸다.
어떻게 분리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시오.
10 증류 증류의 개념과 방법에 대한
교사의 설명
증류법으로 분리 증류법을 사용하여 소금물에서 소금물+실험장치
소금과 물을 분리하는 실험

F. 화학적 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차 주제 활동 수업자료 평가

11 화학적 변화에 빵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화학적
대한 설명 변화와 생물학적 변화로 나누어
교사가 설명
12 화학적 변화가 철판 조각이 잘 녹스는 환경을 철판, 물, 공기,
일어나도록 실험으로 알아내기 식물성기름,
만들기 황산동용액

G. 모든 사람에게 맑은(순수한) 물을 주는데 우리를 방해하는 것은 무엇인가?

차시 주제 활동 수업자료 평가
13~14 모두에게 맑은 총괄평가의 느낌 아래 총괄평가 계획 평가 D
물을 참고

H. 성찰하기
차 주제 활동 수업자료 평가

15 성찰하기 성찰학습지 작성 성찰학습지
5. 총괄평가 계획
세계의 곳곳에서 깨끗하고 맑은 물은 찾기는 쉽지 않다. 신선한 물을 공급받지 못하는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빗물 같은 자연 상태에서 물을 얻는다. 하지만 빗물이 충분하지 않은 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호수나, 강물, 연못에게서 물을 얻을 수밖에 없다.

목표: 너는 경제적으로 발전하지 못한 나라에 맑은 물을 공급할 책임을 가지고 있는 과학자집단의


리더이다. 너의 고객은 다른 나라에 있는 보건 기구이고, 그 보건 기구는 모든 사람에게 맑은 물이
공급되기를 원한다. 여러분은 더러운 물을 순수하게 바꿔주는 물 정화장치를 디자인하고,
테스트하고 판매해야 한다. 여러분은 접근하기 쉽고 싸게 만들 수 있는 맑은 물 제조기를
디자인하고 테스트해야 한다. 맑은 물 제조기는 전기나 가스(석유, 석탄 등)를 사용하지 않고
작동해야 한다.

만들기: 여러분은 맑은 물 제조기의 실험실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 그 제조기는 실생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그것은 물을 정화하는데 숨겨진 과학을 시연해야 한다.
여러분의 맑은 물 제조기는 순수한 물을 만드는 테스트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물 정화기를 디자인하고, 설계하고, 테스트할 때 디자인에 대해 발표할 준비를 해야 하고, 학급에서


발표한다. 발표에는 모두를 위해 맑은 물을 생산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리와 정화의 과학을
어떻게 사용했는지를 설명해야 한다. 맑은 물에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직면한 문제에
대한 조사도 포함되어야 한다. 이 발표 내용을 문서화하여 제출해야 한다. 그룹으로 활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모든 구성원의 아이디어를 사용하여야 한다. 로
[참고자료]
1. IB MYP 의 핵심 개념
Aesthetics Change Communication Communities
아름다움 변화 의사소통 공동체
Connections Creativity Culture Development
연결 창의 문화 발전
Form Global interactions Identity Logic
형식 세계적 상호작용 정체성 논리
Perspective Relationships Systems Time, place and space
관점 관계 시스템 시간, 장소, 공간

변화
변화는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전환/이동/변동이다. 변화를 탐구함으로써 학생들은 과거, 현재,
미래 등 세상을 형성하는 힘을 탐구할 수 있다. 변화의 개념에 대한 탐구는 학생들이 원인, 과정 및
결과(자연적 및 인위적, 의도적 및 비의도적, 긍정적 및 부정적)를 고려하도록 유도한다.
과학에서 변화는 서로 다른 시간에 관찰될 때 조직(system)의 상태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변화는 질적(예: 구조, 행동 또는 수준의 차이)일 수도 있고 양적(예: 수치 변화 또는 비율)일
수도 있다. 변화는 불가역적일 수도, 가역적일 수도, 자기 지속적일 수도 있습니다.

관계
관계는 학생들이 속성, 힘, 객체, 사람, 아이디어 간의 연결과 연관성을 파악하고 그 각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관계의 변화는 어떤 결과를 가져오며, 이 중 일부는 작은 규모에서
발생할 수 있고, 일부는 광범위하게 발생하여 인간 사회 및 지구와 같은 대규모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과학에서의 관계는 관찰이나 실험을 통해 변수들 사이에서 발견된 연관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관계는 실험을 통해 테스트할 수도 있다. 과학자들은 종종 형태와 기능 사이의 연관성을 찾는다.
또한, 규모, 데이터의 양, 시간 등의 요인으로 다른 방법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경우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모델링이 사용된다.

시스템
시스템은 상호 작용하거나 상호 의존하는 구성 요소의 집합이다. 알려진 우주의 모든 것은
시스템의 구성 요소이며, 일반적으로 여러 상호 작용하고 상호 의존하는 시스템의 일부이다.
시스템은 자연 환경과 인간 환경 모두에서 구조와 질서를 제공한다. 본질적으로 역동적이고
복잡한 시스템은 균형 상태에 의존하며 변화에 매우 취약하다.
과학에서의 시스템은 그들의 상호 의존성 또는 보완적인 성격 덕분에 기능하는 구성 요소의
집합을 설명한다. 과학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시스템에는 자원이 제거되거나 대체되지 않는 폐쇄
시스템, 필요한 자원이 정기적으로 갱신되는 개방 시스템이 있다. 모델링은 종종 변수를
단순화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폐쇄 시스템을 사용한다.
2. IB MYP 과학 관련 개념

생물학 관련 개념

Balance Environment Transformation


균형 환경 변화
Consequences Energy Evidence
결과 에너지 증거
Form Function Interaction
형태 기능 상호작용
Models Movement Patterns
모델 움직임 패턴
화학 관련 개념

Balance Conditions Transfer


균형 상태 변화
Consequences Energy Evidence
결과 에너지 증거
Form Function Interaction
형태 기능 상호작용
Models Movement Patterns
모델 움직임 패턴
물리학 관련 개념

Development Environment Transformation


발전 환경 변화
Consequences Energy Evidence
결과 에너지 증거
Form Function Interaction
형태 기능 상호작용
Models Movement Patterns
모델 움직임 패턴
모듈형 과학 과정 관련 개념

Balance Environment Transformation


균형 환경 변화
Consequences Energy Evidence
결과 에너지 증거
Form Function Interaction
형태 기능 상호작용
Models Movement Patterns
모델 움직임 패턴
3. 평가 기준

기준 A: 알고 이해하기

1 학년을 마칠 때 학생들은 아래 3 가지를 할 수 있어야 한다.

1. 과학적 지식을 대강화하기

2. 익숙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과학적 지식과 이해를 적용하고,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기 위해 과학적 지식과 이해를
적용하기

3.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판단을 내릴 때 정보를 해석하기

도달 수준 수준 설명
0 학생은 아래 설명 중 어느 것에도 설명된 표준에 도달하지 못함
1~2 학생은 할 수 있다
1. 과학적 지식을 선택하기
2. 익숙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기 위해 과학적
지식과 이해를 선택하기
3. 판단을 내릴 때 정보를 적용하기, 단 부분적인 성공
3~4 학생은 할 수 있다
1. 과학적 지식을 다시 말하기
2. 익숙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기 위해 과학적
지식과 이해를 적용하기
3. 판단을 내릴 때 정보를 적용하기
5~6 학생은 할 수 있다
1. 과학적 지식을 제시하기
2. 익숙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과학적 지식과
이해를 적용하기
3.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판단을 내릴 때 정보를 적용하기
7~8 학생은 할 수 있다
1. 과학적 지식을 대강화하기
2. 익숙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과학적 지식과
이해를 적용하고,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기 위해 과학적 지식과 이해를 적용하기
3.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판단을 내릴 때 정보를 해석하기
기준 B: 의문을 가지고 디자인하기

1 학년을 마칠 때 학생들은 아래 4 가지를 할 수 있어야 한다.

1. 과학적 조사로 테스트할 수 있는 적절한 문제와 탐구 질문을 대강화(outline)하기

2. 과학적 추론을 사용하여 테스트할 수 있는 예측을 대강화하기

3. 변인을 어떻게 조작하고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할지를 대강화하기

4. 과학적 조사를 설계하기(design)

도달 수준 수준 설명
0 학생은 아래 설명 중 어느 것에도 설명된 표준에 도달하지 못함
1~2 학생은 할 수 있다
1. 과학적 조사로 테스트할 수 있는 적절한 문제와 탐구 질문을 선택(select)
하기
2. 테스트할 수 있는 예측을 선택하기
3. 변인을 제시(state)하기
4. 방법을 설계하기, 단 부분적인 성공
3~4 학생은 할 수 있다
1. 과학적 조사로 테스트할 수 있는 적절한 문제와 탐구 질문을 제시(state)
하기
2. 테스트할 수 있는 예측을 제시하기
3. 변인을 어떻게 조작하고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할지를 제시하기
4. 재료와 장비를 선택할 때 안전한 방법을 설계하기
5~6 학생은 할 수 있다
1. 과학적 조사로 테스트할 수 있는 적절한 문제와 탐구 질문을 제시(state)
하기
2. 테스트할 수 있는 예측을 대강화하기
3. 변수를 어떻게 조작하는지를 대강화하고 관련된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할지를 제시하기
4. 적절한 재료와 장비를 선택할 때 완전하며, 안전한 방법을 설계하기
7~8 학생은 할 수 있다
1. 과학적 조사로 테스트할 수 있는 적절한 문제와 탐구 질문을 대강화
(outline)하기
2. 과학적 추론을 사용하여 테스트할 수 있는 예측을 대강화하기
3. 변수를 어떻게 조작하고 충분하고 관련된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할지를
대강화하기
4. 적절한 재료와 장비를 선택할 때 논리적이고, 완전하며, 안전한 방법을
설계하기
기준 C: 진행하고 평가하기
1 학년을 마칠 때 학생들은 아래 4 가지를 할 수 있어야 한다.
1. 수치화 그리고/또는 시각화 된 형태로 데이터를 바르게 수집하고 조직하며 발표하기
(present)
2. 과학적 추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정확하게 해석하고, 결과를 대강화하기
3. 과학적 탐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측의 타당성을 대강화하기
4. 과학적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방법의 타당성을 대강화하기
5. 더 나은 과학적 조사를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개선점이나 확장점에 대해 대강화하기

도달 수준 설명
수준
0 학생은 아래 설명 중 어느 것에도 설명된 표준에 도달하지 못함
1~2 학생은 할 수 있다
1. 수치화 그리고/또는 시각화 된 형태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발표하기(present)
2. 데이터를 해석하기
3. 과학적 탐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측의 타당성을 제시하기, 단 부분적인 성공
4. 과학적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방법의 타당성을 제시하기, 단 부분적인 성공
5. 더 나은 과학적 조사를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개선점이나 확장점에 대해
제시하기, 단 부분적인 성공
3~4 학생은 할 수 있다
1. 수치화 그리고/또는 시각화 된 형태로 데이터를 바르게 수집하고 발표하기
(present)
2. 데이터를 정확하게 해석하고, 결과를 대강화하기
3. 과학적 탐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측의 타당성을 제시하기
4. 과학적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방법의 타당성을 제시하기
5. 더 나은 과학적 조사를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개선점이나 확장점에 대해
제시하기
5~6 학생은 할 수 있다
1. 수치화 그리고/또는 시각화 된 형태로 데이터를 바르게 수집하고 조직하며
발표하기(present)
2. 과학적 추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정확하게 해석하고, 결과를 대강화하기
3. 과학적 탐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측의 타당성을 대강화하기
4. 과학적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방법의 타당성을 대강화하기
5. 더 나은 과학적 조사를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개선점이나 확장점에 대해
대강화하기
7~8 학생은 할 수 있다
1. 수치화 그리고/또는 시각화 된 형태로 데이터를 바르게 수집하고 조직하며
변형하고 발표하기(present)
2. 올바른 과학적 추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정확하게 해석하고, 결과를 대강화하기
3. 과학적 탐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측의 타당성을 논의하기
4. 과학적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방법의 타당성을 논의하기
5. 더 나은 과학적 조사를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개선점이나 확장점에 대해
기술하기
기준 D: 과학의 영향에 대해 성찰하기

1 학년을 마칠 때 학생들은 아래 4 가지를 할 수 있어야 한다.

1. 특정 문제나 이슈과학적 조사로 테스트할 수 있는 적절한 문제와 탐구 질문을 대강화


(outline)하기

2. 과학적 추론을 사용하여 테스트할 수 있는 예측을 대강화하기

3. 변인을 어떻게 조작하고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할지를 대강화하기

4. 과학적 조사를 설계하기(design)

도달 수준 수준 설명
0 학생은 아래 설명 중 어느 것에도 설명된 표준에 도달하지 못함
1~2 학생은 (부분적으로 성공) 할 수 있다
1. 특정 문제나 이슈를 다루기 위해 과학이 적용되거나 사용되는 방식을
제시하기
2. 특정문제나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과학과 과학적 적용을 사용하고 사실과
상호작용하는 것의 의미를 제시하기
3. 이해한 것에 대해 의사소통하기 위해 과학적 언어를 적용하기
4. 출처를 기록하기
3~4 학생은 할 수 있다
1. 특정 문제나 이슈를 다루기 위해 과학이 적용되거나 사용되는 방식을
제시하기
2. 특정문제나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과학과 과학적 적용을 사용하고 사실과
상호작용하는 것의 의미를 제시하기
3. 이해한 것에 대해 의사소통하기 위해 과학적 언어를 일부분 적용하기
4. 출처를 일부분 기록하기
5~6 학생은 할 수 있다
1. 특정 문제나 이슈를 다루기 위해 과학이 적용되거나 사용되는 방식을
대강화하기
2. 특정문제나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과학과 과학적 적용을 사용하고 사실과
상호작용하는 것의 의미를 대강화하기
3. 명확하고 정확하게 이해한 것에 대해 의사소통하기 위해 과학적 언어를
대부분 적용하기
4. 출처를 대부분 기록하기
7~8 학생은 할 수 있다
1. 특정 문제나 이슈를 다루기 위해 과학이 적용되거나 사용되는 방식을
요약하기
2. 특정문제나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과학과 과학적 적용을 사용하고 사실과
상호작용하는 것의 의미를 기술하고 요약하기
3. 명확하고 정확하게 이해한 것에 대해 의사소통하기 위해 과학적 언어를
일관되게 적용하기
4. 출처를 완전하게 기록하기
4. 평가 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과목공통)

A. 이해의 측면

단계 용어 정의
1 Select 선택하다 리스트나 그룹에 고르는 것
2 Recall 다시 말하다 이전 학습 경험을 기억하는 것
3 State 제시하다 설명이나 계산은 없이 특별한 이름이나 가치 또는 다른 짧은 답변을
제시하는 것
4 Outline 대강화하다 짧은 설명을 하는 것
5 Describe 기술하다 상황, 사건, 패턴, 과정을 말이나 그림으로 표현하는 것
6 Explain 설명하다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하는 것

B. 적용의 측면

단계 용어 정의
1 Select 선택하다 리스트나 그룹에 고르는 것
2 Apply 적용하다 주어진 상황이나 실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지식과 이해를
사용하는 것
3 Interpret 해석하다 주어진 정보로서 경향성을 인식하고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지식과
이해를 사용하기
C.

단계 용어 정의
1 Suggest 제시하다 해결책, 가설 또는 다른 가능한 답안을 제시하는 것
2 Solve 해결하다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답변을 얻는 것

D.

단계 용어 정의
1 Sometimes 일부분
2 Usually 대부분
3 Consistently
일관되게
4 Completely 완벽하게

수업 설계의 실제

기준 B, C 를 실제 수업에서 녹여내야 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