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AB 과제]

[1]
원/달러 환율은 월초에는 4 월 배당 시즌에 따른 배당금 역송금 증가로 지난달보다 약세를 보이며 1,134~1,136 원선에서
움직였다. 이후, 호주 경제지표 부진에 따른 호주달러 약세에 연동해 원화도 약세를 보였으며, 4 월 25 일에는 심리적 저지선인
1,060 원이 붕괴되었고, 상승세가 가속화되면서, 1,168.15 원으로 마감하였다. 월평균으로는 1,142.81 원을 기록하며 3 월말
(1,35.18) 대비 2.8% 절하되었다. 특히, 25 일 발표된 한국 1 분기 성장률이 전년대비 1.8%(전기대비-0.3%) 성장하여
시장예상치(2.4%)를 크게 하회하면서, 투자심리가 더욱 악화되었고, 원/달러 환율은 급등하여, 2 년 3 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하게 되었다.

[2]
2019 년 하반기에는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 조짐에 더해 연준의 금리인하 가능성이 환율 변동의 주요 동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 및 경기둔화 우려 고조로 하반기 연준의 금리인하가 예상되며, 이에 따라 2018 년 두드러졌던
달러 강세 흐름이 약화될 전망이다. 달러/유로 환율은 유로존 경기둔화 우려, 정치적 불확실성 지속으로 유로화 약세 압력이
지속되겠으나, 연준의 금리 인하 등으로 상반기에 나타났던 유로화 약세가 되돌려질 것으로 예상된다. 엔/달러 환율은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강화되어 점차 하락하겠으나, 완화적인 통화정책 등의 약세요인이 하단을 제한할 것으로 판단된다. 원/
달러 환율은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로 당분간 상승 가능성이 있으나, 달러 약세 흐름에 점진적으로 하락할 전망이다. 다만,
수출 및 투자 감소 등으로 인한 펀더멘탈 약화 및 수급상 원화 약세 요인으로 하단이 제한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한편
재정환율인 원/엔 환율은 엔화 대비 달러 약세에 대한 원화의 상대적 강세 및 일본은행의 완화적 통화정책 유지 등으로 소폭
하락할 전망이다.

[BA 과제]
[1]
JPY was among the best performing currencies in the G10 space against the USD. The JPY has gained nearly 3.4% against the
USD since Nov 2018 to date. Driving gains in the JPY was the change in tone from the Fed that signal a potentially less
aggressive rate hike in 2019, which could be a prelude to a pause by the Fed. The expectations that the current Fed tightening
cycle is near its end weighed on UST yields, narrowing the yield differentials between the 10Y UST and JGB. This in turn has
kept the JPY supported. Also supportive of the JPY are expectations of slower global growth that weigh on risk appetite, lifting
demand for safe-haven assets including the JPY. Given these developments, we have revised our USDJPY forecast slightly in 1Q
2019 to 110 from 113 previously, and to 107 from 106 in 4Q.

An immediate resolution to trade deal between US and China resulting in risk-on rally and a sharp move lower in USDCNH could
see USDKRW trading closer to 1090-1120 range on a shift into "goldilocks"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benign inflation, Fed
tightening to pause, growth momentum easing but economy still growing) could benefit risk-on FX proxies including KRW.
However, we see differentiated pace of gains to favor higher-yielder FX such as IDR, INR, MYR, as compared to KRW (lower
yielder among AXJs).

[2]
Another tough year for the EUR – glacial ECB normalization, the Italian budget, European Parliamentary elections – suggest the
SNB may have to suffer EUR/CHF in the 1.08/10 region early next year. Should the ECB be able to deliver its first rate rises in
the cycle late in 2019, EUR/CHF has a shot at recovering to 1.15. But 2019 looks to be a year of downside risks to this cross rate.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