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7

2019년 9월 2일 근골격,피부 및 감각기 블록

피부의 구조와 기능,


피부질환의 진단
윤현선/이동훈
서울대학교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강의 순서
피부의 구조와 기능
– 표피
 각질형성세포, 멜라닌세포, 랑게르한스세포, 머켈세포
– 진피-표피 경계부
– 진피
 콜라겐, 탄력섬유, 기질, 신경, 혈관
– 피하지방
– 피부부속기
 털, 피지샘, 땀샘(에크린, 아포크린), 손톱

피부질환의 진단
– 피부징후
 원발진
 속발진
검사방법쪽은 시간 없으면 skip 가능
– 피부과학적 검사 방법
기능: 이걸 다외을 필요는 없다는 뉘앙스.
1) 유해한 자극에 대한 장벽
2) 수분과 전해질 유출 방지, 1), 2)는 barrier의 역할!!

피부의 구조 3) 체온
4) 감각
5) 면역 기능, Vit. D 등

표피 - 세포들 사이에 틈이 없음
진피 - 세포들이 만든 기질이 주로 되어 있음.
혈관, 신경 등이 분포.
부속기: 땀샘, 모낭 모두 dermis에 분포.
Scalp Nose

Back Palm
해부학적 부위에 따라 아주 모양이 달라짐
때로는 모양만 보고 어디서 뗀건지 앎.

두피 - 굵은 모낭들이 많고 깊고 크게.

코: 피지샘이 크다.
손: 진피가 매우 두꺼움...?, 각질층 두껍고 땀샘...
표피 Epidermis
Keratinizing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이거 안만들면 점막.

표피를 구성하는 세포
- Keratinocyte
- Melanocyte
- Langerhans cell
- Merkel cell
- Indeterminate cell (?)
피부 점막(구강)
오늘 이야기할 것!
1. 각질형성세포 (Keratinocyte)
 표피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세포
 분화 단계에 따라 4개의 층으로 구분

stratum corneum - 비록 핵은 없지만, 사이에서 여러 생화학적 작용이 일어나고 장벽기능에 중요!


죽은 세포가 아니었다!
"이거는 외우라고 하는 것은 아니구요."

The skin as a multitiered barrier


"일단은 각질층이 물리적 장벽에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만 머리에 담기"
각질층은 표피의 물리적 장벽 기능에 중요 벽돌만 있으면 세포가 붙지 않듯
사이사이를 진흙이 채우고(지질), corneodesmosome으로도 붙는다.
Brick & Mortar를 알자!!

keratinocyte가 최종 분화됨 corneocyte.

질환(아토피피부염): ceramide가 결핍되어있음


=> 보습제로 보충 가능해 연구가 잘됨.
하지만 ceramide로만 이루어진 것은 X.
"이거는 참고삼아만 보세여"

Intercellular lipid “Mortar”


Stratum corneum

Tight junction

Lamellar body

Stratum granulosum
Keratohyaline granule
(profilaggrin)
"keratinocyte가 가장 중요했고 나머지는 쭉쭉 넘어갈 것"

2. 멜라닌세포 (Melanocyte)
 Neural crest에서 기원한 dendritic cell
 기저층에 존재
 멜라닌 생산  각질형성세포에 전달
– ‘표피 멜라닌 단위’ 한게의 melanocyte가 수십개에 전달함.

 피부에 유해한 자외선을 흡수, 산란 사용하는 것은 keratinocyte에서.

H&E Fontana-Masson
The melanocytic dendritic processes are clearly outlined.
(Normal skin stained by the Warthin–Starry technique)
 Melanocyte density/mm
– ranges from approximately 550 to>1200,
–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 found in genitalia
and face.

 Melanocyte density
– is the same in individuals of different ethnic
backgrounds 상식적으로 알아두자~~

 Cutaneous pigmentation does not depend on


melanocyte number, but rather or
– melanogenic activity,
– the proportion of mature melanosomes, and/or
– their transfer and distribution within the
keratinocytes
Melanin pigment: actinically damaged skin.
Note that the melanin pigment is located in a ‘cap’ overlying the keratinocyte nuclei.
basal layer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해 여기에 가장 모여잇음 (위층에도 있긴 함...)
왜냐하면 자외선을 보호할 대상은 세포분열하는 얘고, 이게 중요한 것!!
Langerhans cell (arrowed). Note the vacuolated cytoplasm.
기저층이 아닌데 basal cell처럼 생긴게 관찰되는 경우.
Langerhans cells express S-100 protein. Note the conspicuous dendritic processes.
이렇게 dendrite 있는 cell.
melanocyte는 basal cell 근처에 있을텐데, LH-cell은 APC이기 때문에 위쪽에 있어야겟찌.
피부의 유일한 APC는 아님!! 진피에 또 다른얘 따로 있음

3. 랑게르한스세포 (Langerhans cell)


 Bone marrow에서 기원한 dendritic cell
 Antigen presenting cell
 Birbeck granule 보통 임상에서 쓰는 건 아님. IHC로 주로 본다.

IHC : CD1a EM
4. Merkel cell
 Slow-adapting type I mechanoreceptor
 Located in sites of high-tactile sensitivity
 Immunohistochemical marker
– K8, 18, 19, K20
굉장히 드문 암이 생길 수 있음...
이것만 해서는 쓸모가 없어서...여기는 간략하게 하고 넘어가겠슴니다.

진피-표피경계부 Dermoepidermal junction


 PAS 염색되는 basement membrane zone
- Hemidesmosome
- Lamina lucida
- Lamina densa : type IV collagen
- Fibrous component : type VII collagen

PAS EM
Anchoring filaments (arrowed) extending from the hemidesmosome to the lamina densa.
진피 Dermis
 Collagen fiber, elastic fiber, ground substance
 Blood vessel, nerve
 Fibroblast, macrophage, mast cell

H&E Masson-Trichrome
1. Collagen fiber
 Approximately 75% of the dry weight of skin
 Providing both tensile strength and elasticity

Masson-Trichrome
2. Elastic fiber
 Approximately 4% of the dermal matrix protein
 Return the skin to its normal configuration after being
stretched or deformed

Papillary dermis: the elastic fibers are delicate and


orientated perpendicular to the epithelial surface.
Weigert–van Gieson stain.
3. Ground substance
 Proteoglycans (PGs) and glycosaminoglycans (GAGs)
surround and embed the fibrous components.
 PG/GAG complex can bind water up to 1000 times its
own volume and have roles in regulation of water-
binding and compressibility of the dermis as well as
increasing local concentrations of growth factors
through binding.
물을 당기는 힘이 강해서, 물을 확확 당긴다.
filler 수술을 할 때 이걸 사용한다.
효율적으로 물을 잡아당겨 부피를 만들 수 잇다.
혈관 Relationship of the superficial & deep vascular plexuses
신경 피부에 신경이 있다.

 감각신경
– 통증, 가려움증, 온각, 촉각, 압각, 진동감각

 자율신경 본인의 털을 스스로 세울 수 있는 사람은 없다.

– 혈관운동, 모발운동, 땀분비


Meissner corpuscle Pacinian corpuscle
얘네는 피부는 아니고 피부에 붙어있는? 정도의 느낌....?

피부부속기 Skin appendage

① 털 (hair) 연구는 이게 가장 많이 되어 있다.

여드름 쪽에서 한 번 더 나올 내용.


② 피지샘 (sebaceous gland)
③ 에크린땀샘 (eccrine sweat gland)
④ 아포크린땀샘 (apocrine sweat gland)
⑤ 손발톱 (nail)
❶털 Hair

 각질화된 상피세포로 이루어진 고형의 원추섬유


 피부표면에 나온 모발
 피부표면 아래에는 털집(모낭, hair follicle)

 털이 존재하지 않는 부위
 손바닥, 발바닥, 피부-점막 경계, 귀두부

 털의 종류
 vellus hair, terminal hair
털집(모낭, hair follicle)의 구조
sebaceous gland, bulge를 기준으로 3부분 나눔.

Infundibulum

Isthmus 옆에 기모근: 털세움근도


있음.

Inferior segment

"CTS/VL: 이거 별로 안 중요하니깐...~~"

hair bulb가 가장 dynamic하게 변하는 부분.


털주기 (Hair cycle)

생장기 Anagen

퇴행기 Catagen

휴지기 Telogen

여러분 모발은 대부분 생장기이다.


빗거나 머리를 감거나 할 때 전혀 느낌 없이 머리 빠지는건
휴지기 모발이 빠지는 것.
거의 그냥 달려있는 형태.

퇴행기: anagen이 모낭구조를 갖다가 inf. segment가 퇴화.


머리가 빠진 다음에 다시 재생이 되는 것.

뭔가 이걸 계속 돌리는 stem cell같은 것이 있겠구나.


inf. segment 아래쪽이 계속 없어졌다 생겼다 하고,
그 위에 bulge가 stem cell의 역할을 하더라!!
Hair follicle stem cell epidermis를 재생하는 데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똑같이 어떤 침습적 시술을 해도, 얼굴이 훨씬 잘 회복이 되는 것.
❷ 피지샘 Sebaceous gland 이건 그냥 읽어보세요.
한가지만 언급.

 Unilobular or multi-lobular structures that are


usually associated with a hair follicle
pilosebaceous unit
 Exude lipids by disintegration of entire cells
holocrine secretion
 Human sebum contain squalene, cholesterol,
cholesterol esters, wax esters, and triglyceride
성호르몬 나오기 전에는 피지샘이 별 역할을
 Regulated by androgens and retinoid 안해서
androgen중 남성호르몬. => 도자기 피부! >.,<

 Precise function in human is unknown.


Sebaceous gland
더워서/긴장해서 땀나는게 다 이것 때문.

❸ 에크린 땀샘
Spiraled duct
Epidermis

Straight duct

Dermis

Eccrine gland

dermis - straignt
epi - 세포가 빡빡해 spiraled.
별도의 opening gland가 존재함
❹ 아포크린 땀샘의 구조

이거는 전신에 있지고 않고 특정 부위에만


대표적으로 axilla
별도의 opening gland가 존재하지도 않고 hair follicle 내로 들어감

apocrine gland 기원 종양이라면, 이게 있는 곳에서만 생길거.


eccrine gland는 모든곳에 있기 때문에 특징적이진 못함.
❺ 손발톱의 구조
일반적인 피부의 기능
 유해한 자극에 대한 장벽 (outside-inside barrier)
 수분과 전해질 유출 방지 (inside-outside barrier)
 체온 조절
 감각 기능
 면역 기능 (innate and adaptive immune response)
 비타민 D 합성(7-dehydrocholesterol UV PreVit.D3)

 피부를 통한 흡수
 내부장기의 이상 표현
 사회적, 성적 기능
피부징후 Skin signs
원발진 (primary lesion)
질환 초기의 피부 발진

속발진 (secondary lesion)


원발진이 계속 진행되거나 회복, 외상, 그 밖의 요인에 의하여 변화된 병변
원발진

macule patch plaque


nodule과 다르게 액체가 나옴
약간 암 비슷한거에만 부름

papule nodule tumor? cyst

vesicle 잔물집 bulla 큰물집 pustule wheal


안에 pus가 차 있음 딱 한 경우: 두드러기
=> 여드름 곪앗을 때. 이외에 쓰면 무조건 틀린 것.
속발진

각질. scale crust erosion ulcer

excoriation fissure lichenification

atrophy scar
피부과적 검사
우드등 검사 wood lamp examination

피부생검 skin biopsy

면역형광검사 immunofluorescent test


Green:
우드등 검사 T. Capitis (머리백선)
(Microsporum spp.)

 Wood 필터로 320~400nm 광선만 통과


 색소 및 저색소성 피부질환 진단에 도움 Coral red/ erythrasma
– 머리백선, 어루러기, 홍색음선, 포르피린증
– 멜라닌 색소의 위치(표피 또는 진피) 결정에 유용

Copper orange
: T. Versicolor

P. cutanea tarda
피부병리조직검사
H&E 면역화학염색
(Spirochetal Ag)

면역형광검사 전자현미경검사
(pemphigus vulgaris)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