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결점 분류 및 설명 Categorising and describing defects

표 8.1의 결점 범주는 결점을 분류하고 결점 심각도를 기록하는 기준이 된다.


The defect categories in Table 8.1 are the basis for classifying defects and recording the defect severity.

검사자는 가장 적절한 결함 범주, 심각도, 범위 및 영향 코드를 식별할 뿐만 아니라 주요 검사를 위해 결함, 세부 사항을 설명해야 한다.
As well as identifying the most appropriate defect category, severity, extent and impact codes, the inspector must describe the
defect, detail for a principal inspection.

여기에는 측정 및 결함 스케치(해당되는 경우)와 위치에 대한 명확한 표시가 포함되어야 한다.


This should include measurements and defect sketches, where appropriate, and a clear indication of the location.

주요 검사를 위한 결함 보고에는 다음이 포함되어야 한다.


The reporting of defects for a principal inspection should include:

치수를 포함한 위치 및 설명 Location and description, including dimensions

발생할수 있는 원인 Possible cause

Risk to structure and traffic and/or the public without


구조, 교통 및/또는 공공에 대한 보수 작업이 없는 위험
remedial works

제안된 개선 작업 및 완료 시기 Suggested remedial works and a timescale for completion

Consequences of not resolving the defect in the recommended


권장 시간 척도에서 결함을 해결하지 못한 결과.
timescale.

Suggested revised inspection routine (before and after remedial


권장되는 개정된 검사 절차(보수 작업 전 및 후)
works).

이 문서의 파트 2는 결함 범주, 심각도 및 범위를 올바르게 분류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한다. 조인트의 전체 상태 점수


는 싱글 조인트의 다중 결함과 모든 조인트의 결함을 고려하여 표 5.2의 지침을 사용하여 작성해야 한다.
Part 2 of this document provides guidance for correctly classifying defect category, severity and extent. The overall condition score
for expansion joints should be formulated using the guidance in Table 5.2, taking into account multiple defects on a single joint
and defects on all joints.

결함위치 설명 Describing location of defects

검사자는 결함의 위치를 정확하고 명확하게 기술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래 지침은 엔지니어와 향후 검사자가 특정 보고
된 결함의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검사자가 결함의 위치를 기술하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하며, 따라서 조건의 모
든 변화를 자신 있게 보고할 수 있어야 한다.
It is important for the inspector to accurately and clearly describe the location of defects. The guidance below should help
inspectors describe the location of defects so engineers and future inspectors can easily identify the location of a particular
reported defect, so any change in condition can be confidently reported.

TfL 검사 계약서(21) 섹션 4,1,2는 교량 부품 번호 매기기 지침을 제공한다. "구조물의 요소를 지칭하는 관례는 방향성에 따라 서쪽 또는 남쪽과 가
장 가까운 요소로부터 "1"로 시작하는 하부구조와 범위에 번호를 매겨야 한다."
The TfL Inspection contract(21) section 4,1,2 provides guidance on the numbering of bridge components:
“The convention for referring to elements of the structure shall be that the substructure and spans shall be numbered commencing
with ”1“ from the element nearest to the west or south depending on orientation.”
Figure 10.1 Sample site sketch of expansion joint defects
The sketch shows location of defects and photographs. Sufficient annotations are provided to identify the
orientation(compass points, E/B/W/B labels, etc). Appropriate measurements are also given, for example
crack widths and pot-hole depths.
10.1 사진 Photography
사진은 서면 보고서를 뒷받침하는 훌륭한 증거 자료지만 결함에 대한 명확한 설명으로 대체해서는 안 된다.
검사 보고서를 작성할 때 포함할 신축 이음장치의 각 사진은 명확한 포함 목적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사진이
고객에게 어떤 정보를 제공하는지 명확하지 않으면 포함시키지 말아야 한다.
Photographs are an excellent source of evidence to back up the written report, but must not substitute a clear explanation of
defects. When writing the inspection report, each photograph of an expansion joint to be included must have a clear purpose for
inclusion. If it is not clear what information the photograph provides the client, it should not be included.

10.2 경험 TfL experience


검사 보고서를 검토할 때 사진의 선택과 선명도가 종종 형편없다는 것이 지적되었다.
사진들은 그것을 흐릿하게 만들고, 사진의 물체가 가려지고, 사진의 물체가 프레임의 바로 모서리에 위치하게 하고,
카메라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했을 때 발행된 보고서로 만들었다.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면 검사자들이 현장을 떠나기 전에 사진을 신속하게 확인하고 의도한 대로 나타나지 않은
사진을 다시 찍을 수 있어야 한다.
In reviewing inspection reports it has been noted that selection and clarity of photography has often been poor. Photographs have made it into issued
reports that are blurred, have the object of the photograph obscured, have the object of the photograph located just in the corner of the frame and
when the camera has not been held level. The use of a digital camera should enable inspectors to quickly check photographs before leaving site, and
re-take photographs that have not appeared as intended.

사진찍을 때 유의사항 Photographs should


◇ 가장 관련성이 높은 뷰가 캡처되도록 주의하여 프레임을 작성하십시오. 주제가 틀의 대부분을 채워야 한다.
크로핑은 타임스탬프의 위치를 기억하고 사진을 적절히 액자에 넣어 반대편에서 크로핑이 발생하더라도 이 점에서
유용할 수 있다.
Be carefully framed to ensure the most relevant view is captured. The subject should fill the majority of the frame. Cropping can
be useful in this respect, although remember the location of the timestamp and frame the photograph appropriately so cropping will
occur from the opposite sides.
◇ 흐리면 포함되지 않는다. 야간 사진은 카메라를 고정시키기 위해 더 많은 주의를 요하며 삼각대가 유용하다고
간주될 수 있다.
Not be included if blurred. Photographs at night require more care to hold the camera steady and a tripod may be considered
useful.
◇ reader 에게 뷰의 위치와 방향에 대한 세부사항을 제공하기 위해 라벨을 부착하십시오.
Be labelled to give the reader details of location and orientation of the view.
◇ 적절한 경우 주석을 달아 두드러진 결함과 치수를 강조하거나 표시하십시오. 사진을 찍는 동안 제자리에 고정된
스케일은 사용자에게 저울의 진정한 스케일을 제공한다.
Be annotated if appropriate to highlight or indicate the salient defects and dimensions. A scale held in place while the photograph
is taken will provide the user with a true indication of scale.

또한, 사진의 위치와 방향을 보여주는 교량 평면도 스케치가 포함되어야 한다(그림 10.1 참조). 이는 부록 2에 제시된
조인트 특정 pro formas에 그려야 한다.
In addition, a sketch of the plan of the bridge should be included, showing the location and orientation of the photographs (See
figure10.1). This should be drawn on the joint specific pro formas provided in Appendix 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