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개항 이후 경제 변화와

경제적 구국 운동의 전개
개항 이후 조선

곡물의 유출을 막는 방곡령

상권과 이권 수호 운동

국채 보상 운동 , 나라 빚을 갚자
주요 용어 정리
방곡령 :   식량난 해소를 위해 식량 수출을 금지하는 명령

관세권 : 국제 무역에서 상품에 부여되는 세금

조 . 일 통상 장정 체결 : 관세권의 설정 , 방곡령 선포 등을 포함한 장정을 말함

시전 상인 : 개경과 한양에 있는 상점에서 물건을 파는 상인

철시 투쟁 : 가게를 닫으며 투쟁하는 것

보안회 : 대한 제국의 항일 단체

통감부 : 대한제국 한성부 ( 서울 ) 에 설치했던 정치와 군사 관련 업무를 보는 관청

배일 운동 : 일제를 주축으로 한 제국주의 침략에 대항하여 한민족의 독립을


수호 . 쟁취 하려는 일제의 운동
개항 이후 조선
외국 상인들 , 본격적으로 들어오기 시작 , 조선 상인과의 경쟁

정부 : 국제적 통상 관례에 맞춘 무역 활동 관리 , 경제 발전 도모
일본과의 무역 상황 개선 – 관세권의 설정 , 방곡령 선포 등을
포함한 조 . 일 통상 장정 체결 (1883), 효율적 운반을 위한 기선
구입 , 해운 회사 ( 이운사 ) 수송사업까지 확대 .

민간인 : 자본 축적 성공 . 상회사를 세우고 외국 자본과 경쟁 .


ex) 대동 상회 : 평안도 상인들이 설립 , 전국에서 쌀 , 쇠가죽
거래 후 해외 무역 진출

민간은행 : 1st. 조선은행 (1896) 2nd. 한성은행 (1897)


3rd. 대한천일은행 (1899)
그러나 일본의 화폐 정리 사업으로 큰 타격 ,
외국 자본과의 경쟁에 밀려 근대적 민족 자본으로 성장하는데 어려움
곡물의 유출을 막는 방곡령
개항 직후 : 일본 상인이 쌀과 콩 등의 곡물을 사들이면서
가격이 폭등 , 흉년이 겹쳐 곡물 크게 부족 .
함경도 , 황해도 , 충청도 등지에서 지방관이
곡물의 유출을 막기 위한 방곡령을 내림

조병식 : 함경도 관찰사 , 조 . 일 통상 장정에 따라 1 개월 전에


외교 담당 관청에 알리고 방곡령 실시 .
그러나 일본은 통보를 늦게 받았다는 구실로
방곡령 철회 , 막대한 배상금까지 받아냄 .
상권과 이권 수호 운동
조 . 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체결 후
청 . 일 상인은 서울에 상점 설치 , 상권 확대

시전상인 : 외국 상점의 퇴거 요구 , 철시 투쟁 전개
황국 중앙 총상회 조직 , 외국 상인의 불법적 상업
활동을 막고 상권 수호 .

독립협회 : 이권 수호 운동 활발히 전개 . 만민 공동회를


개최하여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 좌절 .
한 . 러 은행 폐쇄 , 프랑스 . 독일 등의 광산 채굴권 요
구 저지 .
일본 : 토지를 약탈하기 위해 국가 or 황실이 소유한 황무지의
개간권을 양도 요구 . 보안회가 조직되고 , 반대 운동 전개 ,
개간권 요구 철회 .
국채 보상 운동 , 나라 빚을 갚자
일본 : 통감부 설치 , 적극적 차관 제공 . 식민지화의 토대를 닦기
위해 경찰 기구 강화 , 각종 시설 만듦 .
그 결과 나라 빚 급증 . 1907 년에는 대한 제국의 1 년
예산인 1300 만원에 달함 .

국민 : 성금을 모아 나라 빚을 갚고 국권 수호 , 전국으로 확산 .
국채 보상 기성회 조직 , 언론 기관이 모금 운동에 앞장 섬 .
담배 끊기 , 패물 모으기로 성금을 냄 . 교포들도 동참 .
일본은 이 운동을 배일 운동으로 간주 , 양기탁 구속 , 계속
탄압 . 결국 국채 보상 운동은 중단되었다 .
확인 문제
1. 관세권의 설정 , 방곡령 선포을
포함한 1883 년 체결된 장정은 ?

조 . 일 통상 장정
2.이권 수호 운동 활발히 전개하고 만민
공동회를 개최하여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를
좌절시킨 기구의 이름은 ?

독립협회
독서 활동 ( 한국 근대사 산책 )
- 한국의 개항 이후 방곡령 , 국채보상운동
등 여러 활동들을 다룬 책이다 .

- 쌀 유출의 문제가 커지자 정부는 방곡령을


합법적으로 시전할 수 있는 정책 존재 .

- 일본이 식민지화를 이유로 막대한


돈을 썼다 . 그걸 민중들이 갚자는
운동인 국채보상운동을 전개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