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한 국 사 안중 사탐 1번가 – 스터디올킬

2. 경제 정책과 경제 활동
[II.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 토지 제도와 수취 체제의 정비
1. 전시과(관리나 직역 담당자에게 전지와 시지를 나누어 주어 수조권을 행사할 수 있게 한 제도)
#수조권: 토지에서 조세를 거둘 수 있는 권리
#전지: 작물을 재배하는 경작지 / # 시지: 땔감을 얻을 수 있는 땅
① 변화 과정: 역분전(태조-후삼국 통일 이후 공신에게 지급)
→ 시정 전시과(경종) → 개정 전시과(목종) → 경정 전시과(문종)
구분 시기 지급 기준 지급 대상 특징
시정 전시과 경종(976) 관직의 높낮이, 전 ‧ 현직 관료 공복제도, 역분전을
인품 반영 토대로 마련
관직만을 기준으로 인품 반영 문제 개정,
개정 전시과 목종(998) 18등급으로 구분 전 ‧ 현직 관료 지급량 재조정
경정 전시과 문종(1076) 관직만을 기준으로 현직 관료 토지 부족으로 개정,
18등급으로 구분 지급량 재조정

② 특징: 수조권 지급, 점차 관직 기준으로 지급


③ 전시과 제도의 붕괴: 12세기 이후 문벌귀족의 대토지 집적으로 제대로 운영되지 못함
→ 무신정변 이후 무신 집권자들아 대토지를 차지하면서 붕괴됨.

2. 전시과에서의 토지 종류
문무 관리에게 관직의 높낮이에 따라 지급,
과전
받은 관리가 죽거나 관직에서 물러나면 반납하는 것이 원칙
공음전 5품 이상 관리에게 지급, 자손에게 세습
6품 이하 관리 자제로 관직에 오르지 못한 자에게 지급
한인전
: 관인 신분의 세습을 목적으로 지급하였다.
군인전 중앙의 군인에게 지급 : 군역 세습에 따라 토지도 자손에게 세습
구분전 하급 관리와 군인의 유가족에게 지급

#과전&공음전: 귀족의 지위를 유지하는 경제적 기반

3. 민전(귀족이나 농민의 사유지로 광범위하게 존재)


① 소유권 보장: 매매, 상속, 증여, 임대 가능
② 국가가 수조권을 지닌 공전에 해당됨: 국가가 세금을 거두어 국가의 재정으로 사용
#수조권이 국가에 있으면 공전, 개인에게 있으면 사전: 그러므로 민적을 비롯해 왕실, 관청의
소유지는 공전이지만, 관리에게 수조권을 나누어 준 전시과는 사전이다.

4. 수취 체제의 정비 → 목적: 민생 안정, 국가 재정 확충


① 기준: 양안(양전사업을 통해 경작지와 소유지의 크기를 조사한 토지 대장),
호적(호구조사를 통해 호주를 중심으로 한 가족 구성원을 조사한 대장)
② 종류
조세 토지를 논과 밭으로 구분, 비옥도에 따라 3등급으로 구분해 징수, 생산량의 1/10 징수
공물 호(戶)를 단위로 각 지방의 토산물 징수, 농민에게 조세보다 더 큰 부담이 됨.
역 백성의 노동력을 무상으로 동원(16세 이상~60세 미만-정남), 군역과 요역(토목 공사)
기타 상세(상인에게 거둠), 어염세(어민에게 거둠)

#조세의 운송: 조세 징수 → 큰 강가나 바닷가의 조창에 모음 → 조운을 통해 개경으로 운송

- 1 -
한 국 사 안중 사탐 1번가 – 스터디올킬

2. 경제 정책과 경제 활동
[II.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 다양한 산업의 발달
1. 농업
(1) 중농 정책
- 목적 : 농민 생활의 안정, 국가 재정의 확보
- 내용 : 개간ᆞ간척 장려(개간지에 일정 기간 면세) → 경작지 확대
농번기 잡역 동원 금지, 재해 시 세금 감면
(2) 농업 기술의 발달
① 휴경지 축소, 생산량 증가 : 소를 이용한 깊이갈이의 일반화, 시비법(퇴비)의 발달
② 밭농사 : 2년 3작의 돌려짓기(윤작) 점차 보급
③ 모내기법 보급 : 고려 말 남부 일부 지방에 보급되기 시작
④ 수리 시설 확대 : 소규모 저수지 증가
⑤ 농업 서적 보급 : 중국 농서인 “농상집요”소개
⑥ 목화 재배 시작 : 문익점, 고려 말에 시작 → 의생활 발전

2. 수공업의 발달
(1) 고려 전기
① 관청 수공업 : 공장(기술자)을 중앙과 지방 관청에 소속시킴
→ 왕실이나 관청의 물품이나 무기 등을 생산하는 방식
② 소 수공업 : 금, 은, 종이, 먹 등을 생산해 공물로 납부
(2) 고려 후기
① 사원 수공업 : 배, 모시 등의 작물과 술, 소금, 기와 등 생산
② 민간 수공업 : 주로 농민의 가내 수공업 형태로 생산
→ 삼베, 모시, 명주 등의 직물을 생산해 직접 사용하거나 공물로 납부

3. 상업의 발달
(1) 고려 전기
① 도시 상업
시전 상업 개경에 설치(귀족의 생필품이나 관수품 판매), 경시서 설치(시전 상인의 상행위 감독)
관영 상점 설치 개경, 서경, 동경 등 대도시에 설치, 서적 ‧ 약 ‧ 술 ‧ 차 등을 판매
비정기 시장 도시 거주민의 일용품 판매

② 지방 상업: 시장에서 물품 교역, 행상의 활동, 사원에서 곡물 ‧ 수공업품 판매


(2) 고려 후기
① 규모 확대 : 시전의 규모 확대, 조운로를 따라 교역 활발, 행상의 활동 더욱 활발,
육상 교역의 확대로 원(역과 역 사이에 위치한 여관) 발달
② 상공업자의 지위 상승 : 부를 축적해 관리가 되는 경우 등장
③ 소금 전매제 실시 : 정부가 재정 확대를 목적으로 실시

4. 화폐 주조: 널리 유통되지 못함, 주로 곡식이나 삼베를 거래에 사용


#건원중보, 삼한통보, 해동통보, 해동중보, 활구(은병)

- 2 -
한 국 사 안중 사탐 1번가 – 스터디올킬

2. 경제 정책과 경제 활동
[II.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 여러 나라와의 교류
1. 송과의 교류
① 목적: 선진 문물 수입, 사신ᆞ상인 왕래, 유학생ᆞ유학승 파견
② 형태: 주로 공무역, 사무역(국가 통제로 점차 쇠퇴)
→ 북방의 거란과 여진에 막혀 주로 바닷길 이용 → 벽란도 번창
③ 무역: 서적ᆞ약재ᆞ지배층의 사치품 수입, 금ᆞ은ᆞ인삼ᆞ종이ᆞ먹 등 수출
→ 귀족의 사치품 수입과 금, 은의 유출이 지속되어 고려에 경제적 부담이 되었다.

2. 거란ᆞ여진ᆞ일본과 교류
① 거란ᆞ여진: 북방 안정을 위한 목적으로 실시
→ 거란은 공무역 중심, 여진은 사신이 와 고려에 공물을 바치는 형식
→ 은, 말, 모피 등을 가져와 곡식, 농기구와 바꾸어 감
② 일본: 일본 상인이 왕에게 토산물을 바치면 왕이 답례품을 하사하는 형태,
고려가 무역에 제한을 두기도 함
→ 수은(도금 재료), 유황(화약 제조) 등을 수입, 인삼, 곡식, 서적 등을 수출

3. 아라비아 상인 왕래 - corea
① 팔관회를 이용한 교역 : 송, 여진, 일본 등 여러 나라의 상인이 고려를 방문해 교역할 때
아라비아 상인도 송을 거쳐 고려에 방문함 → 교류는 몇 차례에 불과했으나 한 번에 100여
명의 상인이 올 정도로 대규모로 방문
② 향료, 상아, 공작 등 진귀한 물품 교역

4. 고려 후기, 원과의 교류
(1) 원 간섭기 대외 교류의 특징
① 대외 교역 활발 : 원을 통해 세계 시장과 연결됨.
② 문제점 : 금, 은 등의 물품 유출, 원의 공녀와 노비 요구

(2) 공무역
① 고려에서 예물을 보내고 원이 답례를 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짐.
② 양국 사이에 혼인 관계가 성립되면서 왕과 사신의 왕래 빈번 → 교역량 증가

(3) 사무역
① 왕이나 사신의 수행원을 통하거나 상인이 육로로 대도(베이징)를 왕래하며 이루어짐
→ 공무역보다 규모가 큼.
② 고려의 물자 유출, 특히 은의 유출로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줌

(4) 서역과의 교류 : 색목인(서역의 외국인을 이르는 말)이 고려에 귀화해 관리나 상인이 되기도 함.

- 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