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5

ISSN 2288  -  4815

국제산림정책토픽

중국 삼림법(森林法) 개정 전후
비교 및 정책적 함의

최은호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20. 8. 31. | 제96호

CONTENTS
•요 약

•중국 삼림법의 제정과 변화

•중국 삼림법의 개정 전후 비교

•시사점
국제산림정책토픽
제96호 2020. 8. 31.

중국 삼림법(森林法) 개정 전후 비교 및 정책적 함의

최은호

CONTENTS

요 약 ………………………………………………………………………… 3
1. 서론 ……………………………………………………………………… 4
2. 중국 삼림법의 제정과 변화 …………………………………………… 5
3. 중국 삼림법의 개정 전후 비교 ………………………………………… 6
가. 개정 배경 … ……………………………………………………………… 6
나. 개정 전후 비교 … ………………………………………………………… 8
4. 시사점 ………………………………………………………………… 20
참고문헌 ………………………………………………………………… 22
부록: 개정된 삼림법 한글 번역본……………………………………… 23
·내용문의 : ‌최은호 02-961-2872 ehchoi@korea.kr

국제산림정책토픽은 국제산림정책 동향과 주요 이슈, 국제회의 및 협상의


주요 의제 및 쟁점사항, 연구수행 중 획득한 국외 산림정보를 분석·요약 정리한 자료입니다.
이 자료는 국립산림과학원 홈페이지(www.nifos.go.kr)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국제산림정책토픽 ●●제96호 중국 삼림법(森林法) 개정 전후 비교 및
정책적 함의

요약
‌
중국 삼림법(森林法)1)이 1998년 마지막으로 개정된 후, 2019년 12월 28일 개정되어 2020년 7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음. 개정 이전 삼림법은 총 7장 49조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개정된 후에는 총
9장 84조로 이전과 비교하여 내용이 대폭 보강됨.

1970년대
‌ 중국의 산림면적은 1억 ha를 약간 웃도는 수준이었으나 공격적인 산림면적 확대 정책을
통하여 2019년 기준 산림면적은 2억2천 ha에 달하였으며 산림피복률은 22.96%까지 증가하였음.

‌
지난 40여 년 간 계속된 산림녹화 사업이 목표를 달성하였음을 의미하며, 그간의 성과를 점검
하여 새로운 전환기를 모색해야 한다는 중국정부의 판단이 이번 법 개정에 반영된 것으로 판단됨.

개정된
‌ 법에서는 산림의 질적 측면의 향상, 산림자원의 보호,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의 확대, 법적
권한과 책임의 강화 등이 눈에 띔. 앞으로 중국은 산림의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의 전환을
추구할 것으로 예측함.

‌
또한 명확한 재산권(산림소유권 및 사용권) 설정은 산림자원을 보호·발전시키는 데 있어
경영주체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인할 것으로 판단하고 삼림법에 포함한 것으로 판단됨. 또한
국가의 모든 산림에 대해서 임업경영자가 사용 가능 하도록 하고 법에 의거 취득한 사용권은
승인 후 양도, 임대, 출자 할 수 있도록 하여 임업경영을 통한 산림의 이용 및 보전 강화 취지를
엿볼 수 있음.

‌
집체임지의 권한과 역할이 강화됨. 집체소유 및 집체경제조직 구성원의 도급권과 경영권을
안정시킴. 법에 근거하여 농민들로부터 도급받은 임지에 대하여 소유, 사용, 수익, 이전 및 경영권
저당, 담보권 설정의 권한을 부여하고 경영권은 유상으로 이전할 수 있음.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집약경영, 규모경영 효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판단함.

‌
임업활성화,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다양한 도전과 변화를 추구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경험과 기술을 바탕으로 향후 중국과의 산림부문 협력 확대에 있어 중국에 어떤 협력 수요가
있는지 파악하는 계기로 작용할 것임.

1) 우리나라는
‌ 산림(山林)을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는 삼림(森林)으로 사용하는 용어의 차이가 있음. 삼림법 내용은 모두
삼림(森林)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중국의 삼림법(森林法)을 직접적으로 지칭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산림으로 표기함.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1 서론

중국
‌ 삼림법의 발전은 크게 3단계, 임산업 발전을 위한 입법단계(1979∼1998), 임업의
지속가능이용 입법단계(1998∼2009), 산림생태보호를 위한 입법단계 (2010∼현재)로
나눌 수 있음.

‌중국 최초의 삼림법은 목재와 각종 임산물을 공급하고 국가 경제건설과 인민


생활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을 입법 목적으로 함. 1984년 개정된 삼림법은
지속가능한 임산물의 공급을 포함 시켰으나 임업에 집중한 ‘산림산업법’으로서의
성격에는 변화가 없었음. 1998년 개정한 삼림법은 산림자원의 지속적 이용을
강조하는 ‘자연자원법’으로의 전환을 상징함.

이후
‌ 2009년, 2019년에 수정되어, 2020년 7월 1일부터 개정된 중국 삼림법이
정식으로 실시되었음. 중국 삼림법의 개정은 삼림법이 채택된 지 40여 년 만의
일임. 삼림법이 제정되기까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왔으며, 금번 삼림법이 개정
되는 데 결정적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개정 전후 삼림법을 비교함.

4
국제산림정책토픽 제96호

2 중국 삼림법(森林法)의 제정과 변화

‌중국 삼림법은 1914년 11월 3일 최초 제정되어 1932년 9월 16일 개정 삼림법이


공포되었음. 1949년 공산정권 수립 이후 1963년 5월 20일 「산림보호조례」가
발표되어 처음으로 임업과 관련된 정책이 법률 형식으로 제정됨.

- ‌「산림보호조례」는 7장 40조로 원칙, 보호림 조성, 산림관리, 산불예방, 병해충


방제 등의 내용으로 구성됨.

‌이후 1964년 ‘임업육림기금제도’를 신설하여 산림조성을 위해 노력함. 그러나


1966년부터 10년간 추진된 문화혁명은 산림을 훼손시켰고 이를 회복하기
위하여 「산림보호조례」를 발전시켜 1979년 2월 23일 제5회 전국인민대표대회
실무위원회에서 7장 42조로 구성된 「삼림법시행안」을 공포함.

‌1981년 「산림을 보호하고 임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문제에 관한 개정」이 채택되고,


산림보호에 관한 각종 법률이 공포됨.

「삼림법시행안」
‌ 시행 후인 1982년 12월 제5회 전국인민대표대회 제5차 회의에서
채택된 헌법 제26조에서 ‘국가는 식수조림을 계획·장려하고 임목을 보호한다.’라고
규정하여 헌법에서 임업에 관한 조항을 명문화시킨 세계에서 유례가 없는 산림자원
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를 취함.

‌호림헌법(護林憲法)에 기초하여 1979년부터 5년동안 시범적으로 시행된


「삼림법시행안」은 내용을 보완하여 1984년 9월 20일 제6회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제7차 회의에서 삼림법으로 정식 채택되었으며 1985년 1월 1일부터
시행함.

5
중국 삼림법(森林法) 개정 전후 비교 및 정책적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1986년에는 「삼림법실시세칙(森林法實施細則)」이 삼림법 제40조에 의거하여
공포됨. 총 29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삼림법시행안」에 명시되어 있던 산림율
(山林率) 30% 목표는 실시세칙2)에 규정되어 있음.

‌
1987년에는 「산림벌채 및 갱신에 대한 실시세칙」이 공포되어 벌채 및 갱신에 대한
중국정부의 엄격한 통제가 지속됨.

‌
1998년 1984년 9월 20일 제6회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제7차 회의
통과, 1998년 4월 29일 제9회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제2차 회의에 의거
삼림법이 개정되면서, 2020년 삼림법이 개정되기 전까지 총 7장 49조를 유지함.

3 중국 삼림법 개정 전후 비교

가. 개정 배경
‌중국의 삼림법이 2019년 12월 28일 개정, 2020년 7월 1일 시행되었음. 삼림법이
채택된 지 35년 만의 일이며, 1979년 「삼림법시행안」이 보완되어 1985년
삼림법이 채택되었을 때 크게 변화된 내용이 없었다는 것을 감안 하면 40여 년
동안 유지해 온 삼림법이 개정된 것임.

‌‘제12차 5개년’ 계획 때부터 당 중앙 및 국무원은 임업 건설에 전례 없는 관심을


보였으며 경제사회의 지속적인 발전과 산림 및 임업은 직결된 근본적인
문제로 받아들인 바 있음. 이를 전환점으로 하여 중국임업은 새로운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음. 이와 같은 인식의 변화는 개정된 삼림법 ‘제3장
발전계획’에서도 확인할 수 있음.

2) 우리나라의 산림법 시행령에 해당함.

6
국제산림정책토픽 제96호

‌‘제13차 5개년’ 계획에서는 이전 계획의 성과에 대하여 평가와 반성을 수행하였는데,


목표를 달성한 것으로 평가함.

<표 1> 임업 제12차 5개년 계획의 주요 지표 달성 현황

지표 2010년 현황 계획 목표 2015년 현황

산림피복률(%) 20.36 21.66 21.66

임목축적량(억㎥) 137 143 이상 151

임지보유량(억 ha) 3.04 3.09 3.11

새로 증가한 사막화 토지
1,081 1,000 1,000
처리 면적(만 ha)

임업 총 생산액
2.28 3.5 5.94
(억 위안)

- ‌제13차 5개년 계획에서 임업은 생태계 보호, 경제, 기초보장 등으로 분류하고 각
지표의 중요도를 감안하여 구속성과 예기성으로 속성을 분류하고 2020년까지의
목표를 설정함.

- ‌FAO의 자료(FRA 2020)에 따르면 2020년까지 산림피복률은 23.34%,


임목축적량은 191억㎥으로 추정하고 있어, 2020년 역시 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예측됨.

<표 2> 임업 제13차 5개년 계획의 주요 목표 및 달성 예측치



지표 2015년 현황 계획 목표 2020년 예측치

산림피복률(%) 21.66 23.04 23.34

임목축적량(억㎥) 151 165 191

※ source: Global Forest Resources Assessment(FAO, 2020)

7
중국 삼림법(森林法) 개정 전후 비교 및 정책적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정량적인 수치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중국의 산림녹화사업이 어느 정도 성숙기에


접어들었으며 새로운 이슈와 트랜드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 법 개정에
반영된 것으로 보임. 이에 삼림법의 전후 비교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그림 1> 중국의 산림 데이터 변화 추이


출처 :중국 제1차∼제9차 산림자원조사

나. 개정 전후 비교

 ‌개정 이전 삼림법은 총 7장 49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개정된 후에는 총 9장


84조로 이전과 비교하여 내용이 대폭 보강됨.

<표 3> 삼림법 목록 비교

1998 개정 2020 개정
제1장 총칙(1조∼12조) 제1장 총칙(1조∼13조)
제2장 산림경영관리(13조∼18조) 제2장 산림소유권(14조∼22조)
제3장 산림 보호(19조∼25조) 제3장 발전 계획(23조∼27조)
제4장 식수 조림(26조∼28조) 제4장 산림 보호(28조∼41조)
제5장 산림 벌채(29조∼38조) 제5장 조림과 녹화(42조∼46조)
제6장 법률 책임(39조∼46조) 제6장 경영 관리(47조∼65조)
제7장 부칙(제47조∼49조) 제7장 감독과 검사(66조∼69조)
제8장 법률 책임(70조∼82조)
제9장 부칙(83조∼84조)

8
국제산림정책토픽 제96호

 제1장: 총칙

삼림법의 목적

- ‌개정 전: (1조) 사회주의 건설과 인민 생활의 필요에 맞도록 산림 자원을


보호·육성 그리고 합리적 이용을 하며, 국토의 녹화를 촉진하고 산림의
수토보존, 기후조절, 환경개선 및 임산물 공급의 역할을 발휘하기 위해 본 법을
제정한다.

- ‌개정 후: (1조) 맑은 물과 푸른 산은 가장 큰 자산이라는 이념을 실천하고,


산림 자원을 보호·육성하고 합리적으로 이용하며 국토의 녹화를 촉진하고,
산림생태계의 안전을 보장하며 생태 문명을 건설하고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공존을 실현하기 위해 본 법을 제정한다.

- ‌삼림법 제정의 목적은 유사하나, 조항의 후반부에서 개정 전에는 산림을 통한


편익에 주목했다면 개정 후에는 생태계의 건강성과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위한
수단으로 산림을 활용할 것임을 밝힘.

‌총칙은 개정 전에 비하여 조항이 크게 증가함. 개정된 삼림법은 생태우선,


보호우선, 지속가능한 이용, 지속가능한 발전을 강조하고 있어 기존법과 차이를
보임.

- (제4조) 산림자원 보호를 위한 목표 책임제와 심사 평가제 실시

- (제5조) 재정적 측면에서 산림자원 보호 발전 지원

- (제6조) ‌공익림(公益林)과 상품림(商品林) 분류경영과 관리를 통한 산림자원의


영구적 활용

- (제7조) ‌국가는 산림생태계 효율을 보상하여 공익림에 대한 보호지원 역량을


강화

‌과학적 연구, 임업 기술 수준 제고, 산림자원 보호를 위한 홍보와 교육 장려


및 지원, 효과적인 산림관리, 조성된 산림을 훼손하지 않기 위한 교육 강화 등
산림의 양적 팽창에서 질적 제고로 전환됨.

9
중국 삼림법(森林法) 개정 전후 비교 및 정책적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제2장: 산림소유권

‌제2장은 금번 개정에 따라 신설됨. 삼림법을 통하여 임업자원에 대한 재산권


주체를 명확히 하고 재산의 소유권자가 임업자원에 대한 점유, 사용, 수익,
처분할 수 있도록 권한과 책임을 명기함.

- 개정 전후 모든 산림은 국가의 소유임을 밝힘.

‌명확한 재산권 설정이 산림자원을 보호·발전시키는 데 있어 경영주체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인할 것으로 판단하고 삼림법에 포함한 것으로 판단됨.

‌국가의 모든 산림에 대해서 임업경영자가 주체적으로 사용 가능 하도록 하고 법에


의거 취득한 사용권은 승인 후 양도, 임대, 출자 할 수 있도록 하여 임업경영을
통한 산림의 이용 및 보전 강화 취지를 엿볼 수 있음.

- ‌개정 전 총칙 제4조에서 산림을 방호림, 용재림, 경제림, 신탄림, 특종용도림으로


구분하였는데, 이 중 용재림, 경제림, 신탄림에 대해서만 양도, 도급경영,
출자경영이 가능한 것과 비교됨.

‌집체임지의 권한과 역할이 강화됨. 집체소유, 집체경제조직 구성원의 도급권,


경영권을 안정시키고 법에 따라 농민들로부터 도급받은 임지에 대하여 소유,
사용, 수익, 이전 및 경영권 저당, 담보권 설정의 권한을 부여하고 경영권은
유상으로 이전할 수 있음. 이를 통해 집약경영, 규모경영 효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판단함.

‌중국은 2008년부터 <집체임권 제도개혁>을 통하여 집체림 구역의 토지소유권은


국가에 속하나, 그 사용권과 경영권이 명확히 집체림 구역의 거주민에게 있음을
밝히고 있음. 농가의 경영주체 지위를 확립한 것으로 관련 내용을 삼림법에
포함시켜 집체임지 등의 도급경영을 지원, 장려하고자 하는 정부의 취지를 읽을
수 있음.

- 제13차
‌ 임업발전 5개년계획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1600여 개의 현급이상
임권관리서비스 기관을 설치, 15만개 임업 합작조직, 1,400여 만호의 농가에

10
국제산림정책토픽 제96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고 설명함. 소유권과 사용권에 대한 개혁을 통하여


집약경영이 활성화 되고 적절한 규모경영이 촉진되었다고 평가하고 있음.

<표 4> 제2장의 개정 전후 비교

1998 개정 2020 개정
해당 없음 제2장 산림 소유권
제1장 <동 일> 제14조 - 산림자원은 국가의 소유임
제3조
- 소유권과 사용권 증명서 발급함 제15조 - ‌소유권과 사용권은 일괄 등기
- 합법적 권익은 보호 받음 등록함
- 합법적 권익 보호
제2장 (1) 용재림, 경제림, 신탄림 - 불법 전용 불가
제15조 (2) 용재림,
‌ 경제림, 신탄림의
임지사용권
(3) ‌용재림, 경제림, 신탄림의 벌채적지,
화소적지의 임지사용권
(4) ‌국무원에서 규정한 기타 산림과
기타임지사용권
- 임지를 전용할 수는 없음
- ‌위 나열된 산림은 사용권 양도, 제16조 - 국가의
‌ 모든 산림과 임목은
도급경영, 출자경영 등 가능 임업경영자에게 사용권 승인 가능,
양도 및 임대 가능
제1장 - ‌임가의 합법권익 보호, 불법수금
제7조 금지, 임목소유권 등 합법권익 보호
제17조 - ‌집체임지의 도급경영을 실시할 경우
도급자는 임지의 도급경영권과
도급경영 임지의 소유권 가짐
<신 설> - ‌도급자는 하청, 임대, 양도, 교환,
출자, 저당 등의 방식으로 임지
도급경영권과 임목소유권 및
사용권의 권리 유통 가능
제18조 - ‌도급경영을 하지 않는 경우
<신 설>
집체경제조직에서 통합 경영
<신 설> 제19조 - 집체임지의 도급경영권은 서면 계약
<신 설> 제20조 - 국가규정에 따라 수익배분
제21조 - ‌공익을 위한 임지와 임목을
<신 설> 이용하는 경우, 승인 수속 후
합리적으로 보상
제2장 제22조 - ‌임목소유권 및 임지사용권의 분쟁
제17조 <동 일> 조정(기관: 현급 이상, 개인: 향진
또는 현급 이상)

11
중국 삼림법(森林法) 개정 전후 비교 및 정책적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제3장: 발전계획

‌제3장은 금번 개정에 따라 신설됨. 산림자원의 보호와 임업발전은 인민경제와


사회발전에 중요한 요소임을 인정하고 국가발전계획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명시함.

산림피복률과
‌ 임목축적량 증진이 국가발전계획 평가에 있어 법적 구속력이 있는
지표로 포함됨. 국제사회의 목표(SDGs, GFGs 등)에 기여하고자 법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음을 국제사회에 공표하기도 함.

- ‌유엔 산림포럼(UNFF)은 유엔산림전략계획(UNSPF)을 수립. 6개목표와


하위 세부목표를 설정하면서 유일하게 정량목표인 ‘전지구적으로 산림면적
3% 증진’을 포함시킴. 중국은 2019년 UNFF에 국가보고서를 제출하면서
산림피복률 증진을 위하여 삼림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음을 밝힌 바 있음.

1998 개정 2020 개정
해당 없음 제3장 발전 계획
제23조 - ‌산림자원 보호와 임업발전을
<신 설>
인민경제와 사회발전에 포함
제24조 - ‌산림자원 보호와 임업발전 목표
<신 설> 수립 통해 산림피복률과 임목축적량
향상
제25조 - ‌임업발전계획 수립. 하급기관의
<신 설> 계획은 상급기관 계획을 근거로
편성
제26조 - ‌현급 이상은 현지 상황 반영하여
<신 설>
특별항목 계획 편성
제2장 - ‌산림자원을 조사하고 자원기록 제27조 - ‌국가는 산림자원 조사 및 모니터링
제14조 제도를 통해 자원변화 상황 숙달 제도 구축하여 산림자원에 대한
현황, 변화 조사, 평가, 모니터링,
정기적 발표

 제4장: 산림보호

‌산림보호는 이전 7개 조항에서 14개 조항으로 늘어남. 특히 제30조는 산림보호를


통해 국가경제발전에 기여함을 명시. 제36조∼제38조(점용 등에 대한 조치
강화)가 신설되었는데, 경제발전이 가속화됨에 따라 점용으로 인한 산림훼손
문제가 심각했던 것으로 예측함.

12
국제산림정책토픽 제96호

- ‌점용 관련 총량을 통제, 점용 시 복원비용 납부 의무, 복원면적 및 복원 완료


기한 등이 상세하게 조항으로 포함됨.

1998 개정 2020 개정
제3장 산림보호 제4장 산림보호
제28조 - 국가의 산림자원 보호 강화
- ‌토양유실 방지, 기후조절,
<신 설>
환경개선, 생물다양성 유지 등 기능
증진
총칙 임업기금제도 설립: 제29조 - ‌공익림 조성, 가꾸기, 보호, 관리 및
제8조 국가는 임업생태효익보상기금 설립하여 공익림의 권리인에 대한 보상 재원
제6항 생태효익을 위한 방호림, 특종용도림의 마련
산림자원, 수림의 경영, 육성, 보호 및
관리에 사용
<신 설> 제30조 - 산림보호를 통한 국가경제발전 기여
제3장 - ‌국가공원 중심의 자연보호지역 체계
제24조 구축
<부 분 신 설>
- 생태
‌ 취약지역의 산림에 대한 보호
제31조 및 복구 지원
- ‌희귀식물, 특수가치 지닌 식물자원의 - 야생 식물자원 보호
보호
- ‌천연산림지구에 자연보호지역 확정, 제32조 - 천연림의 전면적 보호제도
보호관리 강화
제19조 산림보호 조직 설치 제33조 - 산림보호 조직 설치
제20조 산림 공안기관의 역할과 책임 <삭 제>
제21조 산불 예방과 진압 제34조 - 산불 방지 업무
- 산불 방지기간 규정 등 - (추가) 산불
‌ 예방 홍보 및 산불
예방 지식보급, 산불감시와
조기경보체계 구축
제22조 각급 임업주관부서는 산림병해충 제35조 산림병해충 방지
방지업무조직을 책임져야 함 - 현급 이상 : 산림병해충 검역 및 방제
- ‌성급(省级) 이상: 검역이 필요한 병해충
확정 및 검역과 방제 실시
- 인민정부
‌ 책임제: 확산성이 큰
위험한 주요 해충재해가 발생한
경우 방제 조치 담당
- ‌임업 경영자: 경영지의 병해충 예방 및
방제
제36조 - 임지전용의 엄격한 통제
- 점용으로
‌ 인하여 총량이 줄어들지
<신 설> 않도록 총량 유지
- 점용임지가
‌ 행정구역 내 점용
총량을 초과할 수 없음

13
중국 삼림법(森林法) 개정 전후 비교 및 정책적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1998 개정 2020 개정
제3장 산림보호 제4장 산림보호
제2장 제37조 지하자원 탐사·채굴 및 건설 시
제18조 임야를 점용하지 않거나 최소로
점용해야 함
- ‌현급 이상 : 점용 심사 승인 및 동의
필요. 이후 법적 심사 승인 수속. 이후
<동 일> 점용기관 산림식생복원 비용 납부
- 현급 이상 : 산림식생복원 준비
* 조림면적 › 점용으로 감소된 면적
- ‌상급 주무부서 : 정기적으로 하급
주무부서의 산림식생복원 독촉 및
점검
제38조 임시점용은 현급 이상 주무부서 승인
필요
<신 설> - ‌임시사용기간 2년 이내, 영구적
건설물 금지. 기간 만료 후 1년 내
식생복원
제23조 산림훼손금지 제39조 산림훼손금지
제40조 고목, 명목(名木) 관리
<신 설>

제25조 국가보호 야생동물 사냥 금지


총칙 국가는 임업과학연구 장려, 임업
제41조 선진과학기술 적용
제6조 선진기술 보급, 기술수준 증진

 제5장: 조림과 녹화

‌개정 전 녹화 관련하여 ‘산림피복률’을 높이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맞는


조림계획에 주목하여 조항이 구성된 것에 반해, 개정 후에는 대규모 녹화 작업을
진행하나 도시와 농촌의 경관, 환경 개선을 통하여 산림도시 건설을 목표로 함.
1998 개정 2020 개정
제4장 식수 조림 제5장 조림과 녹화
제26조 식수조림 계획 제정, 산림피복률 증진
제42조 도농 녹화 계획, 농촌 진흥 촉진
목표 설정
제27조 수림 수익의 분배 제43조 주민 참여 녹화사업 실시
제28조 조림지 벌채 금지 등 제44조 조림과 녹화 참여 권장
<신 설> 제45조 조림과 녹화의 질 제고(품종 등)
<신 설> 제46조 자연/인공적 조림, 과학적 복원

14
국제산림정책토픽 제96호

 제6장: 경영관리

‌본 장의 경영관리에서 주목할 점은 산림의 분류경영을 강조하고 공익림과 상품림의


기능을 부각시킨 것임. 이는 산림자원의 보호와 함께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조화시켜 인민경제 및 사회발전을 이루고자 하는 접근방식이라고 판단됨.

- ‌공익림에 대한 엄격한 보호는 공익림의 질적 향상과 생태보호기능 증진을


전제로 이루어짐. 그러나 이용의 측면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님. 생태계
건강성을 해치지 않는 범주에서 과학적으로 증빙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해
산림경관 자원을 관광에 활용 가능

- ‌상품림의 개발을 통해 목재의 안정적 공급과 함께 생태계를 훼손하지 않는


범주에서 경제적 효과 제고

‌개정 전 ‘제5장 산림벌채’의 대부분 조항은 개정 후 ‘제6장 경영관리’에 포함되어


있음. 단순히 지속가능한 이용 측면에서 벌채 허가 관련 사항이 포함되어 있었던
것에 반해 개정 후에는 산림경영의 범주로 확장됨.

- (제56조, 제61조) 벌채 관련 기술규정의 수립, 기술 규정의 준수 등을 포함

※ ‌자발적 국가기여(VNC) 국가보고서(2019)와 제13차 5개년 임업발전계획,


국가 산림보존 및 이용 프로그램(2010-2020) 등 지난 5년 동안 숲가꾸기,
조림, 파종, 황폐지 개간 등의 기술 규정을 개정한 바 있음.

- ‌(제57조, 제60조) 발급주체를 상위기관에서 발급하는 것으로 일원화 하여


벌채관련 규제를 강화, 벌목면허 발급 금지 항목을 추가

- ‌(제59조) 적기에 벌목면허를 발급하도록 명시하여, 무분별한 벌채에 대해서는


규제하지만 안정적인 목재공급을 위한 보안장치를 설치함.

‌개정된 삼림법에서 건전한 금융 및 보험 서비스를 위한 조항을 마련하고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하여 자발적인 산림인증을 장려함.
1998 개정 2020 개정
제2장 산림경영관리, 제5장 산림벌채 제6장 경영관리
제14조 산림자원조사 및 자원기록제도: 제3장(발전계획)의 제27조에 해당
자원의 변화 인지

15
중국 삼림법(森林法) 개정 전후 비교 및 정책적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1998 개정 2020 개정
제2장 산림경영관리, 제5장 산림벌채 제6장 경영관리
제15조 하위 항에서 나열된 산림수림 제2장(산림소유권)의 15조, 16조에 해당
임지사용권은 양도 가능. 임지를
비(非)임지로 전용할 수 없음
※ ‌임지전용 관련 조항은 개정법의
‘제4장 산림보호’에 포함
<신 설> 제47조 공익림의 정의와 지정
제48조 공익림 확정 및 발표 / 공익림의 확정
기준
- ‌국가급 공익림은 국무원이 제정,
<신 설>
지방공익림의 획정과 관리 규정은
성과 자치구, 직할시의 인민정부가
제정
제49조 공익림에 대한 엄격한 보호 시행
- 공익림의 질과 생태보호 기능증진
<신 설> - ‌과학기반 증명: 임지자원,
경관자원으로 활용(산림경제와
산림관광: 보호와 이용)
제50조 상품림의 정의와 개발 장려
<신 설> - 생태계의
‌ 안전성 보장을 전제로
안정적인 목재공급을 보장
<신 설> 제51조 상품림의 자주경영, 경제적 효과 제고
제52조 임업지원 시설 건설 기준 충족 시
<신 설>
승인
제16조 임업장기계획 수립 제53조 산림경영계획 승인
제29조 연간벌채량 통제 제54조 연간벌채량 통제
제30조 연간목재생산계획
제31조 벌채 규정 // 용도별 제55조 벌채 규정
- ‌용재림: 택벌, 간벌, 점벌 방식 - 공익림
사용. 개벌 통제, 벌채하는 - 상품림
해당연도 또는 다음연도 내 조림 - 자연보호지역
갱신 완료
- ‌방호림과 특종용도림 중 국방림,
모수림, 환경보호림, 풍경림: 오직
육성과 갱신 목적으로만 벌채 가능 + ‌위의 벌채 규정, 산림분류 운영관리,
- ‌특종용도림의 명승고지, 혁명기념지, 보호우선순위, 효율과 효과 및 이익
자연보호구역 수림: 벌채 금지 중시 원칙에 따라 해당 산림의 벌목
관련 기술 규정을 수립

16
국제산림정책토픽 제96호

1998 개정 2020 개정
제2장 산림경영관리, 제5장 산림벌채 제6장 경영관리
제32조 벌채 허가증 신청 제56조 벌채 허가증 신청
- 소유권에 따른 발급 필요 유무 - 소유권에 따른 발급 필요 유무
- 용도에 따른 관리
- 면허의 위조, 변조, 매매, 임대 금지
대상에 따른 벌채허가증 발급 가능 제57조 벌채허가증 발급 주체
주체 - 현급 이상의 인민정부 임업부서
제34조 대상에 따른 벌채허가증 신청 시 제출 제58조 벌채허가증 신청 시 제출 서류
서류 - 면허
‌ 신청 시 장소, 산림의 종류,
- 국유기업: 벌채구역 조사설계문서 수종, 면적, 벌목방식 등
- ‌기타기업: 목적, 지점, 면적, 축적, - 벌채
‌ 가능 면적 초과 시 조사 시행
갱신조치 등 및 추가자료 제출
- ‌규정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허가증
몰수, 벌채 중지
제33조 <신 설> 제59조 - 적기에 벌목 면허 발급
비준된 연간벌채한도 넘지 않는 - 비준된
‌ 연간벌채한도 넘지 않는
선에서 발급 선에서 발급
<신 설> 제60조 벌목면허 발급 금지 항목
제35조 갱신조림임무 완수 의무 제61조 갱신조림임무 완수 의무
벌채면적(그루)≤갱신조림면적(그루) 벌채면적(그루)≤갱신조림면적(그루)
+ 기술규정 기준 충족
제62조 금융혜택 제공: 저리, 산림담보대출,
<신 설>
산림신용대출
<신 설> 제63조 산림보험 지원: 보조금 형식
<신 설> 제64조 자발적 산림인증: SFM 기여
제65조 원자재와 제품의 입출고 대장 작성:
<신 설> 도벌 남벌 등 불법적인 원천을 알고
있는 임목의 구매, 가공, 운반 금지
제36조 산림구역목재의 경영과 감독관리
<삭 제>
방침은 국무원에서 별도 제정
제37조 운송증서 보유 시 반출 가능 <삭 제>
제38조 멸종위기종, 특별한 수목의 수출 금지
<삭 제>
및 제한

17
중국 삼림법(森林法) 개정 전후 비교 및 정책적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제7장: 감독과 검사, 제 8장 법적책임

산림자원 보호 감독 및 검사 수단을 강화하여 법 집행 권한이 강화됨.


1998 개정 2020 개정
제6장 법률 책임 제7장 감독과 검사
제2장 산림자원의 보호, 이용, 갱신에 대하여 제66조 - 보호, 복원 등을 감독 및 검사
제13조 관리 감독 - 위법행위를 법에 따라 조사 처리
제67조 현급 이상 주무부서는 산림자원 보호
및 감독 검사 직책 수행
<신 설> - 현장 검사
- ‌불법 입증 설비 또는 자산에 대한
차압 등
제68조 소송 제기하여 권한 침해한 대상에
<신 설>
대한 손해배상 청구
제69조 감사기관은 국유산림자원에 대한 감사
<신 설>
및 감독을 수행
1998 개정 2020 개정
제6장 법률 책임 제8장 법적 책임
<신 설> 제70조 직책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처벌
제71조 소유자, 사용자의 합법적 권익을
<신 설>
침해한 경우 법적 책임
제72조 주무부서의 기한 내 시정 명령과
담당자 처벌
- ‌산림자원의 보호와 육성 의무
<신 설>
불이행
- ‌산림관리계획 편성 의무, 계획
불이행 등
제73조 임지용도 무단변경 시 복원. 복원비용의
<신 설>
3배에 해당하는 벌금 부과
제44조 1항: 개간, 채석, 채사, 채토, 채종, 제74조 1항: 개간, 채석, 모래 채취 등 훼손의
채지의 경우 1-3배 보충파종 또는 경우 1-3배 수목 식재, 최고 5배의 벌금
최고 5배의 벌금 부과 부과
2항: 유림지와 특종용도림 내 벌목, 임야 훼손의 경우, 복원 명령 및 3배
방목으로 산림훼손의 경우 정지명령, 이하의 벌금 부과 가능
최고 3배 수목보충 파종 2항: 어린 수목림(유령림), 묘목 훼손,
3항: 거부 또는 보충파종 부적합 시 방목으로 인한 산림훼손의 경우 1-3배
임업주관부서 대신 수행, 비용은 보충 파종
위법자 지불
제75조 산림보호 표지판 훼손 시 복원 비용
부담

18
국제산림정책토픽 제96호

제39조 도벌: ‌10배 보충파종, 판매소득 몰수, 제76조 도벌: ‌최고 5배 식재, 5-10배 벌금 병과
수림가치의 3-10배 벌금 병과 남벌: 최고 3배 식재, 3-5배 벌금 병과
남벌: ‌5배 보충파종, 수림가치의
2-5배 벌금 병과
거부, 규정에 부합하지 않은 경우
임업주관부서가 대신 수행하고
비용은 위법자가 지불
범죄, 형사책임
제40조 진귀한 수목의 벌채, 훼손한 경우
<삭 제>
형사책임
제41조 수림채벌허가증, 수림운송증,
수출승인문서, 수출입허가 증명서 <삭 제>
관련 문제 행정처분/형사책임
제42조 면허 거래, 불법소득 몰수, 문서가치의 제77조 면허 위조 시 면허증과 불법 소득
1-3배 벌금 및 형사처분 회수, 소득의 1-3배 벌금 가능
소득이 없었던 경우 2만 위안 이하
벌금 가능
제43조 도벌, 남벌한 목재일 경우 소득 몰수, 제78조 불법벌채 → 구매, 가공, 운송한 경우
목재가치의 3배 이하 벌금 가능 소득 몰수하고 가치의 3배 이하 벌금
가능
제45조 갱신조림 완수하지 못한 경우, 제79조 재조림을 완수하지 못한 경우, 비용
벌채허가증 발급 제한. 혐의 무거울 대비 2배 이하의 벌금 부과 및 책임자
경우 벌금, 직접책임의 관리자에 처벌
상급기관에서 행정처분 가능
제80조 감독과 검사 거부 및 방해 시
<신 설> 5만위안의 벌금 또는 생산과 사업
중단 명령 가능
제81조 법 규정 위반, 대신 수행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은 위반한 자가 부담
복원 거부, 국가규정을 충족하지
<신 설>
못하는 경우
수목 보충 파종 거부 및 국가규정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제82조 공안기관은 행정 처벌권 행사 가능.
<신 설>
제74조의 1항, 76, 77, 78조에 해당
제46조 임업주관부서의 직권남용, 업무소홀,
불법행위: 형사책임. 성립하지 않을 시 <삭 제>
행정처분

19
중국 삼림법(森林法) 개정 전후 비교 및 정책적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4 시사점

‌
삼림법이 제정된 지 40여년, 1988년 개정된 후 20여년 만에 삼림법이 개정됨. 중국이
산림 부문에서 어떤 성과를 거두었으며 산림정책 및 제도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는 계기가 됨.

‌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이후 상당 기간 임업의 발전은 기본적으로 ‘목재생산
중심’의 원칙을 따랐고 삼림법은 주로 목재 수요와 공급을 보장하는 법적 근거에
불과했음. 과거 삼림법은 산업법의 법주에 포함되어 목재산업에 기여하는
행정법률로 규정되었음.

‌
기존 삼림법은 산림보호에 관한 조항에서도 목재와 임산물의 생산을 유지하는
것에서 출발한 산불방지, 병해충 방지, 생산량 증진과 경제적 효과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산림의 생태적 효익을 간과하는 측면이 있다는 평가를 받아옴. 이후 중국
18기 4중전회는 법률 제도를 통해 생태환경을 보호하고 생태 문명 건설을 촉진할
것을 요구함.

‌
생태 안전은 곧 국가안보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게 되었고 금번 삼림법을 개정하면서
생태보호 및 복원과 관련하여 임업의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실현하기 위해
생태우선, 보호우선, 조림과 숲가꾸기, 지속가능한 발전의 기본원칙을 강조하게 된
것임.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음.

‌
1970년대 중국의 산림면적은 1억 ha를 약간 웃도는 수준이었으나 공격적인
산림면적 확대 정책을 통하여 2019년 기준 산림면적은 2억2천 ha에 달하며
산림피복률은 22.96%까지 증가하였음.

‌
2019년 UNFF에 제출한 국가보고서를 살펴보면, 제출연도 기준 산림피복률은
22.96%, 임목축적량은 175.6억㎥으로 언급하고 있음. 2018년 중앙정부는
일반예산에서 4억9천만 위안, 특별기금에서 8억 1,500만 위안을 임업부문에
배정하는 등 적극적 지원을 계속하고 있음. 2035년까지 산림면적은 최대
26%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함.

20
국제산림정책토픽 제96호

‌
삼림법의 개정 내용은 대부분 「중국 임업발전 제13차 5개년 계획」을 추진하여
거둔 실효적 성과와 향후 지속적인 추진이 필요한 핵심 전략을 법제화 하여
이행의무와 당위성을 강화한 것으로 보임.
- 핵심전략은
‌ 국토녹화사업 추진의 가속화(1절), 임산업의 경쟁력 강화(2절),
산림품질의 전면적인 향상(3절), 자원과 생물다양성 보호 강화(4절),
임업계획의 전면적인 심화(5절), 창조적 혁신의 대대적인 추진(6절), 실질적인
의법치림의 강화(7절) 등

‌
임업자원의 효과적인 관리와 이용을 위하여 소유권, 재산권의 관계를 명확히
하고자 함. 재산권의 소유자는 임업자원에 대하여 점유, 사용, 수익, 처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책임지도록 함.

‌
산림보호는 임지전용을 엄격히 통제한다는 기조는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점용
가능 총량을 통제하고 관련 세부 조항을 신설함. 급속한 경제발전이 추진되면서
점용으로 인한 산림훼손 문제가 심각했던 것으로 예측됨.

‌
개정 전 ‘제5장 산림벌채’의 대부분 조항은 개정 후 ‘제6장 경영관리’에 포함되어
있음. 단순히 지속가능한 이용 측면에서 벌채 허가 관련 사항이 포함되어 있었던
것에 반해 개정 후에는 산림경영의 범주로 확장되어 검토되고 있음.

‌
개정된 법 역시, 산림의 질적 측면의 향상, 자원의 보호, 법적 책임의 강화 등이
눈에 띔. 앞으로 중국은 산림의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의 전환을 추구할
것으로 예측함.
- 이러한
‌ 질적 성장은 산림 경영관리 및 계획의 지위 강화로 나타남. 단순한
‘조림면적 확대’에서 ‘산림 품질’의 전면적 향상을 목표로 함. 아름다운 경관과
산림도시(도시숲) 조성으로 관심을 전환하고 있음.
- 그러나
‌ 양적 성장을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님. 특히 구속성 지표 중 산림 피복률과
임목축적량을 법적 구속력이 있는 정부 중요지표로 담은 것에 주목할 만함.

‌
중국 정부는 오는 10월 19기 중앙위원회 5차 전체회의를 개최하여 향후 5년간
주요 경제목표를 정하고 제14차 5개년 계획(2021-2025)을 발표할 예정. 13차
5개년 계획의 성과와 반성, 14차 계획의 변화 등에 주목할 필요

21
중국 삼림법(森林法) 개정 전후 비교 및 정책적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참고문헌

1. 김은희 외. 2017. 중국 임업발전 제13차 5개년 계획.


2. 산림청. 2019. 중국의 산림자원현황 : 제9차 산림자원조사.
3. 유병일.
‌ 1995. 동북아시아 5개국(한국, 북한, 일본, 중국, 대만)의 산림법과 산림자원. 한국
임학회지 84(1), 10-21.
4. ‌Du Q. 2018. “The definition of forest in Chinese legislation—the rationale of legal
protection of the ecological values of forest resources,” Resources Science 40(9).
5. ‌蔡守秋. 2004. “<森林法>修改的几個問題(<삼림법>개정에 관한 몇 가지 문제),” 現代法
學, 2004(5), 47.
6. ‌周訓芳. 2004.“林業的歷史性轉變與<森林法>的修改(임업의 역사적 전변과 <삼림법>의
개정),” 現代法學, 2004(5), 70.
7. http://www.fao.org/faolex/results/details/en/c/LEX-FAOC155077(검색일: 2020.10.01)

22
국제산림정책토픽 제96호

부록 중국 삼림법 한글 번역본

삼림법
2019.12.28. 개정, 2020.7.1. 시행

제1장 총칙
제1조 맑은 물과 푸른 산은 가장 큰 자산이라는 이념을 실천하고, 산림자원을 보호,
육성하고 합리적으로 활용하여 국토의 녹화를 가속화하고, 산림 생태계의 안전을
보장하며 생태 문명을 건설하고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공존을 실현하기 위해 본
법을 제정한다.

제2조 중화인민공화국 영토 내에서 산림과 임목(숲)의 보호, 육성, 이용 및 산림과


임목, 임지에 대한 경영 및 관리 활동에 종사하는데 본 법을 적용한다.

제3조 산림자원의 보호와 육성 및 이용은 자연을 존중하고, 자연에 순응하며, 생태


우선, 보호 우선, 보호와 육성의 조합 및 지속 가능한 발전의 원칙을 견지해야
한다.

제4조 국가는 산림자원의 보호 및 개발을 위해 목표기반 책임제와 진단 및 평가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상급 인민정부는 산림 지원의 보호 및 발전, 산불 및 주요
산림 병해충의 예방 및 방제 등 하급 인민정부의 성과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공개한다. 지방정부는 해당 행정구역의 산림자원 보호 및 발전의 필요에 따라
임장제(林长制; 하천, 호수 및 산림 관리 제도)를 만들 수 있다.

제5조 국가는 재정, 조세, 금융 등의 조치를 취하여 산림자원에 대한 보호와 발전을


지원한다. 각급 인민정부는 산림생태계 보호와 복원에 대한 투자를 보장하여 임업
발전을 촉진해야 한다.

제6조 국가는 안정적이고 건강하며 우수하고 효율적인 산림생태계의 육성을


목표로 공익림(公益林)과 상품림(商品林)에 대한 분류경영과 관리를 실시하여
주요 기능을 부각하고,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여, 산림자원의 영구적인 활용을
실현한다.

제7조 국가는 산림생태계 효익(효과와 이익) 보상제도를 구축하여 공익림 보호를

23
중국 삼림법(森林法) 개정 전후 비교 및 정책적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위한 지원과 역량을 강화하고, 주요 생태기능 지역에 대한 정책을 개선하며,


수혜지역과 산림 생태 보호 지역의 인민정부가 협상 등의 방식으로 생태 효율을
보상하도록 지도한다.

제8조 국무원과 성, 자치구, 중앙정부 직속 지방자치 단체의 인민정부는 민족자치


지방 자치권에 대한 국가 규정에 따라 민족자치 지방의 산림보호와 임업 발전에
대해 우대 정책을 시행할 수 있다.

제9조 국무원 임업 주무부서는 전국의 임업 사업을 주관한다. 현급 이상 지방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는 해당 행정구역의 임업 사업을 주관한다.

향진(乡镇) 인민정부는 관련 기관을 확정하거나 정규직 또는 임시직원을 채용하여


임업 관련 업무를 맡길 수 있다.

제10조 식목과 조림 및 산림 보호는 공민의 당연한 의무이다. 각급 인민정부는 전


인민이 의무적으로 참여하는 식목 행사를 조직하여 시행해야 한다.

매년 3월 12일은 식목일이다.

제11조 국가는 임업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권장하고 지원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여


선진적으로 적용된 임업기술을 홍보함으로써 임업의 과학기술 수준을 제고한다.

제12조 각급 인민정부는 산림자원 보호를 위한 홍보, 교육 및 지식 보급활동을


강화하고 기초 자치조직과 언론 매체, 임업 기업과 사업단위, 자원봉사자 등
산림자원 보호 홍보 활동을 장려하고 지원해야 한다.

교육 행정부서와 학교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산림자원 보호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제13조 조림 녹화, 산림 보호, 산림 경영관리 및 임업 과학 연구 등의 분야에서


성과가 탁월한 조직이나 개인에 대해 국가의 관련 규정에 따라 표창 및 포상을
한다.

제2장 산림 소유권
제14조 법률 규정에 의해 집체(집단) 소유에 속하는 것을 제외하고 산림자원은
국가의 소유이다.

국가가 소유한 산림자원의 소유권은 국가를 대신하여 국무원이 행사한다. 국무원


자연자원 주무부서가 국유 산림자원 소유자의 업무를 통일적으로 수행하도록

24
국제산림정책토픽 제96호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제15조 임지와 임지에 조성된 산림, 임목의 소유권과 사용권은 부동산 등기기관에서
일괄등기 등록하여 증서를 발급한다. 국무원이 확정한 국가의 주요 산림지역
(이하 “주요 산림지역” 이라함)의 산림과 임목 및 임지는 국무원의 자연자원
주무부서에서 등록을 담당한다.

산림과 임목 및 임지의 소유자와 사용자의 합법적인 권익은 법의 보호를 받으며,


어떤 조직과 개인도 이를 침해하여서는 안된다.

산림과 임목 및 임지의 소유자와 사용자는 산림과 임목 및 임지를 법에 따라


보호하고 합리적으로 활용해야 하며, 임지의 용도를 불법으로 변경하여 산림과
임목 및 임지를 훼손하여서는 안된다.

제16조 국가의 모든 임지와 임지에 있는 산림과 임목은 법에 따라 임업 경영자에게


사용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임업 경영자가 법에 의거 취득한 국유임지와 임지의
산림 및 임목에 대한 사용권은 승인을 거쳐 양도와 임대, 자본으로 출자할 수
있다. 세부 규정은 국무원에서 제정한다.

임업 경영자는 산림자원을 보호하고 육성할 의무를 이행하고, 국유 산림자원의


안정적 성장을 보장함으로써 산림의 생태 기능을 향상시켜야 한다.

제17조 농민 집단이 사용하는 집단 소유 및 국가 소유의 임지를 도급 경영하는


경우, 법에 따라 임지의 도급 경영권 및 도급 경영 임지의 임목을 소유할 권리를
가지며, 계약에 별도의 약정이 있는 경우, 해당 약정에 따른다. 도급자는 법에
따라 임대(하도급), 출자, 양도 등의 방식으로 임지의 경영권과 임목의 소유권 및
사용권을 유통시킬 수 있다.

제18조 도급경영을 시행하지 않는 집단 임지와 임지에 있는 임목은 농촌 집단경제


조직에서 통합 경영한다. 해당 집단경제 조직 구성원의 촌민 회의에서 구성원의
2/3 이상의 촌민 대표가 동의하여 공시할 경우, 입찰, 경매, 공개 협상 등의
방식으로 법에 따라 임지의 경영권과 임목의 소유권 및 사용권을 유통할 수 있다.

제19조 집단 임지 경영권의 유통은 서면 계약을 체결해야 한다. 임지에 대한 경영권


유통 계약서는 일반적으로 유통 쌍방의 권리와 의무, 유통 기간, 유통 가격 및
지급 방식 및 유통 기간 만료 시, 임지에 있는 임목과 고정생산 시설의 처분 및
위약 책임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

양수인이 법률 규정이나 계약의 약정을 위반하여 산림, 임목, 임지를 심하게

25
중국 삼림법(森林法) 개정 전후 비교 및 정책적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훼손된 경우, 발주자 또는 도급자는 임지의 경영권을 회수할 권리가 있다.

제20조 국유기업과 사업단위, 기관, 단체, 군부대에서 조성한 임목은 해당 기관에서


관리 및 보호하고, 국가 규정에 따라 임목 수익을 분배한다.

농촌주민이 주택의 앞뒤와 자류지 및 자류산에 심은 임목은 개인 소유로


귀속된다. 도시 주민이 자신의 주택 정원에 심은 수목은 개인 소유로 귀속된다.

산림을 조성하기에 적합한 국가 소유 및 집단 소유의 황폐한 산, 황무지와 황폐한


모래사장에 집단 또는 개인이 조성한 임목은 이를 도급한 집단 또는 개인의
소유이며, 계약에 별도 약정이 있는 경우 약정에 따른다.

기타 조직이나 개인이 조성한 임목은 법에 따라 조성한 자가 소유하고, 임목


수익을 누리며 계약에 별도 약정이 있는 경우, 약정에 따른다.

제21조 생태 보호와 인프라 건설 등 공익의 필요를 위해 임지와 임목을 징수 및


징발해야 할 경우, <중화인민공화국 토지관리법> 등의 법률과 행정 법규의
규정에 따라 심사 및 승인 절차를 거치고,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보상해야 한다.

제22조 기관 사이에서 발생한 임목과 임지의 소유권과 사용권 분쟁은 현급 이상


인민정부에서 법에 따라 처리한다.

개인 간, 개인과 기관 간 임목 소유권과 임지 사용권 분쟁은 향진(乡镇) 인민정부


또는 현급(县级) 이상 인민정부에서 법에 따라 처리한다.

당사자가 관련 인민정부에서 처리한 결정에 불복할 경우, 처리 결정 공문을 받은


날로부터 30일 내에 인민법원에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임목과 임지의 소유권 분쟁이 해결되기 전에는 산불 예방과 산림 병해충 퇴치,


국가 주요 인프라 건설 등의 필요를 제외하고, 당사자 어느 일방도 분쟁 대상인
임목을 벌목하거나 임지의 현재 상태를 변경해서는 안된다.

제3장 발전 계획
제23조 현급 이상 인민정부는 산림 자원의 보호와 임업발전을 인민경제와 사회발전
계획에 포함 시켜야 한다.

제24조 현급 이상 인민정부는 국토 공간 발전 및 보호를 위한 요구사항을 실천하여


산림자원 보호와 활용을 위한 구조 및 배치를 합리적으로 계획하고, 산림자원

26
국제산림정책토픽 제96호

보호 및 발전 목표를 수립하여 산림피복률과, 산림축적량을 늘리고 산림생태계의


품질과 안정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제25조 현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는 산림자원 보호 및 발전 목표에 따라


임업 발전 계획을 편성해야 한다. 하급 기관의 임업발전 계획은 상급 기관의
임업발전 계획을 근거로 편성된다.

제26조 현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는 현지의 실정을 반영하여 임지 보호


및 이용, 조림과 녹화, 산림 경영, 천연림 보호 등의 관련 특별항목에 대한 계획을
편성할 수 있다.

제27조 국가는 산림자원 조사 및 모니터링 제도를 구축하여 전국의 산림자원 현황과


변화 상황을 조사, 모니터링 및 평가하고 이를 정기적으로 발표한다.

제4장 산림 보호
제28조 국가는 산림자원 보호를 강화하여 수원함양, 토양 유실 방지, 기후 조절,
환경 개선, 생물 다양성 유지 및 임산물 제공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발휘한다.

제29조 중앙정부와 지방 인민정부는 공익림의 조성, 가꾸기, 보호, 관리 및 비


국유 공익림의 권리자에 대한 경제적 보상 등 특수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자금을 별도로 마련하여야 한다. 구체적인 규정은 국무원 재정부에서 관할 임업
주무부서와 회동하여 제정한다.

제30조 국가는 주요 산림지역의 변혁과 발전, 산림자원 보호와 복원, 생산과


생활환경을 개선하여 소재지의 경제 사회 발전을 촉진한다. 주요 산림지역은
규정에 따라 국가 주요 생태 기능 지역의 이전 지급 등과 같은 정책의 혜택을
누린다.

제31조 국가는 국가공원을 중심으로 자연보호지역 시스템을 구축하여 각기


다른 자연 지역의 전형적인 산림생태 지역, 진귀한 동식물의 성장 및 번식이
이루어지는 산림지역, 천연 열대림 지역 및 특별한 보호 가치를 지닌 천연림 지역
등의 보호와 관리를 강화한다.

국가는 생태계 취약지역의 산림자원에 대한 보호 및 복구를 지원한다.

현급 이상 인민정부는 특별한 가치를 지닌 야생 식물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27
중국 삼림법(森林法) 개정 전후 비교 및 정책적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제32조 국가는 천연림에 대한 전면적인 보호 제도를 시행하여 천연림의 벌채를


엄격히 제한하고 천연림의 관리 및 보호 능력 구축을 강화하여 천연림 자원을
보호하고 복구함으로써 천연림의 생태 기능을 점차 향상시킨다. 구체적인 규정은
국무원에서 규정한다.

제33조 각급 지방 인민정부는 관련 부서에서 산림보호 조직을 설치하여 산림보호


업무를 담당하게 한다. 실제 필요에 따라 산림보호 시설을 건설하고 산림자원의
보호를 강화하며, 산림보호 협약 체결의 촉구, 산림보호 지역의 구분을 통하여
산림자원 보호를 강화하며 정규직 또는 임시직 산림보호 직원을 배치한다.

현급 또는 향진 인민정부는 산림 감시원을 채용한다. 주요 책임은 산림 순찰과


보호로 산불과 산림병해충 및 산림자원 훼손 행위를 발견하여 적기에 처리하고
지역 산림부서에 보고해야 한다.

제34조 지방의 각급 인민정부는 해당 행정구역의 산불 예방을 책임지고 군민들에게


예방 역량을 발휘하도록 한다. 현급 이상 인민정부는 비상 관리, 임업, 공안 등의
부서를 지도하여 책임 분담에 따라 산불의 과학적 예방 및 구조 관련 처리 업무를
긴밀하게 협조할 수 있도록 조직한다.

(1) 산불 예방 홍보 활동을 실시하여 산불 예방 지식을 보급한다.

(2) 산불 방지 구역을 지정하고 산불 예방 기간을 정한다.

(3) 방화 설비 및 자재를 갖춘 방화 시설을 설치한다.

(4) ‌사전 위험을 적시에 제거하기 위해 산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 시스템을


구축한다.

(5) 산불 비상 계획을 수립하여 산불이 발생하면 즉시 진화와 구조를 실시한다.

(6) 산불 예방, 화재 진압 및 인명과 재산 구조에 필요한 비용을 보장한다.

국가의 종합 소방구조대는 국가에서 규정한 산불 진압 업무와 예방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제35조 현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는 해당 행정구역의 산림병해충을


감시하고 그에 대한 검역 및 방제를 실시한다.

성급(省级)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는 산림 식물과 그 제품의 검역대상


병해충을 결정하고 감염 및 방제를 실시한다.

지방 인민정부는 주요 산림 병해충의 예방과 통제를 책임진다. 확산성이 큰

28
국제산림정책토픽 제96호

위험한 주요 산림병해충 재해가 발생할 경우, 현지 인민정부는 즉시 방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임업 경영자는 정부의 지원 하에 자신이 경영하고 관리하는 범위에서 발생되는


산림병해충을 예방하고 방제해야 한다.

제36조 국가는 임지를 보호하고, 비 임지로 전환하는 것을 엄격히 통제하고, 점용


임지의 총량을 통제하여 임지의 보유량이 줄어들지 않도록 한다. 각 건설사업의
점용 임지가 해당 행정구역의 점용 임지 총량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제37조 지하자원 탐사와 채굴 및 각종 건설공사는 임지를 점용하지 않거나 적게


점용해야 한다. 임지를 점용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현급 이상 인민정부 임업
주무부서의 심사를 받아야 하며 건설용지의 승인 절차는 법에 따라 처리되어야
한다.

임지를 점용하는 기관은 산림식생 복원비용을 납부해야 한다. 산림식생


복원비용의 징수 및 사용관리 규정은 국무원 재정부서에서 임업 주무부서와
회동하여 제정한다.

현급 이상 인민정부 임업 주무부서는 규정에 따라 식수와 조림 및 산림식생의


복원을 준비해야 하며, 식수 및 조림 면적이 점용 용지로 인해 감소된 산림 식생
면적보다 작아서는 안된다. 상급 임업 주무부서는 정기적으로 하급 주무부서의
식수와 조림 및 산림식생 복원을 독촉하고 점검해야 한다.

제38조 임지를 임시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 현급 이상 인민정부 임업 주무부서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임지의 임시 사용기간은 일반적으로 2년 미만으로 하되,
임시 사용 임지에 영구적인 건축물을 건설해서는 안된다.

토지를 사용한 기관 또는 개인은 임지의 임시 사용 기간이 만료 된 후 1년 이내에


식생 및 임업 생산조건을 복원해야 한다.

제39조 산림 훼손, 개간, 채석, 모래와 토양의 채취 및 기타 수목과 임지를 훼손하는


행위는 금지된다.

임지에 중금속이나 기타 유해물질 함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오수, 침적물 및


임지의 오염을 초래할 수 있는 침전 퇴적물, 폐석, 슬래그 등을 배출하는 것은
금지된다.

조성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임지 벌채, 묘목 훼손, 방목 행위를 금지한다.

29
중국 삼림법(森林法) 개정 전후 비교 및 정책적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임의로 산림 보호 표지판을 옮기거나 훼손하여서는 안된다.

제40조 국가는 고목과 명목(유명 수목) 및 진귀한 수목을 보호한다. 고목과 유명


수목 및 진귀한 수목, 그리고 해당 수목이 생존하는 자연 환경을 파괴하는 것을
금지한다.

제41조 각급 인민정부는 임업 인프라 건설을 강화하고 적용 가능한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산불 예방, 산림병해충 방제 등 산림 보호와 관리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각 관련부서는 산림보호를 강화해야 한다. 국유 임업 기업과 사업 단위는 투자를


확대하여 산불 예방과 임업 해충 방제 및 산림자원 파괴 행위의 예방과 방지를
강화해야 한다.

제5장 조림과 녹화
제42조 국가는 도시와 농촌의 조림과 녹화를 계획하고, 대규모 국토녹화 작업을
전개하여 녹화를 통해 도시와 농촌을 아름답게 하며, 산림 도시의 건설을
추진하여 농촌의 진흥을 촉진하고 아름다운 마을을 건설한다.

제43조 각급 인민정부는 각 업종과 도시 농촌 주민들이 조림과 녹화사업을


실시하도록 한다.

조림에 적합한 황폐한 산과 황무지 및 황폐한 모래사장이 국가 소유인 경우, 현급


이상 인민정부 임업 주무부서와 기타 관련 주무부서에서 조림과 녹화를 실시한다.
집단 소유의 경우, 집단 경제조직에서 조림과 녹화를 실시한다.

도시 계획 구역과 철도 및 도로 양쪽, 강과 하천의 연안, 호수와 저수지 주변은


각 관련 주무부서에서 관련 규정과 현지 조건에 따라 조림과 녹화를 적절히
실시한다. 광공업 지역, 산업단지, 기관, 학교 부지, 군부대 주둔지 및 농장, 목장,
양식장 운영 지역은 각 해당 기관에서 조림과 녹화를 책임진다. 도시의 조림과
녹화 시행 세부 규정은 국무원에서 제정한다.

조림에 적합한 황폐한 산, 황무지 및 황폐한 모래사장을 국가나 집단이 소유한


경우 기관이나 개인이 조림과 녹화를 도급할 수 있다.

제44조 국가는 공민이 조림, 육림, 관리 및 보호, 녹지건설과 유지보수 책임제 등의


방식을 통해 조림과 녹화사업에 참여하도록 장려한다.

30
국제산림정책토픽 제96호

제45조 각급 인민정부는 조림과 녹화를 실시할 경우 과학적으로 계획하고 현지에


적합한 방안을 수립하여 수종과 수목의 구조를 최적화하고 토종 수종과 우량
수종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며, 혼효림을 조성하여 조림과 녹화의 품질을 향상
시켜야 한다.

국가에서 투자하거나 국가의 투자를 위주로 한 조림과 녹화사업은 국가 규정에


따라 우량품종의 임목을 사용해야 한다.

제46조 각급 인민정부는 자연 복원에 중점을 두고, 자연 복원과 인공 복원을 결합한


조치를 취해 산림생태계를 과학적으로 보호하고 복원해야 한다. 신규로 조성한
임지와 산림을 보호, 육성해야 하는 지역은 현지 인민정부에서 조림하기 위해
입산을 금지한다.

각급 인민정부는 국무원이 확정한 사면 경작지, 사막화가 심한 경작지, 자갈로


인해 사막화가 심각한 경작지, 심하게 오염된 경작지 등 생태 복원이 필요한
경작지를 산림과 초원으로 전환시키는 계획을 추진한다.

각급 인민정부는 자연적인 요인으로 초래된 황폐하고 훼손된 산림과 퇴화된 임지


및 조림에 적합한 황폐한 산과 황무지, 황폐한 모래사장에 대해 현지에 맞는
생태환경 복원 사업을 실시하여 식생을 복원해야 한다.

제6장 경영 관리
제47조 국가는 생태 보호의 필요에 따라 생태적 위치가 중요하거나 생태 조건이
취약한 임지와 생태효익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임지를
공익림으로 지정한다. 공익림으로 지정되지 않은 임지와 임지에 조성된 산림은
상품림에 속한다.

제48조 공익림은 국무원과 성, 자치구, 직할시의 인민정부에서 지정, 고시한다.

다음 지역의 임지와 임지에 조성된 산림은 공익림으로 지정한다.

(1) 중요한 하천의 상류 집수 지역

(2) 주요 하천의 주류와 지류 양안 및 식수원 보호구역

(3) 주요 습지와 주요 저수지 주변

(4) 산림 및 육상 야생 동물 유형의 자연 보호구역

31
중국 삼림법(森林法) 개정 전후 비교 및 정책적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5) 사막화 및 토양 침식이 심한 지역의 방풍방사림 기반 수림대

(6) 연안 보호림 기반 수림대

(7) 미개발 원시림 지역

(8) 기타 지정지역

국유림이 아닌 지역을 포함하여 공익림을 지정할 경우에는 권리자와 서면계약을


체결하고 합리적인 보상을 해야 한다.

공익림을 조정할 경우, 기존에 공익림을 지정했던 기관의 승인을 받아 고시한다.

국가 공익림의 지정 및 관리 규정은 국무원이 제정한다. 지방 공익림의 지정과


관리 규정은 성과 자치구, 직할시의 인민정부가 제정한다.

제49조 국가는 공익림에 대한 엄격한 보호를 시행한다.

현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는 공익림 중 생태 기능이 낮은 산림과


열등한 산림(소림) 등 질이 낮고 효율성이 낮은 산림의 생태보호기능과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임분개조, 산림관리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공익림의
경영자를 계획적으로 조직해야 한다.

공익림의 생태적 입지 보호 요건을 충족하고, 공익림의 생태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과학적 검증을 거쳐 공익림의 산림 자원과 산림 경관
자원을 합리적으로 활용하여 산림경제와 산림 관광 등을 적절히 발전시킬 수
있다. 공익림을 활용하여 상기 활동을 전개할 경우, 국가의 관련 규정을 엄격히
준수해야 한다.

제50조 국가는 다음과 같이 상품림의 개발을 장려한다.

(1) 목재 생산을 주목적으로 하는 산림.

(2) ‌과일, 연료, 음료, 조미료, 공업원료 및 약재 등 임산물 생산을 주목적으로


하는 산림.

(3) 연료와 기타 바이오 에너지의 생산을 주목적으로 하는 산림.

(4) 기타 경제적 이익을 주목적으로 하는 산림.

생태적 안보를 전제로, 국가는 빠르게 성장하고 고수익인 진귀한 수종 및 대경재


용재림의 건설을 장려하고 수목의 비축을 증량함으로써 목재의 안정적인 공급을
보장한다.

32
국제산림정책토픽 제96호

제51조 상품림은 임업 경영자가 법에 따라 자주적으로 경영한다. 생태계를 훼손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집약 경영을 실시하고 산림, 임목, 임지를 합리적으로 이용하여
상품림의 경제적 이익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2조 임업의 생산 및 운영을 위해 관련 국가부서에서 설정한 기준을 충족하는


다음 기반시설을 임지에 직접 건설할 경우에는 현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에서 승인한 것으로 간주하여 건설 용지 승인 절차가 필요 없다. 기준을
초과하여 임지를 점용하는 경우에는 법에 따라 건설 용지 심사승인 수속을 거쳐야
한다.

(1) 종자와 묘목의 재배 및 생산 시설

(2) 종자와 묘목 및 목재 저장시설

(3) 집재로, 운재로, 소방도로, 산림 보도

(4) 임업 과학 연구 및 과학보급 교육 시설

(5) 야생 동식물 보호, 산림보호, 산림병해충 방제, 산불 예방 및 목재 검역 시설

(6) 수도, 전기, 난방, 가스 공급 및 통신 인프라

(7) 기타 임업 생산과 직접 관련 있는 공정 시설

제53조 국유림 기업과 사업단위는 산림경영 계획(방안)을 수립하여 산림 육성 및


관리 보호를 위한 대책을 명확히 하여 현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에
보고하여 승인을 받은 후 시행한다. 중점 산림 지역의 산림경영 계획은 국무원
임업 주무부처의 승인을 거쳐 시행한다.

국가는 기타 임업 경영자가 산림경영 계획을 수립하도록 지원하고 유도한다.

산림경영 계획 수립과 관련된 세부 규정은 국무원 임업 주무부서에서 정한다.

제54조 국가는 산림의 연간 벌채량을 엄격히 통제한다. 성과 자치구, 직할시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는 목재 성장량 이하의 소비와 산림 분류 및 운영
관리 원칙에 따라 해당 행정구역의 연간 벌채 한도를 편성하고, 국무원 임업
주무부서의 의견을 구한 후, 해당 지역 인민정부의 승인을 거쳐 발표 및
시행하며, 이를 국무원에 보고하여 등록해야 한다. 주요 산림지역의 연간
벌채한도는 국무원 임업 주무부서에서 편성하며, 국무원의 승인을 거쳐 공포한
후, 시행한다.

제55조 산림 및 임목의 벌채는 다음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33
중국 삼림법(森林法) 개정 전후 비교 및 정책적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1) 공익림은
‌ 산림의 질이 낮고 효율성이 낮은 산림갱신, 개조를 위해서만 벌채할
수 있다. 단, 과학적 연구 또는 실험, 산림 병해충 예방 및 방제, 산림보호 및
산불 예방 시설 건설, 생물학적 방화수림대 구축, 자연재해 등으로 벌채가
필요한 경우는 제외한다.

(2) ‌상품림은 상황에 따라 그에 맞는 벌채 방식을 채택해야 한다. 개벌 면적을


엄격히 통제하여 벌채된 곳은 재조림 계획을 시행한다.

(3) 자연
‌ 보호지역의 임목은 벌채를 금지한다. 그러나 산림 병해충 예방 및 방제,
산불 예방, 주요 보호 대상의 생활환경 보호, 자연재해 등 특수한 상황으로
인한 벌채와 실험 지역의 대나무 숲은 제외한다.

성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는 위의 규정과 산림분류 경영관리, 보호


우선 순위, 효율성 및 이익 중시 원칙에 따라 해당 산림벌채 관련 기술 규정을
수립해야 한다.

제56조 임지에 있는 임목을 벌채하려면 벌채 면허를 신청해야 하며, 벌채 면허


규정에 따라 벌채를 실시한다. 자연보호지역 이외의 대나무 숲을 벌채할 경우,
벌채 면허를 신청할 필요가 없으나 임목에 관한 벌채기술 규정은 준수해야 한다.

농촌 주민이 자류지와 집 앞뒤의 개인 소유의 임목을 소량 벌채할 경우, 벌목


면허를 신청하지 않아도 된다.

비 임지의 농지 보호림, 방풍방사림, 도로 보호림, 제방 보호림 및 도시 재건을


위한 벌채는 관련 주무부서의 규정에 따라 관리한다.

임목의 굴취 및 이식은 벌채임목의 관리에 따라야 한다. 세부 규정은 국무원 임업


주무부서에서 수립한다.

벌목 면허의 위조, 변조, 매매, 임대를 금지한다.

제57조 벌목 면허는 현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에서 심사 발급한다.

현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는 벌채 면허 신청자가 수속하기 편하도록


조치를 해야 한다.

농촌 주민이 자류산과 개인 도급 집단 임지의 산림을 벌목할 경우, 현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 또는 위임을 받은 향진(乡镇) 인민정부에서 벌목
면허를 심사, 발급한다.

제58조 벌채 면허의 신청은 벌목 장소, 산림 유형, 수종, 면적, 산림 축적,

34
국제산림정책토픽 제96호

벌채 방식, 갱신 조치 및 임목의 소유권에 대한 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성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에서 정한 면적이나 산림축적량을 초과할
경우, 벌채지의 조사 및 설계 자료를 추가로 제출해야 한다.

제59조 벌채기술 규정에 부합할 경우, 벌채 면허 심사 발급 부서는 적기에 벌채


면허를 발급해야 한다. 단, 벌채면허 심사 및 발급 부서는 연간 벌채 한도를
초과하여 벌채 면허를 발급해서는 안된다.

제60조 다음 상황 중 하나에 해당될 경우, 벌목 면허를 발급해서는 안된다.

(1) 육림 기간에 해당하는 지역 및 육림 지역의 폐쇄된 산림

(2) 전년도에 벌채한 후, 규정대로 갱신 및 재조림을 완수하지 못한 경우

(3) 전년도에
‌ 심각한 남벌 사례와 산불, 산림병해충 재해가 발생하였으나 예방 및
개선조치가 취해지지 않은 경우

(4) 법률과 법규 및 국무원 임업 주무부서에서 벌채를 금지한 기타 경우

제61조 임목을 벌채한 조직과 개인은 규정에 따라 재조림을 완료해야 한다. 재조림
면적은 벌채 면적보다 적어서는 안되며, 재조림 시 관련 기술 규정에서 명시된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제62조 국가는 이자 할인과 산림 소유권 저축 담보 보조금 등과 같은 조치를 통해


금융기관의 산림 관련 담보 대출 및 산림농가 신용대출 등과 같은 임업 특성에
맞는 신용 공여를 실시하도록 권장하고 유도하며, 산림 소유권 저축 기관이
시장화 저축 담보를 실시하도록 지원한다.

제63조 국가는 산림 보험 개발을 지원한다. 현급 이상 인민정부는 법에 따라 산림


보험에 대한 보험료 보조금을 제공한다.

제64조 임업 경영자는 산림 인증을 자발적으로 신청하여 산림 운영 수준의 제고와


지속 가능한 경영을 촉진할 수 있다.

제65조 목재 경영과 가공기업은 원자재와 제품의 입출고 대장을 작성해야 한다.


모든 기관과 개인은 도벌과 남벌 등 불법 벌채된 임목을 구입, 가공, 운송해서는
안된다.

35
중국 삼림법(森林法) 개정 전후 비교 및 정책적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제7장 감독과 검사
제66조 현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는 본 법의 규정에 따라 산림자원의
보호, 복원, 이용, 갱신 등을 감독 및 검사하며, 산림자원 훼손 등의 위법 행위를
법에 따라 조사 처리한다.

제67조 현급 이상 인민정부의 주무부서는 산림자원 보호 및 감독 검사 업무를


수행하며,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할 권리가 있다.

(1) 생산 경영 사업장 출입 및 현장 검사

(2) 관련
‌ 문서와 자료의 열람 및 복사, 이전, 파기, 은닉 또는 변조 가능성이 있는
문서와 자료에 대한 봉인.

(3) ‌불법 출처를 입증할 증거가 있는 임목과 산림, 산림자원의 훼손 활동에


종사한 도구와 설비 또는 자산에 대한 차압 및 압류.

(4) 산림자원 훼손 행위와 관련된 장소 봉쇄

성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는 산림자원 보호와 개발 업무의 부실,


문제점 발생, 대중이 강력하게 반응하는 지역에 대해 소재지의 현급 이상
인민정부와 관련 부서의 주요 책임자를 면담하여 적기에 시정조치를 취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면담 및 시정 상황을 외부에 공개해야 한다.

제68조 산림자원을 파괴하여 생태환경의 훼손을 초래할 경우, 현급 이상 인민정부의


천연자원 주무부서와 임업 주무부서는 법에 따라 인민법원에 소송을 제기하고
권한을 침해한 자에게 손해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제69조 감사 기관은 국가 관련 규정에 따라 국유 산림 자원 자산에 대한 감사 및


감독을 수행한다.

제8장 법적 책임
제70조 현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나 기타 관련 국가기관이 본 법의
규정에 따라 직무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 직속 담당자 및 기타 직접 책임자는
법에 따라 처벌한다.

본 법의 규정에 따라 행정 처벌 결정을 내려야 하나 시행되지 않았을 경우, 상급


주무부서는 하급 주무부서에 행정 처벌을 명령하거나 직접 행정 처벌을 부과할

36
국제산림정책토픽 제96호

권리를 가진다.

제71조 본 법의 규정을 위반하여 산림, 임목, 임지의 소유자 또는 사용자의 합법적


권익을 침해한 경우, 법에 따라 권리 침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제72조 본 법의 규정을 위반하여 국유 임업 기업 및 사업단위가 산림자원의 보호와


육성 의무를 이행하지 않고, 산림경영 계획을 수립하지 않거나 승인된 산림 경영
계획에 따라 산림경영 활동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현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는 기한 내 시정을 명령하며 직속 담당자 및 기타 직접 책임자는 법에
따라 처벌한다.

제73조 본 법의 규정을 위반하여 현급 이상 인민정부 임업 주무부서의 심사 동의를


거치지 않고 임지 용도를 무단으로 변경할 경우, 현급 이상 인민정부 임업
주무부서는 기한 내 식생과 임업 생산조건을 복원하도록 명령하고 식생과 임업
생산조건 복원에 소요되는 비용의 3배 이하의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

현급 이상 인민정부 임업 주무부서의 심사 동의를 거쳤지만, 건설 용지 심사 승인


수속을 하지 않고 무단으로 임지를 점용한 경우, <중화인민공화국 토지관리법>의
관련 규정에 따라 처벌한다.

임시로 사용하는 임지에 영구 건축물을 세우거나 임지의 임시 사용기간이 만료된


지 1년 이내에 식생이나 임업 생산조건을 복원하지 못한 경우 본 조의 제1항에
따라 처벌한다.

제74조 본 법의 규정을 위반하고 개간, 채석, 모래 채취, 토양 채굴 또는 조성된


임목을 훼손하는 기타 활동을 한 경우 현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는
불법 행위를 중지하고 기한 내 본래 지역 또는 다른 장소에 훼손된 나무 수량의
1배 이상~3배 이하의 수목을 보충 파종하도록 명령하고, 훼손된 수목 가치의
5배 이하에 달하는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 임지의 파괴를 초래한 경우, 현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는 위법 행위를 중지하고, 기한 내 식생과 임업
생산조건의 복원을 명령하며, 식생과 임업 생산조건 복원에 필요한 비용 대비 3배
이하의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

본 법의 규정을 위반하여 유령림을 벌채하고, 묘목을 훼손하거나 방목하여 조성


임목을 훼손한 경우 현급 이상의 인민정부 임업 주무부서는 위법 행위를 중지하고
기한 내 본래 지역 또는 다른 곳에서 훼손된 수목의 1배 이상~3배 이하의 수목을
보충 파종하도록 명령한다.

37
중국 삼림법(森林法) 개정 전후 비교 및 정책적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산림 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준설 퇴적물, 폐석, 슬래그 등은 물론 기준을


초과하는 중금속 또는 기타 독성 및 유해물질이 포함된 오수 및 퇴적물을
임지에 배출하는 경우, <중화인민공화국 토양오염 방지법>의 관련 규정에 따라
처벌한다.

제75조 본 법의 규정을 위반하여 산림 보호 표지판을 임의로 옮기거나 훼손한 경우,


현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는 산림보호 표지를 원상 복구하고 해당 소요
비용을 법 위반자가 부담하도록 한다.

제76조 임목을 도벌한 경우, 현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는 기한 내


본래 지역 또는 다른 곳에서 도벌한 수목 수량의 1배 이상~5배 이하의 수목을
보충 파종하도록 명령하며, 도벌한 수목 가치의 5배 이상~10배 이하의 벌금을
병과한다.

임목을 남벌한 경우, 현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는 기한 내 본래


지역 또는 다른 곳에서 남벌한 수목 수량의 1배 이상~3배 이하의 수목을 보충
파종하도록 명령하며, 남벌한 수목 가치의 3배 이상~5배 이하의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

제77조 본 법의 규정을 위반하여 벌목 면허를 위조, 변조, 매매, 임대한 경우, 현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는 면허증과 불법 소득을 몰수하고, 불법 소득의
1배 이상~3배 이하의 벌금을 병과한다. 불법 소득이 없는 경우 2만 위안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제78조 본 법의 규정을 위반하고 도벌과 남벌 등 불법적인 경로로 생산된 임목임을


알고서도 이를 구매, 가공, 운송한 경우 현급 이상 인민정부의 주무부서는 불법
행위를 중단하고 불법으로 구매, 가공, 운송한 임목 또는 판매 소득을 몰수하도록
명령하고, 불법으로 구입, 가공, 운송한 임목 가치의 3배 이하에 달하는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

제79조 본 법의 규정을 위반하여 재조림을 완수하지 못할 경우, 현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는 기한 내 재조림 완수를 명령한다. 기한 내에
완수하지 못한 경우, 완료되지 않은 조림 비용의 2배 이하의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 직속 담당자 및 기타 직접 책임자는 법에 따라 처벌한다.

제80조 본 법의 규정을 위반하여 현급 이상 인민정부 임업 주무부서가 법에 따라


실시하는 감독과 검사를 거부하거나 방해할 경우, 5만 위안 이하의 벌금을 부과할

38
국제산림정책토픽 제96호

수 있으며, 상황이 심각할 경우 시정을 위해 생산 및 영업 중단을 명령할 수 있다.

제81조 본 법의 규정을 위반하며, 다음 중 하나에 해당될 경우, 현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는 법에 따라 대행하며, 대행 소요비용은 법을 위반한
자가 부담한다.

(1) 식생과 임업 생산조건의 복원을 거부하거나 복원한 식생과 임업 생산조건이


국가의 관련 규정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2) ‌수목 보충 파종을 거부하거나 보충 파종이 국가 관련 규정을 준수하지 않은


경우

식생 복원, 임업 생산조건, 수목 보충 파종의 기준은 성급 이상 인민정부의 임업


주무부서에서 제정한다.

제82조 공안기관은 국가의 관련 규정에 의거하여 본 법 제74조 제1항과 제76조,


제77조, 제78조에 규정된 행정 처벌권을 법에 따라 행사할 수 있다.

본 법의 규정을 위반하여 치안관리 위반 행위를 행한 자는 법에 따라 공안 관리


처벌을 받게 되며 범죄가 성립될 경우 법에 따라 형사 책임을 추궁한다.

제9장 부칙
제83조 본 법에서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1) 산림은
‌ 교목림, 죽림 및 국가에서 특별히 규정한 관목림을 포함한다. 용도에
따라 방호림, 특수용도림, 용재림, 경제림과 에너지림으로 나눌 수 있다.

(2) 임목은 수목과 대나무를 포함한다.

(3) ‌임지는 현급 이상 인민정부가 산림개발에 사용하는 토지를 의미하며


울폐도(鬱閉度)가 0.2 이상인 조림지, 죽림, 관목임지, 벌목지, 산불피해지,
유령임지, 묘포지 등을 포함한다.

제84조 본 법은 2020년 7월 1일부터 시행된다.

39
중국 삼림법(森林法) 개정 전후 비교 및 정책적 함의
국제산림정책토픽 발행 목록

2014년
제1호 ‘바르샤바 REDD+ 프레임워크’: 전망과 대응 (김래현, 배재수)
제2호 동남아시아 국가의 바이오에너지 정책·산업 동향과 우리나라의 대응방안(안병준,이수민)
제3호 일본의 산림테라피기지 운영 사례 및 시사점 (이성숙)
제4호 일본의 환경서비스지불제(PES) 운용사례 및 시사점 (박경석, 주린원)
제5호 한·중 FTA 임산업부문 추진 동향 및 전망 (이호상, 전현선)
제6호 생물다양성협약(CBD) 최근 협상동향 및 대응방안 (박고은, 이영근)
제7호 일본의 산림약용자원 연구현황 및 시사점 (전준헌)
제8호 일본의 풍력발전시설 입지 기준 및 인·허가 제도와 시사점 (권순덕)
제9호 IPCC 제5차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주요내용 및 시사점 (김영환)
제10호 캄보디아의 REDD+ 정책 및 우리나라의 대응 전략 (송민경, 윤소진, 배재수)
제11호 일본 특용임산자원 정책동향 및 시사점 (김종인, 유병오)
제12호 캐나다의 산림정책 및 산림관리 동향 (서경원)
제13호 세계 목조건축 정책동향 및 국내 산업발전 방향 (박문재, 심국보)

2015년
제14호 제12차 생물다양성협약(CBD) 당사자총회 및 제1차 나고야의정서 당사자회의 결과와 대응 방안 (이석우)
제15호 UNFCCC 리마 총회(COP20) 결과와 산림부문 논의 동향 및 대응방안 (김래현)
제16호 독일과 스위스의 산림치유 정책, 연구동향과 시사점 (박수진, 서정원)
제17호 코스타리카의 산림환경서비스지불제 사례분석 및 시사점 (전철현, 이호상)
제18호 주요 국가의 산림수자원 관리 정책 및 시사점 (최형태, 김수진)
제19호 일본 상록활엽수림 연구동향 및 정책적 시사점 (유병오)
제20호 제 11차 UNFF 결과와 향후 국제산림협정 전망 및 시사점 (김통일, 정세경)
제21호 일본의 내화목재 기술개발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손동원)
제22호 몬트리올프로세스의 최근 논의 동향 및 시사점 (정세경)
제23호 미국 레이시 액트(Lacey Act) 관련 제도의 최신 동향 및 시사점 (설미현)
제24호 일본의 제안형 집약화 시업 정책 내용과 시사점 (이성연)
제25호 덴마크 도시숲의 치유공간조성 현황 및 시사점 (이정희, 주린원)
제26호 고형바이오연료의 국제표준화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이수민)

2016년
제27호 파리협정문의 주요 합의사항과 산림부문 논의동향 및 대응방안(임종수·송민경)
제28호 중국 산림복지 정책동향 및 시사점(최가영·김통일)
제29호 캐나다 산림교육 동향 및 시사점(이연희·하시연)
제30호 미국의 숲속야영장 조성·운영 현황 및 이용 동향(유리화·장주연)
제31호 중국 할랄 시장의 현황 및 무역 정책(설미현)
제32호 일본의 산촌 활성화 및 녹색·생태관광 정책 동향과 시사점(김종호·김성학·김예지)
제33호 일본의 소나무재선충병 내병성육종 연구동향 및 정책적 시사점(우관수)
제34호 동남아시아 국가별 산림환경서비스 지불제 현황 및 시사점(이호상)
제35호 유엔산림포럼 제1차 전문가그룹 특별회의 결과 및 시사점(최은호)
제36호 인도네시아의 『산림 파트너십』 제도 - 새로운 산림 거버넌스의 성공을 위한 도전과제 -(배재수·송민경)
제37호 핀란드 산림교육 동향 및 시사점(이연희·김재준)
제38호 유럽의 소나무재선충병 발병 현황 및 방제 전략과 시사점(한혜림·이승규·이경학)
제39호 에티오피아 산림협력 방향(박 현·강호상)
제40호 영국 도시숲의 치유적 활용사례 및 시사점(이연희·유리화·이승아)
제41호 일본의 산림치유 정책 및 추진현황(박수진·유리화·이정희·정미애)
국제산림정책토픽 발행 목록

2017년
제42호 대형 목조건축 해외 동향 및 시사점(이상준)
제43호 제22차 유엔기후변화협약 총회 산림부문 논의동향 및 대응 방안(송민경·임종수)
제44호 뉴질랜드 산림현황 및 사유림 경영 실태(이상태)
제45호 유럽의 산악관광 현황 및 시사점(권순덕·곽두안)
제46호 홍콩 트레일 운영 사례 및 시사점(이정희·홍재윤)
제47호 뉴질랜드의 산림과 지역자원을 활용한 관광 활성화 사례와 시사점(김성학·김종호)
제48호 인도네시아의 산불 관리 및 시사점(안수정)
제49호 제11차 UNFF 후속조치의 결과 및 시사점(최은호)
제50호 북한의 산림부문 기후변화대응 동향 및 시사점(송민경)
제51호 중국 수입 유기식품의 통관 절차(이호상·이화)
제52호 캄보디아 해외산림자원개발 투자 현황 및 시사점(이호상·주린원)
제53호 일본의 땅밀림 및 지진 유발 산지토사재해 대응 현황(김동엽·이창우)
제54호 미국 생태계서비스 산림정책화의 핵심요인 및 기회(양희문·천정화·박찬우·신유진)
제55호 네덜란드 그린케어 및 케어팜 정책 사례와 시사점(김성학·장주연)
제56호 일본의 사유림 집약화 시업 및 삼림시업플래너 인증제도 운영현황(김영환·배재수)
제57호 호주의 산림교육 운영사례 및 시사점(이연희·하시연)
제58호 신기후체제하에서 산림탄소사업의 공편익 증진 효과와 시사점(이동호)

2018년
제59호 도시숲 연구 및 정책의 최근 동향과 시사점(박찬열)
제60호 새로운 지평(地平; Landscape) 속의 산림·임업(박 현)
제61호 제23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산림부문 협상동향 및 향후 전망(임종수·이동호)
제62호 유럽의 산림치유 코호트 연구 사례 및 시사점(박수진·조예슬·노관평)
제63호 북미 화기삼의 산업화 관련 재배기술 및 가공·유통현황(엄유리)
제64호 ‌중국 임산제품 수입·유통업체 심층조사 결과 및 시사점(김은희·이정민)
제65호 ‌2020 세계산림자원평가 (FRA-2020) 추진동향 및 시사점(임종수·문가현)
제66호 해외의 준국가수준 REDD+ 개발 지원 현황과 시사점(이동호)
제67호 ‌유럽 국가의 토지이용규제 및 시사점(권순덕·곽두안)
제68호 제13차 유엔산림포럼(UNFF)의 결과 및 시사점(최은호)
제69호 러시아 목재산업 동향 분석 및 시사점(김기동)
제70호 호주 산림휴양·레포츠 운영 사례 및 시사점(이정희)
제71호 유럽의 경관활용 마을활성화 실태 및 시사점(김성학·서정원)
제72호 일본 임업 노동재해의 안전대책(조구현)
제73호 중국 임산물 수출지원정책 현황과 시사점(이호상·김은희)
제74호 목재보존제 품질관리를 위한 국내외 정책현황 및 시사점(최용석·황원중)
제75호 뉴질랜드 다래류 생산 및 연구 현황(박영기)
제76호 인도네시아의 이탄지 이용 및 관리 정책(이동호·문하은)
제77호 북유럽 겨우살이(Mistletoe)의 연구동향, 관리기술·가공·유통현황(손호준·송정호)
제78호 일본 지자체의 임업진흥 시책과 지역활성화(서정원)

2019년
제79호 제24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산림부문 협상 주요결과 및 향후 대응 방향(김래현·이동호·임종수·이나라·오경미·김명길)
제80호 제14차 생물다양성협약(CBD) 당사국총회 결과 및 핵심분야로 떠오른 산림의 역할(한진규·임효인)
제81호 북한 임농복합경영 추진 현황 및 연구 동향(김경민·김은희·임중빈·김명길)
제82호 국제 통합적 산림복원(FLR)의 현황과 미래(최형태)
제83호 제7차 생물다양성과학기구(IPBES) 총회 결과 및 산림분야 주요 시사점(박찬우·임효인)
제84호 세계도시숲포럼 주요 결과와 시사점(박찬열·곽두안)
재85호 베트남 개혁·개방정책 분석을 통한 북한 변화 전망(김은희·김동현)
제86호 2020 세계산림자원평가 (FRA-2020) 대응 국내 통계체계 및 시사점(임종수·문가현·이주원)
제87호 중국 산림치유(요양) 정책 동향 및 시사점(박수진·조예슬·김건우)
제88호 대한민국 지속가능발전목표(K-SDGs) 수립과정과 효과적 이행을 위한 제언(최은호·김래현)
국제산림정책토픽 발행 목록

2020년
제89호 제23차 생물다양성협약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회의 논의 동향과 시사점 -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중심으로 - (임효인)
제90호 호주의 산불관리 및 시사점(권춘근·김성용·서경원)
제91호 일본의 산림서비스산업 추진 동향과 시사점(김성학·유리화)
제92호 유엔사막화방지협약 제14차 당사국총회(UNCCD COP14) 논의 동향 및 시사점(박기형)
제93호 i-Tree를 이용한 해외 도시숲의 사회·경제적 가치평가 동향과 시사점(곽두안)
제94호 미국의 국가트레일 운영·관리 체계와 시사점(이수광·이정희·유리화·서정원)
제95호 일본 산림환경(양여)세 동향 및 정책적 시사점(설아라·장주연)
산림과학속보 제20-3-96호

중국
‌ 삼림법(森林法) 개정 전후 비교 및 정책적 함의

인 쇄 2020. 8. 31.
발 행 2020. 8. 31.
발 행 인 전범권
운영위원 박현, 배재수, 서정원, 김명길, 김래현
집 필 자 최은호
감 수 자
발 행 처 ‌국립산림과학원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57
Tel. 02-961-2871 Fax. 02-961-2899
인 쇄 처 한국장애인문화인쇄협회(Tel. 02-2683-0955)

종이도 나무에서 나옵니다 <비매품>

■이
‌ 책의 저작권은 국립산림과학원에 있으며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전재와 복제를 금합니다.
www.nifos.go.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