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36

클럽 카

2008
유지 보수 정비 매뉴얼

프레시덴트 IQ 시스템 및 엑셀 시스템 차량

매뉴얼 번호 103373101
발행 코드 0907B0308A
머리말

클럽 카 차량이 효율성 면에서 최고 성능을 제공하도록 설계 제작되었다. 하지만, 올바른 유지 관리 및


수리는 최대의 수명과 지속적인 안전 및 신뢰성 있는 작동을 확보하는데 필수적이다.

이 매뉴얼은 전기 프레시덴트 차량을 유지 관리 및 수리하기 위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며, 차량 정비 전


철저히 검토되어야 한다. 제공된 절차들을 올바로 실행해야 하며, „위험,‟ „경고,‟ „주의‟ 등의 문구들을
주목해야 한다.

이 매뉴얼은 전기 및 기계 수리에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이미 보유한 유자격 기술자를 위해


작성되었다. 이러한 지식 및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기술자가 이 차량을 정비 또는 수리하려고
시도 할 때에는 차량을 불안전하게 만든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공인 클럽 카 공급 / 대리점 대표 또는
클럽 카 제작소에서 교육을 수료한 기술자만이 클럽 카를 모든 수리 및/또는 정비하도록 해야 한다.

공급업자 및 딜러가 차량 소유주를 위해 신속하고 효율적인 정비를 제공하도록 정비 기술 및 시설을


지속적으로 업그래이드 하도록 지원하는 것은 클럽 카 주식회사의 정책이다. 지역 기술 대표, 차량 정비
세미나, 주기적 정비 회보, 및 기타 정비 간행물들은 고객 지원에 대한 클럽 카의 끊임없는 헌신을
반영한다.

이 매뉴얼에는 모든 일반적인 차량 정비가 나타나 있지만, 차량 정비 시 독특한 상황은 때때로


일어나기 마련이다. 만약 정비에 대한 문제에 대한 질문이 이 매뉴얼에 충분히 나타나 있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면, 당사에게 연락하거나 (Club Car, Inc.; PO Box 204648; Augusta, GA 30917-4658, USA,
Attention: Technical Services), 또는 클럽 카 기술 정비 대표로 전화하라 (706) 863-3000 3580

저작권 소유: 2007년 클럽 카 주식회사


클럽 카, 아머플렉스, 파워드라이브 및 IQ 시스템,
는 클럽 카 주식회사의 등록 상표임
이 매뉴얼은 2007년 8월 1일부터 유효함


!! 경고
 차량 정비를 시도하기 전에 “섹션 1 - 안전 사항”을 읽으시오
 차량을 정비하기 전, 필요한 섹션들과 정비 또는 수리에 관련되어 참고해야 하는 정보를 읽으시오

주목: 이 매뉴얼에는 발행될 당시의 최신 정보가 나타나 있다. 클럽 카 주식회사는 차량 및 기타


제품을 더 개선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일하고 있으며, 이러한 개선 사항들은 정비 절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정 사항 및/또는 사양/절차에 대한 중대한 변경 사항들은 모든
클럽 카 공급 업자 및 딜러에게 전달될 것이며, 필요 시 이 매뉴얼의 차기 판본에 반영될
것이다.

클럽 카 주식회사는 통보 없이, 과거 판매된 차량에 대한 변경 의무 없이, 사양 및


디자인을 언제나 변경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

이 매뉴얼에는 명확히 쓰여 있거나 의미가 함축되어 있는 보증이 없다. 차량 소유자


매뉴얼에서 찾을 수 있는 제한적인 보증을 참조하거나 다음으로 서신을 보내라: Club Car,
Inc.; PO Box 204648; Augusta, GA 30917-4658, USA, Attention: Warranty Administration.


목차

섹션 1 - 안전 사항

일반 경고 사항 1-1

섹션 2 - 차량 사양

섹션 3 - 일반 정보

일련 번호 확인 3-1
안전 위원회 3.2
보관 3-2
장기간 비수기 보관을 위한 전기 차량 준비 3-3
보관 중인 전기 차량의 재 사용 3-3

섹션 4 - 몸체 및 내장

차량 청소 4-1
좌석 4-1
전후 몸체의 수리 4-2
응력선 또는 줄무늬 4-2
작은 충격 손상/변형 4-2
작은 스크래치 및 표면 흠 4-2
홈, 구멍, 찢김, 큰 스크래치와 연마 4-3
앞쪽 몸체 4-4
앞쪽 몸체 제거 4-4
앞쪽 몸체 설치 4-4
앞쪽 범퍼 4-4
기기 패널 4-5
기기 패널 제거 - 초기 연식 모델 4-5
기기 패널 설치 - 초기 연식 모델 4-6
기기 패널 제거 - 최근 연식 모델 4-7
기기 패널 설치 - 최근 연식 모델 4-7
바닥 매트와 고정장치 4-8
바닥 매트 고정장치 제거 4-8
바닥 매트 고정장치 설치 4-8


킥 플레이트와 충전기 콘센트 베즐 4-9
킥 플레이트와 충전기 콘센트 베즐 제거 4-9
킥 플레이트와 충전기 콘센트 베즐 설치 4-9
뒤쪽 몸체 - 2인승 차량 4-10
일반 부속품 설치 4-10
등받침과 구조 부속품 모듈 (SAM) 4-10
뒤쪽 몸체 구성물 (2인승) 4-12
뒤쪽 몸체 - 4인승 차량 4-14
등받이 4-14
좌석 지지대 4-15
풋 데크 4-16
뒤쪽 몸체 구성 부품 (4인승). 4-16
캐노피 - 2인승 4-17
2인승 캐노피 제거 4-17
2인승 캐노피 설치 4-19
캐노피 - 4인승 4-21
4인승 캐노피 제거 4-21
4인승 캐노피 설치 4-21

섹션 5 - 액셀러레이터와 브레이크

페달 그룹 5-1
페달 그룹 제거 5-1
MCOR 5-3
파편 쉴드 5-3
브레이크 복귀 스프링 5-3
멈춤 쇠 조립체 5-4
액셀러레이터 복귀 스프링 5-4
페달 그룹 설치 5-6

섹션 6 - 바퀴 브레이크

일반 정보 6-1
브레이크 슈 제거 6-1
브레이크 조립체 청소 6-5
브레이크 슈 설치 6-6
브레이크 케이블 이퀄라이저 조절 6-9
브레이크 클러스터 제거 및 설치 6-9
브레이크 클러스터 설치 6-10
브레이크 케이블 제거 및 설치 6-11


섹션 7 - 스티어링 및 앞쪽 서스펜션

일반 정보 7-1
핸들 7-1
핸들 제거 7-1
핸들 설치 7-2
스티어링 칼럼 7-2
스티어링 칼럼 제거 7-2
스티어링 칼럼 설치 7-4
랙 및 피니언 7-4
랙 및 피니언 제거 7-5
랙 및 피니언 분해 7-5
랙 및 피니언 조립체 7-8
랙 및 피니언 설치 7-9
앞쪽 서스펜션 7-10
윤활 7-10
바퀴 얼라인먼트 7-10
앞쪽 서스펜션 구성 요소 7-12
타이로드 종단 제거 7-12
타이로드 설치 7-12
엽편 스프링 제거 7-12
엽편 스프링 설치 7-13
킹 핀 및 스티어링 고정 쐐기 제거 7-13
킹 핀 및 스티어링 고정 쐐기 설치 7-13
조절 암 제거 7-14
조절 암 설치 7-14
충격 흡수체 제거 7-14
충격 흡수체 설치 7-14
앞쪽 바퀴 베어링과 허브 7-17
앞쪽 바퀴 프리 플레이 점검 7-17
앞쪽 허브 제거 7-17
허브 설치 7-17

섹션 8 - 바퀴 및 타이어

일반 정보 8-1
바퀴 8-1
바퀴 제거 8-1
바퀴 설치 8-1


타이어 8-2
타이어 제거 8-2
타이어 수리 8-2
타이어 설치 8-3

섹션 9 - 뒤쪽 서스펜션

일반 정보 9-1
충격 흡수체 9-1
충격 흡수체 제거 및 점검 9-1
충격 흡수체 설치 9-1
엽편 스프링 (2인승 차량) 9-1
엽편 스프링 제거 (2인승 차량) 9-1
엽편 스프링 설치 (2인승 차량) 9-4
옆편 스프링 (4인승 차량) 9-4
엽편 스프링 제거 (4인승 차량) 9-4
엽편 스프링 설치 (4인승 차량) 9-6

섹션 10 - 주기적 유지 보수

일반 경고 10-1
일반 정보 10-3
주기적 정비 일정 10-3
주기적 윤활 일정 10-5

섹션 11 - IQ 시스템 전기 시스템

일반 정보 11-1
배선 도식 11-2
문제해결 11-7
IQDM 차량 문제 해결 11-7
문제 해결 가이드 1 11-8
문제 해결 가이드 2 11-11
테스트 절차 11-13
테스트 절차 색인 11-14
연락 전시 모듈 (CDM) 11-39
CDM을 이용하여 내장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 11-40
CDM 문제해결 가이드 11-41


섹션 12 - 엑셀 시스템 전기 시스템 및 테스트

일반 정보 12-1
배선 도식 12-2
문제해결 12-7
IQDM 차량 문제 해결 12-7
문제 해결 가이드 1 12-8
문제해결 가이드 2 12-11
테스트 절차 12-13
테스트 절차 색인 12-14
연락 전시 모듈 (CDM) 12-39
CDM을 이용하여 내장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 12-40
CDM 문제해결 가이드 12-41

섹션 13 - IQ 디스플레이 모듈 (IQDM) 및 IQDM-P 진단: IQ 시스템

핸드 세트를 차량에 꽂음 13-1


초기 디스플레이 13-2
메뉴 탐색 13-2
모니터 메뉴 13-4
조절판 13-4
배터리 전압 (Batt Voltage) 13-4
열 씽크 온도 (Heatsink Temp) 13-4
전기자 전류 13-4
전기장 전류 13-5
전기자 pwm 13-5
전기장 PWM 13-5
속도 펄스 13-5
발 입력 13-5
전진 입력 13-5
후진 입력 13-5
주 접촉기 13-5
키 입력 13-5
패스워드 시도 (IQDM-P 만 해당) 13-5
10.3 트랜스 액슬 13-6
20+ 속도 13-6


오류메뉴 13-6
시스템 오류 13-6
HW 안전장치 13-8
키 스위치 SRO (정적 복귀 꺼짐) 13-9
조절판 오류 1 13-9
속도 센서 13-9
주요 접합 13-9
주 운전자 ON 13-9
주 운전자 OFF 13-9
고속 워크 어웨이 13-9
주 코일 오류 13-9
전기장 미싱 13-9
HPD 13-9
PROC/배선 13-10
과 전압 13-10
배터리 전압 부족 13-10
열 삭감 13-10
모터 멈춤 13-10
주 드롭아웃 13-10
개방 전기자 13-10
패스워드 입력 오류(IQDM-P 만 해당) 13-10
최대 패스워드 시도 (IQDM-P 만 해당) 13-10
오류 내역 13-11
오류 내역 초기화 13-11
기능 메뉴 13-11
조절기로부터 세팅 값 이동 13-11
조절기에 세팅 쓰기 13-12
모든 세팅의 리셋 13-14
정보 13-14
프로그래머 셋업 13-14
프로그램 13-15
오류 13-15
정보 13-15
IQDM 및 IQDM-P 핸드세트 문제해결 13-15
테스트 절차 13-17
테스트 절차 색인 13-17

섹션 14 - IQ 디스플레이 모듈 (IQDM) 및 IQDM-P 진단: 엑셀 시스템

핸드 세트를 차량에 꽂음 14-1


초기 디스플레이 14-2
메뉴 탐색 14-2
모니터 메뉴 14-4
속도 14-4
조절판 14-4
배터리 보조 전압 (Batt Aux Voltage) 14-4
온도 14-4
전기자 전류 14-5
전기장 전류 14-5
전기자 PWM 14-5
전기장 PWM 14-5
브레이크 입력 전압 14-5
속도 펄스 14-5
발 입력 14-5
키 입력 14-5
전진 입력 14-5
후진 입력 14-5
충전기 억제 14-5
주 접촉 운전기 14-6
키 입력 14-6
패스워드 시도 (IQDM-P 만 해당) 14-6
오도미터 14-6
차량 속도 (IQDM-P 만 해당) 14-6
페달 카운터 14-6
오류 카운터 14-6
오류 계수 오도미터 14-6


오류 메뉴 14-6
시스템 오류 14-7
HW 안전장치 14-9
조절판 오류 14-9
속도 센서 14-9
주요 접합 14-10
주 운전자 ON 14-10
주 운전자 OFF 14-10
주 코일 개방 14-10
전기장 미싱 14-10
HPD 14-10
과 전압 14-10
배터리 전압 부족 14-10
열 삭감 14-10
모터 멈춤 14-10
주 드롭아웃 (1 또는 2) 14-11
패스워드 입력 오류(IQDM-P 만 해당) 14-11
최대 패스워드 시도 (IQDM-P 만 해당) 14-11
오류 내역 14-11
오류 내역 초기화 14-11
기능 메뉴 14-12
조절기로부터 세팅 값 이동 14-12
조절기에 세팅 쓰기 14-13
모든 세팅의 리셋 14-15
정보 14-15
프로그래머 셋업 14-16
프로그램 14-16
오류 14-16
정보 14-16
IQDM 및 IQDM-P 핸드세트 문제해결 14-17
테스트 절차 14-18
테스트 절차 색인 14-18

섹션 15 - 전기 구성 요소들

키 스위치 15-1
배터리 경고 등 15-3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15-3
전자 모듈 커버 - 유형 A 배터리 구조 15-5
전자 모듈 커버 - 유형 B와 C 배터리 구조 15-6

x
견인/주행 스위치 - 유형 A 배터리 구조 15-7
견인/주행 스위치 - 유형 B와 C 배터리 구조 15-8
모터 조절기 출력 조정 장치 (MCOR) 15-9
후진 부저 15-10
전자 모듈 - 유형 A 배터리 구조 15-11
전자 모듈 - 유형 B와 C 배터리 구조 15-13
속도 조절기 - 유형 A 배터리 구조 15-15
속도 조절기 - 유형 B와 C 배터리 구조 15-16
쏠레노이드 - 유형 A 배터리 구조 15-17
쏠레노이드 - 유형 B와 C 배터리 구조 15-18
내장 컴퓨터 (OBC) - 유형 A 배터리 구조 15-19
내장 컴퓨터 (OBC) - 유형 B와 C 배터리 구조 15-20
충전기 콘센트 15-21
전조등 조절 15-22

섹션 16 – 배터리

일반 정보 16-1
배터리 문제해결 챠트 16-2
배터리 테스트 - 12볼트 16-3
배터리 충전기 테스트 16-3
충전 중 전압 테스트 16-3
액체 비중계 테스트 16-3
방전 테스트 16-5
배터리 문제해결 사례 16-6
배터리 테스트 - 8볼트 16-8
배터리 충전기 테스트 16-8
충전 중 전압 테스트 16-8
액체 비중계 테스트 16-8
방전 테스트 16-10
배터리 문제해결 사례 16-12
배터리 교체 16-13
배터리 관리 16-14
배터리 관리 - 싱글 포인트 급수 시스템의 차량 16-14
배터리 관리 - 싱글 포인트 급수 시스템이 없는 차량 16-15
자가-방전 16-16
전해질 레벨 16-16
미네랄 함유량 16-17
진동 손상 16-18

xi
배터리 충전기 16-18
배터리 충전 16-18
플러그 및 콘센트 16-19
16시간 후 충전기 차단 16-20
심한 방전 16-20
초기 과잉 방전 16-20
유입 AC 서비스 16-20
차량 교대 16-20
차량과 충전기 번호 매기기 16-20
싱글 포인트 급수 시스템 (SPWS) 16-21
SPWS의 초기 보수 관리 16-21
SPWS가 있는 배터리의 급수 16-21
배터리 보관 16-23
저 전압 배터리 팩 충전 16-23

섹션 17 - 배터리 충전기

섹션 18 – 모터 (모델 5BC59JBS6390)

일반 정보 18-1
모터 ID 18-1
외부 모터 테스트 18-1
모터 18-3
모터 구성 요소 테스트 및 점검 18-5
전기자 18-5
전기장 와인딩 검사 18-6
모터 구성 요소 18-7
베어링 점검 18-7
베어링 분해 18-9
베어링 설치 18-9
속도 센서 자석 점검 18-9
속도 센서 자석 제거 18-9
속도 센서 자석 설치 18-9
모터 리컨디셔닝 18-9
모터 조립체 18-10
모터 설치 18-12
모터 속도 센서 18-15

xii
섹션 19 – 모터 (모델 EJ4-4001)

일반 정보 19-1
모터 ID 19-1
외부 모터 테스트 19-1
모터 19-2
모터 제거 19-2
모터 분해 19-4
모터 구성 요소 테스트 및 점검 19-6
전기자 점검 및 테스트 19-6
모터 프레임 및 전기장 와인딩 점검 19-8
브러시 스프링 장력 테스트 19-8
모터 리컨디셔닝 19-11
모터 조립체 19-11
모터 설치 19-13

섹션 20 – 트랜스액슬 (G 유형)

윤활 20-1
액슬 베어링 및 축 20-1
액슬 축 20-1
액슬 베어링 20-4
트랜스액슬 20-5
트랜스액슬 제거 20-5
트랜스액슬 분해, 검사, 및 조립체 20-7
트랜스액슬 분해와 검사 20-7
트랜스액슬 조립체 20-9
트랜스액슬 설치 20-10

섹션 21 – IQ 디스플레이 모듈 (IQDM) 및 프로그래머 (IQDM-P): 액셀 시스템

핸드 세트를 차량에 꽂음 21-1


프로그램 메뉴 21-2
속도 세팅 21-2
빠른 액셀 21-3
페달 업 모드 21-3
속도 보정 21-3
코드 A, 코드 B, 및 코드 C 21-3
서행 페달 업 21-3
KSI SRO 기능 작동 21-3
M2 최대 속도 21-4

xiii
섹션 22 – IQ 디스플레이 모듈 프로그래머 (IQDM-P): 액셀 시스템

핸드 세트를 차량에 꽂음 22-1


프로그램 메뉴 22-2
속도 세팅 22-2
빠른 액셀 22-3
페달 업 모드 22-3
속도 보정 22-3
S3 FWD 속도 22-3
코드 A, 코드 B, 및 코드 C 22-4
차량 S/N 22-4
차량 도안 22-4

섹션 i – 색인

xiv
섹션 1 – 안전 사항
클럽 카 차량 정비 실행자의 안전 확보와, 부적절한 정비나 관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손상으로부터
차량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 매뉴얼의 절차를 준수하여야 한다.
이 매뉴얼 전반에 걸쳐 나타나 있는 “위험”, “경고” 또는 “주의”라고 표시된 것들을 주시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러한 특별 문구들은 안전문제와 특별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절차를 따르기 전에 읽고,
이해해서, 숙지해두어야 한다. “주목”이라고 표시된 말들은 기타 필수 정비나 관리 정보를 제공한다.

‼ 위험

 „위험‟은 심각한 인적 상해 또는 사망을 유발하는 즉각적인 위험을 나타낸다.

‼ 경고

 „경고‟는 심각한 인적 상해 또는 사망을 유발할 수 있는 즉각적인 위험을 나타낸다.

‼ 주의

 안전 경고 기호가 있는 „주의‟는 경상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 또는 안전하지 않은 작업을 나타낸다.

‼ 주의

 안전 경고 기호가 없는 „주의‟는 재산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잠재적으로 위험한 상태를 나타낸다.

일반 경고 사항

안전에 관한 아래의 설명들은 차량을 운행, 수리, 또는 정비할 때마다 염두 하여야 한다.
기타 특별 안전 사항들은 이 매뉴얼 및 차량에 나와 있다.

‼ 위험

 배터리 – 폭발성 기체이니 담배를 피우지 마시오. 불꽃 및 화염을 차량 및 서비스


구역으로부터 멀리 하라. 밀폐된 공간에서 충전하거나 사용할 시에는 환기를 잘 시켜야 한다.
배터리 위나 근처에서 작업할 시에는 풀 세트의 전면 얼굴 보호대와 고무 장갑을 착용한다.
 배터리 – 독극물! 산을 포함함! 심각한 화상 유발. 피부, 눈, 또는 옷과의 접촉을 피하라. 해독
방법은:
- 외부: 물로 씻어낸다. 즉시 의사에게 연락한다.
- 내부: 다량의 우유나 물을 마신 후, 마그네시아 유제 또는 식물성 기름을 마신다. 즉시
의사에게 연락한다.
- 눈: 15분 동안 물로 씻어 내린다. 즉시 의사에게 연락한다.

1-1
‼ 경고

 유자격 기술자만이 차량을 정비하거나 수리한다. 비록 단순한 수리나 정비를 하는 사람도 전기


및 기계 수리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유지보수, 정비, 및 부속품 설치를
시행할 때는 적절한 설명서를 사용해야 한다.
 이 매뉴얼에 언급된 절차를 정확하게 따르며, 차량과 배터리 충전기에 명시된 것뿐 아니라 이
매뉴얼 내의 “위험” “경고”, 및 “주의” 아래의 설명을 숙지한다.
 한 번에 차량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 최소 1000lb (454kg) 리프팅 용량을 가진 적절한
리프팅 장치 (체인 호이스트 또는 유압식 플로어 잭)를 사용한다. 리프팅 장치는 차량을 올려진
위치에서 잡고 있는데 사용하지 않는다. 차량을 지지하고 바닥에 바퀴가 잘 고정되어 있도록
적절한 무게 용량의 승인된 잭 스탠드를 사용한다. 바퀴의 움직임을 필요로 하지 않는
테스트나 정비 절차를 실행할 때는 브레이크를 잠근다.
 차량을 부적절하게 사용하거나 유지관리를 잘하지 못할 경우 차량 성능을 저하시키며 심한
인적 상해나 죽음을 유발할 수 있다.
 차량의 안정성이나 관리에 영향을 미치거나 제조 사양 상 최고 차량 속도를 넘도록, 이 차량을
개조하거나 변경하면 심각한 인적 상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 모든 차량 경고 회사 도안의 올바른 위치를 차량 소유주 매뉴얼을 참조하여 확인하고 각
도안들이 올바른 위치에 부착되어 있고 쉽게 읽을 수 있는 지 확인한다.
 차량 또는 배터리 충전기 정비 시, 보안경 또는 인증된 눈 보호장치를 착용한다. 배터리를
다루거나 배터리 근처에서 작업할 때에는, 풀 세트의 안면 보호 가리개와 고무 장갑을
착용한다.
 차량이나 배터리 충전기 정비 시, 헐렁한 옷이나 반지, 시계, 고리 등과 같은 장식품을
착용하지 않는다.
 배터리나 전기 커넥터 근처에서 작업할 때는 단열 기구를 사용한다. 구성 부품이나 전선을
단선시키지 않도록 각별히 조심한다.
 차량을 정비하거나 잠시 빈 채로 놔 둘 때에는, 열쇠로 스위치를 끈 후 빼고, 전진/후진
스위치를 중립 상태로 둔다. 차량 정비 시, 바퀴에 굄목을 괴어둔다.
 배터리를 차단하거나 연결하기 전에 견인/주행 스위치는 견인 위치에 둔다. 이러한 경고를
숙지하지 않으면 배터리 폭발이나 심각한 인적 상해를 초래할 수 있다.
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1-3 페이지, 그림 1-1) (1-3 페이지, 그림 1-2) (1-3
페이지, 그림 1-3)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배터리를 차단한다.
 배터리 차단 후, 컨트롤러 축전기가 방전되도록 90초를 기다린다.
 차량에 어린이들만 남겨두지 마시오.

1-2
그림 1-1 배터리 케이블 제거 – 유형 A 그림 1-2 배터리 케이블 제거 – 유형 B
전기 차량 배터리 배치도 전기 차량 배터리 형태
(차량의 운전석에서 본 그림) (차량의 운전석에서 본 그림)
1. 배터리 케이블 차단 또는 연결 전에 1. 배터리 케이블 차단 또는 연결 전에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로 둔다.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로 둔다.
2. 음극 배터리 케이블을 제거한다. 2. 음극 배터리 케이블을 제거한다.
3. 양극 배터리 케이블을 제거한다. 3. 양극 배터리 케이블을 제거한다.
배터리 케이블을 반대 순서로 연결한다. 배터리 케이블을 반대 순서로 연결한다.

그림 1-3 배터리 케이블 분해 – 유형 C


전기 차량 배터리 형태
(차량의 운전석에서 본 것)
1. 배터리 케이블 차단 또는 연결 전에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로 둔다.
2. 음극 배터리 케이블을 제거한다.
3. 양극 배터리 케이블을 제거한다.
배터리 케이블을 반대 순서로 연결한다.

1-3
섹션 2 – 차량 사양

사양 2인승 전기 차량 4인승 전기 차량

전원
구동 모터: 직접 구동, 48V DC, 분권, 3.2hp  
트랜스액슬: 12.3:1 직접 구동 액슬의 이중 감속 나선형 기어  
전기 시스템: 48V DC, 감소 속도 후진  
배터리: 고 용량, 딥 사이클 형태  
충전기: 자동, 48V; UL 및 CSA 목록  
스티어링 / 서스펜션 / 브레이크
핸들: 자가 조절 랙 및 피니언  
서스펜션: 이중 유압식 쇼크의 앞쪽 및 뒤쪽 테이퍼 일엽  
스프링
브레이크: 주철 드럼을 가진 이중 뒤쪽 바퀴 자가 조절  
브레이크 및 자동 해제 주차 브레이크를 가진 4륜 수동 조절
몸체/섀시
프레임 / 섀시: 알루미늄 및 합금  
앞쪽 및 뒤쪽 몸체: 듀퐁 Surlyn© Reflections  
몸체 마감: 고광 주조 색상  
타이어: 18 x 8.5 – 8 무 튜브, 4겹 등급  
치수/무게
91.5 in. 104 in.
전체 길이
(232 cm) (264 cm)
47.25 in. 47.25 in.
전체 너비
(120 cm) (120 cm)
68.5 in. 71 in.
전체 높이 (캐노피 포함)
(174 cm) (180 cm)
48.0 in. 48.0 in.
전체 높이 (핸들에서)
(122 cm) (122 cm)
65.5 in. 65.5 in.
차축 거리
(166 cm) (166 cm)
4.5 in. 4.5 in.
최고 허용 지상고
(11 cm) (11 cm)
34.5 in. 34.5 in.
앞 바퀴 나삿니
(88 cm) (88 cm)
38.6 in. 38.6 in.
뒷 바퀴 나삿니
(98 cm) (98 cm)
855 lb. 970 lb.
무게 (캐노피, 배터리 포함 표준 전기 차량)
(388 kg) (440 kg)
최고 속도 범위 5-19 mph (8-30.6 km/h)
17 ft – 4 in.. 17 ft – 4 in..
통제 허용 원 (직경)
(528 cm) (528 cm)
표준 좌석 수 (최대) 2 4
액체 용량
22 oz. 22 oz.
트랜스액슬
(.67 liters) (.67 liters)
타이어 압력
18-20 psi 18-20 psi
전면 및 뒤쪽
(1.24-1.38 bars) (1.24-1.38 bars)

2-1
섹션 3 – 일반 정보
‼ 위험

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 참조

‼ 경고

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 참조

이 매뉴얼에서 다뤄지는 다른 모델과 다른 중요한 특징들은 하이라이트 되었다. 클럽카, Inc.는


소유주/작동 자는 이 매뉴얼을 읽고 이해할 것이며, 그들 차량의 특이한 특성에 대하여 특별한 관심을
기울일 것을 추천한다.
다음 주제에 관한 정보에 대하여 차량 구매 시 제공되는 사용자 매뉴얼 참조:
 시운전 및 일일 안전 체크리스트
 제어 및 표시기
 운전 지침
 견인
 트레일러상의 운송
 후속 사용자 등록
 보증

일련 번호 확인
차량의 일련번호는 조수석 쪽의 안쪽 대시 (그림 3-1)위나 조수석 쪽 컵 홀더 (그림 3-2) 아래에 설치된
바코드 도안 위에 인쇄되어 있다.

주목: 부품을 주문하거나 문의 시, 차량 일련 번호를 사용한다. 엑셀 시스템 차량은 일련 번호


접두사 PD, PH, PJ, PK, PU, 또는 PV를 가진다.

그림 3-1 일련 번호 도안그림 3-2 일련 번호 도안

3-1
안전 위원회

골프카를 빌리거나 전체 차량 중 하나이면, 안전 위원회를 조성할 것을 강력히 추천한다.


이 위원회의 주요 임무 중 하나는 골프카의 안전 작동에 관한 것이다.

이는 최소한 다음을 포함해야 한다:


 골프카가 운행되는 장소
 운전 위험에 대한 경고사항이 적절히 표출되고 눈에 띄는지 확인하는 것, 클럽카 서비스 부품
부서에서 이용 가능한 표시의 목록은 아래 참조.
 골프카를 누가 운전하고 누가 운전하지 말아야 하는지.
 초보 운전자 교육
 골프카를 안전 운행 상태로 유지하는 것.
 시행되어야 하는 여러 규칙

안전 위원회는 이러한 모든 항목들과 위원회가 필요 또는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것들을 다뤄야 한다.


클럽카에서 이용 가능한 경고 표시는 아래에 기록되어 있다.

WARNING SIGN CCI P/N


왼쪽 급커브 S9911211
오른쪽 급커브 S9921211
급 경사 S9931211

보관

1-1 페이지 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 경고

 보관 시에는 열쇠를 OFF로 돌려 뺀 다음, 전진/후진 스위치를 „중립‟ 위치에 둔다. 이는


무의식적으로 시동을 켜는 것이나 화재 위험을 막기 위한 것이다.
 결빙된 배터리나 케이스가 팽창된 배터리는 충전하지 말고 버려야 한다. 결빙된 배터리는 폭발할
수 있다.

!! 주의

 충전상태가 낮은 배터리는 저온에서 냉각된다.


 전기 구성 부품이 습기로 인한 손상에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세차 시 압력 세척기나 스팀
청소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둔다.

3-2
장기간 비수기 보관을 위한 전기 차량 준비
1. 배터리를 완전하게 충전한다. „섹션 16 – 배터리‟ 참조.
2. 배터리는 깨끗해야 하며 부식된 부분이 없어야 한다. 베이킹 소다와 물 (3.8 리터 (1갈론)의
물에 237 cc (1 cup)의 베이킹 소다)로 혼합된 용액으로 배터리의 위 부분과 단자를 씻는다.
용액으로 배터리를 헹군다. 용액이 배터리 안으로 들어가지 않게 하라. 단자가 꽉 조여졌는지를
확인한다. 단자를 건조시킨 다음 배터리 단자 보호 분무기로 배터리를 코팅한다 (CCI P/N
1014305).
3. 시원하고 건조한 곳에 차량을 보관한다. 이는 배터리가 자체 방전되는 것을 최소화 한다.
4. 권장 타이어 압력으로 타이어를 맞춘다. „섹션 2 – 차량 사양‟을 참조하라.
5. 반기마다 주기적으로 기름칠해야 하는 부분들을 기름칠한다. 10-5 페이지, “주기적 윤활 일정”을
참조하라.
6. 전면 몸체, 뒤쪽 몸체, 좌석, 배터리 칸 및 차량 하부를 철저하게 깨끗이 한다.
7. 주차 브레이크를 넣지 않는다. 차량이 굴러가지 않도록 바퀴에 굄목을 괸다.
8. 보관 동안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도록 한다.
 보관 동안 파워 드라이브 배터리 충전기를 꼽아 놓는다. 필요 시, 내장 컴퓨터가
자동적으로 충전기를 작동시킨다. 충전기가 꼽혀 있을 수 없거나 장기간 저장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AC 파워가 없다면, 보관 시 배터리를 분리시킨다.
 충전기가 꽂혀있는 상태로 있을 수 없거나, AC 동력이 장기간 보관 동안 이용 불능하면,
보관 동안 배터리를 차단한다. 1-2 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경고문을 참조하라.

주의

 배터리와 충전기를 매달 점검하여, 보관 동안 배터리 수위가 맞게 유지되고 있는지, 충전기가


올바르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보관 중인 전기 차량의 재 사용
1. 필요 시, 배터리를 연결한다
2.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한다.

!! 경고

 결빙된 배터리나 케이스가 팽창된 배터리는 충전하지 말고 버려야 한다. 결빙된 배터리는
폭발할 수 있다.

3. 권장 타이어 압력으로 타이어를 맞춘다. „섹션 2 – 차량 사양‟을 참조하라.


4. 시운전 및 일일 안전 체크리스트를 시행한다. 사용자 매뉴얼 참조.

3-3
섹션 4 – 몸체 및 내장
!! 위험

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 참조.

!! 경고

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 참조.

차량 청소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 참조.

주의

 암모니아, 방향성 용매나 알칼리성 물질을 함유한 세제나 세척제를 몸체 패널이나 좌석에
사용하지 않는다.
 배터리 산을 몸체 패널에 떨어뜨리지 않는다. 배터리 산은 영구적인 손상을 초래한다. 몸체
패널에 배터리 산이 엎질러질 때에는 즉시 씻어 낸다.
4

클럽카 프레시덴트 차량은 썰린 전후 몸체로 만들어졌다. 정상적인 청소를 위해서는 구매가 가능한
스폰지나 부드러운 천이 있는 자동 청소기만을 사용한다. 일반 가정용 급수 압력을 가진 정원 호스면
충분하다.
당사는 어떤 종류의 압력 청소나 스팀 청소도 권장하지 않다. 이러한 것은 (특히 뒤쪽 썰린 몸체가 없는
차량의 경우) 전기 부속품들을 수분에 노출시키게 된다. 전기 부속품으로 습기가 침투할 경우, 손상 및
부속품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비연마성 왁스 제품을 사용하라. 연마성 갈음질이나 마찰 성분을 사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것들은
광택을 영구적으로 없앤다. 얼룩을 막으려면 배터리 산, 비료, 타르, 아스팔트, 크레오소트, 페인트, 껌
등을 즉시 제거해야 한다. 다음 주의 및 주목을 참조하라.

주의

 갈음질 또는 마찰 성분의 사용은 영구적으로 차량의 마감재를 흐리게 한다.


 전후 하부 몸체의 흑색 플라스틱 물질, 앞쪽 범퍼나 “발을 디디지 마시오”라고 표시된 뒤쪽 패널
부분에 왁스제품을 적용하지 말라. 왁스는 표면 탈색을 유발한다.

주목: 폐수를 올바로 버리시오.

좌석
좌석 외형을 보존하기 위하여, 스폰지나 부드러운 천에 순한 비누나 세제를 묻혀 주기적으로 청소한다.
특히 더럽혀진 곳을 청소할 때는 부드러운 모로 된 브러시를 사용한다. 다음 지침을 따른다:
가벼운 오염: 부드럽고 젖은 천에 10%의 액체 비누와 미지근한 물로 혼합된 용액을 사용하도록
권장한다. 필요 시 부드러운 모로 만들어진 브러시를 사용한다. 물에 적신 천으로 잔여물을
닦아낸다.

4-1
심한 얼룩: 가정용 표백제 (차염소산 나트륨) 와 물을 10:90으로 혼합한 용액에 부드럽고
깨끗한 천을 적신다. 부드럽게 문질러 얼룩을 제거한 다음, 물로 적신 천으로 표백제 잔여물을
닦아낸다.
더 심한 얼룩: 표백제 원액을 사용하여 위 절차를 실행하거나, 오염된 부분을 표백제로 약 30분
동안 발라놓는다. 물에 적신 천으로 남아 있는 표백제를 닦아낸다. 아래의 „주의‟ 참조.

주의

 심한 오염이나 얼룩을 제거할 때 차량이 손상되지 않도록, 먼저 차량에서 좌석 하부를 꺼낸다.

전후 몸체의 수리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 참조

응력선 또는 줄무늬
아머플렉스 몸체를 반복적으로 구부리면 마무리 칠에 흰색 응력선 또는 줄무늬를 유발할 수 있다. 이를
없애기 위하여:
1. 최저온으로 설정된 열 총을 응력선 부분에서 12인치 (30cm) 떨어지게 잡고 있는다.
2. 줄이 사라질 때까지 흠이 있는 부분의 상하 좌우로 열 총을 천천히 움직인다.
3. 줄을 없애기 위해 열 총을 몸체에 더 가까이 댈 수도 있지만, 어떠한 경우에서든, 총을 몸체에
6인치 (15cm) 이상 더 가깝게 해서는 안 된다.

주의

 열 총을 몸체에 너무 가까이 대면 몸체를 녹게 하거나 마감재를 손상시킬 수 있다.

작은 충격 손상/변형
썰린 몸체의 작은 충격 손상은 응력선을 제거하는 것과 유사한 절차로 수리할 수 있다. 작은 충격
손상으로 인한 변형을 제거하기 위하여:
1. 최저온으로 설정된 열 총을 응력선 부분에서 12인치 (30cm) 떨어지게 잡고 있는다.
2. 주기적으로 열 총을 빼며, 푸시 블록을 사용하여 변형의 반대 방향으로 몸체를 구부린다.
3.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올 때까지 지속적으로 열을 가하고 몸체를 구부린다. 어떤 상황에서도,
총을 몸체에 6인치 (15cm) 이상 더 가깝게 해서는 안 된다. 위의 주의를 참조.

작은 스크래치 및 표면 흠
썰린 몸체에 생긴, 마감재를 침투하지 않은 작은 스크래치나 흠에 대하여는:
1. 강하고 비연마성인 세제와 뜨거운 물을 사용하여 흠이 있는 부분을 완전히 닦아낸 다음, 울트라
클린 (Ultra-Kleen® ) 용매 세척제로 닦아 내어 유성 오염을 제거한다..
2. 깨끗하고 부드러운 천이나 버프 패드로 결점이 있는 곳을 가볍게 닦아낸다. 전후 몸체 조립체에
수세미 (연마성) 종류를 사용하지 않는다.
3. 전체 몸체를 왁스로 칠하여, 광택을 복원하고 날씨에 대해 대비한다.

4-2
홈, 구멍, 찢김, 큰 스크래치와 연마
당사는 터치업 페인트를 권장하지 않는다. 전체 몸체를 교체하거나, 썰린 몸체를 수리한 경험이 있는
도색 및 몸체 수리 전문점에서 수리해야 한다.

그림 4-1 앞쪽 몸체

4-3
앞쪽 몸체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 참조

앞쪽 몸체 제거
1. 4개의 나사 (2)를 제거하고 브로우와 패시아 조립체 (4)에서 브로우 캡 (1)을 잡아 당긴다 (4-3
페이지, 그림 4-1).
2. 브로우와 패시아 조립체 (4)에서 앞쪽 뷰티 패널 (3)을 위로 잡아 당겨서 스냅 탭을 분리한다.
3. 차량에 캐노피가 설치되었으면, 캐노피 지지 커버를 풀되 앞쪽 캐노피 지지 볼트를 제거하지
않는다. 캐노피가 없으면, 비-캐노피 커버를 제거한다.
4. 앞쪽 몸체 하부에서 5개의 나사 (8)를 제거하고 브로우와 패시아 조립체 (4)를 들어 올린다.
5. 5개의 나사 (7)를 제거해서 앞쪽 패시아 (6)를 브로우 (5)에서 떼어낸다.

앞쪽 몸체 설치
1. 패시아 (6)를 5개의 나사 (7)로 브로우 (5)에 설치한다. 나사를 3.3 ft-lb (4.5 Nm)까지 조인다 (4-3
페이지, 그림 4-1).
2. 브로우와 패시아 조립체 (4)를 5개의 나사 (8)로 앞쪽 몸체 하부에 설치한다. 나사를 1.8 ft-lb
(2.5 Nm)까지 조인다.
3. 브로우 (5)에 앞쪽 뷰티 패널 (3)을 설치한다. 앞쪽 뷰티 패널의 앞쪽 가장자리에 있는 탭은
패시아와 브로우 사이의 홈에 잘 맞아야 한다.
4. 브로우 (5)와 앞쪽 뷰티 패널 (3)의 가장자리를 덮기 위하여 브로우 캡 (1)을 쓴다. 브로우
캡(1)은 4개의 나사(2)로 고정한다. 나사는 25 in-lb (2.8 Nm)까지 조인다.

앞쪽 범퍼
하부 몸체 지지대 (1)는 앞쪽 서스팬션을 앞쪽 몸체 하부에 연결하는 작용을 한다 (4-5 페이지, 그림 4-
2). 각 지지대는 13 ft-lb (17.6 Nm)으로 조여진 2개의 탭타이트 나사 (2)로 고정된다. 앞쪽 범퍼 (3)는
너트 (5)와 볼트 (4)로 차량 프레임 레일에 부착된다. 범퍼 부착 지지대 상부로 너트 (5)가 가야하며,
항상 바닥으로 볼트 (4)를 끼운다. 너트는 13.3 (18 nm)까지 조인다.

4-4
그림 4-2 지지대 및 앞쪽 범퍼

기기 패널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 참조.

기기 패널 제거 – 초기 연식 모델
1. 양쪽에 있는 2개의 나사 (5)와 기기 패널 (3) 윗부분의 한 개의 나사 (4)를 제거한다 (페이지 4-
6, 그림 4-3).
2. 기기 패널을 대시 조립체 (1)에서 풀어질 때까지 위로 기울인다.
3. 기기 패널 (3)의 조수석 쪽에 있는 전기 연결기를 분리해서 패널을 제거한다.
4. 2개의 배럴 고정장치 (7)를 제거해서 대시 트레이 (6)을 분리한다.
5. 차량에서 3개의 나사 (2)를 제거하고 대시 조립체 (1)를 제거한다.

4-5
기기 패널 설치 – 초기 연식 모델

1. 차량에 대시 조립체 (1)의 위치를 잡는다. 앞쪽 가장자리에 있는 탭이 앞쪽 몸체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3개의 나사 (2)로 조립체를 고정한다 (페이지 4-6, 그림 4-3).
나사를 8.8 ft-lb (12 Nm)까지 조인다.
2. 대시에 대시 트레이 (6)의 위치를 잡고 2개의 배럴 고정장치 (7)로 고정한다.
3. 기기 패널을 설치한다.
3.1. 기기 패널의 전기 연결기를 연결기 장치에 연결한다.
3.2. 대시 조립체에 기기 패널 (3)의 위치를 정한다. 위쪽 가장자리의 탭이 적절하게 대시
조립체에 있는 해당 홈과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자리잡는 동안 노출되거나 깔리는
전선이 없음을 확인한다.
3.3. 기기 패널을 나사 (4와 5)로 대시 조립체에 고정한다. 나사를 1.8 ft-lb (2.5 Nm)까지 조인다.

그림 4-3 기기 패널 – 초기 연식 모델

4-6
기기 패널 제거 – 최근 연식 모델
1. 양쪽에 있는 2개의 나사 (5)와 기기 패널 (3) 윗부분의 한 개의 나사 (4)를 제거한다 (페이지 4-
4, 그림 4-7).
2. 기기 패널을 대시 조립체 (1)에서 분리될 때까지 위로 기울인다.
3. 기기 패널 (3)의 조수석 쪽에 있는 전기 연결기를 분리해서 패널을 제거한다.
4. 2개의 나사 (5)와 플라스틱 리벳 (6)을 제거하고 차량에서 대시 조립체 (4)를 제거한다.

기기 패널 설치 – 최근 연식 모델
1. 차량에 대시 조립체 (4)의 위치를 잡는다. 앞쪽 가장자리에 있는 탭이 앞쪽 몸체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2개의 나사 (5)와 플라스틱 리벳 (6)으로 조립체를 고정한다
(페이지 4-7, 그림 4-4). 나사를 8.8 ft-lb (12 Nm)까지 조인다.
2. 기기 패널을 설치한다.
2.1. 기기 패널의 전기 연결기를 연결기 장치에 연결한다.
2.2. 대시 조립체에 기기 패널 (3)의 위치를 정한다. 위쪽 가장자리의 탭이 적절하게 대시
조립체에 있는 해당 홈과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자리잡는 동안 노출되거나 깔리는
전선이 없음을 확인한다.
2.3. 기기 패널을 나사 (1와 2)로 대시 조립체에 고정한다. 나사를 1.8 ft-lb (2.5 Nm)까지 조인다.

그림 4-4 기기 패널 – 최근 연식 모델

4-7
바닥 매트와 고정장치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 참조.

바닥 매트 고정장치는 바닥 매트를 차량에 고정시키며 차량의 외관을 청결하게 한다. 보통, 바닥 매트


(3)만 제거해야 할 시, 나사 (2)를 약간 느슨하게 해서 바닥 매트를 고정장치 밑 (1)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페이지 4-8, 그림 4-5).

그림 4-5 바닥 매트 고정장치

바닥 매트 고정장치 제거
1. 고정장치 (1)의 윗부분에서 나사 (2)를 제거한다 (페이지 4-8, 그림 4-5).
2. 고정장치의 아래 뒤쪽 코너로부터 나사 (4)를 제거한다. 이 나사는 뒤쪽 몸체 하부에 부착되는
J-클립 (5)으로 끼워져 있다.
3. 조심스럽게 고정장치를 잡아 당겨서 내장 클립을 각각의 홈으로부터 분리한다. 일반적으로 내장
클립은 고정장치에서 제거될 필요가 없다.

바닥 매트 고정장치 설치
1. 차량에 고정장치의 위치를 잡고 차량에 내장 클립을 단단히 연결하도록 누른다 (페이지 4-8,
그림 4-5).
2. 고정장치의 하단 뒤쪽에 있는 하나의 나사 (4)를 설치한다. 나사를 1.8 ft-lb (2.5 Nm)까지 조인다.
3. 바닥 매트가 고정장지의 상단 플랜지 밑에 잘 자리잡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2개의 나사 (2)를
설치한다. 나사는 4.4 ft-lb (6.0 Nm)가지 조인다.

4-8
킥 플레이트와 충전기 콘센트 베즐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 참조.

킥 플레이트와 충전기 콘센트 베즐 제거


1. 충전기 베즐 (4) 제거 시, 충전기 베즐 공구 (CCI P/N 102562401)를 사용해서 킥 플레이트에서
베즐을 제거한다 (페이지 4-9, 그림 4-6).
2. 바닥 매트를 제거한다. 페이지 4-8의 바닥 매트와 고정장치 참조.
3. 차량에 킥 플레이트 (2)를 고정하는 3개의 나사 (1)를 제거한다.
4. 뷰티 패널을 차량에 고정하는 2개의 앞쪽 나사 (3)를 제거한다. 뒤쪽 뷰티 패널의 앞쪽 부분을
올려서 킥 플레이트의 상단부분에 있는 탭으로부터 분리한다.
5. 차량에서 킥 플레이트를 제거한다.

킥 플레이트와 충전기 콘센트 베즐 설치


1. 차량에 킥 플레이트 (2)의 위치를 잡고 3개의 나사 (1)로 고정한다 (페이지 4-9, 그림 4-6). 뒤쪽
뷰티 패널의 앞쪽 아래 가장자리와 킥 플레이트와 잘 맞는지를 확인한다. 나사를 3.3 ft-lb (4.5
Nm)까지 조인다.
2. 2개의 나사 (3)를 설치해서 뒤쪽 뷰티 패널을 고정한다. 나사는 3.7 ft-lb (5 Nm)까지 조인다.
3. 바닥 매트를 설치한다. 페이지 4-8의 바닥 매트와 고정장치를 참조하라.
4. 킥 플레이트 위에 충전기 베즐 (4)을 snap한다.

그림 4-6 킥 플레이트와 충전기 콘센트 베즐

4-9
뒤쪽 몸체 - 2인승 차량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 참조

일반 부속품 설치
구조 부속품 모듈 (SAM)은 운전자쪽과 조수석 쪽에 두개의 나사 홈을 가진다 (페이지 4-10, 그림 4-7).
일반적으로 이 홈은 다양한 부속품에 대한 부착지점 (1)이다. SAM에 설치될 수 있는 부속품에는 한
두개의 모래병, 모래 양동이, 클럽카 클리너 등이 있다.

그림 4-7 일반 부속품 설치

등받침과 구조 부속품 모듈 (SAM)


SAM 제거
1. 차량에 캐노피가 있으면, SAM에서 뒤쪽 직립 지지대를 제거해야 한다.
2. 4개의 볼트 (4)를 제거하여 차량에서 SAM (3)을 분리한다 (페이지 4-11, 그림 4-8).
SAM 설치
SAM (3)을 설치 구멍에 두고 4개의 나사 (4)로 고정한다. 나사는 53 in-lb (6Nm)까지 조인다 (페이지 4-
11, 그림 4-8).

등받침
등받침 (1)은 2개의 나사 (2)로 SAM (3)에 고정시킨다 (페이지 4-11, 그림 4-8). 등받침을 교체할 때,
나사 (2)를 5.9 ft-lb (8 Nm)까지 조인다.

가방 걸이 제거
1. 2개의 나사 (10)를 제거해서 가방 고리 (6)와 SAM (3)과 관련된 구성물을 분리한다 (페이지 4-
11, 그림 4-8).
2. 가방 줄 (8)은 2개의 플라스틱 베럴 연결기 (9)와 하나의 나사 (12)를 제거하면 풀릴 수도 있다.
3. 가방 줄 버클 (7)은 가방 고리 (6)에서 뺄 수 있다.

4-10
그림 4-8 등받이 및 SAM

4-11
가방 걸이 설치
설치는 제거의 반대순서이다. 나사 (12)를 4.8 ft-lb (6.5 Nm)까지 조이고 10번 나사는 11.8 ft-lb (16
Nm)까지 조인다 (페이지 4-11, 그림 4-8).

스웨터 바구니
스웨터 바구니 (11)는 3개의 나사 (12)로 가방 고리 조립체에 고정된다. 바구니의 위쪽 가장자리에 있는
탭은 설치를 위하여 가방 고리 (6)의 구멍과 맞춘다. 나사 (12)를 4.8 ft-lb (6.5 Nm)까지 조여서 스웨터
바구니를 고정시킨다 (페이지 4-11, 그림 4-8).

뒤쪽 몸체 구성물 (2인승)
뒤쪽 뷰티 패널 제거
1. SAM을 제거한다. 4-10 페이지의 SAM 제거를 참조하라.
2. 각 캐노피 지지대 (1과 2)에서 하나의 나사 (3)를 제거한다 (페이지 4-13, 그림 4-9). 캐노피
지지대를 제거한다.
3. 뒤쪽 뷰티 패널 (12)을 연료 통에 고정하고 있는 4개의 나사 (13)를 제거한다.
4. 2개의 나사 (14)를 제거하고 차량으로부터 전진/후진 스위치 하우징 (15)을 제거한다.
5. 전진/후진 스위치 (16)에서 전기선을 분리한다.
6. 차량에서 뒤쪽 뷰티 패널을 들어 올린다.

뒤쪽 뷰티 패널 설치
1. 차량에 뒤쪽 뷰티 패널 (12)을 설치한다. 뷰티 패널의 뒤쪽에 있는 몸체 클립 (17)이 뒤쪽 몸체
하부의 짝 홈과 잘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뷰티 패널을 4개의 나사 (13)로 고정한다. 나사는
3.7 ft-lb (5 Nm)까지 조인다 (페이지 4-13, 그림 4-9).
2. 보여진 것처럼 3개의 전선을 전진/후진 스위치 (16)에 연결한다.
3. 뷰티 패널 (12)의 앞쪽에 있는 전진/후진 스위치 하우징 (15)의 위치를 잡고 2개의 나사 (14)로
고정한다. 나사는 20 in-lb (2.3 Nm)으로 조인다.
4. 차량에 캐노피 지지대 (1과 2)의 위치를 잡고 하나의 나사 (3)로 각각 고정한다. 나사는 53 in-lb
(6 Nm)까지 조인다.

접근 패널
접근 패널 (6)은 2개의 확장 나사 (7)로 뒤쪽 몸체 하부 (4)에 고정된다 (페이지 4-13, 그림 4-9). 패널을
교체할 때, 패널이 잘 고정될 수 있도록 충분히 나사 (7)를 조인다.

뒤쪽 몸체 하부 제거
1. 뒤쪽 몸체 하부 (4)를 차량에 고정시키는 4개의 나사 (5)를 제거한다 (페이지 4-13, 그림 4-9).
2. 몸체 하부를 2개의 라이너 (8과 9)에 고정시키는 2개의 나사 (18)과 와셔 (23)를 제거한다.
3. 앞쪽 몸체하부 밑으로부터 앞쪽 부분이 밀려 나올때까지 뒤쪽 몸체 하부 (4)의 뒤쪽 가장자리를
들어 올린다. 차량에서 뒤쪽 몸체하부를 제거한다.

뒤쪽 몸체하부 설치
차량의 뒤쪽 몸체하부 (4)를 설치한다 (페이지 4-13, 그림 4-9). 2개의 와셔 (23)와 나사 (18)을 설치하여
하부를 2개의 바퀴 라이너 (8과 9)에 고정시키고, 4개의 나사 (5)를 설치해서 하부를 차량에 고정시킨다.
나사 (5와 18)는 3.7 ft-lb (5 Nm)까지 조인다.

바퀴 라이너 제거
볼트 (10)를 제거해서 차량으로부터 라이너 (8과 9)를 떼어낸다 (페이지 4-13, 그림 4-9).

4-12
그림 4-9 뒤쪽 몸체 구성 부품
*2인승 차량에만 해당

4-13
바퀴 라이너 설치
차량에 라이너 (8과 9)의 위치를 잡은 다음 볼트 (10)로 고정시킨다. 볼트 (10)는 안쪽-프레임 레일에
부착된 J-클립 (11)으로 돌려 넣는다. 볼트는 4.4 ft-lb (6 Nm)까지 조인다.

뒤쪽 몸체 - 4인승 차량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 참조.

등받이
등받이 제거
등받이 (8 또는 11)를 좌석 지지대에 고정하는 나사 (9 또는 13)를 제거하고 등받이를 제거한다 (페이지
4-14, 그림 4-10).
등받이 설치
등받이 (8 또는 11)는 나사 (9 또는 13)로 좌석 지지대에 고정시킨다. 나사는 71 in-lb (8 Nm)까지 조인다
(페이지 4-14, 그림 4-10).

그림 4-10 좌석 (4인승 차량)

4-14
좌석 지지대
좌석 지지대 제거
1. 뒤쪽 힙 고정정치 (6)를 고정하는 나사 (8과 11)를 제거하고 차량에서 힙 고정장치를 제거한다
(페이지 4-15, 그림 4-11).
2. 좌석 지지대 (3)에서 나사 (5)와 볼트 (4)를 제거하고 차량에서 좌석 지지대를 제거한다.

좌석 지지대 설치
1. 제거의 반대 순서로 설치한다.
2. 볼트 (4)는 53 in-lb (6 Nm)까지 조인다. 나사 (5)는 44 in-lb (5 Nm)까지 조인다. 또 다른 볼트
(8과 11)는 124 in-lb (14 Nm)까지 조인다 (페이지 4-15, 그림 4-11).

그림 4-11 좌석 지지대 (4인승 차량)

4-15
풋 데크
풋 데크 제거
1. 뒤쪽 힙 고정정치 (6)를 고정하는 나사 (8과 11)를 제거하고 차량에서 힙 고정장치를 제거한다
(페이지 4-15, 그림 4-11).
2. 풋 데크 (1)를 차량 프레임에 고정하는 4개의 볼트 (2)를 제거한다 (페이지 4-16, 그림 4-12).

풋 데크 설치
1. 제거의 반대 순서로 풋 나머지를 설치한다.
2. 볼트 (2)는 71 in-lb (8 Nm)까지 조인다 (페이지 4-16, 그림 4-12).

그림 4-12 풋 데크 (4인승 차량)

뒤쪽 몸체 구성 부품 (4인승).
뒤쪽 뷰티 패널 제거
1. 좌석 지지대를 제거한다. 페이지 4-15의 좌석 지지대 제거를 참조하라.
2. 뒤쪽 뷰티 패널 (12)을 연료 통에 고정하는 4개의 나사 (13)를 제거한다 (페이지 4-13, 그림 4-
9).
3. 2개의 나사 (14)를 제거하고 차량으로부터 전진/후진 스위치 하우징 (15)을 제거한다
4. 전진/후진 스위치 (16)로부터 전기 전선을 분리한다.
5. 차량으로부터 뒤쪽 뷰티 패널을 들어올린다.

4-16
뒤쪽 뷰티 패널 설치
1. 차량에 뒤쪽 뷰티 패널 (12)을 설치한다. 뷰티 패널의 뒤쪽에 있는 몸체 클립 (17)이 뒤쪽 몸체
하부의 한쌍인 홈과 잘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뷰티 패널을 4개의 나사 (13)로 고정한다.
나사는 3.7 ft-lb (5 Nm)까지 조인다 (페이지 4-13, 그림 4-9).
2. 보여진 것처럼 3개의 전선을 전진/후진 스위치 (16)에 연결한다.
3. 뷰티 패널 (12)의 앞쪽에 있는 전진/후진 스위치 하우징 (15)의 위치를 잡고 2개의 나사 (14)로
고정한다. 나사는 20 in-lb (2.3 Nm)으로 조인다.
4. 좌석 지지대를 설치한다. 페이지 4-15의 좌석 지지대 설치를 참조한다.

접근 패널
접근 패널 (6)은 2개의 확장 나사 (7)로 뒤쪽 몸체 하부 (4)에 고정된다 (페이지 4-13, 그림 4-9). 패널을
교체할 때, 패널이 잘 고정될 수 있도록 충분히 나사 (7)를 조인다.

뒤쪽 몸체 하부 제거
1. 뒤쪽 몸체 하부 (4)를 차량에 고정시키는 4개의 나사 (5)를 제거한다 (페이지 4-13, 그림 4-9).
2. 앞쪽 몸체하부 밑으로부터 앞쪽 부분이 밀려 나올 때까지 뒤쪽 몸체 하부 (4)의 뒤쪽
가장자리를 들어 올린다. 차량으로부터 뒤쪽 몸체하부를 제거한다.

뒤쪽 몸체하부 설치
차량의 뒤쪽 몸체하부 (4)를 설치한다 (페이지 4-13, 그림 4-9). 4개의 나사 (5)를 설치해서 하부를
차량에 고정시킨다. 나사 (5와 18)는 3.7 ft-lb (5 Nm) 까지 조인다.

캐노피 - 2인승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 참조.

주의

 캐노피가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캐노피 (1)를 제거하지 전에 캐노피 지지대 (3, 7, 및 10)를
제거하지 말라. (페이지 4-18, 그림 4-13).

2인승 캐노피 제거
1. 캐노피 (1)와 각 앞쪽 캐노피 지지대 (7과 10)에서 2개의 너트 (9)와 2개의 볼트 (8)를
제거한다 (페이지 4-18, 그림 4-13).
2. 캐노피 (1)와 각 뒤쪽 지지대 (3)에서 너트 (5)와 볼트 (4)를 제거한다.
3. 앞쪽 캐노피 지지대 (7과 10)와 뒤쪽 지지대 (3)로부터 캐노피 (1)를 들어 올린다.
4. 앞쪽 캐노피 지지대 커버를 앞쪽 몸체에 고정하고 있는 나사 (14)를 제거한다.
5. 캐노피 지지대 커버 (12와 13)을 앞쪽 캐노피 지지대 (7과 10)에 밀어 넣어서 볼트 (11)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6. 각 앞쪽 캐노피 지지대 (7과 10)에서 2개의 볼트 (11)를 제거하고 차량에서 캐노피
지지대를 제거한다.
7. 각 뒤쪽 지지대 (3)에서 2개의 볼트 (6)를 제거하고 차량에서 뒤쪽 지지대를 잡아 당긴다.

4-17
그림 4-13 프레시덴트 2인승 캐노피

4-18
2인승 캐노피 설치
1. 앞쪽 캐노피 지지대를 설치한다.
1.1. 보여진 것처럼 앞쪽 지지대가 올바른 방향으로 향해져 있는지를 확인한다 (페이지 4-18,
그림 4-13). 각 지지대의 아래쪽 프로파일은 차량의 프로파일을 따른다. 지지대가 차량의
틀린 쪽으로 놓여져 있으면, 그것들은 차량의 프로파일을 따르지 않을 것이다.
1.2. 각 앞쪽 지지대 (7과 10)의 하단 부분의 구멍과 차량의 상응하는 구멍을 맞춘다. 차량의
나사선형 구멍으로 각 앞쪽 지지대를 통하여 2개의 볼트 (11)를 삽입한다. 볼트는 금색의
나사선 잠금으로 색깔 코드 되어 있다. 이 때 손으로만 볼트를 조인다.
1.3. 앞쪽 지지대 위로 커버 (12와 13)를 민다. 커버는 „운전자‟와 „조수석‟으로 표시되어 있어서
운전석 쪽인지 조수석 쪽인지 구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아직 나사 (14)를 설치하지
않는다.
2. 2개의 뒤쪽 캐노피 지지대 (3)를 구조 부속품 모듈 (SAM)의 위 개구로 삽입한다.
3. 바스킷의 안쪽에서, 바스킷 벽을 통하여 각 지지대로 2개의 볼트 (6)를 삽입한다. 볼트는 청색
잠금으로 색깔 코드 되어 있다. 지지대의 나사선이 횡단으로 꼬이는 것을 막기 위하여 볼트를
손으로 조인다. 다음 주의사항을 참조하라.

주의

 볼트를 끼우기 위하여 공구를 사용할 시, 지지대의 암 나삿니와 맞물릴 때 볼트가 올바로
느낌지게 못할 수 있다.

4. 앞뒤 지지대의 상단에 캐노피를 놓는다. 앞쪽 지지대가 캐노피의 아래쪽의 주조된 탭 사이에


올바로 자리잡혀 있는지, 캐노피 뒤쪽의 주조된 돌출부분이 뒤쪽 지지대의 상단으로 확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5. 4개의 볼트 (8)와 고정나사 (9)로 캐노피를 앞쪽 지지대에 고정한다. 각 지지대에 2개의 볼트를
사용하여서 안쪽에서 볼트를 삽입한다. 고정나사를 50 in-lb (5.6 Nm)까지 조인다.
6. 캐노피를 2개의 볼트 (4)와 잠금나사 (5)로 뒤쪽 지지대에 고정한다. 고정나사는 50 in-lb (5.6
Nm)까지 조인다.
7. 뒤쪽 지지대 (3)에 있는 4개의 볼트 (6)를 31 in-lb (3.5 Nm)까지 조인다.
8. 앞쪽 지지대 (7과 10)에 있는 4개의 볼트 (11)를 18.4 ft-lb (25 Nm)까지 조인다.
9. 각각의 지지대에 각 커버 (12와 13)를 둔다. 각 커버에 있는 구멍을 지지대의 상응되는 구멍에
맞춘다. 커버를 나사 (14)로 지지대에 고정한다. 나사 (14)를 31 in-lb (4.6 Nm)까지 조인다.
커버를 나사 (14)로 지지대에 고정시킨다. 나사 (14)는 31 in-lb (4.6 Nm)까지 조인다

4-19
그림 4-14 프레시덴트 4인승 캐노피

4-20
캐노피 – 4인승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 참조.

주의

 캐노피가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캐노피 (9)를 제거하지 전에 캐노피 지지대 (1, 6)를
제거하지 말라 (페이지 4-20, 그림 4-14).

4인승 캐노피 제거
1. 캐노피 (9)와 각 앞쪽 캐노피 지지대 (1)에서 2개의 너트 (12)와 2개의 볼트 (11), 그리고
스페이서 (10)를 제거한다 (페이지 4-20, 그림 4-14).
2. 캐노피 (9)와 뒤쪽 지지대 (6)에서 너트 (14)와 볼트 (13)를 제거한다.
3. 앞쪽 캐노피 지지대 (1)와 뒤쪽 지지대 (6)로부터 캐노피 (9)를 들어 올린다.
4. 앞쪽 캐노피 지지대 커버를 앞쪽 몸체에 고정하고 있는 나사 (5)를 제거한다.
5. 캐노피 지지대 커버 (4)을 앞쪽 캐노피 지지대 (1)에 밀어 넣어서 볼트 (2)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6. 각 앞쪽 캐노피 지지대 (1)에서 2개의 볼트 (2)를 제거하고 차량에서 캐노피 지지대를 제거한다.
7. 뒤쪽 지지대 (3)에서 2개의 볼트 (8)를 제거하고 차량에서 뒤쪽 지지대를 제거한다.

4인승 캐노피 설치
1. 앞쪽 캐노피 지지대를 설치한다.
1.1. 보여진 것처럼 앞쪽 지지대가 올바른 차량 방향으로 향해져 있는지를 확인한다 (페이지 4-
20, 그림 4-14). 각 지지대의 아래쪽 프로파일은 차량의 프로파일을 따른다. 지지대가
차량의 틀린 쪽으로 놓여져 있으면, 그것들은 차량의 프로파일을 따르지 않을 것이다.
1.2. 각 앞쪽 지지대 (1)의 하단 부분의 구멍과 차량의 상응하는 구멍을 맞춘다. 차량의 나사선형
구멍으로 각 앞쪽 지지대를 통하여 2개의 볼트 (2)를 삽입한다. 볼트는 금색 나사선
잠금으로 색깔 코드 되어 있다. 이 때 손으로만 볼트를 조인다.
1.3. 앞쪽 지지대 (1)위로 커버 (4)를 민다. 커버는 „운전자‟와 „조수석‟으로 표시되어 있어서
운전석 쪽인지 조수석 쪽인지 구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아직 나사 (5)를 설치하지
않는다.
2. 힙 고정장치 (15)를 좌석 지지대 (7)에 고정하는 2개의 볼트를 제거한다.
3. 보여진 것처럼 뒤쪽 캐노피 지지대 (6)를 좌석 지지대 (7)의 상단부분과 맞추고 2개의 볼트
(8)로 고정한다. 하드웨어는 124 in-lb (14 Nm)까지 조인다.
4. 캐노피 (9) 앞쪽을 4개의 스페이서 (10), 볼트 (11), 그리고 캡-너트 (12)로 앞쪽 지지대 (1)에
고정한다. 하드웨어는 10 ft-lb (13.6 Nm)까지 조인다.
5. 캐노피 (9)의 뒤쪽을 4개의 볼트 (13)와 캡-너트 (14)로 뒤쪽 캐노피 지지대 (6)에 고정시킨다.
하드웨어는 10 ft-lb (13.6 Nm)까지 조인다.
6. 1.2 단계에서 설치된 4개의 볼트 (2)를 18 ft-lb (25 Nm)까지 조인다.
7. 각 앞쪽 지지대 커버 (4)는 하나의 나사 (5)로 고정시킨다. 하드웨어는 53 in-lb (6 Nm)까지
조인다.

4-21
섹션 5 – 액셀러레이터와 브레이크
!! 위험

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 참조.

!! 경고

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 참조.

페달 그룹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 참조.

페달 그룹 제거
1. 앞에서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경고문을 참조하라.
2. 나사 (1)를 제거한다. 바닥 매트 고정장치 (3)를 차량으로부터 잡아 당긴다 (페이지 5-1, 그림 5-
1).
3. 페달 그룹 위로 바닥 매트 (2)를 잡아 당겨 페달 그룹 하드웨어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4. 커버 플레이트 (7)를 들어 올린다 (페이지 5-2, 그림 5-2).
5. 나선식 죔쇠 (6)의 각 사이드에 있는 잼 너트 (4와 5)를 푼다.
6. 너트 (4)는 왼쪽 방향 나삿니를 가진다.

그림 5-1 페달 그룹으로의 접근

5-1
그림 5-2 페달 그룹

5-2
7. 페달 그룹 (8)의 나사선형 로드가 나선식 죔쇠에서 제거될 때까지 나선식 죔쇠 (6)를 푼다
(페이지 5-2, 그림 5-2)
8. 페달 그룹의 운전석 쪽에 있는 2개의 나사 (2)와 조수석 쪽에 있는 2개의 나사 (1)를 제거한다.
9. 차량으로부터 페달 그룹을 약간 들어 올려서 페달 그룹의 조수석 쪽에 있는 MCOR의 연결에
접근될 수 있도록 한다.
10. MCOR의 전기 연결기를 분리한다.
11. 2개의 나사 (1)를 제거해서 페달 그룹으로부터 MCOR을 분리한다 (페이지 5-3, 그림 5-3).
5

그림 5-3 MCOR 제거

MCOR
프레시덴트의 전기 차량의 페달 그룹은 페달 그룹 쪽에 설치된 모터 컨트롤러 아웃풋 조절기
(MCOR)를 포함한다. MCOR은 GO페달의 위치를 감지하고 모터 컨트롤러에 상응하는 전압을 보낸다.

파편 쉴드
페달 그룹의 위쪽 앞면에 있는 파편 쉴드는 과다한 파편들이 페달 그룹의 움직이는 부분과 닿는 것을
막아준다. 쉴드 (3과 4)는 나사 (1)와 와셔 (2)로 고정되어 있다 (페이지 5-5, 그림 5-4). 쉴드를 교체할
때, 나사 (1)는 53 in-lb (6 Nm)까지 조인다.

브레이크 복귀 스프링

‼ 주의

 스프링은 장력 하에 있다. 스프링에 작업할 시 주의하라.

브레이크 복귀 스프링 (5)은 브레이크 페달이 똑바른 위치로 돌아올 때까지 필요한 압력을 제공한다
(페이지 5-5, 그림 5-4). 스프링의 한 쪽 끝 (11)은 페달의 후크에 부착되어있고 다른 쪽은 페달 베이스
(12)에 부착되어 있다.
5

5-3
멈춤 쇠 조립체
멈춤 쇠 조립체 (6)는 „주차‟ 페달이 밟힐 때 브레이크를 잠그는 역할을 한다. 멈춤 쇠 조립체는 또한
STOP 또는 GO 페달이 눌리면 브레이크를 풀게 된다 (페이지 5-5, 그림 5-4). 멈춤 쇠 조립체는 한
단위로 작동한다. 교체 단위는 2개의 스냅 링 (7), 핀 (8), 스프링 (9), 및 멈춤 쇠 단위 (6)를 포함한다.
단위를 교체할 때, 스프링 (9)이 핀 (8) 설치 시 제 위치에 적절히 자리잡고 있도록 한다. 핀을 2개의
스냅 링 (7)으로 고정한다.

액셀러레이터 복귀 스프링
액셀러레이터 복귀 스프링 조립체 (10)는 크로스 핀으로 고정된 스프링과 T 모양 막대기로 구성되어
있다 (페이지 5-5, 그림 5-4). 조립체는 단위로서 교체된다. 교체 단위는 눌린 스프링을 유지하는 핀을
포함해서 페달 그룹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조립체를 교체한다:

‼ 주의

 스프링에는 장력이 작용한다. 스프링에 작업 시 주의한다.

1. 차량으로부터 페달 그룹과 파편 쉴드를 제거하고, 액셀러레이터 복귀 스프링 조립체를 제거한다.


2. 액셀러레이터 복귀 스프링 조립체를 설치하기 위하여, 페달 그룹에 있는 조립체의 하부 크로스
핀의 페달 그룹에 액셀러레이터 복귀 스프링 단위의 위치를 정하며 클립 (1)으로 제 자리에
고정한다 (페이지 5-6, 그림 5-5).
3. 페달 그룹 탭에 위쪽 크로스 핀의 위치를 잡는다 (페이지 5-6, 그림 5-6).
4.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앞쪽으로 밀어서 조립체의 스프링을 누른다. 스프링 눌려 있는 동안, T
모양 막대기로부터 핀을 잡아 당긴 다음 페달을 푼다 (페이지 5-6, 그림 5-7).

5-4
그림 5-4 브레이크 페달

5-5
그림 5-5 액셀러레이터 스프링 클립 그림 5-6 액셀러레이터 스프링 상부 크로스 핀

그림 5-7 액셀러레이터 스프링 핀 제거

페달 그룹 설치
1. 페달 그룹에 MCOR을 두고 2개의 나사 (1)로 고정한다 (페이지 5-3, 그림 5-3). 나사는 23 in-lb
(2.6 Nm)까지 조인다.
2. 전선 장치 (12)를 MCOR (11)에 연결한다 (페이지 5-2, 그림 5-2)

주목: 커넥터는 한 방향으로만 서로 맞는다.

3. 차량 페달 그룹의 위치를 잡고 운전석 쪽 2개의 나사 (2)와 조수석 쪽 2개의 나사 (1)로 페달


그룹을 고정한다. 운전석 쪽 나사 (2)는 12 ft-lb (16,3 Nm)까지 조인다. 조수석 쪽 나사 (1)는 5
ft-lb (6.8 Nm)까지 조인다.
4. 나선식 죔쇠 (6)를 제거하고 록타이트 242를 페달 그룹 (8)의 양 나삿니 끝과 브레이크 작동기
로드 (9)에 적용한다. 나선식 죔쇠 (6)를 사용해서 로드를 연결한다. 브레이크 케이블의 끝이 이
절차 동안, 브레이크 평형장치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5. 브레이크 케이블 평형장치 장력을 조절한다. 6-9 페이지의 브레이크 케이블 평형장치 조절 참조.
6. 바닥 커버 플레이트 (7)를 바닥 개구에 둔다 (페이지 5-2, 그림 5-2).
7. 페달 그룹 위로 바닥 매트 (2)를 설치한다. 바닥 매트 쪽의 탭이 턱 (3) 아래에 있도록 한다.
나사 (1)는 53 in-lb (6 Nm)까지 조인다 (페이지 5-1, 그림 5-1).

5-6
섹션 6 – 바퀴 브레이크
!! 위험

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 참조.

!! 경고

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 참조.


 일부 장외 시장에서 거래되는 브레이크 슈는 석면 섬유를 함유하며, 브레이크 메커니즘이 작동될
때 석면 먼지가 발생된다. 브레이크 메커니즘을 제거하거나 청소할 때는 승인된 눈 및 호흡기
장치를 착용하라. 석면을 흡입할 시, 심각한 인적 상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브레이크
메커니즘을 청소할 때 압축 공기나 에어로졸 스프레이를 사용하지 말라. OSHA/29 CFR –
1910.1001을 따르는 음성 압력 동봉/HEPA 진공 시스템이나 저압력 / 습식 청소법을 사용하여
브레이크 메커니즘을 청소하라.

일반 정보

프레시덴트 골프카는 네 개 바퀴 모두에 자가 조절, 기계적 확장 슈 드럼 브레이크가 장착되어 있다.

브레이크 슈 제거

섹션 1 페이지 1-1의 일반 경고사항을 참조하고, 페이지6-1의 경고사항도 참조하라

1. 앞에서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섹션 1, 1-1 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경고문을 참조하라.
2. 앞 바퀴에 굄목을 괴어 놓고, 뒤 바퀴의 바퀴용 너트를 풀되 제거하지는 않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를 들어 올린다. 차량을 지지하도록 축 튜브아래에 잭 스탠드를 놓는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를 참조하라.
3. 바닥 매트와 접근 패널을 제거하여, 페달 그룹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페이지 5-1의 페달
그룹 제거를 참조하라.
4. 나선식 죔쇠 (2)의 양 쪽에 있는 2개의 잼 너트 (1과 3)을 푼다 (페이지 6-2, 그림 6-1). 앞쪽 잼
너트 (1)가 왼쪽 방향 나삿니라는 것을 기록한다. 각 너트를 나선식 죔쇠로부터 약1/2 인치
(12.7 mm) 돌린다.
5. 브레이크 케이블의 머리를 잡아 당기고 있는 이퀄라이저 지지대 (4)의 장력을 풀기 위하여
나선식 죔쇠 (2)를 푼다.
6. 뒤 바퀴를 제거한 다음 브레이크 드럼을 제거한다. 브레이크 드럼이 쉽게 제거되면, 8단계로
넘어 가시오.

!! 주의

 마멸 또는 손상된 브레이크 드럼은 수리가 불가능하다. 필요 시 교체한다.

주목: 브레이크 슈가 심하게 마멸되었을 때나 드럼을 정상적으로 제거할 수 없을 때, 브레이크


클러스터와 구성 부품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7단계로 간다.

6-1
7. 브레이크 드럼과 심하게 마멸된 브레이크 슈를 제거한다.
7.1. 각 브레이크 클러스터 조립체의 뒤에, 2개의 브레이크 슈 고정장치 핀의 머리를 둔다. 각
핀의 머리 주위의 봉합 물질을 제거해야 할 수도 있다.

그림 6-1 느슨해진 나선식 죔쇠 그림 6-2 슈 고정장치 핀

7.2. 1/2인치 X 5/8인치 정(1)을 각 핀의 머리 (2)아래에 집어 넣고 (페이지 6-2, 그림 6-2)에


보여진 것처럼 잘라낸다. 이는 받침판에서 슈를 분리하고, 브레이크 드럼 (3) 안쪽으로부터
축에서 멀어지게 하여, 브레이크 드럼을 자유롭게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해준다. 8단계가
끝났으면 9단계는 건너 뛰시오.

주목: 8단계로 인해 브레이크 슈로의 접근이 용이하게 되었더라도, 브레이크 슈를 제거하기


위하여 꼭 필요하지는 않는다.

8. 액슬을 제거한다.
8.1. 90° 스냅 링 펜치 (CCI P/N 1012560)를 사용하여 액슬 고정 링 (1)을 제거한다 (페이지 6-2,
그림 6-3).
8.2. 액슬 튜브에서 액슬 축 (2)을 잡아 당긴다. (페이지 6-2, 그림 6-3).

그림 6-3 액슬 고정 링 제거

6-2
그림 6-4 자가 조절 바퀴 브레이크 조립체

6-3
9. 바늘코 펜치를 사용해서, 클립 고정장치 핀 (1)을 90°로 돌려서 슈 고정장치 클립 (2)을
제거한다 (페이지 6-4, 그림 6-5).

‼ 주의

 브레이크 슈에 압력이 작용하면 브레이크 슈 고정장치를 제거할 때 갑자기 분해될 수 있다.

10. (페이지 6-4, 그림 6-6)에서처럼, 브레이크 조립체로부터 양 브레이크 슈를 잡고 스프링과 함께


잡아당긴다.

그림 6-5 슈 고정장치 클립 제거 그림 6-6 브레이크 슈 제거

11. 받침판에서 조절 바퀴 (1)와 2개의 와셔 (2와 3)을 제거한다 (페이지 6-4, 그림 6-7).

그림 6-7 조절 바퀴 (1) 제거 그림 6-8 슬라이드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 기름칠

6-4
6
브레이크 조립체 청소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을 참조 및 6-1 페이지의 경고사항도 참조하라

1. 브레이크 받침판과 모든 기계적 성분들을 조심스럽게 청소한다.


2. 받침판에서 고무 부츠를 제거하고 깨끗하고 젖은 천으로 닦아낸다.
3. 건조 몰리브덴 윤활제 (CCI P/N 1012151)로 양 쪽의 받침판의 슬라이드 (1)와 슬라이드 판
(2)에 기름을 칠한다 (페이지 6-4, 그림 6-8). 기름을 칠한 후, 슬라이드를 앞뒤로 움직여 보아,
슬라이드가 부드럽고 쉽게 미끄러지는지를 확인한다. 받침판의 고무 부츠를 설치한다. 다음의
경고사항 참조.

!! 경고

 다음 단계를 실행할 때 기름을 조심스럽게 바른다. 브레이크 슈 패드나 브레이크 드럼의


마찰 표면에 기름이 들어가게 하지 말라. 이 경고를 따르지 않으면 브레이크 성능이
급감하여 재산 손실 또는 심각한 인적 상해를 초래할 수 있다.

4. 작은 솔을 사용하여, 브레이크 받침판 위의 각 6개의 돌기(Boss)에 흰색 리튬 NLGI #2 기름


(다우 코닝 BR2-Plus 또는 동급)으로 얇게 조심스럽게 칠한다. (그림 6-9, 6-5 페이지). 위의
경고사항 참조.
5. 작은 솔을 사용하여 (그림 6-10, 6-5 페이지)에서처럼, 양 끝의 브레이크 슈와 브레이크 슈
마운팅 블록의 슬롯 안에 흰색 리튬 NLGI #2 기름 (다우 코닝 BR2-Plus 또는 동급)으로 얇게
조심스럽게 칠한다. 다음의 경고사항을 참조하라.

그림 6-9 보스위의 기름칠 그림 6-10 브레이크 슈와 슬롯의 기름칠

6. 작은 솔을 사용하여 (그림 6-11, 6-6 페이지)에서처럼 브레이크 조절기 조립체, 조절기 바퀴 슈


슬롯, 조절기 바킈의 축에 흰색 리튬 NLGI #2 기름 (다우 코닝 BR2-Plus 또는 동급)으로 얇게
조심스럽게 칠한다 (그림 6-7, 6-3 페이지). 다음의 경고사항을 참조하라.
7. 조절기 조립체로 조절기 바퀴 (1)와 2개의 와셔 (2와 3)을 설치한다 (페이지 6-4, 그림 6-7).
6

6-5
그림 6-11 브레이크 조절기에 기름의 적용 그림 6-12 조절기 바퀴 설치, 트레일링 슈

브레이크 슈 설치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을 참조 및 6-1 페이지의 경고사항도 참조하라.

1. 슈 슬롯이 수직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조절 바퀴 나사를 돌린 다음, 슈 마운팅 블록과 조절기


조립체의 슬롯에 트레일링 슈를 둔다 (페이지 6-6, 그림 6-12). 다음 주목을 참조하라.

주목: 트레일링 슈에는 슈 플랜지 끝에 17T라고 찍혀 있고 (페이지 6-6, 그림 6-12) 앞쪽 슈는


17L이라고 찍혀 있다. 슈를 설치할 때 양 슈 위의 도장이 브레이크 조립체의 위쪽으로 향해
있어야 한다. 차량의 조수석 쪽의 슈를 설치 할 때, 17T라고 표시된 트레일링 슈 플렌지 쪽이
바깥쪽으로 향해 있어야 하고 보여야 한다. 운전석 위에, 앞쪽 슈의 17L은 바깥쪽으로 향해
있어야 하고 보여야 한다. 앞쪽 슈 (17L이라고 찍힌)는 받침판에 설치될 때 항상 차량 뒤쪽
쪽으로 향해져 있다.

2. 고정장치 핀 (2)을 제 위치로 돌리면서 펜치를 사용하여 클립 (1)을 누르며, 슈 고정장치 클립을
설치한다 (페이지 6-6, 그림 6-13).
3. 이미 설치되어 있는 트레일링 슈에 스프링을 부착한 다음, 올바른 방향으로 트레일링 슈 옆에
앞쪽 슈를 잡고 있고 스프링을 슈에 부착한다 (페이지 6-6, 그림 6-14).

그림 6-13 트레일링 슈 고정장치 클립 설치 그림 6-14 스프링 부착


1. 청동 스프링 2. 은 스프링 3. 스프링 코일
4. 은 스프링이 조절 레버 스프링 (A)의 측면에
코일로 설치된 것을 주목하라.

6-6
6
4. 스프링 부착물을 양쪽 슈에 유지하면서, 앞쪽 슈 (1)의 끝을 설치 슬롯에 둔 다음, 슈를 누른다.
그 위치에서 슈를 붙잡으며, 고정장치 클립을 설치한다 (페이지 6-7, 그림 6-15).
5. 슈를 설치한 후, 함께 위, 아래 그리고 옆으로 움직여 보아 닿음 없이 1/4~3/8인치 (6.3~9.5mm)
정도 쉽게 움직여지는 가를 확인한다 (6-7 페이지, 그림 6-16)

그림 6-15 앞쪽 슈 설치 그림 6-16 슈 위치 점검

6. 조절 암 (1) 아래에 일자형 드라이버를 두고 조절 바퀴 (2)의 암을 들어 올린다. 암 (1)을 위로


잡고 있으면서, 바퀴가 멈출 때까지 위쪽으로 돌린다 (페이지 6-7, 그림 6-17). 드라이버를
제거한다.

그림 6-17 조절 바퀴 설치

7. 트랜스 액슬에 뒤쪽 액슬을 설치한다. 다음 주목을 참조하라.

주목: 좌측과 우측 액슬이 있다. 트랜스 액슬 케이스에 삽입되는 액슬 상부의 키홈이 나있는 두
부분의 길이는 각각 다르다. 좌측, 즉 운전석 쪽 쐐기가 가장 길다.

7.1. 액슬 축의 키홈이 나있는 끝을 액슬 튜브로 삽입한다. 액슬 튜브 중심 안쪽의 씰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주의하라. 축의 베어링으로 축을 밀고, 돌려서 축 쐐기와 차동 기어의
키홈이 난 구멍과 맞춘다. 액슬의 베어링이 액슬 튜브 중심 좌석 내에 단단히 안착될
때까지 축을 계속 민다.
7.2. 90°인 내부 스냅 링 펜치 (0.090 첨단) (CCI P/N 1012560)을 사용하여, 내부 고정 링을
액슬 튜브 중심으로 부착해서 액슬 베어링 조립체와 액슬 튜브 중심의 안쪽 벽의 슬롯으로
잘 안착되도록 한다 (페이지 6-2, 그림 6-3).

6-7
6
7.3. 고정 링에 직경 1/4~3/8인치 (6-10mm)의 로드를 두고 4~5번 위치에서 가볍게 두드려서
적절히 안착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다음 경고를 참조하라.

‼ 경고

 고정 링이 홈에 잘 자리잡았는지를 확인한다. 링이 적절히 설치되지 않으면, 액슬 조립체는


트랜스 액슬에서 분리될 것이고 액슬 조립체와 다른 구성 부품에 손상을 입힐 것이다. 차량
제어를 잃어 버리게 되면, 심각한 인적 상해나 사망을 유발할 수 있다.

‼ 주의

 액슬 축을 설치하기 전에, 노출된 액슬 튜브 끝과 오일 씰 구역의 잔여 오일을 제거한다.

8. 브레이크 드럼을 설치하고 올바로 자리 잡혀 있는지를 확인한다. 다음 주목사항을 참조하라.

주목: 드럼 설치가 어려우면, 브레이크 슈를 마운팅 슬롯에 수직으로 맞출 수도 있다.

9. 드럼이 설치된 후, 축과 드럼이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확인한 다음 바퀴를 설치한다. 페이지


8-1의 바퀴 설치를 참조하라.
10. 나선식 죔쇠 (2)를 제거하고 페달 그룹 (6)과 브레이크 작동기 로드 (5)로부터 양 로드의 나사선
끝에 록타이트 242를 적용한다 (페이지 6-11, 그림 6-19). 나선식 죔쇠를 사용하여 로드를
연결한다. 브레이크 케이블 끝이 이 절차 동안 브레이크 이퀄라이저에서 미끄러지지 않는지
확인한다.
11. 브레이크 케이블 이퀄라이저를 조절한다. 페이지 6-9의 브레이브 케이블 이퀄라이저 조절을
참조하라.

그림 6-18 이퀄라이저 조절

6-8
브레이크 케이블 이퀄라이저 조절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을 참조 및 6-1 페이지의 경고사항도 참조하라

1. 브레이크 시스템의 보수관리가 끝난 후, 바닥에 차량을 내려 놓는다. 브레이크 페달이 눌려져


있지 않거나 휴식 상태에 있을 때, 브레이크 적절한 장력이 작용할 때까지 나선식 죔쇠(1)를
조절한다 (6-8 페이지, 그림 6-18). 이퀄라이저 (2)의 상단 부분에서 플랜지 위쪽 표면까지의
거리가 2인치 ± 1/16인치 (51 mm ± 1.6 mm)일 때 나선식 죔쇠가 적절히 맞춰진다.
2. 잼 너트 (3)가 조여지기 전에 양 나사선형 로드가 나선식 죔쇠 (1)의 구멍에서 보여지는 지를
확인한다.
3. 전후 잼 너트를 각각의 표면에 딱 맞게한 다음, 너트를 1/4 - 3/8인치 (6.4 – 9.5 mm) 후퇴하여
전후 잼 너트 나사선에 록타이트 242를 적용한다.
4. 뒤쪽 잼 너트 먼저 13 ft-lb (17.5 Nm)까지 조인 다음(페이지 6-8, 그림 6-18), 앞쪽 잼 너트를 13
ft-lb (17.5 Nm)까지 조인다. 다음 경고를 참조하라. 최상의 성능을 위하여, 차량을 운전하여
브레이크를 약 20회 눌러서 슈를 길들이고, 클러스터를 중앙에 오게 하여, 브레이크 메커니즘을
조절한다.

‼ 경고

 브레이크 힘이 낮아 잼 너트가 올바른 순서로 조여지지 않으면 일어날 수 있다.

5. 2단계와 4단계가 완성되면, 1단계에 기록된 2인치 사양을 재 점검한다. 수치가 변하지 않았으면,
조절이 종료된 것이며, 수치가 변하였으면, 1단계에서 4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6. 접근 패널과 바닥 매트를 교체한다.
6.1. 바닥 개구에 바닥 커버 판 (7)을 둔다. 섹션 5, 페이지 5-2, 그림 5-2를 참조하라.
6.2. 페달 그룹에 거쳐 바닥 매트 (2)를 설치한다. 바닥 매트 쪽의 탭이 문턱 아래 (3)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나사 (1)를 53 in-lb (6 Nm)까지 조인다. 섹션 5, 페이지 5-1, 그림 5-1을
참조하라

브레이크 클러스터 제거 및 설치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을 참조 및 6-1 페이지의 경고사항도 참조하라.

브레이크 클러스터 제거
1. 앞에서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경고문을 참조하라.
2. 앞 바퀴에 굄목을 두고 뒤 바퀴의 바퀴용 너트를 푼다.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의
뒤쪽을 들어 올린다. 액슬 튜브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두어 차량을 지지하도록 한다. 1-2 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를 참조하시오.
3. 바닥 매트와 접근 패널을 제거하여 페달 그룹에 닿을 수 있도록 한다. 5-1 페이지의 페달 그룹
제거를 참조하라.
4. 나선식 죔쇠 (2)의 양 사이드에 있는 2개의 잼 너트 (1과 3)를 푼다 (6-2 페이지 그림 6-1). 앞
쪽 잼 너트 (1)가 왼쪽 방향 나삿니라는 것을 주목하라. 나선식 죔쇠에서 약 1/2인치 (12.7
mm)정도 각 너트에 나사선을 낸다.
5. 나선식 죔쇠 (2)를 풀어서 브레이크 케이블의 머리를 지지하고 있는 이퀄라이저 지지대 (4)의
장력을 푼다.

6-9
6. 바퀴용 너트와 뒤 바퀴를 제거한 다음 브레이크 드럼을 제거한다.

주목: 심하게 마멸된 브레이크 슈를 가진 차량의 자가-조절 브레이크를 정비할 때, 그리고 드럼이
정상적인 방식으로 제거될 수 없을 때, 6-2 페이지의 브레이크 슈 제거 7단계를 실행한 다음
이 절차를 계속하라.

7단계 이후는 브레이크 슈에 접근을 용이하게 할 지라도, 브레이크 슈 제거를 위한 필수


사항은 아니다.

7. 액슬을 제거한다.
7.1. 90° 스냅 링 펜치 (CCI P/N 1012560)을 사용하여 액슬 고정 링 (1)을 제거한다 (페이지 6-2,
그림 6-3).
7.2. 액슬 튜브에서 액슬 축 (2)을 잡아 당긴다 (페이지 6-2, 그림 6-3).
8. 브레이크 케이블에서 나비넥타이 고정 핀 (13)과 클레비스 핀 (12)을 제거한다 (페이지 6-3,.
그림 6-4).
9. 브레이크 조립체를 트랜스 액슬에 고정시키는 4개의 볼트 (11)와 고정 너트 (10)를 제거한다
(페이지 6-3, 그림 6-4).
10. 트랜스 액슬에서 브레이크 조립체를 제거한다.

브레이크 클러스터 설치
1. 제거의 반대 순서로 설치한다. 브레이크 케이블을 설치할 때 새로운 나비넥타이 고정핀을
사용한다.

‼ 주의

 액슬 축을 설치하기 전에, 노출된 액슬 튜브 끝과 오일 씰 구역의 잔여 오일을 제거한다.

2. 볼트 (11) (CCI P/N 1014153)와 새로운 고정 너트 (10) (CCI P/N 1013924)가 브레이크 조립체를
설치하는데 사용되었는지를 확인한다 (페이지 6-3, 그림 6-4).
3. 볼트를 30 ft-lb (40.6 Nm)까지 조인다.
4. 트랜스 액슬에 뒤쪽 축을 설치한다. 다음 주목을 참조하라.

주목: 좌측과 우측 액슬이 있다. 트랜스 액슬 케이스에 삽입되는 액슬 상부의 키홈이 나있는 두
부분의 길이는 각각 다르다. 좌측, 즉 운전석 쪽 쐐기가 가장 길다

4.1. 액슬 튜브로 액슬 축의 키홈이 난 끝을 삽입한다. 액슬 튜브 중심의 안쪽에 있는 씰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라. 축 베어링으로 축을 밀어 넣고 돌려서 차동 기어의 키홈이 난
구멍과 축 쐐기를 맞춘다. 액슬의 베어링이 액슬 튜브 중심 씨트에 잘 안착될 때까지 축을
계속 밀어 넣는다.
4.2. 90° 내부 스냅 링 펜치 (0.090 팁) (CCI P/N 1012560)을 사용하여, 내부 고정 링을 액슬
튜브 중심으로 부착시켜서 액슬 베어링 조립체와 액슬 튜브 중심의 안쪽 내부의 홈에 잘
안착되도록 한다.
4.3. 고정 링에 1/4~3/8인치 (6 – 10 mm) 직경의 로드를 두고 4~5번 위치에 가볍게 두드려
그것이 적절히 자리를 잡도록 한다. 다음 경고사항을 참조하라.

‼ 경고

 고정 링이 홈에 잘 자리잡았는지를 확인한다. 링이 적절히 설치되지 않으면, 액슬 조립체는


트랜스 액슬에서 분리될 것이고 액슬 조립체와 다른 구성 부품에 손상을 입힐 것이다. 차량
제어를 잃어 버리게 되면, 심각한 인적 상해나 사망을 유발할 수 있다.

6-10
5. 십자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뒤 바퀴의 바퀴용 너트를 55 ft-lb (74.6 Nm)까지 조인다. 페이지 8-
1의 바퀴 설치를 참조하라.
6. 브레이크를 맞춘다. 페이지 6-9의 브레이크 케이블 이퀄라이저 조절을 참조하라.

브레이크 케이블 제거 및 설치
1. 앞에서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경고문을 참조하라.
2. 앞 바퀴에 굄목을 둔다.
3. 바닥 매트와 접근 패널을 제거하여 페달 그룹에 닿을 수 있도록 한다. 5-1 페이지의 페달 그룹
제거를 참조하라.
4. 나선식 죔쇠 (2)의 양 측면에 있는 2개의 잼 너트 (1과 3)을 푼다 (페이지 6-11, 그림 6-19). 앞
쪽 잼 너트 (1)가 왼쪽 방향 나삿니라는 것을 주목하라. 나선식 죔쇠에서 약 1/2인치 (12.7
mm)정도 각 너트에 나사선을 낸다.
5. 볼트 (5)가 나선식 죔쇠에서 빠져 나올 때까지 나선식 죔쇠 (2)를 푼다.

그림 6-19 브레이크 케이블 분해

6. 볼트 (5)와 이퀄라이저 지지대 (4)를 똑바른 상태로 돌린 다음 지지대로 케이블 헤드를 밀어


넣는다.
7. 판 스프링의 앞을 고정하는 볼트 (2)에서 너트 (1)를 제거한다 (페이지 6-12, 그림 6-21). 볼트
(2)는 제거하지 않는다.
8. 볼트로부터 브레이크 케이블의 설치 탭 (3)을 제거한다.
9. 브레이크 케이블 분해 공구 (CCI P/N 10255501)를 사용하여, 케이블 하우징의 끝에 있는 고정
클립 (7)을 압축해서 프레임의 구멍으로 케이블 끝을 충분히 밀어넣도록 한다 (페이지 6-11,
그림 6-19).
10. 각 바퀴의 브레이크 레버에서 나비넥타이 고정 핀 (1)과 클레비스 핀 (2)을 제거하고
레버로부터 클레비스 (3)를 잡아 당긴다 (페이지 6-12, 그림 6-20).

6-11
11. 브레이크 케이블 분해 공구 (CCI P/N 10255501)를 사용하여, 케이블 하우징의 끝에 있는 고정
클립을 압축해서 지지대로 케이블 끝을 충분히 밀어넣도록 하고 차량으로부터 브레이크
케이블을 제거한다.

그림 6-20 뒤쪽 브레이크 케이블 분리 그림 6-21 브레이크 케이블 설치 탭

브레이크 케이블 설치

주목: 운전석 쪽은 조수석 쪽 브레이크 케이블과 호환성이 없다. 운전석 쪽 케이블은 조수석 쪽
케이블보다 짧다. 올바른 케이블이 올바른 쪽에 사용되었는지 확인하라. 클레비스 끝이
이퀄라이저 지지대쪽이 아니라 바퀴쪽으로 향해 있도록 케이블의 방향을 확인한다.

1. 프레임 구멍으로 새로운 브레이크 케이블의 끝을 삽입한다 (페이지 6-11, 그림 6-19). 하우징
끝에 있는 클립이 구멍에 하우징을 고정하도록 케이블 하우징을 민다.
2. 똑바른 상태로 볼트 (5)와 이퀄라이저 지지대 (4)를 잡고 지지대 위쪽 구멍으로 케이블 헤드를
밀어 넣는다. 이퀄라이저를 수평 상태로 회전시켜서 이퀄라이저의 케이블 머리를 고정하도록
한다.
3. 뒤쪽 케이블 하우징을 충격 설치 지지 대 (4)로 삽입한다 (페이지 6-12, 그림 6-20). 케이블
하우징 끝을 지지대로 밀어서 하우징 끝에 있는 클립이 적소에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가를 확인
한다.
4. 뒤 바퀴 브레이크에서, 새로운 클레비스 핀 (2)과 나비넥타이 고정 핀 (1)을 사용해서 케이블을
브레이크 작동기 암에 연결시킨다 (페이지 6-12, 그림 6-20).
5. 케이블 하우징의 탭 (3)을 앞쪽 판 스프링 설치 볼트 (2)에 둔다 (페이지 6-12, 그림 6-21). 너트
(1)를 설치하고 18.4 ft-lb (25 Nm)까지 조인다.
6. 브레이크를 맞춘다. 페이지 6-9의 브레이크 케이블 이퀄라이저 조절을 참조하라.

6-12
섹션 7 – 스티어링 및 앞쪽 서스펜션
‼ 위험

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을 참조하라

‼ 경고

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을 참조하라

일반 정보

핸들 (Steering) 은 스티어링 칼럼에 의해서 운전대에 연결되는 랙과 피니언 스티어링 조립체를 통해서
조절된다. 랙과 피니언 기어 조립체는 수동으로 조절할 필요가 없다. 스프링으로 된 자가 조절
메커니즘이 조립체에 내장되어 있다.

핸들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핸들 제거
1. 앞에서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섹션 1, 1-1 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경고문을 참조하라.
2. 점수카드 홀더가 나사로 핸들에 고정되어 있으면, 2개의 설치 나사 (8)를 제거한다 (7-3 페이지,
그림 7-3).
3. 점수카드 홀더 판 (1)을 제거한다.
4. 핸들 (7)과 칼럼 축 (9)에 짝 맞춤 표시를 해서 핸들이 제거될 때, 칼럼 축의 정확히 같은
위치에 다시 놓일 수 있도록 한다.
5. 핸들 볼트 (6)를 풀고 약1/4인치 (6 mm)정도 뒤에 둔다. 볼트는 제거하지 않는다.
6. 핸들을 제거하기 힘들면, 핸들 풀러 (CCI P/N 102061201)를 사용하여 핸들을 제거한다.
6.1. 핸들의 상단 개구에 풀러 모루 (4)를 둔다 (7-2 페이지, 그림 7-1).
6.2. 보여진 것처럼, 바닥 판 (“B”로 표시)에 있는 2개의 슬롯에 모루발을 삽입한다 (7-2 페이지,
그림 7-1).
6.3. 바닥 판이 스티어링 칼럼에 부착되어 있는 핸들의 하부에 닿을 때까지 앤빌 나사 (8)를
시계방향으로 돌린다 (그림 7-2, 7-2 페이지).
6.4. 핸들이 핸들 축에서 자유롭게 돌아갈 때까지, 1/2인치 드라이브 공기 충격 렌치를 사용하여
앤빌 나사 (8)를 조인다.
6.5. 핸들 풀러를 제거한다.
6.6. 스티어링 칼럼 (9)으로부터 핸들 볼트 (6)와 핸들 (7)을 제거한다 (그림 7-3, 7-3 페이지).

7-1
그림 7-1 핸들 풀러 그림 7-2 핸들 풀러

핸들 설치
주목: 부식을 최소화하고 추후 핸들 제거의 용이성을 위하여, 핸들을 설치하기 전에 스티어링 축
제동 쐐기와 테이퍼에 소량의 오일이나 고착 방지제를 적용한다.

1. 스티어링 칼럼 축 (9)의 핸들 (7)을 설치한다. 상기 4단계에서 핸들과 스티어링 칼럼에 표시된


일치 마크와 잘 맞추어졌는지를 확인한다 (그림 7-3, 7-3 페이지).
2. 핸들 볼트 (6)을 설치하고 13ft-lb (17.6Nm)까지 조인다.
3. 점수표 (1) 판을 설치한다.
4. 필요하면, 판 마운팅 나사 (8)를 설치한다. 나사를 16 in-lb (1.8Nm)까지 조인다.

스티어링 칼럼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스티어링 칼럼 제거
1. 앞에서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경고문을 참조하라.
2. 앞서 설명된 대로 핸들을 제거한다.
3. 대시 삽입, 기기 패널, 대시 조립체, 앞쪽 범퍼를 제거한다. 섹션 – 몸체와 내장을 참조하라.
4. 스티어링 기어의 징에 스티어링 컬럼 유니버설 조인트를 고정하는 볼트 (11)를 푼다 (7-3
페이지, 그림 7-3).
5. 프레임에 스티어링 칼럼을 고정하는 4개의 볼트 (10)를 제거한다.
6. 차량에서 스티어링 칼럼을 제거한다.

7-2
그림 7-3 스티어링 칼럼

7-3
스티어링 칼럼 설치
1. 조립의 용이성 및 부식 방지를 위하여, 스티어링 기어로부터 확장된 키 홈이 난 징에 약간의
고착 방지제나 윤활제를 사용한다.
2. 앞쪽 몸체 하부로 유니버설 조인트와 스티어링 컬럼의 끝을 삽입한다. 스티어링 기어의 키 홈이
난 징 위로 유니버설 조인트의 위치를 정한다. 스티어링 칼럼이 3단계에서 프레임에 설치될
때까지 볼트 (11)를 풀어진 상태로 둔다 (7-3 페이지, 그림 7-3).
3. 차량 프레임의 구멍과 스티어링 컬럼 설치 지지대의 구멍을 맞춘다. 4개의 볼트 (10)로 컬럼을
프레임에 고정시킨다. 볼트를 18.4 ft-lb (25 Nm)까지 조인다.
4. 유니버설 조인트 볼트 (11)를 18 ft-lb (24.4 Nm)까지 조인다. 볼트 (12) 조임이 18.4 ft-lb
(25Nm)임을 확인한다.
5. 앞쪽 범퍼, 대시 조립체, 대시 삽입부, 기기 패널을 설치한다. 섹션 4 – 몸체와 내장을 참조하라.

랙 및 피니언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그림 7-4 랙 및 피니언 제거

7-4
랙 및 피니언 제거
1. 지시된 대로 앞쪽 범퍼를 제거한다. 섹션 4 – 몸체 및 내장을 참조하라.
2. 고정 핀 (1)과 타이 로드 종단 고정 너트 (2)를 제거한다 (7-4 페이지, 그림 7-8).
3. 쐐기 조립체에서 타이 로드 종단 (3)을 제거한다.
4. 스티어링 랙과 피니언 조립체 설치 지지대에서 3개의 볼트 (5)를 제거한다.
5. 유니버설 조인트에서 볼트 (6)를 제거한 다음, 차량으로부터 랙과 피니언 조립체 및 유니버설
조인트를 제거한다.

랙 및 피니언 분해
1. 2개의 타이 로드 종단 (12)을 제거하고 마멸이 심한지 점검한다 (7-6 페이지, 그림 7-5).
2. 벨로우즈 (9)에서 죔쇠 (10과 21)를 제거한다 (7-6 페이지, 그림 7-5).

주목: 먼지 씰 벨로우즈가 금속 죔쇠로 고정되었다면, 죔쇠를 제거한다. 랙과 피니언을 재 조립할


때, 죔쇠를 다시 사용하지 말라. 플라스틱 전선 타이를 사용해서 먼지 씰 벨로우즈를
고정시킨다.

3. 2개의 6각 너트 (11)를 제거하고 볼 조인트 (8)로부터 먼지 씰 벨로우즈 (9)를 밀어 넣는다.


4. 랙 나사 너트 (14), 랙 가이드 나사 (13), 랙 가이드 압력 스프링 (15)와 랙 가이드 (16)를
제거한다.
5. 볼트를 제거한 다음 유니버설 조인트를 밀어 넣어서 피니언 (5)으로부터 유니버설 조인트
조립체를 제거한다.
6. 먼지 씰을 제거한다 (7-7 페이지, 그림 7-6).
7. 큰 스냅 링 (4)을 제거한다 (7-7 페이지, 그림 7-7).
8. 하우징 (17)에서 피니언 (5)을 제거한다 (7-7 페이지, 그림 7-8). 제거가 어려우면, 피니언 위에
유니버설 조인트를 설치하고 유니버설 조인트 아래에 포크나 큰 개방 종단 렌치를 둔다. (7-7
페이지, 그림 7-8). 하우징으로부터 피니언을 천천히 들어 올린다.
9. 피니언 (5)에서 유니버설 조인트를 제거한다.
10. 볼 베어링 (4) (7-6 페이지, 그림 7-5)이 손상되었다면, C 타입 스톱 링 (16) (7-7 페이지, 그림 7-
7)을 제거하고 베어링을 누른다 (7-7 페이지, 그림 7-9).
11. 부싱 (7)과 바늘형 베어링 (6)에 심한 마멸이 있는지를 점검한다. 마멸이 심하면, 전체 조립체를
교체한다 (7-6 페이지, 그림 7-5).
12. 볼 조인트 (8)에 마멸이 없는지를 점검한다. 볼 조인트 (8)의 하나 또는 양쪽이 마멸되었다면,
랙으로부터 볼 조인트를 제거하고 교체한다.
13. 하우징 (17)으로부터 링 (18)을 제거한다.

7-5
그림 7 – 5 스티어링 기어

7-6
그림 7-6 먼지 씰 제거 그림 7-7 피니언 스냅 링

그림 7-8 하우징으로부터 피니언 제거 그림 7-9 피니언에서 베어링 제거

1. 압축 램 2. 피니언 기어 3. 베어링

7-7
랙 및 피니언 조립체
1. 충분한 양의 EP기름을 랙 (18)의 이에 적용한 다음, 랙을 부싱 (7)과 하우징 (17)에 밀어
넣는다 (7-6 페이지, 그림 7-5).

주의

 2단계에서, 베어링의 바깥 마찰 면쪽을 누르지 말라.

2. 피니언 베어링 (4)이 제거되었다면, 설치 전, 새로운 베어링에 기름칠을 한다. 안쪽 마찰 면위로


모든 압력을 가하면서 피니언 축위로 새로운 베어링을 누른다. 그런 다음, C 타입 스톱 링 (3)을
설치한다. 이전 주의사항을 참조하라.
3. 하우징 (17)에 피니언 (5)과 베어링 (4)을 설치한다. 랙 기어 이가 피니언의 기어 이와 맞물려
있는지를 확인한다. 고무 망치로 피니언 베어링 조립체위를 가볍게 두드리면서 랙을 조금
돌려야 할 수도 있다. 다음 주의사항을 참조하라.

주의

하우징으로 피니언-베어링 조립체를 강제로 집어넣지 말라. 기어 이 또는 작은 베어링이 손상될 수


있다.

4. 큰 스냅 링 (2)을 설치한다.
5. 소켓 (1)을 사용해서 균등하게 압력을 가하고 새로운 먼지 씰 (2)에 누른다 (7-9 페이지, 그림 7-
10).
6. 적은 양의 기름을 랙 (18)과 접촉하는 곳인 랙 가이드 (16)에 적용한다 (7-6 페이지, 그림 7-5).
7. 랙이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랙과 바이스 턱사이에 나무 블록을 이용하여 바이스에 랙을
고정함으로써 랙 (18)위에 볼 조인트 (8)을 설치한다. 볼 조인트를 60 ft-lb (81 Nm)까지 조인다.
8. 플랜지를 랙위의 홈으로 가볍게 두드린다 (7-9 페이지, 그림 7-11).
9. 몇 방울의 록타이트 222를 나사 (14)의 구멍에 떨어 뜨린다 (7-6 페이지, 그림 7-5).
10. 랙 사이드 (16), 압력 스프링 (15), 나사 (13)을 설치한다. 나사는 밑에 밖으로 나온 후 1/4바퀴
뒤로 돌려야 한다 (7-6 페이지, 그림 7-5).
11. 유니버설 조인트 (2)의 스티어링 칼럼 종단으로 3/8인치, 1/4드라이브, 깊이 소켓을 집어 넣은
다음 볼트 (1)를 15 ft-lb (20.3 Nm)까지 조인다 (7-9 페이지, 그림 7-13).
12. 3/8인치 깊이 소켓에 연결되는 토크 렌치를 사용해서 랙과 피니언의 저항을 측정한다. 순환
저항은 7~15 in-lb (0.8~1.7 Nm)으로 측정되어야 한다.
13. 측정된 저항이 7~15 in-lb (0.8~1.7 Nm)이 아니면, 올바른 수치가 얻어질 때까지 나사 (13)을
조절한다. 너트 (14)를 28 ft-lb (38 Nm)까지 조인다 (7-9 페이지, 그림 7-12).

주목: 너트 (14)를 조일 때, 나사 (13)가 더 이상 조절되지 않음을 확인한다 (7-9 페이지, 그림 7-12).

14. 2개의 먼지 씰 벨로우즈 (9)를 설치한다 (7-6 페이지, 그림 7-5).


15. 새로운 벨로우즈 죔쇠 (전선 타이) (10과 21)를 설치한다.
16. 랙 (18)의 각 끝에 타이 로드 종단 (12)을 설치한다. 타이 로드 종단 잼 너트 (11)를 26 ft-lb (35
Nm)까지 조인다 (7-6 페이지, 그림 7-5).

7-8
랙 및 피니언 설치
1. 부식 방지를 위하여, 스티어링 칼럼 유니버설 조인트의 키 홈이 난 부분에 약간의 고착 방지
윤활제를 사용한다.
2. 위쪽 유니버설 조인트에 있는 볼트 구멍과 축 (13)의 납작한 부분을 맞춘 다음 유니버설
조인트로 축을 밀어 넣는다. 볼트를 설치하고 18.4 ft-lb (25 Nm)까지 조인다 7-3 페이지, 그림 7-
3).
3. 설치 구멍에 조립체의 위치를 정하고 동시에 스티어링 컬럼의 사각 끝 위로 유니버설 조인트를
밀어 넣는다.
4. 3개의 나사를 설치하여 차량에 조립체를 고정시킨다. 나사를 22 ft-lb (30 Nm)까지 조인다.
5. 왼쪽 그리고 오른쪽 방향의 나사선 탭 (4)으로 타이 로드 끝 (3)을 설치한 다음 고정 너트 (2)를
설치한다 (7-4 페이지, 그림 7-4). 다음 경고사항을 참조하라.

‼ 경고

 토인이 조절되고 볼 조인트가 고정될 때까지 차량을 작동하지 말라.

6. 토인을 조절한다. 7-11 페이지 토인 조절을 참조하라.

그림 7-10 먼지 씰의 압축 그림 7-11 볼 조인트 설치

그림 7-12 랙 및 피니언 조절 그림 7-13 랙 및 피니언 저항

7-9
앞쪽 서스펜션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윤활
2개의 기름 부속품이 제공된다 (각 굴대 하우징에 하나씩). 적절한 윤활제로 권장 기간 마다 이
부속품들에 기름칠한다. 10-6 페이지, 정기 윤활 스케줄 참조.

주의

 적절한 윤활을 위하여, 윤활제를 적용할 차량의 앞쪽을 올린다. 1-1 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바퀴 얼라인먼트
바퀴 얼라인먼트는 각 앞쪽 바퀴의 캠버 각도를 균등화하고 앞 바퀴의 토인을 맞추는 것이다.
주목: 앞쪽 서스펜션을 조절하기 전에, 마멸이나 손상된 구조물이 있는지를 검사하고 필요하면 수리
또는 교체한다.

캠버 조절
1. 골조용 직각자로 각 앞 바퀴를 점검한다. 바닥 (또는 지면)에서, 각 타이어와 골조용 직각자
사이에 같은 양의 공간이 있어야 한다 (7-11 페이지, 그림 7-14).
2. 판 스프링 (13)을 바닥 스프링 판 (16)에 고정시키는 4개의 볼트 (17)를 풀되 제거하지는
않는다 (7-16 페이지, 그림 7-19). 또한 7-11 페이지, 그림 7-15도 참조.
3. 스프링 중심에 있는 편심 조정부 (7) (7-11 페이지, 그림 7-15)의 육각 너트 (8)를 풀되
제거하지는 않는다. 7-16 페이지, 그림 7-19도 참조.
4. 7mm 깊이의 웰 소켓을 사용해서 편심부를 돌린다 (7-11 페이지, 그림 7-15).
5. 캠버 조절 후, 십자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4개의 스프링 고정 볼트 (17) (7-16 페이지, 그림 7-
19)를 37 ft-lb (50Nm)까지 조인다. 그런 다음 타이어가 완전히 한 바퀴 돌도록 앞 쪽으로 차량을
굴리면서 캠버를 재 점검한다. 7-11 페이지, 그림 7-14도 참조.
6. 편심 조정부 (7)의 육각 너트 (8)를 10ft-lb (13.5 Nm)까지 조인다 (7-11 페이지, 그림 7-15). 7-16
페이지, 그림 7-19도 참조.

7-10
그림 7-14 캠버 점검 그림 7-15 캠버 조절
적절한 챔버 조절
타이어와 프레이밍 스퀘어 사이 간격이 동일
부적절한 챔버 조절
타이어와 프레이밍 스퀘어 사이 간격이 다름

토인 조절
1. 지표면 위에서, 차량을 앞쪽으로 굴린 다음 멈춘다. 앞 바퀴가 똑바로 향하는지를 확인한다. 이
절차 시행 시, 핸들을 다시 돌리지 않는다.
2. 각 앞쪽 타이어 위, 차량 뒤쪽 쪽으로 향하는 타이어 바닥 면 중앙을 (가능한 가깝게) 표시한다.
이 표시는 차량 프레임 하부 표면과 평행해야 한다.
3. 타이어의 뒤쪽 표면 표시 간의 거리를 잰 다음, 편평한 바닥에서 그 표시가 타이어의 앞쪽
표면에 나타날 때까지 차량을 앞쪽으로 한 바퀴 반정도 굴린다 (7-11 페이지, 그림 7-16).

그림 7-16 토인 점검 그림 7-17 토인 조절

4. 타이어의 전진면 표면 표시 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7-11 페이지, 그림 7-16).

주목: 앞 수치는 뒤 수치보다 작아야 한다


7

7-11
5. 타이어 뒤쪽의 수치에서 앞쪽 수치를 뺀다. 그 차이가 토인이다. 적절한 토인은 3/8 인치 ± 1/8
인치 (9.5 mm ± 3.2mm)이다.
6. 조절이 필요하면,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6.1. 각 타이 로드 끝 (1)에 있는 잼 너트를 푼다 (7-11 페이지, 그림 7-17).
6.2. 타이로드를 굴대에 고정시키는 고정 핀 (2)과 너트 (3)를 제거한다. 굴대에서 수 나선을
들어 올린다.
6.3. 필요에 따라 안팎으로 타이 로드 끝을 돌린다.
6.4. 수 나선을 굴대 탭에 부착시키고 토인을 재점검한다.
6.5. 필요하면 6.1에서 6.4단계를 반복한다.
6.6. 타이 로드 끝을 너트 (3)로 고정하고 70 ft-lb (95Nm)까지 조인다. 고정 핀 (2)을 설치한다.
6.7. 잼 너트를 조인다. 26 ft-lb (35 Nm)까지 조인다.
6.8. 토인 조절 및 바퀴 조절 후, 핸들은 중앙 위치에 있어야 한다. 왼쪽과 오른쪽의 움직임
거리가 동일해야 한다.

앞쪽 서스펜션 구성 요소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타이로드 종단 제거
1. 잼 너트 (13)를 풀어서 타이로드 종단 (12)의 종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7-15 페이지, 그림 7-
18).
2. 고정 핀 (15)과 고정 너트 (14)를 제거한다.
3. 굴대 탭의 구멍으로부터 타이 로드의 수 나선을 들어 올린다.
4. 스티어링 기어로부터 타이 로드 종단을 제거한다.
5. 부식 방지를 위하여, 타이 로드 종단이 설치된 나선에 약간의 고착 방지 윤활제를 사용한다.

타이로드 설치
1. 스티어링 기어 위에 타이 로드 종단을 1/2인치 (12.5 mm)의 깊이로 돌려 넣는다 (7-15 페이지,
그림 7-18).

‼ 경고


타이로드 종단은 최소한 5/16 인치 (8 mm)의 깊이로 들어가 있어야 한다. 깊이가
불충분하면 타이로드 종단이 조절 또는 작동 동안 로드로부터 분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차량 조절의 손실과 심각한 인적 상해를 초래할 수 있다.
2. 타이로드 종단 (12)을 굴대 탭에 설치한다. 고정 너트 (14)와 고정 핀 (15)을 설치한다 (7-15
페이지, 그림 7-18).
3. 바퀴 토인을 조절한다. 7-11 페이지 토인 조절을 참조하라.

엽편 스프링 제거
1. 양 앞쪽 바퀴의 바퀴용 너트를 풀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앞쪽을 들어 올린다.
앞쪽 서스펜션의 바로 뒤 차량 프레임의 알루미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세우고 잭
스탠드위로 차량을 낮춘다.

7-12
2. 양 앞쪽 바퀴를 제거한다.
3. 각 킹 핀 (7)의 아래로부터 볼트 (8)를 제거한다 (7-16 페이지, 그림 7-19).
4. 4개의 볼트 (17)와 하부 스프링 판 (16)을 제거한다.
5. 엽편 스프링 (13)을 제거한다.
6. 우레탄 부싱 (15)과 스틸 스리브 (14)의 상태를 점검한다. 마멸 또는 손상된 것은 교체한다.

엽편 스프링 설치
1. 엽편 스프링 눈에 우레탄 부싱 (27)과 스틸 부싱 (28)을 설치한다 (그림 7-16, 7-19 페이지).
2. 엽편 스프링 (13), 하부 스프링 판 (16), 4개의 볼트 (17)를 설치한다. 십자 (crisscross) 방식으로
볼트를 37 ft-lb (50 N·m)까지 조인다.
3. 볼트 (8)로 킹 핀 (7)의 스프링을 설치한다. 30 ft-lb (41 Nm)까지 조인다.
4. 바퀴를 설치하고 바퀴용 너트를 손으로 조인다.
5. 차량을 낮추고 바퀴용 너트 (십자 방식을 사용한)를 55 ft-lb (74.6 Nm)까지 조여서 마무리한다.
6. 캠버와 토인을 조절한다. 7-10 페이지의 바퀴 얼라인먼트를 참조하라.

킹 핀 및 스티어링 고정 쐐기 제거
1. 앞쪽 바퀴 통을 제거한다. 7-17 페이지의 앞쪽 바퀴 통 제거 참조.
2. 고정 핀 (15)과 너트 (14)를 제거한 다음, 고정 쐐기의 탭으로부터 타이 로드 종단 (12)를
제거한다 (7-15 페이지, 그림 7-18).
3. 킹 핀 (7)의 상단으로부터 너트 (1)와 코니컬 와셔 (2)를 제거한다 (7-16 페이지, 그림 7-19).
4. 킹 핀으로부터 위쪽 클레비스 (16)를 올린다.
5. 킹 핀 (26)에 고정쐐기를 밀어 넣는다.
6. 파도 와셔 (6)를 제거하여 점검한다. 와셔가 고장 났거나 파도 하부에서 위 부분까지의 높이가
0.040인치 (1 mm) 이하이면, 와셔를 교체해야 한다.
7. 킹 핀 (7)의 하부에서 볼트 (8)를 제거하고 킹 핀을 제거한다.
8. 킹 핀과 고정쐐기을 점검한다. 둘 중 하나가 마멸 또는 손상되었으면, 교체해야 한다.
9. 부싱 (4)을 점검한다. 부싱이 마멸 또는 손상되었으면, 버리고 새 것을 넣는다.

킹 핀 및 스티어링 고정 쐐기 설치
1. 모든 부속품을 점검하고, 필요 시 교체한다.
2. 엽편 스프링 눈에 킹 핀 (7)을 설치한다. 볼트 (8)를 삽입한다 (7-16 페이지, 그림 7-19). 볼트를
30 ft-lb (41 Nm)까지 조인다.
3. 킹 핀 위에 파도 와셔 (6)를 설치한다.
4. 킹 핀의 스티어링 고정 쐐기를 설치한다. 킹 핀 나선 위로 위쪽 클레비스를 두고 클로니컬 와셔
(2)와 너트 (1)를 설치한다. 너트는 50 ft-lb (68 Nm)까지 조인다.
5. 타이 로드 종단 (12)을 고정 쐐기 탭에 부착한 다음, 너트를 설치하고 70 ft-lb (95 Nm)까지
조인다. 고정 핀 (15)을 설치한다 (7-15 페이지, 그림 7-18).
6. 앞쪽 바퀴통과 바퀴를 설치한다. 7-17 페이지 바퀴통 설치 참조.

7-13
조절 암 제거
1. 양 앞쪽 바퀴의 바퀴용 너트를 풀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앞쪽을 들어 올린다.
차량 프레임의 앞쪽 알루미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두고 잭 스탠드로 차량을 낮춘다.
2. 바퀴를 제거한다.
3. 볼트 (17)를 제거하고 랙과 피니언을 움직여서 볼트 (19)를 위한 틈을 준다 (7-15 페이지, 그림
7-18).
4. 볼트 (11과 19)를 제거한다.
5. 조절 암 (6)을 제거한다.
6. 조절 암의 부싱 (7)과 슬리브 (8과 9)를 점검하고 필요하면 교체한다.

조절 암 설치
1. 제거의 반대 순서로 조절 암을 설치한다. 조절 암 볼트 (11과 19)를 30 ft-lb (41 Nm)까지 조인다
(7-15 페이지, 그림 7-18). 3개의 랙과 피니언 설치 볼트 (17)를 22 ft-lb (30 Nm)까지 조인다.
2. 바퀴를 설치하고 7-10 페이지에 설명된 대로 바퀴 얼라인먼트를 조절한다.

충격 흡수체 제거
1. 축이 충격 흡수체에 들어가는 지점에 용액 누출이 있는지를 점검한다. 누출된 충격 흡수체는
교체해야 한다.
2. 위쪽 볼트 (18)를 제거한다 (7-15 페이지, 그림 7-18).
3. 아래쪽 볼트 (10)를 제거한다.
4. 충격 흡수체를 제거한다.

충격 흡수체 설치

주목: 충격 흡수체 설치 시, 앞쪽 충격 흡수체가 같은 부품 번호를 갖는지를 확인하라.

1. 제거 절차의 반대 순서로 충격 흡수체를 설치한다.


2. 볼트를 16 ft-lb (21 Nm)까지 조인다.

7-14
그림 7-18 위쪽 앞의 서스펜션 조립체

7-15
그림 7-19 아래쪽 앞의 서스펜선 조립체

7-16
앞쪽 바퀴 베어링과 허브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앞쪽 바퀴 프리 플레이 점검
1. 차량 앞쪽을 올린다.
2. 손으로 바퀴와 허브 조립체를 앞뒤로 흔들어 본다. 바퀴와 고정쐐기의 허브의 움직임은 허브
베어링이 마멸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허브 조립체는 교체되어야 한다. 7-17 페이지
앞쪽 허브 제거 참조.

앞쪽 허브 제거
1. 앞쪽 바퀴를 제거한다. 8-1 페이지 바퀴 제거 참조.
2. 머지 캡 (12)과 고정 너트 (11)를 제거한다 (7-16 페이지, 그림 7-19).
3. 고정 쐐기 축 (3)으로 허브 조립체 (9)를 밀어 넣는다.
4. 고정 쐐기 축에 약간 모래를 뿌려 가벼운 녹을 깨끗하게 한다.
5. 표면 손상이 있는지 고정 쐐기 축의 표면을 점검한다. 청소되고 부드럽게 되어 있어야 한다.
녹이나 부식으로 인하여 심하게 패인 곳이 있다면, 고정쐐기 조립체를 교체한다. 7-13 페이지 킹
핀 및 스티어링 고정쐐기 제거 참조.

허브 설치
1. 청소하고 약간의 고착 방지 윤활제를 고정쐐기 축 (3)에 적용한다.
2. 고정쐐기 축에 허브 조립체 (9)를 밀어 넣는다 (7-17 페이지, 그림 7-20).
3. 새로운 플랜지 고정 너트 (11)를 설치하고 50 ft-lb (68 Nm)까지 조인다.
4. 허브를 돌린다. 허브가 회전 동안 닿음, 겉돌기, 또는 거친 부분의 표시 없이 부드럽게 돌아가야
한다.
5. 반대 바퀴도 같은 절차를 반복한다.
6. 바퀴를 설치하고 바퀴용 너트를 손으로 조인다.
7. 차량을 낮추고 십자형 형태로 바퀴용 너트를 55 ft-lb (74.6 Nm)까지 조여서 마무리 한다.

그림 7-20 앞쪽 바퀴 허브

7-17
섹션 8 – 바퀴 및 타이어
‼ 위험

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 경고

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일반 정보

최고의 타이어 수명과 최상의 차량 취급 품질은 바퀴와 타이어를 잘 관리하는 것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절히 유지하여야 한다. „섹션 2 – 차량 규격‟을 참조하라
• 바퀴용 너트를 충분히 조인다
• 앞쪽 바퀴들은 적절히 배열하고 조절한다

‼ 경고

 타이어는 차량의 핸들링에 영향을 끼친다. 타이어 교체 시, 정품 또는 동급 타이어만을


사용하라.

바퀴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바퀴 제거
1. 제거할 바퀴 위의 바퀴용 너트를 살짝 푼다
2. 제거할 바퀴가 있는 쪽의 차량 부분을 들어 올린다. 바퀴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도록 하라.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에 나타나 있는 “차량의 한쪽 끝을 드는 방법” 경고를 참조하라
3. 바퀴용 너트를 빼고 바퀴를 제거한다

바퀴 설치
1. 바퀴를 설치하고, 완전히 편안해 질 때까지 열십자 패턴으로 바퀴용 너트를 조인다.
2. 차량을 낮춘 후, 열십자 패턴으로 55 ft-lb (74.6 N·m)까지 바퀴용 너트를 조인다.

8-1
타이어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타이어 제거
주목: 타이어는 외륜의 밸브 꼭지 부위에서부터 제거되거나 설치되어야 한다.

1. 상기에 지시된 것처럼 차량으로부터 타이어 및 바퀴 조립체를 제거한다.


2. 밸브 켑 및 밸브 코어를 제거하고, 타이어의 바람을 뺀다
3. 외륜으로부터 타이어를 제거할 때에는 가능하면 타이어 기계를 사용한다
3.1. 만약 타이어 기계를 사용할 수 없다면, 타이어 측면벽에 압력을 가하면서 타이어 비드를
외륜 플랜지 바깥 및 외륜 안쪽으로 밀면서 양쪽 타이어 비드를 푼다. (8-2 페이지의 그림
8-1 상세도 A)
3.2. 바퀴의 밸브 꼭지 쪽이 위로 향한 상태에서, 타이어 도구를 사용하여 외륜의 모서리 위로
상부 비드를 조심스럽게 시작한다. . (8-2 페이지의 그림 8-1 상세도 B)

주의

 타이어를 손상하지 않으려면, 외륜의 모서리 위로 상부 비드를 시작할 때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는다.

3.3. 상부 비드가 외륜에서 빠져 나올 때, 비드를 외륜의 하부로부터 외륜의 상부쪽으로 잘


끌어 당긴다. 타이어 도구를 그림 (8-2 페이지의 그림 8-1 상세도 C) 에 나타난 것처럼
하부 비드 밑으로 삽입한 후 외륜 플랜지 위로 하부 비드를 조심스럽게 들어올린다
3.4. 일단 하부 비드가 외륜 플랜지 위에서 시작되면 손으로 타이어를 제거할 수 있다.
8

그림 8-1. 타이어 제거
1. 상부 타이어 비드, 2. 하부 타이어 비드 3. 외륜 플랜지, 4. 외륜에 잘 자리잡은 타이어 비드, 5. 밸브
꼭지 쪽을 위로 향하게, 6. 타이어 도구

타이어 수리
1. 공기 누수의 위치 및 원인을 파악한다
1.1. 바퀴를 제거한다. „8-1 페이지 바퀴 제거‟를 참조하라. .20 psi (1.38 기압) 이상으로 바람을
주입하지 말라
1.2. 물에 타이어를 잠근 다음, 새는 공기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 방울이 나오는 위치를
표시한다.
1.3. 공기 누수의 원인을 파악한다. 다음 „주목‟를 참조하라.

8-2
주목: 공기 누수는 케이싱에 구멍이 나거나, 밸브 안쪽에 결함이 있거나 밸브 꼭지의 위치가
부적절하거나 타이어 비드의 위치가 그릇 되어서 발생한다.
케이싱의 구멍은 클럽카 대리점에서 구할 수 있는 표준 자동차 튜브 타이어 수리 키트를
사용해 뚫을 수 있다.

2. 공기 누수의 원인이 밝혀지면, 외륜에서 타이어를 제거하고 요구되는 데로 수리를 실시한다. „8-
2 페이지의 타이어 제거‟를 참조하라

타이어 설치

‼ 경고

 타이어를 올리거나 공기를 주입할 시, 손, 손가락 등을 타이어 비드와 외륜 사이 공간에


두지 않는다

1. 먼지나 기타 오염 물질을 제거하여 양쪽 타이어 비드를 깨끗이 한다


2. 타이어 비드가 있는 곳은 철사 브러시로 외륜을 깨끗이 한다. 깨끗한 헝겁으로 잔류물들을
훎훔쳐 낸다

주목: 튜브가 없는 타이어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완벽한 밀폐 (seal)를 요구하기 때문에 타이어와
외륜을 꺠끗이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3. 양쪽 타이어 비드 및 외륜 플랜지에 타이어 설치용 유지를 적절히 바른다


4. 밸브 꼭지 쪽으로부터 외륜위에 타이어를 설치한다. 만약 타이어 기계가 없다면 고무 망치 및
타이어용 쇠를 사용한다
5. 밸브 코어를 꺼내고 양 비드가 좁은 비드가 있는 외륜 플랜지 위에 있도록 타이어의 위치를
잡는다.
6. 타이어와 바퀴 조립체를 벽에 수직으로 세우고, 타이어를 30-35 psi (2.07-2.42 Bar) 로 공기를
주입하며 벽으로 민다. 이 세 부분의 접점 (벽, 바닥, 손)은 비드가 자리를 잘 잡고 공기가
주입될 때 적절히 밀폐를 형성하도록 한다. (8-4 페이지, 그림 8-2). 다음 경고를 참조하라.

‼ 경고

 압력이 100 psi (6.90 기압) 이상되는 압축 공기 근원을 사용하지 말라. 작은 타이어들은
압력 요구 사항이 낮을 수 있기 때문에, 고압력 공기 공급 장치를 사용할 시 과다 상태에
거의 즉시 도달할 수 있음. 공기를 과다 주입 시 폭발을 유발하여 심각한 인적 상해를
초래할 수 있다.

7. 에어 노즐을 재빨리 빼고 밸브 코어를 설치한다


8. 권장 압력으로 타이어 압력을 조절한다. „섹션 2 – 차량 규격‟을 참조하라
9. 공기 누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바퀴와 타이어 조립체를 물에 담근다

8-3
그림 8-2 타이어 공기 주입

8-4
섹션 9 – 뒤쪽 서스펜션

‼ 위험

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 경고

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일반 정보
뒤쪽 서스펜션 및 클럽카 차량의 전동 기구는 차량 골격과 독립적으로 움직인다. 서스펜션은 스프링과
차량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두 충격 흡수체에 의해 제어되는 두개의 엽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충격 흡수체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충격 흡수체 제거 및 점검
1. 충격 흡수체 (7)에 손상이 있는지, 축이 충격 흡수체 몸체로 들어가는 부위에 액체 누수가 있는
지 확인한다. 손상되었거나 누수가 있는 충격 흡수체는 교체한다 (9-2 페이지, 그림 9-1 또는 9-5
페이지, 그림 9-4)
2. 충격 흡수체를 꺼내고, 너트(5), 컵 워셔 (9) 및 고무 부싱 (10)을 상부 충격 흡수체 장착부에서
꺼낸다
3. 하부 장착부로부터 너트(5), 컵 워셔 (9) 및 고무 부싱 (10)을 꺼낸다
4. 충격 흡수체를 압축하여 꺼낸다.

충격 흡수체 설치
1. 설치 절차는 제거 절차의 반대이다.
2. 상부 및 하부 충격 흡수체 장착부 위에서, 고무 부싱이 팽창하여 지름이 컵 워셔와 동일하게 될
때까지 너트를 조인다

엽편 스프링 (2인승 차량)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엽편 스프링 제거 (2인승 차량)


1. 제거될 스프링이 있는 측면의 바퀴 조립체와 타이어의 바퀴용 너트를 느슨하게 하되 제거하지는
않는다. 앞쪽 바퀴에 굄목을 놓고 체인 호이스트나 플로어 잭으로 차량의 뒤쪽을 들어올린다. 잭
스탠드를 스프링 장착 꼬리표의 전방, 프레임 크로스멤버 아래에 놓는다. 잭 스탠드가 차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차량을 낮춘다. (9-2 페이지, 그림 9-3) 다음 경고를 보아라.

9-1
그림 9-1 뒤쪽 서스펜션 조립체 및 설치 (2인승 차량)

9-2
‼ 경고

 한번에 차량의 한 쪽 끝만 든다. 최소 1000 파운드 (454 kg)를 들기에 적합한 리프팅 장치
(체인 호이스트 또는 수경 플로어 잭)를 사용하라. 차량이 떠 있게 하기 위해 리프팅 장치를
사용하지 말라. 차량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무게 용량을 가진 잭 스탠드를 사용하며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바퀴를 굄목으로 고정하라. 바퀴를 움직여야 하는 테스트나 서비스 절차를
행하지 않을 시에는 브래이크를 잠근다.

2. 전동 기구를 지지하기 위해서 (드는 것이 아님) 트랜스액슬 차동 하우징 아래에 플로어 잭으로
놓는다. 충격 흡수체를 가압하지 않도록 장력이 살짝 느슨해 질 만큼 플로어 잭을 든다.
3. 타이어와 바퀴 조립체를 꺼내어진 스프링 옆에 놓는다.
4. 브레이크 레버 및 브레이크 케이블 연결부의 나비넥타이 잠금 핀 (1) 및 클레비스 핀 (2)을
제거한 후, 브레이크 레버에서 케이블 종단 (3)을 제거한다. (9-3 페이지 그림 9-3). 충격 흡수체
장착 브레킷 (4)에서 브레이크 케이블을 분리한다.
5. 하부의 너트(5), 컵 워셔 (9) 및 고무 부싱 (10)을 충격 흡수체의 하부 장착부 (7)로부터
제거한다 (9-1 페이지, 그림 9-2)
6. 스프링을 트랜스액슬에 고정시키고 있는 너트 (13) U형 나사를 제거한다. 충격 흡수체 장착
브래킷 및 U형 나사를 제거한다.
7. 스프링 뒤쪽을 걸쇠 (1)이 부착하는 나사 (17)와 너트(2)를 제거한다
8. 스프링 앞쪽을 차량 프레임에 부착하는 나사 (17)와 너트(2)를 제거하고, 스프링을 제거한다
9. 스프링 눈의 부싱 (4)과 슬리브 (3)를 점검하고 닳았거나 손상이 되었을 경우 교체한다.

그림 9-2. 차량을 잭 스탠드로 지지 그림 9-3 브레이크 케이블 분리

9-3
엽편 스프링 설치 (2인승 차량)

1. 제거 절차의 반대 순서로 스프링를 설치한다. 다음 ‘주의’를 참조하라

‼ 주의

 트랜스액슬 스프링 위치 고정 시, 트랜스액슬 안장의 위치 표시 구멍 내의 스프링에 위치


표시 볼트를 삽입하도록 한다

2. U형 나사의 너트를 25 ft-lb (34 N·m)까지 조인다.


3. 스프링 장착부 볼트 (17)의 너트 (2)를 15 ft-lb (20.3 N·m)까지 조인다. (9-2 페이지, 그림 9-1)

옆편 스프링 (4인승 차량)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엽편 스프링 제거 (4인승 차량)


1. 제거될 스프링이 있는 측면의 바퀴 조립체와 타이어의 바퀴용 너트를 느슨하게 하되 제거하지는
않는다. 앞쪽 바퀴에 굄목을 놓고 체인 호이스트나 플로어 잭으로 차량의 뒤쪽을 들어올린다. 잭
스탠드를 스프링 장착 꼬리표의 전방, 프레임 크로스멤버 아래에 놓는다. 잭 스탠드가 차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차량을 낮춘다. (9-3 페이지, 그림 9-2) 다음 경고를 참조하라.

‼ 경고

 한번에 차량의 한 쪽 끝만 든다. 최소 1000 파운드 (454 kg)를 들기에 적합한 리프팅 장치
(체인 호이스트 또는 수경 플로어 잭)를 사용하라. 차량이 떠 있게 하기 위해 리프팅 장치를
사용하지 말라. 차량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무게 용량을 가진 잭 스탠드를 사용하며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바퀴를 굄목으로 고정하라. 바퀴를 움직여야 하는 테스트나 서비스 절차를
행하지 않을 시에는 브래이크를 잠근다.

2. 전동 기구를 지지하기 위해서 (드는 것이 아님) 트랜스액슬 차동 하우징 아래에 플로어 잭으로
놓는다. 충격 흡수체를 가압하지 않도록 장력이 살짝 느슨해 질 만큼 플로어 잭을 든다.
3. 타이어와 바퀴 조립체를 꺼내어진 스프링 옆에 놓는다.
4. 브레이크 레버 및 브레이크 케이블 연결부의 나비넥타이 잠금 핀 (1) 및 클레비스 핀 (2)을
제거한 후, 브레이크 레버에서 케이블 종단 (3)을 제거한다. (9-3 페이지 그림 9-3). 충격 흡수체
장착 브레킷 (4)에서 브레이크 케이블을 분리한다.
5. 하부의 너트(5), 컵 워셔 (9) 및 고무 부싱 (10)을 충격 흡수체의 하부 장착부로부터 제거한다
(9-5 페이지, 그림 9-4)
6. 스프링과 진동 완충기를 트랜스액슬에 고정시키고 있는 너트 (13)와 U형 나사(11)를 제거한다.
충격 흡수체 장착 브래킷 (15), 진동 완충기 브래킷 (20) 및 U형 나사 (11)를 제거한다.
7. 스프링 뒤쪽을 걸쇠 (1)이 부착하는 나사 (17)와 너트(2)를 제거한다
8. 스프링 앞쪽을 차량 프레임에 부착하는 나사 (17)와 너트(2)를 제거하고, 스프링을 제거한다
9. 스프링 눈의 부싱 (4)과 슬리브 (3)를 점검하고 닳았거나 손상이 되었을 경우 교체한다.

9-4
그림 9-4 뒤쪽 서스펜션 조립체 및 설치 (4인승 차량)

9-5
엽편 스프링 설치 (4인승 차량)

1. 제거 절차의 반대 순서로 스프링를 설치한다. 다음 ‘주의’를 참조하라

‼ 주의

 트랜스액슬 스프링 위치 고정 시, 트랜스액슬 안장의 위치 표시 구멍 내의 스프링에 위치


표시 볼트를 삽입하도록 한다

2. U형 나사의 너트를 25 ft-lb (34 N•m) 까지 조인다.


3. 스프링 장착부 볼트 (17)의 너트 (2)를 15 ft-lb (20.3 N•m) 까지 조인다. (9-5 페이지, 그림 9-4)

9-6
섹션 10 – 주기적 유지 보수

일반 경고

차량 주행, 수리 및 정비 시에는 항상, 아래의 안전 사항들을 지켜야 한다.


정비 기술자는 이 매뉴얼 전체에 나타나 있는 일반적인 안전 사항들과 친숙해 져야 한다.
기타 특별 안전 사항들은 이 매뉴얼 및 차량에 나와 있다.

‼ 위험

 배터리 – 폭발성 기체이니 담배를 피우지 말라. 불꽃 및 화염을 차량 및 서비스


구역으로부터 멀리 하라. 닫힌 공간에서 충전하거나 사용할 시에는 환기를 잘 시키시오.
배터리 위나 근처에서 작업할 시에는 전면 얼굴 보호대와 고무 장갑을 착용하라.
 배터리 – 독극물! 산을 포함함! 심각한 화상을 일으킴. 피부, 눈, 또는 옷과의 접촉을 피하라.
해독 방법은:
- 외부: 물로 씻으시오. 즉시 의사를 부르시오.
- 내부: 다량의 우유나 물을 마신 후, 마그네시아 우유 또는 야채 기름을 마시시오. 즉시
의사를 부르시오.
- 눈: 15분간 물로 씻으시오. 즉시 의사를 부르시오.

‼ 경고

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 훈련을 받은 기술자만이 차량을 수리하거나 정비해야 한다. 아무리 간단한 수리나 정비를
하더라도, 전기 및 기계 수리에 지식 및 경험이 있어야 한다.
 이 매뉴얼에 기술된 절차를 정확히 따라야 하며, 이 매뉴얼 및 차량에 첨부된 위험, 경고,
주의 문구를 모두 따라야 한다.
 차량을 부적절하게 사용하거나 유지관리 하지 못할 때에는 차량 성능을 저하시키며 인적
상해를 유발할 수 있다
 차량의 안정성이나 관리에 영향을 미치거나 제조 사양 상 최고 차량 속도 이상이 되도록, 이
차량을 개조하거나 변경하면 심각한 인적 상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 모든 차량 경고 회사 도안의 올바른 위치를 차량 소유주 매뉴얼을 참조하여 확인하고 각
도안들이 올바른 위치에 부착되어 있고 쉽게 읽을 수 있는 지 확인한다
 차량을 정비할 때에는 보안경 및 공식 인가된 눈 보호 장치를 착용한다. 배터리 위나
근처에서 작업할 시에는 전면 얼굴 보호대와 고무 장갑을 착용하라.
 차량을 정비할 때에는, 느슨한 옷 또는 반지, 시계, 체인 등과 같은 귀금속을 착용하지 말라.
 움직이는 부품! 차량의 동력이 켜져 있을 때에는 정비하려 하지 말라
 뜨거움! 뜨거운 모터는 정비하려 하지 말라. 이 경고를 무시하면 심각한 화상을 입을 수 있다
 배터리나 전기 연결부 근처에서 작업할 시에는, 절연된 도구들을 사용한다. 구성 요소들이나
전선들을 단선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한다.

„경고‟는 다음 페이지에서 계속….

10-1
‼ 경고

 차량을 정비하기 전에는, 키 스위치를 끄고, 열쇠를 배고, 전진/후진 스위치를 중립 위치에
놓고, 바퀴에 굄목을 놓는다.
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해, 견인 / 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놓고, 그림에
나타난 대로 배터리를 분리한다. (페이지 10-2, 그림 10-1) (페이지 10-2, 그림 10-2) (페이지
10-3, 그림 10-3)
 배터리를 분리한 후, 콘트롤러 축전기에서 전기가 소모될 때 까지 90초를 기다린다.
 연결선을 꺼내거나 또는 교체할 때에는, 연결 상태 및 연결선 장치의 경로가 적절하고 안전한
지 확인한다. 연결 경로가 바르지 않고 연결선이 안전하지 않으면 차량의 오작동, 자산 손상,
인적 상해 또는 죽음까지도 초래할 수 있다.
 한번에 차량의 한 쪽 끝만 든다. 최소 1000 파운드 (454 kg)를 들기에 적합한 리프팅 장치
(체인 호이스트 또는 수경 플로어 잭)를 사용하라. 차량이 떠 있게 하기 위해 리프팅 장치를
사용하지 말라. 차량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무게 용량을 가진 잭 스탠드를 사용하며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바퀴를 굄목으로 고정하라. 바퀴를 움직여야 하는 테스트나 서비스 절차를
행하지 않을 시에는 브래이크를 잠근다.

그림 10-1 배터리 케이블 제거 – 유형 A 그림 10-2 배터리 케이블 제거 – 유형 B


전기 차량 배터리 배치도 전기 차량 배터리 형태
(차량의 운전석에서 본 그림) (차량의 운전석에서 본 그림)
1. 배터리 케이블 차단 또는 연결 전에 견인/주행 1. 배터리 케이블 차단 또는 연결 전에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로 둔다. 스위치를 „견인‟ 상태로 둔다.
2. 음극 배터리 케이블을 제거한다. 2. 음극 배터리 케이블을 제거한다.
3. 양극 배터리 케이블을 제거한다. 3. 양극 배터리 케이블을 제거한다.
배터리 케이블을 반대 순서로 연결한다. 배터리 케이블을 반대 순서로 연결한다.

10-2
그림 10-1 배터리 케이블 제거 – 유형 C
전기 차량 배터리 배치도
(차량의 운전석에서 본 그림)
1. 배터리 케이블 차단 또는 연결 전에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로 둔다.
2. 음극 배터리 케이블을 제거한다.
3. 양극 배터리 케이블을 제거한다.
배터리 케이블을 반대 순서로 연결한다

일반 정보

문제가 없는 차량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확립된 모든 예방 유지 관리 프로그램을 준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주기적 및 일관성 있는 차량 유지보수 수행 시, 이를 소홀이 해서 발생할 수 있는 차량
다운타임과 값비싼 수리 비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올바로 작동하지 않는 차량은 적절히 수리될
때까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추가적인 차량 손상을 막을 수 있고 불안전한 상태로
인한 상해 가능성을 피할 수 있다.
모든 수리 및 반년/매년 실시하는 정비를 수행하려면 가까운 클럽카 공급업자 / 대리점을 찾아 보아라.

주기적 정비 일정

‼ 경고

 이 매뉴얼의 해당 섹션에 나타난 지침에 따라 정비, 수리 및 변경을 실시해야 한다.

주목: 만약 차량 사용 빈도가 높거나 심각한 운전 조건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때에는, 권장되는


주기적 정비 및 윤활 일정보다 더 자주 예방 유지 관리 절차를 행해야 한다.
주기적 정비 일정 및 주기적 윤활 일정은 차량이 최적 운전 조건에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꼭 준수되어야 한다.

10-3
주기적 정비 일정
일정 간격 서비스
사전 작동 및 일일 안전 해당 사용자 매뉴얼에 나타난 사전 작동 및 일일 안전
소유자에 의한 체크리스트 체크리스트를 보라
일간 정비 성능 검사 해당 사용자 매뉴얼에 나타난 성능 검사를 보라
배터리 배터리 충전 (사용한 후)
배터리 (싱글 포인트 전해질 수위를 점검한다. 필요 시 물을 추가한다. 16-15
소유자에 의한
급수 시스템이 장착되지 페이지의 „배터리 관리 - 싱글 포인트 급수 시스템이
주간 정비
않은 차량의 경우) 장착되지 않은 차량‟을 보라.
배터리 (싱글 포인트
급수 시스템이 장착된
배터리에 물 공급. 물이 흐르고, 셀이 넘치지 않는지
차량의 경우). 매월 또는
살핀다. 16-14 페이지의 „배터리 관리‟를 보라
수립된 급수 간격에 따라
소유자 또는 물 공급
기술자에 의한 배터리 상부를 씻고 베이킹 소다 / 물로 단자들을 깨끗이
월간 정비 배터리 한다. 배터리 단자 보호 분무기 (CCI P/N 1015405) 를
배터리 단자에 적용한다
공기 압력을 확인하고, 필요 시 공기량을 조절한다. 섹션
타이어
2 – „차량 규격‟을 보라
차량 전반 차량 하부 포함 차량을 철저히 씻는다
6주 사용 후
소유주나 배터리 (싱글 포인트 SPWS가 새로 장착된 차량의 경우 모든 셀의 배터리
기술자에 의한 급수 시스템이 장착된 전해질 레벨을 수동으로 확인하여 밸브 작동이 올바른지
일회성 초기 차량의 경우). 검증한다. 16-21 페이지의 „초기 유지관리‟를 보라
검사
브레이크 슈 점검; 필요 시 교체. 섹션 6 – „바퀴 브레이크
조립체‟ 를 보라
기술자에 의한
브레이크 시스템 윤활류 일정에 따른 브레이크 슬라이드 윤활. 섹션 6 –
반기 일회 정비
„바퀴 브레이크 조립체‟ 를 보라
(매 50시간 마다
브레이크 케이블의 손상 여부 점검; 필요 시 교체
또는 매 100
전선 및 연결부 팽팽한 여부 및 손상 점검; 필요 시 교체
라운드의 골프)
필요에 따라 점검 및 수리. 섹션 7 – „스티어링 및 앞쪽
앞쪽 바퀴 정열 및 캠버
서스펜션‟을 보라
소유주나
기술자에 의한
반기 일회 정비
배터리가 기대하는 것과 다르게 성능을 나타낼 때, 섹션
(매 100시간 배터리
14 – „배터리‟ 를 보라
마다 또는 매
200 라운드의
골프)
기술자에 의한 예상처럼 배터리가 성능을 발휘하지 않음. 섹션 16 –
배터리
반기 일회 정비 배터리 참조
(매 100시간 모든 회전하는 연결부들을 기름칠한다. 10-5 페이지의
페달 그룹
마다 또는 매 주기적 윤할 일정 참조
200 라운드의
차량 전반 하드웨어가 느슨한지 점검한다; 필요 시 조인다.
골프)

10-4
‼ 경고

 계획된 검사 및 정비 실시 중 문제가 발견될 때에는, 수리를 완료할 때까지 차량을 운전하지


않는다. 필요한 수리를 하지 않으면, 화재, 자산 손해, 인적 상해 또는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주기적 윤활 일정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주기적 윤활 일정

윤활
일정 간격 정비 권장 윤활유
위치
충전기 콘센트 (내장 되어
1 WD 40
소유주나 기술자에 의해 있을 시)
반기에 한번 (또는 매 유지 보수 및 정비
건성 몰리브덴 루브 (CCI P/N 1012151).
50시간 가동 시 한번. 매뉴얼에 따른, 브레이크 2
흰색 리듐 유지 NLGI #2
둘 중 더 빠른 것) 시스템
앞쪽 서스펜션 (2 부속품) 3 섀시 루브 – EP NLGI 2등급
기술자에 의해 매년 트랜스액슬이 플러그
22 온스 (0.67 리터) SAE 30 WT. API
한번 (또는 매 100시간 레벨까지 있는 지 확인 7
분류 SE, SF, 또는 SG 오일 이상
가동 시 한번. 둘 중 더 또는 충전
빠른 것) 페달 그룹 8 듀퐁 고성능 건성 다용 윤할제

그림 10-4 차량 윤할 포인트들

10-5
섹션 11 – IQ 시스템 전기 시스템
‼ 위험

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 경고

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 배터리 단자를 단선하면 인적 상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 판을 제거 또는 설치할 시, 구성 장착판을 배터리 위에 직접 두지 않는다.
- 판들은 차량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한다.

일반 정보

IQ 시스템 차량은, 4개의 12V 납축전지 배터리 또는 6개의 8V 납축전지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48V 전기 시스템을 사용하며 내장 컴퓨터를 포함한다. IQ 시스템 차량은 분권 3.2 마력
모터를 사용하며 몇 가지 장점이 있다:
 분권 모터: 많은 모터와는 달리 분권 모터는 속도 조절기가 전기자를 통해서 흐르는
전류와는 독립적으로 전기장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 양을 바꿀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 모터 브레이크: 또한, 특정 조건하에서, 분권 모터는 전기 브레이크로써의 역할을 하여 차량
속도를 늦춘다. 모터 브레이크 기능을 작동시키는 IQ 전기 시스템은 3가지 특성을 가진다:
워크 어웨이 브레이킹, 페달 다운 모터 브레이킹과 페달 업 모터 브레이킹 (IQDM-P 핸드
세트로 조절 가능).
 워크 어웨이 브레이킹: 이는 운전자가 주차 브레이크를 하지 않고 경사지에 주차할 때,
차량이 지 맘대로 굴러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며, 이 때 차량은 약 1 mph (1.6 km/h)로
굴러간다. 워크 어웨이 브레이크 기능이 2초 이상 동안 걸려 있다면, 모터 브레이크가
활성화되었음을 운전자에게 알리는 경고음이 울릴 것이다.

!! 경고

 워크 어웨이 브레이크는 매우 경사진 곳에서는 차량 속도를 1 mph (1.6 km/h)로 제한시키지


못할 것이다. 경사도가 20%가 넘는 곳에서 차량을 운행하지 말라.
 페달 다운 모터 브레이크: 이 기능은 차량 내리막길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모터
브레이크는 차량이 프로그램 된 최고 속도에서 차량 속도를 유지할 때 작동하게 된다. 모터
브레이크 기능은 차량 속도가 프로그램 된 최고 속도 아래로 낮아질 때 자동적으로 해제
된다.

(11-7페이지에서 계속)

11-1
배선 도식

11
그림 11-1 프레시덴트 IQ 시스템 배선 도식
조절기의 16-핀 연결기

11-2
그림 11-2 프레시덴트 IQ 시스템 배선 도식
주의: 일부 배선 / 구성요소는 액세서리 옵션임

11-3
11

그림 11-3 프레시덴트 전기 차량 액세서리 배선 도식


등은 있으나 회전 신호가 없을 때 사용됨
대개 회전 신호가 있을 때 잠시 사용됨

11-4
그림 11-4 프레시덴트 전기 차량 액세서리 배선 도식
여기 나타난 일부 배선 / 구성요소는 액세서리 옵션임

11-5
11
그림 11-5 프레시덴트 전기 차량 도구 패널 배선 도식
여기 나타난 일부 배선 / 구성요소는 액세서리 옵션임

11-6
일반 정보 (계속):
 페달 업 모터 브레이크: 차량 속도가 11mph (17.7 km/h) 를 초과할 때,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뗄
때 모터 브레이크를 활성화 시켜 차량의 속도를 줄이게 된다. 일단 차량이 약 11mph (17.7
km/h) 이하로 감속되면,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여전히 떼어진 상태에서 모터 브레이크가
비활성화 되어 차량이 자유로이 주행되도록 한다. 이 기능은 옵션으로, 이 옵션 기능에 대해
문의가 있으면 당신의 클럽 카 딜러/납품업자에게 연락하라
 재생식 브레이크: 모터 브레이크가 활성화 되면,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를
만들며, 차량을 늦추는 발전기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 견인/주행 스위치: 견인/주행 스위치가 „주행‟ 위치에 있을 때, 차량은 정상적으로 기능을 한다.
반면, 이 스위치가 „견인‟ 위치에 있을 때는, OBC와 조절기로의 동력이 차단되며, 차량이
회로와 제로 속도 감지를 못하게 되어, 견인될 수 있도록 한다.
 모터 보호 회로: 운전자는 경사면에서 브레이크 페달 대신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절대 누르지
말아야 한다. 이는 모터 과열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경우, 모터 보호 회로는
모터로의 전류를 감소시킴으로써 모터가 손상될 가능성을 줄인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모터 멈춤 장애가 속도 조절기에 의해서 기록되며 진단 내역 메뉴의 IQDM 핸드 세트상에
보여지게 될 것이다. 13-10페이지 모터 멈춤.
 페달 높음 탐지: 이 기능은, 액셀러레이터를 밟은 후 키 스위치를 ON으로 켰을 때 또는 진행
방향 변경을 위해 전진/후진 스위치를 사용했을 때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밟을 때, 예상 밖으로
차량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차량은 액셀러레이터를 떼었다 다시 밟아야만 움직인다. 이런
상황이 발생했을 때 HPD 오류가 속도 조절기에 의해 기록되며 진단 내역 메뉴내의 IQDM
핸드세트에 디스플레이 된다. 13-9 페이지의 HPD 참조
 내장 컴퓨터 (OBC): OBC는 1)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 하며, 2) 차량 내 에너지 장치들의 수를
모니터링 하며, 3) 배터리 재 충전시 필요한 에너지 장치들의 수를 판단하여 이 수에 도달했을
때 충전기를 차단하며, 4) 언제 재생 모터 브레이크를 활성화 할 지를 판단하며, 5) 충전기가
차량 충전기 콘센트에 꼽혀있을 동안 차량 움직임을 잠그며, 6) 연락 전시 모듈 (CDM)이 읽을
수 있도록, 운영 데이터를 저장한다. 11-39 페이지의 연락 전시 모듈 (CDM) 참조
11
문제해결

다음의 문제 해결 가이드는 문제 발생시 작동 장애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며, 증상, 예상되는


원인(들)과 점검에 대한 제안 사항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점검을 하는데 사용되는 절차는 유지 보수 및
서비스 매뉴얼의 부록 섹션에서 찾을 수 있다.

IQDM 차량 문제 해결
클럽카는 IQ 전기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의 문제해결을 위하여 IQDM 핸드 세트를 사용하도록 권장한다.
문제해결 가이드 1은 IQDM 핸드 세트와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섹션 13 – IQ 디스플레이 모듈 (IQDM)
및 IQDM-P 진단: 운전 지침 사항을 위한 IQ 시스템을 참조하라. 다음의 경고 참조.

‼ 경고

 차량 운전자는 차량 운전 중 IQDM을 모니터 하지 말아야 한다. 기술자가 차량 운전석에서


IQDM을 모니터링 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 경고를 따르지 않으면 심각한 인적 상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문제해결 가이드 1을 완료한 후에도 차량이 적절히 기능을 하지 않으면, 문제해결 가이드 2를 실행해야
한다.

11-7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할 수 없을 때는, 문제해결 가이드 2를 실행하라.

문제 해결 가이드 1
다음의 문제해결 가이드는 IQDM 핸드 세트를 사용하도록 의도되었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차량 문제해결 전, 특별 진단 메뉴의 진단 내역을 점검하라. 코드에 오류가 있는지 주목하라.

문제해결 가이드 1
증상 가능한 원인 정정 조치
테스트 메뉴 – 조절판 % 수치가 MCOR 의 3-핀 연결기가 풀렸거나 수리 그리고/또는 MCOR에 3-핀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누를 때 분리됨. 또는 전선이 손상됨 연결기 연결
증가하지 않는다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가
수리 그리고/또는 속도 조절기에
또는 풀렸거나 분리됨. 또는 전선이
16-핀 연결기 연결
진단 메뉴 – 조절판 장애 1 장애 손상됨
코드 11-17쪽의 테스트 절차 4 - MCOR
MCOR 고장
전압
테스트 메뉴 – 열 씽크°C는 온도가 과 조절된 브레이크 섹션 6 –브레이크 조립체
85°C (145°F)이상임을 나타낸다
가동 전, 차량 중량이 초과되지
또는 중량 초과 차량
않도록 확인
진단 메뉴 – 열 삭감 장애 코드
테스트 메뉴 – ARM PWM 수치가
MCOR 장애 11-17쪽의 테스트 절차 4 - MCOR
차량이 최고 속도일 때 100%까지
전압
도달하지 않는다.
테스트 메뉴 – 차량이 작동 중인데, 모터 속도 센서가 풀렸거나 분리됨. 수리 그리고/또는 모터 속도 센서에
속도 펄스 메뉴 항목에 속도 펄스가 또는 전선이 손상됨 3-핀 연결기 연결
꺼진 것으로 나타남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가
수리 그리고/또는 속도 조절기에
풀렸거나 분리됨. 또는 전선이
또는 16-핀 연결기 연결
손상됨
진단 메뉴 – 속도 센서 장애 코드 11-35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13 –
모터 속도 센서 고장
모터 속도 센서
테스트 메뉴 – 풋 입력 메뉴 항목이 속도 조절기의 2-핀 연결기가
수리 그리고/또는 속도 조절기에 2-
MCOR 내부 한계 스위치가 항상 풀렸거나 분리됨. 또는 전선이
핀 연결기 연결
켜져 있거나 꺼져 있는 것으로 손상됨
표시한다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가
수리 그리고/또는 속도 조절기에
풀렸거나 분리됨. 또는 전선이
16-핀 연결기 연결
손상됨
MCOR 장애 11-21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8 –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테스트 메뉴 – 전진 입력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신속 분리
수리 그리고/또는 전진/후진
그리고/또는 후진 입력 계측치가 단자)가 풀렸거나 분리됨. 또는
스위치에 신속 분리 단자 연결
올바르지 않다 전선이 손상됨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3-핀 수리 그리고/또는 전진/후진
또는 연결기)가 풀렸거나 분리됨. 또는 스위치로부터 3-핀 연결기를 전선에
전선이 손상됨 연결.
진단 메뉴 – 진행/배선 장애 코드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가
수리 그리고/또는 속도 조절기에
풀렸거나 분리됨. 또는 전선이
16-핀 연결기 연결
손상됨
11-37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15 –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장애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다음 페이지에 문제해결 가이드 계속

11-8
문제해결 가이드 1

증상 가능한 원인 정정 조치
테스트 메뉴 – MAIN CONT 배터리를 분리하고 속도 조절기
(쏠레노이드)는 쏠레노이드가 축전기를 방전시킨다. 1-2 페이지 섹션
활성화되어야 할 때 ON을 나타내지 1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않는다 속도 조절기 논리 기능 불량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해…” 참조.
배터리를 재 연결하고 증상이
또는 지속되는지를 본다.

진단 메뉴 – MAIN CONT DNC 쏠레노이드 또는 B+ 속도 조절기


풀렸거나 분리된 전선 수리
(주요 접촉자 (쏠레노이드)가 단자의 전선이 풀렸거나,
그리고/또는 연결
접속되지 않음) 결함 코드 손상되었거나, 분리되었다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가
수리 그리고/또는 16-핀 연결기를
풀렸거나 분리됨. 또는 전선이
속도 조절기에 연결
손상됨
쏠레노이드 교체. 15-17 페이지의
쏠레노이드 장애
쏠레노이드 제거 참조.
테스트 메뉴 – 키 입력이 키 키 스위치 단자 전선이 풀렸거나 수리 그리고/또는 전진/후진 스위치에
스위치가 ON상태에 있을 때 ON을 분리됨. 또는 전선이 손상됨 신속 분리 단자 연결
나타내지 않는다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가
수리 그리고/또는 속도 조절기에 16-
풀렸거나 분리됨. 또는 전선이
핀 연결기 연결
손상됨
11-21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8 – 키
키 스위치 장애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진단 메뉴 – „조절판 결함 1‟ 결함 MCOR 의 3-핀 연결기가 풀렸거나 수리 그리고/또는 3-핀 연결기를
코드 분리됨. 또는 전선이 손상됨 MCOR에 연결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가
수리 그리고/또는 16-핀 연결기를
풀렸거나 분리됨. 또는 전선이
속도 조절기에 연결
손상됨
11-17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4 –
MCOR 장애
MCOR 전압
진단 메뉴 – „HW 장애 방지‟ 속도 조절기내 전기자 드라이브
속도 조절기 교체. 15-15 페이지 속도
(하드웨어 장애 방지) 결함 코드 FET‟s (전기장-영향 트랜지스터)
조절기 제거 참조.
장애
배터리를 분리하고 속도 조절기
축전기를 방전시킨다. 1-2 페이지 섹션
1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속도 조절기 논리 기능 불량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해…” 참조.
배터리를 재 연결하고 증상이
지속되는지를 본다.

쏠레노이드 교체. 15-17페이지


진단 메뉴 – „주요 접합‟ (주요 쏠레노이드 접촉 접속 불량
쏠레노이드 제거 참조.
쏠레노이드 접합 접촉) 결함 코드
진단 메뉴 – 주요 드라이버 ON 배터리를 분리하고 속도 조절기
또는 주요 드라이버 OFF 결함 코드 축전기를 방전시킨다. 1-2 페이지 섹션
1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속도 조절기 논리 기능 불량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해…” 참조.
배터리를 재 연결하고 증상이
지속되는지를 본다.
쏠레노이드 코일을 조절하는 FET 속도 조절기 교체. 15-17페이지 속도
장애 조절기 제거 참조.

문제해결 가이드 다음 페이지에 계속…

11-9
문제해결 가이드 1

증상 가능한 원인 정정 조치
진단 메뉴 – „주 코일 결함‟ 결함
코드 쏠레노이드 코일이 개방 상태에서 쏠레노이드 교체. 15-17페이지
또는 장애 발생 쏠레노이드 제거 참조.
진단 메뉴 – „주 드롭아웃‟ 결함 코드
진단 메뉴 – „전기장 미싱‟ 결함 코드 모터나 속도 조절기의 모터 필드
필드 코일 전선을 수리 그리고/또는
코일 전선이 풀렸거나 분리됨. 또는
연결
전선이 손상됨
섹션 18 – 모터 (모델
모터 전기장 와인딩 장애 5BC59JBS6390) 또는 섹션 19 –
모터 (모델 EJ4-4001)
속도 조절기 교체. 15-15 페이지
전기장 전류를 조절하는 FET 장애
속도 조절기 제거 참조.
진단 메뉴 – „HPD‟ (고 페달 감지) 키 스위치를 ON으로 돌리거나
결함 코드 전진/후진 스위치로 선택 방향을
운전자 에러 바꾸기 전, 액셀러레이터 페달에서
발을 완전히 떼도록 운전자를
훈련시킨다
진단 메뉴 – „저 배터리‟ 결함 코드 배터리를 충전기에 두고 완전히
배터리 충전 필요
충전될 때까지 둔다
부적절한 유지 관리 또는 배터리
섹션 16- 배터리
장애
진단 메뉴 – „모터 멈춤‟ 결함 코드 언덕 길에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운전자 에러 밟지 않고, 브레이크를 사용하도록
운전자를 훈련시킨다
진단 메뉴 – „전기자 오픈‟ 결함 코드 모터나 속도 조절기의 모터 전기자
모터 전기자 전선 수리 그리고/또는
전선이 풀렸거나 분리됨. 또는
연결
전선이 손상됨
섹션 18 – 모터 (모델
모터 전기자 또는 브러시 장애 5BC59JBS6390) 또는 섹션 19 –
모터 (모델 EJ4-4001)
속도 조절기 교체. 15-15 페이지
전기자 전류를 조절하는 FET 장애
속도 조절기 제거 참조.

11-10
문제해결 가이드 2

문제해결 가이드 2

증상 가능한 원인 정정 조치
차량이 작동되지 않음 배터리 - 배터리 방전됨 배터리 충전
차량 배선 점검. 11-2페이지 배선
배터리 - 배터리 연결 상태
도식 참조
배터리 충전기가 차량에 연결됨 –
쏠레노이드 잠금 기능이 차량을 작동 차량에서 배터리 충전기를 분리한다
못하게 함
11-16 페이지 테스트 절차 2 – 내장
내장 컴퓨터 장애
컴퓨터 쏠레노이드 잠금 회로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키 스위치 및 MCOR의 전선이
회로 풀렸거나 분리되었는지 점검한다
11-21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8 – 키
키 스위치 장애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11-21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8 –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MCOR 장애
또한 11-17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4 – MCOR 전압 참조
11-37 페이지 테스트 절차 15 –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11-16 페이지 테스트 절차 3 –
쏠레노이드 – 느슨한 전선
쏠레노이드 활성 코일
11-16 페이지 테스트 절차 3 –
쏠레노이드 – 코일 장애
쏠레노이드 활성 코일
조절기가 식게 놔두고 작동하기 전에
속도 조절기 열 삭감 차량이 과 부하되지 않았는지를
확인한다
16-핀 연결기의 전선이 풀렸는지
분리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11-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
23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9 – 16-핀
연결기 참조.
페달 높음 감지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순환시킨다
모터 멈춤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순환시킨다
섹션 18 – 모터 (모델
모터 장애 5BC59JBS6390) 또는 섹션 19 –
모터 (모델 EJ4-4001)
속도 조절기 교체. 15-15 페이지
속도 조절기 장애
속도 조절기 제거 참조
문제해결 가이드 다음 페이지에 계속..

11-11
문제해결 가이드 2

증상 가능한 원인 정정 조치
차량이 천천히 달린다 11-35 페이지 테스트 절차 13 –
속도 센서 분리 또는 장애
모터 속도 센서.
차량의 프로그램 된 최고 속도를
부적절한 속도 셋팅 바꾸기 위하여, IQDM-P 핸드 세트
사용
차량 배선 점검. 11-2 페이지 배선
배선 – 부적절한 전선
도식 참조.
배터리 - 배터리 방전 배터리 충전
11-17 페이지 테스트 절차 4 –
MCOR 기능불량
MCOR 전압
모터의 모든 전선 연결을 점검하고
모터 – 느슨한 전선
조인다
모터 교체. 18-3 페이지 모터 제거
모터 장애
참조.
차량을 작동하기 전에 과부하 되지
과적 차량
않았는지를 확인한다
속도 조절기 교체. 15-15 페이지
속도 조절기 장애
속도 조절기 제거 참조
브레이크 – 부적절한 조절 섹션 6 – 바퀴 브레이크 조립체 참조
타이어 – 바람이 적거나 펑크 섹션 8 – 바퀴와 타이어 참조
차량이 작동을 하지만 모터 브레이크 차량 배선 점검. 11-2 페이지 배선
배선 – 부적절한 배선
기능이 작동 하지 않는다 도식 참조
11-35 페이지 테스트 절차 13 –
속도 센서 분리 또는 장애
모터 속도 센서.
차량이 전진은 하지만 후진이 되지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 부적절한 11-37 페이지 테스트 절차 15 –
않거나, 후진은 되지만 전진이 되지 배선 전진/ 후진 동작 스위치
않는다 모터 배선 점검. 11-2 페이지 배선
모터 – 부적절한 배선
도식 참조
속도 조절기 – 속도 조절기 FET의 차량 배선 점검. 11-2 페이지 배선
부적절한 배선 또는 장애 도식 참조
차량이 작동은 되지만, 배터리 11-34페이지 테스트 절차 11 –
내장 컴퓨터 – 회색 전선
충전기가 작동되지 않는다. 내장 컴퓨터 회색 전선
배터리 충전기 연결 – 콘센트 또는 전선 연결을 점검하고 필요 시
배터리의 전선이 느슨함 조인다.

적절한 배터리 충전기 유지 관리 및


배터리 충전기
서비스 매뉴얼 참조

11-12
테스트 절차

다음 절차를 이용하여, 차량을 방대히 분해하지 않고도 전체 IQ 전기 시스템을 테스트할 수 있다.

‼ 경고

 전선 제거 또는 교체 시, 배선과 전선이 적절히 배치되고 안전하게 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적절한 배치와 안전한 배선을 불이행하게 되면 차량 기능 불량, 재산 손실, 인적 상해 또는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대부분의 테스트 진행 시, 구성 요소 장착판에 설치되는 다양한 구성 요소에 접근하기 위하여 전자


모듈 커버를 제거해야만 한다. 15-5 페이지의 전자 모듈 커버 – 유형 A 배터리 환경 설정, 또는 15-6
페이지의 전자 모듈 커버 – 유형 B 및 C 배터리 환경 설정을 보라. 다음 경고를 참조하라.

‼ 경고

 배터리 단자를 단선하면 인적 상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 판을 제거 또는 설치할 시, 구성 장착판을 배터리 위에 직접 두지 않는다.
- 판들은 차량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한다.

테스트 완료 후, 커버를 교체하여야 한다. 15-5 페이지의 전자 모듈 커버 – 유형 A 배터리 환경 설정,


또는 15-6 페이지의 전자 모듈 커버 – 유형 B 및 C 배터리 환경 설정을 보라. 다음 주의를 참조하라

주의

 전자 구성 요소들은 물에 노출될 시 손상될 수 있다.


- 커버를 올바로 설치하지 않으면 차량을 운전하지 말라
- 커버 주위로 물줄기를 향하게 하지 말라

11-13
테스트 절차 색인
1. 배터리/전압 점검
2. 내장 컴퓨터 쏠레노이드 잠금 회로
3. 쏠레노이드 활성 코일
4. MCOR 전압
5. A1 및 A2 모터 전압
6. 견인/주행 스위치
7. (전류가 흐를 때의) 배터리 팩의 전압
8.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9. 16-핀 연결기
10. 내장 컴퓨터 실리콘-제어 정류기 (SCR) 회로
11. 내장 컴퓨터 회색 전선
12. 충전기 콘센트 적색 전선 소켓 전압
13. 모터 속도 센서
14. 쏠레노이드 접촉
15.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16. 후진 부저
17. 내장 컴퓨터 재부팅
18. 배터리 경고 표시등

테스트 절차 1 – 배터리/전압 점검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주목: 다음 테스트 절차를 실행하기 위하여 배터리를 올바로 관리하고 완전히 충전해야 한다. 급수
정보와 허용 미네랄 함유량 등을 포함한 배터리 관리 절차는 이 매뉴얼의 섹션 16에서 찾을 수
있다. 16-14페이지의 배터리 관리 참조.

배터리 전압은 IQDM 핸드 세트 (CCI P/N 102241804)로 표시 가능하다. IQDM 핸드 세트가 없으면,
11-15페이지의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하지 않는 배터리/전압 점검‟을 따른다.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한 배터리/전압 점검


1. 차량에 IQDM을 연결한다.
2. 테스트 메뉴에 들어가서 스크롤 표시 버튼을 사용하여 „배터리 전압‟을 선택한다.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을 경우 IQDM는 최소 48볼트를 나타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배터리
연결이 느슨하거나 배터리가 반대 극으로 설치되었는가를 점검한다. 배터리 테스트에 관한
자세한 사항이 필요하면 섹션 16 – 배터리를 참조하라.

11-14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하지 않는 배터리/전압 점검
1. 연결된 배터리와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적색 (+) 탐침을 1번 배터리의
양극 (+)에 두고 흑색 (-) 탐침을 4번 배터리의 음극 (-)이나 (11-15페이지 그림 11-6, 11-
15페이지 그림 11-7) 또는 6번 배터리 (11-15페이지 그림 11-7)에 둔다.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을 경우 멀티미터가 최소 48볼트를 나타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배터리 연결이
느슨하거나 배터리가 반대 극으로 설치되었는가를 점검한다. 배터리 테스트에 관한 자세한
사항이 필요하면 섹션 16 – 배터리 참조하라

그림 11-6 배터리 전압 테스트 –


유형 A 배터리 세팅 설정
200 DCV 세팅
(차량의 운전석 쪽에서 본 그림)
1. 적색 탐침은 1번 (+) 배터리로
2. 흑색 탐침은 4번 (-) 배터리로

그림 11-7 배터리 전압 테스트 – 유형 B 그림 11-8 배터리 전압 테스트 – 유형 C


배터리 세팅 설정 배터리 세팅 설정
(차량의 운전석 쪽에서 본 그림) (차량의 운전석 쪽에서 본 그림)
1. 적색 탐침은 1번 (+) 배터리로 1. 적색 탐침은 1번 (+) 배터리로
2. 흑색 탐침은 4번 (-) 배터리로 2. 흑색 탐침은 6번 (-) 배터리로

11-15
테스트 절차 2 – 내장 컴퓨터 쏠레노이드 잠금 회로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쏠레노이드 잠금 회로는 배터리 충전기가 차량에 꽂혀 있을 때 차량을 작동하지 못하게 한다.


쏠레노이드 잠금 회로를 테스트하려 할 경우, 다음 절차를 따른다:
1. 배터리가 연결된 상태에서,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로 둔다.
2.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음극에, 그리고 적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으로)을
OBC와 6-핀 연결기 사이 지점에 있는 청색 내장 컴퓨터 전선에 둔다. 완전히 충전된 전압의
수치는 약 48-50볼트이어야 한다. 수치가 48-50볼트가 아니면, 3단계로 간다. 수치가 48-
50볼트이면, 11-16 페이지 테스트 절차 3 – 쏠레노이드 활성 코일로 진행한다.
3. 절연-관통 탐침을 속도 조절기 16-핀 연결기와 주 전선 장치 사이의 지점에 있는 하늘색 18-
게이지 전선에 둔다 (그림 11-5). 만약 수치가 48-50볼트이면, OBC 6-핀 연결기에서 6-핀
연결기 내 전선 단자 연결기를 점검한다. 핀들이 하우징 내에서 잘 배열되어 있도록 하고, 전선
색상이 잘 짝지어 졌는지, 올바른 단자에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한다.
4. 수치가 0 볼트이면, 차량 충전기 콘센트에 충전기 DC 코드를 꽂는다. 대시 표시등이 10초 동안
빛나면, OBC에 전력이 가해진다. DC 코드를 뽑는다; OBC 청색 전선의 수치는 약 48-
50볼트이어야 한다. 차량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DC 코드는 전기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전기 시스템은 전기 페달을 밟았을 때 동력을 올린다. 액셀러레이터 페달 기능을
점검하려면 11-17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4 – MCOR 전압 참조.
5. 10초 동안 대시 표시등이 켜진 후에도, 차량이 작동하지 않으면
5.1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4번 배터리 음극에, 그리고
적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으로)을 OBC와 6-핀 연결기 지점에 있는 하늘색 18-게이지
전선에 둔다.
5.2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둔 상태로, 전압 수치는 약 48볼트이어야 한다.
6. 대시 표시등이 나타나지 않고 차량이 작동하지 않으면, OBC 활성 회로를 점검한다.
6.1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음극에, 그리고 적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으로)을 6-핀 연결기의 OBC 쪽에 위치하고 있는 18-게이지 전선에 둔다. 전압 수치는
약 48볼트이어야 한다. 수치가 맞지 않으면, 견인/주행 스위치와 연결 전선들을 테스트한다.
11-19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6 - 견인/주행 스위치를 참조하라
6.2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음극에, 그리고 적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으로)을 적색 18-게이지 전선 (6-핀 연결기의 장치쪽)에 둔다. 전압 수치는 약
48볼트이어야 한다. 전압이 틀리면, 6-핀 연결기의 연결을 점검한다. 연결이 잘 되어 있으면,
OBC 활성 회로가 이상이 있는 것이므로 OBC를 교체한다

테스트 절차 3 – 쏠레노이드 활성 코일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전자 모듈 커버를 제거하여 쏠레노이드에 접근한다. 15-5 페이지의 전자 모듈 커버 – 유형 A
배터리 환경 설정, 또는 15-6 페이지의 전자 모듈 커버 – 유형 B 및 C 배터리 환경 설정을 보라.
다음 주의를 참조하라
3. 쏠레노이드에서 2개의 소형 전선 단자를 제거한다

11-16
4. 멀티미터의 적색 (+) 탐침을 양극 (+) 쏠레노이드 단자에 둔다. 흑색 (-) 탐침을 다른 소형
쏠레노이드 단자에 둔다. 180에서 190 옴의 수치가 얻어져야 한다 (11-17 페이지 그림 11-6).
그렇지 않으면, 쏠레노이드를 교체한다.

그림 11-9 활성 코일 테스트

테스트 절차 4 – MCOR 전압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MCOR 전압과 비례하는 액셀러레이터 위치는 IQDM 핸드 세트에 표시될 수 있다. IQDM 핸드 세트가
없으면, 11-18페이지 IQDM 핸드세트 없이하는 MCOR 전압 테스트로 진행한다.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한 MCOR 전압 테스트


1.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 경고

 키 스위치는 OFF 위치에 있어야 하며 이 테스트가 완료될 때까지 OFF 위치에 있어야 한다.

2. IQDM을 차량에 연결한다.


3. 테스트 메뉴로 들어가서 스크롤 표시 버튼을 사용하여 조절판 %를 선택한다.
4. IQDM은 페달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0%를 나타내야 한다. IQDM 디스플레이 화면을
모니터링 하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천천히 누른다. 페달이 눌러지면, IQDM은 0% (페달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100% (페달이 완전히 눌러진 상태)까지 증가를 나타내야 한다.
5. MCOR이 4단계에서 설명된 것처럼 작동하지 않으면, 11-18 페이지 IQDM 핸드 세트 없이
MCOR 전압 테스트 단계로 진행한다.

11-17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하지 않는 MCOR 전압 테스트
1.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 경고

 키 스위치는 OFF 위치에 있어야 하며 이 테스트가 완료될 때까지 OFF 위치에 있어야 한다.

2. 배터리가 연결된 상태에서,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로 둔다.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배터리 1번 양극에 적색 (+) 탐침을 두고, 흑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으로)을 MCOR의 3-핀 연결기와 근접한 위치에 있는 자주색 전선 (1)에 둔다 (그림 11-7).
수치는 약 48-50볼트 (완전 충전된 배터리 전압)를 나타내야 한다.
3. 수치가 0볼트이면, MCOR의 3-핀 연결기에서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까지의 자주색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MCOR과 16-핀 연결기의 3-핀 연결기의 단자 위치를 점검한다.
모든 연속성 수치가 옳고 연결기가 잘 배선되었다면, 속도 조절기를 교체한다.
4. 2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음극에, 그리고 적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으로)을
MCOR의 3-핀 연결기에 가까운 지점에 있는 흰색/흑색 내장 전선에 둔다. 수치는 약
4.65볼트이어야 한다.
5. 수치가 0볼트이면, MCOR의 3-핀 연결기에서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까지의 흰색/흑색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MCOR과 16-핀 연결기의 3-핀 연결기의 단자 위치를 점검한다.
모든 연속성 수치가 옳고 연결기가 잘 배선되었다면, 속도 조절기를 교체한다.
6. 2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의 음극에 두고, 적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으로)을
MCOR의 3-핀 연결기에 인접한 지점의 18번 노란색 전선 (3)에 둔다 (그림 11-7). 수치는
페달이 올려진 상태에서 약 0.32볼트이어야 한다.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천천히 누르고
멀티미터의 수치를 기록한다. 페달을 누를 때, 수치는 페달을 완전히 누를 때인 4.65볼트에
이를 때까지 증가한다.
7. 페달을 눌렀는데도 수치가 증가하지 않으면, MCOR을 교체한다.
8. 페달을 완전히 눌렀을 때, 수치가 약 4.60볼트가 아니면, 차량은 최고 등급의 속도로 작동되지
않을 것이다. MCOR 저항을 점검하라.
8.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경고 참조.
8.2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를 분리한다.
8.3 멀티미터를 20k 옴으로 맞춘다. 멀티미터의 적색 (+) 탐침을 절연 관통 탐침이 있는
MCOR 3-핀 연결기의 노란색 전선에 연결한다. 흑색 (-) 탐침은 절연 관통 탐침이 있는
자주색 전선에 연결한다.
8.4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완전히 위로 가 있을 때 (눌려지지 않은 상태), 멀티미터는 약 1k
옴을 나타내야 한다.
8.5 멀티미터를 모니터링하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천천히 누른다. 페달이 눌려짐에 따라
저항은 증가해야 한다. 페달을 바닥까지 눌렀을 때, 멀티미터는 5.67k 옴과 7.43k 옴
사이를 나타내야 한다.
8.6 2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멀티미터의 적색 (+) 탐침을 절연 관통
탐침이 있는 MCOR 3-핀 연결기의 노란색 전선에 연결한다. 흑색 (-) 탐침은 절연 관통
탐침이 있는 흰색/흑색 전선에 연결한다.

11-18
8.7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완전히 위로 가 있을 때 (눌려지지 않은 상태), 멀티미터는 5.67k
옴과 7.43k 옴 사이를 나타내야 한다.
8.8 멀티미터를 모니터링하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천천히 누른다. 저항은 페달을 누름에
따라 떨어져야 한다. 페달을 바닥까지 눌렀을 때, 멀티미터는 약 1k 옴을 나타내야 한다.
8.9 설명된 데로 MCOR이 작동하지 않으면, MCOR을 교체한다.

테스트 절차 5 – A1 및 A2 모터 전압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 경고
 사람과 장비가 회전하는 뒤쪽 바퀴 가까이 오지 않도록 한다. 차 밑으로 사람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회전하는 뒤쪽 바퀴에 닿으면 심각한 인적 상해를 초래할 수 있다.

2. 연결된 배터리와 DC 200볼트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A2 모터 단자


(흰색 전선)에 두고 적색 (+) 탐침을 A1 모터 단자 (녹색 전선)에 연결한다.
3.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놓고, 전진/후진 스위치를 „전진‟ 위치에 두고, 키 스위치를
ON 위치로 돌리고 천천히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밟는다.
4.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누를 때, MCOR 한계 스위치가 닫혀 있으면 전압 수치는 약 RMS
5볼트에서 증가하여,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완전히 눌려질 때 약 48볼트까지 증가해야 한다.
4.1 전압 수치가 증가가 없으면, MCOR을 점검한다. 11-17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4 – MCOR
전압을 참조. 또한 쏠레노이드의 대형 포스트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11-36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14 – 쏠레노이드 연속성 참조.
4.2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4.3 A1과 A2 모터 단자 포스트의 연속성과 F1과 F2 모터 단자 포스트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또한 모든 모터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섹션 18 – 모터 (모델 5BC59JBS6390) 또는
섹션 19 – 모터 (모델 EJ4-4001) 참조.

테스트 절차 6 – 견인/주행 스위치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한 견인/주행 스위치 테스트


1.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두고, IQDM을 차량에 연결한다.
2. IQDM이 차량에 연결된 직후, 스크린은 저작권 공지와 IQDM 모델 번호를 보여 줄 것이다.
3. IQDM 스크린이 비어 있으면, 단 거리를 운전하여 내장 컴퓨터를 활성화한다.
4. 단 거리를 운전한 후 IQDM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작동하기 시작하면 키 스위치를 OFF 위치로
돌리고 5단계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음 단계인, IQDM 핸드 세트 없이 견인/주행
스위치 테스트를 수행한다.

11-19
5. IQDM 이 차량에 연결된 상태에서,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고 90초 동안 기다린다.
6. 만약 90초 후 IQDM 스크린이 블랭크로 바뀌면, 견인/주행 스위치와 연결 전선이 맞게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7. IQDM 스크린이 90초 후에도 여전히 작동하고 있다면, 스위치는 접속 불량이다. 견인/주행
스위치를 교체한다. 15-7 페이지의 견인/주행 스위치 제거 참조.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하지 않는 견인/주행 스위치 테스트


1. 배터리가 연결된 상태에서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4번
배터리 (4개의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의 음극에 연결하고
견인/주행 스위치의 연결기에 인접한 분홍색 전선 (1)의 적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을
연결한다.

‼ 경고

 키 스위치는 OFF 위치에 있어야 하며 이 테스트가 완료될 때까지 OFF 위치에 있어야 한다.

2.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두면, 수치가 대략 48-50볼트이어야 한다. 스위치가 „견인‟
위치인 상태에서는 수치가 대략 5볼트 이하이어야 한다.
3. 만약 스위치가 „견인‟ 위치일 때의 수치가 5볼트 이상이면, 스위치를 교체한다.
4. 스위치가 „주행‟ 위치일 때의 수치가 5볼트 미만이면 쏠레노이드의 대형 포스트에서 견인/주행
스위치의 연결기까지의 청색 18-게이지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5. 연속성 수치에 이상이 없으면, 견인/주행 스위치를 교체한다.

테스트 절차 7 – (전류가 흐를 때의) 배터리 팩 전압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고, 전해질 레벨이 모든 셀에서 이상이 없어야 한다


2. 테스트 장비 도선을 1번 배터리 양극 (+) 포스트와 4번 배터리 (11-20 페이지 그림 11-10 및
11-21 페이지 그림 11-11) 또는 6번 배터리 (11-21 페이지 그림 11-12) 의 음극 (-)
포스트에 연결한다.

그림 11-10 배터리 방전 테스트


(차량의 운전석 쪽에서 본 그림)
1. 적색 탐침은 1번 (+) 배터리로
2. 흑색 탐침은 4번 (-) 배터리로

11-20
그림 11-11 배터리 방전 테스트 – 그림 11-12 배터리 방전 테스트 –
유형 B 배터리 세팅 설정 유형 C 배터리 세팅 설정
(차량의 운전석 쪽에서 본 그림) (차량의 운전석 쪽에서 본 그림)
1. 적색 탐침은 1번 (+) 배터리로 1. 적색 탐침은 1번 (+) 배터리로
2. 흑색 탐침은 4번 (-) 배터리로 2. 흑색 탐침은 6번 (-) 배터리로

3. 방전 기계를 켜고 전류가 흐를 때의 배터리 팩의 전압 수치를 기록한다.


4. 최적 상태에서 완전히 충전된 배터리 세트는 전류가 흐를 때 46-49볼트 사이이다.
5. 32-46볼트는 배터리가 방전 또는 고장 난 것을 의미한다. 각 배터리는 전류가 흐르는 중에
멀티미터로 점검한다.
6. 32볼트 이하는 방전 기계를 활성화 하지 못한다. 배터리의 전압이 32볼트 이하이면, 배터리는
심하게 방전되거나 고장 난 것이다.
7. 전류가 흐를 때의 배터리 팩 전압을 기록함으로 더 정확한 배터리 상태 진단 실행이 가능하다.
방전 기계가 켜져 있으면, 배터리 팩은 전류가 흐를 때의 것이며, 많은 경우 세트의 하나
이상의 배터리가 고장 났는지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
배터리 전압을 테스트할 때에는 항상 올바른 배터리 상태를 알려주는 것은 아니다. 배터리에
관하여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면 섹션 16 – 배터리를 참조.

테스트 절차 8 –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한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테스트


1.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2. 키 스위치를 OFF 상태로 돌리고 전진/후진 스위치를 중립 상태에 둔다.
3. IQDM을 차량에 연결한다.
4. 키 스위치를 테스트한다.
4.1 „테스트‟ 메뉴로 들어가서 „스크롤 표시‟ 버튼으로 „키 입력‟을 선택한다. IQDM은 키
스위치가 OFF 위치에 있을 때, OFF를 나타낸다.
4.2 IQDM 스크린을 모니터링 하면서, 키 스위치를 ON 위치로 돌린다. IQDM이 ON을 나타낼
것이다.

11-21
4.3 키 스위치가 ON 위치에 있을 때 „키 입력‟이 ON에 있다는 것을 IQDM가 나타내지 않으면,
다음 절차, 즉, IQDM을 이용하지 않는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테스트로
진행한다. 키 스위치가 설명된 데로 기능을 하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키 스위치가 올바로 기능을 해야 IQDM 핸드 세트로 MCOR 한계 스위치를 테스트할 수


있다.

5. MCOR 한계 스위치 테스트


5.1 IQDM의 스크롤 표시 버튼으로 테스트 메뉴 상의 „풋 입력‟을 선택한다.
5.2 IQDM은 키 스위치 위치에 상관없이,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누르지 않을 때 „풋 입력‟이 OFF
상태라는 것을 나타내야 한다.
5.3 키 스위치가 ON 위치에 있을 때,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누른다. IQDM은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누를 때 „풋 입력‟이 ON상태라는 것을 나타내야 한다.
6. 4단계와 5단계에서 설명된 데로 수치가 얻어지지 않으면, 다음 단계를 실행한다:
6.1 키 스위치 및 MCOR 의 배선을 점검한다. 11-2 페이지의 배선 도식 참조
6.2 키 스위치 전선 및 MCOR 한계 스위치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7. 문제가 없으면, 다음 절차, 즉 11-22 페이지의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하지 않는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테스트로 진행한다.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하지 않는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테스트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3. 키 스위치를 OFF 위치로 돌리고, 전진/후진 스위치를 중립 상태로 둔다.
4. 키 스위치를 테스트한다.
4.1 기기 패널을 제거한다. 15-1페이지의 키 스위치 제거의 2단계 참조.
4.2 200옴으로 맞추어진 멀티미터를 이용하여, 적색 (+) 탐침을 청색 전선의 키 스위치
단자에 둔다. 흑색 (-) 탐침을 녹색 전선의 키 스위치 단자에 둔다.
4.3 키 스위치가 OFF 위치에 있으면, 멀티미터는 연속성이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4.4 키 스위치가 ON 위치에 있으면, 멀티미터는 연속성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4.5 다른 기록이 얻어지면, 키 스위치를 교체한다. 15-1페이지 키 스위치 제거 참조.
4.6 이전 단계에서 설명된 데로 키 스위치가 작동하면, 제거의 반대 순서로 기기 패널을
설치하고 다음 단계로 간다.
5. MCOR 한계 스위치를 테스트 한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키 스위치가 올바로 작동하는지, 키 스위치 및 대시 패널이 다음 단계로 진행 전에


올바로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한다.

5.1 배터리를 연결하고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 음극에 두고 적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으로)은 MCOR의 2-핀 연결기와 인접한 녹색 전선에 둔다.

11-22
‼ 경고

 회전하는 바퀴로 인한 인적 상해를 피하기 위하여 전진/후진 스위치를 중립에 놓아야 한다.

5.2 견인/주행 스위치는 „주행‟ 상태, 키 스위치는 ON 위치,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는 중립


상태에서, 전압 수치는 0볼트이어야 한다.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누를 때, 전압 수치는 약
48볼트 (완전히 충전된 배터리의 전압)이어야 한다.
5.3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전압 수치가 48볼트이면, MCOR를
교체한다. 15-9 페이지의 MCOR 제거 참조.
5.4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눌러진 상태에서 전압이 0볼트이면, 다음 테스트 절차대로 한계
스위치 회로를 점검한다.
5.4.1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 음극 포스트에 두고 적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은 MCOR에 연결된 청색 전선에 둔다. 키 스위치가 ON에 있는
상태에서, 수치는 약 48볼트 (완전히 충전된 배터리의 전압)이어야 한다.
5.4.2 수치가 0볼트이면, 키 스위치에서 MCOR까지의 청색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5.4.3 수치가 약 48볼트이면, 아래와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5.4.4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 음극 포스트에 두고 적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은 MCOR에 연결된 녹색 전선에 둔다. 견인/주행 스위치가 주행에 있고,
키 스위치가 ON에 있고,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가 중립에 있고,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눌러져 있을 때, 수치는 약 48볼트 (완전히 충전된 배터리의 전압)이어야 한다.
5.4.5 수치가 0볼트이면, MCOR 한계 스위치 및 녹색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한계
스위치가 연속성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면, MCOR을 교체한다. 15-9 페이지의 MCOR
제거 참조.

테스트 절차 9 – 16-핀 연결기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16-핀 연결기를 속도 조절기에서 분리한다. 플러그 내부의 단자 끝을 점검하여, 이들이 제
위치에 있고 플러그 하우징에 잘 안착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단자가 연결기로 끝까지 밀어
넣어 있지 않은 것같이 보이면, 그들이 16-핀 연결기에 단단히 안착될 때까지 단자를 천천히
민다. 각 단자가 하우징으로 밀어 넣어진 후, 제 자리에 잘 안착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선을 살짝 잡아 당겨 본다.
3. 플러그의 전선을 점검하여, 단자 핀 크림프에서 어떤 것도 고장 나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필요
시 수리 또는 교체한다.
4. 각 전선의 색깔을 점검하고 각 핀 위치의 색깔이 배선 도식의 전선 색깔과 맞는지를 확인한다.
11-2페이지 배선 도식 참조.
5. 16-핀 연결기를 조절기에 연결할 때, 플러그를 제 자리에 잘 꽂기 위해서 충분한 힘으로
플러그를 조절기 콘센트로 민다. 플러그가 조절기로 적절히 안착될 때 클릭 소리가 들릴 것이다.

절차는 16-핀 연결기의 각 전선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이다. 16-핀 조절기의 각 핀의 적절한
절차에 관하여는 다음 차트를 참조하라.
참조한 절차의 결과가 절차에서 설명된 것과 다르면, 전선 장치의 전선 연속성을 점검하고 올바른
테스트 절차로 연결된 구성 요소들을 테스트한다. 11-14페이지 테스트 절차 색인 참조

11-23
속도 조절기 16-핀 연결기 전선 테스트 절차
핀 1- 흰색 / 흑색 (18-게이지)
핀 2- 노란색 (18-게이지) 11-24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9A – 핀 1, 2, 3
핀 3- 자주색 (18-게이지)
핀 4- 오픈 (선 없음)
핀 5- 하늘색 (18-게이지) 11-25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9B – 핀 5
핀 6- 녹색 (18-게이지) 11-26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9C – 핀 6
핀 7- 오랜지/흰색 (18-게이지) 11-28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9D – 핀 7
핀 8- 흰색 (18-게이지) 11-28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9E – 핀 8, 16
핀 9- 회색 (18-게이지) 11-30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9F – 핀 9
핀 10- 갈색 (18-게이지) 11-31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9G – 핀 10
핀 11- 오픈 (선 없음)
핀 12- 청색/흰색 (18-게이지) 11-32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9H – 핀 12
핀 13- 흑색/흰색 (18-게이지) 각 전선의 연속성 테스트
핀 14- 연두색 (18-게이지) 11-35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13 – 모터 속도
핀 15- 적색 (18-게이지) 센서
핀 16- 오픈 (18-게이지) 11-28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9E – 핀 8, 16

테스트 절차 9A – 1, 2, 3번 핀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6-핀 연결기의 1, 2 및 3번 핀은 MCOR 분압기에서 속도 조절기까지 연결점을 제공한다.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3.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를 분리한다.
4. 20k 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멀티미터의 적색 (+)탐침을 16-핀 연결기의 2번 핀
(노란색 전선)으로 삽입한다. 다음 주의 참조. 흑색 (-)탐침은 16-핀 연결기의 3번 핀 (자주색
전선)으로 삽입한다 (11-25 페이지 그림 11-13).

주의

 탐침을 16-핀 플러그로 완전히 삽입하지 말라. 이는 연결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5.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완전히 위에 있을 때(눌러지지 않은), 멀티미터는 약 1k 옴을 나타낸다.


6. 멀티미터를 모니터링 하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천천히 누른다. 저항은 페달이 눌러짐에
따라 증가한다. 페달이 바닥까지 완전히 눌러졌을 때, 멀티미터는 5.67k 옴과 7.43k 옴 사이를
나타내야 한다.

11-24
그림 11-13 1, 2, 3번 핀 테스트
20k 옴 세팅 (페달을 밟지 않을 때의 수치)

7. 멀티미터를 20k 옴으로 맞춘다. 멀티미터의 적색 (+) 탐침을 16-핀 연결기의 2번 핀 (노란색
전선)으로 삽입한다. 흑색 (-) 탐침은 1번 핀 (흰색/흑색 전선)으로 연결한다. 상기의 주의 참조.
8.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완전히 위에 있으면 (눌러지지 않은), 멀티미터는 5.67k 옴과 7.43 k 옴
사이를 나타낸다.
9. 멀티미터를 모니터링 하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천천히 누른다. 저항은 페달을 누름에 따라
떨어진다. 페달을 바닥까지 완전히 누를 때, 멀티미터는 약 1 k 옴을 나타내야 한다.
10. 다른 수치가 나타나면, 전선장치의 전선 연속성을 점검한다.

11
테스트 절차 9B – 5번 핀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6-핀 연결기의 5번 핀은 내장 컴퓨터에서 속도 조절기까지 쏠레노이드 잠금 회로에 연결점을


제공한다.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3.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를 분리한다.
4. 멀티미터를 200볼트 DC로 맞춘다. 멀티미터의 적색 (+) 탐침을 16-핀 연결기의 5번 핀
(하늘색 전선)에 삽입한다. 다음 주의사항 참조. 악어 입 클립을 사용해서, 흑색 (-) 탐침을
속도 조절기의 B-단자에 연결한다 (11-26 페이지 그림 11-14).

주의

 탐침을 16-핀 플러그로 완전히 삽입하지 말라. 이는 연결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11-25
그림 11-14 5번 핀 테스트
200 DCV 세팅 (OBC가 전력을 공급하고 배터리 충전기가 연결되지 않았을 때의 수치)

5.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며 양극 (+)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in-lb (12.4Nm)까지 조인다.
6.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둔다.
7. 이 때에 멀티미터는 0 볼트 DC를 나타내야 한다.
8. 멀티미터를 모니터링 하면서, 배터리 충전기를 차량 충전기 콘센트로 꽂는다.
9. 잠깐 기다린 후, 내장 컴퓨터가 켜지고 (절전 모드에서 나옴), 충전기 중계기는 클릭 소리를
내고, 충전기의 전류계는 차량 배터리가 충전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야 한다.
10. 충전기가 차량에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 멀티미터는 0 볼트 DC를 나타내야 한다.
11. 멀티미터를 보면서, DC 플러그를 차량 충전기 콘센트에서 분리한다.
12. 멀티미터는 충전기가 차량에 연결되지 않았을 때 배터리 전압이 꽉 차있다는 것을 나타내야
한다.
13. 다른 수치들이 보여지면, 다음 항목들을 점검한다:
 전선 장치의 전선 연속성
 내장 컴퓨터의 올바른 작동. 11-34 페이지 테스트 절차 11 – 내장 컴퓨터 회색 전선 및
퓨즈 참조.
 견인/주행 스위치의 올바른 작동. 11-19 페이지 테스트 절차 6 – 견인/주행 스위치 참조.

테스트 절차 9C – 6번 핀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6-핀 연결기의 6번 핀은 MCOR 한계 스위치의 속도 조절기로의 연결점을 제공한다.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3.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를 분리한다.

11-26
그림 11-15 6번 핀 테스트
200 DCV 세팅 (OBC가 전력을 공급하고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밟혀졌을 때의 수치)

4. 멀티미터를 200볼트 DC로 맞춘다. 멀티미터의 적색 (+) 탐침을 16-핀 연결기의 6번 핀 (녹색
전선)에 삽입한다. 다음 주의사항 참조. 악어 입 클립을 사용해서, 흑색 (-) 탐침을 속도
조절기의 B-단자에 연결한다 (11-27 페이지 그림 11-15).

주의

 탐침을 16-핀 플러그로 완전히 삽입하지 말라. 이는 연결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5.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 in-lb (12.4Nm)까지 조인다.
6.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두고, 키 스위치는 ON 위치에 두고, 전전/후진 스위치는
전진 위치에 둔다.
7. 이 때에, 멀티미터는 0 볼트 DC를 나타내야 한다.
8. 멀티미터를 모니터링 하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천천히 밟고, 최고 속도의 약 20%에서
페달을 밟고 있는다.
9. 잠깐 기다리면, 내장 컴퓨터가 켜진다 (절전 모드에서 나옴).
10. 멀티미터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밟고 있을 때, 배터리(약 48 볼트)가 완전히 충전된 것으로
나타나야 한다.
11. 멀티미터를 보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놓는다.
12.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밟고 있지 않으면, 멀티미터는 0 볼트를 나타내야 한다.
13. 다른 수치들이 보여지면, 다음 항목들을 점검한다:
 전선 장치의 전선 연속성
 내장 컴퓨터의 올바른 작동. 11-34페이지 테스트 절차 11 – 내장 컴퓨터 회색 전선 및
퓨즈 참조.
 견인/주행 스위치의 올바른 작동. 11-19페이지 테스트 절차 6 – 견인/주행 스위치 참조.
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의 올바른 작동. 11-21 페이지 테스트 절차 8 –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참조.

11-27
테스트 절차 9D – 7번 핀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6-핀 연결기의 7번 핀은 후진 부저의 속도 조절기로의 연결점을 제공한다.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3.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를 분리한다.
4. 악어 입 클립과 점퍼 전선을 속도 조절기의 B-단자와 16핀 연결기의 7번 핀 (오렌지색/흰색
전선) 사이에 둔다 (악어 입 클립으로 연결 시킴) (11-28 페이지 그림 11-16). 다음 주의사항
참조.

주의

 탐침을 16-핀 플러그로 완전히 삽입하지 말라. 이는 연결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5.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 in-lb (12.4Nm)까지 조인다.
6.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둔다.
7. 견인/주행 스위치가 „주행‟ 위치에 있으면, 후진 부저가 소리를 내야 한다.
8. 다른 상황이 발생하면, 다음 항목들을 점검한다:
 전선 장치의 전선 연속성
 후진 부저의 올바른 작동. 11-37 페이지 테스트 절차 16 – 후진 부저 참조.
 견인/주행 스위치의 올바른 작동. 11-19 페이지 테스트 절차 6 – 견인/주행 스위치 참조.
11

그림 11-16 7번 핀 테스트

테스트 절차 9E – 8번 및 16번 핀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6-핀 연결기의 8번 및 16번 핀은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에서 속도 조절기까지의 연결 점을 제공하여


준다. 스위치는 전진/후진 스위치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48 볼트 이상의 신호를 8번 핀을 통해서

11-28
속도 조절기에 제공해 주며 전진/후진 스위치가 „후진‟ 위치에 있을 때 16번 핀을 통해 48 볼트 이상의
신호를 제공해 준다.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뒤쪽
바퀴 바로 앞의, 스프링 장착부와 측면 수평재 사이에 있는 프레임 크로스멤버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3.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를 분리한다.
4. 멀티미터를 200 볼트 DC로 맞추고, 멀티미터의 적색(+) 탐침을 16-핀 연결기의 8번 핀
(흰색 전선)으로 삽입한다. 다음 주의사항 참조. 악어 입 클립으로, 흑색 (-) 탐침을 속도
조절기의 B-단자에 연결한다 (11-30 페이지 그림 11-17).

주의

 탐침을 16-핀 플러그로 완전히 삽입하지 말라. 이는 연결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5.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 in-lb (12.4Nm)까지 조인다.
6.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두고 전진/후진 스위치를 중립 위치에 둔다. 이 때
멀티미터는 0 볼트를 나타내야 한다.
7. 멀티미터를 모니터링 하면서, 전진/후진 스위치가 „후진‟ 위치에 있도록 둔다. 멀티미터는
계속 0 볼트를 나타내야 한다.
8. 전진/후진 스위치는 „전진‟ 위치에 둔다. 멀티미터는 완전한 전압(약 48 볼트)을 나타나야
한다
9. 멀티미터의 적색 (+) 탐침을 16-핀 연결기의 16번 핀 (청색 전선)으로 삽입한다. 흑색 (-)
탐침 (악어 입 클립)이 속도 조절기의 B-단자에 연결되어 있도록 한다. 앞의 주의사항
참조.
10. 전진/후진 스위치를 중립 위치에 둔다. 멀티미터는 이 때 0 볼트 DC를 나타내야 한다.
11. 멀티미터를 모니터링 하면서, 전진/후진 스위치를 „전진‟ 위치에 둔다. 멀티미터는 계속 0
볼트를 나타내야 한다.
12. 전진/후진 스위치를 „후진‟ 위치에 둔다. 멀티미터는 완전한 전압(약 48 볼트)을 나타나야
한다.
13. 다른 수치가 뜨면, 다음 항목들을 점검한다:
 전선 장치의 전선 연속성
 전진/후진 스위치의 올바른 작동. 11-37 페이지 테스트 절차 15 –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참조.
 견인/주행 스위치의 올바른 작동. 11-19 페이지 테스트 절차 6 – 견인/주행 스위치
참조

11-29
그림 11-17 8번 및 16번 핀 테스트
200 DCV 세팅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전진/후진 스위치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테스트 절차 9F – 9번 핀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6-핀 연결기의 9번 핀은 견인/주행 스위치와 속도 조절기의 연결 점을 제공하여 준다. 견인/주행


스위치가 „주행‟에 있을 때, 48 볼트 이상의 신호를 9번 핀 (황갈색 전선)을 통하여 속도 조절기로
제공하여 준다.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3.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를 분리한다.
4. 멀티미터를 200 볼트 DC로 맞추고, 멀티미터의 적색(+) 탐침을 16-핀 연결기의 9번 핀
(회색 전선)으로 삽입한다. 다음 주의사항 참조. 악어 입 클립으로, 흑색 (-) 탐침을 속도
조절기의 B-단자에 연결한다 (11-27페이지 그림 11-16).

주의

 탐침을 16-핀 플러그로 완전히 삽입하지 말라. 이는 연결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5.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 in-lb (12.4Nm)까지 조인다.
6.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면 멀티미터는 0 볼트를 나타내야 한다.
7.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두고 견인/주행 스위치는 „주행‟ 상태에 둔다.

11-30
그림 11-18 9번 핀 테스트
200 DCV 세팅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8. 견인/주행 스위치가 „주행‟ 위치에 있으면, 멀티미터는 충분한 배터리 전압 (약 48 볼트)를


나타내야 한다.
9. 다른 수치가 뜨면, 다음 항목들을 점검한다:
 전선 장치의 전선 연속성
 견인/주행 스위치의 올바른 작동. 11-19 페이지 테스트 절차 6 – 견인/주행 스위치
참조.

테스트 절차 9G – 10번 핀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6-핀 연결기의 10번 핀은 키 스위치와 속도 조절기의 연결 점을 제공하여 준다. 키 스위치가 ON에


있을 때, 키 스위치는 +48 볼트 신호를 10번 핀 (황갈색 전선)을 통하여 속도 조절기로 제공하여 준다.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3.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를 분리한다.
4. 멀티미터를 200 볼트 DC로 맞추고, 멀티미터의 적색(+) 탐침을 16-핀 연결기의 10번 핀
(황갈색 전선)으로 삽입한다. 다음 주의사항 참조. 악어 입 클립으로, 흑색 (-) 탐침을 속도
조절기의 B-단자에 연결한다 (11-32페이지 그림 11-19).

주의

 탐침을 16-핀 플러그로 완전히 삽입하지 말라. 이는 연결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5.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 in-lb (12.4Nm)까지 조인다.
6.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면 멀티미터는 0 볼트를 나타내야 한다.
7.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두고 키 스위치는 ON상태에 둔다.

11-31
그림 11-19 10번 핀 테스트
200 DCV 세팅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그리고 키 스위치를 ON 위치에)

8. 키 스위치가 ON 위치에 있으면, 멀티미터는 충분한 배터리 전압 (약 48 볼트)를 나타내야


한다. 키 스위치가 OFF 위치에 있으면, 수치는 0 볼트이어야 한다.
9. 다른 수치가 뜨면, 다음 항목들을 점검한다:
 전선 장치의 전선 연속성
 견인/주행 스위치의 올바른 작동. 11-19 페이지 테스트 절차 6 – 견인/주행 스위치
참조.
 키 스위치의 올바른 작동. 11-21 페이지 테스트 절차 8 –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참조.

테스트 절차 9H – 12번 핀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6-핀 연결기의 12번 핀은 쏠레노이드 코일과 속도 조절기의 연결 점을 제공한다. 속도 조절기는


적절한 시간에 쏠레노이드 코일에 접지를 제공함으로써 쏠레노이드 코일을 활성화 시킨다.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3.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를 분리한다.
4. 악어 입 클립과 점퍼 전선을 속도 조절기의 B-단자와 16-핀 연결기의 12번 핀 (청색/흰색
전선) 사이에 둔다 (악어 입 클립으로 연결 시킴) (11-33 페이지 그림 11-20). 다음 주의사항
참조

주의

 탐침을 16-핀 플러그로 완전히 삽입하지 말라. 이는 연결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5.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 in-lb (12.4Nm)까지 조인다.
6.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두고 키 스위치는 ON상태에 둔다.

11-32
그림 11-20 12번 핀 테스트

7. 쏠레노이드는 키 스위치가 ON 위치에 갈 때 클릭 소리를 낸다


8. 다른 상황이 발생하면, 다음 항목들을 점검한다:
 전선 장치의 전선 연속성
 후진 부저의 올바른 작동. 11-37 페이지 테스트 절차 16 – 후진 부저 참조
 견인/주행 스위치의 올바른 작동. 11-19 페이지 테스트 절차 6 – 견인/주행 스위치
참조.
 키 스위치의 올바른 작동. 11-21 페이지 테스트 절차 8 –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참조.
 쏠레노이드의 올바른 작동. 11-36 페이지 테스트 절차 14 – 쏠레노이드 연속성 참조.

테스트 절차 10 – 내장 컴퓨터 실리콘-조절 정류기 (SCR) 회로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내장 컴퓨터 내에 있는 실리콘 조절 정류기 (SCR)는 회로의 음극 쪽의 스위치로서 역할을 한다.


이는 내장 컴퓨터 (OBC)가 배터리 충전 전류를 조절하도록 한다.
다음 절차를 사용하여 SCR을 테스트한다:
1. 배터리를 연결하고 멀티미터를 200 볼트 DC로 맞추고, 적색 (+) 탐침은 1번 배터리의 양극
포스트에 두고 흑색 (-) 탐침은 흑색 10-게이지 OBC 전선이 있는 충전기 콘센트 퓨즈 단자에
둔다. 수치는 약 36-42 볼트이어야 한다.
2. 수치가 0 볼트이면, 조절기와 콘센트의 흑색 10-게이지 전선 연결을 점검해 본다. 흑색 10-
게이지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전선 및 연결에 이상이 없으면, SCR가 손상된 것이다.
OBC를 교체한다. 수치가 맞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3. AC 및 DC코드에 꼽는다. 배터리 충전기 중계기가 클릭 되면, 수치는 약 48 볼트 (완전 충전된
배터리 전압)이어야 한다. DC 코드를 꽂고, 중계기를 클릭할 때, 수치가 약 40 볼트에서 최고
배터리 전압까지 올라가지 않으면, 다음 항목들을 점검한다:
 충전기 콘센트의 흑색 전선 단자 소켓
 내장 컴퓨터 회색 전선. 11-34페이지 테스트 절차 11 – 내장 컴퓨터 회색 전선 참조.
 충전기 콘센트의 적색 전선. 11-34 페이지 테스트 절차 12 – 충전기 콘센트 적색 전선
소켓의 전압 참조.

11-33
테스트 절차 11 – 내장 컴퓨터 회색 전선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 배터리를 연결하고 DC 코드를 분리한 상태에서, OBC 회색 전선 (2) 연결부의 부트 (1)를


빼낸다. (11-34 페이지의 그림 11-21). 멀티미터를 200 볼트 DC로 맞추고, 적색 (+) 탐침을
1번 배터리의 양극 포스트에 연결하고 흑색 (-) 탐침을 OBC 연결부에 위치한 회색 16-게이지
전선 (2)에 연결한다 (그림 11-17, 11-30페이지). 수치는 약 48볼트이어야 한다. 수치가 0
볼트이면, OBC를 교체한다.

그림 11-21 OBC 연결

2. 만약 1 단계의 수치가 48 볼트이면, DC 코드를 차량의 충전기 콘센트에 꽂는다. 전압 수치는


충전기 중계기를 클릭하기 전에 약 4 볼트까지 떨어져야 한다.
3. 충전기 중계기가 활성화되면, 수치는 약 48 볼트까지 올라가야 한다.
4. DC 코드가 꽂혀 있을 때 볼트가 약 4 볼트까지 떨어지지 않고 충전기 중계기가 클릭 소리를
낼 때 약 48 볼트까지 올라가지 않으면, OBC의 회색 전선 회로가 고장이 난 것이다. OBC를
교체한다.
5.

테스트 절차 12 – 충전기 콘센트 적색 전선 소켓의 전압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 배터리를 연결하고 DC 코드를 분리한 상태에서, 멀티미터를 200 볼트 DC까지 맞추고, 흑색 (-


) 탐침을 배터리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의 음극 포스트에 연결하고 적색 (+) 탐침을 적색 10-게이지 전선 (3)에 연결된 충전기
콘센트 소켓에 둔다. 수치는 48 – 50 볼트 (충분한 배터리 전압)이어야 한다.
2. 수치가 0 볼트이면, 1번 배터리의 양극 포스트에서 콘센트 소켓까지 10-게이지 적색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11-34
테스트 절차 13 – 모터 속도 센서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한 모터 속도 센서 테스트

주의

 다음 절차는 평지 위에서만 실행한다. 상해나 자산 손상을 막기 위하여, 차량을 밀기 전,


차량 통로가 깨끗한지를 확인한다.

1. 키 스위치를 OFF 위치로 돌리고 전진/후진 스위치를 중립상태로 둔다.


2. IQDM을 차량에 연결한다.
3. 테스트 메뉴에 들어가서 „스크롤 표시‟ 버튼으로 „속도 펄스‟를 선택한다. 차량이 움직이지 않을
때, IQDM은 OFF를 나타내야 한다.
4. IQDM 스크린을 모니터링 하면서, 차량을 단거리 (약 3피트 (1미터))로 천천히 민다. 바퀴가
움직이고 있을 때, IQDM은 속도 센서 펄스에 대하여 ON을 나타내야 한다.
5. 바퀴가 움직이고 있을 때, IQDM이 ON을 나타내지 않으면, 다음 절차, 즉, IQDM 핸드 세트를
사용하지 않는 모터 속도 센서 테스트로 진행한다.

IQDM을 사용하지 않는 모터 속도 센서 테스트


1. 키 스위치를 OFF 위치로 돌리고 전진/후진 스위치를 중립상태로 둔다.
2. 배터리를 연결하고, 모터 속도 센서의 3-핀 연결기를 분리한다.
3. 흑색/흰색 전선의 전압을 점검한다:
3.1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적색 (+) 탐침을 1번 배터리의 양극
포스트에 연결하고 흑색 (-) 탐침을 3-핀 연결기의 흑색/흰색 전선 단자 소켓에 둔다.
전압 수치는 48 – 50 볼트 (완전 충전된 배터리 전압)이어야 한다.
3.2 만약 수치가 0 볼트이면,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에서 모터 속도 센서의 3-핀
연결기까지 흑색/흰색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연속성이 올바르면, 속도 조절기를
교체한다.
4. 적색 모터 속도 센서 전선의 전압을 점검한다:
4.1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두고 200 볼트 DC로 맞춘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의
음극 포스트에 두고 적색 (+) 탐침을 3-핀 연결기의 적색 전선 단자 소켓에 둔다. 전압
수치는 약 15-16 볼트이어야 한다.
4.2 전압 수치가 0 볼트이면,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에서 모터 속도 센서의 3-핀
연결기까지 적색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연속성이 올바르면, 속도 조절기를 교체한다.
4.3 수치가 14 볼트 이하이면, 속도 조절기를 교체한다.
4.4 전압 수치가 맞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5. 연두색 전선의 전압을 점검한다:
5.1 2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배터리 6번의 음극 포스트에
두고 적색 (+) 탐침을 모터 속도 센서의 3-핀 연결기에 있는 연두색 흑색/흰색 전선 암
단자에 둔다. 전압 수치는 4.60 – 4.90 볼트이어야 한다.
5.2 전압 수치가 0 볼트이면,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에서 모터 속도 센서의 3-핀
연결기까지 연두색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연속성이 올바르면, 속도 조절기를
교체한다.
5.3 수치가 3.50 볼트 이하이면, 전선과 플러그의 연속성을 점검하고, 필요 시, 속도 조절기를
교체한다.

11-35
6 모터 속도 센서의 3-핀 연결기를 다시 연결한다. 20 볼트 DC로 맞춰진 멀티미터로, 흑색(-)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의 음극
포스트에 두고 적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으로)을 3-핀 연결기와 모터 속도 센서 사이의
녹색 전선에 둔다.
6.1 뒤 바퀴 하나를 지면 위로 들어 올린다. 뒤쪽 바퀴를 천천히 돌리며 모터 전기자를
회전한다. 전기자가 회전함에 따라, 전압 수치는 0에서 약 4.85 볼트까지 변화할 것이다.
볼트 수치는 0에서 4.85 볼트까지 변동하게 될 것인데, 모터 전기자가 한 번 회전하는
동안 0으로 4번 돌아 갈 것이다.

주목: 4.85의 전압 수치는 대략적인 것임. 실재 수치는 4.50에서 5.00 볼트까지 다를 수도 있다.

6.2 아래의 경우, 속도 센서를 교체하라:


- 전압 수치가 없다
- 전압 수치가 3.50이상이 아니다.
- 모터를 돌릴 때 전압 수치에 변화가 없다.

테스트 절차 14 – 쏠레노이드 연속성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2.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3. 쏠레노이드 앞쪽의 대형 포스트에서 서로 연결된 세 전선을 분리한다.
4. 200 k옴에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쏠레노이드 대형 포스트에 두고 적색
(+) 탐침을 다른 대형 포스트에 둔다. 연속성이 없어야 한다.
5. 앞쪽 대형 쏠레노이드 포스트에서 나온 세 전선을 연결한다. 대형 쏠레노이드 포스트에 워셔와
너트를 설치하고 77 in-lb (8.7 N·m)까지 조인다.
6.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며 양극 (+)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in-lb (12.4Nm)까지 조인다.

‼ 경고

 사람과 장비가 회전하는 뒤쪽 바퀴 가까이 오지 않도록 한다. 차 밑으로 사람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회전하는 뒤쪽 바퀴에 닿으면 심각한 인적 상해를 초래할 수 있다.

7.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놓고, 키 스위치를 ON 위치로 돌리고,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를 „전진‟ 위치에 두고,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밟는다. 쏠레노이드가 클릭하고 멀티미터가
연속성을 나타낼 것이다. 만약 수치가 연속적이지 않으면 쏠레노이드를 교체한다.

11-36
테스트 절차 15 –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한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테스트


1. 키 스위치를 OFF 위치로 돌리고 전진/후진 스위치를 중립 상태로 놓는다.
2. IQDM을 차량에 연결한다.
3. 전진 입력 (FORWARD INPUT)을 테스트한다.
3.1 테스트 메뉴에 들어가서 스크롤 표시 버튼으로 전진 입력을 선택한다. IQDM은 전진/후진
스위치가 중립상태에 있거나 후진상태에 있을 때, OFF를 나타내야 한다.
3.2 전진/후진 스위치를 „전진‟ 상태에 둔다. IQDM은 전진 입력이 ON 상태임을 나타내야
한다. IQDM이 다른 상태를 나타내면, 차량 배선을 점검한다. 11-2페이지 배선 도식 참조.
또한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를 점검한다. 11-23 페이지 테스트 절차 8 – 16-핀
연결기 참조.
4 후진 입력 (REVERSE INPUT)을 테스트한다.
4.3 모니터 입력에 들어가서 스크롤 표시 버튼으로 후진 입력을 선택한다. 전진/후진 스위치가
중립 또는 전진 상태에 있을 때, IQDM은 OFF를 나타내야 한다.
4.4 전진/후진 스위치를 „후진‟ 상태에 둔다. IQDM은 후진 입력이 ON 상태임을 나타내야
한다. IQDM이 다른 것을 나타내면, 차량 배선을 점검한다. 11-2페이지 배선 도식 참조.
또한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를 점검한다. 11-23 페이지 테스트 절차 8 – 16-핀
연결기 참조.
5 IQDM이 상기에서 설명된 것 이외의 다른 것을 나타내거나 배선이 교정되도록 표시된다면,
다음 절차, 즉 IQDM 핸드 세트를 사용하지 않는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테스트로 진행한다.

IQDM 핸드 세트를 사용하지 않는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테스트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차체에서 동작 스위치 케이스를 고정하고 있는 두 개의 나사를 제거한다
3. 차에서 스위치를 제거한다. 15-3 페이지의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제거 참조
4. 동작 스위치에서 나오는 세 전선을 분리한다.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동작 스위치의 청색 전선 단자 3번 위치에 두고, 적색 (+) 탐침을 적색 전선 단자
2번 위치에 둔다. 스위치가 중립 또는 후진상태에 있을 때, 연속성이 없어야 한다. 스위치가
전진에 있으면 연속성이 있어야 하다. 수치가 틀리면, 스위치를 교체한다
5. 흑색 (-) 탐침을 동작 스위치의 흰색 전선 단자 1번 위치에 두고, 적색 (+) 탐침을 적색 전선
단자 위치에 둔다. 스위치가 후진상태에 있을 때, 연속성이 있어야 한다. 수치가 틀리면,
스위치를 교체한다

테스트 절차 16 – 후진 부저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기기 패널을 제거한다. 15-1페이지의 키 스위치 제거의 2단계 참조.
3. 오랜지/흰색 및 분홍색 전선을 후진 부저에서 분리한다.

11-37
4.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며 양극 (+)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in-lb (12.4Nm)까지 조인다.
5. 키 스위치를 OFF 위치로 돌리고 전진/후진 스위치를 „주행‟ 상태에 둔다
6. 200 볼트 DC로 맞춘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의 음극 포스트에 두고 적색 (+) 탐침을 후진 부저에서
분리된 분홍색 전선 단자 종단에 둔다. 전압 수치는 약 48 볼트이어야 한다. (완전 충전된
배터리 전압)
6.1. 만약 전압 수치가 올바르면, 7단계로 가라
6.2. 만약 수치가 0 볼트이면 분홍색 전선의 연속성 및 견인/주행 스위치를 점검한다. 11-
16 페이지 테스트 절차 2 – 내장 컴퓨터 쏠레노이드 잠금 회로를 참조하라. 또한 11-19
페이지 테스트 절차 6 – 견인/주행 스위치 참조
6.3. 만약 전압 수치가 올바르지 않으면,분홍색 전선을 수리 또는 교체하라
6.4. 만약 전압 수치가 올바르면, 7단계로 가라
7. 전진/후진 스위치를 „후진‟ 상태에 둔다. 멀티미터를 200 볼트 DC로 맞추고, 흑색 (-) 탐침을
오렌지색/흰색 전선 단자 종단(후진 부저에서 분리된 것)에 두고 적색 (+) 탐침을 배터리 1번
양극 포스트에 둔다. 수치는 약 48 볼트 (최고 배터리 전압)이어야 한다.
7.1. 전압 수치가 맞으면, 후진 부저를 교체한다.
7.2. 수치가 0 볼트이면 오렌지색/흰색 전선 연속성과 16-핀 연결기의 7번 핀의 연결을
점검한다.
7.3. 오렌지색/흰색 전선에 연속성이 없거나 16-핀 연결기의 7번 핀 단자가 올바로 설치되지
않았으면, 필요 시 수리하거나 교체한다.
7.4. 오렌지색/흰색 전선 연속성과 16-핀 연결기가 올바르고 오렌지색 전선에 전압이 없으면,
조절기를 교체한다.

테스트 절차 17 – 내장 컴퓨터의 재 부팅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내장 컴퓨터 (OBC)가 “잠겨지게” 되어서 OBC 쏠레노이드 잠금 회로의 기능불량을 유발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의심 되면, 다음과 같이 컴퓨터를 다시 시작한다: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주목: 속도 조절기의 축전기가 방전되도록 최소 90초를 기다린다. OBC 재 부팅을 위해서, 속도


조절기의 축전기가 완전히 방전되어야 한다.

2.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에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며 양극 (+) 케이블부터 먼저


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 in-lb (12.4 Nm)까지 조이고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 단자
보호 분무기 (CCI P/N 1014305)로 단자를 코팅한다.
3.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둔다.
4. 차량을 시운전 해본다. 문제가 해결이 되었으면, 차량은 정상적으로 기능을 할 것이다. 문제가
여전히 있으면, 11-2페이지 배선 도식을 참조한다.

11-38
테스트 절차 18 – 배터리 경고 등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 OBC를 재 부팅하고 차량을 단 거리 주행해 본다. 차량을 처음 운전할 때, 배터리 경고 등이


10초 동안 켜져야 한다. 11-38페이지 테스트 절차 17 – 내장 컴퓨터의 재 부팅 참조. 배터리
경고 등이 OBC 재 부팅 시 켜지지 않으면, 2단계로 진행한다.
2. 키 스위치를 OFF로 돌리고,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에 두며,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를
중립상태에 둔다.
3. OBC의 6-핀 연결기를 분리한다.
4. 차량 전선장치에 연결된 6-핀 연결기 하우징에서 쐐기 안전장치를 제거한다. 연결기
플러그에서 갈색/흰색 전선을 제거한다.
5. 각 종단의 악어 입 클립을 가진 점퍼 전선으로, 하나의 악어 입 클립을 1번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에 연결하고, 다른 악어 입 클립을 6-핀 연결기 플러그에서 제거된 갈색/흰색 전선 단자
소켓에 연결한다.
6. 6-핀 연결기 하우징에 쐐기 안전장치를 설치하고 6-핀 연결기 플러그를 다시 연결한다.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상태에 두면 배터리 등이 켜져야 한다. 등이 켜지지 않으면, 배터리
경고 등 조립체를 교체한다.

연락 전시 모듈 (CDM)

그림 11-22 CDM
1. 배터리 부족, 2. 디스플레이 창, 3. 기능 버튼

CDM은 IQ 시스템 차량 문제해결에 유용할 수 있는 내장 컴퓨터 4가지 중요 항목들을 검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항목들 중 하나에 접근하기 위하여, 항목 상응 기능 코드가 CDM 상에서
선택되어야 한다. 이것은 원하는 기능 코드를 창에 나타날 때까지 기능 버튼을 누름으로써 실행된다.
11-39 페이지의 그림 11-22 CDM 특징 참조. 원하는 코드가 나타날 때 버튼을 놓으면 데이터가
보여진다. 기능 코드 및 상응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1-39
 F1 – 배터리 전압:
이는 배터리 팩의 현재 충전 상태를 나타낸다. 48 볼트 이하의 수치는 배터리가 충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충전 후 48 볼트 이하의 수치가 바로 나타나면, 충전 회로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 F2 – 지난 충전 이후로 제거된 에너지 단위:
표시가 75 이상 (차량 배터리 경고 등이 켜져야 한다)이면, 사용하기 전에 차량 배터리를 재
충전해야 한다. 이 데이터는 모든 차량이 단기간에 걸쳐 동등한 활용을 받는가를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F3 – 초기 차량 작동 이후로 제거된 전체 축적 에너지 단위:
이 정보는 모든 차량이 장기간에 걸쳐 동등한 활용을 받는 가를 확인하는데 가장 유용하다.
 F4 – 과거 충전 종결 유형 (1 = 미완성, 2 = DVDT, 4 = 보통, 8 = 최대 타이머):
1, 2, 4, 또는 8이 표시될 것이다.

1 – 지난 충전이 미 완결되었으며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빠른


시일 내에 배터리를 다시 충전해야 한다.
2 – 충전 사이클을 종료하기 위하여 OBC가 백업 충전 프로그램을 사용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DVDT 충전은 새로운 세트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처음 몇 번을 표시할 수도 있고, 한 세트의
배터리가 분리되고 재 연결된 후 처음 충전될 때 표시 된다. 만약 동일한 DVDT 수치가
반복되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4 – 가장 마지막 충전이 정상이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8 - 16시간 동안 충전기가 돌아갔고 충전 사이클을 완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스로
정지하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은 충전 회로에 문제점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CDM은 CDM 배터리가 약하고 교체되어야 할 때 등이 켜지는 배터리 부족 표시 기능을 가진다.


CDM의 배터리가 부족하면, CDM 이 부정확한 정보를 등록하거나 아예 아무 정보도 못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CDM을 이용하여 내장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


1. CDM을 켠다.
2. 배터리 경고 등과 바로 배열 되도록 좌석 아래에 CDM을 둔다. CDM 적외선 LED 수신기가
배터리 경고 등으로 향해 있고 그들 사이에 막힌 것이 없는 지 확인한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CDM을 좌석 아래에 둠으로써, CDM이 내장 컴퓨터로부터 데이터 흐름을 모을 수 없다면,


CDM을 배터리 경고 등에서 6인치 (15.2cm)정도 떨어져 잡고 있는다.

3. 디스플레이 창에 수치가 나타나도록 약 30초 동안 기다린다.


4. 수치가 30초 후에도 디스플레이 창에 나타나지 않으면, 그 수치가 나타날 때까지 CDM의
목표치를 조절하고 3단계를 되풀이한다. 여전히 수치가 보이지 않으면, CDM의 배터리가 부족한
지 점검한다.
4.1 CDM의 목표치를 조절한다.
4.2 OBC가 정지 모드에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차량을 단 거리 운전해 본다.
4.3 CDM의 배터리가 부족한 지 점검한다.
4.4 수치가 여전히 나타나지 않으면, 11-41페이지 CDM 문제해결 가이드로 가시오.

디스플레이 창에 수치가 일단 뜨면, CDM은 그 수신 위치와 검토된 데이터에서 없어질 수도 있다.


CDM이 꺼지거나 동일한 또는 다른 내장 컴퓨터로부터 다른 라인의 데이터를 받을 때까지 F1, F2,
F3와 F4에 대한 값을 지니고 있을 것이다. 다음 절차를 이용해서 CDM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토하라:

11-40
 현재 표시된 값이 F1 (배터리 전압)일 것이다.
 F2를 보기 위해 CDM의 버튼을 누르고 있는다. “Func 2”가 디스플레이 창에 나타날 때 버튼을
놓는다. F2에 대한 값이 곧 표출될 것이다.
 F3를 보기 위해 CDM의 버튼을 누르고 있는다. “Func 3”가 디스플레이 창에 나타날 때 버튼을
놓는다. F3에 대한 값이 곧 표출될 것이다..
 F4를 보기 위해 CDM의 버튼을 누르고 있는다. “Func 4”가 디스플레이 창에 나타날 때 버튼을
놓는다. F4에 대한 값이 곧 표출될 것이다..

주목: 4가지 모든 기능에 대한 값은 CDM 버튼을 누르고 놓음으로써 다시 불러올 수 있다.

CDM 문제해결 가이드

CDM과 내장 컴퓨터 사이의 연락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발점으로써 다음 차트를 사용한다. 더


포괄적인 정보가 필요하면 당신의 클럽 카 대표에게 연락하라.

그림 11-23 흐름 차트 – CDM 문제해결 가이드

OBC이 CDM과 연락되지 않는다


CDM 배터리가 방전되었다. --- CDM 배터리를 교체한다
OBC 프로그램이 “잠겼다”
“+” 배터리 도선을 제거하고 속도 조절기를 방전시킨다. 11-1페이지 경고사항의 설명을 참조한다. 잠깐
후에, 도선을 교체하고 OBC를 다시 시작한다.
OBC가 전원 정지 모드에 있다
차량을 운전하거나 충전기 DC 플러그를 연결하여 OBC를 다시 시작한다
CDM 단위 고장
CDM 교체
배터리 방전시킴
배터리 충전
OBC 고장
OBC 교체
대시 등 고장
대시 등 교체
배선 장애
전선 및 연결부 점검

11-41
섹션 12 – 엑셀 시스템 전기 시스템 및 테스트
‼ 위험

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 경고

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 배터리 단자를 단선하면 인적 상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 판을 제거 또는 설치할 시, 구성 장착판을 배터리 위에 직접 두지 않는다.
- 판들은 차량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한다.

일반 정보

엑셀 시스템 차량은, 4개의 12V 납축전지 배터리 또는 6개의 8V 납축전지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48V 전기 시스템을 사용하며 내장 컴퓨터를 포함한다. 엑셀 시스템 차량은 분권 3.2 마력
모터를 사용하며 몇 가지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 분권 모터: 많은 모터와는 달리 분권 모터는 속도 조절기가 전기자를 통해서 흐르는
전류와는 독립적으로 전기장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 양을 바꿀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 모터 브레이크: 또한, 특정 조건하에서, 분권 모터는 전기 브레이크로써의 역할을 하여 차량
속도를 늦춘다. 모터 브레이크 기능을 작동시키는 액셀 전기 시스템은 워크 어웨이
브레이킹 및 모터 브레이킹 (IQDM-P 핸드 세트로 조절 가능의 2가지 특성을 가진다.
 워크 어웨이 브레이킹: 이는 운전자가 주차 브레이크를 잠그지 않고 경사지에 주차할 때,
차량이 지 맘대로 굴러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며, 이 때 차량은 약 1 mph (1.6 km/h)로
굴러간다. 워크 어웨이 브레이크 기능이 2초 이상 동안 걸려 있다면, 모터 브레이크가
활성화되었음을 운전자에게 알리는 경고음이 울릴 것이다.

!! 경고

 워크 어웨이 브레이크는 매우 경사진 곳에서는 차량 속도를 1 mph (1.6 km/h)로 제한시키지


못할 것이다. 경사도가 20%가 넘는 곳에서 차량을 운행하지 말라.
 모터 브레이킹: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약간 누르며 내리막길을 내려갈 때, 이 모터 브레이크
기능은 운전자가 프로그램 된 최고 속도 이하로 운전할 때 운전자를 돕도록 활성화된다.
예를 들면, 차량이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반쯤 눌러진 채 내리막길을 내려갈 때, 브레이크
기능은 운전자가 프로그램 메뉴에서 설정된 최고 속도의 약 절반의 속도를 유지하도록
활성화된다

(12-7페이지에서 계속)

12-1
배선 도식

그림 12-1 프레시덴트 엑셀 시스템 배선 도식

12-2
12

12
그림 12-2 프레시덴트 엑셀 시스템 배선 도식

12-3
그림 12-3 프레시덴트 전기 차량 액세서리 배선 도식
등은 있으나 회전 신호가 없을 때 사용됨
대개 회전 신호가 있을 때 사용됨

12-4
그림 12-4 프레시덴트 전기 차량 액세서리 배선 도식
여기 나타난 일부 배선 / 구성요소는 액세서리 옵션임
12

12-5
그림 12-5 프레시덴트 전기 차량 도구 패널 배선 도식
여기 나타난 일부 배선 / 구성요소는 액세서리 옵션임

12-6
 재생식 브레이크: 모터 브레이크가 활성화 되면,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를
만들며, 차량을 늦추는 발전기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 견인/주행 스위치: 견인/주행 스위치가 „주행‟ 위치에 있을 때, 차량은 정상적으로 기능을 한다.
반면, 이 스위치가 „견인‟ 위치에 있을 때는, OBC와 조절기로의 동력이 차단되어, 차량 작동
회로 및 워크 어웨이 브레이크 기능을 무능화 시킴으로써, 차량이 견인될 수 있도록 한다.
 모터 보호 회로: 운전자는 경사면에서 브레이크 페달 대신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절대 누르지
말아야 한다. 이는 모터 과열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경우, 모터 보호 회로는
모터로의 전류를 감소시킴으로써 모터가 손상될 가능성을 줄인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모터 멈춤 장애가 속도 조절기에 의해서 기록되며 진단 내역 메뉴의 IQDM 핸드 세트상에
보여지게 될 것이다. 14-10페이지 모터 멈춤 참조.
 페달 높음 탐지: 이 기능은, 액셀러레이터를 밟은 후 키 스위치를 ON으로 켰을 때, 예상
밖으로 차량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차량은 액셀러레이터를 떼었다 다시 밟아야만
움직인다. 이런 상황이 발생했을 때 HPD 오류가 속도 조절기에 의해 기록되며 진단 내역
메뉴내의 IQDM 핸드세트에 디스플레이 된다. 14-10 페이지의 HPD 참조
 내장 컴퓨터 (OBC): OBC는 1)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 하며, 2) 차량 내 에너지 장치들의 수를
모니터링 하며, 3) 배터리 재 충전시 필요한 에너지 장치들의 수를 판단하여 이 수에 도달했을
때 충전기를 차단하며, 4) 언제 재생 모터 브레이크를 활성화 할 지를 판단하며, 5) 충전기가
차량 충전기 콘센트에 꼽혀있을 동안 차량 움직임을 잠그며, 6) 연락 전시 모듈 (CDM)이 읽을
수 있도록, 운영 데이터를 저장한다. 12-39 페이지의 연락 전시 모듈 (CDM) 참조

문제해결

다음의 문제 해결 가이드는 문제 발생시 작동 장애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며, 증상, 예상되는


원인(들)과 점검에 대한 제안 사항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점검을 하는데 사용되는 절차는 유지 보수 및
서비스 매뉴얼의 부록 섹션에서 찾을 수 있다.

IQDM 차량 문제 해결
클럽카는 엑셀 전기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의 문제해결을 위하여 IQDM 핸드 세트를 사용하도록
권장한다. 문제해결 가이드 1은 IQDM 핸드 세트와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섹션 14 – IQ 디스플레이
모듈 (IQDM) 및 IQDM-P 진단: 운전 지침 사항을 위한 엑셀 시스템을 참조하라. 다음의 경고 참조.

‼ 경고

 차량 운전자는 차량 운전 중 IQDM을 모니터 하지 말아야 한다. 기술자가 차량 운전석에서


IQDM을 모니터링 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 경고를 따르지 않으면 심각한 인적 상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문제해결 가이드 1을 완료한 후에도 차량이 적절히 기능을 하지 않으면, 기술자는 문제해결 가이드 2를
실행해야 한다.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할 수 없을 때는, 문제해결 가이드 2를 실행하라.

12-7
문제 해결 가이드 1
다음의 문제해결 가이드는 IQDM 핸드 세트를 사용하도록 의도되었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차량 문제해결 전, 특별 진단 메뉴의 진단 내역을 점검하라. 코드에 오류가 있는지 주목하라.

문제해결 가이드 1
증상 가능한 원인 정정 조치
테스트 메뉴 – 조절판 % 수치가 MCOR 의 3-핀 연결기가 풀렸거나 수리 그리고/또는 MCOR에 3-핀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누를 때 분리됨. 또는 전선이 손상됨 연결기 연결
증가하지 않는다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가
수리 그리고/또는 속도 조절기에
또는 풀렸거나 분리됨. 또는 전선이
16-핀 연결기 연결
진단 메뉴 – 조절판 장애 장애 코드 손상됨
12-16쪽의 테스트 절차 4 - MCOR
MCOR 고장
전압
테스트 메뉴 – 열 씽크°C는 온도가 과 조절된 브레이크 섹션 6 – 바퀴 브레이크 조립체
85°C (145°F)이상임을 나타낸다
가동 전, 차량 중량이 초과되지
또는 중량 초과 차량
않도록 확인
진단 메뉴 – 열 삭감 장애 코드
테스트 메뉴 – ARM PWM 수치가
MCOR 장애 12-16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4 -
차량이 최고 속도일 때 100%까지
MCOR 전압
도달하지 않는다.
테스트 메뉴 – 차량이 작동 중인데, 모터 속도 센서가 풀렸거나 분리됨. 수리 그리고/또는 모터 속도 센서에
속도 펄스 메뉴 항목에 속도 펄스가 또는 전선이 손상됨 3-핀 연결기 연결
꺼진 것으로 나타남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가
수리 그리고/또는 속도 조절기에
풀렸거나 분리됨. 또는 전선이
또는 16-핀 연결기 연결
손상됨
진단 메뉴 – 속도 센서 장애 코드 12-35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13 –
모터 속도 센서 고장
모터 속도 센서
테스트 메뉴 – 풋 입력 메뉴 항목이 속도 조절기의 2-핀 연결기가
수리 그리고/또는 MCOR에 2-핀
MCOR 내부 한계 스위치가 항상 풀렸거나 분리됨. 또는 전선이
연결기 연결
켜져 있거나 꺼져 있는 것으로 손상됨
표시한다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가
수리 그리고/또는 속도 조절기에
풀렸거나 분리됨. 또는 전선이
16-핀 연결기 연결
손상됨
MCOR 장애 12-21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8 –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테스트 메뉴 – 전진 입력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신속 분리
수리 그리고/또는 전진/후진
그리고/또는 후진 입력 수치가 단자)가 풀렸거나 분리됨. 또는
스위치에 신속 분리 단자 연결
올바르지 않다 전선이 손상됨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3-핀 수리 그리고/또는 전진/후진
연결기)가 풀렸거나 분리됨. 또는 스위치로부터 3-핀 연결기를 전선에
전선이 손상됨 연결.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가
수리 그리고/또는 속도 조절기에
풀렸거나 분리됨. 또는 전선이
16-핀 연결기 연결
손상됨
12-37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15 –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장애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다음 페이지에 문제해결 가이드 계속

12-8
문제해결 가이드 1

증상 가능한 원인 정정 조치
테스트 메뉴 – MAIN CONT 배터리를 분리하고 속도 조절기
DRIVER (쏠레노이드)가 축전기를 방전시킨다. 1-2 페이지 섹션
쏠레노이드가 활성화되어야 할 때 1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ON을 나타내지 않는다 속도 조절기 논리 기능 불량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해…” 참조.
배터리를 재 연결하고 증상이
또는 지속되는지를 본다.

진단 메뉴 – MAIN CONT DNC 쏠레노이드 또는 B+ 속도 조절기


풀렸거나 분리된 전선 수리
(주요 접촉자 (쏠레노이드)가 단자의 전선이 풀렸거나,
그리고/또는 연결
접속되지 않음) 결함 코드 손상되었거나, 분리되었다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가
수리 그리고/또는 16-핀 연결기를
풀렸거나 분리됨. 또는 전선이
속도 조절기에 연결
손상됨
쏠레노이드 교체. 15-18 페이지의
쏠레노이드 장애
쏠레노이드 제거 참조.
테스트 메뉴 – 키 입력이 키 키 스위치 단자 전선이 풀렸거나 수리 그리고/또는 전진/후진 스위치에
스위치가 ON상태에 있을 때 ON을 분리됨. 또는 전선이 손상됨 신속 분리 단자 연결
나타내지 않는다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가
수리 그리고/또는 속도 조절기에 16-
풀렸거나 분리됨. 또는 전선이
핀 연결기 연결
손상됨
12-21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8 – 키
키 스위치 장애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진단 메뉴 – „조절판 결함 1‟ 결함 MCOR 의 3-핀 연결기가 풀렸거나 수리 그리고/또는 3-핀 연결기를
코드 분리됨. 또는 전선이 손상됨 MCOR에 연결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가
수리 그리고/또는 16-핀 연결기를
풀렸거나 분리됨. 또는 전선이
속도 조절기에 연결
손상됨
12-16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4 –
MCOR 장애
MCOR 전압
진단 메뉴 – „HW 장애 방지‟ 속도 조절기내 전기자 드라이브
속도 조절기 교체. 15-16 페이지 속도
(하드웨어 장애 방지) 결함 코드 FET‟s (전기장-영향 트랜지스터)
조절기 제거 참조.
장애
배터리를 분리하고 속도 조절기
축전기를 방전시킨다. 1-2 페이지 섹션
1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속도 조절기 논리 기능 불량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해…” 참조.
배터리를 재 연결하고 증상이
지속되는지를 본다.
진단 메뉴 – „주요 접합‟ (주요 쏠레노이드 교체. 15-18 페이지
쏠레노이드 접촉 접속 불량
쏠레노이드 접합 접촉) 결함 코드 쏠레노이드 제거 참조.
진단 메뉴 – 주요 드라이버 ON 배터리를 분리하고 속도 조절기
또는 주요 드라이버 OFF 결함 코드 축전기를 방전시킨다. 1-2 페이지 섹션
1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속도 조절기 논리 기능 불량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해…” 참조.
배터리를 재 연결하고 증상이
지속되는지를 본다.
쏠레노이드 코일을 조절하는 FET 속도 조절기 교체. 15-16 페이지 속도
장애 조절기 제거 참조.

문제해결 가이드 다음 페이지에 계속…

12-9
문제해결 가이드 1

증상 가능한 원인 정정 조치
진단 메뉴 – „주 코일 결함‟ 결함
코드
쏠레노이드 코일이 개방 상태에서 쏠레노이드 교체. 15-18 페이지
또는
장애 발생 쏠레노이드 제거 참조.
진단 메뉴 – „주 드롭아웃‟ (1 또는
2) 결함 코드
진단 메뉴 – „전기장 미싱‟ 결함 코드 모터나 속도 조절기의 모터 필드
필드 코일 전선을 수리 그리고/또는
코일 전선이 풀렸거나 분리됨. 또는
연결
전선이 손상됨
섹션 18 – 모터 (모델
모터 전기장 와인딩 장애 5BC59JBS6390) 또는 섹션 19 –
모터 (모델 EJ4-4001)
속도 조절기 교체. 15-16 페이지
전기장 전류를 조절하는 FET 장애
속도 조절기 제거 참조.
진단 메뉴 – „HPD‟ (고 페달 감지) 키 스위치를 ON으로 돌리거나
결함 코드 전진/후진 스위치로 선택 방향을
운전자 에러 바꾸기 전, 액셀러레이터 페달에서
발을 완전히 떼도록 운전자를
훈련시킨다
진단 메뉴 – „저 배터리‟ 결함 코드 배터리를 충전기에 두고 완전히
배터리 충전 필요
충전될 때까지 둔다
부적절한 유지 관리 또는 배터리
섹션 16- 배터리
장애
진단 메뉴 – „모터 멈춤‟ 결함 코드 언덕 길에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운전자 에러 밟지 않고, 브레이크를 사용하도록
운전자를 훈련시킨다

12-10
문제해결 가이드 2

문제해결 가이드 2
증상 가능한 원인 정정 조치
차량이 작동되지 않음 배터리 - 배터리 방전됨 배터리 충전
차량 배선 점검. 12-2페이지 배선
배터리 - 배터리 연결 상태
도식 참조
배터리 충전기가 차량에 연결됨 –
쏠레노이드 잠금 기능이 차량을 작동 차량에서 배터리 충전기를 분리한다
못하게 함
12-15 페이지 테스트 절차 2 – 내장
내장 컴퓨터 장애
컴퓨터 쏠레노이드 잠금 회로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키 스위치 및 MCOR의 전선이
회로 풀렸거나 분리되었는지 점검한다
12-21쪽의 테스트 절차 8 – 키
키 스위치 장애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12-21쪽의 테스트 절차 8 –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MCOR 장애
또한 12-16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4 – MCOR 전압 참조
12-37 페이지 테스트 절차 15 –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12-16 페이지 테스트 절차 3 –
쏠레노이드 – 느슨한 전선
쏠레노이드 활성 코일
12-16 페이지 테스트 절차 3 –
쏠레노이드 – 코일 장애
쏠레노이드 활성 코일
조절기가 식게 놔두고 작동하기 전에
속도 조절기 열 삭감 차량이 과 부하되지 않았는지를
확인한다
16-핀 연결기의 전선이 풀렸는지
분리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12-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
23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9 – 16-핀
연결기 참조.
페달 높음 감지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순환시킨다
모터 멈춤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순환시킨다
섹션 18 – 모터 (모델
모터 장애 5BC59JBS6390) 또는 섹션 19 –
모터 (모델 EJ4-4001)
속도 조절기 교체. 15-16 페이지
속도 조절기 장애
속도 조절기 제거 참조
느슨하거나 연결되지 않은 전선이
모터 – 모터 연결부
있는지 점검
느슨하거나 연결되지 않은 전선이
속도 조절기 – 모터 및 전원 연결
있는지 점검
문제해결 가이드 다음 페이지에 계속..

12-11
문제해결 가이드 2

증상 가능한 원인 정정 조치
차량이 천천히 달린다 12-35 페이지 테스트 절차 13 –
속도 센서 분리 또는 장애
모터 속도 센서.
차량의 프로그램 된 최고 속도를
부적절한 속도 셋팅 바꾸기 위하여, IQDM-P 핸드 세트
사용
차량 배선 점검. 12-2 페이지 배선
배선 – 부적절한 전선
도식 참조.
배터리 - 배터리 방전 배터리 충전
12-16 페이지 테스트 절차 4 –
MCOR 기능불량
MCOR 전압
모터의 모든 전선 연결을 점검하고
모터 – 느슨한 전선
조인다
모터 교체. 18-3 페이지 모터 제거
모터 장애
참조.
차량을 작동하기 전에 과부하 되지
과적 차량
않았는지를 확인한다
속도 조절기 교체. 15-16 페이지
속도 조절기 장애
속도 조절기 제거 참조
브레이크 – 부적절한 조절 섹션 6 – 바퀴 브레이크 조립체 참조
타이어 – 바람이 적거나 펑크 섹션 8 – 바퀴와 타이어 참조
차량이 작동을 하지만 모터 브레이크 차량 배선 점검. 12-2 페이지 배선
배선 – 부적절한 배선
기능이 작동 하지 않는다 도식 참조
12-35 페이지 테스트 절차 13 –
속도 센서 분리 또는 장애
모터 속도 센서.
차량이 전진은 하지만 후진이 되지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 부적절한 12-37 페이지 테스트 절차 15 –
않거나, 후진은 되지만 전진이 되지 배선 전진/ 후진 동작 스위치
않는다 모터 배선 점검. 12-2 페이지 배선
모터 – 부적절한 배선
도식 참조
속도 조절기 – 속도 조절기 FET의 차량 배선 점검. 12-2 페이지 배선
부적절한 배선 또는 장애 도식 참조
차량이 작동은 되지만, 배터리 12-34페이지 테스트 절차 11 –
내장 컴퓨터 – 회색 전선
충전기가 작동되지 않는다. 내장 컴퓨터 회색 전선
배터리 충전기 연결 – 콘센트 또는 전선 연결을 점검하고 필요 시
배터리의 전선이 느슨함 조인다.

적절한 배터리 충전기 유지 관리 및


배터리 충전기
서비스 매뉴얼 참조

12-12
테스트 절차

다음 절차를 이용하여, 차량을 방대히 분해하지 않고도 전체 전기 시스템을 테스트할 수 있다.

‼ 경고

 전선 제거 또는 교체 시, 배선과 전선이 적절히 배치되고 안전하게 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적절한 배치와 안전한 배선을 불이행하게 되면 차량 기능 불량, 재산 손실, 인적 상해 또는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대부분의 테스트 진행 시, 구성 요소 장착판에 설치되는 다양한 구성 요소에 접근하기 위하여 전자


모듈 커버를 제거해야만 한다. 15-6 페이지의 전자 모듈 커버 – 유형 B 및 C 배터리 환경 설정을 보라.
다음 경고를 참조하라.

‼ 경고

 배터리 단자를 단선하면 인적 상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 판을 제거 또는 설치할 시, 구성 장착판을 배터리 위에 직접 두지 않는다.
- 판들은 차량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한다.

테스트 완료 후, 커버를 교체하여야 한다. 15-6 페이지의 전자 모듈 커버 – 유형 B 및 C 배터리 환경


설정을 보라. 다음 주의를 참조하라

주의

 전자 구성 요소들은 물에 노출될 시 손상될 수 있다.


- 커버를 올바로 설치하지 않으면 차량을 운전하지 말라
- 커버 주위로 물줄기를 향하게 하지 말라

12-13
테스트 절차 색인
1. 배터리/전압 점검
2. 내장 컴퓨터 쏠레노이드 잠금 회로
3. 쏠레노이드 활성 코일
4. MCOR 전압
5. A1 및 A2 모터 전압
6. 견인/주행 스위치
7. (전류가 흐를 때의) 배터리 팩의 전압
8.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9. 16-핀 연결기
10. 내장 컴퓨터 실리콘-제어 정류기 (SCR) 회로
11. 내장 컴퓨터 회색 전선
12. 충전기 콘센트 적색 전선 소켓 전압
13. 모터 속도 센서
14. 쏠레노이드 접촉
15.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16. 후진 부저
17. 내장 컴퓨터 재부팅
18. 배터리 경고 표시등

테스트 절차 1 – 배터리/전압 점검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주목: 다음 테스트 절차를 실행하기 위하여 배터리를 올바로 관리하고 완전히 충전해야 한다. 급수
정보와 허용 미네랄 함유량 등을 포함한 배터리 관리 절차는 이 매뉴얼의 섹션 16에서 찾을
수 있다. 16-14페이지의 배터리 관리 참조.

배터리 전압은 IQDM 핸드 세트로 표시 가능하다. IQDM 핸드 세트가 없으면, 12-14 페이지의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하지 않는 배터리/전압 점검‟으로 진행한다.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한 배터리/전압 점검


1. 차량에 IQDM을 연결한다.
2. 테스트 메뉴에 들어가서 스크롤 표시 버튼을 사용하여 „배터리 전압‟을 선택한다.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을 경우 IQDM는 최소 48볼트를 나타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배터리
연결이 느슨하거나 배터리가 반대 극으로 설치되었는가를 점검한다. 배터리 테스트에 관한
자세한 사항이 필요하면 섹션 16 – 배터리를 참조하라.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하지 않는 배터리/전압 점검


1. 연결된 배터리와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적색 (+) 탐침을 1번 배터리의
양극 (+)에 두고 흑색 (-) 탐침을 4번 배터리의 음극 (-)이나 (12-15페이지 그림 12-6) 또는
6번 배터리 (12-15페이지 그림 12-7)에 둔다.
2.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을 경우 멀티미터가 최소 48볼트를 나타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배터리 연결이 느슨하거나 배터리가 반대 극으로 설치되었는가를 점검한다. 배터리 테스트에
관한 자세한 사항이 필요하면 섹션 16 – 배터리 참조하라

12-14
그림 12-6 배터리 전압 테스트 – 유형 그림 12-7 배터리 전압 테스트 – 유형
B 배터리 세팅 설정 C 배터리 세팅 설정
(차량의 운전석 쪽에서 본 그림) (차량의 운전석 쪽에서 본 그림)
1. 적색 탐침은 1번 (+) 배터리로 1. 적색 탐침은 1번 (+) 배터리로
2. 흑색 탐침은 4번 (-) 배터리로 2. 흑색 탐침은 6번 (-) 배터리로

테스트 절차 2 – 내장 컴퓨터 쏠레노이드 잠금 회로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쏠레노이드 잠금 회로는 배터리 충전기가 차량에 꽂혀 있을 때 차량을 작동하지 못하게 한다.


쏠레노이드 잠금 회로를 테스트하려 할 경우, 다음 절차를 따른다:
1. 배터리가 연결된 상태에서,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로 둔다.
2.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의 음극에, 그리고 적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으로)을
OBC와 6-핀 연결기 사이 지점에 있는 청담색 내장 컴퓨터 전선에 둔다. 완전히 충전된 전압의
수치는 약 48-50볼트이어야 한다. 수치가 48-50볼트가 아니면, 3단계로 간다. 수치가 48-
50볼트이면, 12-16 페이지 테스트 절차 3 – 쏠레노이드 활성 코일로 진행한다.
3. 절연-관통 탐침을 속도 조절기 16-핀 연결기와 주 전선 장치 사이의 지점에 있는 하늘색 18-
게이지 전선에 둔다. 만약 수치가 48-50볼트이면, OBC 6-핀 연결기에서 6-핀 연결기 내 전선
단자 연결기를 점검한다. 핀들이 하우징 내에서 잘 배열되어 있도록 하고, 전선 색상이 잘 짝지어
졌는지, 올바른 단자에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한다.
4. 수치가 0 볼트이면, 차량 충전기 콘센트에 충전기 DC 코드를 꽂는다. 대시 표시등이 10초 동안
빛나면, OBC에 전력이 가해진다. DC 코드를 뽑는다; OBC 청색 전선의 수치는 약 48-
50볼트이어야 한다. 차량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DC 코드는 전기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전기 시스템은 전기 페달을 밟았을 때 동력을 올린다. 액셀러레이터 페달 기능을
점검하려면 12-16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4 – MCOR 전압 참조.
5. 10초 동안 대시 표시등이 켜진 후에도, 차량이 작동하지 않으면
5.1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4번 배터리 음극에, 그리고
적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으로)을 OBC 6-핀 연결기 지점에 있는 하늘색 18-게이지
전선에 둔다.
5.2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둔 상태에서, 전압 수치는 약 48볼트이어야 한다.

12-15
6. 대시 표시등이 나타나지 않고 차량이 작동하지 않으면, OBC 활성 회로를 점검한다.
6.1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음극에, 그리고 적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으로)을 6-핀 연결기의 OBC 쪽에 위치하고 있는 18-게이지 전선에 둔다. 전압 수치는
약 48볼트이어야 한다. 수치가 맞지 않으면, 견인/주행 스위치와 연결 전선들을 테스트한다.
12-19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6 - 견인/주행 스위치를 참조하라
6.2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의 음극에, 그리고 적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으로)을 적색 18-게이지 전선 (6-핀 연결기의 장치쪽)에 둔다. 전압 수치는 약
48볼트이어야 한다. 전압이 맞으면, 6-핀 연결기의 연결을 점검한다. 연결이 잘 되어 있으면,
OBC 활성 회로에 이상이 있는 것이므로 OBC를 교체한다

테스트 절차 3 – 쏠레노이드 활성 코일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전자 모듈 커버를 제거하여 쏠레노이드에 접근한다. 15-6 페이지의 전자 모듈 커버 – 유형 B 및
C 배터리 환경 설정을 보라. 다음 주의를 참조하라
3. 쏠레노이드에서 2개의 소형 전선 단자를 제거한다
4. 멀티미터의 적색 (+) 탐침을 양극 (+) 쏠레노이드 단자에 둔다. 흑색 (-) 탐침을 다른 소형
쏠레노이드 단자에 둔다. 180에서 190 옴의 수치가 얻어져야 한다 (12-16 페이지 그림 12-8).
그렇지 않으면, 쏠레노이드를 교체한다.

그림 12-8 활성 코일 테스트

테스트 절차 4 – MCOR 전압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MCOR 전압과 비례하는 액셀러레이터 위치는 IQDM 핸드 세트에 표시될 수 있다. IQDM 핸드 세트가
없으면, 12-17 페이지 IQDM 핸드세트 없이하는 MCOR 전압 테스트로 진행한다.

12-16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한 MCOR 전압 테스트
1.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 경고

 키 스위치는 OFF 위치에 있어야 하며 이 테스트가 완료될 때까지 OFF 위치에 있어야 한다.

2. IQDM을 차량에 연결한다.


3. 테스트 메뉴로 들어가서 스크롤 표시 버튼을 사용하여 조절판 %를 선택한다.
4. IQDM은 페달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0%를 나타내야 한다. IQDM 디스플레이 화면을
모니터링 하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천천히 누른다. 페달이 눌러지면, IQDM은 0% (페달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100% (페달이 완전히 눌러진 상태)까지 증가를 나타내야 한다.
5. MCOR이 4단계에서 설명된 것처럼 작동하지 않으면, 12-17 페이지 IQDM 핸드 세트 없이
MCOR 전압 테스트 단계로 진행한다.

2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하지 않는 MCOR 전압 테스트


1.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 경고

 키 스위치는 OFF 위치에 있어야 하며 이 테스트가 완료될 때까지 OFF 위치에 있어야 한다.

2. 배터리가 연결된 상태에서,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로 둔다.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배터리 1번 양극에 적색 (+) 탐침을 두고, 흑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으로)을 MCOR의 3-핀 연결기와 근접한 위치에 있는 자주색 전선 (1)에 둔다. 수치는 약
48-50볼트 (완전 충전된 배터리 전압)를 나타내야 한다.
3. 수치가 0볼트이면, MCOR의 3-핀 연결기에서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까지의 자주색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MCOR과 16-핀 연결기의 3-핀 연결기의 단자 위치를 점검한다.
모든 연속성 수치가 옳고 연결기가 잘 배선되었다면, 속도 조절기를 교체한다.
4. 2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음극에, 그리고 적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으로)을
MCOR의 3-핀 연결기에 가까운 지점에 있는 흰색/흑색 내장 전선에 둔다. 수치는 약
4.65볼트이어야 한다.
5. 수치가 0볼트이면, MCOR의 3-핀 연결기에서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까지의 흰색/흑색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MCOR과 16-핀 연결기의 3-핀 연결기의 단자 위치를 점검한다.
모든 연속성 수치가 옳고 연결기가 잘 배선되었다면, 속도 조절기를 교체한다.

12-17
6. 2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의 음극에 두고, 적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으로)을
MCOR의 3-핀 연결기에 인접한 지점의 18번 노란색 전선 (3)에 둔다. 수치는 페달이 올려진
상태에서 약 0.32볼트이어야 한다.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천천히 누르고 멀티미터의 수치를
기록한다. 페달을 누를 때, 수치는 페달을 완전히 누를 때인 4.65볼트에 이를 때까지 증가한다.
7. 페달을 눌렀는데도 수치가 증가하지 않으면, MCOR을 교체한다.
8. 페달을 완전히 눌렀을 때, 수치가 약 4.60볼트가 아니면, 차량은 최고 등급의 속도로 작동되지
않을 것이다. MCOR 저항을 점검하라.
8.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경고 참조.
8.2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를 분리한다.
8.3 멀티미터를 20k 옴으로 맞춘다. 멀티미터의 적색 (+) 탐침을 절연 관통 탐침이 있는
MCOR 3-핀 연결기의 노란색 전선에 연결한다. 흑색 (-) 탐침은 절연 관통 탐침이 있는
자주색 전선에 연결한다.
8.4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완전히 위로 가 있을 때 (눌려지지 않은 상태), 멀티미터는 약 1k
옴을 나타내야 한다.
8.5 멀티미터를 모니터링하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천천히 누른다. 페달이 눌려짐에 따라
저항은 증가해야 한다. 페달을 바닥까지 눌렀을 때, 멀티미터는 5.67k 옴과 7.43k 옴
사이를 나타내야 한다.
8.6 2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멀티미터의 적색 (+) 탐침을 절연 관통
탐침이 있는 MCOR 3-핀 연결기의 노란색 전선에 연결한다. 흑색 (-) 탐침은 절연 관통
탐침이 있는 흰색/흑색 전선에 연결한다.
8.7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완전히 위로 가 있을 때 (눌려지지 않은 상태), 멀티미터는 5.67k
옴과 7.43k 옴 사이를 나타내야 한다.
8.8 멀티미터를 모니터링하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천천히 누른다. 저항은 페달을 누름에
따라 떨어져야 한다. 페달을 바닥까지 눌렀을 때, 멀티미터는 약 1k 옴을 나타내야 한다.
8.9 설명된 데로 MCOR이 작동하지 않으면, MCOR을 교체한다.
12

테스트 절차 5 – A1 및 A2 모터 전압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 경고

 사람과 장비가 회전하는 뒤쪽 바퀴 가까이 오지 않도록 한다. 차 밑으로 사람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회전하는 뒤쪽 바퀴에 닿으면 심각한 인적 상해를 초래할 수 있다.

2. 연결된 배터리와 DC 200볼트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A2 모터 단자


(흰색 전선)에 두고 적색 (+) 탐침을 A1 모터 단자 (녹색 전선)에 연결한다.
3.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놓고, 전진/후진 스위치를 „전진‟ 위치에 두고, 키 스위치를
ON 위치로 돌리고 천천히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밟는다.

12-18
4.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누를 때, MCOR 한계 스위치가 닫혀 있으면 전압 수치는 약 RMS
5볼트에서 증가하여,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완전히 눌려질 때 약 48볼트까지 증가해야 한다.
4.1 전압 수치가 증가가 없으면, MCOR을 점검한다. 12-16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4 – MCOR
전압을 참조. 또한 쏠레노이드의 대형 포스트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12-36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14 – 쏠레노이드 연속성 참조.
4.2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4.3 A1과 A2 모터 단자 포스트의 연속성과 F1과 F2 모터 단자 포스트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또한 모든 모터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섹션 18 – 모터 (모델 5BC59JBS6390) 또는
섹션 19 – 모터 (모델 EJ4-4001) 참조.

테스트 절차 6 – 견인/주행 스위치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한 견인/주행 스위치 테스트


1.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두고, IQDM을 차량에 연결한다.
2. IQDM이 차량에 연결된 직후, 스크린은 저작권 공지와 IQDM 모델 번호를 보여 줄 것이다.
3. IQDM 스크린이 비어 있으면, 단 거리를 운전하여 내장 컴퓨터를 활성화한다.
4. 단 거리를 운전한 후 IQDM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작동하기 시작하면 키 스위치를 OFF 위치로
돌리고 5단계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음 단계인, IQDM 핸드 세트 없이 견인/주행
스위치 테스트를 수행한다.
5. IQDM 이 차량에 연결된 상태에서,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고 90초 동안 기다린다.
6. 만약 90초 후 IQDM 스크린이 블랭크로 바뀌면, 견인/주행 스위치와 연결 전선이 맞게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7. IQDM 스크린이 90초 후에도 여전히 작동하고 있다면, 스위치는 접속 불량이다. 견인/주행
스위치를 교체한다. 15-8 페이지의 견인/주행 스위치 제거 참조.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하지 않는 견인/주행 스위치 테스트


1. 전자 모듈을 배터리 용기에 고정하고 있는 나사를 제거하고, 모듈을 앞으로 당겨 견인/주행
스위치 전선에 접근한다.
2. 배터리가 연결된 상태에서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4번
배터리 (4개의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의 음극에 연결하고
견인/주행 스위치의 연결기에 인접한 분홍색 전선의 적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을
연결한다.

‼ 경고

 키 스위치는 OFF 위치에 있어야 하며 이 테스트가 완료될 때까지 OFF 위치에 있어야 한다.

3.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두면, 수치가 대략 48-50볼트이어야 한다. 스위치가 „견인‟
위치인 상태에서는 수치가 대략 5볼트 이하이어야 한다.
4. 만약 스위치가 „견인‟ 위치일 때의 수치가 5볼트 이상이면, 스위치를 교체한다.

12-19
5. 스위치가 „주행‟ 위치일 때의 수치가 5볼트 미만이면 쏠레노이드의 대형 포스트에서 견인/주행
스위치의 연결기까지의 청색 18-게이지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6. 연속성 수치에 이상이 없으면, 견인/주행 스위치를 교체한다.

테스트 절차 7 – (전류가 흐를 때의) 배터리 팩 전압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고, 전해질 레벨이 모든 셀에서 이상이 없어야 한다


2. 테스트 장비 도선을 1번 배터리 양극 (+) 포스트와 4번 배터리 (12-20 페이지 그림 12-9)
또는 6번 배터리 (12-20 페이지 그림 12-10) 의 음극 (-) 포스트에 연결한다.

그림 12-9 배터리 방전 테스트 – 유형 B 그림 12-10 배터리 방전 테스트 – 유형 C


배터리 세팅 설정 배터리 세팅 설정
(차량의 운전석 쪽에서 본 그림) (차량의 운전석 쪽에서 본 그림)
1. 적색 탐침은 1번 (+) 배터리로 1. 적색 탐침은 1번 (+) 배터리로
2. 흑색 탐침은 4번 (-) 배터리로 2. 흑색 탐침은 6번 (-) 배터리로

3. 방전 기계를 켜고 전류가 흐를 때의 배터리 팩의 전압 수치를 기록한다.


4. 최적 상태에서 완전히 충전된 배터리 세트는 전류가 흐를 때 46-49볼트 사이이다.
5. 32-46볼트는 배터리가 방전 또는 고장 난 것을 의미한다. 각 배터리는 전류가 흐르는 중에
멀티미터로 점검한다.
6. 32볼트 이하는 방전 기계를 활성화 하지 못한다. 배터리의 전압이 32볼트 이하이면, 배터리는
심하게 방전되거나 고장 난 것이다.
7. 전류가 흐를 때의 배터리 팩 전압을 기록함으로 더 정확한 배터리 상태 진단 실행이 가능하다.
방전 기계가 켜져 있으면, 배터리 팩은 전류가 흐를 때의 것이며, 많은 경우 세트의 하나
이상의 배터리가 고장 났는지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
배터리 전압을 테스트할 때에는 항상 올바른 배터리 상태를 알려주는 것은 아니다. 배터리에
관하여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면 섹션 16 – 배터리를 참조.

12-20
테스트 절차 8 –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한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테스트


1.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2. 키 스위치를 OFF 상태로 돌리고 전진/후진 스위치를 중립 상태에 둔다.
3. IQDM을 차량에 연결한다.
4. 키 스위치를 테스트한다.
4.1 „테스트‟ 메뉴로 들어가서 „스크롤 표시‟ 버튼으로 „키 입력‟을 선택한다. IQDM은 키
스위치가 OFF 위치에 있을 때, OFF를 나타낸다.
4.2 IQDM 스크린을 모니터링 하면서, 키 스위치를 ON 위치로 돌린다. IQDM이 ON을 나타낼
것이다.
4.3 키 스위치가 ON 위치에 있을 때 „키 입력‟이 ON에 있다는 것을 IQDM가 나타내지 않으면,
다음 절차, 즉, IQDM을 이용하지 않는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테스트로
진행한다. 키 스위치가 설명된 데로 기능을 하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키 스위치가 올바로 기능을 해야 IQDM 핸드 세트로 MCOR 한계 스위치를 테스트할 수


있다.

5. MCOR 한계 스위치 테스트


5.1 IQDM의 스크롤 표시 버튼으로 테스트 메뉴 상의 „풋 입력‟을 선택한다.
5.2 IQDM은 키 스위치 위치에 상관없이,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누르지 않을 때 „풋 입력‟이 OFF
상태라는 것을 나타내야 한다.
5.3 키 스위치가 ON 위치에 있을 때,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누른다. IQDM은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누를 때 „풋 입력‟이 ON상태라는 것을 나타내야 한다.

6. 4단계와 5단계에서 설명된 데로 수치가 얻어지지 않으면, 다음 단계를 실행한다:


6.1 키 스위치 및 MCOR 의 배선을 점검한다. 12-2 페이지의 배선 도식 참조
6.2 키 스위치 전선 및 MCOR 한계 스위치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7. 문제가 없으면, 다음 절차, 즉 12-21 페이지의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하지 않는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테스트로 진행한다.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하지 않는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테스트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3. 키 스위치를 OFF 위치로 돌리고, 전진/후진 스위치를 중립 상태로 둔다.
4. 키 스위치를 테스트한다.
4.1 기기 패널을 제거한다. 15-1페이지의 키 스위치 제거의 2단계 참조.
4.2 200옴으로 맞추어진 멀티미터를 이용하여, 적색 (+) 탐침을 청색 전선의 키 스위치
단자에 둔다. 흑색 (-) 탐침을 키 스위치 단자에 둔다.
4.3 키 스위치가 OFF 위치에 있으면, 멀티미터는 연속성이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12-21
4.4 키 스위치가 ON 위치에 있으면, 멀티미터는 연속성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4.5 다른 기록이 얻어지면, 키 스위치를 교체한다. 15-1페이지 키 스위치 제거 참조.
4.6 이전 단계에서 설명된 데로 키 스위치가 작동하면, 제거의 반대 순서로 기기 페널을
설치하고 다음 단계로 간다.
5. MCOR 한계 스위치를 테스트 한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키 스위치가 올바로 작동하는지, 키 스위치 및 대시 패널이 다음 단계로 진행 전에 올바로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한다.

5.1 배터리를 연결하고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 음극에 두고 적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으로)은 MCOR의 2-핀 연결기와 인접한 녹색 전선에 둔다.

‼ 경고

 회전하는 바퀴로 인한 인적 상해를 피하기 위하여 전진/후진 스위치를 중립에 놓아야 한다.

5.2 견인/주행 스위치는 „주행‟ 상태, 키 스위치는 ON 위치,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는 중립


상태에서, 전압 수치는 0볼트이어야 한다.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누를 때, 전압 수치는 약
48볼트 (완전히 충전된 배터리의 전압)이어야 한다.
5.3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전압 수치가 48볼트이면, MCOR를
교체한다. 15-9 페이지의 MCOR 제거 참조.
5.4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눌러진 상태에서 전압이 0볼트이면, 다음 테스트 절차대로 한계
스위치 회로를 점검한다.
5.4.1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 음극 포스트에 두고 적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은 MCOR에 연결된 청색 전선에 둔다. 키 스위치가 ON에
있는 상태에서, 수치는 약 48볼트 (완전히 충전된 배터리의 전압)이어야 한다.
5.4.2 수치가 0볼트이면, 키 스위치에서 MCOR까지의 청색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5.4.3 수치가 약 48볼트이면, 아래와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5.4.4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 음극 포스트에 두고 적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은 MCOR에 연결된 녹색 전선에 둔다. 견인/주행 스위치가
주행에 있고, 키 스위치가 ON에 있고,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가 중립에 있고,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눌러져 있을 때, 수치는 약 48볼트 (완전히 충전된 배터리의
전압)이어야 한다.
5.4.5 수치가 0볼트이면, MCOR 한계 스위치 및 녹색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한계
스위치가 연속성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면, MCOR을 교체한다. 15-9 페이지의
MCOR 제거 참조.

12-22
테스트 절차 9 – 16-핀 연결기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16-핀 연결기를 속도 조절기에서 분리한다. 플러그 내부의 단자 끝을 점검하여, 이들이 제
위치에 있고 플러그 하우징에 잘 안착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단자가 연결기로 끝까지 밀어
넣어 있지 않은 것같이 보이면, 그들이 16-핀 연결기에 단단히 안착될 때까지 단자를 천천히
민다. 각 단자가 하우징으로 밀어 넣어진 후, 제 자리에 잘 안착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선을 살짝 잡아 당겨 본다.
3. 플러그의 전선을 점검하여, 단자 핀 크림프에서 어떤 것도 고장 나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필요
시 수리 또는 교체한다.
4. 각 전선의 색깔을 점검하고 각 핀 위치의 색깔이 배선 도식의 전선 색깔과 맞는지를 확인한다.
12-2페이지 배선 도식 참조.
5. 16-핀 연결기를 조절기에 연결할 때, 플러그를 제 자리에 잘 꽂기 위해서 충분한 힘으로
플러그를 조절기 콘센트로 민다. 플러그가 조절기로 적절히 안착될 때 클릭 소리가 들릴 것이다.

절차는 16-핀 연결기의 각 전선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이다. 16-핀 조절기의 각 핀의 적절한
절차에 관하여는 다음 차트를 참조하라.
참조한 절차의 결과가 절차에서 설명된 것과 다르면, 전선 장치의 전선 연속성을 점검하고 올바른
테스트 절차로 연결된 구성 요소들을 테스트한다. 12-14페이지 테스트 절차 색인 참조
2

속도 조절기 16-핀 연결기 전선 테스트 절차


핀 1- 흰색 / 흑색 (18-게이지) 12-24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9A – 핀 1, 2, 3
핀 2- 노란색 (18-게이지) 3번 핀의 연속성 테스트와 12-35 페이지의
핀 3- 자주색 / 흰색 (18-게이지) 테스트 절차 13 – 모터 속도 센서 시행
핀 4- 오픈 (선 없음)
핀 5- 하늘색 (18-게이지) 12-25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9B – 핀 5
핀 6- 녹색 (18-게이지) 12-26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9C – 핀 6
핀 7- 오랜지/흰색 (18-게이지) 12-27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9D – 핀 7
핀 8- 흰색 (18-게이지) 12-28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9E – 핀 8, 16
핀 9- 회색 (18-게이지) 12-30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9F – 핀 9
핀 10- 갈색 (18-게이지) 12-31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9G – 핀 10
핀 11- 오픈 (선 없음)
핀 12- 청색/흰색 (18-게이지) 12-32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9H – 핀 12
핀 13- 흑색/흰색 (18-게이지) 각 전선의 연속성 테스트
핀 14- 연두색 (18-게이지) 12-35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13 – 모터 속도
핀 15- 적색 (18-게이지) 센서 시행
핀 16- 오픈 (18-게이지) 12-28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9E – 핀 8, 16

12-23
테스트 절차 9A – 1, 2, 3번 핀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6-핀 연결기의 1, 2 및 3번 핀은 MCOR 분압기에서 속도 조절기까지 연결점을 제공한다.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3.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를 분리한다.
4. 20k 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멀티미터의 적색 (+)탐침을 16-핀 연결기의 2번 핀
(노란색 전선)으로 삽입한다. 다음 주의 참조. 흑색 (-)탐침은 16-핀 연결기의 3번 핀 (자주색
전선)으로 삽입한다 (12-24 페이지 그림 12-11).

주의

 탐침을 16-핀 플러그로 완전히 삽입하지 말라. 이는 연결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5.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완전히 위에 있을 때(눌러지지 않은), 멀티미터는 약 1k 옴을 나타낸다.


6. 멀티미터를 모니터링 하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천천히 누른다. 저항은 페달이 눌러짐에
따라 증가한다. 페달이 바닥까지 완전히 눌러졌을 때, 멀티미터는 5.67k 옴과 7.43k 옴 사이를
나타내야 한다.
12

그림 12-11 1, 2, 3번 핀 테스트
20k 옴 세팅 (페달을 밟지 않을 때의 수치)

7. 멀티미터를 20k 옴으로 맞춘다. 멀티미터의 적색 (+) 탐침을 16-핀 연결기의 2번 핀 (노란색
전선)으로 삽입한다. 흑색 (-) 탐침은 1번 핀 (흰색/흑색 전선)으로 연결한다. 상기의 주의 참조.
8.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완전히 위에 있으면 (눌러지지 않은), 멀티미터는 5.67k 옴과 7.43 k 옴
사이를 나타낸다.
9. 멀티미터를 모니터링 하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천천히 누른다. 저항은 페달을 누름에 따라
떨어진다. 페달을 바닥까지 완전히 누를 때, 멀티미터는 약 1 k 옴을 나타내야 한다.
10. 다른 수치가 나타나면, 전선장치의 전선 연속성을 점검한다.

12-24
테스트 절차 9B – 5번 핀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6-핀 연결기의 5번 핀은 내장 컴퓨터에서 속도 조절기까지 쏠레노이드 잠금 회로에 연결점을


제공한다.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3.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를 분리한다.
4. 멀티미터를 200볼트 DC로 맞춘다. 멀티미터의 적색 (+) 탐침을 16-핀 연결기의 5번 핀
(하늘색 전선)에 삽입한다. 다음 주의사항 참조. 악어 입 클립을 사용해서, 흑색 (-) 탐침을
속도 조절기의 B-단자에 연결한다 (12-25 페이지 그림 12-12).

주의

 탐침을 16-핀 플러그로 완전히 삽입하지 말라. 이는 연결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림 12-12 5번 핀 테스트
200 DCV 세팅 (OBC가 전력을 공급하고 배터리 충전기가 연결되지 않았을 때의 수치)

5.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며 양극 (+)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in-lb (12.4Nm)까지 조인다.
6.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둔다.
7. 이 때 멀티미터는 0 볼트 DC를 나타내야 한다.
8. 멀티미터를 모니터링 하면서, 배터리 충전기를 차량 충전기 콘센트로 꽂는다.
9. 잠깐 기다린 후, 내장 컴퓨터가 켜지고 (절전 모드에서 나옴), 충전기 중계기는 클릭 소리를
내고, 충전기의 전류계는 차량 배터리가 충전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야 한다.
10. 충전기가 차량에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 멀티미터는 0 볼트 DC를 나타내야 한다.
11. 멀티미터를 보면서, DC 플러그를 차량 충전기 콘센트에서 분리한다.
12. 멀티미터는 충전기가 차량에 연결되지 않았을 때 배터리 전압이 꽉 차있다는 것을 나타내야
한다.

12-25
13. 다른 수치들이 보여지면, 다음 항목들을 점검한다:
 전선 장치의 전선 연속성
 내장 컴퓨터의 올바른 작동. 12-34 페이지 테스트 절차 11 – 내장 컴퓨터 회색 전선 및
퓨즈 참조.
 견인/주행 스위치의 올바른 작동. 12-19 페이지 테스트 절차 6 – 견인/주행 스위치 참조.

테스트 절차 9C – 6번 핀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6-핀 연결기의 6번 핀은 MCOR 한계 스위치와 속도 조절기의 연결점을 제공한다.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3.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를 분리한다.

그림 12-13 6번 핀 테스트
200 DCV 세팅 (OBC가 전력을 공급하고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밟혀졌을 때의 수치)

4. 멀티미터를 200볼트 DC로 맞춘다. 멀티미터의 적색 (+) 탐침을 16-핀 연결기의 6번 핀 (녹색
전선)에 삽입한다. 다음 주의사항 참조. 악어 입 클립을 사용해서, 흑색 (-) 탐침을 속도
조절기의 B-단자에 연결한다 (12-26 페이지 그림 12-15).

주의

 탐침을 16-핀 플러그로 완전히 삽입하지 말라. 이는 연결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5.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 in-lb (12.4Nm)까지 조인다.
6.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두고, 키 스위치는 ON 위치에 두고, 전전/후진 스위치는
전진 위치에 둔다.

12-26
7. 이 때, 멀티미터는 0 볼트 DC를 나타내야 한다.
8. 멀티미터를 모니터링 하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천천히 밟고, 최고 속도의 약 20%에서
페달을 밟고 있는다.
9. 잠깐 기다리면, 내장 컴퓨터가 켜진다 (절전 모드에서 나옴).
10. 멀티미터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밟고 있을 때, 배터리(약 48 볼트)가 완전히 충전된 것으로
나타나야 한다.
11. 멀티미터를 보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놓는다.
12.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밟고 있지 않으면, 멀티미터는 0 볼트를 나타내야 한다.
13. 다른 수치들이 보여지면, 다음 항목들을 점검한다:
 전선 장치의 전선 연속성
 내장 컴퓨터의 올바른 작동. 12-34페이지 테스트 절차 11 – 내장 컴퓨터 회색 전선 및
퓨즈 참조.
 견인/주행 스위치의 올바른 작동. 12-19페이지 테스트 절차 6 – 견인/주행 스위치 참조.
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의 올바른 작동. 12-21 페이지 테스트 절차 8 –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참조.

테스트 절차 9D – 7번 핀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6-핀 연결기의 7번 핀은 후진 부저의 속도 조절기로의 연결점을 제공한다.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3.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를 분리한다.
4. 악어 입 클립과 점퍼 전선을 속도 조절기의 B-단자와 16핀 연결기의 7번 핀 (오렌지색/흰색
전선) 사이에 둔다 (악어 입 클립으로 연결 시킴) (12-28 페이지 그림 12-16). 다음 주의사항
참조.

주의

 탐침을 16-핀 플러그로 완전히 삽입하지 말라. 이는 연결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5.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 in-lb (12.4Nm)까지 조인다.
6.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둔다.
7. 견인/주행 스위치가 „주행‟ 위치에 있으면, 후진 부저가 소리를 내야 한다.
8. 다른 상황이 발생하면, 다음 항목들을 점검한다:
 전선 장치의 전선 연속성
 후진 부저의 올바른 작동. 12-37 페이지 테스트 절차 16 – 후진 부저 참조.
 견인/주행 스위치의 올바른 작동. 12-19 페이지 테스트 절차 6 – 견인/주행 스위치 참조.
11

12-27
그림 12-14 7번 핀 테스트

테스트 절차 9E – 8번 및 16번 핀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6-핀 연결기의 8번 및 16번 핀은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에서 속도 조절기까지의 연결 점을 제공하여


준다. 스위치는 전진/후진 스위치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48 볼트 이상의 신호를 8번 핀을 통해서
속도 조절기에 제공해 주며 전진/후진 스위치가 „후진‟ 위치에 있을 때 16번 핀을 통해 48 볼트 이상의
신호를 제공해 준다.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뒤쪽
바퀴 바로 앞의, 스프링 장착부와 측면 수평재 사이에 있는 프레임 크로스멤버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3.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를 분리한다.
4. 멀티미터를 200 볼트 DC로 맞추고, 멀티미터의 적색(+) 탐침을 16-핀 연결기의 8번 핀
(흰색 전선)으로 삽입한다. 다음 주의사항 참조. 악어 입 클립으로, 흑색 (-) 탐침을 속도
조절기의 B-단자에 연결한다 (12-30 페이지 그림 12-17).

주의

 탐침을 16-핀 플러그로 완전히 삽입하지 말라. 이는 연결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5.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 in-lb (12.4Nm)까지 조인다.
6.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두고 전진/후진 스위치를 중립 위치에 둔다. 이 때
멀티미터는 0 볼트를 나타내야 한다.

12-28
7. 멀티미터를 모니터링 하면서, 전진/후진 스위치가 „후진‟ 위치에 있도록 둔다. 멀티미터는
계속 0 볼트를 나타내야 한다.
8. 전진/후진 스위치는 „전진‟ 위치에 둔다. 멀티미터는 완전한 전압(약 48 볼트)을 나타나야
한다
9. 멀티미터의 적색 (+) 탐침을 16-핀 연결기의 16번 핀 (청색 전선)으로 삽입한다. 흑색 (-)
탐침 (악어 입 클립)이 속도 조절기의 B-단자에 연결되어 있도록 한다. 앞의 주의사항
참조.
10. 전진/후진 스위치를 중립 위치에 둔다. 멀티미터는 이 때 0 볼트 DC를 나타내야 한다.
11. 멀티미터를 모니터링 하면서, 전진/후진 스위치를 „전진‟ 위치에 둔다. 멀티미터는 계속 0
볼트를 나타내야 한다.
12. 전진/후진 스위치를 „후진‟ 위치에 둔다. 멀티미터는 완전한 전압(약 48 볼트)을 나타나야
한다.
13. 다른 수치가 뜨면, 다음 항목들을 점검한다:
 전선 장치의 전선 연속성
 전진/후진 스위치의 올바른 작동. 12-37 페이지 테스트 절차 15 –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참조.
 견인/주행 스위치의 올바른 작동. 12-19 페이지 테스트 절차 6 – 견인/주행 스위치
참조

그림 12-15 8번 및 16번 핀 테스트


200 DCV 세팅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전진/후진 스위치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12-29
테스트 절차 9F – 9번 핀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6-핀 연결기의 9번 핀은 견인/주행 스위치와 속도 조절기의 연결 점을 제공하여 준다. 견인/주행


스위치가 „주행‟에 있을 때, 48 볼트 이상의 신호를 9번 핀 (황갈색 전선)을 통하여 속도 조절기로
제공하여 준다.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3.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를 분리한다.
4. 멀티미터를 200 볼트 DC로 맞추고, 멀티미터의 적색(+) 탐침을 16-핀 연결기의 9번 핀
(회색 전선)으로 삽입한다. 다음 주의사항 참조. 악어 입 클립으로, 흑색 (-) 탐침을 속도
조절기의 B-단자에 연결한다 (12-30페이지 그림 12-16).

주의

 탐침을 16-핀 플러그로 완전히 삽입하지 말라. 이는 연결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5.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 in-lb (12.4Nm)까지 조인다.
6.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면 멀티미터는 0 볼트를 나타내야 한다.
7.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둔다.

그림 12-16 9번 핀 테스트
200 DCV 세팅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8. 견인/주행 스위치가 „주행‟ 위치에 있으면, 멀티미터는 충분한 배터리 전압 (약 48 볼트)를


나타내야 한다.
9. 다른 수치가 뜨면, 다음 항목들을 점검한다:
 전선 장치의 전선 연속성

12-30
 견인/주행 스위치의 올바른 작동. 12-19 페이지 테스트 절차 6 – 견인/주행 스위치
참조.
12

테스트 절차 9G – 10번 핀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6-핀 연결기의 10번 핀은 키 스위치와 속도 조절기의 연결 점을 제공하여 준다. 키 스위치가 ON에


있을 때, 키 스위치는 +48 볼트 신호를 10번 핀 (황갈색 전선)을 통하여 속도 조절기로 제공하여 준다.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3.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를 분리한다.
4. 멀티미터를 200 볼트 DC로 맞추고, 멀티미터의 적색(+) 탐침을 16-핀 연결기의 10번 핀
(황갈색 전선)으로 삽입한다. 다음 주의사항 참조. 악어 입 클립으로, 흑색 (-) 탐침을 속도
조절기의 B-단자에 연결한다 (12-31페이지 그림 12-17).

주의

 탐침을 16-핀 플러그로 완전히 삽입하지 말라. 이는 연결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림 12-17 10번 핀 테스트


200 DCV 세팅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그리고 키 스위치를 ON 위치에)

5.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 in-lb (12.4Nm)까지 조인다.
6.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면 멀티미터는 0 볼트를 나타내야 한다.
7.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두고 키 스위치는 ON상태에 둔다.
8. 키 스위치가 ON 위치에 있으면, 멀티미터는 충분한 배터리 전압 (약 48 볼트)를 나타내야
한다. 키 스위치가 OFF 위치에 있으면, 수치는 0 볼트이어야 한다.

12-31
9. 다른 수치가 뜨면, 다음 항목들을 점검한다:
 전선 장치의 전선 연속성
 견인/주행 스위치의 올바른 작동. 12-19 페이지 테스트 절차 6 – 견인/주행 스위치
참조.
 키 스위치의 올바른 작동. 12-21 페이지 테스트 절차 8 –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참조.

테스트 절차 9H – 12번 핀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6-핀 연결기의 12번 핀은 쏠레노이드 코일과 속도 조절기의 연결 점을 제공한다. 속도 조절기는


적절한 시간에 쏠레노이드 코일에 접지를 제공함으로써 쏠레노이드 코일을 활성화 시킨다.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3.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를 분리한다.
4. 악어 입 클립과 점퍼 전선을 속도 조절기의 B-단자와 16-핀 연결기의 12번 핀 (청색/흰색
전선) 사이에 둔다 (악어 입 클립으로 연결 시킴) (12-32 페이지 그림 12-18). 다음 주의사항
참조

주의

 탐침을 16-핀 플러그로 완전히 삽입하지 말라. 이는 연결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5.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 in-lb (12.4Nm)까지 조인다.

그림 12-18 12번 핀 테스트

12-32
6.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두고 키 스위치는 ON상태에 둔다.
7. 쏠레노이드는 키 스위치가 ON 위치에 갈 때 클릭 소리를 낸다
8. 다른 상황이 발생하면, 다음 항목들을 점검한다:
 전선 장치의 전선 연속성
 후진 부저의 올바른 작동. 12-37 페이지 테스트 절차 16 – 후진 부저 참조
 견인/주행 스위치의 올바른 작동. 12-19 페이지 테스트 절차 6 – 견인/주행 스위치
참조.
 키 스위치의 올바른 작동. 12-21 페이지 테스트 절차 8 –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참조.
 쏠레노이드의 올바른 작동. 12-36 페이지 테스트 절차 14 – 쏠레노이드 연속성 참조.

테스트 절차 10 – 내장 컴퓨터 실리콘-조절 정류기 (SCR) 회로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내장 컴퓨터 내에 위치하는 실리콘 조절 정류기 (SCR)는 회로의 음극 쪽의 스위치로서 역할을 한다.


이는 내장 컴퓨터 (OBC)가 배터리 충전 전류를 조절하도록 한다.
다음 절차를 사용하여 SCR을 테스트한다:
1. 배터리를 연결하고 멀티미터를 200 볼트 DC로 맞추고, 적색 (+) 탐침은 1번 배터리의 양극
포스트에 두고 흑색 (-) 탐침은 흑색 10-게이지 전선이 있는 충전기 콘센트 소켓에 둔다.
수치는 약 36-42 볼트이어야 한다.
2. 수치가 0 볼트이면, OBC 연결기와 흑색 10-게이지 전선 연결을 점검해 본다. 흑색 10-게이지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전선 및 연결에 이상이 없으면, SCR가 손상된 것이다. OBC를
교체한다. 수치가 맞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3. AC 및 DC코드에 꼽는다. 배터리 충전기 중계기가 클릭 되면, 수치는 약 48 볼트 (완전 충전된
배터리 전압)이어야 한다. DC 코드를 꽂고, 중계기를 클릭할 때, 수치가 약 40 볼트에서 최고
배터리 전압까지 올라가지 않으면, 다음 항목들을 점검한다:
 충전기 콘센트의 흑색 전선 단자 소켓
 내장 컴퓨터 회색 전선. 12-34페이지 테스트 절차 11 – 내장 컴퓨터 회색 전선 참조.
 충전기 콘센트의 적색 전선. 12-34 페이지 테스트 절차 12 – 충전기 콘센트 적색 전선
소켓의 전압 참조.

12-33
테스트 절차 11 – 내장 컴퓨터 회색 전선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 배터리를 연결하고 DC 코드를 분리한 상태에서, OBC (3) 회색 전선 (2) 연결부의 부트 (1)를
빼낸다. (12-34 페이지의 그림 12-21). 멀티미터를 200 볼트 DC로 맞추고, 적색 (+) 탐침을
1번 배터리의 양극 포스트에 연결하고 흑색 (-) 탐침을 OBC 연결부에 위치한 회색 16-게이지
전선 (2)에 연결한다 (그림 12-17, 12-30페이지). 수치는 약 48볼트이어야 한다. 수치가 0
볼트이면, OBC를 교체한다.

그림 12-21 OBC 연결

2. 만약 1 단계의 수치가 48 볼트이면, DC 코드를 차량의 충전기 콘센트에 꽂는다. 전압 수치는


충전기 중계기를 클릭하기 전에 약 4 볼트까지 떨어져야 한다.
3. 충전기 중계기가 활성화되면, 수치는 약 48 볼트까지 올라가야 한다.
4. DC 코드가 꽂혀 있을 때 볼트가 약 4 볼트까지 떨어지지 않고 충전기 중계기가 클릭 소리를
낼 때 약 48 볼트까지 올라가지 않으면, OBC의 회색 전선 회로가 고장이 난 것이다. OBC를
교체한다.

테스트 절차 12 – 충전기 콘센트 적색 전선 소켓의 전압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 배터리를 연결하고 DC 코드를 분리한 상태에서, 멀티미터를 200 볼트 DC까지 맞추고, 흑색 (-


) 탐침을 배터리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의 음극 포스트에 연결하고 적색 (+) 탐침을 적색 10-게이지 전선 (3)에 연결된 충전기
콘센트 소켓에 둔다. 수치는 48 – 50 볼트 (충분한 배터리 전압)이어야 한다.
2. 수치가 0 볼트이면, 1번 배터리의 양극 포스트에서 콘센트 소켓까지 10-게이지 적색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12-34
테스트 절차 13 – 모터 속도 센서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한 모터 속도 센서 테스트

주의

 다음 절차는 평지 위에서만 실행한다. 상해나 자산 손상을 막기 위하여, 차량을 밀기 전,


차량 통로가 깨끗한지를 확인한다.

1. 키 스위치를 OFF 위치로 돌리고 전진/후진 스위치를 중립상태로 둔다.


2. IQDM을 차량에 연결한다.
3. 테스트 메뉴에 들어가서 „스크롤 표시‟ 버튼으로 „속도 펄스‟를 선택한다. 차량이 움직이지 않을
때, IQDM은 OFF를 나타내야 한다.
4. IQDM 스크린을 모니터링 하면서, 차량을 단거리 (약 3피트 (1미터))로 천천히 민다. 바퀴가
움직이고 있을 때, IQDM은 속도 센서 펄스에 대하여 ON을 나타내야 한다.
5. 바퀴가 움직이고 있을 때, IQDM이 ON을 나타내지 않으면, 다음 절차, 즉, IQDM 핸드 세트를
사용하지 않는 모터 속도 센서 테스트로 진행한다.

IQDM을 사용하지 않는 모터 속도 센서 테스트


1. 키 스위치를 OFF 위치로 돌리고 전진/후진 스위치를 중립상태로 둔다.
2. 배터리가 연결된 상태에서, 모터 속도 센서의 3-핀 연결기를 분리한다.
3. 흑색/흰색 전선의 전압을 점검한다:
3.1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적색 (+) 탐침을 1번 배터리의 양극
포스트에 연결하고 흑색 (-) 탐침을 3-핀 연결기의 흑색/흰색 전선 단자 소켓에 둔다.
전압 수치는 48 – 50 볼트 (완전 충전된 배터리 전압)이어야 한다.
3.2 만약 수치가 0 볼트이면,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에서 모터 속도 센서의 3-핀
연결기까지 흑색/흰색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연속성이 올바르면, 속도 조절기를
교체한다.
4. 적색 모터 속도 센서 전선의 전압을 점검한다:
4.1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두고 200 볼트 DC로 맞춘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의
음극 포스트에 두고 적색 (+) 탐침을 3-핀 연결기의 적색 전선 단자 소켓에 둔다. 전압
수치는 약 15-16 볼트이어야 한다.
4.2 전압 수치가 0 볼트이면,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에서 모터 속도 센서의 3-핀
연결기까지 적색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연속성이 올바르면, 속도 조절기를 교체한다.
4.3 수치가 14 볼트 이하이면, 속도 조절기를 교체한다.
4.4 전압 수치가 맞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5. 연두색 전선의 전압을 점검한다:
5.1 2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배터리 6번의 음극 포스트에
두고 적색 (+) 탐침을 모터 속도 센서의 3-핀 연결기에 있는 연두색 흑색/흰색 전선 암
단자에 둔다. 전압 수치는 4.60 – 4.90 볼트이어야 한다.
5.2 전압 수치가 0 볼트이면,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에서 모터 속도 센서의 3-핀
연결기까지 연두색 전선의 연속성을 점검한다. 연속성이 올바르면, 속도 조절기를
교체한다.
5.3 수치가 3.50 볼트 이하이면, 전선과 플러그의 연속성을 점검하고, 필요 시, 속도 조절기를
교체한다.

12-35
6. 모터 속도 센서의 3-핀 연결기를 다시 연결한다. 20 볼트 DC로 맞춰진 멀티미터로, 흑색(-)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의 음극
포스트에 두고 적색 (+) 탐침 (절연-관통 탐침으로)을 3-핀 연결기와 모터 속도 센서 사이의
녹색 전선에 둔다.
6.1 뒤 바퀴 하나를 지면 위로 들어 올린다. 뒤쪽 바퀴를 천천히 돌리며 모터 전기자를
회전한다. 전기자가 회전함에 따라, 전압 수치는 0에서 약 4.85 볼트까지 변화할 것이다.
볼트 수치는 0에서 4.85 볼트까지 변동하게 될 것인데, 모터 전기자가 한 번 회전하는
동안 0으로 4번 돌아 갈 것이다.

주목: 4.85의 전압 수치는 대략적인 것임. 실재 수치는 4.50에서 5.00 볼트까지 다를 수도 있다.

6.2 아래의 경우, 속도 센서를 교체하라:


- 전압 수치가 없다
- 전압 수치가 3.50이상이 아니다.
- 모터를 돌릴 때 전압 수치에 변화가 없다.

테스트 절차 14 – 쏠레노이드 연속성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 앞 바퀴에 굄목를 괴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쪽을 들어 올린다. 각 스프링


장착부의 바로 앞에 있는 프레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1-2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참조. 다음 경고 참조.
2.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3. 쏠레노이드 앞쪽의 대형 포스트에서 서로 연결된 세 전선을 분리한다.
4. 200 k옴에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쏠레노이드 대형 포스트에 두고 적색
(+) 탐침을 다른 대형 포스트에 둔다. 수치는 연속성이 없어야 한다.
5. 앞쪽 대형 쏠레노이드 포스트에서 나온 세 전선을 연결한다. 대형 쏠레노이드 포스트에 워셔와
너트를 설치하고 77 in-lb (8.7 N·m)까지 조인다.
6.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며 양극 (+)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in-lb (12.4Nm)까지 조인다.

‼ 경고

 사람과 장비가 회전하는 뒤쪽 바퀴 가까이 오지 않도록 한다. 차 밑으로 사람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회전하는 뒤쪽 바퀴에 닿으면 심각한 인적 상해를 초래할 수 있다.

7.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놓고, 키 스위치를 ON 위치로 돌리고,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를 „전진‟ 위치에 두고,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밟는다. 쏠레노이드가 클릭하고 멀티미터가
연속성을 나타낼 것이다. 만약 수치가 연속적이지 않으면 쏠레노이드를 교체한다.

12-36
테스트 절차 15 –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IQDM 핸드 세트를 이용한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테스트


1. 키 스위치를 OFF 위치로 돌리고 전진/후진 스위치를 중립 상태로 놓는다.
2. IQDM을 차량에 연결한다.
3. 전진 입력 (FORWARD INPUT)을 테스트한다.
3.1 테스트 메뉴에 들어가서 스크롤 표시 버튼으로 전진 입력을 선택한다. IQDM은 전진/후진
스위치가 중립상태에 있거나 후진상태에 있을 때, OFF를 나타내야 한다.
3.2 전진/후진 스위치를 „전진‟ 상태에 둔다. IQDM은 전진 입력이 ON 상태임을 나타내야
한다. IQDM이 다른 상태를 나타내면, 차량 배선을 점검한다. 12-2페이지 배선 도식 참조.
또한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를 점검한다. 12-23 페이지 테스트 절차 8 – 16-핀
연결기 참조.
4. 후진 입력 (REVERSE INPUT)을 테스트한다.
4.1 모니터 입력에 들어가서 스크롤 표시 버튼으로 후진 입력을 선택한다. 전진/후진 스위치가
중립 또는 전진 상태에 있을 때, IQDM은 OFF를 나타내야 한다.
4.2 전진/후진 스위치를 „후진‟ 상태에 둔다. IQDM은 후진 입력이 ON 상태임을 나타내야
한다. IQDM이 다른 것을 나타내면, 차량 배선을 점검한다. 12-2페이지 배선 도식 참조.
또한 속도 조절기의 16-핀 연결기를 점검한다. 12-23 페이지 테스트 절차 8 – 16-핀
연결기 참조.
5. IQDM이 상기에서 설명된 것 이외의 다른 것을 나타내거나 배선이 교정되도록 표시된다면, 다음
절차, 즉 IQDM 핸드 세트를 사용하지 않는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테스트로 진행한다.

IQDM 핸드 세트를 사용하지 않는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테스트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차체에서 동작 스위치 케이스를 고정하고 있는 두 개의 나사를 제거한다
3. 차에서 스위치를 제거한다. 15-3 페이지의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제거 참조
4. 동작 스위치에서 나오는 세 전선을 분리한다. 200볼트 DC로 설정된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동작 스위치의 청색 전선 단자 3번 위치에 두고, 적색 (+) 탐침을 적색 전선 단자
2번 위치에 둔다. 스위치가 중립 또는 후진상태에 있을 때, 연속성이 없어야 한다. 스위치가
전진에 있으면 연속성이 있어야 하다. 수치가 틀리면, 스위치를 교체한다
5. 흑색 (-) 탐침을 동작 스위치의 흰색 전선 단자 1번 위치에 두고, 적색 (+) 탐침을 적색 전선
단자 위치에 둔다. 스위치가 후진상태에 있을 때, 연속성이 있어야 한다. 수치가 틀리면,
스위치를 교체한다

테스트 절차 16 – 후진 부저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기기 패널을 제거한다. 15-1페이지의 키 스위치 제거의 2단계 참조.
3. 오랜지/흰색 및 분홍색 전선을 후진 부저에서 분리한다.

12-37
4.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며 양극 (+)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in-lb (12.4Nm)까지 조인다.
5. 키 스위치를 OFF 위치로 돌리고 전진/후진 스위치를 „주행‟ 상태에 둔다
6. 200 볼트 DC로 맞춘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4번 배터리 (4x 12V 배터리 세트)
또는 6번 배터리 (6x 8V 배터리 세트)의 음극 포스트에 두고 적색 (+) 탐침을 후진 부저에서
분리된 분홍색 전선 단자 종단에 둔다. 전압 수치는 약 48 볼트이어야 한다. (완전 충전된
배터리 전압)
6.1 만약 전압 수치가 올바르면, 7단계로 가라
6.2 만약 수치가 0 볼트이면 분홍색 전선의 연속성 및 견인/주행 스위치를 점검한다. 12-15
페이지 테스트 절차 2 – 내장 컴퓨터 쏠레노이드 잠금 회로를 참조하라. 또한 12-19
페이지 테스트 절차 6 – 견인/주행 스위치 참조
6.3 만약 전압 수치가 올바르지 않으면, 분홍색 전선을 수리 또는 교체하라
6.4 만약 전압 수치가 올바르면, 7단계로 가라
7. 전진/후진 스위치를 „후진‟ 상태에 둔다. 멀티미터를 200 볼트 DC로 맞추고, 흑색 (-) 탐침을
오렌지색/흰색 전선 단자 종단(후진 부저에서 분리된 것)에 두고 적색 (+) 탐침을 배터리 1번
양극 포스트에 둔다. 수치는 약 48 볼트 (최고 배터리 전압)이어야 한다.
7.1 전압 수치가 맞으면, 후진 부저를 교체한다.
7.2 수치가 0 볼트이면 오렌지색/흰색 전선 연속성과 16-핀 연결기의 7번 핀의 연결을
점검한다.
7.3 오렌지색/흰색 전선에 연속성이 없거나 16-핀 연결기의 7번 핀 단자가 올바로 설치되지
않았으면, 필요 시 수리하거나 교체한다.
7.4 오렌지색/흰색 전선 연속성과 16-핀 연결기가 올바르고 오렌지색 전선에 전압이 없으면,
조절기를 교체한다.

테스트 절차 17 – 내장 컴퓨터의 재 부팅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내장 컴퓨터 (OBC)가 “잠겨지게” 되어서 OBC 쏠레노이드 잠금 회로의 기능불량을 유발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의심 되면, 다음과 같이 컴퓨터를 다시 시작한다: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주목: 속도 조절기의 축전기가 방전되도록 최소 90초를 기다린다. OBC 재 부팅을 위해서, 속도


조절기의 축전기가 완전히 방전되어야 한다.

2.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에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며 양극 (+) 케이블부터 먼저


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 in-lb (12.4 Nm)까지 조이고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 단자
보호 분무기 (CCI P/N 1014305)로 단자를 코팅한다.
3.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위치에 둔다.
4. 차량을 시운전 해본다. 문제가 해결이 되었으면, 차량은 정상적으로 기능을 할 것이다. 문제가
여전히 있으면, 12-2페이지 배선 도식을 참조한다.

12-38
테스트 절차 18 – 배터리 경고 등

섹션 1,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를 참조하라.

1. OBC를 재 부팅하고 차량을 단 거리 주행해 본다. 차량을 처음 운전할 때, 배터리 경고 등이


10초 동안 켜져야 한다. 12-38페이지 테스트 절차 17 – 내장 컴퓨터의 재 부팅 참조. 배터리
경고 등이 OBC 재 부팅 시 켜지지 않으면, 2단계로 진행한다.
2. 키 스위치를 OFF로 돌리고,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에 두며,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를
중립상태에 둔다.
3. OBC의 6-핀 연결기를 분리한다.
4. 차량 전선장치에 연결된 6-핀 연결기 하우징에서 쐐기 안전장치를 제거한다. 연결기 플러그에서
갈색/흰색 전선을 제거한다.
5. 각 종단의 악어 입 클립을 가진 점퍼 전선으로, 하나의 악어 입 클립을 1번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에 연결하고, 다른 악어 입 클립을 6-핀 연결기 플러그에서 제거된 갈색/흰색 전선 단자
소켓에 연결한다.
6. 6-핀 연결기 하우징에 쐐기 안전장치를 설치하고 6-핀 연결기 플러그를 다시 연결한다.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상태에 두면 배터리 등이 켜져야 한다. 등이 켜지지 않으면, 배터리
경고 등 조립체를 교체한다.

연락 전시 모듈 (CDM)

그림 12-20 CDM
1. 배터리 부족, 2. 디스플레이 창, 3. 기능 버튼

CDM은 엑셀 시스템 차량 문제해결에 유용할 수 있는 내장 컴퓨터 4가지 중요 항목들을 검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항목들 중 하나에 접근하기 위하여, 항목 상응 기능 코드가 CDM 상에서
선택되어야 한다. 이것은 원하는 기능 코드를 창에 나타날 때까지 기능 버튼을 누름으로써 실행된다.
12-39 페이지의 그림 12-20 CDM 특징 참조. 원하는 코드가 나타날 때 버튼을 놓으면 데이터가
보여진다. 기능 코드 및 상응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2-39
 F1 – 배터리 전압:
이는 배터리 팩의 현재 충전 상태를 나타낸다. 48 볼트 이하의 수치는 배터리가 충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충전 후 48 볼트 이하의 수치가 바로 나타나면, 충전 회로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 F2 – 지난 충전 이후로 제거된 에너지 단위:
표시가 75 이상 (차량 배터리 경고 등이 켜져야 한다)이면, 사용하기 전에 차량 배터리를 재
충전해야 한다. 이 데이터는 모든 차량이 단기간에 걸쳐 동등한 활용을 받는가를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F3 – 초기 차량 작동 이후로 제거된 전체 축적 에너지 단위:
이 정보는 모든 차량이 장기간에 걸쳐 동등한 활용을 받는 가를 확인하는데 가장 유용하다.
 F4 – 과거 충전 종결 유형 (1 = 미완성, 2 = DVDT, 4 = 보통, 8 = 최대 타이머):
1, 2, 4, 또는 8이 표시될 것이다.

1 – 지난 충전이 미 완결되었으며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빠른


시일 내에 배터리를 다시 충전해야 한다.
2 – 충전 사이클을 종료하기 위하여 OBC가 백업 충전 프로그램을 사용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DVDT 충전은 새로운 세트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처음 몇 번을 표시할 수도 있고, 한 세트의
배터리가 분리되고 재 연결된 후 처음 충전될 때 표시 된다. 만약 동일한 DVDT 수치가
반복되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4 – 가장 마지막 충전이 정상이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8 - 16시간 동안 충전기가 돌아갔고 충전 사이클을 완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스로
정지하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은 충전 회로에 문제점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CDM은 CDM 배터리가 약하고 교체되어야 할 때 등이 켜지는 배터리 부족 표시 기능을 가진다.


CDM의 배터리가 부족하면, CDM 이 부정확한 정보를 등록하거나 아예 아무 정보도 못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CDM을 이용하여 내장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


1. CDM을 켠다.
2. 배터리 경고 등과 바로 배열 되도록 좌석 아래에 CDM을 둔다. CDM 적외선 LED 수신기가
배터리 경고 등으로 향해 있고 그들 사이에 막힌 것이 없는 지 확인한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CDM을 좌석 아래에 둠으로써, CDM이 내장 컴퓨터로부터 데이터 흐름을 모을 수 없다면,


CDM을 배터리 경고 등에서 6인치 (15.2cm)정도 떨어져 잡고 있는다.

3. 디스플레이 창에 수치가 나타나도록 약 30초 동안 기다린다.


4. 수치가 30초 후에도 디스플레이 창에 나타나지 않으면, 그 수치가 나타날 때까지 CDM의
목표치를 조절하고 3단계를 되풀이한다. 여전히 수치가 보이지 않으면, CDM의 배터리가 부족한
지 점검한다.
4.1 CDM의 목표치를 조절한다.
4.2 OBC가 정지 모드에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차량을 단 거리 운전해 본다.
4.3 CDM의 배터리가 부족한 지 점검한다.
4.4 수치가 여전히 나타나지 않으면, 12-41페이지 CDM 문제해결 가이드로 가시오.

디스플레이 창에 수치가 일단 뜨면, CDM은 그 수신 위치와 검토된 데이터에서 없어질 수도 있다.


CDM이 꺼지거나 동일한 또는 다른 내장 컴퓨터로부터 다른 라인의 데이터를 받을 때까지 F1, F2,
F3와 F4에 대한 값을 지니고 있을 것이다. 다음 절차를 이용해서 CDM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토하라:
12

12-40
 현재 표시된 값이 F1 (배터리 전압)일 것이다.
 F2를 보기 위해 CDM의 버튼을 누르고 있는다. “Func 2”가 디스플레이 창에 나타날 때 버튼을
놓는다. F2에 대한 값이 곧 표출될 것이다.
 F3를 보기 위해 CDM의 버튼을 누르고 있는다. “Func 3”가 디스플레이 창에 나타날 때 버튼을
놓는다. F3에 대한 값이 곧 표출될 것이다..
 F4를 보기 위해 CDM의 버튼을 누르고 있는다. “Func 4”가 디스플레이 창에 나타날 때 버튼을
놓는다. F4에 대한 값이 곧 표출될 것이다..

주목: 4가지 모든 기능에 대한 값은 CDM 버튼을 누르고 놓음으로써 다시 불러올 수 있다.

CDM 문제해결 가이드

CDM과 내장 컴퓨터 사이의 연락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발점으로써 다음 차트를 사용한다. 더


포괄적인 정보가 필요하면 당신의 클럽 카 대표에게 연락하라.

그림 12-21 흐름 차트 – CDM 문제해결 가이드

OBC이 CDM과 연락되지 않는다


CDM 배터리가 방전되었다. --- CDM 배터리를 교체한다
OBC 프로그램이 “잠겼다”
“+” 배터리 도선을 제거하고 속도 조절기를 방전시킨다. 11-1페이지 경고사항의 설명을 참조한다. 잠깐
후에, 도선을 교체하고 OBC를 다시 시작한다.
OBC가 전원 정지 모드에 있다
차량을 운전하거나 충전기 DC 플러그를 연결하여 OBC를 다시 시작한다
CDM 단위 고장
CDM 교체
배터리 방전시킴
배터리 충전
OBC 고장
OBC 교체
대시 등 고장
대시 등 교체
배선 장애
전선 및 연결부 점검

12-41
섹션 13 – IQ 디스플레이 모듈 (IQDM) 및 IQDM-P
진단: IQ 시스템
!! 위험

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 참조

!! 경고

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 참조

주목: IQDM-P 핸드 세트 프로그램 특징에 대한 특정 정보에 대하여는, 섹션 21-IQ 디스플레이


모듈 프로그래머 (IQDM-P): IQ 시스템 참조.
이 섹션에 있는 정보는 IQDM-p와 IQDM 핸드세트의 두 번째 버전을 다룬다.

핸드 세트를 차량에 꽂음

1. 핸드 세트 하부에 위치한 포트에 케이블 한 쪽 끝을 연결한다.


2. IQDM 케이블에 케이블 어댑터를 연결한다.
3. 차량에서 IQDM 포트를 찾는다 (13-1페이지, 그림 13-1).
4. IQDM 포트에서 먼지 캡을 제거한다.
5. IQDM 포트로 플러그의 맞춰진 부분을 정렬하고 포트로 플러그를 연결한다.

그림 13-1 기기 패널 아래의 IQDM 포트

13-1
초기 디스플레이

핸드 세트가 차량에 연결된 직 후, 차량은 차량 속도 조절기 정보를 로딩하기 시작한다. 몇 초 후,


스크린은 다음 메뉴 항목들을 디스플레이 할 것이다:
 프로그램 (IQDM-P만)
 모니터
 오류
 기능
 정보
 프로그램 세팅
핸드 세트에 아무런 정보도 나타나지 않거나 읽기 힘든 경우, IQDM 문제해결 절차를 참조하라. 13-
15페이지 IQDM 및 IQDM-P 핸드 세트 문제해결 참조.

메뉴 탐색

탐색 버튼 (1)은 핸드 세트의 왼쪽에 위치한 4개의 화살표이다 (13-3페이지, 그림 13-2). 이 버튼은


메뉴를 탐색하고 선택하는데 사용한다. 위 또는 아래 화살표는 사용자가 메뉴 항목들을 스크롤 하도록
한다. 원하는 메뉴 옆 박스가 깜박거릴 때, 오른쪽 화살표를 누르면 메뉴 항목이 선택된다. 왼쪽
화살표를 누르면 사용자가 바로 전 스크린 (2)으로 돌아가도록 한다.
변화 값 버튼 (3)은 핸드 세트의 오른쪽에 위치 해 있는 버튼이다 (13-3페이지, 그림 13-2). 이 버튼은
사용자가 + 또는 –을 눌러 수치를 변경할 수 있게 한다.
1,2, 및 3으로 라벨 된 3개의 노란색 버튼은 북 마크 버튼이다 (13-3페이지, 그림 13-2). 이 버튼은
사용자가 3개의 특정 스크린까지 북 마크를 할 수 있어서 이러한 스크린으로 신속하게 돌아 갈 수 있게
한다. 특정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북 마크하기 위해, 원하는 스크린이 나왔다면 “북 마크 설정”이라는
말이 나올 때까지 북 마크 버튼을 그냥 누르고 있는다. 북 마크된 스크린으로 돌아가야 할 때, 적절한
북 마크 버튼을 빨리 누르고 놓는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북 마크된 스크린으로 돌아갈 때, 북 마크 버튼을 빨리 누르고 놓아야 한다. 버튼을 너무


오랫동안 누르면, 북 마크가 현재 스크린으로 덮이게 되어 버린다.

13-2
그림 13-2 핸드세트 조절

IQDM 핸드 세트에서 다음 메뉴를 이용할 수 있다:

프로그램 (IQDM-P 만 해당)


프로그램 메뉴는 사용자가 고객 속도 조절기 세팅을 보고 변경하도록 한다. 21-2페이지 프로그램 메뉴
참조.

모니터
모니터 메뉴는 속도 조절기 문제해결을 돕기 위한 특정 변수의 값을 디스플레이 한다. 13-4페이지
모니터 메뉴 참조.

오류
오류 메뉴는 내력이 마지막으로 지워진 이후 속도 조절기에 의해 기록된 모든 오류를 디스플레이 한다.
오류가 여러 번 일어났다 할 지라도, 각 오류는 한 번만 기록된다. 13-6페이지, 오류 메뉴 참조.

기능
기능 메뉴는 사용자가 속도 조절기에서 핸드 세트, 그리고 핸드 세트에서 속도 조절기까지의 현재 모든
설정을 이동 시킬 수 있게 해준다. 13-11페이지 기능 메뉴 참조.

13-3
정보
정보 메뉴는 모델 번호, 일련 번호, 속도 조절기의 제조 날짜 및 소프트웨어 버전을 나타낸다. 13-
14페이지 정보 참조.

프로그래머 설정
프로그래머 설정 메뉴는 모델 번호, 일련 번호, OEM 정보 등과 같이 핸드 세트로 다양한 다른 정보뿐
아니라 사용자가 LCD 대비를 설정하고 프로그래머의 오류 내력을 보여 주도록 한다. 13-14페이지
프로그래머 설정 참조.

모니터 메뉴

모니터 메뉴는 모니터를 스크롤 하기 위하여 위 또는 아래 화살표를 사용하거나, 메뉴를 활성화 시키기
위하여 오른쪽 화살표를 눌러 접근할 수 있다. 모니터 메뉴의 모든 정보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며,
키 스위치 순환, 전진/후진 스위치 활성 등과 같이 핸드 세트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교육받은 기술자가
차량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이 운전되는 동안 모니터 메뉴가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교육받은 기술자는 차량 성능에 문제가
보고된 조건이나 위치에 있어서 몇 가지 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음 경고 참조.

!! 경고

 차량 운전자는 차량 운행 중에 핸드 세트를 모니터링 하지 말아야 한다. 기술자는 차량의


승객으로서 운전 중 핸드 세트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 경고 사항을 따르지 않으면 심각한
인적 상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다음 변수는 모니터 메뉴에서 핸드 세트로 실시간 모니터링 될 수 있다:

조절판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위치를 0% (눌려 있지 않은 페달)에서 95-100% (완전히 눌려 있는 페달)까지로
나타낸다. 이 항목은 키 스위치가 ON 또는 OFF 위치에 있을 때 모니터링 될 수 있다.

배터리 전압 (Batt Voltage)


속도 조절기의 현재 배터리 전압을 나타낸다.

열 씽크 온도 (Heatsink Temp)
속도 조절기 열 씽크의 온도를 섭씨 단위로 나타낸다. 정상 작동 시, 열 씽크 온도는 85°C±5°C (185°F
± 9°F) 이하 이어야 한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브레이크 조절이 부적절할 시, 때때로 작동 전류가 정상보다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고
전류는 속도 조절기 열 씽크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전기자 전류
모터 전기자 전류를 암페어로 나타낸다.

13-4
전기장 전류
모터 전기장 전류를 암페어로 나타낸다.

전기자 pwm
모터 전기자 PWM (Pulse Width Modulation; 펄스 폭 변조)을 나타낸다. 펄스 폭 변조의 범의는
0%~100%이다. 차량이 최고 속도로 운전되고 있을 때, 펄스 폭 변조는 100%에 있어야 한다.

전기장 PWM
모터 전기장 PWM (펄스 폭 변조)을 나타낸다. 펄스 폭 변조의 범위는 0%~100%이다. 차량이 운행
중일 때, 펄스 폭 변조는 범위와 조절판 입력에 응하여 변동한다.
속도 펄스
속도 펄스 메뉴 항목은 모터 속도 센서의 활동을 나타낸다. 키 스위치가 OFF 상태에 있고, 전진/후진
스위치가 중립 상태에 있으며, 차량이 움직이지 않을 때, 핸드세트는 속도 펄스가 꺼져 있음을 나타낸다.
차량을 단 거리로 천천히 밀 때, 핸드세트는 속도 펄스가 켜져 있음을 나타낸다.

발 입력
MCOR (모터 조절기 출력 조절 장치) 내부 제한 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낸다: 켜짐 또는 꺼짐.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눌려지지 않을 때, 핸드 세트는 제한 스위치가 꺼져 있다고 나타낸다.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눌려있고 키 스위치가 ON 위치에 있으면, 제한 스위치가 켜져 있다고 디스플레이
된다.

전진 입력
전진/후진 스위치가 중립 또는 후진 상태에 있을 경우, 핸드 세트는 전진 입력이 꺼져 있음을 나타낸다.
전진/후진 스위치가 „전진‟ 위치에 있으면, 핸드 세트는 전진 입력이 켜져 있음을 나타낸다.

후진 입력
전진/후진 스위치가 중립 또는 전진 상태에 있을 경우, 핸드 세트는 후진 입력이 꺼져 있음을 나타낸다.
전진/후진 스위치가 „후진‟ 위치에 있으면, 핸드 세트는 후진 입력이 켜져 있음을 나타낸다.

주 접촉기
현재 쏠레노이드 (주 접촉기) 상태를 나타낸다. 접촉기가 활성화될 때, 핸드 세트는 쏠레노이드가 켜져
있음을 나타낸다. 접촉기가 활성화되지 않으면, 핸드세트는 쏠레노이드가 꺼져 있음을 나타낸다.

키 입력
키 스위치 위치를 표시한다: 꺼짐 또는 켜짐

패스워드 시도 (IQDM-P 만 해당)


패스워드는 “개인 속도 모드” (속도 셋팅 4)로 차량을 둘 때 필요하다. 속도 조절기는 “개인 속도
모드”로 두기 위한 비성공적이거나 권한이 없는 시도들을 기록한다. 시도가 반복적으로 실패하게 되면,

13-5
속도 조절기는 영구적으로 “개인 속도 모드”로의 접근을 못하게 잠긴다. 모드 2가 잠기게 될 경우,
“개인 속도 모드”로 두기 전에 조절기를 제거하여 클럽 카로 운송해야 한다. 21-3페이지 코드 A, 코드
B, 코드 C 참조.

10.3 트랜스 액슬
이 메뉴는 장래 버전에 출시될 것이며 지금은 적용 불가능하다.

20+ 속도
이 메뉴는 장래 버전에 출시될 것이며 지금은 적용 불가능하다.

이 메뉴 하에 나타나는 나머지 항목들은 오류 상태 발생이다. 디스플레이는 오류명과 오류 발생 수를


나타낸다. 다음 오류 메뉴 섹션 참조.

오류메뉴

오류메뉴는 오류로 스크롤 하기 위하여 위 또는 아래 화살표를 사용하거나, 메뉴를 활성화 시키기


위하여 오른쪽 화살표를 눌러 접근할 수 있다.
오류메뉴에 나타난 오류는 기술자가 차량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나타난 오류는
종종 전기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을 테스트해야 함을 나타낸다.
오류메뉴는 차량 작동 중에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차량 성능에 관하여 보고된 문제점이 있는 상태나
위치에서 기술자가 오류 발생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경고사항 참조.

!! 경고

 차량 운전자는 차량 운행 중에 핸드 세트를 모니터링 하지 말아야 한다. 기술자는 차량의


승객으로서 운전 중 핸드 세트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 경고 사항을 따르지 않으면 심각한
인적 상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시스템 오류

시스템 오류 메뉴는 최근 오류 내력이 해결된 이후로 속도 조절기에 의하여 감지된 모든 오류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 메뉴에 나타난 오류는 현재 발효 중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일단 오류가
감지되면, 오류 내력 메뉴상 속도 조절기 메모리에 저장된다. 각 감지된 오류는 여러 번 발생되었다 할
지라도, 단 한번만 기록된다.

오류 원인
오류의 주요 원인들은:
 전선 또는 연결기가 느슨하거나, 파손되었거나, 분리되었을 때
 구성 요소의 고장
 전기 또는 기계 구성 요소의 부적절한 조절 또는 설치 (예: 브레이크 조절, 부적절한 MCOR
설치)
 전기 구성 요소의 부적절한 배선

13-6
상기에서 제시된 것처럼, 오류 발생의 잠재 원인은 많이 있으며, 속도 조절기는 현재 감지된 오류에
근거하여 각 오류에 프로그램된 대로 반응한다. 기술자는 적절한 진단을 내리기 위하여 감지된 오류와
오류에 대한 조절기의 반응에 익숙해야 한다.

오류로 인한 일어날 수 있는 오 진단의 예: 3-핀 속도 센서 전선이 분리되었을 경우, 속도 조절기는


속도 센서 오류를 감지할 것이다. 속도 센서 오류가 감지되면, 조절기는 정상 최고 속도의 1/2로 차량
속도를 제한함으로써 오류에 반응을 한다. 기술자가 배터리의 심한 방전 때문에 차량이 천천히
달린다고 결론을 내리게 되면, 그 문제에 대하여 부적절한 진단을 내리게 되는 것이다.

차량 속도 조절기는 어떠한 정비가 수행되기 전에 오류 코드에 대하여 점검되어야 한다.

오류 감지 후, 속도 조절기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반응하게 된다:


A. 전기자 전류를 감소시킴으로써 차량 속도를 0으로 감소시킨다.
B. 전기장 전류를 0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차량 속도를 0으로 감소시킨다.
C. 쏠레노이드를 끔
D. 차량이 반 속도로 움직인다.
E. 전기자 전류 한계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킨다.
F. 속도 센서 펄스가 생길 때까지 전기자 전류를 급속히 감소시킨다.
G. 전기장 전류를 감소시키고 빠른 속도로 후진 부저를 울린다

조절기 오류 조절기 반응

HW 안전장치 A, B, C
키 스위치 SRO C
조절판 오류 1 A
속도 센서 D
주요 접합 D
주요 운전사 켜짐 D
주요 운전사 꺼짐 A, C
고속 워크 어웨이 D
주 코일 오류 A
전기장 누락 A, B, C
HPD A
PROC/배선 A
과전압 A, B, G
저배터리 E
열적 삭감 E
모터 멈춤 F
주 드롭아웃 A, C
개방된 전기자 A
최고 패스워드 시도 수 (아무조치없음)
패스워드 오류 (아무조치없음)

13-7
13
오류 복구
속도 조절기는 오류 감지 시, 복구하고 정상 작동을 다시 시작하려고 할 것이다. 느슨한 배선 연결과
같은 가끔 발생하는 문제에 있어서, 조절기는 잠시 동안 정상적으로 복구하고 작동할 수도 있지만,
차량을 재 운행하기 전에 문제점이 수리되어야 한다.
오류 유형에 따라, 조절기는 상태가 정상화된 후 또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순환 (페달을 떼고 다시
누름) 된 후에 즉시 복구하려고 할 것이다.

조절기 오류 조절기의 복구 시도

HW 안전장치 키 스위치가 순환될 때


키 스위치 SRO 키 스위치가 순환될 때
조절판 오류 1 상황이 제거되었을 때
속도 센서 상황이 제거되었을 때
주요 접합 상황이 제거되었을 때
주요 운전사 켜짐 상황이 제거되었을 때
주요 운전사 꺼짐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순환될 때
고속 워크 어웨이 견인/주행 스위치가 순환되고 충전 사이클이 종료되었을 때
주 코일 오류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순환될 때
전기장 누락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순환될 때
HPD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순환될 때
PROC/배선 상황이 제거되었을 때
과전압 상황이 제거되었을 때
저배터리 상황이 제거되었을 때
열적 삭감 상황이 제거되었을 때
모터 멈춤 상황이 제거되었을 때
주 드롭아웃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순환될 때
개방된 전기자 상황이 제거되고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순환될 때
최고 패스워드 시도 수 견인/주행 스위치가 순환될 때
패스워드 오류 견인/주행 스위치가 순환될 때

다음 오류는 IQ 시스템 조절기에 의해서 감지될 수 있다.

HW 안전장치
전기자 드라이브 FET (전기장 효과 트랜지스터)가 전기자 전류를 조절한다. 속도 조절기가 전기자
드라이브 FET나 회로의 장애를 감지하였다면, 하드웨어 안전장치 오류가 감지된다.

13-8
키 스위치 SRO (정적 복귀 꺼짐)
조절기가 키 스위치 sro 오류를 감지하고 키 스위치가 켜져 있는 상태에서 조절기가 켜지고 다음의
사건이 발생된 후에는 차량이 작동되지 않을 것이다: 1. 주행/견인 스위치가 견인 상태에 있다, 2.
충전기의 DC 플러그가 차량에 꽂혀 있다, 3. 배터리가 분리되어 있다, 4. 차량이 수면 모드에 있고 키
스위치가 켜져 있는 동안 액셀이 눌려져 있다. 키 스위치 sro 오류 감지 기능의 기본값은 „꺼져‟ 있지만,
프로그램 메뉴 KSI SRO ENABLE 변수로 „켤‟ 수 있다.

조절판 오류 1
MCOR (모터 조절기 출력 조정장치) 전압이 0.20볼트 이하이거나 4.80볼트 이상이면, 조절기는 조절판
오류를 감지한다.

속도 센서
조절기가 동력 (전기자 PWM 75% 이상)을 모터로 보내는 동안 속도 조절기가 속도 센서로부터 펄스를
감지하지 못하면, 속도 센서 오류가 감지된다.

주요 접합
속도 조절기가 쏠레노이드 접촉부 접합이 폐쇄되어 있다는 것을 감지하면, 주요 접합 오류가 감지된다.

주 운전자 ON
쏠레노이드 접촉 폐쇄를 조절하는 FET가 활성화 되지 말아야 할 때 활성화 된 것이 발견된다면, 속도
조절기는 주 운전자 ON 오류를 감지한다.

주 운전자 OFF
쏠레노이드 접촉 폐쇄를 조절하는 FET가 활성화되어야 할 때 활성화 되지 않은 것이 발견된다면, 속도
조절기는 주 운전자 OFF 오류를 감지한다.

고속 워크 어웨이
차량이 8초 이상 동안 최고 속도로 내리막길을 달리고 있을 때, 키 스위치가 OFF상태에 있거나
전진/후진 (F&R) 스위치가 중립 상태에 있다면, 조절기는 고속 워크 어웨이 오류를 감지하게 된다.

주 코일 오류
쏠레노이드 코일 장애로 인하여 쏠레노이드가 폐쇄되지 않는 것을 속도 조절기가 인지하면, 주 코일
오류가 감지된다.

전기장 미싱
속도 조절기가 90% (거의 최고 속도) 이상의 주기로 작동하고 자기장 전류가 3암페어 이하이면, 자기장
미싱 오류가 속도 조절기에 의해서 감지된다.

HPD
키 스위치를 ON위치로 돌릴 때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이미 눌려있으면, HPD (High Pedal Detect)
오류가 감지된다. 이 오류는 또한 전진/후진 스위치로 선택된 방향이 변경될 때 액셀 페달이 밟혀
있으면 감지된다. 이 오류는, 운전자에 의해서 발생된 오류가 아닐 때, 페달 제한 스위치가 닫히는
고장에 발생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13-9
PROC/배선
전진/후진 스위치가 조절기에 전진과 후진 신호를 동시에 보냈을 때, 이 오류가 감지된다. 드물게
발생하는 이 오류는 전진/후진 스위치가 고장났거나 또는 차량 배선에 오류로 인하여 유발될 수 있다.

과 전압
속도 조절기가 배터리 과 전압을 발견하면 (68.4~75.6볼트 DC), 과 전압 오류가 감지된다.

배터리 전압 부족
배터리 전압이 34볼트±5% 이하로 떨어지면, 속도 조절기는 배터리 전압 부족을 감지한다.

열 삭감
조절기 열 씽크 온도가 85°C±5°C (185°F±9°F)를 초과하거나 -25 C±5°C (-13°F±9°F) 이하이면 열
삭감 오류가 감지된다.

모터 멈춤
모터 전류가 높고 짧은 시간 동안 차량 바퀴의 움직임이 없다면, 모터 멈춤이 속도 조절기에 의해서
감지된다. 이 오류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 대신에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누르며 차량을 언덕에
멈추고 있을 때 생길 수 있다.

주 드롭아웃
조절기가 차량 운행 중 쏠레노이드 접촉이 개방되었다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 주 드롭아웃 오류가
감지된다.

개방 전기자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바닥의 2/3까지 눌려 지고, 전기자 전류는 20 암페어 이하이며, 속도 센서 펄스가
없다면, 개방 전기자 오류가 감지된다.

패스워드 입력 오류(IQDM-P 만 해당)


각 차량은 차량을 “개인 속도 모드”로 두는데 사용되는 유일한 코드 세트 형태의 패스워드를 가진다.
코드 세트가 틀리게 입력이 되면, 패스워드 입력 오류가 표시된다. 코드에 관해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면, 21-3페이지, 코드 A, 코드 B, 코드C 참조. 또한 13-5 페이지 패스워드 시도 (IQDM-P 만
해당)도 참조.

최대 패스워드 시도 (IQDM-P 만 해당)


최대 패스워드 시도 오류는 맞지 않는 패스워드 오류가 여러 번 나타났을 때 선포된다. 최대 패스워드
시도 오류가 표시된 경우, “개인 속도 모드”에 두기 전에 속도 조절기를 제거하여 클럽카로 운송해야
한다. 21-3페이지 코드 A, 코드 B, 코드 C 참조. 또한 13-5 페이지 패스워드 시도 (IQDM-P 만) 참조.

13-10
오류 내역
오류 내역 메뉴는 차량 문제점의 원인을 결정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그러나, 오류 내역만으로 구성
요소의 교체 시기를 결정하지 않는다. 속도 조절기에 의해서 감지된 일부 오류는 고장 난 구성 요소의
결과가 아니고 운전자 실수의 결과일 수 있다.
오류가 오류 내역 메뉴에 나타나면, 기술자는 오류가 언제, 어디서 발생했는지를 파악하려고 해야 한다.
예를 들면, 모터 멈춤 오류가 오류 내역에 나타나면, 기술자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사용하여 언덕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작동한 코스의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

오류 내역 초기화
수리 후, 오류 내역을 초기화해야 한다. 이는 다른 문제가 발생할 경우, 기술자가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차량의 문제를 올바로 해결 할 수 있도록 한다. 기술자가 과거의 오류 코드로 인하여 이상없이 잘
작동하고 있는 구성 부품을 교체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오류 내역을 수리 후 초기화해야 한다. 예를
들면, MCOR 장치가 분리되고 속도 조절기가 조절판과 관련된 오류코드를 감지하면, 미래의 문제가
조절판 문제로서 틀리게 진단되지 않도록 오류 내역을 초기화 한다. 13-15페이지 오류 내역 초기화
참조.

기능 메뉴

기능 메뉴는 기능 스크롤에 위, 아래 화살표를 사용하고 메뉴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오른 쪽 화살표


키를 눌러 접근할 수 있다.

조절기로부터 세팅 값 이동
이 기능은 차량 속도 조절기에서 핸드세트로 모든 속도 조절기 설정 (“개인 속도 모드” 제외)을 옮긴다.
이는 기술자가 속도 조절기를 “복제”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일단 속도 조절기 설정이 핸드세트로
옮겨지면, 기술자는 핸드세트를 다른 차량에 연결해서 저장된 설정을 속도 조절기로 옮길 수 있게 된다.

속도 조절기 복제 – 차량에서 핸드세트로의 설정 이동


1. 원하는 속도 조절기 설정이 있는 차량을 선택한다.
2. 키 스위치를 OFF로 돌리고, 전진/후진 핸들을 중립상태에 두고, 주차 브레이크를 잠근다.
3. 핸드세트를 차량에 꽂는다.
3.1 핸드세트 하부에 있는 포트에 케이블 한 쪽 끝을 연결한다.
3.2 케이블 어댑터를 IQDM 케이블에 연결한다.
3.3 IQDM 포트에서 먼지 캡을 제거한다.
3.4 IQDM 포트와 플러그 키 부분을 정렬하고 포트에 플러그를 연결한다 (13-1페이지 그림
13-1).
4. 기능 메뉴로 스크롤하여 선택한다.
5. 세팅을 선택한다.
6. „조절기로부터의 세팅 이동‟을 선택한다.
7. 작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변화 값 버튼에 +를 누른다.
8. 조절기 세팅이 핸드세트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있는 다음 몇 초 동안 핸드세트에 “실행 중…”
이라는 메시지가 뜰 것이다 (13-12페이지, 그림 13-3).

13-11
9. 핸드세트가 속도 조절기 세팅 복제를 마치게 되면, 확인 메시지가 뜬다 (13-12페이지, 그림
13-4).
10. 핸드세트의 메모리에 저장된 조절기 세팅을 사용하여, 하나 또는 여러 IQ 시스템 차량으로
원하는 속도 조절기의 모든 세팅을 이동시키는데 핸드세트를 사용할 수 있다. 13-12페이지 속도
조절기 복제 – 핸드세트에서 차량으로의 세팅 이동 참조.

그림 13-3 핸드세트 실행 중 그림 13-4 확인 메시지

조절기에 세팅 쓰기
이 기능은 핸드세트에서 차량 속도 조절기로 모든 속도 조절기 세팅 (“개인 속도 모드” 제외)을
이동시킨다. 이것은 기술자가 속도 조절기를 “복제”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일단 속도 조절기 세팅이
핸드세트로 옮겨지면, 기술자는 핸드세트를 다른 차량에 연결해서 저장된 세팅을 속도 조절기로 옮길
수 있게 된다.

속도 조절기 복제 – 핸드세트에서 차량으로 세팅 옮기기


1. 원하는 속도 조절기 세팅이 있는 핸드세트로 이 절차를 실행한다. 13-11페이지 속도 조절기
복제 – 차량에서 핸드세트로의 세팅 이동 참조.
2. 원하는 속도 조절기 세팅이 없는 차량을 설정한다.
3. 키 스위치를 OFF로 돌리고, 전진/후진 핸들을 중립상태에 두고, 주차 브레이크를 잠근다.
4. 핸드세트를 차량에 꽂는다.

13-12
4.1 핸드세트 하부에 있는 포트에 케이블 한 쪽 끝을 연결한다.
4.2 케이블 어댑터를 IQDM 케이블에 연결한다.
4.3 IQDM 포트에서 먼지 캡을 제거한다.
4.4 IQDM 포트와 플러그 키 부분을 정렬하고 포트에 플러그를 연결한다 (13-1페이지, 그림
13-1)
5. 기능 메뉴로 스크롤하여 선택한다.
6. 세팅을 선택한다.
7. „조절기로의 세팅 쓰기‟를 선택한다.
8. 작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변화 값 버튼의 +를 누른다.
9. 조절기 세팅이 핸드세트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있는 동안, 다음 몇 초 동안 핸드세트에 “실행
중…” 이라는 메시지가 뜰 것이다 (13-12페이지, 그림 13-3).
10. 핸드세트가 속도 조절기 세팅 복제를 마치게 되면, 확인 메시지가 뜬다 (13-13페이지, 그림
13-5).
11. 같은 핸드세트 세팅으로 프로그램 되어야 하는 다른 차량에 대하여 이 절차를 반복한다.

그림 13-5 확인 메시지 그림 13-6 확인 메시지

13-13
모든 세팅의 리셋
실수가 생기거나 하나 이상의 변경 사항이 핸드세트에 반영되지 말아야 하는 경우, 속도 조절기 세팅은
세션 초기에 원래 세팅으로 바꿔질 수 있다 (핸드세트가 차량으로 꽂아졌을 때). 이 기능은 PC의
“원래로 되돌림(undo)” 명령어와 비슷하며 핸드세트가 뽑지 않고 속도 조절기로의 전원이 끊어지지
않을 때만 올바르게 작동한다.

모든 세팅의 리셋
1. 세팅이 원래대로 돌아가야 할 때인 작동 세션 동안 (세션 초기에 활성인 값), 기능 메뉴로
스크롤하여 선택한다.
2. 세팅을 선택한다.
3. 모든 세팅을 리셋한다.
4. 작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변화 값 버튼의 +를 누른다.
5. 조절기 세팅이 핸드세트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있는 동안, 다음 몇 초 동안 핸드세트에 “실행
중…” 이라는 메시지가 뜰 것이다 (13-12페이지, 그림 13-3).
6. 핸드세트가 속도 조절기 세팅 리셋을 마치게 되면, 확인 메시지가 뜬다 (13-13페이지, 그림
13-6).

정보

정보 메뉴는 메뉴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정보로 스크롤 하기 위한 위, 아래 화살표를 사용하고 오른쪽


화살표 키를 눌러 접근할 수 있다.
이 선택 메뉴는 속도 조절기에 있는 정보를 나타낸다. 이 선택 메뉴에서 주어진 정보는 다음 항목들을
포함한다:

모델 번호
속도 조절기의 모델 번호를 나타낸다.

일련 번호
속도 조절기의 일련 번호를 표시한다.

제조 날짜
속도조절기가 제조된 날짜를 표시한다.

소프트웨어 버전
속도 조절기 소프트웨어 버전을 나타낸다.

프로그래머 셋업

프로그래머 셋업 메뉴는 사용자가 LCD 디스플레이 대조를 설정하게 하고, 핸드세트의 오류 내역을
기록하게 하고, 핸드세트에 있는 정보를 보여준다.

13-14
프로그램
이 메뉴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서 대조를 조절하게 해준다. LCD-대조 메뉴를 선택한 후,
변화 값 버튼을 사용해서 가장 읽기 쉽도록 대조를 조절한다.

오류
이 메뉴선택은 핸드세트에서 감지된 오류를 보여준다. 이 오류 메뉴는 속도 조절기에서 감지된 오류와
상관이 없다.
다음 오류는 핸드세트에서 감지될 수 있다:

코드 번호 디스플레이되는 텍스트
14 조절기의 커뮤니케이션 에러
15 핸드세트의 에러
16 핸드세트가 이 기능을 지원하지 않음
17 시리얼 포트 오버런 에러
18 프로그램 메뉴상의 보안 잠금

오류 내역
이 메뉴는 핸드세트 자체 내에서 감지된 오류를 보여준다.

오류 내역 초기화
오류 내역 초기화 기능은 핸드세트에 저장된 핸드세트 오류 내역을 지운다.

정보
이 메뉴 선택은 핸드세트에 있는 정보를 보여준다. 이 메뉴 선택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모델 번호, 일련
번호, 핸드세트 제조 날짜, 핸드세트 소프트웨어 버전 등을 포함한다.

IQDM 및 IQDM-P 핸드세트 문제해결

핸드세트가 이 매뉴얼에 설명된 데로 기능을 하지 않을 경우, 다음 문제해결 가이드를 참조하고 참조된


테스트 절차는 핸드세트의 문제해결을 수행해야 한다.

13-15
문제해결 가이드
증상 가능한 원인 정정 조치
핸드세트 디스플레이 핸드세트 코드 그리고/또는 1 페이지의 핸드세트를 차량에 꽂음
스크린에 아무것도 나타나지 어뎁터가 분리됨 참조
않음 차량 배터리 – 단자가 느슨하거나
섹션 16 – 배터리 참조
부식됨
차량 배터리 – 배선 오류 섹션 16 – 배터리 참조
차량 배터리 – 배터리 고장 섹션 16 – 배터리 참조
차량 배터리 – 배터리 충전 불충분 섹션 16 – 배터리 참조
13-17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1-
핸드세트 코드 장애
핸드세트 코드 참조
13-18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2 -
핸드세트 코드 어뎁터 장애
핸드세트 코드 어뎁터 참조
(기기 페널 조립체에 설치되는) 13-18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3 - IQDM
IQDM 포트 장애 포트 참조
대조 세팅이 너무 가벼움 13-15 페이지의 프로그램 참조
내장 컴퓨터가 전원 정지 모드에 단거리를 주행한 후 핸드세트를 차량에
있음 재 연결
섹션 11 – IQ 시스템 전기 시스템
내장 컴퓨터 기능 장애
테스트 참조
13-18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3 – IQDM
차량 전선 장비 연결이 느슨함
포트 참조
섹션 11 – IQ 시스템 전기 시스템
핸드세트 고장
테스트 참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섹션 11 – IQ 시스템 전기 시스템
속도 조절기 기능 장애
흔들리고 알수없는 문자들이 테스트 참조
나타남 IQDM 코드를 차량에서 뽑은 후 몇 초를
핸드세트 기능 장애
기다렸다가 재 연결
13-18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3 - IQDM
IQDM 포트의 연결이 느슨함
포트 참조
13-17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1-
가끔 핸드세트 코드 장애 있음
핸드세트 코드 참조
가끔 핸드세트 코드 어뎁터에 장애 13-18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2 -
있음 핸드세트 코드 어뎁터 참조
13-18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3 - IQDM
차량 전선 장비 연결이 느슨함
포트 참조
다음 페이지에 문제해결 가이드 계속

13-16
문제해결 가이드
증상 가능한 원인 정정 조치
핸드세트가 „잠궈짐‟ – IQDM 코드를 차량에서 뽑은 후 몇 초를
핸드세트 기능 장애
버튼이 반응을 안함 기다렸다가 재 연결
차량 배터리 – 단자가 느슨하거나
섹션 16 – 배터리 참조
부식됨
차량 배터리 – 배선 오류 섹션 16 – 배터리 참조
차량 배터리 – 배터리 고장 섹션 16 – 배터리 참조
차량 배터리 – 배터리 충전 불충분 섹션 16 – 배터리 참조
섹션 11 – IQ 시스템 전기 시스템
속도 조절기 기능 장애
테스트 참조

테스트 절차

다음 테스트 절차는 기술자가 IQDM과 IQDM-P 핸드세트 그리고 핸드세트의 적절한 작동과 관련된 IQ
시스템 차량의 구성 요소들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한다.

!! 경고

 전선이 제거되거나 교체되면, 배선과 전선장치가 적절히 배치되고 안전한지를 확인한다.


적절히 배치하고 안전하게 배선하지 않으면 차량 기능불량, 자산 손상, 인적 상해 또는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테스트 절차 색인
1. 핸드세트 코드
2. 핸드세트 코드 어댑터
3. IQDM 포트

테스트 절차 1 – 핸드세트 코드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 참조

1. 200옴으로 맞춰진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네모난 플러그가 있는 코드 끝의 단자 한 쪽에 적색


(+) 탐침을 둔다.
2. 한번에 하나씩, 코드 끝의 플러그 위의 각 핀에 흑색 (-) 탐침을 둔다.
3. 멀티미터는 오직 하나의 핀 상에서만 연속성을 나타내야 한다. 다른 수치가 얻어지면, 코드를
교체해야 한다.
4. 적색(+) 탐침을 네모난 플러그를 가진 코드 끝의 다른 단자로 삽입하는 절차를 3번 더
반복한다.

13-17
테스트 절차 2 – 핸드세트 코드 어댑터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 참조

핸드세트 코드 어댑터를 테스트하기 위한 절차는 코드 테스트와 비슷하다.


1. 200옴으로 맞춰진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네모난 플러그가 있는 코드 끝의 단자 한 쪽에 적색
(+) 탐침을 둔다.
2. 한번에 하나씩, 어댑터의 다른 플러그 위의 각 핀에 흑색 (-) 탐침을 둔다.
3. 멀티미터는 오직 하나의 핀 상에서만 연속성을 나타내야 한다. 다른 것이 나타나면, 코드를
교체해야 한다.
4. 적색(+) 탐침을 네모난 플러그를 가진 코드 끝의 다른 단자로 삽입하는 절차를 3번 더
반복한다.

테스트 절차 3 – IQDM 포트
IQDM 포트에 손상이나 부식이 있는지를 점검한다.

테스트 절차 3A – IQDM 포트 (기기 패널 아래 위치)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 참조

1. 키 스위치를 OFF로 돌리고, 전진/후진 스위치를 중립상태에 두고, 주차 브레이크를 잠근다.


2.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고, 배터리를 분리하되, 음극(-) 케이블 먼저 분리하며,
속도 조절기 축전기가 방전되도록 90초를 기다린다. 1-1페이지 경고사항 참조.
3. 기기 패널 아래에 장치된 IQDM 포트를 점검한다.
3.1 기기 패널 조립체 (2)를 대시 조립체 (3)에 고정하는 3개의 나사 (1)를 제거한다 (13-
18페이지, 그림 13-7).

그림 13-7 기기 패널 조립체 해체와 IQDM 포트 연결

3.2 4-핀 연결기 (4와 5)를 분리하고 접촉에 손상 및 부식이 있는지를 육안으로 점검한다. 기기
패널 조립체 (2) 아래에 설치된 IQDM 포트를 점검한다. 필요에 따라 수리 및 교체한다

13-18
3.3 문제가 없으면, 4-핀 연결기를 연결하고 기기 패널 조립체를 설치한다.
3.4 기기 패널 조립체 (2)를 대시 조립체 (3)에 고정하는 3개의 나사 (1)를 설치한다 (13-
18페이지, 그림 13-7)
4. 속도 조절기의 IQDM 포트를 점검한다.
4.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4.2 전기 모듈 커버를 제거한다. 15-5페이지 전기 모듈 커버 – 유형 A 배터리 구조 또는 15-
6페이지 전기 모듈 커버 – 유형 B와 C 배터리 구조를 참조하시오.
4.3 IQDM을 조절기에 연결한다.
4.3.1 속도 조절기에서 사각형 4-핀 연결기 (3)를 분리한다.
4.3.2 핸드세트 코드를 핸드세트에 연결한다.
4.3.3 핸드세트 코드 (어댑터 없이) (4)의 다른 끝을 속도 조절기 (2)의 4-핀 연결기에
연결한다 (13-19페이지, 그림 13-8).
4.3.4 차량 배터리를 연결하되, 양극 (+) 케이블 먼저 한다.
4.3.5 속도 조절기에 바로 연결되었을 때 핸드세트가 기능을 하면, 어댑터 플러그나 차량
전선 장치를 철저히 테스트해야 한다. 13-18 페이지 테스트 절차 2 – 핸드세트 코드
어댑터 참조. 섹션 11 – IQ 시스템 전기 시스템 및 테스트 참조.
4.4 전기 모듈 커버를 교체한다. 페이지 15-5 전기 모듈 커버 – 유형 A 배터리 구조 또는 15-
6페이지 전기 모듈 커버 – 유형 B 및 C 배터리 구조 참조.

그림 13-8 속도 조절기의 IQDM 연결기

13-19
섹션 14 – IQ 디스플레이 모듈 (IQDM) 및 IQDM-P
진단: 엑셀 시스템
!! 위험

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 참조

!! 경고

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 참조

주목: IQDM-P 핸드 세트 프로그램 특징에 대한 특정 정보에 대하여는, 섹션 22-IQ 디스플레이


모듈 프로그래머 (IQDM-P): 엑셀 시스템 참조.

핸드 세트를 차량에 꽂음

1. 핸드 세트 하부에 위치한 잭에 케이블 한 쪽 끝을 연결한다.


2. IQDM-P 케이블에 케이블 어댑터를 연결한다.
3. 차량에 있는 IQDM 잭을 찾는다.
4. IQDM 잭에서 먼지 캡을 제거한다.
5. IQDM 잭으로 플러그의 맞춰진 부분을 정렬하고 잭으로 플러그를 연결한다.

그림 14-1 기기 패널 아래의 IQDM 포트

14-1
초기 디스플레이

핸드 세트가 차량에 연결된 직 후, 차량은 차량 속도 조절기 정보를 로딩하기 시작한다. 몇 초 후,


스크린은 다음 메뉴 항목들을 디스플레이 할 것이다:
 프로그램 (IQDM-P만)
 모니터
 오류
 기능
 정보
 프로그램 세팅

핸드 세트에 아무런 정보도 나타나지 않거나 읽기 힘든 경우, IQDM 문제해결 절차를 참조하라. 14-
17페이지 IQDM 및 IQDM-P 핸드 세트 문제해결 참조.

메뉴 탐색

탐색 버튼 (1)은 핸드 세트의 왼쪽에 위치한 4개의 화살표이다 (14-3페이지, 그림 14-2). 이 버튼은


메뉴를 탐색하고 선택하는데 사용한다. 위 또는 아래 화살표는 사용자가 메뉴 항목들을 스크롤 하도록
한다. 원하는 메뉴 옆 박스가 깜박거릴 때, 오른쪽 화살표를 누르면 메뉴 항목이 선택된다. 왼쪽
화살표를 누르면 사용자가 바로 전 스크린 (2)으로 돌아가도록 한다.
변화 값 버튼 (3)은 핸드 세트의 오른쪽에 위치 해 있는 버튼이다 (14-3페이지, 그림 14-2). 이 버튼은
사용자가 + 또는 –을 눌러 수치를 변경할 수 있게 한다.
1,2, 및 3으로 라벨 된 3개의 노란색 버튼은 북 마크 버튼이다 (14-3페이지, 그림 14-2). 이 버튼은
사용자가 3개의 특정 스크린까지 북 마크를 할 수 있어서 이러한 스크린으로 신속하게 돌아 갈 수 있게
한다. 특정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북 마크하기 위해, 원하는 스크린이 나왔다면 “북 마크 설정”이라는
말이 나올 때까지 북 마크 버튼을 그냥 누르고 있는다. 북 마크된 스크린으로 돌아가야 할 때, 적절한
북 마크 버튼을 빨리 누르고 놓는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북 마크된 스크린으로 돌아갈 때, 북 마크 버튼을 빨리 누르고 놓아야 한다. 버튼을 너무


오랫동안 누르면, 북 마크가 현재 스크린으로 덮이게 되어 버린다.

14-2
그림 14-2 핸드세트 조절

IQDM 핸드 세트에서 다음 메뉴를 이용할 수 있다:

프로그램 (IQDM-P 만 해당)


프로그램 메뉴는 사용자가 고객 속도 조절기 세팅을 보고 변경하도록 한다. 22-2페이지 프로그램 메뉴
참조.

모니터
모니터 메뉴는 속도 조절기 문제해결을 돕기 위한 특정 변수의 값을 디스플레이 한다. 14-4페이지
모니터 메뉴 참조.

오류
오류 메뉴는 내력이 마지막으로 지워진 이후 속도 조절기에 의해 기록된 모든 오류를 디스플레이 한다.
오류가 여러 번 일어났다 할 지라도, 각 오류는 한 번만 기록된다. 14-6페이지, 오류 메뉴 참조.

기능
기능 메뉴는 사용자가 속도 조절기에서 핸드 세트, 그리고 핸드 세트에서 속도 조절기까지의 현재 모든
설정을 이동 시킬 수 있게 해준다. 14-12페이지 기능 메뉴 참조.

14-3
정보
정보 메뉴는 모델 번호, 일련 번호, 속도 조절기의 제조 날짜 및 소프트웨어 버전을 나타낸다. 14-
15페이지 정보 참조.

프로그래머 설정
프로그래머 설정 메뉴는 모델 번호, 일련 번호, OEM 정보 등과 같이 핸드 세트로 다양한 다른 정보뿐
아니라 사용자가 LCD 대비를 설정하고 프로그래머의 오류 내력을 보여 주도록 한다. 14-16페이지
프로그래머 설정 참조.

모니터 메뉴

모니터 메뉴는 모니터를 스크롤 하기 위하여 위 또는 아래 화살표를 사용하거나, 메뉴를 활성화 시키기
위하여 오른쪽 화살표를 눌러 접근할 수 있다. 모니터 메뉴의 모든 정보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며,
키 스위치 순환, 전진/후진 스위치 활성 등과 같이 핸드 세트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교육받은 기술자가
차량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이러한 메뉴에 나타나는 수치들은 조절기에 의하여 측정되는 대략적 값들을 나타내며 외부
측정기기에 의한 값과 다를 수 있다

차량이 운전되는 동안 모니터 메뉴가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교육받은 기술자는 차량 성능에 문제가
보고된 조건이나 위치에 있어서 몇 가지 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음 경고 참조.

!! 경고

 차량 운전자는 차량 운행 중에 핸드 세트를 모니터링 하지 말아야 한다. 기술자는 차량의


승객으로서 운전 중 핸드 세트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 경고 사항을 따르지 않으면 심각한
인적 상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다음 변수는 모니터 메뉴에서 핸드 세트로 실시간 모니터링 될 수 있다:

속도
시간당 마일. IQDM-P에서만 볼 수 있음

조절판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위치를 0% (눌려 있지 않은 페달)에서 95-100% (완전히 눌려 있는 페달)까지로
나타낸다. 이 항목은 키 스위치가 ON 또는 OFF 위치에 있을 때 모니터링 될 수 있다.

배터리 보조 전압 (Batt Aux Voltage)


속도 조절기의 현재 배터리 전압을 나타낸다.

온도
속도 조절기 열 씽크의 온도를 섭씨 단위로 나타낸다. 정상 작동 시, 열 씽크 온도는 85°C±5°C (185°F
± 9°F) 이하 이어야 한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브레이크 조절이 부적절할 시, 때때로 작동 전류가 정상보다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고
전류는 속도 조절기 열 씽크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14-4
전기자 전류
모터 전기자 전류를 암페어로 나타낸다.

전기장 전류
모터 전기장 전류를 암페어로 나타낸다.

전기자 PWM
모터 전기자 PWM (Pulse Width Modulation; 펄스 폭 변조)을 나타낸다. 펄스 폭 변조의 범의는
0%~100%이다. 차량이 최고 속도로 운전되고 있을 때, 펄스 폭 변조는 100%에 있어야 한다.

전기장 PWM
모터 전기장 PWM (펄스 폭 변조)을 나타낸다. 펄스 폭 변조의 범위는 0%~100%이다. 차량이 운행
중일 때, 펄스 폭 변조는 범위와 조절판 입력에 응하여 변동한다.

브레이크 입력 전압
이 메뉴는 장래 버전에 출시될 것이며 지금은 적용 불가능하다

속도 펄스
속도 펄스 메뉴 항목은 모터 속도 센서의 활동을 나타낸다. 키 스위치가 OFF 상태에 있고, 전진/후진
스위치가 중립 상태에 있으며, 차량이 움직이지 않을 때, 핸드세트는 속도 펄스가 꺼져 있음을 나타낸다.
차량을 단 거리로 천천히 밀 때, 핸드세트는 속도 펄스가 켜져 있음을 나타낸다.

발 입력
MCOR (모터 조절기 출력 조절 장치) 내부 제한 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낸다: 켜짐 또는 꺼짐.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눌려지지 않을 때, 핸드 세트는 제한 스위치가 꺼져 있다고 나타낸다.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눌려있고 키 스위치가 ON 위치에 있으면, 제한 스위치가 켜져 있다고 디스플레이
된다.

키 입력
키 스위치의 위치를 표시한다: 꺼짐 또는 켜짐

전진 입력
전진/후진 스위치가 중립 또는 후진 상태에 있을 경우, 핸드 세트는 전진 입력이 꺼져 있음을 나타낸다.
전진/후진 스위치가 „전진‟ 위치에 있으면, 핸드 세트는 전진 입력이 켜져 있음을 나타낸다.

후진 입력
전진/후진 스위치가 중립 또는 전진 상태에 있을 경우, 핸드 세트는 후진 입력이 꺼져 있음을 나타낸다.
전진/후진 스위치가 „후진‟ 위치에 있으면, 핸드 세트는 후진 입력이 켜져 있음을 나타낸다.

14-5
충전기 억제
충전기 연결을 표시한다. 조절기가 쏠레노이드 코일을 활성화할 때, 핸드세트는 켜져 있음을 나타낸다.
조절기가 쏠레노이드 코일을 비 활성화할 때는, 핸드세트가 꺼져 있음을 나타낸다.

주 접촉 운전기
현재 쏠레노이드 (주 접촉기) 상태를 나타낸다. 충전기가 연결되어 있고 조절기가 구동하지 않을 때
(억제되어 있을 때), 핸드 세트는 켜져 있음을 나타낸다. 충전기가 연결되어 있고 조절기가 구동될 때,
핸드세트는 꺼져 있음을 나타낸다.

키 입력
키 스위치 위치를 표시한다: 꺼짐 또는 켜짐

패스워드 시도 (IQDM-P 만 해당)


“개인 속도 모드” (속도 셋팅 4)로 차량을 둘 때는 패스워드가 필요하다. 속도 조절기는 로긴 오류 및
권한이 없는 접근들을 기록하여 속도 조절기를 “개인 속도 모드”에 둔다. 시도가 반복적으로 실패하게
되면, 속도 조절기는 영구적으로 “개인 속도 모드”로의 접근을 못하게 잠긴다. “개인 속도 모드”가
잠기게 될 경우, “개인 속도 모드”로 두기 전에 조절기를 제거하여 클럽 카로 운송해야 한다. 22-
4페이지 코드 A, 코드 B, 코드 C 참조.

오도미터
대략적인 주행거리를 마일로 표시한다.

차량 속도 (IQDM-P 만 해당)
각 속도 세팅에 대한 프로그램된 속도를 표시하려면 오른쪽 화살표를 누른다.

페달 카운터
액셀러레이터 페달 사용수를 누적 계수한다.

오류 카운터
오류 카운터는 오류 내역을 마지막으로 초기화 한 후 각 오류 유형이 몇 번씩 기록되었는지를 표시한다.
오류 메뉴 섹션을 참조하라

오류 계수 오도미터
오류 계수 오도미터는 각 오류 유형의 마지막 발생 사항과 관련된 오도미터의 수치를 표시한다.만약
오류가 오류 내역을 마지막으로 초기화하기 전에 발행하였으면 0.0 마일을 표시한다.

오류 메뉴

오류메뉴는 오류로 스크롤 하기 위하여 위 또는 아래 화살표를 사용하거나, 메뉴를 활성화 시키기


위하여 오른쪽 화살표를 눌러 접근할 수 있다.
오류메뉴에 나타난 오류는 기술자가 차량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나타난 오류는
종종 전기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을 테스트해야 함을 나타낸다.

14-6
오류메뉴는 차량 작동 중에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차량 성능에 관하여 보고된 문제점이 있는 상태나
위치에서 기술자가 오류 발생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경고사항 참조.

!! 경고

 차량 운전자는 차량 운행 중에 핸드 세트를 모니터링 하지 말아야 한다. 기술자는 차량의


승객으로서 운전 중 핸드 세트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 경고 사항을 따르지 않으면 심각한
인적 상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시스템 오류

시스템 오류 메뉴는 최근 오류 내력이 해결된 이후로 속도 조절기에 의하여 감지된 모든 오류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 메뉴에 나타난 오류는 현재 발효 중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일단 오류가
감지되면, 오류 내력 메뉴상 속도 조절기 메모리에 저장된다. 각 감지된 오류는 여러 번 발생되었다 할
지라도, 단 한번만 기록된다.

오류 원인
오류의 주요 원인들은:
 전선 또는 연결기가 느슨하거나, 파손되었거나, 분리되었을 때
 구성 요소의 고장
 전기 또는 기계 구성 요소의 부적절한 조절 또는 설치 (예: 브레이크 조절, 부적절한 MCOR
설치)
 전기 구성 요소의 부적절한 배선

상기에서 제시된 것처럼, 오류 발생의 잠재 원인은 많이 있으며, 속도 조절기는 현재 감지된 오류에


근거하여 각 오류에 프로그램된 대로 반응한다. 기술자는 적절한 진단을 내리기 위하여 감지된 오류와
오류에 대한 조절기의 반응에 익숙해야 한다.

오류로 인한 일어날 수 있는 오 진단의 예: 3-핀 속도 센서 전선이 분리되었을 경우, 속도 조절기는


속도 센서 오류를 감지할 것이다. 속도 센서 오류가 감지되면, 조절기는 정상 최고 속도의 1/2로 차량
속도를 제한함으로써 오류에 반응을 한다. 기술자가 배터리의 심한 방전 때문에 차량이 천천히
달린다고 결론을 내리게 되면, 그 문제에 대하여 부적절한 진단을 내리게 되는 것이다.

차량 속도 조절기는 어떠한 정비가 수행되기 전에 오류 코드에 대하여 점검되어야 한다.

오류 감지 후, 속도 조절기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반응하게 된다:


A. 전기자 전류를 감소시킴으로써 차량 속도를 0으로 감소시킨다.
B. 전기장 전류를 0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차량 속도를 0으로 감소시킨다.
C. 쏠레노이드를 끔
D. 차량이 반 속도로 움직인다.
E. 전기자 전류 한계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킨다.
F. 속도 센서 펄스가 생길 때까지 전기자 전류를 급속히 감소시킨다.
G. 전기장 전류를 감소시키고 빠른 속도로 후진 부저를 울린다.

14-7
조절기 오류 조절기 반응
HW 안전장치 A, B, C
조절판 오류 A
속도 센서 D
주요 접합 D
주요 운전사 켜짐 D
주요 운전사 꺼짐 A, C
주 코일 오류 A
전기장 누락 A, B, C
HPD A
과전압 A, B, G
저배터리 E
열적 삭감 E
모터 멈춤 F
주 드롭아웃 (1 또는 2) A, C
최고 패스워드 시도 수 (아무조치없음)
패스워드 오류 (아무조치없음)
BLD 과전류 현재는 해당사항 없음
주 동력 과전류 A, B
전류 감지 오류 A, B
M-단선 A, B, C

오류 복구
속도 조절기는 오류 감지 시, 복구하고 정상 작동을 다시 시작하려고 할 것이다. 느슨한 배선 연결과
같은 가끔 발생하는 문제에 있어서, 조절기는 잠시 동안 정상적으로 복구하고 작동할 수도 있지만,
차량을 재 운행하기 전에 문제점이 수리되어야 한다.
오류 유형에 따라, 조절기는 상태가 정상화된 후 또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순환 (페달을 떼고 다시
누름) 된 후에 즉시 복구하려고 할 것이다.

14-8
조절기 오류 조절기의 복구 시도
HW 안전장치 키 스위치가 순환될 때
조절판 오류 상황이 제거되었을 때
속도 센서 상황이 제거되었을 때
주요 접합 상황이 제거되었을 때
주요 운전사 켜짐 상황이 제거되었을 때
주요 운전사 꺼짐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순환될 때
주 코일 오류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순환될 때
전기장 누락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순환될 때
HPD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순환될 때
과전압 상황이 제거되었을 때
저배터리 상황이 제거되었을 때
열적 삭감 상황이 제거되었을 때
모터 멈춤 상황이 제거되었을 때
주 드롭아웃 (1 또는 2)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순환될 때
최고 패스워드 시도 수 견인/주행 스위치가 순환될 때
패스워드 오류 견인/주행 스위치가 순환될 때
BLD 과전류 현재는 해당사항 없음
주 동력 과전류 상황이 제거되었을 때
전류 감지 오류 조절기 내부
M-단선 키 스위치가 순환될 때

다음 오류는 엑셀 시스템 조절기에 의해서 감지될 수 있다.

HW 안전장치
전기자 드라이브 FET (전기장 효과 트랜지스터)가 전기자 전류를 조절한다. 속도 조절기가 전기자
드라이브 FET나 회로의 장애를 감지하였다면, 하드웨어 안전장치 오류가 감지된다.

조절판 오류
MCOR (모터 조절기 출력 조정장치) 전압이 0.20볼트 이하이거나 4.80볼트 이상이면, 조절기는 조절판
오류를 감지한다.

속도 센서
조절기가 동력 (전기자 PWM 75% 이상)을 모터로 보내는 동안 속도 조절기가 속도 센서로부터 펄스를
감지하지 못하면, 속도 센서 오류가 감지된다.

14-9
주요 접합
속도 조절기가 쏠레노이드 접촉부 접합이 폐쇄되어 있다는 것을 감지하면, 주요 접합 오류가 감지된다.

주 운전자 ON
쏠레노이드 접촉 폐쇄를 조절하는 FET가 활성화 되지 말아야 할 때 활성화 된 것이 발견된다면, 속도
조절기는 주 운전자 ON 오류를 감지한다.

주 운전자 OFF
쏠레노이드 접촉 폐쇄를 조절하는 FET가 활성화되어야 할 때 활성화 되지 않은 것이 발견된다면, 속도
조절기는 주 운전자 OFF 오류를 감지한다.

주 코일 개방
쏠레노이드 코일 장애로 인하여 쏠레노이드가 폐쇄되지 않는 것을 속도 조절기가 인지하면, 주 코일
개방 오류가 감지된다.

전기장 미싱
속도 조절기가 90% (거의 최고 속도) 이상의 주기로 작동하고 자기장 전류가 3암페어 이하이면, 자기장
미싱 오류가 속도 조절기에 의해서 감지된다.

HPD
키 스위치를 ON위치로 돌릴 때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이미 눌려있으면, HPD (High Pedal Detect)
오류가 감지된다. 이 오류는 또한 전진/후진 스위치로 선택된 방향이 변경될 때 액셀 페달이 밟혀
있으면 감지된다. 이 오류는, 운전자에 의해서 발생된 오류가 아닐 때, 페달 제한 스위치가 닫히는
고장에 발생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과 전압
속도 조절기가 배터리 과 전압을 발견하면 (68.4~75.6볼트 DC), 과 전압 오류가 감지된다.

배터리 전압 부족
배터리 전압이 34볼트±5% 이하로 떨어지면, 속도 조절기는 배터리 전압 부족을 감지한다.

열 삭감
조절기 열 씽크 온도가 85°C±5°C (185°F±9°F)를 초과하거나 -25 C±5°C (-13°F±9°F) 이하이면 열
삭감 오류가 감지된다.

모터 멈춤
모터 전류가 높고 짧은 시간 동안 차량 바퀴의 움직임이 없다면, 모터 멈춤이 속도 조절기에 의해서
감지된다. 이 오류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 대신에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누르며 차량을 언덕에
멈추고 있을 때 생길 수 있다.

14-10
주 드롭아웃 (1 또는 2)
조절기가 차량 운행 중 쏠레노이드 접촉이 개방되었다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 주 드롭아웃 오류가
감지된다.

패스워드 입력 오류(IQDM-P 만 해당)


각 차량은 차량을 “개인 속도 모드”로 두는데 사용되는 유일한 코드 세트 형태의 패스워드를 가진다.
코드 세트가 틀리게 입력이 되면, 패스워드 입력 오류가 표시된다. 코드에 관해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면, 22-4페이지, 코드 A, 코드 B, 코드C 참조. 또한 14-6 페이지 패스워드 시도 (IQDM-P 만
해당)도 참조.

최대 패스워드 시도 (IQDM-P 만 해당)


최대 패스워드 시도 오류는 맞지 않는 패스워드 오류가 여러 번 나타났을 때 선포된다. 최대 패스워드
시도 오류가 표시된 경우, “개인 속도 모드”에 두기 전에 속도 조절기를 제거하여 클럽카로 운송해야
한다. 22-4페이지, 코드 A, 코드 B, 코드C 참조. 또한 14-6 페이지 패스워드 시도 (IQDM-P 만
해당)도 참조.

오류 내역
오류 내역 메뉴는 차량 문제점의 원인을 결정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그러나, 오류 내역만으로 구성
요소의 교체 시기를 결정하지 않는다. 속도 조절기에 의해서 감지된 일부 오류는 고장 난 구성 요소의
결과가 아니고 운전자 실수의 결과일 수 있다.
오류가 오류 내역 메뉴에 나타나면, 기술자는 오류가 언제, 어디서 발생했는지를 파악하려고 해야 한다.
예를 들면, 모터 멈춤 오류가 오류 내역에 나타나면, 기술자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사용하여 언덕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작동한 코스의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

오류 내역 초기화
수리 후, 오류 내역을 초기화해야 한다. 이는 다른 문제가 발생할 경우, 기술자가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차량의 문제를 올바로 해결 할 수 있도록 한다. 기술자가 과거의 오류 코드로 인하여 이상없이 잘
작동하고 있는 구성 부품을 교체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오류 내역을 수리 후 초기화해야 한다. 예를
들면, MCOR 장치가 분리되고 속도 조절기가 조절판과 관련된 오류코드를 감지하면, 미래의 문제가
조절판 문제로서 틀리게 진단되지 않도록 오류 내역을 초기화 한다. 14-16페이지 오류 내역 초기화
참조.

14-11
기능 메뉴

기능 메뉴는 기능 스크롤에 위, 아래 화살표를 사용하고 메뉴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오른 쪽 화살표


키를 눌러 접근할 수 있다.

조절기로부터 세팅 값 이동
이 기능은 차량 속도 조절기에서 핸드세트로 모든 속도 조절기 설정 (“개인 속도 모드” 제외)을 옮긴다.
이는 기술자가 속도 조절기를 “복제”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일단 속도 조절기 설정이 핸드세트로
옮겨지면, 기술자는 핸드세트를 다른 차량에 연결해서 저장된 설정을 속도 조절기로 옮길 수 있게 된다.

속도 조절기 복제 – 차량에서 핸드세트로의 설정 이동


1. 원하는 속도 조절기 설정이 있는 차량을 선택한다.
2. 키 스위치를 OFF로 돌리고, 전진/후진 핸들을 중립상태에 두고, 주차 브레이크를 잠근다.
3. 핸드세트를 차량에 꽂는다.
3.1 핸드세트 하부에 있는 포트에 케이블 한 쪽 끝을 연결한다.
3.2 케이블 어댑터를 IQDM 케이블에 연결한다.
3.3 IQDM 포트에서 먼지 캡을 제거한다.
3.4 IQDM 포트와 플러그 키 부분을 정렬하고 포트에 플러그를 연결한다 (14-1페이지 그림
14-1).
4. 기능 메뉴로 스크롤하여 선택한다.
5. 세팅을 선택한다.
6. „조절기로부터의 세팅 이동‟을 선택한다.
7. 작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변화 값 버튼에 +를 누른다.
8. 조절기 세팅이 핸드세트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있는 다음 몇 초 동안 핸드세트에 “실행 중…”
이라는 메시지가 뜰 것이다 (14-13페이지, 그림 14-3).
9. 핸드세트가 속도 조절기 세팅 복제를 마치게 되면, 확인 메시지가 뜬다 (14-13페이지, 그림
14-4).
10. 핸드세트의 메모리에 저장된 조절기 세팅을 사용하여, 하나 또는 여러 엑셀 시스템 차량으로
원하는 속도 조절기의 모든 세팅을 이동시키는데 핸드세트를 사용할 수 있다. 14-13페이지 속도
조절기 복제 – 핸드세트에서 차량으로의 세팅 이동 참조.

14-12
그림 14-3 핸드세트 실행 중 그림 14-4 확인 메시지

조절기에 세팅 쓰기
이 기능은 핸드세트에서 차량 속도 조절기로 모든 속도 조절기 세팅 (“개인 속도 모드” 제외)을
이동시킨다. 이것은 기술자가 속도 조절기를 “복제”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일단 속도 조절기 세팅이
핸드세트로 옮겨지면, 기술자는 핸드세트를 다른 차량에 연결해서 저장된 세팅을 속도 조절기로 옮길
수 있게 된다.

속도 조절기 복제 – 핸드세트에서 차량으로 세팅 옮기기


1. 원하는 속도 조절기 세팅이 있는 핸드세트로 이 절차를 실행한다. 14-12페이지 속도 조절기
복제 – 차량에서 핸드세트로의 세팅 이동 참조.
2. 원하는 속도 조절기 세팅이 없는 차량을 설정한다.
3. 키 스위치를 OFF로 돌리고, 전진/후진 핸들을 중립상태에 두고, 주차 브레이크를 잠근다.
4. 핸드세트를 차량에 꽂는다.

4.1 핸드세트 하부에 있는 포트에 케이블 한 쪽 끝을 연결한다.


4.2 케이블 어댑터를 IQDM 케이블에 연결한다.
4.3 IQDM 포트에서 먼지 캡을 제거한다.
4.4 IQDM 포트와 플러그 키 부분을 정렬하고 포트에 플러그를 연결한다 (14-1페이지, 그림
14-1)

14-13
5. 기능 메뉴로 스크롤하여 선택한다.
6. 세팅을 선택한다.
7. „조절기로의 세팅 쓰기‟를 선택한다.
8. 작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변화 값 버튼의 +를 누른다.
9. 조절기 세팅이 핸드세트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있는 동안, 다음 몇 초 동안 핸드세트에 “실행
중…” 이라는 메시지가 뜰 것이다 (14-13페이지, 그림 14-3).
10. 핸드세트가 속도 조절기 세팅 복제를 마치게 되면, 확인 메시지가 뜬다 (14-14페이지, 그림
14-5).
11. 같은 핸드세트 세팅으로 프로그램 되어야 하는 다른 차량에 대하여 이 절차를 반복한다.

그림 14-5 확인 메시지 그림 14-6 확인 메시지

14-14
모든 세팅의 리셋
실수가 생기거나 하나 이상의 변경 사항이 핸드세트에 반영되지 말아야 하는 경우, 속도 조절기 세팅은
세션 초기에 원래 세팅으로 바꿔질 수 있다 (핸드세트가 차량으로 꽂아졌을 때). 이 기능은 PC의
“원래로 되돌림(undo)” 명령어와 비슷하며 핸드세트가 뽑지 않고 속도 조절기로의 전원이 끊어지지
않을 때만 올바르게 작동한다.

모든 세팅의 리셋
1. 세팅이 원래대로 돌아가야 할 때인 작동 세션 동안 (세션 초기에 활성인 값), 기능 메뉴로
스크롤하여 선택한다.
2. 세팅을 선택한다.
3. 모든 세팅을 리셋한다.
4. 작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변화 값 버튼의 +를 누른다.
5. 조절기 세팅이 핸드세트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있는 동안, 다음 몇 초 동안 핸드세트에 “실행
중…” 이라는 메시지가 뜰 것이다 (14-13페이지, 그림 14-3).
6. 핸드세트가 속도 조절기 세팅 리셋을 마치게 되면, 확인 메시지가 뜬다 (14-14페이지, 그림
14-6).

정보

정보 메뉴는 메뉴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정보로 스크롤 하기 위한 위, 아래 화살표를 사용하고 오른쪽


화살표 키를 눌러 접근할 수 있다.
이 선택 메뉴는 속도 조절기에 있는 정보를 나타낸다. 이 선택 메뉴에서 주어진 정보는 다음 항목들을
포함한다:

모델 번호
속도 조절기의 모델 번호를 나타낸다.

일련 번호
속도 조절기의 일련 번호를 표시한다.

제조 날짜
속도조절기가 제조된 날짜를 표시한다.

소프트웨어 버전
속도 조절기 소프트웨어 버전을 나타낸다.
14

14-15
프로그래머 셋업

프로그래머 셋업 메뉴는 사용자가 LCD 디스플레이 대조를 설정하게 하고, 핸드세트의 오류 내역을
기록하게 하고, 핸드세트에 있는 정보를 보여준다.

프로그램
이 메뉴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서 대조를 조절하게 해준다. LCD-대조 메뉴를 선택한 후,
변화 값 버튼을 사용해서 가장 읽기 쉽도록 대조를 조절한다.

오류
이 메뉴선택은 핸드세트에서 감지된 오류를 보여준다. 이 오류 메뉴는 속도 조절기에서 감지된 오류와
상관이 없다.
다음 오류는 핸드세트에서 감지될 수 있다:

코드 번호 디스플레이되는 텍스트
14 조절기의 커뮤니케이션 에러
15 핸드세트의 에러
16 핸드세트가 이 기능을 지원하지 않음
17 시리얼 포트 오버런 에러
18 프로그램 메뉴상의 보안 잠금

오류 내역
이 메뉴는 핸드세트 자체 내에서 감지된 오류를 보여준다.

오류 내역 초기화
오류 내역 초기화 기능은 핸드세트에 저장된 핸드세트 오류 내역을 지운다.

정보
이 메뉴 선택은 핸드세트에 있는 정보를 보여준다. 이 메뉴 선택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모델 번호, 일련
번호, 핸드세트 제조 날짜, 핸드세트 소프트웨어 버전 등을 포함한다.

14-16
IQDM 및 IQDM-P 핸드세트 문제해결

핸드세트가 이 매뉴얼에 설명된 데로 기능을 하지 않을 경우, 다음 문제해결 가이드를 참조하고 참조된


테스트 절차는 핸드세트의 문제해결을 수행해야 한다.

문제해결 가이드

증상 가능한 원인 정정 조치
핸드세트 디스플레이 핸드세트 코드 그리고/또는 14-1 페이지의 핸드세트를 차량에 꽂음
스크린에 아무것도 나타나지 어뎁터가 분리됨 참조
않음 차량 배터리 – 단자가 느슨하거나
섹션 16 – 배터리 참조
부식됨
차량 배터리 – 배선 오류 섹션 16 – 배터리 참조
차량 배터리 – 배터리 고장 섹션 16 – 배터리 참조
차량 배터리 – 배터리 충전 불충분 섹션 16 – 배터리 참조
14-18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1-
핸드세트 코드 장애
핸드세트 코드 참조
14-19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2 -
핸드세트 코드 어뎁터 장애
핸드세트 코드 어뎁터 참조
(기기 페널 조립체에 설치되는) 14-19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3 - IQDM
IQDM 포트 장애 포트 참조
대조 세팅이 너무 가벼움 14-15 페이지의 프로그램 참조
내장 컴퓨터가 전원 정지 모드에 단거리를 주행한 후 핸드세트를 차량에
있음 재 연결
섹션 12 – 액셀 시스템 전기 시스템
내장 컴퓨터 기능 장애
테스트 참조
14-18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3 – IQDM
차량 전선 장비 연결이 느슨함
포트 참조
14-19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3 - IQDM
속도 조절기 기능 장애
포트 참조
섹션 12 – 액셀 시스템 전기 시스템
핸드세트 고장
테스트 참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섹션 12 – 액셀 시스템 전기 시스템
속도 조절기 기능 장애
흔들리고 알수없는 문자들이 테스트 참조
나타남 IQDM 코드를 차량에서 뽑은 후 몇 초를
핸드세트 기능 장애
기다렸다가 재 연결
14-19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3 - IQDM
IQDM 포트의 연결이 느슨함
포트 참조
14-18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1-
가끔 핸드세트 코드 장애 있음
핸드세트 코드 참조
가끔 핸드세트 코드 어뎁터에 장애 14-19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2 -
있음 핸드세트 코드 어뎁터 참조
14-19 페이지의 테스트 절차 3 - IQDM
차량 전선 장비 연결이 느슨함
포트 참조
다음 페이지에 문제해결 가이드 계속

14-17
문제해결 가이드

증상 가능한 원인 정정 조치
핸드세트가 „잠궈짐‟ – IQDM 코드를 차량에서 뽑은 후 몇 초를
핸드세트 기능 장애
버튼이 반응을 안함 기다렸다가 재 연결
차량 배터리 – 단자가 느슨하거나
섹션 16 – 배터리 참조
부식됨
차량 배터리 – 배선 오류 섹션 16 – 배터리 참조
차량 배터리 – 배터리 고장 섹션 16 – 배터리 참조
차량 배터리 – 배터리 충전 불충분 섹션 16 – 배터리 참조
섹션 12 – 액셀 시스템 전기 시스템
속도 조절기 기능 장애
테스트 참조

테스트 절차

다음 테스트 절차는 기술자가 IQDM과 IQDM-P 핸드세트 그리고 핸드세트의 적절한 작동과 관련된
엑셀 시스템 차량의 구성 요소들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한다.

!! 경고

 전선이 제거되거나 교체되면, 배선과 전선장치가 적절히 배치되고 안전한지를 확인한다. 적절히
배치하고 안전하게 배선하지 않으면 차량 기능불량, 자산 손상, 인적 상해 또는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테스트 절차 색인
1. 핸드세트 코드
2. 핸드세트 코드 어댑터
3. IQDM 포트

테스트 절차 1 – 핸드세트 코드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 참조

1. 200옴으로 맞춰진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네모난 플러그가 있는 코드 끝의 단자 한 쪽에 적색


(+) 탐침을 둔다.
2. 한번에 하나씩, 코드 끝의 플러그 위의 각 핀에 흑색 (-) 탐침을 둔다.
3. 멀티미터는 오직 하나의 핀 상에서만 연속성을 나타내야 한다. 다른 수치가 얻어지면, 코드를
교체해야 한다.
4. 적색(+) 탐침을 네모난 플러그를 가진 코드 끝의 다른 단자로 삽입하는 절차를 3번 더
반복한다.

14-18
테스트 절차 2 – 핸드세트 코드 어댑터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 참조

핸드세트 코드 어댑터를 테스트하기 위한 절차는 코드 테스트와 비슷하다.


1. 200옴으로 맞춰진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네모난 플러그가 있는 코드 끝의 단자 한 쪽에 적색
(+) 탐침을 둔다.
2. 한번에 하나씩, 어댑터의 다른 플러그 위의 각 핀에 흑색 (-) 탐침을 둔다.
3. 멀티미터는 오직 하나의 핀 상에서만 연속성을 나타내야 한다. 다른 것이 나타나면, 코드를
교체해야 한다.
4. 적색(+) 탐침을 네모난 플러그를 가진 코드 끝의 다른 단자로 삽입하는 절차를 3번 더
반복한다.

테스트 절차 3 – IQDM 포트
IQDM 포트에 손상이나 부식이 있는지를 점검한다.

테스트 절차 3A – IQDM 포트 (기기 패널 아래 위치)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 참조

1. 키 스위치를 OFF로 돌리고, 전진/후진 스위치를 중립상태에 두고, 주차 브레이크를 잠근다.


2.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두고, 배터리를 분리하되, 음극(-) 케이블 먼저 분리하며,
속도 조절기 축전기가 방전되도록 90초를 기다린다. 1-2페이지 경고사항 참조.
3. 기기 패널 아래에 장치된 IQDM 포트를 점검한다.
3.1 기기 패널 조립체 (2)를 대시 조립체 (3)에 고정하는 3개의 나사 (1)를 제거한다 (14-
19페이지, 그림 14-7).

그림 14-7 기기 패널 조립체 해체와 IQDM 포트 연결

3.2 4-핀 연결기 (4와 5)를 분리하고 접촉에 손상 및 부식이 있는지를 육안으로 점검한다. 기기
패널 조립체 (2) 아래에 설치된 IQDM 포트를 점검한다. 필요에 따라 수리 및 교체한다

14-19
3.3 문제가 없으면, 4-핀 연결기를 연결하고 기기 패널 조립체를 설치한다.
3.4 기기 패널 조립체 (2)를 대시 조립체 (3)에 고정하는 3개의 나사 (1)를 설치한다 (14-
19페이지, 그림 14-7)
4. 속도 조절기의 IQDM 포트를 점검한다.
4.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4.2 전기 모듈 커버를 제거한다. 15-6페이지 전기 모듈 커버 – 유형 B와 C 배터리 구조를
참조하시오.
4.3 IQDM을 조절기에 연결한다.
4.3.1 속도 조절기에서 사각형 4-핀 연결기 (3)를 분리한다.
4.3.2 핸드세트 코드를 핸드세트에 연결한다.
4.3.3 핸드세트 코드 (어댑터 없이) (4)의 다른 끝을 속도 조절기 (2)의 4-핀 연결기에
연결한다 (14-20페이지, 그림 14-8).
4.3.4 차량 배터리를 연결하되, 양극 (+) 케이블 먼저 한다.
4.3.5 속도 조절기에 바로 연결되었을 때 핸드세트가 기능을 하면, 어댑터 플러그나 차량
전선 장치를 철저히 테스트해야 한다. 14-19 페이지 테스트 절차 2 – 핸드세트 코드
어댑터 참조. 섹션 12 – 엑셀 시스템 전기 시스템 및 테스트 참조.
4.4 전기 모듈 커버를 교체한다. 15-6페이지 전기 모듈 커버 – 유형 B 및 C 배터리 구조 참조.

그림 14-8 속도 조절기의 IQDM 연결기

14-20
섹션 15 – 전기 구성 요소들
!! 위험

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 경고

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키 스위치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키 스위치 테스트
11-21 또는 12-21페이지 테스트 절차 8, 키 스위치 및 MCOR 한계 스위치 회로 참조.

키 스위치 분해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기기 패널을 제거한다 (15-1페이지, 그림 15-1).
2.1 기기 패널 (2)에서 3개의 나사 (1)를 제거한다.
2.2 패널 위 부분의 탭을 풀기 위하여 대시로부터 기기 패널을 위쪽으로 돌린다.
2.3 전기 연결기 (3)를 기기 패널로 분리한다.

그림 15-1 기기 패널 분해

15-1
3. 키 스위치에서 전선을 분리한다.
4. 기기 패널 뒤쪽으로부터, 키 스위치 (4) 주변의 고정 탭을 아래로 누르고 키 스위치 캡(8)을
제거한다. 키 스위치를 잡고 기기 패널의 바깥쪽에서부터 스위치 고정 너트(6)를 제거한다 (15-2페이지,
그림 15-2).

그림 15-2 키 스위치

키 스위치 설치
1. 기기 패널의 키 스위치와 편평 와셔 (9)의 위치를 맞춘 다음, 고정 너트를 설치하고 스위치 고정
너트 (6) 40in-lb (4.5Nm)까지 조인다. 중앙 대시에 키 스위치 캡 (8)을 설치한다 (15-2페이지,
그림 15-2).
2. 청색과 녹색 전선을 키 스위치 단자에 연결한다. 방향은 상관없다. 11-2 또는 12-2페이지 배선
도식 참조.
3. 기기 패널을 설치한다.
3.1 전기 연결기 (3)를 연결한다 (15-1페이지, 그림 15-1)
3.2 위쪽 가장자리 위의 탭이 대시 조립체의 슬롯과 적절히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자리
잡는 동안 노출되거나 구멍 난 전선이 없음을 확인한다.
3.3 기기 패널을 3개의 나사 (1)로 대시 조립체에 고정한다. 나사는 1.8 ft-lb (2.5 Nm)까지
조인다.
4.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에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 먼저 한다.
5. 분해 절차의 반대 순서로 중앙 대시를 설치한다. 키 스위치 단자 (7)가 프레임에 닿지 않으며,
중앙 대시 패널이 잘 안착되었는지를 확인한다 (그림 13-2, 13-2쪽). 배터리 단자를 110 in-lb
(12.4 Nm)까지 조이고, 배터리 단자 보호 스프레이 (CCI P/N 1014305)로 단자를 코팅해서
부식을 최소화한다.

15-2
배터리 경고 등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배터리 경고 등 테스트
11-39 또는 12-39페이지 테스트 절차 18 – 배터리 경고 등 참조.

배터리 경고 등 분해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기기 패널을 제거한다. 15-1페이지, 키 스위치 분해의 2단계 참조.
3. 경고 등의 전선을 분리한다.
4. 2개의 고정 탭 (11)을 누르고 중앙 대시에서 등을 제거한다 (15-3페이지, 그림 15-3).

배터리 경고 등 설치
1. 분해의 반대 순서로 설치한다.
2.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놓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in-lb (12.4Nm)까지 조이고 배터리 단자 보호 스프레이 (CCI P/N
1014305)로 단자를 코팅해서 부식을 최소화한다.

그림 15-3 배터리 경고 등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테스트


11-37 또는 12-37페이지 테스트 절차 15 –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참조.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분해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15-3
2.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하우징 (1)을 차량에 고정하고 있는 2개의 나사 (2)를 제거한다 (15-
4페이지, 그림 15-4).
3. 동작 스위치에서 3개의 전선을 제거한다.
4. 스위치 (3)의 각 사이드에 있는 고정 탭을 누르고 하우징으로 스위치를 민다.

그림 15-4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설치
1. IQ 시스템: 베즐을 통하여 3개 전선을 연결한다. (15-4페이지, 그림 15-4)에 나와 있는 것처럼
동작 스위치 (3)에 청색 (4), 적색(5), 흰색 (6) 전선을 정확히 연결한다.
2. 엑셀 시스템: 베즐을 통하여 3개 전선을 연결한다. (15-4페이지, 그림 15-4)에 나와 있는
것처럼 동작 스위치 (3)에 청색 (4), 오렌지색(5), 갈색 (6) 전선을 정확히 연결한다.
3. 동작 스위치 (3)를 돌려서 단자가 하우징 (1) 앞쪽을 향하도록 한다. 동작 스위치 (3)를 하우징
(1)으로 민다.
4. 하우징을 몸체 위 자리에 두고 2개의 나사 (2)를 설치한다. 20 in-lb (2.3 Nm)으로 조인다.
5.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로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in-lb (12.4Nm)까지 조이고 배터리 단자 보호 스프레이 (CCI P/N
1014305)로 단자를 코팅해서 부식을 최소화한다.
6.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상태에 둔다.
7. 차량이 올바로 작동하는지 점검한다.

‼ 경고

 전진/후진 스위치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차량이 전진 방향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 전진/후진 스위치가 „후진‟ 위치에 있을 때, 차량이 후진 방향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전진/후진 스위치가 „후진‟ 상태에 있을 때, 후진 부저가 울리게 된다.
 전진/후진 스위치가 중립 상태에 있을 때, 차량이 작동하지 않는지를 확인한다.

15-4
전자 모듈 커버 – 유형 A 배터리 구조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전자 모듈 커버는 전자 모듈, 견인/주행 스위치, 타이머에 접근하기 위하여 제거되어야 한다.

전자 모듈 커버 제거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전자 모듈위로 커버 (2)를 고정하고 있는 나사 (1)를 제거한다 (15-5페이지, 그림 15-5).
3. 배터리 선을 잡고 차량에서 커버 (2)를 들어 올린다.

전자 모듈 커버 설치
1. 배터리 선을 잡고 전자 모듈 위로 커버 (2)를 둔다 (15-5페이지, 그림 15-5).
2. 나사 (1)를 설치하여 제 자리에 커버를 고정시킨다. 나사는 3.4 ft-lb (4.6 Nm)까지 조인다.

주의

 전자 구성 요소들은 물에 노출될 시 손상될 수 있다.


- 커버를 올바로 설치하지 않으면 차량을 운전하지 말라
- 커버 주위로 물줄기를 향하게 하지 말라

3.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로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in-lb (12.4Nm)까지 조이고 배터리 단자 보호 스프레이 (CCI P/N
1014305)로 단자를 코팅해서 부식을 최소화한다.

그림 15-5 전자 모듈 커버

15-5
15
전자 모듈 커버 – 유형 B와 C 배터리 구조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전자 모듈 커버는 속도 조절기, 견인/주행 스위치, 내장 컴퓨터에 접근하기 위하여 제거되어야 한다.

전자 모듈 커버 제거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접근 패널 (2)을 차량에 고정시키는 2개의 플라스틱 리벳 (1)을 제거한다 (15-6페이지, 그림
15-6).
3. 커버를 배터리 통에 고정시키는 2개의 후크 (4)를 먼저 풀어서 커버 (5)를 제거한 다음, 배터리
통의 후드에 있는 짝 맞춤 구멍으로부터 4개의 탭 (3)을 풀기 위하여 커버를 조절한다.

전자 모듈 커버 설치
1. 배터리 통의 후드에 있는 짝 맞춤 구멍으로 4개의 탭 (3)을 먼저 걸어서 커버 (5)를 설치한다
(15-6페이지, 그림 15-6). 그런 다음, 2개의 후크 (4)를 사용하여 커버를 배터리 통에 고정시킨다.
2. 차량에 접근 패널 (2)을 두고 2개의 플라스틱 리벳 (1)으로 고정시킨다. 다음 주의 참조.

주의

 전자 구성 요소들은 물에 노출될 시 손상될 수 있다.


- 커버를 올바로 설치하지 않으면 차량을 운전하지 말라
- 커버 주위로 물줄기를 향하게 하지 말라

3.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로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in-lb (12.4Nm)까지 조이고 배터리 단자 보호 스프레이 (CCI P/N
1014305)로 단자를 코팅해서 부식을 최소화한다.

그림 15-6 전자 모듈 커버의 접근 및 제거

15-6
견인/주행 스위치 – 유형 A 배터리 구조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견인/주행 스위치 테스트


11-19페이지 테스트 절차 6 – 견인/주행 스위치 참조.

견인/주행 스위치 제거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전자 모듈 커버를 제거한다. 15-5페이지 전자 모듈 커버 제거 참조.
3. 견인/주행 스위치 부트/육각 너트 (1)를 제거한다 (15-7페이지, 그림 15-7).
4. 지지대로부터 견인/주행 스위치 (2)를 제거한다.
5. 분홍색 전선 (3)과 청색 전선 (4) 제거 스위치를 분리한다.

견인/주행 스위치 설치
1. 설치는 분해의 반대 순서로 한다. 스위치의 편평한 부분이 지지대의 편평한 부분과
맞춰졌는지를 확인한다. 견인/주행 스위치 부트/육각 너트 (1)는 16 in-lb (1.8 Nm)까지 조인다
(15-7페이지, 그림 15-7).
2. 전자 모듈 커버를 설치한다. 15-5페이지 전자 모듈 커버 설치 참조.
3.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로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in-lb (12.4Nm)까지 조이고 배터리 단자 보호 스프레이 (CCI P/N
1014305)로 단자를 코팅해서 부식을 최소화한다.

그림 15-7 견인/주행 스위치 – 유형 A 배터리 구조

15-7
견인/주행 스위치 – 유형 B와 C 배터리 구조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견인/주행 스위치 테스트


12-19페이지 테스트 절차 6 – 견인/주행 스위치 참조.

견인/주행 스위치 분해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전자 모듈을 배터리 통에 고정시키는 볼트 (11)를 제거한다 (15-14페이지, 그림 15-12).
3. 전자 모듈을 앞쪽으로 잡아 당기고 스위치로부터 분홍색 전선 (3)과 연두색 전선 (4)을
분리한다.
4. 견인/주행 스위치 부트/육각 너트 (1)를 제거한다 (15-8페이지, 그림 15-8).
5. 전자 모듈에서 견인/주행 스위치 (2)를 제거한다.

견인/주행 스위치 설치
1. 설치는 분해의 반대 순서이다. 스위치의 편평한 부분이 전자 모듈의 D-모양 구멍의 편평한
부분과 맞춰졌는지를 확인한다 (15-8페이지, 그림 15-8). 견인/주행 스위치 부트/육각 너트
(1)를 16 in-lb (1.8 Nm)까지 조인다.
2. 전선을 스위치에 연결한다.
3. 전자 모듈을 그것의 원래 위치로 되돌리고 볼트 (11)로 고정시킨다 (15-14페이지, 그림 15-12).
볼트는 40 in-lb (4.5 Nm)까지 조인다.
4.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로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in-lb (12.4Nm)까지 조이고 배터리 단자 보호 스프레이 (CCI P/N
1014305)로 단자를 코팅해서 부식을 최소화한다.

그림 15-8 견인/주행 스위치 – 유형 B와 C 배터리 구조

15-8
15
모터 조절기 출력 조정 장치 (MCOR)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MCOR 테스트
11-17페이지 섹션 11 테스트 절차 4와 11-21페이지 테스트 절차 8 참조.
12-16페이지 섹션 12 테스트 절차 4와 12-21페이지 테스트 절차 8 참조.

MCOR 제거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0-1페이지 섹션 10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페달 그룹을 제거한다. 5-1페이지 페달 그룹 분해 참조.
3. MCOR (2)로부터 2-핀과 3-핀 연결기 (1)를 분리한다 (15-9페이지, 그림 15-9).
4. MCOR을 페달 그룹에 연결하는 육각-머리 나사 (3)를 제거한다.

그림 15-9 모터 조절기 출력 조정장치

MCOR 설치
1. MCOR (2)을 2개의 육각-머리 나사 (3)로 페달 그룹에 고정시킨다 (15-9페이지, 그림 15-9).
나사는 23 in-lb (2.6 Nm)까지 조인다.
2. 전선 장치에서 MCOR까지 2-핀과 3-핀 연결기 (1)를 연결한다.
3. 페달 그룹을 설치한다. 5-6페이지 페달 그룹 설치 참조.
4.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로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in-lb (12.4Nm)까지 조이고 배터리 단자 보호 스프레이 (CCI P/N
1014305)로 단자를 코팅해서 부식을 최소화한다.

15-9
후진 부저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후진 부저 테스트
11-37 또는 12-37페이지 테스트 절차 16 – 후진 부저 참조.

후진 부저 분해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기기 패널을 제거한다. 15-1페이지 키 스위치 분해의 2단계 참조.
3. 후진 부저에서 18-게이지 분홍색, 오렌지/흰색 전선을 분리한다.
4. 후진 부저에서 2개의 나사를 제거한다. 대시 패널에서 후진 부저를 제거한다.

후진 부저 설치
1. 분해의 반대 순서로 후진 부저를 설치한다. 분홍색 전선은 양극 단자에 연결시켜야 한다. 나사를
4in-lb (0.45Nm)까지 조인다.
2.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위치에 놓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in-lb (12.4Nm)까지 조이고 배터리 단자 보호 스프레이 (CCI P/N
1014305)로 단자를 코팅해서 부식을 최소화한다.

그림 15-10 후진 부저
(기기 패널의 아래쪽에서 본 것)
A. 분홍색
B. 오렌지색/흰색

15-10
15
전자 모듈 – 유형 A 배터리 구조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차량으로부터 전자 모듈을 제거하는 것이 꼭 필요하지 않은 반면, 각 구성 부품으로의 접근은 제거된


모듈로 더 용이하게 될 수도 있다.

전자 모듈 분해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전자 모듈 커버를 제거한다. 15-5페이지 전자 모듈 커버 제거 참조.
3. 조절기 (1)의 윗부분에 있는 3개의 동력 연결 나사를 제거하고 나사 구멍으로부터 전선을
제거한다 (15-12페이지, 그림 15-11).
4. 조절기의 윗부분으로부터 16-핀 연결기, 4-핀 연결기, 스페이드 연결기를 분리한다.
5. 쏠레노이드 (2) 포스트의 상단에 있는 2개의 너트를 제거하고 포스트로부터 전선을 제거한다.
6. 쏠레노이드 앞쪽에 있는 스페이드 연결기를 분리한다.
7. 전자 모듈의 운전자 쪽에 있는, 6-핀 연결기를 분리하고 내장 컴퓨터 (OBC) (3)의 모든 도선과
견인 스위치의 2개의 전선을 분리한다.
8. 차량으로부터 전자 모듈을 들어 올린다. 다음 경고 참조.

‼ 경고

 배터리 단자를 단선하면 인적 상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 판을 제거 또는 설치할 시, 구성 장착판을 배터리 위에 직접 두지 않는다.
- 판들은 차량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한다.

전자 모듈 설치
1. 전자 모듈을 차량으로 집어 넣는다. 컴퓨터가 앞쪽으로 향하고 있는지, 조절기가 뒤쪽으로
향하고 있는지, 차량의 승객 쪽이 마주보고 있는지 방향을 확인한다.
2. 전기 배선을 이용하여 컴퓨터, 조절기, 쏠레노이드로의 연결을 완성한다. 11-2페이지 배선 도식
참조.
3. 조절기의 볼트를 9 ft-lb (12.2 Nm)까지 조인다.
4. 쏠레노이드의 너트를 6.4 ft-lb (8.7 Nm)까지 조인다.
5. 전기 모듈 커버를 설치한다. 15-5페이지 전기 모듈 커버 설치 참조.
6. 차량이 적절히 작동되는지를 확인한다.

‼ 경고

 전진/후진 스위치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차량이 전진 방향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 전진/후진 스위치가 „후진‟ 위치에 있을 때, 차량이 후진 방향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전진/후진 스위치가 „후진‟ 상태에 있을 때, 후진 부저가 울리게 된다.
 전진/후진 스위치가 중립 상태에 있을 때, 차량이 작동하지 않는지를 확인한다.

15-11
그림 15-11 전자 모듈 분해 – 유형 A 배터리 구조
A. 16-핀 연결기, B. 조절기에서 모터로, C. 청색, D. 오랜지, E. 노란색, F. 초록색, G. 흰색, H. 전원 연결,
J. 흑색, K. 4-핀 연결기, L. 조절기로부터의 노란색, M. OBC로의 오랜지색 및 적색, N. 조절기로의 흑색
전선, P. 6-핀 연결기, Q. 충전기 콘센트로의 회색 전선

15-12
전자 모듈 – 유형 B와 C 배터리 구조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차량으로부터 전자 모듈을 제거하는 것이 꼭 필요하지 않은 반면, 각 구성 부품으로의 접근은 제거된


모듈로 더 용이하게 될 수도 있다.

전자 모듈 분해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차량에서 배터리를 제거하여 조절기 (8)에 접근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얻는다 (15-14페이지,
그림 15-12). 16-13페이지 배터리 교체 참조.
3. 전자 모듈을 배터리 통에 고정시키는 볼트 (11)를 제거한다.
4. 전자 모듈을 앞쪽으로 잡아 당기고 3개의 나사 (9)를 제거함으로써 조절기로부터 두꺼운 게이지
전선을 분리한다.
5. 조절기의 윗부분으로부터 16-핀 연결기, 4-핀 연결기, 스페이드 연결기를 분리한다.
6. 조절기를 구성물 설치 판 (14)에 고정시키는 3개의 자가 태핑 나사 (10)를 제거하고
차량으로부터 조절기를 제거한다.
7. 쏠레노이드 (5) 포스트에 있는 2개의 너터 (3)를 제거하고 포스트로부터 전선을 제거한다.
8. 쏠레노이드 앞쪽에 있는 스페이드 연결기를 분리한다.
9. 6-핀 연결기와 내장 컴퓨터 (OBC) (15)의 모든 다른 도선과 견인/주행 스위치의 2개의 전선을
분리한다.
10. 차량으로부터 전자 모듈을 들어 올린다. 다음 경고 참조.

‼ 경고

 배터리 단자를 단선하면 인적 상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 판을 제거 또는 설치할 시, 구성 장착판을 배터리 위에 직접 두지 않는다.
- 판들은 차량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한다.

전자 모듈 설치
1. 전자 모듈을 그것의 원래 위치로 되돌리고 볼트 (11)로 고정시킨다 (15-14페이지, 그림 15-12).
볼트는 40 in-lb (4.5 Nm)까지 조인다.
2. 전기 배선을 이용하여 컴퓨터, 조절기, 견인/주행 스위치, 쏠레노이드로의 연결을 완성한다. 12-
2페이지 배선 도식 참조.
3. 조절기의 볼트를 9 ft-lb (12.2 Nm)까지 조인다.
4. 쏠레노이드의 너트를 6.4 ft-lb (8.7 Nm)까지 조인다.
5. 배터리와 배터리 케이블을 그들의 원래 위치에 설치한다. 16-13페이지 배터리 교체 참조.
6.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로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in-lb (12.4Nm)까지 조이고 배터리 단자 보호 스프레이 (CCI P/N
1014305)로 단자를 코팅해서 부식을 최소화한다.
7.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스위치에 둔다.

15-13
8. 차량이 올바로 작동되는지를 확인한다. 다음 경고 참조.

‼ 경고

 전진/후진 스위치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차량이 전진 방향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 전진/후진 스위치가 „후진‟ 위치에 있을 때, 차량이 후진 방향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전진/후진 스위치가 „후진‟ 상태에 있을 때, 후진 부저가 울리게 된다.
 전진/후진 스위치가 중립 상태에 있을 때, 차량이 작동하지 않는지를 확인한다.

그림 15-12 전자 모듈 분해 – 유형 B와 C 배터리 구조

15-14
속도 조절기 – 유형 A 배터리 구조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고체 상태 속도 조절기 테스트
11-19페이지, 섹션 11, 테스트 절차 5 참조.

속도 조절기 분해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전자 모듈 커버를 제거하다. 15-5페이지 전자 모듈 커버 제거 참조.
3. 차량에서 전자 모듈 조립체를 제거한다. 15-11페이지 전자 모듈 분해 참조.
4. 조절기 (1)를 구성 부품 설치 판에 고정시키는 자가 태핑 나사 (6)를 제거하고 차량에서
조절기를 제거한다 (15-12페이지, 그림 15-11).

속도 조절기 설치
1. 조절기 (1)를 구성 부품 설치 판에 고정시키는 자가 태핑 나사 (6)를 설치하고 5.5 ft-lb (7.5
Nm)까지 조인다 (15-12페이지, 그림 15-11).
2. 차량에 전자 모듈 조립체를 설치한다. 15-11페이지 전자 모듈 설치 참조.
3. 전자 모듈 조립체 커버를 설치한다. 15-5페이지 전자 모듈 커버 설치 참조.
4.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로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in-lb (12.4Nm)까지 조이고 배터리 단자 보호 스프레이 (CCI P/N
1014305)로 단자를 코팅해서 부식을 최소화한다.
5.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스위치에 둔다.
6. 차량이 적절히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 경고

 전진/후진 스위치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차량이 전진 방향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 전진/후진 스위치가 „후진‟ 위치에 있을 때, 차량이 후진 방향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전진/후진 스위치가 „후진‟ 상태에 있을 때, 후진 부저가 울리게 된다.
 전진/후진 스위치가 중립 상태에 있을 때, 차량이 작동하지 않는지를 확인한다.

15-15
속도 조절기 – 유형 B와 C 배터리 구조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고체 상태 속도 조절기 테스트
12-18페이지, 섹션 12, 테스트 절차 5 참조.

속도 조절기 분해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차량에서 배터리를 제거하여 조절기 (8)에 접근하는데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15-14페이지
그림 15-12). 16-13페이지 배터리 교체 참조.
3. 전자 모듈을 배터리 통에 고정시키는 볼트 (11)를 제거한다.
4. 전자 모듈을 앞쪽으로 잡아 당기고 3개의 나사 (9)를 제거하여 조절기로부터 두꺼운 게이지
전선을 분리한다.
5. 조절기에서 16-핀 연결기, 4-핀 연결기, 스페이드 연결기를 분리한다.
6. 조절기를 구성 부품 설치 판 (14)에 고정시키는 3개의 자가 태핑 나사 (10)를 제거하고 차량에서
조절기를 제거한다.

속도 조절기 설치
1. 구성 부품 설치 판 (14)에 조절기 (8)를 두고 3개의 자가 태핑 나사 (10)로 고정시킨다. 나사를
5.5 ft-lb (7.5 Nm)까지 조인다 (15-14페이지, 그림 15-12).
2. 조절기에 16-핀 연결기, 4-핀 연결기, 스페이드 연결기를 연결한다.
3. 전기 배선대로 조절기에 두꺼운 게이지 전선을 연결한다. 12-2페이지 배선 도식 참조. 조절기의
나사 (9)를 9 ft-lb (12.2 Nm)까지 조인다.
4. 전자 모듈을 그것의 원래 위치로 돌리고 볼트 (11)로 고정시킨다. 볼트는 40 in-lb (4.5 Nm)까지
조인다.
5. 배터리와 배터리 케이블을 그들의 원래 위치에 설치한다. 16-13페이지 배터리 교체 참조.
6.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로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in-lb (12.4Nm)까지 조이고 배터리 단자 보호 스프레이 (CCI P/N
1014305)로 단자를 코팅해서 부식을 최소화한다.
7.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스위치에 둔다.
8. 차량이 적절히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 경고

 전진/후진 스위치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차량이 전진 방향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 전진/후진 스위치가 ‘후진’ 위치에 있을 때, 차량이 후진 방향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전진/후진 스위치가 ‘후진’ 상태에 있을 때, 후진 부저가 울리게 된다.
 전진/후진 스위치가 중립 상태에 있을 때, 차량이 작동하지 않는지를 확인한다.

15-16
쏠레노이드 – 유형 A 배터리 구조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쏠레노이드는 전자 모듈의 승객 쪽에 위치해 있다.

쏠레노이드 테스트
페이지 11-16, 섹션 11, 테스트 절차 3과 11-36페이지 테스트 절차 14 참조.

쏠레노이드 분해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전자 모듈 커버를 제거한다. 15-5페이지 전자 모듈 커버 제거 참조.
3. 쏠레노이드 (2)에서 4 전선을 제거한다 (15-12페이지, 그림 15-11).
4. 쏠레노이드를 밀어서 설치 탭을 분리하고 구성 부품 설치 판에서 제거한다.

쏠레노이드 설치
1. 구성 요소 설치 판에 쏠레노이드 (2)를 설치한다 (15-12페이지, 그림 15-11).
2. 4개의 전선을 그들의 해당 단자에 연결한다. 노란색 (4)과 적색 (5) 전선을 고정하는 너트를 72
– 84 in-lb (8 – 9.5 Nm)까지 조인다.
3. 전자 모듈 커버를 설치한다. 15-5페이지 전자 모듈 커버 설치 참조.
4.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로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in-lb (12.4Nm)까지 조이고 배터리 단자 보호 스프레이 (CCI P/N
1014305)로 단자를 코팅해서 부식을 최소화한다.

15-17
쏠레노이드 – 유형 B와 C 배터리 구조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쏠레노이드는 전자 모듈의 뒤 쪽에 위치한다.

쏠레노이드 테스트
페이지 12-16, 섹션 12, 테스트 절차 3과 12-36페이지 테스트 절차 14 참조.

쏠레노이드 분해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차량에서 배터리를 제거하여 쏠레노이드 (5)에 접근하는데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15-14페이지
그림 15-12). 16-13페이지 배터리 교체 참조.
3. 전자 모듈을 배터리 통에 고정시키는 볼트 (11)를 제거한다.
4. 전자 모듈을 앞쪽으로 잡아 당기고 쏠레노이드에서 4개의 전선을 제거한다.
5. 쏠레노이드를 밀어서 설치 탭을 분리하고 구성 부품 설치 판 (14)에서 제거한다.

쏠레노이드 설치
1. 구성 요소 설치 판에 쏠레노이드 (5)를 설치한다 (15-14페이지, 그림 15-12).
2. 4개의 전선을 그들의 해당 단자에 연결한다. 노란색 (4)과 적색 (5) 전선을 고정하는 너트를 72
– 84 in-lb (8 – 9.5 Nm)까지 조인다.
3. 전자 모듈을 그것의 원래 위치로 돌리고 볼트 (11)로 고정시킨다. 볼트는 40 in-lb (4.5 Nm)까지
조인다.
4. 배터리와 배터리 케이블을 그들의 원래 위치에 설치한다. 16-13페이지 배터리 교체 참조.
5.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로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in-lb (12.4Nm)까지 조이고 배터리 단자 보호 스프레이 (CCI P/N
1014305)로 단자를 코팅해서 부식을 최소화한다.

15-18
내장 컴퓨터 (OBC) – 유형 A 배터리 구조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내장 컴퓨터 테스트
11-16페이지 섹션 11 테스트 절차 2, 11-33페이지 테스트 절차 10, 11-34페이지 테스트 절차 11
참조.

내장 컴퓨터 분해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0-1페이지 섹션 10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전자 모듈 커버를 제거한다. 15-5페이지 전자 모듈 커버 제거 참조.
3. 전선을 분리한다 (15-12페이지, 그림 15-11).
4. OBC를 구성물 설치 판에 고정시키는 2개의 자가 태핑 나사 (7)를 풀되, 제거하지는 않는다.
5. OBC를 위쪽으로 밀어서 자가 태핑 나사 (7)의 머리와 OBC 앞면 판의 2개의 키 홀을 맞추고
OBC를 제거한다.

내장 컴퓨터 설치
1. OBC 앞면 판에 있는 2개의 키 구멍에 자가 태핑 나사 (7)를 집어 넣어서 구성물 설치 판에
OBC(3)을 설치한다 (15-12페이지, 그림 15-11). 나사는 5.5 ft-lb (7.5 Nm)까지 조인다.
2. 전선을 연결한다. 모든 연결이 완전히 잘 이루어 졌는지 그리고 회색 센스 도선의 부트가
적절히 자리잡았는지를 확인한다.
3. 전자 모듈 커버를 설치한다. 15-5페이지 전자 모듈 커버 설치 참조.
4.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로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in-lb (12.4Nm)까지 조이고 배터리 단자 보호 스프레이 (CCI P/N
1014305)로 단자를 코팅해서 부식을 최소화한다.

15-19
15
내장 컴퓨터 (OBC) – 유형 B와 C 배터리 구조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내장 컴퓨터 테스트
12-15페이지 섹션 12 테스트 절차 2, 12-33페이지 테스트 절차 10, 12-34페이지 테스트 절차 11
참조.

내장 컴퓨터 분해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0-1페이지 섹션 10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차량에서 배터리를 제거하여 OBC (15)에 접근하는데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15-14페이지 그림
15-12). 16-13페이지 배터리 교체 참조.
3. 전자 모듈을 배터리 통에 고정시키는 볼트 (11)를 제거한다.
4. 전자 모듈을 앞쪽으로 밀어서 OBC로부터 전선을 분리한다.
5. OBC를 구성물 설치 판 (14)에 고정시키는 2개의 자가 태핑 나사 (12)를 풀되, 제거하지는
않는다.
6. OBC를 위쪽으로 밀어서 자가 태핑 나사 (12)의 머리와 OBC 앞면 판의 2개의 키 홀을 맞추고
OBC를 제거한다.

내장 컴퓨터 설치
1. OBC 앞면 판에 있는 2개의 키 구멍에 자가 태핑 나사 (12)를 집어 넣어서 구성물 설치 판에
OBC를 설치한다 (15-14페이지, 그림 15-12). 나사는 5.5 ft-lb (7.5 Nm)까지 조인다.
2. 전기 배선대로 전선을 연결한다. 12-2페이지 배선 도식 참조. 모든 연결이 완전히 잘 이루어
졌는지 그리고 회색 센스 도선의 부트가 적절히 자리잡았는지를 확인한다.
3. 전자 모듈을 그것의 원래 위치로 돌리고 볼트 (11)로 고정한다. 볼트는 40 in-lb (4.5 Nm)까지
조인다.
4. 배터리와 배터리 케이블을 그것의 원래 위치에 설치한다. 16-13페이지 배터리 교체 참조.
5.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로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in-lb (12.4Nm)까지 조이고 배터리 단자 보호 스프레이 (CCI P/N
1014305)로 단자를 코팅해서 부식을 최소화한다.

15-20
15
충전기 콘센트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충전기 코드, 플러그, 콘센트는 소모되는 항목들이므로 매일 점검해야 한다. 깨짐, 느슨해진 연결 부위,
닳은 배선이 있는지 육안으로 점검한다; 닳았거나 손상되었을 때는 교체시켜야 한다. 충전기 플러그나
콘센트가 부식의 징조가 보이거나 플러그를 삽입 또는 제거하기가 어렵다면, 콘센트 접촉과 플러그
단자를 좋은 전기 접촉 클리너로 청소하거나 전기 접촉 클리너로 가볍게 뿌려야 한다. 그런 다음,
플러그 꼽고 빼는 것을 여러 번 반복해서 삽입과 제거의 용이성 및 전기 접촉이 양호한 지를 확인한다.

충전기 콘센트 테스트


11-34 또는 12-34페이지 테스트 절차 12 – 충전기 콘센트 적색 전선 소켓의 전압 참조. 또한 올바른
배터리 충전기 보수 관리 및 서비스 매뉴얼도 또한 참조.

충전기 콘센트 검사
콘센트에 깨짐, 느슨한 연결, 닳은 배선이 있는 지를 검사한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분해 또는 설치를 목적으로 충전기 콘센트를 분해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그림 15-13 충전기 콘센트


A. OBC 쪽은 회색
B. 연결기 쪽은 흑색
C. 배터리 1번 양극 (+) 포스트 쪽은 적색

15-21
충전기 콘센트 분해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전자 모듈 커버를 제거한다.
3. 킥 판을 제거한다. 4-9페이지 킥 판과 충전기 콘센트 베즐 참조.
4. 배터리 1번의 양극 포스트로부터 10-게이지 적색 전선을 제거한다 (15-21페이지, 그림 15-
13).
5. 연결기에서 흑색 전선을 분리한다.
6. OBC에서 회색 전선을 분리한다.
7. 충전기 콘센트 (2)를 통에 고정시키는 3개의 나사 (1)를 제거한다.

충전기 콘센트 설치
1. 통의 구멍으로 전선을 삽입한다 (15-21페이지, 그림 15-13).
2. 콘센트 (2)를 통으로 집어 넣는다.
3. 콘센트를 통에 고정시키는 나사 (1)를 설치한다. 나사는 16 in-lb (1.8 Nm)까지 조인다.
4. 회색 전선을 OBC에 연결한다. 부트가 적절히 자리잡았는지를 확인한다.
5. 흑색 전선을 해당 연결기에 연결한다. 연결기가 완전히 안착되었는지를 확인한다.
6. 적색 전선을 배터리 1번의 양극 포스트에 연결한다.
7. 킥 판을 설치한다. 4-9페이지 킥 판과 충전기 콘센트 베즐 참조.
8.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로 두고 배터리 케이블을 연결하되 양극(+) 케이블을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in-lb (12.4Nm)까지 조이고 배터리 단자 보호 스프레이 (CCI P/N
1014305)로 단자를 코팅해서 부식을 최소화한다.

전조등 조절

전조등은 이 차량의 부속품으로서 이용 가능하다. 전조등 빔을 높이거나 낮추기 위하여, 전조등과 범퍼


조립체 사이의 설치 하드웨어에 와셔가 추가될 수 있다.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전조등 빔 조준
1. 창고 문이나 벽과 같은 수직 표면을 바라보고 5피트 떨어진 곳에 차량을 주차한다.
2. 수직 표면에, 차량 앞쪽 바로 지면 위에 24인치 길이의 수평선 15 1/2인치를 표시한다.
3. 전조등을 켠다. 빔이 표시된 수평선과 관련하여 수직 표면을 비추는 곳을 표시한다. 빔을
올리기 위하여, 와셔 (M6 크기)를 낮춤 설치 나사 (1)에 추가한다. 빔을 낮추기 위하여는
와셔를 양 상부 나사에 추가한다. 나사는 66 in-lb (7.5 Nm)까지 조인다. 차량에 설치된
전조등/범퍼 조립체에 와셔를 추가할 수 있으면서, 전조등/앞쪽 범퍼 조립체가 먼저 벗겨진다면
이러한 조절은 더 용이해질 수도 있다.

15-22
그림 15-14 전조등 조준

15-23
섹션 16 – 배터리
‼ 위험

 1-1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 참조

‼ 경고

 1-1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 참조

‼ 위험

 배터리 – 폭발성 기체이니 담배를 피우지 말라. 불꽃 및 화염을 차량 및 서비스 구역으로부터


멀리 하라. 닫힌 공간에서 충전하거나 사용할 시에는 환기를 잘 시키시오. 배터리 위나
근처에서 작업할 시에는 전면 얼굴 보호대와 고무 장갑을 착용하라.
 배터리는 환기가 잘되는 곳에서만 충전하라. 배터리는 충전되는 동안 수소를 방출한다.
수소는 폭발성 가스이며 공기 중 농도가 2%를 절대 넘지 말아야 한다
 배터리 – 독극물! 산을 포함함! 심각한 화상을 일으킴. 피부, 눈, 또는 옷과의 접촉을 피하라.
해독 방법은:
- 외부: 물로 씻으시오. 즉시 의사를 부르시오.
- 내부: 다량의 우유나 물을 마신 후, 마그네시아 우유 또는 야채 기름을 마시시오. 즉시
의사를 부르시오.
- 눈: 15분간 물로 씻으시오. 즉시 의사를 부르시오.
 배터리나 전기 연결부 근처에서 작업할 시에는, 절연된 도구들을 사용한다. 구성 요소들이나
전선들을 단선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한다.

‼ 경고

 차량이나 배터리 충전기를 정비할 때에는 보안경 및 공식 인가된 눈 보호 장치를 착용한다.


배터리 위나 근처에서 작업할 시에는 전면 얼굴 보호대와 고무 장갑을 착용하라.
 배터리나 전기 연결부 근처에서 작업할 시에는, 절연된 도구들을 사용한다. 구성 요소들이나
전선들을 단선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한다.
 배터리의 연결부들이 깨끗하고 잘 조여져 있는지 확인한다. 페이지 16-14의 배터리 관리를
참조하라.

주의

 전기 차량에 대해서는, 배터리 충전 전 모든 악세서리들을 끈다

주목: 지역, 주, 연방 법규에 따라 배터리를 재활용하거나 폐기한다.

일반 정보

전기 차량과 함께 공급되는 배터리는 일반 자동차의 배터리와는 다르다. 두 배터리의 외양은


비슷하지만 작동 성질은 매우 다르다. 클럽카 전기 차량 배터리는 딥 사이클 배터리인 반면 자동차
배터리는 “기동, 등화, 그리고 점화” (SLI) 배터리이다. 이들은 절대 서로 호환되지 않는다.

16-1
배터리 문제해결 챠트

그림 16-1 배터리 문제해결 챠트


차량이 생각하는 것처럼 작동되지 않는다.
완전히 충전된 배터리
배터리 충전기 테스트
(왼쪽) 6암페어 이하이고 충전 중 전압이 56볼트 이상 ----- 충전 중 전압 테스트
(오른쪽) 6암페어 이상 ---- 전기 시스템과 충전기에 문제가 있는지 점검. 문제해결 가이드 참조 ---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으면 충전 중 전압 테스트로 가시오.

(왼쪽) 모든 수치가 9.3V이하이지만, 0.7V 내이다 --- 배터리가 낡았을 가능성 있음. 액체 비중계
테스트로 가시오. --- 셀간의 50 포인트 (0.050) 이상의 비중 변화가 있는 배터리나 아무런 수치가
없는 배터리는 교체
(중앙) 9.3V 이하이고 9.3V 이상인 배터리가 0.7V이내가 아니면 배터리를 교체한다. --- 1.250이하인
비중을 가진 전체 배터리 세트는 계속적으로 방전된다. 충전 실무를 평가한다. --- 방전시간이 60분
이하이면, 6.7V 이하인 모든 배터리를 교체한다.
(오른쪽) 모든 수치가 9.3V 이고 0.7V이내 --- 액체 비중계 테스트 --- 뚜렷한 문제 없음 --- 방전
테스트 방전시간이 60분 이상이면, 배터리 문제가 아니다.

16-2
1616
배터리 테스트 - 12볼트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4개의 테스트는 기대되는 대로 실행되지 않는 배터리의 문제를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개발되었다.
각 테스트는 점진적으로 더욱 상세화되어서 많은 시간을 소모하기 때문에, 첫 번째 테스트로 시작해서
배터리 문제해결 차트에서 약술한대로 문제가 확인될 때까지 다른 테스트를 거친다 (16-2페이지 그림
16-1).

배터리 충전기 테스트


차량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 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단순히 충전이 끝나갈 무렵 배터리 충전기
전류계의 수치를 관찰하는 것이다. 충전이 끝난 후, 충전기 DC플러그를 분리하고, 20초에서 30초 동안
기다린 다음 충전기 DC플러그를 다시 연결한다. 전류계 바늘이 15암페어 이상으로 갑자기 올라간 다음,
10에서 20분내에 6암페어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완전히 충전된 배터리라는 것을 나타낸다.
지속적인 성능불량은 차량 전기 시스템, 브레이크, 또는 배터리 충전기의 문제일 수도 있다. 문제점이
차량이나 충전 시스템에서 발견되지 않으면, 충전 중 전압 테스트로 진행한다. 배터리가 8암페어
이상이면 충전 중 전압테스트를 사용해서 계속 테스트해야 한다.

충전 중 전압 테스트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면, 충전기 DC플러그를 분리한다. 20에서 30초 동안 기다리고 DC플러그를 다시
연결시켜 충전기를 재가동시킨다. 5분 후, 멀티미터를 사용해서 각각의 배터리뿐만 아니라 배터리
세트의 전압을 점검하고 기록한다. 멀티미터를 200볼트 DC로 맞춘다. 적색 (+) 탐침을 배터리 1번의
양극 (+) 포스트에 두고 흑색 (-) 탐침을 배터리 4번의 음극 (-) 포스트에 둔다 (16-14페이지, 그림
16-7, 16-14페이지, 그림 16-8). 수치를 기록한다. 그런 다음, 멀티미터를 20볼트로 맞추고 적색 (+)
탐침을 양극 (+) 포스트에 두고 흑색 (-) 탐침을 각 배터리의 음극 (-) 포스트에 둔다. 수치를 기록한다.
충전 전압은 테스트되고 있는 배터리의 나이와 충전 상태에 따라 56.0볼트와 63.0볼트 사이이어야 한다.
각 배터리가 14.0볼트 이상이고 서로 1.0볼트 내에 있으면, 액체 비중계 테스트로 간다. 배터리가
14.0이하이고 서로 1.0볼트 내에 있지 않으면, 그 배터리는 낡았다. 낡은 배터리는 몇 달 동안 더
사용될 수도 있다. 액체 비중계 테스트로 진행한다. 16-2페이지 배터리 문제해결 차트와 다음 페이지에
나오는 예들을 참조.

액체 비중계 테스트
액체 비중계는 배터리 전해질의 비중을 측정한다. 비중이 높으면 높을수록, 배터리 충전 상태가
높아진다. 완전히 충전된 배터리 수치는 80°F (26.7°C)에서 1.250과 1.280사이이어야 한다. 더 높은
비중을 얻기 위하여 배터리에 산을 절대 첨가하지 말라.
액체비중계 테스트 실행
1. 배터리가 충분한 전해질을 가지고 있어서 약 1/2인치 (13mm)까지 판을 덮는지 그리고
테스트를 시작하기 전에 완전히 충전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물을 첨가해야 하면, 액체비중계
테스트를 실행하기 전에 배터리를 재충전한다.
2. 분출 캡을 제거한다. 배터리 온도계 (CCI P/N 1011767)를 사용해서, 2번 셀의 전해질 온도를
기록한다.
3. 액체비중계의 고무 구를 꽉 눌러서 셀로 삽입한다. 천천히 고무 구를 풀어 액체비중계의 유리
튜브로 전해질을 빨아 들인다.

16-3
4. 부구가 바닥에서 올라오면, 전해질 레벨을 맞춰서 부구가 바닥에서 자유롭게 떠다니도록 하되,
유리 튜브의 위 부분에 닿지 않도록 한다. 셀로부터 액체비중계를 제거하고 고무 구에서 압력을
푼다.
5. 액체비중계를 수직으로 잡고 부구가 통에 닿지 않도록 한다. 액체비중계를 눈 높이에 잡고
전해질 레벨에서 눈금을 읽는다 (16-4페이지, 그림 16-2).
6. 수치를 기록하고 전해질을 있었던 곳에서 셀로 다시 넣는다. 분출 캡을 끼운다.
7. 모든 셀에 대하여 2단계에서 6단계까지 반복한다.

액체비중계 보정
대부분의 액체비중계는 80°F (26.7°C)에서 정확히 읽도록 초기화된다. 상기에 설명된 대로 얻어진
수치는 온도에 대하여 교정해야 한다. 80°F (26.7°C) 이상의 각 10°F (5.6°C)에 대하여, 수치에 0.004를
더한다. 80°F (26.7°C) 이하의 각 10°F (5.6°C)에 대하여, 수치에서 0.004를 뺀다.

그림 16-2 액체비중계 테스트


눈높이 레벨

액체비중계 테스트 결과 해석
대략의 충전 상태는 다음 표에서 얻을 수 있다:

비중 (교정된 온도) 대략의 충전 상태

1.250 – 1.280 100%


1.220 – 1.240 75%
1.190 – 1.210 50%
1.160 – 1.180 25%

셀간의 차이가 0.020 이상이면, 셀이 낮은 것으로 의심할 수 있다. 따라잡기 충전이 필요할 수 있거나
셀이 약할 수도 있다. 셀간의 편차가 0.050 이상이면, 낮은 셀의 배터리를 교체해야 한다.

16-4
차량 배터리 전해질 교정 교정된 비중
필요한 조처
번호 번호 온도 인수 셀 1 셀 2 셀 3 셀 4 셀 5 셀 6
1.275- 1.280- 1.280-
20°F (- 양호한 배터리-
12 1 -0.024 0.024= 0.024= 0.024=
6.6°C) 완전히 충전됨
1.256 1.256 1.256
1.260- 1.200- 1.270-
50°F
54 3 -0.012 0.012= 0.012 = 0.012= 셀 2번 나쁨
(10°C)
1.248 1.188 1.258
1.200+0 1.180+ 1.170+ 방전된 배터리-
100°F
38 2 +0.008 .008= 0.008= 0.008= 재충전과
(37.8°C)
1.206 1.188 1.178 재점검
부구가
80°F 1.240-0 1.245 -0 셀 3번 죽음-
22 4 0.000 올라오지
(26.7°C) = 1.240 =1.245 배터리 교체
않음

방전 테스트
이전의 테스트에서 문제점을 확인하지 못하였다면, 방전 테스트를 시행한다. 방전 테스트는 전압이
42.0볼트로 떨어질 때까지 배터리에서 계속적으로 전류를 끌어 냄으로써 실재 차량 작동 상태를 가장
근접하게 자극하는 것이다. 방전 테스트는 배터리에 관한 가장 어려운 테스트이며 시행하는데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 배터리 방전 테스트 장비 (CCI P/N 101831901)를 사용한다.

방전 테스트 실행
1.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고 모든 셀의 전해질 레벨이 올바른지 확인한다.
2. 테스트 도선을 배터리 1번의 양극(+) 포스트와 배터리 4번의 음극 (-) 포스트에 연결한다 (16-
5페이지, 그림 16-3) (16-5페이지, 그림 16-4).

그림 16-3 배터리 방전 테스트 – 유형 A 그림 16-4 배터리 방전 테스트 – 유형 B


배터리 구조 배터리 구조
(차량의 운전석 쪽에서 본 그림) (차량의 운전석 쪽에서 본 그림)
1. 적색 탐침은 1번 (+) 배터리로 1. 적색 탐침은 1번 (+) 배터리로
2. 흑색 탐침은 4번 (-) 배터리로 2. 흑색 탐침은 6번 (-) 배터리로

3. 배터리 팩의 전해질 온도를 점검하고 기록한다. 각 배터리의 2번 셀 (양극 포스트에서 두 번째


셀)을 점검한다.
4. 방전 기계를 재설정하고 테스트 장비를 켠다

16-5
5. 배터리가 약 60분 동안 방전되었다면, 방전 기계를 기능 3에 맞추고 배터리 세트 전압을
점검한다. 남아 있는 테스트 동안, 매 10분마다 전압을 체크한다. 배터리 세트 전압이 차단
지점에서 (42.0볼트) 0.5 볼트 이상에 이르는 순간 멀티미터를 사용해서 각 배터리 전압을
측정한다. 0.01볼트에 반올림하여 각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테스트 장비는 차단 전압에 이르면 자동적으로 차단된다.

방전 테스트 결과 해석
1. 방전 시간이 60분 이상이면, 배터리 문제가 아니다.
2. 방전 시간이 낮으면 (60분 이하), 10.05볼트 이하의 배터리로 교체한다.

배터리 전압
배터리 상태
1 2 3 4
10.50 V 10.50 V 10.50 V 10.50 V 우수
10.60 V 10.60 V 10.83V 9.75 V 배터리 4번 수명이 다하여 가고 있음.
10.8 V 10.8 V 10.01 V 9.41 V 배터리 3번과 4번 수명이 다하여 가고 있음.

3. 일반적으로, 방전 테스트에서 78°F (25.6°C), 60분 이하 동안 방전된 배터리 세트는 전체 작업


교대 동안 전하를 갖고 있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방전 시간은 전해질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제시된 표는 다양한 온도에서, 80°F (26.7°C)에서 62분 동안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 세트의
방전 시간을 나타낸다.

차단 지점까지의 방전 차단 지점까지의 방전
전해질 온도 전해질 온도
시간 시간
40-49°F 85-89°F
40 분 64 분
(4-9°C) (29-32°C)
50-59°F 89-99°F
45 분 66 분
(10-15°C) (32-37°C)
60-64°F 100-109°F
50 분 68 분
(16-18°C) (38-43°C)
65-69°F 110-119°F
54 분 70 분
(18-21°C) (43-48°C)
70-74°F 120-129°F
57 분 72 분
(21-23°C) (49-54°C)
75-79°F 130-150°F
60 분 74 분
(24-26°C) (54-66°C)
80-84°F
62 분 *****
(27-29°C)

배터리 문제해결 사례
다음 정보는 배터리 문제를 해결하는 몇몇 사례를 나타낸 것이다.

16-6
예1
68번 차량이 성능 때문에 배터리 상태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의심되어, 배터리 충전기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배터리 완전히 충전된 후, 충전기 전류계는 8.0암페어를 나타내었다. 다음, 충전 전압
테스트가 수행되었고 다음 결과가 얻어졌다:

배터리 번호 1 2 3 4
충전 중 전압 15.22 V 15.90 V 14.70* V 15.24 V

*배터리 3번이 의심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배터리 1번과 4번도 의심스럽다. 그 다음, 액체비중계
테스트가 모든 배터리에 대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액체비중계 테스트 결과:

배터리 번호
셀 번호
1 2 3 4
셀 1 (양극 포스트) 1.200* 1.265 1.300 1.250
셀 2 1.285 1.275 1.290 1.270
셀 3 1.265 1.270 1.275 1.265
셀 4 (음극 포스트) 1.275 1.270 1.285 1.265
셀 5 1.270 1.265 1.280 1.270
셀 6 1.275 1.280 1.280 1.260

* 액체비중계 시험 후, 배터리 1번이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 방전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방전 테스트 결과:

배터리 번호 1 2 3 4
방전 전압 8.16* V 10.99 V 11.60 V 10.72 V

* 45분이 걸린 방전 테스트 후, 배터리 1번에 명백히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터리 4번도 좀더
밀접하게 관찰되어야 하지만 상태는 괜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터리 1번은 세트의 다른 배터리처럼
비슷한 나이와 사용 정도를 가진 배터리로 교체되어야 한다.

예2
70번 차량이 성능 때문에 배터리 상태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의심된다. 완전한 충전 후 배터리 충전기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7.0암페어를 나타내었다. 전기 시스템, 충전기나 브레이크에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한 후, 충전 중 전압이 아래처럼 기록되었다:

배터리 번호 1 2 3 4
충전 중 전압 15.72 V 14.66* V 15.80 V 15.85 V

* 배터리 2번이 문제가 있는 것으로써 바로 의심된다. 액체비중계로 배터리 2번을 체크한 후, 음극


포스트 셀이 완전이 죽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배터리 2번은 세트의 다른 배터리처럼 비슷한 수명
사용 정도를 가진 배터리로 교체되어야 한다.

16-7
16
배터리 테스트 - 8볼트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4개의 테스트는 기대되는 대로 실행되지 않는 배터리의 문제를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개발되었다.
각 테스트는 점진적으로 더욱 상세화되어서 시간을 소모하기 때문에, 첫 번째 테스트로 시작해서
배터리 문제해결 차트에서 약술한대로 문제가 확인될 때까지 다른 테스트를 거친다 (16-2페이지, 그림
16-1).

배터리 충전기 테스트


차량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 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단순히 충전이 끝나갈 무렵 배터리 충전기
전류계의 수치를 관찰하는 것이다. 충전이 끝난 후, 충전기 DC플러그를 분리하고, 20초에서 30초 동안
기다린 다음 충전기 DC플러그를 다시 연결한다. 전류계 바늘이 15암페어 이상으로 갑자기 올라간 다음,
10에서 20분내에 6암페어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완전히 충전된 배터리라는 것을 나타낸다.

지속적인 성능불량은 차량 전기 시스템, 브레이크, 또는 배터리 충전기의 문제일 수도 있다. 문제점이


차량이나 충전 시스템에서 발견되지 않으면, 충전 중 전압 테스트로 진행한다. 배터리가 8암페어
이상이면 충전 중 전압테스트를 사용해서 계속 테스트해야 한다.

충전 중 전압 테스트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면, 충전기 DC플러그를 분리한다. 20에서 30초 동안 기다리고 DC플러그를 다시
연결시켜 충전기를 재가동시킨다. 5분 후, 멀티미터를 사용해서 각각의 배터리뿐만 아니라 배터리
세트의 전압을 점검하고 기록한다. 멀티미터를 200볼트 DC로 맞춘다. 적색 (+) 탐침을 배터리 1번의
양극 (+) 포스트에 두고 흑색 (-) 탐침을 배터리 6번의 음극 (-) 포스트에 둔다. 수치를 기록한다. 그런
다음, 멀티미터를 20볼트로 맞추고 적색 (+) 탐침을 양극 (+) 포스트에 두고 흑색 (-) 탐침을 각
배터리의 음극 (-) 포스트에 둔다. 수치를 기록한다.

충전 중 전압은 테스트되고 있는 배터리의 나이와 충전 상태에 따라 56.0볼트와 63.0볼트 사이이어야


한다. 각 배터리가 7.0볼트 이상이고 서로 0.5볼트 내에 있으면, 액체 비중계 테스트로 가시오.
배터리가 7.0이하이고 서로 0.5볼트 내에 있지 않으면, 그 배터리는 낡았다. 낡은 배터리는 몇 달 동안
더 사용될 수도 있다. 액체 비중계 테스트로 가시오. 16-2페이지 배터리 문제해결 차트와 다음
페이지에 나오는 예들을 참조

액체 비중계 테스트
액체 비중계는 배터리 전해질의 비중을 측정한다. 비중이 높으면 높을수록, 배터리 충전 상태가
높아진다. 완전히 충전된 배터리 수치는 80°F (26.7°C)에서 1.250과 1.280사이이어야 한다. 더 높은
비중을 얻기 위하여 배터리에 산을 절대 첨가하지 말라.

액체비중계 테스트 실행
1. 배터리가 충분한 전해질을 가지고 있어서 약 1/2인치 (13mm)까지 판을 덮는지 그리고
테스트를 시작하기 전에 완전히 충전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물을 첨가해야 하면, 액체비중계
테스트를 실행하기 전에 배터리를 재충전한다.
2. 분출 캡을 제거한다. 배터리 온도계 (CCI P/N 1011767)를 사용해서, 2번 셀의 전해질 온도를
기록한다.
3. 액체비중계의 고무 구를 꽉 눌러서 셀로 삽입한다. 천천히 고무 구를 풀어 액체비중계의 유리
튜브로 전해질을 빨아 들인다.

16-8
4. 부구가 바닥에서 올라오면, 전해질 레벨을 맞춰서 부구가 바닥에서 자유롭게 떠다니도록 하되,
유리 튜브의 위 부분에 닿지 않도록 한다. 셀로부터 액체비중계를 제거하고 고무 구에서 압력을
푼다.
5. 액체비중계를 수직으로 잡고 부구가 통에 닿지 않도록 한다. 액체비중계를 눈 높이에 잡고
전해질 레벨에서 눈금을 읽는다 (16-9페이지, 그림 16-5).
6. 수치를 기록하고 전해질을 있었던 곳에서 셀로 다시 넣는다. 분출 캡을 끼운다.
7. 모든 셀에 대하여 2단계에서 6단계까지 반복한다.

액체비중계 보정
대부분의 액체비중계는 80°F (26.7°C)에서 정확히 읽도록 보정된다. 상기에 설명된 대로 얻어진 수치는
온도에 대하여 교정되어야 한다. 80°F (26.7°C) 이상의 각 10°F (5.6°C)에 대하여, 수치에 0.004를
더한다. 80°F (26.7°C) 이하의 각 10°F (5.6°C)에 대하여, 수치에서 0.004를 뺀다.

그림 16-5 액체비중계 테스트


눈높이 레벨

액체비중계 테스트 결과 해석
대략의 충전 상태는 다음 표에서 얻을 수 있다:

비중 (교정된 온도) 대략의 충전 상태

1.250 – 1.280 100%


1.220 – 1.240 75%
1.190 – 1.210 50%
1.160 – 1.180 25%

셀간의 차이가 0.020 이상이면, 셀이 낮은 것으로 의심할 수 있다. 따라잡기 충전이 필요할 수 있거나
셀이 약할 수도 있다. 셀간의 편차가 0.050 이상이면, 낮은 셀의 배터리를 교체해야 한다.

16-9
16
차량 배터리 교정된 비중
전해질 온도 교정 인수 필요한 처리
번호 번호 셀 1 셀 2 셀 3
1.275- 1.280- 1.280-
양호한 배터리-
12 1 20°F (-6.6°C) -0.024 0.024= 0.024= 0.024=
완전히 충전됨
1.256 1.256 1.256
1.155+0.0 1.165+ 1.160+
방전된 배터리-
35 6 90°F (32.2°C) +0.004 04= 0.004= 0.004=
충전
1.159 1.169 1.164
1.260- 1.200- 1.270-
54 3 50°F (10°C) -0.012 0.012= 0.012= 0.012= 셀 2번 나쁨
1.248 1.188 1.258
1.250- 1.255- 1.230- 셀 3번 약함-
69 5 80°F (26.7°C) 0.000
0=1.250 0=1.255 0=.230 따라잡기 충전
1.200+0.0 1.180+ 1.170+
방전된 배터리-
38 2 100°F (37.8°C) +0.008 08= 0.008= 0.008=
재충전과 재점검
1.206 1.188 1.178
부구가
1.240- 1.245- 셀 3번 죽음-
22 4 80°F (26.7°C) 0.000 올라오지
0=1.240 0=1.245 배터리 교체
않음

방전 테스트
이전의 테스트에서 문제점을 확인하지 못하였다면, 방전 테스트를 시행한다. 방전 테스트는 전압이
42.0볼트로 떨어질 때까지 배터리에서 계속적으로 전류를 끌어 냄으로써 실재 차량 작동 상태를 가장
근접하게 자극하는 것이다. 방전 테스트는 배터리에 관한 가장 어려운 테스트이며 시행하는데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 배터리 방전 테스트 장비 (CCI P/N 101831901)를 사용한다.

방전 테스트 실행
1.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고 모든 셀의 전해질 레벨이 올바른지 확인한다.
2. 테스트 도선을 배터리 1번의 양극(+) 포스트와 배터리 6번의 음극 (-) 포스트에 연결한다 (16-
10페이지, 그림 16-6).

그림 16-3 배터리 방전 테스트 – 유형 C


배터리 구조
(차량의 운전석 쪽에서 본 그림)
1. 적색 탐침은 1번 (+) 배터리로
2. 흑색 탐침은 6번 (-) 배터리로

16-10
3. 배터리 팩의 전해질 온도를 점검하고 기록한다. 각 배터리의 2번 셀 (양극 포스트에서 두 번째
셀)을 점검한다.
4. 방전 기계를 재설정하고 테스트 장비를 켠다
5. 배터리가 약 60분 동안 방전되었다면, 방전 기계를 기능 3에 맞추고 배터리 세트 전압을
점검한다. 남아 있는 테스트에 거쳐 매 10분마다 전압을 체크한다. 배터리 세트 전압이 차단
지점에서 (42.0볼트) 0.5 볼트 이상에 이르자마자 멀티미터를 사용해서 각 배터리 전압을
측정한다. 0.01볼트에 반올림하여 각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테스트 장비는 차단 전압에 이르면 자동적으로 차단된다.

방전 테스트 결과 해석
1. 방전 시간이 60분 이상이면, 배터리 문제가 아니다.
2. 방전 시간이 낮으면 (60분 이하), 6.7볼트 이하의 배터리로 교체한다.

배터리 전압
배터리 상태
1 2 3 4 5 6
7.00V 7.00V 7.00V 7.00V 7.00V 7.00V 우수
7.07V 7.07V 7.22V 6.50V 7.07V 7.07V 배터리 4번 수명이 다하여 가고 있음.
7.20V 7.20V 6.67V 7.33V 6.27V 7.33V 배터리 3번과 5번 수명이 다하여 가고 있음.

3. 일반적으로, 방전 테스트에서 78°F (25.6°C), 60분 이하 동안 방전된 배터리 세트는 일반적으로


전체 작업 교대 동안 전하를 갖고 있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방전 시간은 전해질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제시된 표는 다양한 온도에서, 80°F (26.7°C)에서 62분 동안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
세트의 방전 시간을 나타낸다.

차단 지점까지의 차단 지점까지의
전해질 온도 전해질 온도
방전 시간 방전 시간
40-49°F 85-89°F
40분 64분
(4-9°C) (29-32°C)
50-59°F 89-99°F
45분 66분
(10-15°C) (32-37°C)
60-64°F 100-109°F
50분 68분
(16-18°C) (38-43°C)
65-69°F 110-119°F
54분 70분
(18-21°C) (43-48°C)
70-74°F 120-129°F
57분 72분
(21-23°C) (49-54°C)
75-79°F 130-150°F
60분 74분
(24-26°C) (54-66°C)
80-84°F
62분 ***** *****
(27-29°C)

16-11
배터리 문제해결 사례
다음 정보는 배터리 문제를 해결하는 몇몇 사례를 나타낸 것이다.

예1
68번 차량이 성능 때문에 배터리 상태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의심되어, 배터리 충전기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배터리 완전히 충전된 후, 충전기 전류계는 8.0암페어를 나타내었다. 다음, 충전 전압
테스트가 수행되었고 다음 결과가 얻어졌다:

배터리 번호 1 2 3 4 5 6
충전 중 전압 10.15V 10.60V 9.80*V 10.16V 10.56V 10.61V

*배터리 3번이 의심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배터리 1번과 4번도 의심스럽다. 그 다음, 액체비중계
테스트가 모든 배터리에 대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액체비중계 테스트 결과:

배터리 번호
셀 번호
1 2 3 4 5 6
셀 1 (양극 포스트) 1.200* 1.265 1.300 1.250 1.280 1.260
셀 2 1.285 1.275 1.290 1.270 1.295 1.265
셀 3 1.265 1.270 1.275 1.265 1.280 1.275
셀 4 (음극 포스트) 1.275 1.270 1.285 1.265 1.275 1.275

* 액체비중계 시험 후, 배터리 1번이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 방전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방전 테스트 결과:

배터리 번호 1 2 3 4 5 6
방전 전압 5.44*V 7.33V 7.73V 7.15V 7.43V 7.41V

* 45분이 걸린 방전 테스트 후, 배터리 1번에 명백히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터리 4번도 좀더
밀접하게 관찰되어야 하지만 상태는 괜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터리 1번은 세트의 다른 배터리처럼
비슷한 나이와 사용 정도를 가진 배터리로 교체되어야 한다.

예2
70번 차량이 성능 때문에 배터리 상태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의심된다. 완전한 충전 후 배터리 충전기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7.0암페어를 나타내었다. 전기 시스템, 충전기나 브레이크에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한 후, 충전 전압이 아래처럼 기록되었다:

16-12
배터리 번호 1 2 3 4 5 6
충전 중 전압 10.48V 9.77*V 10.53V 10.57V 10.55V 10.33V

* 배터리 2번이 문제가 있는 것으로써 바로 의심된다. 액체비중계로 배터리 2번을 체크한 후, 음극


포스트 셀이 완전이 죽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배터리 2번은 세트의 다른 배터리처럼 비슷한 나이와
사용 정도를 가진 배터리로 교체되어야 한다.

배터리 교체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 경고

 배터리 배출구로 전해질이 누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배터리를 직립 상태로 보관해야


한다. 어떠한 방향으로든 배터리를 45° 이상 기울이게 되면 소량의 전해질이 배출구로
누출될 수 있다. 들어 올릴 때, 운반할 때, 또는 설치할 때, 45°를 넘지 말라. 배터리
산은 피부나 눈에 심각한 상해를 유발할 수 있으며 옷을 손상시킬 수 있다.

4. 배터리를 제거하기 전, 배터리와 연결 전선의 방향을 기록해 둔다.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남아 있는 전선과 배터리를 제거한다. 21-2페이지배선 도식 참조.
5. 운송 중 손상이 발생했는지 새 배터리를 육안으로 점검한다. 새로운 배터리는 방전되거나
20~50배로 재충전될 때까지 최고 용량을 발휘하지 않는다. 새로운 배터리가 최고 수명을
달성하기 위하여, 새로운 배터리가 있는 차량은 처음 2달 동안 작동시간을 1시간으로 제한한다.
새로운 차량을 처음 사용하기 전에, 차량 보관 후 처음 사용 전에, 매일 사용 전에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되어야 한다.
6. 배터리 케이블을 재활용할 시, 파손 또는 닳은 전선, 손상된 단자, 또는 마멸된 단열재가 있는
지를 점검한다. 연결기가 부식되면 제거한다. 베이킹 소다와 물의 혼합액 (물 1갤론 (3.8 L)당
1컵 (237 ml)의 베이킹 소다)은 중화 및 부식물 제거에 매우 효과적이다. 베이킹 소다 용액이
배터리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7. 배터리 걸이와 죔쇠를 점검하고 청소한다. 죔쇠의 너트와 볼트가 부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청소해야 하고, 필요 시 교체한다.
8. 적절한 방향으로 배터리를 설치한다 (16-14페이지 그림 16-7) (16-14페이지 그림 16-8) (16-
14페이지 그림 16-9). 배터리 죔쇠를 설치한다. 죔쇠를 꽉 죄어 차량 운행 중 배터리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배터리 상자가 깨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너무 꽉 조이지는
않는다. 유형 A 배터리 구조를 가진 차량 (16-14페이지 그림 16-7)에 대하여, 죔쇠 고정
볼트를 교대로 40 in-lb (4.5 Nm)까지 조인다. 유형 B 또는 C 배터리 구조를 가진 차량 (16-
14페이지 그림 16-8) 또는 (16-14페이지 그림 16-9)에 대하여, 죔쇠 고정 볼트를 교대로 72
in-lb (8.1 Nm)까지 조인다.
9. 올바른 순서로 전선을 설치한다. 흑색 전선을 배터리 4번 마지막의 음극 포스트에 설치한다.
모든 연결을 110 in-lb (12.4 Nm)까지 조인다. 모든 단자는 배터리 단자 보호 스프레이 (CCI
P/N 1014305)로 코팅해서 부식을 최소화한다.
10. 작동에 앞서,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 전, 모든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고 셀들이 균등화되도록 된다.

16-13
그림 16-7 배터리 방전 테스트 – 유형 A 그림 16-8 배터리 방전 테스트 – 유형 B
배터리 구조 배터리 구조
(차량의 운전석 쪽에서 본 그림) (차량의 운전석 쪽에서 본 그림)
1. 적색 탐침은 1번 (+) 배터리로 1. 적색 탐침은 1번 (+) 배터리로
2. 흑색 탐침은 4번 (-) 배터리로 2. 흑색 탐침은 4번 (-) 배터리로

그림 16-7 배터리 방전 테스트 – 유형 C


배터리 구조
(차량의 운전석 쪽에서 본 그림)
1. 적색 탐침은 1번 (+) 배터리로
2. 흑색 탐침은 6번 (-) 배터리로

배터리 관리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배터리 관리 – 싱글 포인트 급수 시스템의 차량


배터리를 좋은 작동 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이 관리 프로그램을 따른다:
1. 배터리는 깨끗해야 하고 부식이 없어야 한다. 베이킹 소다와 물의 혼합액 (물 1갤론 (3.8 L)당
1컵 (237 ml)의 베이킹 소다)으로 배터리의 상단과 단자를 씻는다. 용액으로 배터리를 헹군다.
이 용액이 배터리에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단자가 조여져 있는지를 확인한다. 단자가 마르게
놔둔 다음 배터리 단자 보호 스프레이 (CCI P/N 1014305)로 코팅한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폐수를 올바로 버린다.


16

16-14
2. 배터리 죔쇠를 꽉 죄어 차량 운행 중 배터리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배터리 상자가
깨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너무 꽉 조이지는 않는다. 죔쇠 고정 너트를 적절한 토크에
조인다. 16-13페이지 배터리 교체 8단계 참조. 단자 연결 부분은 깨끗하고 청결해야 하며
마멸된 단열재나 닳은 전선은 교체되어야 한다. 배터리 단자는 110 in-lb (12.4 Nm)까지 조인다.
다음 경고 참조.

‼ 경고

 배터리 전선 단자가 손상되었거나 부식되었다면, 필요에 따라 교체하거나 깨끗하게


한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운행 동안 과열을 유발할 수도 있고 화재, 자산 손상, 또는
인적 상해를 초래할 수 있다.

3. 사용 후, 배터리를 충전한다. 배터리는 절대적 필요 이상으로 방전된 상태로 절대 방치하면 안


된다 (밤새 방전된 상태로 두지 마시오).
4. 매달 또는 급수 간격에 따라서 배터리에 물을 넣는다. 16-15페이지 새로운 차량에 대한 급수
간격 확립 참조. 16-21페이지 SPWS가 있는 급수 배터리 참조.

주의

 급수 간격은 판의 상단 부분 위로 전해질 레벨을 적절히 유지해야 한다. 16-17페이지,


그림 16-10참조.
 충전 후에만 배터리에 물을 채운다.

새로운 차량에 대한 급수 간격 확립
아직 차량 배터리 급수 간격을 설정하지 않았다면, 매주 배터리 수위를 수동으로 체크해서 올바른 급수
간격을 확립한다. 확립된 간격에 따라 배터리에 물을 채운다. 많이 사용되는 기간 동안에는 필요한 만큼
물을 넣는다.

싱글 포인트 급수 시스템 관리
1. 싱글 포인트 급수 시스템이 있는 차량에 대하여, 모든 배터리 셀의 초기 전해질 레벨 점검은
SPWS의 모든 밸브가 맞게 기능을 하고 있는지를 검증해준다. 10-3페이지 정기 서비스 스케줄
참조. 밸브가 열려 있지 않으면, 셀은 마르게 되어 버린다. 모든 셀에 대한 초기 점검으로
밸브가 열려있지 않음을 확인하게 된다. 밸브가 닫혀 있지 않으면, 일반 급수 동안 셀이 넘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일은 드물기는 하지만, 초기 점검과 보통 급수 세션 동안에 모니터 되어야
한다. 기능불량인 밸브는 교체해서 최대 배터리 수명을 갖도록 한다. 다음 주의 참조.

주의

 전해질 점검 후, 배터리 캡을 완전히 조여서 전해질이 새지 않도록 한다.

2. 처음 6주 점검 후, 최소한 1년에 한 번씩은 전해질 레벨을 수동으로 점검한다. 특히 장기간


보관 또는 차량을 운행하지 않은 기간 후에는 점검을 실시해야 한다. 바로 앞의 주의 참조.

배터리 관리 – 싱글 포인트 급수 시스템이 없는 차량


배터리를 좋은 작동 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이 관리 프로그램을 따른다:
1. 배터리는 깨끗해야 하고 부식이 없어야 한다. 베이킹 소다와 물의 혼합액 (물 1갤론 (3.8 L)당
1컵 (237 ml)의 베이킹 소다)으로 배터리의 상단과 단자를 씻는다. 용액으로 배터리를 헹군다.
이 용액이 배터리에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단자가 조여져 있는지를 확인한다. 단자가 마르게
놔둔 다음 배터리 단자 보호 스프레이 (CCI P/N 1014305)로 코팅한다. 다음 주목 참조.

16-15
주목: 폐수를 적절히 버린다.

2. 매주 전해질 레벨을 점검한다 (16-17페이지, 그림 16-10). 전해질 레벨이 판의 상단 아래로


내려가지 않으면 충전 후에만 물을 넣는다. 이러한 경우, 판을 덮도록 충분한 물을 넣은 다음
레벨을 다시 점검한다. 판이 전해질 레벨 위로 노출될 때는 절대 배터리를 충전하지 않는다.
배터리의 긴 수명을 위하여, 증류수만 넣는다. 다음 주의와 주목 참조.

주의

 배터리가 넘치지 않도록 한다.

주목: 배터리 급수 총이나 병은 자동차 부품 가게에서 구입할 수 있다.

3. 배터리 죔쇠를 꽉 죄어 차량 운행 중 배터리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배터리 상자가


깨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너무 꽉 조이지는 않는다. 죔쇠 고정 너트를 적절한 토크에
조인다. 16-13페이지 배터리 교체 8단계 참조. 단자 연결 부분은 깨끗하고 청결해야 하며
마멸된 단열재나 닳은 전선은 교체되어야 한다. 배터리 단자는 110 in-lb (12.4 Nm)까지 조인다.
다음 경고 참조.

‼ 경고

 배터리 전선 단자가 손상되었거나 부식되었다면, 필요에 따라 교체하거나 깨끗하게


한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운행 동안 과열을 유발할 수도 있고 화재, 자산 손상, 또는
인적 상해를 초래할 수 있다.

4. 사용 후, 배터리를 충전한다. 배터리는 절대적 필요 이상으로 방전된 상태로 절대 방치하면 안


된다 (밤새 방전된 상태로 두지 마시오).

자가-방전
더러운 배터리의 오염원들은 배터리를 천천히 방전시킬 수 있는 작은 전류 방출의 통로를 제공하여서
값비싼 에너지를 소모시킨다. 자가-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를 항상 깨끗하게 유지해야 한다.
무더운 날씨 또한 배터리의 자가 방전 율에 영향을 끼친다. 온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배터리 세트는 더
빨리 방전된다. 기후가 무더울수록, 배터리를 더 자주 점검해야 한다. 배터리를 보관할 때는 시원한
장소에 보관한다. 16-23페이지 배터리 보관 참조.

전해질 레벨

!! 주의

 배터리 캡이나 용액 비중계로부터 배터리 산이 차량의 전면 또는 뒤쪽 몸체에 뚝뚝


떨어지지 않게 한다. 배터리 산은 영구적인 손상을 유발한다. 즉시 씻어 낸다.

16-16
그림 16-10 배터리 전해질 레벨

전해질이 판 레벨 아래가 아니면 충전 후에만 물을 채운다. 전해질 레벨이 판 레벨 아래이면, 판을 덮을


정도로 물을 부은 다음 배터리를 충전한다. 충전 후, 레벨 표시기까지 물로 채운다. 충전 시, 전해질
레벨이 증가하기 때문에, 충전 전에 레벨 표시기까지 배터리를 채우게 되면 넘칠 수 있으며 전해질의
일부가 캡 밖으로 거품을 내며 흐를 수도 있다. 이는 배터리 용량을 감소시키고 그 주변의 금속 부품을
부식시킨다.

매주 전해질 레벨을 점검해서 전해질이 적절한 레벨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16-17페이지, 그림 16-10).
전해질 레벨을 판의 상단 아래로 절대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왜냐하면 이는 판의 노출된 부분이
영구적으로 불활성화되기 때문이다. 최고의 결과를 위하여, 배터리 급수용 총을 사용해서 배터리에 물을
채운다. 무더운 날씨나 배터리가 낡았으면 좀 더 자주 전해질 레벨을 점검한다.

미네랄 함유량
배터리 수명을 위하여, 배터리에 증류수를 사용한다. 수돗물을 사용할 때는, 미네랄 함유량이 아래 레벨
이하인지 확인한다:

불순물 허용치 (PPM)

부유물 소량
총 고체 100
칼슘 및 마그네시아 산화물 40
철분 5
암모니아 8
유기물 50
질산염 10
아질산염 5
염소 5

16-17
진동 손상
배터리 죔쇠는 항상 꽉 죄어 있어서 배터리가 튀어 오르지 않도록 한다. 배터리 죔쇠가 너무 느슨해
있으면, 배터리 수명이 심하게 단축될 수 있다. 16-13페이지 배터리 교체 8단계 참조. 진동이 심하면
판을 빨리 못쓰게 하며 배터리 수명을 단축시킨다. 산이 분출 캡으로 누출되어 금속 부품 주위에
부식을 초래할 수도 있다. 손실된 산은 배터리의 용량을 감소시키고 교체될 수 없다. 배터리 죔쇠는
배터리 상자가 깨지거나 휘지 않게 너무 꽉 죄지 말아야 한다. 이럴 경우 셀을 마르게 하는 누출을
유발하거나 내부 단선을 유발할 수 있다. 16-13페이지 배터리 교체 참조.

배터리 충전기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전기 차량과 함께 공급되는 충전기는 배터리 충전과 관련된 가장 일반적인 문제들을 해결한다.


충전기가 자체로 차단되도록 한다면 충전 부족 및 과잉 충전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모든 셀은 낮은
전류에서 자동적으로 동등한 전하를 제공받아서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한다. 배터리는 방전된 상태에서
절대 두면 안 된다. 왜냐하면 이는 내부 구성 요소에 너무나 큰 영향을 미치고 배터리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배터리는 사용할 때마다 충전해야 한다. 하지만 사용하지 않았을 때는
배터리를 충전하지 말아야 한다.

배터리 충전

‼ 경고

 콘센트의 모든 전선 연결과 퓨즈 연결이 깨끗하고 청결한지를 확인한다.


 플러그를 흔들거나 굽히지 마시오. 충전기 플러그를 차량 콘센트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플러그 핸들을 쥐고 콘센트로 반듯하게 플러그를 민다 (19페이지, 그림 16-11).
 DC코드를 잡아당기지 마시오 (16-19페이지, 그림 16-12). 플러그를 비틀거나 흔들거나
휘지 마시오. 차량 콘센트에서 충전기 플러그를 분리하기 위하여, 플러그 핸들을 쥐고
콘센트에서 반듯하게 플러그를 잡아 당긴다.
 이러한 지시사항을 따르지 않으면 충전기 코드, 플러그, 차량 콘센트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충전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 플러그가 너무 느슨하거나 좋은 연결을 제공하지 않을 때.
- 플러그 및 콘센트가 충전 동안 평소보다 더 뜨겁게 느껴질 때.
- 플러그 핀이나 콘센트 접촉이 휘었거나 부식되었을 때.
- 플러그, 콘센트, 또는 코드가 잘렸거나 마멸되었거나 노출된 전선이 있거나 어떠한
방식으로든 손상되었을 때.
 상기 증상을 가지는 충전기의 사용은 화재, 자산 손상, 인적 손상 또는 죽음을 초래할
수 있다.

주목: 온도가 18.3 °C (65 °F) 이하로 떨어지면, 시원한 장소에서 충전된 배터리는 사용 후
가능한 빨리 충전되어야 한다. 배터리는 사용 직후 가장 뜨겁고 차가운 배터리는 완전히
충전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16-18
충전기 DC플러그를 차량 콘센트에 집어 넣는다. 충전기는 2~10초 후에 켜질 것이다 (16-19페이지, 그림
16-11).

DC플러그를 삽입할 때, 플러그의 올려진 가이드와 콘센트의 가이드 슬롯과 맞춰서 천천히 반듯하게
민다.

클럽카 배터리 충전기는 차량의 내장 컴퓨터와 상호작용을 한다. 컴퓨터는 차량 사용 동안에 소모된
에너지 양을 기록한다. 충전기가 꼽혀 있는 동안, 차량의 제어 회로는 잠겨 있어서 충전기와 차량의
잇따른 손상의 가능성뿐만 아니라 차량 작동을 막는다.

일단 잠금 장치가 작동하게 되면, 충전기가 켜지게 된다. 그런 다음 내장 컴퓨터는 배터리로 오는


에너지 양을 기록한다. 배터리를 가득 채우는데 필요한 에너지의 최적 양이 배터리에 오게 되면,
충전기는 차단된다. 제어 회로 잠금 장치는 충전기 플러그가 차량에서 분리될 때까지 활성화된다.

그림 16-11 충전기 DC 플러그의 올바른 삽입 그림 16-12 충전기 DC 플러그의


올바르지 않는 삽입

전기 차량은 파워 드라이브 또는 파워 드라이브 3 배터리 충전기와 함께 제공된다. 이러한 전기 차량은


파워 드라이브 계열의 충전기만 사용한다.

충전기가 자체적으로 차단되어 있는 한, 배터리는 완전히 충전될 것이다. 과충전과 저충전은 보통


일어나지 않는다. 배터리는 아주 짧은 기간 (10분) 동안만 사용되었을 지라도 충전되어야 한다.

충전기는 자동이어서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면 꺼지게 된다. 충전기가 적절하게 작동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거나, 배터리가 약해 보이면, 당신의 지역 클럽카 판매자/딜러에게 연락하라.

플러그 및 콘센트
충전기 코드, 플러그, 콘센트는 소모되는 항목들이므로 매일 점검해야 한다. 깨짐, 느슨해진 연결 부위,
닳은 배선이 있는지 육안으로 점검한다; 닳았거나 손상되었을 때는 교체시켜야 한다. 충전기 플러그나
콘센트가 부식의 징조가 보이거나 플러그를 삽입 또는 제거하기가 어렵다면, 콘센트 접촉과 플러그
단자를 좋은 전기 접촉 클리너로 청소하거나 WD-40브랜드 스프레이 윤활제를 가볍게 뿌려야 한다.
그런 다음, 플러그 꼽고 빼는 것을 여러 번 반복해서 삽입과 제거의 용이성 및 전기 접촉이 양호한
지를 확인한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경고 태그가 DC코드에서 손상되었거나 제거되었으면, 즉시 교체한다.

16-19
16
16시간 후 충전기 차단
이 차단은 1) 새 배터리, 2) 심한 사용, 또는 3) 찬 온도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가 존재하면
따라잡기 충전이 필요할 수 있다. 차량 전체 또는 일부가 사용되지 않는 날에,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점검한다. 1.250 이하의 밀도를 가진 배터리는 따라잡기 충전이 필요하다. 따라잡기 충전을 실행한 후
문제가 계속 존재하면, 배터리 충전기를 점검한다. 적절한 배터리 충전기 보수 관리 및 정비 매뉴얼을
참조하라. 섹션 17 – 배터리 충전기 참조.

심한 방전
차량이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 시점까지 절대 배터리가 방전되게 하지 말라. 이는 배터리의 수명을
크게 단축시키며, 배터리를 영구적으로 손상시킬 수 있다.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면 전하를 받아들이지
않을 수 있다. 방전이 심하면 심할수록 배터리에 충전하기가 더 어려워진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클럽 카 전기 차량 배터리를 각 사용 후에 충전할 것을 권장한다 (충전 주기가 끊김이 없고 충전기가
자동적으로 차단된다면). 각 사용 후에 배터리를 충전하면, 방전의 정도를 줄이고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킨다.

초기 과잉 방전
새 차량 배터리는 사용 및 충전을 20-50번 반복해야만 최고 용량에 이른다. 배터리의 수명 초기에
과다하게 방전되면, 유효 서비스 수명은 단축된다. 새 배터리가 장착된 차량은 최소한 처음 4주 동안
사용을 제한한 다음 점차적으로 시간을 늘려가는 것이 좋다.

유입 AC 서비스
유입되는 AC 라인 서비스가 충분한지를 점검한다. 회로 차단기가 고장 나거나, 밤 동안 퓨즈가
끊어지거나, 좋은 배터리가 가해졌는데도 충전기가 요구되는 시작 수치를 나타내지 않으면, AC 라인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차량 보관 시설로의 전기 서비스는 모든 충전기가 켜져 있을 때 각 충전기로
적절한 전압과 전류를 전송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당신의 지역 전력 공사나 전기
중계업자와 상담하라. 섹션 17- 배터리 충전기 참조.

차량 교대
차량 사용을 교대로 하라. 밤에 마지막으로 들어 온 차량이 아침에 처음으로 나가게 된다면 배터리에
무리가 된다. 작업량을 균일하게 분배해서 모든 차량이 같은 양으로 사용되도록 하라. 이것은 당신의
차량을 균형 있게 유지해줄 것이며 배터리 세트에 과다한 일을 시키지 않을 것이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차량이 교대되고 있을 때, CDM (Communication Display Module; 대화 전시 모듈)은 매우


유용한 서비스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CDM의 기능 3값을 모니터링 하면 차량 사용
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11-39페이지 대화 전시 모듈 (CDM) 또는 12-39페이지 대화
전시 모듈 (CDM) 참조.

차량과 충전기 번호 매기기


가능하면, 매일 밤 같은 충전기에 차량을 복귀시킨다. 차량이 무작위 하게 보관 시설에 놓아져 있어서
차량이 사용 중 차량이 멈추거나 테스트에서 배터리가 소리가 난다는 것을 알려준다면, 문제는 대부분
충전기와 연관된 것이기 쉽다. 그러나 문제의 충전기를 찾는 것은 상당히 많은 시간을 소모하게 한다.
차량과 충전기에 번호를 할당하여 밤마다 각 차량과 짝인 충전기에 복귀시키는 것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보내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16-20
싱글 포인트 급수 시스템 (SPWS)

주의

 충전 후에만 물을 배터리에 넣는다.


 클럽카 SPWS 재충진 키트 (CCI P/N 102958001)에 제공된 설비만 사용하여 SPWS가
있는 배터리에 물을 넣는다.

SPWS의 초기 보수 관리
작동 6주 후, 배터리에서 밸브를 제거하고 배터리 레벨을 손으로 점검해서 SPWS가 셀을 마르게 하지
않았는지를 확인한다. 초기에 모든 배터리 셀에 대하여 이렇게 전해질 레벨을 점검하는 것은 SPWS의
모든 밸브가 올바르게 기능을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다. 밸브가 열려 있지 않으면, 셀은 결국
마르게 될 것이다. 모든 셀에 대한 초기 점검은 밸브가 열려있지 않음을 확인하게 된다. 밸브가 닫혀
있지 않으면, 일반 급수 중 셀이 넘치게 된다. 이런 일은 드물기는 하지만, 초기 점검과 보통 급수 세션
동안에 모니터링 되어야 한다. 기능불량인 밸브는 교체해서 최대 배터리 수명을 갖도록 한다. 초기 6주
점검 후, 최소한 일년에 한번씩 배터리 수위를 수동으로 점검한다. 특히 동절기 보관 시 또는 차량이
사용되지 않는 기간 직후에는 점검이 필요하다. 다음 주목 참조.

긴 배터리 수명을 위하여, 해당 차량 유지 보수 및 서비스 매뉴얼에서 언급된 것처럼 수중 미네랄


성분이 최소 요구사항에 따르는 지 확인한다.

SPWS가 있는 배터리의 급수
물 유량 점검
1. 수도꼭지 (1)에 내장형 스크린 필터 (2)가 있는 물 호스를 연결한다 (16-22페이지, 그림 16-13).
다음 주의 참조.

주의

 스크린 필터가 깨끗한 지 확인한다.


 수압이 감소하면 배터리를 넘치게 하며 재충진 시스템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 (20피트)에서 제공하는 것보다 더 긴 정원 호스를 사용하지 말라.

2. 호스-종단 조립체 (3)을 물 호스의 반대 끝에 나사로 조이기 전에, 조립체 끝 안쪽에 스크린
필터 (4)가 깨끗한지 확인한다 (16-22페이지, 그림 16-13).
3. 하제 (Purger)를 호스 끝 조립체의 암 연결자 (female coupler) (8)에 연결한다 (16-22페이지,
그림 16-14).

16-21
그림 16-13 필터 장착 호스를 그림 16-14 물 유량 점검
물의 근원에 연결

4. 호스 끝 조립체 (3)에서 물이 흘러 나올 때까지 수도꼭지를 완전히 열고, 적색 흐름 표시 볼


(6)의 움직임을 주목한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SPWS가 적절히 기능을 하려면 물 유량이 최소 분당 2 겔론이어야 한다. 또한 이 단계는 물


호스에 있는 공기를 제거한다.

5. 유량이 적절한 지 확인한 후, 암 연결자 (female coupler) (8)의 끝에 있는 회색 버튼 (7)을


눌러서 압력 조절 장치로부터 하제 (purger)을 분리한다.

배터리 재충진
1. 배터리 칸들의 운전석 쪽에 있는 배터리 충진 연결자 (fill coupling) (9)을 놓고, 수 연결기에서
먼지 커버 (10)를 제거하고 (16-22페이지, 그림 16-15), 호스 끝 조립체 (3)를 연결한다 (페이지
16-22, 그림 16-16). 물이 바로 흐르기 시작할 것이다.

그림 16-15 먼지 캡 그림 16-16 호스 끝 조립체의


배터리 필 연결기로의 연결

16-22
2. 적색 흐름 표시 볼은 빙빙 돌게 되며, 이는 배터리가 채워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다음 주의 참조.

주의

 배터리에서 물이 넘치게 되면, 바로 재충진 과정을 멈추고, 배터리 충진 연결자에서 압력


조절장치를 분리하고 서비스 센터에 전화를 하다.

3. 적색 흐름 표시 볼의 움직임이 멈추면, 즉시 회색 버튼을 눌러 배터리 충진 연결자 (9)에서 호스


끝 조립체를 분리하고 먼지 커버 (10)를 짜서 배터리 충진 연결자의 수 연결기에 그것을 살짝
고정시킨다 (16-22페이지, 그림 16-15).
4. 배터리 통과 차 몸체 사이의 공간으로 배터리 충진 연결자를 둔다. 배터리 세트의 상단 부분에
충진 연결자를 두거나 배터리와 배터리 통 사이에 쑤셔 넣는 것은 연결자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차량이 다 채워지면 수도꼭지를 잠근다.

배터리 보관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비수기 동안 배터리를 보관할 때 또는 교체 저장물을 관리할 때, 이 가이드 라인을 따라야 한다:


1. 배터리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부식이 없도록 한다. 16-14페이지 배터리 관리 참조.
2. 동절기 보관 동안 차량에 있는 배터리는 충전기와 연결될 것이 아니면, 차량에서 분리된 채로
둔다.
3. 보관에 앞서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한다.
4.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배터리가 저장되어 있는 곳이 시원할수록, 배터리는 덜 자가 방전된다.
0°F (-17.8°C)에서 저장된 배터리는 4개월의 기간 동안 매우 조금 방전된다. 80°F (26.7°C)에서
저장된 배터리는 몇 주마다 재충전되어야 한다.
5. 48볼트 전기 차량과 호환성 배터리 충전기는 비수기 동안 AC 동력으로 켜진 충전기에 연결된
채로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보관 충전 기능은 보관 기간 동안 필요하면 배터리를 자동적으로
충전한다.

저 전압 배터리 팩 충전

올바른 배터리 충전기 보수 관리 및 서비스 매뉴얼 참조

16-23
17

17섹션 17 – 배터리 충전기


올바른 배터리 충전기 보수 관리 및 서비스 매뉴얼 참조

17-1
섹션 18 – 모터 (모델 5BC59JBS6390)
!! 위험

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 경고

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일반 정보

차량에는 48볼트 DC, 분권, 후진 견인 모터가 장착되었다. 분권 모터는 IQ와 엑셀 시스템 차량에만
사용하도록 디자인되었다. 클럽카는 모터가 큰 수리를 필요로 할 시 승인된 모터 수리 업체에게 보낼
것을 권장한다; 그러나, 전기 모터 수리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과 경험을 가진 기술자가 실행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단순한 전기 모터 수리들도 많이 있다.

모터 ID
이 전기 차량에는 2가지 유형의 모터가 사용된다: 모델 5BC59JBS6390 (회색 하우징)과 EJ4-4001
(흑색 하우징). 올바로 확인되지 않은 모터를 사용하려고 하지 말라. 모터를 올바로 확인할 수 없으면,
당신의 지역 클럽카 판매자나 납품업자에게 연락하라.

외부 모터 테스트

다음 테스트는 모터를 분해하지 않고 멀티미터나 연속성 테스터를 사용해서 실행할 수 있다.

주목: 분리 전에 정체확인을 위하여 모터 전선에 꼬리표를 부친다.

테스트 절차 1 – 내부 단선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2개의 렌치를 사용해서 모터의 단자에서 전선을 분리하여 포스트가 도는 것을 막는다.
3. 200옴으로 맞춰진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모터 하우징에 둔다. 페인트로 긁어
보아 연결 상태가 좋은 지 확인한다. 적색 (+) 탐침을 각각 A1, A2, F1, F2 단자에 둔다 (18-
2페이지, 그림 18-1). 멀티미터는 연속성이 없음을 나타내야 한다. 수치가 틀리면, 차량에서
모터를 제거해야 하고, 유자격 기술자에 의해서 수리되어야 한다. 18-3페이지 모터 제거 참조.

3.1 A1 또는 A2 단자의 수치가 틀리면 3가지 잠재 문제점을 나타낸다: 접지된 A1 또는 A2


단자, 브러시 지역의 접지된 전선, 또는 접지된 전류계/정류기. F1 또는 F2 단자 수치
오류는 F1 또는 F2 단자나 전기장 코일이 접지 되었을 가능성을 나타낸다.

18-1
그림 18-1 모터 단선 테스트

테스트 절차 2 – 전기자 회로 개방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2개의 렌치를 사용해서 모터의 A1과 A2 단자에서 전선을 분리하여 포스트가 도는 것을 막는다.
200옴으로 맞춰진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적색 (+) 탐침을 모터 A1 단자에 두고 흑색 (-)
탐침을 각각 A2 단자에 둔다. 멀티미터는 연속성을 나타내야 한다. 수치가 틀리면, 브러시
조립체의 단자의 개방 전기장 코일이나 불량 연결 그리고/또는 개방 전기자 와인딩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모터를 차량에서 제거해야 하고, 유자격 기술자가 수리해야 한다. 18-3페이지 모터
분해 참조.

테스트 절차 3 – 전기장 회로 개방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2개의 렌치를 사용해서 모터의 F1과 F2 단자에서 전선을 분리하여 포스트가 도는 것을 막는다.
200옴으로 맞춰진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적색 (+) 탐침을 모터 F1 단자에 두고 흑색 (-)
탐침을 각각 F2 단자에 둔다. 멀티미터는 연속성을 나타내야 한다. 수치가 틀리면, 단자의 개방
전기장 코일이나 불량 연결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모터를 차량에서 제거해야 하고, 유자격
기술자가 수리해야 한다. 18-3페이지 모터 분해 참조.

18-2
18
모터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모터 제거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2개의 렌치를 사용해서 단자에서 전선을 분리하여 포스트가 도는 것을 막는다. 올바른 재
연결을 위하여 전선에 표시한다.
3. 양 뒤쪽 바퀴의 모든 바퀴용 너트를 약간 푼다.
4. 트랜스액슬 아래에 바닥 잭을 두고 차량 뒤쪽을 올린다 (18-3페이지 그림 18-2). 그런 다음,
각 뒤쪽 바퀴의 바로 앞쪽에 있는 스프링 장착부와 측면 수평재 사이에 있는 프레임
크로스멤버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차량을 낮추어 잭 스탠드가 차량을 지지하도록 한다
(18-3페이지 그림 18-3). 다음 경고 참조.

!! 경고

 한 번에 차량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 최소 1000lb (454kg) 리프팅 용량을 가진 적절한


리프팅 장치 (체인 호이스트 또는 유압식 플로어 잭)를 사용한다. 리프팅 장치는 차량을
올려진 위치에서 잡고 있는데 사용하지 않는다. 차량을 지지하고 바닥에 바퀴가 잘
고정되어 있도록 적절한 무게 용량의 승인된 잭 스탠드를 사용한다. 바퀴의 움직임을
필요로 하지 않는 테스트나 정비 절차를 실행할 때는 브레이크를 잠근다.

그림 18-2 바닥 잭으로 차량을 들어 올림 그림 18-3 잭 스탠드 위에 지지된 차량

5. 양 뒤쪽 바퀴를 제거한다.
6. 충격 흡수체의 하부 쪽에서 너트, 컵 와셔, 부싱을 제거한다. 충격 흡수체를 눌러서 (위쪽으로
민다) 바깥쪽으로 움직인다 (18-4페이지 그림 18-4).
7. 뒤쪽 엽편 스프링을 족쇄에 고정하고 있는 너트와 볼트를 제거한다.
8. 모터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될 수 있는 한 트랜스액슬을 낮춘다. 공간이 더
필요하면, 트랜스액슬 밑의 잭을 제거하고 스프링이 바닥에 닿도록 한다 (18-4페이지, 그림
18-4). 다음 경고 참조.

18-3
!! 경고

 뜨거움! 뜨거운 모터를 정비하려 하지 말라. 이는 심한 화상을 유발할 수 있다.


 10단계에서 입력 굴대로 모터를 밀어 넣을 때 모터 아래에 손을 두지 말라. 손가락이
모터를 분리할 때 눌리게 될 수도 있다.

그림 18-4 하부 액슬

9. 모터를 트랜스액슬에 고정시키는 4개의 볼트를 제거한다 (18-15페이지, 그림 18-19).


10. 모터 제동 쐐기가 입력 축에서 분리될 때까지 모터를 조심스럽게 트랜스액슬에서 잡아 빼어
차량에서 모터를 제거한다.

모터 분해
1. 모터 분해 전, 모터 종단 쉴드와 고정 외관 (shell) 에 매치 마크 (1)를 표시한 다음, (18-
5페이지, 그림 18-5)에서 보여진 것처럼 나무 블록이 있는 바이스에 모터를 둔다.
2. 종단 쉴드 (10)를 고정 외관 (2)에 고정시키는 4개의 볼트 (8)를 제거한다.
3. 종단 쉴드를 베어링 고정장치에 부착시키는 2개의 나사 (9)를 제거한다.
4. 고정 외관 (2)을 전기자 (17)에서 들어 올린다.
5. 브러시 리깅 (12)를 고정 외관 (2)에 고정시키는 2개의 나사 (11)를 제거한다 (18-8페이지,
그림 18-10).
6. 브러시 단자 포스트 (A1과 A2) (13)를 표시해서 고정 외관에서의 그들의 위치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한 다음, 너트 (6)와 편평 와셔 (5)를 제거한다 (18-8페이지, 그림 18-10). 외부로부터,
고정 외관 벽을 통하여 포스트를 고정 외관 내부로 민다.
7. 고정 외관에서 브러시 리깅과 단자 포스트를 조심스럽게 제거한다.
8. 브러시 리깅으로부터 브러시 스프링 914)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프링 연장선을 들어 올려서
브러시 마운트 위에 둔 다음 설치 탭으로 스프링을 밀어 넣는다 (18-5페이지, 그림 18-6).

18-4
그림 18-5 모터 분해 그림 18-6 브러시 스프링 제거

모터 구성 요소 테스트 및 점검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전기자
육안 점검
모터를 분해해서 다음 특징에 대하여 전기자를 주의 깊게 점검한다:
 타거나, 검게 그슬리거나, 금이 간 절연체
 부적절하게 경화된 광택제
 떨어진 용접
 벌어진 전기자 와인딩
 손상된 전기자 코어 박판
 마멸, 불에 탄 또는 윤이 나는 전환기
 오염 또는 기름기가 많은 전환기
 올려진 전환기 막대기
 닳은 전기자 베어링 또는 축

18-5
오염 또는 기름기가 많은 전환기는 청소하고 물기를 닦아내야 한다. 점검 중 확인된 문제점들은
근본적인 고장 원인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전환기가 약간 거친 것은 400번이나 더 가는
사포로 부드럽게 갈 수 있다. 다음 주의와 주목 참조.

주의

 금강사를 사용해서 전환기를 닦지 말라. 금강사의 입자는 전도 성이어서 전환기 봉을


단선할 수도 있다. 전환기나 브러시에 오일이나 윤활제를 사용하지 말라.

주목: 전환기의 오일은 트랜스액슬 입력 축 오일 밀봉에 부적절할 수도 있다.

전기자 접지 테스트

!! 주의

 용매에 전기자를 담그지 말라.

주목: 전기자를 테스트 하기 전에, 깨끗한 천으로 전기자를 깨끗이 닦아낸다. 전환기 봉 사이의
탄소 먼지와 금속 입자를 제거한다.

1. 200옴으로 맞춰진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하나의 탐침을 전환기 (1)에 두고 다른 것을 전기자


코어 (2)에 둔다. 멀티미터는 연속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18-6페이지 그림 18-7). 수치가
틀리면, 전기자를 교체한다.

그림 18-7 전기자 테스트

전기장 와인딩 검사
전기장 와인딩에 있는 단열제가 탔거나 그을렸다는 것은 과부하 또는 접지, 누전 코일 와인딩으로
인하여 과열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기장 와인딩의 단열제가 그을렸으면, 모터나 고정 외관 조립체를
교체한다.

18-6
모터 구성 요소
1. 단열제에 깨진 곳이나 다른 손상이 없는지 (4와 7) 점검한다. (그림 18-10, 18-8페이지).
2. 브러시 (13)에 손상이나 심하게 마멸된 곳은 없는지 점검한다. 필요하면 브러시를 교체한다.
다음 주목 참조.
3. 브러시 스프링 (14)을 점검한다 (18-8페이지, 그림 18-10). 열로 인하여 변색된 스프링을
교체한다. (밝은 금색 또는 옅은 청색). 16 온스 이하의 힘을 적용하는 스프링은 교체한다 (18-
7페이지, 그림 18-8).

주의

 브러시 스프링 장력을 점검할 때, 스프링을 너무 많이 늘리지 말라. 힘을 심하게


사용하면 스프링을 손상시킨다.

주목: 새로운 브러시를 설치할 때, 한 번에 브러시를 제거하고 교체한다. 이 방법은 단자와


브러시가 리깅에 적절히 자리를 잡도록 한다. 브러시 설치를 위한 모터 조립체 참조. 18-
10페이지 모터 조립체 참조. 브러시를 교체할 때, 4개 브러시 모두를 교체한다. 절대 2개만
교체하지 마시오. 서로 180° 떨어진 같은 리깅에 브러시를 설치한다.

베어링 점검
1. 깨끗한 천으로 베어링의 탄소 먼지를 닦아낸다. 손으로 돌려서 베어링을 점검하고 축 (A)과
방사 (B) 플레이를 체크한다 (18-7페이지 그림 18-9).
2. 소음이 있거나 부드럽게 돌아가지 않거나 과다한 작동이 있으면, 베어링을 교체한다. 녹슬었거나,
마멸되었거나, 깨졌거나, 베어링의 금속에 비정상적인 색깔 변화가 있으면, 베어링을 점검하고
교체한다. 교체할 필요가 없으면 전기자 축에서 베어링을 제거하지 않는다.

그림 18-8 브러시 스프링 장력 테스트 그림 18-9 베어링 점검

18-7
그림 18-10 모터

18-8
18
베어링 분해
1. 베어링 (15)과 전기자 (17) (18-8페이지, 그림 18-10)사이에 쐐기 부착 기구 (2) (CCI P/N
1012812) (18-11페이지, 그림 18-11)를 둔다. 쐐기 부착 기구가 베어링의 안쪽 마찰 면을
지지하고 있는 지를 확인한다. 압축기 (1)가 없으면, 베어링 풀러 (3) (CCI P/N1012811)를
베어링에 고정하고 전기자 축 끝에서 베어링을 잡아 당긴다. 축을 지지해서 베어링이
제거되었을 때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18-11페이지, 그림 18-11). 베어링과 속도 센서 자석을
버린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속도 센서 자석은 베어링을 제거할 때 베어링에 의해서 눌려질 것이다.

베어링 설치
1. 새로운 베어링 (15)을 전기자 위로 누른다 (18-8페이지, 그림 18-10). 안쪽 마찰 면에만 압력을
가하는 아버 프레스를 사용한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베어링이 전기자위로 눌려지기 전에 베어링 고정장치 (16)가 전기자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18-8페이지, 그림 18-10).

외경이 5/8인치 (16 mm) 이하인 축을 전기자 위로 베어링을 누르는데 사용한다.

2. 속도 센서 자석을 설치한다. 18-9페이지 속도 센서 자석 설치 참조.

속도 센서 자석 점검
속도 센서 자석 (18)에 녹, 마멸, 깨짐이 없는지를 점검한다 (18-8페이지, 그림 18-10). 필요대로 자석을
교체한다.

속도 센서 자석 제거
1. 속도 센서 자석 (18)을 제거하기 위하여, 모터 베어링을 제거한다 (18-8페이지, 그림 18-10). 18-
9페이지 베어링 제거 참조.

속도 센서 자석 설치
1. 1인치 (2.54 cm) 직경의 고체 베어링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모터 속도 센서 자석 (18)을 자석
허브가 전기자 축과 같은 높이가 될 때까지 축 위로 누른다.

모터 리컨디셔닝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모터 리컨디셔닝은 유자격 모터 수리 기술자가 해야 한다. 적절한 도구와 절차를 사용하는 것은


성공적인 모터 리컨디셔닝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수적이다.

18-9
모터 사양
재 작업은 유자격 기술자가 해야 한다. 모터 서비스 사양은 다음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다.

항목 서비스 한계
(최소) 전환기 직경 2.265 인치 (66.675 mm)
내부 전기자 축과 동원인 전환기 0.001 인치 (0.0254 mm)
전환기 기계 가공 시 절단 깊이의 한계 0.005 인치 (0.127 mm)
봉과 봉의 소모 한계 0.002 인치 (0.00508 mm)
마디 절연기의 하부 절단이 0.016 인치 (0.406
0.031 인치 (0.8 mm)
mm)이면 하부 절단의 길이는
전환기의 기계 가공 면 8-16 마이크로인치 (203.2-406.4 nm)
전기장 코일 저항 1.61 옴

모터 조립체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1. 베어링을 제거했으면, 베어링을 교체한다. 18-9페이지 베어링 설치 참조.


2. 브러시를 설치한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새 브러시를 설치할 때, 한 번에 브러시를 제거하고 교체한다. 이 방법은 단자와 브러시가


적절하게 리깅에 배치되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한 것이다. 브러시 설치를 위한 모터 조립체
참조. 18-10페이지 모터 조립체 참조.

브러시를 교체할 때, 4개의 브러시 모두를 교체한다. 절대 2개만 교체하지 않는다. 리깅에
서로 180° 떨어지게 브러시를 설치한다.

2.1 브러시 리깅 (1)을 엎고 고정자 외관 위로 살짝 잡아서, 브러시 리깅의 구멍과 설치 지지대


(3)의 나사선 구멍으로 브러시 홀더 나사를 삽입한다 (18-12페이지, 그림 18-12). 나사를
20 in-lb (2.3 Nm)까지 나사를 조인다.
2.2 한 번에 하나씩, 브러시를 설치 홈으로 완전히 들어갈 때까지 브러시 뒤로 브러시 스프링
확장을 밀고 브러시를 설치 홈으로 완전히 들어갈 때까지 브러시 뒤를 밀어 넣는다 (18-
5페이지, 그림 18-6).

18-10
그림 18-11 베어링 분해

2.3 고정자 외관으로 전기자를 밀어 넣되 베어링 끝을 먼저 넣는다. 적절한 정류기/브러시


접촉을 위하여 전기자를 자리 잡는 동안 브러시가 뒤에 고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브러시를 풀고 브러시 바깥쪽에 스프링을 두어서 브러시가 정류기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
주의 참조.

주의

 정류기가 자리를 잡고 모터가 끝에 있는 전기자와 조립되었다면, 브러시가 뒤에


고정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브러시가 고정기 외관의 무게를 지탱하지 않도록 하라.
브러시는 이런 무게로 쉽게 손상될 수 있다.

3. 고정기 외관에 종단 쉴드를 설치한다.


3.1 베어링 고정장치에 있는 2개의 구멍과 종단 쉴드에 있는 2개의 상응 구멍을 맞춰서 나사
(9)를 설치함으로써 종단 쉴드 (10)를 베어링 고정장치 (16)에 부착한다. (18-12페이지,
그림 18-13). 나사는 17 in-lb (1.9 Nm)까지 조인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첫 번째 마운팅 나사를 설치할 때 구멍 정렬을 유지하기 위하여 마운팅 나사로써 같은


나사선을 가진 긴 나사 (1)를 사용한다 (18-12페이지, 그림 18-13).

3.2 종단 쉴드와 고정기 외관에 매치 마크를 정렬한 다음, 4개의 나사 (8)를 설치한다 (18-
8페이지, 그림 18-10). 나사는 90 in-lb (10 Nm)까지 조인다.

주목: 종단 쉴드에 있는 모터 속도 센서 전선이 모터 하우징의 단자 사이에 정렬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4. 전기자가 자유롭게 돌아가는지를 확인한다. 자유롭게 돌아가지 않으면, 모터를 분해해서 문제를
찾는다. 베어링이 모터 조립 시 종단 쉴드에 적절히 잘 안착되었는지를 확인한다.

18-11
그림 18-12 브러시 설치 그림 18-13 종단 쉴드 설치

모터 설치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1. 트랜스액슬 입력 축을 청소한다.
1.1 CRC Brakleen 또는 동급의 브레이크 클리너 유지 제거제로 입력 축을 철저하게 스프레이
한다.
1.2 입력 축을 깨끗한 천으로 닦아낸다.
1.3 입력 축 홈을 점검하고 남아 있는 찌꺼기들은 제거한다.
1.4 입력 축이 깨끗해질 때까지 1.1단계에서 1.3단계를 반복한다.
2. 트랜스액슬 축에 윤활제를 바른다.
2.1 (18-13페이지 그림 18-14)에서 보여준 것처럼 퍼티용 칼에 튜브에서 약 1/2인치 (1.3cm)
정도 몰리 테플론 윤활제 (CCI P/N 102243403)를 짠다.
2.2 바퀴를 돌려서 입력 축을 돌아가게 한다.
2.3 모터 연결기 기름을 축 끝으로부터 약 1/8인치 (3.1mm)정도 떨어진 곳에서 트랜스액슬로
꺼꾸로 진행하며 (축의 끝에서 멀리 떨어진), 회전 입력 축 시동에 균일하게 적용한다 (18-
13페이지 그림 18-15).
2.4 기름을 약 3/8인치 (9.5mm) 너비로 홈에 균일하게 분배시킨다.
2.5 일자형 드라이버를 사용해서 한 홈에서 기름을 청소하고 모터가 입력 축으로 밀어질 때
공기가 나가도록 한다.

18-12
18
그림 18-14 퍼티용 칼 위의 기름 그림 18-15 입력 축 홈의 기름 적용

2.6 둥근 홈 (1)과 입력 축의 끝 (2)을 점검해서 (18-13페이지, 그림 18-16)에서 보여준


것처럼 이 구역이 완전히 기름이 제거되었는지를 확인한다.
3. 주조된 범퍼를 설치한다.
3.1 연결기의 하부 쪽의 납작한 부분의 모터 연결기로 주조된 범퍼 (30)를 설치한다 (18-
8페이지, 그림 18-10) 다음 주목 참조.

주목: 모터 연결기와 새롭게 주조된 범퍼에는 기름과 잔여물이 없어야 한다.

3.2 설치된 범퍼가 연결기 하부에 잘 자리잡혀 있는지를 확인한다.

4. 트랜스 액슬에 모터를 설치한다.


4.1 트랜스 액슬 입력 축에 모터 연결기를 밀어 넣는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연결기는 트랜스액슬 쪽의 축을 따라서 있는 입력 축에 나머지 기름을 밀어 낼 것이다.


모터가 입력 축 위로 밀려지면, 모터 어댑터 링 (1)은 트랜스액슬 하우징 바닥에 닿지 않을
것이다 (18-8페이지, 그림 18-10). (18-8페이지, 그림 18-10)에서 보여준 것처럼, 모터
어댑터 링과 트랜스액슬 하우징 사이에는 약 1/16인치 (1.6mm)간격이 있다.

그림 18-16 둥근 홈과 입력 축 종단 청소 그림 18-17 모터와 트랜스 액슬의 틈

18-13
4.2 모터를 트랜스액슬에 고정하고 있는 4개의 모터 볼트와 와셔를 느슨하게 설치하되
조이지는 않는다.
4.3 (18-15페이지, 그림 18-19)에서 나타난 순서대로 볼트를 손으로 조이기 시작한다. 모터가
트랜스액슬 하우징에 자리잡을 때까지 손으로 계속 조인다. 다음 주의사항과 주목 참조.

주의

 모터가 트랜스액슬 하우징에 적절히 자리 잡았는지를 확인한다.

주목: 적절한 순서로 모터 설치 볼트를 설치하고 조이지 않으면 작동 중 모터 소음이 생길


수도 있다.

4.4 오른쪽 볼트 (1)를 65 in-lb (7.3 Nm)까지 조인다.


4.5 왼쪽 볼트 (2)를 65 in-lb (7.3 Nm)까지 조인다.
4.6 중앙 볼트 (3)를 65 in-lb (7.3 Nm)까지 조인다 (18-15페이지, 그림 18-19).
4.7 탭으로 삽입된 볼트 (24)는 155 in-lb (17.5 Nm)까지 조인다 (18-15페이지, 그림 18-18).
4.8 모터 전선이 올바른 모터 단자에 연결되었는지 그리고 단자 방향이 옳은지를 확인하면서
모터 전선을 설치한다. 11-2페이지, 배선 도식 참조 또는 12-2페이지 배선 도식 참조.
2개의 렌치를 사용해서 포스트가 돌아가지 않도록 하고, 단자 고정 너트를 65 in-lb (7.3
Nm)까지 조인다.
4.9 모터 전선들이 차량 작동 중, 모터나 트랜스액슬을 문지르지 않도록 전선 타이로 흰색,
오렌지색, 녹색, 청색 전선을 고정한다.
4.10 3-핀 속도 센서 플러그를 차량 전선 장치에 연결한다.
5. 체인 호이스트를 사용하면, 차량을 낮추고 엽편 스프링을 걸쇠로 가져간다. 바닥 잭을 사용하면,
엽편 스프링이 걸쇠로 유도될 수 있을 때까지 트랜스액슬을 올린다.
6. 스프링 차꼬와 엽편 스프링 아이의 부싱에 설치 볼트를 넣고 고정나사를 설치한다. 볼트는 23
ft-lb (31 Nm)까지 조인다. 섹션 9 –뒤쪽 서스팬션 참조.
7. 충격 흡수체를 설치한다. 너트를 고무 부싱이 컵 와셔 직경까지 확장될 때까지 조인다.
8. 제거되면, 바퀴를 설치하고 바퀴용 나사를 손으로 조인다.
9. 차량을 올리고 잭 스탠드를 제거한다. 바닥으로 차량을 내려 놓고 십자 형태로 바퀴용 나사를
55ft-lb (74.6 Nm)까지 조인다.
10.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로 두고 배터리를 연결하되 양극 (+) 케이블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 in-lb (12.4 Nm)까지 조이고 단자를 배터리 단자 보호 스프레이 (CCI P/N
1014305)로 코팅하여서 부식을 최소화한다.
11.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상태로 둔다.
12. 작동이 적절히 되는지 차량을 점검한다. 다음 경고 참조.

‼ 경고

 전진/후진 스위치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차량이 전진 방향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 전진/후진 스위치가 „후진‟ 위치에 있을 때, 차량이 후진 방향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전진/후진 스위치가 „후진‟ 상태에 있을 때, 후진 부저가 울리게 된다.
 전진/후진 스위치가 중립 상태에 있을 때, 차량이 작동하지 않는지를 확인한다.
18

18-14
그림 18-18 모터 설치 그림 18-19 모터 마운트

모터 속도 센서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모터 속도 센서 테스트
11-35페이지 테스트 절차 13 – 모터 속도 센서 참조
12-35페이지 테스트 절차 13 – 모터 속도 센서 참조

모터 속도 센서 분해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차량 전선장치에서 3-핀 연결기 (22)를 분리한다 (18-16페이지, 그림 18-20).
3. 드라이버를 사용해서 모터 종단 쉴드의 오목한 곳으로부터 모터 속도 센서 (21)를 살짝 들어
올린다.

모터 속도 센서 설치
1. 보여준 것처럼 모터 속도 센서 (21)의 위치를 정하고 모터 종단 쉴드로 속도 센서를 꾹 누른다.
센서는 모터와 같은 높이가 되도록 한다 (18-16페이지, 그림 18-20).
2. 3-핀 연결기 (22)를 차량 전선장치에 연결한다.
3.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로 두고 배터리를 연결하되 양극 (+) 케이블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 in-lb (12.4 Nm)까지 조이고 단자를 배터리 단자 보호 스프레이 (CCI P/N
1014305)로 코팅하여서 부식을 최소화한다.

18-15
그림 18-20 모터 속도 센서

18-16
섹션 19 – 모터 (모델 EJ4-4001)
!! 위험

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 경고

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일반 정보

차량에는 48볼트 DC, 분권, 후진 견인 모터가 장착되었다. 분권 모터는 IQ와 엑셀 시스템 차량에만
사용하도록 디자인되었다.. 클럽카는 모터가 큰 수리를 필요로 할 시 승인된 모터 수리 업체에게 보낼
것을 권장한다; 그러나, 전기 모터 수리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과 경험을 가진 기술자가 실행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단순한 전기 모터 수리들도 많이 있다.
모터 ID
이 전기 차량에는 2가지 유형의 모터가 사용된다: 모델 5BC59JBS6390 (회색 하우징)과 EJ4-4001
(흑색 하우징). 올바로 확인되지 않은 모터를 사용하려고 하지 말라. 모터를 올바로 확인할 수 없으면,
당신의 지역 클럽카 판매자나 납품업자에게 연락하라.

외부 모터 테스트

다음 테스트는 모터를 분해하지 않고 멀티미터나 연속성 테스터를 사용해서 실행할 수 있다.

주목: 분리 전에 정체확인을 위하여 모터 전선에 꼬리표를 부친다.

테스트 절차 1 – 내부 단선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2개의 렌치를 사용해서 모터의 단자에서 전선을 분리하여 포스트가 도는 것을 막는다.
3. 200옴으로 맞춰진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흑색 (-) 탐침을 모터 하우징에 둔다. 페인트로 긁어
보아 연결 상태가 좋은 지 확인한다. 적색 (+) 탐침을 각각 A1, A2, S1, S2 단자에 둔다.
멀티미터는 모터 하우징과 모든 개별 단자 사이에 연속성이 없음을 나타내야 한다. 수치가
틀리면, 차량에서 모터를 제거해야 하고, 유자격 기술자에 의해서 수리되어야 한다. 19-2페이지
모터 분해 참조.
3.1 A1 또는 A2 단자의 오류 수치는 3가지 잠재 문제점을 나타낸다: 접지된 A1 또는 A2 단자,
브러시 지역의 접지된 전선, 또는 접지된 전류계/정류기. S1 또는 S2 단자 수치 오류는 S1
또는 S2 단자나 전기장 코일이 접지 되었을 가능성을 나타낸다.
19

19-1
테스트 절차 2 – 전기자 회로 개방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2개의 렌치를 사용해서 모터의 A1과 A2 단자에서 전선을 분리하여 포스트가 도는 것을 막는다.
200옴으로 맞춰진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적색 (+) 탐침을 모터 A1 단자에 두고 흑색 (-)
탐침을 A2 단자에 둔다. 멀티미터는 연속성을 나타내야 한다. 수치가 틀리면, 브러시 조립체의
단자의 개방 전기장 코일이나 불량 연결 그리고/또는 개방 전기자 와인딩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모터는 차량에서 제거되어야 하고, 유자격 기술자에 의해서 수리되어야 한다. 19-2페이지
모터 분해 참조.

테스트 절차 3 – 전기장 회로 개방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2개의 렌치를 사용해서 모터의 S1과 S2 단자에서 전선을 분리하여 포스트가 도는 것을 막는다.
200옴으로 맞춰진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적색 (+) 탐침을 모터 S1 단자에 두고 흑색 (-)
탐침을 S2 단자에 둔다. 멀티미터는 연속성을 나타내야 한다. 수치가 틀리면, 단자의 개방
전기장 코일이나 불량 연결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모터는 차량에서 제거되어야 하고, 유자격
기술자에 의해서 수리되어야 한다. 19-2페이지 모터 분해 참조.

모터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모터 제거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2개의 렌치를 사용해서 단자에서 전선을 분리하여 포스트가 도는 것을 막는다. 적절한 재
연결을 위하여 전선에 표시한다.
3. 양 뒤쪽 바퀴의 모든 바퀴용 너트를 약간 푼다.
4. 트랜스액슬 아래에 바닥 잭을 두고 차량 뒤쪽을 올린다 (19-3페이지 그림 19-1). 그런 다음,
각 뒤쪽 바퀴의 바로 앞쪽에 있는 스프링 장착부와 측면 수평재 사이에 있는 프레임 크로스멤버
아래에 잭 스탠드를 둔다. 차량을 낮추어 잭 스탠드가 차량을 지지하도록 한다 (19-3페이지,
그림 19-2). 다음 경고 참조.

!! 경고

 한 번에 차량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 최소 1000lb (454kg) 리프팅 용량을 가진 적절한


리프팅 장치 (체인 호이스트 또는 유압식 플로어 잭)를 사용한다. 리프팅 장치는 차량을
올려진 위치에서 잡고 있는데 사용하지 않는다. 차량을 지지하고 바닥에 바퀴가 잘
고정되어 있도록 적절한 무게 용량의 승인된 잭 스탠드를 사용한다. 바퀴의 움직임을
필요로 하지 않는 테스트나 정비 절차를 실행할 때는 브레이크를 잠근다.

19-2
그림 19-1 바닥 잭으로 차량 들어 올림 그림 19-2 잭 스텐드에 지탱된 차량

5. 양 뒤쪽 바퀴를 제거한다.
6. 충격 흡수체의 하부 쪽에서 너트, 컵 와셔, 부싱을 제거한다. 충격 흡수체를 눌러서 (위쪽으로
민다) 바깥쪽으로 움직인다 (19-3페이지 그림 19-3).
7. 뒤쪽 엽편 스프링을 족쇄에 고정하고 있는 너트와 볼트를 제거한다.
8. 모터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될 수 있는 한 트랜스액슬을 낮춘다. 공간이 더
필요하면, 트랜스액슬 밑의 잭을 제거하고 스프링이 바닥에 닿도록 한다 (19-3페이지, 그림
19-3).
19

그림 19-3 하부 액슬

9. 모터를 트랜스 액슬에 고정하는 4개의 볼트를 제거한다 (19-15페이지, 그림 19-24). 다음 주의


참조.

주의

 9단계에서 입력 축에 모터를 밀어 넣을 때 모터 아래에 손가락을 두지 말라. 모터 분해


시 손가락이 끼일 수 있다.

10. 모터 제동 쐐기가 입력 축에서 분리될 때까지 모터를 조심스럽게 트랜스액슬에서 잡아 빼어


차량에서 모터를 제거한다.

19-3
그림 19-4 속도 센서 자석 그림 19-5 종단 캡 그림

모터 분해
1. 분해를 시작하기 전, 모터 종단 캡과 모터 프레임에 매치 마크를 한다.
2. 속도 센서와 자석을 제거한다.
2.1 속도 센서 (10)를 종단 캡 (11)에 고정하고 있는 2개의 나사 (25)를 제거한다 (19-10페이지,
그림 19-15).
2.2 전기자 축에 자석을 고정하는 나사를 제거한다 (19-4페이지, 그림 19-4).
2.3 속도 센서 자석을 점검한다. 19-9페이지 속도 센서 자석 점검 참조.
3. 모터 프레임에 종단 캡을 고정하는 2개의 나사를 풀되 제거하지는 않는다 (19-4페이지, 그림 19-
5).

19-6 종단 캡 분해 그림 19-7 종단 캡 제거

4. 모터를 돌려서 전기자의 키 홈 종단을 아래로 향하게 한다.


5. 종단 캡이 모터 프레임과 만나는 구역을 점검한다. 종단 캡이 모터 프레임과 연결되는 곳이
느슨해져 있으면, 6단계로 간다; 그렇지 않으면, 다음 단계를 이용하여 모터 프레임으로부터
종단 캡을 분리한다:
5.1 종단 캡 볼트를 풀고 (종단 캡과 볼트 머리 사이에 약 1/4인치), 볼트 머리에 소켓을 둔다.
다음 주의 참조.

19-4
주의

 진행하기 전 종단 캡 볼트의 충분한 나사선 결합이 있음을 확인한다. 적절한 결합 없이


절차를 실행하는 것은 모터 프레임, 종단 캡, 또는 종단 캡 볼트에 손상을 줄 수 있다.

5.2 종단 캡과 모터 프레임이 분리될 때까지 캡과 프레임의 볼트를 교대로 가볍게 두드린다


(19-4페이지, 그림 19-6).
6. 2개의 종단 캡 볼트를 제거한다.
7. 모터 프레임에서 종단 캡과 전기자를 제거한다 (19-4페이지, 그림 19-7).
8. 브러시 스프링이 적절한 장력을 가지는 지를 점검한다. 19-8페이지 모터 브러시, 스프링 및 단자
단열제 점검 참조.
9. 종단 캡 베어링에서 전기자를 제거한다. 다음 주의 및 주목 참조.

주의

 종단 캡에서 전기자를 제거하려면 두 사람이 필요하다: 한 사람은 압축기를 작동하고


다른 사람은 전기자를 잡고 있는다. 이 주의사항을 숙지하지 않으면 인적 손상
그리고/또는 종단 캡 베어링에서 분리된 후 지탱되지 않은 전기자가 떨어지게 됨으로써
전기자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주목: 전기자가 제거될 때 종단 캡 베어링 교체가 권장된다.

9.1 밑으로 향한 전기자로 압축기에 종단 캡을 둔다.


9.2 프레스 램과 전기자 축 사이에 전기자 축의 것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베어링 프레스
기구를 둔다 (19-6페이지, 그림 19-8)
9.3 프레스가 작동하는 동안 전기자를 지탱하기 위하여 보조가 필요하다.
10. 전기자에 마멸과 손상이 있는지 점검한다. 19-6페이지 전기자 점검과 테스트 참조.
11. 모터 프레임과 전기장 와인딩을 점검한다. 19-8페이지 모터 프레임과 전기장 와인딩 참조.
12. 브러시 리깅을 제거한다.
12.1 브러시 단자 포스트 (A1과 A2)를 표시한다.
12.2 브러시 단자 (A1과 A2)를 종단 캡에 고정시키는 2개의 너트를 제거한다 (19-6페이지, 그림
19-9).
12.3 종단 캡의 2개의 나사와 브러시 리깅을 제거한다 (19-6페이지, 그림 19-10).
13. 단자 단열제를 점검한다. 19-9페이지 단자 단열재 점검 참조.
14. 종단 캡에서 베어링을 제거한다.
14.1 종단 캡의 베어링을 고정하는 고정 링을 제거한다 (19-6페이지, 그림 19-11).
14.2 축 프레스를 사용하여 종단 캡에서 베어링을 제거한다.
15. 베어링에 마멸과 손상이 없는지 점검한다. 19-9페이지 베어링 점검 참조.
19

19-5
그림 19-8 전기자 분해 그림 19-9 A1과 A2 단자

그림 19-10 브러시 리깅 그림 19-11 베어링 고정 링

모터 구성 요소 테스트 및 점검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전기자 점검 및 테스트
1. 차량에서 모터를 제거한다. 19-2페이지 모터 분해 참조.
2. 19-4페이지 모터 분해의 1~7단계를 수행하여 종단 캡과 전기자를 제거한다.

육안 점검
모터를 분해해서 다음 특징에 대하여 전기자를 주의 깊게 점검한다:
 타거나, 검게 그슬리거나, 금이 간 절연체
 부적절한 광택제
 떨어진 용접
 벌어진 전기자 와인딩
 손상된 전기자 코어 박판

19-6
 마멸, 불에 탄 또는 윤이 나는 전환기
 오염 또는 기름기가 많은 전환기
 올려진 전환기 막대기
 닳은 전기자 베어링 또는 축

오염 또는 기름기가 많은 전환기는 청소하고 물기를 닦아내야 한다. 점검 중 확인된 문제점들은 고장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전환기가 약간 거친 것은 400번 또는 더 가는 사포로
부드럽게 갈 수 있다. 다음 주의와 주목 참조.

주의

 금강사를 사용해서 전환기를 닦지 말라. 금강사의 입자는 전도 성이어서 전환기 봉을


단선할 수도 있다. 전환기나 브러시에 오일이나 윤활제를 사용하지 말라.

주목: 전환기의 오일은 트랜스액슬 입력 축 오일 밀봉에 부적절할 수도 있다.

전기자 접지 테스트

주의

 용매에 전기자를 담그지 말라.

주목: 전기자를 테스트 하기 전에, 깨끗한 천으로 전기자를 깨끗이 닦아낸다. 전환기 바 사이의
탄소 먼지와 금속 입자를 제거한다.

1. 200옴으로 맞춰진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하나의 탐침을 전환기 (1)에 두고 다른 것을 전기자


코어 (2)에 둔다. 멀티미터는 연속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18-6페이지 그림 18-7). 표시가
틀리면, 전기자를 교체한다.

그림 19-12 전기자 테스트

19-7
모터 프레임 및 전기장 와인딩 점검
1. 모터를 차량에서 제거한다. 19-2페이지 모터 제거 참조.
2. 19-4페이지 모터 분해의 1~7단계를 실행하여 종단 캡과 전기자를 제거한다.
3. 전기장 와인딩에 있는 단열제가 탔거나 그을렸다는 것은 과부하 또는 접지, 단선 코일
와인딩으로 인하여 과열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기장 와인딩의 단열제가 그을렸으면, 모터나
고정 외관 조립체를 교체한다.

모터 브러시, 스프링 및 단자 단열제 점검


브러시 스프링 장력 테스트
1. 차량에서 모터를 제거한다. 19-2페이지 모터 제거 참조.
2. 19-4페이지 모터 분해의 1~7단계를 실행하여 종단 캡과 전기자를 제거한다.
3. 브러시 스프링 (14)을 점검한다 (19-10페이지, 그림 19-15). 열 (밝은 금색 또는 연한 청색)로
인해 변색된 스프링은 교체한다.
4. 브러시 스프링이 적절한 장력을 가지고 있는지 테스트한다.
4.1 저울에 C 모양의 강철 판을 둔다.
4.2 (19-9페이지, 그림 19-13)에서 보여준 것처럼 스프링과 브러시 사이에 C 모양 판의 끝을
둔다.
4.3 저울을 살짝 잡아 당겨서 스프링 장력 수치를 얻는다. 다음 주의 참조.

주의

 브러시 스프링 장력을 점검할 때, 스프링을 너무 많이 늘리지 말라. 힘을 심하게


사용하면 스프링을 손상시킨다.

4.4 35 온스 (990 그램)이하의 힘을 가진 스프링은 교체한다 (19-9페이지, 그림 19-13). 다음


주목 참조.

주목: 새로운 브러시를 설치할 때, 한 번에 브러시를 제거하고 교체한다. 이 방법은 단자와


브러시가 리깅에 적절히 자리를 잡도록 한다. 브러시 설치를 위한 모터 조립체 참조. 19-
11페이지 모터 조립체 참조. 브러시를 교체할 때, 4개 브러시 모두를 교체한다. 절대
2개만 교체하지 마시오. 서로 180° 떨어진 같은 리깅에 브러시를 설치한다.

브러시 점검
1. 차량에서 모터를 제거한다. 19-2페이지 모터 제거 참조.
2. 19-4페이지 모터 분해의 1~7단계를 실행하여 종단 캡과 전기자를 제거한다.
3. 브러시 (13)에 손상이나 심한 마멸이 있는지를 점검한다 (19-10페이지, 그림 19-15). 필요하면
브러시를 교체한다. 이전의 주목 참조.
4. 다이얼 캘리퍼스나 마이크로 미터를 사용하여 브러시 길이를 측정한다. 브러시의 허용 최소
길이는 0.62인치 (16 mm)이다. 필요하면 브러시 세트를 교체한다. 이전 주목 참조.
19

19-8
단자 단열재 점검
1. 차량에서 모터를 제거한다. 19-2페이지 모터 제거 참조.
2. 19-4페이지 모터 분해의 1~12단계를 실행하여 단자 단열재를 제거한다.
3. 단열재 (4와 6)에 깨짐이나 다른 손상이 없는지를 점검한다 (19-10페이지, 그림 19-15).
필요하면 단열재를 교체한다.

베어링 점검

주목: 종단 캡이 모터에서 제거되었으면, 종단 캡 베어링 교체를 적극 추천한다. 다음 절차는 일반


베어링 장애를 판단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이다.

1. 차량에서 모터를 제거한다. 19-2페이지 모터 제거 참조.


2. 19-4페이지 모터 분해의 1~14단계를 실행하여 베어링을 제거한다.
3. 깨끗한 천으로 베어링의 탄소 먼지를 닦아낸다. 손으로 돌려서 베어링을 점검하고 축 (A)과
방사 (B) 플레이를 체크한다 (19-9페이지 그림 19-14).
4. 소음이 있거나 부드럽게 돌아가지 않거나 과다한 작동이 있으면, 베어링을 교체한다.
녹슬었거나, 마멸되었거나, 깨졌거나, 베어링의 금속에 비정상적인 색깔 변화가 있으면,
베어링을 점검하고 교체한다.

그림 19-13 브러시 스프링 장력 테스트 그림 19-14 베어링 점검

속도 센서 자석 점검
속도 센서 자석 (24)에 녹, 마멸, 깨짐이 있는지를 점검한다 (19-10페이지, 그림 19-15). 필요하면 자석을
교체한다.

19-9
그림 19-15 모터

19-10
모터 리컨디셔닝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모터 리컨디셔닝은 유자격 모터 수리 기술자가 해야 한다. 적절한 도구와 절차의 사용은 성공적인 모터


리컨디셔닝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수적인 것이다.

모터 사양
재 작업은 유자격 기술자가 해야 한다. 모터 서비스 사양은 다음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다.

항목 서비스 한계

(최소) 전환기 직경 2.80 인치 (71.10 mm)


내부 전기자 축과 동원인 전환기 0.003 인치 (0.08 mm)
봉과 봉의 소모 한계 0.005 인치 (0.013 mm)
마디 절연기의 하부 절단이 0.016 인치 (0.406 0.040 인치 (1.0 mm)
mm)이면 하부 절단의 길이는
75 °F (24 °C) 에서 전기자의 저항 1번과 15번 봉 간 0.012 옴
75 °F (24 °C) 에서 전기장 코일 저항 1.75 옴

모터 조립체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1. 베어링을 교체한다.
1.1. 축 프레스를 사용해서 종단 캡에 새로운 베어링을 설치한다. 베어링 손상을 피하기 위하여,
베어링 설치 시 바깥쪽 마찰 면에만 압력을 적용한다.
1.2. 고정 링을 설치하여 베어링을 고정한다 (19-6페이지, 그림 19-11).
2. 브러시와 브러시 리깅을 설치한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새로운 브러시를 설치할 때, 한 번에 브러시를 제거하고 교체한다. 이 방법은 단자와


브러시가 적절하게 리깅에 배치되도록 한다. 브러시를 교체할 때, 4개의 브러시 모두를
교체한다. 절대 2개만 교체하지 않는다. 리깅에 서로 180° 떨어지게 브러시를 설치한다.

2.1.(19-12페이지, 그림 19-16)에서처럼 브러시를 브러시 리깅에 삽입한다.


2.2.A1과 A2 위치의 종단 캡 (11) 벽에 있는 단열재 (4)에 2개의 단자 포스트를 집어 넣는다
(19-10페이지, 그림 19-15).
2.3.각 단자 포스트에 외부 단열재 (5)와 와셔 (6)를 두고 너트 (7)로 단자를 고정한다. 너트
(7)를 100 in-lb (11.3 Nm)까지 조인다. 단자 포스트가 너트를 조일 때 돌아가지 않는지를
확인한다 (19-10페이지, 그림 19-15).
2.4.2개의 나사로 브러시 리깅을 종단 캡에 고정시킨다. 나사는 25 in-lb (2.8 Nm)까지 조인다
(19-6페이지, 그림 19-10).
19

19-11
그림 19-16 브러시 리깅 그림 19-17 뒤로 밀려난 브러시

그림 19-18 전기자 설치 그림 19-19 브러시 셋팅

2.5. 한 번에 하나씩, 브러시 설치 슬롯으로 완전히 들어갈 때까지 브러시를 뒤로 밀고 스프링


압력은 (19-12페이지, 그림 19-17) 에서처럼 뒤로 밀려난 위치에서 그들을 고정한다.
3. 뒤에 있는 브러시로, 축 프레스를 사용하여 종단 캡 베어링으로 전기자 축을 누른다 (19-
12페이지, 그림 19-18). 다음 주의 참조.

주의

 브러시가 뒤에 고정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브러시가 정류기의 무게를 지탱하지 않도록


하라. 브러시는 이런 무게로 쉽게 손상될 수 있다.

4. (19-12페이지, 그림 19-19) 에서처럼, 각 브러시 끝에 스프링이 있을 때까지 작은 드라이버로


각 브러시를 가볍게 누른다.
5. 종단 캡과 모터 프레임 (1)의 매치 마크를 맞추고 2개의 볼트 (16)로 고정시킨다. 볼트는 130
in-lb (14.7 Nm)까지 조인다.
6. 나사 (23)로 속도 센서 자석 (24)을 설치한다. 65 in-lb (7.3 Nm)까지 조인다.
7. 나사 (25)로 속도 센서 (10)를 설치한다. 25 in-lb (2.8 Nm)까지 조인다.
8. 전기자가 자유롭게 돌아가는지를 확인한다. 자유롭게 돌아가지 않으면, 모터를 분해하여
문제점을 찾는다.

19-12
모터 설치

1-1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참조.

1. 트랜스액슬 입력 축을 청소한다.
1.1 CRC Brakleen 또는 동급의 브레이크 클리너 유지 제거제로 입력 축을 철저하게 스프레이
한다.
1.2 입력 축을 깨끗한 천으로 닦아낸다.
1.3 입력 축 홈을 점검하고 남아 있는 찌꺼기들은 제거한다.
1.4 입력 축이 깨끗해질 때까지 1.1단계에서 1.3단계를 반복한다.
2. 트랜스액슬 축에 윤활제를 바른다.
2.1 (19-13페이지 그림 19-20)에서 보여준 것처럼 퍼티용 칼에 튜브에서 약 1/2인치 (1.3cm)
정도 몰리 테플론 윤활제 (CCI P/N 102243403)를 짠다.
2.2 바퀴를 돌려서 입력 축을 돌아가게 한다.
2.3 모터 연결기 기름을 축 끝으로부터 약 1/8인치 (3.1mm)정도 떨어진 곳에서 트랜스액슬로
꺼꾸로 진행하며 (축의 끝에서 멀리 떨어진), 회전 입력 축 시동에 균일하게 적용한다 (19-
13페이지 그림 19-21).
2.4 기름을 약 3/8인치 (9.5mm) 너비로 홈에 균일하게 분배시킨다.
2.5 일자형 드라이버를 사용해서 한 홈에서 기름을 청소하고 모터가 입력 축으로 밀어질 때
공기가 나가도록 한다.

그림 19-20 퍼티용 칼 위의 기름 그림 19-21 입력 축 홈에 기름 적용

2.6 둥근 홈 (1)과 입력 축의 끝 (2)을 점검해서 (19-14페이지, 그림 19-22)에서 보여준


것처럼 이 구역이 완전히 기름이 제거되었는지를 확인한다.
2. 주조된 범퍼를 설치한다.
3.1.연결기의 하부 쪽의 납작한 부분의 모터 연결기로 주조된 범퍼 (30)를 설치한다 (19-
10페이지, 그림 19-15) 다음 주목 참조.

주목: 모터 연결기와 새롭게 주조된 범퍼에는 기름과 잔여물이 없어야 한다.

3.2.설치된 범퍼가 연결기 하부에 잘 자리잡혀 있는지를 확인한다.

19

19-13
4. 트랜스 액슬에 모터를 설치한다.
4.1.트랜스 액슬 입력 축에 모터 연결기를 밀어 넣는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연결기는 트랜스액슬 쪽의 축을 따라서 있는 입력 축에 나머지 기름을 밀어 낼 것이다.


모터가 입력 축 위로 밀려지면, 모터 하우징은 트랜스액슬 하우징 바닥에 닿지 않을 것이다
(19-10페이지, 그림 19-15). (19-14페이지, 그림 19-23)에서 보여준 것처럼, 모터 어댑터
링과 트랜스액슬 하우징 사이에는 약 1/16인치 (1.6mm)간격이 있다.

그림 19-22 둥근 홈 및 입력 축 종단 청소 그림 19-23 모터와 트랜스액슬의 간격

4.2.모터를 트랜스액슬에 고정하고 있는 4개의 모터 볼트를 느슨하게 설치한다. 조이지는


않는다.
4.3.(19-15페이지, 그림 19-24)에서 나타난 순서대로 볼트 (1과 2)를 손으로 조이기 시작한다.
모터가 트랜스액슬 하우징에 자리잡을 때까지 손으로 계속 조인다. 다음 주의사항과 주목
참조.

주의

 모터가 트랜스액슬 하우징에 적절히 자리 잡았는지를 확인한다.

주목: 적절한 순서로 모터 설치 볼트를 설치하고 조이지 않으면 작동 중 모터 소음이 생길 수도


있다.

4.4.오른쪽 볼트 (1)를 65 in-lb (7.3 Nm)까지 조인다.


4.5.왼쪽 볼트 (2)를 65 in-lb (7.3 Nm)까지 조인다.
4.6.중앙 볼트 (3)를 65 in-lb (7.3 Nm)까지 조인다 (19-15페이지, 그림 19-24).
4.7.L-지지대에 삽입된 볼트 (4)를 155 in-lb (17.5 Nm)까지 조인다 (19-15페이지, 그림 19-
24).
4.8.모터 전선이 올바른 모터 단자에 연결되었는지 그리고 단자 방향이 옳은지를 확인하면서
모터 전선을 설치한다. 11-2페이지, 배선 도식 참조 또는 12-2페이지 배선 도식 참조. 단자
고정 너트를 65 in-lb (7.3 Nm)까지 조인다.
4.9.모터 전선들이 차량 작동 중, 모터나 트랜스액슬을 문지르지 않도록 전선 타이로 흰색,
오렌지색, 녹색, 청색 전선을 고정한다.
4.10. 3-핀 속도 센서 전선을 차량 전선 장치에 연결한다.
5. 체인 호이스트를 사용하면, 차량을 낮추고 엽편 스프링을 걸쇠로 가져간다. 바닥 잭을 사용하면,
엽편 스프링이 걸쇠로 유도될 수 있을 때까지 트랜스액슬을 올린다.

19

19-14
6. 스프링 차꼬와 엽편 스프링 아이의 부싱에 설치 볼트를 넣고 고정나사를 설치한다. 볼트는 23
ft-lb (31 Nm)까지 조인다. 섹션 9 –뒤쪽 서스팬션 참조.
7. 충격 흡수체를 설치한다. 너트를 고무 부싱이 컵 와셔 직경까지 확장될 때까지 조인다.
8. 제거되면, 바퀴를 설치하고 바퀴용 나사를 손으로 조인다.
9. 차량을 올리고 잭 스탠드를 제거한다. 바닥으로 차량을 내려 놓고 십자 형태로 바퀴용 나사를
55ft-lb (74.6 Nm)까지 조인다.
10. 견인/주행 스위치를 „견인‟ 상태로 두고 배터리를 연결하되 양극 (+) 케이블 먼저 연결한다.
배터리 단자를 110 in-lb (12.4 Nm)까지 조이고 단자를 배터리 단자 보호 스프레이 (CCI P/N
1014305)로 코팅하여서 부식을 최소화한다.
11. 견인/주행 스위치를 „주행‟ 상태로 둔다.
12. 작동이 적절히 되는지 차량을 점검한다. 다음 경고 참조.

‼ 경고

 전진/후진 스위치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차량이 전진 방향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 전진/후진 스위치가 „후진‟ 위치에 있을 때, 차량이 후진 방향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전진/후진 스위치가 „후진‟ 상태에 있을 때, 후진 부저가 울리게 된다.
 전진/후진 스위치가 중립 상태에 있을 때, 차량이 작동하지 않는지를 확인한다.

그림 19-24 모터 설치

19-15
섹션 20 – 트랜스액슬 (G 유형)
!! 위험

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 참조

!! 경고

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 참조

윤활

섹션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 참조.

트랜스액슬 하우징의 아래쪽에 2개의 플러그가 위치해 있다. 위쪽 플러그 (21) (차량이 지면에 있을 때
보이는 것처럼)는 윤활유 레벨 표시기로서 사용된다 (그림 20-5, 20-3페이지). 차량이 지면에
주차되었을 때, 윤활유 레벨은 구멍의 바닥에 있어야 한다. 하단 플러그 (22)는 윤활유 배수가 목적이다.
윤활유 배수 시, 윤활유가 더 빨리 배수될 수 있도록 위쪽 플러그를 제거한다. 윤활유를 추가하기 전에
배수 플러그를 설치하도록 한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지역, 주, 연방 법규에 따라 사용된 오일이나 윤활유를 재활용하거나 폐기한다.

액슬 베어링 및 축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 참조.

액슬 축
액슬 축 및 오일 봉합 제거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앞 바퀴에 굄목을 괴어 놓고, 뒤 바퀴의 바퀴용 너트를 풀되 제거하지는 않고, 체인 호이스트나
바닥 잭으로 차량 뒤를 들어 올린다. 차량을 지지하도록 축 튜브아래에 잭 스탠드를 놓는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를 참조하라.
3. 뒤 바퀴와 브레이크 드럼을 제거한다. 섹션 6 – 바퀴 브레이크 조립체 및 섹션 8 – 바퀴와
타이어 참조.
4. 90° 내부 스냅 링 펜치를 사용해서 액슬 튜브로부터 내부 고정 링 (6)을 제거한다 (20-3페이지
그림 20-5). 20-페이지 그림 20-1 참조.
5. 하우징에서 액슬을 똑바로 잡아당겨서 액슬, 고정 링, 베어링 조립체를 제거한다.
6. 필요 시, 액슬 오일 씰과 어댑터 링을 제거한다.
6.1 베어링 풀러 (CCI P/N 1016417)을 사용해서 액슬 튜브로부터 액슬 씰과 어댑터 링을
제거한다 (20-2페이지 그림 20-2). 다음 주의와 주목 참조.

주의

 오일 씰과 어댑터 링을 제거할 때, 튜브 표면 안쪽에 상처를 내거나 손상시키지 않도록 한다.


손상된 튜브는 교체해야 할 수도 있다.

20-1
주목: 어댑터 링을 버리지 말라. 어댑터 링을 잃어버리거나 손상되면, 액슬 튜브를 교체해야 한다.
뒤쪽 액슬 구조를 변경할 수 있도록 차량 구조가 되어 있다. 만약 액슬 튜브를 교체해야
한다면 적합성을 위해 개별 액슬 튜브 길이를 유의하라.

6.2 프래스를 사용하여 어댑터 링 (39)으로부터 액슬 오일 씰 (15)을 분리한다 (20-2페이지


그림 20-3). 어댑터 링은 간직하고, 오일 씰은 버린다.
7. 액슬 축 조립체를 점검하여 베어링과 고리가 미끄러지지 않고 액슬 축의 숄더에 잘 자리잡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8. 베어링 (5)을 점검한다 (그림 20-5, 20-3페이지). G 유형 트랜스액슬의 베어링이 마멸되었거나
손상되었으면, 전체 액슬 축 조립체 (1 또는 2)를 교체해야 한다.

그림 20-1 액슬 튜브 그림 20-2 액슬 씰과 어댑터 링 제거

그림 20-3 액슬 씰 및 어댑터 링 그림 20-4 액슬 씰 및 어댑터 링 설치


A. 어댑터 링 립

20-2
그림 20-5 트랜스액슬 – G 유형 20

20-3
액슬 축과 오일 씰 설치
1. 앞에서 씰이 제거되었으면, 새로운 오일 씰을 설치한다.
1.1 어댑터 링 (39)의 씰 자리를 깨끗이 한다 (20-2페이지 그림 20-3)
1.2 어댑터 링 립 쪽으로 바라보고 있는 씰 립이 있는 어댑터 링에 새로운 씰 (15)을 둔다
(그림 20-3, 20-2페이지). 액슬 씰 기구 (CCI P/N 1014162)와 망치를 사용해서 자리에
단단히 안착될 때까지 두드린다 (그림 20-3, 20-2페이지). 유압 프레스도 액슬 씰 기구로
사용될 수도 있다.
1.3 액슬 튜브 (14 또는 35)의 어댑터 링 자리(들)를 깨끗이 한다 (20-3페이지 그림 20-5).
1.4 록타이트 603을 어댑터 링의 외부 직경에 가한다.
1.5 오일 씰과 어댑터 링 조립체를 베어링 반대쪽으로 향하고 있는 씰 립이 있는 액슬 튜브에
둔다 (20-2페이지 그림 20-4). 액슬 씰 기구 (CCI P/N 1014162)와 망치를 사용해서
자리에 단단히 안착될 때까지 두드린다. 다음 주의사항 참조.

주의

 액슬 축 설치에 앞서, 액슬 축의 노출된 끝과 오일 씰 구역에 남아있는 오일을 없애서


오일이 브레이크와 닿지 않도록 한다.

2. 뒤쪽 액슬을 트랜스액슬에 설치한다. 다음 주목 참조.


2.1 씰을 통과해서 축 튜브로 축을 집어넣되 키 홈이 있는 끝을 먼저 한다. 액슬 튜브 허브
안쪽의 씰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주의한다. 축의 베어링으로 축을 통해 밀어넣고, 그런 다음,
축을 돌려서 차동장치 사이드 기어 (27)의 키 홈 구멍과 축 쐐기를 맞춘다 (20-3페이지
그림20-5). 축의 베어링이 액슬 튜브 허브 자리 안에 단단히 자리 잡을 때까지 축을 계속
밀어 넣는다.
2.2 한 쌍의 스냅 링 펜치를 사용해서 액슬 베어링 조립체와 액슬 튜브 허브 안쪽 벽의 홈으로
잘 자리 잡도록 액슬 튜브 허브 내 고정 링 (6)을 설치한다 (20-3페이지 그림 20-5).

주목: 고정 링 (6), 액슬 베어링 (5), 또는 슬리브 (4)를 교체해야 한다면, 전체 액슬 축 조립체를


교체해야 한다.

2.3 직경이 1/4~3/8인치 (6~10 mm)인 로드를 고정 링에 두고 고정 링 주위 4~5곳을 가볍게


두드려 적절히 안착되도록 한다. 다음 경고 참조

‼ 경고

 고정 링이 홈에 잘 자리잡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링이 잘 설치되어있지 않으면, 액슬


조립체는 트랜스액슬에서 분리될 것이고 액슬 조립체와 다른 구성 요소를 손상시킬 것이다.
심각한 인적 상해나 사망을 일으키는 차량 조정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3. 새로운 오일 씰이 설치되면, 차량을 작동하기 24시간 전 록타이트 603이 완전히 경화되도록
둔다.

액슬 베어링
G 유형 트랜스액슬에서 액슬 베어링 (5)을 제거하지 말라. 베어링이 마멸되었거나 손상되었으면, 전체
액슬 축 조립체 (1 또는 2)를 교체해야 한다 (20-3페이지 그림 20-5).

20-4
트랜스액슬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 참조.

트랜스액슬 제거
1. 지시된 대로,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의 “무의식적으로 시동 켜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참조
2. 굄목을 앞 바퀴에 두고 양 뒤쪽 바퀴의 바퀴용 나사를 약간 푼다. 1-2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를 참조하라
3. 트랜스액슬 아래에 바닥 잭을 두고 차량 뒤쪽을 올린다. 앞쪽 서스펜션의 바로 뒤 차량
프레임의 알루미늄 레일 아래에 잭 스탠드를 세우고, 잭 스탠드가 차량을 지지하도록 차량을
낮춘다. (20-5페이지 그림 20-6). 1-2페이지, 일반 경고사항 “차량의 한 쪽 끝만 들어
올린다…” 참조.
4. 뒤 바퀴를 제거한 다음, 각 뒤쪽 바퀴 허브의 스터드 위에 바퀴용 나사를 집어 넣는다. 이로써
허브 위에 브레이크 드럼이 고정될 것이다.
5. 나비넥타이 핀 (1), 브레이크 케이블 클레비스 핀 (3) 을 제거한다. 도구(CCI P/N 102555501)
를 사용하여 케이블 종단의 슴배를 누르고 케이블 종단을 브레킷(4)에서 제거한다 (그림 20-7,
20-5페이지).

그림 20-6 잭 스탠드에 지지된 차량 그림 20-7 브레이크 케이블

그림 20-8 충격 분리 그림 20-9 차꼬

20-5
6. 하부 마운트에서 충격 흡수체를 분리한다 (20-5페이지 그림 20-8).
7. 4개의 모터 전선을 분리한다. 2개의 렌치를 사용해서 포스트가 돌아가는 것을 막는다.
8. 바닥 잭으로 트랜스액슬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하부 스프링 차꼬 너트와 볼트를 제거한다.
스프링이 거슬리지 않도록 차꼬의 위치를 맞춘다 (20-5페이지 그림 20-9).
9. 체인 호이스트로 차를 올렸다면, 차량을 충분히 높이 올려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모터
제거를 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한다. 바닥 잭으로 차량을 들어올렸다면, 트랜스액슬을 충분히
낮춰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모터 제거를 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한다.
10. 3개의 모터 설치 볼트 (20-6페이지 그림 20-11)와 모터를 트랜스액슬에 고정하는 모터
자리매김 볼트 (20-7페이지 그림 20-12)를 제거한다. 다음 주의 참조.

‼ 주의

 입력 축으로 모터를 밀어 넣을 때, 모터 밑에 손가락을 두지 말라. 모터 분리 시, 손가락이


끼일 수가 있다.

그림 20-10 엽편 스프링 그림 20-11 모터 마운트 볼트


1. 프레시덴트 2. 빌리져

11. 모터를 트랜스액슬에서 조심스럽게 제거한다. 모터 쐐기가 입력 축으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트랜스액슬에서 밀어 낸 다음, 모터를 들어 올린다. 바로 앞의 경고사항 참조.
12. 바닥 잭이 사용되었다면, 트랜스액슬 아래로부터 바닥 잭을 잡아 당겨 스프링이 바닥에 닿도록
한다.
13. 트랜스액슬을 엽편 스프링에 부착시키는 U-볼트를 제거한다 (20-6페이지 그림 20-10).
14. 트랜스액슬의 각 끝을 위치 고정 핀 (엽편 스프링상의)으로부터 조심해서 들어 올리고
트랜스액슬을 뒤쪽으로 그리고 차량 바깥쪽으로 밀어 넣는다.
15. 트랜스액슬의 윤활유를 배출시키고 액슬 축을 제거한다. 20-1페이지, 액슬 축과 오일 씰 제거
참조. 다음 주목 참조.

주목: 지방, 주, 국가 규정에 따라 사용된 오일이나 윤활제는 재활용하거나 폐기한다.

16. 필요 시, 브레이크 조립체를 제거한다. 6-10 페이지의 브레이크 클러스터 제거 참조.

20-6
그림 20-12 모터 위치 고정 볼트

트랜스액슬 분해, 검사, 및 조립체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 참조.

트랜스액슬 분해와 검사
1. 볼트 (8)를 제거하여 트랜스액슬 하우징에서 액슬 튜브 (14와 35)를 떼어 낸다. (20-3페이지
그림 20-5).
2. 하우징을 함께 고정하고 있는 11개의 볼트 (24)를 제거한다.
3. 하우징 (11과 20)의 반절을 잡아 당긴다. 필요하면, 입력 피니언 (17)의 쐐기 위를 가볍게
두드린다. 다음 주의 사항 참조.

주의

 반쪽을 분리할 때 주의하여, 하우징 봉합 표면을 손상하지 않는다.

4. 중간 기어 조립체 (19)를 흔들면서 기어를 잡아 당겨 입력 피니언 기어 (17)을 제거한다. 중간


기어 조립체와 차동장치 기어 케이스를 동시에 들어 올린다 (20-3페이지 그림 20-5).

주의

 기어를 손상하지 않는다. 기어는 만질 때도 각별히 조심한다.

5. 베어링 풀러나 아버 프레스를 이용하여 입력 피니언 기어에서 베어링 (16)을 제거한다. 오일 씰


(10)이 손상되었으면, 교체한다 (그림 20-5, 20-3페이지). 또한 그림 20-13, 20-8페이지 참조.
다음 주의사항 참조.

주의

 베어링을 분해한 후 재사용하지 않는다. 새것으로 베어링을 교체한다.

6. 중간 기어 조립체를 분리하기 위하여, 베어링 (16)과 기어 (19)를 같이 민다 (20-3페이지 그림


20-5). 또한 20-8페이지 그림 20-13 참조.

20-7
7. 베어링 (18)을 중간 기어 조립체로 민다 (20-3페이지 그림 20-5).

그림 20-13 중간 기어 조립체
1. 프레스 램 2. 굴대

8. 차동장치 기어 케이스 해체:


8.1. 차동장치 케이스로부터 육각 볼트 (33)와 링 기어(32)를 제거한다 (20-3페이지 그림
20-5).
8.2. 링 기어를 제거한다.
8.3. 차동장치 기어 케이스 하우징을 분리한다. 필요하면 2개의 육각 볼트 (8.1단계에서 앞서
제거된)를 차동장치 기어 장치에 설치하고, 작업 구역 약간 위쪽에 기어장치를
고정하면서, 볼트 헤드를 약하게 두드린다 (그림 20-14, 20-8페이지). 2개의 볼트를
제거한다.

그림 20-14 하우징 분리

8.4. 한 쪽에서 차동장치 기어 케이스에 핀을 밀어서 차동장치 핀 (31)을 제거한다 (20-


3페이지 그림 20-5). 또한 20-9페이지 그림 20-15 참조.
8.5. 유동바퀴 기어(1, 2) 와 추력 판을 제거한다 (3,4) (20-9페이지 그림 20-16).

20-8
그림 20-15 차동장치 핀 그림 20-16 좌 차동장치

8.6. 차동장치 기어 (5,6) 와 추력 판을 제거한다 (7,8).


8.7. 차동장치 케이스 (26)의 베어링 (13)을 검사하고 그것들이 손상되었다면, 교체한다
(20-3페이지 그림 20-5). 그것들을 밀어서 제거한다. 다음 주의사항 참조.

주의

 베어링을 분해한 후 그들을 재사용하지 말라. 새것으로 베어링을 교체하라.

9. 부품이 마멸되었는지 또는 손상되었는지를 점검한다. 마멸되었거나 손상된 부품들은 교체한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손상되었거나 마멸된 기어는 세트로 교체해야 한다.

트랜스액슬 조립체

주의

 베어링 바깥 레이스 쪽으로 누르지 말라.


 하우징 및 모든 부품들은 재 조립 전에 깨끗이 닦고 건조해야 한다.

1. 분해 동안 베어링 (13)이 제거되었다면, 아버 프레스를 사용해서 새 베어링을 설치한다 (그림


20-5, 20-3페이지).
2. 차동장치 기어 케이스를 조립한다.
2.1 핀 (31)을 설치한다 (그림 20-5, 20-3페이지). 적은 양의 오일을 모든 추력 판과 핀 양쪽
끝에 적용한다.
2.2 육각 볼트 (33)과 출력 기어 (32)를 설치한다. 볼트는 58 ft-lb (78.6 Nm)까지 조인다.
3. 새로운 베어링 (18)을 중간 기어 조립체로 누른다 (20-3페이지 그림 20-5).
4. 새로운 베어링 (18)을 입력 피니언 기어 (17)로 민다.
5. 기름을 새로운 오일 씰 (10)의 립에 적용하고 트랜스액슬 피니언 기구 (CCI P/N 1014161)를
사용해서 씰을 설치한다. 오일 씰의 립은 트랜스액슬 하우징의 안쪽을 바라보도록 한다. 씰이
단단히 자리 잡았는지를 확인한다.
6. 차동장치 조립체 (4), 중간 기어 조립체 (3), 입력 피니언 기어 (2)를 동시에 설치한다. 모든
베어링이 하우징에 올바로 안착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입력 축을 돌려서 기어 작동이
부드러운지를 확인한다 (20-6페이지 그림 20-11).

20-9
7. 트랜스액슬 하우징 (20)의 양쪽 다우얼 핀 (25)을 설치한다 (20-3페이지 그림 20-5).
8. 트랜스액슬 하우징의 왼쪽 반절을 설치한다:
8.1 삼중 액체 개스킷의 1/8 인치 (3 mm)를 하우징의 한쌍 표면에 둔다.
8.2 트랜스액슬 하우징 (20)의 왼쪽 반절을 설치한다 (20-3페이지 그림 20-5).
8.3 케이스 하우징의 11개의 볼트 (24)를 설치하고 19 ft-lb (25.7 Nm)까지 조인다. G 유형
트랜드 액슬은 쐐기나 개스킷이 없다.
8.4 볼트 (8)로 액슬 튜브 (14, 35)를 설치한다 (20-3페이지 그림 20-5). 볼트를 37 ft-lb (50.2
Nm)까지 조인다.
9. 지시된 대로 브레이크 조립체를 설치한다. 6-10 페이지의 브레이크 클러스터 제거 참조.
10. 적은 양의 기름을 오일 씰 (15)의 립에 적용한다 (20-3페이지 그림 20-5). 다음 주의사항 참조.

‼ 주의

 액슬 축 설치에 앞서, 액슬 축의 노출된 끝과 오일 씰 구역으로부터 남아있는 오일을 없애어


오일이 브레이크와 닿지 않도록 한다.

11. 트랜스액슬에 뒤쪽 액슬을 설치한다.


11.1액슬 튜브로 액슬 축의 키 홈 끝을 집어 넣는다. 액슬 튜브 중심 내부의 씰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축 베어링으로 축을 밀고 축을 돌려서 축 쐐기와 차동장치 기어의 키 홈
구멍을 맞춘다. 액슬의 베어링이 액슬 튜브 중심 위치 안에 단단히 자리 잡힐 때까지 축을
계속 민다.
11.290° 내부 스냅 링 펜치 (0.090 팁) (CCI P/N 1012560)를 사용해서, 액슬 베어링 조립체와
액슬 튜브 중심 안쪽 벽의 홈에 잘 자리 잡도록 내부 고정 링을 액슬 튜브 중심에 부착한다
(20-3페이지 그림 20-5).
11.3고정 링에 직경이 1/4~3/8 인치 (6~10 mm)인 로드를 두고 그것이 잘 자리잡도록
4~5개의 위치를 약하게 두드린다. 다음 경고사항 참조.

‼ 경고

 고정 링이 홈에 잘 자리잡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링이 잘 설치되어있지 않으면, 액슬


조립체는 트랜스액슬에서 분리될 것이고 액슬 조립체와 다른 구성 요소를 손상시킬 것이다.
심각한 인적 상해나 사망을 일으키는 차량 조정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12. 배수 플러그 (22)가 트랜스액슬에 설치되고 23 ft-lb (31 Nm)까지 조여졌는지를 확인한다.
22온스의 SAE 30 API Class SE, SF, 또는 SG 오일 (더 높은 등급도 사용될 수 있다)로 수준
표시기 구멍을 통해서 트랜스액슬을 채운다. 수준 표시기 플러그 (21)을 설치하고 23 ft-lb (31
Nm)까지 조인다.

트랜스액슬 설치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 참조.

1. 체인 호이스트를 사용하였다면, 차량을 올려서 잭 스탠드에 트랜스액슬을 둔다. 바닥 잭을


사용했다면, 잭 스탠드를 가장 낮은 곳까지 낮추고 잭 스탠드에 트랜스액슬을 둔다.
2. 트랜스액슬 축안의 중앙 구멍과 엽편 스프링 조립체의 파일럿 볼트와 맞춘다.
3. 2개의 U-볼트, 진동 범퍼 마운트 (필요 시), 스페이서, 잠금와셔와 너트를 설치한다. 너트는 25
ft-lb (34 Nm)까지 조인다. U-볼트 너트를 조여서 같은 양의 나삿니가 볼트의 각 다리에
보여야 한다.

20-10
4. 모터를 설치한다. 18-12페이지의 모터 설치 또는19-13페이지의 모터 설치 참조
5. 체인 호이스트를 사용할 경우, 엽편 스프링을 뒤쪽 스프링 차꼬로 유도하면서, 차량을 낮춘다.
바닥 잭을 사용할 경우, 스프링을 뒤쪽 스프링 차꼬로 유도하면서, 차동장치를 들어 올린다.
그런 다음 잭 스탠드를 올려서 트랜스액슬을 지지한다.
6. 4개의 모터 전선을 연결한다. 고정 너트는 65 in-lb (7.3 Nm)까지 조인다. 2개의 렌치를
사용해서 포스트가 돌아가는 것을 막는다. 다음 주목 참조.

주목: 모터 전선을 분리할 때 표시하지 않았으면, 올바른 연결을 위해 배선 도식을 참조하라. 11-
2페이지의 배선 도식 또는 12-2 페이지의 배선 도식 참조.

7. 스프링 차꼬와 엽편 스프링 아이의 부싱에 볼트를 넣는다. 볼트는 고정나사로 고정한다. 15 ft-
lb (20.3 Nm)까지 조인다.
8. 새로운 나비넥타이 핀 (1)을 사용해 브레이크 케이블을 연결한다 (20-5페이지 그림 20-7).
9. 충격 흡수체를 설치한다. 충격 흡수체 고정너트는 고무 부싱이 컵 와셔와 같은 크기로 늘어날
때까지 조인다.
10. 뒤 바퀴를 설치하고 바퀴용 나사를 손으로 조인다.
11. 차량을 들어 올리고 잭 스탠드를 제거한다.
12. 차량을 낮추고 십자가형 패턴으로 바퀴용 나사를 55 ft-lb (74.6 Nm)까지 조인다.
13. 차량이 올바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다음 경고 참조.

‼ 경고

 전진/후진 스위치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차량이 전진 방향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 전진/후진 스위치가 „후진’ 위치에 있을 때, 차량이 후진 방향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전진/후진 스위치가 „후진’ 상태에 있을 때, 후진 부저가 울리게 된다.
 전진/후진 스위치가 중립 상태에 있을 때, 차량이 작동하지 않는지를 확인한다.

20-11
섹션 21 – IQ 디스플레이 모듈 (IQDM) 및 프로그래머
(IQDM-P): 액셀 시스템
!! 위험

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 참조

!! 경고

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 참조

주목: 초기 디스플레이, 메뉴 탐색 및 모니터, 오류 및 기능 메뉴에 대한 정보에 대하여는, 섹션


13-IQ 디스플레이 모듈 (IQDM) 및 IQDM-P 진단: 액셀 시스템 참조.

이 섹션에 있는 정보는 IQDM-p와 IQDM 핸드세트의 두 번째 버전을 다룬다.

핸드 세트를 차량에 꽂음

1. 핸드 세트 하부에 위치한 잭에 케이블 한 쪽 끝을 연결한다.


2. 케이블 어댑터를 IQDM 케이블에 연결한다.
3. 차량에서 IQDM 잭을 찾는다 (21-1페이지, 그림 21-1).
4. IQDM 잭에서 먼지 캡을 제거한다.
5. IQDM 잭으로 플러그의 맞춰진 부분을 정렬하고 잭으로 플러그를 연결한다.

그림 21-1 기기 패널 아래의 IQDM 포트

21-1
프로그램 메뉴

프로그램 메뉴는 프로그램 옆 사각형이 깜빡거릴 때 (21-2 페이지 그림 21-2) 탐색 버튼의 오른쪽
화살표를 눌러 불러 올 수 있다. 프로그램 메뉴가 활성화 되면, 탐색 버튼의 위 아래 화살표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메뉴에서 원하는 곳으로 갈 수 있다. 다시, 오른쪽 화살표를 누르면 메뉴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변경 값 버튼을 누르면 필요 시 선정된 항목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다음 변수들은 프로그램 메뉴에서 핸드세트로 프로그램 될 수 있다.

속도 세팅
차량의 최고 속도는 세팅 값을 1에서 3까지 설정하여 변경한다. (21-2 페이지 그림 21-3). 만약 4라는
값이 속도 세팅으로 표시되면, 특별 접속 코드가 “개인 속도 모드”로 차량을 설정하기 위해
입력되었다는 것이다. 속도 설정 메뉴 항목에서는 „4‟ 값을 속도 세팅으로 설정할 수 없다. 속도 세팅
4에 관한 추가 정보를 얻으려면 코드 A, 코드 B, 및 코드 C를 참조하라. 21-3 페이지의 코드 A, 코드
B, 및 코드 C를 참조하라

속도 세팅 내역 차량 속도
1 상용 속도 8.0 Mph (12.9 km/h)
2 저속 골프 속도 13.2 Mph (21.3 km/h)
3 정상 골프 속도 14.8 Mph (23.8 km/h)
4 개인 속도 모드 19.6 Mph (31.5 km/h)

그림 21-2 프로그램 메뉴 접근 그림 21-3 속도 세팅 변경

21-2
빠른 액셀
빠른 액셀 (액셀러레이터) 는 켜거나 끌 수 있는 옵션이다. 빠른 엑셀이 켜져 있으면, 차량은 현저하게
빠른 비율로 속도를 낼 것이다. 이 기능이 꺼져 있으면, 액셀러레이터를 바닥으로 빨리 누른다 할
지라도 차량 속도는 천천히 증가한다. 변화 값 버튼의 + 또는 –를 눌러서 이 기능을 켜거나 끄시오.

페달 업 모드
페달 업 (모터 브레이크)에 대하여는 3가지 옵션이 있다.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풀면, 모터 브레이크는
페달 업 모터 브레이크가 켜져 있을 때 (옵션 1 또는 2), 약 11 mph (17.7 km/h)의 속도로 차량을
늦춘다. 페달 업 모터 브레이크가 꺼져 있으면 (옵션 0), 차량은 페달이 풀릴 때 멈추게 된다. 다음
주목 참조.

변경 값 버튼의 + 또는 –를 눌러서 페달 업 모드 세팅을 변경하라.

주목: 페달 업 모드는 차량의 최고 속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차량이 내리막길로 가고 있을 때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풀리면, 모터 브레이크 기능이 활성화되고, 프로그램 메뉴에서 설정된
속도로 차량을 늦춘다. 21-2페이지 속도 세팅 참조.

페달 업 모드 세팅 모드 작동 설명
0 꺼짐 페달 업 모터 브레이크 꺼짐
1 중간 페달 업 중간 페달 업 모터 브레이킹
2 공격적인 페달 업 공격적인 페달 업 모터 브레이킹

속도 보정
속도 보정 (속도 보정) 메뉴 항목은 사용자가 차량 속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기능은
차량 속도를 올리는데 사용할 수 없다. 속도 보정 범위는 0~10이다. 숫자가 증가할 때마다, 최고
속도는 약 0.12 mph (0.2 km/h) 의 간격으로 감소한다. 최고 차량 속도는 속도 세팅 메뉴 항목과 속도
보정 설정으로 계산된다. 예를 들면, 속도 설정이 3 (14.8 mph (23.8 km/h) 값으로 되어있고 속도
보정이 5로 맞춰 있다면, 차량의 총 최고 속도는 약 14.2 mph (22.9 km/h)가 된다.

코드 A, 코드 B, 및 코드 C
이 코드 값들은 차량을 “개인 속도 모드” (속도 세팅 코드 4)에서 설정할 때 사용된다. 각 차량은 이
모드로 설정될 때 독특한 코드를 가진다. “개인 속도 모드” (속도 세팅 코드 4)로 프로그램되는 차량은
속도를 15 mph (24.1 km/h) 이상 낼 수 있기 때문에, 골프 카 미국 국가 표준 – 안전 및 성능 사양
ANSI Z130.1을 준수하지 않는다.
이 기능에 대하여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면, 당신의 지역 클럽카 판매자나 대리점에 연락하라

서행 페달 업
서행 페달 업은 토글로 켜거나 끌 수 있는 옵션이다. 서행 페달 업 변수가 꺼져 있으면, 페달 업으로
인해 내리막길의 속도가 11.3 mph (18.2 kph)으로 유지된다. 이 변수가 켜져 있으면 이 기능은 페달 업
내리막길 속도를 10.4 mph (16.8 kph)로 유지한다.

KSI SRO 기능 작동
Ksi sro 작동 (키 스위치 정적 복귀 꺼짐) 옵션은 토글로 켜거나 끌 수 있다 이 옵션이 켜져 있을
때는,충전 후나 주행/견인 스위치가 순환된 후 키 스위치가 켜지면 차량은 않움직인다.

21-3
키 스위치로 조절기 전원을 켜거나 다음 중 하나의 사건이 일어나면 이 기능은 꺼진다. 1. 주행/견인
스위치가 견인 위치에 있음, 2. 충전기의 DC 플러그가 차량에 꽂혀 있었음, 3. 배터리 세트가 분리되어
있었음, 또는 4. 차량이 수면 모드에 있었고 키 스위치가 켜진 상태에서 액셀러레이터가 밟혀 있음. ksi
sro 작동 변수에 의해 제어되는 키 스위치 SRO 오류 탐지는 출하 시 꺼져 있다.

M2 최대 속도
M2 최대 속도 옵션은 „속도 2‟ 속도 세팅을 조절 가능하게 한다. 출하 시, 차량은 네개의 표준 „속도 2‟
속도 세팅 중 하나에 설정되어 있다. 이는 각각 11.4, 12.4, 13.2 및 14.0 mph (18.4, 20.0, 21.3, 22.6
km/h) 이다. 초기 „속도 2‟ 속도 세팅은 13.2 mph (21.3 km/h) 이다. 차량의 최고 속도는 0.2 mph
간격으로 11.2 에서 13.8 mph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 mph (18.1 to 23.9 km/h 0.3 km/h 간격). (IQDM
은 mph를 %로 표시한다)

21-4
섹션 22 – IQ 디스플레이 모듈 프로그래머 (IQDM-
P): 액셀 시스템

!! 위험

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 참조

!! 경고

 1-1 페이지의 일반 경고사항 참조

주목: 초기 디스플레이, 메뉴 탐색 및 모니터, 오류 및 기능 메뉴에 대한 정보에 대하여는, 섹션


14-IQ 디스플레이 모듈 (IQDM) 및 IQDM-P 진단: 액셀 시스템 참조.

이 섹션에 있는 정보는 IQDM-p와 IQDM 핸드세트의 두 번째 버전을 다룬다.

핸드 세트를 차량에 꽂음

1. 핸드 세트 하부에 위치한 잭에 케이블 한 쪽 끝을 연결한다.


2. 케이블 어댑터를 IQDM 케이블에 연결한다.
3. 차량에서 IQDM 잭을 찾는다 (22-1페이지, 그림 22-1).
4. IQDM 잭에서 먼지 캡을 제거한다.
5. IQDM 잭으로 플러그의 맞춰진 부분을 정렬하고 잭으로 플러그를 연결한다.

그림 22-1 기기 패널 아래의 IQDM 포트

22

22-1
프로그램 메뉴

프로그램 메뉴는 프로그램 옆 사각형이 깜빡거릴 때 (22-2 페이지 그림 22-2) 탐색 버튼의 오른쪽
화살표를 눌러 불러 올 수 있다. 프로그램 메뉴가 활성화 되면, 탐색 버튼의 위 아래 화살표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메뉴에서 원하는 곳으로 갈 수 있다. 다시, 오른쪽 화살표를 누르면 메뉴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변경 값 버튼을 누르면 필요 시 선정된 항목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다음 변수들은 프로그램 메뉴에서 핸드세트로 프로그램 될 수 있다.

속도 세팅
차량의 최고 속도는 세팅 값을 1에서 3까지 설정하여 변경한다. (22-2 페이지 그림 22-3). 만약 4라는
값이 속도 세팅으로 표시되면, 특별 접속 코드가 “개인 속도 모드”로 차량을 설정하기 위해
입력되었다는 것이다. 속도 설정 메뉴 항목에서는 „4‟ 값을 속도 세팅으로 설정할 수 없다. 속도 세팅
4에 관한 추가 정보를 얻으려면 코드 A, 코드 B, 및 코드 C를 참조하라. 22-4 페이지의 코드 A, 코드
B, 및 코드 C를 참조하라

속도 세팅 내역 차량 속도
1 상용 속도 8.0 Mph (12.9 km/h)
2 저속 골프 속도 11.4 mph (18.3 km/h)
14.8 Mph (23.8 km/h). 22-3 페이지의 S3 FWD
3 정상 골프 속도
속도 참조
4 개인 속도 모드 19.2 Mph (30.9 km/h)

주목: 각 속도 세팅의 현 속도 값은 모니터 메뉴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림 22-2 프로그램 메뉴 접근 그림 22-3 속도 세팅 변경


22

22-2
빠른 액셀
빠른 액셀 (액셀러레이터) 는 켜거나 끌 수 있는 옵션이다. 빠른 엑셀이 켜져 있으면, 차량은 현저하게
빠른 비율로 속도를 낼 것이다. 이 기능이 꺼져 있으면, 액셀러레이터를 바닥으로 빨리 누른다 할
지라도 차량 속도는 천천히 증가한다. 변화 값 버튼의 + 또는 –를 눌러서 이 기능을 켜거나 끄시오.

페달 업 모드
페달 업 모드(모터 브레이크)에 대하여는 3가지 옵션이 있다.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풀면, 모터
브레이크는 페달 업 모터 브레이크가 켜져 있을 때 (옵션 1 또는 2), 거의 제로로 차량 속도를 늦춘다.
페달 업 모터 브레이크가 꺼져 있으면 (옵션 0), 차량은 페달이 풀릴 때 멈추게 된다. 다음 주목 참조.
변경 값 버튼의 + 또는 –를 눌러서 페달 업 모드 세팅을 변경하라.

주목: 페달 업 모드는 차량의 최고 속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차량이 내리막길로 가고 있을 때,


페달 업 모드 세팅 (0, 1, 2)이 어떻든지 간에 차량이 프로그램 메뉴에서 설정된 속도 세팅을
초과하지 않도록 모터 브레이크 기능이 활성화된다. 22-2페이지 속도 세팅 참조.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어느 정도 밟혀진 상태에서 차량이 내리막길로 가고 있을 때, 모터


브레이크 기능은 운전자가 설정된 최고 속도 이하로 달리도록 돕기 위하여 활성화된다. 예를
들면, 만약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반쯤 밟혀진 상태에서 차량이 내리막길로 가고 있을 때,
모터 브레이크 기능은 운전자가 프로그램 메뉴에서 설정된 최고 속도의 반쯤으로 달리도록
돕기 위하여 활성화된다

페달 업 모드 세팅 모드 작동 설명
0 꺼짐 페달 업 모터 브레이크 꺼짐
1 중간 페달 업 중간 페달 업 모터 브레이킹
2 공격적인 페달 업 공격적인 페달 업 모터 브레이킹

속도 보정
속도 보정 (속도 보정) 메뉴 항목은 사용자가 차량 속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기능은
차량 속도를 올리는데 사용할 수 없다. 속도 보정 범위는 0~30이다. 숫자가 증가할 때마다, 최고
속도는 약 0.1 mph (0.16 km/h)의 간격으로 감소한다. 최고 차량 속도는 속도 세팅 메뉴 항목과 속도
보정 설정으로 계산된다. 예를 들면, 속도 설정이 2 (11.4 mph (18.3 km/h)) 값으로 되어있고 속도 보정이
5로 맞춰 있다면, 차량의 총 최고 속도는 약 10.9 mph (17.5 km/h)가 된다.

주목: ‘속도 보정’ 기능은, 속도 세팅 3이 S3 FWD 속도로 정밀하게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골프 적용에 대하여 필요가 없다. 22-3페이지의 S3 FWD 속도 참조.

S3 FWD 속도
S3 FWD 속도 옵션은 „속도 3‟ 속도 세팅을 조절 가능하게 한다. 출하 시, S3 FWD 속도는 다음 네 옵션
중 하나로 초기화 되어 있다: 12.4, 13.2, 14.0 및 14.8 mph (20.0, 21.3, 22.6, 23.8 km/h) 이다. S3 FWD
속도는 0.1 mph 간격으로 11.4 에서 14.8 mph (18.3 to 23.8 km/h)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S3
FWD 속도로 설정된 속도 값은 모니터 메뉴에서 찾아 볼 수 있다. 14-6 페이지의 차량 속도 (IQDM-P
만 해당)를 참조하라. 정상적인 골프 속도 범위 (12.4 to 14.8mph (20.0 to 23.8 km/h)) 에서 차량의 최고
속도를 정밀 조율하려면:

22-3
1. 프로그램 메뉴에서, 탐색 키로 속도 세팅 메뉴에 접속한다.
2. 변경 값 버튼으로 „속도 세팅 3‟을 선택한다.
3. 탐색 키로 프로그램 메뉴와 S3 FWD 속도 메뉴에 접속한다.
4. 변경 값 버튼을 사용하여 원하는 속도를 설정한다.

코드 A, 코드 B, 및 코드 C
이 코드 값들은 차량을 “개인 속도 모드” (속도 세팅 코드 4)에서 설정할 때 사용된다. 각 차량은 이
모드로 설정될 때 독특한 코드를 가진다. “개인 속도 모드” (속도 세팅 코드 4)로 프로그램되는 차량은
속도를 15 mph (24.1 km/h) 이상 낼 수 있기 때문에, 골프 카 미국 국가 표준 – 안전 및 성능 사양
ANSI Z130.1을 준수하지 않는다.
이 기능에 대하여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면, 당신의 지역 클럽카 판매자나 대리점에 연락하라

차량 S/N
차량 제작사에서 프로그램 된 6자리 숫자. 이 메뉴 항목은 추후 보조기능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차량 도안
0-999 사이의 숫자로 차량 제작사에서 프로그램 된 차량 도안 숫자. 이 메뉴 항목은 추후 보조기능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22-4
A
액셀러레이터 복귀 스프링 5-4 베어링, 액슬
접근 페널 4-12, 4-17 트랜스액슬, G 유형, 액슬 베어링을 보라
전기자, 모터 베어링, 모터
전기자, 모터를 보라 모터, 베어링을 보라
몸체, 앞쪽 4-4, 4-10
앞쪽 및 뒤쪽 몸체 수리 또한 참조
B 설치 4-4
등받이 4-10 제거 4-4
등받이 및 구조 보조 모듈 4-10 몸체, 뒤쪽
가방 걸이 앞쪽 및 뒤쪽 몸체 수리 또한 참조
설치 4-12 제거 4-10
제거 4-10 브레이크 복귀 스프링 5-3
스웨터 바구니 4-12 브레이크
배터리 16-1 조절 6-9
„배터리 충전기‟도 참조하라 케이블
관리 16-14 설치 6-12
충전 16-18 제거 6-11
심한 방전 16-20 조립체 청소 6-5
전해질 클러스터
물 추가 (미네랄 성분) 16-17 설치 6-10
레벨 16-16 제거 6-9
과다 초기 방전 16-20 슈
차량 교대 사용 16-4, 16-9 설치 6-6
액체 비중계 보정 제거 6-1
유지 보수, 예방 16-14 브레이크, 모터
또한 배터리, 전해질을 보라 재생식 브레이크 참조
교체 16-13 브레이크, 재생식
자가 방전 16-16 재생식 브레이크 참조
보관 16-23 앞쪽 범퍼 4-4
테스트 16-3, 16-8
방전 테스트 16-5, 16-10
테스트 결과 해석 16-6, 16-11
C
액체 비중계 테스트 16-3, 16-8 캐노피, 4인승
결과 해석 16-4, 16-9 설치 4-21
충전 중 전압 테스트 16-3, 16-8 제거 4-21
전압 테스트 11-14, 12-14 캐노피, 2인승
(전류가 흐를 때의) 전압 테스트 11-20, 12-20 설치 4-19
문제 해결 사례 16-6, 16-12 제거 4-17
진동 손상 16-18 주의
배터리 충전기 정의 1-1
16시간 중단 16-20 충전기 베즐 4-9
유입 AC 서비스 16-20 충전기 콘센트
차량과 충전기 번호 매기기 16-20 퓨즈 연결 15-22
테스팅 16-3, 16-8 설치 15-22
충전 중 전압 테스트 16-3, 16-8 제거 15-22
배터리 경고 등 테스팅 11-34, 12-34
설치 15-3 충전기 콘센트 베즐
제거 15-3 설치 4-9
제거 4-9
테스트 11-39, 12-39 청소
브레이크 조립체 6-5

ⅰ-1
좌석 4-1 모터
차량 몸체 4-1 전기자 접지 테스트 18-6, 19-7
컬럼, 스티어링 전기자 검사 18-5, 19-6
스티어링 컬럼을 보라 베어링 18-7, 19-9
연락 전시 모듈 브러시 19-8
기능 코드 11-39, 12-39 브러시 스프링 19-8
데이터 수신 11-40, 12-40 전기장 와인딩 18-6, 19-8
문제 해결 11-41, 12-41 모터 구성 요소 18-7
커넥터, 24핀 속도 센서 자석 18-9, 19-9
테스트 절차를 보라 충격 흡수체 9-1
트랜스액슬, G 유형 20-7
D 기기 페널
위험 설치 4-6, 4-7
정의 1-1 제거 4-5, 4-7
파편 쉴드 5-3 IQ 디스플레이 모듈 (IQDM) 13-1, 14-1
쏠레노이드 다이오드 IQ 디스플레이 모듈 프로그래밍(IQDM-P) 13-1, 14-1
테스트 11-16, 12-16 21-1. 21-1
추진 모터
모터를 보라 K
키 스위치
E 설치 15-2
전기 모터 제거 15-1
모터를 보라 테스팅 11-21, 12-21
전기 시스템 11-1, 12-1 킥 플레이트 4-9
회로 테스트 11-13, 12-13 설치 4-9
제거 4-9

F
바닥 매트 및 고정체 4-8
L
바닥 매트 고정체 엽편 스프링
설치 4-8 앞쪽 서스펜션 및 뒤쪽 서스펜션 참조
제거 4-8 윤활
풋 데크 (4인승) 앞쪽 서스펜션 7-10
설치 4-16 주기적 윤활 일정 10-5
제거 4-16 트랜스액슬, G 유형 20-1
전진/후진 스위치
설치 15-4 M
제거 15-3 자석, 모터 속도 센서
테스팅 11-37, 12-37 모터, 속도 센서 자석을 보라
전면 몸체 유지 보수
몸체, 전면을 보라 배터리 16-14
앞쪽 범퍼 4-4 주기적 윤활 일정 10-5
퓨즈, 센서 도선 11-34, 12-34 주기적 정비 일정 10-3
MCOR 5-3
H 모터 11-1, 12-1, 13-1, 14-1, 18-1, 21-1, 22-1
페달 높음 탐지 11-34, 12-7 전기자
접지 테스트 18-6, 19-7
검사 18-5, 19-6
I 조립체 18-10, 19-11
검사
앞쪽 바퀴 프리 플래이 7-17

ⅰ-2
베어링 P
검사 18-7, 19-9 멈춤 쇠 조립체 5-4
설치 18-9 페달 그룹 조정
제거 18-9 설치 5-6
브레이킹 제거 5-1
모터 브레이킹 12-1 주기적 윤할 일정 10-5
페달 상부 모터 브레이킹 11-1 주기적 정비 일정 10-3
페달 업 모터 브레이킹 11-7
브러시
검사 19-8
R
브러시 스프링 랙 및 피니언 7-4
검사 19-8 조립 7-8
성분 분해 7-5
검사 18-7 설치 7-9
분해 18-4, 19-4 제거 7-5
기능 11-1, 12-14 뒤쪽 뷰티 페널
전기장 와인딩 검사 18-6, 19-8 설치 4-12, 4-17
정체 확인 18-1, 19-1 제거 4-12, 4-16
설치 18-12, 19-13 뒤쪽 몸체
모터 브레이킹 11-1, 12-1 뒤쪽 몸체 참조
보호 회로 11-7, 12-7 뒤쪽 몸체, 4인승 4-14
리컨디셔닝 18-9, 19-11 뒤쪽 몸체, 2인승 4-10
제거 18-3, 19-2 뒤쪽 서스펜션
서비스 사양 18-10, 19-11 뒤쪽 서스펜션 참조
속도 센서 18-15 뒤쪽 하부 몸체
설치 18-15 설치 4-12, 4-17
제거 18-15 제거 4-12, 4-17
테스팅 11-35, 12-35 콘센트
속도 센서 자석 충전기 콘센트 참조
검사 18-9, 19-9 재생 브레이킹 11-7, 12-7
설치 18-9 수리
제거 18-9 앞쪽 및 뒤쪽 몸체
테스팅 11-19, 12-18 홈, 구멍, 찟어짐 4-3
테스트 절차, 모터 참조 작은 충격 손상 / 변형 4-2
워크 어웨이 브레이킹 11-1, 12-1 작은 스크래치 및 표면 흠 4-2
모터 브레이킹 응력 라인 또는 줄무늬 4-2
재생 브레이킹 참조 타이어 8-2
모터 조절기 출력 조정 (MCOR) 후진 부저
설치 15-9 설치 15-10
제거 15-9 제거 15-10
테스팅 11-17, 11-21, 12-16, 12-21 테스팅 11-37, 12-37

O S
내장 컴퓨터 (OBC) 11-7, 12-7 안전 1-1, 2-1
설치 15-19, 15-20 안전 위원회 3-2
재부팅 11-38, 12-38 SAM
제거 15-19, 15-20 설치 4-10
데이터 검색 11-40, 12-40 제거 4-10
등받이 (4인승)
테스팅 11-16, 11-33, 11-34, 12-15, 12-33, 12-34
설치 4-14

ⅰ-3
구성 요소
제거 4-14 제어 팔
좌석 지지대 (4인승) 설치 7-14
설치 4-15 제거 7-14
제거 4-15 킹핀 및 스티어링 고정 쐐기
차량 일련번호 3-1 설치 7-13
정비 스케쥴 제거 7-13
주기적 정비 일정 참조 엽편 스프링
또한, 주기적 윤활 일정 참조 설치 7-13
충격 흡수체 엽편 스프링 제거 7-12
앞쪽 및 뒤쪽 서스펜션 참조 충격 흡수체
쏠레노이드 설치 7-14
설치 15-17, 15-18 제거 7-14
제거 15-17, 15-18 타이로드
테스팅 11-36, 12-36 설치 7-12
쏠레노이드 활성화 코일 타이로드 종단
테스팅 11-16, 12-16 제거 7-12
속도 조절기 바퀴 베어링 및 허브
복제 13-11, 13-12, 14-12, 14-13 검사 7-17
16핀연결기 설치 7-17
테스트 절차참조 제거 7-17
설치 15-15, 15-16 윤활 7-10
제거 15-15, 15-16 토인 조절 7-11
속도 센서 바퀴 얼라인먼트 7-10
스피드 센서 모터 참조 뒤쪽 서스펜션
스티어링 충격 흡수체
랙 및 피니언 검사 및 제거 9-1
조립 7-8 설치 9-1
분해 7-5 뒤쪽 서스펜션 (4인승)
설치 7-9 엽편 스프링
제거 7-5 설치 9-6
스티어링 컬럼 7-2 제거 9-4
분해 7-2 뒤쪽 서스펜션 (2인승)
설치 7-4 엽편 스프링
제거 7-2 설치 9-4
핸들 제거 9-1
설치 7-2 스웨터 바구니 4-12
제거 7-1
저장 T
전기 차량 3-2 테스트 절차
응력 라인 1. 배터리/전압 점검 11-14, 12-14
앞쪽 및 뒤쪽 몸체 참조 2. 내장 컴퓨터 쏠레노이드 잠금 회로11-16, 12-15
서스펜션, 앞쪽 3. 쏠레노이드 활성 코일 11-16, 12-16
켐버 조절 7-10 3. 쏠레노이드 다이오드 11-16, 12-16
4. MCOR 11-17, 12-16
5. 모터, A1 및 A2의 전압 11-19, 12-18
6. 견인/주행 스위치 11-19, 12-19
7. 배터리 팩 전압 (전류가 흐르는 상태)
11-20, 12-20
8. 키 스위치 11-21, 12-21
8. MCOR 한계 스위치 11-21, 12-21

ⅰ-4
9. 9 핀 연결기 11-23, 12-23 U
10. 내장 컴퓨터 SCR 11-33, 12-33 일반 부속품 설치 4-10
11. OBC 회색 전선 및 퓨즈 11-34, 12-34
12. 충전기 콘센트 11-34, 12-34
13. 모터 속도 센서 11-35, 12-35
W
14. 쏠레노이드 11-36, 12-36 워크 어웨이 브레이킹 11-1, 12-1
15. 전진/후진 동작 스위치 11-37, 12-37 경고
16. 후진 부저 11-37, 12-37 정의 1-1
17. OBC, 재부팅 11-38, 12-38 물 레벨
18. 배터리 경고 표시등 11-39, 12-39 배터리, 전해질 레벨 참조
테스트 절차, IQDM 및 IQDM-P 핸드세트 13-17, 14-18 바퀴
테스트 절차, 모터 설치 8-1
1- 내부 단선 18-1, 19-1 제거 8-1
2- 전기자 회로 오픈 18-2, 19-2 또한 타이어 참조
3- 전기장 회로 오픈 18-2, 19-2 바퀴 라이너
전기자 접지 테스트 18-6, 19-7 설치 4-14
타이 로드 및 드래그 링크 제거 4-12
설치 7-12 핸들
제거 7-10 핸들 참조
타이어
설치 8-3
제거 8-2
수리 8-2
견인/주행 스위치 11-7, 12-7
설치 15-7, 15-8
제거 15-7, 15-8
테스팅 11-19, 12-19
트랜스액슬, G 유형
조립체 20-9
액슬 베어링 20-4
액슬 축
설치 20-2
제거 20-1
분해 20-7
검사 20-7
설치 20-10
기름치기 20-1
기름 밀봉
설치 20-2
제거 20-1
제거 20-5
문제 해결 11-2, 12-2
배터리 문제해결 사례 16-6, 16-12
연락 전시 모듈 (CDM) 11-41, 12-41
IQDM 및 IQDM-P 핸드세트 13-15, 14-17
문제 해결 가이드 1 11-8, 12-8
문제 해결 가이드 2 11-11, 12-11

ⅰ-5
당신의 의견을 환영합니다

다음 중 당신 직업의 범주를 선택하라


 유통업자 / 딜러  기술자
 개인 소유주  골프 코스 감독자
 클럽 카 관련인 / 대표자  기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보다 나은 서비스를 위하여, 이 문서에 나타난 다음 항목들을 평가해 주십시오

부족 양호 평균 훌륭 최고
1. 이해 용이성     
2. 정보 검색 용이성     
3. 설명의 명확성     
4. 인덱스들의 유용성     
5. 문제해결 챠트의 유용성     

코멘트 / 제안 사항

이 페이지의 사본을 (706) 228-2662로 팩스 해 주십시오

감사합니다

클럽 카 기술 인쇄 부서
클럽카 www.clubcar.com

클럽 카 주식회사 연락처 1.706. 863.3000


잉거솔 랜드 PO BOX 204658
1.800.ClubCar
산업 기술 Augusta, GA 30917-4658
Int‟l +1 706.863.3000
팩스 1.706.863.5808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