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펠츠먼 효과

얼마나 리스크를 수용할거냐의 경향성


얼마나 리스크를 크게 보느냐의 경향성이 균형을 이룸

수용경향같은 경우는 어떤 경우에 커지냐면 리스크를 감내했을 때의 보상이 큰 경우


수용경향이 커진다는 것은 숏컷이 많아진다는 얘기
ex ) 외벽에 비계가 깔려있는 상태에서 작업을 할 때 문제가 많이 생기는 것들 중에 하나가 숏컷 문제
원래는 비계랑 외벽이랑 딱 붙어있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음, 돌아서 가는게 아니라 비계와
외벽 사이를 그냥 건너뛰는 경우가 많음. 이런 리스크를 감수하였을 경우 수용 경향이 커짐 (편하니까)

하지만 아차사고와 같은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그 리스크를 인지하게 되어 수용 경향이 달라짐.


실제 사고의 이미지 등을 근로자에게 보여주면서 리스크를 인지시킨다.
ex ) 담배갑의 암 사진이랑 비슷한 것

대형 건설사에서 사고가 많이 발생
법적 규제는 어느 규모 이상에서만 적용되므로 소규모는 안전관리에 취약하고 재해가 많이 발생
하지만 전체 수로 봤을 때 확률적으로 높음

*스위스 치즈 모델
불안전 상태와 불안전 행동을 고려했을 때 불안전 행동이 7~80%, 불안전 상태가 2~30%
근로자가 잘못한 거라고 결론 지을 수 있는 애매함
불안전한 행동이 아니라 시스템의 문제일 수 있다

사고가 자꾸 나는데 사회적 현상으로만 설명하기 살짝 부족함

라스무센의 사회기술 프레임워크


계층구조를 가져감 (L1~ L6)

-시스템 다이나믹스
노란색 : 경제적인 실패, 저걸 넘어가면 경제적으로 문제가 생김
빨간색 : 사고가 발생하는 정도, 빨간색으로 넘어간다고 사고가 바로 발생하는 건 아님

화살표 방향으로 가고자 함


( 노란 화살표는 경제성을 위해, 파란 화살표는 업무 효율을 위해,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는 의미로 다이나믹스라고 함.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함.

************************
constraint response model
= 의사결정 시 각 참여자들이 제약조건에 따라 반응하며
그 반응에 따라 후속 단계의 제약조건으로 부과되는 모델
도표 참고 : 제약조건이 있고, 그밑에 client responses 가 있음
(광고에서는 광고주, 건설에서는 재건축 조합, 삼성전자 같은 발주처)
client responses 는 각각 프로젝트 매니저와 프로젝트 디자인의 제약조건이 됨.
그 둘도 반응이 있을 것이고 셋의 반응이 construction management(원청)의 제약조건이 됨.
그의 반응은 subcontractor(하청)의 제약조건이 됨.
ㄴ 이 과정을 외울필요는 없고 어떤게 제약조건인지 보자!

- 제약조건 : proximal factor(사고 근방의 요인, 대부분 직적접인 관련),


distal factor(윗단계에 의한 요인)

프로젝트 개념 : 자금조달의 어려움, 여러 불리한 법규들, 경쟁환경의 변화,......


이런 제약조건하에서 발주를 받으면 발주자의 반응이 있을것
(프로젝트 예산 절감, 신규 프로젝트 기준 추가, 프로젝트 설계 또는 시공의 가속화,...)
프로젝트 설계 제약조건 :
설계자의 반응 : 서브렛(아웃소싱, 하도급)으로 인해 질이 저하될 수 있다.

프로젝트 관리 제약조건 : ㅅ
프로젝트 관리 반응 : 사전 자격검증, 관리 예산,

건설 관리 제약조건
건설관리 반응 : 감독 수준의 저하 (협력 업체를 관리해야 하는데) 안전장비 미착용

하청업체의 제약조건 : 소규모 회사는 돈이


하청업제의 반응 :
내가 올바르다고 생각하고

50p
부적절한 시공계획 : 지반이 부적절함
부적절한 시공관리 : 붐대에서 작업을 할 때 잘못하고 있으면 지적해야 함.
ㄴ 잘못된 작업방법에 대해서
ㄴ 기상상태에 따른 부적절한 대처

부적절한 현장상태 : 부적절한 지형, 기상, 지반 - 고속철 철로를 깔때 너무 추워서 물이 얼었다 녹았다
하면서 철로가 계속 들림 = 철로가 불안정해
부적절한 시공 :
부적절한 작업 :
ㄴ 왜 근로자들이 부적절하게 작업할 까 = constraint model 때문에
ㄴ 각 회사의 사고 분석 모델을 만들것

CONAC : 직접요인, 간접요인


불안전한 상태가 새ㅅㅇ

사고가 많이 남
흙막이랑 똑같은데 보호되지 않은 보호구, 불량 사다리, 전도★

ㄴ 불안전한 상태가 존재할 때는 :
파악을 한 경우에는 두가지 경우가 있음 : 불안정 케이스가 없어질떄까지 자업을 중지 or ㅅ{ㅛㅓㄱ{석

ㄴ 1 번은 지식 기반, 2 번은 태도 기반
4 번=

☆ㅅ게 시켜주는경우

작업시간이 너무 지체ㄷ되ㅓ
시스템 문제인경우 사람의 문제가 아니라고 판단

-----------------------------------------------------------------------
ARCTM
왜 불안전한 상태가 있었는데 제거를 하지 않았나? 누구책임이야?
최소한 재발방지대책을 세울 수 있을 정도의 왜는 생각해야한다

Did the worker identify the unsafe conditions? :


바닥에 물이 있었던걸 알았냐 or 바닥 물이 위험했던걸 알았냐

why did the worker fail to identify the unsafe conditions?


unable to assess condition because condition is new : 일한지 얼마 안돼서

이런거 다 확인해서 [1],[2],[3] 중


-----------------------------------------------------------------------
ARCTM 을 활용한 사례 (56p)
불안전한 행동 ( 위치와 자세 ), 불안전한 상태 ( 날이 기준을 초과하는 속도로 회전 )
작업자는 불안전한 상태

----------------------------------------------------------------------------------
58p 그림 참고
59p controller, player 둘중에 하나가 실패해서 문제가 생길 수 있지만
control 과 feedback 이 잘못될 수도 있음.
예시 ) controller : 발주처 (client) player : 원청 (시공사)(contractor, 돈받는애)
controller : 원청 (시공사, contractor), player : 하청 (subcontractor)
60p 부적절한 지시, 부적절한 정보
control 이 있으면 feedback 도 있어야함
지시, 규제를 하면 그게 제대로 이루어지는지 feedback 또한 필요
세번째 기타문제 (빼먹음) : 지속성이 있어야함(control,feedback 이 계속 돌고 있어야함)

예시 ) 유해위험방지계획서 // 국토부에서는 안전관리계획서


녹음본 자세히 들어보자 ( 갑을 관계인데 지시를 잘 따르지 않고 )
controller 와 player 는 위치가 달라야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비용편익 분석하는 법 알아야함

134p 내용 잘 읽어보기
만약에 WAH 프로그램이 없었을 경우 6.6 퍼 감소
~~~~3.7% 요걸 바탕으로 편익을 계산,
명 수가 나왔기 때문에 이걸로 금액을 곱해가면서 계산
계산 직접 해봐야함.

136p 56 만불정도 나오는 과정

136p 주의 ) 연간금액 15% , 365 곱하면 되는데 1 명 당 1 억 4000 * 0.544(계수) * 21.4 명


( 영구장애는 부활할 수 없고 사망 같은 경우 7500 일, 즉 20 년 정도
★ 사망과 영구장애는 계속 누적된다 ★
= 비용감소 과정 쭉 보기
1 년차, 2 년차, 3 년차, 4 년차 누적
할인욜 6%로 적용(1.06)
=> CBA 결과 갈수록 손해를 보다가 21 년 이후에는 0 을 넘어가면서 이득이 됨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28
건설업 일반 통계현황 (요인과 발생형태명)
일반적인 통계 상황 (국적별 부상자, 사망자 통계)
뭐가 의심이 갔냐하면 하주 미약하지만
ㄴ 5 인 미만에서 300 미만
ㄴ실제로는 강도가 겈킴

국적

현장규모
구조물 자체의 사이즈가 워낙 크기 때문에 그런거 아닐까? (1000 인 이상 사업장 발생 형태)
ㄴ 소규모, 대규모, 플랜트 다 모두 다름
ㄴ 최소한 분류를 해서 통계치를 뽑아내야함.
고용형태별
대부분 일용임.

발생시간 (사망시간 아님)


점심시간에 많이 발생

공정률
보통 정규 분포를 가지는데 5%미만을 눈 여겨봐야함

연령별
연령이 높아질수록 (고령근로자도 많고 고연령일수록 다칠 확률도 크고)
ㄴ 고령화사회가 되면서 전체사망자수도 증가하고 그래프가 더 높아질것이기 때문에
대책을 마련해야한다.

성별
건설 근로자 대다수가 남성

발생형태별
발생 형태별로 강도가 다르기 때문에
(빈도가 높지만 강도가 낮음 & 빈도가 낮지만 강도가 높음) = 이런경우는 사망 적음

기인물과 발생형태의 조합
근로손실일수를 더하면 조합의 위험성이 됨.

1 건 발생했을 때 평균적으로 발생하는 근로손실일수


=> 강도만을 고려한 것으로 떨어짐보다 다른 기인물이 높음
(떨어지면 사는 경우도 많지만 화학물질, 화재, 감전, 무너짐등의 강도가 매우쎔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3p

87p~ 100p 다
세면시설 : 날이 너무 더우니까 온도가 너무 안좋으면

휴게시설 :
5) 통풍이 가능한 곳이 아니면 사용되어서는 안됨
LPG 가스

휴게시설 (휴게시간 30 분이면 가는데 3 분 오는데 3 분)


103p 건설중에는 화재가 나면 소화시설이 없으므로 화재가 발생

105p 부동액

107p 배출자 : 왜 예상량이냐 하면 계획이니까

108p 배수로 설치

108p 조명 조도 기준

109p 비상조명, 조명이 꺼지면 자동으로 켜지게 하는

109p 비상대응 예전에는 예방에 포커스 ,


건설기술진흥법에서는 안전관리계획서를 제출하는데 비상 시 긴급조치 계획을 포함하도록
ㄴ 내외부 비상연락망, 비상동원조직, 경보체제, 단열재 시공시점부터는 월 1 회 이상 비상대피훈련

비상사태 시나리오별로 훈련 실시, 성과 평과 후 개정보완


110p 반도체 공정, 자동장치

111p 훈련 시 외부에서 구조 인력이 오면 안내를 해줘야하기 때문

132p 대부분은 예방에 맞춰서 있었는데 ~~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대비해야함 조직의 존립 자체가 위험해 질 수 있음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