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내진성능평가를 위한 우리나라 지진하중

Calibration factor for Seismic Design Loads with Different Seismic


Hazard Levels

한상환*1)
Sang Whan Han

-------------------------------------------------------------------------------
건물의 성능 목표는 구조 및 비구조 부재에 대한 성능 수준과 지진 재해 수준을 이용하여 결정한다. 각 내
진성능평가 지침은 구조물의 중요도에 따라 개별적인 성능목표를 정하고 정해진 성능목표에 만족할 수 있는
세부적인 평가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모델지침이라 할 수 있는 미국 내진성능평가 지침은 크게
FEMA 273과 FEMA 310을 기본으로 개발되어 왔다. 특히 ASCE 31과 ASCE 41이 이 두 개의 보고서를 기
반으로 만들어진 지침이라 할 수 있다. 이 두개의 지침은 2013년 ASCE 41-13[1]지침으로 통합되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내진성능평가지침을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각 지침별로 일관되지 않은 내진성능목표를
정하고 있어 엔지니어들이 사용하는데 혼선이 발생하고 있다. 향후 내진성능평가지침이 개정될 때 모델지침이
라 할 수 있는 통합된 ASCE 41-13을 반영한 재해수준을 포함한 내진성능목표를 정하고 이에 따른 해석방법
이나 세부 평가 지침을 마련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ASCE 41-13에서는 기존건물 (BPOE)과 신축건물 (BPON)에 대한 내진성능목표를 다르게 정의하고 있다.
BPOE는 신축 건물에 적용되는 설계 기준에 비해 낮은 수준의 안전성과 다소 높은 붕괴 위험을 수용하도록
하고 있다. 기존건물에 대하여 증가된 위험
Table 1 Probability of exceedence and mean return period
을 감수하는 것은 기존 건물의 잔존 수명
이 신축 건물의 수명보다 짧다는 점을 반 Probability of
mean return period (year)
exceedence
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신축 건물의 경 50%/30년 43
50%/50년 72
우 수명이 내진설계 기준에서 50년을 기본
20%/50년 225
으로 하고 있는데, 기존건물의 잔존수명이 10%/50년 475
5%/50년 975
이 보다 낮다면 신축 건물보다 동일한 지
2%/50년 2475
진재해를 겪을 확률은 낮다고 할 수 있다.
ASCE 41-13에서 고려하는 지진재해수준은 표 1과 같다. 우리나라의 건축물 내진설계 기준의 지진재해도는
소방방재청연구의 결과를 반영한 것이다[2]. 소방방제청의 지진재해 수준은 재현주기를 50년, 100년, 200년,
500년, 1000년, 2400년, 4800년으로 정하고 있다. 이는 표 1에 있는 모델기준이라 할 수 있는 ASCE 41-13
과 차이가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어 혼선을 발생시킬 수 있다. 우리나라 건축물내진설계기준에서는 2400년 재
현주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ASCE 7-16과도 다른 것이라 할 수 있다. 표 2에는 ASCE 41-13에서 정하
고 있는 기존 건물에 대한 내진성능 목표가 나타나 있다.
Table 2 Basic performance objective for existing buildings
seismic Tier 1 Tier 2 Tier 3
class BSE-1E BSE-1E BSE-1E BSE-2E
I, Ⅱ (3-C) (3-C) (3-C) (5-D)
III (2-B) (2-B) (2-B) (4-D)
IV (1-B) (1-B) (1-B) 3-D)

본 논문에서는 내진성능평가를 위하여 ASCE 41-13의 다양한 재해수준을 고려한 지진하중을 결정하기 위한
조정계수를 결정하고자 한다. 적절한 지진초과확률을 고려한 지진재해도가 제작되기 전까지 임시적으로 사용

*
정회원․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E-mail: swhan@hanyang.ac.kr)
할 수 있는 지진재해도 값을 결정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지진재해수준에 대한 지역계수 S값 결정하기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2400년 재현주기로 정해진 우리나라 지역계수는 지진구역 I과 II는 각각
0.22g와 0.14g로 결정하거나 그림 1의 국가지진위험지도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지진지도에서 결정한 값은 표 2-3에서 제시한 값의 80%이상 이어야 한고 표 3의
값보다 클 필요는 없다.
(2) 2400년 재현주기의 지진재해수준에 대한 지역계수를 임의의 재현주기의 지진
재해수준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1997 내진설계기준연구 II [3]의 위험도 계수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소방방재청의 연구와 내진설계기준연구 II는 서로 다른 연구이
기는 하지만 지진재해도가 매우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토대로 내진설계기
준연구 II에서 제시한 위험도 계수를 사용하여도 타당할 것이라 판단하였다.
(3) 표 3의 각 구간별 조정계수 식을 정하였고, 2400년 재현주기의 조정계수를 1
Figure 1 seismic map
로 가정하여 결정하였다.
(return period=2400year)
Table 3 Risk factor and calibration factor according to return period

Return period (year) 50 100 200 500 1000 2400 4800


risk factor 0.40 0.57 0.73 1 1.40 2.00 2.60
calibration factor  0.20 0.29 0.37 0.5 0.7 1.0 1.3

표 3의 각 6개의 구간별로 재현주기에 대한 조정계수의 회기식을 작성하였다. 그림 2에는 각 구간별 회기식


이 나타나 있다. 이 식을 이용하여 표 1의 재현주기에 대한 조정계수를 표 4와 같이 구하였다.
Table 4 Calibration factor 
Probability of Mean return
exceedence period(year) 
50%/30년 43 0.1874
50%/50년 72 0.2396
20%/50년 225 0.3815
10%/50년 475 0.4898
5%/50년 975 0.6900
2%/50년 2475 1.0094

따라서 각 지진재해수준별 지역계수 (  ) 는 식 (1)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2 calibration factor
   ×   (1)

여기서   는 건축구조설계기준에 따라 구한 2400년 재현주기의 지진에 대한 지역계수 값이다. 식 (1)을 이


용하여 BSE-2N, BSE-1N, BSE-2E, BSE-1E에 대한 지역계수를 구한 후, 이 값을 이용하여 각 지진재해수
준에 대한 스펙트럼가속도를 일반적인 지침들에서 제시한 식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감사의 글
이 연구는 한국전력(제CX72-16-0036호)과 한국연구재단 지원에 의하여 수행된 것이며 이에 감사를 표합
니다. (2017R1A2B3008937).

참고 문헌
1.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Seismic evaluation and retrofit of existing buildings, ASCE 4-13,
2013.
2. 국토교통부. 건축구조기준, 2016.2.
3. 건설교통부, 내진설계기준연구 II, 199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