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국내 스마트팜 산업 및 특허기술 현황

농업기술실용화재단 김수연 선임연구원

국내 농촌인구의 감소, 고령화 등으로 농업생산량의 감소와 한반도 기후변화


심화 등으로 한국농업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수입농산물의 비중이 매년
증가하고 있고 쌀자급률도 하락하고 있어 농업의 활성화를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1)이다. 이에 농업과 ICT기술을 융합한 스마트 농업 기술이 추진되
고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 농업의 키워드는 스마트, 고품질, 생산성, 호율성으
로 변화되고 있다.

주요 농업 선진국인 네덜란드는 척박한 토양과 부족한 농업 노동력을 극복


하기 위해 자동화 온실 등의 첨단 농업기술을 개발하였고, 이스라엘은 제한된
경지면적과 농업용수의 부족 등을 극복하기 위한 시설채소·원예과수 등에 첨
단 IT기술을 접목하여 작물의 생산량을 높이고 있다.2)

국내에서도 노령화에 따라 부족한 노동력을 대체하기 위한 여러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농업과 ICT기술이 융복합하여 만들어진 스마
트팜 관련 산업현황과 특허기술을 살펴보기로 한다.

스마트팜의 정의 및 범위3)

농업과 ICT의 융합은 생산분야 외에 유통·소비 및 농촌생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적용되고 있다. 광의의 스마트팜이란 생산·유통·소비 등 농
식품의 가치사슬에 ICT를 융복합하여 생산의 정밀화, 유통의 지능화, 경영의
선진화 등 상품, 서비스, 공정혁신 및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말한다.

스마트팜을 좁은 개념으로 한정을 하면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을 비닐하우스, 축사, 과수원 등에 접목하여 원
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적정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는 농장
을 의미한다.

1) 스마트팜 기술동향 및 전망, 김관중 외 1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5


2) 스마트팜 구현을 위한 연구동향 및 ICT 핵심기술분석, 여욱현 외 6인, 서울대학교, 2016
3) 스마트팜 운영실태 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 1 -
또한 스마트팜은 작물 생육정보와 환경정보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
로 언제 어디서나 작물, 가축의 생육환경을 점검하고,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에 적기 처방을 함으로써 노동력, 에너지, 양분 등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
도록 해 농산물의 생산성과 품질 제고가 가능한 농업을 말한다.

<1> 스마트팜 기술 적용을 통한 농작업의 변화


*농촌진흥청 자료 참조

스마트팜의 운영원리는 ⅰ) 생육환경 유지·관리SW로 온실·축사의 온습도,


CO₂수준 등 생육조건을 설정하고 ⅱ)온습도, 일사량 등의 생육환경 등을 자
동으로 수집해 환경정보 모니터링을 하여 ⅲ)자동원격으로 냉난방기 구동, 창
문개폐 등 환경을 관리하는 것이다.

스마트팜의 범위는 앞서 ‘스마트팜의 정의’부분에서 본 바와 같이 생산,


유통, 소비, 농업농촌 부문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며 이에 활용되는 기술로는
유비쿼터스, GIS, GPS, U_IT, RFID, QR, SNS 등이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기술
을 이용하면 농업인은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관리로 생산량은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분 내용
- 원격 실시간 농업 생산관리로 작물의 생산성, 품질향상이 가능하며 빠른 정보제공
생산부문 으로 스마트한 농업을 할 수 있음
- 예: 식물공장, 지능형 축사
- 생산자, 유통인, 소비자에게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
유통부문
- 예: 스마트폰을 활용한 전자경매 시스템
- 소비자가 농산물 생산정보 및 잔류농약, 원산지 등 농산물 안정성과 관련된 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음
소비분야
- GAP, 이력추적제 등으로 주요 식별수단으로 바코드, RFID등을 활용하고 있음. 최근
에는 QR코드로 많이 활용

<2> 스마트팜의 범위
*스마트팜 운영실태 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자료 참조

- 2 -
국내 스마트팜 적용유형 및 도입현황

스마트팜은 자동화설비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이 생육환경을 최적상태로 관리하는 농업의 형태이며 현재 농업과 ICT 융복
합의 주요유형과 사례는 다음과 같다.

구분 추진내용
∘ 센싱기반 시설물 제어 및 생장환경 관리
시설원예환경제어 - 환경센서: 온·습도, CO₂, pH, LED
- 시설신서: 정전센서, 창문, 차양, 환풍기 등
생산
∘ 센싱기반 축사환경 제어 및 사양·질병관리
지능형축사관리 - 환경 및 시설센서: 온습도, 암모니아, CCTV 등
- Web 기반 cloud서비스

∘ 유통센터 경영 및 생산·가공·유통 관리
∘ POS-Mall 및 가상스토어를 통한 농산물 전자거래
유통 산지유통센터 ERP
- ERP(입고-선별-가공-포장-저장-출하)
- SCM(수발주), POS, NFC 등

∘ 학교급식 등 식재료 안전·안심 정보 모니터링


소비 식재료 안심유통 ∘ 생산/가공/유통 이력·인증정보 제공
- RFID 기반 이력추적관리(Farm 2 Table)

∘ 농촌관광(체험정보, 주말농장, 문화, 축제 등)


농촌 u-농촌관광 - GIS/GPS기반 위치정보 서비스
- 문화재, 관광지 등 화재센서 서비스

<3> 농업과 ICT융합 사례


*스마트팜 운영실태 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자료 참조

국내에서는 ICT융합 스마트팜의 기술개발단계를 3단계로 나누어 추진하고


있으며 2세대를 2018년까지 보급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1세대가
원격관리를 통한 노동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면 2세대는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정밀기술을 도입하는 단계이다. 3세대는 에너지의 효율화로
무인 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기술의 도입과 시행이다.

1세대 스마트팜은 원격관리에 의한 농가의 편이성 향상을 주목적으로 하여


현재까지 개발된 자동화 및 ICT기술들을 시설수준에 맞춰 적용하도록 기본형
과 선택형으로 구분하여 모델을 제시하고 농가의 필요에 따라 알맞은 모델을
선택하여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 2세대 스마트팜은 식물의 생육시기별 환경요
인변화에 따라 생장을 예측하고 최종적으로 수확시기와 수확량을 예측함으로
써 시기별 최적 환경관리와 양분·수분관리를 정밀하게 할 수 있는 생육모델

- 3 -
기반 기술이 적용된다. 3세대 스마트팜은 한국형 스마트팜을 기술적으로 완성
하는 단계로 1세대의 편이성 향상과 2세대의 생산성 향상 기술을 토대로 생산
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고 로봇 및 자동화기술을 통해 농작업의 생력
화와 통합제어를 실현하는 것이다.4)

[1세대]

[2세대]

[3세대]

구분 1세대 2세대 3세대


제어주체 관리자((사람) 컴퓨터+사람 컴퓨터(인공지능)

목표(효과) 편의성↑ 생산성↑ 플랜트수출

주요기능 원격 모니터링+제어 지능형 정밀생육관리 전 과정 시스템화/자동화

-1세대+빅데이터 생육모델활용 2세대+로봇·무인자동화 및


기술개발내용 기존기술+ICT
-정밀생육관리기술 지능형 시스템 통합제어기술

기술구현시기 2016년 2018년 2020년

<4> 한국형 스마트팜 온실 추진단계


*표와 그림: 농촌진흥청 자료참조

4) 이달의 농업기술, 농촌진흥청, 2016


(http://www.rda.go.kr/event/monthlyIssue/download/agrtech_201609_07.pdf)

- 4 -
현재 시설원예와 축산분야를 중심으로 스마트팜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미 스
마트 팜을 도입한 농가는 생산성과 효율성의 향상되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확
인하였다.

<5> 스마트팜 생산성 분석결과


*농림축산식품부(2016) 자료참조

국내 스마트팜 특허기술 현황

본 보고서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특허는 1) 국내 공개 또는 등록된 특


허·실용신안으로 2) 시설원예, 지능형 축사, 유통 등의 기술을 중심으로 한다.

최근 5년간 출원된 특허 중에서 유효특허를 찾기 위해 ‘시설원예, 지능형축


사, 유통/소비 및 스마트팜, 유비쿼터스, GIS, GPS, U_IT, RFID, QR’등으로 한
정하여 검색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특허가 63건이 검색되었다.

검색키워드를 중심으로 ‘시설원예, 지능형축사, 유통/소비분야’로 기술분류


를 하였으며 각각 해당하는 특허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생산과 관련된 기술분야는 크게 시설원예와 지능형 축사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시설원예와 관련된 특허는 온도, 습도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일괄제어
하는 버섯재배사, 가축이나 식물을 생장시키는 공간의 온도나 습도 등을 일정
주기마다 지속적으로 측정한 후 그 결과를 격지에 있는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
기 등으로 전송하여 표출시킴으로써 관리자가 현장에 방문하지 않고도 축사나
하우스의 내부 환경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한 생장환경데이터 무
선 모니터링 시스템 등에 관한 것이 있다.

이외에도 유선드론을 이용하여 작물개체를 3차원으로 모니터링 하는 기술에


관한 것도 있다. 이 중 대표적인 특허기술만 소개하겠다.

- 5 -
분야 출원번호 발명의 명칭 내용
축사나 하우스와 같이 가축이나 식물을 생장시키는 공간의 온도
나 습도 등을 일정 주기마다 지속적으로 측정한 후 그 결과를
생장환경데이터 무선 격지에 있는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 등으로 전송하여 표출시킴
10-2017-0021662
생산 모니터링 시스템 으로써 관리자가 현장에 방문하지 않고도 축사나 하우스의 내부
(하우스, 환경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 생장환경데이터 무선
축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두에 본 발명은 가축 및 원예 시스템에 기후 및 환기, 환경관리 시스템
적용가능 으로서 컨트롤에서 제공되는 33가지의 기능을 웹칙프로그램으로
ICT 웹칙프로그램 RF
한 기술) 모듈화 시켜서 RX 및 TX 기능의 무선랜을 이용하여 관제실에서
10-2016-0043183 무선 모듈화 가축 및
웹칙프로그램을 통하여 원예 및 가축사육의 체계적 관리로 관리시
원예 관리 시스템
간에 따른 노동력절감, 동물(원예)복지환경조성개선 및 효율성, 생
산성을 항상 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등 버섯 생육환경을 통합
스마트 버섯재배사 적으로 일괄 제어함으로써 우량 품질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10-2017-0103387 제어시스템 및 효과가 있으며, 버섯의 재배일수에 따라 다른 최적의 생육환경
버섯재배사 제어방법 을 유지하여줌으로써 버섯 재배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생산량
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태양열/풍력 하이브리드 본 발명은 발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태양열/풍력 하이브
발전 장치 및 이를 리드 발전 장치와, 발전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주택, 축사, 버티
10-2016-0083612 컬팜으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고 주택, 축사, 버티컬팜에서 나
포함하는 스마트팜 오는 부산물과 폐기물을 다시 연료와 비료로 재활용 할 수 있
시스템 는 스마트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초저압 저공해 본 발명은 시설원예용 하우스 등의 이산화탄소 시비에 안정적이
10-2016-0030798 가스엔진기술을 이용한 며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초저압 저공해 가스엔진기술을 이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 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TVWS(TV White Space) 기반의 식물공장 모니터링
TVWS 기반의 식물공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TVWS
10-2015-0044803 모니터링 제어 시스템 기반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식물공장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
및 방법 되는 운용 장비들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식물공장 모니터링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작물의 생장률 향상 및 본 발명은 완전 제어형 식물공장에서 작물의 생장률 향상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USN기반 에너지 절감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최적의 식물
10-2015-0010797 생장률을 가지면서 에너지 소모가 최소로 되는 기류발생을 포함
기류제어를 가지는
식물공장의 운영 방법 하는 식물공장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유선드론을 적용한 본 발명은 유리온실이나 비닐하우스, 식물공장 등 대규모 원예
시설원예 10-2014-0180238 작물개체 3차원 시설에서 개개의 작물개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모니터링 시스템 위한 실시간 작물개체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식물공장 내부의 환경정보를 수신하는
식물공장 재배작물의 컨트롤러 장치를 제작하는 한편, 기 설정된 시간 단위 동안의
재배환경을 제어하기 환경정보의 변화율 및 기 설정된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최적의
10-2013-0029155 재배조건을 기반으로 작물의 재배환경 및 전력생산 장치의 동작
위한 컨트롤러 장치 및
그 방법 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장치 및 그 방
법에 관한 것이다.
원예시설 감시 스마트 기기와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로 원예시설 내의 환경과
10-2013-0028397 기계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원예시설
제어시스템 및 방법 감시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시설하우스와 연결되는 무선단말기를 통해
상기 시설하우스에 설치된 도어개폐장치, 창문개폐장치, 냉방장
유비쿼터스 센서 치, 난방장치 등을 원격으로 제어하고, 중앙관리기관서버로부터
전국에서 생산된 농작물에 대한 전체 현황을 제공받아 이를 통
10-2012-0077086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해 출하량과 출하시기를 조절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중앙관
시설하우스 관리시스템 리기관서버를 이용하여 재배생산자와 소비자사이의 직거래가 가
능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시설하우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USN 기반 식물공장 에너지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의 생장에 영향을
USN 기반 식물공장 미치는 생장환경 및 각 디바이스의 에너지 소비량을 실시간 모
10-2012-0075673 에너지 통합관리 시스템 니터링하고 식물의 종류 및 그 생육시기에 따라 요구되는 광량
및 그 방법 (PPFD, 조도),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양액 등을 통합적으로 자
동제어할 수 있는 USN 기반 식물공장 에너지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6> 생산 및 시설원예분야 중 대표적인 특허기술

지능형축사와 관련된 특허를 살펴보면,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축사를 모니터


링 하는 장치,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동물관리 시스템 및 가축생체 정
보수집 등에 관한 기술 등에 관한 기술이 검색되었다.

- 6 -
또한 가속도 센서와 GPS를 이용하여 가축의 운동량, 운동패턴, 지압 축적량
등을 계측하여 가축개체에 지급해야 할 사료의 양을 산출하여 관리자에게 제
공하는 등 효율적으로 고품질의 가축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
도 있다.

출원번호 발명의 명칭 내용
본 발명은 축사 내에 설치된 회전형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축사 영상에
증강현실 기반의 축사
10-2016-0077719 개체에 관한 개체 정보를 나타낸 증강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기반
모니터링 장치
의 축사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축정보처리장치 및 본 발명은 복수의 가축의 생체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유용한
10-2016-0028090
시스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축사 환경 제어를 위한 개시된 기술은 축사 환경에 대한 정보를 센싱하고 내부 환경을 제어하고 상황
10-2015-0187591
상황 인지 방법 및 시스템 을 상황 인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 기반의 센서, CCTV로 동물 및 가축의 상태 및 환경을 네트워킹
사물인터넷 기반 동물 함으로써, 브레인-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기반뿐만 아니
10-2015-0130478 관리 시스템 및 제공 라 브레인-인터넷 인터페이스(Brain-Internet Interface) 기반으로 쾌적한 축사
방법 환경을 형성하고 동물 및 가축의 의사 표현이 가능하며, 생산 및 유통을 최적
화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 동물 관리 시스템 및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고온 스트레스 지수를 본 발명은 축사환경 자동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
10-2015-0090406 이용한 축사환경 온 스트레스 지수를 이용하여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착유우의 고온에 의
자동제어 시스템 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축사환경 자동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속도 센서 및 GPS를 이용한 사료효율 분석 시스템으로서, 가
속도 센서는 가축에 부착되어 가축 개체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GPS는
가속도 센서 및 GPS를
가축이 축사내에서 어떠한 패턴으로 움직이는 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10-2014-0158465 이용한 사료효율 분석
상기 정보들로부터 가축 개체의 운동패턴 및 운동량(에너지 소비량), 지방축
시스템
적량 등을 판단하여 사료의 공급량을 결정하는, 가축 개체의 운동패턴 기반
의 사료효율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축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
유비쿼터스 센서
워크를 활용하여 내의 축사 환경 정보, 개체 정보, 급이 정보, 착유 정보 등
10-2014-0076339 네트워크 기반 축사
을 획득하여 통합적으로 축사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유비쿼터스 센서 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트워크 기반 축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축 꼬리 움직임을 본 발명은 가축 발정감지 장치 및 그 시스템 운용 감방법에 대한 것으로
10-2014-0021244 활용한 발정 감지 장치 가축 꼬리에 발정 감지장치를 부착하여 움직임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발정
및 그 시스템 운용 방법 예정 가축의 발정을지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T 기반의 모돈 주간관리 본 발명은 모돈의 주간관리를 자동으로 관리하며, 그에 대한 운영법에 관한
10-2013-0159313
시스템 및 그 운영법 것이다.
본 발명은 USN 센서를 활용한 가축생체정보 원격진단 보조기기를 위한 웹/
USN 센서를 활용한
모바일기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축생체정보 원격진단
USN 기술을 가축의 건강과 생장 환경에 이용하여 가축의 질병에 대한 예
10-2013-0070089 보조기기를 위한
방관리를 효과적으로 함으로써 국내외 축산 산업발전에 획기적 기여하도록
웹/모바일기반
하기 위한 USN 센서를 활용한 가축생체정보 원격진단 보조기기를 위한 웹/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모바일기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축 분만 및 감지 본 발명은 가축 분만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가축의 뒷다
10-2013-0018430 모니터링 시스템과 그 리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하중 센서와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가 모
방법 니터링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탈취 및 가축의 건강상태를 감시하는 축사감시 시스템에 관한
탈취 및 가축의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사에 탈취개스를 분사하여 냄새를 제거하고 가
건강상태를 감시하는
10-2012-0043691 축의 건강상태 및 축사의 동영상신호와 암모니아개스 농도값과 메르캅탄
축사감시 시스템 및 그
개스 농도값 및 축사의 온도값을 원격으로 감시하는 축사감시 시스템 및
축사감시방법
그 축사 감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축사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 센서를 활용하여 축사의
유비쿼터스 지능형 축사 구역별/위치별 환경 특성을 고려하여 환기팬을 효율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10-2012-0018173
환기 시스템과 그 방법 축산 농가의 생산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비쿼터스 지능형
축사 환기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7> 지능형축사 분야 중 대표적인 특허기술

유통/소비와 관련된 특허를 살펴보면, 모바일 App을 개발하여 생산-가공-유


통-판매의 농산물 유통체계를 고도화 체계화하고 지역특산물을 생산하는 소농
인과 정보공유를 통한 지역공동체 복원과 소비자에게는 얼굴 있는 안전한 먹

- 7 -
거리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 농산물의 잔류농약 검출데이터와 유통정보인 바
코드나 QR코드를 함께 서버로 전송하여 잔류농약 검출을 알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들이 있다.

출원번호 발명의 명칭 내용
본 발명은 로컬푸드 기반 소농인을 위한 모바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로컬푸드 기반 소농인을 것으로, 로컬푸드 기반 소농인을 위한 모바일 App을 개발하여 생산-가공-유
10-2017-0068804 위한 모바일 시스템 및 통-판매의 농산물 유통체계를 체계화하고 지역특산물을 생산하는 소농인과
방법 정보공유를 통한 지역공동체 복원과 소비자에게는 얼굴 있는 안전한 먹거
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팜에 구비되는 환경 제어유닛과 식물재배 필요물질 공급유닛
온라인 통합플랫폼 기반
10-2016-0158377 에 의해 재배환경의 최적화됨으로써 정밀 농업이 구현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팜 운용시스템
온라인 통합플랫폼 기반 스마트팜 운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GS1(Global Standard 1) 표준 기반의 스마트 잔류농약 검출 통신장
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GS1(Global Standard 1) 표준 기반의
스마트 잔류농약 검출 투명 유통과 안전 소비를 위한 농축산 클라우드 및 응용서비스를 구현할 수
10-2016-0004518
통신장치 있도록 하며, 농산물로부터 농약이 잔류하는지를 검출하되 검출되는 농약 수
치와 해당 농산물의 바코드를 인식하여 장치에서 취득한 정보를 서버로 무선
전송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잔류농약 검출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본 발명은 농가에서 수확하는 농산물의 수확량 및 유통량을 자동으로 측정하
농산물 수확량 및 유통량 여 향후 농산물 생산 계획 등에 활용하는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농산물
10-2014-0047217
모니터링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수확량 및 유통량 모니터링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농산물 데이터 처리 시스템
농산물 데이터 처리 시스템 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본 발명은 가상의 농산물 재배 시스템 및 이와 연동하는 농산물 거래 시스템
가상의 농산물 재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농산
10-2013-0041251 시스템 및 이와 물을 재배하는 게임을 제공하고 이와 연동하여 소비자와 생산자가 직접 농산
연동하는 농산물 거래 물 거래를 할 수 있도록 중개하는 농산물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
시스템 및 그 방법 이다.

<8> 유통/소비분야 중 대표적인 특허기술

차세대 한국형 스마트팜 기술개발 프로젝트는 여러 기관과 전담부서에서 협


업하여 핵심 요소 및 원천 기술 확보를 위해 집중적으로 연구를 하고 있다.
한국형 스마트팜 개발은 외국의 선진기술을 그대로 수입하여 적용하거나 단순
모방을 하지 않고 국내 농업조건과 현실에 맞게 최적화된 기술을 개발하여 농
업선진국과 경쟁할 수 있는 독자적인 농업 생산기술을 확보를 목표로 한다.
또한 한국형 스마트팜의 보급 확산은 국내 농가의 생산성과 소득향상 뿐만 아
니라 농업생산기술과 시스템을 수출해 국내 농업과 농업기술 경쟁력을 높이는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5).

5) 이달의 농업기술, 농촌진흥청, 2016


(http://www.rda.go.kr/event/monthlyIssue/download/agrtech_201609_07.pdf)

- 8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