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4

KINBOOK’s eBooks을 선택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책은 저작권이 만료된 책으로 어느 나라,


누구든 상관없이, 사업적인 목적이 아니라면 무료로 거의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본
ebook 편집자의 정보를 수정 없이, 지우지 않는 선에서 무한 복사가 가능하며, 타인에게 양도
가능합니다. 기타 저작, 배포에 관한 제한 내용은 페이지의 마지막 Chapter 또는 온라인에
나와있음으로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더 많은 책과 좋은 컨텐츠를 위하여 아래 사이트를 방문 바랍니다.


visit eBookMall at http://www.kinbook.co.kr.
visit Cafe at http://cafe.naver.com/kinbooks.
visit Blog at http://blog.naver.com/jena829.
visit Opencast at http://opencast.naver.com/KB202.

*************************************************************************************
Title: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 단원(檀園)· 김홍도
Author: 손종업
Usage Type : free
Re-Translator and Editor : Son Joung Up , Lim Tae Sung.
Book Code : EB#010-082-000-20090090
Posting Date: september 0, 2009
*************************************************************************************
[책소개]
조선시대의 대표적 화가인 단원(檀園)· 김홍도에 관하여 면밀히 정리하고, 그의 대표작품집인 금강사
군첩(金剛四君帖)를 집약 하여보았다. 조선시대의 위대한 화가 단원(檀園)· 김홍도그는 서민들의 생활
상과 생업의 이모저모를 간략하면서도 짜임새있는 구도 위에 풍부한 해학적 감정을 곁들여 표현한
풍속화들은 정선이 이룩했던 진경산수화의 전통과 더불어 조선 후기 화단의 새로운 동향을 대표한다
*************************************************************************************
[작가소개]
손 종업 : 1971년생, NAVER 카페 “KINBOOK”의 부매니저

*************************************************************************************

단원(檀園)· 김홍도 :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경력]
1791~1795 충청도 연풍현감
1781 동참화사, 찰방을 제수
1774 사포서에서 감목관으로 근무
강세황의 천거, 도화서화원

[주요작품 및 업적]
서민들의 생활상과 생업의 이모저모를 간략하면서도 짜임새있는 구도 위에 풍부한 해학적 감정을 곁
들여 표현한 풍속화들은 정선이 이룩했던 진경산수화의 전통과 더불어 조선 후기 화단의 새로운 동향
을 대표하는 업적이다.
대표작으로 《서원아집육곡병(西園雅集六曲屛)》 《군선도병(群仙圖屛;국보 제139호)》 《단원풍속화
첩(檀園風俗畵帖;보물 제527호)》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무이귀도도(武夷歸棹圖)》 《선인기
려도(仙人騎驢圖)》 《단원도(檀園圖)》 《섭우도(涉牛圖)》 《기로세련계도 《단원화첩》 《마상청앵
도(馬上聽鶯圖)》가 있다.

[김홍도의 생애]
생애 요약 :1745년 한양의 양반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외가 안동 장씨 집안은 대대로 도화서 화
원을 배출한 미술가 집안이었기 때문에 김홍도는 외할아버지와 외삼촌에게 그림을 배웠다. 결혼한 뒤
에는 김응환의 소개로 표암 강세황과 교제하였다. 표암은 인물, 화조(꽃과 새), 사군자 모두 능숙한
김홍도를 추천하여 도화서 화원이 되게 했는데,
덕분에 김홍도는 이인문 등의 여러 화가들과 사귀면서 그림공부에 몰두할 수 있었다. 1805년 질병으
로 위독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언제 별세했는지는 알 수 없다.

본관은 김해. 자는 사능(士能), 호는 단원(檀園)·서호(西湖)·취화사(醉畵士)·고면거사(高眠居士)·첩취옹


(輒醉翁)·단구(丹邱). 만호를 지낸 진창(震昌)의 손자인 석무(錫武)의 아들로 태어났다. 화원 집안인 외
가로부터 천부적 재질을 물려받은 듯하다. 어려서는 경기도 안산에 칩거중이던 당대 최고의 문인화가
이며 이론가인 강세황(姜世晃)의 문하에서 그림을 배웠다. 20대에 도화서의 화원이 되었으며, 28세
때인 1773년에는 어용화사로 발탁되어 영조어진과 왕세자의 초상을 그리고, 이듬해 감목관(監牧官)의
직책을 받아 사포서(司圃署)에서 근무했다. 1777년 별제(別提)로 있으면서 강희언(姜熙彦)·김응환(金
應換)·신한평(申漢枰)·이인문(李寅文) 등과 함께 그림제작에서 두드러진 활동을 했다. 1781년에는 한
종유(韓宗裕)·신한평 등과 함께 정조어진 익선관본(翼善冠本) 도사(圖寫)의 동참화사로 활약하고 그
공으로 경상도 안동 부근 안기(安奇)역의 찰방(察訪)을 제수받았다. 이무렵부터 명(明)의 문인화가 이
유방(李流芳)의 호를 따라 '단원'이라 자호했다. 1788년에는 김응환과 함께 왕명으로 금강산 등 영동
일대를 기행하고 그곳의 명승지를 수십 장(丈)이나 되는 긴 두루마리에 그려 바쳤다. 1791년에 다시
어용화사로 선발되어 정조어진 원유관본(遠遊冠本) 제작에 참여한 공으로, 그해 겨울 충청북도 연풍
현감에 임명되어 1795년 정월까지 봉직했다. 현감 퇴임 후의 만년에는 지방의 권농(勸農)을 지내기도
했는데, 병고와 가난이 겹친 생활고 속에서 여생을 마쳤다. 1810년경을 전후하여 타계한 것으로 추정
된다.
[김홍도 작품의 특징]

흔히 김홍도는 조선적인, 그것도 가장 조선적인 화가라고 일컬어진다. 그는 그저 그림을 잘 그렸을


뿐만 아니라, 무엇을 그려도 아주 우리 맛이 우러나게 그렸다는 것이다. 특히 강조하고자 하는 점은
우리 풍속이나 우리 강산을 그린 작품은 물론이고, 이를테면 중국의 고사인물이나 정형산수 작품에서
도 우리의 멋은 마찬가지로 농익게 우러나고 있다는 점이다.

[작품세계]

그의 작품은 현재 200여 점 정도 알려져 있는데 화풍상의 변화는 50세를 중심으로 전후 2기로 크게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산수화의 경우에는 전기에는 원체화적(院體畵的) 경향을 띤 정형산수를 많이 그렸는데, 1778년 작인
〈서원아집도 西園雅集圖〉 6폭병풍과 선면화(扇面畵) 등에 잘 나타난다. 50세 이후의 후기에는 한국
적 정서가 담긴 진경산수를 즐겨 그리면서 단원법(檀園法)이라 불리는 보다 개성이 강한 화풍을 이룩
하였다. 그의 후기 산수화풍은 석법(石法)과 수파묘(水波描) 등에서 정선(鄭敾)·심사정(沈師正)·이인상
(李麟祥)의 영향이 부분적으로 발견되지만 고도의 회화감각으로 처리된 탁월한 공간구성과 변형된 하
엽준(荷葉), 수묵의 능숙한 처리, 강한 먹선의 강조와 맑고 투명한 담채의 효과 등을 통해 독창성을
발휘하였다. 또한 그는 만년에 이르러 명승의 실경에서 농촌이나 전원 등 생활주변의 풍경을 사생하
는 데로 관심을 바꾸었으며 이러한 사경산수 속에 풍속과 인물, 영모화조 등을 그려넣어 한국적 서정
과 정취가 물씬 풍기는 일상사의 점경으로 승화시키기도 했다.
산수뿐만 아니라 도석인물화에서도 자신만의 특이한 경지를 개척했다. 도석인물은 전기에는 주로 신
선도를 많이 그렸는데, 굵고 힘차면서도 거친 느낌을 주는 옷주름과 바람에 나부끼는 옷자락 그리고
티없이 천진한 얼굴모습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이 시기의 신선묘사법은 1776년에 그린 〈군선도병 群
仙圖屛〉(호암미술관 소장, 국보 제139호)에서 전형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후기가 되면 화폭의 규모
도 작아지고 소방하면서 농익은 필치로 바뀌게된다.
김홍도의 회화사적 비중을 한결 높여주고 있는 분야는 풍속화이다. 조선 후기 서민들의 생활상과 생
업의 광경을 간략하면서도 짜임새있는 구도 위에 풍부한 해학적 감정과 더불어 표현된 그의 풍속화들
은 정선이 이룩했던 진경산수화의 전통과 나란히 조선 후기 화단의 새로운 경향을 가장 잘 대변해준
다. 당시 속화체(俗畵體)로도 불렸던 그의 풍속화풍은 현실적인 소재를 소박한 생활정서와 풍류적 감
성이 가미된 생동감 넘치는 기법으로 창출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된다.

[평가 및 영향]
홍백화(洪白華)의 글과 조희룡(趙熙龍)의 〈호산외기 壺山外記〉에 의하면, 김홍도는 외모가 수려하고
풍채가 좋았으며 또한 도량이 넓고 활달해서 마치 신선처럼 보였다고 한다. 스승인 강세황으로부터는
'근대명수'(近代名手) 또는 '우리나라 금세(今世)의 신필'이라는 찬사를 받기도 했다. 그리고 정조는 '
회사(繪事)에 속하는 일이면 모두 홍도에게 주장하게 했다'고 할 만큼 그를 총애했다. 김홍도가 이룩
했던 한국적 감각의 화풍과 경향들은 그의 아들인 김양기(金良驥)를 비롯하여 신윤복(申潤福)·김득신
(金得臣)·김석신(金碩臣)·이명기(李命基)·이재관(李在寬)·이수민(李壽民)·유운홍(劉運弘)·엄치욱(嚴致郁)·
이한철(李漢喆)·유숙(劉淑) 등 조선 후기와 말기의 여러 화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면서 한국화 발
전에 탁월한 발자취를 남겼다. 안견(安堅)·정선·장승업(張承業)과 함께 조선시대의 4대 화가로 손꼽힌
다. 그의 영향을 받았거나 그의 화풍을 추종했던 화가들을 가리켜 김홍도파 또는 단원파(檀園波)라
하기도 한다.
앞서 언급한 작품들 외에 그의 대표작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단원풍속도첩〉(보물 제527
호)과 개인소장의 〈단원도〉(1784년작)·〈금강사군첩〉·〈섭우도 涉牛圖〉·〈기로세련계도 耆老世聯
圖〉(1804년작), 간송미술관 소장의 〈무이귀도도 武夷歸棹圖〉, 호암미술관 소장의 〈단원화첩〉
(1796년작, 보물 제782호) 등이 있다.
洪善杓 글

[감상 순서]

01.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가학정 25.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수미탑


02.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경포대 26.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영원암
03.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계조굴 27.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오대산중대
04.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관음굴 28.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오송대
05.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구룡연 29.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옹천
06.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구산서원 30.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와선대
07.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낙산사 31.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원통암
08.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능파대 32.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월송정
09.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대관령 33.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월정사
10.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마히연 34.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은선대십이폭
11.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망양정 35.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은종암
12.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맥판 36.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장암사
13.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명경대 37.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죽서루
14.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명연 38.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증명탑
15.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묘길산 39.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진주담
16.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문암 40.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청간정
17.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문탑 41.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청심대
18.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분설담 42.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토왕폭
19.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비봉폭 43.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표훈사
20.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사고 44.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파금정
21.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삼불암 45.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호해정
22.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상원 46.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효운동
23.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선담 47.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흑룡담망보덕암
24.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성류굴 48.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백화암부덕
01.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가학정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02.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경포대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03.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계조굴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04.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관음굴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05.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구룡연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06.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구산서원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07.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낙산사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08.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능파대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09.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대관령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10.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마히연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11.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망양정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12.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맥판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13.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명경대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14.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명연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15.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묘길산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16.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문암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17.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문탑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18.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분설담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19.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비봉폭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20.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사고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21.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삼불암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22.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상원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23.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선담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24.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성류굴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25.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수미탑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26.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영원암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27.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오대산 중대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28.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오송대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29.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옹천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30.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와선대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31.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원통암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32.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월송정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33.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월정사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34.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은선대 십이폭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35.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은종암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36.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장암사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37.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죽서루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38.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증명탑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39.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진주담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40.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청간정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41.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청심대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42.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토왕폭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43.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표훈사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44.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파금정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45.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호해정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46.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효운동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47.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흑룡담망 보덕암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48. 금강사군첩(金剛四君帖) 中 백화암 부덕
Go to agenda ( 목차로 가기)
*************************************************************************************
제작 : 손종업, 임태성 및 즐북 프로젝트 맴버 일동
[저작물의 수정 및 보완 : 수정된 파일은 자동 업데이트되며 수정 전 옛날 파일은 변경된 파일 이름
으로 보관처리 됩니다. ]

즐북 프로젝트 라인센스,
배포에 관한 내용을 꼭 확인 하시고 유통 또는 배포 바랍니다.
즐북 프로젝트의 보호를 통한 더 많고 다양한 경로로 무료 e북의 원활한 배포를 위하여 아래의 법규
준수를 반드시 따라 주시기 바랍니다.

본 저작물의 읽기 및 사용은 즐북의 프로젝트의 규범 및 준수 사항을 읽고 이해하여 반드시 이행하겠


다는 의미이며, 만약 즐북 프로젝트의 규범에 동의 하지 않을 시 본 저작물의 copy 및 파일을 즉시
파기 또는 삭제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만약 본 저작물의 사용타입이 : "무료"로 되어있는 경우, 비용
을 지급한 사실이 있다면, 비용을 청구한 사람 또는 회사로부터 비용을 환불 받으실수 있습니다.
(본 법규 사항은 http://cafe.naver.com/kinbooks과 http://www.kinbook.co.kr에 잘나와 있으니 참조
바랍니다.)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 © 2009 kinbook.co.kr.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