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6-5 도로와 다른 시설의 연결

6-5-1 단순접속도로의 설치

부도로를 간선도로에 접속하는 경우 주요 평면교차로에 인접하여 계획하게 되면 간선


도로의 주교통과 부도로의 진·출입 교통의 상충 때문에 교통 흐름과 교통안전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게 된다. 다른 진·출입로가 없어 부득이하게 부도로를 설치할 경우에도 주도
로에 미치는 영향을 반드시 검토해야 한다.
국외 기준(미국 AASHTO)에서도 “접근로는 평면교차로의 기능적인 경계(functional
boundary) 내에 위치되어서는 안 된다”라고 특별히 언급하고 있다. 반면에 평면교차로
의 기능적인 영역의 크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제시된 값은 없고, 기본 원리는 물리적인
영역보다 커야 할 것이라고 암시하고 있다. 따라서 부도로의 최소 설치 간격은 평면교차
로의 영향권 내에 접근로를 설치하면 용량 감소로 인한 교통 흐름과 안전에 많은 문제를
낳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자동차의 가·감속 거리, 설계속도 및 운행속도, 대기차로의 길
이 등을 고려하여 평면교차로의 기능적인 영향권(기능적 거리)을 검토한 후 접근로의 최
소 간격을 산출한다.


1. 평면교차로의 영향권역
6
평면교차로 부근에서 회전하려는 자동차의 운행에 대하여 살펴보면, 회전하려는 자동 장
차는 직진 차로에서 회전 차로로 차로 변경을 하게 되며 대기하고 있는 자동차의 뒤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러한 거리를 운행거리(maneuver area)라 하며, 회전하기 위하여 자동
차가 기다리고 있는 거리를 대기차로(queue storage area)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길이를
합친 거리가 평면교차로에서 기능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며, 이러한 거리로 구성된
지역을 평면교차로의 영향권역(intersection area)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 6-23 평면교차로의 범위(평면교차로 내)

6-5 도로와 다른 시설의 연결 391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2. 기능적 거리의 산정
평면교차로의 기능적인 영향권역을 산정하는 세부 항목을 살펴보면 운전자가 인지 반
응시간에 주행한 거리(d1 : 운전자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으나, t=1.0~2.5초 적용),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감속하는데 필요한 거리(d2 : 횡방향 감속도 a=1.1~1.4m/sec2
적용), 차로 변경 후 감속하는데 필요한 거리(d3 : 감속도 a=1.8~2.7m/sec2 적용)와 대
기차로 길이(d4)로 구성된다.

그림 6-24 평면교차로의 기능적 영향권을 구성하는 요소

이에 따라 판단거리(d1)와 운행거리(d2+d3)를 각각 계산하여 대기차로(d4)의 거리를 합


치면 기능적 거리가 된다. 여기서 대기차로의 길이는 교통량에 따라 달라지며, 운행거리
와 판단거리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표 6-13 판단 및 운행거리
(단위 : m)
속도(km/h) 운행거리 판단 및 운행거리 비 고
50 70(50) 100(65) ( )는 최소치 적용 시의 값임
55 90(65) 130(80)
65 115(85) 160(100)
70 140(105) 190(125)
80 170(125) 230(145)

교통량이 많은 평면교차로에서 기능적 거리는 첨두시 교통 조건에 지배를 받는다. 첨


두시에는 조작 거리와 대기 공간을 합한 거리가 비첨두시의 값보다 길기 때문이다. 결론
적으로 기능적인 경계는 위의 값이나 그와 비슷하게 계산한 방식들에서 주어진 거리보다
길게 된다.

392 제6장 평면교차


3. 최소 설치 간격
전 항에서 언급한 평면교차로의 영향권역은 지방지역 통과 교통 위주의 도로 및 도시
지역 간선도로에서 주로 사용되어야 하는 값으로 도시지역 소로를 설치할 때 이러한 값을
적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도시지역의 최소 설치 거리는 도로 모퉁
이의 최소 거리의 개념으로 사용되며, 이는 도로 모퉁이에서부터 가장 가까운 접근로 출
입지점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이러한 도로 모퉁이의 최소 거리는 평면교차로 부근의 접근
로가 막혀 주도로가 연쇄적으로 막히지 않을 정도의 최소 거리와 비슷한 개념이다. 접근
로 인접 차로의 교통량, 인접 평면교차로의 서비스 교통류율, 신호 시간, 도로의 기능 등
에 따라 그 거리는 달라진다.

그림 6-25 평면교차로에 인접한 연결로의 최소 설치 간격 제


6
일반적으로 평면교차로의 앞 측에 부도로를 접속하는 경우의 최소 설치 간격(upstream 장

corner clearance)은 우회전차로의 길이보다 길어야 하며, 평면교차로를 통과 후 부도


로를 접속하는 경우의 최소 간격(downstream clearance)은 그 형태에 따라 다소 차이
가 있으며 이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위의 그림 6-25의 값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교통량이 적은 도시지역 소로의 경우는 이상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기 곤란하
더라도 간선도로에서 소로에 진입한 자동차가 다른 소로의 접속도로에서 출입하는 자동
차를 발견하고 정지하여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은 확보되어야만 한다.

그림 6-26 소로에서의 접속설치

6-5 도로와 다른 시설의 연결 393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6-5-2 도로와 다른 시설의 연결

도로에 마을, 주유소, 휴게소 등으로 통하는 다른 도로, 통로, 그 밖의 시설 등을 연결


시켜야 할 필요가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에 일정한 기준 이하의 평면곡선 구간, 종단경사
구간에서 무분별한 연결로 인하여 교통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통제
하여 도로 구조의 보존과 도로의 원활한 흐름 및 교통안전을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
지게 되어 국도 등의 도로에는 별도의 규칙(국토교통부령)을 정하고 있다. 도로와 다른 시
설의 연결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도로와 다른 시설의 연결에 관한 규칙(국토교퉁부)」을
참조한다.

394 제6장 평면교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