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현대인과 성서- 발표

T: 안녕하세요, 여러분. 아시안 같은 국가라서 한국과 베트남은 비슷한 점도 많이 있습니다.

N:네. 맞습니다. 하나 중에 종교입니다. 아시안 국가들이 서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한국


종교와 베트남 종교는 비슷한 점 많이 있지만 다른 점도 있거든요.

T:응. 예를 들어, 둘다 기독교와 불교는 같이 존제하지만 한국에서는 종교가 대중적인


기독교라면 베트남에서는 불교가 더 대중적입니다. 그리고 기독교에 개신교와 천주교라는
종교로 나누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한국사회에서 기독교의 위치를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로서, 최근 통계청의 조사에 따르면 2015 년 기준으로 전체 인구 가운데 기독교는 27.6%
에서 개신교는 19.7% 그리고 천주교는 7.9% 차지했습니다. 불교의 15.5%를 앞서고 있습니다.
반면에 베트남사회에는 절반 이상이 불교도입니다. 천주교가 7%, 개신교가 1-2%로 2 위를
차지한 기독교입니다.

N:근데 제 생각하기에는 그런 차이 덕분에 특정 국가의 문화를 배울 때 다양성과 새로운


느낌이 생기는 것 같죠? 그럼 오늘 우리 팀과 같이 베트남 기독교와 불교를 알아보시면
어때요?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예전부터 베트남 사람들의 생활속에 민간신앙은 풍부하고 다양하다.


지금까지 베트남 사람들의 생활속에 민간신앙은 없다면 안될 부분이 되었다.

먼저 베트남 기독교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초창기에는 베트남에 기독교가 전파된 것은 16 세기에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과 같은
유럽의 카톨릭 선교사들이 들어왔습니다. 초기 선교사들 중에는 알렉산더 드 로드(Alexandre
de Rhodes)라는 프랑스 선교사가 있었는데, 그는 당시 북부를 다스리던 찐(Trinh)왕에
눈에들어 하노이, 다낭, 호이안 등에 선교를 할 수 있었습니다. 알렉산더 드 로드는 로만
알파벳을 이용하여 베트남 문자를 만들었는데, 현대 베트남어의 초석을 쌓은 인물로
평가됩니다.

그러나 그는 찐왕에 의해 다른 선교사들과 같이 쫒겨나게 되는데, 카톨릭이 체제 전복을


하려고 한다는 왕의 판단 때문이었습니다. 심지어 그가 만든 알파벳을 이용한 베트남어
성경도 20 세기까지 카톨릭 교회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쫒겨난 알렉산더 드 로드는 지속적으로 인도차이나 선교를 목적으로 설립된


해외선교 협회 파리 (Societe des Mission Etrangere)를 통해 선교와 개종을 하였고,몇 년 후
카톨릭은 베트남에 다시 설립되고 빠르게 성장하였습니다.

T: 19 세기가 시작되면서 베트남에는 수 천 명의 카톨릭 신자들이 있었습니다. 카톨릭과


베트남 위정자들의 관계는 그리 편하지 않았는데, 왕은 모든 이는 신앞에 평등하다는 이론을
좋아하지 않았고, 카톨릭의 의례가 유교와 대치되는 일들이 많았습니다. 매우 유교적인 민망
(Minh Mang)황제는 카톨릭을 억압했습니다. 교회들은 파괴되고, 개종을 거부한 신자들은
쳐형되었습니다.

N: 민망황제의 교회에 대한 억압은 비록 과장되기는 했지만 침략을 노리던 프랑스에게


핑계를 준 결과가 되었습니다. 프랑스가 베트남에 진주하자 카톨릭은 다시 복귀하였습니다.
식민주의 아래에서 카톨릭은 번성하여 선교사, 학교, 병원 등이 베트남 전역에 설치되었고,
교회가 베트남의 가장 큰 지주가 되었습니다. 베트남 카톨릭은 식민주의자들과 이들
시스템에서 공부한 사람들이 좋아하는 종교였습니다
T: 1950 년대가 되어서 공산주의자들이 북쪽을 장악하자, 50 만명이 넘는 카톨릭 신자들이
비무장지대를 건너서 남쪽으로 이동해 정착했습니다. 당시 남부는 사이공의 오딘디엠(Ngo
Dinh Diem) 대통령이 다스리고 있었는데, 그는 카톨릭 신자였습니다. 북쪽에 남은 카톨릭
신자들도 믿음을 이어갔으나 엄격한 통제하에 놓여있었습니다.

베트남이 통일된 후 공산주의자들은 카톨릭 교회에 많은 제약을 부과했으며, 신정부에


반하는 일부 지도자들을 수감했습니다. 그 이후로 점차 통제가 약화되고 베트남과 바티칸
사이도 좋아지지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동남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카톨릭 인구를 가진
베트남에 교황이 오기에는 아직 관계가 먼 상태였습니다.

N: 개신교는 1905 년 북동부 Lang Son 지역에 첫 거점 마련했으나 당시 베트남을 지배했던


프랑스 관리들의 반대로 복음전파에 실패했다.

선교사들이 1911 년 다낭시에 도착하여 베트남 개신교 선교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프랑스
정부와 카톨릭의 방해가 초기 개신교의 부흥을 막았다. 프랑스 식민통치 아래에서 佛정부와
천주교는 북미에서 유입된 개신교를 온갖 방법으로 억압하고 방해했는데 이것이 개신교의
초기 선교를 실패하게 한 주요 원인이 되었다고 평가했다.

개신교는 역사가 100 년 이 넘었지만 전통문 화와 타종교와의 대화를 거부하는 경직된


종교이고 개신교를 처음부터 자못된 시각으로 보고 있으니까 베트남에서 자신들의 토속
신앙인 조상 숭배를 부정하고 타종교와의 연합이나 대화를 거부하는 종교로 보여졌다.
현재는 50 만명 정도의 신자가 있다. 이들 중 대부분 중부 고원지대의 소수민족들이다.

T:방금 베트남 기독교에 대한 말씀해드렸습니다. 다음 파트로 넘어가면서, 베트남에 불교의


유입과 유행 기간을 개괄적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
베트남에 가장 오래동안 유입되고 가장 큰 종교이라는 말을 할 수 있다. 중국 문화에 영향을
심하게 되기 위해 베트남 역사안에 불교는 중요한 역할이였다. 지금까지 베트남
신앙인들한테 없다면 안될 부분이다.

우선 베트남 불교의 유입과 유행기간을 간단하게 발표하다  리자면, 기원전 초기부터


베트남에 불교가 도입되었습니다. 10 세기부터 15 세기까지 베트남 불교는 국가의 독립과
함께 새로운 발전 단계를 가졌습니다. 불교는 대중들에게 널리 전파되어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이제 베트남에 제일 유명한 종교가 되었습니다.
연전통문학과불교의 영향이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으며, 이 시기에 수많은 탑과 사원들이
건축되었습니다.
진흑에 뿌린 내리고 피는 꽃이기 때문에 연꽃은 불교의 상징으로 여긴다.
그리고 아무리 더러운곳에 있어도, 더러움에 물들지 않고 한송이 꽃을 피우는 연꽃은 어려운
상황에 있어도 포기하지 않은 베트남사람들의 성격과 같아서 베트남의 국화도 되었다.

아름다운 베트남 종교는 건축물들을 통해 표시됩니다. 지금부터 그 아름다움을 감상하러


영상을 같이 보세요

N:이상으로 발표한 내용을 통해 일생생활에는 베트남 사람들이 가치관과 신앙을 가지고


있는 기독교,불교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T:우리 팀이 준비한 내용을 여기까지입니다. 다들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