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대단원 Ⅰ. 전근대 한국사의 이해 중단원 6. 양반 신분제 사회와 상품 화폐 경제 no.

13

학습 주제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조선 후기 경제) 교과서 70-74

반 번호 이름

1. 조선 후기 수취 체제의 변화
▶ 조세·공납·역의 의미 ◑
16세기 이후 방납의 폐단 심화(공물 납부 어려움 → 상인·하급관리가 물품을 토지세, 수확량의 10분의 1
배경
구입하여 대신 납부하는 방납 시행 → 방납 과정에서 중개인들의 폭리) 을 쌀, 콩 등으로 징수
전세
<공납> cf)공법 실시(세종) : 토질과
내용 가호마다 토산물 징수 → 토지 결수에 따라 쌀·삼베·무명·동전 등 징수
대동법 풍흉을 고려하여 차등 부과
① 농민 부담 감소 ↔ 지주들의 세금 부담 증가 중앙 관청에서 지역 토산물
(광해군)
공납 을 각 군현에서 가호에 할당
결과 ② 상품 화폐 경제 발달 ↳(지주들의 반대로 전국적으로 시행되기까지 약 100년이 걸림)
하여 징수
: 공인 (정부에 관수품 조달) 등장 → 농민들의 토산물 판매(대동세 마련) 16세~60세까지의 양인 남자

배경 왜란 이후 경작지 황폐화, 토지 대장에 등록된 토지 누락으로 전세 징수 어려움 에게 부과
<전세>
영정법 내용 풍흉에 관계없이 토지 1결당 쌀 4~6두 징수
(인조) 결과 농민의 전세 부담 감소, but 토지가 없는 농민에게는 도움이 되지 않음
배경 16C 이후 군역 기피 → 군역 대신 군포로 납부, 일부 수령과 아전의 불법 징수
<역>
장정 1인당 군포 1필만 징수
영정법 내용
↳ 정부의 재정 보충 : 결작(1결당 2두), 선무군관포(매년 군포 1필)
(영조)
결과 상민의 군포 부담 감소(일시적), 폐단 시정 X

▶ 모내기법(이앙법) ◑
2. 조선 후기 농업 생산력의 증대 : 모판에서 모를 길러 두었다가 본
논에 옮겨 심어 벼를 경작하는 방법
개간 장려 정부의 개간 장려(면세 혜택) → 경지 면적 증가
→ 단점 : 봄에 가뭄이 들면 1년 농
( 모내기법 ) 보급 작은 규모의 보(洑)를 쌓아 가뭄에 대비 → 모내기 확대 → 농업 생산력 증가 사를 망치기 쉬움
⦁배경 : 모내기법 등으로 노동력 크게 절감
⦁내용 : 경작의 토지 규모 확대 ▶ 모내기법(이앙법)의 이점 ☆
( 광작 ) 유행 ⦁결과 : 농민층 분화 ① 김매기 노동력 절감

- 일부 농민 : 광작 → ( 부농층 )으로 성장 ② 모판의 튼튼한 모로 인해


수확량 증대
- 대다수 농민 : 토지를 잃음 → 도시의 영세 상인, ( 임노동자 )로 전락
⦁의미 : 시장에 팔기 위해 작물을 재배하는 농업 ③ 이모작 가능
( 상업적 )농업 (1년에 벼와 보리 농사)
⦁도시 인구 증가, 상품 유통 활발 → 쌀의 상품화, 상품 작물 재배 확대
발달
⦁결과 : 상품 작물 재배로 높은 소득을 올린 농민이 부농층으로 성장
▶ 조선 후기 상업과 무역 활동
3. 조선 후기 상품 화폐 경제의 활성화
배경 양 난 이후 도시 인구 증가, 농업·수공업 생산력 증가로 상품 화폐 경제 활성화
( 공인 ) 대동법 실시로 등장, 관수품 조달 과정에서 상업 발달에 기여
⦁시전 상인, 공인 등과 경쟁하며 상권 점차 확대
주도층 ⦁통공 정책(육의전 제외 시전상인의 금난전권 폐지) → 상업 활동의 자유
( 사상 )
⦁도시 거점으로 특정 물품을 대량 거래 → 도고(독점적 도매 상인)로 성장
ex) 경강상인(한성), 송상(개성), 만상(의주), 유상(평양), 내상(부산)
발달 양 난 이후 상품 생산과 유통 활발
유통 내용 시전 수 증가, 지방 장시(5일장 등) 증가, 포구가 상업의 중심지로 발전
경제 대외무역 개시 무역, 후시 무역 성행
활성화 ( 상평통보 )가 전국적으로 유통
화폐유통
→ 18세기 후반 조세·지대의 금납화, 신용화폐(어음, 환 등) 이용

4. 조선 후기 민영 수공업과 광업 발달
① 도시 인구 증가 → 수공업 제품의 수요 증가
배경 ② 대동법 실시 → 관청의 물품 수요 증가
민영
→ 관청 수공업자 : 등록된 관청에서 일하기를 거부
수공업
정책 변화 세금(장인세)을 내는 조건으로 장인 등록제 폐지(관영 수공업 쇠퇴)
발달
⦁( 선대제 ) 방식 : 상인의 주문을 받아 수공업자가 제품을 생산
운영 방식
⦁독립 수공업자 등장 : 수공업자가 독립적으로 제품 생산 및 판매
배경 청과의 무역으로 결제 수단인 은의 수요 증가 → 은광 개발 활기
광업 정책 변화 민간의 광산 개발 허용 대신 세금 징수
발달 덕대(전문 경영인)이 물주(상인)으로부터 자본을 조달받아 광산 경영
운영 방식
→ 분업·협업(채굴,운반,제련 등)발달, 자본·경영·노동 분리의 생산 방식 등장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