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6년도 추계 학술대회 초록논문집

거주성 관점에서의 선박 진동 평가 관련 ISO 표준의 현황


Current Situation of the ISO Standard on Shipboard Vibration with regard
to habitability

김병현 †
Kim, Byung Hyun

Key Words : Shipboard Vibration(선박진동), Vibration Standard(진동표준), ISO 6954:2000, ISO/DIS


20283-5:2015

1) 지고 있다.
여기서는 ISO 20283-5의 개정과 관련하여 관련
1. 서 언 주요 국의 입장과 주장을 소개함과 아울러 대형 화
물선과 같은 특정 선박에 대한 새로운 선박 진동
선박진동 관련 ISO 국제표준 중에 ISO 표준 제정 움직임 등 거주성 관점에서의 선박 진동
6954:2000(1)은 거주성 관점에서의 선박 진동 측정 평가에 관한 국제 표준 관련 현황을 소개한다.
및 평가에 관한 표준으로써, 선주와 조선소 간의
신조 선박 계약 시 진동 기준으로 대부분 이 표준 2. ISO 6954:2000과 개정 표준 ISO/DIS
이 채택되고 있을 뿐 만 아니라, IACS의 Rec. No. 20283-5:2015의 평가 지침값 비교
(2)
132 와 IMO의 SOLAS/GBS for BCs and OTS에
서도 이 표준을 참고하여 선박 진동 기준을 정하고 ISO/DIS 20283-5:2015는 기존 표준인 ISO
있다. 따라서 이 표준은 선박 진동과 관련하여 조 6954:2000을 토대로 개정이 이루어졌으므로, 많은
선사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 부분은 ISO 6954:2000의 내용을 그대로 채택하고
다. 최근 ISO/TC 108/SC 2에서는 ISO 6954:2000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평가 지
을 ISO 20283-5로 표준번호와 표준명을 바꿈과 동 침값에서는 큰 변화가 있다.
시에 그 내용에 대한 개정 작업이 이루어져 왔는 ISO 6954:2000에서의 평가 지침값은 Table 1과
데, 이 과정에서 한국과 일본은 조선사들의 입장을 같이 주어져 있다. 평가 지침값이 2개(Lower value
대변하고 기술적, 현실적인 이유로 개정되는 평가 와 Upper value)로 주어져 있다. 이는 경우에 따라
지침값에 대해 반대 입장을 표시하고 이의를 제기 관계자(선주와 조선소) 간의 협의에 의해 그 사이
하여 왔다. 그러나 지난 2016년 4월 ISO/DIS 에서 허용 기준값을 결정할 수 있는 형태이다. 따
(3)
20283-5:2015 에 대한 투표에서 이 안이 통과 되 라서 선종이나 진동에 대한 특별한 요구사항 등을
므로서, 정해진 절차에 따라 ISO 6954:2000는 폐 반영하여 허용 기준값을 정할 수 있다. 실재 대부
지되고 ISO/DIS 20283-5가 ISO 표준으로 발간될 분의 일반 대형 화물선의 신조 계약에서는 Upper
예정에 있다. 이에 대응하여 최근 일본을 중심으로 value가 허용 기준값으로 정해지고 있으며, Lower
대형 화물선과 같은 특정 선박에 보다 합당한 선박 value는 목표값으로 활용되고 있다. 평가 구역 구분
진동 표준을 새로 제정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 은 A(승객실), B(선원 거주구), C(작업구역)로 비
교적 단순하게 구분하여 평가 지침값을 서로 달리
† 교신저자 ; 정회원, 한국기계연구원 하고 있다.
E-mail : bhkim@kimm.re.kr
Tel : 042-868-7421, Fax : 042-868-7418 반면에 ISO/DIS 20283-5:2015에서는 평가 지침

-539-
값을 Table 2와 같이 제시하고 있으며, Table 3에 Table 1 Guidelines for vibration values
보인 조건 내에서 지침값 초과를 허용하도록 하고 (ISO 6954:2000)
Values above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ISO/DIS Values above which
which adverse
adverse comments
20283-5:2015의 평가 지침값은 각 거주구역 형태별 comments are not
are probable
probable
한 개의 평가 지침값으로 주어져 있으며, ISO mm/s2

Area classification
143 71.5
A
6954:2000 지침값의 상하한 값의 중간보다 낮게 mm/s 4 2
2
mm/s 214 107
설정하고 있다. 선원구역과 승객구역을 구분하여 B
mm/s 6 3
평가 지침값을 제시하고 있기는 하지만 선원구역과 mm/s2 286 143
C
승객구역의 동일 거주구역 형태의 평가 지침값은 mm/s 8 4
NOTE Classification A can be passenger cabins, B crew
동일하다. 따라서 ISO 6954:2000에서는 선원구역
accommodation areas, and C working areas.
이 승객구역 보다 평가 지침값을 높게 설정하고 있
는 반면에 ISO/DIS 20283-5:2015에서는 동일하게 Table 2 Guideline values of acceptable Vibration
설정되어 있다. 또 ISO/DIS 20283-5:2015에서는 (ISO/DIS 20283-5)
Navigation bridge and engine room 및 Open-deck Type of occupied space Vibration limit
recreation spaces에 별도의 평가 지침값을 설정하 Crew spaces
고 있다. 3.5 mm/s
Crew accommodation
125 mm/s2
종합적으로 보면 ISO 6954:2000 에 비하여 6.0 mm/s
Work spaces 2
ISO/DIS 20283-5 평가 지침값이 더 엄격하다고 할 214 mm/s
4.5 mm/s
수 있다. 특히 대형 화물선의 경우에는 그동안 대 Offices
161 mm/s2
부분 ISO 6954:2000의 Upper value를 허용치로 하 Navigation bridge and 5.0 mm/s
engine control room 179 mm/s2
여 온 점을 고려하면 많이 엄격해진 것으로 평가된 4.5 mm/s
Open-deck recreation spaces 2
다. 161 mm/s
Passenger spaces
3.5 mm/s
3. 개정 표준안 ISO/DIS 20283-5의 Cabins and public spaces
125 mm/s
2

그동안의 경과 및 주요 나라의 주장 Open-deck recreation spaces


4.5 mm/s
161 mm/s2

ISO 6954:2000을 ISO 20283-5로의 개정 작업은 Table 3 Excessive Vibration values


비교적 오래전부터 논의되어 왔는데 한동안 별다른 (ISO/DIS 20283-5)
진전이 없다가 2014년 11월 Florida에서 열린 Ratio of rooms Maximum
Type of occupied space exceeding allowed
ISO/TC 108/SC 2/WG 2 회의(독일, 미국, 일본 전 vibration exceedance
문가 참석. 한국은 참석하지 않음)에서 평가 지침값 Crew spaces
이 포함된 ISO/CD 20283-5 안이 만들어졌다. Crew accommodation
Work spaces
이를 각 회원국에 투표 회람하여 승인되었는데, Offices 10 %
1.0 mm/s
2
35.0 mm/s
그 과정에서 평가 지침값에 대한 의견을 포함하여 Open-deck recreation
spaces
많은 comment 사항이 제기되었다. 이를 논의하고
Passenger spaces
DIS 안을 만들기 위한 WG 2회의(한국, 일본, 미 Cabins and public spaces
1.0 mm/s
국, 프랑스, 독일 전문가 참석)가 2015년 7월 Paris Open-deck recreation 10 %
35.0 mm/s2
spaces
에서 열렸고, 여기서 각 국(한국, 일본, 프랑스, 독
일)은 ISO/CD 20283-5의 진동 평가 지침값에 대하
한국의 경우는 이 회의에 대응하기 위하여 국내
여 의견 및 입장 발표가 있었다.
6개 조선사와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및 한국기계
연구원의 관련 전문가 회의를 통해 의견 수렴을 한

-540-
결과, 일부 조선사를 제외하고는 개정 진동 지침값 WG 2 Paris 회의에서 일본은 Fig. 2에 보인 바
의 완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이를 와 같이 선원 거주구에서는 실적 화물선의 30 %
반영하여 WG 2 Paris 회의에서 Fig. 1과 같이 국 가까이, navigation bridge에서는 실적 화물선의 20
내 몇 개 조선사에서 최근 성공적으로 인도한 화물 % 가까이가 개정 진동 지침값을 만족치 못한다고
선의 진동 측정 자료를 발표하고, 발표하고 개정 진동 지침값에 대하여 강력히 반대
- Crew accommodation 3.5 mm/s → 5.0 mm/s 하였다(한국이 제시한 완화 안 수준까지는 받아들
- Offices 4.5 mm/s → 5.0 mm/s 일 수 있다는 입장 표명).
- Navigation bridge 5.0 mm/s → 6.0 mm/s

와 같이 완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541-
반면에 독일(WG 2의 Convenor이며 Secretary 이로써 다른 comment 사항들만 반영된 ISO/DIS
국가)과 프랑스는 개정 진동 지침값이 엄격한 수준 20283-5:2015안이 만들어지게 되었고 각 회원국들
이 절대 아니라 오히려 느슨한 편이라 더 강화해도 에게 투표 회람하여 P-member 회원국 중 찬성 13
된다고 주장하였으며, 프랑스에서 그 근거로 실 측 개국, 반대 3개국(한국, 일본, 스리랑카), 기권 8개
정 자료들이 모두 개정 지침값 보다 훨씬 낮은 수 국으로 지난 2016년 4월 이 안이 승인되었다. 따라
준임을 주장하는 자료(Fig. 3)를 발표하였다. 서 향후 정해진 절차에 따라 ISO 6954:2000는 폐
이와 같이 개정 지침값에 대하여 많은 논의가 있 지되고 ISO/DIS 20283-5가 새로운 ISO 표준으로
었고 일본과 한국이 이의 완화를 주장함에도 불구 발간될 예정에 있다.
하고, 평가 지침값이 포함된 ISO/CD 20283-5(안)
이 회원국들의 동의로 승인되었으므로 변경이 불가 4. 고찰 및 결언
하며, 최종 진동 허용값은 선주와 조선사 간의 계
약 상 협의로 결정하게 되는 것이라는 이유로 WG ISO/DIS 20283-5:2015의 개정 진동 지침값은
2의 convenor는 일본과 한국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긴 갑판 구조를 갖는 대형 여객선의 경우에는 별
않았다(4). 어려움 없이 만족시킬 수 있는 수준이라 평가된다..
그러나 높은 선루를 갖는 화물선의 경우에 WG 2
Paris 회의에서 한국과 일본의 발표와 주장과 같이

-542-
기존 ISO 6954:2000의 지침값에 비해 많이 강화된 (4) ISO/TC108/SC2/WG2 N0384, Minutes and
것이며,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설계와 건조에 resolutions of the meeting of ISO/TC 108/SC 2/WG
서 보다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요될 가능성이 높다 2 “Vibration of ships” on 2015-7-6 and -7 in Paris,
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화물선을 건조하는 조선사 France
의 입장을 대변하는 한국과 일본의 주장과 화물선 (5) Kim, B. H., 2013, Status of ISO/TC 108/SC 2
선주와 여객선 건조 조선사를 대변하는 독일 등 유 Standar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럽국가들의 주장으로 서로 나뉜 것이라 할 수 있 and Vibration Engineering. Vol.23, No.6, pp.10~17.
다. (6) 선박진동 국제표준 개정안 ISO/CD 20283-5에
또한, 평가 기준값의 강화는 기술력이 우수한 조 대한 고찰,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선사의 경우는 타 사(또는 타 국)와의 경쟁에서 상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2015
대적으로 유리한 측면이 있다. 그러므로 국내 일부 April.
조선사는 새로운 개정 기준값을 반대하지 않는 입
장이다.
ISO/DIS 20283-5:2015가 최종 승인되어 표준 발
행 수순에 들어가게 됨으로써, 개정 진동 지침값에
강력하게 반대했던 일본은 이 표준이 특정 화물선
에 적합하지 못하기 때문에 벌크선, 탱커 등 특정
화물선에 보다 합당한 선박 진동 표준이 별도로 필
요하다며 최근 새로운 표준 작업을 ISO/TC 8/SC8
에 제안한 상태이다. 이의 추진에 대하여 일본은
한국에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따
라서 국내 조선사들도 이에 대해 계속적인 관심과
의견 반영이 요구된다.

참 고 문 헌

(1) ISO 6954:2000 “Mechanical vibration –


Guidelines for the measurement, reporting
andevaluation of vibration with regard to habitability
on passenger and merchant ships”
(2) IACS Rec. No. 132 "Human Element
Recommendations for structural design of lighting,
ventilation, vibration, noise, access and egress
arrangements“
(3) ISO/DIS 20283-5:2015 “ Mechanical vibration
– Measurement of vibration on ships – Part 5:
Measurement, evaluation and reporting of vibration
with regard to habitability on passenger and
merchant ships”

-54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