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AB 과제]

[1]

지난달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세계경제 성장 전망치를 또다시 3.1%로 하향 조정했다. IMF 는 작년 1 월에 올해 전망을


3.7%로 시작해 석 달 후에 이를 3.8%로 살짝 상향 조정한 뒤 네 번이나 지속적으로 낮췄다. 그때마다 중국 경제의 전환에 따른
경착륙 우려, 원유 등 원자재 가격 하락, 테러와 난민문제 심화 등 지정학적인 위험 고조, 지난 6 월의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결정까지 다양한 요인을 하향 조정의 근거로 제시했다. 성장 기대가 낮아지면 중장기적으로는 경제주체의
소비와 투자 감소로 이어져 잠재성장률 하락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반면 브렉시트의 실질적 여파는 점진적으로 미치나
영국과 유럽연합(EU)의 협상이 순조롭지 못하면 무역장벽 강화 및 금융시장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커져 내년성장률이 당초
3.4%에서 2.8%로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IMF 는 경고하고 있다. 

[2]

▶ [세계경제] KIEP 는 2022 년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전망치 대비 1.1%p 하향조정하여 3.5%로 전망하고, 2023 년
세계경제 성장률은 3.6%로 전망
- 2022 년 하반기 세계경제는 ‘정책 전환기, 경로의 초불확실성’에 노출되어 있으며, 특히 △통화정책 △지정학적 충돌 △
방역정책 등과 관련된 정책경로가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 [선진국] 전쟁은 공급망을 교란하고 수급불균형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을 더욱 확대하며, 코로나 19 이후 경기회복과
물가안정 사이의 상충관계에 직면해 있는 통화당국의 어려움을 가중시키면서 경기회복세를 둔화
- 미국은 △코로나 19 여파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의 교란 △수급불균형으로 인한 높은 인플레이션 △미 연준의 긴축적
통화정책 기조 등으로 인해서 성장세가 다소 둔화
- 유로 지역과 영국은 에너지 가격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과 공급망 교란 등으로 인해서 성장세가 상당히 둔화
▶ [신흥국] 대부분의 신흥국은 높은 인플레이션 압력 등 대외여건의 악화로 인해서 코로나 19 이후 경기회복세가 둔화될
것이나, 아세안 5 개국은 대체로 코로나 19 발생 이전의 성장세를 회복

[BA 과제]

[1]

Following more than two years of pandemic, spillovers from the Russian Federation’s invasion of Ukraine are set to sharply
hasten the deceleration of global economic activity, which is now expected to slow to 2.9 percent in 2022. The war in Ukraine is
leading to high commodity prices, adding to supply disruptions, increasing food insecurity and poverty, exacerbating inflation,
contributing to tighter financial conditions, magnifying financial vulnerability, and heightening policy uncertainty. Growth in
emerging market and developing economies (EMDEs) this year has been downgraded to 3.4 percent, as negative spillovers from
the invasion of Ukraine more than offset any near-term boost to some commodity exporters from higher energy prices. Despite the
negative shock to global activity in 2022, there is essentially no rebound projected next year: global growth is forecast to edge up
only slightly to a still-subdued 3 percent in 2023, as many headwinds – in particular, high commodity prices and continued
monetary tightening – are expected to persist.

[2]

The global economy looks poised to slow moderately from 3.8% in 2018 to 3.5% in 2019, led by deceleration in the US and
further softening in China. But with growth still above potential in most DM economies, we look for continued labor market
tightening, gradually rising core inflation, and in many cases higher policy rates.
We think concerns about the global impact of tighter Fed policy are overdone. Spillovers to EM are real, but the market has
already priced 11 of the 13 hikes we expect for this cycle, so most of the adjustment to more normal US interest rates is probably
behind us. The main risk to this view is a more substantial US overheating that eventually forces steeper rate hikes.

Although growth in Europe and Japan has decelerated in the course of 2018, it remains above trend. This should put further
downward pressure on the unemployment rate and keep the recent upward trend in wage growth intact. However, with core
inflation still far below the target, the Italian budget crisis unresolved, and Brexit negotiations ongoing, the risks to our forecasts
of a first hike in the ECB deposit rate in Q4 2019 are tilted to the later side.

Beyond 2019, the risk of a global recession is likely to rise as more and more DM economies move beyond full employment.
However, even in subsequent years recession is not our base case. Financial imbalances still look very limited, and the flatter and
more anchored Phillips curve has reduced the need for central banks to reverse an overshooting of full employment quickly.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