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6

Caffeine : Isolation of an Alkaloid

3조
이근채
이희정
조수아
최마리아
목차
1 Object

2 Theory

3 Apparatus & Reagent

4 Procedure

5 Reference
Object
티백으로부터 caffein을 추출, 분리하는 과정을 통해
alkaloid와 같은 유기화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
1
2
Object
Theory
Part 1

알칼로이드(Alkaloid)

1
: 질소를 포함하는 천연 화합물

• 일반적으로 산과 반응하여 염을 형성하여 수용성으로 전환

• 다양한 아미노산으로부터 파생

• 아미노기 전달 반응에 의하여 생성 Object


• 알칼로이드의 생리활성은 매우 다양

• 광범위한 약리학적 효능이 있으며 독성도 존재


Part 1

알칼로이드(Alkaloid)

1
퓨린계 알칼로이드
<purine>

Purine

Object
Part 2

카페인 (Caffeine)

일부 식물의 열매, 잎, 씨앗 등에 함유된 알칼로이드 화합물


요소1
다양한 약리 활성을 지니고 있으며, 중추신경자극제로 작용

9H-purine Caffein (1,3,7-Trimethylpurine-2,6-dione)


Part 3

추출(Extraction)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혼합물로부터 특정한 성분만을 분리해내는 방법

1. 고체-액체 추출 (침출, Leaching)

• 고체 혼합물에 용매를 가하여 특정한 성분을 분리해내는 조작

2. 액체-액체 추출 (용매추출, Liquid-liquid extraction)

• 두 개의 섞이지 않는 액체 간에 나타나는 용질의 용해도 차이를 이용해 화합물을 분리하는 방법

• 용해도가 낮은 경우에는 추출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는 연속 추출법(continuous extraction)을 사용


Part 3

추출(Extraction)

물보다 가벼운 유기용매 물보다 무거운 유기용매


(ex. ethyl acetate, diethyl ether) (ex. dichloromethane, chloroform)

유기용매층 물층

물층 유기용매층
Part 4

분배계수(Distribution coefficient)

섞이지 않는 두 용매 A,B에 어떤 용질이 용해되어 평형 상태에 도달 했을 때, 두 용매


에 존재하는 용질의 농도비를 나타낸 계수

𝐶𝑎
𝐾=
𝐶𝑏 Ca : A 용매에 녹아 있는 용질의 농도
Cb : B 용매에 녹아 있는 용질의 농도

• 주어진 온도와 압력에서는 용질의 양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을 나타낸다.


Part 5

에멀젼(Emulsion)

1
한 액체의 입자가 이와 섞이지 않는 다른 액체 속에 콜로이드 형태로 분산되어 있는 상태

• 에멀션은 섞이지 않는 서로 다른 두 액체에 의해 만들어진다.


• 용매와 용질의 종류에 따라 다른 종류의 유화액을 형성한다.
용매 역할을 하는 액체 : 연속상(continuous phase)
용질 역할을 하는 액체 : 분산상(dispersed phase)

염석효과(Salting out effect) Object


전해질에 의해서 다른 물질의 용해도가 감소하는 현상

• 친수 콜로이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전해질을 가하게 되면 용액 상에 이온 농도가 높아지게 됨,


전해질로부터 생성된 이온에 비해 상대적으로 극성이 작은 친수 콜로이드 입자는 수화되지 못하고
서로 엉기게 되어 용해도가 감소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
Part 6

회전농축기(Rotary evaporator)

1
: 용액내 용매를 제거하거나 용액을 농축 시키고자할 때 사용하는 화학 장비

• 용액이 담긴 플라스크를 heating bath와 접촉시켜 온도를 조절하고, 입구를 본체에 연결


하여 진공펌프를 통해 감압하는 방식으로 작동

Object
• 내부의 압력을 낮게 유지하여 용매의 끓는점을 낮추기 때문에 시료가 지나친 열에 노출
되는 것을 막음

• 돌비현상(bumping)이 발생할 수 있으니 유의해서 사용


Part 6

Rotary evaporator 사용 방법 가장 낮은 물질의 끓는점 세팅

Rotary evaporator 내부 감압

Evaporating Flask 가 회전하며 온도조절

Condenser coil 에 냉매를 순환,


증류되는 물질을 액체로 변환

Receiving flask 에 회수
1
3
Object & Reagent
Apparatus
Apparatus

400mL Beaker Hot plate Rotary evaporator

Measuring cylinder 125mL Filter flask Büchner funnel


Apparatus

Filter paper Separatory funnel Erlenmeyer flask

Round bottom flask Sublimator Hirsch funnel


Reagent

물(H2O) 염화 메틸렌(CH2Cl2)

분자량 : 18.02g/mol 분자량 : 84.93g/mol


밀도 : 1.0g/cm3 (4 ℃) 밀도 : 1.33 g/cm3
녹는점 : 0.00 ℃ 녹는점 : -94.8 ℃
끓는점 : 100 ℃(1기압) 끓는점 : 39.95 ℃
Reagent

무수황산나트륨(Na2SO4) 규조토(SiO2) 카페인(C8H10N4O2)

화학식량 : 142.05g/mol 분자량 : 60.08g/mol


분자량 : 194.1906g/mol
밀도 : 2.664 g/cm3 밀도 : 0.47 g/cm3
밀도 : 1.23g/cm3
녹는점 : 884 ℃ 녹는점 : 1400~1650℃
염화 :메틸렌(CH 녹는점 : 238 ℃
3.
끓는점 1429 ℃ 2Cl2) 끓는점 : 2200 ℃
1
4
Object
Procedure
Procedure
1. 400mL 비커에 물을 절반 채워 티백을 5개 정도 넣고, 농축된 추출물을 만들기 위해 hot plate
로 15-20분간 끓인다.

2. 얼음에 넣어 실온 이하의 온도가 될 때까지 비커를 식힌 후, 티백의 용액을 손으로 최대한 짜내


어 준다.

3. 차가운 상태의 용액에 무수황산나트륨 10g을 녹이고, 3g(혹은 건조 상태의 눈금실린더에


15mL)의 Celite를 넣어준다.

4. Diaphragm pump 또는 aspirator를 연결한 125mL 필터플라스크에 뷰흐너깔때기와 거름종이


를 올려 적신 후, 잠시 진공시켜 거름종이가 깔때기에 꼭 맞게 밀착되도록 한다.
Procedure
5. 작은 비커에 물 10mL와 Celite 2g(혹은 건조 상태의 눈금실린더에 10mL)을 첨가하여 슬러리
를 만들어 Celite 패드를 만들 준비를 한다.

6. Diaphragm pump 또는 aspirator를 다시 켠 후, 슬러리를 빠르게 휘젓고 신속히 뷰흐너깔때


기에 부어 패드가 최소 몇 mm 두께 정도의 균일한 형태가 되도록 한다.

7. 뷰흐너깔때기에 걸러져 나와 필터플라스크에 모인 물은 폐기한다.

8. Diaphragm pump 또는 aspirator를 켜고, 이미 깔때기에 담겨있는 Celite 패드에 티백 추출물


과 Celite 슬러리의 혼합물을 가한다.
Procedure

9. 진공 여과 과정을 끝마칠 때, 잠시 동안 패드의 물기를 빨아들이도록 한다.

10. 이 추출물을 250mL 분별깔때기로 옮겨 담고 염화메틸렌 25mL를 가한 후, 이 혼합물을 2분간


가볍게 흔들어 주어 상 사이의 평형이 이뤄지도록 한다.

11. 깔때기를 10분간 세워둔 후, 아래쪽 층(완전히 분리되지는 않았을 것)을 125mL의 삼각 플라
스크에 빼낸다.

12. 이전 과정과 마찬가지로, 아래층을 빼내기 전에 2분간 가볍게 흔들어준 후 혼합물을 10분간
세워두는 과정을 통해, 수용액층을 염화메틸렌 25mL로 3번 더 추출한다.
Procedure
13. 염화메틸렌층 추출물을 모두 모아 125mL 분별깔때기에 붓고 잔류하는 수용액층이 충분히 위
로 분리될 때까지 몇 분 더 기다린다.

14. 다음 두 가지의 분리 절차 중 하나에 대해 essentially clear lower layer을 사용한다.

1) 125mL 삼각 플라스크에 염화메틸렌층 추출물을 모두 모으고, boiling chip을 넣은 후, 약한 가열이 가능한 후드에
서 몇 밀리리터의 용매를 제외한 모든 용매를 조심스럽게 증발시킨다.

2) 몇 ml를 제외한 염화메틸렌층 추출물을 rotary evaporator로 증발시킨다. 100mL 둥근바닥플라스크를 사용하면 편
리하다. 이떄, 용매를 둥근바닥플라스크의 3분의 1 이상 채워서는 안 된다.

15. 필터 피펫으로 농축된 용액을 소형 승화 장치로 옮긴다.

16. 승화 장치의 상단을 열고 side arm에 연결된 diaphragm pump 또는 aspirator를 사용하여
승화 장치 하단을 부드럽게 가열(히트램프 또는 마이크로 버너 사용)하여 염화메틸렌을 조심스럽
게 증발시킨다.
Procedure
17. 승화 장치의 측면에 있는 카페인을 spatula를 사용해 바닥 중앙으로 긁어낸다.

18. Cold finger를 이용하여 승화 장치를 수직 위치로 고정한다. 그리고 diaphragm pump 또는
aspirator를 side arm에 연결하고 전원을 킨다.

19. Cold finger에 얼음물을 채우고, 카페인이 차가운 표면으로 가라앉을 때까지 작은 불꽃(마이
크로 버너)으로 데운다. 카페인 증기가 더 이상 보이지 않을 때까지 계속한다.

20. Aspirator를 끄고 장치를 몇 분 동안 식도록 한 다음 승화물의 극히 일부가 승화 장치 바닥의


잔여물로 다시 떨어지도록 Cold finger를 조심스럽게 제거한다.

21. 승화물을 계량지에 긁어내고 작은 바이알에 넣는다. 찻잎의 추정 무게(10g)를 기준으로 회수


된 카페인의 대략적인 백분율을 계산한다.
Refenrence

- Alkaloids, M Hesse, Wiley-VCH, 2002.

- 유기화학실험교재, 경희대학교, 2022.

- 화학대사전, 세화, 세화편집부, 2001.05.20.

- 화학백과, 대한화학회

- https://en.wikipedia.org/wiki/Purine

- https://en.wikipedia.org/wiki/Caffeine

- https://ko.wikipedia.org/wiki/emulsion

- https://ko.wikipedia.org/wiki/extraction
Q&A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