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안녕하세요, 저는 바우바우 세종학당 학생 니 뇨만 입니다.

제가 오늘 연설을 위해 선
택한 주제는 "제가 보는 한국, 한국인이 보는 한국" 입니다.

외국인인 제 눈에 보이는 한국은 흥미로운 것들이 많은 나라입니다. 그 중 하나는 다


른 나라에는 없는 "빨리빨리" 문화가 있습니다. 이는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모든 일들
을 "빨리빨리" 처리하라는 의미입니다. 외국인인 저로서는 따라하기가 어렵다고 생각
합니다. "빨리빨리" 문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습관화가 뛰어야하는데, 이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우리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어렸을 때부터 느긋하게 모든 일을 하는데
익숙해 있습니다. 이런 점이 한국문화와의 차이점입니다.

한국 문화 자체가 조금씩 제 일상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패스트푸드점에


서 식사를 한 후 음식을 정리하는 한국인들의 행동입니다. 저는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책상을 치우는 것을 보았고, 그래서 그곳의 직원들이 고객들의 쓰레기에 시달릴 필요
가 없었습니다.

두번째는, 공공시설을 이용하는 한국 사람들의 질서와 규율도 저를 놀라게 했습니다.


지하철을 타거나 내릴 때, 한국 사람들은 질서정연하게 줄을 서서 차례를 기다리고,
먼저 나가는들을 배려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또 한 에 스 컬 레 이 터 를 이 용 할 때 도 왼쪽에는 걸어울라 가는 사람줄, 오른쪽에는


서있는 사람 줄로 질서있게 이용하고 있었습니다. 이런 것들은 제가 인도네시아 사
람들에게서 거의 볼 수 없기 때문에, 우리 나라에서도 이런 행동을 본보기로 삼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본 한국은 한마디로 예의를 지키고 사람들을 잘 대우할 줄 아는 나라입니다. 드


라마, 노래 등 매체를 통해 알수있는 한국에 대한 다양한 것들로부터 한국인들이 어떻
게 예의를 지키는지 잘 알 수 있는데, 이것은 인도네시아인인 제가 한국에 대한 좋은
인상을 심어주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한국 사람들이 오빠, 언니, 이런 식으로 부르는 것을 많이 듣습니다. 처


음에는 그냥 한국 드라마에서 본 것처럼 애정 어린 또는 친숙한 표현으로 봤습니다. 하
지만 한국어를 배울수록, 상대방이 누구인지에 따라 용어의 쓰임이 다르고 상대방을
존중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저에게는 매우 본 받고 싶은 것이었습니다.
한국에 대해 얻은 모든 자료 중에서, 저는 한국인들이 제가 한국을 보는 방식에 동의
한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제가 잘 알지 못하는 다양한 사회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한국인들은 한국 문화가 얼마나 예의 바르고 규율적인지를 분명히 보여주고 있기 때
문입니다.

제 연설은 분명히 한국 자체에 대한 저 의 지식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모자란 점이


있지만, 오늘 제가 말할 수 있는 것이 한국에 대한 우리의 지식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기존의 한국식 예절의 규율과 문화를 본받아서
어떻게 타인을 올바르게 대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으로 삼았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