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안녕하세요, 저는 바우바우

세정학당에 학생 니 뇨만 스리
와휴니라고합니다. 제가 오늘
연설을 위해 선택한 주제를 "제가
보이는 한국, 한국인의 보이는
한국" 입니다.

외국인으로서 제 눈에 한국은
흥미로운 것들이 많은
나라입니다. 그 하나의 다른
나라와는 다른 독특한
문화입니다. 한국에서 "빨리빨리"
라고 문화가 있습니다. 이것는
한국인들이 모든 것을 빨리 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저는
즉각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하기
의해서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습관화도 필요합니다.
인도네시아인으로서 우리는
어렸을때부터 많은 것을
느긋하게 하는데 익속했다고
한국 문화와는 매우 다릅니다.

한국 문화 자체가 조금씩 제
일상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패스트푸드점에서 식사를
한 후 음식을 정리하는
행동입니다. 저는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책상을 치우는 것을
보았고, 그래서 그곳의 직원들이
고객들의 쓰레기에 시달릴 필
요가 없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한국인들이 그들의 일을 더 쉽게
함으로써 직원들을 존중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공공시설을 이용할 때 한국
사회의 질서와 규율도 나를
놀라게 했습니다. 마치 지하철를
타기 위해 줄을 섰을 때처럼,
그들은 질서정연하게 줄을 서서
나갈 사람을 우선시했습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때도 걷는 사람과 서고 싶은
사람만을 위한 전용 통로가
있습니다. 이런 것들은 제가
인도네시아 사람들에게서 거의
볼 수 없기 때문에, 저는 이런
행동을 본보기로 삼는다면 매우
좋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본 한국은 말 한마디로
예의를 지키고 사람을 잘 대우할
줄 아는 나라입니다. 드라마, 노래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알수있는
한국에 대한 다양한 것들로부터
한국인들이 어떻게 예의를
지키는거 알 있는데, 이것은
인도네시아인으로서 저에게
한국에 대한 좋은 인상입니다.
제가 볼 수 있는 드라마와 연예
매체 외에도, 한국인의 예의는
한국어 그 자체로도 알 수
있습니다.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
이곳에 온 세종학당 학생으로서,
저는 한국어 자체가 상황에 따라
또는 누구에게 사용될지에 따라
다양한 단어의 품위를 어떻게
유지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한국 사람들이
오빠, 언니, 이런 식으로 부르는
것을 많이 듣습니다. 처음에는
그냥 한국 드라마에서 본 것처럼
애틋한 표현으로 봤어요. 하지만
한국어를 배울수록, 저는 모든
전화들이 그들의 상대방이
누구인지에 대한 한국인들의
예의의 형태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저에게
매우 모방할 만한 것이었습니다.

인도네시아인으로서 저는 솔직히
한국인의 보는 한국을 어떻게
설명할 수 없지만, 한 나라의
일부이기도 한 개인으로서 저는
한국인들의 자국에 대한 관점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한국에 대해 얻은 모든 자료
중에서, 저는 한국인들이 제가
한국을 보는 방식에 동의한다고
믿으려고 노력합니다. 왜냐하면
제가 잘 알지 못하는 다양한
사회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한국인들은 한국 문화가 얼마나
예의 바르고 규율적인지를
분명히 보여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제 연설은 분명히 한국 자체에


대한 나의 지식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저는 오늘 제가 말할 수
있는 것이 한국 자체에 대한
우리의 지식을 조금 더해줄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기존의 한국식
예절의 규율과 문화를 모방해서
어떻게 타인을 올바르게 대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으로
삼았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