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알기쉽게 배우는 New Concrete -

콘크리트용 재료 : 골재

2003. 02

대한전문건설협회;철근콘크리트공사업협의회
1. 골재의 종류
(1) 크기에 따른 분류
5mm 체를 기준으로 하여 중량비로 85% 이상 통과(10mm 체는 전부 통과)하는 것을 잔골재,
85% 이상 남는 것을 굵은 골재라고 한다.
(2) 입수원에 따른 종류
〈사진 1〉에 골재생산플랜트를 나타낸 것으로 골재는 입수원에 따라 크게 구분하여
천연골재와 인공골재로 나누어진다.

〈사진 1〉 골재 생산플랜트

(2.1) 천연골재는 ①강모래ㆍ강자갈, ②산모래ㆍ산자갈(육지모래ㆍ육지자갈), ③바다모래ㆍ바다자갈,


④ 천연경량 잔ㆍ굵은 골재 등이 있다.
(2.2) 한편, 인공골재에는 ①부순모래ㆍ부순자갈〈사진 2〉, ②인공경량잔ㆍ굵은골재, ③슬래그
잔ㆍ굵은 골재〈사진 3〉, ④금속을 원료로 하는 중량골재 등이 있다.

〈사진 2〉 부순자갈

-1-
〈사진 3〉 슬래그 골재

2. 입도
(1) 체가름 시험용 시료
모집단을 대표하도록 시료를 채취하고 이것을 4 분법 또는 〈사진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시료분취기에 의해 채취한다.
이와 같이 채취된 시료를 잔골재의 경우 〈사진 5〉, 굵은 골재의 경우 〈사진 6〉에 나타낸
체가름 시험기에 의해 시험을 실시한다.

〈사진 4〉 시료분취기

-2-
〈사진 5〉 잔골재의 체가름시험기

〈사진 6〉 굵은골재의 체가름시험기

〈표 1〉 골재의 체가름 시험결과의 예

-3-
(2) 입도분포
〈표 1〉은 체가름시험 결과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골재의 입도분포는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3) 조립율(F.M. : fineness modulus)
〈표 1〉에 * 표시를 한 각 체(건축에서는 80mm 를 제외)에 잔류하는 것의 질량백분율(%)의
합을 구하고, 이것을 100 으로 나눈 값이다.
(예) 굵은 골재 A 의 조립율
= 4+58+82+98+500/100 = 7.42
일반적으로 골재의 입경이 클수록 조립율의 값은 크게 된다.
(4)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질량으로 90% 이상 통과하는 체 중 체눈금이 최소인 것의 호칭치수로 나타내는 굵은 골재의
크기를 말한다. 이 경우에는 조립율의 계산에 이용하지 않는 체도 대상으로 한다.
(예) 굵은 골재 A 의 최대치수 = 40mm

〈그림 1〉 골재의 함수상태

(5) 굵은 골재의 최소치수


질량으로 95% 이상 잔류하는 체 중 체눈금이 최대인 것의 호칭치수로 나타내는 굵은 골재의
크기를 말한다. 프리팩트콘크리트의 채움용 굵은 골재의 경우에만 이용된다.

-4-
3. 함수상태
골재의 함수(含水)상태는 통상 〈그림 1〉의 어느 한 상태에 있게 된다. 단 경량골재의
경우에는 III 에 대응하는 상태를 표면건조(表面乾燥) 상태로 부르는 것도 있다.
이들의 각 수량은 〈표 2〉와 같이 정의된 비율(%)로 표시된다.
〈표 2〉 골재에 관계된 비중의 계산식

4. 비중
골재의 품질표시나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등에 이용되는 비중은 겉보기 비중이며 그 값은 〈표
2〉의 식으로 계산된다. 또한 골재의 비중시험은 잔골재 경우 〈사진 7〉에 나타낸 플라스코를
이용하는 방법(KS F 2503), 굵은 골재의 경우 〈사진 8〉에 나타낸 시험장치를 이용하는 방법(KS
F 2503)이 적용되고 있다.

〈사진 7〉 잔골재 비중측정용 플라스코

-5-
〈사진 8〉 굵은골재 비중 시험기

5. 단위용적질량, 실적율 및 입형판정


(1) 단위용적질량(單位容積質量)의 값은 ①건축용 및 포장용 콘크리트의 단위 굵은골재량의 계산,
②실적율의 계산, ③용적에서 질량으로의 환산 등에 이용되며 다음 식으로 정의되는 양이다.
단위용적질량(kg/ ℓ ) = 용기에 채워진 시료의 절건질량 (kg)/용기의 용적( ℓ )
(2) 실적율(實積率)은 〈사진 9〉에 나타낸 용기에 골재를 채운 경우에 용기 중에 점유하는
골재의 체적비율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다음 식으로 구한다.
실적율 (%) = 단위용적질량/절건비중 × 100

〈사진 9〉 단위용적질량 시험용 용기

(3) 입경분포를 일정하게 하면 각진 골재나 편평한 골재의 실적율 값은 작게 된다. 부순자갈이나


부순모래의 입형판정 실적율은 이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일반적인 입도범위의 굵은
골재이면 실적율은 콘크리트의 소요 단위수량이나 최적 잔골재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6. 안정성
(1) 골재의 화학적 안정성에 관해서는 알칼리골재반응의 문제가 있다. 이 반응은 〈그림 2〉에
+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재료나 주위 환경으로부터 콘크리트 중에 포함된 나트륨(Na )이나
+
칼륨(K )등의 알칼리이온과 반응성의 골재가 습도가 높은 조건하에서 반응하여 콘크리트에 이상
팽창균열(膨脹龜裂)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6-
〈그림 2〉 알칼리골재반응의 진행과정

(2)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알칼리골재반응이 크게 보고되고 있지 않지만 일본의 경우


알칼리골재반응은 알칼리실리카반응(alkali-silica reaction)이고, 이 반응을 일으키기 쉬운
광물로서는 오팔, 옥수, 크리스트바라이트, 토리지마이트, 화산성 유리, 결정격자의 탕관석영,
잠정질의 석영 등이 있다. 이들 광물을 함유하는 암석에는 안산암, 석영안산암, 유문암 및 이들의
응회암, 현무암, 혈암, 사암, 챠트, 이암 등이 있고, 매우 종류가 많다. 그러나 이들 암석에
있어서도 실제 반응을 일으키는 것은 소수이다.
(3) 알칼리실리카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는 ①저알칼리형 시멘트 이용. ②혼합율이 큰
고로시멘트 또는 플라이애시 시멘트의 이용, ③콘크리트 중의 전알칼리량을 일정 한도
이하(예 :Na2Oeq 로 3.0kg/㎥ 이하)로 억제하는 등이 유효하게 되고 있다.

7. 유해물질
골재 중에 함유된 유해물질에는 〈표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것들이 있으며 이러한 물질들이
유해량 이상 함유되면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표 3〉 AE 감수제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시멘트량을 감소시킨 경우)

주 1) AE 감수제는 리그닌계
2) 재료 : 보통시멘트, 강모래, 강자갈(최대치수 25mm)
3) 양생 : 표준양생
( ) 안의 값은 압축강도비를 나타냄
-7-
8. 내화성
화재 시에는 표면으로부터 2~4cm 의 위치에서 콘크리트의 온도가 400~600℃로 된다. 화강암,
대리석, 석회암 등의 내열도는 비교적 작은데(약 600℃) 이것은 석영 또는 탄산염계의 광물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다른 물질로 변화하기 때문인 것으로 고려되고 있다.
안산암, 경질응회암, 연질사암, 점판암 등은 내열도가 약 1,000℃ 정도로 크다.
내화성(耐火性)에 있어서는 내열도가 크고, 더욱이 열전도율이나 열팽창율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8-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