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82년생 김지영

조남주 민음사 , , 2016

루이비통가방중에가장많이보이는가방을‘ 3 와남동생의학업을위해중학교만졸업하고공장
초 백’혹은‘지영이 백’이라고 한다는 것을 신문 노동자가 되었던 어머니 이 가정의 변화는 한국 .

기사에서 읽은 적이 있다 초에 한 번씩 볼 수 있 .3 사회의 경제와 문화적 변동 가치관의 변화 등이 ,

기 때문에 그리고 여성 이름 가운데 가장 많은 이 그대로 투영되고 때로 소설에서 이야기의 근거로


,

름이기때문에그만큼흔하다는뜻에서붙여진것 현실의 논문이나 보고서 등이 주석으로 제시된다 .

이라고한다 그쯤에서내가아는지영이들을떠올
. 예를 들어 어머니의 다종다양한 부업을 설명하면
려 보았더니 금세 대여섯 명이 되는 것으로 보아 서 주석으로‘김시형 외『기록되지 않은 노동』삶 (

그럴듯해보였다 . 창 쪽 참고 ’를 보여준다 이 소설이


, 2016), 21~29 . .

소설의 주인공은 년생 김지영 씨다 김지영 82 . 픽션이동시에얼마나논픽션인가를알수있는대


씨에게는정지원이라는딸이있다 내게도알고있 . 목이다 .

는 김지영과 정지원이 있다 시집 큰 조카가 김지 . 김지영씨가겪는가정 학교 직장 혼인생활에 , , ,

영이고 정지원은친구의딸이름이다
, . 서의 이야기들은 손에 잡힐 듯 생생하고 사실적이
「 년생 김지영」은 년에 태어난 김지영의
82 1982 다 어떤 대목은 내 첫 직장에서의 이야기 같고 어
.

서른 네 해 동안 삶의 기록이다 그러니까 년에 . 82 떤 대목은 내 친구의 시집 이야기 같다 작품해설 .

태어난 여자 아이 이름 가운데 가장 많다는‘지영’ 에 의하면 이 익숙한 주인공에 대해‘특수성이 아


과 우리나라 성 가운데 가장 많다는‘김’이 합쳐진 니라 보편성을 추구하는 것이 이 소설의 특수성’
‘김지영’이라는 이름의 보편성을 통해 우리 사회 이라한다 .

여성들의삶을실감나게보여주고있는것이다 . 길지 않은 책인데 인상 깊은 대목에 포스트잇을


김지영은 년 월 일 서울의 한 산부인과에
1982 4 1 붙이다보니너무많아서도중에그만두어야했다 .

서 공무원 아버지와 주부인 어머니 사이에 태어난 무엇보다 책의 말미 이 소설 화자인 상담의의


,

2 녀 남의 둘째 두 살 많은 언니 다섯 살 어린 남
1 . , 김지영 씨 자신의 아내 자신의 직원에 대한 생각
, ,

동생그리고부모와할머니가함께살았다 이야기 . 과 태도와 결정의 과정은 그 자체로 많은 생각을


는 나나 내 친구 혹은 친구의 친구 옆집 어딘가에 , 던져 준다 추구하는 혹은 해야 할 바와 현실 사이
.

서있었음직한일들의연속이다 . 에건널수없는강이흐른다 .

아들만 중한 할머니 이민 간 형을 대신해 어머 ,

니를모시면서동생과는불화하게된아버지 오빠 , 이숙현 편집부장

가정상담 05 3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