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박혁거세(朴赫居世)

진한(辰韓) 땅의 여섯 마을 우두머리들이 알천(閼川) 상류에 모였다. 군왕(君王) 을 정하여


받들고자 하여 높은 곳에 올라 멀리 남쪽을 바라보았다 . 그러자 양산 기슭에 있는 나정 (蘿
井) 이라는 우물가에 번개와 같은 이상한 기운이 드리워진 흰말 (白馬) 이 엎드려 절하고
있었다. 찾아가서 그곳을 살폈더니 자줏빛 알이 있었고 말은 사람들을 보자 길게 울고는
하늘로 올라갔다. 그 알을 깨뜨리자 사내아이가 나오매 , 경이롭게 여기면서 동천 샘에
목욕시키니 온몸에서 빛살을 뿜는 것이었다. 이때 새와 짐승이 더불어 춤추고 하늘과 땅이
흔들리고 해와 달이 청명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혁거세왕이라 이름을 짓고 위호(位號)는
거슬한(居瑟邯)이라고 하였다.그 무렵 사람들은 다투어 치하드리며 배필을 구하라고 하였다.
같은 날에 사량리 알영 우물가에 계룡(鷄龍)이 나타나 그 왼쪽 겨드랑이로 딸아이를 낳으니
그 용모가 수려하였으나 입술이 꼭 닭의 부리와 같았다 . 이내 월성의 북천에서 미역을
감기자 입부리가 떨어졌다 . 궁실(宮室) 을 남산 서쪽 기슭에 세우고 두 신성스러운 아이를
봉양하였다. 사내아이는 알에서 태어났으되 , 알이 박과 같으므로 그 성을 박씨로 삼았다 .
딸아이는 그녀가 태어난 우물 이름을 따서 이름 (알영)으로 삼았다. 그들 나이 열셋이 되매
각기 왕과 왕후로 삼고 나라 이름을 서라벌(徐羅伐)·서벌(徐伐)·사라 혹은 사로라고 일컬었다.
왕이 계정(鷄井) 에서 태어났으므로 더러 계림국이라고도 하였으나 뒤에 신라로 고쳐서
전하였다. 박혁거세왕은 예순한 해(61 년) 동안 나라를 다스리다 하늘에 올랐는데 칠 일 뒤에
그 주검이 땅에 떨어져 흩어졌다. 왕후 또한 죽으매, 나라 사람들이 합쳐서 묻고자 하였으나
큰 뱀이 나타나 사람들을 쫓으면서 방해하였다. 따라서 5 체(五體)를 다섯 능에 묻고 사릉(蛇
陵)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수로부인(수로부인(水路·首露夫人)
순정공(純貞公)의 부인이다. 향가(鄕歌)인 「해가(海歌)」와 「헌화가(獻花歌)」의 주인공이다.
성덕왕 때 순정공이 강릉태수로 부임할 때 동행하다가 바닷가에서 점심을 먹었다 . 그 곁에
바위의 봉우리가 병풍처럼 둘러서서 바다를 굽어보고 있는데, 높이가 천 길이나 되는 바위
위에 철쭉꽃이 활짝 피어 있었다.
수로부인이 그것을 보고 사람들에게 “누가 저 꽃을 꺾어다 주겠소 ?” 하고 물었으나
“ 그곳은 사람의 발자취가 이르지 못하는 곳입니다 .” 라고 대답하며 모두 안 되겠다고
하였다.
그런데 그 곁으로 한 늙은이가 암소를 끌고 지나가다가 부인의 말을 듣고 그 꽃을 꺾어
가지고 와서는 「헌화가」를 지어 바쳤다.

붉은 바위 끝에 / 암소 잡은 손을 놓게 하시고 / 나를 부끄러워하지 않으면 / 꽃을 꺾어


바치리다.

또 이틀이 지난 후 임해정(臨海亭) 에서 점심을 먹고 있는데 문득 바다의 용이 부인을


끌고 바다 속으로 들어가 버렸다. 그러나 순정공은 아무런 계책이 없었다.
이 때 또 한 노인이 말하기를 “ 옛날 사람 말에 뭇 사람 말은 쇠 같은 물건도 녹인다
했는데 바다 속의 짐승(龍)이 어찌 뭇 사람의 입을 두려워하지 않겠습니까?(중구삭금衆口鑠
金, 중구난방 衆口難防 ) 마땅히 경내(境內) 의 백성을 모아야 합니다 . 노래를 지어 부르고
막대기로 언덕을 치면 부인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그 말을 따라 했더니(「영신군가(迎神君歌, 龜旨歌) 」 용이 부인을 받들고 바다에서 나와
부인을 바쳤다.

거북아, 거북아, / 머리를 내놓아라. / 만약에 내놓지 않으면 / 구워 먹으리

순정공이 바다 속 일을 물으니 부인은 “일곱 가지 보물로 장식한 궁전에 음식은 달고


향기로운데 인간의 음식은 아닙니다.”라고 대답하였다.
이 때 옷에서는 이상한 향기가 풍겨 나왔는데, 세간에서는 맡아 보지 못한 것이었다.
용모가 세상에 견줄 이가 없었으므로 깊은 산이나 못을 지날 때면 번번이 신물 (神物)들에게
붙들렸다고 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