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내분비계 당뇨병

1. 다음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제 1 형 당뇨병은 바이러스성 질환에 감염된 후 생성되는 항체에 의한 자가면역질환이다.


2. 제 1 형 당뇨병은 특정 항원 발현에서 발생빈도가 높다. 
3. 당뇨병의 치료 목표는 합병증의 예방 및 진행을 억제하는 것이다.
4. 제 1 형 당뇨병은 진단 당시 고혈당에 의한 합병증이 잘 동반된다.
5. 제 2 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이 주된 원인이므로 인슐린 주사가 필요하다.

정답] 4 번
제 1 형 당뇨병은 췌장 베타세포의 90% 이상이 파괴되었을 때 급작스럽게 나타나는 당뇨병이기에 환자는 발병 이전
고혈당 증상을 보인 시기가 짧습니다. 그러므로 제 2 형 당뇨병과는 달리 고혈당에 의한 합병증이 덜 나타나게 됩니다.

2. 50 세 남자 환자가 전신 피로감, 체중감소로 내원하였고, 신장 175cm, 몸무게 87kg, 검사실 소견은 다음과 같았다. 
내원 시 측정한 혈당 수치: 13 mmol/L, HbA1c:7.6% C-peptide: 2.07 umol/L (0.09~4.07) 신경전달속도 검사: sensory
polyneuropathy 이 환자에서 적절하지 않은 사항을 선택하시오.

1. 신경학적 증상은 낮보다 밤시간에 심하여 원위부에 나타난다.


2. 이 환자에서는 식이 운동요법과 함께 biguanide 제제의 약물을 사용해야 한다.
3. 이 환자에서는 인슐린 저항이 동반되며, 다른 부위의 합병증 검사가 필요하다.
4. 이 환자에서는 약물에 의한 이차성 실패가 동반되지 않는다.
5. 인슐린 분비과정에서 acute phase 의 장애가 동반되지 않는다.

정답] 5 번
당뇨병 증상을 보이는 환자의 나이가 50 세라는 점과 C-peptide 수치가 유지되고 있다는 점으로 2 형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2 형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과정에서 acute phase 에 문제가 나타납니다. 또한, 메트포르민의 경우 약의 2
차성 실패가 동반되지 않습니다.
*T2DM 에서는 식후에 인슐린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혈당을 조절하지 못하고 느리게 증가하거나 분비 X 된다.

3.  18 세 여자 환자가 오심 구토 복통을 호소하여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혈압 98/56mmHg 호흡수 34 회/분 체온 37.8 도


였으며 검사실 소견은 다음과 같다.
혈당 107mmol/L HbA1c 14.7% 동맥혈 분석 pH 6.82 Na 158mEq/L 소변 케톤 (++)

1. 가장 먼저 0.9% 생리식염수를 정맥주사한다.


2. 이 환자에서 동반된 소화기계 증상은 이 질환과 무관하다.
3. 호흡을 통하여 산증이 교정되는 중이므로 치료없이 관찰한다.
4. 치료 중 소변의 케톤 증가는 이 질환이 악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5. 치료 중 저칼륨혈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혈관 내로 직접 보충해주어야 한다.

정답] 5 번(21) or 1 번(22)


DKA 증상을 보이고 있는 여환입니다. DKA 치료는 생리식염수 -> 인슐린 -> acidosis(bicarbonate) 교정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1) 위 환자의 경우 혈액검사 결과 Na > 150mEq/L 로 정확히는 0.45 half saline 을 투여하고,
2) 오심과 구토는 DKA 의 증상으로 응급실로 내원 시 충수염과 감별 해야합니다.
3) 또한 호흡을 통해 산증이 교정되었다고 보는 수치는 pH 7.0 입니다. pH 6.82 이므로 호흡으로 산증이 교정되지
않았으므로 bicarbonate 치료가 필요합니다.
4) 소변의 케톤 증가는 질환의 악화가 아니라 케톤이 다른 형태(acetoacetate, acetone)로 전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호전 중에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5) 인슐린 투여로 저혈당이 온 경우 DW+glucose 를 천천히 투여하여 뇌부종을 예방합니다. 또한 고혈당의
상태에서 insulin 을 주면 glucose 뿐만이 아니라 K+도 carrying 되어 hypokalemia 가 발생합니다. 그러면
prominent U wave 가 관찰되어 potassium 을 적절히 보충해주어야 합니다.

4. 48 세 남자 환자, 아침 직전 NPH 20 단위와 초속효성 인슐린 8 단위, 저녁 식전 NPH 8 단위 투여했다.


오전 6 시 148mg/dL, 오전 11 시 62mg/dL, 오후 4 시 132mg/dL, 취침전 107mg/dL, 새벽 2 시 171mg/dL 일 때, 다음으로
적절한 것을 고른 것은?

1. 아침 식전 NPH 와 초속효성 인슐린 용량 모두 감량한다.


2. 아침 식전 초속효성 인슐린만 감량한다.
3. 아침 식전 초속효성 인슐린 감량하고, 저녁 식전 NPH 는 증량한다.
4. 저녁 식전 NPH 만 증량한다.
5. somagyi 현상이며, 새벽시간에 간에 저장된 당분이 혈액 내로 분비되기 때문이다.

정답] 4 번
환자는 새벽 2 시에 고혈당을 보입니다. 새벽 2 시에 고혈당은 GH surge 로 인한 Dawn phenomenon 이고 이러한 증상을
보일 때는 인슐린을 증량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새벽 2 시 혈당에는 저녁 식전 중간형 인슐린이 영향을 주므로 4 번이
정답입니다.
*저녁에 음식을 섭취하지 않아도 뇌에서는 항상성을 유지하려고 관성적으로 혈당을 높이려 한다. 새벽에 생긴 저혈당에
대한 보상작용이 일어나 아침의 공복혈당이 높은 것을 somagyi effect 라고 한다. 이 경우 새벽에 고혈당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GH surge 와 구분된다.

5. 인슐린에 대해 옳은 것은?

1. 설폰요소제는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 제 1 형 당뇨병에서 사용된다.


2. a-glycosidase inhibitor 는 주로 공복혈당 조절에 유리하다.
3. DPP4i 는 b 세포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어서 제 1 형 당뇨병 환자에 사용된다.
4. 모든 인슐린 분비 촉진제는 공복혈당 조절에 유리하다.
5. biguanide 제제는 체중 감소, IR 에 유리하다.

정답] 5 번
1) 설폰요소제는 췌장베타세포에 작용하기 때문에 2 형 당뇨 only!
2) 식후혈당 조절에 효과적인 약제입니다
3) DDP 4 inhibitor 는 glucose dependent 하게 췌장베타세포를 자극하는 GLP-1 을 분해하는 것을 억제하는
약물이기에 틀린 선지입니다
4) 인슐린 분비촉진제 중 GLP-1 agonist, DPP 4 Inhibitor 는 식후에 glucose dependent 하게 작용할 수 있는
약제이기에 틀린 내용입니다.
*설폰요소제 – 베타세포를 자극하여 인슐린 분비↑, 약물의 2 차 실패를 유발, 혈당강하효과는 좋음!

DPP-4 억제제, GLP-1 수용체 작용제 – 혈당강하효과는 low BUT 2 차성 실패가 적다! (고혈당에만 인슐린 분비)

메트포르민 – 임신 중 사용가능, 당 신생↓, 신기능 저하 시 사용 X, 간에서 당 분비를 억제, 당 이용률↑

티아졸리딘디온 – IR 개선, 당 이용률↑

SGLT-2 억제제 – 당 배설↑/ a-glycosidase inhibitor – 탄수화물 흡수 지연

6. 59 세 남자 환자가 불분명한 의식상태로 내원하였다. 최근까지 인슐린 주사 치료를 하였으며 3 일 전부터 고열과
호흡곤란이 있었다. 혈압 : 128/74mmHg,  호흡수 : 32/분, 체온 : 39.2°C, 혈당 : 785mg/dl,  pH : 7.1, Na+ : 138mEq/L,
K+ : 2.9mEq/L 일 때, 이 환자에서 적절한 사항을 선택하시오.

1. DKA 환자에서 보다 케톤 생성이 더 활발히 일어난다.


2. 치료 도중 혈당이 떨어지면 생리식염수에 포도당을 혼합하여 정맥주사한다.
3. increased anion gap 대사 산증의 소견을 보이므로 치료를 요한다.
4. 저칼륨혈증은 인슐린 주사 치료로 칼륨의 이동에 의해 발생한다.
5. 속효성 인슐린 주사로 즉시 혈당을 정상화시켜야 한다.

정답] 4 번
59 세 남환으로 HHS 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1) HHS 는 2 형 당뇨병 환자에서 나타나는 급성 대사성 합병증이기에 DKA 보다 케톤생성이 더 적게 나타납니다
2) 생리식염수가 아닌 Distilled Water 입니다!
3) 케톤 생성이 적으므로 anion gap 은 증가하지 않습니다
5) 즉시 혈당을 정상화시키면 Cerebral edema 의 위험이 늘어나므로 혈당은 항상 천천히 교정 해야합니다.
*감염과 같은 major stress 로 HHS 가 발생합니다. 고령에서 고열, 호흡곤란, 고혈당을 동반한 경우 HHS 를 의심합니다.

7. 다음 중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1. 우리나라 여성은 고위험군에 속해 있어서 임신 24-28 주후에 100g OGTT 를 시행한다.


2. 임신성 당뇨는 인슐린을 쓰나 biguanide 제재를 쓸 수도 있다.
3. 임신성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이 조절되지 않으면 대게 저체중아의 출산 빈도가 높다.
4. MODY 는 강한 가족력을 보이는 제 2 형 당뇨병의 한 형태로 경구 혈당강하제만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5. MODY 는 비교적 긴 유병기간을 가지며 간에서 당대사에 필요한 효소의 유전적 결핍에 의해서 발병한다.

정답] 2 번
1) 100 이 아니고 50 mg 입니다
3) 저체중아가 아니고 거대아 입니다
4) MODY 는 6 가지의 type 이 있다고 하셨는데 그 중에는 인슐린 치료가 필요한 것도 있다고 하셨습니다
5) MODY 는 간의 당 대사 효소결핍으로 유병 기간이 길지 않습니다.

8. 69 세 남자 환자가 시력감퇴로 내원하였다. 이 환자는 15 년 전부터 당뇨약을 복용 중이었으며, 검사실 소견은 다음과
같다. 다음 중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혈당: 15mmol/L, HbAlc: 9.0%
-안저 검사 소견: 미세 동맥류, 점상출혈

1. 유병기간이 길어 철저한 혈당 조절이 필요하다.


2. 망막병증 초기에 나타나는 안저 소견이므로 관찰한다.
3. 증식성 망막증이므로 시간이 지나면 황반 부종이 동반된다.
4. 신생혈관이 만들어지면 시력을 상실 할 수도 있다.
5. 미세혈관 합병증에서 발생 빈도가 가장 높다.

정답] 4 번
당뇨병의 합병증 중 하나인 망막병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 환자는 비증식성 망막 병증 상태이지만 신생혈관이
생성되는 증식성 단계로 넘어가게 되면 상이 맺혀야 하는 부분에 혈관이 새롭게 증식하여 시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위 환자는 관찰이 아닌 망막병증으로 생긴 동맥류를 photocoagulation 으로 결찰 해야 합니다.
9. 다음 약제에서 식후 고혈당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메글리티나이드
2. Metformin
3. SGLT 2 억제제
4. 솔폰요소재
5. DPP 4 억제제 

정답] 1 번
교수님이 풀이 중 메글리티나이드는 췌장 베타세포를 자극해서 인슐린 분비를 늘림과 동시에 그 작용시간이 길지
않아서 식후 고혈당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SGLT-2 와 설폰요소제는 식전, 식후 혈당에 모두 작용하고
메트포르민은 공복 혈당에 작용합니다.
*alpha glucosidase 억제제도 식후 고혈당에 효과적입니다.

10. 대사증후군 설명에서 적절하지 않은 것을 선택하세요.

1. 대사증후군은 insulin 저항성과 관련이 있다


2. HDL 수치는 남자에서 50, 여자에서 40mg 이하이다. -> 남장 35, 여자 40 으로 변경한다고 가정
3. 진단기준에서 혈압, 공복혈당 중성지방, 고밀도 cholesterol 이 있다.
4. 심혈관 질환과 당뇨병의 발생이 높으며 유전적 소인과 환경이 복합
5. 3 가지 이상이 있으면 대사증후군이다

정답] 5 번
다음 기준 중 3 가지 이상 + 복부비만을 반드시 포함해야 된다
*대사증후군의 임상적 확인: 복부비만 (남자 >90 , 여자 >80)
중성지방 >150 (greater than or equal to)
HDL cholesterol (남자 <35, 여자 <40)
혈압 >140/85mmHg (greater than or equal to)
공복혈당 > 100mg/dL (greater than or equal to)
(11-12)

11. 다음 중 바르게 연결한 것을 고르시오.

1. A-공복혈당 B-식후혈당 C-인슐린저항성 D-인슐린


2. A-식후혈당 B-공복혈당 C-인슐린저항성 D-인슐린
3. A-공복혈당 B-식후혈당 C-인슐린 D-인슐린저항성
4. A-공복혈당 B-인슐린저항성 C-인슐린 D-식후혈당
5. A-식후혈당 B-인슐린 C-인슐린저항성 D-공복혈당

정답] 2 번
제 2 형 당뇨병의 자연경과로 유병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베타세포의 기능저하에 따른 혈당 상승을 보입니다.

12. 위의 도표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제 2 형 당뇨병은 진단되기 전 혈당이 높은 기간이 짧음을 알 수 있다.


2. 제 2 형 당뇨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슐린 주사가 필요할 수 있다.
3. 제 2 형 당뇨병은 진단 전 합병증 동반 가능성이 높다.
4. 인슐린 저항성을 극복하기 위해 체중 감소 필수적이다.
5. 제 1 형 당뇨보다 케톤산증 발생이 낮다.

정답] 1 번
제 2 형 당뇨병은 진단되기 전 혈당이 높은 기간이 길다.

13. 임신 26 주의 산모에게 아침식사 2 시간 후에 50g 의 glucose 를 경구투여하고 1 시간 후에 측정한 venous plasma


glucose 값이 169mg/dL 이다. 다음에 시행해야 할 검사는?  (22)

1. 100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2. HbA1c
3. 공복에서 75mg 의 glucose 를 경구투여하고 1 시간 후 venous plasma glucose 를 다시 측정한다.
4. fasting plasma C-peptide 측정
5. fasting insulin level 측정

정답] 1 번
임산부를 대상으로 임신성 당뇨에 대한 검사는 24~28 주 시점에 시행하며 2 단계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우선
50g OGTT 후 혈당 수치가 140 mg/dl 이상이면 2 차로 100g OGTT 후 혈당 수치를 확인해 확진합니다(1 시간 180, 2 시간
155, 3 시간 140)

14. 65 세 남자가 지속되는 양쪽 발끝 저림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당뇨병은 20 년전부터 인슐린으로 혈당 조절하고
있었다. 아래는 검사결과이다. 증상과 관련하여 맞는 것은? 
공복혈당 145mg/dl 당화혈색소 9.1% 요당+ 인슐린 5.8mcU/ml C peptide 2.3 ng/ml AST/ALT 31/28 IU/L BUN/Cr
16/0.9 그외 검사 정상 Spine MRI 정상 /lower leg doppler 정상 QST 상 small five dysfunction

1. 증상은 밤에 심하게 나타나고 낮에는 증상이 약화된다


2. 사지의 근위부 위주로 침범하고 흡연과 음주는 증상을 약화시킨다
3. 당뇨병에 의한 합병증은 빈도가 낮다
4. 10g monofilament test 에서 5 곳 이상 느끼지 못하면 족부 병변의 가능성이 높다.
5. 폴리오 경로 감소가 주된 기전이다

정답] 1 번
당뇨병의 합병증으로 당뇨병성 신경병증에 대한 설명입니다. 신경병증은 밤에 악화, 낮에 약화되는 특성을 보입니다.
2) 원위부 위주 침범
3) 2 형 당뇨이므로 합병증 빈도가 높다
4) 3 곳 이상인 경우 족부 병변의 가능성이 높다고 판정한다.
5) 폴리오 경로 증가가 주된 기전이다.

15. 당뇨의 진단검사는 매우 다양하다. 다음 중 당뇨가 가장 많이 진단될 수 있는 기준은? 

1. HbA1c
2. fasting plasma glucose
3. unequivocal hyperglycemia
4. 75g oGTT post-load 2 hour glucose
5. typical diabetes symptoms with random glucose

정답] 4 번
75g OGTT 검사가 가장 bias 가 없는 정확한 검사 방법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16. 34 세 여자환자가 임신 10 주로 확인되어 처음 검진 중 아침 금식 혈당이 128mg/dL 로 확인돼 다음날 다시 검사해


금식혈당이 130mg/dL 로 확인됐다. 다음 조치는? 

1. 인슐린 치료
2. HbA1C 측정
3. 식후 1 시간 혈당 측정
4. 100g OGTT 시행
5. 24 주에 100g OGTT 재시행

정답] 1 번
공복혈당검사 126mg/dl 이상을 두 번 만족하였으므로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고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이 경우
임신 10 주이므로 임신성 당뇨가 아니라 DM with pregnancy 입니다.

17. 46 세 남자로 당뇨병 과거력 없던 환자로 최근 검진결과 공복혈당 192mg/dL 로 확인되어 당화혈색소 검사를
시행하였고 10.5%로 확인되었다. 환자는 다음, 다뇨, 다갈 증상을 호소하였다. 다른 병력은 없었다. 위 환자에서 식생활
습관 개선과 함께 일차 약제로써 선택해야할 약제는? 

1. 메트포르민
2. 설폰요소제
3. DPP-4 inhibitor
4. TZD
5. 인슐린

정답] 5 번
당화혈색소 8.5-9% 이상은 인슐린을 사용합니다.
18. 42 세 여자 환자가 6 개월 전 당뇨병을 진단받아 하루에 metformin 을 1g 씩 2 회 복용하였다. 환자의 신장은
160cm/85kg 이고 동반 합병증은 없다. 이번 혈당검사에서 HbA1c 는 8.0%으로 2 차 약제로 변경하려 하는데 체중감소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인다. 이에 가장 적절한 약제를 고르시오.

1. Sulfonylurea
2. SGLT-2 inhibitor
3. Thiazolidinedione
4. DPP-4 inhibitor
5. Insulin

정답] 2 번
설폰요소제는 부작용으로 저혈당과 체중증가가 있고 TZD 는 부작용으로 부종과 체중증가(인슐린 저항성에 가장 효과적)
인슐린은 저혈당과 체중 증가의 부작용이 있습니다. DPP-4 inhibitor 체중 증가 혹은 감소도 없고 저혈당 빈도도
낮습니다. SGLT2 inhibitor 는 체중감소와 소변량 증가의 특징이 있어 위 환자에 가장 적절한 약제입니다. 

19. Serum glucose 1149mg/dL, HbA1c 11.5%, ABGA 7.4-51.8-77.7-29.7, CBC 9520-14.4-192K, seg 92.4%, CRP 4.47,
Na-K-Cl-TCO2 138-3.4-112-22, BUN/Cr 65/2.8, Plasma ketone 음성
위 검사 결과에서 Diabetes ketoacidosis 에서 회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지표로서 가장 적절한 것은? 

1. Arterial pH
2. Serum HCO3-
3. Anion gap
4. Urine ketone test
5. Plasma glucose level

정답] 1 번
정상 범위가 좁을수록 회복지표로서 유리하다고 하셨습니다. 또한 Urine ketone test 가 가장 부적절한 지표입니다.

20. 32 세 여자가 5 분전 시작된 호흡곤란과 고열로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10 년전 제 2 형 당뇨병으로 진단받고


metformin, glimepiride, DPP-4i 로 혈당조절을 해오다, 15 일전 DPP-4i 를 SGLT-2i 로 변환하였다. 환자는 키 154cm, 체중
64kg 이었고 체중조절을 위해 저탄수화물 식사를 해오고 있었다. 음주력은 부인하였고, 당뇨병 이외의 복용약제는
없었다. 검사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이 환자의 산염기 장애의 유발 원인을 쓰시오.
V/S 139/77-112-34-39.5, CBC 13700-15.2-253 Na-K-Cl-TCO2 135-3.4-104-5.4, ABGA 7.055-10.9-125-3, glucose
191mg/dL, HbA1c 9.3%, lactate 8.8mg/dL, U/A pH 5.0, Glc 4+, ketone 3+, Chest X 선 검사: pneumonic infiltration

1. Asthma
2. Diabetic ketoacidosis
3. Renal failure
4. Lactic acidosis
5. Pneumonia

정답] 5 번

위 환자는 DKA 증상을 보이고 이는 폐렴과 같은 감염으로 유발될 수 있습니다.

21. 80 세 남자가 의식저하로 응급실로 왔다. 혼자사는 노인으로 당뇨병과 고혈압으로 투약 중이었으며, 10 년전
뇌경색으로 우측 상하지에 마비가 왔다. 3 주 전부터 말이 어눌해지고, 기침과 가래가 나타났으나 별다른 치료를
실시하지 않았다. 수일 전부터 연락이 되지 않아 이웃이 연락했는데 탈수 증상과 의식 저하가 나타났다. 환자의 진단은? 

1. Diabetic ketoacidosis
2. Alcoholic ketoacidosis
3. Starvation ketoacidosis
4. lactic acidosis
5. HHS
정답] 5 번
80 세 남자가 당뇨병, 고혈압을 이미 앓고 있으며, 탈수증상과 의식저하가 나타났으므로 HHS 입니다. 유발인자로 old
age, infection, 치료받지 않은 당뇨가 있으며, 병리 생태 핵심은 탈수증상입니다.
*탈수가 나타나지 않았을 경우 저혈당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22-26)

22. 18 세 남자가 내원 1 일 전 발생한 구역, 구토 증상으로 왔다. 이전에 건강하던 환자는 3 개월 전부터 갈증, 다음, 다뇨,
7kg 체중감소가 발생하였다. 검사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이 환자의 진단으로 옳은 것은? 
[과거병력-, 가족력-, 사회력(고등학생, never-smoker, alcohol-), 키/체중 178cm/54kg, 신체징후 110/70mmHg, PR
110/min, RR 28/min, BT 36.2, ABGA 7.03 - 17.3 - 157 - 7.4, CBC 18400 - 17.1 - 424K, Na-KCl-TCO2 138 - 3.4 - 98 -
10mmol/L, BUN/Cr 24/1.1mg/dL, glucose 788mg/dL, HbA1c 10.7%, urine ketone bodies 2+, lactate 1.55mmol/L]

1. Diabetic ketoacidosis
2. alcohol ketoacidosis
3. starvation ketoacidosis
4. renal failure
5. lactic acidosis

정답] 1 번
pH 가 7.03 으로 낮고, 소변에서 케톤체가 검출되었으며 환자의 나이가 젊기 때문에 type 1 당뇨의 합병증인 DKA 임을 알
수 있습니다.

23. 위 질환의 병태 생리에서 감소하는 것은?

1. 글루카곤 분비
2. 간에서의 당 신생
3. 골격근에서 당 이용률
4. 간에서 케톤체 생성
5. 지방 조직에서 유리 지방산 유리

정답] 3 번
DKA 에서는 골격근에서 당을 이용하지 못하고, 간이 혈액 내 당이 적다고 인식하여 당을 신생합니다. 또한 세포의
starvation 때문에 글루카곤의 분비가 증가한다

24. 상기 환자에게 가장 먼저 시행해야 할 치료를 고르시오. 

1. K+ 보충 
2. 0.9% 생리식염수 
3. 인슐린 투여 
4. 항생제 투여 
5. bicarbonate 투여 

정답] 2 번 
DKA 이므로 생리식염수 투여가 가장 먼저 시행되어야 합니다. (KMLE pg. 192 참고) 

25. Diabetic ketoacidosis 환자에서 회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지표로서 가장 부적절한 검사는?  

1. 혈청 포도당 농도
2. 동맥혈 기체 분석
3. 혈청 음이온 차
4. 혈청 케톤 농도
5. 혈청 K

정답] 4 번
DKA 치료(수액, 인슐린, acidosis 교정) 시 생성되었던 케톤체인 betahydroxy-butyrate 가 더 이상 체내에 필요 없게
되므로 acetoacetate 등의 다른 케톤체로 전환되어 urine 을 통해 배출됩니다. 그러므로 DKA 환자에서 소변에 케톤이
포함된다는 것은 오히려 치료가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26. 위 환자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 

1. 치료 중 심전도 검사에서 tall tented T wave 가 나타날 수 있다.


2. 혈당은 빠른 시간에 정상 범위로 조절해주어야 한다.
3. 뇌부종 예방을 위해서는 5% D/S 수용액을 사용한다.
4. 혈청 insulin/ 혈청 ketone 비는 hyperosmolar nonketotic state 보다 작다
5. 치료 중 소변 케톤이 증가되는 것은 당뇨병의 치료가 잘못되었음을 시사한다.

정답] 4 번
DKA 는 type I DM 환자에서 보이는 급성 합병증으로 혈청 인슐린은 거의 0 에 수렴하고 케톤은 HHS 보다 훨씬 다량이
생성됩니다. 그러므로 혈청 insulin/ 혈청 ketone 비는 hyperosmolar nonketotic state 보다 작습니다.
1) 저칼륨혈증으로 peaked U wave 가 나타납니다.
2) 혈당을 빠른 시간에 교정하면 뇌부종이 발생하므로 천천히 교정해야 합니다.
3) 뇌부종 예방을 위해서는 D/S 가 아닌 D/W 을 사용합니다.
5) 소변 케톤 증가는 치료의 호전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27. 10g monofilament 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궤양이 있는 부위를 집중적으로 검사한다.


2. 10 곳을 검사하여 10 곳 모두 감지해야 정상 판정을 할 수 있다.
3. 모노필라멘트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피부에 비스듬히 접촉시킨다.
4. 환자에게 모노필라멘트를 접촉하는 것을 일일이 보여주면서 검사 진행한다.
5. 감지부위가 없으면 발이 전반적으로 protective sensation 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정답] 5 번
궤양이 있는 부위는 피해서 검사를 해야하며 검사결과 10 곳 중 9 곳 이상을 감지하면 정상 소견입니다. 모노필라멘트는
피부와 직각이 되게 접촉시켜야 하며 환자에게 접촉하는 것을 보여주면 안됩니다.
*10g monofilament 검사에서 발바닥만 검사하는 것은 아닙니다. 엄지와 검지발가락 사이도 검사 범위입니다.

28. 제 1 형 당뇨병 발병 후 가장 먼저 관찰되는 증상은? 

1. 단백뇨
2. 기형아
3. 고질소혈증
4. 미세 알부민뇨
5. 사구체 과여과

정답] 5 번
1 형 당뇨병 환자에서 가장 먼저 확인할 수 있는 임상증상은 사구체 과여과 입니다. 정수압의 증가로 단백뇨가
나타나지만 가장 먼저 관찰되지는 않습니다.

29. 20 세 남자 환자, 최근 목이 마름을 호소했다. 내원 당일 아침 의식소실 상태로 발견돼 내원했다. 내원 당시 혈압은


90/50mmHg, 맥박 분당 118 회, 체온 38 도, pH 7.0, HCO3- 5mEq/L, Na 135mEq/L, K 4.0mEq/L, BUN/Cr 55/2.5mg/dL,
혈당 500mg/dL, serum ketone(+) 이 환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간당 5-10ml/Kg 로 생리식염수 투여한다


2. 인슐린을 0.15U/Kg 로 투여한다.
3. 시간당 K 10mEq 로 교정한다.
4. 혈장 포도당 농도가 250mg/dL 까지 감소하면 포도당을 투여한다.
5. 혈당을 1-2h 간격으로 확인한다.
정답] 3 번
위 환자는 DKA 의 증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DKA 치료는 생리식염수 -> 인슐린 -> acidosis(bicarbonate) 교정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이 환자의 경우 K 수치가 정상 범주 내에 있으므로 K+을 교정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30. 55 세 남자가 전신부종 등 증상을 호소하며 내원하였다. 공복 혈당이 230mg/dl, creatinine 은 3.1mg/dl 이었다. 다음
중 옳은 것은?

1. 혈압 조절로 ACEi 사용한다.


2. 신기능이 저하된 환자에 인슐린을 더 투여해야 한다.
3. 저혈당 위험이 높으므로 HbA1c 조절을 8% 이하로 한다.
4. metformin 대사성산증 위험이 없어 안전하다.
5. TZD 는 인슐린 저항을 감소시키므로 유용하다.

정답] 1 번
당뇨병 환자는 신기능이 저하된 경우가 많기에 신기능 보호를 위해 ARB or ACEi 를 많이 사용합니다.
2) 신기능이 저하되면 인슐린을 감량합니다
3) HbA1c 조절을 6.5% 이하로 합니다
4) 메트포르민은 대사성산증의 위험이 있습니다.
5) TZD 는 IR 을 개선시키나 부종을 유발하므로 위 환자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31. HbAlc 14%로 확인되어 혈당 조절 불량으로 입원한 52 세 남자 환자가 인슐린 다회 요법 중이다. 만성 미세혈관
합병증은 없으며, 입원 후 교육받은 대로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적용 중 금일의 혈당이 다음과 같다면, 내일의 인슐린
요법으로 적절한 것은?

long acting 20 IU X X X

rapid acting 10 IU 10 IU 10 IU X

time 조식 전 중식 전 석식 전 새벽 2 시

BGL 130 250 120 60

1. 지속성 인슐린을 감량한다.


2. 조식 전 rapid acting 을 동일 양으로 투여한다.
3. 중식 전 rapid acting 을 감량한다.
4. 석식 전 rapid acting 을 증량한다.
5. 금일과 동일하게 유지한다.

정답] 1 번
새벽 2 시 혈당 수치가 낮으므로 Somagyi effect 임을 알 수 있기에 원칙은 인슐린을 감량하는 것입니다. 새벽 2 시에
영향을 주는 인슐린은 지속성 인슐린이므로 1 번 선지가 정답입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