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1

1조

운동처방론 발표 _1 조
성준엽 , 지종현 , 안성호 , 김채연 , 김하영
1 . 고객 정보와 분석
2 . 운동 필요성

목차 3 . 운동 목표
4 . 운동 처방
5 . 생활습관
6 . 참고문헌
1. 고객 정보와 분석
고객 정보 및 분석

개선불가요인
나이 : 55 세
가족력 : 부계 심장마비
개선가능요인 고혈압 고혈압 , 당뇨병
개선가능요인 흡연 : 20 년간 하루 한 갑
혈압 및 공복 시 혈당수치가
흡연과 좌식생활은 심혈관질환 좌식생활 : 기준에
수축기혈압 : 145mmHg 기준보다 높아 미리 예방 필요
이완기혈압 : 95mmHg
발생 가능성 증가 해당하는 신체활동 x

이상지질혈증
LDL: 147mg/dl 당뇨병
HDL: 39mg/dl
총 콜레스테롤
공복 시 혈당 : 135mg/dl
256mg/dl

비만
이상지질혈증
LDL 수치가 높고 , HDL 수치가 기준보다 낮음
체질량지수 29.39kg/m²
비만
총 콜레스테롤 수치 상당히 높음 비만은 여러 합병증을 동반함
* 스타틴 복용 중 체지방 및 복부비만 관리 필요
운동부하검사 선정
2. 운동 필요성
Q. 제가 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A1. 고객님은 우선적으로 ‘체중조절’이 필요합니다 .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
체중을 줄였을 때 나타나는 효과
- 허리 둘레 : 남자 90cm, 여자 80cm 이상
- 중성지방 : 150mg/dl 이상 -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확률 감소
- HDL-C: 남자 40mg/dl, 여자 50mg/dl 미만 - 혈압 , 콜레스테롤 , 혈당 감소
- 혈압 : 130/85mmHg 이상 혹은 고혈압 약 투약 중 - CRP 감소
- 공복혈당 : 100mg/dl 이상 혹은 혈당 조절 약 투약 중
Q. 제가 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A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심뇌혈관 및 대사질환 원인연구센터에서 제작한 ‘관상동맥 질환 위험도 테스트’ 에
따르면 ,

성별 : 남
나이 : 55 세
수축기 혈압 : 145mmHg

4.8%
이완기 혈압 : 95mmHg
10 년 내 관상동맥 질환이 발생할 확률
총 콜레스테롤 : 256mg/dl
HDL: 39mg/dl
흡연 : O
당뇨병 진단 : X
Q. 제가 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IF. 운동으로 혈압과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금연을 했을 경우 ,

성별 : 남
나이 : 55 세
수축기 혈압 : 120~139mmHg
이완기 혈압 : 80~89mmHg

1.2%
총 콜레스테롤 : 200~239mg/dl 10 년 내 관상동맥 질환이 발생할 확률
HDL: 45~49mg/dl
흡연 : 금연
당뇨병 진단 : X
→ 확률이 1/4 로 감소
Q. 제가 스타틴을 복용 중인데 , 운동을 해도 괜찮을까요 ?

A. 괜찮습니다 .

스타틴을 복용하며 운동을 진행한 그룹


- 허리둘레 , 체질량 , BMI, 혈압 ↓

- 총 콜레스테롤 , LDL-C ↓

-HDL-C ↑
vs

스타틴을 복용하며 운동을 하지 않은 그룹


- 허리둘레 , 체질량 , BMI, 혈압 ↑

- 총 콜레스테롤 , LDL-C ↓

-HDL-C ↓
Q. 제가 스타틴을 복용 중인데 , 운동을 해도 괜찮을까요 ?

IF, 스타틴으로 인한 부작용인 근육통이 발생한다면 ,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 D 결핍을 상태 관련


근육통과 연관시켰고 , 비타민 D 수준이
증가하면 근육통을 역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 .
3. 운동 목표
Q. 운동 목표는 ?

체중 ↓
BMI 18.5~24.9

LDL ↓
혈압 ↓ 130mg/dl 이하
120/80mmHg 수준
운동 목표

HDL ↑
혈당 ↓ 60mg/dl 이상
100mg/dl 이하
4. 운동 처방
운동 프로그램에서 집중한 부분

유산소 + 저항성
=> 지질대사에 긍정적 변화
복합운동

내장지방 유산소
감소 중심
대사증후군의 가장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큰 위험요인 제거 감소 , 체중 조절
운동처방에 사용될 운동

1. 유산소 운동

트레드밀 싸이클 에르고미터 로잉 머신


운동처방에 사용될 운동

2. 저항 운동

짐볼 운동 맨몸 운동
- 신체 균형 유지 , 몸통 부위 자극으로 복부비만 완화 - 부상의 위험이 적고 , 전신과 코어근육 고루 발달
운동처방에 사용될 운동

3. 유연성 운동

동적 스트레칭 PNF 정적 스트레칭


운동처방 기준

과체중과 비만 환자 / 이상지질혈증 환자 / 고혈압 환자 / 심혈관질환 환자를 위한 FITT 권고

유산소 운동 저항 운동 유연성 운동

빈도 주당 5 일 주당 2 일 주당 5 일

긴장이나 경미한 불편감을


강도 저 - 중강도 저 - 중강도
느낄 때 까지

대근육 각각에 대해 8-12 회 10-20 초간 유지 , 각 동작을


시간 1 일 30-50 분
2~3 세트 3 회씩

대근육을 이용한 지속적이고


형태 안전하고 편안한 장비 선택 정적 , 동적 , PNF 스트레칭
율동적 활동
운동처방

<1 주차 : 운동적응 단계 >

운동 운동 운동 준비 운동 정리
본 운동
기간 빈도 강도 운동 시간 운동
복합운동 시 각각 10 분씩 2
유산소 : 트레드밀

싸이클
/ 유산소만 하는 날은 총 5 회

저항운동 1 주차 :

< 하체 > 정적
주 5회 동적
짐볼 스쿼트 8rep * 2set 스트레칭
( 유산소 5 회 스트레칭
1주 저강도 힙 브릿지 8rep * 2set /PNF
저항운동 2~3
런지 8rep * 2set ( 옆에 운동별로 횟수를
회) 10 분
적었으며 최대한 그날 고객 10 분
< 상체 & 전신 > 상태에 맞춰서 진행 )
짐볼 윗몸일으키기 10rep * 2set
플랭크 20sec
딥스 8rep * 2set
킥백 8rep *2set
운동처방

<2 주차 : 운동적응 단계 >

운동 운동 운동 준비 운동 정리
본 운동
기간 빈도 강도 운동 시간 운동

유산소 : 트레드밀 복합운동시 각각 10 분씩 2 회


싸이클 / 유산소만 하는 날은 총 5 회

저항운동 :

정적
주 5회 동적 < 하체 >
스트레칭
( 유산소 5 회 스트레칭 짐볼 스쿼트 10rep * 2set
2주 저강도 /PNF
저항운동 힙 브릿지 10rep * 2set
( 옆에 운동별로 횟수를 적었으며
2~3 회 ) 10 분 런지 10rep * 2set
최대한 그날 고객 상태에 맞춰서 10 분
진행 )
< 상체 & 전신 >
짐볼 윗몸일으키기 10rep * 2set
플랭크 20sec
딥스 10rep * 2set
킥백 10rep *2set
운동처방

<3~5 주차 : 체중 감량 및 기초 체력 강화 >

운동 운동 운동 준비 운동 정리
본 운동
기간 빈도 강도 운동 시간 운동

복합운동 시 트레드밀 ,
싸이클 각각 10 분씩 2
유산소 :
회, /
트레드밀 , 싸이클 , 로잉머신
유산소만 하는 날은 추가로
로잉머신 1 회

저항운동 :
정적
주 5회 동적
< 하체 > 스트레칭
( 유산소 5 회 스트레칭
3~5 주 중강도 짐볼 스쿼트 10rep * 3set /PNF
저항운동 2~3
회) 10 분 힙 브릿지 10rep * 3set
( 옆에 운동별로 횟수를 10 분
런지 10rep * 3set
적었으며 최대한 그날 고객
상태에 맞춰서 진행 )
< 상체 & 전신 >
짐볼 윗몸일으키기 10rep * 3set
플랭크 30sec
딥스 10rep * 3set
킥백 10rep *3set
운동처방

<6~8 주차 : 체중 감량 및 기초 체력 강화 >

운동 운동 운동 준비 운동 정리
본 운동
기간 빈도 강도 운동 시간 운동
복합운동 시 트레드밀 ,
유산소 : 싸이클 각각 10 분씩 2
트레드밀 , 싸이클 , 로잉머신 회,/
유산소만 하는 날은 추가로
로잉머신 1 회

저항운동 : 정적
주 5회 동적
스트레
( 유산소 5 회 스트레칭
6~8 주 중강도 하체 : 짐볼 스쿼트 12rep * 3set 칭 /PNF
저항운동
짐볼 힙 브릿지 10rep * 3set ( 옆에 운동별로 횟수를
2~3 회 ) 10 분
런지 12rep * 3set 적었으며 10 분
최대한 그날 고객 상태에
상체 & 전신 : 짐볼 윗몸일으키기 12rep * 3set 맞춰서 진행 )
플랭크 30sec
딥스 10rep * 3set
킥백 12rep *3set
5. 생활 습관
생활습관

대중교통 이용 30 분마다 물 마시러 다녀오기 산책


버스정류장이나 지하철역까지 걸어 근무 중 잠깐의 움직임으로 좌식 생활에서 운동을 하지 않는 날에는 가벼운
다니는 습관을 통해 일상에서 가벼운 벗어나기 산책으로 몸 움직이기
운동효과
생활습관

금연 금주 균형 잡힌 식사
담배는 심혈관 질환의 주된 원인이 되므로 지나친 음주는 건강에 해로움 지방이 적고 충분한 단백질 섭취
반드시 끊기 과한 탄수화물은 지방으로 전환되므로
조절 필요
6. 참고문헌
참고문헌

한국 지질 동맥경화학회 https://www.lipid.or.kr/artery/treatment1_2.php
천민옥 . "12 주간의 유산소운동이 허혈성 심장질환자의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 1997. 서울
윤찬호 . " 중년 비만 남성들의 트레드밀 운동 프로그램이 심혈관계 기능 , ST 분절 하강 , 심혈관계 질환 위험도 및 사망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국내박사학위논문 國民大學校 大學院 , 2004. 서울
권길영 . " 중성지방 /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와 심혈관질환의 연관성 ."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2008. 서울
김성해 . " 한국인에서 대사증후군이 심혈관질환에 미치는 영향 ." 국내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2018. 서울
스타틴 임상 연구의 근거 . 한국 지질 동맥경화 학회 치료지침 위원회
이지민 . "Nationwide cohort study for efficacy and safety of statin-based therapy." 국내박사학위논문 Ajou University, 2020. 경기도
김주원 . "Comparison between high-intensity versus non-high-intensity statins in patients achieving treatment target for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국내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2017. 대한민국
김영주 . " 심장재활 프로그램에서 유산소 운동과 스타틴 약물이 염증반응 표식자에 미치는 영향 ." 국내박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 2005. 서울
Atherosclerosis Volume 256, January 2017, Pages 100-104, Science Direct
Taylor, Beth A. http://orcid.org/0000-0002-7735-8313 Lorson, Lindsay, White, C. Michael, Thompson, Paul D.
( 조영규 ,and 강재헌 . "C-reactive protein 과 심혈관 질환의 예방 ."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15.2 (2006): 81-90.)
김윤정 , 김수영 , 황인홍 and 황순복 . (2003). C- 반응성단백과 대사증후군과의 관계 .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4(5), 456-460.
김영주 , 안재기 , 방인걸 , 김병옥 , 이병권 , 고충원 , 오재근 , 김철 , 이건주 , 변영섭 and 신영오 . (2005). 급성관상동맥 증후군 (ACS) 환자에서
유산소운동과 스타틴 약물이 혈중지질과 hsCRP 에 미치는 영향 . 체육과학연구 , 16(4), 71-80.
참고문헌

한수경 , 정명호 , 이정애 , 최진수 , 이기홍 , 박근호 , 심두선 , 홍영준 , 김주한 , 안영근 , 조정관 , 박종춘 and 강정채 . (2014). 고중성지방혈증과
복부비만이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술받은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임상경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한내과학회지 , 86(2), 169-178
대사 증후군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amc.seoul.kr)
Baptista, LC, Veríssimo, MT, Martins, RA. Statin combined with exercise training is more effective to improve functional status in dyslipidemic
older adults. Scand J Med Sci Sports. 2018; 28: 2659- 2667.
Selvin E, Paynter NP, Erlinger TP. The Effect of Weight Loss on C-Reactive Protein: A Systematic Review. Arch Intern Med. 2007;167(1):31–39.
doi:10.1001/archinte.167.1.31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뇌심혈관 및 대사질환 원인연구센터 http://cmerc.yuhs.ac/mobileweb/index.htm
김창균 , 최미리 , 『건강관리와 운동』 , 서울 : 대경북스 , 2006
서영환 , 이윤관 , 『운동처방과 질환별 운동치료 프로그램』 , 서울 : 대경북스 , 2014
ACSM, 『 ACSM’s 운동검사•운동처방 지침』 , 김완수 역 , 10 판 , 서울 : 도서출판 한미의학 , 1999
David P Swain, Brian C. Leutholtz, 『운동처방』 , 주기찬 역 , 2 판 , 서울 : 대한미디어 , 2011
조은희 . "8 주 복합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신체구성 , 대사증후군위험인자와 염증표지인자에 미치는 영향 ." 국내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대학원 ,
2012. 경상남도
Q&A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