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2

외상성 뇌손상

분류

두개골 골절 상태에 따라 – 개방성 , 패쇄성

손상과정과 기간에 따라 – 일차성 손상


이차성 손상
평가

란초 로스 아미고스
글라스고우 혼수척도
인지척도
글라스고우 혼수척도
란초 로스 아미고스 인지척도
임상증상

발작 근골격계 장애 이소성 골화증

혈압 상승 내분비계 장애 실어증

심폐기능장애 삼킴장애 배변 , 배뇨기능 장애

외상 후 수두증 뇌신경 손상 심리 사회적 장애


일상생활활동 훈련

BADL IADL

독립성 기초 – 적절한 목
표 설정
일상생활활동 훈련 기본 동작 훈련 원칙

단계적 석고 고정

공간지각 능력장애

신체적 장애 보상 - 보조도구

행동학적 훈련방법
초기 단계 일상생활활동 훈련

치료목표
환자의 반응단계 높일 수 있도록 , 자신과 환경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함

침상자세
환자 경직 , 원시반사 및 비정상적 자세 예방

2 시간 마다 자세 변화 – 욕창 궤양 등의 합병증 예방
초기 단계 일상생활활동 훈련

바로누운자세
몸 정렬 맞추는데 유리 , 관절 구축 예방 위해 베개 사용

옆으로 누운자세
초기 단계 일상생활활동 훈련

휠체어 자세
올바른 자세로 관절 구축 , 욕창 방지
반사작용 억제 , 안정 촉진 , 인지 높임
보조도구 – 정렬된 자세 증진 , 체중지지 촉진 , 비정상적
긴장도 감소 위해 사용
초기 단계 일상생활활동 훈련

이동
환자 자세 변경 , 한 면에서 다른 면으로 환자 움직일 때
독립적 기능적 동작 촉진 시 필요

침대에서 이동하기 , 침대에서 일어나 앉기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 – 치료사나 보호자 , 간병인의
보조적 도움 필요
초기 단계 일상생활활동 훈련

이동
침대시트를 이용한 침대에서 환자 이동하기

침대시트 환자 밑에 배치

양쪽에서 침대시트를 잡고 환자 약
간 들어올려 움직임

치료사 허리 부하 최소화하는 자세취


함 , 힘 균등
초기 단계 일상생활활동 훈련

바로누운 자세에서 엎드려 눕히기


침대시트를 이용한 침대에서 환자 이동하기

환자 침대 끝으로 이동
-치료사 환자 돌 방향에 위치
-치료사 손을 환자 어깨관절 , 엉덩관절에

-환자 옆으로 눕힌 후 손 재배치하여 환자
엎드릴 때까지 움직임 조절
초기 단계 일상생활활동 훈련

휠체어에서 침대로 이동하여 눕히기

휠체어를 치료테이블이나 침대 옆에 배치
하고 잠금장치를 함 .

치료사의 양 무릎 사이에 환자의 무릎을 끼


워 넣고 환자의 엉덩이를 양손으로 받쳐 휠
체어에서 들어올림
초기 단계 일상생활활동 훈련

바로 누운 환자를 앉을 수 있도록 보조

바로누운 자세에서 시작하며 치료사는 팔


로 환자의 윗몸통을 감싸고 환자를 서서히
들어올림

한 팔을 허벅지 아래쪽으로 넣어 환자의 다


리를 테이블 밖으로 내려놓음
초기 단계 일상생활활동 훈련

식사하기

콧구멍 , 코인두 , 인두 , 식도를 통과하여


위로 가게 하는 코위영양관

복벽에 고무관 삽입
위장관영양관
초기 단계 일상생활활동 훈련

스플린트

기능적 위치와 긴장도를 감소시킬 수 있어


관절가동범위 유지하기 위해 적용됨
중간 단계 일상생활활동 훈련

치료목표

기본적 ADL 수단적 ADL


중간 단계 일상생활활동 훈련

인지치료

환자 – 인지장애 ( 구체적 개념 세우기 어


려움 )

ADL 을 위해 인지재활치료가 선행

인지재활 – 주의력과 집중력에 관련한 치


료에 초점
중간 단계 일상생활활동 훈련

식사하기

삼키기와 음식조절 능력 평가

삼킴 기능 향상 운동

합병증
중간 단계 일상생활활동 훈련

삼킴장애 훈련 ( 입안 운동증진치료 )

입안 운동성 증진을 위한 훈련

치료사는 얼음막대를 이용하여 환자의 입


안과 혀에 율동적 압력을 가하여 빨기 형태
를 촉진함
중간 단계 일상생활활동 훈련

삼킴장애 훈련 ( 기능적 전기자극 )

삼킴장애가 있는 환자를 위해 특별히 고안


된 신경근 전기자극치료기

환자 목 위에 전극을 부착하여 삼킴에 관여


하는 근육 수축을 촉진하는 역할
중간 단계 일상생활활동 훈련

식사하기 훈련

침대 위에서 시작
-병원 식당과 같은 보다 사회적 환경으로
점진적으로 시행함

-근력 감소 , 협응동작 장애 , 지각장애 수


반 시 : 회전칼 , 접시방어대 , 미끄럼 방지
매트 등 보조도구 사용
중간 단계 일상생활활동 훈련

기능적 동작 - 교각자세 만들기

복근과 고관절 신전근 활성화

몸 밑에 환자용 변기를 놓거나 엉덩이를 편


안한 자세로 만들기 위해 사용함
중간 단계 일상생활활동 훈련

기능적 동작 – 앉기에서 일어서기


중간 단계 일상생활활동 훈련

보행훈련 - 평행봉

기립 자세에서 처음하는 운동으로


안정성 있음

바른 자세 유지 , 양 팔로 상체 밀어
올리는 운동 가능

높이 : 환자 대퇴 대전자 위치 , 주
관절 25~30 도 굴곡 유지
중간 단계 일상생활활동 훈련

보행훈련 - 보행기

비교적 큰 안정성 제공

평지에서 사용 요이

환자의 발의 이동과 보행기 이동속


도 조절하여 골반 움직임과 체중 이
동 훈련
중간 단계 일상생활활동 훈련

보행훈련 - 현수

체중 일부 차감 , 외부 균형지지 제

장점 - 안정성 확보 , 낙상에 대한 불
안으로 불필요한 근긴장도 억제 , 보
행 양상 호전 , 보행 경험에 의한 패
턴숙달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