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36

국가정보학

건양대학교
국가정보학의 개념 ( 정의 )
• 웹스터 사전 : ‘Intelligence’ 를 군사적인 목적을 위해
수집된 비밀 첩보
• Jeffrey Richelson : 현재 또는 잠재적으로
국가안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국가들이나
작전지역에 대한 첩보자료를 수집 , 평가 , 분석 ,
종합 , 판단하여 생산한 결과물
• Jennifer Sims : 행위자 또는 정책결정자를 위해 수
집 , 정리 , 분석된 첩보 (information)
• Abram Shulsky : 근본적으로 외부 집단이 숨기려고
노력하는 첩보자료에 접근하고자 하는 것
국가정보학의 개념 ( 정의 )
• 국가안보와 국가이익 도모
• 국가차원에서 생산되고 활용되는 지식 또는
국가적 차원의 안전보장이나 이익을
실현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활동
• Kent : knowledge, activity, organization
을 포함하는 개념 .
• 정보순환과정 : raw data( 공개 , 비공개 ) →
information → intelligence 의 과정
국가정보학의 개념 ( 정의
• 활동 (activity) : 정보의 생산활동 , 방첩 , 비밀공작
• 조직 (organization) : 정보기관
– 임무는 사용 가능한 모든 수단 동원 , 국가안보를 위하여
첩보 수집 , 분석 , 생산
– 방첩활동 , 비밀공작 업무 수행
• 용어구분 ( 정보와 첩보의 구분 )
– 자료
– 첩보
– 정보 : 비밀성
국가정보의 특성
• 비밀성
– 도청 , 절취 , 매수 등 극단적 수단도 동원
– 정보활동의 목적 , 의도 , 방법 노출 시 상대방의
허위정보 , 대비 , 기만술책에 역이용
• 합목적성
– 합법성도 강조 , 그러나…
• 전방위적 특성
– 유기적이고 종합적 : 정치 , 경제 , 군사 , 사회 ,
환경 등 모든 분야에 영향
국가정보의 구비요건
• 적시성 (timeliness)
– 시간에 따라 가치 변화
– 정책결정이 이루어지는 필요한 시점에 제공
• 정확성 (accuracy)
– 정확성이 높을 수록 최선의 정책결정
• 객관성 (objectivity)
–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왜곡 시 국가이익 저해
• 적합성 (relevance)
– 정보가 정책결정에 기여 ( 관련 ) 할 수 있어야
국가정보의 기능 및 역할
1. 조기경보 기능
– 잠재적국의 전략적 기습 (strategic surprise) 을
피하는 기능
– 적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국가정보의 최우선 임무
– 군사 , 금융 , 환경 , 재난 , 전염병 , 국제범죄
등도 조기경보의 대상
2. 국가정책지원
1) 정책환경 진단
국가정보의 기능 및 역할
1) 국익증대를 위한 국내외 다양한 여건 진단
2) 잠재적국의 위협을 평가 , 안보유지에 필요한
정책 수립에 기여
3) 자국의 국익 및 안보적 취약성을 진단에 기여
2) 정책의 수립 및 조정
1) 정책수립 및 조정에 유용한 지식 제공
2) 정책수립과 조정과정에서 정책추진에 필요한
제약 요인을 검토하는데 요구되는 판단 제공
국가정보의 기능 및 역할
3) 정책선택
– 정책담당자들에게 유용한 정책대안의 범위를
밝혀주고 판단 여지 제공
– 국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데 기여
– 미래 상황을 예측하는 데 판단 제공
4) 정책 집행 및 평가
– 정책의 집행시기 판단
– 정책평가에 대한 판단
3. 협상체결 및 국제조약 검증
– 협상과 협상력
– 국제조약 준수의무 이행 여부 검증

• 사례
국가정보의 분류
1.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
– 정책정보 (Policy intelligence)
– 보안정보 (security intelligence)
2. 대상지역에 따른 분류 ( 정보의 대상 , 지역이
아님 )
– 국내정보 (domestic intelligence)
• 국내안보정보
• 국내정책정보
– 국외정보 (foreign intelligence)
• 북한정보
국가정보의 분류
3. 요소에 따른 분류
– 정치정보 (political intelligence)
– 경제정보 (economic intelligence)
– 군사정보 (military intelligence)
– 과학기술정보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telligen
ce)
– 사회정보 (social intelligence)
– 사이버정보 (cyber intelligence)
– 환경정보 (environmental intelligence)
– 테러 , 마약 , 조직범죄정보
국가정보의 분류
4. 사용주체에 따른 분류
– 국가정보 (national intelligence)
– 부문정보 (national departmental intel)
5. 수집방법에 따른 분류
– 인간정보 (Human Intelligence)
– 기술정보 (Technical Intelligence)
• Geoint, sigint, masint, photint 등
– 공개정보 (Open Source Intelligence)
국가정보의 분류
6. 시계열 특성 ( 분석 형태 ) 에 따른 분류
– 기본정보 (Basic-descriptive intelligence)
• BEST MAPS :
Biographic intel( 개인신상정보 ), economic, sociolog
ical, transportation & telecommunications, military
geographical, armed forces, political, scientific and
technical intel.
– 현용정보
– 판단정보
Kent 의 분류
1. 보안정보와 긍정 적극 정보
1) 보안정보
2) 긍정정보
3) 양자의 관계
2. 사용수준에 따른 분류
1) 장기정보
2) 중기 정보
3) 단기 정보
3. 수행기술에 따른 분류
1) 공개수집정보
2) 비밀수집정보
정보의 생산자 , 수요자
1. 정보생산과 수요의 관계
생산이 목적이 아님
2. 정보 생산자
국가정보기관
3. 정보 수요자
1) 대통령
2) 의회
3) 행정부처
4) 국가안보회의
5) 정보공동체 등
4. 정보 수요의 경합
고대 및 중세의 정보활동
1. 테티스 , 포세이돈 , 아테나 , 아폴로의
정보예측
• Homer 서사시 Iliad and Odyssey 는 기원전 2 천년
대의 실존하는 전쟁영웅과 전황예측 , 운명예언을
하는 고위전략정보관인 신관 , 천관들의 정보경쟁
– 요정 Thetis
– Apollo 신관
– Athena 천신녀
고대 및 중세의 정보활동
2. 이집트 파라오 , 그리스군 , 로마의 시저 :
암호통신문을 이용한 정보활동

– 이집트 : 원통형 막대와 파피루스


– 로마 : Julius Caesar( 알파벳 배열 순서 바꾸어
암호 제작 )
– 그리스 : 극작가 Polybius 는 아라비아 숫자와
로마자를 합성하여 암호체계 만듦 .
고대 및 중세의 정보활동
3. 모세와 여호아의 정보활동
– 민수기 (The Numbers) : 모세가 기원전 1450-1
440 년 경 70 명의 유대인을 데리고…
– 가나안 진군에 앞서 정찰팀으로 12 부족장의
자손을 선발
– 그중에 Nun 의 아들 호세아 (Oshea) 를 여호수아
(Jeoshua) 라는 이름으로 바꾸어 투입 ( 생간 )
– 이동통로와 귀환 시 습득해야 할 물품을
구체적으로 지시 :
고대 및 중세의 정보활동
4. 여호수아의 정보수집 내용
– 가나안지역은 넓고 , 주민의 사기 , 강인
– 가나안 성 크고 견고 . 주민은 남부평야 , 야산 ,
요르단지역 , 해변에 산재
– 젖과 꿀이 흐르는 땅 , 농작물은 포도 , 석류 ,
무화과
– 정찰팀 판단 : 진군파와 포기파로 대립
– 모세의 판단 : 여호수아의 진군주장 채택
고대 및 중세의 정보활동
5. 모세로부터 지휘권을 이양 받은
여호수아의 정보심리전

– 가나안 진격의 1 차 관문인 여리고 성 함락을


위해 정찰팀 파견
– 여인숙 여주인 라합의 협조
– 정찰팀 임무 완수 후 복귀
– 정보협조자 보호 , 언약궤 대열을 전투군 다음에
배열 심리전 전개
손자병법 13 편
1) 시계편
2) 작전편
3) 모공편
4) 군형편
5) 병세편
6) 허실편
7) 전쟁편 : “ 정보력이 중요하다 . 정보력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 이 것 없이는 군사 행동도
무의미하다”
손자병법 13 편
8) 구변편
9) 행군편
10) 지형편
11) 구지편
산지 ( 散地 ), 경지 ( 輕地 ), 쟁지 ( 爭地 ), 교지 ( 交
地 ), 구지 ( 衢地 ), 비지 ( 圮地 ), 위지 ( 圍地 ), 사지
( 死地 )
12) 화공편
13) 용간편
손자병법의 정보전 지표
1) 시계편 ( 始計篇 )
– 전쟁 시작전 적과 아군의 전세를 도 ( 道 ), 천 ( 天 ),
지 ( 地 ), 장 ( 將 ), 법 ( 法 ) 으로 나눈 비교분석 틀
① 도 : 군왕과 백성이 함께 공유하는 전쟁명분 , 신념
② 천 : 계절 , 밤낮 , 맑음과 흐림 , 더위와 추위 ,
자연환경 활용력
③ 지 : 길의 원근 , 험한 곳 , 평지 , 탁 트인 곳과
좁은 곳 , 막힌 곳과 뚫린 곳 등 지형 조건 활용력
손자병법의 정보전 지표
⑧ 장 : 장수 Leadership 덕목으로 지혜 , 부하가
지휘관에게 갖는 믿음 , 장수의 자애로움 , 용맹성 ,
공사구별과 자신을 통제하는 엄격성

⑨ 법 : 군대조직편제 , 명령 , 의사소통의 수단과


깃발과 악기의 운영규정 , 계급체계에 따른
직무의 합리적 배분 , 식량과 군수물자의
조달공급관리 , 비용 등의 운용체계
손자병법의 정보전 지표
2) 작전편 : 속전속결이 기본 전법
3) 모공편 : 적군전력 평가로 가능한 싸우지
않고 이기는 전략 전술
• 知彼知己 百戰不殆 , 不知彼知己 一勝一負 , 不知彼
不知己 每戰必殆
4) 군형편 : 이길 수 있는 만반의 준비를 갖추는
방책
5) 병세편 : 전쟁승리를 담보하는 정식병법 논리
인 정 ( 正 ) 과 이 ( 利 ) 논리를 신축적으로 활용
손자병법의 정보전 지표
6) 허실편 : 적의 허실을 살피고 나의 허실을
숨겨 나의 강한 부분으로 적의 약한 부분
을 공격하는 전법
7) 전쟁편 : 군대 기동은 질풍처럼 , 멈출 때는

나무처럼 고요히 , 공격 시는 불처럼 , 움직


이지 않을 때는 산처럼 , 숨을 때는 어둠처
럼 , 움직일 때는 번개처럼 빨라야 함을 풍 ,
림 , 화 , 산 , 음 , 뇌정이라는 성어로 요약
손자병법의 정보전 지표
8) 구변편 : 공격할 때와 말아야 할 때 , 장수의
성급함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하는 전쟁상황
에 대처하는 장수가 경계해야 할 주의사항
- 지혜 , 믿음 , 자애 , 용맹 , 엄격
9) 행군편 : 부대가 산 , 하천 , 늪 , 평지를 기동
하는 방법
10) 지형편 : 적과 아군이 모두 왕래할 수 있
는 곳 , 탁 트인 곳 , 전진하기 쉽고 후퇴하기
어려운 곳에 따라 잘 대처하는 방책
손자병법의 정보전 지표
11) 구지편
• 산지 - 아군지역 , 경지 - 접경지역 , 쟁지 - 차지하는 쪽에 따라
유리한 지역 , 교지 - 왕래가능 지역 , 구지 - 국경이 접한 지역 ,
비지 - 산림 , 늪으로 통행이 힘든 지역 , 위지 - 입구와 출구가 모두
좁아 빠져나오기 힘든 지역 , 사지 - 장기전을 펼치면 패배하는 지역
– 쟁지와 교지 , 구지는 먼저 차지하고
– 비지와 위지 , 사지는 빨리 벗어나야 함
12) 화공편 : 적병 , 양식 , 수송물자 , 창고 , 진지 5
가지 공격 목표를 선정하고 발화상태 , 풍향속
도 , 적군동향 , 낮과 밤 5 가지 상황변화에 따른
화공전개 설명
손자병법의 정보전 지표
• 용간편 ( 用間篇 )
– 향간 ( 鄕間 )
– 내간 ( 內間 )
– 반간 ( 反間 )
– 사간 ( 死間 )
– 생간 ( 生間 )
※ 인간정보 (HUMINT) 의 클래식
- 정보전의 핵심으로 상대방 국력판단 , 군사력 평가 ,
무기체계 , 지형정찰 , 군사기 측정을 위해 정보원을 현지에
침투시켜 직접 보고 , 듣고 , 감지하게 하여야 한다고 주장 .
적벽대전의 정보전
오 , 촉의 승리 주역
– 오의 손권 , 제독 주유의 10 만
– 촉의 유비 , 군사 ( 軍師 ) 제갈량의 1 만군이 제휴한 11 만
연합군
– 제갈량은 유비진영에 방통을 위장합류
1. 정보작전 기법
– 손자병법 시계편의 도 , 천 , 지 , 장 , 법의 5 가지 중 기후 ,
기상 , 지형 , 산세 , 강물의 흐름 파악
2. 반간계 활용
– 조조에 귀순한 오의 수군 제독 장윤과 채모가 주유와
내통한다고 믿게 하여 참수
적벽대전의 정보전
3. 연환계와 화공전
– 큰 함선 30 척에 중간 함선 50 척을 쇠고리로
묶어 거대 함선 구성 , 유황 기름으로 화공전
전개 , 함선 수장
– 연환계 ( 기만작전 ) 과 화공전 ( 계절기후와 풍향
이용 ), 허수아비 이용 적의 화살 수거 .

※ 전쟁 참패 주역
– 위의 조조 80 만 군 ( 수군대장 장윤과 채모 )
수호지 정보전
• 송나라 말기 북송과 남송으로 나누어진 혼란기에
황제와 기득권 세력에 대항하여 수박이 양산에서
108 두령이 펼치는 활약상
• 송대의 사기에 기록 ( 시내암 저 )
• 불의에 저항하다 삭탈관직 당한 고급관리 , 군관 ,
하급관리 , 신망 있는 지식인 , 무예가 출중한
야인 , 상인 , 농민 등이 펼치는 반정부 저항운동
• 원소이 , 소소오 , 원소칠 삼형제의 지형지세
이용 ( 양산박의 U.D.T)
르네상스 , 중세봉건 , 절대왕조 시대

• 인간의 진화
– 고대 Homo Ludens( 놀이하는 인간 ) → 중세
Homo Aveu( 고백하는 인간 ) → 15 세기
르네상스 Homo Sapiens( 생각하는 인간 ) → 1
8 세기 산업화 시대 Homo Economicus( 경제적
인간 ) → 20 세기 냉전시대 Homo Politicus(
권력적 인간 ) → 21 세기 Homo Reciprocus(
상호 의존하는 인간 ) → Homo Symbous(
공생하는 인간 )
르네상스 , 중세봉건 , 절대왕조시대

• 르네상스 시대의 정보활동의 주요변화


– 통치자를 대신하여 정보활동 총괄하는 정보
마스터 출현
– 통신보안을 위한 암호 보편화
– 정보예산 규모 증대
– 상주대사와 별도로 신분위장 스파이망 운영
– 방첩활동 증가
르네상스 , 중세봉건 , 절대왕조시대
– 군사작전에서 정보참모조직 운영
– 비정규전 출현과 더불어 지형정보의 중요성 부각
– 감시활동 및 기습작전을 위한 특수부대 창설

• 국가별 정보활동 특색
– 이탈리아 : 암호체계 발달
– 영국 : 스파이 마스터 출현
– 프랑스 : 정보활동을 군사작전의 일환으로 활용
– 미국 : 독립전쟁 중 첩보조직 활용
마키아벨리의 대외정보와 심리전
• 15 세기 르네상스 시대 지중해 연안
이탈리아도시국가 , 로마교황 , 스페인 , 독일 ,
프랑스 : 생존차원에서 상호동맹 , 외교관계 유지
• 금융 , 상업 , 모직 , 피혁 산업으로 부강한 피렌체
공국의 마키아벨리는
• ( 제 2 집정관 , 보좌관 , 대사 ) 신분으로 인접국가
방문 산업 , 상업 , 금융 , 군사력 등 정보수집 ,
피렌체 공국에 대한 외침예방 , 공국체제 전복을
사전에 예방한 전략 스파이 활동
마키아벨리의 대외정보와 심리전
• 대중의 합의를 기반으로 하는 민주공화정
발전에는 ‘대중의 지지가 국가 결속 , 안정 ,
생존의 고리’라고 보고 , 생존에 필요한
군사력 운용과 시민결속에 응집력이 높은 종교
활용을 주장
• 국내 방첩 (counter-intelligence) 강조
• 장수의 Leadership 강조 : “ 강장 휘하의
약졸은 강졸이 될 수 있으나 약장 휘하의
강졸은 하루아침에 약졸이 될 수 있다”
Walshingham 의 정보활동
• 영국의 스페인 무적 함대 격파
– 전투정보 수집과 활용으로 스페인 무적함대 격파 ,
유럽 강국으로서의 영국위상

– 정보활동 및 응용의 삼두마차


• 통합형 지도자 : 엘리자베스 1 세
• 전략 전투 정보 수집가이면서 여왕 비서실장 겸
국무장관 : 웰싱햄
• 정보 활용으로 스페인 무적함대를 격파한 함대 사령관 :
드레이크
Walshingham 의 정보활동
• 웰싱햄 (1537-1590)
– 초기에 정보관으로 모교 켐브리지 대학 출신 , 무역상인
출신 , 유럽지역 언어 능통자 50 여 명으로 스파이망 조직 ,
상대방 암호 해독 , 암호 보고서 작성 등 정보 전문성 발휘 ,
유럽 , 아프리카 북부 , 콘스탄티노플까지 정보 조직망 확대
– 런던 암약 외국 스파이를 감시하여 가톨릭계의 스페인 ,
로마교황 , 네덜란드의 스페인령 , 프랑스 정부로부터 개신
청교도인 엘리자베스 1 세 여왕에 대한 정권 전복 , 여왕
시해 시도 분쇄
– 카톨릭계 스코들랜드 메리 스튜어트 여왕의 왕위복권 운동
저지 .
Walshingham 의 정보활동
– 웰싱햄 자신이 유럽 주요국가 언어에 능통하고
철학에 소양이 깊어 자연스럽게 유럽국가를
방문하고 다양한 계층의 인물을 만나 정보 수집 분석

• 스페인 무적 함대 격파
– William Stanton 을 중심으로 한 월싱햄의 정보팀은
토스카나 대사에게 접근하여 그와 친분이 있는
폴랑드로 , 폴랑드로가 친한 스페인 무적함대 사령관
Santa Cruz 제독 부관을 활용하여 함선 설계도 ,
함선의 무장상태 , 해상전 진법에 관한 정보 입수
Walshingham 의 정보활동
– 스페인 전함의 특징을 파악 ( 거대하고 큰 구경에 짧은
포신으로 근거리 명중률 높음 , 파괴력 큼 )
– 영국은 기동력 좋은 경량 함선에 장거리 장사포 장착
공격
– 정보망 가동 함대 출항 일시 , 출항 지 , 전투
예상지역인 영국 남부해안 지역과 네덜란드 해안 ,
칼레지역의 기상조건 , 무적함대의 공격진로 ,
해상전법을 집중 수집하여 드레이크 사령관에게 전달
– 200 년 후 넬슨제독과 나폴레옹이 해전을 치르는데
지침서로 활용
프랑스 절대왕정
( 전략정보관 리실리유 )
• 17 세기 유럽은 프랑스의 부르봉 왕가
절대왕조 , 영국의 올리버 크롬웰 주도
공화정과 철학자 데카르트 , 정치철학자
토마스 홉스 , 세익스피어의 등장으로 다양한
이념 , 정치체제 , 문화예술 , 시민문화
출현과 함께 시민요구 분출 , 국가와 지역
간의 이해관계 대립으로 국가 수준의 정보
수집 및 분석과 함께 정책 수립 , 집행에
정보연계 필요성 대두
프랑스 절대왕정
( 전략정보관 리실리유 )
• 프랑스의 리실리유 수석장관겸 추기경은 암실 조직
‘샹브르 누아 (Chambre Noir, Black Chamber)’
를 조직
• 암실 조직 샹부르 누아의 운영체계 : 카톨릭
국가인 스페인과 로마교황으로부터 독립하고
프랑스 국가발전 , 왕권 강화 , 산업화의 이념
명분에 동참하는 인물로 정보원 충원 , 무역과
금융업으로 자신이 쌓은 재원을 활용하여 정보원이
정보활동에 몰두할 수 있도록 충분한 재정지원과
보상을 함
프랑스 절대왕정
( 전략정보관 리실리유 )
• 유럽 각국에 프랑스 대사관 외교관 중에 비밀
정보원을 두어 프랑스 왕정과 자신에게
위해를 가하려는 정보를 수집하여 정부전복
공작을 사전에 예방하는 방첩 활동 전개
• 리실리유 자신도 종교 , 학계 , 문화계 인사와
교유하면서자연스럽게 국내외 중요 정보를
수집 , 정책수립과 집행에 반영하고
문화발전에 기여
프랑스 절대왕정
( 전략정보관 리실리유 )
• 궁정쿠데타를 분쇄하고 30 년 종교 전쟁으로
피폐해진 17 세기 프랑스를 절대왕정으로
공고히 하는 등 국가안정에 기여

• 수집된 정보를 분석 평가하여 수입을 억제하고


실크 , 장식용 융단 , 유리제품 , 설탕 등
다양한 공산품을 생산하여 유럽과 해외
수출하는 등 무역과 금융업을 장려하여 프랑스
경제발전 도모
서애 유성룡의 척후론
• 임진왜란 당시 영의정으로 전시 민정 살피고 ,
도 체찰사로 군량조달 , 전쟁독려 등 군정
책임
• 전장경험에서 저술한 징비록 ( 懲毖錄 ),
진사록 ( 辰巳錄 ), 근폭집 , 군문등록 ,
녹후잡기에서 일본군 파악 위한 척후 방법
제시
서애 유성룡의 척후론
• 척후론
– 척후는 군의 귀와 눈으로 전쟁의 승패를 판가름함
– 척후를 제대로 못쓰면 적병이 영문에 이르는 것도
알지 못함
– 망대를 높이 세워 2 명을 일개조로 하여 가까운
곳이나 멀리 있는 적군 움직임을 관찰 경계
• 척후는 최대 200 리까지 침투하여 적의 동향과 기동을
상세히 직접 관찰 후 보고 . 100 리 거리에서는 적군의
소재를 정확히 탐지 보고 . 50 리 거리에서 기동하는 왜군
동태를 발견하면 즉각 알리고 경보발령 . 또한
척후활동으로 전투가 나기 닷새 전에 적의 동정 파악
서애 유성룡의 척후론
• 척후 운용방식
– 척후는 가능한 적국과 조우하는 지역 출신으로 도로의
멀고 가까움 , 산천을 둘러가거나 바로 가는 것을 잘
아는 자를 선발
– 적과 대치한 지역에서 오랫동안 살아 온 지역인물을
선발기용 해야 한다 ( 且生長基處 ).
– 척후에게는 후한 상을 내려야 죽음을 각오하고 임무
완수함 . 적국 사람도 이용 가능하고 우군이라 하더라도
진실로 주는 상이 없으면 도리어 적국에 이용당할 수
있음 ( 重賞之下 , 必有死夫 , 則我國之人 , 反爲敵用 )
서애 유성룡의 척후론
– 왜군이 우리나라에서 우리도 모르는 외딴 곳과
좁은 길까지도 다 알고 , 가로 세로 종횡으로
거리낌 없이 누비고 다니며 익숙하게 지형 , 도
로 , 지세를 꿰뚫고 기동하는 것은 척후를 잘 쓴
탓 ( 倭敵入俄境土 , 凡絶境細路 , 無不縱 橫貫
穿)
– 실제로 토요토미 히데요시는 인진왜란 이전에
이미 한국에 정탐꾼을 보내어 전술지도 작성 및
도상연습
– 숭문경무 ( 崇文輕武 ) 사상 팽배
이순신
• 23 전 23 승
• 이순신과 막료의 심층적 정보분석이
해전승리의 토대
• 신중하면서 투사 ( 집중적 연속’ 속사 )
• 유성룡의 차생장기처 ( 且生長基處 ) 와 일맥
상통 : 어영담이 선봉에서 안내 ( 물길 ,
계절풍 , 외해와 내해로 빠지는 해로 등 훤
함)
• 학익진 , 장사진 , 일자진 : 한산섬 頭億理
청 , 옹정황제
• 옹정황제의 密 情 , 密折제도
– 19 세기 말 청 제국 부흥
– 확인이 필요한 내용에 대해 검증하라는 주비유지
( 硃批諭旨 ) 를 제 3 의 인물에 내림
– 보고내용 : 관내의 주민생활 상태 , 치안확립
정도 , 경제상태 , 적설량 , 강우량 , 보리 , 쌀 ,
누에 작황 , 양곡 값 등락 , 가뭄 , 홍수 ,
고위관료 , 지방총독 , 지방관리의 업무자세 ,
정책시행여부 , 군대훈련과 기율상태 , 기후 ,
주민의 생활상 등
• 약 1,000 여 명의 정보원 활용 ( 비밀상소원 )
• 정보원 기밀유지 사례 : 지방총독 밑에 3 년간 집사로
일하면서 일거수 일투족 감시 , 보고 . 후에 떠나면서…
• 당부내용
– “ 사람은 견문이 넓어야 그릇된 판단을 하지 않는다 . 짐은
너희에게 여러 정보수집을 요구한다 . 지방관리의 근면함과
태만 , 윗사람은 공평하고 아랫사람은 유능한지 , 군대규율 ,
특이사항 , 좋은 것과 나쁜 것 , 확실한 증거 , 풍문으로 들은
것 등을 나누어서 보고하라 , 바쁠 때는 초서 , 행서 가리지
말고 , 날려서 써도 좋다 . 보고의 적실성을 잊지 말라”
근대의 정보활동
• 특징
• 정보활동은 보다 체계적인 형태로 전개
1) 군사정보에서 방첩영역으로 확대
2) 인간정보에서 기술정보 , 신호정보로
3) 상주대사뿐만 아니라 언론인들도 활동
4) 국가안보를 위한 정보활동에 민간회사도 참여
영국 정보력과 영미정보협력
• 근대 열린 시민사회에서 다양한 이념 표출과 갈등
표출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국내보안정보활동
강화 . 1, 2 차 세계 대전으로 과학기술정보력 발전
• 영국은 17 세기부터 미국 , 캐나다 , 서인도 제도 ,
남태평양 , 인도 , 중국 , 아프리카에 이르는 광역
식민제국 건설
– 전위에는 항상 영국군이 포진 본국 전쟁부에
군사정보와 식민국가의 주민생활 , 생필품 가격 ,
농업과 산업 상황 , 기후조건 , 정치정세 등
비군사분야 정보 제공
영국 정보력과 영미정보협력
• 다양한 정보를 수집 , 분석 , 제공하는
군사정보 조직 (MI : Military Intelligence)
운영
– MI 1 : 순수군사정보 담당
– MI 2 : 주민생활조사
– MI 3 : 비단 , 향신료 생산량 조사
– 전성기에는 MI 19 까지 조직
• 1873 년 국방부에 해당하는 전쟁부에
지형통계국 , 정보반 설치
영국 정보력과 영미정보협력
• 제 1 차 대전의 영국의 정보활동
– 국내보안부인 MI 5 는 영국 국내의 독일 간첩 ,
공작원 체포 , 항만 , 군수산업시설 파괴 저지 ,
첩보원 정부 침투 저지 역할 수행
– 해외정보부 MI 6, 해군정보부는 통신정보 ,
감청 , 암호해독 , 낙하산부대투입 , 파괴공작
활동 , 지상공중 사진촬영 , 심리전 전개
– 전쟁부 산하 전쟁심리국 운영
영국 정보력과 영미정보협력
• William Somerset Maugham
– 1874 년 프랑스 주재 영국대사관 법률고문의
막내아들로 태어남 . 의사 수업 , 산부인과에서
작가로 변신
– 인생의 굴레 , 달과 6 펜스의 저자
– 제정러시아 몰락과 1917 년 레닌의
볼세비키혁명이 이루어지는 1 차 대전 전후 러시아
주재 영국대사관 문화담당 공사자격으로 근무 .
– 페테르부르그 최고급 레스토랑 메드베드에서…
영국 정보력과 영미정보협력
• 짐머만 보고서
– 1 차 대전 당시 영국 행군정보부대는 각국 독일
대사관 , 군부대에 보내는 독일 통신 , 전문을 감
청 , 암호문 해독
– 미국주재 독일 대산관은 베를린에 보내는
암호전문을 감시가 약한 스웨덴 독일 대사관 →
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 아이레스 → 멕시코
시티 → 베를린
– 1917 년 1 월 17 일 행군정보부대 그레이
분석관이 감청 해독한 짐머만 전문에는…
영국 정보력과 영미정보협력
– 멕시코 정부가 미국을 공격하면 …
– 텍사스 , 뉴멕시코 , 애리조나 주를 되찾아 준다

– 2 월 1 일부터 독일 잠수함의 적대국 선박에 대한
무차별 해상 공격
– 미국 윌슨 대통령에게 보고 미국의 1 차 대전
참전 계기 마련
영국 정보력과 영미정보협력
• 독일군 Enigma 입수 활용
– 1930 년대에 폴란드 수학자 리옙스키 등
암호해독 전문가들이 독일 암호해독기
이니그마의 암호 일부를 파악
– 울트라 사업 (Ultra Project)
• MI 6 의 Ian Flemming 등이 참여한 연합군 울트라
정보사업단은 히틀러 , 독일군 최고사령부가 군
기관에서 발송하는 지시 전문 , 통신내용을 파악
독일군 기동을 사전 차단 , 역정보로 독일군 교란 ,
포위 공격 수행
영국 정보력과 영미정보협력
– 영국 공군은 에니그마 암호체계를 이용하여 영국
상공 , 도버해협 , 독일 상공 항공전에서 독일
전투기 교신을 교란하고 비스마르크 전함을
공격하여 침몰
– 일본판 이니그마 ‘ blue’ 암호전문을 해독 .
– 사전에 일본해군 순양함 , 구축함을 침몰시키고
일본 해군의 미드웨이 공격 기도를 차단 , 진주만
공격 이후 태평양 전쟁에서 전기를 잡음 .
영국 정보력과 영미정보협력
• 일본 해군사령관 야마모토 이소로쿠 대장이
솔로몬제도를 전용기로 방문하는 암호 전문 내용
입수 , 전용기 격추 .
• 노르망디 상륙작전 : 미군이 이태리 시칠리아
섬으로 상륙할 것처럼 위장 , 영국은 칼레 지역에서
상륙훈련하여 위장 및 기만작전…
• 영국 처칠 수상과 미국 루즈벨트 대통령은
상호간 원활한 정보 협조 .
• 맨하탄 프로젝트 양국관 긴밀한 협조
맨하탄 프로젝트
• 2 차 대전 당시 미국 뉴욕 시 브로드웨이 270
번지 건물에서 수행된 원자탄 만들기
• 독일 등 적성국가 공작원의 침투와 파괴공작
봉쇄와 방첩활동 속에 1939 년 8 월 2 일
아인슈타인과 헝가리 출신 물리학자
스질라드가 독일에 앞서 미국 핵무기
선점하자는 서한을 루즈벨트 대통령에게
발송
• 10 월 11 일 우라늄 위원회 구성
맨하탄 프로젝트
• 맨하탄 사업은 미국 주도하 영국 , 캐나다 ,
오스트레일리아 , 뉴질랜드의 학자 기술자가
참여하는 다국적 사업
• 맨하탄 사업 관여 인물 루즈벨트 , 시팀손
전쟁부 장관 , 마샬 육군총장 , 기타 과학자
극소수만 관여 .
• 미국 전역 30 개의 원폭 제조 기지에서
일하는 기술자들은 부분별 임무만 알뿐
맨하탄 프로젝트
– 테네시주 오크리지 : 수력발전소를 배경으로 농축
우라늄 추출에 전념
–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솜버그 기지 : 수량이 풍부한
강물을 원자로 냉각에 사용하는 풀루토늄 추출
– 로스알라모스 국립연구소 : 뉴멕시코주의 외딴 사막에
위치 , 원자폭탄의 조립과 실험
• 트루만 부통령도 루즈벨트 사망으로 대통령직
계승하여 원폭투하 결재단계에서 알게 됨
※ 1945 년 4 월 12 일 – 루즈벨트 사망 ,
1945. 4. 28. – 무솔리니 사망 ,
1945. 4. 30. – 히틀러 사망
맨하탄 프로젝트
• 트루먼 대통령 : “ 상원 전쟁위원회 위원장으로
국방정책프로그램을 조사할 당시 무슨 큰 과제가
수행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 노아의 방주재앙처럼
도시 전체를 잘려버리는 폭탄을 만들다니…”
• “ 핵폭탄을 일본에 투하하여 천황의 항복을 받아 전쟁을
조기에 종식시키느냐 , 아니면 재래식 무기로 1-2 년 이상
끌어 수백만 미군병사 , 민간인사상자를 내고 전쟁을
마무리할 것인가는 전적으로 대통령결심에 달려 있습니
다 .”
•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 쿄토는 경각심은 크나 문화유산
파괴 , 동경 천황궁은 군사전략면에서 큰 의미 없음으로…
이스라엘의 공작활동
• 아돌프 아이히만 납치 살해
– 독일 히틀러 친위대 장교로 나치수용소에서
유태인 대량학살 .
– 1957 년 아르헨티나에 살고 있다는 첩보 입수 후
1960 년 3 월 21 일 클레망이라는 이름으로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사는 아이히만을 확인하고
5 월 11 일 납치 , 아르헨티나 독립 150 주년
기념 이스라엘 사절단이 타고온 비행기로 수송 ,
1962 년 처형 .
이스라엘의 공작활동
• 검은 9 월단 사건
– 요르단 국왕 후세인이 팔레스타인 난민으로 구성한 Black Sept
ember.
– 1972 년 9 월 독일 뮌헨에서 개최된 하계올림픽에 참가한
이스라엘 선수를 납치 , 인질 . 이스라엘 감옥에 있는 아랍인 23
4 명 석방 요구… .
– 행동대장 살라메 암살 임무를 띤 신의 복수단 결성…은신처인
노르웨이 릴레함메르에 요원 침투… 그의 연락책이 접선하는
식당 종업원을 오인하여 암살…
• 기타 1969 년 이스라엘 모사드 특공대가 이집트에 침투 ,
소련제 조기경보 시스템인 레이더 시스템을 해체하여 본국
수송
1973 년 욤 키푸르전쟁
• 1967 년 전쟁패배 후 이집트 사다트는 1970
년부터 경제개발 , 국민실망감회복 , 아랍국
단결에 초점을 맞춘 이스라엘 보복군사력
강화에 전력 .
• 전쟁기만작전
– 1972 년 소련 고문단 철수
– 1973 년 수에즈운하 도하작전 후 예비군동원령
해제
– 극비리에 소련제 미사일 등 무기 구입
1973 년 욤 키푸르전쟁
– 유대교의 가장 엄숙한 종교절기로 이스라엘군의
휴가기간을 D-day 로 결정
• 이스라엘의 아만 군사정보부장 자이라를
위시한 참모의 정보보고서 : 침공 없음
– 다만 , 모사드의 이집트 담당 정보분석은
– 10 월 5-6 일 공격을 예고 및 대비 당부
• 이스라엘의 정부 무시 , 선제공격 보류
• 1973 년 10 월 6 일 2 시 5 분에 이스라엘
침공
1973 년 욤 키푸르전쟁
• 이집트와 시리아가 주축이 되고 , 레바논 ,
이라크 , 요르단 , 파키스탄 , 아프가니스탄 ,
리비아 , 모로코 , 북한까지 전투기 조종사를
지원하고
• 사우디와 쿠웨이트는 재정지원을 하는 형태로
결성된 아랍연합군은 이스라엘과 맞겨룰
만하다는 자신감 갖는 계기
• 9,000 명의 부상자 , 2,600 명의 사망자 : 미국이
10 년간 베트남 전쟁에서 사망한 숫자보다 많음 .
중국의 정보활동
• 7,400 만 명의 중국공산당원이 22 개 성 , 5 개
자치구 , 4 개 직할시 , 1 개 홍콩특별구와 그
아래 지구 , 현 , 향 , 진 , 촌에 이르는 전국적
사회정치인프라 구축
• 인간정보 – 학자 , 유학생 , 기자 등
• 국가안전부장 등은 보통 10 년 정도 근무하여
장기정보공작에 안정적 기반 제공
• 최근 사이버정보활동 활발 : 2008 년 미국에서
한 해만 54,640 건의 중국전산해킹 .
일본의 정보활동
• 막부시대 , 명치유신 , 2 차 대전을 거치며
동적으로 변화
• 정부 - 민간 복합체 , 군 - 산 - 정 복합공동체
• 토요토미 히데요시 : 조리도리 , 노부나가를
위해 정세분석을 하는 전략 정보관 및
경쟁영주를 감시하는 보안수장역할 .
• 닌자 : 막부시대 사무라이정신으로 정보수집과
파괴공작을 수행한 정보원
•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의 승리의 원동력
일본의 정보활동
• 만주지역을 중화학과 경공업을 위한 원료확보 및
공산품판매시장과 중국 , 러시아 , 동남아 지역
팽창의 교두보로 삼음 – 철도건설
• 만주철도부설 ( 일본본토보다 넓음 ) 및 조사부 설치 –
국제항공선건설 , 금채굴 , 광업 , 농림 , 전기 , 관광 ,
교육문화 , 염업 , 상업 등 활성화
• 내각정보조사실 – 해외정보 , 공안조사청 –
국내보안정보 , 정보본부 – 군사정보
• 내각정보조사실 직원 1,200 여 명이 5,000-7,000 의
프랑스 , 독일 등의 정보기관과 맞먹는 역할의 비결 ?
일본의 정보활동
• 김일성 사망 (1994) 당시 – 일본의 정세 판단
• 1983 년 9 월 1 일 03 시 38 분
대한항공여객기 소련 상공에서 사라진 사건
일본이 전모 파악 ( 감청으로 민간항공기라는
사실 인식하고도 격추 ) – 레이건 대통령의
재래식 무기 감축 제의의 시동
• ( 브레즈네프 – 체르넨코 – 유리 안드로포프
– 고르바초프 ) 페레스토이카 .
현대의 정보활동
• 1991 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 적의 장비를 무력화하는 스파이 프로그램 처음
사용
– 이라크에 수출하는 레리져 프린터에
스파이프로그램을 심어 미국 공습시간에
이라크의 방공장비와 지휘통제장비를
오작동하게 만듦
• 2001 년 9.11 테러
냉전시대
• The Magnificient 5, Cambridge 5 사건
( 블란트 , 버지스 , 맥클린 , 필비 , 케언크로
스)
• 미 중앙정보부장 스미스 “이중첩자가
근무하는 영국 정보기관과의 협조는
불가능하다”
• 프랑스는 북한 인민무력부장 오진우가
항암치료차 불에 체류 중 , 측근들과
면담내용 정리 – 향후 북한의 정세 분석 판단
냉전시대
• 1967 년 동백림 사건 ( 음악가 윤이상 등 203
명이 조사 , 66 명 기소 , 23 명이 간첩죄 )
• 1991 년 KGB 의 핵심 인물들이 고르바쵸프
소련 대통령 축출 쿠데타 시도
• 소련 첩자 고이엡스키 사건 (Godievsky :
외교관으로 동베르린에서 근무하다 체코 ,
헝가리의 자유화… 소련 탱크… 염증 )
• 1968 년 런던 근무 중 배반… 소련의 조사를
받다 영국의 도움으로 영국으로 탈출 .
워싱턴 사령관 독립전쟁시
• Nathan Hale : 예일대 졸업생으로 워싱턴
사령관의 비밀결사 정보조직의 전위
– 롱아일랜드 언덕에서 뉴욕항에 드나드는 영국
상선과 함선 , 군사이동현황 관찰 .
– 영국군에 체포되어 1776 년 21 세 나이로 처형
– “ 나는 조국에 희생하는 일생이 단 한번만
주어진 것이 서럽다 (I only regret that I have o
ne life to lose for my country)”
남북전쟁시
• 링컨 대통령
– 남북전쟁 시 (1861) 인간정보 활용 및
신호정보의 중요성 인식
– 열기구 전문 부대 육성
– 남부동맹정부가 남부화폐원판을 도안하여
위조화폐 제조한다는 암호문 감청 해독 –
비밀화폐 제조실 급습 및 압수 .
※ 당시 미국은 1863 년 재무부가 연방화폐인 달러를
통용하기 전까지는 각 주별로 고유 화폐 발행
남북전쟁시
• 1969 년 대통령 후보로 선거유세 중 시란 (Siran)
에게 암살 – 대통령 뿐만 아니라 유력 후보도
경호 대상으로 편입 ( 현재 , 퇴임후 10 년 ,
자녀는 16 세까지 )
※ 사망 : 4 명 (Abraham Lincoln, James Garfield,
William McKinley, John F. Kennedy)
미수 : 5 명 (Andrew Jackson, Franklin
Roosvelt, Harry S. Truman,
Gerald R. Ford, Ronald Reagon)
정부의 순환과정
• Arthur, Bentley : 정치를 사회의 이해집단이
이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파생된 갈등을
정부와 여론의 개입과 조정역할로 얽혀
진행되는 북합적인 정부과정
• Herman Finer : 정부과정을 국왕과 대통령 ,
입법부 , 사법부 , 행정부를 제도차원에서
서술하면서 정치행위를 정부 , 이익집단 ,
정당 , 언론이 표출하는 행위의 상호작용
정보의 순환체계
• Harold Laswell( 정책결정과정 7 단계 )
1) 정보활동 (intelligence function)
정책수행의 필요성 , 실현가능성 , 재원마련 , 주위의
관심여부 , 성공실패의 결과와 후속조치
2) 지지획득 (promotion)
3) 정책수립 (prescription)
4) 정책선언 (invocation)
5) 실행 (application)
6) 종료 (termination)
7) 평가 (appraisal function)
정보의 순환체계
• Lowenthal 의 분류
1) 정보요구 (identifying intelligence requireme
nts)
2) 정보수집 (collection)
3) 처리 , 활용 (processing and exploitation)
4) 분석 , 생산 (analysis and production)
5) 전파 (dissemination)
6) 수요자 이용 (consumption)
7) 환류 (feedback)
국가정보의 일반적 순환과정
1. 정보요구
– 정보요구는 국가정책우선순위에 연계된
구가정보목표우선순위에 따라 결정
– 정보요구는 국가정보요구와 정부부처가 고유한
임무수행 , 정책집행에 필요한 부처별 정보요구
또는 부처 첩보 요구로 구분됨
– 국민에게 공약한 국가 전략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대통령 , 행정부 각료 , 의회 , 중요
정부기관이 핵심 정보 수요자로서 정보 요구
국가정보의 일반적 순환과정
– 국가정보목표 우선순위 작성자 :
• 한국은 국가정보원장 , 미국은 국가정보장 , 독일은
수상비서실장 겸 정보부장 , 이탈리아는 수상실 정보위원회
사무총장 , 영국은 수상이 위원장인 정보위원회 간사 겸
정보실무위원장인 내각관방장관 , 일본 내각관방장관 ,
러시아는 대외정보는 해외정보부 , 대내정보는 보안부
2. 정보 기획과정
– 정보요구사항 접수 , 확인으로 해당 정보기관의 실무
부서 책임자 주도로 정보수집
– 지침 , 조정 , 지원 , 분석절차 등 정보생산계획 ,
수집기관 통보
국가정보의 일반적 순환과정
3. 정보수집과정
– 정보수집 활동 부서가 수집하여 획득된 정보는
생자료인 첩보 자료로 처리
– 인공위성 및 항공정찰에서 촬영된 영상자료 ,
지상 , 해상 , 해저 레이더에서 감청된 암호 ,
인간정보로 수집된 첩보 등은 평문으로 , 시기별
존안자료는 시계열 처리 , 통계분석 등의
처리과정을 거쳐 이용되기 쉽도록 처리
국가정보의 일반적 순환과정
4. 정보 분석 및 처리
– 국가정보목표 우선순위에 따라
– 정리된 첩보자료는 분석단계에서 정성적 ,
정량적 분석 , 집담회 등으로 신뢰도 , 정확성 ,
객관성을 높이고 기만성 유무를 탐색하여 해석과
판단을 곁들인 정보상품 생산
5. 정보 생산품 제공
국가정보의 일반적 순환과정
– 정제된 첩보 , 확인 검증된 정보 이론은 수요자가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취향에 맞는 보고서 ,
단행본 , 메모 , 비디오 , 파워포인트 , 브리핑
형식으로 제공
– 대통령을 위시한 정부 정책가 , 수요자에게
정책참고 , 정책판단 자료 제공
– 즉각적 조치가 필요한 정보는 조기경보용으로
생산
국가정보의 일반적 순환과정
6. 환류 과정
– 정보전달 , 제공으로 수혜를 본 수요자의 요청 ,
정보기관 내부의 필요에 따라 지속적인
정보요구로 이어지는 환류과정으로 이어짐
– 정보주기 연속으로 정보과정 성장

• 일반적 분류
– 요구 , 수집 , 처리 , 분석 , 배포
– 환류
정보의 요구
• 대립상황뿐만 아니라 협력의 관계를 위해서도
필요
– 죄수의 딜레마 (prisoner’s dilemma) 문제 발생
• 요구는 국가뿐만 아니라 기업 , 국제기구 등
비정부기구도 요구자
• 정보요구의 성격이 뚜렷한 경우 : 황윤길 ( 있
다 ) 과 김성일 ( 없다 )
• 성격이 무엇인지 모르는 경우 : 일본의
만주철도 주식회사에 부여된 과제…
첩보수집
• 국가정책의 수립 및 집행을 지원하는
정보생산을 위한 1 차적인 정보활동이자
기본토대
• 다양한 출처 확보
• 수집방법
– HUMINT : 백색 정보관 , 흑색 정보관
– TECHINT
– OSINT
첩보수집
• 고구려 장수왕 때 백제 개로왕의 측근이 되기
우해 위장 잠입한 도림 .
– 바둑 , 백제 한성 점령 , 중원 ( 충주 ) 까지 세력

• 인간정보가 주로 – 정보관 , 공작원 , 협조자


• 현재 – SIGINT, MASINT 등 다양화
첩보수집
 공개첩보와 비밀첩보
• 첩보수집 원천 : 공개 출처와 비밀출처로 구분
• 공개출처로부터 수집된 첩보를 분석판단하여
생산된 정보 : 공개정보 , 공식정보
• 공개출처에 의한 첩보수집대상 : 인터넷 정보 ,
정부 발표 , 방송 언론 뉴스 , 학술 연구 , 산업정보

– 냉전시대 , 러시아 미대사관이 정원에 조간
프라우다지를 펼쳐 놓으면 인공위성이 촬영 실시간
대통령과 안보각료가 열람
첩보수집
– 인터넷 정보 : 내용의 다양성 , 용이한 접근성 ,
비용경감 차원에서 가장 중요한 공개정보
– 미디어 : 세계 각국의 신문과 방송은 세계
정세와 개별국가 상황에 대한 실시간 원천
– 정부와 국제기구 발간물 : 정부 통계자료 ,
발간물과 UN 의 세계 곡물 작황과 미래예측서

– 학술 연구 발표 및 논문
– 산업정보
첩보수집
 비밀첩보 수집도구 : 인간정보
• 공개정보 90%, 비밀정보 10% : 10% 의
비밀정보 , 첩보를 수집하기 위해 90% 의
정보예산 투입
• 첩보 수집의 꽃 : 비밀출처에서 첩보를
수집하는 활동
• 비밀첩보 수집도구나 수단 : 인간정보와
과학기술정보로 대별
첩보수집
• 인간정보
– 손무의 용간편
– 손자의 인간정보 : 향간 , 내간 , 반간 , 사간 , 생간
• 내간 : 켐브리지 5 인방
• 반간 :
• 사간 : 삼국지
• 생간 : 여호수아
• 정보관의 자질 : 고도의 역사의식을 갖고
고전에 통달한 해박한 지성인의 자질 필요
손자병법 용간편
“10 만 군사를 일으켜 천리 길을 원정하는데 소요되는 군사비는
하루 천금이며 이 비용은 백성과 정부의 부담이 된다”
“ 수년간 사우는 동안 적정을 살피는데 하찮은 급료로 비용을
아껴서 적의 정세를 제대로 알지 못하여 단 하루 만에 전투로
승리를 날려 버린다면 지극히 어질지 못한 어리석은 짓이다 .
그런 사람은 장수가 될 수 없고 군왕의 보필자가 될 수 없으며 ,
승리를 거둘 주인이 되지 못한다”
여기서 실정을 먼저 안다는 것은 기도하거나 귀신에게 물어서 될
수도 없고 , 일의 경험으로 추리하는 귀납적 사고나 법칙에 ?
따라 헤아리는 연역적 사고로 되는 것도 아니며 , 오직 사람의
힘으로 듣고 살핌으로써 적의 실정을 알게 되는 것이다 .”
첩보수집
– 손자 : 뛰어난 지혜가 있는 사람이 아니면
간첩을 부리지 못한다 . 어질고 의로운 사람이
아니면 간첩을 부리지 못한다 . 미묘한 통찰력이
있는 사람이 아니면 간첩의 실적을 얻어
이용하지 못한다 . 미묘하고도 미묘한 것이니
스파이가 사용되지 않는 곳이 없다 .
( 非聖智 不能用間 , 非仁義 不能使間 , 非微妙
不能得間之實 , 微哉微哉 , 無所不用間也 )
첩보수집
 비밀첩보 수집도구
• 인간정보와 과학기술정보의 상호보완작용
필요
• 과학기술 정보 : 전기전자시스템과
전기전자를 응용한 컴퓨터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첩보를 수집하는 정보수단
• 오늘날 기술정보는 전기전자정보라 할 수
있음
첩보수집
• 전기전자정보로 수집한 첩보 : 신호정보 , 음성 ,
문서 , 계측자료 , 영상으로 표현됨
– 신호정보의 고전사례 : 여호수아의 여리고 성
함락당시 붉은 밧줄 , 봉수대
– 통신정보 : 짐머만 보고서
– 레이더 정보
– 원격측정 정보
– 징후계측정보
– 레이져 정보
– 영상정보
영상정보
• 시발은 링컨 대통령의 열기구 전담 기구
• U-2 고공 정찰기 : 지상 21 km 상공 정찰
• SR-71 : 동체 티타늄 ( 레이더에 안잡힘 ), 지상
24 Km 마하 3.2 최대속도 . 적외선 광학
촬영으로 지상 물체 , 초음속으로 비행하는
전투기 , 미사일 , 핵실험 , 화생방 무기 생산
공장을 촬영 분석하여 지상으로 송출 .
• 인공위성 촬영 : GPS 판독용은 1m 이내 ,
군사용은 1cm 이내의 선명도
첩보수집 사례
• 1950 년대 인민군 총참모부가 발행한 “갱도의 원리”
– 1970 년대에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지하땅굴 굴착
• 1990 년 모스크바 대학 로구노브 총장 인터뷰 :
• “ 나는 북한 물리학자 , 젊은 북한 과학도가 연구나 , 유학차
러시아에 오면 10 명 중 7 명은 핵물리학을 연구하겠다는 행태를
이해 할 수가 없다 . 모스크바 대학은 이론 핵물리학을 다루고 과학
아케데미에서는 핵발전소 , 핵무기를 다루는데… 우랄 산맥에
위치한 조그만 북한에 수력발전 , 화력발전 , 토목 , 화학 , 의학 ,
농학 분야에서 열심히 연구한 뒤 북한에 가서 인민 생활을 윤택하게
할 주택 , 도로 건설 , 에너지 개발 , 기초과학 발전에 집중해야
되지 않겠는가 ?”
– 북한 핵개발은 이미 1950 년대부터 시작
첩보처리
• 수집된 첩보를 분석에 이용될 수 있는 형태로
전환시키는 과정
• 암호화 → 해독 (encode → decode)
• 해외주재관이 본국에 첩보 보낼 때 암호전문
사용 .
• 영상정보 , 신호정보 해독기술 및 능력
• 외국문자 자동 번역기를 통해 번역도
정보분석
1. 정보분석 절차
– ‘ 구슬도 꿰매야 보배’ : 첩보자체로는 정보가
되지 못함 .
– 첩보로부터 중요한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결론을
도출하여 정보를 생산해내는 과정 .
– 평가 → 분석방법 선택 → 분석 실행 → 종합 →
해석 / 판단 → 보고서 작성
– 기만정보를 가려내고 신뢰도 평가
정보분석
2. 정보분석 방법
– 첩보가 빈약한 곳 ( 북한 등 ) : 내용분석 기법
• 신문 , 방송 등에 등장 횟수 등 분석
– 양적인 분석법 : 추세분석 , 델파이 기법 ,
시계열 분석…
– 질적인 분석법 : 역할연기 기법 , 시뮬레이션
기법 , 브레인 스토밍 기법 , 핵심판단기법 ,
경쟁가설 기법 , 분기분석 , 역사사례 비교 기법

정보분석
3. 정보분석 실패
• 왜 발생하나 ?
– 거울효과 (Mirror image effect)
– 집단사고증후군 (Group think syndrome) : 진주만
– 분석관의 능력 부족 : 전문성 , 통찰력 , 직관력 ,
판단력 등
– 첩보전은 무력을 동원하지 않는 “지혜의 싸움”
– 조직 이기주의
• 사례 : 9.11 테러 .
정보분석
4. 정보보고서 작성
– 보고서로 완성되어야 의미
– 정보요구자의 궁금증 충족할 수 있도록 맞춤형 (t
ailored) 으로 전달
– 분량 압축 : 요구자는 보고받을 사항 많음
– 적시성이 중요
– 제한성 : 필요한 사람만
정보분석
 정보분석가의 정보정신
• 정보분석의 원칙
– 균형감각과 중요자세
– 분석의 유연성 : 분석대상의 포괄성 ,
분석방법의 다양성 , 정보공동체 경쟁과 협조 ,
외부 전문가 교류와 협조
– 정보분석에서 정치성 배제 , 분석가와 정책가의
전문성 협조
※ 김대중 햇빛 정책 :
정보분석
• 자연과학자 , 사회과학자처럼 객관적
몰가치적으로 분석하고 가치판단은 그 다음
문제
• 보수 , 진보 , 매파 , 비둘기파 시각도 끌어안는
균형감각 , 중요자세 필요
• 자기 관점 , 자기 이념에서 보려는 경직적 거울
이미지 탈피
• 진실추구 , 진실만을 서술하고 말하며 축적된
첩보와 자료의 객관적 분석
정보분석
• 정보 보고서 종류를 로웬탈은 장기예측정보 (l
ong-term trends) 와 전술적 운용 , 쟁점정보
(tactical operational issues) 로 분류 , 전술
운용정보는 현용정보 (current intelligence)
로서 위기처리정보와 통상정보 (normal intell
igence) 로 나눔
• 정책가가 요구한 특정 정보를 포함 주변
연관정보 제공으로 정책결정자가 나무와 숲을
볼 수 있게
정보분석
• 정치정보 (politicized intelligence) 배격
• 정책가 ( 대통령 , 각료 ) 와 정보공동체간의
관계는 진실을 추구하는 정보공공재화 (Public
goods) 를 국가안전보장을 위하여 공존체제
유지
• 테러 , 자연 재앙 , 금융위기 , 사이버 정보전
등 기계적 분리주의에서 상호 수렴 , 긴밀한
협업 (collaboration) 관계로 paradigm 변경
정보 배포
• 정보의 최종 수요자인 정보요구자에게
적시에 전달
• 부족 부분 다시 요구 : 순환과정 (feedback)
• 어떤 사람에게 어느 정도 분량으로 , 얼마나
신속하게 , 어떤 형태로…
– 비밀 분류로
• Ⅰ, Ⅱ, Ⅲ 급 및 대외비
– 구두 및 브리핑 , 기타 일일 , 주별 등
첩보수집 ( 국가 정보 활동론 )
1. 첩보수집의 개념
– 구약성서 민수기
– 손자병법 용간편
– 마키아벨리 군주론 : 군주는 항상 조언을 잘
들어야 하고 정보와 의견을 구해야 한다 .
– 우선순위 (PNIO)
– 첩보수집의 종류 : 인간정보 , 기술정보 ,
공개정보
첩보수집
2. 첩보수집 계획 수립
– 예산 확보 , 수집체계와 수집방법을 선택
– 인간정보 수집을 위해서 : 첩보원 물색 , 훈련 ,
목표에 접근 등 시간 비용
– 기술정보 수집을 위해서 :
– 시너지 효과 : 인간 + 기술
• 2011. 5 월 오사마 빈 라덴 제거 공작
첩보수집
3. 첩보수집의 우선순위
– 첩보원의 숫자 한정 , 수집기술체계 부족하거나
불완전
– 국가정보목표 우선순위 결정 (Priority of Nation
al Intelligence Objectives)
– 국가정보원장이 작성
– 정보 분석 기관 참여가 필수적
첩보수집
4. 첩보수집의 출처
– 공개출처 (Overt source, Open source)
– 비공개 ( 비밀 ) 출처
• 정보기관의 주 임무
• Allen Dulles : 필요한 첩보의 20% 정도는
비밀수집이 필요하지만 , 80% 의 자료는 공개되어
있음 ( 공개출처의 중요성 강조 )
• 탈냉전 이후 세계화 , 민주화 , 정보화의 흐름
• 인터넷의 확산
첩보수집
• 비공개출처 첩보 수집이 불가피한 이유
( 미국 의회 1996 년 보고서 )

1) 외부에서 자국에 접근 못하도록 차단


2) 적대행위 계획 국가들은 의도 숨김
3) 세부적인 군사능력 및 군사력 증강계획 비공개
4) 테러 , 마약거래 , 스파이 활동은 비밀스럽게
진행
인간정보 수집
1. 인간정보 수집의 주체
1) 정보관 (IO : Intelligence Officer)
– 5 단계의 첩보 운용과정
① 첩보원 물색단계
② 평가단계
③ 모집단계
④ 관리단계
⑤ 해고단계
첩보수집
• 공직가장
– 외교관
– 상주대사제도 : 13 세기 경 이탈리아 도시국가
사이에서 시작 , 15 세기 경 전 유럽 , 오늘날
대부분 국가
• 비공직가장
– 사업가 , 언론인 , 여행가 등
• 백색정보관 / 흑색정보관
첩보수집
• 합법정보관 / 비합법정보관으로 분류하기도
– 일본 :
– 중국 :
• 탈냉전 이후 연락관 (Liaison officer) 파견이
대세
– 세계화 , 정보화 , 테러 , 마약 , 국제범죄 ,
사이버 범죄 등 국가 간 정보협력 필요성 증대
첩보수집
2) 첩보원 (agent) 과 협조자 (freelance agent,

walk-in)
• 첩보원 : 정보관과 계약관계를 맺고 출처에
접근하여 첩보를 수집하여 정보관에게 전달
– 동기
• 1930 년대 : 이념적 동기 ( 케임브리지 5 인방 )
• 1970 년대 이후 : 금전적 동기 ( 구 소련의 금전 살포 )
• 복수심
첩보수집
– 첩보원 협조 방법
• 미인계
• 약점 조성 및 협박
• 협조자 (freelancer, walk-in)
– Freelancer : 금전적 보상 , walk-in : 자발적으로
외국공관 찾아와
– 배신할 소지 및 기만 허위정보 여부 판단
– 스파이 , 공작원 , 첩보원 , 간첩 , 첩자 , 간자 ,
밀정 , 제 5 열 등 용어 사용
– 손자의 용간편 :
첩보수집
2. 인간정보 수집절차
1) 수집요구
– 국가정보목표 우선순위 (PNIO)
– 첩보기본요소 (EEI)
– 별도정보요청 (OIR : Other Intelligence Requir
ement)
– 특별첩보요청 (SRI : Special Requirement for I
nformation)
첩보수집
– 대외에 노출 시 중대한 국가안보에 영향 : 수집요구
시는 암호화한 통신망 이용
• 노출사례
– 영국의 이중스파이 포포프 (Dusko Popov)
– 제 2 차 대전당시 , 독일의 정보관 , 영국으로 전향
이중 스파이 . 진주만 공격 4 개월 전에 미국에
입국 , 연합국 일본의 요구로 하와이 진주만 지역
항구 , 수심 , 잠수함 기지 , 무기저장소 등 파악
보고
– 영국의 정보기관이 미국 후버국장에게 통보
첩보수집
2) 수집계획
– 연간 , 월간 , 주간 수집계획
– 특별 수집계획
– 정보수요 , 요구사항 , 수집사항 , 여건개선책 ,
수집방법 , 예상 문제점과 대책 , 보고방법 ,
보고시기 등이 포함
– 목표분석 선행
• 수집대상의 기본사항 , 최근 동향 등
첩보수집
3) 수집활동
– 인간정보 수집활동 시 출처를 접촉하기 위하여
준비활동 , 접촉활동 , 첩보획득 활동
– 상대국의 끊임 없는 감시 , 관찰활동에 유의
– 비밀리에 ( 합법 , 불법 포함 합목적성 강함 )
– 전문가 양성 ( 미국은 약 7 년 )
– 특정한 지역의 지형 , 시설물 확인하는 것도 포함
( 공개출처 정보 , 비공개 출처 정보 활용 )
첩보수집
4) 첩보 보고
– 문서가 일반적
– 보안에 유의
– 암호화 , 직접 인편 활용 , 외교행랑
– 적시성
– 입수한 내용 그대로 객관성 유지
– 정보분석과 달리 검증 , 종합 , 평가는 불필요
첩보수집
3. 인간정보수집 보안수단
– 신분보안을 위해 가장 (cover) 필요
– 비밀연락 수단 강구 , 신호 사용 .
– 첩보조직 보호를 위해 차단 (cutout) 과 부분화
조치 (compartmentation)
– 공직 가장 , 비공직 가장
– 인원회합 (personal meeting) / 비인원연락 (im
personal meeting)
첩보수집
– 회합 시 안전가옥 활용
– 비인원연락의 수단
• 수수자 (live drop)
• 무인포스트 (dead drop)
• 편의주소 관리인 (accommodation address custodian)
• 드보크 (debok)
• 카토스 (car toss)
• 풋토스 (foot toss)
• 브러시 패스 (brush pass)
• 차단 (cutout)
첩보수집
4. 인간정보수집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상대방의 의도와 생각을 파악 ( 상대국의 전략적
의도와 정책추진 방향 , 아직 구체화 되지 않은
계획 등 )
– 기술정보수집에 비해 저비용
• 단점
– 수집된 첩보의 진위여부 확인 곤란 ( 과장 , 왜곡 ,
수정 , 재활용 등 ) : 월남전 시 CIA 운영 첩보원
첩보수집
– 정보관과 첩보원 사이 신뢰관계는 항상 파탄
가능성 존재 ( 기만 , 이중공작원 )
– 대상국의 보안체계가 강한 경우 출처에 접근하기
곤란
– 임무 종료 후 계속 정치적 , 금전적 요구 . 기타
비밀활동 공개하여 정보기관이나 정부의 입장을
곤란하게 하고 외교문제로 비화우려
– 손자 : “ 총명한 군주와 현명한 장군만이 가장
뛰어난 지혜를 가진 자를 간자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 명군賢將 能以上智爲間者 )
기술정보 수집
1. 신호정보 (SIGINT)
– 신호의 종류에 따라 통신정보수집 , 원격측정정보수집 ,
전자정보수집으로 구별
– 통신정보 (COMMINT)
– 전화 , 전신 , 텔렉스 , 컴퓨터 , 팩시밀리 등 각종
전기적 통신신호를 수집
– 제 1 차 대전을 전후하여 상대방 군사통신 감청 .
• 영국의 독일 해저 cable 파괴 , 무선통신 감청
• 영국의 독일 짐머만 전문 해독
• 미국의 2 차 대전시 일본 암호통신체제 (purple) 을 해독 ,
미드웨이 해전계획 파악 , 일본 전함 격파
기술정보 수집
– 컴퓨터 증가에 따른 정보 수집
• 키워드 검색 방법
– 원격측정정보 (TELINT : Telemetry Intelligence)
• 미사일과 같은 실험장비와 지상기지 간에 이루어지는
교신내용 수집 . 언어가 아니라 센서가 송신하는 다양한 신
호 . 실험장비의 속도 , 부품별 온도 , 연료유출 속도 , 방사능
유출량 등 분석
– 전자정보 (ELINT : Electronic Intelligence)
• 외국 군사시설이나 장비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 등을 탐지
수집 , 외국기기신호정보 (FISINT : Foreign Instrumentatio
n Signals Intelligence) 라고도 함 . 함정 항공기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 레이더 신호 등 수집
기술정보 수집
2. 지리공간정보 (GEOINT)
– 지리공간정보 (GEOINT : Geospatial Intelligenc
e) 는 이전에는 영상정보 (IMINT : Imagery Int)
수집 , 그 이전에는 사진정보 (PHOTINT : Photo
Int) 수집이라고 하였음 .
– 광학적 수단 또는 전자적 수단으로 사람 또는
물체의 모습을 재생 .
– 인공위성 , 항공기 , 사람 등이 수집수단
기술정보 수집
– 제 2 차 대전 중 B-17, B-24 등 활용 항공사진 촬영
– 오늘날 U-2, SR-71, RC-135 등 무인 항공기 사용
– 열 이용한 적외선 수집체계 , 구름 투시 레이더
수집체계 , 분광분석을 통한 다중분광영상정보 ,
초미세 분광영상정보 수집체계로 발전
– 공간해상도 : 수십 cm 까지 발달
– 훈련된 전문 판독가 필요 . 자동변화추출
프로그램으로 오류 극복 .
– 기만정보에 유의 필요
기술정보 수집
3. 징후계측정보 (MASINT)
• 징후계측정보 (Measurement and Signatures Int)
수집은 대량살상 무기 개발 , 화학무기 개발 , 군비통제 ,
환경오염 , 마약제조 등과 관련된 활동을 감시 , 통제
– 전자광학 분야
– 지구물리학 분야
– 물질 분야
– 핵 방사능 분야
– 레이더 분야
– 무선 주파수 분야
기술정보 수집
4. 기술정보수집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정보관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 관한 첩보를 원거리에서
쉽게 수집
– 단시간 내에 수집 목표에 접근 가능
• 단점
– 막대한 비용
– 보안이 강한 군사시설 등에 접근 필요 및 용이
– 필요한 첩보 추출의 어려움 : 밀과왕겨 (Wheat versus chaff)
– 지하에 건설 시 수집 어려움 : 이라크 고속도로
공개출처 정보 수집
1. 의의
– 공개출처정보 (OSINT) 수집은 공개된 출처에서 첩보를
입수하는 활동
2. 유형
1) 언론 미디어로서 라디오 , TV, 신문 , 잡지 , 인터넷 기반
언론매체
2) 인터넷 기반의 SNS, blogs, 동영상 공유 사이트
3) 공공자료로서 각종 정부보고서 , 예산이나 인사구조와
같은 공식 통계 , 청문회 자료 , 법률안 토의 자료 ,
언론배포 자료 , 각종 연설문 , 환경평가자료 , 행정기관
발표 자료
공개출처 정보 수집
4) 전문가 , 학자의 연구 , 학술자료로서 컨퍼런스
자료 , 세미나 자료 , 연구논문 , 직종별 전문협
회 자료 , 과학 기술 전문보고서 자료
5) 기술정보적 자료로서 상업위성으로부터 수집
한 영상 , 웹사이트 분석결과 ( 방문자 수 , 빈도
조사 등 ), 민간에서 측정한 지구물리학 관련
자료 ( 지진강도 측정 )
6) 공개적인 방법으로 정부관계자 , 외교관 , 군인 ,
학자 , 전문가 , 사업가 , 정치망명자 , 피난민 등
을 면담하여 입수한 자료
공개출처 정보 수집
– 미국 1941 년 해외방송모니터링서비스를
설립하여 제 2 차 대전 기간 동안 외국방송 청취
– 지금까지는 전문 수집관 , 처리 담당관 , 개발
담당관 등이 존재하지 않았음
– 장점
• 접근이 편리 , 다양한 출처로 기만과 조작이 어렵다 .
• 인간정보와 기술정보의 수집 방향 제시
• 비밀첩보의 해석과 평가에 유용
– 단점 : 양이 과다 . 시간과 비용 과다
첩보수집의 과제와 전망
• 과거 냉전 시대
• 냉전 종식 후의 시대상황 변화
• 우리나라의 남북한 분단 상황
• 특히 북한의 폐쇄성 , 고립화
• 에너지 , 경제 , 자원 , 환경 등 범세계적
문제에 있어서 보다 전략적 사고로 접근 필요
• 공개출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필요
정보분석
1. 정보분석의 개념
– 국가적 현안해결을 위해 수집된 첩보를 분석하여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앞으로의 전망과 파급영향을
예측하며 필요한 대응방안을 강구하는 활동
– 단계
• 수집된 첩보를 통해 현안문제와 관련된 사실관계를 파악
• 파악된 사실관계를 기초로 앞으로의 전개방향을
전망하고 파급영향을 예측하며 필요한 대응방안을 강구
정보보고서 사례 ( 암호화 )
• 임시정부 이승만에게 보낸 전문
• “ 래년에는 세월이 좋아서 삼사월 장장일에 남산
위에 이리저리 배회하는 안목이 종남산 사방에 좀
갈가 . 우리는 심상히 객중에 해를 보내기로
종사하다가 늙고 말지니 진실로 가통 가련한
사정이라 . 이러하다가 공 업시 죽고 말가오

의미 : 래월 3 일에 배목사가 상해로 가니 통정
하시오 .
정보분석
2. 정보분석의 목적
– 국가적 현안문제에 대한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지식을 생산하기 위한 것 .
– Sherman Kent :
• 첫째 , 생존경쟁이 치열한 국제사회에서 적극적으로
국가번영을 이룩하기 위한 정책
• 둘째 , 자국의 번영과 발전에 적대적 태도를 가진
국가에 대한 방어적 정책
정보분석
• Beard : 국가이익과 공공이익으로 구분
• 국가이익은 대외정책 기준
• 공공이익은 대내정책 기준 제시
• 국가이익의 우선순위 결정
– 정책결정자의 판단 몫
정보분석
• 뉴에터라인은
– 사활적 이익 : 국가의 존립을 위협하는 사태와
관련된 것으로서 국가간 전쟁 등
– 핵심적 이익 : 국가의 안녕질서 , 경제적 기반 등에
치명적 손실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상황과 관련된

– 중요한 이익 : 적절하게 대응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심각한 손실이 예상되는 것
– 지엽적 이익 : 방치하더라도 비교적 적은 손실만이
예상되는 것
정보분석 부서와 정보분석관
1. 정보분석 부서
– 1941 년 미국 Franklin Roosevelt 대통령이
도노반을 정보조정관에 임명하면서 시작
– 미국 정보분석 담당기구 : CIA 정보분석국 ,
국방부의 국방정보국 등
– 고려하여야 할 사항
• 경쟁적 분석 : 중복된 업부수행으로 국가장원 낭비 ,
의견 틀릴 시 정확한 판단 곤란
• 협조적 분석 : 타협가능성 , 우수인재 파견 꺼려
정보분석 부서와 정보분석관
• 정보분석 부서 조직 원칙
– 지역 기준 방법 : 미주지역 , 아시아지역…
– 요소 기준 방법 : 정치 , 경제 , 군사…
• 정보분석의 질 향상 요소
– 보직 , 경력 관리 방법 : 빈번한 부서 이동 자제
– 승진 등 운용 : 경력보다는 실적과 능력 위주로
정보분석 부서와 정보분석관
2. 정보분석관
- 필요한 3 가지 소양 -
1) 국가이익과 이것을 구체화하는 국가정책에
대한 올바른 이해 : 정보의 정치화 방지 (
국가이익에 대한 국민들의 시각 다를 수 ),
정보의 객관성
2) 담당업무에 대한 요소별 또는 지역별 심층
전문지식과 분서기법의 숙달 필요
정보분석 부서와 정보분석관
3) 숙달된 보고서 작성 기술 필요
– 대부분 문서로 보고
– 정책결정자의 바쁜 일정 고려 간략하고 명확한
보고서 필요
– 정책결정자가 최소한의 노력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
정보분석의 절차
1. 분석과제 정의
– 정보분석이 필요한 이유와 정보요구의 배경을 파악
– 정보분석의 궁극적 목적 : 국가이익 증진
– 정책결정자가 요구하는 것이 무엇이고 왜
요구하는지를 검토
– 즉 , 상황파악 , 사태의 파급영향 분석 , 미래에
대한 예측 , 가능한 대안제시 등
• 적시성이 중요하므로 제한된 시간에 효율적 정보분석을
위해서는 우선 처리해야 할 중요사항과 분석범위를
사전에 정의해 두는 것이 바람직
정보분석의 절차
3. 가설설정
– 존재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고려하여 가설을
설정 .
– Brainstorming 같은 방법 활용 바람직
– 가설은 검증을 거치지 않은 추측에 의한 명제로서
분석과제를 판단하고 평가하는 기초자료
– 불확실성이 높거나 중요한 가설일수록 많은 가설
검증 필요
– 가설의 수는 통제 가능한 수준으로 축소 필요
정보분석의 절차
3. 첩보수집
– 분석과제에 대한 가설이 설정되었으면 검증할 수
있는 첩보 수집
– 수집 방법은 첩보수집 요청 , 처리기관에
첩보지원요청 , 전문가와 접촉 자료 입수 , 의견
청취 , 외국언론 등의 데이터베이스 활용
– 모든 가설을 검증할 수 있도록 충분한 첩보 수집
정보분석의 절차
– 수집된 첩보에 대해서는 내용분석에 앞서 신뢰도
평가가 우선
– 어떤 출처에서 입수 , 누가 작성 , 작성목적은
무엇이며 내용에 오류 모순 여부 판단
– 특히 기만정보에 유의
– Anchoring effect 고려
정보분석의 절차
4. 가설 검증
– 가장 유력하다고 생각되는 가설만을 집중적으로
검증해서는 안됨
– 즉 어떤 증거가 어떤 가설을 충족시키는가
보다는 어떤 증거가 어떤 가설과 상충되고
배치되는가를 중점 검토
– 분석관의 논리적 추론의 객관화 필요 ( 인지적
편견 배제 )
정보분석의 절차
5. 결론도출
– 증거자료와 배치되는 가설을 제외하는 방법으로
검증을 실시 , 배치되는 증거가 가장 적은 가설을
가장 유력한 가설로 검토
– 가설 일람표 작성 , 판단 이유와 뒷받침하는 증거
기록
– 판단은 항상 잠정적이라는 점 고려
– 새로인 입수되는 첩보가 가설판단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검토하여야
정보분석 기법
1. 진단기법 (Diagnostic Techniques)
1) 핵심가정 점검 (Key Assumptions Check)
2) 변화징후 검토 (Indicators of Change)
3) 경쟁가설 분석 (Analysis of Competing Hypothese
s)
2. 검증기법 (Contrarian Techniques)
4) 악마의 변론 (Devil’s Advocacy)
5) A 팀 .B 팀 분석 (Team A/Team B)
6) 고위험 , 저확률 분석 (High-Impact/Low-Probability
Analysis)
정보분석 기법
3. 아이디어 창출기법 (Imaginative Thinking
Techniques)
1)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
2) 홍팀 분석 (Red Team Analysis)
3) 대안 미래 분석 (Alternative Future Analysis)
4. 기타
- 베이지안 확률론 (bayesian theorem) : 사전적
확률응 이용하여 새로운 정보에 따라 사후적
확률을 계산하는 연산법칙
– 의사결정 나무 (Decision tree) : 상황발생점과
가지로 구성
– 인과고리기법 (causal looping method) :
분석의 대상이 되는 사실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변수를 최대한 도출하고 이
관계를 인과관계에 따라 도식화함으로써 향후
추세까지 전망
– 델파이 기법 (Delpi technique)
– 내용분석 기법 (content analysis)
정보보고서의 작성
• 정책결정자에게 배포
• 보고수단 : 구두보고 , 영상자료 등
특수매체보고 , 서면 보고
• 보고서만 배포 , 전송 / 제출 및 브리핑
• 준수사항 : 적시성 , 적합성 , 명료성 ,
간결성 , 완전성 , 객관성 , 일관성
– 적시성 :
– 적합성 :
정보보고서의 작성
– 명료성 :
– 간결성 :
– 정확성과 완전성 :
– 객관성 :
– 일관성 :
• 분류
– 보고시기 기준 : 정기보고와 수시보고
• 정기보고 – 일간보고서 , 주간보고서 , 월간보고서 ,
연차보고서 등
정보보고서의 작성
• 시간적 특성에 따라 (Sherman Kent)
– 기본정보 (basic intelligence)
– 현용정보 (current intelligence)
– 판단정보 (estimate intelligence)

• 두괄식 표현
• 제목 선정 : 내용을 알 수 있도록
• 수동형보다 능동형 문장
정보분석 보고 사례 1
• 김영삼 : 구두보고 선호 ( 환율 , 경제위기 등
관련 정책 -
• 김대중 : 햇볕정책관련 ( 지원금 등이
산업개발에 사용되는지 확인해야 된다고
진언 -
• 노무현 : 보고 안 받음 ( 비서실장이 대신… )
• 박정희 : 실증 사례 중심 . 말미에 추가 보고
요청
• 전두환 : 보안사 우선 , 정보기구 경쟁 유도
정보분석 보고 사례 2
• Clinton 대통령 집권 시 Christopher 국무장관 , P
erry 국방장관 , Tennet 중앙정보부장 , Shalikashv
ili 합참의장이 북한 핵무기가 의제로 떠올랐을 때
• …
• 클린턴 : “ 그럼 , 크리스토퍼 국무장관 의견대로
일단 외교적 협상 전술을 구사합시다”라고 결론
짓자
• 페리 : “God damn how do you know about No
rth Korea?” 라고 말하며 반박
정보분석 보고 사례 2
• 클린턴 : “For Christ Sake, I know about North
Korea as much as you do” 하고 집무실로 퇴장
후 한참 후 웃으며 입장하면서 중앙정보부장에게
“당신 같으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어요 ?”
라고 묻자
• 테넷 : “Once you make a decision and bring
a consensus, We will only dig out all the info
rmation available and bring the intelligence
we produce right here in front of you.”
정보분석 보고 사례 2
• 그 후 클린턴이 합참의장에게 군사작전
계획은 어떻게 되어가느냐고 물으니…
• 합참의장 : “Once you decide and order u
s, we are ready to attack suspicious area
of youngbyun, in accordance with our op
erational plan, sir”
정보분석의 과제와 전망
• 20 세기가 수집의 시대 , 21 세기는 분석의
시대 (Anthony Campbell)
• 정보분석의 실패를 줄이고 유용한 정보를
생산하는 분석구조를 구축해야
1) 정보 분석관에 대한 전문직업 교육을 강화
2) 심층 전문지식을 개발하기 위해 외부 교육기관 ,
연구소와의 교류확대가 필요
3) 정보분석 조직의 리더쉽 변화가 필요
분석사례 :(2008.1-2009.12)
세계와 한국의 미래예측 2020
 국제정치 예측
– 정치 , 경제 , 군사 , 사회문화 등 총체적인
부문에서 세계질서 견인차인 힘의 이동 시작
– 이동하는 힘과 권력의 실체 변이 : From Military
Security to Economic Interest
– 주된 이동목표와 경로 : 미국에서 중국 ,
서구에서 아시아 , 특히 BRICS 로 이어짐 . 특히
유럽과 아시아권 연합으로 세계의 견인차 역할을
예상하는 견해도 있음
분석사례 :
세계와 한국의 미래예측 2020
– 힘의 이동은 2008 년 이후 미국 비우량 주택채권에서
비롯한 미국 금융 , 경제위기 이후로 더욱 가속화 될
전망 : Barack Obama 대통령이 향후 3 년 내
경기진작에 실패하면 4 년 후 대통령 재집권이 불가능
할 것이라고 언급한 내용은 민주당 대통령 실각에 이어
미국의 세계 지도력 상실로 이어질 것이라는 위기의식
– 모든 나라는 당분간 자국의 경제력 회복에 전력을
투구할 것이며 미국은 그런 지평에서 경제협력과 FTA
협상에 냉엄한 시장경제 논리로 접근 할 것임 . 세계
주요 국가들이 경제적 보호주의로 전환 가능성 커짐
분석사례 :
세계와 한국의 미래예측 2020
– 분쟁지역 개입과 관련하여 미국 일변도의
민주전사 (crusade of democracy, pax America
na) 역할에서 다국적군의 일원으로 참여하는
저비용군사비 지출의 실용노선을 택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음 . 구체적으로 리비아 시민군
대처에서 표출되고 있음 .
 세계 경제 , 산업 , 노동 예측
– 세계경제 침체라는 부정적 전망이 지속되는
가운데 2025 년 세계 무역 완전 자유화로 경제의
세계화가 완결될 것임
분석사례 :
세계와 한국의 미래예측 2020
– 녹색산업 , 대체에너지 , IT-BT-NT 융합산업 ,
로봇산업에서 주도권을 잡는 국가 , 지역권이 21
세기 이후 경제 강국이 될 것으로 봄
– 미래는 인재전쟁의 시대로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 있어서 능력 있는 핵심 인재 확보가
중요한 관건이 될 것임
– 기업 종업원의 수평적 경영공동체의식 , 새로운
조직 리더쉽 혁신과 노사개념을 초월한 상호존
중 , 발전의 co-evolution working culture 등
미래 기업 , 공공조직의 혁신 필요
분석사례 :
세계와 한국의 미래예측 2020
 사회 , 문화 예측
– 미래사회 , 문화 변화 예측은 불특정 다수에 대한
테러로 사회불안 확대 , 사회의 도덕실추 ,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과잉정보로 사회 위기 가속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사회문제 확대 우려
– 과거 위기는 한 시기에 존재하던 것이 미래에는 위기가
상존하게 됨
– 선진형 국가의 인구감소와 인구 노령화에 따른 고도
기술인력 부족과 부익부 빈익빈 심화에 따른 중산층
소멸 , 새로운 가족개념 등장 등 인구학적 특징들이
세계 정치 , 문화 , 사회에 중요한 영향을 주게 됨
분석사례 :
세계와 한국의 미래예측 2020
( 한반도 예측 주요 내용 )
 정치안보
– 한반도에 대한 세계 주요 국가들의 정부와 기업
지도자들의 주된 관심은 정치안보와 남북한 관계
– 남북한 통일은 소규모 군사갈등과 충돌 속에
남북 연합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
– 남북한 통일 시기는 2020 년 전후로 전망
분석사례 :
세계와 한국의 미래예측 2020
– 김정일 사망이 남북관계 , 통일에 새로운
관계형성 기점이 되며 , 김정일 사망 시기에 대 9
한 예측은 75% 의 응답자가 2015 년 전후로
보고 있음 ( 실제 : 2011. 12. 19. MB)
– 국제관계를 보면 미국 , 일본 , 중국과는 갈등도
있으나 종래에는 경제 안보면에서 우호적 관계를
유지 예측
– 권력구조 변화에 목표를 둔 헌법 개정에 대한
예측과 차기 대통령으로 여성 대통령을 예측하는
견해도 있음
분석사례 :
세계와 한국의 미래예측 2020
 경제 , 산업 , 노동
– 2020 년에는 세계 경제 5 위권에 들면서 2025
년에 1 인당 GDP 5 만 달러 국가가 될 것으로
예측
– 기술한국으로 세계의 지도국 , 아시아의
정치경제 주도국으로서 한국 미래에 낙관적인
전망 개진
 사회 , 문화
– 계층간 , 도농간 , 지역간 갈등 심화 예고
분석사례 :
세계와 한국의 미래예측 2020
– 여성의 산업계 CEO 진출이 두드러지고 , 특히
문화 산업에는 여성 CEO 가 8 할을 차지할
것이라는 예측 존재
– 노후생활을 위한 호주 , 동남아 등으로의 해외
이주가 증가하고 , 대신 노동인구의 해외 유입이
증가하여 다문화 사회문제가 한층 심화될 것으로
예상
미국정보위원회 , 국가정보부의
세계예측 2025(2008. 11 작성 )
세계전망 2025 년 보고서 요약
– 2025 년 까지 세계는 기존 강대국과 함께 중국 , 인도 ,
기타 국가로 형성된 단일 다극체제로 변모되고
국가조직이 아닌 기업 , 부족 , 종교집단 , 조직범죄
집단도 가세 예상 . 그리하여 2025 년이 되면 기존
국가들로 존속해온 하나의 국제사회 공동체는
존재하지 않고 , 서구중심 역량은 감소하면서 권력
행사 주체들이 새로운 국제규약을 형성해 나갈 것이고
서구정치경제발전 모델 추구보다는 다른 대안으로
국가자본주의의 형태로써 중국발전모델 등에 매력을
느끼게 됨
미국정보위원회 , 국가정보부의
세계예측 2025(2008. 11 작성 )
– 부와 경제력이 서양에서 동양으로 규모 , 속도 , 진행
방향에서 예상을 뛰어넘는 이동이 지속되고 , 선진국 ,
발전도상국 격차가 줄어들면서 미국은 가장 강력한
개별 국가이긴 하나 영향력은 갈수록 약화 . 몇몇
미국정보위원회
국가는 지속적으로 , 국가정보부의
경제번영에 투자할 것이나 세계
세계예측 2025(2008. 11 작성 )
안정화에도 국력을 모을 것임 . 이 과정에서 러시아
같은 나라는 기존 서구 질서체제에 반기를 들고 ,
미국은 약화되는 경제력 , 군사 안보력으로 국제개입과
국내문제 해결책의 균형점을 찾는데 어려움에 직면 .
그리하여 2025 년 어간은 서구 중심체제에서 불완전한
세계 단일다극체제로 전환하는 과정에 접어들 것임 .
미국정보위원회 , 국가정보부의
세계예측 2025(2008. 11 작성 )
– 브라질 , 러시아 , 인도 , 중국의 경제성장은 지속되어
2040 년 -2050 년이 되면 세계시장에서 차지하는 이들
국가 전체의 GDP 는 G-7 국가의 총량과 맞먹게 됨 .
그리하여 중국은 군사대국으로 , 인도 뉴델리는 세계
다극체제의 한 축이 될 가능성이 있음

– 2025 년이 되면 세계 인구는 12 억 증가로 배가 되어


에너지 , 식량 , 식수 수요가 공급을 빠른 속도로
초과하여 에너지 , 식량 , 식수 해결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 문제해결에는 기존 기술 수준을 뛰어 넘어
완전한 핵심 기술개발이 필수요건으로 등장
미국정보위원회 , 국가정보부의
세계예측 2025(2008. 11 작성 )
– 천연가스 , 석탄 비축 , 다른 대안 모색으로
오일과 가스 의존도는 2050 년이 되면 감소할
것임 . 한편 이 과정에서 오일과 가스 수출국인
이란 , 러시아의 국력은 증강되어 러시아 GDP
는 영국과 프랑스에 근접하나 신 에너지
등장으로 오일과 가스 가격은 하락하여 산유국은
세계와 지역의 역할자로서 영향력 감소
미국정보위원회 , 국가정보부의
세계예측 2025(2008. 11 작성 )
– 앞으로 에너지 , 식량 , 물 문제는 기후변화
가속화와 그 영향을 직접 받는 지역과 연관되며
식량은 인구증가 , 소득증가로 풍요로운 생활 ,
서구식 식단 선호로 2030 년에 식량수요가
공급에 비해 50% 증가 . 21 개 국가는 6 억
정도의 인구증가 , 도시화로 경작지 감소와 물
부족에 고통 . 그리하여 보호무역주의 도래와
세계시장 기능 약화 여부에 따라 자원민족주의
강화로 지구상 힘의 대치 위기 상태 발생 가능
미국정보위원회 , 국가정보부의
세계예측 2025(2008. 11 작성 )
– 젊은 세대가 일자리를 찾지 못하여 조성된
불안요소는 감소할 것이나 , 젊은 세대가 계속
늘어나는 국가도 상당수 되어 중동국가는 급속한
사회변화 속에서 치명적 불안요인으로 등장 .
젊은 세대 일자리 창출이 획기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아프카니스탄 , 나이지리아 , 파키스
탄 , 예멘 등은 불안 요소가 가중되어 국가체제
괴멸도 예상 . 그리하여 인접 러시아 , 중국 ,
인도가 큰 역할을 해야 하지만 중동지역
안정화에 미국역할은 계속 증대될 것임
미국정보위원회 , 국가정보부의
세계예측 2025(2008. 11 작성 )
– 러시아는 시장경제 다변화가 결여된 상황에서
정치세력 다원화로 표출되는 민주화는 미약하고 ,
중국은 중산층이 증가하면서 정치자유화가
표출되고 중화민족주의가 거세질 잠재성 내재
– 테러는 2025 년 경에는 사라질 것으로 내다보며 ,
중동지역에서는 경제성장이 지속되어 젊은 층
고용이 확대되면 테러충동은 사그라질 것임 .
그러나 테러분자가 다양한 테러기술 수단 , 예컨대
화생방무기 가능성은 낮지만 핵무기를 사용하면
대량살상을 초래하여 테러의 전지구화로 심화
미국정보위원회 , 국가정보부의
세계예측 2025(2008. 11 작성 )
– 세계 지역이 핵무장화 위협에 처한 상황에서
이란이 군비경쟁을 가속화 하고 군사국가로
진행하며 이런 핵무기 보유 국가는 그들 나름의
새로운 유대를 조직할 가능성도 있음 . 또한
핵우산 보호아래 저강도 군사 분쟁 , 테러 발생은
예상치 못한 대규모 분쟁과 확전으로 진행
미국정보위원회 , 국가정보부의
세계예측 2025(2008. 11 작성 )
– 중동 , 특히 이라크가 안정되고 , 아랍 - 이스라엘
분쟁이 평화적으로 해결되면 중동지역 전체가
안정권에 들어설 것임 . 중동의 경제성장 ,
이라크 재건 , 이스라엘 - 팔레스타인 분쟁
해결은 강력해진 이란과 협상이 가능하여
중동지역 안정화를 도모하고 세계는 오일과 가스
문제에서 다소 자유로워짐 . 그러나 여러 가상
속에서도 중동지역 불안은 여전히 상존
미국정보위원회 , 국가정보부의
세계예측 2025(2008. 11 작성 )
– 유럽과 일본은 노년층 증가 , 젊은 근로인구 감소로
야기된 경제 , 사회 도전을 극복하게 되고 유럽은
아랍 무슬림 소수 인종을 통합하여 생산 근로층을
확대하고 사회 불안요소를 극복 . 그러나 유럽 ,
일본이 인구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등한시
하면 장기적 국력감퇴 초래
– 강대국이 다자간 공식접근으로 세계 지정학 변화
도구에 대처하는 동안 신흥강국들은 유엔 ,
국제통화기금 같은 기존의 세계기구에
회의적이어서 새로운 제도 수립에 능동적 역할 표출
미국정보위원회 , 국가정보부의
세계예측 2025(2008. 11 작성 )
– 아시아 통합이 강력한 지역기구로 등장하는 동안
나토 등 북대서양기구는 유럽의 군사력약화로
지역문제 해결에 제대로 대처 못하는 난관에
봉착하고 전통적 동맹관계도 약화될 것임
비밀공작
1. 비밀공작의 정의
– 미국 정보공동체 : 자국의 대외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나라의 정치 , 사회 상황 및
사건 등에 영향을 미칠 목적으로 수행하는
정치적 , 경제적 , 군사적 활동과 선전 활동을
포함하는 것
– 조지아대 존슨 교수 : 다른 나라의 문제에
은밀하게 개입하여 자국의 대외정책 목표를
달성하는 것
비밀공작
• 영국 : 특수정치활동 (special political actio
n)
• 러시아 : 적극적 조치 (active measuremen
t)
• 이스라엘 : 특별임무 (special assignment)
• 카터 행정부 : 특수활동 (special activity)
• 미 CIA : 조용한 방안 (quiet option), 제 3
의 방안 (the third option)
※ 제 1 방안 , 제 2 방안
비밀공작
• 국가정보기구의 비밀활동에는 비밀첩보수집활동 ,
방첩활동 , 비밀공작이 모두 포함 .

2. 비밀공작의 특징
– 대외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수단이라는
점에서 여타 비밀활동과 근본적인 차이 . 정책을
집행하는 기능 .
– 공작의 결과가 노출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첩보수집활동과 다름 ( 배후세력이 누구인지 모르게
실행 , 내용은 알려질 수 밖에 없지만 )
비밀공작
– 비밀공작은 국가정보기관만이 수행
• 비밀활동은 정보기관 , 외교활동 , 군사활동
분야에서도 많다 . 하지만 비밀공작은…
• 보안유지와 효율성을 기하기 위해서
• 비밀공작에 필요한 통신체계 및 안가 등의 보안 장비
및 시설을 보유
– 철저한 비노출 , 비밀성 ( 손자병법 모공편 )
• 全國爲上 , 破國次之
• 是故 百戰百勝 , 非善之善者也 ,
不戰而屈人之兵 , 善之善者也
비밀공작의 목적과 필요성
1. 비밀공작의 목적
– 대상국가를 상대로 대외정책의 목적을
공작적으로 달성하려는 활동 -
1) 대상국의 정책결정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한 것 . 즉 공작국가의 이익에 유리한 방향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유도 목적
• 대상국의 정책결정 주체 , 국회의원 , 여론주도층 ,
언론기관 , 시민단체 및 이익단체 등에 대한 영향공작
및 지원공작
비밀공작의 목적과 필요성
2) 대상국의 정치체제 전환을 모색
– 권력의 핵심세력을 대체세력으로 전환시켜 정치체제를
변화
– 선전공작 , 테러공작 , 전복공작 , 준군사공작 등이
정치공작과 연계되어 수행
• 스미스 (6.25 당시 미 중앙정보부장 ) : “ 정보부의 비밀활동은
강간을 제외한 모든 범죄적 행위마저 저지른다”
3) 전시에 적국의 전략 및 전술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수행
– 적국 지휘부의 전략과 전술을 교란하여 전쟁의 국면을
유리하게 전개 . 기만공작 , 위장공작 , 심리공작 등
비밀공작의 목적과 필요성
2. 비밀공작의 필요성
– 더러운 기술 (dirty trick), 더러운 전쟁 (dirty wa
r) 으로 표현
– 비합법적
– 노출 시 위험부담
– 매수 , 기만 , 납치 , 폭력 , 살해 등 범죄수단이
동원
비밀공작의 목적과 필요성
• 장점
– 비교적 신속하면서도 조용한 가운데 목적 달성
• 군사작전보다는 느리고 외교 수단보다는 빠르다
– 비용이 적게 든다

• 그럴듯한 부인 가능성 (plausible deniability) 을


달성할 수 있는지 여부에 중심
– 1960. 5. 21. 아히히만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검거 후 텔아비브로 후송 :
정보기관 개입이 아니고 분노한 유대인의 자발적 행동
비밀공작의 유형
• Shulsky(5) : 우호정부에 대한 비밀지원 ,
외국정부의 인식에 대한 영향 , 외국의 사회인식에
대한 영향 , 우호적 정치세력에 대한 지원 , 정치적
사태에 폭력수단을 통한 영향력 행사
• Jhonson(4) : 선전공작 (propaganda), 정치공작
(political covert action), 경제공작 (economic co
vert action), 준군사공작 (paramilitary covert acti
on)
• Lowenthal(5) : 선전공작 , 정치공작 , 경제공작 ,
쿠데타공작 , 준군사공작
비밀공작의 유형
1. 선전공작 (Propaganda)
– 라디오 , 신문 , 전단 살포 , 인터넷 등을 통해 조작된
정보를 흘려서 대상국내 여론을 자국에 유리하도록
조종하려는 비밀활동
– 미 CIA 가 수행한 전체공작 중 40% 차지
– 정치공작 (30%), 준군사공작 (20%), 경제공작 (10%)
– 언론사 매수 , 광고 , 직접 설립하기도
– 역류 (blowback) 라는 부작용 발생 가능성
※ 선전선동공작 : 제갈량 “用兵之道 , 功心爲上 , 功城爲
下”
비밀공작의 유형
1) 백색 선전 (white propaganda)
– 출처를 정확히 밝히는 방식
– 신뢰도 향상
2) 흑색 선전 (black propaganda)
– 허위정보 , 폭로 정보 제공 시 활용
– 설득력 높이기 위해
– 외교적 이유
3) 회색 선전 (grey propaganda)
– 미 CIA 운영 , Radio Free Europe(1949), Radio Libert
y(1951)
비밀공작의 유형
2. 정치공작 (political operation)
– 특정 국가의 내부 정세를 자국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바꾸기 위한 공작으로서 주로 자국에
우호적인 세력에게 비밀리에 재정 지원을 하는
방법
– 특정 후보의 당선 , 장기집권 , 축출 목적
– 정치인 , 정당 , 각 단체 , 종교 지도자 , NGO 등
대상
• 사례 : 1973 년 칠레의 아옌데 대통령 미국이 축출
• 1971 년 미국 엘스버그 박사 뒷조사 ( 베트남 전쟁 )
비밀공작의 유형
• 영향공작
– 대상국가의 특정 정책이 자국에 유리하게
결정되도록 영향을 미치는 데 목적
– 사례 : 1970 년대에 구소련의 KGB 에게 협조한
혐의로 처벌 받은 ‘삐에르 샤를 빠스’ 사건
• 위험부담 커 신중 : 자국의 개입을 숨기는
것이 긴요
– 차단장치 (cut-out) 개입
비밀공작의 유형
3. 기만공작
– 국가가 자신의 능력이나 의도에 관해서 현재적
또는 잠재적인 적국에 그릇된 인식을 주기 위한
일체의 책략을 총칭
– 이중공작원 이용 역용공작
– 전시에 빈번히 행해짐
– 사례
• 1955 년 소련의 전술 핵무기 보유 과장하기 위해
경축행사에서 폭격기 과시…
비밀공작의 유형
4. 경제공작 (economic operation)
– 대상국의 경제 기반을 붕괴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는 비밀활동
– 경제적 혼란과 사회 불안 야기 , 정치적 불만 또는
폭동 유발
– 수법 : 파업 유도 , 공급망 폭파 , 위조지폐 발행

• 1970 년대 초 칠레의 아옌더 정부 붕괴…
• 레이건 정부의 별들의 전쟁 계획 ‘전략방위구상 (Stra
tegic Defence Initiative)… 소련붕괴
비밀공작의 유형
5. 준군사공작 (paramilitary operation)
– 규모가 크고 가장 폭력적이며 위험한 공작으로서
적에게 직접적인 타격을 가할 목적으로 대규모
무장단체에게 장비를 지원하거나 이들을
훈련시키는 것
– 보안유지 어렵고 , 정치적 위험부담
• 1980 년대 미국의 아프칸 반군에 대한 지원공작… (
성공 )
• 1961 년 미 , 쿠바 피그만 침공사건… ( 실패 )
비밀공작의 유형
– 암살공작도 포함
– 집행공작 (executive action), 극단적인 편견의
종식 (terminating with extreme prejudice),
무력화 (neutralize) 등과 같은 완곡한 표현
• 1961-1965 : 쿠바 카스트로 암살 시도
• 2003 년 알카에다 암살 공작
• 2011. 4. 29. 오사마 빈 라덴 제거 작전 ( 해군
특수부대 , 스텔스 기능의 블랙호크 등 헬기 6 대로 3
8 분만에 작전 종료
비밀공작의 결정 및 수행
1. 비밀공작의 계획수립
1) 정당성 검토
– 정책결정자가 외교나 군사적 수단 등 다른 수단으로는
성취할 수 없는 특별한 정책적 목적을 완수하기 위해
선택될 때 정당성 인정
– 외교적 반발이나 국제적인 비난여론 촉발하지 않으면서
자국에 필요한 결과 달성
– 정책입안자들과 공작계획 사전 조율
– 국가안보 이익과 목표가 위험에 처해 있음을 명백히
하고 , 최선의 수단 , 실행 가능한 수단임을 확신시켜야
비밀공작의 결정 및 수행
2) 공작수행능력 검토
– 공작기획능력 , 공작여건개척능력 , 공작원 확보능
력 , 예산의 확보능력 , 공작지원능력 등이 포함
– 인적요인 , 물적요인 , 기타 추진상의 미비점과
제약요인을 사전에 철저 파악
3) 비밀공작의 위험도 점검
– 노출에 따른 위험도
– 비밀공작의 실패에 따른 위험도 : 외교문제 , 국제적
비난 , 국내 정치적 위험 부담 등
비밀공작의 결정 및 수행
4) 유사공작 검토
– 과거 유사사례 검토
– 성공 실패 요인 분석
– 상황변화 등
2. 비밀공작의 결정
– 대통령의 승인 : 반드시 서면 , 비상 시 예외 (48 시간
이내 서면 작성 )
– 의회의 예산승인 및 통제
• 상하 정보위원회에 통보
• 예산 요청 시 1 년간의 비밀공작 활동계획 함께 제출
비밀공작의 결정 및 수행
3. 비밀공작의 수행
– 정보기관이 주도하고 , 담당 공작관이 공작원
활용 수행
– 공작원 포섭이 관건
– 공작원 포섭 절차
• 목표분석 (target analysis) 단계
• 물색 (spotting) 단계
• 조사 (investigation) 단계
비밀공작의 결정 및 수행
• 평가 (assessment) 단계
• 여건조성 (development) 단계
• 모집 (recruitment) 단계
– 설득 , 매수 , 약점 조성을 통한 협박 등 방법
• 설득 : 이념이나 가치관 공유
• 매수 : 정치적 , 경제적 , 사회적 어려운 처지 대상자
포섭 , 정치적 해외망명 주선 , 해외 취업 주선 등
• 약점조성 협박 : 불법행위나 미인계 활용 협박
– 이중공작원 여부 철저 파악
비밀공작의 결정 및 수행
– 임무 수행에 필요한 교육훈련
– 공작원 해고 시
– 공작 추진에 소요되는 시간
– 공작지원체제 구축
– 비밀유지 ( 공작 보안유지 )
– 차단의 원칙에 따라 점조직 형태로 운영
– 관여 인원 최소화
비밀공작의 한계
1. 정당성의 문제
1) 이상주의자
– 주권국가에 대한 내정간섭
– 국제법적으로 불법 ( 유엔헌장 , 국제규범 )
– 득보다 실
– 냉전종식
– 불법 기만 및 부정직한 관행 초래
비밀공작의 한계
2) 현실주의자
– 국가안보를 위해 불가피
– 전쟁을 회피할 차선책으로 오히려 세계평화에
기여
– 국제적 관행
– 외교나 군사적으로 풀 수 없는 현실적 필요
– 수단으로 암살 사용 . 1979 년 이래 미국은
암살을 금지 그러나…
• 쿠바 카스트로 , 칠레 아덴만에 경제적
비밀공작의 한계
2. 위장부인의 문제
– ‘ 그럴듯한 부인 (plausible denial) 의 문제 , 즉
자국의 개입을 그럴듯하게 부인하는 것
– 배후 정체 은폐가 중요 ( 정보기관이 맡는 이유 ).
– 문서 폐기 또는 미작성원칙
– 공작의 규모에 따라 비밀유지 성패
• 1974 년 휴즈 - 라이언법 (Hughes-Ryan Act) 에 의해
위장부인이 어려워짐
• 1980 년 정보감독법에 의거 의회에 보고의무
비밀공작의 한계
3. 결과의 평가문제
– 결과를 평가하는 일반적 기준은 없음
– 특정정권에 의한 정권의 이익이 아니라
국가안보를 위한 거시적인 안목에서 접근해야
• 1953 년 미국과 영국이 비밀공작으로 이란군부를
지원→ 집권세력인 민족주의자 모사덱 수상 실각→
친서방 팔레비 체제 출범→ 26 년의 부패에 염증→ 1
979 호메이니 정권→ 호메이니 반미 표방 : 성공 ,
실패 양분
비밀공작의 과제와 전망
• 냉전 종식 이후 비밀공작이 과연 필요한지에 대한
논란 가열
• 새로운 안보위협에 신속 대처 필요
• James A. Bary(CIA 정보연구센터 부소장 역임 )
의 비밀공작 정당화 조건
– 책임 있는 관련부서의 사전 심의를 거치고 의회
관계자들이 완전히 인지한 가운데 대통령에 의해
명백히 승인
– 비밀공작의 의도와 목표가 명확히 나타나야 하고
합리적이고 정당해야
비밀공작의 과제와 전망
– 목표달성을 위한 다른 효과적인 수단이 없을
때만 추진
– 성공할 수 있다는 적절한 근거가 있어야
– 선택된 수단과 방법들이 공작목표에 부합해야
• 뇌물공여 , 암살 등과 같이 비합법적 방법
•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보안유지 곤란 등
• 그러나 제한되고 , 신중한 방향에서 필요성
상존
방첩
1. 방첩의 개념
– 상대의 정보활동에 대응한다는 개념
– 사전 : 수집 , 분석 , 비밀공작과 함께
정보활동의 4 대 주요 분야 중 하나이며 ,
정보활동의 일환으로 외국의 적대적 정보활동을
무력화시키고 , 간첩행위로부터 정보를 보호하
며 , 전복 또는 파괴활동으로부터 인원 , 장비 ,
시설 , 기록 , 물자 등을 보호하기 위한 제반 활동
방첩
• 미국의 국가안보법 (National Security Act, 1947)
– 방첩업무라 함은 외국정부 , 외국기관 , 외국인 또는
국제적 테러리스트들의 활동에 의하거나 이들을
대신하여 행해지는 활동을 의미한다
• Abram N. Shulsky
– 정보의 비밀화 , 보안 , 대간첩 , 통신 , 위성 등을
이요한 기술적 정보활동에 대한 방어대책 , 기만과
대기만 , 방첩분석 등을 포함하여 “적대
정보기관으로부터 국가를 지키기 위한 제반 활동 또는
그와 관련된 정보”라고 정의
방첩
• 원래 방첩은 대간첩에서부터 비롯된 개념 (counter
espionage)
• 방첩의 개념은 방첩과 관련한 정보 ( 방첩정보 ) 라는
의미와 상대방의 정보활동에 대응하는 활동 (
방첩활동 ) 두 가지 의미로도 사용
• 전통적인 협의의 방첩 + 최근의 국가안보 개념
확대에 따라 보안 , 국가방첩 , 안보수사 , 테러 ,
국제범죄 , 산업보안 , 사이버테러 등에 대한
대응활동을 포함하는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광의의
개념으로 정의
방첩
2. 방첩의 목적과 범위
1) 범위
– 과거 냉전시대 : counter espionage 의 의미
– 탈냉전 이후 세계화 정보화에 따라 범위 확대
• 방첩업무규정 제 3 조 : “ 외국의 정보활동에 대한
정보수집 및 색출 , 외국의 정보활동에 대한 견제 및
차단 , 외국의 정보활동에 대응하기 위한 기법 개발 및
제도 개선 , 다른 방첩기관 및 관계기관에 대한 방첩관련
정보 제공 , 그 밖의 외국의 정보활동으로부터 국가안보
및 국익을 지키기 위한 활동”
방첩
2) 목적
– 과거 : 소극적
• 외국 정보기관의 정보수집 , 공작활동에 대응하여
자국의 안전과 이익을 확보하기 위한 것
– 현대 : 적극적 개념 포함
• 상대국 정보요원을 포섭하여 상대기관의 정보활동을
교란하는 등 공격적 개념까지 포함
– 사례 : 1980 년대 워싱턴 주재 러시아 대사관 땅
밑에 비밀터널을 뚫어 러시아 대사관의 활동
감시 및 감청
보안
1. 보안의 개념
– 개인 , 조직 또는 국가가 그 존립을 확보하거나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찾아
그것을 보호하는 것
– 안보적 측면 : 국가안전보장이나 국가이익과
관련된 인원 , 문서 , 시설 , 지역 , 자재 , 전산 ,
통신 등을 각종 위해 요소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예방 대책
보안
• 우리나라
– 1953 년 휴전이후 군사기밀보호규정과
비밀취급인가규정을 만들면서 태동
– 3 권분립원칙에 따라
• 행정부 : 보안업무규정
• 입법부 : 국회보안업무규정
• 사법부 : 비밀보호규칙
– 국가정보원 : 보안업무 기획 , 조정
보안
• 보안관리 기본워칙
– 예방관리의 원칙
– 관리자 책임의 원칙
• 분류
– 주체에 따라 : 개인 , 기업 , 국가 보안
– 대상에 : 인원 , 문서 , 시설 , 전산 , 통신
– 업무분야에 : 군사 , 공작 , 산업보안
보안
2. 인원보안
– 국가안보나 국가이익 관련업무가 잘 수행되도록
사람을 관리하는 것 .
– 일정한 신분 획득으로 대상이 되는 경우 :
공무원 , 정부관리기업체의 임직원
– 일정한 자격을 획득함으로써 대상이 되는 경우 :
선원 , 항공종사자 , 해외여행자 등
보안
• 인원보안의 수단
1) 신원파악
– 공직자의 신분이나 중요자격 , 허가취득자 등에 대해 신원정보를
사전 파악
2) 동향파악
– 주변환경과 접촉하는 사람 등 관리
3) 보안교육
– 신규임용자나 비밀취급인가자 등 중요보직자 , 퇴직예정자 등에 대한
보안교육
4) 보안조치 ( 보안서약 )
– 신규임용자 , 퇴직예정자 , 해외출입자 , 비밀 또는 중요업무 처리자
등에 대한 심리적 압박
보안
3. 문서보안
– 대상 : 국가기관이나 국가로부터 위임받은 공공단체
등이 공무상 작성하였거나 접수한 모든 문서 , 도화 ,
사진 , 필름 , 지도 , 괘도 , 상황판 , 전자기록 등
1) 국가기밀의 분류 및 개념
– 국가기밀 : 국가의 안전에 대한 중대한 불이익을
피하기 위하여 한정된 인원만이 알 수 있도록
허요되고 다른 국가 또는 집단에 대하여 비밀로 할
사실 , 물건 또는 지식으로서 국가기밀로 분류된
사항 – 형식 불문 ( 비밀 , 대외비 )
보안
• 비밀 : 그 내용이 누설되는 경우 국가안전보장에
유해로운 결과를 초래할 우려가 있는 국가기밀로서
보안업무 규정에 비밀로 분류된 것
–Ⅰ급
• 누설되는 경우 대한민국과 외교관계가 단절되고 전쟁을 유발하며 ,
국가의 방위계획 정보활동 및 국가 방위상 필요 불가결한 과학과
기술의 개발을 위태롭게 하는 등의 우려가 있는 비밀
–Ⅱ급
• 누설되는 경우 국가안전보장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비밀
–Ⅲ급
• 누설되는 경우 국가안전보장에 손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비밀
보안
– 대외비
• 누설되는 경우 국가안보에 손해를 끼치거나 악영향을
미치는 내용이 아니라 공정한 직무를 수행하고
이해관계자들에게 공정한 기회를 보장하기 위하여
직무상 특별히 보호를 요하는 것 .
2) 국가비밀의 성립요건
• 비공지성
– 비밀사항을 취급하는 기관 부서에 소속한다는
특정한 징표에 의해 한정할 수 있으면 족함
보안
• 필요성
• 허용성
– 보호대상인 기밀의 내용이 위헌 , 위법인 경우도
국가기밀로서 법의 보호를 받아야 하는지 여
부 ? : 합헌성과 합법률성을 유지해야 ( 법치주
의 , 공개주의 이념에 부합 )
• 진정성
– 국가기관에서 권한과 책임이 있는자가 실제로
작성한 문건이나 제조한 물건 등
보안
3) 비밀의 취급
– 비밀을 수집하거나 작성 , 분류 , 재분류 , 접수 ,
발송 등 일체의 관리행위로 비밀회의 참석 ,
브리핑 , 교육참석도 해당
– 인가 받은 등급 이하만 취급
– 비밀열람기록전에 서명 날인
– 비밀취급 인가 해제 사유 :
4) 비밀의 생산
보안
– 비밀을 만들어 내는 것 . 비밀취급인가자만이 생산 .
책자외에 상황판 제작 , 사진의 인화 및 현상도 포함
• 유의사항
– 사전계획에 의하여 생산
– 배포계획도 수립
– 필요한 최소한의 양만 생산
– 배포처에 따라 비밀의 내용 제한
– 비밀관리기록부에 기록
– 이중 캐비닛 , 금고 등 보관
보안
5) 비밀책임자의 임무
– 비밀의 누설 , 도난 , 분실 , 손괴 등 방지
– 기타 대출 열람 시 인가자 범위인지 확인
6) 비밀의 파기
– 소각 , 용해 등 원형 소멸
– 참여자 지정
– 비밀관리기록부에 참여자 파기확인
보안
1) 시설보안
– 시설보안대책 강구 시 유의사항
– 건설계획단계부터 시설보안대책 검토하여
보안방벽을 설치
2) 보호구역
1) 제한지역
2) 제한구역
3) 통제구역
보안
5. 전산 , 통신보안
1) 전산분야
– 정보의 생성 , 저장 , 처리 , 가공 , 소통 , 검색이 서로
연결된 다양한 정보통신망
– 편리성과 유익성 이면에 정보의 파괴 , 유출 , 변조 및
인프라 마비 등 역기능 상존
– 시설에 대한 보안대책 필요 – 통제구역으로 보호
– 전자파 차단 대책
– 패스워드 운용
– 비밀자료 입력 시 비밀등급과 예고문 입력
보안
2) 통신분야
– 사람으로 하여 전달 : 전령통신 , 우편통신
– 부호나 신호로 전달 : 전등 , 신호탄 , 연기 등
신호통신
– 유 , 무선 전기통신
– 감청
– 도청
– 음어사용 , 암호화 장비 사용 .
국가방첩
1. 국가 방첩활동의 변천
– 정보활동이 창이라면 방첩활동은 방패
– 초기 방첩 활동의 예
• 영국의 스페인 정보활동
– 한국
• 구한말 고종황제 , 1902 년 제국익문사 ( 帝國益聞社 )
창설 – 헤이그 밀사사건으로 해체
• 1980 년대 북방정책과 더불어 공산권과 외교관계수립
시 부터 국가안전기획부에 방첩업무 전담 부서 설치
• 탈 냉전 후 필요성 더욱 증대
국가방첩
2. 국가 방첩활동의 유형 및 대상
1) 정보수집
– 외국 정보기관의 비밀공작활동을 사전
차단하는데 중요
– 수집하는 방법
① 공개정보의 수집
② 상거래 방식에 의한 수집
③ 인간정보 수단에 의한 수집
④ 기술정보 수단에 의한 수집
국가방첩
2) 공격적 방첩활동
– 침투되어 있는 외국이나 또는 불순조직의
공작망을 분쇄하기 위하여 취하는 적극적인
방첩수단으로 간첩이나 태업 , 테러 , 국제범죄 ,
산업스파이 등에 대응하는 활동
– 역공작
– 기만공작
3) 방어적 방첩활동
국가방첩
– 외국의 자국에 대한 정보수집활동이나 비밀공작
등을 색출 , 차단 , 견제하기 위한 기능이며
소극적이며 수동적인 방첩수단으로 인원 , 문서 ,
시설 , 통신 , 전산보안 등이 해당
– 감시활동 – 미행감시 , 대화감청 , 현장채증 ,
검색활동 , 사이버 활동 등으로 감시
– 언론인 , 상사원 , 교수 , 연구원 , NGO, 관광
객 , 유학생으로 위장 활동 색출
국가방첩
3. 국가 방첩전략회의 설치 및 운영 등
– 국가정보원장 소속하
– 의장 1 명 포함 15 인 이내의 위원 – 국정원장 ,
외교부 , 통일부 , 법무부 , 안행부 및
국무조정실 차관급 , 경찰청장 및 해경청장 ,
국방정보본부장 , 기무사령관 등
– 국가정보원장은 방첩업무 기획 , 조정 .
– 지역방첩협의회를 구성 , 운영할 수 있음
– 방첩기관의 장은 소속 구성원에 대한 방첩교육
국가방첩
4. 경제방첩
– 앨빈 토플러 – 미래에서는 국가 간의 산업 정보
전쟁이 국가 간의 경쟁관계를 좌우할 것이며 날로
늘어나는 경제 금융스파이가 21 세기를 특징지을
것이라며 민간정보 활동과 공적정보 활동이
유착될 것이고 , 그에 따라 국가정보기관들의
정보목표 우선순위가 변동될 것이라고 예측
– 제 1 차 세계 대전 : 자유주의 공산주의
이데올로기 대립
국가방첩
– 탈냉전 이후 WTO 체제 , 경제력이 국력의 척도 ,
경제력의 기초는 기술력 . 경제정보나
첨단산업기술 보호 등에 주력 .
– 총체적 안보 또는 포괄적 안보 개념 보편화 –
군사안보와 함께 경제안보가 국가안보의 중요
요소로 등장
• 1993 년 11 월 Warren Christopher 미 국무장관의
상원 외교위원회 연설 : “ 탈냉전 시대의 국가안보는
경제안보와 절대 분리될 수 없으며 경제정책은 미국
대외정책의 새로운 중심이 되고 있다”
국가방첩
5. 방첩활동의 과제와 전망
– 새로운 안보위협 요소 방첩 영역에 포함 – 테러 ,
마약 , 국제범죄 , 산업스파이 등
– 외국상대 방첩보다 북한 상대 방첩활동이 대부분
.
• 간첩죄 : “ 적국을 위하여 간첩한 자”
• 선진국 : “ 외국 또는 외국인 단체 등을 위하여 …”
• 개정 필요
안보수사
1. 안보수사의 의의
1) 안보수사의 개념과 연혁
– 국가의 안전보장 , 즉 국가의 존립 및 안전과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위태롭게 하는 범죄에
대한 수사 .
– 형법상의 내란의 죄 , 외환의 죄
– 국가보안법 제정 이유…
– 기타 군형법 중 반란의 죄 , 암호부정사용죄 ,
군사기밀보호법
안보수사
2) 안보수사기관
– 국정원 , 대검찰청 , 경찰청 , 해양경찰청 , 국군기무사령부

– 정보사범 , 정보수사시관
3) 안보수사의 법적 근거
– 헌법 제 37 조 제 2 항 : 국가안전보장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법률로써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제한할 수 있다고 규정 .
– 국가정보원법 제 16 조 : 국가정보원 직원으로서 원장이
지명하는 자…
4) 외국의 안보수사 관련 입법례
안보수사
2. 안보수사 환경
1) 북한의 대남 전략 전술
– 적화통일을 대남전략의 목표
– 전술 : ‘ 민족해방 민주주의 혁명’
– 민족해방
– 인민민주주의 혁명
– 미군철수 : 자주화
안보수사
1) 북한의 대남전술
– 지하당 구축공작 : ‘ 결정적 시기’
– 통일전선 공작
– 심리전 공작
– 대화 접촉 공작
– 전술형태
• 조직전술
• 투쟁전술
• 표어전술
안보수사
• 대남 전술의 변화
① 남침준비기
② 6.25 남침기
③ 전후 복구기
④ 폭력혁명 추진기
⑤ 화전 양면 전술기
⑥ 통미봉남 전술기
⑦ 수세적 대남 실리 확보기
⑧ 공세적 위장평화 전술기
⑨ 모험적 무력도발기
안보수사
2) 북한의 대남공작 도발 사례
– 간첩 성시백과 남북연석회의
– 통혁당 사건
– 버마 아웅산묘소 암살폭파사건
– KAL 858 기 공중폭파사건
– 남민전 사건
안보수사
– 민족민주 혁명당 사건
– 일심회 사건
– 왕재산 사건
– 탈북자 위장 직파 사건
– 기타 문세광 육영수 여사 저격 사건
안보수사
3. 안보수사 대상범죄와 유형
1) 형법 중 내란의 죄와 외환의 죄
• 내란의 죄
• 외환의 죄
2) 국가보안법
• 입법목적
• 반국가단체의 개념
3) 군형법 중 반란의 죄 , 암호부정사용죄
4) 군사기밀보호법
안보수사
4. 안보수사의 실효성 보장을 위한 조항
1) 공소시효의 배제
- 헌정질서파괴범죄의 공소시효 등에 관한 특별법
2) 참고인의 구인 유치 ( 국가보안법 제 18 조 )
3) 구속기간의 연장
4) 공소보류
5. 안보수사의 과제와 전망
테러리즘 대응
1. 21 세기 안보환경과 테러리즘
– 전통적 안보위협 ( 국경문제 , 이념대결 ,
전쟁위험 등 ) 은 감소 , 새로운 안보영역 확대
( 테러 , 마약 , 위폐 등 국제범죄 , 대량 난민 등 )
– 9. 11 테러 이후 전세계적 공포
– 테러리즘 방지를 위한 법 , 제도적 장치 강구해야
2. 테러리즘 개관
테러리즘 대응
1) 테러리즘의 개념
– 부시 행정부 : “ 준국가단체나 비밀 요원들이
자신들의 메시지에 귀를 기울이는 상대에게
영향을 미치겠다는 정치적 동기를 가지고 사전에
계획하여 비전투상태에 있는 목표물에게 가하는
폭력”
– 불특정 다수에 대하 무차별적인 공격
– 외교정책의 우선순위 변경 : 핵 , 미사일 , 테러 ,
마약 , 인권에서 테러와 대량살상무기가 우선 목표
테러리즘 대응
• 테러 사례
– 2001. 9. 11 테러
– 한국 관련
• 김선일 피랍테러
• 샘물교회 신도 테러
• 대우건설 근로자 피랍테러
• 소말리아 해상 테러
– 영국 런던 7.7 테러
테러리즘 대응
2) 테러리즘의 양상 및 주요 특징
– 항공기 납치 , 독가스 생물화학무기 사용 , 자살 폭탄테러 등
새로운 유형 등장 특징
1) 요인암살
2) 항공테러리즘 : 항공기 납치 (hijacking), 공중폭파 (bombing
of aircraft)
3) 인질납치
4) 사이버 테러 – 항공기 통제시스템 , 국방관련 시스템
5) 화생방 및 고성능 무기에 의한 테러 (CBRNE : Chemical, Biol
ogical, Radiological, Nuclear and Enhanced Explosive We
apons)
• Silent killer 로 명명
테러리즘 대응
3. 테러리즘 대응체제
– 테러지원국 지정 , 외교 , 무역 , 금융 등 제재
부과 및 국가간 협력
– 암살정책의 합법화 추진
– 국가안보를 위해 정확하고 시기적절한 첩보 중요
– 국제법적 차원의 대응
– 국내법적 대응 : 테러방지법 제정 필요
테러리즘 대응
4. 테러리즘 대응의 관제와 전망
– 국제사회 모두가 동참하고 협력 필요
– 사전 예방책 (Anti-terrorism, Preventure Meas
ures) 과 사후 위기관리 책 (Counter-terrorism,
Crisis Management)
– 핵 , 화학 , 생물학 무기 에 의한 테러리즘의
가능성 – 인류 전체의 문제임을 인식
국제범죄
1. 국제범죄의 개념
– 시간적 (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의사전달 ) 공간적
( 국가사이의 교류확대 ) 거리의 장벽이 사라짐
– 회색지대 현상 (GAP : Gray Area Phenomenon)
– 국제무질서 현상
– 범죄의 세계화 과정 – 테러리즘 , 조직범죄 ,
마약밀매 , 자금세탁 , 정치부패 , 환경 오염 등
– 탈이데올르기 , 불법성 , 폭력성 , 조직성 , 비밀성
국제범죄
• 초국가성
• 조직범죄의 정치화
• 국제범죄의 마약밀매 , 무기밀매 , 국제매춘 ,
인신매매 등 비공식 경제와 주식시장 ,
부동산시장 등 공식 경제에도 여향력 .
• 국제범죄의 국가 안보 차원
• Louise I. Shelly : “ 냉전이 20 세기 국제적
화두였다면 21 세기의 국제적 화두는
국제범죄가 될 것이다”
국제범죄
• 20 세기를 ‘전쟁과 이데올르기의 투쟁의 시대’
라고 한다면 21 세기는 ‘테러와 범죄와의
투쟁의 시대’
• 국제범죄의 특징과 영향
– 마약밀매에 얻어지는 막대한 자금 – 정치부패 , 자금
세탁 , 합법적 비즈니스로 위장
– 폭력의 증가와 새로운 정치적 마약 테러리즘
– 범죄조직과 게릴라 조직 혹은 테러조직과 상호연계 :
핵물질 밀매설
– 초국가적 현상
국제범죄
• 2. 새로운 방첩대상으로서의 국제범죄
– 냉전시기 군사첩보가 중요 , 탈냉전 탈 이데올르기
시대인 21 세기 – 군사첩보 , 비군사첩보인 산업비
밀 , 테러 , 마약 , 조직범죄에 대한 방첩이 중요 .
1) 국제범죄와 새로운 방첩 개념의 필요성
– 사회구조적 변화와 사회행위자들의 변화
– 국제범죄조직의 무장화
– 비정부기구 또는 테러 범죄조직과 같은 초국가적
불법조직의 부상
국제범죄
• 새로운 방첩 개념의 요소
• 국가의 3 대 요소 : 국민 , 영토 , 주권
• 다국적 기업의 팽창과 이민
• 변화요소
– 방첩의 새로운 목표 : 대공에서 확대하여
경제력과 정보력의 증진 및 확대
– 방첩의 새로운 범위 : 소극적이고 방어적 보안의
강조에서 안보상황의 변화에 적극적 활동 필요 –
첩보기관의 대국민 신뢰
국제범죄
– 방첩의 새로운 대상 : 전통적인 인적 , 물적 ,
오프라인 상 정보에서 탈피
• 170 만명의 외국인 (2015 년 기준 )
– 방첩의 새로운 수단 : 소극적 , 방어적에서
적극적 , 공격적으로
• 방첩기관사이의 협력관계 중요
• 민간기업 , 시민사회와의 협력 필요
3. 국제범죄에 대한 방첩차원에서의 대응
– 1993 년 국제범죄정보센터 설치
국제범죄
• 다문화 사회 – 내부로부터의 위협 증대
•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방첩 수단이 필요 – 감청 등이
주요 수단
• 변화의 복잡성과 예측이 불가능한 불확실성 ,
불명확성의 시대
• 국제범죄 대응의 과제와 전망
• 21 세기 새로운 무질서의 확산
• 조직범죄의 세계화 , 무장화 , 정치화
• 초국가적 조직범죄 방지를 위한 UN 협약 (2003 년 )
국제범죄
• 아프카니스탄은 세계 아편 생산량의 90%
이상을 생산
• 대표적 국제조직범죄단
– 삼합회
– 야쿠자
– 마피아 ( 러 )
• 테러조직 , 마약조직 , 범죄조직간
상호연계에 의한 초국가적 위협
산업보안
1. 산업보안의 개관
1) 산업보안의 개념
• 국가차원의 중요한 기술이나 정보를 부당한
침해로부터 방어하기 위한 각종 활동
• 냉전체제 붕괴 이후 더욱 중요한 과제
– 국가차원의 중요한 기술과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활동 – 국가 , 공공기관 , 민간기업 및 대학
연구소 등이 보유하고 있는 것 포함
산업보안
– 국가의 산업경쟁력을 보호하기 위해 중요한 기술이나
정보가 국외로 유출되거나 유출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활동
– 부당한 침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활동으로서 불법적인
산업스파이 행위를 적발하고 규제하기 위한 것
• 산업보안의 연혁과 발전과정
– 고대 중국 황제 들의 비단 제조법
– 1811 년 미국 산업스파이 캐벗 로웰 (Cabot Lowell) 의
영국 방직기 카트라이트 방직기 제작기술
– 최근 미국 에임즈 (Aldrich Ames) 사건
산업보안
2. 외국의 산업보안제도
– 미국 : 경제스파이법 , 외국인 투자와
국가안보법 , 국가방첩관실 운영
– 일본 : 부정경쟁방지법 , 외환및 외국무역법
– 독일 : 부정경쟁방지법
– 중국 : 반부정당 경쟁법
산업보안
3. 산업기술 유출실태
– 최근 5 년간 (2007-2011) 산업기밀보호센터에 적발된 건수 : 2
04 건
– 전기전자 - 37%(75 건 ), 정밀기계 -27%(55 건 ), 정보통신 -15%
(32 건 ), 정밀화학 -9%(18 건 ) 등
– 주체는 전직 직원이 62%(127 건 ), 현직 17%(34 건 ), 협력업체
13%(26 건 ), 유치과학자 2%, 투자업체 1% 등
– 동기는 개인영리 61%(125 건 ), 금전유혹 20%(41 건 ) 등 80%
이상 , 인사불만 , 처우불만 순
– 규모면 대기업 27%(54 건 ), 중소기업 69%(141 건 ), 기타
연구소 4%(9 건 )
• 특징 :
산업보안
4. 산업보안 제도와 정책
–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
• 공공부문
– 산업기술관리 부문 : 산업기술보호위원회
– 불법유출 대응 부문 : 국정원의 산업기밀
보호센터와 (2003) 검찰 기술유출범죄수사센터
(2004), 경찰 산업기술유출범죄수사대 (2010) 의
수사공조체제
• 민간부문 : 산업기술보호협회
산업보안
• 산업통상부의 ‘산업기술 보호지침’
– 국가의 핵심기술을 외국기업에 매각 , 수출할
때는 사전 승인
– 국가핵심기술 보유 기업의 해외인수 , 합병 시
신고
•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 비밀성 , 경제성 , 비밀관리성 요구
• 기타 외국인투자촉진법 , 대외무역법 ,
방위사업법 등
산업보안
5. 기업의 산업보안 관리
– 위험수용
– 위험감소
– 위험회피
– 위험전가
6. 산업보안의 과제와 전망
- 기술유출 피해금액은 증가 , 보안에 대한 투자는
감소
- 기업의 보안의식 강화 및 교육
사이버전 대응
1. 사이버전의 개념
1) 사이버공격의 유형과 특징
– 적극적 공격기법 (Active Attack)
• 허가 받지 않은 상태에서 파일의 삭제 , 추가 , 변경 ,
조작 등
– 수동적 공격기법 (Passive Attack)
• 메시지의 변경은 없이 내용을 도청 , 트래픽 ,
로그정보 분석 등 – 해킹
※ Hacker 와 Cracker 와 구별
사이버전 대응
2) 사이버보안의 유형과 특징
– 통신보안
• 암호화 , 암호자재
– 전산 정보 보안
• 1980 년대 컴퓨터 접근 및 하드디스크에 보관되는 각종
정보에 대한 보호업무
– 민간분야 정보보호
• 해킹의 심각성 대두되면서 민간분야 정보보호 업무 시작 (
한국정보보호센터 )
– 정보통신기반시설 보호
• 2001 년 정보통신기반보호법
사이버전 대응
– 사이버안전
• 2003 년 1 월 8 시간 동안 우리나라 전체 인터넷 마비
→ 국정원 내에 국가사이버안전센터 설립
– 전자정부 보안
• 2001 년 행정업무의 전자적 처리 → 전자정부법
– 정보보증 : 침입에 대한 대응능력 가화 ,
정보시스템 복원 능력
– 개인정보보호
사이버전 대응
2. 사이버공격
1) 개요
– Footprinting, Scanning, 구글 해킹
2) 시스템에 대한 공격과 보안기술
– 공격기술
• Password 공격
• 버퍼 오버플로우 (Buffer overflow) 공격
• 악성코드 (Malicious Code)
• 백도어 (Back door)
사이버전 대응사이버전 대응
– 보안기술
• 인증 (Authentification)
– Something the user knows
– Something the user has
– Something the user is
• 접근 제어 (Access Control)
• 백신 프로그램 (Vaccine Program)
3) 네트웤에 대한 공격과 보안기술
– 공격기술
• 서비스거부 공격 (DoS)
• 스니핑 , 스푸핑
사이버전 대응
– 보안기술
• 조기경보시스템
• 침입차단시스템
• 침입탐지시스템
• 침입방지시스템
4) 암호기술
– 개요
– 사용목적
• 기밀성 , 무결성 , 가용성 , 인증 , 부인봉쇄
사이버전 대응
3. 우리나라 사이버전 대응체계
–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 – 정보통신기반보호법
– 군 정보통신망 – 국군사이버사령부령 ,
구군기무사령부령
– 민간분야 정보통신망 –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
– 국가차원 : 국정원 – 국가사이버안전센터
– 국방분야 : 국방정보전대응센터
– 민간부문 : 한국인터넷진흥원 소속 ‘
인터넷침해사고댕응지원센터’
사이버전 대응
4. 사이버전 대응의 과제와 전망
– 방어중심에서 공격중심으로
– Control tower 조직 신설 필요
– 보안의식 제고
– 공격중심 방어기술 개발
국가정보의 임무와 기능
• 국가안보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
• 국가존립과 국가이익
• 국가의 주요 정책결정을 지원
• 전략적 기습을 당하지 않기 위해 예방적 노력을
지원
• 군사 충돌로 대표되는 다양한 분쟁 상황에서 활용
• 국가들이 국제조약과 합의를 준수하는지 감시하기
위해 필요
• 국가정보기관
국가정보와 정책결정
1. 국가정보 생산자와 수요자와의 관계
• 정보수요자
• 정보생산자
• 양자의 상호 불편관계 상존
– 정책담당자는 정보생산자들이 모든 일을 잘 알고
있다고 생각
– 상황에 대한 인식의 차이
– 경험과 활동범위의 차이
– 정보 통제에 의해 정보의 객관성 중립성 훼손
국가정보와 정책결정
2. 정책결정과정과 정보의 역할
1) 정책수립과 정보
– 정책담당자들의 정보활동의 우선순위 지침 필요
2) 정책결정과 정보
– 정보분석과 예측
3) 정책집행과 정보
4) 정책평가와 정보
국가정보와 국가안보
1. 새로운 안보요소와 국가정보
1) 초국가적 위협의 부상
2) 정보화에 따른 사이버 안보
3) 국가이익의 확대에 따른 비군사적 안보위협
4) 대량살상무기 확산에 따른 안보위협
5) 자연재해와 환경파괴에 따른 안보위협
국가정보와 국가안보
2. 국가안보정책을 위한 국가정보 조직과 활동
1) 정보조직의 개혁
– 정보화의 모델로 바뀌어야
– 신속성과 유연성
– 효율성과 집중성이 필요
– 정보생산자와 수요자간의 의사소통 채널 다양화
– 정보조직간 상호작용과 투명성
국가정보와 국가안보
2) 초국가적 위협에 대한 예방적 조치
– 테러와 조직범죄가 대표적
– 새로운 테러조직의 특징
• 넷트워크로 연결
• 정보통신의 발달로 동시다발적
• 테러에 대한 군사적 대응전략의 효과가 제한적
– 정보의 억지전략 – 정보 공유
국가정보와 국가안보
3) 정보감독의 강화
– 정책결정과정과 정책에 관한 세부 사항 비밀
관행
– 불법사찰과 억압의 도구로 악용
– 정보의 정치도구화
– 입법부의 재정적 , 기타 실패에 대한 통제 감독
– 미국 1976 년 상원정보위원회 , 1977 년
하원정보위원회
– 한국 1994 년 정보상임위원회 설치
국가정보와 국가안보
4) 국내 정보와 국외 정보의 협동성 강화
– 국내와 국외 구분 이유 : 권력의 집중 방지
– 국외 정보활동이 더 자유롭고 , 국내정보활동은
국내법에 저촉 등 제한적
– 안보와 치안의 경계선이 허물어지고 협력과
협조체제가 요구
– 초국가적 위협 요소 사전 차단 및 선제적 예방
조치가 절대적
국가정보와 정보통제
1. 국가정보활동과 민주주의
• 국가이익과 국가안보를 위해 필요성 인식
• 민주주의와 정보활동의 충돌원리
– 투명성과 비밀성이 충돌
– 분산과 집중의 원리
– 법의 지배원리로 충돌
– 사생활 보호문제
– 신뢰의 문제
국가정보와 정보통제
2. 국가정보기구에 대한 통제의 필요성
• 민주주의 훼손우려
• 통제의 필요성
– 민주주의 보존 및 강화 필요
– 플라톤의 수호자주의에 대한 비판 : “ 수호자는
누가 감시할 것인가 ?”
– 정보기구의 활동에 대한 정당성 부여
– 정보기구의 활동에 대한 책임과 한계
국가정보와 정보통제
3. 국가정보 통제의 개념
• Sherwin : 미리 정해진 기준에 모든 활동을
조절시키는 행위로서 계획이 잘 집행되고
있는지 또는 목표를 성취시키기 위한 적절한
절차가 마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증하고
필요에 따라 그 일탈을 교정하는 기능 .
• 국가안보와 국가이익의 수호에 적합한
기능과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가 ?
국가정보와 정보통제
– 활동의 방향과 목표가 적절히 계획되고 수행되고
있는가 ?
– 정책결정자들의 요구에 대응하여 정보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는가 ?
– 정보수집이나 비밀공작 등을 수행할 충분한 활동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가 ?
– 정보분석의 능력과 질은 충분한가 ?
국가정보와 정보통제
– 국가정보기구의 활동이 법적 근거하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 또한 책임성이 담보되고
있는가 ?
– 법적으로 부여된 권한과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가 ?
– 정보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책임과 한계는
명확히 이루어지고 있는가 ?
– 정보활동을 위하여 허가되고 승인된 예산의
집행이 적절히 이루어졌는가 ?
국가정보의 통제수단
1) 최고 통치권자에 의한 통제
( 최고 통치권자의 직접적 통제 )
– 정보기구 책임자에 대한 인사권 행사
– 행정명령을 통한 통제
– 기구의 개편이나 재조직
• 군 정보기관과 경찰 정보기관
• 해외 부문 국내부문으로 분리
• 경쟁 유도
국가정보의 통제수단
2) 행정기구를 통한 간접적 통제
– 행정부 내 정보 감시 기구를 통하여 통제
• 미국의 경우 , 국가안전보장회의 , 대통령정보자문단 ,
합동정보공동체회의 , 예산관리처
– 필요 시 외부 특별조사위원회 설치
• 정보 실패나 심각한 직무 이탈 시
• 정치적
• 객관성 문제
• 전문적 지식 여부
• 결과 조작 가능성
국가정보의 통제수단
2. 의회에 의한 통제
1) 의회의 국가정보기구 통제 수단
– 입법권을 통한 통제 : 삼권분립 , 견제와 균형
• 미국 : 휴즈 라이언 법
• 한국 : 국정원법 개정 – 정치개입 , 권력남용 방지
– 예산결산권을 통한 통제
• 가장 강력하고 유효한 수단
• 한국의 경우
국가정보의 통제수단
– 일반적 정부감시권한을 통한 통제
• 책임자에 대한 임명동의권
– 미국 : 임명을 확정하거나 거부할 수 있는 구속력 있는 권한
– 한국 : 청문회를 통한 자질 검증 , 적격 여부 의견 제시
• 대정부 질문권
• 국정조사권 및 국정감사권
2) 의회의 국가정보 통제 체제
– 의회의 정보위원회
• 감독청문회 (Oversight Hearing), 조사청문회 (Investiga
tive Hearing), 예산청문회 (Budget Hearing),
인사청문회 (Nomination Hearing)
국가정보의 통제수단
3. 언론과 시민단체에 의한 통제
1) 언론에 의한 통제
– 정보활동의 비밀성
– 국민의 알 권리 충족
– 안보이익과 활동능력을 훼손함이 없이 상호 협력
필요
• 정보기관의 잘못 규명할 책임감
• 언론의 호기심
• 언론의 상업성
국가정보의 통제수단
– 언론의 정보 통제 방법
• 직접적 보도를 통한 직접통제
• 언론기관이 수집한 정보를 의회 등 정보통제 기구에
제공함으로써 간접통제
– 정보기구의 방어적 정보공개 : 지지 획득 수단으로도 이용
2) 시민단체에 의한 통제
– 각종 시민단체의 감시
– 1994 년 정보공개법 제정 – 정보공개청구
– 정보기구에 조종당할 가능성과 비밀누설 시… .
– 국가안전보장 , 질서유지 , 공공복리를 위해 제한 될 수
있어야
국가정보윤리
1. 정보윤리의 대두
– 냉전체제하 ‘마음 내키지 않는 철학 (repugnant
philosophy) 이 지배
– 전 CIA 요원이었던 브래든 (Thomas W. Brade
n) : “ 도덕적 순진함과 권력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다 . 그러나 적이
선한 일로 위장하면서 무기를 들고 공격할 때
도덕적 순진함을 선택하는 것은 패배를 선택하는
것이다 . 그렇기 때문에 나는 CIA 가 비도덕적인
것이 나는 기쁘다”
국가정보윤리
– 1974 년 휴즈 - 라이언법을 시발로 정보활동 통제
입법화 .
– 슈피로 (Shlomo Shpiro) : “ 성문화된 법률과
규칙이 끝나는 곳에서 윤리가 시작되며 , 윤리는
정보관들의 활동을 이끌어주는 일련의 권고
사항들을 제공해준다”
2. 정보윤리의 중요성
– 윤리는 정보활동 자체에 내재해 있는 요소이며 ,
모든 정보활동은 윤리적 제약 하에서 수행된다
국가정보윤리
– 정보윤리는 정보활동에 필요할 뿐만 아니라
유익하기도 하다 – 윤리적 활동 기준 제시가
정보활동을 성공적으로 이끈다
– 우수한 인재를 정보기구 영입
– 민주주의 규범이나 절차에 어긋나는 비밀활동을
어떻게 정당화할 것인가 ?
– 정보활동 수행의 지침이 되는 원칙과 기준 , 즉
직업윤리규범을 어떻게 확립하는가 ?
비밀정보활동과 정보윤리
1. 의무론적 윤리관
– Kant 의 윤리관
– 정보활동의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정보활동의 도덕성 그 자체에 초점
– 자신의 행동을 규율하는 법칙이 항상 보편적
법칙과 일치되는 방법으로 행동하라
– 다른 사람을 대할 때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대하지 말고 합리적 행위자로 대하라
비밀정보활동과 정보윤리
2. 목적론적 윤리관
– 정보활동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모든 윤리적
딜레마를 국가안보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가에 비추어 판단
1) 현실주의 윤리관
– 무정부 상태에서 국가가 가장 중요한 행위자
– 국가안보의 추구는 도덕적 원칙을 따르는
행동이며 , 그 자체가 도덕적 행위
비밀정보활동과 정보윤리
2) 결과주의 윤리론
– Aristoteles, Bentham, Mill 등
– 행동이 가져온 상대적인 선에 비추어 행동을
판단 . 가장 좋은 행동은 다수의 선을 극대화
시키는 행동 .
– 악한 행동을 한다고 할지라도 허가 받을 필요는
없다 . 다만 그 행동이 선을 극대화시키면 그
행동은 정당화 될 수 있다 .
비밀정보활동과 정보윤리
3) 정의정보 윤리론
– 정의전쟁론을 바탕으로
• 정의로운 명분 (just cause)
• 정의로운 의도 (just intention)
• 최후의 수단 (last resort)
• 공식적인 전쟁 개시 선언 (formal declaration)
• 제한된 목적 (limited objectives)
• 동원 수단 적절 (proper measures)
• 비전투요원에게 피해 입히지 말 것 .(noncombatant I
mmunity)
비밀정보활동과 정보윤리
– 비밀정보활동이 정의로운 활동이 되기 위한 원칙
• 정당한 명분 원칙 (just cause)
• 정당한 권위 (just authority)
• 정당한 의도 (just intention)
• 비례성 원칙 (proportion)
• 최후 수단 (last resort)
• 차별의 원칙 (discrimination)
정보분석과 정보윤리 논의
1. 정보분석의 정치화
– 정보분석관의 딜레마
• 자신의 정보분석이 진실이라고 확신 , 정책결정자가
수용하지 않을 때
• 동료 분석관과 의견이 다를 때
• 정책결정자와 지속적 접촉 가능성 여부
– 정보분석의 정치화 → 정책의 실패 초래
– 정보 직업윤리 (professional ethic) 수립
정보분석과 정보윤리 논의
2. 정보분석의 전문성
– 전문성 요건
• 전문기술 보유
• 사회적 책임 ( 국가 보호 )
• 자기들만의 배타적 집단의식 보유
3. 정보분석관의 직업윤리
– 정보실패의 원인
• 동기 없는 편견 (unmotivated bias)
• 동기 있는 편견 (motivated bias)
정보분석과 정보윤리 논의
• 모르는 것을 안다고 생각하지 말 것 (the prin
ciple of ‘I do not think that I know what
I do not know)
• 오로지 진실만을 말할 것 (principle of repor
ting ‘The truth, the whole truth, and noth
ing but the truth’)
• 객관성 중시 또는 정책결정에 영합하는 정보
중 우선순위 ?
과제와 전망
• 국가정보의 정치적 중립성

• 민주적 통제장치의 내실화

• 정보수집 및 분석역량의 강화

• 신안보 위협에 대응한 대응역량 강화


과제와 전망
• 정보활동의 직업윤리 확립을 위한 노력
• 비밀정보활동에 대한 정당화 논의 :
정의정보 윤리론 안에서 이루어져야
• 정보분석 뿐만 아니라 정보활동의 모든
영역에 직업윤리가 적용되어야
• 정보통제에 대한 직업윤리도 확립되어야
정보환경변화의 주요 요인
– 탈냉전 이후 세계화 , 정보화 , 민주화 확산
– 국가정보의 우선순위 변화
– 세계화에 따른 자본주의 심화
– 팍스 아메리카나의 세계질서 변화
– 세계 노동시장의 변화 : 대규모 아웃소싱
– 다문화사회
– 뉴 테러리즘
– 정보통신기술 혁신에 따른 현상 : ‘ 전장도 없고 소리도
없는 사이버전쟁’
– 포괄안보 등장
정보환경의 변화와 국가정보의대응

1. 21 세기 정보환경의 특징과 정보 Paradigm


의 변화
– 특징
– 안보위협요소 및 주체의 다양화
– 위협요소의 초국가화
– 위협수단 및 방법의 첨단화 , 지능화
– 국내정보의 위기심화
– 비군사정보의 중요성 부각
정보환경의 변화와 국가정보의대응

• 정보환경의 변화와 국가정보역량 강화


• 종래의 정보활동은 주로 대북 등 안보문제
위주
• 정보활동의 주체도 백색요원 외에
흑색요원도 증가
• 정보목표의 변화 : 외교 안보에서 경제 ,
통상 , 과학기술 , 에너지 , 환경 등 전
분야로
• 다문화 사회로 이동 (170 만 , 2015 년 )
한국 국가정보의 향후과제
1. 정보 목표 우선순위 조정과 조직개편
2. 전문성 분석력 제고 및 정보협력 강화
–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정보판단과 분석 요구
– 마약 , 테러 같은 초국가적 문제의 대응에 있어서
해외 정보테트워크의 강화 및 국제
정보협력체제의 개발이 중요
– 우방국가와 협력을 통한 정보활동의 효율성 제고
및 외연 확대
국가정보의 자율성 제고
1. 선진 정보인프라의 구축
– 기술정보분야 확대
– 민간연구의 활성화
– 학문적 인프라 구축
2. 국가정보의 정치적 중립화 및 자율화
– 권위적이고 부정적인 이미지 탈피
– 정보기관으로서 기능강화 및 효율성 제고
– 정보기구 개편이 정치적 구조조정으로 악용
국민의 정보기관으로서 신뢰증진
• 정보활동의 목표 재조정
• 정보기능 및 역할강화에 대한 국민적 인식 변화
유도
• 국민기본권 침해 소지 및 정보의 정치화 가능성
불식
• 국민과 소통하고 지지와 협력
• 국가 위기관리의 파수꾼
• 정보환경의 변화에 대한 범국민적 , 범사회적
인식의 전환
정보기구 유형
• 포괄적 수행 정보기구
– 한국 국정원 , 구 소련의 KGB
– 전체 정보활동에 대한 효율적인 통합이 가능
– 다양한 정보활동들 간의 유기적인 연계
• 분산형 정보기구
– 미국 CIA, FBI. 소련의 해외정보부 (SVR),
연방보안부 (GRU). 이스라엘의 모사드 , 쉰벳 (S
hin Bet). 영국이 MI6, MI5
– 전문성 ( 장점 ), 중복성 ( 단점 )
한국의 정보기구
( 기원과 변천 )
1. 근대 이전의 정보활동
– 사신 등 공식적인 외교사절과 주둔군 및 상인 등
비공식적 채널을 통한 정보수집
– 최무선의 화약제조법 : 중국으로부터 고려의
대포 개발
– 고려말 원나라 사신 : 성리학 서적 수입
– 조선시대 : 암행어사 , 상소 , 신문고
– 조선후기 : 보부상
한국의 정보기구
( 기원과 변천 )
2. 근대 이후의 정보활동
– 고종 : 1902 년 근대적 정보기관인 제국익문사
( 帝國益聞社 ) 설립
• 최고수장 : 독리 ( 督理 ). 그 밑에 사무 , 사기 , 사신
등 16 명의 통신원 등 총 60 여 명의 정보원 ( 방첩과
국권수호를 위한 정보활동 )
• 서울과 지방 , 항구 및 외국 등 4 개권역으로 구분
활동
• 1907 년 헤이그 밀사사건으로 해체
한국의 정보기구
( 기원과 변천 )
• 한일합방 후
– 1919 년 상해 , 항주 , 광동 , 충칭 ( 重慶 ) 을
중심으로 한 임시정부 활동
– 일제의 동향 , 군자금 모집 전달 , 요인암살 ,
비밀공작 , 민족정기 고취 등
– 신채호 : 의열단 (1921 조선총독부 , 1923
종로경찰서 폭탄 투척 , 1926 년 식산은행 추척 )
– 김구 : 한인애국단 ( 윤봉길 홍구공원 투척사건 )
– 한국광복군 : 1940 년 충칭에서 임시정부의 군대로
창설
한국의 정보기구
( 기원과 변천 )
3. 해방 후 정보활동
– 미군정의 지원을 통해 체계화
• 미국의 방첩대 (1945-48), 육군정보국 (1948-50), 특무대 (19
50-60) 가 정보활동 주도
• 1948 년 대한관찰부 : 범죄수사와 정보수집 , 사찰 등의 업무
• 1949 년 사정국 ( 司正局 ) 으로 명칭 변경 및 민간영역
정보활동으로 제한
• 대한독립청년단 회원 납치 고문으로 그 해 말 해체
• 이후 육군 정보국에서 CIC( 방첩대 ) 임무 인수하여
• 특별조사과 , 특무과 , 특별조사대 등으로 명칭 변경 ,
방첩대로 다시 개칭하여 국군기무사령부로 명맥
한국의 정보기구
( 기원과 변천 )
• 특무대 주도기 (1950-60)
– 6.25 전쟁으로 군사정보기구인 특무대가 주도적
정보할동
– 1950 년 방첩대를 육군본부 정보국 소속에서
육군본부 직할의 특무대로 분리 독립
– 전쟁 중 간첩 및 이적행위자 색출 , 군시설 보호 ,
보안 및 방첩 업무
– 이승만의 정치개입 및 월권행위 부작용
한국의 정보기구
( 기원과 변천 )
4. 국가정보기관의 출범
– 1961 년 중앙정보부 :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정보기관
– 1961 년 5.16 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주도하에
‘공산세력의 간접 침략과 혁명과업 수행의
장애를 제거하기 위하여’
– CIA 를 본따 영문명칭 KCIA(Korea Central Intel
ligence Agency)
– 미국과 달리 CIA + FBI
국가정보원
1. 창설배경
– 제 2 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 소련을 비롯한 선진국에서
국가정보기관 운영 시작
– 미국 군사정보 위주의 전략사무국 후신으로 1947 년 CIA
– 소련은 비밀경찰조직인 체카 (Cheka) 를 모태로 1954 년
KGB 로 확대 개편
– 독일 국내보안정보 전담하는 ‘연방헌법보호청 ) 및
해외정보기구인 ‘연방정보부’를 1956 년 창설
– 냉전이 본격화 : 군사정보 위주에서 군사 , 외교 , 안보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등 모든 분야
한국의 정보기구
( 기원과 변천 )
– 미국의 협조요청
– 1959 년 국방부장관 직속으로 중앙정보부 설치 (
이승만 대통령 주저 )
– 1960 년 4.19 혁명으로 이승만 하야 , 장면 정부
등장 , 미국의 원조와 지원 계속 .
– 1961 년 1 월 총리 직속으로 ‘중앙정보위원회’
라는 문민중앙정보기구 설치
– 1961 년 6 월 5.16 군사정변으로 대통령 직속의
중앙정보부 설립 , 기존 중앙정보위원회는
해외파트로 편입
한국의 정보기구
( 기원과 변천 )
2. 변천과정
– 군을 포함한 정부 각부의 정보 수사활동을 조정
감독한다”
– 국내외 정보활동 , 수사권 및 조정 감독권
– 비판과 부작용 : 정치개입 , 월권 , 정보독점 ,
인권침해 등 1961 년 6 월 중앙정보부법 : “ 국가
안전보장과 관계되는 국내외 정보사항 및
범죄수사와
한국의 정보기구
( 기원과 변천 )
• 1973 년 김형욱 전 정앙정보부장 미국 망명 사건
• 1979 년 10 월 26 일 . 김재규 중앙정보부장
대통령 시해
• 보안사령부 등장 – 10.26, 12.12, 5.18 등으로
중앙정보부 위축 ( 김… )
• 1981 년 제 5 공화국 출범 : 국가안전기획부 (Ag
ency for National Security Planning) 으로 개칭
– 국내담당 – 1 차장 , 해외담당 – 2 차장
한국의 정보기구
( 기원과 변천 )
• 1987 년 이후 민주화 조치 이후 정보기관의
월권행위에 대한 정치권 및 언론의 감시 강화로
보안사령부 권한 약화 및 안기부 위상 강화
• 1990 년 4 월 보안사령부의 민간인 사찰사건 –
보안사령부가 ‘국군기무사령부’로 개칭
• 1993 년 문민정부 출범
– 국가정보정책의 수립과 정보판단 및 운영에 관한
사항협의를 위한 정보조정협의회 조항 삭제
– 정치관여 금지 신설
한국의 정보기구
( 기원과 변천 )
– 1994 년 ‘국회정보위원회’ 신설 – 예산과 중요사항에
대한 국회 통제 체계 마련
– 국제조직범죄 및 테러 대응에 관한 새로운 정보분야 개척
– 조직 개편 – 1 차장 ( 국내 ), 2 차장 ( 해외 ), 3 차장 ( 북한 ),
기조실장 ( 기획 , 운영 )
• 국민의 정부 출범
– 1999 년 1 월 ‘국가정보원 (National Intelligence Servi
ce) 로 개칭
– 원훈 : “ 우리는 음지에서 일하고 양지를 지향한다” →
“정보는 국력이다”
한국의 정보기구
( 기원과 변천 )
– 해외담당을 1 차장 , 국내담당을 2 차장으로
조정 ( 해외정보 및 경제 , 통상 , 산업기술분야
활동 확대 )
• 참여정부시절
–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처 확대
– 외교안보정책실 ( 대통령 비서실에 ) 신설 –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처 기능 흡수
– 사이버 안전의 중요성 감안 ‘
국가사이버안전센터’ 신설
한국의 정보기구
( 기원과 변천 )
3. 임무 및 기능
– 대통령 소속으로 두며 , 대통령의 지시와 감독
• 국외정보 및 국내 보안정보 ( 대공 , 대정부 전복 , 방첩 ,
대테러 및 국제범죄 ) 의 수집 배포
• 국가 기밀에 속하는 문서 , 자재 , 시설 및 지역에 대한
보안업무
• 내란의 죄 , 외환의 죄 , 군형법 반란의 죄 , 암호
부정사용의 죄 , 군사기밀 보호법에 규정된 죄 ,
국가보안법에 규정된 죄에 대한 수사
• 국정원 직원의 직무와 관련된 범죄에 대한 수사
• 정보 및 보안 업무의 기획 조정
부문정보기관
1. 국방정보본부
– 군사에 관한 모든 정보를 관장하는 국방부장관
직속의 군 정보기구
– 군사정보 , 군사보안 , 군사정보전력의 구축
– 신호정보 수집 , 통신 및 전자정보 수집 , 분석
– 국군사이버 사령부 – 적의 인터넷 공격 예방 및
복구
부문정보기관
2. 국군정보사령부
– 대북 정보활동 및 비밀공작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1990 년 10 월 육해공군의 첩보부대가
통합되어 창설
– 육군 첩보부대 (HID: Headquarters of Intelligenc
e Department), 해군 첩보부대 (UDU: Underwate
r Demolition Unit), 공군첩보부대 (AISU: Air Forc
e Intelligence Service Unit) 가 통합
– 1951-1994 년까지 – 북파공작원 13,000 여 명 .
사망자 및 행불자 7,800 여 명 , 부상자 200 여 명
부문정보기관
3. 국군기무사령부
– 1948 년 특별조사과가 독립부대로 발전해 설립
– 1948 년 여순 반란사건을 계기로 군내 좌익세력
색출 , 숙군 작업 주도
– 1949 년 육군본부 정보국 특무대로 개편
– 1950 년 독립하여 육군특무부대 (CIC: Counter I
ntelligence Corps) 로 발족
부문정보기관
– 1960 년 장면 정부 출범 이후 방첩대로 개칭
– 1968 년 청와대 기습사건을 계기로 ‘
육군보안사령부’로 확대 개편
– 1977 년 월남 패망 및 주한미군 철수 등으로
육해공 3 군의 보안부대 통합 ‘국군보안사령
부’로 재탄생
– 1987 년 민주화 , 1990 년 민간인 불법사찰
– 1991 년 1 월 ‘국군기무사령부 (DSC: Defense
Security Command) 로 개칭
부문정보기관
4. 경찰청 정보국 보안국 외사국
– 경찰법 근거 : “ 국가경찰의 임무로 국민의 생명 ,
신체 및 재산의 보호 , 범죄의 예방 , 진압 및
수사 , 치안 , 요인경호 및 대간첩작전수행 ,
치안정보의 수집 , 교통의 단속 기타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를 그 임무로 한다”
– 외사국 – 외사정보과 , 외사수사과 ,
국제형사기구 (Interpol).
부문정보기관
5. 기타 행정부 정보부서
– 대검찰청
• 대검공안부에 공안기획관
• 범죄정보기획관
– 통일부 정세분석국
• 정세분석 총괄과 , 정치군사분석과 ,
경제사회분석과
– 대통령 경호실
• 안전본부장 산하 정보과
과제와 전망
• 정치적 중립성 확보
• 권력남용과 인권침해 문제 등으로 부정적
이미지 : 쇄신 필요
• 민주적 통제장치의 내실화
• 정보수집 및 분석 역량의 강화
• 과감한 정보인프라 투자 요구 , HUMINT
에서 TECHINT 수집역량 강화
• 신안보 위협에 대한 대응역량 강화 .
북한의 정보기구
( 기원과 변천 )
• 주요목표 : 남조선 혁명과 공산화 통일
– 조선노동당 규약 : 전국적 범위에서
민족해방민주주의 혁명과업 수행 , 온 사회의
김일성 - 김정일주의화
• 1945 년 북조선 5 도 행정국 내에 보안국
설치
– 보안국은 치안업무 , 정보 , 국토경비 ,
대남공작업무 수행
북한의 정보기구
( 기원과 변천 )
• 내무성 정치보위국 – 대외정보부
– 민족보위성 – 대남 정보기구
– 노동당 조직부내의 연락부를 독립 – 정보과 ,
선전교양과 , 유격지도과 , 직속부대로 526
군부대와 공작원 양성을 위한 금강정치학원
• 1960 년대 4.19 계기로 대남 정보활동 강화
– 지하당 조직확대 , 반미 통일전선 형성 및 남북의
통일전선 결합을 통한 적화혁명 방침 결정
북한의 정보기구
( 기원과 변천 )
• 1964 년 당중앙위원회에서 기구 개편
– 노동당 연락국을 대남사업총국으로 개칭 , 규모 확
대 , 정보요원 확충
– 1964 년 한국의 월남 파병 계기로 군사도발 공작
중심으로 변모 , 인민무력부가 주도
– 인민무력부는 작전국 산하 ‘적공국 ( 敵功局 )’ 을
내세워 – 대남공작 , 대남침투 , 대남도발 ,
대남심리전 전개
• 1967 년 청와대 기습 , 울진 삼척 무장간첩
실패로 조직 개편 , 대남사업총국 폐지
북한의 정보기구
( 기원과 변천 )
– 당중앙위원회 비서국이 관장 – 조총련공작사업 ,
대남 정보활동 통제 . 대남 군사공작 담당 부대 1
24 부대와 283 부대 특수군단으로 통합
• 1970 년대 김일성 권력공고화 및
통일방안으로 고려연방제 제시되면서
노동당으로 이관 , 업무 특성에 따라 세분화
– 1978 년 통일전선부 신설 ( 노동당에 대외조사부 ,
사회문화부 , 작전부 , 통일전선부 )
북한의 정보기구
( 기원과 변천 )
• 2009 년 국방위원회 산하에 정찰총국 신설
및 당과 군에 흩어져 있던 대남 공작기구를
통폐합
– 노동당의 작전부와 35 호실 , 군 총참모부의
정찰국을 통합 국방위원회 산하기관으로
정찰총국 출범 .
– 대남 정보활동의 주도권이 당에서 군으로 이동
북한정보기구의 조직
1. 국가안전보위부
– 국내외 정보 업무 통합적으로 수행
– 북한 최고의 정보 및 사찰기관으로 반혁명분자 및
간첩색출 , 정치범수용소 관리 , 경호 지원 , 대남
해외 정보 수집활동 및 공작 임무 수행
– 1998 년 국방위원회 직속기관으로 출범
– 북한정권과 사회주의 체제유지 첨병으로 김정은의
직접 지시 받음 .
– 산하에 20 여 개 국 . 탈북자 위장 간첩의 형태로
침투하여 대남 공작활동
북한정보기구의 조직
2. 인민보안부
– 경찰청에 해당하는 조직
– 북조선 5 도 행정국의 보안국 (1945 년 ) 으로 시작
– 치안질서 본연의 임무보다 수령 ( 김일성 , 정일 ,
정은 ) 의 보위 , 옹호사업에 최우선 순위
– 주민의 사상동향 감시 , 기관단체의 감시 등
– 평상시 및 도에 인민보안국 ( 지방청 ), 시 군 구에
보안서 ( 경찰서 ), 리 동에 보안소 ( 지구대 ,
파출소 ) 등
북한정보기구의 조직
3. 보위사령부
– 북한군 내 정보사찰기구
– 1960 년 말 북한군 내 정치안전국으로 창설 ,
보위국으로 개칭 , 1995 년 보위사령부로 확대 .
공식명칭은 국방위원회 직속 ‘조선인민군
보위사령부’
– 북한군부 내 감시 , 동향 파악 , 첩보수집 , 통제
등.
– 해외공관 파견 요원들에 대한 동향감시 등
북한정보기구의 조직
4. 정찰총국
– 한국군에 대한 군사첩보 , 무장간첩 남파 , 요인암
살 , 테러 , 중요 전략 시설 파괴 등
– ( 과거 노동당 작전부 ) 위조지폐 , 마약제조 및 거
래 , 무기 수출 등
– 국가 주요 기반시설에 대한 디도스 등 전산망 해킹
– 천안함 폭침 (2010. 3), 연평도 포격 (2010. 11),
디도스 공격 (2009. 2011), 황장엽 암살시도 (2010),
농협 전산망 해킹 (2011), GPS 교란 (2012. 4. 28-5.
13)
정찰총국 조직도

정찰총국

작전국 정찰국 기술국 해외정보국 정책국


북한정보기구의 조직
5. 통일전선부 (1978)
– 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국 산하 20 개 전문부서
중 하나
– 조총련 등 해외동포 관리를 위해 1958 년
노동당에 설립된 문화부가 확대 개편
– 통일전선 공작과 남북재화 , 교류 사업 주관
– 한국내 좌익운동권 지도
– 조국평화통일위원회 , 우리민족끼리 등 산하기관
북한정보기구의 조직
6. 225 국 ( 구 대외연락부 )
– 공작원 남파 , 공작원 밀봉교육 , 한국 내 고정간첩
관리 , 지하당 구축공작 등 정보 공작업무 담당
– 남한에 지하당 조직 , 혁명의 결정적 시기에
지하당을 매개로 남한체제 전복 목표
– 공작원 교육을 위한 초대소와 공작원의 파견과
귀환을 위한 연락소 운영
– 통혁당 사건 (1968), 조선노동당 중부지역당사건 (1
992), 민족민주혁명당사건 (1999), 일심회 간첩단
(2006), 왕재산 사건 (2011)
미국의 정보기구
• 미국 정보기구의 기원과 변천
– 조지 워싱턴 (George Washington) 이 독립군
사령관을 맡은 후 보스턴에 비밀 연락조직을 건설
– 건국 초 초대 대통령인 워싱턴의 요구로 4 만 달러
예산 배정 → 3 년후 당시 정부예산의 12% 에
해당하는 100 만 달러로 증가
– 2 차대전 후 트루만 대통령의 명령에 의해 CIA 의
전신인 중앙정보단 (CIG: Central Intelligence Gr
oup) 창설
미국의 정보기구
• 레이건 대통령이 국가안보법 (National Securi
ty Act) 에 정보공동체라는 용어 공식적 사용 .
• CIA 를 정점으로 국무부 산하의 정보조사국 ,
국방부산하의 국방정보국 , 국가안보국 ,
국가정찰국 , 중앙영상국 , 법무부 산하의 FBI

• 9.11 테러 이후 DNI(Director of National In
telligence) 가 정보공동체를 맡고 있음
미국의 국가정보체계
• 345 쪽
미국의 정보기구
1. 구성과 기능
– 국가정보장 (DNI: Directorate of National Intel
ligence) 을 정점으로 16 개 기관으로 구성
– 각각 서로 다른 분야에서 정보활동 수행 , 정보
관련 업무에 한정되며 정책 제안을 하지 않는
것이 공통된 특징
미국의 정보기구
1) 중앙정보부 (CIA: Central Intelligence Agency)
– 미국의 대표적 국가정보기관
– 1947 년 트루먼 대통령의 국가안보법에 따라 창설
① 국외 및 방첩정보의 수집 , 생산 , 배포
② 마약생산 및 거래에 관한 해외정보의 수집 , 생산 , 배포
③ DNI 와 법무부장관 승인하에 국내방첩 활동
④ 다른 정보기관의 국외정보 수집 및 방첩활동 조정
⑤ 대통령이 승인한 특별활동 및 국가안보회의 지침에 따른
공통업무
미국의 정보기구
– 산하에 정보분석국 , 국가비밀공작국 , 과학기술
국 , 지원국 등이 있음
2) 연방수사국 (FBI: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 국내 방첩업무 담당 – 미국 내에 잠입하여
활동하는 외국 스파이들을 체포하거나 외국
정보기관을 위하여 정보활동을 하는 미국인을 색출
– 1908 년 루즈벨트 대통령에 의해 법무부 산하
수사과로 창설
미국의 정보기구
– 1935 년 현재의 연방수사국으로 개칭
– 경찰인 동시에 외국정보기관에 대한 방첩업무
수행 . 알코올 , 위조지폐 , 밀수 , 밀입국 등 및
국익과 관련한 모든 사항 수사권한
– 예전에는 공무원 뇌물사건 , 주요 핵심인사 경호 ,
핵물질 및 무기관련 범죄 , 선거법 위반 , 간첩죄
등이 비중 . 9.11 테러 이후 대테러 및
보안업무의 비중이 커짐
미국의 정보기구
3) 국가안보국 (NSA: National Security
Agency)
– 1952 년 대통령 비밀지침에 의거 설립
– 미국 정부기관들이 사용하는 암호체계 개발 ,
암호 해독 전문기관
– 세계 각처에 통신감청소 운영
– 전체직원이 해외요원 포함 8-12 만 명
– SIGINT, COMINT, ELINT, Telemetry 까지
정보수집의 대상
미국의 정보기구
5) 국방정보국 (DIA: Defense Intelligence
Agency)
– 1961 년 국방부의 정보수집 , 생산 , 배포과정을
통합하기 위해 설립된 국방부 산하의
부문정보기관
– 육 , 해 , 공군 정보 부대들의 경쟁적인
정보할동과 부처이기적인 성향을 통합 , 조정할
필요성 대두
– 다수의 민간인 근무 , 약 6,500 여 명의 요원
미국의 정보기구
6) 국가정찰국 (NRO: National
Reconnaissance Office)
– 1960 년대 케네디 대통령에 의해 우주 정찰
시스템의 개발 목적으로 창설
– 1960 년 5 월 미 U-2 기가 소련 상공에서 격추된
이후에 대안으로 창설
– 냉전시기 소련의 군사정보 수집 목적으로 창설 .
처음부터 존재 부인 . 가장 Veil 에 싸인 기관 .
미국의 정보기구
2. 특징
1) 국가정보장 (DNI) 중심의 정보공동체 운영
2) 정보기관들 간 연계 강화
• 9.11 이후 “전체를 부분의 합보다 크게 하는 팀 (a t
eam making the whole greater than the sum of
its parts)”
3) 정보공동체에 대한 감독
러시아의 정보기구
1. 소련이전 시기
– 1956 년 모스크바공국의 이반 4 세가
황제직속으로 오프리치나 창설 – 공포정치를 위해
– 고위 귀족층 탄압하기 위한 비밀경찰기구로
황제의 정책에 비판적이거나 반대하는 자 색출 및
처벌
– 17 세기 말 제정러시아의 피터 대제가 Preobrazh
ensky prikaz 라는 비밀경찰 조직 강압정치의
도구로 활용
러시아의 정보기구
– 1826 년 니콜라이 1 세는 제 3 부라는 정치경찰
창설 – 체제전복과 혁명방지를 전제군주의 강력한
통치도구로 활용
– 그 뒤 아버지 니콜라이를 뒤이은 알렉산더 2 세 , O
khrana 설치 , 국내정보 및 해외정보 수집 .
– 비밀경찰인 제 3 부는 그대로 유지하다 1880 년에
내부부 산하에 국가경찰부 신설
2. 소련시기
– 볼세비키 혁명 직후인 1917 년 레닌에 의하여
공산혁명의 수호를 명분으로 CHEKA 를 창설 .
러시아의 정보기구
– 1954 년 초법적 권한을 행사했던 체카는
국가보안위원회 (KGB) 로 흡수
– 정보기관은 내각 산하로부터 권력 실세인 공산당
정치국에 의해 직접통제를 받는 기관으로 변경 .
– KGB 는 세계 최대의 정보기관으로서 방첩 ,
해외정보의 수집과 분석 등 기본적인 정보업무
외에 군사보안 , 국경수비 , 국가원수 경호 등
광범위하고 다양한 임무 수행
러시아의 정보기구
3. 러시아 시기
– 1991 년 8 월 보수파가 주도한 쿠데타가 실패 후
고르바쵸프의 KGB 개혁
– 1991 년 10 월 해체
– 1991 년 12 월 소련 해체
– 해외정보분야를 담당할 해외정보부 (SVR) 발족 –
해외정보를 담당하던 KGB 제 1 총국을 독립된
기관으로 재조직 .
– 1993 년 2 월 미국의 NSA 와 유사한
연방통신정보국 (FAPSI) 을 창설
러시아의 정보기구
– 1993 년 12 월 연방방첩부 (FAPSI) 창설
– 1994 년 1 월 이들 기관을 대통령 직속으로
소속시킴 .
– 1995 년 빈발하는 테러 및 사회불안 증대에
대처한다는 목표하에 러시아보안기구법을
개정하면서 F 나 ( 연방방첩부 ) 를 FSB(
연방보안부 ) 로 명칭 변경
러시아의 국가정보체계
– 국내 정보업무 담당 : FSB
– 해외 정보업무 담당 : SVR
– 군정보기관 : GRU
– 통상적인 정보활동 뿐만 아니라 집권세력을 위한
정치사찰 및 내부통제의 기능 수행 .
1. 연방보안부 (FSB)
– 조직 : 2002 년 기준 약 76,000 여 명
– 임무와 활동
러시아의 정보기구
1) 러시아 정보 업무의 중추
– KGB 의 주된 계승자로서 FSB 는 미국 연방수사국 ,
비밀감찰국 , 국가안보국 , 해안경비대 ,
마약단속국 등이 행사하는 역할을 다 합해 놓은
정도의 권한 보유
– 법집행기관 및 정보기관들 간 활동 지휘
– 방첩활동 , 안보활동 , 헌법질서 파괴행위 저지
– 테러 , 조직범죄 , 밀수 , 불법무기 거래 적발 예방
– 국가주요 전략시설 , 외국공관 및 기관 보호 등
러시아의 정보기구
2) 연방통신정보 업무
– 2003 년 폐지된 연방정보통신국 (FAPSI) 의 기능 흡수
: 최대 12 만 명 .
– 개인이든 회사이든 독자적인 컴퓨터 보안체제를 만들
수 없으며 , 연방정보통신국의 인가를 받은 제품만
사용 가능
3) 지배엘리트 집단으로서의 연방보안부
(FSB)
– 지배적인 정치적 인물 중 78% 가 KGB 나 FSB 근무
경력
러시아의 정보기구
2. 해외정보부 (SVR)
– 조직 : 15,000 여 명
1) 주요기본업무 및 활동
• 외교관 , 무역대표부 직원 , 특파원 , 상사원 등의
신분으로 위장 파견된 요원들을 통해 다양한 정보
수집 .
• 거의 모든 유명 기업이 정보활동 수단으로 활용
• 아에로플로트의 직원 14,000 여 명 중 약 3,000 여
명이 요원들
러시아의 정보기구
2) 해외정보 전담 정보기구
• 국내 활동 금지 되어 있음
3) 외교정책의 주요 행위자
• 외국의 정보기관들과 반테러리즘에 관한 협정 및 정보
고유 협정 업무 주관
• 대통령은 의회를 배제한 채 여하한 비밀명령 발할 수
있음
4) 독립국가 연합 지역에 대한 정보활동
• 막대한 석유 및 가스자원 , 이슬람 세력의 준동 방지
목적
러시아의 정보기구
• 군총참모부 정보총국 (GRU)
1) 조직
– 1918 년 10. 21. 레닌의 특별지시로 창설
– 직원 약 20,000 여 명인 것으로 추정
– 러시아의 가장 큰 해외 정보기구로 SVR 의 6
배나 되는 요원 해외 파견
– 1977 년 기준 2,500 여 명의 스페츠나즈 (
특수부대 ) 보유
러시아의 정보기구
2) 임무
– 전 세계 대상 군사정보 , 정치관련 정보 수집
– 러시아 영토 내에서의 군 관련 정보도 수집
– 쿠바와 베트남 등 기지에서 신호정보 수집
– 신호정보 , 영상정보 수집 .
– 1990 년대 130 여 개의 첩보위성 운영
영국의 정보기구
• 영국정보기구의 기원과 변천
– 1573 년 엘리자베스 여왕시대 국무장관 월싱햄의
해외정보수집망을 구축한 것에서 기원
– 1909 년 의회 국방위원회의 제의로 비밀정보국 (Se
cret Service Bureau) 이 모태
• 외국의 스파이로부터 영국 기밀 보호
• 해외에 있는 영국정보원의 정보활동 지원
• 국가방첩 임무 수행
– 1961 년 비밀정보국은 군사정보국의 일부로 편입 .
국내담당부서는 MI5, 해외담당 부서는 MI6.
영국의 정보기구
– 제 1 차 세계 대전 기간 중 독일 등 적국의 각종
군사 , 외교 통신 감청
– 암호 해독 전담 특수부대 창설
– 육 , 해군 공동 암호해독 부대는 ‘정부암호학
교’로 통합되었다가
– 1942 년 ‘정부통신본부 (GCHQ: Government
Communication Headquarters)’ 로 통합되어
현재까지 주요 신호정보 수집 및 분석 업무 수행
영국의 국가정보체계
– 비밀정보부 (SIS: Secret Intelligence Service, M
I6), 정부통신본부 (GCHQ: Government Comm
unication Headquarters), 보안부 (Security Ser
vice) 등 3 대 조직으로 구성
– 정보기관의 활동과 조직의 총괄적인 책임은 영국
총리에게 있음 .
– 정보기관의 관리와 업무협의를 위해 총리 산하에
‘합동정보위원회’ 설치 운영
영국 정보기구
1. 비밀정보부 (SIS: Secret Intelligence
Service, MI6)
– 법적 기반 없이 존속하다가 1994 년 12 월 15 일
정보기관법 제정으로 위상 확보
– 해외정보 수집 및 공작 임무 수행 . 국가의 안전확보
및 국익 도모 . 외국세력의 영국에 대한 테러 등 중대
범죄 조사 및 예방 . 우방국 정보기관과 정보협조
– 9.11 이후 미국과 공조하여 국제테러 예방 및
테러리스트 색출
– 외무부 장관 직속 기관으로 운영
영국 정보기구
2. 보안부 (SS: Security Service, MI5)
– 내무부장관 직속기관 , 군 소속이 아님에도 MI
(Military Intelligence) 로 불리고 있음
– 영국내에서 활동하는 외국 첩보기관에 대한
방첩업무 수행이 주요 임무
– 냉전 이후 테러 , 마약 , 불법이민 , 조직범죄
등으로 영역 확대 . 우편검열 및 감청 .
– 약 3800 여 명 직원이 근무
– 수사권 없음
영국 정보기구
3. 정보통신본부 (GCHQ: Government
Communication Headquarters)
– 미국의 NSA 와 유사업무 수행
– 영국 국내외 주요 통신을 포괄적으로 감청하여 정치 ,
군사 , 경제 , 테러 분야 등의 정보 수집 .
– 전자통신 , 음성통신에 사용되는 암호자료 수집 , 해독 ,
암호체계 보급
– 미국 , 캐나다 , 호주 , 뉴질랜드와 공동 감청망 :
애셜론 (Echelon)
– 냉전말기 약 7,000-10,000 여 명 . 현재는 5,500 여 명
영국 정보기구
4. 국방정보본부 (DIS: Defense Intelligence
Staff)
– 주요 군사 정보기관
– 국방정보분석참모부 (DIAS: Defense Intelligenc
e Analysis Staff) 와 정보지리자산참모부 (IGRS:
Intelligence and Geographic Resources Staff)
로 구성
프랑스 정보기구
• 프랑스 정보기구의 기원과 변천

– 1873 년 보불전쟁으로 프랑스가 패전 .


– 이를 계기로 정보활동의 필요성을 절감
– 군에 ‘첩보국’ 설치
– 1936 년 1 차 대전 종전 후 첩보국이 독립부서로
분리되어 ‘정보부’와 ‘방첩부’로 재탄생
– 1937 년 방첩전문기관인 ‘국토감시청’이 설립
프랑스 정보기구
– 1943 년 제 2 차 대전 중 드골 대통령에 의해
군정보기관과는 별도로 ‘총특무국’ 설립
– 총특무국이 ‘연구조사총국’으로 개칭 되면서
공작원 양성 , 통신 감청 기능 수행하면서
– 국내정치상황 감시와 공산주의자 등
반국가단체에 대한 견제 활동
– 드골이 물러나면서 ‘연구조사총국’ 해체 ,
해외정보 및 방첩국이 새로이 창설
프랑스 정보기구 현황
• 개관
– 내무부 산하에 ‘국내중앙정보국’ : 방첩 및
대테러 등의 임무 수행
– 국방부 산하에 ‘국방보안국’ 및 ‘
대외안보총국’ : 주로 해외정보 수집 업무
– 군산하에 ‘군사정보국’ : 국내외
군사정보수집
– 그 외에 5 개의 부문 정보기관 운영
프랑스 정보기구
1. 국내중앙정보국 (DCRI, 영문명 : Central
Directorate of Interior Intelligence)
– 내무부 산하 내무부장관이 직장
– 2008 년 국토안보부와 경찰청 산하 정보총국이
통합되면서 창설
– 약 3,300 여 명으로 방첩 , 테러대응 , 사이버
범죄 , 국가 전복 기도 및 국내질서 위해
단체들에 대한 감시 등 업무
프랑스 정보기구
2. 군사정보국 (DRM, 영문명 : Directorate of
Military Intelligence)
– 군 정보기관이 ‘군사정보국’과 ‘국방보안국’으로
구분
– 군사정보국은 군사정보 수집 및 분석
– 국방보안국은 기무사와 유사
– 군사정보국은 육군과 공군이 통합되어 운영 –
기술정보 , 영상정보 , 신호정보 수집 .
– 1986 년 군사정찰용 첩보위성 확보 운영
– 해군은 별도 정보기관 운영 : 특성상
프랑스 정보기구
3. 국방보안국 (DPSD, 영문명 : Dircetorate
of
Defense Protection and Security)
– 국방부 산하 정보기구
– 방첩 , 대테러 , 국가안보 위협 대응 , 국방대비
태세 점검 등 임무
프랑스 정보기구
4. 대외안보총국 (DGSE, 영문명 : The General
Directorate for External Security)
– 1982 년 “프랑스 안보에 유리한 정보를 추구하고
이용하며 , 국토 전역에 걸쳐 프랑스 이익에반대되는
간첩활동을 탐지하고 분쇄하는 것”
– 국가안보관련 정보와 경제정보 , 대테러정보확보
– 최근에는 산업정보활동의 보호 등 국익 강화에 주력
– 전략국 , 첩보국 , 공작국 , 기술국 , 행정국으로 조직
독일의 정보기구
• 독일 정보기구의 기원과 변천
– 1866 년 프러시와 - 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승리하고자 ‘정보국’ 창설 . 전쟁 승리에 큰
기여
– 제 1 차 세계 대전을 통해 급격히 팽창
– 그 후 전쟁 패배로 군사력 보유 및 정보기관
운영을 못하게 되었음 ( 베르사이유 조약 )
독일의 정보기구
– 히틀러 집권을 계기로 조약 파기 및 정보기구
설치 ( 예 , 친위부대 (SS))
– 제 2 차 대전 패배로 정보기구 해체
– 종전 후 독일 장군 겔렌에 의해 새로운 정보기구
설치
– 1956 년 4 월 서독정부 각의를 거쳐 총리실
산하에 ‘연방정보부 (BND)’ 를 설치하여 오늘날
독일연방 정보기관의 주역
독일 정보기구 현황
1. 연방정보부 (BND, 영문명 : Federal
Intelligence Service)
– 1956 년 창설
– 해외정보 수집 , 적국 정보기관에 대한 첩보수집 ,
인질 구출 등 해외특수임무 , 방첩 , 산업정보 수
집 , 국제테러 및 조직범죄 퇴치 , 마약밀매방지 등
– 동독 정보기관인 ‘슈타지 (STASI)’ 의 인적 청산
– 약 6,000 여 명 – 절반은 민간인 계약직 , 1/3 은
공무원 , 1/10 은 현역 군인으로 구성
독일의 정보기구
2. 연방헌법보호청 (BfV, 영문명 : Federal Office
for the Protection of the Constitution)
– 특징점 : 독일의 16 개 자치주에 각각의 ‘주헌법보호
청’이 설치되어 있음 ( 산하기관이 아닌 협력기관 )
– 1950 년 설립 , 연방내무장관 관할 방첩기관
– 방첩 , 외국의 정보활동과 극좌 및 극우 단체 등이 연루된
테러 방지업무에 비중
– 수사권 없음
– 각 주 헌법보호청은 50-400 명 정도 .
연방헌법보호청으로부터 독립 ( 인사 , 지휘권 받지 않음 )
독일의 정보기구
3. 연방군방첩국 (MAD, 영문명 : Military
Counter Intelligence Service)
– 1956 년 군 정보기관으로 창설
– 군사정보 보호 . 보안 위해행위 및 첩보수집 행위
탐지와 방지 업무
– 특징 : 군 정보기관임에도 수장에 민간인이 임명
– 해외정보 수집과 조사업무는 연방정보부와
협조하고 , 테러조직 및 극우 극좌세력에 대한
정보수집은 연방헌법보호청과 협조
이스라엘 정보기구
• 기원과 변천
– 1948 년 5 월 14 일 건국
– 2012 년 현재 인구 약 760 만 명 , 유대인이 76.4%
( 나머지 아랍인 )
– 모세의 에굽 탈출
– 벤구리온 : 영국이 국제연맹의 위임을 받아 통치하던
팔레스타인 지역의 유대인 자치구 초대수상 .
– 세계 각지의 유대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인간정보의
강점 ( 신호정보도 일찍 발달 )
– 철저한 국익우선으로 각국과 상호 협조 적대관계
이스라엘 정보기구
– 군정보부 아만 (Aman), 비밀정보부 모사드 (Mos
sad), 보안부 쉰벳 (Shin Bet) – 3 대 정보조직
– 정보기관은 정치활동에 불개입 전통
– 이스라엘 국민의 정보기관에 대한 신뢰 무한
– 정보 분석력 뛰어남
• 1991 년 후세인의 이라크가 이스라엘을 미사일로
공격 : 보복 하지 않음 ( 의도 파악 )
이스라엘의 정보체계
1. 비밀정보부 (ISIS: Israel Secret Intelligence
Service, 또는 Mossad)
1) 연혁
• 1948 년 5 월 14 일 영국의 위임통치 종식
• 주변 아랍국들과 팔레스타인의 아랍인들 이스라엘
끊임없는 공격
• 벤구리온 수상의 구상
• 1949 년 모사드 출범 – “정보는 건국 이래 적들에게
들러싸인 우리의 조국을 위한 최일선의 방어이다 …
우리는 우리 주위의 일을 항상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
이스라엘 정보기구
2) 구성 및 조직
– 미국의 CIA, 영국의 SIS, 러시아의 SVR 등과
같이 해외담당 국가정보기구
– 모토
• “ 너는 전략으로 싸우라 승리는 지략이 많음에
있느니라” , “ 도략이 없으면 백성이 망하여도 모사가
많으면 평안을 누리느니라”
• 국가를 지키려면 전쟁에서 승리해야 하며 , 승리를
위해서는 전략적 가이드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정보의
중요성 역설
이스라엘 정보기구
– 총 8 개국 중 일부는 비밀
• 정보수집국 – 정보 수집 외에 해외 작전기획 및 해외 지부 관
리 , 외교관 및 다른 신분으로 비밀리에 활동
• 정무연락국 – 외국 정보기구나 외교관계가 없는 외국과의 정보
업무 협력
• 특별작전국 –고도의 요인 암살 , 파괴 , 준군사작전 , 심리전

• 조사국 – 적국의 지역 및 핵관련 동향
• 기술국 –모사드 괄동 관련 기기 개발
– 유태인 이주활동을 할 수 없는 시리아 , 이란 등의
국가에서 유태인을 이스라엘로 이주 공작 및 해외
유태인 보호 활동도 함
이스라엘 정보기구
• 주요 사례
– 1960 년 아르헨티나에서 나찌 전범인 아이히만
(Adolf Eichman) 을 납치 이스라엘로 압송
– 2001 년 9.11 테러 직전 미국정부에 관련 정보
제공 (1 개월 전 미 CIA 와 FBI 에 미국
주요시설에 대한 중대한 공격이 있을 것을 예고 )
• 관념적 적과 우군으로 구별하지 않고 오로지
국익에 따라 구분 .
• 오늘날 경제 산업 분야 정보 수집에 우선
이스라엘 정보기구
2. 보안부 (ISA: Israel Security Agency,
또는 Shin Bet)
1) 연혁
– 1956 년 이스라엘 독립과 더불어 창설 .
– 처음에는 군 방위군에 속해 있다 독립
– 방첩 및 아랍계 이스라엘 국민의 정치적 행위 ,
친소련 야당 활동에 대한 감시기능
– 모토 : “ 보이지 않는 수호자 (Defender that Sha
ll Not Be Been)”
이스라엘 정보기구
2) 조직
– 아랍국 –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지역의
반테러리즘 활동을 관장
– 비아랍국 – 과거 주로 공산권 국가들과의
안보문제를 다루었으나 탈냉전 이후 비아랍인들이
개입된 안보 문제와 외국보안당국과의 안보 협력
– 보안국 – 보호할 필요가 있는 고위급 인사나 정부
건물 , 대사관 , 공항 , 연구기관과 같은 안보관련
건물 보호
이스라엘 정보기구
3) 특징
– 인간정보에 의존해 활동이 대부분
– 반이슬람 집단과 지도자 정보수집 및 암살 등
– 수감자 및 체포된 테러리스트로부터 잔혹한
심문을 통해 정보 수집으로 악명 .
– 쉰벳의 수장은 비밀로 하다가 최근 공개
– 금융기관을 국가 기관 인프라로 간주하고 요원을
파견해 컴퓨터 감시 – 반발 심했음
이스라엘 정보기구
3. 군정보부 (MID: Military Intelligence
Directorate, 또는 Aman)
1) 연혁
– 1950 년 창설 . 육해공군에 속하지 않는 약 7,000 여
명으로 구성된 독자적 군 정보조직 .
– 모태는 영국이 위임통치하던 팔레스타인에 있던
유태인 비밀 민병대 조직 하가나의 첩보조직인 샤이 .
– 유태인 구출 , 유태인 불법 이주 , 아랍 폭도 진압 등
이스라엘 정보기구
2) 조직 및 임무
– 정보국과 수집국 . 육해공군 및 지역사령부의
정보 부서도 관장
– 안보 및 국방 정책과 군사계획을 위한 저보분석 ,
군 및 정부기관에 정보 제공 , 전장에서의 안보
및 이를 위한 훈련과 작전 , 군사기밀 검열 ,
정보수집부대 운용 , 지도 작성 및 배포 등 임무
– 다른 국가 정보기관의 업무영역보다 넓음
이스라엘 정보기구
– 군사비밀로 분류된 것이 아니라도 국가안보와
관련된 사안이면 모두 검열 가능
– 과거 언론에 대한 검열 철저
– 안보에 민감한 정보나 뉴스는 ‘자기검열’
– 정찰대는 최전방이나 적의 후방에서 정보
수집하며 , 반테러리즘 작전이나 인질구출 활동
• 엔테베 작전 : 1976 년 7 월 3 일 이스랑엘에서
우간다 엔테베 공항으로 출발하는 에에 프랑스
민간여객기 254 명 구출작전 . 이스라엘 국민이 1/3
• 검은 9 월단 사건 : 1972 년…
중국의 정보기구
• 기원과 변천
– 1949. 10. 1. 국가수립
– 1921 년 당 창립
– 따라서 정보기구도 당 → 군 → 국가 순
– 1911 년 신해혁명의 발발로 국민당과 공산당 갈등과
내전 1949 년 공산당이 승리 ,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
– 1927 년 국민당 장개석이 공산당 탄압 , 샹하이
대학살 . 공산당은 홍군 ( 紅軍 ) 창설 .
– 1930 년 공산당 내에 중앙사회부가 창설 , 정보수집 .
중국의 국가정보체계
• 정보인프라 - 미국 , 러시아에 이어 세계 3
위 규모
• 당 , 정 , 군에 걸쳐 방대한 정보조직 보유
• 공산당 산하 – 당 중앙정법위원회 , 당
중앙통일전선공작부 , 당 중앙대외연락부
• 국무원 산하 – 국가안전부 , 공안부 ( 경찰 )
• 군 산하 – 군 총참모부 2, 3, 4 부와 총정치부
연락부 , 총정치보위부 등
중국의 정보기구
• 중국의 신화사 통신
– 일반적인 통신사의 기능 외에 전 세계의 소식을
수집 , 번역 , 요약 , 분석 → 관련부처에 보고
– 국가안전부 등 정보기관 요원들의 해외파견 때
신분을 위장하는 수단으로 사용
– 국내에 31 개 지부 , 해외에 107 개 지국
– 고용인원 : 약 10,000 여 명 .
중국의 정보기구
• 국가안전부
1) 창설배경과 변천
– 개혁개방과 더불어 당과 군이 주도하던 것에서
정부산하 조직적이고 전문적인 정보기관 통합
필요성
– 1983 년 7 월 설립
– 중국사회주의 체제를 파괴하거나 전복하려는
적대국의 요원 , 스파이 , 반혁명활동에 대응하여
효과적인 조치를 취하여 국가의 안전을 수호하는
책임
중국의 정보기구
• 1985 년 공안부 정보처장 위창성 ( 兪强聲 ) 이
미국 망명 .
– 미국 CIA 에 근무하는 중국인 간첩 색출 ( 深底魚 )
• 중국의 정보요원은 임무의 성격에 따라
해외지사에 6 년 , 10 년 , 장기 체류의 형태로
파견
• 전문요원 외에 중급의 기술과 데이터 수집을 위해
낮은 신분의 중국인 , 중국계 미국인을 채용 .
인센티브 제공 , 친분관계 이용 , 협박수단 활용
중국의 정보기구
2) 조직과 변화
• 정확한 자료 없음 ( 폐쇄성으로 인해 )
• 1996 년 해외정보활동 전반에 대한 개편
추진
• 1990 년 대 후반까지 외교정책은 뎡사오핑
( 鄧小平 ) 의 지침이었던 도광양회 ( 韜光養
晦 ) 의 속그적이고 현상수용적인 외교정책 .
중국의 정보기구
– 그 후 미국의 베오그라드 중국대사관 오폭사건 ,
가입 등으로 적극적 외교정책으로 전환
– 국가안전부의 조직도 적극적 다자주의 외교에 맞춰
해외정보활동 강화 , 확대
– 최근 정보화사회 : 컴퓨터 , 사이버공간 ,
정보통신과 관련되는 부처의 조직과 활동 강화
– 인터넷 사용자 (2012 년 기준 ) : 5 억 4 천명 ,
보급율 : 40%
– 경제성장과 더불어 원자재 , 에너지 자원 확보
정보 수집 활발
중국의 정보기구
• 미국을 주요 정보수집 대상국으로 설정
• 1990 년대 말 기준
• 미국내 중국 정보요원 수 : 1,500 여 명의
외교관 신분 , 15,000 여 명에 이르는 중국
유학생 , 10,000 여 명 정도의 각종 미국
방문단 인원
• 비공식 요원들의 ‘정보의 조각’들 수집
중국의 정보기구
• 주요 사례
– 1997 년 국립핵무기 랩에서 소형 핵탄두 설계 유출
– 2010 년 미국의 타이완 무기판매 관련 기밀문서
유출
– 2010 년 미국 보잉사 근무 미국인 Dongfan Greg
Chung 이 우주왕복선 , 로켓 , 수송기와 전투기 등
항공개발 게획과 방위산업 기밀 전달
– 2010 년 Chi Mak 은 해군함정 , 핵잠수함 등
군사기밀 유출 등
중국의 정보기구
• 중국의 경제정보 수집활동
– 국내에서 학자나 과학자들을 충원하여 정보를
구매하도록 해외에 파견
– 중국 기업이 필요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
기업을 매입하도록 하는 방식
– 위장회사를 세워 기술을 구매하도록 하는 방식 등
– 미국 FBI 의 발표 : 미국내 약 3,000 여 개의
위장회사
• 1993 년 빈우 (Bin Wu : 친서방 반정부 인사 협박 )
사건 – 3 세대 야간 투시장비 밀수 목적
중국의 정보기구
• 우호적인 통상정책 추진
– 1991 년 빌 클린턴의 재선과 민주당의원의 재선을
위해 기부금 기부 추진 .
• 미국에는 첨단 군사과학기술에 집중된 반면 ,
타이완에 대해서는 주로 통일과 관련된
정보활동에 주력 .
• 실패사례
– 1987 년 베트남 - 캄보디아 전쟁 . 베트남이
캄보디아를 침공하기 전 크메르루즈 정권이 베트남
침공 저지 가능 , 프놈펜 장악 불가로 판단 .
일본의 정보기구
• 기원과 변천
1) 제 2 차 세계 대전 이전
– 12 세기 막부통치 시기부터 시작된 것으로 평가
– 지방 호족들의 사정을 알기 위해 다수의
정보원을 활용 , 정탐활동
– 메이지 ( 明治 ) 유신 이후 정보수집에 큰 관심
일본의 정보기구
• 태평양 전쟁시기까지는 군의 정보기관과
경찰이 중추적 역할
• 1878 년 육해군 창설과 더불어 군 정보기관인
참모본부가 설립 , 육군정보기관인 ‘특무부
대’가 활동 개시 .
– 1881 년 헌병대 출범
• 1911 년 내무성의 민간인 사찰기구인
특별고등경찰 창설 . 일본 군부는 ‘나카노
학교’라는 정보요원 양성학교 설립 운영 .
일본의 정보기구
• 국책회사인 만주철도조사부를 만주 , 중국 및
동남아까지의 국제정세 , 현지 경제 및 법
관행조사 , 학술적인 역사 , 문화 , 지리를
총괄하는 종합연구기관으로 발전시킴 .
• 전후 일본의 해외 투자 및 무역에 관한 높은
수준의 조사활동 전개 현재 일본의
노무라종합연구소 및 미츠비시종합연구소들과
같은 대기업 내 연구기관의 해외 경제동향 및
정세분석의 모델 제시
일본의 정보기구
2) 제 2 차 세계대전 이후
– 전후 일본은 정보기관의 역할이 축소 .
– 군사안보보다는 경제중심의 대외관계가
중시되면서 , 국내 민간 연구기관과 해외에 파견된
종합상사의 상사원이 수집하는 경제 , 산업정보가
주축일 것이라고 생각 .
– 그러나 은밀히 계속된 군사 정보기구 운용 .
– 1952 년 내각관방장관 산하에 관방조사실 설치 .
국내 치안질서유지 위해 공안조사청 설치하여 국내
좌익 단체 활동 통제 및 국내정보 활동 개시
일본의 정보기구
3) 신정보기관의 구상
– 왜 일본에는 중앙정보기구가 설치되지 않았을까
?
– 그러나 전후 일본은 계속 중앙정보기구 설치
구상
– 초기 요시다 내각의 오가타의 정보기구 구상 :
언론과 사회당의 반발 ( 전시 중 언론 통제 ,
통신감청에 중점 , 사회당의 공산주의 세력 탄압
우려 )
일본의 정보기구
• 오게타 구상 물거품
• 1953 년 관방조사실을 확충하는 방안으로
결론
• 대륙문제연구소나 아시아문제연구소와 같은
외곽단체에 정보활동 위탁하여 정보수집
방안 강구
일본의 국가정보체계
1. 일본 정보기구의 조직과 활동
– 중앙정보기관은 없음
– 내각정보조사실을 중심으로 각 성 , 청별로 정보기관
운영
– 국가정보기관으로 내각정보조사실
– 군사정보 – 방위성의 정보본부
– 국내정보 – 경찰청의 경비국 , 외사국과 법무성의
공안조사청
– 국제정보 – 외부부의 국제통괄관조직 및 매스컴이나
기업이나 내각이 지원하는 외곽단체 등
일본의 정보기구
1) 내각정보조사실
– 1952 년 일본 최초의 국가적 차원의 정보기관으로
총리부 산하에 설치
– 내각의 중요정책에 관한 정보의 수집 및 분석 ,
조사 업무 담당
– 민간연구소 등 많은 외곽단체를 운영 , 정보수집 및
분석 .
– 17-25 개의 외곽단체 : 세계정경조사회 ,
국제정세연구회 , 내외정세조사회 , 라디오프레스 ,
일본무역진흥기구 등
일본의 정보기구
2) 방위성 정보본부 (DIH: Defense
Intelligence Headquarters)
– 외국의 군사정보를 산하 기구에서 수집 분석
업무 수행 . 통합적 차원에서 1997 년 설치
– 2009 년 기준 2,414 명 근무 , 계속 증가 추세
– 각종 정보 집약 , 종합적으로 처리 , 분석 ,
국제군사정세 등 방위성 , 자위대 전반을 통해
필요한 전략적인 정보를 작성 .
일본의 정보기구
3. 법무성 공안조사청 (PSIA: Public Security
Intelligence Agency)
– 파괴활동방지법과 무차별 대량 살인행위를 실시한
단체의 규제에 관한 법률에 기초하여 테러 조직 ,
폭력단체 등 일본에 대한 치안 , 안전 보장상의
위협에 관한 정보를 수집 , 분석하는 정보기관 .
– 일본 공산당의 규제에 염두를 두고 제정
– 1994 년 옴 진리교 사건 ( 지하철 독가스 등 ) 을
계기로 1994 년 수정하여 적용 요건 완화
일본의 정보기구
– 강제권 없음 .
– 조직 내부에 협력자 ( 스파이 ) 를 만들어 정보를
입수하는 것을 목표로 공작활동 전개 .
– 주요업무는 국내외 정보 , 자료의 수집 , 분석 ,
평가와 단체규제 및 행정기관에의 정보제공이며 ,
주로 테러 , 북한의 핵 , 미사일 및 납치문제 등
국제관계와 대량살상 단체 그리고 옴 진리교
같은 국내 단체를 주요 대상으로 정보활동 .
일본의 정보기구
4) 경찰청 경비국
– 경찰청 산하의 정보기관은 경찰청의 경비국 ,
경시청의 공안부 , 도부현의 경찰본부 경비부 ,
경찰서의 경비과 , 공안과로 구별 .
– 경비국은 경비경찰과 공안경찰로 대별
– 국제테러조직 , 구 공산권 등 외국 첩보기관 ,
일본 공산당 , 시민활동 , 컬트 단체 , 우익 단체 ,
극좌 단체 등에 대한 사찰이나 협력자 관리가
주된 임무 .
일본의 정보기구
5) 외무성 국제정보통괄관조직 (Intelligence
and Analysis Service)
– 정보의 분석 , 평가를 전문적으로 실시하는
외무성 산하의 조직 .
– 변화하는 국제 정세에 기민하게 대응하고 ,
중요한 정보와 정확한 정세를 판단하여 정책에
반영하고자 하는 목적
– 자체 정보수집활동은 하지 않으나 분석 ,
평가기관으로서의 성격 강함
일본의 정보기구
2. 정보의 집약과 공유
– 각 성과 청은 정보를 집약하고 공유하기 위해
하나의 정보공동체를 구성 .
– 내각정보조사실을 중심으로 방위성 , 공안조사청 ,
경찰청 , 외무성 등 정보기관 및 관계기관 등의
상시적 정보공유를 기본원칙
– 합동정보회의와 내각정보회의를 통해 상시적
정보공유체제 유지
– 정보기능의 강화 , 정보수집의 강화 , 집약 , 분석 ,
공유기능의 강화 , 정보 보전의 철저 등을 목적
일본의 정보기구
2. 일본의 최근 동향
– 내각을 중심으로 한 정보기관의 강한 움직임
– 내각기관에 대한 정보 지원 기능 강화
– 각 성 , 청 내 정보기관의 역할 강화
– 북한의 대포동 미사일 발사에 따른 불안감
– 미국의 협조하에 미사일방어체계 전력 강화
– 기반적 방위력에서 동적 방위력으로 안보전략 전환
– 지진 , 쓰나미 등 재난 상황에 대한 대비책 강구
– 방위력 증강 ( 이지스함 , 잠수함 , 패트리어트 지대공
미사일 등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