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1.

내화구조의 판단 : 색깔 - 연두색으로 칠해져있어야함


ㄴ 내화성능 1 시간 이상의 내화페인트를 칠할 것

건축물의 기둥 및 보 : 지상 1 층
위험물 저장 취급 용기의 지지대

13p : 색깔과 유체의 흐름 방향대로, 근로자가 보기 쉬운 곳에

17p 그냥 전선을 쓰면 안되고 방폭형을 써야함

19p 배관의 내화구조가 아님

20p 전선 구멍이 뚫려있음

21p 검지기가 방폭구조가 아님 ( 화재감지기 같은거 )


ㄴ 폭발 위험 장소인데

22p : 전선관 문제 (방폭형은 맞음)

23p
24p 테이프로 막으면 안됨

25p 위에 있는 표시가 방폭형이 아님


26p 방폭형 아님
28p 전선관 문제
29p 묵직
30p 방폭등이긴 하지만 오른쪽이 방폭이 아님
31p 카메라도 방폭으로 할 필요가 있음
33p 방폭구역 2 종
34p 지지대 한쪽만 내화
35p 지지대 내화페인트
37p 밸브 방향 모름
38p

40p
41
42 돼있음
43
44
46
47p ~~~안전구조

정전기 제어를 위한 점화방지 설계방안


폭발 위험 장소와 법적사항, 조치들
(폭발위험, 인화성 액체 : 세척 또는 도장용 스프레이..., 변전실)
분진폭발 장소

누출등급 및 환기효율성에 따른 폭발 위험장소 설정


누출원 평가

표와 숫자를 암기할 필요는 없음


아음속 누출, 음속누출 공식은 외울 필요 없음 = 식들을 이용해서 계산하고 판단하는 것만
증발풀도 암기할 필요 X
문제 2 번 풀어보기
희석등급 평가 공식 쓰고 그래프안에서 고희석, 중희석, 저희석 구분
밀도는 외워야 할수도, LFL 주어지고 k 주어짐

함정 : 옥내, 옥외 구분해야함
가상체적 및 소요환기량, 임계압력 계산,
환기이용도 : '우수' 등의 등급의 의미
환기 배치 평가의 예
누출 특성을 알면 나머지는 공식에 넣고 그래프로 보면됨
누출 특성은 밀도 빼고 주어짐 : 밀도는 직접 계산할 것
누출등급을 몇차로 할지도 모름
액체누출률 W 와 가스누출률 Wg 도 주어질수도 있지만 계산할 줄 알아야함
ㄴ 식들이 주어지지는 않음

환기속도는 주어지며 희석등급은 테이블을 통해서 구할것

12 주차 1p 처럼 주어질듯

폭발위험장소 구분 원은??

분진폭발 위험장소 외워야함 (배기설비가 있는경우와 없는경우로 구분)

분진방폭구조 기호와 특징 다 외우기


온도 등급에서 해당 가스를 다 외울필요는 없음
보호등급은 어디에 사용되는지에 따라서
예) 분진과 수분이 많은 지역의 내압방폭형 스위치를 기호로 적을 수 있어야함
방폭화 기본방안
실링피팅
사진 보고 지적할 수 있어야함:
1) 내화구조 : 내화구조 조항 (1 시간, 2 시간, 건축물의 기둥 및 보....)
2) 실링피트는 감지기와 가까운곳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