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신규 간호사를 위한 진짜 실무 팁

꼭 알아야 할 간호 실무의 무엇부터


포인트를 알려드릴게요!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혈액검사편
입사 전후 병원 적응 및 실무에 어려움을 겪는

신규 간호사를 위한 진짜 실무 팁

핵심을 짚은 프셉마음 미니북으로 임상 적용력 UP!


1 일반혈액검사

1 참고치

검사 항목 참고치
WBC 4.00~10.00×103/μL
여자: 4.00~6.00×106/μL
RBC
남자: 4.50~6.50×106/μL
여자: 36.0~47.0%
Hct
남자: 40.0~54.0%
여자: 12.0~16.0g/dL
Hb
남자: 13.0~17.5g/dL
PLT 150~450×103/μL
ESR ≤20mm/hr
MCV 80.0~100.0fL
MCH 28.2~33.3pg
RBC index
MCHC 32.0~36.0g/dL
RDW 11.0~15.0%
Segmented neutrophil 48~75%
Lymphocyte 15~40%
WBC D/C Monocyte 2~11%
Eosinophil ≤5%
Basophil ≤2%
2 임상적 의의

검사 항목 증가 및 감소 시의 임상적 의의

증가 백혈병, 급성 감염증 등
WBC
감소 재생 불량성 빈혈, 과립구 감소증, 악성 빈혈, 비장기능항진 등

증가 진성 다혈구증, 탈수, Shock, 부신부전증, 심폐질환 등


RBC 각종 빈혈, 골수기능부전, SLE(Systemic Lupus
감소
Erythematosus, 전신 홍반성 루푸스) 등 만성 질환

증가 다혈구혈증, 황달, 선천성 심질환, 고산병, 폐기종 등


Hct
감소 빈혈, 간경변증, 출혈, 임신 등

증가 만성 일산화탄소중독증, 심장질환, 혈색소 농축, 화상, 탈수 등


Hb 빈혈, 백혈병, 관절염, 만성 질환, 출혈, 용혈, 임신,
감소
갑상샘기능항진증 등

골수증식성 질환, 원발성 혈소판 증가증, 진성 다혈구증,


증가
만성 과립구성 백혈병 등
PLT
골수에서의 생산 저하(재생 불량성 빈혈), 백혈병, 암전이,
감소
다발성 골수종, 골수 섬유종, 거대 적아구성빈혈 등

염증, 조직손상으로 인한 α2-Globulin 및 섬유소의 증가,


증가
세균성 감염, 류머티즘열, 심근경색증, SLE 등 자가면역질환
ESR 적혈구증가증, 진성 다혈구증, 구상 적혈구혈증, 겸상 적혈구
감소 빈혈, DIC(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악액질(Cachexia) 등
2 혈액응고검사, 지질검사

1 참고치

검사 항목 참고치
PT(INR) 0.8~1.3
PT(%) 70~140%
PT(sec) 11.8~15.3sec
aPTT 28.8~45.4sec
최적 < 200mg/dL
Total cholesterol 경계성 200~239mg/dL
높은 수치 ≥ 240mg/dL
낮은 수치, 고위험 < 40.0mg/dL
HDL-cholesterol
높은 수치, 저위험 ≥ 60.0mg/dL
최적 < 100mg/dL
최적 근처 또는 최적 상위 100~129mg/dL
LDL-cholesterol 경계성 130~159mg/dL
높은 수치 160~189mg/dL
매우 높은 수치 ≥ 190mg/dL
2 임상적 의의

검사 항목 증가 및 감소 시의 임상적 의의
응고인자 Ⅰ, Ⅱ, Ⅴ, Ⅷ, Ⅹ의 결핍, DIC,
증가 약제(Heparin, Warfarin) 투여,
PT Vitamin K 결핍 혈전증 등
급성 혈전성 정맥염, Ether 마취 후,
감소
다발성 골수종 등
Ⅱ, Ⅴ, Ⅹ,Ⅺ, ⅫI 인자 결핍증,
증가 혈우병 A 또는 B, 약제(Heparin 등) 투여,
aPTT
간 장애, DIC 등
감소 응고 억제 물질의 저하, 임산부 등
증가 원발성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폐쇄성 황달 등
Total
α-lipoprotein 결손증, 간 장애(간경변, 만성
cholesterol 감소
활동간염 등) 등

HDL- 증가 운동, 적당한 Alcohol 등


cholesterol 감소 비만, 고지혈증, 당뇨병, 흡연 등

LDL- 증가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당뇨병 등


cholesterol 감소 지방 흡수 장애 등
3 전해질 검사

1 참고치

검사 항목 참고치
Na+ 136~145mEq/L
K+ 3.5~5.5mEq/L
Cl- 101~109mEq/L
Total CO2 21~31mEq/L
P+ 2.5~4.5mg/dL
Ca2+ 8.8~10.6mg/dL
2+
Mg 1.80~2.60mEq/L
2 임상적 의의

검사 항목 증가 및 감소 시의 임상적 의의
증가 탈수, 쿠싱증후군, 요붕증 등
Na+
감소 신부전, 신증후군, 수분 과다 섭취 등
증가 신부전, 조직 손상, 당뇨, 탈수 등
K+
감소 탈수, 쿠싱증후군 등
증가 탈수, 과호흡, 쿠싱증후군, 신장 질환
Cl-
감소 위 흡인, 폐기종, 다른 만성 폐질환 등

Total 증가 심한 구토, 쿠싱증후군, 대사성 알칼리혈증 등


CO2 감소 DKA, 대사성 산증, 신장 질환 등
증가 신부전, DKA 등
P+
감소 고칼슘혈증, 암, 갑상샘기능저하증 등
증가 급성 췌장염, 암, 갑상샘기능항진증 등
Ca2+
감소 급성 췌장염, 신부전, 영양실조 등
증가 신부전, 갑상샘기능저하증, 탈수 등
Mg2+
감소 크론병, 위장장애, 당뇨, 심한 화상 등
4 간, 신장 기능 검사

1 참고치

검사 항목 참고치
ALT 0~40IU/L
AST 0~40IU/L
ALP 32~110IU/L
남: 11~52IU/L
γ-GTP
여: 8~35IU/L
혈청 2.5~4.5mg/dL
BUN
소변 8.8~10.6mg/dL
혈청 0.5~1.2mg/dL

Cr 아침 첫 뇨: 39.00~259.00mg/dL
소변 남: 1.0~2.0g/day
여: 0.8~1.8g/day
GFR 60mL/min/1.73m2 이상
2 임상적 의의

검사 항목 증가 및 감소 시의 임상적 의의
ALT 증가 만성 간염, 급성 진행성 간염 등
급성/만성 간염, 간경변, 지방간, SLE,
AST 증가
다발성 골수종, 췌장염 등
증가 급성 간염, 간암, 담도암, 골 질환 등
ALP
감소 영양 결핍, 갑상샘기능저하증 등
급성/만성 간염, 간경변, 알코올성 간장애,
γ-GTP 증가
폐색성 황달, 간암 등
급성/만성 신장 질환, 울혈성 심부전, 쇼크,
증가 스트레스, 심한 화상, 위장관 출혈, 탈수 및
BUN
고단백 식이 등
감소 심한 간 질환, 영양실조 등
신장 질환(사구체 신염, 신우 신장염,
Cr 증가 급성 세뇨관 괴사 등), 요관 폐색,
신장으로의 혈류 감소(쇼크, 탈수) 등
GFR 증가 신장 내 사구체 기능 저하, 신장 기능 감소 등
5 심장 표지자

1 참고치

검사 항목 참고치
남: 17.40~105.70ng/mL
혈청
Myoglobin 여: 14.30~65.80ng/mL
소변 ≤ 10.00ng/mL
CK-MB 0.60~6.30ng/mL
hs-Troponin I ≤ 300.0pg/mL
hs-Troponin T ≤ 0.014ng/mL
LDH 140~271U/L
18~44세 ≤ 97.3pg/mL
45~54세 ≤ 121pg/mL
NT-pro BNP 55~64세 ≤ 198pg/mL
65~74세 ≤ 285pg/mL
≥ 75세 ≤ 526pg/mL
2 임상적 의의

검사 항목 증가 및 감소 시의 임상적 의의
급성 심근경색, 골격근질환,
Myoglobin 증가
갑상샘기능저하증, 운동 등
CK-MB 증가 근이영양증, 심근경색 등
hs-Troponin I 증가 심장마비 혹은 다른 종류의 심근 손상
- 혈액질환: 악성 빈혈, 급성/만성 백혈병,
발작성 야간혈색소뇨증
- 심장질환: 급성 심근경색증,
울혈성 심부전
- 근육 질환: 진행성 심근경색증,
LDH 증가
울혈성 심부전
- 간 질환: 급성/만성 간염, 간세포암
- 악성 종양: 악성림프종, 위암, 폐암, 장암,
Hodgkin병
- 기타: 신경색증, 폐경색증 등
- 정상~400: 보상이 되는 심부전
NT-pro BNP 증가 - 400~2,000: 중등도 심부전
- >2,000: 중등도~고도 심부전
6 동맥혈가스분석검사

1 참고치

검사 항목 참고치
pH 7.35~7.45
PaCO2
35~45mmHg
(동맥혈 내 이산화탄소 분압)
PaO2
80~100mmHg
(동맥혈 내 산소 분압)
HCO3-
22~26mEq/L
(동맥혈 내 중탄산염)
SaO2
95~100%
(동맥혈 내 산소포화도)
2 임상적 의의

검사 항목 증가 및 감소 시의 임상적 의의

증가 알칼리혈증
pH
감소 산혈증

HCO3- 증가 대사성 알칼리혈증


(동맥혈 내 중탄산염) 감소 대사성 산혈증

고이산화탄소혈증, 저호흡,
증가
호흡성 산혈증
PaCO2
(동맥혈 내 이산화탄소 분압)
저이산화탄소혈증, 과호흡,
감소
호흡성 알칼리혈증

증가 고산소혈증

- 60~80mmHg:
경도 저산소혈증
PaO2
- 40~60mmHg:
(동맥혈 내 산소 분압) 감소
중등도 저산소혈증
- 40mmHg 이하:
고도 저산소혈증

SaO2
감소 저산소증, 청색증
(동맥혈 내 산소포화도)
프리셉터 7일 이용권
바로가기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