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0

ISSN 2288  -  4815

국제산림정책토픽

2021 전 지구적 산림목표


보고서 발간의 함의

최은호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21. 6. 15. | 제105호

CONTENTS
•요 약

•자발적 국가보고 제출

•전 지구적 산림목표 보고서의 주요 내용

•시사점
국제산림정책토픽
제105호 2021. 6. 15.

2021 전 지구적 산림목표 보고서 발간의 함의

최은호

CONTENTS

요 약 ………………………………………………………………………… 3
1. 자발적 국가보고 제출… ……………………………………………… 4
2. 전 지구적 산림목표 보고서의 주요 내용……………………………… 6
가. 종합적인 산림 모니터링, 평가 및 보고체계… ………………………… 6
나. 보고서의 주요 내용… …………………………………………………… 7
다. GFGs 평가를 위한 자료 출처와 한계………………………………… 13
라. 보고서에 소개된 국내 이행 현황……………………………………… 15
3. 시사점………………………………………………………………… 18
가. 전 지구적 산림목표 보고서 발간의 의미……………………………… 18
나. 진전도 평가의 한계와 개선… ………………………………………… 19
다. 위기 속에서의 산림… ………………………………………………… 21
부록 : 전 지구적 산림목표의 세부목표 별 진전 현황 요약… ……………… 22
참고문헌… ……………………………………………………………………… 24
·내용문의 : 최은호 02-961-2882 ehchoi@korea.kr

국제산림정책토픽은 국제산림정책 동향과 주요 이슈, 국제회의 및 협상의


주요 의제 및 쟁점사항, 연구수행 중 획득한 국외 산림정보를 분석·요약 정리한 자료입니다.
이 자료는 국립산림과학원 홈페이지(www.nifos.go.kr)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국제산림정책토픽 ●●제105호 2021 전 지구적 산림목표
보고서 발간의 함의

요약
유엔산림포럼(United Nations Forum on Forests, UNFF)은 산림의 경영, 보전 및 지속가능한 개발을
촉진할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특히 산림의 기능 증진을 통하여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에 효과적으로 기여하고자 2017-2030 유엔산림전략계획(UN Strategic
Plan for Forest 2017-2030, UNSPF)을 수립하고 추진하고 있음

이렇게 채택된 UNSPF는 산림이 중심이 되어 유엔이 공유하는 목표와 미션을 제시하고 6개의
전 지구적 산림목표(Global Forest Goals, GFGs)와 26개 세부목표를 포함함. 이를 효과적으로
이행하기 위하여 회원국에 GFGs의 진전 상황을 담은 자발적 국가보고(Voluntary National Reports,
VNRs)를 제출할 것을 요청함

제출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회원국의 목표 이행 정도를 검토하고, 건강한 인류의 삶을 위한 산림의


역할과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담아 「2021 전지구적 산림목표 보고서」를 발간

각국 데이터 및 자료에 기초하여 전 세계 산림의 75%를 설명하고 있으며 향후 더 많은 국가가


보고체계에 참여하여 더욱 폭넓은 이행진전 평가가 진행될 것으로 보임. 이행수준에 대한
추적(tracking) 과정 및 국가보고의 중요성에 대하여 회원국이 함께 인식하고 공유한 계기로 작용

보고서에는 한국의 산림관련 법·제도·정책에 대한 소개뿐만 아니라 산림과학기술의 진전에


대해 소개하고 있음. 온실가스 인벤토리 정확성 증진, 탄소 모니터링과 평가 등 산림과학기술의
진전에 주목함

건강한 산림생태계 및 산림의존 공동체를 반드시 포함하여 더 나은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고,


더욱 친환경적인 포용적 녹색 경제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함. 우리나라 또한 적극적인 산림관리,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및 이용 정책을 통해 숲이 지닌 편익과 가치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임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1 자발적 국가보고 제출

2017년 4월 제71차 유엔총회에서 결의안 71/285(A/RES/71/285)에 근거하여


2017-2030 유엔산림전략계획(United Nations Strategic Plan for Forests
2017-2030, UNSPF)이 채택됨.

- 6개의 전 지구적 산림목표(Global Forest Goals, GFGs)와 26개 세부목표가


UNSPF의 핵심임.

이렇게 채택된 UNSPF는 사상 처음으로 산림과 관련하여 유엔이 공유하는 목표와


미션을 제시했다는 데 의미가 있음.

비전: 유엔의 비전은 모든 유형의 산림이 지속가능하게 관리되고,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며, 현 세대와 미래세대를 위한 경제·사회·환경 및 문화적 편익을
제공하는 것

미션: 유엔의 미션은 모든 유형의 산림이 협력, 협업, 일관성, 시너지, 정치적 공약과
모든 수준에서의 이행을 포함하여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의제 2030에 기여하고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촉진하는 것

UNFF는 정보와 데이터에 기반 한 의사 결정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왔음.

- 누구든 접근 가능한 양질의 데이터와 통계 자료를 적절한 시기에 제공하여


단기의 대응 방안 설계뿐만 아니라 장기 복원 방안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고자 노력해 옴.

- 종합적인 산림 모니터링, 평가 및 보고(Monitoring, Assessment, and


Reporting, MAR) 체계에 대하여 회기마다 지속적으로 논의하면서
산림이 어떻게 주민생계와 빈곤 퇴치, 보건·복지, 기후변화 등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에 기여하는지
평가하고자 노력함.

4
국제산림정책토픽 제105호

이에 더해, UNSPF의 효과적인 이행을 위하여 첫째, 회원국들에 각국의 상황과
정책적 우선순위, 역량, 발전 수준 및 산림 현황을 고려하여 전 지구적 산림목표 및
세부목표 달성에 자발적으로 기여할 부분을 정하고 자발적 국가기여(Voluntary
National Contributions, VNCs)를 제출하도록 요청, 두 번째, GFGs의 진전
상황을 담은 자발적 국가보고(Voluntary National Reports, VNRs)를 제출할
것을 요청함.

- UNFF는 UNSPF 수립을 계기로 2030년까지의 전략계획이 도모하는 목표와


세부목표의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평가하는 데 집중함.

- 현재까지 UNFF 19개 회원국이 전 지구적 산림목표 및 세부목표 달성을 위한


자발적 국가기여를 발표함.

- V NRs는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총 52개국이 제출하였으며 2021년 대표


출판물(flagship study)인 국가공동보고서 작성의 기반을 마련함.

5
2021 전 지구적 산림목표 보고서 발간의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 전 지구적 산림목표 보고서의 주요 내용

가. 종합적인 산림 모니터링, 평가 및 보고체계

종 합적인 산림 모니터링, 평가 및 보고(Monitoring, Assessment, and


Reporting, MAR) 체계는 정보와 증거에 기반 한 의사 결정에 필수적임.

- 체계적인 데이터의 관리는 산림이 어떻게 생계유지, 빈곤퇴치, 보건·복지 및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는지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근거를 제공함.

산림에 대한 전 지구적 차원의 자료수집은 194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 유엔식량


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가
첫 세계산림자원조사를 마친 1948년임.

- 오늘날 FAO 세계산림자원평가(Global Forest Resources Assessment,


FRA)는 지속가능산림경영 관련 모든 주제를 다루며, 산림 자원의 현황, 자원
경영·관리와 이용에 관한 포괄적인 평가를 수행하고 있음.

2017년 UNSPF 채택으로, UNFF 국가보고체계는 UNSPF의 목표 및 세부목표


이행 상황을 추적하는 데 집중하기 시작함. 2019년부터 2020년까지 VNRs가
제출되면서 ‘2021 전 지구적 산림목표 보고서’ 초안 작성의 기반을 마련함.

6
국제산림정책토픽 제105호

나. 보고서의 주요 내용

1) 전 지구적 산림목표 1(GFG 1) 달성을 위한 진전사항

산림법 및 국가 차원의 프레임워크에 의한 계획과 사업 및 전략을 활용하여 전


지구적 산림목표 1을 이행함. 에너지, 농업, 기후변화 및 환경분야 등 산림과
타분야의 협력을 통한 달성을 강조함.

GFGs에서 유일한 정량목표인 산림면적과 관련하여,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아시아, 유럽,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관찰된 산림면적 순증가 추세에 근거하여
2015년부터 2030년까지 증가추세가 기대됨.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 지역은
과거에 비해 산림면적 감소 속도가 늦춰지고 있으나 여전히 산림면적이 감소하고
있음.

<그림 1> 2010-2020 전세계 및 대륙별 산림면적 변화율

7
2021 전 지구적 산림목표 보고서 발간의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일 부 회원국들은 산림면적 및 조림계획을 유지·증진하기 위한 국가목표를


수립함.

<표 1> 각국이 보고한 산림 면적 및 조림 관련 정량적 목표

국가 각국이 보고한 공식 목표
호주 2020년까지 2천만 그루 식재, 2030년까지 10억 그루 조림
브라질 조림 면적 2백만 ha 증대
불가리아 산림 면적 감소 유발 행위 불허
코트디부아르 2030년까지 산림비율 20%로 증가
인도 매년 산림 면적 및 수관피복 20만 ha 증가
자메이카 순 산림손실 억제
일본 산림 면적 2,500만 ha 유지
케냐 수관피복 10%로 증가
마다가스카르 2030년까지 산림 4백만 ha 복원
미얀마 산림비율 30%로 증가
뉴질랜드 2018년부터 2028년까지 10억 그루 식재
나이지리아 2030년까지 산림비율 6%에서 25%로 증가
파나마 2015년부터 2035년까지 산림 1백만 ha 복원
필리핀 황폐화된 임지 150만 ha 복구
스리랑카 산림비율 32%로 증가
수리남 현재 수준의 산림비율 93% 유지
태국 산림비율 55%로 증가

2) 전 지구적 산림목표 2(GFG 2) 달성을 위한 진전사항

일반적으로, 산림분야의 발전은 농촌·산촌 인구를 포함하여 취약계층에 도움이


됨. 이를 반영하여, 많은 국가에서 농촌·산촌 고용 촉진, 역량 강화 및 빈곤
퇴치를 위한 계획과 사업을 추진함.

- 세부목표 2.4(산림의 경제·사회·환경적 발전에의 기여)가 전 지구적 산림목표


2 관련 세부목표 중 각국이 가장 큰 진전을 이룬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특히
고용과 산림 생산성 증가를 주목할 만함.

- 세부목표 2.2(소규모 산림 기업의 금융서비스 접근성 확대)가 그 다음으로


비교적 진전이 이루어진 것으로 평가됨. 세부목표 2.1(절대적 빈곤 퇴치)과
2.5(생물 다양성 보전 및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가 그 뒤를 이음.

8
국제산림정책토픽 제105호

- 이에 반해, 세부목표 2.3(식량 안보)은 가장 적은 진전도를 보임. 그러나


개발도상국 중 일부 국가들은 산림의 식량 안보 기여에 있어 괄목할만한
결과를 보고함.

3) 전 지구적 산림목표 3(GFG 3) 달성을 위한 진전사항

보호·보전지역으로 지정된 산림은 전 세계적으로 2010년에서 2020년까지 매년


약 3백만 ha씩 증가하였으며, 모든 지역에서 증가를 보임.

<표 2> 법정 보호지역 내 산림면적 현황

‘20 기준 전체 2010-2020 연간 변화 ‘20 기준 산림비율


지역
백만ha 백만ha %
전 세계 726 2.8 18
아프리카 158 0.2 27
아시아 144 0.7 25
유럽 58 0.5 6
북·중앙아메리카 80 0.2 11
오세아니아 29 0.2 16
남아메리카 257 1.0 31

다 수의 국가에서 산림인증 프로그램이나 장기 산림경영계획을 법적으로


의무화하고 있음. 산림인증 면적은 2000년에서 2010년 사이 급격하게 증가. 이후
증가세는 둔화됨.

- 보호면적의 분류체계 개발, 야생 동식물 서식지 보전, 접경보전지역 지정 및


멸종위기 동식물 목록 작성, 목재 추적 체계, 목재 합법성 입증 체계, 접경지역
야생 동·식물 관리 규약 및 증명 체계 등 다양한 활동이 포함됨.

9
2021 전 지구적 산림목표 보고서 발간의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인증을 마친 산림에서 수확된 목재의 양은 약 7억㎥에 달하며, 이는 전체 산업용


원목 생산의 38%에 해당, 전 세계 산림 면적의 84%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국가
또는 준국가 수준의 목제품 추적 체계를 갖춘 것으로 나타남.

- 수요 측면에서도 회원국들은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생산된 목재의 소비를


장려하고 국·공유림과 사유림의 산림인증을 촉진하였으며 산림인증을 거친
제품을 생산·사용하도록 권장함.

<표 3> 장기 산림경영계획 하의 산림면적

장기 산림경영계획 하의
‘20 기준 전체 2010-2020 연간 변화
지역 산림 면적 비율
백 만 ha 백 만 ha/년 %
전 세계 2,050 13.5 54
아프리카 130 2.6 24
아시아 353 3.9 64
유럽 944 0.5 96
북·중앙아메리카 433 3.0 59
오세아니아 56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 31
남아메리카 134 3.5 17

4) 전 지구적 산림목표 4(GFG 4) 달성을 위한 진전사항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재원 동원 및 다각화, 각계각층의 협력과 파트너십을


강화하려는 각국의 노력을 확인함.

- 회원국들은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달성을 위한 재정 전략을 수립하고 이행함.


투자 및 재정부문 법률 및 정책을 수립하고 지속적으로 검토함.

- 민간 재원보다 국가 또는 국제기구 차원의 재원을 활용함.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에


민간부문의 재원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유인이 필요함.

산림재정의 동원은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여전히 부족한 상태로 평가됨. 국가


보고를 제출한 개발도상국의 25% 이상이 적정수준 미만의 재원확보로 GFG 1과
2의 진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고함.

10
국제산림정책토픽 제105호

<그림 2> 2009-2018 산림ODA 집행금액 및 지출금액(양자와 다자 통합)


자료: OECD Creditor Reporting System 데이터베이스 (http://stats.oecd.org/#), 2020년 8월 23일 검색

<표 4> 2009-2018 대륙별 산림 ODA 총지출 금액

ODA 총지출 백분율 2009-2013 2014-2018 변화량 백분율


지역
백만 US$ % 백만 US$ 백만 US$ %

아프리카 1,552.177 22.06 782.534 769.643 -1.65

남·북아메리카 823.868 11.70 359.593 463.770 +28.97

아시아 2,587.583 36.78 1,388.711 1,198.872 -13.67

유럽 778.541 11.07 244.579 533.962 +118.32

오세아니아 79.533 1.13 35.981 43.552 +21.04

개발도상국 1,214.321 17.26 503.673 710.648 +41.09

총 계 7,035.518 100 3,315.070 3,720.447 +12.23

자료: OECD Creditor Reporting System 데이터베이스 (http://stats.oecd.org/#), 2020년 8월 23일 검색

11
2021 전 지구적 산림목표 보고서 발간의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5) 전 지구적 산림목표 5(GFG 5) 달성

회원국은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추진을 통해 SFM을 뒷받침하고 2030 지속가능


개발의제에 대한 산림부문의 기여를 강화하였다고 보고함. 각국이 보고한 내용은
크게 다음과 같음.

각국의 국가 지속가능개발계획 및/또는 빈곤 퇴치 전략에 산림 부문을 포함

산림법 집행 및 거버넌스 향상

SFM 촉진 정책 및 법률 프레임워크 추진

정책적 일관성과 이해 당사자, 지역 사회 및 선주민 참여를 독려하는 광범위한


조치 이행

회원국은 SDGs에 대한 산림의 기여를 점점 더 인식함에 따라 기관 간 범분야적


협력 강화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음. 또한 정책 수립과 계획, 이행의 각 단계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 확대를 추진. 산림 경영 관련 사항을 국가 차원의
토지이용 계획에 포함시키는 빈도도 증가함.

6) 전 지구적 산림목표 6(GFG 6) 달성

2017 유엔산림전략계획 채택은 산림 관련 사안에 대한 전 세계적, 국가적 그리고


지역적 협력, 협업 이행을 강화하는 초석을 마련함. 본 프레임워크의 내외에서
각국은 산림 관련 목표와 세부목표 달성에 이해 당사자들의 참여를 확대하는
다양한 체제를 제출함.

12
국제산림정책토픽 제105호

다. GFGs 평가를 위한 자료 출처와 한계

52개국이 제출한 자발적 국가보고(Voluntary National Reports, VNRs),


자발적 국가기여(Voluntary National Contributions, VNCs) 및 2020
세계산림자원평가(Global Forest Resources Assessment, FRA)를 활용함.

대부분의 평가결과는 ‘achieved by majority of countries’, ‘nearly all countries’,


‘most regions’ 등으로 표기됨.

- VNR 양식은 GFG 1∼3의 경우 법, 정책, 제도, 재정, 기술에 관한 표준 질문이


수록되었으며 그에 대해 정성적 기술로 보고됨. 대부분 데이터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보다는 정책 수단을 모니터링 하는 형태로 진행됨. 정량적인
데이터는 대부분 FRA 2020을 활용.

진전도 평가의 결과는 다음 <표 5>과 같음.

- 상당히 많은 지표에서 이행의 성과를 판단하기에 시기상 이르거나, “국가수준


데이터 결여”, “평가방법론 개발 필요” 등을 언급. 여전히 많은 개선이 필요함.

- 정 량지표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표에 대하여 재정, 법·제도, 기술에


해당하는 활동을 나열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제출된 국가보고서 간 비교분석에
한계. 목표 이행을 위하여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동하였는지 평가하기 어려움.

<표 5> 각 지표별 진전도 평가 결과 요약

목표 지표 평가 결과
1.1
지역 중 3/5은 목표한 지표를 달성한 것으로 판단
1.2
1 1.3 거의 모든 하위 지역 및 지표에서 긍정적인 변화 보임
심각한 교란의 영향 적응형 관리가 고려 중. 회복력 강화 여부 평가하기에는
1.4*
시기상조로 판단

13
2021 전 지구적 산림목표 보고서 발간의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목표 지표 평가 결과
대부분 국가 사회·경제적 발전, 빈곤 감소·생계 여건 개선에 진전을 보임
2.1
이행 효율성 개선 필요
해당 정보의 객관적 입증 결여. 성과 측정 지표 부재, 지표 특성상 진전 정도
2.2*
평가 한계

산림의 식량 안보 기여가 산림자원조사 또는 국가 통계에 포함되지 않음.


2 2.3*
국가 수준의 일관된 데이터 결여, 측정 어려움

해당 정보의 객관적 입증 결여. 임업·산림 기업·산림 생태계 서비스 기여 정도


2.4*
측정 한계
전 세계에서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한 산림경영·관리는 꾸준히 증가하는 긍정적
2.5
추세
3.1
3 모든 지역에서 목표 달성이 순조롭게 진행
~3.3

4.1
보고 제출 국가 다수가 달성
4.2

4 4.3 모든 보고 제출 국가가 SFM 위한 국제협력 참여


4.4 33개 국가 SFM 위한 산림 금융 전략 수립 및 보고

4.5 SFM 위한 산림 관련 정보 생성·확산 목표하는 광범위한 계획 구상 보고

5.1 거의 모든 보고 국가에서 달성
5.2* 측정 준비 중으로 평가 불가한 상태

5 거의 모든 보고 국가에서 관련 정책 수립됨. 차후 해당 정책적 효율성에 대한


5.3
분석 필요함

5.4 거의 모든 보고 국가서 반영하고 있음. 차후 해당 효율성에 대한 분석 필요

6.1*
측정 준비 중으로 진전 정도 평가 불가
6.2*
6.3 거의 모든 보고 국가서 적절한 메커니즘 및 정책 준비됨
6
6.4 다수의 국가에서 C&I 활용 SFM 진척 상황 측정
다수 국가에서 주요 그룹 및 기타 관련 이해관계자 참여 강화 조치 및 메커니즘
6.5
마련함
※ * 로 표기된 지표는 “시기상조”, “국가수준 데이터 결여”, “평가방법론 개발 필요” 등에 해당하는 지표를
의미함

14
국제산림정책토픽 제105호

라. 보고서에 소개된 국내 이행 현황

우리나라 역시 2019년 말 VNR을 제출함. 각 세부목표 별 주목할 만한 국가


주요활동이 소개되었으며, 한국의 법·제도·정책·과학기술 역시 금번 발간된
보고서에 포함됨.

- 세부목표 1.2: 대한민국은 마다가스카르, 필리핀, 터키 등과 함께 온실가스


인벤토리, 국가기준선 등 국제표준 마련 측면에서 진전을 보였다고
소개되었으며 국가 혁신 측면에서는 ‘산림탄소상쇄제도’가 소개됨. 특히, GFG
1의 도전과제로는 기후변화, 불충분한 재정, 토지 이용, 제도적 프레임워크
등이 꼽혔는데, 한국은 이 중 ‘토지이용’ 문제에 해당됨. 주택공급, 인프라 확대
등으로 인한 산림면적 매년 감소로 단기적으로 세부목표 1.1 기여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

<표 6> GFG 1의 도전과제 별 각국의 현황

도전 과제 국가 애로사항
호주, 가나, 네팔, 필리핀,
산불 대응
튀니지
기후변화 가나, 레소토, 모로코,
가뭄 대응
팔레스타인
뉴질랜드, 슬로바키아 불확실한 전망에 대한 대응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중국 인적 자원 및 역량 부족

불충분한 보츠와나, 에스와티니, 가나,


재정 기니비사우, 레소토, 필리핀, 제도적 취약성, 자원 부족 및 법적 근거
마다가스카르, 남아프리카공화국, 부재로 불법목재 근절에 한계
수리남

호주, 코트디부아르, 자메이카,


농업
라이베리아
네팔, 나이지리아, 한국, 태국 인프라
호주, 모리셔스 도시화
토지 이용
수리남 광업
정부 세수 확보 목적의 기타 분야의
카메룬
토지 이용
자메이카, 레소토 토지 소유권 문제

15
2021 전 지구적 산림목표 보고서 발간의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도전 과제 국가 애로사항
보츠와나 종합적인 문제 접근법 부재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짐바브웨, 부족한 전략 프레임워크 및
마다가스카르 정치적 의지
태국 행정적 권한 중첩 해소 필요
파나마 농업 부채 상환 문제
제도적
프레임워크 신규조림 위한 수자원 사용
남아프리카공화국
허가 취득 어려움

슬로바키아 자연보호 관련 부처 간 협력 체계 부족

우크라이나 병충해 대응 관련 엄격한 규정

인구 증가로 인한 압력, 지역사회 산림


부족, 농촌 빈곤,
일본, 수단, 스위스
정치적 불안 및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에
사회·경제적 대한 의식 부족, 높은 비용
도전
낮은 자동화 비율, 산림생태계서비스가
나이지리아, 터키
GDP에 기여하는 비율 도출이 어려움

케냐, 니제르 목재 공급과 소비의 취약성

- 세 부 목 표 2 . 4 : 민 간 기 업 과 협 력 하 여 산 림 생 산 성 을 증 진 하 기 위 한
노력인 ‘민간 주도의 지속가능한 산림관광 활성화 유도 활동’이 소개됨.
사회·환경·경제발전에 기여하는 임업의 범주와 생산성을 증진하기 위한
우선추진(forward-looking) 과제 및 프로그램을 국별로 소개하면서, 한국의
사례로 ‘산촌거점권역육성사업(2018∼2022)’을 소개함.

- 세부목표 2.5: 생물 다양성 보전과 관련하여 대한민국의 ‘산림생물 다양성


기본계획’이 54종의 멸종 위기 생물종을 보전하는데 필요한 조치를
제공하였음을 언급하였으며, 기본계획에 포함된 ‘멸종위기 고산지역 침엽수종
보전 및 복원대책 (2016)’ 역시 소개함.

- 세부목표 3.1: 호주, 일본 등의 국가들과 함께 보호·보전지역을 지정하고


이를 보호하는 데 필요한 법률 및 제도적 조치를 마련한 국가로 소개됨.

16
국제산림정책토픽 제105호

- 세부목표 3.3: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남아공, 미국 등의 국가들과 함께


국유림 및 사유림 산림인증을 촉진하는 조치를 취한 국가로 포함되었으며,
2015년 ‘한국산림인증제도’ 도입이 소개됨.

- 세부목표 4.2: 한국은 약 31억 원의 재원을 조성하여 호주, 캐나다, 독일,


일본, 뉴질랜드, 스위스, 영국, 미국과 공여국으로 참여하여 CBD와 함께 ‘산림
생태계 복원 이니셔티브(FERI)’ 이행을 뒷받침하였다고 언급함.

- 세부목표 4.5: 더 효율적인 산림자원의 보전, 관리, 생산 등 산림과학 연구에


지속적으로 투자를 확대한 점에 주목함. 또한, 「제2차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관리기본계획(2018-2022)」에 따라 국유림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 5년
주기로 식생조사를 위한 고정조사구를 확대 설치한 점이 소개되기도 함.

- 세부목표 5.2: 호주, 캐나다, 일본, 세르비아, 영국, 미국 등과 함께 주요 목재


수입국으로 언급된 한국은 ‘합법목재 교역 촉진제도’를 통해 EU 목재 규정,
레이시 법 등 목재시장에 합법성이 입증된 목재만을 유통하도록 하였음을
언급함.

17
2021 전 지구적 산림목표 보고서 발간의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3 시사점

가. 전 지구적 산림목표 보고서 발간의 의미

2 021년 3월 유엔통계위원회(United Nations Statistical Commission,


UNSC)에서는 환경·경제 통합계정체계(System of Environmental-Economic
Accounting-Ecosystem Accounting)를 채택하고 산림과 같은 자연 자본이
경제적 보고 체계에 포함된다는 것을 확인한 중대한 진전을 이룸.

- 인간 사회에 대한 생태계 기여도를 화폐로 표현하여 기타 재화 및 서비스와


생태계 기여의 비교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산림의 중요성, 역할에 대한 인식을
개선.

- 결과적으로, 의사 결정자들은 곧 산림이 지역사회 경제, 사회적 복지, 생계


수단과 더불어 전세계의 탄소저장량, 생물 다양성 보호, 수질 개선 및 재해
위험 경감 등에 제공하는 산림생태계 서비스의 가치를 평가하는 종합적
방법론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됨.

- 이러한 혁신과 진전에 맞물려, GFGs의 이행과 진전도 평가의 과정은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 관련된 정성·정량적 데이터를 제공하게 될 것임.

각국 데이터 및 자료에 기초하여 전 세계 산림의 75%를 다룸. 전 지구적 산림목표


보고서가 담고 있는 내용은 각국이 직면한 여러 도전과제에도 불구하고 6개의
목표 및 세부목표 달성을 위한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향후 더 많은 국가가 보고체계에 참여하여 더욱 폭넓은 이행진전 평가가 진행될


것으로 보임. 이행수준에 대한 추적(tracking) 과정 및 국가보고의 중요성에
대하여 회원국과 함께 인식하고 공유한 계기가 됨.

18
국제산림정책토픽 제105호

나. 진전도 평가의 한계와 개선

전 지구적 산림목표 이행진전을 추적하는 데 있어 표준화되고 비교 가능한 데이터


및 통계치가 부족한 점은 목표 달성에 어려움을 가중시킴.

- 예를 들어, 여러 국가가 산림 황폐화(forest degradation)를 주요 현안으로


인지하는 반면, 산림 황폐화를 판단할 수 있는 표준화된 기준 및 정의를
합의한 바 없음.

- 이와 유사하게, 산림 생태계의 회복력과 적응력은 특히 기후변화, 생물 다양성


보호 및 코로나19 이후 인류를 위협할 미래의 대유행 전염병 예방의 측면에서
중요함. 그러나 회복력과 적응력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
부재함.

- 빈곤 퇴치나 소득 창출, 고용, 보건 및 식량 안보와 같은 인간 개발과 관련된


중대한 현안에 산림이 제공하는 사회·경제적 편익에 관한 데이터가 부재함.
산림이 제공하는 편익은 정량적으로 측정이 어려워 암묵적으로 편익이 있음을
비공식적으로 인정받음.

대 부분의 평가결과는 ‘achieved by majority of countries’, ‘nearly all


countries’, ‘most regions’ 등으로 표기됨. VNRs 양식은 GFG 1~3의 경우 법,
정책, 제도, 재정, 기술에 관한 표준화된 질문이 수록되었으며 그에 대해 정성적
기술로 보고됨. 대부분 데이터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보다는 정책 수단을
모니터링 하는 형태로 진행됨

첫 보고서 발간 경험을 바탕으로 참여 전문가와 회원국의 의견을 바탕으로 계획된


제2차 VNRs 보고 양식을 개선해야 함. 다만 1차 보고서와의 연계성을 유지하여
진전도 평가에 있어 유의미한 결과 도출 필요.

19
2021 전 지구적 산림목표 보고서 발간의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각 국가에서 제출한 VNRs를 선진국과 개도국으로 나누어 키워드 분석을 한 결과,

* GFG 1: 선진국 개도국 모두 기후변화 대응, 산림면적 확대에 집중, 목표 중


가장 많은 활동

* GFG 2: 개도국은 주민소득을 위한 활동이 많고, 선진국은 공공의 편익 증대를


위한 활동

* GFG 3: 개도국은 SFM을 통한 소득 증진에, 선진국은 산림보호와 SFM 이행에


관심

* GFG 4: 개도국은 재정지원을 받기 위한 활동을 제시하나, 선진국은 소극적인


지원 입장을 보임

* GFG 5: 선진국은 불법적인 활동 방지에만 집중. 개도국은 불법 활동, 빈곤


퇴치와 개발에 관심을 보임

* GFG 6: 선진국과 개도국 모두 기후변화 중심의 산림 관련 국제협력 이슈를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음

- 정 량지표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표에 대하여 재정, 법·제도, 기술에


해당하는 활동을 나열하는 형식으로 제출하였기 때문에 제출된 국가보고서 간
상대비교 분석에 한계. 목표 이행을 위하여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동하였는지
평가하기 어려움.

- 이 행의 성과를 판단하기에 시기상 이르거나 국가수준 데이터 결여,


평가방법론 개발이 필요한 지표가 다수 포함되어 있는 상태로, 개선 방안 마련
필요

20
국제산림정책토픽 제105호

다. 위기 속에서의 산림

코로나19의 영향은 산림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전 세계적 위기 상황인


기후변화와 생물 다양성 위기와 결부되어 그 심각성이 가중되고 있음.

보고서는 건강한 산림생태계 및 산림의존 공동체를 반드시 포함하여 더 나은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고, 더욱 친환경적인 포용적 녹색 경제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함.

산림은 고용, 자연재해 위험 경감, 식량 안보 및 사회 안전망을 개선·강화할 수


있음. 또한, 지속 가능한 산림은 생물 다양성을 보호하고 기후변화 영향 저감과
적응에 중요. 또한, 전 세계 보건 분야에서 산림을 보호·복원하는 것은 장래에
닥칠 또 다른 전염병 대유행의 위협을 줄이는 환경 보호 활동임.

우리나라 또한 적극적인 산림관리,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및 이용 정책을 통해


숲이 지닌 편익과 가치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

21
2021 전 지구적 산림목표 보고서 발간의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부록 전 지구적 산림목표의 세부목표 별 진전 현황 요약

대다수 시기상조/
전 세계적 다수지역
조치가 데이터
진전 진전
전 지구적 산림목표 1 취해짐 부족

1.1 전 세계 산림면적 3% 증가 √

1.2 전 세계 산림탄소축적량 유지 또는 향상 √
1.3 2020년까지 지속가능한 산림경영(SFM) 이행
증진, 산림 황폐화 근절, 황폐산림 복원, 전 지구적 √
수준에서의 지속 가능한 조림 및 재조림 이행 증진
1.4 자연재해 및 기후변화 영향으로부터 모든 종류의

산림의 회복력과 적응 능력 대폭 강화

전 지구적 산림목표 2

2.1 모든 산림 의존 주민들의 절대적 빈곤 퇴치 √


2.2 개발도상국 소규모 산림 기업의 금융서비스 접근성

확대 및 중소기업의 가치사슬과 시장 통합
2.3 산림 및 목재의 식량안보 기여도 대폭 강화 √
2.4 임업, 산림 관련 중소기업, 산림생태계 서비스의

사회, 경제, 환경 발전에 대한 기여도 대폭 강화
2.5 관련 협약 및 협정 이행 의무 및 이행 진척을
고려한 모든 유형의 산림의 생물 다양성 보전 및 √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에 대한 기여도 강화

전 지구적 산림목표 3
3.1 기타 효과적인 지역 기반 보전 방법을 통한 보호 및

보전 지역으로 지정된 산림면적의 전 지구적 대폭 증가

3.2 장기 산림경영계획이 적용되는 산림면적 대폭 확대 √

3.3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경영되는 산림에서 생산되는



임산물 비율 대폭 증가

전 지구적 산림목표 4

4.1 각계각층과 모든 재원으로부터 지속가능한


산림경영(SFM) 이행 자원의 전폭적인 동원, 개도국에

산림관리(보존 및 재조림 등) 증진을 위한 적절한
인센티브 제공

22
국제산림정책토픽 제105호

4.2 공공(국가, 양자, 다자, 삼각), 민간, 인도주의적


자금조달 등 각계각층의 모든 재원을 동원하여 산림 √
관련 재원 대폭 증가
4.3 산림부문의 과학, 기술, 혁신 영역에서 북남, 남남,
북북, 삼각협력, 공공-민간 파트너십 대폭 강화 및 √
증대
4.4 산림부문 재정지원 전략 개발 및 이행, 모든

재원에 접근권을 가진 국가 수 대폭 증가
4.5 범부문적, 과학적 평가 등을 통한 산림 관련 정보

수집, 활용, 접근성 개선

전 지구적 산림목표 5
5.1 국가 지속가능발전계획 및/또는 빈곤감소전략에

산림을 포함시킨 국가 수 대폭 증가
5.2 국가 및 준국가, 산림 당국 권한의 대폭 강화 등을
통한 산림법 시행 및 거버넌스 강화, 전 세계 불법 벌채 √
및 관련 불법 교역의 대폭 감소
5.3 각 부·처·청, 하위 부서 및 국가 및 준국가 산림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의 일관성 및 호환가능성 확보,
국가법과의 일관성 확보, 관련 이해관계자, 지역 당국, √
지역 주민 참여 보장, 지역 주민 권리에 관한 UN
선언의 충분한 반영
5.4 토지이용 계획 및 개발을 위한 의사결정

프로세스에 산림 관련 사안 및 산림부문을 온전히 반영

전 지구적 산림목표 6

6.1 유엔 체계 내 산림 관련 사업들의 일관성, 상호


보완성 확보 및 적절한 전 지구적 산림목표 및 √
세부목표 반영
6.2 산림협력파트너십(CPF) 회원 기구 간 산림
관련 사업들의 일관성, 상호 보완성 확보 및 2030

지속가능발전 의제에 산림과 산림 관련 분야의
다각적인 기여 도모
6.3 지속가능한 산림경영(SFM) 증진, 산림파괴 및
산림 황폐화 방지를 위한 각계각층의 범부문적 협업 및 √
협력 대폭 증진
6.4 지속가능한 산림경영(SFM) 개념에 관한 공통의

이해 증진 달성 및 관련 지표 설정
6.5 주요 그룹 및 기타 관련 이해관계자의 2017-2030
유엔산림전략계획 이행 및 회기 간 작업 등을 포함한 √
포럼 작업 투입 및 참여 강화

23
2021 전 지구적 산림목표 보고서 발간의 함의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참고문헌

1. 최은호. 2018. 유엔산림포럼(UNFF)의 결과 및 시사점, 국립산림과학원, 국제산림토픽


제68호
2. 최은호. 김래현. 김명길. 2018. 산림부문 관련 국제적 논의동향과 시사점: 유엔산림포럼을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107(4), 325-335.
3.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UN DESA), 2021. The
Global Forest Goals Report 2021

24
국제산림정책토픽 발행 목록

2014년
제1호 ‘바르샤바 REDD+ 프레임워크’: 전망과 대응 (김래현, 배재수)
제2호 동남아시아 국가의 바이오에너지 정책·산업 동향과 우리나라의 대응방안(안병준,이수민)
제3호 일본의 산림테라피기지 운영 사례 및 시사점 (이성숙)
제4호 일본의 환경서비스지불제(PES) 운용사례 및 시사점 (박경석, 주린원)
제5호 한·중 FTA 임산업부문 추진 동향 및 전망 (이호상, 전현선)
제6호 생물다양성협약(CBD) 최근 협상동향 및 대응방안 (박고은, 이영근)
제7호 일본의 산림약용자원 연구현황 및 시사점 (전준헌)
제8호 일본의 풍력발전시설 입지 기준 및 인·허가 제도와 시사점 (권순덕)
제9호 IPCC 제5차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주요내용 및 시사점 (김영환)
제10호 캄보디아의 REDD+ 정책 및 우리나라의 대응 전략 (송민경, 윤소진, 배재수)
제11호 일본 특용임산자원 정책동향 및 시사점 (김종인, 유병오)
제12호 캐나다의 산림정책 및 산림관리 동향 (서경원)
제13호 세계 목조건축 정책동향 및 국내 산업발전 방향 (박문재, 심국보)

2015년
제14호 제12차 생물다양성협약(CBD) 당사자총회 및 제1차 나고야의정서 당사자회의 결과와 대응 방안 (이석우)
제15호 UNFCCC 리마 총회(COP20) 결과와 산림부문 논의 동향 및 대응방안 (김래현)
제16호 독일과 스위스의 산림치유 정책, 연구동향과 시사점 (박수진, 서정원)
제17호 코스타리카의 산림환경서비스지불제 사례분석 및 시사점 (전철현, 이호상)
제18호 주요 국가의 산림수자원 관리 정책 및 시사점 (최형태, 김수진)
제19호 일본 상록활엽수림 연구동향 및 정책적 시사점 (유병오)
제20호 제 11차 UNFF 결과와 향후 국제산림협정 전망 및 시사점 (김통일, 정세경)
제21호 일본의 내화목재 기술개발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손동원)
제22호 몬트리올프로세스의 최근 논의 동향 및 시사점 (정세경)
제23호 미국 레이시 액트(Lacey Act) 관련 제도의 최신 동향 및 시사점 (설미현)
제24호 일본의 제안형 집약화 시업 정책 내용과 시사점 (이성연)
제25호 덴마크 도시숲의 치유공간조성 현황 및 시사점 (이정희, 주린원)
제26호 고형바이오연료의 국제표준화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이수민)

2016년
제27호 파리협정문의 주요 합의사항과 산림부문 논의동향 및 대응방안(임종수·송민경)
제28호 중국 산림복지 정책동향 및 시사점(최가영·김통일)
제29호 캐나다 산림교육 동향 및 시사점(이연희·하시연)
제30호 미국의 숲속야영장 조성·운영 현황 및 이용 동향(유리화·장주연)
제31호 중국 할랄 시장의 현황 및 무역 정책(설미현)
제32호 일본의 산촌 활성화 및 녹색·생태관광 정책 동향과 시사점(김종호·김성학·김예지)
제33호 일본의 소나무재선충병 내병성육종 연구동향 및 정책적 시사점(우관수)
제34호 동남아시아 국가별 산림환경서비스 지불제 현황 및 시사점(이호상)
제35호 유엔산림포럼 제1차 전문가그룹 특별회의 결과 및 시사점(최은호)
제36호 인도네시아의 『산림 파트너십』 제도 - 새로운 산림 거버넌스의 성공을 위한 도전과제 -(배재수·송민경)
제37호 핀란드 산림교육 동향 및 시사점(이연희·김재준)
제38호 유럽의 소나무재선충병 발병 현황 및 방제 전략과 시사점(한혜림·이승규·이경학)
제39호 에티오피아 산림협력 방향(박 현·강호상)
제40호 영국 도시숲의 치유적 활용사례 및 시사점(이연희·유리화·이승아)
제41호 일본의 산림치유 정책 및 추진현황(박수진·유리화·이정희·정미애)
국제산림정책토픽 발행 목록

2017년
제42호 대형 목조건축 해외 동향 및 시사점(이상준)
제43호 제22차 유엔기후변화협약 총회 산림부문 논의동향 및 대응 방안(송민경·임종수)
제44호 뉴질랜드 산림현황 및 사유림 경영 실태(이상태)
제45호 유럽의 산악관광 현황 및 시사점(권순덕·곽두안)
제46호 홍콩 트레일 운영 사례 및 시사점(이정희·홍재윤)
제47호 뉴질랜드의 산림과 지역자원을 활용한 관광 활성화 사례와 시사점(김성학·김종호)
제48호 인도네시아의 산불 관리 및 시사점(안수정)
제49호 제11차 UNFF 후속조치의 결과 및 시사점(최은호)
제50호 북한의 산림부문 기후변화대응 동향 및 시사점(송민경)
제51호 중국 수입 유기식품의 통관 절차(이호상·이화)
제52호 캄보디아 해외산림자원개발 투자 현황 및 시사점(이호상·주린원)
제53호 일본의 땅밀림 및 지진 유발 산지토사재해 대응 현황(김동엽·이창우)
제54호 미국 생태계서비스 산림정책화의 핵심요인 및 기회(양희문·천정화·박찬우·신유진)
제55호 네덜란드 그린케어 및 케어팜 정책 사례와 시사점(김성학·장주연)
제56호 일본의 사유림 집약화 시업 및 삼림시업플래너 인증제도 운영현황(김영환·배재수)
제57호 호주의 산림교육 운영사례 및 시사점(이연희·하시연)
제58호 신기후체제하에서 산림탄소사업의 공편익 증진 효과와 시사점(이동호)

2018년
제59호 도시숲 연구 및 정책의 최근 동향과 시사점(박찬열)
제60호 새로운 지평(地平; Landscape) 속의 산림·임업(박 현)
제61호 제23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산림부문 협상동향 및 향후 전망(임종수·이동호)
제62호 유럽의 산림치유 코호트 연구 사례 및 시사점(박수진·조예슬·노관평)
제63호 북미 화기삼의 산업화 관련 재배기술 및 가공·유통현황(엄유리)
제64호 ‌중국 임산제품 수입·유통업체 심층조사 결과 및 시사점(김은희·이정민)
제65호 ‌2020 세계산림자원평가 (FRA-2020) 추진동향 및 시사점(임종수·문가현)
제66호 해외의 준국가수준 REDD+ 개발 지원 현황과 시사점(이동호)
제67호 ‌유럽 국가의 토지이용규제 및 시사점(권순덕·곽두안)
제68호 제13차 유엔산림포럼(UNFF)의 결과 및 시사점(최은호)
제69호 러시아 목재산업 동향 분석 및 시사점(김기동)
제70호 호주 산림휴양·레포츠 운영 사례 및 시사점(이정희)
제71호 유럽의 경관활용 마을활성화 실태 및 시사점(김성학·서정원)
제72호 일본 임업 노동재해의 안전대책(조구현)
제73호 중국 임산물 수출지원정책 현황과 시사점(이호상·김은희)
제74호 목재보존제 품질관리를 위한 국내외 정책현황 및 시사점(최용석·황원중)
제75호 뉴질랜드 다래류 생산 및 연구 현황(박영기)
제76호 인도네시아의 이탄지 이용 및 관리 정책(이동호·문하은)
제77호 북유럽 겨우살이(Mistletoe)의 연구동향, 관리기술·가공·유통현황(손호준·송정호)
제78호 일본 지자체의 임업진흥 시책과 지역활성화(서정원)

2019년
제79호 제24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산림부문 협상 주요결과 및 향후 대응 방향(김래현·이동호·임종수·이나라·오경미·김명길)
제80호 제14차 생물다양성협약(CBD) 당사국총회 결과 및 핵심분야로 떠오른 산림의 역할(한진규·임효인)
제81호 북한 임농복합경영 추진 현황 및 연구 동향(김경민·김은희·임중빈·김명길)
제82호 국제 통합적 산림복원(FLR)의 현황과 미래(최형태)
제83호 제7차 생물다양성과학기구(IPBES) 총회 결과 및 산림분야 주요 시사점(박찬우·임효인)
제84호 세계도시숲포럼 주요 결과와 시사점(박찬열·곽두안)
재85호 베트남 개혁·개방정책 분석을 통한 북한 변화 전망(김은희·김동현)
제86호 2020 세계산림자원평가 (FRA-2020) 대응 국내 통계체계 및 시사점(임종수·문가현·이주원)
제87호 중국 산림치유(요양) 정책 동향 및 시사점(박수진·조예슬·김건우)
제88호 대한민국 지속가능발전목표(K-SDGs) 수립과정과 효과적 이행을 위한 제언(최은호·김래현)
국제산림정책토픽 발행 목록

2020년
제89호 제23차 생물다양성협약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회의 논의 동향과 시사점 -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중심으로 - (임효인)
제90호 호주의 산불관리 및 시사점(권춘근·김성용·서경원)
제91호 일본의 산림서비스산업 추진 동향과 시사점(김성학·유리화)
제92호 유엔사막화방지협약 제14차 당사국총회(UNCCD COP14) 논의 동향 및 시사점(박기형)
제93호 i-Tree를 이용한 해외 도시숲의 사회·경제적 가치평가 동향과 시사점(곽두안)
제94호 미국의 국가트레일 운영·관리 체계와 시사점(이수광·이정희·유리화·서정원)
제95호 일본 산림환경(양여)세 동향 및 정책적 시사점(설아라·장주연)
제96호 중국 삼림법(森林法) 개정 전후 비교 및 정책적 함의(최은호)
제97호 국제 바이오복합재 연구동향과 시사점(이민·박세휘)
제98호 국제 사회의 지속가능발전목표 이행 동향과 시사점(김래현·최은호)
제99호 국가결정기여(NDC) 개정 제출과 산림분야 이행방안(김래현)

2021년
제100호 싱가포르의 산림치유 정책 및 추진현황(박수진·김건우)
제101호 북한 조선노동당 제8차 대회 분석 및 바이든 정부 시대의 협력 방향(김은희·오삼언·양아람·임중빈)
제102호 탄소중립, 장기저탄소발전전략 및 자연기반해결방안 추진 현황과 시사점(김래현·조성실·이선정·이주원)
제103호 국내외 도시숲 정의 및 조사체계 현황(곽두안·임종수·문가현)
제104호 산림자원을 활용한 의료연계 서비스 국외사례(박수진·김건우)
산림과학속보 제21-3-105호

2021
‌ 전 지구적 산림목표 보고서 발간의 함의

인 쇄 2021. 6. 15.
발 행 2021. 6. 15.
발 행 인 박현
운영위원 배재수, 서정원, 김명길, 김래현
집 필 자 최은호
감 수 자 이우균(고려대학교)
발 행 처 ‌국립산림과학원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57
Tel. 02-961-2871 Fax. 02-961-2899
인 쇄 처 한국장애인문화인쇄협회(Tel. 02-2683-0955)

종이도 나무에서 나옵니다 <비매품>

■이
‌ 책의 저작권은 국립산림과학원에 있으며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전재와 복제를 금합니다.
www.nifos.go.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