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Introduction to Chemical Engineering

CH03. 공학문제 해결

Prof. Yong Min LEE

Energy Science and Engineering


DGIST
Contents
01. 화학공학이란 무엇인가?
02. 화학공정의 역할
03. 공학문제 해결(무엇을 할 것인가?)
04. 물리량 표현
05. 물질수지(얼마나 많은 염기가 필요한가?)
06. 스프레드 쉬트(염기의 비용 계산)
07. 유체흐름(염기를 산에 가져오기)
08. 물질전달(산과 염기의 혼합)
09. 반응공학(반응기의 크기는 얼마나 될까?)
10. 열전달(제품의 냉각)
11. 재료 (장치에 관한 중요한 특성)
12. 공정제어(공정을 어떻게 자동으로 운전할 것인가?)
13. 경제성(모든 것이 가치가 있는가?)
14. 사례연구

3.1 문제해결을 위한 전략
3.2 문제해결에 있어서의 도덕적 고려사항
3.3 문제해결에 있어서의 팀의 활용
문제해결을 위한 전략

• 산업 현장 문제의 전형적 특징
문제가 있다는 것은 분명하지만 결정적인 의문점이나 논점이 불분명함.

• 공학적 문제 해결을 위한 주요 단계

1) 문제를 정의한다.
2) 가능한 해결책을 목록으로 만든다.
3) 각 해결책을 평가하고 등급을 매긴다.
4) 가장 관심을 끄는 해결책(들)에 대해 상세한 계획을 세운다.
5) 답이 바람직한지를 확인할 방안을 재평가한다.
6) 계획을 이행한다.
7) 결과를 확인한다.
문제 해결을 위한 주요 단계 (1)
1) 문제를 정의한다.
산의 평균 흐름속도가 11,600 L/hr, 평균 HCl 농도는 0.014 gmol/L 인 산성
폐기물을 다루는 최적의 방법을 찾고자 함.

2) 가능한 해결책을 목록으로 만든다.

3) 각 해결책을 평가하고 등급을 매긴다.


A. 산이 생산되지 않도록 공정을 변경: 대체 공정이 알려져 있지 않고 막대한
비용 필요
B. 다른 하청 회사와 계약: 적당한 회사가 없다. 막대한 운송 비용과 하청 비용
문제 해결을 위한 주요 단계 (2)
C. 10년 동안 산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 건설: 비현실적인 탱크의 규모와
수 필요. 10년 후에도 무엇인가를 해야 함.

D. 증발 못으로 산을 배출
a) 산이 지하수로 누출되지 않아야 함.
b) 공기로 유입되는 산의 양이 환경 규제치 이하여야 함.
c) 농축된 산의 궁극적 폐기가 필요함.
E. 아무런 처리 없이 회사 근처에 있는 호수로 산을 배출한다.
호수의 산성도 변화는 호수에 있는 식물과 물고기를 다 죽게 할 것임.
미국 환경보호국(U.S. EPA)의 규정과 주의 수질 기준에도 위배
F. 산을 처리한 후 호수로 배출
a) 염기성 용액으로 중화하여 환경 규제치 이하로 처리물 배출
b) 목표 온도 이하로 흐름을 냉각
c) 공정 건설 비용 및 운전 비용이 하청회사로의 지불 비용을 상쇄할 수
있도록 공정이 설계되어야 함.
문제 해결을 위한 주요 단계 (3)
4) 가장 적절한 해결책에 대해 상세한 계획을 세운다.

A. 폐기물 흐름에 수산화 나트륨을 첨가하여 산을 중화


HCl + NaOH → H2 O + NaCl
B. 소금 농도의 환경 규제치 만족 확인
농업 용수에 대한 고체의 용해도 상한 값
(1.2 g/L)

폐기물 내의 산의 평균 농도 0.014 gmol / l ← 소금 농도 규제치

C. 기초적 PFD 작성
HCI from
manufacturing
process
HCI tank
To Disposal

NaOH tank Neutralization


Reactor

폐산의 중화처리를 위한 공정흐름도


문제해결에 있어서의 도덕적 고려사항
• 미국화학공학회(AIChE) 윤리강령

• 윤리기준
1) 안전성

2) 환경 보호

3) 가혹행위 회피

4) 윤리적 실천
문제해결에 있어서의 팀의 활용
공학적 문제는 다양한 경험과 훈련을 받은 개인들이 학제적 팀을 이루어 해결하게 됨
→ Synergy 효과 추구

※ 미국공학 인증원이 제시하는 공학도의 필수 능력: 복합학제적 팀의 일원으로서


활동할 수 있는 능력

• 성공적인 팀을 위한 요소
1) 명확한 임무 및 공동 목표의 설정
2) 문제들을 공략할 계획
3) 명확히 정의된 역할
4) 명확한 의사소통
5) 잘 정의된 의사결정과정
6) 균형된 팀원의 참여
7) 확립된 행동원칙
8) 단체 진행의 의지
함께 일하는 것을 배우기
팀 발달 단계

1. 조직(Forming): 팀의 조직, 규칙과 절차의 결정, 구성원 소개와 서로에


관해 조금씩 알게 되는 것.

2. 스토밍(Storming): 다른 관점, 경험, 배경과 전망에 의해 야기되는


충돌의 출현. 이때 대부분의 그룹들이 좌초하게 된다.

3. 일치(Conforming): 동의하지 않은 것에 동의하기. 다양한 견해, 의견과


관점에 대한 관용. 각 구성원은 팀을 받아들이고, 팀에서의 그들의 역할과
다양한 팀 구성원들의 개성을 인정한다.

4. 수행(Performing): 그룹의 이익과 일을 위해 개인적인 차이점을 활용.


다양한 관점과 차이점들은 방해보다는 이점으로 보여진다.

→ 팀개발 단계를 통해서 팀을 가능한 한 빨리 수행양식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성공 요소임!
→ 그룹 발달단계들에 대한 인식은 수행단계로 부드럽게 전환하는 것을 도와준다.
다양성 (1)
[목표나 과제에 대한 특성적인 반응]

사실 발견형(Fact Finder): 정확, 현명하고 철저, 객관적, 상세하고 복잡한


것들을 다루며 객관적이고도 적절 하려고 한다. 관찰과 정보의 수집에 있어
예리하므로 가끔 너무 사려분별이 깊어 더 많은 정보를 기다리는 등 지나치게
조심스러울 수도 있다. 중심어: 탐침하다. (probe)

최종 마무리형(Follow Thru): 질서정연하고 체계적이므로, 집중적이고


구조적이며 질서와 효율성을 제공해 준다. 계획, 프로그래밍, 설계 수행 시
사소한 일에 지나치게 신중한 측면도 있다. 그리고 예측가능성이
핵심요소이다. 중심어: 모범 (pattern)

신속 시작형(Quick Start): 위험에 대해 친화적이므로, 임의적, 직관적,


유연하고 착상이 풍부하다. 마감일과 위기 지향적이다. 그들은 도전과 변화의
분위기를 필요로 하며 가끔은 참을성이 부족하다. 중심어: 혁신하다 (innovate)

직접 실행형(implementer): 직접 해보기를 좋아하며 기교 지향적이므로


실체적 질을 제공해준다. 삼차원적 형태나 물체를 파악하는 탁월한 감각과
구체적 사안을 다루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중심어: 시범을 보이다(demonstrate)

+ 4가지 유형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유형: (촉진자)


다양성 (2)

[팀 조직 내에서의 역할들]

지도자/조정자: 그룹회의를 소집, 행정적인 세부사항을 다루고 할당하며, 팀의


활동을 계획하고, 보고서와 발표 준비를 감독하는 임무를 맡는다.
관찰자/요약자: 그룹의 운영을 관찰하고 주요 문제점들을 요약하는 임무를
맡는다.
자료 수집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팀이 필요로 하는 자료를 수집하는 임무를
맡는다. 자료 수집은 일반적으로 팀 회의들 사이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정량적
자료를 수집하는 형태를 취하기도 하고, 정성적인 관찰 등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고의반론자: 팀에 고의반론자가 있다는 것은 팀의 일을 평가하고 규명하는데
유용하다. 이 역할의 공식적인 인정과 활용을 통하여 부정적인 기여를 한다고 인
식될지도 모르는 것들을 팀 노력의 긍정적이고 중요한 부분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기록자: 그룹의 결정을 기록하고 그룹의 보고서를 편집한다.
Summary

• 공학적 문제 해결
→ 정확한 문제 정의
• Importance of Quick Estimate

• Role of One of Team Members

• Role of Team Leader

HW#02, p82 06, Due Date: TBD


Your team will be assigned by TA.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