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생각의 한 매듭인 문단이 모여서 단락을 이루고 단락이 모여서 하나의 글을 이루게 됩니다.
 따라서, 글을 쓰는 과정은 생각의 첫 매듭인 문단을 하나씩 써 나가는 과정입니다. 여기서는
글의 처음과 끝 문장을 어떻게 써야 하는 지와 단락 쓰기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설명 논증 서사
 
   
묘사
 
    설명
  설명은 일정한 사물 곧 과제를 쉽게 풀어서 그것이 '무엇'인가를 알게 하는
것으로 서, 논리적으로는 "s 는 p 다."식으로 진술되는 기술 양식이다. 사실이나
생각의 분명 한 이해,인물의 특징이나 어떤 사태의 분석, 용어의 정의, 일의
수행을 위한 지침의 설정 등이 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설명은 가장 일반적인
기술 양식이다.
설명의 방식이나 과정은 그 대상에 따라 다르다. 잘 알지 못하는 사물을 알기
쉽게 풀어 쓰는 것이 설명이므로 주관의 개입은 삼가야 하며, 어디까지나
진실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 따라서 설명하는 사람들간에 설명의 과정은
다르더라도, 그 내용은 본질적으로 같은 것일 수밖에 없다. 

*설명의 기법

부룩스와 워렌은 지정, 설명적 묘사, 설명적 서사, 예시, 비교와 대조, 분류와
구분, 정의, 분석의 여덟 가지를 설명의 기법으로 제시한다.

(1) 지정

지정은 사실의 확인, 지적이므로 가장 단순한 설명의 양식이다. '무엇이냐,


누구냐' 에 대한 대답으로서 '무엇이다, 아무개다'에 해당하는 기술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를 실체, 분량, 성질, 관계, 능동, 수동, 공간, 시간, 상태,
소유의 10 개 범주로 기술한다.

(2) 묘사적 설명

설명은 설명을 효과적으로 하고자 묘사의 방식을 부려 쓰는데, 이를 묘사적 설


명이라 한다. 이는 사물에 관한 정보, 지식의 전달이 그 목적이라는 데에 있어서
일반 적 묘사랑 다르다. 요컨대, 묘사적 설명은 설명을 위하여 묘사의 방식을
이용하는 것 이고, 일반적 묘사는 대상의 속성 그 자체의 체험을 위한 묘사다.

일반적 묘사
묘사적 설명
정보, 지식  인상 
대상에 관한 무엇 대상 자체 
추상적  구체적 
전반적 선별적 
체계적 구성  인상위주의 구성 
비주관적 해석 주관적 해석 
일반적인 기술 특수한 기술

(3) 서사적 설명

서사적 설명은 사건에 관한 정보를 주로 다루어서 그 이해를 돕는 설명


방식이다. 일 반적인 서사가 사건의 제시에 중점을 둔다면, 서사적 설명은
사건의 전말을 알려서 이해 하기 쉽게 하는 기술 방식이라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표현적 서사는 감각적 체험 을 자극하여 상상력에 호소하는 것이
속성이라면, 서사적 설명은 사건의 전개된 바 내용 을 설명하는 것이 특징이다.

(4) 예시
예시는 특수 진술이나 특수 사항으로 예를 들어 보이면서 유형, 계층, 부류 등
일반적 인 것을 설명하는 기술 양식이다. 예시는 글을 완결하는 기능을 한다.

(5) 비교와 대조

둘 또는 그 이상의 사물간의 비슷한 점을 찾아 설명하는 것을 비교라 하고, 그


차이 점을 가려내어 설명하는 것을 대조라 한다. 우리의 관습은 유사한 사물의
정도 차이를 견주는 것도 포함시킨다. 비교와 대조는 설명이 아닌 글, 예컨대
시나 소설에도 자주 쓰인다.
비교, 대조의 기법은 다음 세 가지 사항이 잘 고려되었을 때 효과적인 것이
된다.

첫째, 설명하려는 한 사항을 독자들이 이미 친숙히 알고 있는 것과 관련시킨다.


둘째, 독자들이 이미 잘 알고 있는 일반 원리에 관련시켜 비교·대조한다.
셋째, 일반적인 원리나 관념의 설명을 위하여 이미 알고 있는 여러 사항들을
비교, 대조한다.

(6) 분류와 구분

분류와 구분은 여러 사물의 부류를 계층화하여 가르거나 모으는 조직의


방식이다. 사 물의 가르거나 모으는 각 구성 분자는 서로 일정한 의미상의
관련성을 지닌 것이라야 한 다. 유개념, 곧 큰 것에서 종개념, 곧 작은 것으로
내려오면서 가르는 것을 구분이라 하 고, 작은 것들을 모아 큰 무리로 묶어 가는
것을 분류라 한다. 분류의 최하 단위는 둘 이상이다.

분류와 구분에는 다음의 세 원칙이 있다.

첫째, 각 계층별 분류, 구분의 원칙은 하나라야 한다.


둘째, 하위 계층은 소속되는 상위 계층에 남김없이 포섭되는 것이어야 한다.
셋째, 모든 계층에 적용되는 원칙은 일관된 것이어야 한다.

(7) 정의

정의는 어느 일정한 대상의 속성을 해명하는 기술 방식이다. 대상의 종차와


개념의 유형을 정립하여 명제 형식으로 나타낸 것이 정의다. 정의는 '
무엇이냐'는 물음에 대 한 대답의 형식인 점에서는 지정과 같으나, 정의는 다음
네 가지 점에서 지정과 다르 다.

첫째, 지정은 사실을 확인하는 일이다. 그러나 정의는 단순한 사실의 지적이
아니다.
둘째, 정의는 전문성에 따른 설명이다.
셋째, 정의는 논리적으로 본질적인 속성과 종차와 개념을 해명한다. 
넷째, 정의는 본질적이고, 지정은 파생적, 부분적이다.

정의에서 정의되는 항(피정의항)과 정의하는 항(정의항)은 등식관계에 있으며,


정의는 다음 세 원칙을 지켜야 성립된다.

첫째, 피정의항은 정의항과 대등하여야 한다.


둘째, 피정의항은 정의항의 부분이어서는 안 된다. 
셋째, 피정의항이 부정이 아닌 한 정의항이 부정적이어서는 안 된다. 

(8) 분석

분석은 사상을 성분, 즉 구성 분자로 나누는 기술 양식이다. 일정한 대상이 몇


개 의 성분을 가졌다고 생각되는 경우라야 이 방식이 유용한 것임은 물론이다.
분석은 그 대상의 성질에 따라 물리적 분석과 개념적 분석, 그리고 작용에 따라
기능적 분석, 연대기적 분석, 그리고 인과적 분석으로 나뉜다.

┏·물리적 분석: 시계 부품을 분해하거나 개구리를 해부


┃ 하는 것처럼 공간적으로 분해가 되는
┃ 것을 설명해 보이는 것은 물리적 분석
┃ 이다. 이는 일정한 원리와 의도에 따르
┃ 기 때문에 그 대상의 구성 분자가 유기
┃ 적으로 조직된 구조를 가지고 있을

┃ 가능하다.
┗·개념적 분석: 민주주의·종교·법인들을 분해하듯 개
념적으로 설명해 보이는 분석이다.

┏·기능적 분석: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대한 해답의



┃ 식을 취하는 기술 양식이다. 자연의 변
┃ 화, 성숙의 과정, 인간 활동의 과정 같
┃ 은 동적인 과정을 그 대상으로 한다.
┣·연대기적 분석: 연대기적 분석은 역사적인 사건과 같
┃ 이 기능을 가진 것으로 다루어지지

┃ 는 일정한 사건의 계기적 단계를
밝히
┃ 고자 할 때 쓰이는 설명 방식이다.
┃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건의 진행
형식
┃ 의 변화 유형을 연대기적으로 질서화
┃ 하여 설명해야 한다.
┗·인과적 분석: 우리는 가끔 단순한 시간의 진행에
따른
사건의 계기에 머무르지 않고, 그
사건들
의 원인과 결과를 추구 한다. 이럴 때

리는 시간의 진행과 사건의 연쇄에
따라
인과적 분석을 행한다.
-문장기술론, 김봉군-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