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5

Kinesiology

가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최원호 교수
INDEX

근육뼈대의 힘

근육뼈대의 토크

근육과 관절의 상호작용

근육뼈대의 지레
생체역학

01 정의

힘이 생명체 내에서 상호작용하는지를 정량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물리학의 원리를 사용하는 학문
역학적인 힘은 물체들간의 동작 (motion) 변화의 결과에 따른 상호작용이다 .
I. 근육뼈대의 힘

01 정의

물체에 대한 힘의 효과

힘 (force) 이라는 것은 움직임을 만들 수 있거나 , 정지시키거나 , 또는


수정할 수 있는 밀기 (push) 나 당김 (pull).

•F=ma

힘의 표준 국제단위 : N. 1N=1kg×1m/sec 2
I. 근육뼈대의 힘

01 정의

부하 : 신체에 작용한 힘

장력 (tension): 물질을 멀어지게 당기거나 분리시키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힘들의 적용

압박 (compression): 접촉면에 수직으로 적용된 힘으로 , 한 물체를 다른 물체에 대해 직접적으로 밀거나 당긴


다.

굽힘 (bending): 긴 축 (long axis) 의 직각방향에서 물질을 변형시키는 힘의 작용

전단 (shear): 두 개의 압박된 물체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미끄러질 때 생산된 힘


I. 근육뼈대의 힘

01 정의

부하 : 신체에 작용한 힘
I. 근육뼈대의 힘

01 정의

Stress
내부저항을 단위면적으로 나누는 것 (N/mm )
2

Strain
원래 길이에 대한 신장된 길이의 증가비율 (%)
I. 근육뼈대의 힘

01 정의

Viscoelastic
시간에 따라 변하는 응력 - 변형률 곡선과 연관된 물리적 특성

Creep
일정시간동안 부하가 가해졌을 때 나타나는 물질의 점진적 변형률
I. 근육뼈대의 힘

02 내적인 힘과 외적인 힘
I. 근육뼈대의 힘

03. 벡터와 스칼라

벡터 (vector): 크기와 방향을 갖고 있는 물리량


벡터 (vector)- 크기와 방향을 갖고 있는 물리량
• 크기 (magnitude)
- 크기 (magnitude)
• 공간적 방위 (spatial orientation)
- 공간적 방위 (spatial orientation)
• 방향 (direction)
- 방향 (direction)
• 작용점 (point
- 작용점 (point of application)
of application)

스칼라스칼라
(scala):
(scala) 란크기를 갖는
- 크기를 갖는 물리량
물리량
Ⅱ. 근육뼈대의 토크

01 정의

Moment arm
돌림축과
벡터 (vector)- 크기와힘사이의
방향을 갖고수직거리
있는 물리량

- 크기 (magnitude)
Torque
- 공간적 or Moment
방위 (spatial orientation)
힘과- 방향
모멘트팔을
(direction) 곱한것
토크는 주어진 돌림축에- 작용점
대해 (point
수직관계에 있는 운동면
of application) 내에서 일어난다 .
스칼라 (scala) 란 - 크기를 갖는 물리량
Force and Torque
힘은 물건을 선형의 방식으로 밀거나 당긴다 .
토크는 물건을 돌림축에 대해 회전시킨다 .
Ⅱ. 근육뼈대의 토크

01 정의

벡터 (vector)- 크기와 방향을 갖고 있는 물리량

- 크기 (magnitude)
- 공간적 방위 (spatial orientation)
- 방향 (direction)
- 작용점 (point of application)

스칼라 (scala) 란 - 크기를 갖는 물리량


Ⅱ. 근육뼈대의 토크

01 정의

• 내적인 토크 : 내적인 힘과 내적인 모멘트팔을 곱한것


벡터 (vector)- 크기와 방향을 갖고 있는 물리량
• 외적인 토크 : 외적인 힘과 외적인 모멘트팔을 곱한것
- 크기 (magnitude)
- 공간적 방위 (spatial orientation)
- 방향 (direction)
- 작용점 (point of application)

스칼라 (scala) 란 - 크기를 갖는 물리량


Ⅲ. 근육과 관절의 상호작용

01 근육활성의 유형

벡터 (vector)- 크기와 방향을 갖고 있는 물리량

- 크기 (magnitude)
- 공간적 방위 (spatial orientation)
• 근육이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면서
- 방향 (direction) 당기는 힘을 생산
- 작용점 (point of application)

• 내적인
스칼라 토크
(scala) 란 = 갖는
- 크기를 외적인
물리량 토크

• 근육의 짧아짐이나 돌림운동은 없다


Ⅲ. 근육과 관절의 상호작용

01 근육활성의 유형

벡터 (vector)- 크기와 방향을 갖고 있는 물리량

- 크기 (magnitude)
- 공간적 방위 (spatial orientation)
• 근육이 수축하면서
- 방향 (direction)당기는 힘 생산
- 작용점 (point of application)

• 내적인
스칼라 (scala) 토크 > 갖는
란 - 크기를 외적인물리량토크
Ⅲ. 근육과 관절의 상호작용

01 근육활성의 유형

벡터 (vector)- 크기와 방향을 갖고 있는 물리량

- 크기 (magnitude)
- 공간적 방위 (spatial orientation)
• 근육이 좀 더 우세한 다른 힘에
- 방향 의해 길어지는
(direction) 만큼 당기는 힘 생산
- 작용점 (point of application)

• 내적인
스칼라 토크
(scala) 란 < 갖는
- 크기를 외적인
물리량 토크
Ⅲ. 근육과 관절의 상호작용

02 관절에서의 근육작용

근육이 특정 돌림운동 방향과 운동면에서 토크를 유발


벡터 (vector)- 크기와 방향을 갖고 있는 물리량

- 크기 (magnitude)
- 공간적 방위 (spatial orientation)
- 방향 (direction)
- 작용점 (point of application)

스칼라 (scala) 란 - 크기를 갖는 물리량


Ⅲ. 근육과 관절의 상호작용

02 관절에서의 근육작용

벡터 (vector)- 크기와 방향을 갖고 있는 물리량

- 크기 (magnitude)
- 공간적 방위 (spatial orientation)
• 특정 움직임의 시작과 실행에 가장
- 방향 직접적으로
(direction) 관계되는 근육이나 근육 군
- 작용점 (point of application)

스칼라 (scala) 란 - 크기를 갖는 물리량


Ⅲ. 근육과 관절의 상호작용

02 관절에서의 근육작용

벡터 (vector)- 크기와 방향을 갖고 있는 물리량

- 크기 (magnitude)
- 공간적 방위 (spatial orientation)
• 특정 작용근의 반대작용을
- 방향 (direction) 갖는 근육이나 근육 군
- 작용점 (point of application)

스칼라 (scala) 란 - 크기를 갖는 물리량


Ⅲ. 근육과 관절의 상호작용

02 관절에서의 근육작용

벡터 (vector)- 크기와 방향을 갖고 있는 물리량

- 크기 (magnitude)
- 공간적 방위 (spatial orientation)
• 특정 움직임이 실행되는 동안 서로
- 방향 (direction) 협력하는 근육들
- 작용점 (point of application)

스칼라 (scala) 란 - 크기를 갖는 물리량


Ⅲ. 근육과 관절의 상호작용

02 관절에서의 근육작용

벡터 (vector)- 크기와 방향을 갖고 있는 물리량

- 크기 (magnitude)
- 공간적 방위 (spatial orientation)
• 둘 또는 그 이상의 근육들이 다른- 방향 선형방향에서
(direction) 작용하나 같은 돌림운동 방향으로의
토크를
- 작용점 생산해
(point 내는 것
of application)

스칼라 (scala) 란 - 크기를 갖는 물리량


Ⅳ. 근육뼈대의 지레

01 지레의 3 가지 유형

지레 (lever) 의 기능 : 직선의 힘을 돌림의 토크로 전환


벡터 (vector)- 크기와 방향을 갖고 있는 물리량
지레작용 (leverage): 특정 힘이 갖는 상대적인 모멘트 팔의 길이
- 크기 (magnitude)
- 공간적 방위 (spatial orientation)
- 방향 (direction)
- 작용점 (point of application)

스칼라 (scala) 란 - 크기를 갖는 물리량


Ⅳ. 근육뼈대의 지레

01 지레의 3 가지 유형

벡터 (vector)- 크기와 방향을 갖고 있는 물리량

- 크기 (magnitude)
- 공간적 방위 (spatial orientation)
- 방향 (direction)
- 작용점 (point of application)

스칼라 (scala) 란 - 크기를 갖는 물리량


Ⅳ. 근육뼈대의 지레

02 역학적 이득

역학적 이득 (mechanical advantage, MA)


- 외적인 모멘트팔에 대한 내적인 모멘트팔의
벡터 (vector)- 크기와 방향을 갖고 있는 물리량 비율

제 1 형 : MA=1, MA<1, 또는 MA>1


- 크기 (magnitude)
- 공간적 방위 (spatial orientation)
제 2 형 : MA>1
- 방향 (direction)
- 작용점 제(point
3형 : MA<1
of application)

스칼라 (scala) 란 - 크기를 갖는 물리량


THANKS YOU
FOR
YOUR ATTENTION.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