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3

 Ⅴ.

가슴을 파고드는 , 깊고 진한
울림

14.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며


 14.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며

학습 목표

 한시의 형식과 대우법을 이해한다 .

 봄밤의 정취를 담은 한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


 14.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며

익힐 한자

滴 漲 芽 隨 潛 徑
( 적 ) 물방울 ( 창 ) 불어나다 (아) 싹 ( 수 ) 따르다 (잠) ( 경 ) 지름길
몰래

俱 曉 趣 郭 伴 墮
( 구 ) 함께 ( 효 ) 새벽 (취) 뜻 ( 곽 ) 성곽 (반) 짝 ( 타 ) 떨어지다
 14.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며

享 亭 簿 延 遲 燕
( 향 ) 누리다 ( 정 ) 정자 ( 부 ) 문서 ( 연 ) 늘이다 ( 지 ) 더디다 ( 연 ) 제비

鉛 儀 委 員 胃 暫
(연) 납 ( 의 ) 거동 ( 위 ) 맡기다 ( 원 ) 인원 ( 위 ) 밥통 ( 잠 ) 잠깐
 14.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며

陳 征 僚 類 殉 儒
( 진 ) 베풀다 ( 정 ) 치다 ( 료 ) 동료 ( 류 ) 무리 ( 순 ) 따라 죽다 ( 유 ) 선비

繫 系 央 添 濯 懲
( 계 ) 매다 ( 계 ) 잇다 ( 앙 ) 가운데 ( 첨 ) 더하다 ( 탁 ) 씻다 ( 징 ) 징계하다
 14.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며


* *

肯 需 棲 碧 桃
( 긍 ) 즐기다 ( 수 ) 쓰이다 ( 서 ) 살다 ( 벽 ) 푸르다 ( 도 ) 복숭아 ( 요 ) 아득하다
 14.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며

본문 읽기



- 정몽주
(봄)

春雨細不滴
춘 우 세 부 적
이러니
( 봄 / 비 / 가늘다 / 아니다 / 물방울 )

( 밤 / 가운데 / 가늘다 / 있다 / 소리 )
夜中微有聲이라 .
야 중 미 유 성

( 눈 / 다하다 / 남녘 / 계곡 / 불어나다 )
雪盡南溪漲
설 진 남 계 창
하니

독음 ( 많다 / 적다 / 풀 / 싹 / 나다 )

한자 뜻 多少草芽生
다 소 초 아 생
고?
『 포은집』
 14.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며

( 봄 / 밤 / 기쁘다 / 비 )
春夜喜雨
춘 야 희 우
- 두보

( 좋다 / 비 / 알다 / 때 / 마디 마땅 / 봄 / 이에 / 피다 / 나다 )
好雨知時節 하여 當春乃發生
호 우 지 시 절
이라 .
당 춘 내 발 생

( 따르다 / 바람 / 몰래 / 들다 / 밤 윤택하다 / 만물 / 가늘다 / 없다 / 소리 )


隨風潛入夜 하여 潤物細無聲이라 .
수 풍 잠 입 야 윤 물 세 무 성

( 들 / 길 / 구름 / 전부 / 검다 강 / 배 / 불 / 홀로 / 밝다 )
野徑雲俱黑 한데 江船火獨明이라 .
야 경 운 구 흑 강 선 화 독 명

( 새벽 / 보다 / 붉다 / 젖다 / 곳 꽃 / 많다 / 비단 / 벼슬 / 성 ) 독음
曉看紅濕處 하니 花重錦官城이라 .
효 간 홍 습 처 화 중 금 관 성 『 찬주분류두시』 자뜻 한자 뜻
 14.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며

익힘 마당

보충
 14.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며
 14.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며

보충
 14.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며
 14.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며

생활 마당

수 반 향 년 희 박

타 락 정 자 가 계 부

독음
 14.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며

• 隨伴 ( 수반 ): 어떤 일과 더불어 생김 .

• 墮落 ( 타락 ): 올바른 길에서 벗어나 잘못된 길로 빠지는 일 .

• 享年 ( 향년 ): 한평생 살아 누린 나이 . 죽을 때의 나이를 말할 때 쓴다 .

• 亭子 ( 정자 ): 경치가 좋은 곳에 놀거나 쉬기 위하여 지은 집 .

• 稀薄 ( 희박 ): ① 기체나 액체 따위의 밀도나 농도가 짙지 못하고 낮거나 엷다 .

② 어떤 일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적다 .

• 家計簿 ( 가계부 ): 집안 살림의 수입과 지출을 적는 장부 .


 14.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며

지 연 위 의 잠 정 적

연 경 위 원 진 정 서

연 필 위 장 원 정

독음
 14.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며

• 遲延 ( 지연 ): 무슨 일을 더디게 끌어 시간을 늦춤 . 또는 시간이 늦추어짐 .

• 燕京 ( 연경 ): 중국 베이징 ( 北京 ) 의 옛 이름 .

• 鉛筆 ( 연필 ): 필기도구의 하나 . 흑연과 점토의 혼합물을 구워 만든 가느다란 심을 속에 넣고 , 겉은 나무로 둘러싸서 만든다 .

• 威儀 ( 위의 ): 위엄이 있고 엄숙한 태도나 차림새 .

• 委員 ( 위원 ): 선거나 임명에 의하여 지명되어 단체의 특정 사항을 처리할 것을 위임 받은 사람 .

• 胃腸 ( 위장 ): 위 ( 胃 ) 와 창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暫定的 ( 잠정적 ): 임시로 정하는 .

• 陳情書 ( 진정서 ): 실정이나 사정을 진술하여 적은 글 .

• 遠征 ( 원정 ): 먼 곳으로 싸우러 나감 .
 14.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며

동 료 순 국 열 사 연 계

유 사 유 생 생 태 계

독음
 14.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며

• 同僚 ( 동료 ): 같은 직장이나 같은 부문에서 함께 일하는 사람 .

• 類似 ( 유사 ): 서로 비슷함 .

• 殉國烈士 ( 순국열사 ):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쳐 장렬히 싸운 사람 .

• 儒生 ( 유생 ): 유학 ( 儒學 ) 을 공부하는 선비 .

• 連繫 ( 연계 ): ① 잇따라 맴 . ② 어떤 일이나 사람과 관련하여 관계를 맺음 .


• 生態系 ( 생태계 ): 어느 환경 안에서 사는 생물군과 그 생물들을 제어하는 제반 요인을 포함한 복합 체계 .
 14.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며

중 앙 첨 가 세 탁 징 계

독음
 14.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며

• 中央 ( 중앙 ): 사방의 중심이 되는 한가운데 .

• 添加 ( 첨가 ): 이미 있는 것에 덧붙이거나 보탬 .

• 洗濯 ( 세탁 ): ① 주로 기계를 이용하여 더러운 옷이나 피륙 따위를 빠는 일 .

② 자금 , 경력 따위를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으로 탈바꿈하는 일 .

• 懲戒 ( 징계 ) 허물이나 잘못을 뉘우치도록 나무라며 경계함 .


 14.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며

긍 정 부 정 내 수 외 수

독음
 14.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며

• 肯定 ( 긍정 ): 그러하다고 생각하여 옳다고 인정함 .

• 否定 ( 부정 ): 그렇지 아니하다고 단정하거나 옳지 아니하다고 반대함 .

• 內需 ( 내수 ): 국내에서의 수요 .

• 外需 ( 외수 ): 국내에서의 수요 .
 14. 봄날의 아름다운 정취를
만끽하며

채움 마당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