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0

대분류/22

인쇄·목재·가구·공예 중분류/02
공예 소분류/02
귀금속·보석 세분류/05
보석디자인 능력단위/10

NCS학습모듈

보석 디자인 제품 관리
LM2202020510_16v3
[NCS-학습모듈의 위치]

대분류 인쇄 ․ 목재 ․ 가구 ․ 공예

중분류 공예

소분류 귀금속 ․ 보석

세분류

귀금속 가공 능력단위 학습모듈명

귀금속 품위 감정 보석 디자인 기획 보석 디자인 기획

보석 가공 보석 디자인 재료 조사 보석 디자인 재료 조사

보석 감정 보석 디자인 개발 보석 디자인 개발

보석 디자인 보석 디자인 품평 보석 디자인 품평

주얼리 마케팅 보석 디자인 샘플링 보석 디자인 샘플링

보석 디자인 상품화 전략 보석 디자인 상품화 전략

보석 디자인 제품 관리 보석 디자인 제품 관리

보석 디자인 도면 작업 보석 디자인 도면 작업

보석 디자인 기초 보석 디자인 기초

보석 디자인 렌더링 보석 디자인 렌더링

보석 디자인 컴퓨터 모델링


보석 디자인 컴퓨터
모델링과 3D 프린팅
보석 디자인 3D 프린팅
차 례

학습모듈의 개요 1

학습 1. 품질 표준화하기

1-1. 품질 표준화 3

• 교수・학습 방법 18

• 평가 19

학습 2. 지적 재산권 관리하기

2-1. 지적 재산권 관리 21

• 교수・학습 방법 50

• 평가 51

학습 3. 자료 관리하기

3-1. 자료 관리 53

• 교수・학습 방법 74

• 평가 75

참고 자료 77

활용 서식 78
보석 디자인 제품 관리 학습모듈의 개요

학습모듈의 목표
양산 제품의 품질을 표준화하고 지적 재산권을 관리하며, 제품 이력에 대한 자료를 체계화할
수 있다.

선수학습
제작공정 설정하기(2202020509_14v2.1)

학습모듈의 내용 체계

NCS 능력단위 요소
학습 학습 내용
코드 번호 요소 명칭

1. 품질 표준화하기 1-1. 품질 표준화 2202020510_16v3.1 품질 표준화하기

2. 지적 재산권 관리하기 2-1. 지적 재산권 관리 2202020510_16v3.2 지적 재산권 관리하기

3. 자료 관리하기 3-1. 자료 관리 2202020510_16v3.3 자료 관리하기

핵심 용어

품질 표준화, 지적 재산권, 디자인 등록, 상표 등록, 자료 관리,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분류


색인

1
학습 1 품질 표준화하기
학습 2 지적재산권 관리하기
학습 3 자료 관리하기

1-1. 품질 표준화
• 생산 부서의 이해를 위해 디자인 사양을 정확하게 전달하여 제품의 품질을 표준화할
수 있다.
• 감정·감별이나 품질 보증 발급서 대장과 같은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해서 품질을
학습 목표
표준화하고 관리할 수 있다.
• 제품 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해당 매뉴얼에 의거해서 생산 부서와 협의를 통한
시정 조치를 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일반적 주얼리의 분류

1. 파인 주얼리(Fine Jewelry)

파인 주얼리란 14K 이상의 골드와 다이아몬드, 루비, 사파이어 등 천연 보석을 사용하는


최고품의 보석을 말한다. 즉, ‛Wearable Spirit' 라고 불릴 정도로 장인 정신을 중시하고,
트렌드보다는 영원을 지향하며, 오랜 기간 축척된 노하우가 만들어 낸 정교한 세공 기술
은 주얼리와의 예술적 영역이라고 말할 수 있다.

카르띠에, 쇼메, 불가리, 부셰론, 반클리프 아펠, 티파니, 디올 뀌띄르 제품 등 오랜 역사


를 간직한 주얼리 하우스의 제품들을 포함한 럭셔리한 제품들이다.

2. 코스튬 주얼리(Costume Jewelry)

코스튬 주얼리는 패션 주얼리라고도 불리며, 이는 마치 대량 생산 의류와 같은 것으로 천


연 보석이 들어가지 않고 재료(귀석, 플라스틱, 금속, 나무 등)나 형태가 자유로울 수 있기
에 장신구에 가까우며, 의상과 연계한 작품들이 패션쇼에서 선보여지고 있다.

3
코스튬 주얼리는 다시 모조 보석(imitation jewel)과 합성 보석(synthetic gemstones)으로 나
뉘는데, 모조 보석은 천연 보석과 외견상 비슷하며, 재료로는 구리, 납, 알루미늄, 플라스
틱, 가죽, 구슬, 지점토, 유리 등을 폭넓게 사용하여 의상과의 조화를 이룬다.

합성 보석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천연 보석과 동일한 화학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


며, 색채와 광채가 아름답다. 코스튬 주얼리는 디자이너 샤넬(Chanel, G.)에 의해 시작된
것으로, 1920년대 자신이 디자인한 의상과 조화를 이루어 인조 진주 목걸이를 착용한 것
에서부터 시작되었다.

3. 브리지 주얼리(Bridge Jewelry)

브리지 주얼리는 파인 주얼리와 코스튬 주얼리의 매개 역할을 하는 주얼리를 말한다.

브리지 주얼리는 1980년대 금과 은의 가격 상승 여파로 보석 애용자들이 보다 합리적인


가격의 천연 보석을 찾기 시작한 것에 기인한다. 즉 가격, 재료, 스타일에 있어서 파인 주
얼리와 코스튬 주얼리의 매개 역할을 하는 주얼리이다.

출처: 지영지(2011), 「한국 산업 장신구(jewelry)의 생성과 전개」, 국민대학교 박사논문, p. 22.

[그림 1-1] 주얼리의 분류

 국내 주얼리 제조 공장에 따른 분류

국내 주얼리 시장은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파인 주얼리(Fine Jewelry), 코스튬 주얼리


(Costume Jewelry), 브리지 주얼리(Bridge Jewelry)와 같은 3종류 분류 속에 귀금속 시장과 액
세서리 시장으로 크게 양분된다. 귀금속 시장은 주얼리 생산 제품군에 따라 예물과 비예물군
으로 나뉘며, 국내 주얼리 산업 종사자들 간에 통상적으로 지칭되는 분류는 다음과 같다.

4
1. 순금

24K 순금 제품을 주 생산품으로 제작하며, 반지, 목걸이, 귀걸이, 팔찌 등의 장신구와 그


외에도 열쇠, 골드바 등의 제품을 생산한다.

2. 예물

파인 주얼리에 가까우며, 일반적으로 결혼할 때 많이 소비되는 제품 위주로 생산하고, 특


히 메인 보석을 기준으로 디자인된 제품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3. 패션

일반적인 주얼리 분류에서 부르는 패션 주얼리와는 달리, 국내 귀금속 산업에서 통칭되는


패션이란 비예물 시장으로 파인 주얼리에 가까우며, 14K, 18K 합금 제품이 주로 생산된다.

4. 브리지 주얼리(타깃: Miss)

일반적으로 결혼하지 않은 소비층을 목표로 생산되는 제품군을 통칭하며, 대부분 낮은 중


량의 제품이 주 생산품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5. 액세서리

국내 주얼리 시장에서는 코스튬 주얼리를 악세서리로 분류한다. 주재료로 배빗(Babbit), 신


주(Brass) 등을 사용하며, 부재료로는 플라스틱, 유리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다.

 제품 품질 개선 방법

1. 원가 절감

제품을 생산할 때 원가를 낮추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서는 문제를 발견 및 검토하고


대책을 세워 실행함으로써 효과를 제대로 거둘 수 있다.

2. 품질 개선

불량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체계적 조치를 실시하여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하고, 품질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나간다.

5
[그림 1-2] 품질 개선 과정

 귀금속 관련 법규

1. 품질 경영 및 공산품 안전 관리법

이 법은 기업, 공공 기관, 단체 등의 품질 경영의 조성·지원에 관한 사항과 공산품의 안


전 관리에 관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기업, 공공 기관, 단체 등의 품질 경쟁력을 강화하고
소비자의 이익과 안전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귀금속 가공 상품 분야별 품질 표시의 경우, 품질 표시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귀금속의 함유율(천분율)은 금 함유율이 999인 경우, ‘24K, 순금 또는 999금’,
750인 경우‘18K 또는 750금’, 585인 경우‘14K, 또는 585금’의 표시 문자를 사
용한다.
(2) 백금은 백금 함유율(천분율)이 999인 경우‘PT 999 또는 순백금’, 백금 함유율이
950인 경우‘PT 950 또는 백금 950’의 표시 문자를 사용한다.
(3) 귀금속의 종류 및 함유량 또는 표시 문자를 표시(1g 미만의 귀금속 가공 상품은 제
외할 수 있다.)하여야 하고, 오차의 허용 범위는 그 주성분을 이루는 귀금속 함유
량의 -5‰(천분율)로 한다.

6
(4) 중량 표시는 그 단위를 그램(g)으로 표시하여야 하며, 중량 표시의 오차 허용 범위
는 중량이 10그램(g) 미만인 것은 -1%로 하고, 10그램(g) 이상인 것은 -0.8%로 한다.
(5) 반지치수는 표시 문자로 표시하며, 이 경우의 오차 허용 범위는 ±0.3mm로 한다.
(6) 귀금속 가공 상품의 표시는 낱개마다 품위 및 상표 또는 약호를 각인하여야 하며,
상품을 판매할 경우 제조자, 판매자 또는 수입자는 반드시 보증서를 발급하여야 한다.
(7) 보증서에 기재할 내용
보증서에는 상품명, 품명, 치수, 귀금속의 품위, 귀금속의 중량, 보석의 종류, 제조
업체명 또는 상표, 주소 또는 전화번호 등을 표기한다.

[그림 1-3] 귀금속 분석 장비

[그림 1-4] 보증서

7
출처: 한미보석감정원.
[그림 1-5] 보석 감별서

출처: 한미보석감정원.
[그림 1-6] 다이아몬드 감정서

[그림 1-7] 보관용 다이아몬드 감정서

8
2. 계량에 관한 법률

길이의 기본 단위로 길이의 측정 단위는 미터(m), 질량의 측정 단위는 킬로그램(kg)으로 하


고 있다. 또 제10조(정확히 계량하여야 할 의무) 법적단위에 의하여 거래 또는 증명하는 자
는 정확히 계량하여야 하고, 대통령이 정하는 상품의 허용 오차를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1) 허용 오차의 범위
(가) 10g 미만인 상품: -1%
(나) 10g 이상인 상품: -0.8%
(다) 측정 기계(저울)의 검사는 2년에 1회 실시하는 정기 검사와 수시로 검사하는 수시
검사로 구분한다.

(2) 귀금속·보석의 소비자 피해 보상 규정


소비자 피해 보상 규정은「소비자 기본법」에 의하여 소비자와 사업자 간의 분쟁을
원활하게 해결하기 위하여 품목별로 소비자 피해를 보상할 수 있는 기준을 정함을 목
적으로 한다.
(가) 함량 및 중량 미달: 제품 교환 또는 구입가 환불
(나) 치수상이: 수리 또는 제품 교환(구입 후 1개월 이내)

수행 내용 1 / 생산 의뢰서 작성하기

재료·자료

• 연필, 펜, 지우개, 복사 용지 등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스캐너, 프린터, 빔 프로젝터, 화이트보드 등

• 한글, 일러스트, 포토샵 프로그램

안전 ・ 유의 사항

• 제품 생산 의뢰서를 작성 시에는 모든 부서를 고려한다.

• 생산 의뢰서는 디자인을 제공하고 원본 제작, 샘플 제작, 시제품 제작을 의뢰하는 경우와 제조


공장에서 원본 제작 후 생산 부서가 작업이 용의하도록 도와주는 경우로 나뉜다.

9
수행 순서

 생산 의뢰서 양식을 작성한다.

1. 발주자가 최종적으로 원하는 결과물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

2. 일반적인 생산 의뢰서는 디자인 제공 후 제품을 원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출처: 주어링 제공.


[그림 1-8] 신상 발주서

출처: 주어링 제공.


[그림 1-9] 샘플의뢰서

10
 디자인 또는 사진 삽입 후 세부 사항을 기입한다.

1. 최종 완성에 필요한 보석(stone) 사양 및 수량을 파악하여 단계별 관리 번호를 입력한다


(디자인, 원본, 고무 몰드 등).

2. 납품 기일을 협의하여 기입하고 유의 사항을 기입한다.

출처: 주어링 제공.


[그림 1-10] 신상 발주서(공장용)

수행 tip

• 생산 의뢰서를 작성할 때에는 필요시 수작업, CAD


작업 등 생산 방법을 기입하기도 하고, 가격을 고
려한 예상 중량을 기입하기도 한다.

11
수행 내용 2 / 품질 개선 보고서 작성하기

재료·자료

• 연필, 펜, 지우개, 복사 용지 등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스캐너, 프린터, 빔 프로젝터, 화이트보드 등

• 한글,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 등

안전 ・ 유의 사항

• 일정한 문제가 주기적으로 발생 할 때에는 품질 개선 보고서를 작성한다.

수행 순서

 품질 개선 보고서 작성 요령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기적인 문제점 발생 시 그 원인 등을 파악하여 품질 개선 보고서를 작성한다.

작성 검토 승인
품질 개선보고서 결재

1. 문제점기술 Ÿ 불량 제품명, 불량 수량, 발생 공정, 작업 일자, 작업자 등을 기록


Ÿ 불양이 발생된 원인 기록: 작업자, 재료, 장비, 작업 방법들 중
2. 원인 규명
원인을 규명하여 기록
Ÿ 문제가 심각하면 생산 중지 또는 생산 감소 조치를 하고, 문제
3. 임시 조치
가 경미하면 계속 생산하되 주의를 기울임.
Ÿ 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대책 수립
4. 대책 수립
Ÿ 대책 방안, 일정 계획, 담당자 기록
5. 시정 조치 Ÿ 수립된 대책을 실시하고 실시 일자, 담당자 기록
Ÿ 실시 결과로서 불량이 해결되었는지 확인
6. 효과 파악
Ÿ 확인 방법은 검사를 통해 진행
Ÿ 효과가 확인된 개선 도치 사항을 표준화함
7. 표준화
Ÿ 향후 작업 시에는 개선된 방법을 적용
출처: 인덕대학교 창업사관학교 제공.
[그림 1-11] 품질 개선 순서

12
 품질 개선 보고서 목적을 설정한 후 서식 폼을 결정한다.

1. 문제점을 파악한 후 품질 향상, 공정 개선, 품질 시스템, 환경 개선 등을 목적으로 작성


한다.

2. 한글, word, Excel 등의 문서 작성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3. 품질 향상을 위하여 데이터를 파악한 후 적절한 폼으로 작성한다.

작성 일자:

검 토 자:

개선 전 개선 후

그림(사진) 그림(사진)

기존 내용 개선 내용

[그림 1-12] 품질 개선 보고서 양식

수행 tip

• 품질 개선 보고서 작성 시 온도, 습도와 같은 변화


요소를 최소화하여 그 원인을 찾는다.

13
수행 내용 3 / 제품 검품하기

재료·자료

• 연필, 펜, 지우개, 복사 용지 등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스캐너, 프린터, 빔 프로젝터, 화이트보드 등

•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 등

안전 ・ 유의 사항

• 주문 일자별로 출고 일자를 확인하여 누락된 사항이 없도록 한다.

• 빠른 주문 내역, A/S 물건 등 일반적 주문 이외의 제품을 확인한다.

수행 순서

 출고 준비를 한다.

1. 출고 제품 목록을 확인하고, 얼룩을 방지하기 위하여 흰 장갑이나 고무 골무 등을 착용한다.

2. 주문 일자별로 출고 일자를 확인하여 누락된 사항이 없도록 한다.

[그림 1-13] 출고 준비

14
 주문 시 제품 디자인 변경 사항이 있는지 확인한다.

주문 크기가 다른 반지는 호수를 확인하고, 목걸이, 팔찌, 발찌 등은 길이를 확인한다.

[그림 1-14] 반지 호수 확인

 제품에 기포나 스크래치가 있는지 확인한다.

1. 제품에 기포나 스크래치가 있는지 육안 또는 확대경을 이용하여 확인한다.

2. 기포나 스크래치가 육안으로 식별될 경우, 출고 가능 유무를 판단하고 출고가 불가능한


제품은 보류한다.

[그림 1-15] 제품 표면의 검품.

15
 조각의 세팅 상태를 확인한다.

보석이 세팅되어 있지 않거나 깨진 보석이 없는지 확인한다.

[그림 1-16] 보석 세팅 검픔

 장식의 기능을 확인한다.

장식 부분의 기능이 잘 작동되는지 동작에는 무리가 없는지 확인한다. 움직임이 부드럽지


않을 경우, 초(wax) 등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부드럽게 한다.

[그림 1-17] 장식 확인

16
 출고 포장한다.

스크래치나 얼룩이 생기지 않도록 개별 봉투에 포장하며, 움직임이 있는 제품은 종이 등


을 이용하여 먼저 감싼 후 포장한다.

[그림 1-18] 포장하기

수행 tip

• 제품 검품 시 제품의 불량 상태가 발견될 경우, 출


고 날짜를 확인한 후 제품의 출고 가능 유무를 빠
르게 판단하여 대처한다.

17
학습 1 교수 ‧ 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생산 부서의 이해를 위해 디자인 사양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생산 의뢰서를 작성하여


제품의 품질을 표준화할 수 있도록 한다.

• 품질 개선 방법에 대하여 샘플 사례를 설명하고, 이를 토대로 제품 품질의 문제점을 파악하도록


지도한다.

• 감정·감별이나 품질 보증 발급서 대장 관리 방법에 대하여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학습하도록


지도한다.

• 제품 출고 방법을 단계별로 숙지시킨다.

학습 방법

• 생산 부서의 이해를 위해 디자인 사양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생산 의뢰서를 작성하여


문서로 정리한다.

• 주얼리 샘플을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품질 개선 보고서를 작성한다.

• 감정·감별이나 품질 보증 발급서 대장을 작성하여 문서로 정리한다.

• 제품 출고 방법을 단계별로 숙지한다.

18
학습 1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수행 준거 및 평가 항목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학습 목표
상 중 하
- 생산 부서의 이해를 위해 디자인 사양을 정확
하게 전달하여 제품의 품질을 표준화할 수 있다.
- 감정·감별이나 품질 보증 발급서 대장과 같은

품질 표준화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해서 품질을 표준화하고


관리할 수 있다.
- 제품 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해당 매뉴얼
에 의거해서 생산 부서와 협의를 통한 시정 조
치를 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평가자 질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주얼리 분류의 체계

- 감정·감별이나 품질 보증 발급서 대장 관리

품질 표준화 - 생산 의뢰서 작성

- 제품 품질 개선 방법

- 제품 출고 방법

19
• 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주얼리 분류의 체계

- 감정·감별이나 품질 보증 발급서 대장 관리

품질 표준화 - 생산 의뢰서 작성

- 제품 품질 개선 방법

- 제품 출고 방법

• 구두발표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품질 표준화 - 제품 품질 개선 방법

피 드 백

1. 평가자 질문
- 문서를 분류하여 표준화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에는 감정서, 감별서 등을 분류하
여 정리하게 한다.
- 문서 작성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 샘플 서식을 수집/배포하거나 필요 항목을 추출하여
사례로 제시한다.
- 제품 출고 시 조별로 진행하기 어려운 부분은 서로 도와가며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2. 평가자 체크리스트
- 문서를 분류하여 표준화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 감정서, 감별서 등을 분류하여 정
리하게 한다.
- 문서 작성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 샘플 서식을 수집/배포하거나 필요 항목을 추출하여
사례로 제시한다.
- 제품 출고 시 조별로 진행하기 어려운 부분은 서로 도와가며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3. 구두 발표
- 제품 품질 개선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시킨 후 진행한다.

20
학습 1 품질 표준화하기

학습 2 지적 재산권 관리하기
학습 3 자료 관리하기

2-1. 지적 재산권 관리
• 지적 재산권 확보를 위한 절차를 파악하여 자회사 디자인 등록에 필요한 서류와 관
련자료를 준비할 수 있다.
• 「특허법」으로 보호받기 위한 지적 재산권의 종류를 파악하여 선정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양산 제품에 대한 지적 재산권을 출원·등록해서 관리하고, 전문 매체를 통해서 공표
할 수 있다.
• 자회사 사규 매뉴얼에 따라 지적 재산권 대장을 작성하고, 자회사 디자인이 외부로
유출되었을 경우 지식 재산 기본법에 따라 신속히 보고하고 대처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지적 재산권의 종류

지적재산권

[그림 2-1] 지적 재산권의 종류

1. 산업 재산권

산업 재산권이란 특허권, 디자인권, 상표권을 총칭하며, 특허청에 출원하여 등록을 받음으


로써 배타적 독점권이 부여되는 권리이다.

21
2. 저작권

저작권이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 등을 독창적으로 표현한 창작물인 저작물에 대하여 창


작자가 가지는 독점적 배타적인 권리이다. 저작권을 특허청에 별도로 등록하지 않아도 그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3. 신지적 재산권

신지적 재산권이란 산업 재산권과 저작권의 범주에 속하지 않으면서, 경제의 발전 및 변


화와 함께 보호 필요성이 대두된 새로운 지적 재산권이다.

 산업 재산권의 특징

1. 실용신안

실용신안은 「특허법」상 보호 대상인 발명이라는 고도의 기술에 가려서 사장되기 쉬운


실용적 기술 사상인 ‘고안’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이다.

(1) 고안이란?
고안이란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적 사상의 창작을 말한다. 우리나라 「실용신안법」
에 따르면, 실용신안은 이미 발명된 것을 개량해서 물품을 편리하고 유용하게 만든 고
안 자체를 말하며, 소발명이나 개량 발명으로 취급한다.

(2) 실용신안 보호 대상
물품의 형상·구조·조합에 관한 고안이다.

(3) 특허와의 차이점


실용신안은 고안이나 유용한 기술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특허와 유사하지만, 실용
신안은 반드시 물건의 발명에 한정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4) 존속 기간
실용실안의 존속 기간은 설정 등록 후 출원일로부터 10년이다.

2. 디자인 특허

물품을 대상으로 새롭고 독창적이며 장식적인 디자인에 대한 특허이다.

(1) 디자인 특허의 특징


디자인 특허 출원은 하나의 청구 범위만을 가지며, 대여하는 유지료가 요구되지 않는다.

(2) 디자인 특허 보호 대상
물품의 구성이나 형상, 물품에 적용된 표면 장식 또는 구성과 표면 장식의 조합이다.
즉, 물품이 보여지는 방식을 보호하는 것을 말한다.

22
(3) 존속 기간
출원일부터 20년이 되는 날까지이다.

3. 상표법

상표를 보호함으로써 상표 사용자의 업무상의 신용 유지를 도모하여 산업 발전에 이바지


함과 아울러, 수요자의 이익을 보호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표 등록을 받고자 하는 자는 상표 등록 출원서를 특허청장에게 제출해야 하며, 입체적


형상·색채·홀로그램·동작 또는 그 밖에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된 상표인
경우에는 그 취지를 출원서에 기재한다.

(1) 상표법의 특징
상표 등록 출원의 승계는 상속, 기타 일반 승계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출원인 변경 신
고를 하지 않으면 그 효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표 등록 출원은 그 지정 상품마다 분
할하여 이전할 수 있으며, 기타 일반 승계가 있을 경우 특허청장에게 신고해야 한다.

(2) 존속 기간
상표권의 설정 등록이 있는 날부터 10년이다. 10년마다 갱신할 수 있으며, 상표권자는
지정 상품에 등록 상표를 독점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4. 특허

특정인의 이익을 위하여 일정한 법률적 권리나 능력, 포괄적 법률관계를 설정하는 행위를
말한다.

(1) 특허 특징
발명을 보호·장려하고 도모함으로써 기술의 발전을 촉진하여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
기 위해 제정되어있다. 이 법의 조건을 충족하는 발명에 대해서 독점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한다.

(2) 존속 기간
출원일로부터 12~15개월 정도의 심사 기간이 소요되며, 심사 결과 특허가 결정되면 그
특허 기술을 공개하는 대신 국가에서 20년 동안 독점권이 주어진다. 1회에 한해 연장
등록이 가능하다.

23
 산업 재산권의 특징

1. 특허 제도의 목적

특허 제도는 발명을 보호·장려하고 그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기술의 발전을 촉진하여 산


업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제도이며(특허법 제1조),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기술 공개의
대가로 특허권을 부여’하는 것을 구체적인 수단으로 사용한다.

(1) 기술공개 → 기술 축적, 공개 기술 활용 → 산업 발전

(2) 독점권 부여 → 사업화 촉진, 발명 의욕 고취 → 산업 발전

2. 특허 요건: 특허권을 받기 위하여 출원 발명이 갖추어야 할 요건

출원 발명은 산업에 이용할 수 있어야 하며(산업상 이용 가능성), 출원하기 전에 이미 알


려진 기술(선행 기술)이 아니어야 하고(신규성), 선행 기술과 다른 것이라 하더라도 그 선
행 기술로부터 쉽게 생각해 낼 수 없는 것이어야 한다(진보성) .

3. 특허권의 효력

특허권은 설정 등록을 통해 효력이 발생하며, 존속 기간은 출원일로부터 20년(실용신안권


10년) 권리를 획득한 국가 내에만 효력이 발생한다(속지주의).

4. 선출원주의

선출원주의란 발명이 이루어진 시기에 관계없이 특허청에 먼저 출원한 발명에 권리를 부


여하는 것을 말한다. 기술의 공개에 대한 대가로 권리를 부여한다는 의미에서 합리적이며,
신속한 발명의 공개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조속한 공개로 산업 발전을 도모하려
는 특허 제도의 취지에 부합하다.

 지식 재산 기본법

1. 디자인 등록의 요건

(1) 디자인 등록을 받을 수 있는 자


(가) 디자인을 창작한 사람 또는 그 승계인은 디자인 등록을 받을 수 있다.
(나) 특허청 또는 특허 심판원의 직원은 상속 또는 유증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재직 중
디자인등록을 받을 수 없다.
(다) 2명 이상이 공동으로 디자인을 창작한 경우에는 디자인 등록을 받을 수 있는 권
리를 공유한다.

(2) 공업상 이용 가능성


공업적 생산 방법으로 동일한 디자인의 물품을 반복하여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것
을 말한다. 공업적 생산방법에는 기계공업적 생산방법 및 수공업적 생산방법이 포함된다.

24
(3) 신규성
신규성이란 디자인 등록 출원을 하려는 디자인이 그 출원 전에 공중에게 알려지지 않
은 상태를 말한다.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디자인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디자인
은 신규성이 없다.
(가) 국내 또는 국외에서 공지되었거나 공연히 실시된 것
(나) 국내 또는 국외에서 반포된 간행물에 게재된 것
(다) 국내 또는 국외에서 전기통신회선을 통하여 공중이 이용할 수 있게 된 것

(4) 창작성
창작성이란 어떤 디자인이 다른 디자인과 객관적으로 명확하게 구별되는 정도를 말한
다. 출원 전에 그 디자인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다음의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쉽게 창작할 수 있는 디자인은 창작성이 없다.
(가) 국내 또는 국외에서 공지된 디자인
(나) 국내 또는 국외에서 널리 알려진 디자인
(다) 국내 또는 국외에서 널리 알려진 형상, 모양,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

 디자인권

1. 디자인권의 발생 및 존속 기간

(1) 디자인권은 설정 등록에 의하여 발생한다.

(2) 디자인권은 설정 등록한 날부터 발생하여 출원일부터 20년이 되는 날까지 존속한다.

(3) 관련 디자인으로 등록된 디자인권의 존속 기간 만료일은 그 기본 디자인의 디자인권


의 존속 기간 만료일과 같다.

2. 디자인권의 효력

(1) 디자인권자는 업으로서 등록 디자인 또는 이와 유사한 디자인을 실시할 권리를 독점


한다.

(2) 디자인권에 대하여 타인에게 전용 실시권을 설정한 때에는 디자인권자는 실시할 권리


가 없다.

3. 권리 침해에 대한 금지 청구권

(1) 디자인권자 또는 전용 실시권자는 자기의 권리를 침해한 자 또는 침해할 우려가 있는


자에 대하여 그 침해의 금지 또는 예방을 청구할 수 있다.

(2) 디자인권자 또는 전용 실시권자는 침해 행위를 조성한 물품의 폐기, 침해 행위에 제공


된 설비의 제거, 그 밖에 침해의 예방에 필요한 행위를 청구할 수 있다

25
4. 권리 침해에 대한 손해 배상 청구권

(1) 디자인권자 또는 전용 실시권자는 고의나 과실로 자기의 디자인권 또는 전용 실시권


을 침해한 자에 대하여 그 침해에 의하여 자기가 입은 손해의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2) 디자인권 또는 전용 실시권을 침해한 자는 그 침해행위에 대하여 과실이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3) 비밀 디자인으로 등록된 디자인권이나 그 전용 실시권을 침해한 경우에는 과실이 있


는 것으로 추정하지 않는다.

5. 침해 시 대처 방법

(1) 디자인권 또는 전용 실시권을 침해한 자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


에 처한다.

(2) 침해죄에 대하여는 권리자의 고소가 있어야 공소를 제기할 수 있다.

(3) 디자인 침해 시에 권리자는 우선, 소송 제기 전에 먼저 스스로 특허 무효 가능성 및


침해 가능성을 먼저 분석해 보아야 한다. 그래서 스스로 승소 가능성을 시뮬레이션해
본 후, 무효 가능성은 없고 침해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면 소송을 제기한다. 또는 승
소 가능성이 높지 않아도 영업적 측면에서 소송을 제기하는 경우도 있다.

소송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가) 심판으로 가는 법: 적극적 권리 범위 확인 심판을 청구하는 방법
(나) 형사 고발
(다) 침해 금지 가처분
(라) 손해 배상 및 침해 금지 소송
위 (가)~(라) 항목 중 1개를 진행하거나 모두를 진행할 수 있다.
손해 배상액은 정해진 것은 없지만, 제조업의 경우 일반적으로 매출의 3~15%까지
이다. 청구 금액은 진행하면서 추가하기도 한다.

권리 침해 시 대처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상대방에게 디자인 침해 시 요구 사항 취지의 서면을 내용 증명 형식으로 발
송한 후, 연락이 오면 협의하여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나)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민사 소송을 제기하여 손해 배상 및 침해 금지
판결을 받을 수 있다.
(다) 침해한 물품의 수량만큼을 판매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이득을 손해 배상액으로
산정할 수 있다.
(라) 민사 본안 소송 이외에 판매 및 생산 금지 가처분 또는 형사 고소도 가능하다.

26
(마) 소송을 제기하여 원하는 판결을 얻지 못할 경우, 손실도 작지 않을 것으로 생
각되는바, 적어도 소 제기 전 변리사의 조언을 받아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수행 내용 1 / 특허 정보 검색하기

재료·자료

• 연필, 펜, 지우개, 복사 용지 등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스캐너, 프린터, 빔 프로젝터, 화이트보드 등

•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 등

안전 ・ 유의 사항

• 특허 등록하기 전에 유사한 특허가 있는지 검색한다.

• 특허정보넷(http://www.kipris.or.kr/) 사이트를 이용하여 검색한다.

수행 순서

 조별로 아이디어를 구상하게 한다.

1. 4~5명씩 나누어 조를 구성한다.

2. 아이디어 발상법을 이용하여 조별로 1개씩 아이디어를 낸다.

① 타인의 아이디어를 비판하지 않는다.


② 자유분방한 아이디어를 내놓는다.
규칙 ③ 많은 아이디어를 내놓는다.
④ 제안된 아이디어를 조합해서 더 좋은 아이
디어로 발전시킨다.

목적 주제에 대한 창의적인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


시간 20분
[그림 2-2] 좌석 배치하기

27
 선행 의장 심사 자료를 조사한다.

의장 출원을 하고자 할 경우, 출원서 작성에 앞서 동 창작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선출원·등


록 여부를 특허청 홈페이지(www.kipo.go.kr), 특허청 도서관(http://library.kipo.go.kr) 특허청 서
울사무소, 지방 특허지원센터 등에서 검색함으로써 등록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위 기관을
이용할 경우에 무료 검색이 가능하다.

출처: 특허정보검색서비스(www.kipris.or.kr).
[그림 2-3] 특허 검색하기

 유사 특허를 검색하여 내려받는다.

출처: 특허정보검색서비스(www.kipris.or.kr).
[그림 2-4] 특허 검색하기

28
 각자 특허 내용을 정리하여 조별로 연도별 특허 내용을 정리한다.

 정리된 특허 내용을 바탕으로 특허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수행 tip

• 열린 사고로 생각하고 자유롭게 발언하여 다양한


아이디어를 도출한다.
• 아이디어는 10분 이내로 빠르게 진행하고. 특허 검
색에 비중을 둔다.
• 유사 특허가 없을 시 특허 대행 업체를 통하여 특허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대부분 무료로 가능함.).

29
수행 내용 2 / 모델링 파일을 통한 사진 추출하기

재료·자료

• 모델링 파일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스캐너, 카메라, 프린터, 복사기, 빔 프로젝터, 화이트보드 등

안전 ・ 유의 사항

• 특허정보검색서비스(www.kipris.or.kr)에서 내려받은 유사 특허를 참고하고, 모델링 프로그램의


뷰포트(viewport) 설정을 통하여 특허 등록에 필요한 사진을 얻도록 한다.

수행 순서

 유사한 디자인 특허를 참고하여 필요한 투시도를 확인한다.

출처: 특허정보검색서비스(www.kipris.or.kr).
[그림 2-5] 유사 디자인 특허 다운

30
 모델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필요한 사진을 추출한다(사시도,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저면도).

[그림 2-6] 사진파일 얻기

 각각의 뷰사진을 해당 투시명으로 저장한다.

[그림 2-7] 해당 투시 사진 저장하기

31
(가) 배면도
(나) 사시도
[그림 2-8] 배면도와 사시도

(나) 저면도
(가) 우측면도
[그림 2-9] 우측면도와 저면도

(나) 좌측면도
(가) 정면도

[그림 2-10] 정면도와 좌측면도

32
[그림 2-11] 평면도

수행 tip

• 뷰포트 설정에 따른 사진과 실제 사용될 사진이 다


르므로 특허정보검색서비스(http://www.kipris.or.kr/)를
통하여 유사한 디자인 등록 파일을 참고하여 작성
한다.

33
수행 내용 3 / 디자인 특허 출원하기

재료·자료

• 개인별 공인인증서

• 특허청 가입을 통한 출원인 번호

• 디자인 특허에 필요한 사진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스캐너, 카메라, 프린터, 복사기, 빔 프로젝터, 화이트보드 등

안전 ・ 유의 사항

• 온라인 특허청을 통하여 전자 출원 절차에 따라 디자인 특허를 출원한다.

• 사전에 개인별 공인인증서를 준비하도록 한다.

수행 순서

 출원인 코드 부여 신청(사전 등록 절차)을 한다.

특허청에 처음으로 특허 출원 등의 절차를 밟고자 하는 자연인과 법인은 특허청에 출원인 코


드 부여 신청(반드시 인장 날인)을 하여 자신의 고유 번호를 부여받는다. 향후 특허에 관한
절차를 밟고자 하는 자는 이 출원인 코드를 특허청에 제출하는 서식에 반드시 기재하여야 한다.

출처: 특허로(http://www.patent.go.kr).
[그림 2-12] 전자 출원 절차

34
 특허청 홈페이지에서 출원 명세서 작성을 위한 소프트웨어(SW)를 내려받는다.

[그림 2-13] 특허청의 문서 작성기

 출원서를 작성한다.

출원 서류를 직접 작성하고자 하면, 이미 등록된 등록 의장 공보를 견본으로 활용하여 작성


하면 매우 유익하다. 또 자신이 직접 작성할 수 없는 경우에는 변리사 등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림 2-14] 특허청의 문서 작성기

35
 특허 출원 서식을 작성한다.

특허 명세서를 비롯한 제출 서류를 모두 준비하여 관련 서류 첨부 후, 특허 출원서 서식을


작성한다.

[그림 2-15] 특허 출원서 작성하기

 특허 사이트를 이용하여 해당 파일을 온라인으로 제출한다.

[그림 2-16] 특허청의 문서 작성기

36
 출원을 완료하면 출원 번호가 부여되며, 상품 1개류에 대한 관납료를 인터넷 지로 또는
은행을 통해 납부한다.

[그림 2-17] 특허청의 문서 작성기

 특허로 홈페이지에서 제출 결과를 조회하여 확인한다.

특허 제출 결과 확인

[그림 2-18] 특허청 제출 결과 조회

수행 tip

• 특허 출원된 유사 디자인 특허를 바탕으로 사진의


방향에 유념하여 문서 작성을 한다.
• 주얼리의 디자인 특허 출원의 경우는 무심사 제도
로 3개월 정도면 처리가 가능하다.
• 특허 출원 시 발생하는 문제는 특허로 상담센터
(1544-8080)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

37
수행 내용 4 / 디자인 공지하기

재료·자료

• 개인별 공인인증서

• 디자인 특허에 필요한 사진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스캐너, 카메라, 프린터, 복사기, 빔 프로젝터, 화이트보드 등

안전 ・ 유의 사항

• 디자인 공시에 필요한 사진을 미리 준비한다.

• 공시할 디자인과 유사한 디자인이 있는지 확인 후 진행한다.

수행 순서

특허청은 비록 권리화되지 않은 디자인이라도 경쟁 업체의 모방과 이로 인한 분쟁에 보다 손쉽게


대응하고 출원 등록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국디자인진흥원과 협업하여
2013년 7월에‘디자인 공지 증명 제도’를 도입하였다.

디자인 공지 증명 제도는 자신의 디자인 창작품에 대한 창작 사실을 증명해주는 제도로서, 특허청에


디자인을 등록 출원하기 이전이라면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자신이 디자인한 창작물을 손쉽고 빠르
게 공지 증명을 받을 수 있다.

38
출처: 디자인 공지 증명 제도(http://publish.kidp.or.kr).

[그림 2-19] 디자인 보호 제도와 디자인 공지 증명 제도의 비교

[그림 2-20] 디자인 공지 증명 신청 절차

39
 디자인 공지 증명 제도 사이트에 접속한다

[그림 2-21] 디자인 공지 증명 제도 사이트 접속

 ‘디자인 공지 접수 바로가기’를 클릭한다.

[그림 2-22] 디자인 공지 증명 제도 접수

 디자인 공지 신청서를 접수한다.

디자인/카탈로그 공지 접수 동의서를 작성한다.

[그림 2-23] 디자인 공지 신청서 접수

40
 신청자 정보를 작성한다.

개인 또는 법인 및 단체용 페이지를 선택하여 정보를 입력한다.

[그림 2-24] 디자인 공지 증명 제도-신청자 정보

 디자인 공지 접수 정보를 작성한다.

신청하고자 하는 디자인 공지에 따라 접수 정보가 다르기 때문에 해당 디자인 공지 종류를


선택한다.

[그림 2-25] 디자인 공지 증명 제도-디자인 공지 접수

41
 마이 페이지를 확인한다.

마이 페이지에서는 현재 신청 진행 중인 디자인에 대해 관리가 가능하다.

[그림 2-26] 디자인 공지 증명 제도-마이 페이지

 공지 등록 신청 내역을 확인한다.

마이 페이지에서는 현재 신청 진행 중인 디자인에 대해 관리가 가능하다.

[그림 2-27] 디자인 공지 증명 제도 -공지 등록

42
 수수료를 납부한다.

수수료 납부는 신용 카드, 계좌 이체, 무통장 입금 중 하나를 선택하여 납부한다.

[그림 2-28] 디자인 공지 증명 제도-수수료 납부

 공지 등록 내역을 확인한다.

1. 수수료까지 납부한 디자인/카탈로그에 대해 공지 증명 번호가 발급된다.

2. 공지 증명 번호가 발급된 디자인 공지는 공지 증명서 출력이 가능하다.

[그림 2-29] 디자인 공지 증명 제도-공지 등록 내역

43
[그림 2-30] 디자인 공지 증명 제도-공지 증명서 출력

수행 tip

• 디자인 공지 증명 제도는 디자인 특허와의 장단점


을 비교한 후 진행한다.

44
수행 내용 5 / 상표 출원 하기

재료·자료

• 상표 이미지

• 개인별 공인인증서

• 특허청 가입을 통한 출원인 번호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스캐너, 카메라, 프린터, 복사기, 빔 프로젝터, 화이트보드 등

안전 ・ 유의 사항

• 변리사를 통하지 않고 직접 상표를 출원하는 방법 습득하도록 한다.

• 사전 토의를 통하여 상표 디자인을 준비하도록 한다.

수행 순서

 선행 상표의 존재 여부를 한국특허정보원에서 제공하는 검색 사이트인 특허정보검색서비


스(http://www.kipris.or.kr)에서 검색한다.

 상표 출원에 필요한 이미지를 8cm×8cm 이내의 크기로 준비한다.

출처: 특허로(http://www.patent.go.kr).

[그림 2-31] 상표 출원 이미지 준비

45
 서식 작성기를 실행한다.

[그림 3-32] 서식 작성기 실행

 국내 출원 서식에서 상표 등록 출원서를 선택한다.

[그림 3-33] 상표 등록 출원서

46
 상표 등록 권리 구분(상표)을 선택하고 세부 품목을 지정한다.

서비스업 35류: 보석 도매업, 보석 소매업, 귀금속 도매업, 귀금속 판매 대행업 등 구체적 지


정 상품을 기재하여야 한다.

[그림 2-34] 상표 등록 출원서-세부 품목 지정

 출원인을 검색하여 입력하고 상표 JEPG를 입력 후 상표 등록 출원서를 완성한다.

[그림 2-35] 상표 등록 출원서 완성

47
 온라인 제출 마법사를 실행하여 순서에 따라 문서를 제출한다.

[그림 2-36] 온라인 제출 마법사 실행

 출원을 완료하면 출원 번호가 부여되며, 상품 1개류에 대한 관납료를 지로 사이트 또는


은행을 통해 납부한다. 지정 상품이 1개류가 아닌 2개류 이상인 경우에는 관납료가 추가된다.

[그림 3-37] 관납료 납부

48
 특허로 홈페이지에서 제출 결과를 조회하여 확인한다.

[그림 2-38] 제출 결과 조회

수행 tip

• 분류 코드 항목 조회는 특허로 홈페이지에서 가능


하다.
• 출원된 상표가 모두 등록되는 것은 아니고 거절될
수도 있으므로 사전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선행 상
표의 존재 여부 및 등록 가능성 검토가 매우 중요
하다.

49
학습 2 교수 ‧ 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지적 재산권 확보를 위해 필요한 서류와 관련 자료를 설명한다.

• 특허법으로 보호받기 위한 지적 재산권의 종류를 설명한다.

• 양산 제품에 대한 지적 재산권을 출원·등록해서 관리하고, 전문 매체를 통해서 공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 디자인 특허와 상표 특허를 출원할 수 있도록 실습을 병행한다.

• 지적재산권 대장 작성요령 및 지적재산권 침해 시 대처 방법과 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학습 방법

• 지적 재산권 확보를 위해 필요한 서류와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한다.

• 「특허법」으로 보호받기 위한 지적 재산권의 종류를 문서로 정리한다.

• 양산 제품에 대한 지적 재산권을 출원·등록해서 관리하고, 전문 매체를 통해서 공표할 수 있도록


실습을 통해 충분히 숙지한다.

• 지적 재산권 대장을 작성하여 보고, 지적 재산권 침해 시 대처 방법과 절차를 문서로 정리한다.

50
학습 2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수행 준거 및 평가 항목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학습 목표
상 중 하
- 지적 재산권 확보를 위한 절차를 파악하여 자회
사 디자인 등록에 필요한 서류와 관련 자료를
준비할 수 있다.
- 「특허법」으로 보호받기 위한 지적 재산권의
종류를 파악하여 선정할 수 있다.
지적 재산권 관리 - 양산 제품에 대한 지적 재산권을 출원·등록해
서 관리하고, 전문 매체를 통해서 공표할 수 있다.
- 자회사 사규 매뉴얼에 따라 지적 재산권 대장을
작성하고, 자회사 디자인이 외부로 유출되었을
경우 지식 재산 기본법에 따라 신속히 보고하
고 대처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평가자 질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유효 특허 조사

- 디자인 특허 출원

- 상표 특허 출원
지적 재산권 관리
- 지적 재산권 관리 방법

- 캐드 프로그램을 이용한 사진 추출

- 지적 재산권 침해 시 대처

51
• 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유효 특허 조사

- 디자인 특허 출원

- 상표 특허 출원
지적 재산권 관리
- 지적 재산권 관리 방법

- 캐드 프로그램을 이용한 사진 추출

- 지적 재산권 침해 시 대처

• 구두발표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유효 특허 조사
지적 재산권 관리
- 지적 재산권 침해 시 대처

피 드 백

1. 평가자 질문
- 특허 출원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 동영상 교육을 통하여 단계별로 따라 하게 한다.
-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수준별 심화 학습과 보충 학습 내용을 제시한다.

2. 평가자 체크리스트
- 특허 출원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 동영상 교육을 통하여 단계별로 따라 하게 한다.
-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수준별 심화 학습과 보충 학습 내용을 제시한다.

3. 구두 발표
- 발표 종료 후에 발표 내용을 정리하여 확인하게 하고, 지적 재산권의 이해가 부족한 경
우에는 실습 시간을 추가로 할당하거나 지적 재산권 전문가 특강을 활용한다.

52
학습 1 품질 표준화하기
학습 2 지적재산권 관리하기

학습 3 자료 관리하기

3-1. 자료 관리

• 컴퓨터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제품 자료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 자사의 보석 디자인과 샘플의 제품 이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자료 및 도서 관리 대장을 작성할 수 있다.
• 자료의 관리 권한을 설정하고, 지속적인 관리와 교육으로 자료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제품 관리

제품 관리 대장은 제품 관리에 대한 효율적인 업무를 위해 한눈에 파악하기 쉽도록 작성하는


문서를 말한다. 관리해야 하는 제품의 수량이 많은 경우 일일이 기록하여 관리할 수 없으므
로, 제품 관리 대장을 작성하여 일괄적으로 제품을 관리할 수 있다.

주얼리 상품은 입고/출고로 구분하여 상품을 관리하며, 처음 원가 관리에서 생성된 원가 자료


를 제품 관리에서 제품 입고가 이루어지고, 다시 제품 출고가 이루어져 상품이 최종 판매장
에 입고된다.

제품 입고 및 제품 출고는 주얼리(Jewelry), 스톤(Stone)으로 구분하여 한눈에 주얼리 상품과


스톤 재료의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 재고 조사

1. 재고 조사란 재고에 대하여 적어 놓은 기록과 매장의 실제 재고량의 내용에 차이가 있


는지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정확한 조사를 하는 것을 말한다.

2. 요즈음에는 모든 매출에 대한 정보가 컴퓨터에 입력되므로 매출 정보는 쉽게 파악할 수


있으나, 실제 재고량은 파악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재고 조사를 한다. 일반
적으로 매월 또는 매 시즌별로 재고 조사를 시행한다.

53
3.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실제 기록과 현장 재고와의 차이가 발
생하고 있다.

(1) 도난이나 분실

(2) 할인 판매 기간 중의 계산 착오

(3) 검품이나 사입할 때의 착오

(4) 반품이나 교환 시의 착오

(5) 기록하는 과정에서의 실수

(6) 조사 도중의 누락

(7) 업무 처리 중의 정확도 부족

(8) 부정확한 재고 조사

 제품 매입 관리

1. 매입의 역할과 업무 범위 - 구매 관리의 목적과 성공 조건

2. 구매 관리의 중요성

(1) 구매를 잘해야 이윤을 올릴 수 있다.

(2) 제3의 이익원으로서 구매 관리의 역할은 중요하다.

(3) 기업은 산출 관리 뿐만 아니라 투입 관리도 중요하다.

(4) 경영 시스템은 ‘구매 → 생산 → 판매’의 순환에서 보듯이 구매에서 시작되고, 경


쟁력 제고 및 품질 향상은 구매 관리에서 시작된다.

(5) 구매 업무는 비용 창출 기능보다는 이익 창출 기능이 있다.

(6) 구매 관리는 비용 절감의 역할보다는 조직 목표 달성에 부가할 수 있는 전략적 관점


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7) 구매 기능의 전문화가 요구된다.

(8) 무재고 원칙이나 자재 소요 계획 등 자재 구매의 신기법의 개발 및 활용이 필요하다.

3. 구매 관리의 5원칙

(1) 구매의 1원칙: 적정한 거래처(right place)의 선정·확보

(2) 구매의 2원칙: 적정한 품질(right quality)의 확인·확보

(3) 구매의 3원칙: 적정한 수량(right quantity)의 파악·확보

54
(4) 구매의 4원칙: 적정한 납기(right time)의 설정·확보

(5) 구매의 5원칙: 적정한 가격(right price)의 결정·확보

4. 성공 구매 전략의 조건

(1) 구매 전 구매자 회사의 담당자와 상의

(2) 잠재 공급자에 대한 2차 정보 수집

(3) 유리한 가격 조건을 위해 잠재 공급자와 상의

(4) 알려진 공급자를 선정

(5) 다른 회사의 구매자와 잠재 공급자에 관하여 상의

(6) 잠재 공급자 회사 방문

(7) 계약 위반 때의 엄격한 처벌 규정을 정함

(8) 개인적으로 신임하는 공급자 선정

5. 구매 마케팅(reverse marketing)

(1) 구매 마케팅이란 전통적인 구매자·공급자 관계의 반대 개념을 말한다.

(2) 구매 마케팅은 구매자가 주체가 되어 구매자가 공급자로 하여금 구매자의 목적 달성


을 위하여 공급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3) 구매 마케팅은 구매에 있어 전통적인 방법과는 달리 도전적이며 창의적인 방법이다.


구매자가 주체가 되어 공급자에게 구매 계획을 설명하고 구매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 판매 관리

주얼리 상품을 최종 소비자(고객)에게 판매하는 데이터를 관리하며, 제품 관리에서 출고된 데


이터를 판매 관리의 판매 입고에 등록하고, 판매가 이루어지면 판매 상품 정보와 고객 정보
를 판매 출고 데이터 항목에 등록한다. 판매 입고 및 판매 출고는 주얼리(Jewelry), 스톤
(Stone)으로 구분되어 한 화면에서 주얼리 상품과 스톤 재료의 관리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1. 제품 관리에서 출고된 데이터를 판매 입고

2. 판매 관리의 판매 입고된 데이터를 매장에서 출고하기 위해 데이터를 판매 출고에 등록

3. 주얼리(Jewelry) 상품, 스톤(Stone) 상품, 귀금속 상품, 보석 상품 등을 구분하여 입고 및 출고

4. 주얼리 코드, 스톤 코드, 고객 정보, 제품 이미지를 활용한 편리한 상품의 입고 및 출고

55
 비밀 유지, 영업 비밀 각서

비밀 유지 계약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비밀 유지의 대상이 되는 정보의 범위를 명확히


하는 것이기 때문에 특정 부서별로 서약서를 준비해 둘 필요가 있다. 비밀 유지 서약서는 입
사 시, 재직 시, 퇴직 시에 각각 받을 수 있으나, 보호 필요성이 높은 정보에 대해서는 해당
프로젝트 참여 시 비밀 유지 서약서를 받는 것이 좋으며, 구체적인 영업비밀 목록을 첨부하
는 것이 법적 보호를 받는 데 유리하다.

퇴직 후에는 비밀 유지 서약서만으로는 사실상 실제적으로 비밀 유지 의무를 위반한 전 종업


원에 대해 법적인 제재를 가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상품 개발이나 기술 개발 등 비교적 고도
의 정보를 접하는 부서의 종사자에 대해서는 퇴직 후의 '경업 금지 계약'을 체결해 두어야 하
는데, 계약서의 제목은 무엇이라 하든 ‛영업 비밀 보호를 위해 경업을 금지하는 서약'이라는
것을 인정할 수 있으면 된다.

<표 3-1> 영업 비밀 보호 제도와 특허 제도 비교

구분 영업 비밀 특허

목적 • 타인의 영업 비밀을 침해하는 행위 방지 • 발명 보호 장려, 이용 도모

보호 • 생산 방법, 판매 방법 기타 영업 활동에 유 • 자연 법칙을 이용한 기술적 창작


대상 용한 기술상 또는 경영상의 정보 등

보호 • 비밀로서 관리되는 한 무한 • 출원 후 20년


기간
• 영업 비밀 보호 의무가 있는 자가 영업 비 • 권리 행사에 제한 있음.
밀 보유자에게 손해를 줄 목적으로 사용, • 특허 등록된 아이디어를 사용하
기타 공개하는 행위 는 침해 행위를 탐지하기 어려움.
• 영업 비밀임을 피해자가 직접 입증해야 함. • 실시권 설정 가능
• 비밀 유지를 전제로 실시 계약이 가능
출처: 구본철(2011), 영업 비밀 보호 가이드, 한국특허정보원, Patent21_통권94호, pp. 2~4.

 바코드 번호 체계

‛국가 코드 번호(2~3자리)' + ‛국내 기업체 코드 번호(3~6자리)' + ‛상품 등록 번호(3~6자리)' +


‛체크 디지트(1자리)'

위 4가지의 분류 중에서 ‛체크 디지트'의 자리 수만 한 자리이고, 나머지는 불규칙적으로 변


경된다.

먼저, 국가 코드 번호는 EAN 기관에 가입된 나라의 국가 코드 번호로서, EAN에 1981년까지


가입된 국가의 국가 코드는 2자리이고, 1982년 이후에 가입된 국가의 국가 코드 번호는 3자
리로 부여된다. 우리나라는 ‛880'이라는 3자리 숫자의 번호로 쓰이고 있다.

56
그리고 국내 기업체 코드 번호는 ‛업체 코드 번호'라고 줄여서 부르며, 3~6자리까지 표현한다.

업체 코드 번호가 3자리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담배같이 아주 작은 소형 제품에는 13자리의


바코드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13자리가 아닌 8자리의 바코드로 구성이 되
며, 바코드가 8자리로 구성되면 업체 코드 번호는 3자리로 구성이 된다.

880 + 업체 코드 번호 4자리 + 상품 등록 번호 5자리 + 체크 디지트 1자리 = 총 13자리

1. 국내 귀금속 소매 유통 시장과 판매 관리 형태

국내 귀금속 산업의 소매 유통 업체들의 유형은 크게 백화점, 할인점 안에서 운영하고 있


는 입점형, 전국의 각 지역에 산재해 있는 일반 금은방, 대형 쇼핑몰에 분포되어 있는 일
반 독립형, 그리고 동일 브랜드로 여러 점포를 운영하고 있는 일반 기업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 독립형은 한국의 전통적인 소매 형태로서 종로 3가와 종로 4가 일대에 밀집되어 있


고, 기업형은 독립형과는 달리 여러 매장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운영
관리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어 체계적이며, 조직적인 경영을 시도하고 있다.

<표 3-2> 기업형 매장의 운영 역할


직영 매장 중간 관리 매장 가맹 매장
본사 매장 본사 매장 본사 매장
홍보/마케팅 ○ ○ ○
제품 개발 ○ ○ ○
제품 구매 ○ ○ ○
고객 관리 ○ ○ ○ ○ ○
재고 관리 ○ ○ ○
A/S ○ ○ ○ ○
판매 관리 ○ ○ ○
인사 관리 ○ ○ ○
운영 경비 부담 ○ ○ ○
세무 관리 ○ ○ ○

출처: 김형추(2005), 한국 귀금속 산업에서의 전략적 브랜드 제휴에 관한 연구, pp. 8~9.

57
수행 내용 1 / 자료 관리 체계 구축하기

재료·자료

• 연필, 펜, 지우개, 복사 용지 등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스캐너, 프린터, 빔 프로젝터, 화이트보드 등

• 한글,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 등

안전 ・ 유의 사항

• 기업의 사정에 맞추어 자료 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수행 순서

 적용 범위를 설정한다.

이 절차서는 당사의 업무 수행에 필요한 품질 문서의 작성/접수, 문서 및 자료의 검토, 승인,


배포, 변경에 대한 관리에 적용한다. 단, 도면은 ‛도면 관리 지침서'에 따른다.

 목적을 설정한다.

이 절차서는 당사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문서 및 자료가 품질 관련 업무 수행자에게 해당


업무에 필요한 유효본 만을 배포 및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업무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
는 데 있다.

58
 절차 개요를 작성한다.

• 해당 팀/접수자 작성 / 접수 - 표준 양식
- 문서(검토) 승인서
- 문서 수․발신 대장
• 차상급자 검 토
- 팀장
• 승인권자 승 인

• 해당 팀 등 록 - 문서 관리 대장
- 작성자 - 양식 관리
- 색인 목록표 / 문서 수․발
신 대장
• 해당 팀 배 포
- 관련 팀
• 해당 팀장 교 육 - 회람

• 해당 팀 변 경
- 작성자
• 해당 팀장 기록 관리 • 품질 기록의 관리 절차서

[그림 3-1] 자료 관리 양식 1

 책임과 권한을 설정한다.

해당 담당자에게 필요한 책임과 권한을 설정한다.

 기록을 보관한다.

문서 및 자료 관리에 대한 기록․보관은 ‛품질 기록의 관리 절차서'에 따른다.

59
<표 3-3> 자료 관리 양식 2

결재 범위: □ 작성, ◇ 검토, ○ 승인

양식 기록
결재권자
양식명 양식 번호 보관 부서 보존 연한
담 당 팀 장 공장장 부사장 사 장
품질시스템 양식 GQ-P0501-01 품질관리팀 영구 □ - - - -
문서 승인서 GQ-P0501-02 품질관리팀 개정 시 □ ◇ ◇ ◇ ○
문서 관리 대장 GQ-P0501-03 품질관리팀 영구 □ ◇,○ ­ ­ ­
양식 관리 대장 GQ-P0501-04 품질관리팀 영구 □ ◇,○ ­ ­ ­
문서 수발신 대장 GQ-P0501-05 총무경리팀 2년 □ ◇,○ ­ ­ ­
회람(교육) GQ-P0501-06 총무경리팀 2년 □ ◇,○ ­ ­ ­

수행 내용 2 / 제품 관리 시스템 구축하기

재료·자료

• 연필, 펜, 지우개, 복사 용지 등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스캐너, 카메라, 프린터, 복사기, 빔 프로젝터, 화이트보드 등

• 카메라, 제품 관리 프로그램

안전 ・ 유의 사항

• 제품 등록 시 제품 관리 번호 체계를 갖추어 등록한다.

• 공임 설정 시 제작 난이도를 고려하여 책정한다.

60
수행 순서

 제품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카탈로그를 등록한다.

1. 로그인하기

출처: 골드펜(http://www.goldpen.co.kr/).
[그림 3-2] 로그인하기

2. 카탈로그 – 제품 등록하기

[그림 3-3] 제품 등록 하기

3. 제품 이미지, 제품명, 공임, 스톤 정보 등 입력하기

[그림 3-4] 제품 정보 입력하기

61
4. 카탈로그에 등록된 것을 확인하기

[그림 3-5] 등록 확인

 재고를 등록한다.

1. 주문하기(거래처, 제품명, 골드 함량, 색상, 사이즈 등 상세 주문 내역 입력하기)

[그림 3-6] 주문 등록 1

2. 주문이 들어간 것을 확인하기(주문이 들어가면 A단계)

[그림 3-7] 주문 등록 2

62
3. 왁스실에서 주문이 들어온 것을 확인하고 B단계로 넘기기

[그림 3-8] 주문 등록 3

4. 주문 관리에서 B단계(노란색)로 된 것을 확인하기

[그림 3-9] 주문 등록 4

5. 제품이 완성된 후 검품팀으로 넘어오면 검품 후 이상이 없을 경우 확인 후 재고등록하기

[그림 3-10] 재고 등록하기 1

63
6. 재고 등록하기(제품 중량 입력)

[그림 3-11] 재고 등록하기 2

 바코드, 거래 명세서를 출력한다.

1. 바코드 출력하기

재고로 등록하면 바코드 출력 화면으로 넘어간다.

[그림 3-12] 바코드 출력하기

2. 재고로 등록된 제품은 주문 관리에서 C단계(분홍색)로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재고 등


록 후 제품을 포장하고 제품에 바코드를 부착한 후 출고팀으로 보낸다.

[그림 3-13] 재고 등록 1

64
3. 출고팀은 재고 관리에서 해당 제품 검색하기

[그림 3-14] 재고 등록 2

4. 해당 제품 선택 후 판매 단계 선택하기

[그림 3-15] 판매 처리

5. 판매 완료와 동시에 거래 명세서 출력 화면으로 넘어간다.

[그림 3-16] 거래 명세서 출력

65
 반품 재고를 처리한다.

1. 판매가 완료된 제품은 주문 관리에서 F단계(초록색)로 된 것을 확인한다.

[그림 3-17] 반품 처리 1

2. 반품하기 - 판매가 된 제품을 반품할 경우 판매 관리에서 해당 제품을 검색한 후 삭제


처리한다.

[그림 3-18] 반품 처리 2

3. 재고 관리에서 반품 제품이 재고로 돌아온 것을 확인한다.

[그림 3-19] 반품 처리 3

수행 tip

• 바코드를 활용한 관리 방법에서는 스캐너를 통하여


제품 사항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66
수행 내용 3 / 디자인 및 CAD 데이터 관리하기

재료·자료

• 연필, 펜, 지우개, 복사 용지 등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스캐너, 카메라, 프린터, 복사기, 빔 프로젝터, 화이트보드 등

• 카메라, 제품 관리 프로그램

안전 ・ 유의 사항

• 폴더 공유 시 관리자를 두어 주기적으로 관리한다.

• 디자인, 캐드 파일은 제품 관리 번호 체계를 갖추어 관리한다.

• 공용 폴더는 컴퓨터의 파일을 공유할 수 있는 편리한 방법으로 다른 사용자 및 네트워크에서


다른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공유하도록 한다.

수행 순서

 공용 폴더 설정하기

공용 데이터에 해당 폴더를 생성하거나, 원하는 폴더를 선택한다.

[그림 3-20] 공용 폴더 설정

67
 폴더 속성 변경하기

해당 폴더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속성으로 들어간다.

[그림 3-21] 속성 변경

 공유 설정하기

파일 속성을 공유하고자 하는 사람이나 Everyone을 선택하고 추가 버튼을 클릭한다.

[그림 3-22] 공유 설정

68
 사용 권한 수준 설정하기

1. 공용 폴더에 있는 모든 파일이나 폴더는 해당 공용 폴더에 액세스 권한이 있는 사람과


자동으로 공유된다.

2. 필요시 사용권한 수준 변경 후 공유 버튼을 클릭한다.

[그림 3-23] 사용 권한 수준 설정

수행 tip

• 폴더 공유 설정을 통하여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 외장 하드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는 한곳에 모아 정
리하고, 외부 유출에 주의한다.
• 일정 주기를 설정하여 외장 하드에 백업 데이터를
만든다.

69
수행 내용 4 / 도서 및 자료 관리 대장 작성하기

재료·자료

• 참고 도서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스캐너, 카메라, 프린터, 복사기, 빔 프로젝터, 화이트보드 등

• 문서 작성 프로그램, 파일

안전 ・ 유의 사항

• 제품 생산 의뢰서를 작성할 때에는 모든 부서를 고려한다.

• 활용 서식 ‛자료 및 도서 관리 대장'을 참고한다.

수행 순서

 QR 코드 만들기

로그인 후 QR 코드 생성하기를 클릭한다.

출처: NAVER QR 코드.


[그림 3-24] QR 코드 생성

70
 정보 담기

1. 정보 담기를 선택하여 이미지나 동영상, 카페 등 여러 가지 정보를 담는다.

2. 링크로 이동을 선택할 경우에는 단순하게 사이트 연결만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숙지한다.

출처: NAVER QR 코드.


[그림 3-25] 정보 담기

 코드 제목 정하기

테두리 컬러로 마음에 드는 색을 지정하고, QR 코드 외에 문구와 문양 등을 삽입한다.

출처: NAVER QR 코드.


[그림 3-26] 테두리 컬러 색 지정

71
 추가 정보 입력하기

웹 주소, 문구, 사진, 지도 등 원하는 추가 사항을 입력한다.

출처: NAVER QR 코드.


[그림 3-27] 추가 사항 입력

 QR 코드 확인 후 원하는 곳에 사용하기

인쇄하여 제품 관리 또는 광고 등에 사용한다.

출처: 아르제 제공.


[그림 3-28] 디자인 관리 1

72
[그림 3-29] 디자인 관리 2

수행 tip

• 특허 관리 시 해당 사진을 같이 삽입하여 한눈에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 디자인 자료는 파일로 관리하고, 양산된 디자인과
보류 중인 디자인을 따로 분류 작업하여 보류된 이
유를 함께 기입한다.

73
학습 3 교수 ‧ 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제품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얼리 샘플을 재고 등록 및 출고할 수 있도록 실습을 병행한다.

• 자사의 보석 디자인과 샘플의 제품 이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관리 방법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 자료 및 도서 관리 대장의 여러 유형을 샘플 양식을 제시하고 작성하도록 한다.

• 자료의 관리 권한 설정 방법을 설명하고, 이에 필요한 문서 관리 방법, 컴퓨터 데이터 관리


방법 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학습 방법

• 제품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얼리 샘플을 재고 등록 및 출고할 수 있도록 충분히 학습한다.

• 자사의 보석 디자인과 샘플의 제품 이력을 수집하여 문서로 정리한다.

• 자료 및 도서 관리 대장의 여러 유형별 샘플 양식을 작성해 본다.

• 자료의 관리 권한 설정 방법을 습득하여 주요 관리 방법을 문서로 정리한다.

74
학습 3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수행 준거 및 평가 항목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학습 목표
상 중 하
- 컴퓨터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제품 자료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 자사의 보석 디자인과 샘플의 제품 이력을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다.
자료 관리
- 자료 및 도서 관리 대장을 작성할 수 있다.

- 자료의 관리 권한을 설정하고, 지속적인 관


리와 교육으로 자료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평가자 질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제품 관리 프로그램 사용

- 제품 이력 작성
자료 관리
- 자료 관리 대장 작성

- 비밀 유지 계약서의 이해 및 자료 유출 관리

75
• 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제품 관리 프로그램 사용

- 제품 이력 작성
자료 관리
- 자료 관리 대장 작성

- 비밀 유지 계약서의 이해 및 자료 유출 관리

피 드 백

1. 평가자 질문
- 제출한 내용을 평가한 후에 주요 사항을 표시하여 설명해 준다.
-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수준별 심화 학습과 보충 학습 내용을 제시한다.
- 문서 작성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 샘플 서식을 수집/배포하거나 필요 항목을 추출하여
사례로 제시한다.
- 자료 유출 관리를 숙지하지 못한 경우, 데이터 관리 방법을 정리하여 문서로 작성해 보
도록 한다.

2. 평가자 체크리스트
- 제출한 내용을 평가한 후에 주요 사항을 표시하여 설명해 준다.
-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수준별 심화 학습과 보충 학습 내용을 제시한다.
- 문서 작성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 샘플 서식을 수집/배포하거나 필요 항목을 추출하여
사례로 제시한다.
- 자료 유출 관리를 숙지하지 못한 경우, 데이터 관리 방법을 정리하여 문서로 작성해 보
도록 한다.

76
∙ 구본철(2011). 「영업 비밀 보호 가이드」 한국특허정보원. Patent21_통권94호, pp.2~4.

∙ 김형추(2005). 「한국 귀금속 산업에서의 전략적 브랜드제휴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


논문, pp.8~9.

∙ 지영지(2011). 「한국 산업 장신구(jewelry)의 생성과 전개」. 국민대학교 박사 논문, pp.22~49.

∙ (사)한국보석협회(2015). 『주얼리 마스터를 위한 주얼리 마케팅/실전 문제』, pp.37~90.

∙ http://windows.microsoft.com/ko-kr/windows/file-sharing

∙ 특허로 http://www.patent.go.kr

∙ 특허정보검색서비스 www.kipris.or.kr

∙ 골드펜 http://www.goldpen.co.kr/

77
(자료제공: 수링)

78
자료 및 도서 관리 대장

연번 구입날짜 도서명 저자 및 출판사 보관 책임자 비고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자료 제공: 수링)

79
절차서명
상호 양식 관리 대장 부서명
PAGE
작성 부서
NO 작성일 양식명 양식 번호 비고
작성 검토 승인
FQ - - ( )
FQ - - ( )
FQ - - ( )
FQ - - ( )
문서명
상호 문서 관리 대장 문서 번호
작성 부서
개정 최 종 배포처 회수 폐기
NO 제정일 NO 개정일 배포일 부서명 관리 확 인 확인 폐기 폐기일 확인 비고
번호 사유

PAGE
상호 문서 수발신 대장
일자 수․.발 문서 번호 배포처
발행 수신, 발신 발행처 번호 매수 취급자 일자 담당 비고
제목

(자료 제공: 인덕대학교 창업사관학교)

80
문서 체계 분류표
절차서(P) 양식 지침서 (I) 양식
분류 분류
문서명 해당 부서 코드 문서명 해당 부서 코드
경영자 검토 품질 관리팀 P0101 조직및업무분장 총무 경리팀 00
01
계약 검토 영업팀 P0301 00
00
설계 관리 연구 개발팀 P0401 도면 관리 연구 개발팀 01
설계 표준 연구 개발팀 02
문서 및 자료 관리 총무 경리팀/품질 관리팀 P0501 00
영업팀 00
구매 생산 지원팀 P0601 외주 업체 평가 생산 지원팀 01
고객 지급품의 관리 00
제품 식별 및 추적성 생산팀/생산 지원팀 P0801 00
00
설비 관리 생산팀 01
공정 관리 생산팀/생산 지원팀 P0901 치공구
공정도
관리 생산팀
생산 지원팀
02
03
열처리 생산팀 04
금형 관리 생산팀 05
검사 및 시험 품질 관리팀 P1001 검사 규격 00
품질 관리팀 01
검사, 측정 및 시험 장비 품질 관리팀 P1101 자체 검․교정 품질 관리팀 00
01
검사 및 시험 상태 품질 관리팀 P1201 00
부적합품의 관리 품질 관리팀 P1301 00
시정 및 예방 조치 품질 관리팀 P1401 00
취급, 보관, 포장 보존 및 인도 생산팀/영업팀 P1501 00
품질 기록의 관리 품질 관리팀 P1601 00
내부 품질 감사 품질 관리팀 P1701 00
훈련 총무 경리팀 P1801 00
서비스 영업팀 P1901 00
통계적 기법 연구 개발팀 P2001 00

(자료 제공: 인덕대학교 창업사관학교)

81
외부 출처 문서 구분 기호 부서별 약호
출처 구분 기호 대표 이사 대
ISO 관련 규격 I 부사장 부
KS 관련 규격 K 공장장 공
광전자 AU 총무 관리부 총
한국고덴시 KC 영업 관리부 영
한국전자 KE 생산 관리부 관
한국 AMP AS 생산부 생
모토로라 MK 조립부 조
국제상사 KJ 연구 개발 본부 연
업 대한마이크로전자 KM 생산 지원팀 생지
체 대성하이테크 DH 품질 관리팀 품관
구 마이크로미니테크 MI 생산 1팀 생 1
분 삼성전자(부천) SB 생산 2팀 생 2
삼성전자(온양) SO 생산 3팀 생 3
시티아이반도체 CT 생산 4팀 생 4
우석전자 WO 자동화/커넥터 조립 장비
태석전자 TJ MOLD 조립팀 몰드
CARSEM(M) MC
삼성전자(기흥) SK
기타관련규격 Z
문서 번호 부여 방법
(1) 품질시스템 체계는 아래 표와 같이 3종으로 대분류한다.
문서체계 대 분 류
품질 매뉴얼 CPCQ - M - 0000
절차서 CPCQ - P - 0000
지침서 CPCQ - I - 0000
(2) 절차서, 지침서 번호 부여 방법
CPC Q - - 00 00
      
      ▶ 절차서, 지침서 일련번호(01~99)
     ▶ 절차서, 지침서장 번호 (0~20)
    ▶ 지침서
   ▶ 품질 절차서
  ▶ 품질 매뉴얼
 ▶ 품질보증의약어(Quality Assurance)
▶ 회사의 약어(CROWN
PRECISION CO)

82
(3) 양식 번호 부여 방법
F Q - □0000 - 00 (0)
    
    ▶ 개정 번호(01~99)

   ▶ 양식 일련 번호 (01~99)

  ▶ 양식 분류 코드 (부표 1.1 참조)

 ▶ 품질 보증 약어(Q: Quality Assurance)

▶ 양식 표기(FORM)

(4) 문서 체계표
문서 체계 분류표는 ‘부표 1.1’에 따른다.
(5) 외부 출처 문서
1) 외부 출처 문서를 문서로 관리할 경우의 번호 부여는 다음과 같다.
CPC Z - □ □ - 0000
    
    ▶ 접수 일련번호(0001~ )
   ▶ 구분 기호(부표 1.2)
  ▶ 문서명(부표 1.1의 양식 분류 코드)
 ▶ 외부 출처 문서 표식
▶ 회사 약어(CROWN PRECISION CO)
2) 외부 출처 문서에 검토자는 관련 담당이 되며, 승인권자는 해당 팀장이 된다.
(6) 기타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문서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1)~(5)항 이외는 문서 번호 부여는 각 팀에서 다음과 같이 부여하
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00 - □ 00 - 00
   
   ▶ 일련번호(01부터 시작)
  ▶ 관련 월(01~12)
 ▶ 부서별 약호(부표 1.3)
▶ 해당 연도의 끝 두 자리(예: 1997→97)

(자료 제공: 인덕대학교 창업사관학교)

83
비밀 유지 계약서

정보 제공자 ○○○○회사(이하 ‘갑’이라 한다.)와(과) 정보 수취자 △△주식회사(이하 ‘을’이라 한다.)은


(는) 다음과 같이 비밀 유지 계약을 체결한다.

제1조 (계약의 목적) 본 계약은 을이 갑과의 업무 진행에 관련된 정보나 자료를 입수, 활용하는 데 있
어서 준수하여야 할 비밀 유지 의무를 정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2조 (비밀의 내용) 본 계약상 비밀 정보란 갑·을 간의 업무 진행 과정에서 갑이 을에게 제공하거나


을이 갑 혹은 그 직원으로부터 지득 혹은 취득하는 갑의 일체의 영업 혹은 기술상의 정보 및 이와 같
은 영업 혹은 기술상의 정보에 근거하여 을이 개발하거나 도출하는 일체의 영업 혹은 기술상의 정보(이
하 ‘비밀 정보’라 한다.)를 말한다. 이와 같은 비밀 정보는 서면, 구두 혹은 기타 방법으로 제공되는 모
든 노하우, 공정, 도면, 설계, 실험 결과, 샘플, 스펙, 데이터, 공식, 방법, 프로그램, 가격표, 거래 명세
서, 생산 코스트, 선전상의 아이디어, 사업정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제3조 (비밀의 표시) 갑이 서면이나 서류 형태로 비밀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서류상에 비밀임을 알리는
문구(‘비밀’)를 명백히 표시해야 하며, 서면이나 서류 이외의 형태, 즉 구두나 영상 또는 당사자의 시설,
장비 샘플 기타 품목들을 관찰하거나 조사함으로써 비밀 정보를 제공할 경우에는 공개 시 을에게 본
정보가 비밀에 속한다는 것을 알리고, 또한 공개일로부터 ( )일 이내에 서면으로 비밀임을 알리는 문
구를 표시하여 을에게 확인시켜야 한다.

제4조 (정보의 사용 용도 제한) 을은 갑으로부터 제공받은 비밀 정보를 관련 계약서에 명시된 본래의


목적에만 사용하여야 하며, 을이 계약의 수행을 위하여 제3자에게 갑에 관련된 비밀 정보를 제공할 경
우, 당해 제3자와 별도의 비밀 유지 계약을 체결하여야 한다.

제5조 (정보 취급자) 을은 갑으로부터 제공받은 비밀 정보를 자사 조직 내 목적상 부합하는 직원들에


한하여 이용하도록 조치하여야 하며, 직원 각자에게 비밀 유지 의무를 주지시켜야 한다. 또한 갑이 요
구하는 경우 을은 자사의 관계 직원들에 대하여 당해 직원이 본 계약상의 비밀 유지 의무를 이행하겠
다는 내용의 각서를 징구하는 등 갑이 만족할 수 있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제6조 (비밀 유지 의무 제외 사유) 을은 계약 내용에 관한 비밀은 물론 본 계약에 대해서도 상대방의


동의 없이 누설하지 못한다. 다만, 다음에 해당하는 정보임이 객관적인 증거를 통하여 입증되는 경우는
비밀 유지 의무가 없다.
1. 갑의 비밀 정보 제공 이전부터 을이 보유하고 있던 정보
2. 을의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하지 않고 공지의 사실로 된 정보
3. 을이 적법하게 제3자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4. 을이 비밀 정보와 관계없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정보
5. 갑이 공개를 허락한 정보
6. 관련 법규나 정부당국에 의하여 공개가 요구된 정보. 이 경우 사전에 반드시 갑에게 그 사실
을 서면으로 통지하고, 갑으로 하여금 적절한 보호 및 대응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
다.

제7조 (자료의 반환) 을은 갑의 요청이 있으면 언제든지 상대방의 비밀 정보가 기재되어 있거나 이를
포함하고 있는 제반 자료, 장비, 서류, 샘플, 기타 유체물을 즉시 반환하거나, 갑의 선택에 따라 이를
폐기하고 그 폐기를 증명하는 서류를 갑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84
제8조 (권리 의무의 양도) 본 계약의 권리와 의무는 상대방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는 제3자에게 양도될
수 없다.

제9조 (권리 포기 간주 불가) 갑이 본 계약상 발생한 권리를 행사하지 아니하더라도 이는 갑이 동 권리


를 포기한 것으로는 해석되지 아니하며, 이와 같은 권리는 본 계약 기간 동안 계속하여 완전한 효력을
갖는다.

제10조 (계약의 분리 가능성) 본 계약 중 어느 규정이 법원에 의하여 불법, 무효 또는 집행 불가능하다


고 선언될 경우, 이는 본 계약의 나머지 규정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제11조 (계약의 수정) 본 계약의 수정이나 변경은 양 당사자의 정당한 대표자가 서명한 서면 합의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조 (손해 배상 등) ① 을은 본 계약 위반 시 금( )원을 위약벌로 갑에게 지불한다.


② 제1항의 위약벌과 별도로 을은 을의 본 계약 위반행위로 인하여 갑이 입은 모든 손해를 배상한다.

제13조 (계약 기간) 본 계약은 본 계약 체결일로부터 ( )년간 그 효력을 가진다.

제14조 (특약 사항)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제15조 (분쟁의 해결) 본 계약과 관련하여 분쟁이 발생한 경우 당사자의 상호 협의에 의한 해결을 모색
하되, 분쟁에 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아니한 경우에는 ( )법원을 합의 관할로 하여 소송
을 통해 분쟁을 해결하기로 한다.

본 계약의 체결 사실 및 계약 내용을 증명하기 위하여 본 계약서를 2통 작성하여 계약 당사자가 각각


서명 또는 날인한 후 각 1통씩 보관한다.

20 년 월 일

정보 제공자 (갑)
주소:
상호:
성명: 대표 이사 (인)

정보 수취자 (을)
주소:
상호:
성명: 대표 이사 (인)

(자료 제공: 인덕대학교 창업사관학교)

85
NCS학습모듈 개발이력
발행일 2015년 12월 31일
세분류명 보석디자인(22020205)
개발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홍성민(㈜쥬얼버튼)* 김상경(전북대학교)
강수현(컬리넌) 김한수(한진고등학교)
김영훈(서울특별시 남부기술교육원) 박영희(한국복지대학교)
집필진 검토진
문소이(동신대학교) 서애란(트레죠주얼리디자인)
백승철(아우룸) 이우열(대구과학대학교)
이정수(수링) *표시는 대표집필자임

발행일 2018년 12월 31일


학습모듈명 보석 디자인 제품 관리(LM2202020510_16v3)
개발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보석 디자인 제품 관리(LM2202020510_16v3)
저작권자 교육부

연구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8. 12. 31.


※ 이 학습모듈은 자격기본법 시행령(제8조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에 의거하여
개발하였으며, NCS통합포털사이트(http://www.ncs.go.kr)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