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문항 일괄 업로드 (문과생도알수있는전기전자수학)

번호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미지수
15
16
17 여러 개의 문자를 다루는 방정식에서
18 연립방정식의 해법 중에서
19 연립 방정식의 해법(解法)의 하나로 각 방정식에서 어떤 미지수를 다른 미지수로 보인 관계식을 만들어
20
21 공집합이 아닌 두 집합 X와 Y에 대하여 집합 X의 원소에 집합 Y의 원소를 짝지어 나타낸 것을 집합 X
22
23
24 함수에서 입력값의 집합을 정의역이라 하면, 출력값의 집합은 무엇인
25
26
27 일차함수와 이차함수는
28
29
30
31 그래프에서
32
33
34
35
36 수와
37
38
39

Page 1 of 12
40
41
42
43 다항식에서
44
45
46 60
47 일반각표현에서
48 각에 대응하는
49
50
51
52 삼각함수 그래프에서 주기적인 진동이나 운동을 하는 것이 공간적 · 시간적으로 어떤 위치
53
54
55
56 y=f(x)에서 f(x)가 x에 대한 유리식일 때, y=f(x)를 무슨함수라고 하는
57 로그의 진수 또는 밑에 미지수가 들어 있는 방정식을 어떤 방정식이라
58
59 어떤 함수의
60
61 y(x)를 x에
62
63
64
65
66
67 정적분 값을 구하는 것을
68 적분한 함수를 미분하면
69
70 어떤 미지의 함수F(x)의 도함수f(x)에 대한 정보가 주어질 때, 미분하기 전의 미지의 함수
71 복잡하고 어려운 부정적분을
72
73
74
75
76
77 복잡한 형태로 되어있는 F(s)를 기본함수 형태로 적절히 조각을 냄으로써 Laplace 역변환을

Page 2 of 12
문과생도알수있는전기전자수학)

문제

일반 수학에서 방정식이란?
일반 수학에서 등호란?
‘방정식을 푼다’는 것은?
다음에서 x의 값을 구하면? X+2=10-X
일차방정식에서 차수란?
일차방정식에서 계수란?
20X 에서 계수는?
일차방정식에서 차수는?
5차방정식에서 차수는?
2x+3x=6 에서 몇차 방정식인가?
방정식의 차수에 대한 가장 올바른 설명은?
미지수에 어떠한 수를 넣어도 항상 성립하는 등식은?
공학에서는 분수로 표현하기 어려운 이유는?
미지수 여러 개를 포함하고 있는 방정식의 묶음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모든 방정식을 동시에 만족하는 미지수의 값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연립방정식 2X+y=5 와 X+y=4 에서 X의 값은?
자를 다루는 방정식에서 두 종류 이상의 문자를 더하려면 이 문자들은 반드시 동일한
정식의 해법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두 식을 더하거나 빼서 두 미지수 중 하나를
의 하나로 각 방정식에서 어떤 미지수를 다른 미지수로 보인 관계식을 만들어 그 두 개의 식을 같게 놓고 푸는 방법은?
다음 연립방정식의 근을 구할때 X의 값은? X+Y=3 , 2X-Y=6
X와 Y에 대하여 집합 X의 원소에 집합 Y의 원소를 짝지어 나타낸 것을 집합 X에서 집합 Y로의 무엇이라고 하는가?
집합 X의 각 원소에 집합 Y의 원소가 단 하나씩 대응되는 것은?
함수란?
함수에서 입력값의 집합을 정의역이라 하면, 출력값의 집합은 무엇인가?
일차식에 의해 입력값이 출력값에 대응하는 함수는?
이차식에 의해 입력값이 출력값에 대응하는 함수 는?
차함수와 이차함수는 한글로 차수를 표기하지만 3차 이상의 함수는 차수를 무엇으로
좌표를 나타내는 평면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직교좌표에서 (0, 0)인 점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일차함수의 그래프는?
그래프에서 어떤 범위를 잡아도 항상 우상향이 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밑이 1보다 작을 때 점점 작아지는(단조감소) 그래프는?
진수가 반드시 양수여야 한다는 것을 특별히 무슨 조건이라고
하는가?
지수함수의 역함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로그함수에서 상용로그란?
수와 문자의 곱으로 이루어진 식으로, 단 하나의 항만으로 이루어진 식은
다항식에서 수 또는 수와 문자의 곱으로 이루어진 식은?
단항식의 곱셈 계산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단항식의 나눗셈 계산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Page 3 of 12
단항식의 곱셈과 나눗셈의 혼합 계산으로 올바른 것은?
하나 이상의 항의 합으로 이루어진 식은?
다항식에서 정리하는 방법으로 한 문자에 대하여 차수가 높은
항부터 낮은 항의 순서로 나열하는 방법은?
다항식에서 계수는 다르더라도 문자 부분이 같은 항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함수 y=f(x)에서 f(x)가 x에 대한 다항식일 때 y=f(x)를 무슨 함수라고
하는가?
3xy^2( = 3·x·y·y)의 차수는?
60분법으로 나타내는 일반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생긴 각은
일반각표현에서 한 바퀴를 360도로 나누어(360등분) 표현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각에 대응하는 호의 길이를, 원의 반지름으로 나눈 값으로 표현하는 각의 표현법은
Rad(Radian, 라디안)의 단위로 사용하는 각도 표현법은?
π/3 을 60분법으로는 몇도 인가?
cos90도 의 값은?
래프에서 주기적인 진동이나 운동을 하는 것이 공간적 · 시간적으로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은?
로그함수에서 밑이 무리수 e인 로그는?
소리의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데시벨의 단위는?
상용로그 log10 의 값은?
y=f(x)에서 f(x)가 x에 대한 유리식일 때, y=f(x)를 무슨함수라고 하는가?
로그의 진수 또는 밑에 미지수가 들어 있는 방정식을 어떤 방정식이라 하는가?
함수의 출력이 특정 값에 가까워 지는 상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어떤 함수의 입력의 순간변화량에 대한 출력의 순간변화량의 비율을 도출하는
특정값에 최대한 근접한 값을 임의의 함수에 입력으로 넣어주는
함수는?
y(x)를 x에 대하여 미분한 후, 다시 한 번 x에 대하여 미분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상수 50을 미분하면 ?
삼각함수 sin x 를 미분하면?
로그함수 lnx 를 미분하면?
극댓값과 극솟값을 통틀어 무엇이라고 하는가?
함수 f(x) = 2x 를 미분하면?
을 구하는 것을 적분한다고 하고 정적분 값을 적분 값이라고 하며 적분되는 함수를
분한 함수를 미분하면 적분하기 전 원래 함수로 돌아오므로 미분과 적분은 서로 어떠한
적분법에서 넓이나 부피 등을 구하는 계산법은?
의 함수F(x)의 도함수f(x)에 대한 정보가 주어질 때, 미분하기 전의 미지의 함수F(x)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어려운 부정적분을 피적분함수를 적절하게 치환함으로써 간단하고 쉽게 계산할
상수 20 을 부정적분하면 ?
t에 대한 함수를 s에 대한 함수로 투영시키는 도구는?
단위 계단 함수(unit step function)의 Laplace 변환은?
4!의 값은?
1의 라플라스 역변환은?
되어있는 F(s)를 기본함수 형태로 적절히 조각을 냄으로써 Laplace 역변환을 구하는 매우 편리한 방법은?

Page 4 of 12
학)

정답
(학생이 작성해야 될 곳)

1
4
4
2
5
2
3
2
1
4
1
5
1
4
4
4
2
5
3
4
3
1
2
4
3
4
5
5
3
2
5
1
1
1
1
2
5
3
5

Page 5 of 12
2
2
1
2
4
3
1
1
2
2
4
5
2
1
2
2
1
5
5
2
1
4
3
1
2
5
1
2
2
5
2
1
2
5
1
1
2
5

Page 6 of 12
보기1 보기2

미지수를 포함한 등식 아직 알지 못하는 미지의 수


미지수를 포함한 등식 아직 알지 못하는 미지의 수
미지수를 포함한 등식 아직 알지 못하는 미지의 수
3 4
같은 소수를 곱한 횟수 같은 문자를 뺄셈한 횟수
같은 소수를 곱한 횟수 문자에 곱해진 수
1 2
0 1
5 4
4 3
에 대하여 여러 차수의 항이 있을 때엔다른그중문자에
가장 높은
대하여
차수가
같은 그
차수의
식의 항이
차수가있을
된다.
때엔 그중 가장 높은 차수가 그 식의 차수가 된다.
삼등식 구등식
눈금이나 도표에 해당하지 않는 부분은 분수로 값을 읽기 어려움. 공학에서 분수로 표현하기 싫어서
분수방정식 소수방정식
분수방정식 해 소수방정식 해
4 3
서로 같은 단위를 가진 값 끼리는 더할 수 없음. 서로 다른 단위를 가진 값 끼리는 더할 수 없음.
차등법 대입법
차등법 대입법
0 1
집합 연합
일대일 대응 일대다 대응
력값이 정해지면 어떤 규칙에 따라 입력값이 입력값이
오직두개씩정해지면
정해지는 어떤
대응규칙에
관계 따라 출력값이 오직 하나씩 정해지는 대응 관계
미역 구역
영차함수 일만함수
영차함수 일만함수
응대 함수
극우평면 좌우평면
구점 극점
타원 직선
곡선 상하양
지수함수 그래프 단위함수 그래프
진수조건 역수조건
로그함수 지수함수
밑이 10인 로그 밑이 1인 로그
담항식 단항식
계수 역수
는 문자끼리, 숫자는 문자끼리 곱하고 다음 계수는
음수법칙을
계수끼리,
이용하여문자는
간단히
문자끼리
한다. 더하고 다음 역수법칙을 이용하여 간단히 한다.
나눗셈을 뺄셈 꼴로 바꾸어 계산한다. 나눗셈을 로그의 꼴로 바꾸어 계산한다.

Page 7 of 12
괄호가 있으면 먼저 지수법칙을 이용하여 괄호를 풀 것
계수는 문자끼리, 문자는 상수끼리 계산할 것
역수식 다항식
내림차수 오름차순
상수항 동류항
로그함수 유리함수
1 2
양의 각 음의 각
60분법 120분법
호주법 호도법
호주법 호도법
0 30
1 2
진폭 위상
자연로그 일반로그
AB dB
0 1
유리함수 상수함수
미분방정식 상수방정식
발산 복수수
방정식 미분
극한 발산
극한 발산
50 5
cos x sin x
1 1/x
난수값 미소값
2 1
상적분함수 피적분 함수
상수과정 반대과정
치환적분 역미분
상수함수 원시함수
치환적분법 치난적분법
20 20x +C
프리에 변환 프리에 역변환
1/s 1
24 12
1 단위충격함수
라플라스 전개법 적분방정식 전개법

Page 8 of 12
보기3 보기4

문자 그대로 동등한 식 오른쪽과 왼쪽의 값이 같다는 뜻


문자 그대로 동등한 식 오른쪽과 왼쪽의 값이 같다는 뜻
문자 그대로 동등한 식 미지수의 값을 구하는 것
5 6
같은 문자를 나눈 횟수 같은 문자를 더한 횟수
같은 문자를 나눈 횟수 같은 문자를 더한 횟수
20 10
2 3
3 2
2 1
에 대하여 여러 차수의 항이 있을 때엔다른그중
문자에
가장 대하여
낮은 차수가
여러 차수의
그 식의
항이차수가
없을된다.
때엔 그중 가장 낮은 차수가 그 식의 차수가 된다.
미정식 부정식
일반수학에서 그래왔기 때문에 공학 인문학 구분 할려고
제곱방정식 연립방정식
제곱방정식 해 연립방정식의 해
2 1
계산이 편해서 부정한 값이 있으므로
등치법 곱셈법
등치법 곱셈법
2 3
대응 대수
다대다 대응 삼다 대응
력값이 없으면 어떤 규칙에 따라 출력값이 오직 출력값이
두개씩없으면
정해지는
어떤대응
규칙에관계따라 출력값이 오직 세개씩 정해지는 대응 관계
정의역 치역
일차함수 이차함수
일차함수 이차함수
국자 문자
우표평면 도표평면
원점 영점
곡선 원
우하향 단조감소
계단함수 그래프 이차함수 그래프
홀수조건 짝수조건
역함수 단조증가함수
밑이 2인 로그 밑이 e인 로그
복수식 닥정식
복수항 단수
는 계수끼리, 문자는 문자끼리 곱하고 다음
문자는
지수법칙을
계수끼리,
이용하여
계수는간단히
문자끼리
한다.
더하고 다음 지수법칙을 이용하여 간단히 한다.
나눗셈을 더하기 꼴로 바꾸어 계산한다. 나눗셈을 나눗셈 꼴로 바꾸어 계산한다.

Page 9 of 12
나눗셈을 분수 꼴로 바꾼다. 나누는 식을 역수의 곱셈으로 바꿀 것
복수식 담정식
순차역순 역차순순
단단항 수단항
지수함수 다항함수
3 10
상의 각 평면 각
220분법 270분법
호도리법 상수법
호도리법 상수법
45 60
알수 없다. 무한대이다.
파장 주파수
이반로그 상상로그
cB dd
2 10
삼각함수 단위함수
다수방정식 삼각방정식
역수 기억
상수 변수
복수수 역수
기억 이계 미분(이중 미분)
0 10
tan x coh x
x 2
적분값 미분값
x 2x
적분분수 미분함수
순수과정 제곱과정
상미분 상적분
삼각함수 로그함수
상수적분법 부분적분법
C x
Z변환 Y변환
s 0
6 4
0 경사함수
상수 전개법 역분수 전개법

Page 10 of 12
보기5 보기6 보기7 보기8 보기9 해설 키워드

알수 없다는 의미
알수 없다는 의미
알수 없다는 의미
7
같은 문자를 곱한 횟수
같은 문자를 곱한 횟수
5
4
1
0
문자에 대하여 여러 차수의 항이 없을 때엔 그중 가장 낮은 차수가 그 식의 차수가 된다.
항등식
눈금이나 도표에 해당하지 않는 부분은 분수로 값을 읽기 쉬워서.
미분방정식
미분방정식 해
0
여러 개의 문자는 수학적으로 사용이 불가 해서
가감법
가감법
4
역수
역수 대응
출력값이 정해지면 어떤 규칙이 없이 출력값이 오직 하나씩 정해지는 대응 관계
전역
삼차함수
삼차함수
숫자
좌표평면
상점

단조증가
일차함수 그래프
음수조건
음함수
밑이 없는 로그
단정식

계수는 계수끼리, 문자는 문자끼리 더하고 다음 역수법칙을 이용하여 간단히 한다.
나눗셈을 분수 꼴로 바꾸어 계산한다.

Page 11 of 12
계수는 계수끼리, 문자는 문자끼리 계산할 것
만수식
만수차순
단조항
다수함수
5
사의 각
360붑법
호서법
호서법
90
0
전기각속도
상용로그
Bd
100
제곱함수
로그방정식
수렴
근법
기억
단적분
무한대
sinh x
극값
극값
0
로그함수
로그과정
정적분
미분함수
미분적분법
20x
라플라스 변환
10/s
1
삼각함수
부분분수 전개법

Page 12 of 1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