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유형별 전략 – Big picture

➔ 유형분석 및 전략

〔Pattern : Rhetorical Purpose ; 네모가 쓰인 핵심목적을 찾자!〕

• 작가가 특정 단어, 구, 문장, 문단 등을 언급한 핵심 의도, primary


수업 purpose, 그 부분의 key word를 찾을 수 있다.
목표 • Rhetorical: 수사학/표현법 –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더욱 분명하게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표현 방식
문제에 주어진 네모를 지문에서 찾아 전후 글의
문제풀이
①논리전개방식(네모의 기능) +②중심내용(그 부분 주제) 파악
단계
→ 둘 다 바르게 표현한 보기 선택 → 오답소거
특정 단어, 구, 문장, 문단이 적혀 있는 이유 찾기
확인능력
문맥의 논리적 파악, 핵심내용 찾기
포인트 한 지문당 1-2개, 난이도 중상/상

Types of Questions
1. Why does the author mention ?
= The author mentions in the passage in order to
= Why discuss, Why use the word, Why include, Why quote,
Why give details about ?

2. In the passage, the author explains by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agraph 2 and 3?


= How is paragraph 4 related to the earlier discussion of ?

4. Which of the following best describes the way paragraph 3 is organized?


= Which of the following is the purpose of the paragraph 3?

Keep in mind
1. 네모는 그 단락 안의 general한 중심문장을 specific하게 부연 설명하는 지엽적 정보-detail
중의 하나이다.

2. 즉, 네모는 그 단락의 중심내용을 풍성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www.HackersIngang.com 1
3. 문제가 묻는 것은 이 detail한 네모가, 단락에서 어떤 방식(원인-결과, 비교-대조, 예시-강조,
지지-반박)으로 어떤 중심내용을 풍성하게 하는지를 찾는 것이다. 네모를 통해 clear해지는
내용이 무엇인가? 주제어(key word)를 선택지에 넣자.

문제풀이 순서
1. 네모를 지문에서 찾아 바로 앞1-2문장, 접속사, 뒷문장을 꼼꼼히 읽는다.
(논리 구조와 Key Word 확인)
2. 때로는 그 단락의 첫 번째 문장(중심문장)이 중요한 힌트가 되는 경우도 있다. (네모가 그
단락의 중심내용을 서포트하는 여러 가지 증거 중 하나로써, 단락의 밑에 나온 경우)
3. 선택지 중 아래의 ①, ② 모두 일치하는 답을 고른다.
4. 때로는 ①논리전개방식만으로도 답을 찾을 수 있다.
5. 때로는 ②네모가 전달하는 핵심내용만으로도 답을 찾을 수 있다.
6. 오답은 네모와 관련된 Fact 정보이지만, 작가가 네모를 쓴 핵심 의도가 아닌 것.
그 부분의 key word, 핵정이 빠진 것 ← 제일 많이 걸림.

3 Types of Questions
★문제유형 1 Why does the author mention ?
➔ 문단 안에서의 네모의 기능(대조, 묘사, 예, 강조 등)과 정체 찾기.
답의 형태: To ( ①표현법-네모기능 ) + ( ②주제의 전달, key word )

① 표현법에 대한 힌트 보이는 문제 ➔ 일단 쉽고 단순하게 매칭


- even, particularly → to emphasize / highlight
- for instance, such as → to give an example of / illustrate
- while, whereas, contrary to, unlike → to contrast
- like, similarly, in comparison, more than → to compare
- because of, due to, based on → to give a reason for
- , leading to problems. → to give a reason for
- This is why → to show an effect of
② 표현법 힌트 안 보이는 문제 ➔ ②번 중심의 네모가 전달하는 내용 찾기 전략으로 들어가세요.
앞뒤 맥락-flow을 통해 숨겨진 표현법을 생각해 보세요. 선택지가 describe, explain, show로
시작되면 네모의 정체를 정의한 선택지를 답으로 고르세요.

문제유형 2 In the passage, the author explains by


= How does the author explain(=mention) the concept of ?
➔ 작가가 를 설명한 방식(논리구조)을 찾아라.
답의 형태: (①표현법 -ing) + (②지문에서 부각된 네모의 구체적 일부분)

www.HackersIngang.com 2
문제유형 3 단락의 역할, 단락간의 관계, 단락의 구성을 물음
① 한 단락의 목적(organization, function, purpose) 물음
➔ 단락의 best title을 찾아라. 앞 뒤 단락 확인 가끔 필요.
➔ 보통, 첫 두 문장이 중심내용, 그 다음부터 세부사항임을 기억.
② 두 단락의 논리관계 물음 (relationship between 2 paragraphs)
➔ 앞 단락 끝 줄, 뒤 단락 첫 번째 줄을 잘 보세요.
앞단락 원인 현상 이론 상황 정보 이론 상황 객관적상황 문제점 현상
뒤단락 결과 원인 증거 예외 추가정보 반박이론 예시 가치 판단 해결책 요약

③ 글 전체의 구조 or 목적 물음: 설명문(account for) or 논설문(argue)


➔ 지문 전체의 best title을 찾기. Summary문제 intro 문장 참고.

www.HackersIngang.com 3
➔ 유형분석 및 전략

〔Pattern : Summary (긴 글에서 가장 중요한 말 3개 고르기)〕

수업 6개의 보기 중에서 주어진 INTRO sentence와 어울리는 지문의


목표 major idea만 골라 요약 글을 완성할 수 있다.
Intro sentence가 주는 clue(①논리구조+②내용) 분석
풀이
→ 단락의 major idea 파악
단계
→ 보기 중 minor or false 소거하며 major 3개 만 고르기
intro sentence의 핵심요소 중 단서 찾기, 문단 구조 이해력
필요한 능력
major/minor idea 구분하는 능력, 키워드 노트테이킹
출제 각 지문 마지막 문제, 통합적 사고력 측정,
포인트 3개 다 맞으면 2점 만점, 2개 맞으면 1점, 난이도 상

지문의 논리적 전개방식 유형 3가지


1. Development 유형
과거 → 현재: 시간의 순서, 발달과정, 진행과정, 역사, 성공스토리
2. List 유형
one, another, the final: 정보열거, 비교(대조/찬반)구조, 이론나열
3. 육하원칙 유형
위의 두 가지에 해당 안 되는 유형: topic이 Why or How 발생?

문제풀이 순서 및 전략
1. 먼저 intro 문장을 분석한다.
① Title(글의 소재) ② 논리구조(전개방식) ③ 중심내용 파악.
→ focus를 가지고 속독할 수 있음, off topic 선택지 소거가 쉬워짐.

2. 지문을 Skimming하며 단락별 key word를 note 한다.


① Intro: general 배경을 거쳐 specific topic으로 들어감.
② Body 1, 2, 3: 앞 1-2문장, 마지막 문장에 집중. 주제문은 단락에서 부연 설명되는 것.
However 주의! 각 body의 차이점은 소재 변화.
③ Conclusion: 단락의 개수가 많고, 마지막 단락의 길이가 짧으면 요약문에 포함 안됨.
부연설명이나 결론 단락.
A. 보통 각 단락은 major idea를 하나씩 가지고 있다. 2~3 단락이 공통된 major idea를
가질 수도 있다. 결코 한 단락이 두 개의 major idea를 가질 수는 없다.
➔ 단락의 개수가 여러 개일수록 공통의 major idea를 가지는, 서로 묶일 수 있는 단락이
많은 것이다.

www.HackersIngang.com 4
B. 1단락(Intro)
➔ 보통 미괄식 접근: 개괄적(general) 배경을 거쳐 specific한 우리의 Topic으로 들어감.
보통 끝 부분이 intro sentence와 비슷. intro 문장이 보이면 그 다음부터 Body1을
찾으면 된다. (단, intro문장이 1단락 앞에 적혀 있고, 1단락이 길고, 2단락 내용과
밀접 연결되면 1단락부터 major idea ↑ ).
C. 각 단락 major idea를 파악할 때 일반적으로 두괄식에 근거해 앞의 1-2문장과 마지막
문장에 집중★ ← 보통 중간은 detail
➔ 주로 주절에 Key word가 들어있음. Key word는 단락에서paraphrase되어 재 언급됨.
(단, 글의 중간에 ★however, yet, still 등의 접속사가 나오고, 앞 내용과 반대되면
그 다음부터가 major idea★)
D. 단락의 첫 줄 ➔ 바로 위 단락을 요약하는 구정보 있기도 함.
단락의 마지막 줄 ➔ 바로 밑 단락의 주제를 예고 하기도 함.
E. 단락간의 관계를 파악하게 해주는 힌트(접속사, 대명사, 지시형용사 등)에 주의하여
새로운 단락이 앞 단락과 다른 이야기인지, 비슷한 이야기(예시, 부연설명)인지 파악한다.
F. 마지막 단락 ➔ 단락의 개수가 많고, 마지막 단락의 길이가 짧으면 요약문에 포함 안됨.
(부연설명, 전체 지문의 요약/결론)
G. 이 때 각 단락 major idea를 key word 2~4 단어로 note-taking 한다. (문제와 지문이
동시에 떠 있지 않기 때문)
H. 단락에 나온 구체적 예시도 여유가 있다면 적어 두고, 예시만 선택지에 나오면 minor fact
오답이다.

3. 선택지를 본다. (오답 패턴)


① 서론의 배경 – origin, prior info, naming
② 본론의 minor – one of the details, example
③ 결론의 요약 – 제언
④ Off topic / Not mentioned / False

Tip1) ★Minor 선택지에 자주 들어가는 표현: 예시, 열거, 수치, 년도, 사람이름, 구체적 장소,
비교정보, 가정법 등의 구체적인 정보, all, only, must, never(부정어), 최상급 등의 한정적 표현
(cf. minor해 보이는 개념이 그 단락의 첫 번째 줄에 나오며 단락에서 반복 언급되는
핵심 개념이면 예외)

Tip2) 2개의 보기가 한 단락에서 같이 언급되어, 누가 답인지 모르겠다면, 누가 누구에게 포함되어


들어갈 수 있는지를 파악, 포괄적, 더 많은 정보를 적어 놓은 것이 major.
(General ⊃ Specific)

Tip3) 기타
- 화면에 문제와 지문이 동시에 뜨지 않음. View/Text button 이용.
- 부분점수 있음: 3개-2점, 2개-1점, 1~0개-0점.

www.HackersIngang.com 5
- ★답을 선택한 순서는 점수와 무관, 2개라도 맞춰서 꼭 1점 get할 것.
- 답이 보이지 않으면, 앞에서 풀었던 문제들(특히 General Fact나 infer 문제)이 물었던 문제의
소재와 정답 내용을 이용.

Tip4)
Paragraph 구조의 Typical한 예
1st 문장: 종속절(구정보-앞단락요약) + 주절(신정보-이번단락중심내용).
➔ Major idea
2nd 문장: 주제문에 관한 부연설명 시작 ➔ 앞 문장 = 주제문 confirm
또는 앞 문장의 반대내용 나오면, However 등(강조어)
➔ 이게 Major idea
⥥ (예시 example, 세부사항 detail, 절차) ➔ 선택지에 들어가면 오답
⥥ 순차적으로 넘버링 하며 읽기
⥥ 작은 소재들이 어떻게 변하는지 파악
끝 문장: Major idea, key word 다시 반복(결론) or 다음단락 예고정보

www.HackersIngang.com 6
➔ 유형분석 및 전략

〔Pattern : Insertion : 주어진 piece를 Jigsaw Puzzle에 끼워 단락 완성〕

수업목표 한 문장을 논리적으로 적절한 위치에 끼워 넣을 수 있다.


① 주어진 문장 분석: 핵심 clues 2개 (연결어+접속사)파악
문제풀이
② 단락을 읽고 단락의 중심내용과 전개방식을 파악
단계
③ clue가 있는 곳에 문장을 넣고 자연스러운 흐름 확인
두괄식 구조 문단의 pattern 이해
필요한
지시사, 논리사, General/Specific 찾기
능력
각 문장간의 동의어 매칭으로 오답 제거
출제
지문당 1문제, 항상 뒤에서 2번째 문제, 난이도 중상/상
포인트

Keep in Mind
1. 지시사 찾기+논리적 흐름 찾기 문제입니다. 정답은 딱! 떨어집니다.
→ 그냥 말이 되는 곳에 넣으려면 헷갈리고 틀리기 쉽습니다.
2. 논리의 핵심; Linking Words에 주목하세요.
→ 모든 네모 문장 사이의 연결 고리를 파악하세요.
(모두 쫀쫀하게 연결 – 동의어, 반의어, this, such 등)
→ 네모 문장끼리 각각 연결이 잘 안되면 단락의 맨 앞에 있는 중심내용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앞 주제문을 개별적으로 부연 설명함.
3. 단락의 구조를 다음을 기준으로 분석하세요.
① 단락 안의 Main idea는 무엇? 위에서 찾기.
② 그 아래 작은 소재들(종교 → 예술) 이 어떻게 변해가는지,
③ 분위기(긍정 ↔ 부정)는 어디서 변하는지 잘 파악합니다.
④ 시제도(어디까지 과거 이야기이고 어디서부터 현재인지) 잘 보세요.

★오답★ 주어진 문장이 들어갈 수 있는 위치가 2군데 다 될 것 같을 때는, 본문 문장끼리의 고리


(동의어 반복, General → Specific)를 연결해보세요. 흐름이 너무 자연스러운 곳(동의어 연결, 인
과관계, this, such 등 지시사 밀접 연결됨)에 넣지 말고, 흐름이 끊겨도 되는 곳, 추가 정보가 들어
가도 되는 곳! 그 곳에 답을 넣으세요.

문제풀이 단계
1. 주어진 문장에서 연결고리(Linking words) 찾기
① 주어진 문장에서 앞 문장에서 언급된 ★구 정보★
(old information)를 1-3개 찾는다.

www.HackersIngang.com 7
② 주어진 문장에서 뒤 문장에서 언급될 신 정보(new information)가 있는지 찾는다.
(ex ➔ a+명사, There is, 고유명사, full name 등)

2. 주어진 문장의 역할 파악: 주어진 문장이


① General한 idea인지 – 다른 문장을 lead해야 하는지
➔ 말이 좀 포괄적이고, 짧고, 구체적이지 않음, 개념소개 등.
② Specific한 idea인지 – 다른 문장을 support해야 하는지
➔ 말에 예시, 열거, 수치, 년도, 사람이름, 구체적 장소 이름, 비교급, 가정법 등의
구체적인 정보가 들어감

3. 단락 속 어울리는 위치(location)파악: 두괄식, 순차적 흐름에 근거.


① 중심문장인지 파악 ➔ general idea(전체/일반적/포괄적/중요한 내용)는 보통 문단의 앞부분
: 보통 지시어, 접속사 등이 없다.
② 중심문장이 아니면 ➔ 부연설명, 예시, 세부사항(details, example)은 중간부분 위치
: 지시어, 접속사, 앞 문장 동의어 등이 들어간다.
③ 마무리 문장, 결론의 접속사(Therefore, Consequently, Thus, As such, Ultimately 등)
➔ 뒷부분위치

4. 선택지 문장 4개의 내용과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답 선택.

5. 지문 속 네모 클릭-문장 넣기- 후의 문맥 최종 확인.

앞 뒤 문장과의 연결관계 Clues, 구 정보 / 신 정보 찾는 방법


1. 대명사, 지시어: it, they, this, these, that, those, both, one, the other, another, some,
others, the former, the latter, most, such 등

2. the + 명사: 앞 서 언급된 정보(a/an + 명사)를 받는 구정보임


★예외: 처음 언급될 때부터 the가 붙는 명사들
➔ 최상급(the largest conduit), 특정지역(the Sahara desert),
발명품(the phonograph/a phonograph), 서적(the New York Times),
추상명사(the use, the meaning, the importance), 자연(the ocean, the sky),
뒤에서 한정 수식 받는 명사 (the wings of the craft),

3. ★유사어구(동의어) 반복 힌트: 앞에서 나온 단어(명사, 동사, 형용사)가 그대로 또는


paraphrase되서 나오면 보통 두 문장 붙임.

4. 대구/대조표현 힌트: 앞 뒤의 내용이 대구/대조/대칭을 이룰 때


ex) enter → exit, lose → gain 낮은 위치 → 높은 위치,
at first → eventually begin → as a result → ultimately
one → the other some → others

www.HackersIngang.com 8
5. 문제의 문장에 신정보가 들어 있으면 그 신정보를 지시하는 표현이 들어간 문장과 보통 바로
연결된다. 바로 즉시 설명 들어감.
ex) 문제의 문장: They made a new method.
지문 속의 문장: This system changed the whole world.

6. 글의 흐름 파악을 도와주는 접속사, 연결어에 주목


a. 순접/부연 additionally, furthermore, moreover, also, as well, too, besides, first/second
b. 역접/대조 but, however, in contrast, on the other hand, on the contrary, conversely,
Instead = Rather(그 대신, 다른 것 선택), Unlike, in fact(사실은: 앞내용과 반대진술)
c. 다른 두 대상의 공통점 similarly, likewise, in the same way, Like
d. 상술/추가설명 in fact(사실은: 앞내용 이어서 강조부연설명- 구체화 역할 = to be specific),
in other words, that is (to say), in actuality
e. 원인/결과 due to, because of, since, now that, therefore, thus, hence, consequently,
subsequently, in conclusion, as a result, finally, eventually, as such, ergo
인과관계의 모든 동사들
f. 예시 for example, for instance, the most famous, one such item
g. 조건 otherwise(=if not, if no), or(= if not), without(=if it were not for: ~이 없다면)

www.HackersIngang.com 9
➔ 유형분석 및 전략

〔Pattern : Category Chart – 각 개념의 변별적 특성을 간파하자〕

비교/대조되고 있는 지문의 중요한 정보(fact)를


수업목표
주어진 Category에 따라 분류, 배열할 수 있다.
category와 선택지 먼저 분석 (①표작성 ② note-taking)
문제풀이
→ 본문 전체 scanning
단계
→ 본문의 정보 바르게 paraphrase된 보기 선택
필요한 key word note-taking skill, scanning,
능력 paraphrasing, 동의어
한 지문당 1개 또는 0개, 난이도 중/중상,
출제
골라야 하는 답 개수 5개: 3점 / 7개: 4점 (부분점수 있음)
포인트
오답개수 1개 당 1점씩 감점

Types of Question
➞ Directions: Select the appropriate phrases from the answer choices and match them to
the category to which they relate. This question is worth 4 points.
Drag your answer choices to the spaces where they belong. To remove an answer choice,
click on it. To review the passage, click on View Text.
Answer Choices (예시) Classical Period
(A) Music for soloists did not exist.

(B) Musicians depended on the patronage

of the wealthy.

(C) Emotions evoked by music were more

important than its format.
(D) Orchestras typically included fewer
Romantic Period
instruments.
(E) Most music was composed by the
middle class.
(F) Composers made use of folk melodies.
(G) Audiences were familiar with formal ●

music theory. ●

(H) Perfection of musical structure was the ●

primary goal.
(I) Quality instruments were accessible for
private use.
➞ 선택지 개수 9개 - 답 개수 7개 = 선택지 2개 버리기

www.HackersIngang.com 10
〔This question is worth 3 points.〕
Answer Choices 1. Category

(A) ●

(B) ●

(C) ●

(D)
2. Category
(E)
(F) ●
(G) ●

➞ 선택지 개수 7개 – 답 개수 5개 = 선택지 2개 버리기

CC출제되는 지문의 기본 구성
①서론 + ②Body 1 + ③Body 2 (+결론) 으로 구성됨
〔Summary의 List형의 변형 문제이자, Paraphrase 문제임〕

1. 서론: 항목 분류의 기준 언급, 두 항목의 기본 특징/공통점 언급.

2. 본론: 각 항목에 관한 세부 설명 언급
→ 각 항목은 “대조, 비교”의 대상으로 비교/역접의 접속사
(However, On the other hand, On the contrary, In contrast, In comparison, While, But,
Whereas, rather than, as compared to, as opposed to, not A but B, not A but rather B
등) 에 유의하여, 반복 언급되는 대조점, 변별적 특징을 잘 파악할 것.

3. 결론: 요약, 제언 (없을 때가 더 많음)

문제풀이 단계

1. 시험시작하고 바로 Next 버튼을 눌러 Vocab만 먼저 풀고,


마지막 문제를 먼저 보고, Sum이면 intro 분석,
① CC면 글 구조는 List, 중심내용은 두 항목의 대조 관계로 잡고,
② 각 선택지 key word 2 ~ 3 단어 정도 note-taking.
단, 어휘실력이 부족하면 전체 지문의 내용 파악에 더 신경을 쓸 것.

2. 선택지 요약할 때: key words 중심으로 간단히 note-taking


① significant한 의미가 있는 단어 중심, 명사, 형용사, 동사
② 기호나 부호를 최대한 활용 – 많은 연습이 필요함.

www.HackersIngang.com 11
Categories 선택지 note-taking 예시 근거단락
고전 A. 솔로/ X
B. 부자들 후원
C. 형식↓/ 감정 ↑
D. 악기/ ↓
낭만 E. 중산층/ 작곡
F. 민속 멜로디/ 사용
G. 관객/ 형식이론
H. 구조완성 / 목적
I. 고급 악기/ 개인 사용

3. Review 버튼을 눌러서 앞의 detail 문제 풀기

4. 앞의 문제를 풀면서 노트한 내용이 나오면 종이에 바로 체크해두기.


➔ 각 category에 관한 중심 Fact가 적힌 부분(major points / critical supporting information)
에 유의하며 미리 노트한 내용과 매칭.
➔ 본문의 Fact를 paraphrase한 답을 고르는 것이기 때문에 동의어 실력 중요. 가끔 약간의
추론(대조관계를 이용한)을 해야 할 경우도 있음.

5. 마지막에 보기 중 해결 안된 것을 찾기 위해 빠르게 훑기. 본문을 위아래로 죽 스캔하며


key word가 언급된 부분 찾기, 손가락 사용.

주의사항
1. 가끔, 항목1에 관한 정보가, 항목2를 설명하는 단락 안에, 대조되는 정보를 강조하는 목적으로
들어가 있을 수 있음.
2. 가끔, 두 항목의 공통점을 제 3의 항목으로 분류해 놓는 경우도 있음.

문제풀이 Tip

- 지문의 맨 마지막 문제, 단, Summary가 훨씬 많이 출제됨.


- 오답은 알 수 없는(Not Mentioned) 내용, 거짓(False) 내용, 또는 한쪽으로 분류할 수 없는
둘의 공통점을 나타내는 내용으로 구성.
- 문제와 지문이 화면에 동시에 떠 있지 않음. 써머리와 동일.
- 문제를 풀면서 지문과 문제를 얼마든지 왔다 갔다 할 수 있다.
- 정답을 고른 순서는 상관없다.
- 선택지 하나를 잘 못 고르면 1점씩 감점됨.
- 잘못 고른 선택지는 언제든지 취소할 수 있다.

www.HackersIngang.com 1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