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QUALITY CONTROL PROCEDURE

3. Welding Material Control Procedure (용접재료 관리절차서)

Contents (목 차)

1.0 Scope (적용 범위)

2.0 Responsibilities (책 임)

3.0 Receipt of welding Material (용접자재의 반입)

4.0 Storage and Handing (저장 및 보관)

5.0 Issue (불 출)

6.0 Use and Return (사용 및 반납)

7.0 Conditioning (필수 조건)

8.0 Record (기 록)

9.0 Abbreviation (약 어)

10.0 Exhibit (예 시)

Revision
Rev. Date Rev. No
Description First Issued AUG. 1, 2006 0
개정 일자 개정번호
개정내용
Prepared by Reviewed by Approved by Approved By
Part 구 분
작성 검토 승인 승인
Name 성 명

HS-QCP-03 Rev. 0 1 of 8
QUALITY CONTROL PROCEDURE
3. Welding Material Control Procedure (용접재료 관리절차서)

Sign 서 명
Date 일 자

1.0 Scope 1.0 적용범위

This procedure covers the requirements of control of welding 본 절차서는 ASME 코드 아이템 제작에 적용되는 SMAW,

material to be used in the Code items with the SAW, SMAW,     SAW, FCAW, 및 GTAW 의 모든 용접재료의 관리
FCAW and GTAW. 요구사항으로 규정한다.

2.0 Responsibilities 2.0 책 임

2.1 The Welding Material Crib Keeper is responsible for the control 2.1 용접자재 관리자는 모든 용접재료들을 관리 할
   
of all welding materials. 책임이 있다.

3.0 Receipt of Welding Material 3.0 용접자재의 반입

3.1 Welding materials shall be received from the supplier. 3.1 용접자재는 용접봉 공급자로부터 반입한다.

3.2 The Welding Material Crib Keeper shall assure all welding 3.2 용접자재 관리자는 모든 용접자재를 보증하기

materials have an acceptance tag.     위하여 합격 표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4.0 Storage and Handling 4.0 저장 및 보관

4.1 AII welding material received from the supplier shall be 4.1 모든 용접자재는 공급자로부터 입고된 후에 용접

transferred to the Welding Material Control Room (WMCR) and 자재 관리실 (WMCR)로 이동하고 용접 절차서(WPS)에
   
stored in the original package in according to Welding Procedure 따라 원 포장 상태로 보관하여야 한다.

Specification (WPS)

4.2 The WMCR is the limited access area, no welder are allowed 4.2 용접재료의 관리실은 용접사 및 자동용접사는

to enter.     제한구역으로 하여야 한다.

4.3 Containers of electrodes and boxes or containers of fluxes 4.3 용접봉, 플럭스 등 모든 용접재료는 직접 바닥에

shall not be put directly on the floor. They shall be placed on shelf 놓아서는 안 된다. 바닥에서 최소한 2″이상 높이의

at least 2″ above from the floor. The containers shall not be     목재로 받침을 하여 보관한다. 용접봉 보관함은
opened until welding materials are required to be used. 사용하기 전까지 개방되어서는 안 된다.

4.4 All welding material shall be properly protected while in storage     4.4 모든 용접재료는 용접자재 관리실에서 보관하는
in the welding material room. Welding material shall be handled 동안 적절히 보호되어야 한다. 용접재료는 어떠한

carefully to avoid any damage. Contents in the damaged 손상도 되지 않도록 신중히 다루어져야 한다. 손상된

HS-QCP-03 Rev. 0 2 of 8
QUALITY CONTROL PROCEDURE
3. Welding Material Control Procedure (용접재료 관리절차서)

containers shall be checked for surface contamination and 용기의 내용물들은 용접재료의 표면 오염이나

damage of welding material. The welding materials which show 손상여부가 확인 되어야 한다. 취급상 손상의 흔적이

evidence of handing damage shall be controlled in accordance 보여지는 용접 자재들은 QC 매뉴얼 10 장의 부적합

with Chapter 10, Nonconformity Control of the QC Manual. 관리에 따른다.

4.5 The container shall not be opened until the welding shall be   4.5 용접봉 용기는 용접재료의 사용이 요구되기 전에
removed from the welding material prior to use.   개방해서는 안 된다.

4.6 Grease, oil, paint, water, dust and other contaminants shall be   4.6 구리스, 오일, 페인트, 물, 먼지 및 기타 오염 물은
removed from the welding material prior to use.   용접하기 전에 앞서 제거되어야 한다.

4.7 Ovens may contain multiple classification and lot numbers of 4.7 건조 오븐은 탄소강 및 저 합금강 용접봉들이 재료에

the carbon and low alloy steel electrodes provided those are 대한 식별이 명확하고 건조온도 범위가 일치된다면 여러

clearly marked and the temperature range is compatible. Stainless 종류를 복합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그러나 스테인레스
   
and high nickel electrodes shall not be baked or holded in a same 및 고 니켈 등 비철 용접봉은 탄소강 및 저 합금강

oven with carbon and low alloy steel electrodes. 용접봉과 동일한 건조오븐에서 건조 및 보온시킬 수

없다.

5.0 Issue 5.0 불 출

5.1 When a related WPS and QC Check Sheet are given to a 5.1 WPS 및 QC 체크시트를 입수한 용접반장은 용접자재

Foreman, the Foreman shall prepare two sheets of the Welding 불출증(WMIS) 2 장을 준비하여 용접사에게 주어
   
Material Issue & Return Slip (Exhibit 3-1: WMIS) and he gives the 용접자재 관리자로부터 용접자재를 인수토록 한다. (

WMIS to a welder. 용접자재 불출증, 예시 3-1)

5.2 The assigned welder shall submit the WMIS (two sheets) to the 5.2 지정된 용접사는 용접자재 관리자에게 용접자재

Welding Material Crib Keeper. 불출증 2 장을 제출한다.

5.3 The Welding Material Crib Keeper records the required blanks 5.3 용접자재 관리자는 용접자재 불출증상의 필요상을

on the WMIS, and then he shall give one sheet of the WMIS with 공란에 기록하고 용접사에게 용접자재 불출증 1 장과

the requested welding material to the welder. 청구한 용접자재를 불출한다.

6.0 Use and Return     6.0 사용 및 반납


6.1 When the welder completed the assigned welding or maximum 6.1 용접사 및 자동용접사는 정해진 용접이 종료되거나,

exposure time is reached, he shall return any unused portion of 또는 최대 불출시간에 도달하면 용접재료의 불출증과

the welding filler metal with the WMIS to Welding Material Crib 미사용 용접재료를 관리자에게 반납해야 한다. 용접자재

Keeper. The Welding Material Crib Keeper shall fill out the 관리사는 용접자재 불출증 상에 필요사항 주(하기)를

HS-QCP-03 Rev. 0 3 of 8
QUALITY CONTROL PROCEDURE
3. Welding Material Control Procedure (용접재료 관리절차서)

required blanks on the WMIS and shall be maintained this WMIS. 기입하고 보관한다.
주; 관리자는 용접사 및 용접 자동용접사가 반납한 용접자재

불출증에 반납수량, 반납시간 등의 필요사항을 기입하여야

한다.

6.2 The Welding Material Crib Keeper shall check the damage or 6.2 용접자재 관리자는 반납된 용접재료에 오물 및 손상

contamination, and put the return welding materials in the 여부를 확인하고 용접 건조로에 보관한다.
   
container.

6.3 The electrodes which have been re-baked more than three 6.3 3 회이상 초과하여 건조된 용접봉은 ASME 코드

times shall not be used for Code items. Times of re-baking shall be 공사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재 건조 횟수는 아래와 같은

identified with the color system specified as below; 색상으로 식별하여야 한다.
   

1st: Red, 2nd: Blue, and 3rd: White 1 회: 빨강, 2 회: 청색, 3 회: 흰색

6.4 Covered electrodes or fluxes which have been exposed to 6.4 피복 용접봉과 개봉된 플럭스에 습기가 있을 시

become damp must be scrapped.     폐기처리 한다.

6.5 When all of filler metal in a single box such as cardboard is 6.5 개별의 박스 내의 모든 용접 재료가 사용되었을 경우

consumed, the box shall be removed from the WMCR and shall be 그 박스는 용접자재 창고로부터 제거되고 폐기처리
   
destroyed. 한다.

6.6 Unused welding wire needs not to return at the end of shift if 6.6 미사용 잔여 자동 용접와이어는 만약 용접 이음매가

the welding is not finished.     완료되지 않았다면 교대시간이 되더라도 반납시킬


필요는 없다.

6.7 The welding material left on the welding machine shall be 6.7 용접기에 남아있는 용접자재는 공장의 먼지들로부터

covered with polyethylene or suitable material to protect against 보호하기 위하여 폴리에칠렌이나 또는 적절한 물건으로
   
shop dust. 덮어 둔다.

7.0 Conditioning 7.0 필수조건

7.1 Conditional Equipment     7.1 필수장비

7.1.1 Baking Furnaces 7.1.1 건조로

Baking furnaces are electrically heated equipment which shall be 건조로는 용접봉 제조자가 제시한 요구사항에 따라

prepared sufficiently so as to bake electrodes or fluxes in 용접봉 및 플럭스 등 용접재료가 충분히 건조 되도록

accordance with manufacturer suggested practices. Baking 준비 되어진 전기식 가열 장비이다. 용접자재 건조로는

HS-QCP-03 Rev. 0 4 of 8
QUALITY CONTROL PROCEDURE
3. Welding Material Control Procedure (용접재료 관리절차서)

furnaces shall be used for baking of all low hydrogen type 모두 조수소계 용접봉 및 플럭스의 일일 사용량을

electrodes and fluxed which are going to be used for a day. Baking 건조시킬 수 있어야 한다. 건조로는 저수소계 등의

furnaces may be used for baking other than low hydrogen type 용접봉을 건조시키는데 사용되고 또한 건조된 용접봉과

electrodes and holding the baked electrodes or fluxes at the 플럭스를 지정된 온도 상태로 유지할 때도 사용된다.

specified temperature.

7.1.2 Holding Oven 7.1.2 유지로(휴대용 건조기)

Holding oven is portable equipment which may be provided to 유지로는 휴대용으로서 각각 인증 용접사에게 지급

each Qualified Welder. Holding oven shall be used to maintain the     되어지며 용접봉이 건조로에서 불출 된 후에도 건조
electrodes in dry condition after issuing of the baking furnaces. 조건을 유지시키도록 사용하여야 한다.

7.2 Baking Requirement 7.2 건조 요구사항

7.2.1 All electrodes and fluxes shall be re-baked in accordance 7.2.1 모든 용접봉과 플럭스의 재 건조는 본 절차서와

with this procedure when the original sealed container is opened 일치하여야 하며 용접봉 박스를 최종 개봉하여 사용하는
   
for use of the continued exposure time for low hydrogen coated 저수소계 용접봉의 불출 시간은 대기 상태에서 아래표

electrodes to atmospheric conditions the time indicated the 3-1 의 지시를 따라야 한다.

following Table 3-1.

* Table (표 3-1): Recommendation


Electrodes(AWS Class) Exposure time(Max. hours)
용접봉 (AWS 클래스) 최대 불출 (노출) 시간

E 70XX series (계 열) 4
E 80XX series (계 열) 2
E 90XX series (계 열) 1
E 100XX series (계 열) 1/2
E 110XX series (계 열) 1/2
E300 series (계 열) 4
Flux (플럭스) 8
Other than low hydrogen type electrodes (기타 저수소계 용접봉) 8
The exposure time is the period of time the electrodes are to atmosphere. (노출시간은 용접봉이 대기상태에 노출되어 있는 시간이다.)

(a) After baking, the electrodes shall be placed in the holding (a) 건조 후, 휴대용 건조기에서 용접봉 유지 온도는

oven, or the portable warmer at a temperature of at least 최소한 60℃이상의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140°F (60℃)

HS-QCP-03 Rev. 0 5 of 8
QUALITY CONTROL PROCEDURE
3. Welding Material Control Procedure (용접재료 관리절차서)

(b) Re-baking shall be performed on any electrodes exposed (b) 휴대용 건조기가 사용되지 않을 시는 대기 상태에서

to the atmosphere for a period of more than specified hours 모든 용접봉은 표 3-1 에 제시된 시간이 경과되면 재

as indicated in the Table 3-1 without begin returned to  the    건조시켜야 한다.
portable warmer.

(c) The baking or holding of fluxes shall be performed prior to (c) 플럭스의 건조 및 온도 유지를 사용 전에 실시되어야

use.     한다.

(d) All covered electrodes which have been wet or damaged (d) 모든 피복 용접봉이 습기를 갖고 있거나, 손상된

shall not be re-baked. They shall be scrapped.     것들은 건조시키지 말아야 하고, 폐기시켜야 한다.

(e) Mild steel covered electrodes other than low hydrogen (e) 연강용 피복 용접봉과 기타 저수소계 용접봉은 직접

electrodes may be used directly from the as-received 손상이 안되거나 습기 및 오염 물질 등이 없는 조건으로

container provided it has not been damaged or not been     용접 보관함에서 직접 대기 중에서 사용할 수 있다.
exposed to atmosphere, moisture or contaminants.

(f) The exposure time is defined as that period of time the (f) 대기 중에 용접봉을 불출 시 일정한 불출시간을

electrodes are exposed to atmosphere.     정한다.

7.2.2 Baking, Holding Temperature and Duration; 7.2.2 건조, 유지온도 및 시간, 각 종류별 용접봉과

Suggested Baking, holding temperatures and time for each type of 플럭스의 건조, 유지온도와 시간은 아래 표 3-2 에 의하여

electrodes and fluxes are specified in the electrodes and fluxes are 결정한다. 단, 용접봉 제조회사가 별도의 추천사항이
   
specified in the following Table 3-2. When revision status made 있으면 이를 따른다.

according to manufacturer's recommendation.

8.0 Records 8.0 기 록

8.1 One sheet of the WMIS shall be maintained by the WMCK. 8.1 용접자재관리자는 용접자재 불출증 1 장을 보관,
   
The WMCK shall collect the WMIS and account the used 용접재료의 사용량 확인 정리 한다.

9.0 Abbreviations     9.0 약 어


9.1 WMCK: Welding Material Control Keeper 9.1 WMCK: 용접자재 관리사

9.2 WMCR: Welding Material Control Room 9.2 WMCR: 용접자재 관리실

9.3 WMIS: Welding Material Issue Sheet 9.3 WMIS: 용접자재 불출증

9.4 SAW: Submerged Arc Welding 9.4 SAW: 써브머지드 아크용접

9.5 SMAW: Shield Metal Arc Welding 9.5 SMAW: 피복 아크용접

9.6 FCAW: Flux Cored Arc Welding 9.6 FCAW: 플럭스 코드 아크용접

HS-QCP-03 Rev. 0 6 of 8
QUALITY CONTROL PROCEDURE
3. Welding Material Control Procedure (용접재료 관리절차서)

9.7 GTAW: Gas Tungsten Arc Welding 9.7 GTAW: 가스 텅스텐 아크용접

10.0 Exhibits 10.0 예 시


   
3-1 Welding Material Issue & Return Slip 3-1 용접자재 불출증

* Table (표 3-2)

HS-QCP-03 Rev. 0 7 of 8
QUALITY CONTROL PROCEDURE
3. Welding Material Control Procedure (용접재료 관리절차서)

Exhibits 3-1 Welding Material Issue & Return Slip

HS-QCP-03 Rev. 0 8 of 8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