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5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1)

강승혜
(연세대학교)

Kang, Seung Hae. 2014. An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on Korean


writing educatio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41, 1~35.
Korean writing education research has been conducted since the
1980’s; however, a comprehensive review of research in Korean
writing education has thus far not been executed. A thorough
review of previous research on Korean writing education is
needed to identify topics and relevant method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evious research on Korean writing
education. This study consists of a review of 333 published studies
on Korean writing education, as well as academic dissertations.
The research was analyzed based on three variables: chronology,
topic and methodology. There was a total of 7 sub-categories for
topics: general writing education, error analysis, teaching and
learning, curriculum development, textbooks, text analysis, and
evaluation. The reviewed studies were organized into three types
of research methodology.
(Yonsei University)

핵심어: 한국어 쓰기 교육(Korean writing education), 연구 동향


(research tendency), 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ology)

* 본 논문은 이중언어학회 제28차 추계 전국학술대회 주제 발표의 발표 원고


를 수정, 보완한 것임을 밝힌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원문 검색과
분류 작업 검토에 도움을 준 대학원생들에게 고마움을 전하며 논문의 완성
도를 위해 꼼꼼하게 지적해주신 세 분의 심사자들께 감사를 표한다.
2 강승혜

1. 서론

1990년대 이후 한국어 교육 분야 학습자 분포를 살펴볼 때 목적에 따


른 한국어 교육의 두 가지 유형 중 특수 목적 한국어 학습자, 그 중에서
도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비율이 매우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2) 이들 학
문 목적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의 동기와 목적을 감안할 때 언어교육에
서 최종 단계 숙달도는 쓰기로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학문 목적 과정
에서 다양한 유형의 쓰기 산출(production)이 요구될 뿐 아니라 대학원
학위과정의 경우는 학위논문 작성이라는 높은 수준의 쓰기 활동이 요구
된다.
한국어 쓰기 교육 분야에서는 ‘쓰기’에 대한 범위와 정의 등에 대한 기
초적인 논의를 비롯하여 방법론에 대한 논의 및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쓰기 교육을 위
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이 절실하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 현장의
학문 목적 쓰기 교육에 부합한 교수 방안이나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지
금까지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수행된 한국어 쓰기 교육 관련 연구들에
대한 검토와 반성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한국어 쓰기 교육에 관련된 연구사 혹은 연구동향 분석 연구로는 강명
순(2005), 심상민(2008), 최정순(2011) 등의 연구를 들 수 있다. 강명순
(2005:71-73)은 1980년대 이후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 쓰기 교육’관련 연구들의 동향과 추세를 분석하여 한국어 쓰기 교육
분야의 변화를 네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첫째, 교실 밖에서 방과 후 활
동으로 이루어지던 쓰기가 수업 중 활동으로 강화된 것 둘째, 결과 중심
의 쓰기 교육에서 과정 중심 쓰기 교육으로 변화된 것 셋째, 학습자 전
략 계발에 초점을 둔 쓰기 교육으로 변화된 것 넷째, 통제적이고 유도된

2) 2004년 16,832명 이었던 외국인 유학생 수가 2007년 4,9270명으로 매년 평


균 29.0% 증가의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2010년 83,842명을 거쳐 2014
년 상반기 현재 8,4892명으로 집계되었다.(연도별 국내 외국인 유학생 수,
출처: 교육부 자료를 참고하여 간단하게 정리하였다.)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3

쓰기에서 자유로운 쓰기 교육으로 초점이 변화된 것 등 네 가지 변화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이는 20005년대 중반 한국어 교육 분야의 쓰기 교
육에 나타난 변화로서 최근 대상 학습자 집단의 구성이 변화함에 따라
쓰기 교육에서는 다른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대상
학습자 집단의 변화는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학문 목적 학습자 구성
과 맥락을 같이 하는 것으로서 쓰기 교육 분야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서
도 이러한 현상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2000년 이후 한국어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한
국어 교육 연구 연구방법론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는데(김은주, 2001; 강
승혜, 2003; 김영규, 2005; 심상민, 2007 등) 연구방법론 측면에서 한국어
쓰기와 관련해서는 심상민(2008)이 한국어 쓰기 연구의 경향을 연구방법
측면에서 분석하고 있다. 그는 일반적으로 언어교육에서 사용되는 주요
연구방법의 개념을 살펴보고 한국어 쓰기 관련 연구로 학술지와 학위 논
문 68편을 분석 대상으로 연구방법 분석 유형의 틀로서 Brown(2004)이
제시한 연구 분류를 기초로 분석하였다. 그러나 연구자 자신의 지적대로
분석 대상 논문이 68편에 그쳐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한 메타분석을 시도
했다는 긍정적 측면에도 불구하고 연구의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80년대 이후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수행된 한국어 쓰
기 교육 관련 연구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앞으로 한국어 쓰기 교육 연
구 방향과 향후 과제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어 쓰기 교육
관련 연구의 연도별ㆍ유형별 연구동향을 살펴본다. 둘째, 한국어 쓰기 교
육 관련 연구의 주제별 연구동향을 살펴본다. 셋째, 한국어 쓰기 교육 관
련 연구의 연구방법 유형별 연구 동향을 살펴본다.

2. 연구 방법 및 절차

2.1. 분석 대상3)

3)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주제 발표 당시까지의 자료들로서 2013년 이후 자


4 강승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수행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물들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는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한국어
쓰기 교육에 관한 논의와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수행된 연구들을
말하며, ‘분석 대상 유형’으로는 학위논문과 학술지 연구물로 구분하였
다.4) 1980년대 이후 국내 대학원에서 학위논문으로 발표된 한국어 쓰기
교육 관련 석사, 박사학위 논문 213편과 한국어 교육 관련 학술지로서
심사학술지에 해당하는 학술지 게재 논문 120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하여 분석한 분석대상 논문은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분석 대상
유형 상세 내용
학위논문 국내 대학에서 발표된 한국어 교육 분야 한국어 쓰기 교육 관련
(213편) 석사, 박사학위 논문
학회지명 학회명
한국어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지 이중언어학 이중언어학회
(121편) 한국언어문화학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언어와 문화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기타 학술지

2.2 연구 절차5)

료들이 분석 대상에 포함되지 못한 점이 본 연구의 제한점임을 밝힌다. 후


속 연구를 통해 이를 보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4) 본 연구에서는 단행본으로 출간된 책에 실린 논문들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
하였다.
5) 본 연구의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최초 분류 작업 시 연구자의 1차 작업 후
하위 주제별 분류에 따라 대학원생 5명이 분류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이후
연구자가 재검토 작업을 수행하였다. 또한 투고 논문 작업을 위해 재검토
작업을 시도함으로써 분류자 내 신뢰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5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을 위해 1980년대 이후 발표된 한국


어 쓰기 교육 관련 연구물과 석사, 박사 학위 논문, 학술지 논문을 국회
도서관과 학술연구정보서비스 RISS 사이트를 활용하여 원문을 검색하였
다. 또한 이들 관련 연구물에 참고문헌으로 제시된 자료 등의 검토를 통
해 자료를 추가 수집하고 수집한 연구물 목록을 바탕으로 추가 원문 검
색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절차는 다음 <도표 1>과 같다.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물 수집 및 선정
- 한국어 교육 연구물 축적 자료집 구축
- 국회도서관/학술연구정보 서비스 RISS 사이트 검색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의 연도별/유형별 분류
(연도별 분류/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으로 분류)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의 주제별 분류
(대분류 작업 후 세부 분류 작업)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연구방법별 분류 -
<도표 1> 연구 절차

3.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3.1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의 연도별ㆍ유형별 연구 동향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의 연도별ㆍ유형별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학술지 논문에 비해 학위논문이 두 배 가까운 숫
자로 나타났다. 1980년대 한국어 교육 분야 연구들이 많이 수행되었으나
쓰기 교육 관련 연구들은 상대적으로 찾아보기 어렵다.6) 1990년대 10편,
2000년에 2편으로 2000년대 중반까지도 그리 활발히 연구가 이루어졌다

6) 80년대 연구물로는 백봉자(1987)의 연구 한 편이 발표되었다.


6 강승혜

고 보기 어렵다. 그러나 국내 한국어 교육 전공 석사, 박사 학위논문들이


2011년과 2012년 최근 들어 2000년대 중반 이후 연도별 연구물 편수에
비해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1년 이후 최근까지의 연구
물 총 320편 중 2011년-2012년 2년간 발표된 연구물이 전체의 37%(119편)
를 차지할 정도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구분하
여 나타내면 <도표 2>와 같다.7) 학위논문의 경우 박사학위 논문이 7편
(튀르쾨쥐 괵셀, 2004; 진대연ㄱ, 2006; 홍혜준, 2008; 정다운, 2009; 이수
미, 2010; 곽수진, 2011; 김성숙, 2011) 포함되어 있다.

<표 2> 연도별 ․ 유형별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연도 80 90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계
유형 년대 년대
학술
1 6 1 4 2 2 3 6 8 13 17 8 14 22 15 120

학위
0 4 1 4 3 6 3 9 4 16 24 28 27 42 41 213
논문

<도표 2> 연도별 ․ 유형별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3.2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의 주제별 연구 동향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의 주제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7) 연도별·주제별 연구 동향은 주제별 연구 동향에서 다루기로 한다.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7

관련 내용들을 중심으로 일곱 가지 주제로 분류할 수 있다(<표 3>).


첫째, ‘쓰기 교육 일반’으로 분류한 연구들은 한국어 쓰기 교육의 개념
및 대상별 쓰기 교육 현황을 포함해서 쓰기 교육의 원리, 쓰기 능력 발
달 등 쓰기 교육 일반에 관한 연구들이다. 또한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다
양한 쓰기 이론에 입각한 쓰기 교육 논의 등도 포함된다.
둘째, 학습자들의 쓰기 오류를 분석한 연구들이 이에 속하며 언어권별
학습자 쓰기 오류를 중심으로 문법적 오류, 어휘 사용 오류, 오류 분석
자료의 말뭉치 구축 등에 관련된 연구들이 ‘오류 분석’ 연구들이다.
셋째, 한국어 쓰기 교수ㆍ학습 관련 연구들은 세 가지 하위 주제로 분
류하였다. 즉, 일반적인 쓰기 교수ㆍ학습에 관련된 연구, 효과적인 쓰기
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에 관한 연구, 읽기와 쓰기의 통합 관련 연
구들이다.
넷째, 쓰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쓰기
교육과정 모형 개발과 전략 개발 등에 관한 연구들이 ‘교육과정 개발’ 연
구에 속한다.
다섯째, ‘교재’ 관련 연구는 일반적인 쓰기 교재 구성 방안을 비롯하여
대상별 쓰기 교재 개발, 교재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등이 포함되며 한
국어 교재에서 쓰기 부분을 분석하거나 쓰기 교재를 분석한 연구들도 이
‘교재’ 관련 연구에 포함된다.
여섯째, ‘텍스트 분석’ 관련 연구는 두 가지 하위 유형으로 분류하였는
데 하나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활동에 활용하기 위해 한국어 모어
화자들의 텍스트를 분석한 연구들이고 다른 하나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작문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쓰기 텍스트를 분석한 연구들이다.
일곱째, ‘평가’관련 연구들은 교육과정의 최종 단계에 해당하는 평가와
관련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평가, 쓰기 영역 문항 개발, 포트폴리
오를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쓰기 평가,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쓰기
영역 분석 등 평가와 관련되는 연구들이 이에 속한다.
8 강승혜

<표 3>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의 주제별 영역


번호 주제 관련 내용
쓰기 쓰기 교육의 개념 및 대상별 쓰기 교육 현황
1 교육 쓰기 교육의 원리, 쓰기 능력 발달, 쓰기 교육 일반
일반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다양한 쓰기 이론에 입각한 쓰기 교육 논의
오류 언어권별 학습자의 쓰기 오류 분석
2
분석 쓰기 문법 오류, 어휘 사용 오류, 정서법/띄어쓰기 오류 등
- 쓰기 교수 학습 방안
1 - 다양한 전략을 활용한 쓰기 교수 학습 방안
- 과정 중심 쓰기 교수 학습 방안
교수
3 - 다양한 요인이 쓰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습 2
- 오류수정 방법, 피드백 방법 등의 쓰기 학습 효과
- 읽기와 쓰기 통합 교육 방안
3
- 말하기와 쓰기 통합 교육 방안
교육
쓰기 교육과정 개발, 쓰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
4 과정
쓰기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개발
쓰기 교재 개발, 쓰기 교재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5 교재
쓰기 교재 분석
텍스트 학문 목적 학습자의 쓰기를 위한 장르별/유형별 텍스트 분석
6
분석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텍스트. 학문적 텍스트 등의 분석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평가
쓰기 영역 문항 개발
7 평가
쓰기 수행 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한국어능력시험(TOPIK) 쓰기

위 분류에 따라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의 주제별 연구 동향을 구체적으


로 살펴보면 다음 <표 4>와 <도표 3>과 같다. 일곱 가지 주제 영역 중
‘쓰기 교수ㆍ학습’ 관련 연구들이 전체 333편 중 학술지 45편, 학위논문
112편 총 157편(47.1%)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특히, 학위논문 중에서
는 213편 중 112편(52.5%)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 주제 영역으로 나타났
다. 다음으로 ‘텍스트 분석’ 관련 연구 48편(14.4%), ‘오류 분석’ 관련 연구
46편(13.8%), ‘평가’ 관련 연구 29편(8.7%), ‘쓰기 교육 일반’과 ‘교재’ 관련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9

연구가 각각 20편(5.9%), ‘교육과정 개발’ 13편(3.9%) 순으로 나타났다.8)


‘쓰기 교육 일반’과 ‘평가’ 관련 연구를 제외하고는 모든 주제 영역에서
학위논문 연구들이 학술지 연구에 비해 많이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의 주제별·연구 동향 ( ): %


주제 쓰기 교육
오류 교수 텍스트
교육 과정 교재 평가 계
분석 학습 분석
유형 일반 개발
14 19 45 4 6 17 15 120
학술지 (11.6) (15.8) (37.5) (3.3) (5.0) (14.1) (12.5) (100.0)
(4.2) (5.7) (13.5) (1.2) (1.8) (5.1) (4.5) (36.0)
6 27 112 9 14 31 14 213
학위
(2.8) (12.6) (52.5) (4.2) (6.5) (14.5) (6.5) (100.0)
논문
(1.8) (8.1) (33.6) (2.7) (4.2) (9.3) (4.2) (63.9)
20 46 157 13 20 48 29 333

(6.0) (13.8) (47.1) (3.9) (6.0) (14.4) (8.7) (100.0)

8) 최정순(2011: 391)은 한국어 표현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중 한국어 쓰기 교


육 관련 연구에 대한 부분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학위논문의 경우
총 112편으로 지도법 관련 논문 42편으로 제일 많았고, 전략 관련 논문이
24편, 평가 관련 11편, 텍스트 구조 및 내용 관련 10편, 교재 9편, 다른 기
능과의 연계 5편, 오류와 교수요목 관련 논문, 쓰기 능력 관련 논문이 각 3
편, 요구분석 및 교수법 관련 논문이 각 1편이었다. 반면에 학술지 게재 논
문 41편을 분석한 결과, 지도법 관련 논문 15편으로 제일 많았고 텍스트 내
용/구조에 관한 논문 6편, 오류 관련 논문 6편, 전략 관련 4편, 평가 관련
3편, 교재 및 과제 관련 각 2편씩, 쓰기 능력, 쓰기 교육 일반, 다른 기능과
의 연계 관련 논문이 각 1편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10 강 승 혜

<도표 3>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의 주제별 연구 동향

1) 쓰기 교육 일반
‘쓰기 교육 일반’ 연구들은 백봉자(1987)의 교포 2세들의 한국어 쓰기
와 관련된 연구를 시작으로 1990년대에는 한국어 글쓰기 교육의 실태를
살펴본 손연자(1996)의 연구 등 쓰기 교육에 대한 개념과 일반적인 쓰기
교육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고(우인혜, 1996; 김정숙, 1999) 이후 2000년
대 중반까지는 거의 논의가 없다가 2000년대 중반부터 유학생을 위한 한
국어 쓰기 교육(이은영, 2005), 여성 결혼이민자 자녀를 위한 한국어 쓰기
(김용현, 2007; 홍승희, 2011) 등 다양한 대상의 쓰기에 대한 논의가 이루
어졌다. 이들 중 최정순(2011)의 연구는 이중언어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기획 논문으로 말하기와 쓰기 교육 전반에 걸친 ‘한국어 표현교육 연구’
로 연구동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2) ‘오류 분석’ 관련 연구
‘오류 분석’ 관련 연구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한국어 교수ㆍ학습을
위해 중요하고 핵심적인 연구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데 특히 한국어 쓰
기 교육 연구에서 학습자들의 언어학습의 결과물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영역이므로 학습자들의 언어 습득과 학습 과정의 현상을 파악할 수 있는
주제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앞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오류 분석’ 관
련 연구는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중에서 ‘쓰기 교수ㆍ학습’ 관련 연구를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11

제외하고 ‘텍스트 분석’ 관련 연구에 이어 연구가 많이 수행된 영역이다.


‘오류 분석’관련 연구의 연도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1990년대 4편(김
영만, 1994; 왕혜숙, 1995; 최우영, 1997; 이은경, 1999), 2000년대 중반
(2001-2005)에 9편, 2000년대 후반(2006-2010)에 16편, 2011-2012년에 17편
발표될 정도로 최근 들어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진 주제 영역이라
고 할 수 있다.
‘오류 분석’ 관련 연구는 학습자들의 언어권별 오류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영어권 학습자 대상 연구(왕혜숙, 1995; Shin, Seong Chul, 2002)와
일본 학습자 대상 연구(사와다히로유키, 2004; 정예랜, 2005; 김중섭ㆍ이
정희, 2008), 중국 학습자 대상 연구(자이웨이치, 2005; 차숙정ㆍ송향근,
2006; 김경천, 2008; 이호순, 2010; 김목아, 2011; 오경화, 2011; 마정, 2012;
박종호, 2012; 신주연, 2012; 장경희, 2012; 정효민, 2012), 태국 학습자 대
상(ThammachaiㆍSitthinee, 2001; 정재주, 2007; 윤미영ㆍ박덕유, 2011), 몽
골 학습자(남수정, 2010; 아마르자르갈, 2011; 온다르마, 2011), 베트남 학
습자(NguyenㆍThi Huong Sen, 2006; 이병운, 2011), 인도 학습자
(ANJALIㆍSINGH, 2012) 등 다양한 언어권 학습자들의 오류 분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언어권 학습자 대상으로는 위에 제시한 바와 같이
중국인 학습자들의 오류를 분석한 연구가 11편으로 가장 많았다.

3) ‘교수ㆍ학습’ 관련 연구
‘교수ㆍ학습’ 관련 연구는 크게 세 가지 하위 주제로 분류하였다. 첫째,
‘쓰기 교수(teaching writing)’에 관련된 연구 둘째, 쓰기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학습 요인 혹은 교수자ㆍ학습자 요인 셋째, 읽기와 쓰기
통합 교육 방안 등에 관련된 연구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첫째, ‘쓰기 교수(teaching writing)’에 관련된 연구는 총 83편으로 가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주로 ‘과정 중심 쓰기’교육 관련 연구(김정애, 2000;
이미혜, 2000; 김민성, 2001; 주지현, 2010)로 쓰기 교수ㆍ학습과 관련하여
12 강 승 혜

최근까지 강조되고 있는 과정 중심 쓰기 이론에서 큰 변화가 없는 것으


로 판단된다. 또한, 한국어 학습 목적에 따른 대상으로는 학문 목적 학습
자들을 위한 쓰기 교수 방안 연구(원진숙, 2005; 이원구, 2005; 김선영,
2008; 목계연, 2008; 박기영, 2008; 박새암, 2008; 신필여, 2008; 홍혜준,
2008; 김정숙, 2009; 장은경, 2009; 최은지, 2009; 김영미, 2010; 김지학,
2010; 박수영, 2010; 유한아, 2010; 이승현, 2010; 이준호, 2010; 장향실,
2010; 이진옥, 2011; 정다운ㄱ, 2011; 정다운ㄴ, 2011; 정영예, 2011; 김용
현, 2012; 김희진, 2012; 이윤진, 2012)가 25편으로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학습자 대상에 있어서는 2010년 이후 여성결혼이민자 혹은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박지애, 2010; 양안나, 2010; 정성미, 2010,
김경현, 2011; 박서영, 2011; 최효정, 2011; 문교영, 2012; 양순녀, 2012)이
많이 수행되었다. 또한 웹기반, 인터넷, 홈페이지, 이메일 등을 통한 쓰기
교육 연구(김민성, 2001; 김영만, 2003; 김준희, 2005; 신혜순, 2010; 김가
람, 2011; 오경숙, 2011) 등의 연구도 수행되었다.
둘째, ‘쓰기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관한 연구들이다(52편).
쓰기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다양한 피드백 유형이 있다. 교사 피
드백(이수민, 2002; 박주현, 2007; 김세영, 2009; 박연희, 2009; 신아다, 2010),
동료 피드백(강현경, 2007; 이지용, 2008; 권유진, 2012) 자기 점검 피드백(나
원주, 2008; 최수원, 2010, 내용 피드백(이수미, 2007; 노혜남, 2008) 등으로
하위 주제를 나눌 수 있다. 또한 일기나 일지 쓰기가 쓰기 학습에 미치는
효과 연구들(신현미, 2003; 강정화, 2007; 이미지, 2007; 김수경, 2008; 김혜
진, 2008; 민유경, 2011; 채상이, 2011; 부수현, 2012)이 발표되었다. 이외에
쓰기 협력 학습(오기원, 2007; 이예승, 2012), 받아쓰기 작문 활동
(Dictogloss)이 쓰기 학습에 미치는 효과 연구(김수은, 2009; 김하림, 2009;
강수진ㆍ배도용ㆍ최서원, 2010; 류은주, 2011; 이현희, 2011; 안가희, 2012;
양재승, 2012), 다양한 인지적인 읽기 전략을 활용한 쓰기 학습 연구(최주리,
2008; 김지영, 2009; 김동민, 2010; 정아름, 2010; 최보미, 2011; 김혜경, 2012;
정도희, 2012) 등 쓰기 학습 관련 요인을 밝히는 연구들이 있었다. 이외에도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13

사전사용(박꽃새미, 2008), 바꿔쓰기(김지혜, 2009) 등이 쓰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있었다. 다양한 요인이 쓰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이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을 분류하여 정리하면 다음 <표 5>와 같다.

<표 5> 쓰기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관련 연구


주제 하위 주제(요인) 연구
이수민(2002), 박주현(2007), 김세영(2009),
교사 피드백
박연희(2009), 신아다(2010)
피드백 동료 피드백
강현경(2007), 이지용(2008), 권유진(2012)
효과 (동료평가/모둠별)
자기 점검 피드백 나원주(2008), 최수원(2010)
내용 피드백 이수미(2007), 노혜남(2008)
일기 신현미(2003), 강정화(2007), 이미지(2007),
대화일지, 오류일지,
(일지) 김수경(2008), 김혜진(2008), 민유경(2011),
문법일지
쓰기 채상이(2011), 부수현(2012)
쓰기
오기원(2007), 이예승(2012)
협력학습
김수은(2009), 김하림(2009),
딕토글로스 강수진ㆍ배도용ㆍ최서원(2010),
Dicto-Comp 류은주(2011), 이현희(2011), 안가희(2012),
양재승(2012)
구성주의 쓰기전략
최주리(2008), 김혜경(2012)
그래픽조직자
쓰기
상향식/하향식
전략 김동민(2010)
쓰기 전략
인지적
읽기활동, 다독과
요인 김지영(2009), 정아름(2010), 정도희(2012)
독서일지, 마인드맵
자기조정전략 최보미(2011)
기타
사전사용, 바꿔쓰기, 박꽃새미(2008), 김지혜(2009)
요인

셋째, ‘읽기ㆍ쓰기 통합 교수’에 관한 연구들은 총 22편으로 보고서 쓰


기와 발표하기 통합 연구(김지영, 2007), 비즈니스 한국어 말하기ㆍ쓰기 통
합 교육 연구(이민민, 2012), 자음 발음과 쓰기 교육과의 연계에 관련된 연
구(조혜리, 2012)를 제외한 연구들은 모두‘읽기ㆍ쓰기를 통합한 교육 방안’
14 강 승 혜

에 대한 연구들이다.9) 우선, 황인교(1997)의 읽기와 쓰기 교수에 관련된 연


구를 제외하고 모두 2000년 이후에 수행되었으며 2000년대 중반까지 4편,
2000년대 후반에 6편 2011-2012년에 11편이 발표되었다. 수필이나 소설 등
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읽기와 쓰기 통합 교수에 관련된 연구(신윤경, 2008;
최희명, 2011; 박광근, 2012), 신문을 활용한 읽기와 쓰기 통합 교수에 관한
연구(이인화, 2010) 등 다양한 텍스트를 읽기 자료로 활용하여 읽기와 쓰기
를 통합한 교수 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있었다. 방법론 측면에서는 실험 연
구를 통해 수행된 연구들도 6편이나 찾아 볼 수 있었다(김정숙, 2007; 김지
영, 2007; 신윤경, 2008; 최영미, 2009; 이인화, 2010; 이민민, 2012).

4) ‘교육과정 개발’ 관련 연구
‘교육과정 개발’ 관련 연구는 주로 2000년 중반 이후에 주로 발표된 연
구물들이 대부분이며 총 13편으로 하위 주제 영역 중 가장 적게 이루어
진 연구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쓰기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혹은 프로그램 개발 연구(이진영, 2008; 김경애, 2010; 정
기영, 2010; 배윤경ㆍ우진아ㆍ정지은ㆍ강승혜, 2011, 박지희, 2012)나 교육
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연구(홍정현, 2005; 김미지, 2009), 교육과정
개발의 하위 범주로 교수요목과 교재 개발 방향에 대한 연구(이준호,
2005; 장향실, 2006; 이금희, 2012) 등10)이 이에 속한다.

9) 쓰기의 경우 통합 활동으로 말하기와 쓰기, 듣기와 쓰기, 읽기와 쓰기 등


다른 기능 등과 통합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나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경우
는 읽기 기능과 결합하여 활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읽기·쓰기 통합의
교수 활동에 대한 연구가 많이 발표된 것으로 판단된다.
10) 이 두 편의 연구 모두 교육과정 개발을 하거나 교수요목 설계를 해서 검
증한 연구가 아니라 교육과정 개발이나 교수요목 설계를 위한 교재 분석
등을 시도한 연구들이다. 장향실(2006)은 중국 내 대학의 교육과정 및 교
재 들을 분석하였고 이금희(2012)의 연구는 서울 소재 대학 한국어 강좌
수강생 130명을 대상으로 학습자 작문의 오류를 분석하고 한국어 읽기,
쓰기 교재 등을 분석한 연구지만 궁극적으로 교수요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교육과정 개발 관련 주제로 분류하였다.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15

5) ‘쓰기 교재’ 관련 연구
‘쓰기 교재’ 관련 연구는 김현정(2003)의 연구를 시작으로 2000년대 중
반 이후로 활발하게 수행되었으며 전체 20편 중 2011년에 7편이 발표될
정도로 최근에 더욱 활발하게 수행되었다.
‘쓰기 교재’ 관련 연구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 교수요
목 설계와 관련하여 쓰기 교재 개발을 위한 연구11) 둘째, 쓰기 교재 분
석 연구 셋째, 쓰기 교재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연구 등이다. 쓰기 교재
개발을 위한 연구(김현정, 2003; 김정숙, 2004; 손정애, 2007; 윤경숙, 2007;
이현국, 2007; 김성숙ㆍ유연숙ㆍ안윤정, 2008; 최선미, 2008; 이인주, 2010;
굴영, 2011; 남주혜, 2011; 이귀염, 2011; 조은숙, 2011) 12편, 쓰기 교재 분
석 연구(김미정, 2009; 신영선, 2009; 김애순, 2011; 박선옥, 2011; 이선영,
2011; 최향옥, 2011; 혼다 토모쿠니ㆍ김인규, 2011) 7편, 쓰기 교재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연구(지진숙, 2008) 1편으로 나타났다.
이를 대상별로 구분할 때 학문 목적 학습자들을 위한 교재 연구(윤경
숙, 2007; 이현국, 2007; 최선미, 2008; 남주혜, 2011)와 이주 노동자 자녀
혹은 다문화가정 자녀 대상 연구(지진숙, 2008; 이인주, 2010)와 여성결혼
이민자 대상 연구들(박선옥, 2011; 이귀염, 2011)이 있다.

6) ‘텍스트 분석’ 관련 연구
‘텍스트 분석’ 관련 연구12)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교수를 위한 일

11) 이는 앞에서 분류한 ‘교육과정 개발’ 관련 연구들과 구별되는데 쓰기 교육


과정 혹은 프로그램 개발의 경우와 달리 ‘쓰기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
구로 수행된 연구들이다.
12) ‘텍스트 분석’ 관련 연구들을 분류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화자(무역업무) 이메일 분석
모어 화자 텍스트
학위논문 (서론 장르, 텍스트 표지) 분석
분석(비교 포함)
텍스트 자기소개서 텍스트의 수사학적 분석 등
분석 작문, 논설 텍스트의 주제부, 응결 장치
한국어 학습자
설명 텍스트, 서론의 완화 표지
텍스트 분석
학위논문(서론, 결론 등), 신문 등의 장르 분석
16 강 승 혜

반 텍스트 분석과 한국어 학습자들의 텍스트를 분석한 연구로 나눌 수


있다. 유효진(2003)의 연구를 비롯하여 2000년대 중반까지 3편의 연구가
발표되고 2000년대 후반(2006-2010)에 18편, 2011-2012년에 27편이 발표될
정도로 최근 매우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주제에 관한 연구
들은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
용한 연구들이라 평가할 수 있다.
우선, 쓰기 교수를 위한 텍스트 분석 연구에서는 텍스트 표지 분석 연
구(유효진, 2003; 박지순, 2006)와 장르 중심 텍스트 분석 연구들(양건승,
2007; 김영미 2010; 김선미, 2011)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의 텍스트를 분석한 연구들이 많이 수행되었
는데 학습자들의 작문 텍스트 분석 연구(정다운, 2007; 김미정, 2008; 김
성숙, 2008; 김영주, 2010; 김의수ㆍ채문숙, 2010; 심은지, 2011; 이은혜,
2011; 박수경, 2012 등)가 많이 수행되었다. 또한, 학문적 글쓰기에 초점
을 맞추어 학위 논문의 서론 텍스트 분석 연구(김영규ㆍ이은하, 2008; 신
영주, 2011; 안지혜, 2011) 연구방법 부분의 장르 분석(윤여옥, 2012), 결과
부분 장르 분석(이수연, 2012), 결론 부분 장르 분석(이주희, 2012) 등 학
위 논문 작성과 관련한 텍스트 분석을 통해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학문
적 글쓰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7) ‘평가’ 관련 연구
‘평가’ 관련 연구는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영역 관련 연구(서유남, 2003;
서희정, 2005; 김태은 2008; 윤인아, 2008; 전은주, 2008; 이인희, 2009; 번
휘협, 2011; 왕가영, 201113); 김민경, 2012)가 9편으로 단일 주제로는 가장
많았고 학문 목적 쓰기 관련 연구가 7편(이은하, 2007; 안미란, 2008; 이
현, 2009; 최은정, 2009; 김성숙, 2011ㄱ; 김성숙, 2011ㄴ; 김민경, 2012), 포
트폴리오 방법을 쓰기 평가에 활용한 연구(김유정, 2001; 이향무, 2003;

13) 왕가영(2011)의 연구는 한국어능력시험과 iBT TOEFL, iBT TOEIC과 HSK


의 비교를 통해서 한국어능력시험의 쓰기 문항 개발을 위한 제안을 하고
있다.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17

김지애, 2008)와 쓰기 평가 도구 개발 연구(전나영ㆍ김성숙ㆍ강혜림ㆍ이


은경, 2009; 최은정, 2009; 김성숙, 2011; 왕가영, 2011) 등이 있었다.

3.3. 연구방법14) 유형별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15)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의 연구방법 유형별 동향 분석의 경우 우선 원


문 검색을 통하여 각 연구들에서 사용한 연구방법들을 코딩하고 이들을
유형화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사용한 연구방법의 수를 중심으로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즉, 연구방법 한 가지를 사용한 경우(유형(1)), 두
가지 연구방법을 사용한 경우(유형(2)), 세 가지 연구방법을 사용한 경우
(유형(3)으로 분류하였다. 분석 대상 연구물들에서 사용된 연구방법들은
총 9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이를 요약하면 <표 3-5>와 같다. 즉, ‘문
헌연구’ 유형은 기존 연구들에 대한 입장과 주장 등을 검토하고 자신의
주장이나 방안 등을 제시하거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
안 등을 제시하는 연구 유형이다. ‘실험 연구’ 유형은 실험 집단에 실험
요인을 투입하여 변화 양상을 살펴보는 대표적인 실험연구 방법으로 통
제 집단(혹은 비교 집단) 없이 실험 집단만으로 실험을 한 유형도 포함한
다. ‘교재 분석’ 연구 유형은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 등의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거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기초 자료 제공을 위한 목적으
로 대학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교재들을 분석 대상으로 삼은 연구 유형들
을 포함한다. ‘설문조사’와 ‘인터뷰’의 경우는 일반적인 연구 방법론에서
다루는 설문지를 통한 조사방법과 인터뷰를 통한 연구 방법을 활용한 연
구 유형들이다. ‘텍스트 분석’ 연구 유형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외국인

14) 일반적으로 연구방법론에서 분류하는 연구방법으로 분류하는 데에는 한계


가 있으므로 연구를 수행하는 데에 도입한 연구 대상의 분석 방법이나 접
근방법의 차원에서 분류하기로 한다.
15) 본 연구에서 분석한 총 333편 중 원문 검색에 실패한 22편의 논문을 제외
한 311편에 대한 연구대상과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연구방법의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18 강 승 혜

유학생의 텍스트 유형별, 장르별 분석을 시도한 연구 유형이다. ‘학습자


작문 분석’ 연구 유형은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다양
한 쓰기 생산물에 나타난 오류 분석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 유형이다.
‘사례연구’ 연구 유형은 학습자 개인이나 집단 등을 연구 대상으로 참여
관찰, 인터뷰, 설문 등 다양한 하위 연구 방법 등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
행한 유형이다. 이 같은 연구 유형을 바탕으로 채택한 연구 방법 수를
중심으로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표 6> 연구 방법의 유형별 분류 기준

코드번호 연구 방법 상세 내용

-기존의 연구들에 대한 입장, 주장 등을 검토하고 방안


을 제시
1 문헌연구16) -기존의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동향 분석 혹은 현황과
과제 제시
-기존의 이론 검토를 통한 교육 방안 제시
-실험집단 사전 사후 설계를 통한 실험
2 실험연구
-실험·통제 집단 사후 설계를 통한 실험
-대학기관 한국어 교재 분석
3 교재분석
-대학 교양 교재 분석
4 설문조사 -설문지 도구 개발을 통한 설문 조사
5 인터뷰 -질문지를 사용한 인터뷰(개방형/반개방형 등)
-문어 텍스트, 장르별 텍스트 분석
텍스트
6 -학술 논문, 신문, 읽기 텍스트 분석
분석17)
-보고서 등 다양한 텍스트 분석
학습자 -학습자 작문(시험, 일기, 독후감 등) 분석을 통한 오류 분석
7
작문분석 -학습자의 생산물에 해당하는 결과물 분석(수필 요약문)
-한 가지 사례(개인이나 학급 등)를 연구하기 위해 다
8 사례연구 양한 하위 방법들을 사용(참여관찰, 인터뷰, 설문, 학습
자 결과물 평가자료 등)
-네 가지 이상의 방법을 활용했거나 그 밖의 방법들을
사용한 경우
9 기타
-평가 관련 연구들에서 활용한 문항 분석
-평가자 채점 결과 분석 등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19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물들을 연구 방법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분석


대상 연구물 총 311편의 연구물 중 전체의 213편(68.5%)은 한 가지 연구
방법을 사용한 연구들이었고 세 가지 연구 방법을 사용한 연구도 12편
(3.8%)로 나타났다. 연구 방법 유형별 분석 결과는 <표 6>과 같다.
방법론의 유형별로 살펴볼 때 첫째, 실험연구 방법이 유형(1), 유형(2),
유형(3) 등에서 활용된 연구가 89편(28.6%)으로 기본적으로 실험연구를
바탕으로 다른 방법들과 함께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이상의
연구 방법을 활용한 경우는 12편(3.8%)으로 기본적으로 실험연구를 사용
하되 그 외의 연구 방법들을 보완적으로 활용한 연구들이다.
둘째, 조사 방법의 하나인 설문지를 활용한 연구는 전체의 38편(12.2%)
으로 비교적 많이 활용되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조사 연구가
활용되는 주제와 달리 학습자들의 작문 자료 수집 이외의 정보를 수집하
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되었다.
셋째, 인터뷰를 활용한 연구는 13편(8.5%)으로 인터뷰 단독으로 사용된
연구는 없으며 두 가지 이상의 방법을 활용하는 경우 보완적인 정보 수
집의 방법으로 활용되었다.
넷째, 예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쓰기 교육 연구 분야의 특성상 학습
자 작문 분석의 경우가 총 72편(23.1%)으로 단일 연구 방법 혹은 접근방

16) 모든 연구의 기본적인 출발은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및 기존의 논의에 대


한 검토로부터 시작하므로 문헌연구의 성격이 모든 연구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분류한 방법론으로서의 문헌연구는 기존의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기초로 연구자의 주장, 제안 등을 정리한 연구
물의 경우 문헌연구로 분류하였다. 또한 연구동향 분석 등의 연구도 이에
속한다. 두 가지 이상의 연구 방법을 활용한 모든 연구의 경우 기본적으로
문헌 검토를 하고 있으므로 유형(2), 유형(3) 등에서 문헌연구 등은 포함시
키지 않았다.
17) ‘텍스트 분석’의 경우는 주제별 연구 동향 분석에서 ‘주제’로서도 활용되었
으나 분석 대상 유형을 감안할 때 접근방법으로 분류도 가능하다고 판단
되어 ‘교재 분석’, ‘학습자 작문 분석’과 함께 연구 방법의 유형으로 분류
하였다.
20 강 승 혜

법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표 7> 한국어 쓰기 교수 학습 연구 연구 방법별 동향


유형 연구 방법 코드 편수 총편수
문헌연구 1 32
실험연구 2 27
교재분석 3 29
설문조사 4 14
유형 213
인터뷰 5 1
1 (68.5)
텍스트분석 6 24
학습자작문 분석 7 72
사례연구 8 4
기타 9 10
교재분석 23 1
설문조사 24 28
실험연구 인터뷰 25 5
텍스트분석 26 1
학습자작문 분석 27 15
설문조사 34 7
유형
교재분석 학습자작문분석 37 5 86
2
기타 39 1 (27.7)
인터뷰 45 6
텍스트분석 46 1
설문조사
학습자작문분석 47 7
기타 49 1
인터뷰 학습자작문분석 57 7
텍스트분석 학습자작문분석 67 1
인터뷰 245 6
텍스트분석 246 1
설문조사
유형 학습자작문 12
실험연구 247 2
3 분석 (3.8)
학습자작문
인터뷰 257 3
분석
311

(100.0)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21

4. 결론

지금까지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물들을 연도별, 주제별, 연구 방법별


로 한국어 교육 분야 쓰기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
다.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론 등 두 가지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초로 향후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의 연도별 동향에서 크게 눈에 띄는 현상
중의 하나는 2000년대 전반과 후반까지의 수행된 연구에 비해 2011-2012
년 최근 2년간 양적으로 눈에 띄는 증가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점이다.
이는 한국어 교육에서 ‘쓰기 교육’관련 연구들이 학습자들에게 유용한 기
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 분야라는 점에서 이러한 양적 증가 현상
은 매우 긍정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전체 연구 주제 중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쓰기 교수-학습’ 관련 연구들이 2000년대 전반에
18편, 후반에 82편이 발표되었으며 최근 2년(2011-2012) 동안 51편의 연구
가 발표됨으로써 가장 크게 증가한 주제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의 주제별 동향 특징으로 1990년대 13편의 연구
중 쓰기 교육 일반(4편), 오류 분석(4편), 교수 학습(5편) 관련 연구들이
수행된 반면 2000년대 오류 분석 연구가 2000년대 전반에 9편, 후반에 16
편, 최근 2년(2011-2012) 17편으로 증가함을 보였다. 또한, 텍스트 분석 연
구는 2000년대 전반에 23편, 후반에 19편으로 최근 2년(2011-2012) 동안
27편이 발표됨으로써 그 증가 추세가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리고 ‘교육과정 개발’, ‘교재’, ‘평가’ 영역의 연구들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쓰기 교육 일반’에 대한 논의도 이론적 소개와 한국
어 쓰기 교육에 대한 현장의 변화 등을 지적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었다.
그러나 2004년 이후 한국어 쓰기 교육 관련 박사 학위 논문이 7편이나
발표될 만큼 전문적이고 깊이 있는 주제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연구
주제와 관련해서는 그동안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상대적으로 다루어지지
22 강 승 혜

않았으나 한국어 교육 현장과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분야에서 향후 구


성주의 혹은 사회적 구성주의 등에서 언급되고 있는 협력(cooperative)
학습, 모둠학습 방식 활용의 협동(collaborative) 학습과 같은 학습자 중심
의 쓰기 활동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
구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험적 접근이나 실제적인 결과 도출에 대한 관심
이 요구된다.
둘째, 2000년대 후반에 들어 눈에 띄는 연구 대상의 변화로서 ‘학문 목
적’, ‘다문화 가정’ 관련 연구들이 증가하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대
학이나 대학원 입학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학문 목적 학
습자들의 증가와 함께 이들에게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쓰기 교육 관련 연구 결과물들은 매우 의미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학
문 목적 학습자들 중에서도 중국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거나 이들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많은 연구들이 앞으로도 계속 수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를 방법론적 측면에서 볼 때 두 가지 이
상의 방법을 사용한 연구가 98편(31.5%)으로 한 가지 연구 방법으로 연
구를 수행한 연구물 213편(68.5%)에 비해 절반에 못 미치고 있었으나 연
구 방법론적 측면에서 다각적인 결과 도출을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한 측
면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만, 교육과정 개발, 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경우는 방법론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다양한 수업 모형 개발이나 프로그램 개발 관련 연구들은 모
형 개발 후 검증 과정을 거친 최종 수정 모형을 제시하지 않고 검증되지
않은 모형을 방안으로 제시하는 등의 방법론적인 제한점 등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쓰기 교육 연구에서 비교적 많이 활용된 실험연
구 등도 더욱 더 활용되어 실제적인 연구결과들을 도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23

참고문헌18)

강명순(2005), 󰡔한국어교육론 3󰡕, 서울: 한국문화사.


강수진ㆍ배도용ㆍ최서원(2010), 장르별 글쓰기 수업의 Dicto-Comp적용 연구 -
외국어로서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교육 제21권 2호,
1-28 쪽,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강승혜(2003),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어 교육 제14권 1호, 1-27쪽,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강정화(2007), 일기쓰기가 초급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일
본어권 학습자 중심으로, 충남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현경(2008), 동료 피드백이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외
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곽수진(2011), 형태 집중을 활용한 한국어 문장 구조 교육 연구, 경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굴영(2011),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쓰기 교재 개발 방안, 건양대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권유진(2012), 모둠별 피드백 제공 훈련이 한국어 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
향,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가람(2011), 한국어 요청 전자우편 쓰기 교수│학습 연구: 고급 학습자의 요청
화행을 중심으로,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애(2010), 중국대학에서의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설계방안 연구,
한국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천(2008), 중국어화자의 한국어 쓰기 오류실태: 모국어 간섭현상을 중심으
로, 중국문화연구 13집, 53-66쪽, 중국문화연구학회.
김경현(2011), 대화주의에 입각한 다문화 아동 쓰기 지도 방안 연구: 매체언어를
활용하여, 한국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동민(2010), 상향식 쓰기와 하향식 쓰기의 교육효과 비교 연구: 한국어 중급(4
급)학습자를 대상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목아(2011),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중간언어 양상 연구, 계명
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정(2008),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 작문 텍스트의 주제부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정(2009), 한국어 초급 교재에 나타난 쓰기 활동 유형과 개선 방안 연구, 한
양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참고문헌은 본문에 언급된 자료만을 제시하기로 한다.


24 강 승 혜

김미지(2009), 비즈니스 한국어 이메일 작성을 위한 요구 분석 연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민경(2012), 학문 목적 한국어능력시험을 위한 평가 유형 연구: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국어교과교육연구 20권, 103-139쪽, 국어교과교육학회.
김민성(2001), 과정 중심적 웹기반 한국어 쓰기 교육 hanclass'의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선미(2011), 한국어 모어화자와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논설 텍스트 분석, 이
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선영(2008), 대학 수학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설명적 텍스트 쓰기 교수
학습 방안,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성숙(2008), 외국인의 한국어 작문 과정에 대한 연구: 프로토콜 분석 내용을
중심으로, 작문연구 제7집, 209-233쪽, 한국작문학회.
김성숙(2011ㄱ),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능력에 대한 분석적 평가의 일반화가능
도 검증, 한국어교육 제22권 3호, 29-48쪽,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성숙(2011ㄴ), 학문 목적 기초 한국어 쓰기 능력 평가 척도 개발과 타당성 검
증, 연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성숙ㆍ유연숙ㆍ안윤정(2008), 실제적 텍스트 중심의 쓰기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 - 중급 1 쓰기 선택반 교재의 개발과 운용에 관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3집, 299-328쪽,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김세영(2009), 교사 피드백 후 학습자의 다시쓰기가 한국어 쓰기 능력의 정확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수경(2008), 대화일지 쓰기가 귀국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에 미치는 영향: 전자
우편을 이용한 대화일지 쓰기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수은(2009), 딕토글로스 수업이 한국어의 이해와 산출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
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애순(2011), 한국어 초급 교재의 쓰기 활동 연구: 영어 교재와의 비교를 중심
으로, 전남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규(2005), 연구 유형 분류를 통한 한국어교육학 연구의 경향 분석, 한국어교
육 제16권 3호, 71-89쪽,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영규ㆍ이은하(2008),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연구 논문 서론의 장르
분석 연구, 이중언어학 제36호, 43-67쪽. 이중언어학회.
김영만(1994), 오류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한국어 작문 지도 방안 연구, 한국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만(2003ㄱ), 홈페이지 기행문 중심의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국어교육연
구> 12권, 131-153쪽,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25

김영만(2003ㄴ), 하이퍼텍스트 작문의 특성과 한국어 작문 교육 방향, 한국어교


육 제14권 3호, 53-78쪽,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영미(2010),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장르 기반 접근법으로, 한국어교육
제21권 1호, 87-123쪽,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영미(2010),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교육을 위한 장르 분류와 분석의 틀 -장르기
반 접근법 적용을 위하여-, 텍스트언어학 29집, 113-141쪽, 한국텍스트언
어학회.
김영주(2010),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분석을 통한 보조용언 사용 양상 연구, 새
국어교육 84권, 275-296쪽, 한국국어교육학회.
김용현(2007), 여성 결혼이민자 자녀를 위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배재대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용현(2012), 지역 문화 체험을 통한 기행문 쓰기 교육 방안: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언어와 문화 제8권 2호, 47-76쪽, 한국언어문화교육
학회.
김유정(2001), 한국어 쓰기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연구 - 중급 학습자를 대상
으로, 한국어학 13, 85-120쪽, 한국어학회.
김은주(2001),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위상 정립과 학문으로의 미래 조방, 외국어
로서의 한국어교육 25/26, 33-77쪽,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
학당.
김의수ㆍ채문숙(2010), SVO 언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작문에 나타난 문장의
통사적 복잡성과 다양성 연구, 한국언어문학 제75집, 85-112쪽, 한국언어
문학회.
김정숙(1999), 담화 능력 배양을 위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한
국어교육 제10권 2호, 195-213쪽,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정숙(2004), 한국어 읽기, 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교수요목의 유형과 과제 구
성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제15권 3호, 1-22쪽,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정숙(2007), 읽기, 쓰기 활동을 통합한 학술 보고서 쓰기 지도 방안, 이중언어
학 제33호, 35-54쪽, 이중언어학회.
김정숙(2009), 내용 지식 구성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한국어
교육 제20권 1호, 23-44쪽,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정애(2000), 과정 중심의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피드백을 이용한 다시 쓰기
전략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준희(2005), 인터넷을 활용한 재미 동포 한국어쓰기 교육 연구, 경희대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중섭ㆍ이정희(2008),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주격조사 오류
26 강 승 혜

연구, 이중언어학 제36호, 69-91쪽, 이중언어학회.


김지애(2008), 한국어 쓰기 포트폴리오 평가 방안 연구: 고급 단계의 논설문 쓰
기를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지영(2007), 보고서 쓰기와 발표하기를 통합한 한국어 고급 단계의 프로젝트
수업 연구 - 학문 목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교육 제18권 2호,
49-79쪽,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지영(2009),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읽기 활동이 학습자 텍스트의 결속성에 미
치는 영향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지학(2010), 고급 단계 학습자의 학술적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방
안: 설명적 텍스트 구조를 중심으로, 상명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지혜(2009), ‘바꿔 쓰기(Paraphrase)’를 통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 방안 연구, 경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태은(2008),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영역의 문항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경희
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하림(2009), 딕토글로스 (dictogloss)와 학습자 출력 과정에 대한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정(2003), 한국어 중급 학습자용 작문 교재 개발 방안,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혜경(2012),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한국어 읽기-쓰기 활동이 학습자의 요약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설명적 텍스트 구조를 중심으로, 선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혜진(2008), 문법지식을 활용한 일기쓰기가 한국어 쓰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부산외국어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희진(2012),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쓰기 전략 교수 방안 연구, 계명대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나원주(2008), 자기 점검식 피드백이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남수정(2010),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자료에 나타난 중간언어 연구: 격조
사를 중심으로, 계명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남주혜(2011), 학문 목적 한국어 논설문 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가톨릭대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노혜남(2008), 내용 피드백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 방안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류은주(2011), 받아쓰기 작문(Dictogloss) 활동이 한국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
향, 공주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27

마정(2012),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작문에 나타나는 문법 오류 분석 연구,


인하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목계연(2008), 대학 수학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 설명적 텍스트의 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교영(2012),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글쓰기 교육 방안: 독후감과 일기
텍스트 구조 분석을 바탕으로, 석사학위논문.
민유경(2011), 수필을 활용한 대화일지 쓰기가 한국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광근(2012), 읽기 후 쓰기 활동 교육 방안 연구: 현대소설을 중심으로, 부경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기영(2008),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 목적 글쓰기에 대한 일고찰-단락 쓰기를 중
심으로-, 언어와 문화 제4권 3호, 103-126쪽,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박꽃새미(2008),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전 사용이 쓰기에 미치는 효과: 이중어
사전과 단일어사전 사용 비교 연구,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새암(2008),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향 연구, 한성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서영(2011),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전략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박선옥(2011),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쓰기 활동 분석과 구성 방
안 제언, 언어학연구 제19호, 71-96쪽, 한국중원언어학회.
박수경(2012),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작문에서의 단락 조직화 양상 연구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의 작문 비교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제48호,
85-107쪽, 이중언어학회.
박수영(2010),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 방안 연구: 요약하기
를 중심으로, 상명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연희(2009), 한국어 쓰기에서 교사의 피드백 유형이 문법 오류 수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접 피드백과 간접 피드백을 중심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종호(2012),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와 어미 오류 양상 -중국인 유학생의 작문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90권, 315-337쪽, 한국국어교육학회.
박주현(2007ㄱ), 교사 피드백 방법이 한국어 학습자 작문의 형태 오류 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교육 제18권 1호, 131-154쪽,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박주현(2007ㄴ), 교사 피드백 방법이 학습자 작문의 형태 오류 감소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지순(2006), 학술 논문 텍스트의 표지 분석: 국어학 학술 논문을 중심으로, 연
28 강 승 혜

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지애(2010),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쓰기 교육 방안, 부산외국어대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박지희(2012), 귀국학생을 위한 문식성 신장 프로그램의 개발: 균형적 언어 접근
법을 활용하여, 서울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배윤경ㆍ우진아ㆍ정지은ㆍ강승혜(2011),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교육 제22권 4호,
163-191쪽,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백봉자(1987), 교포 2세의 한국어와 쓰기 교육, 이중언어학 제3호, 63-83쪽, 이중
언어학회.
번휘협(2011),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능력시험 고급 쓰기 문제 유형 분
석, 상명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수현(2012), 오류일지와 다시 쓰기가 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초
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사와다히로유키(2004),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 작문에 나타난 접속 부사의 사
용과 오류 양상, 국어교육연구 14권, 147-182쪽,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
구소.
서유남(2003),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평가 개선방안 연구: 4회, 5회, 6회 문제 분
석을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희정(2005),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영역 문항 개발에 관한 연구: 주관식 문항
유형을 중심으로, 高凰論集 37, 13-32쪽, 慶熙大學校 大學院 院友會.
손연자(1996), 한국어 글쓰기 교육의 실태와 방안, 새국어생활 6권 2호, 101-119
쪽, 국립국어연구원.
손정애(2007), 한국어 쓰기 교재 구성 방안 연구, 부경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아다(2010), 교사 피드백이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문법
항목을 중심으로, 영남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영선(2009), 한국어 교재의 ‘쓰기’ 내용 분석, 대진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영주(2011), 한국어 학위 논문 서론의 완화 표지 사용 양상: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윤경(2008), 한국어 문학 수업을 위한 읽기·쓰기 통합 방안, 작문연구 제 7집,
107-129쪽, 한국작문학회.
신주연(2012),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 오류 분석 연구: 고급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필여(2008),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설명적 쓰기 교육 내용 연구, 서
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29

신현미(2003), 대화일지 쓰기가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불안감 감소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혜순(2010), 인터넷 커뮤니티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온라인 피드백
의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심상민(2007), 언어교육의 양적, 질적 연구방법에 대한 단상, 외국인을 위한 한
국어교육연구 제10집,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지도자과정.
심상민(2008), 연구방법에 따른 한국어 쓰기 연구의 경향 분석, 작문연구 제 17
집, 131-149쪽, 한국작문학회.
심은지(2011ㄱ), 한국어 학습자 작문에 나타난 시제상 습득 연구: 담화구조가설
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심은지(2011ㄴ), 한국어 학습자 쓰기 담화에 나타난 텍스트 장르별 시제상 습득
양상: 담화구조가설을 중심으로, 담화와 인지 18권 3호, 169-193쪽, 담화·
인지언어학회.
아마자르갈(2011), 현대 한국어와 몽골어의 격조사 비교 및 교육 방안 연구: -몽
골인 한국어 학습자 오류 분석을 통하여, 인하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가희(2012), 딕토글로스(dictogloss)가 한국어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미란(2008), 능력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쓰기 평가 문
항 유형 개발, 외국어교육 15권 1집, 521-544쪽, 한국외국어교육학회.
안지혜(2011), 학문적 텍스트 서론의 장르분석 연구: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자료를 기반으로, 연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건승(2007), 자기소개서 텍스트의 수사학적 분석과 한국어교육 적용 연구, 경
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순녀(2012),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상명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안나(2010),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쓰기 과제 구성 방안: 초·중급 단계를 중
심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재승(2012), 딕토글로스를 활용한 문법 교육 효과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오경숙(2011), 한국어 이메일 쓰기 수업에서의 언어 문화 교육, 우리말연구 제29
집, 293-316쪽, 우리말학회.
오경화(2011),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쓰기 오류 분석 연구, 호남대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오기원(2008), 쓰기 협력학습이 한국어 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강 승 혜

온다르마(2011), 몽골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작문에 나타나는 오류 분석 연구: 초


급 단계 학습자를 대상으로, 인하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왕가영(2011),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문항 개발에 관한 연구: iBT TOEFL, iBT
TOEIC과 신HSK의 비교를 통해서, 중앙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왕혜숙(1995), 영어화자의 한국어 작문에 나타난 어휘상 오류분석, 이중언어학>
제12권 1호, 383-399쪽, 이중언어학회.
우인혜(1996), 한국어 쓰기 교육에 대한 일고찰, 한국언어문화 제14집, 163-185
쪽, 한국언어문화학회.
원진숙(2005), 한국어문학,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대학생들의 학술적 글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작문 교육 방법, 어문논집 51호, 55-86쪽, 민족어문학회.
유한아(2010), 한국어 학문 목적 쓰기 교육 방안 연구: 통합적 독서 토의 전략을
활용한 논술 형식 글쓰기를 중심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효진(2003), 한국어 학습자 작문의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 연구, 연세대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경숙(2007),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재 개발 연구, 배재대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윤미영ㆍ박덕유(2011), 태국 교포 아동의 맞춤법 오류 분석과 교육 방안-푸껫 거
주 교포 아동의 맞춤법 오류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88권, 193-220쪽,
한국국어교육학회.
윤여옥(2012), 유학생의 한국어 학위논문 쓰기 교육을 위한 학위논문 연구방법
부분의 장르 분석 연구,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인아(2008),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영역 평가 연구: 문제 유형 분석과 난이도
분석을 중심으로,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귀염(2011), 중상급 수준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읽기·쓰기 교재 개발을 위한
문식성 과제 단위 요구분석,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금희(2012), 학문목적 한국어 글쓰기 교육에 필요한 교수요목과 교재 개발 방
향, 泮矯語文硏究 제33집, 191-224쪽, 반교어문학회.
이미지(2007), 외국어 쓰기 활동에서 오류일지의 효과, 부경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이미혜(2000), 과정 중심의 한국어 쓰기 교육: 작문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어교
육> 제11권 2호, 133-150쪽,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민민(2012), 中國人 學習者들을 爲한 비즈니스 韓國語 말하기·쓰기 統合 敎育
方案 硏究 : 課業 中心 敎授法(TBLT) 活用을 中心으로, 중앙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병운(2011), 베트남인 학습자의 작문 오류 경향 분석: 조사·어미를 중심으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31

우리말 글 52집, 105-130쪽, 우리말글학회.


이선영(2011), 한국어 교재에서의 쓰기 과제 분석, 인문논총 22권, 175-211쪽, 서
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이수미(2007), 재형태화 피드백이 한국어 쓰기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수미(2010), 텍스트성에 기반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법 연구: 자기 표현적 쓰
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수민(2002),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교사 피드백이 학생 수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수연(2012), 유학생의 한국어 학위논문 쓰기 교육을 위한 학위논문 결과 부분
의 장르 분석 연구,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승현(2010), 한국어 보고서 쓰기 교육 방안 연구, 부산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예승(2012), 협력학습이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
어 중급(4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원구(2005), 텍스트 구조 지도를 통한 학문적 쓰기 교육 방안 연구: 학문 목적
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윤진(2012),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수 원리 - 쓰기
에서의 정직성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제48호, 369-392쪽, 이중언어
학회.
이은경(1999),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에 나타난 오류 분석: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을 중심으로,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은영(2005),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연구(1)-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언어학 13
권 3호, 1-16쪽, 대한언어학회.
이은하(2007),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행 평가를 위한 분석적 채점
척도 개발,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은혜(2011),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장르 인식 양상 연구: 설명문과
논설문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인주(2010), 초등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장르 중심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
구, 서울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인화(2010), 신문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쓰기 교육 방안, 계명대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이인희(2009),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평가에 대한 연구, 동덕여대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이주희(2012), 유학생의 한국어 학위논문 쓰기 교육을 위한 학위논문 결론 부분
의 장르 분석 연구,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강 승 혜

이준호(2005), 대학 수학 목적의 쓰기 교육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보고서 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준호(2010), 자기주도적 쓰기 기술 및 전략 연구 -한국어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학 48, 269-297쪽, 한국어학회.
이지용(2008), 동료 평가가 한국어 작문에 미치는 영향: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
로, 語文論集 39집, 91-121쪽, 중앙어문학회.
이진영(2008),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개발 연구, 경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진옥(2011),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 충남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향무(2003), 한국어 쓰기 포트폴리오 평가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현(2009), 유학생의 대학입학을 위한 한국어 쓰기 평가 연구, 한국외대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국(2007),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쓰기 교재 개발 방안: 한국어 고급 교재
와 교양 국어 교재 분석을 통하여,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희(2011), 딕토글로스를 활용한 쓰기 수업이 형태 오류 감소에 미치는 효과
연구: 홍콩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호순(2010), 중국인 학습자의 작문 오류 분석을 통한 한국어 쓰기 지도 방안,
한남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자이웨이치(2005),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작문에 나타나는 오류 분석 연구:
초급 단계 학습자를 대상으로, 강남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경희(2012),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자료에 나타난 모국어 전이 오류
분석: 직접 쓰기와 번역 쓰기를 비교하여, 연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은경(2009), 한국어 학문 목적 쓰기 교육 방안 연구: 참고 텍스트의 내용 통합
과 재구성을 중심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향실(2006), 중국 대학의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 연구-교수요목
설계를 위한 교육 내용 선정에 대하여-, 이중언어학 제32호, 325-347쪽,
이중언어학회.
장향실(2010), 외국인 대학생의 문단쓰기 실태 및 문단쓰기 능력 신장 방안, 우
리어문연구 38집, 361-381쪽, 우리어문학회.
전나영ㆍ김성숙ㆍ강혜림ㆍ이은경(2009), 실제적 텍스트 중심의 쓰기 능력 평가
도구 개발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4집, 409-442쪽,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전은주(2008), 국가 수준 “국어/언어 능력 검사”의 비판적 검토: 한국어 능력 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33

험 평가 문항의 내용타당도 분석 -제12회 일반 한국어(S-TOPIK)의 쓰기,


듣기,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제31권, 129-165쪽, 국어교
육학회.
정기영(2010),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단어 받아쓰기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다운(2007), 중국인과 일본인의 한국어 작문 텍스트 대조 분석-텍스트 구조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제33호, 215-243쪽, 이중언어학회.
정다운(2009), ‘장르’와 ‘과정’의 통합적 쓰기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 고급 학습
자를 대상으로, 고려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다운(2011ㄱ), 내용 중심 교육과 장르 중심 교육을 통합한 한국어 쓰기 수업
구성 방안 연구: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언어문화학 제8권
제1호, 131-158쪽,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정다운(2011ㄴ), 外國人 大學院生의 韓國語 要約文 分析을 통한 要約하기 敎育
方法 硏究, 語文硏究 제39권 2호, 421-448쪽,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정도희(2012), 마인드맵을 활용한 쓰기 활동이 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성미(2010), 한국어교육에서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글쓰기 치료적 접근, 語
文論集 45집, 193-212쪽, 중앙어문학회.
정아름(2010), 다독과 독서일지가 한국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정영예(2011), 협력학습을 통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보고서 쓰기 교육
방안: 공학계열의 제안서를 중심으로, 국어교과교육연구 19권, 313-342
쪽, 국어교과교육학회.
정예랜(2005),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부사 사용 연구: 학습자 작문의 오류분석
을 중심으로,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재주(2007),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오류에 관한 연구: 초급을 중심으
로, 선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효민(2012), 한국어 교육에서 띄어쓰기의 오류 원인과 오류 분석-중국인 학습
자를 대상으로, 새국어교육 90권, 389-407쪽, 한국국어교육학회.
조은숙(2011), 한국어 쓰기 교재 개발 방안 -중국 대학 강의용 교재를 중심으로,
언어정보와 사전편찬 27권, 117-147쪽,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조혜리(2012),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자음의 발음과 쓰기 연계 교육: 훈민정음의
제자원리를 중심으로, 동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주지현(2010), 과정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피드백 활동을 중심으로,
부산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강 승 혜

지진숙(2008), 이주노동자 자녀 대상 읽기 쓰기 교재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연


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진대연(2006),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발달에 대한 연구: 발달 특성 및 수준
기술을 중심으로,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차숙정ㆍ송향근(2006),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에서 나타나는 어휘 오류,
한국어교육 제17권 1호, 415-436쪽,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채상이(2011), 대화식 저널 쓰기와 교사의 피드백에 따른 한국어 쓰기 능력 향
상 연구, 공주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보미(2011), 자기 조정 전략이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쓰기에 미
치는 효과 연구: 과정-장르 통합 교육을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최선미(2008),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학술 보고서 쓰기 교재의 개발 연
구, 한국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수원(2010), 중급 한국어 쓰기에서 자가 점검식 주석 피드백의 효용성 연구,
배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영미(2009), 읽기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한국외대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우영(1997),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에 대한 연구: 작문에 나타난
오류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은정(2009), 대학수학능력평가를 위한 한국어 쓰기 시험 개발 방안 연구, 경희
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은지(2009), 사회적 구성주의에 기반한 학문 목적 한국어 작문 교육 연구, 고
려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정순(2011), 한국어 표현 교육 연구, 이중언어학 제47호, 383-402쪽, 이중언어
학회.
최주리(2008ㄱ), 인지 구성주의 쓰기 전략 교수가 한국어 쓰기에 미치는 영향 연
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3집, 227-260쪽,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최주리(2008ㄴ), 인지 구성주의 쓰기 전략 교수가 한국어 쓰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급 학습자의 쓰기 능력 및 전략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향옥(2011), 한국어 고급 교재의 쓰기 영역 학습 활동 분석, 고려대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최효정(2011),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웹기반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선문대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희명(2011), 수필 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읽기·쓰기 통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35

합 교육을 중심으로, 한성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튀르쾨쥐 괵셀(2004), 한국어 쓰기 교육 내용 구성 연구: 터키인 학습자를 대상
으로,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혼다 토모쿠니ㆍ김인규(2011), 한국어교육과 일본어 교육에서의 학문 목적 쓰기
교재 분석, 人文硏究 61권, 31-72쪽,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홍승희(2011),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상명대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홍정현(2005),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요구 분석,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혜준(2008), 學問 目的 韓國語 쓰기 敎育 硏究 : 韓國語 論證的 글쓰기를 中心
으로,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황인교(1997),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연구-읽기, 쓰기 지도법을 중심으로 -,
이화어문논집 제15집, 145-164쪽, 이화어문학회.
ANJALI SINGH(2012),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어휘 오류 분석
연구,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NguyenㆍThi Huong Sen(2006),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베트남인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Shin, Seong-Chul(2002), 호주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 분석 연구, 한국어교
육 제13권 1호, 307-338쪽, 국제한국어교육학회.
ThammachaiㆍSitthinee(2001), 한국어 쓰기 지도에 관한 연구: 태국인 학습자의
오류를 중심으로,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승혜(Kang Seung Hae)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서대문구 연세로 50
120-749
전화: 82-2-2123-6270(연구실)
E-mail: shkang52@yonsei.ac.kr

논문 투고 일자: 2014. 10. 7


심사 완료 일자: 2014. 11. 10
게재 확정 일자: 2014. 11. 1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