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5

기축통화의 한계: 트리핀의 딜레마

• 한국전쟁(1950-53), 베트남 전쟁(1955-1975) 수행 과정에서 과도한


달러 발행 및 공급

• 마셜 플랜(Marshall Plan: 미국의 대유럽 원조) 및 수입 증가 등으로


외국으로 빠져나가는 달러 급증

• 1959년 미국이 금 보유량을 초과한 달러의 공급


• 1950년대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가 이어지자,
이런 상태가 얼마나 지속될지, 미국이
경상수지 흑자로 돌아서면 국제 유동성을
공급할 주체는 있는지 등에 대한 논의 진행

• 1959년 미 의회 연합경제위원회(Joint Economic Committee)에서 예일대


경제학과 교수였던 Robert Triffin은 미국의 지속적인 무역수지 적자와
기축통화의 역할은 양립할 수 없다고 증언
 ‘트리핀의 딜레마’(Triffin’s Dilemma)
기축통화로써의 달러에 대한 신뢰
경상수지 적자 달러 공급 증가
결제수단 역할 확대 상실

기축통화로써의
달러 가치 하락
기능 상실
기축통화
(미국 달러)

기축통화로써의
경상수지 흑자 달러 공급 감소 결제 기능 축소
기능 상실

 브레튼 우즈 체제는 지속될 수 없다!!!!


$ KOREA 반도체

자동차 $

China
U.S.A $ $
가전제품
$ 원유
장비

Saudi
Vietnam
Japan
• 금본위제 하에서 달러 공급을 늘리면서도 달러 가치를 유지하는 방법은 없다!!!

$35/oz

0.02857oz/$
$37.5/oz

0.02667oz/$

$56 million $60 million


• 특정 국가의 화폐를 기축통화(Reserve Currency)로
설정하면 피할 수 없는 문제

• 별도의 기축통화(new reserve units)를 만들어야 함


- 금이나 특정 국가 화폐와 연계되지 않아야 함

• 케인즈(John Maynard Keynes): 금이나 중앙은행들의 연합으로 국제


통화(global currency) 발행하는 방안
• SDR(special drawing right, 특별인출권): IMF 등 제3의 기관이 관리하는 자산
• 1933년 미국은 대통령 명령 제6102호로 모든 금 몰수
- 가격: $20.67/oz(1934년)  $35/oz (1935년)

• $35/oz는 1944년 브레튼 우즈 체제에서 그대로 적용

• 1960년경 영국 런던의 금 가격은 $40/oz로 상승


시장 참여자 국제 거래

(시장) (미국 정부)

$35 Gold 1oz

(달러)

$40 Gold 1.14oz


외국 정부 미국 정부

(gold)
$45.6 Gold 1.30oz

$52 Gold 1.49oz


• 1961년 11월 골드 풀(London Gold Pool) 도입
- 1960년 10월 달러 불안으로 금 가격이 폭등: 공식가격은 ‘1온스=35달러’
였지만, 런던 금 시장에서 40달러 이상으로 거래
- 금 가격 안정을 위해, 미국(50%), 영국(9.25%), 프랑스(9.25%), 서독(11%),
이탈리아(9.25%), 네덜란드(3.75%), 벨기에(3.75%), 스위스(3.75%) 등
8개국 중앙은행들이 보유 금의 일부를 한 곳에 모아두었다가 활용하기로 합의
• 1962-65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대규모 금광 발견  금값 하락
- 중앙은행들, 13억 달러 규모의 금 매입
• 1964년 통킹만 사건을 계기로 미국 베트남전 참전
- 전비 조달을 위해 달러 발행량 급증
• 1966-68년 인플레이션으로 금 가격 지속 상승
 골드 풀에서 37억 달러의 금 매각
 1962-68년 사이 24억 달러 이상의 손실 발생
• 1966년 미국 이외의 국가들이 보유한 달러: 140억 달러
- 미국의 금 보유량은 132억 달러 가치
($13,200,000,000 / $35/oz = 377,142,857 oz = 11,760 tons)
- 당시 미국 내 자산 제외하면, 국제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금액은 32억 달러
($3,200,000,000 / $35/oz = 91,428,571 oz = 2,843 tons)
• 미국이 보유하고 있는 금으로는 다른 국가들이 보유하고 있는 140억 달러 보장
불가능
• 1967년 프랑스 금풀 제도에서 사실상 탈퇴
• 1968년 3월 17일 국제 금 풀 제도 붕괴
- 중앙은행들, (i) 2주간 런던 금시장 폐쇄 (ii) 금에 대한 이중가격제 도입
- 각국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 중지
- 국가간 금 거래 가격은 ‘1온스=35달러’ 유지
• 1971년 접어들면서 금 가격은 44달러까지 급등
• 1971년 5월 독일, 8월 스위스, 브레튼 우즈 체제 탈퇴
• 금으로의 교환 급증
- 스위스 (5천만 달러), 프랑스 (1억 9,100만 달러)
닉슨 쇼크(Nixon Shock)
• 공식적인 교환비율($35/oz)과 시장가격과의 차이로
인해 미국의 금 보유량 고갈
• 1971년 8월 15일 닉슨 대통령, 금으로의 교환 중지
선언

• “The third indispensable element in building the new prosperity is closely related to
creating new jobs and halting inflation. We must protect the position of the American
dollar as a pillar of monetary stability around the world. In the past 7 years, there has
been an average of one international monetary crisis every year… I have directed
Secretary Connally to suspend temporarily the convertibility of the dollar into gold or
other reserve assets, except in amounts and conditions determined to be in the interest
of monetary stability and in the best interests of the United States.”(1971. 8. 15)
• 미국, 수입품에 대한 10%의 수입 과징금 부과 및 90일간 임금과 물가 동결
• 스미소니언 협정(Smithsonian Agreement, 1971년 12월)
- ±2.25% 범위 내에서 oz당 35달러를 38달러로 조정
- G10 국가들의 화폐가치 인상: 독일 마르크 13.6%, 일본 엔화 16.9% 등
- 수입 과징금 폐지
• 1973년 2월, 고정환율제 폐지
• 1976년 1월 IMF 잠정위원회(자마이카 킹스턴)에서 공식적으로 변동환율제
합의  킹스턴 체제(Kingston System) 출범
• 금본위제 하에서 달러 공급을 늘리면서도 달러 가치를 유지하는 방법은 없다!!!

• (해결책 1) 현재의 틀 밖에서 해결하는 방안


- 특정 국가의 화폐가 아닌 제3의 화폐를 채택 및 사용
예) 트리핀 교수 등

• (해결책 2) 현재의 틀 안에서 해결하는 방안


- 일반상품처럼 수요와 공급에 의해 가치가 결정되도록 하는 방법
달러 가치
S0 • 달러 발행량 증가: Q0  Q1
D

 달러 가치 하락 : P0  P1
S1
P0 A

• 달러 발행량을 늘리면서도 달러
B
가치 유지하는 방법은?
P1

Q0 Q1 달러 수량
• 조선 말기인 1866년 흥선대원군이 경복궁
중건을 목적으로 발행한 화폐
• 앞면에는 ‘상평통보,’ 뒷면에는 ‘호대당백’
 호조에서 발행한 상평통보(당일전) 100개의
가치를 가짐
• 공식적으로는 일반 상평통보(당일전)의 100배에 해당되었으나 실제 가치는 5-
6배에 불과
• 물품 대금 지급수단으로는 사용, 그러나 세금으로는 받지 않음
• 1866년 11월부터 1867년 4월까지 1,600만 냥 발행
• 화폐가치 하락으로 물가 급속히 상승: 700문(쌀
한 석, 1866. 12)  4,000문(1867년)
• 기존 화폐 보관하고 당백전으로만 사용
• 위조화폐의 범람
• 1967년 4월 주조 중단 및 회수 시작

• “땡전 한 푼 없다”: 당백전  땅전  땡전


<화폐가치와 물가>
• 버스 1회 승차요금: 1,000원  1,500원
 물가가 올랐다!!  시장의 원리에 의한 물가 상승
 책임은 시장(market)에

• 1,000원당 버스 승차 횟수: 1회  0.67회


 화폐가치가 하락했다!!!  화폐 발행 증가에 따른 영향
 책임은 국가에
달러 가치 D1 • 달러 발행량 증가: Q0  Q1
S0
D0
 달러 가치 하락 : P0  P1
S1
P0 A C
• 달러에 대한 수요 증가: D0  D1
 달러 가치 : P0
P1 B

• 부(wealth)의 양: P0AQ0O 
P0CQ2O

O Q0 Q1 Q2 달러 수량
Q1) 달러에 대한 수요를 어떻게 만들어낼 것인가?

Q2) 그 수요를 어떻게 지속적으로 유지할 것인가?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