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주제문

중심소재 (키워드) 찾고
중심 내용 파악. 그 키워드가 나아가는 방향

EX) 키워드 "파브르" 내용 " 파브르의 곤충 연구


주제 "환경 오염" 내용 "환경 오염의 심각성"

이때 답은 중심 키워드 중심일지 내용 중심일지 두개로 나뉜다.

포괄적 X 구체적인 주제 찾자.

지엽적인 소재만을 나타내면 오답이다

글의 구조를 파악하자.

보통 첫 문장이 가장 쉽게 요지를 준다. 거기서 답이 나왔다 싶으면


혹시 모르니까 다음 문단까지 읽자.
다음 문단이 첫 문장과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면 첫 문장의 논거를 나열하는 것이므로
첫 문장이 주제문이 맞다.

문장을 중반까지 읽었는데도 주제가 떠오르지 않으면 선택지를 보자.


선택지에서 주젝 될 만한걸 가상의 주제로 설정하고 읽어보자.
맞는거같으면 그거 골라라.

선택지를 먼저 보고 글을 읽는 능력은 연습이 필요하다.

주제문과 요지문의 구별
주제문=요지문일수도 있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아서 둘을 구분해야 한다.
요지문은 주제문과 달리 미괄식 구조로 글의 후반부에 요지를 줄 수가 있다.
그러면 글의 초반부에 주제를 찾고 중반부에 중심내용을 찾고 후반부에 요지를 찾는거다.

주제를 물어보는 문제는 문장이 아니라 Phrase 를 선택지로 주는데


요지를 물어보는 문제는 문장을 선택지로 줌.

주제문 = 소재와 중심 내용이 한번에 나온 문장.


요지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으나
!주제문과 요지문이 따로일 수 있으니까 조심해야 함!

요지 문제

1. 단어 등의 정의를 주는 경우
"백과사전식" 기술. 꼼꼼히 읽어야 함.

2. 화자의 논증하는 글
주제 - 요지 찾기

주제는 말 그대로 글이 뭐에 대해 얘기하는지


요지는 그 글을 통해 글쓴이가 하고싶은 말.
동일할 수도 있으나 다를 수도 있음.

순서
1. 주제파악
2. 중심 내용 파악
ex) 주제는 우크라이나 전쟁인데 요지는 전쟁을 하면 안된다. 가 될 수 있음.

요지문이 안 보이는 함축형 글도 있는데


이 때에는 글을 잘 읽어서 내가 도출해 내야 함.
그러나 내용의 확대해석이나 축소에 주의.

신문의 기사

기사 제목은 해당 사건.
제목을 풀어 쓴 문장이 글의 요지.

실험, 조사, 연구, 관찰

요지는 그 실험 조사 연구 관찰의 결과.

실험의 목적은 주제고


실험의 결과가 요지다.

이 실험의 결과를 통해 주제나 제목이 나오기도.

통념의 글

사회 통념 제시

1 번 분기 - 사회 통념 비판

2 번 분기 - 사회 통념에 추가된 정보를 더 제시함.

시간의 대조도 비슷

1 번 - 과거에는 ~였으나 지금은 ~가 아니라 다른거다

2 번 - 과거에는 ~였으나 지금은 여기에 추가 되서 ~다.

현상의 글

1. 현상 제시
2. 그 현상의 원인 제시 ---- 1,2 단계에서 주제문 나옴

3. 대안 !이게 요지임!
4. 대안의 뒷받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