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2

2018년도 국가공인 신용관리사 자격시험 (2018년 8월 12일 시행)

[제1과목] 채권일반 (25문제)

1. 다음 중 재판상으로 권리를 행사하여 그 판결에 의해 효과를 발생시키는 권리만 고른 것


은?

㉠ 유치권 ㉡ 계약의 해지권 ㉢ 법률행위의 동의권


㉣ 지상물매수청구권 ㉤ 채권자취소권 ㉥ 재판상이혼청구권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정답 : ①
민법상 권리의 종류는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중 작용(효력)에 따라 분류하면
지배권, 청구권, 형성권, 항변권으로 나눌 수 있다. 그중 형성권은 권리자의 일방적 의사표시
만으로 권리의 발생·변경·소멸을 가져오는 권리로서, 그 행사방법은 재판상, 재판외를 불문하
나 재판상으로만 권리를 행사하여 그 판결에 의해 효과를 발생하는 것이 있다. 채권자취소권
(민법 제406조), 혼인취소권(민법 제816조), 재판상 이혼청구권(민법 제840조), 친생부인권(민
법 제846조), 입양취소권(민법 제884조), 재판상 파양권(민법 제905조) 등이 이에 속한다.

2. 다음 중 비정상적인 의사표시로서 원칙적으로 법률행위가 무효가 되는 경우를 모두 고른


것은?

㉠ 진의 아닌 의사표시로서 상대방이 알았거나 알 수 있었던 경우


㉡ 상대방과 통정한 허위의 의사표시를 한 경우
㉢ 타인의 사기나 강박에 의하여 의사표시를 한 경우
㉣ 법률행위 내용의 중요부분에 착오가 있는 경우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정답 : ③
법률행위의 ‘무효’란 법률행위가 성립한 때부터 법률상 당연히 그 효력이 없는 것으로 확정된

- 1 -
것을 말하는데, 이는 일단 유효하게 성립한 법률행위의 효력을 제한행위능력 또는 의사표시의
흠을 이유로 특정인의 의사표시에 의하여 행위시에 소급하여 무효로 하는 법률행위의 ‘취소’
와 구별된다. 민법상 ㉠ 진의 아닌 의사표시로서 상대방이 알았거나 알 수 있었던 경우[민법
제107조(진의 아닌 의사표시) 제1항 단서]와 ㉡ 상대방과 통정한 허위의 의사표시를 한 경우
[민법 제108조(통정한 허위의 의사표시) 제1항]는 무효, ㉢ 타인의 사기나 강박에 의하여 의사
표시를 한 경우[민법 제110조(사기,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 제1항]와 ㉣ 법률행위 내용의 중요
부분에 착오가 있는 경우[민법 제109조(착오로 인한 의사표시) 제1항 본문]은 취소사유에 해당
한다.

3. 다음 중 소멸시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대출금 만기에 채무자의 행방을 몰라 대출금 상환청구가 사실상 불가능한 경우에는 시효진
행은 중단된다.
② 소멸시효는 객관적으로 권리가 발생하고 그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때로부터 진행한다.
③ 거절증서 작성이 면제되어 있는 유통어음의 경우, 어음소지인의 배서인에 대한 소구권의
소멸시효는 지급기일 다음 날부터 진행한다.
④ 대출금채무의 기한의 이익을 상실하였지만 계속적 거래가 승낙되면 소멸시효는 중단되고
원래의 대출금 만기일에 소멸시효가 새로이 진행된다.
⑤ 보증인 등 제3자에 대한 가압류·가처분에 의한 시효중단은 주채무자에게 효력이 미치지 아
니한다.

정답 : ①
① 소멸시효의 중단이란 소멸시효가 진행하는 도중에 권리의 불행사라는 지속적인 사실상태와
조화될 수 없는 사정이 발생한 경우에, 그 사실상태를 존중할 이유가 없어져 이미 진행한 시
효기간은 무의미하게 되므로 그 효력을 상실하게 하는 제도를 말한다. 소멸시효의 중단사유는
법률로 정해져 있는데, 민법은 소멸시효의 중단사유로서 ⅰ) 청구, ⅱ) 압류 또는 가압류, 가
처분, ⅲ) 승인의 3가지를 들고 있다(민법 제168조). 또한 민법은 파산절차참가, 지급명령, 화
해를 위한 소환 및 임의출석, 최고가 있으면 일정한 경우에 시효가 중단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민법 제171조 내지 제174조). 그 밖에 어음법,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등에도 소
멸시효 중단에 관하여 규정되어 있다. 대출금 만기에 채무자의 행방을 몰라 대출금 상환청구
가 사실상 불가능한 경우는 법률상 소멸시효의 중단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
② 소멸시효는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때로부터 진행한다(민법 제166조 제1항). 여기서 ‘권리
를 행사할 수 있을 때’란 권리를 행사함에 법률상의 장애사유가 없는 때를 말하고, 단지 사실
상의 권리를 행사할 수 없는 경우는 포함되지 아니하여 소멸시효는 그대로 진행하게 된다.
③ 거절증서 작성이 면제되어 있는 유통어음이라면 발행인(지급인)에게 지급제시를 하지 않고
바로 배서인에게 소구권(참고로 2010.03.31.자 어음법 개정으로 ‘소구’를 ‘상환청구’로 용어를
순화함)을 행사할 수 있고, 기간의 초일은 불산입(어음법 제73조)하므로 권리를 행사할 수 있
는 지급기일 다음 날부터 소구권의 소멸시효가 진행한다.
④ 계속적 거래의 승낙은 민법상 소멸시효 중단사유인 ‘승낙’(민법 제168조 제3호)에 해당하
고, 시효중단의 효력은 중단까지 경과한 시효기간은 이에 산입되지 아니하고 중단사유가 종료

- 2 -
한 때로부터 새로이 진행하므로(민법 제178조 제1항), 원래의 대출금 만기일에 소멸시효가 새
로이 진행된다.
⑤ 시효중단의 효력은 당사자 및 그 승계인 간에만 미치고(민법 제169조), 주채무자에 대한
시효의 중단은 보증인에 대하여 그 효력이 있으나(민법 제440조), 역으로 보증인에 대한 시효
중단은 주채무자에게 미치지 아니한다. 다만, 민법 제440조는 보증채무의 부종성에 따른 당연
한 규정이라기보다는 주채무자에 대한 권리행사만으로도 보증인에 대한 시효중단의 효력이 미
치게 하여 주채무와 별도로 보증채무가 시효소멸하는 일이 없도록 함으로써 채권담보의 목적
을 달성하고 채권자를 보호하는데 그 취지가 있다는 것이 판례의 입장이다(대판 1986.11.25,
86다카1569).

4. 다음 중 상사채무의 이행시기 및 장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상사채권은 원칙적으로 추심채무이다.
② 상행위 채무의 이행시기는 영업시간이 정해져 있는 때에는 그 시간 내에 하여야 한다.
③ 채무이행장소는 통상 본점과 지점을 포함하며, 협의로는 거래가 있었던 영업점이 채무이행
장소가 된다.
④ 행위의 성질 또는 당사자의 의사표시에 의하여 특정된 경우로서 특정물 인도의 경우에는
별도의 채무이행장소가 있을 수도 있다.
⑤ 특정물 이외의 영업에 관한 채무는 채권자의 현 영업소에서 이행하여야 한다.

정답 : ①
상법 제56조(지점거래의 채무이행장소)
채권자의 지점에서의 거래로 인한 채무이행의 장소가 그 행위의 성질 또는 당사자의 의사표시
에 의하여 특정되지 아니한 경우 특정물 인도 외의 채무이행은 그 지점을 이행장소로 본다.

민법 제467조(변제의 장소)
① 채무의 성질 또는 당사자의 의사표시로 변제장소를 정하지 아니한 때에는 특정물의 인도는
채권성립당시에 그 물건이 있던 장소에서 하여야 한다.
② 전항의 경우에 특정물인도 이외의 채무변제는 채권자의 현주소에서 하여야 한다. 그러나
영업에 관한 채무의 변제는 채권자의 현영업소에서 하여야 한다.

①③⑤ 채무의 이행장소에 관해서 ‘지참채무’라 함은 채무자가 채권자의 주소에서 채무를 이


행해야 하는 채무를 말하고, ‘추심채무’라 함은 채무의 이행을 채무자의 주소에서 하는 채무를
말한다. 상법은 채무의 이행장소에 관하여 제56조만 두고 있다. 상법 제56조는 특정물인도 이
외의 채무이행만을 규정하고 있으므로 우선 특정물인도의 경우에는 민법의 원칙에 따른다. 특
정물인도 이외의 경우에도 상법 제56조는 “채권자의 지점”에서 이루어진 거래에 대해서만 규
정하고 있다. 그 결과 ⅰ) 채무자의 본점 또는 지점에서의 거래는 민법 제467조 제2항이 적용
되어 채권자의 영업소에서 이행하면 된다(지참채무). ⅱ) 채권자의 본점에서 이루어진 거래 역
시 민법 제467조 제2항에 따라 지참채무가 된다. ⅲ) 거래가 채권자의 지점에서 이루어진 경
우에는 제56조에 따라 그 지점을 이행장소로 한다. 지참채무가 된다는 점에서는 민법 제467

- 3 -
조 제2항과 차이가 없다.
④ 강행규정이 급부장소를 정하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급부장소는 1차적으로 당사자의 의사
표시에 의하여 결정되며, 당사자의 의사표시가 없으면 채무의 성질에 의하여 결정된다(민법
제467조 제1항 전단). 따라서 행위의 성질 또는 당사자의 의사표시에 의하여 특정된 경우라면
특정물 인도의 경우 행위의 성질에 따른 또는 당사자가 합의한 별도의 채무이행장소가 있을
수도 있다.
② 법령 또는 관습에 의하여 영업시간이 정하여져 있는 때에는 채무의 이행 또는 이행의 청구
는 그 시간 내에 하여야 한다(상법 제63조).

5. 다음은 계약자유의 원칙에 관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체결의 자유
② 내용결정의 자유
③ 방식의 자유
④ 상대방 선택의 자유
⑤ 계약이행의 자유

정답 : ⑤
우리 민법의 근간을 이루는 사적 자치의 원칙은 사법상의 법률관계를 개인의 의사에 의해 자
유로이 형성할 수 있다는 것으로, 가장 전형적인 것이 ‘계약’이다. 계약의 자유에는 다음의 4가
지가 있다.
계약은 청약과 승낙에 의해 성립하는 것이므로, 이것은 ‘청약의 자유’와 ‘승낙의 자유’를 포
계약체결의 자유 함한다. 즉 당사자는 청약의 의사표시를 할 자유를 가질 뿐만 아니라 상대방도 그 승낙여
부에 대해 자유를 가진다.
상대방 선택의 당사자는 자신이 원하는 상대방과 계약을 체결할 수 있고 특정인을 계약의 상대방으로 할
자유 것을 강요받지 않는다.
성립한 계약의 내용을 후에 변경하거나 보충하는 것도 포함하며, 당사자는 일단 성립한 계
내용결정의 자유 약을 후에 맺는 다른 계약으로 해제하거나, 또는 일부를 이미 이행한 계약관계를 종료시킬
수도 있다.
계약을 성립시키는 본체는 바로 당사자의 합의이며, 일정한 방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방식의 자유 원칙이다. 그러므로 계약은 구두로 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서면에 의하거나 공정증서
를 작성하여 체결할 수도 있다.

6. 다음 채무불이행의 유형 중 이행지체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채무이행의 불확정한 기한이 있는 경우에는 채무자는 기한이 객관적으로 도래한 때로부터
지체책임이 있다.
② 지시채권과 같은 증권적 채권은 그 확정기한이 도래한 후에 소지인이 증서를 제시하여 이
행을 청구한 때로부터 채무자는 지체책임이 있다.
③ 채무이행의 기한이 없는 경우에는 채무자는 이행청구를 받은 때로부터 지체책임이 있다.

- 4 -
④ 쌍무계약의 동시이행관계에 있는 상환 채무는 기한의 도래 외에도 상대방으로부터 이행의
제공을 받으면서 자기의 채무를 이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로소 이행지체가 된다.
⑤ 채무자가 담보를 손상, 감소 또는 멸실하게 하거나 담보제공의 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한 때
에는 채무자는 기한의 이익을 주장하지 못한다.

정답 : ①
① 채무이행의 불확정한 기한이 있는 경우에는 채무자는 기한이 도래함을 안 때로부터 지체책
임이 있다(민법 제387조 제1항 제2문).
② 지시채권, 무기명채권과 같은 증권적 채권과 면책증서는 그 확정기한이 도래한 후에 소지
인이 증서를 제시하여 이행을 청구한 때로부터 이행지체가 된다.
③ 채무이행의 기한이 없는 경우에는 채무자는 이행청구를 받은 때로부터 지체책임이 있다(민
법 제387조 제2항).
④ 쌍무계약에 의한 채무의 이행에서는 당사자간에 동시이행의 항변권이 인정되므로 상대방으
로부터 이행의 제공을 받으면서 자기의 채무를 이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로소 이행지체가 된
다.
⑤ 채무자가 담보를 손상, 감소 또는 멸실하게 하거나 담보제공의 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한 때
에는 채무자는 기한의 이익을 주장하지 못한다(민법 제388조).

7. 갑이 자신의 소유 주택을 을에게 매도하는 계약을 체결한 경우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당사자 사이에 다른 특별한 약정은 없다)
① 갑과 을의 주택매매계약은 쌍무계약이다.
② 갑이 주택의 소유권을 이전하지 않는 경우, 을은 매매대금의 지급을 거절할 수 있다.
③ 갑의 책임 없는 사유로 주택이 소실된 경우, 갑은 주택의 소유권 이전등기 의무를 면한다.
④ 을의 과실로 주택이 소실된 경우, 갑은 을에게 매매대금의 지급을 요구할 수 있다.
⑤ 쌍방의 책임 없는 사유로 주택이 소실된 경우, 갑은 을로부터 수령한 계약금을 반환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 : ⑤
① 매매는 당사자 일방이 재산권을 상대방에게 이전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이 그 대금을 지
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효력이 생긴다(민법 제563조). 매매계약은 유상, 쌍무, 낙성, 불요식
계약의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갑과 을의 주택매매계약은 쌍무계약이다.
② 쌍무계약의 당사자 일방은 상대방이 그 채무이행을 제공할 때까지 자기의 채무이행을 거절
할 수 있다(민법 제536조 제1항 전단). 따라서 갑이 주택의 소유권을 이전하지 않는 경우, 을
은 매매대금의 지급을 거절할 수 있다.
③ 당사자 쌍방의 책임 없는 사유로 급부가 불능이 된 경우에 발생된 불이익을 이른바 ‘위험’
이라고 한다. 민법은 쌍무계약의 당사자 일방의 채무가 당사자 쌍방의 책임 없는 사유로 이행
할 수 없게 된 때에는 채무자는 상대방의 이행을 청구하지 못한다(민법 제537조)고 규정하여
‘채무자위험부담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급부에 대한 위험은 채권자가 지게 된다. 따라서 갑의
책임 없는 사유로 주택이 소실된 경우, 갑은 주택의 소유권 이전등기 의무를 면한다.

- 5 -
④ 예외적으로 채무자의 급부불능이 채권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발생하거나 또는 채권자의 수
령지체 중에 발생한 때에는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반대급부를 청구할 수 있다(민법 제538조).
따라서 을의 과실로 주택이 소실된 경우, 갑은 을에게 매매대금의 지급을 요구할 수 있다.
⑤ 채무자의 급부불능이 채권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발생하거나 또는 채권자의 수령지체 중에
발생한 때에는 채무자는 자기의 채무를 면함으로써 이익을 얻은 때에는 이를 채무자에게 상환
하여야 한다(민법 제538조 제2항). 채무자의 급부불능이 쌍방의 책임 없는 사유로 인한 경우
에도 채무자가 이미 반대급부를 수령하였다면 부당이득의 법리에 따라 그것을 반환하여야 한
다(민법 제741조 참조). 따라서, 쌍방의 책임 없는 사유로 주택이 소실된 경우, 갑은 을로부터
수령한 계약금을 반환하여야 한다.

8. 다음 중 은행여신거래기본약관에서 정한 기한의 이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한의 이익이란 채무의 변제 기한이 도래하지 않아 채무자가 받는 이익을 말한다.
② 대출계약에는 통상 “기한이익의 상실” 조항을 두어서 채무자가 일정기간 이자납입을 지체
하는 경우 기한의 이익을 상실하는 것으로 약정한다.
③ 채무자의 신용상태가 중대하고 현저하게 변경된 경우 채무자는 당연히 기한이익을 상실하
게 되어 채권자의 이행최고가 없더라도 채무자는 이행지체가 된다.
④ 채무자의 신용상태에 일정한 사유가 발생한 경우 금융기관의 청구에 의해 기한의 이익이
상실되기도 한다.
⑤ 채무자가 담보로 제공한 재산에 압류명령이나 체납처분압류 통지가 있더라도 금융기관은
변제청구를 해야 채무자의 기한의 이익을 상실시킬 수 있다.

정답 : ③,⑤ (복수정답인정)
① 기한의 이익의 개념, 기한은 채무자의 이익을 위한 것으로 추정한다(민법 제153조 제1항).
② 통상적인 은행여신거래약정에 기한이익의 상실규정을 둔다.
③ 지문표현이 채무자의 신용상태가 중대하고 현저하게 변경되어 “은행기본거래약관에서 정한
일정한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라는 식으로 표현되지 않고, 채무자의 신용상태가 중대하고 현
저하게 변경된 경우...라고만 단정하고 있다보니 여기에 해당하는 모든 경우가 다 당연기한이익
상실사유가 되는 것처럼 오해될 수 있어 보이므로, 이 지문을 그대로 객관식 시험에서 올바른
설명지문으로 단정하기에는 현재 2016. 10. 7. 개정된 은행거래약관의 내용과 비교하여 볼 때
표현의 객관성에 있어서 혼선의 여지가 있어 부적절한 지문으로 보임(신용정보협회 이의제기검
토결과 복수정답인정)
④ “기한이익 상실의 특약은 그 내용에 의하여 일정한 사유가 발생하면 채권자의 청구 등을
요함이 없이 당연히 기한의 이익이 상실되어 이행기가 도래하는 것으로 하는 것(정지조건부
기한이익 상실의 특약)과 일정한 사유가 발생한 후 채권자의 통지나 청구 등 채권자의 의사행
위를 기다려 비로소 이행기가 도래하는 것으로 하는 것(형성권적 기한이익 상실의 특약)의 두
가지로 대별할 수 있고, 이른바 형성권적 기한이익 상실의 특약이 있는 경우에는 그 특약은
채권자의 이익을 위한 것으로서 기한이익의 상실 사유가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채권자가 나
머지 전액을 일시에 청구할 것인가 또는 종래대로 할부변제를 청구할 것인가를 자유로이 선택
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기한이익 상실의 특약이 있는 할부채무에 있어서는 1회의 불이행
이 있더라도 각 할부금에 대해 그 각 변제기의 도래시마다 그 때부터 순차로 소멸시효가 진행

- 6 -
하고 채권자가 특히 잔존 채무 전액의 변제를 구하는 취지의 의사를 표시한 경우에 한하여 전
액에 대하여 그 때부터 소멸시효가 진행한다.”(대판 1997.8.29, 97다12990) 즉, 은행의 대출
계약과 당사자 사이에 기한이익 상실의 특약이 있는 경우 이른바 ‘정지조건부 기한이익 상실
의 특약’을 한 경우는 일정한 사유가 발생한 경우 채무자는 당연히 기한이익을 상실하게 되어
채권자의 이행최고가 없더라도 채무자는 이행지체가 된다. 한편 당사자간의 기한이익 상실의
특약이 이른바 ‘형성권적 기한이익 상실의 특약’이라면 일정한 사유가 발생한 경우 채권자는
기한의 도래를 기다리지 않고 즉시 채무의 이행을 청구할 수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채무
의 이행이 없으면 이행지체로 된다.
⑤ 채무자가 담보로 제공한 재산에 압류명령이나 체납처분압류 통지가 있는 경우 금융기관은
변제청구 없이도 채무자의 기한의 이익을 상실시킬 수 있다. ‘은행여신거래기본약관’에서 정한
기한의 이익에 관한 조문은 다음과 같다.

은행여신거래기본약관 제7조 (기한전의 채무변제의무)


① 채무자에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가 발생한 경우, 은행은 채무자에게
은행에 대한 모든 채무에 대하여 기한의 이익을 상실시킬 수 있습니다(지급보증거래에 있어서
사전구상채무 발생을 포함합니다. 이하 같습니다). 이 경우, 은행은 채무자에게 서면으로 다음
각 호의 사유 및 이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사유 발생 즉시 기한의 이익을 상실하였다는 사실을
함께 통지하여야 합니다. 통지가 도달하면 채무자는 다음 각 호의 사유발생시부터 기한의 이
익을 상실하여, 이를 곧 갚아야 할 의무를 집니다.
1. 은행에 대한 예치금 등 각종 채권에 대하여 압류명령이나 체납처분 압류통지가 도달하
거나 또는 기타의 방법에 의한 강제집행 개시나 체납처분 착수가 있는 때 <단서 삭제>
2. 채무자가 제공한 담보재산(제1호의 은행에 대한 예치금 등 각종 채권은 제외)에 대하
여 압류명령이나 체납처분 압류통지가 도달하거나 기타의 방법에 의한 강제집행 개시나 체납
처분 착수가 있는 때
3. 파산ㆍ화의개시ㆍ회사정리절차개시의 신청이 있거나, 채무불이행자명부 등재 결정이
있는 때
4. 조세공과에 관하여 납기전 납부고지서를 받거나, 어음교환소의 거래정지처분이 있는

5. 폐업, 도피 기타의 사유로 지급을 정지한 것으로 인정된 때
6. 채무자의 과점주주나 실질적인 기업주인 포괄근보증인의 은행에 대한 예치금 등 각종
채권에 대하여 제1호의 명령이나 통지가 도달한 때

9. 법률규정에 의한 채권의 발생과 성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민법은 법률의 규정에 의한 채권성립의 원인으로 계약, 사무관리, 부당이득, 불법행위를 규
정하고 있다.
②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을 청구하기 위해서는 가해자가 자신의 고의나 과실이 없음을 입
증하여야 한다.
③ 경매절차에서 배당을 받아야 할 자가 배당을 받지 못하고 배당을 받지 못할 자가 배당을
받는 경우에는 배당을 받지 못한 우선채권자는 배당을 받은 자에 대하여 불법행위로 인한 손

- 7 -
해배상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
④ 길가다 교통사고를 당한 사람을 위하여 병원까지 택시를 타고 응급실에 실어다 놓은 경우
택시비와 응급실 접수비를 지불하였다면 이는 사무관리에 의한 채권이 발생한다.
⑤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은 피해자나 법정대리인이 그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
터 3년간 행사하지 않으면 시효로 소멸하는데 이때 3년은 제척기간이다.

정답 : ④
④ 의무 없이 타인을 위하여 사무를 관리하는 자는 그 사무의 성질에 좇아 가장 본인에게 이
익되는 방법으로 이를 관리하여야 한다(민법 제734조 제1항). 관리자가 본인을 위하여 필요비
또는 유익비를 지출한 때에는 본인에 대하여 그 상환을 청구할 수 있다(민법 제739조 제1항).
따라서 길가다 교통사고를 당한 사람을 위하여 병원까지 택시를 타고 응급실에 실어다 놓은
자는 사무관리자에 해당하고, 택시비와 응급실 접수비는 사무관리에 필요한 비용으로서 비용
상환청구권이라는 사무관리에 의한 채권이 발생한다.
① 민법은 법률의 규정에 의한 채권성립의 원인으로 사무관리(제734조 내지 제740조), 부당이
득(제741조 내지 제749조), 불법행위(제750조 내지 제766조)를 규정하고 있다. 계약은 법률행
위에 의한 채권성립의 원인에 해당한다.
②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의 모든 요건사실에 대한 입증책임은 피해자에게 있다. 따라
서,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을 청구하기 위해서는 피해자가 가해자의 고의나 과실이 있음을
입증하여야 한다.
③ 확정된 배당표에 의하여 배당을 실시하는 것은 실체법상의 권리를 확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배당을 받아야 할 자가 배당을 받지 못하고 배당을 받지 못할 자가 배당을 받은 경우에는 배
당에 관하여 이의를 한 여부 또는 형식상 배당절차가 확정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배당을
받지 못한 채권자는 배당받은 자에 대하여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대판 2004.4.9,
2003다32681).
⑤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은 피해자나 법정대리인이 그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
터 3년간 행사하지 않으면 시효로 소멸하는데 이때 3년은 소멸시효기간이다.

10. 동시이행항변권과 유치권의 차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양자는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② 유치권은 물권이지만, 동시이행항변권은 채무에 따르는 권능이다.
③ 양자는 공평의 원리에 입각하여 채무의 이행을 확보하려는 점에서 동일하다.
④ 유치권은 상당한 담보를 제공하고 소멸시킬 수 있으나, 동시이행항변권은 그러하지 아니하
다.
⑤ 유치권에 의하여 거절되는 것은 물건의 인도이나, 동시이행항변권에 의하여 거절할 수 있
는 급부에는 제한이 없다.

정답 : ①
① 동시이행항변권은 채권의 효력으로서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있는 대세적 효력은 없으나, 유
치권은 법정담보물권으로 대세적 효력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8 -
②③④⑤ 동시이행항변권과 유치권은 공평의 원리에 입각하여 채무의 이행을 확보하려는 점에
서 동일하고, 그 성립요건으로 견련관계와 변제기의 도과를 요하는 점, 소송상의 효력으로 상
환급부판결이 내려진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구분 유치권 동시이행의 항변권
타인의 물건 또는 유가증권을 점유한
쌍무계약의 당사자 일방이 상대방이 그
자가 그 물건이나 유가증권에 관하여
채무의 이행을 제공할 때까지 자기의
의의 생긴 채권을 가지는 경우에 그 채권의
채무이행을 거절할 수 있는 권능(민법
변제를 받을 때까지 그 물건이나 유가
제536조)
증권을 점유하는 권리(민법 제320조)
제도의
채권의 담보 당사자 일방의 선이행요구 거절
목적
법적
물권 : 대세권, 절대권 채권의 권능 : 대인권, 상대권
성질
채권의
채권이든 사무관리이든 상관없음 쌍무계약만으로 발생
발생원인
- 본질적인 내용은 청구에 대한 항변으
- 본질적인 내용은 목적물을 직접 지배 로 채무 이행을 거절하는데 있음.
하여 유치하는데 있음. - 거절할 수 있는 급부에는 제한이 없
- 거절할 수 있는 급부는 목적물의 인 음.
효력
도거절에 한함. - 주장하는 자에게 경매권이 없음.
- 경매권을 가짐. - 채권의 한 권능에 불과하여 계약의
- 물권이므로 대세적 효력을 가짐. 상대방에 대해서만 대항할 수 있는 채
권적 효력만 가짐.

- 상당한 담보를 제공
소멸
- 유치권자의 의무위반 특별한 소멸원인은 없다.
원인
- 점유의 상실

11. 부동산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토지와 그 지상의 건물은 별개의 부동산이 아니다.
② 토지의 정착물은 모두 독립한 부동산이다.
③ 건물의 일부를 구분하는 경우 소유권의 객체가 될 수 있다.
④ 수목은 입목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등기하더라도 독립한 부동산이 아니다.
⑤ 지하의 모든 광물을 채굴할 권리는 토지 소유권에 속한다.

정답 : ③
③ ‘구분소유’란 1동의 건물을 구분하여 그 부분을 각각 별개로 소유하는 것을 말하는데, 건물
의 구분된 부분은 독립한 소유권의 객체로 된다. 일물일권주의의 예외로서 민법 제215조는 건
물과 그 부속물 중 공용하는 부분을 구분소유자의 공유로 추정하고(제1항), 공용부분의 보존에

- 9 -
관한 비용 기타 부담을 각자의 소유부분의 가액에 비례하여 분담하도록(제2항) 규정하고 있다.
구분소유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첫째, 구조상, 이용상의 독립성을 갖추어야 하고, 둘째, 구분소
유를 설정하려는 소유자의 의사(구분행위)가 있어야 하며, 그에 덧붙여 구분소유의 등기가 있
어야 한다(대판 1999.9.17, 99다35020 참조).
① 1개의 물권의 목적물은 1개의 독립한 물건이어야 한다는 원칙을 일물일권주의라고 하는데,
물건의 독립성은 그 물리적 형태와 거래관념에 의하여 결정된다. 민법은 토지와 그 정착물을
부동산이라 하고, 그 밖의 물건을 동산이라고 한다(제99조). ‘토지의 정착물’이란 토지에 고정
되어 쉽게 이동할 수 없는 물건으로 그 상태대로 사용하는 것이 그 물건의 거래상의 속성으로
인정되는 것을 말한다. 토지의 정착물 중 가장 중요한 건물은 토지로부터 독립한 별개의 부동
산으로, 건물등기부에 의하여 공시된다.
② 토지의 정착물이 모두 독립한 부동산인 것은 아니고, 토지와 별개의 공시방법을 갖추고 있
는가에 따라 토지와 별개의 독립한 물건인 것과 토지의 구성부분으로 그 일부에 지나지 않는
것(가령 돌담이나 교량)으로 나뉜다.
④ 수목은 입목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등기한 경우 독립한 부동산으로 취급한다[입목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항 제1호(입목의 정의), 제3조(입목의 독립성) 참조].
⑤ 지하의 토사·암석 등은 모두 토지 소유권의 범위에 속한다. 그런데 지하에 매장된 것 중에
는 광업권의 객체가 되는 광물이 있다. 이 광물을 채굴하고 취득할 권리는 광업법상 국가가
광업권자에게 이를 부여할 권능을 가진다.

12. 다음 중 현행법상 등기될 수 있는 권리가 아닌 것은?


① 저당권부 질권
② 저당권
③ 유치권
④ 전세권
⑤ 지상권

정답 : ③
③ 유치권은 법률상 당연히 성립하는 법정담보물권으로서, 타인의 물건을 점유하고 있다는 점
에 기초하여 인정되는 권리이므로 점유의 상실에 의해 소멸하며, 추급효를 가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동산의 경우에도 등기를 요하지 않는 점에서 다른 담보물권과 차이가 있다.
①②④⑤ 부동산등기법 제3조(등기할 수 있는 권리 등) 등기는 부동산의 표시(表示)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권리의 보존, 이전, 설정, 변경, 처분의 제한 또는 소멸에 대하
여 한다. 1. 소유권(所有權) 2. 지상권(地上權) 3. 지역권(地役權) 4. 전세권(傳貰權) 5. 저당권
(抵當權) 6. 권리질권(權利質權) 7. 채권담보권(債權擔保權) 8. 임차권(賃借權)

13. 다음은 표현대리와 관련한 내용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표현대리의 경우에도 실제적으로는 대리권이 없다.

- 10 -
② 표현대리가 인정되면 본인은 그 법률행위에 대하여 책임이 있다.
③ 대리권 없는 자가 인감과 위임장을 위조한 때에는 권한을 넘은 표현대리가 인정되지 않는
다.
④ 법인의 이사직을 사임한 자가 법인의 이사로서 제3자와 법률행위를 한 때에는 대리권 소멸
후의 표현대리가 된다.
⑤ 표현대리인과 거래한 제3자는 표현대리인에게 대리권 없음에 대하여 반드시 선의·무과실일
필요는 없다.

정답 : ⑤
⑤ ‘표현대리’란 대리인에게 대리권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그것이 있는 것과 같은 외관이
존재하고, 본인이 그러한 외관의 형성에 관여하였다든가 그 밖에 본인이 책임져야 할 사정이
있는 경우에, 그 무권대리행위에 대하여 본인에게 책임을 지우는 제도이다. 민법상 표현대리
에 관한 규정은 제125조(대리권수여의 표시에 의한 표현대리), 제126조(권한을 넘은 표현대
리), 제129조(대리권 소멸후의 표현대리)가 있는데, 다른 조문과 달리 제126조는 ‘정당한 이
유’로 규정되어 있으나 선의·무과실을 의미한다고 보는 것이 통설이므로, 모두 제3자가 보호받
기 위해서는 대리권 없음에 대하여 선의·무과실일 것을 요한다.
① 표현대리는 무권대리의 일종으로 보는 것이 통설과 판례의 태도인바, 실제적으로는 대리권
이 없다.
② 표현대리가 인정되면 무권대리라도 본인이 외관책임을 지는 것이므로 본인은 그 법률행위
에 대하여 책임이 있다.
③ 권한을 넘은 표현대리는 기본대리권의 존재를 요건으로 하므로 대리권 없는 자가 인감과
위임장을 위조한 때와 같이 기본대리권도 없는 자의 행위에는 권한을 넘은 표현대리가 인정되
지 않는다.
④ 대리권 소멸후의 표현대리는 이전에 존재하였던 대리권이 소멸한 후에 대리권이 있는 것처
럼 행위하였을 것을 요건으로 하므로 법인의 이사직에 있던 자가 그 직을 사임한 후 법인의
이사로서 제3자와 법률행위를 한 때에는 대리권 소멸후의 표현대리가 된다.

14. 다음 보기의 내용은 상사채권의 민사채권에 대한 특칙을 열거한 것이다.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상행위로 인한 채권의 소멸시효기간은 원칙적으로 10년이다.


㉡ 상인이 그 영업에 관하여 금전을 대여한 경우에는 상사법정이자를 청구할 수 있다.
㉢ 수인의 채무자가 상행위로 인하여 보증채무를 부담하는 때에는 분할 채권 관계의 원칙
이 적용되어 각자 균등한 비율로 채무를 부담한다.
㉣ 상법에서는 상인간의 유치권 이른바 상사유치권을 인정하고 있다.

① ㉠, ㉡
② ㉢, ㉣
③ ㉡, ㉢
④ ㉡, ㉣

- 11 -
⑤ ㉠, ㉢

정답 : ④
㉠ 상행위로 인한 채권의 소멸시효기간은 원칙적으로 5년이다(상법 제64조).
㉡ 상인이 그 영업에 관하여 금전을 대여한 경우에는 상사법정이자를 청구할 수 있다(상법 제
55조, 제54조 참조).
㉢ 보증인이 있는 경우에 그 보증이 상행위이거나 주채무가 상행위로 인한 것인 때에는 주채
무자와 보증인은 연대하여 변제할 책임이 있다(상법 제57조 제2항).
㉣ 상법에서는 상인간의 유치권 이른바 상사유치권을 인정하고 있다(상법 제58조 참조).

15. 다음 중 어음보증의 법률적 성질로서 옳지 않은 것은?


① 어음보증은 어음금액의 일부에 대하여도 할 수 있다.
② 어음보증인은 최고 및 검색의 항변권이 인정되지 아니한다.
③ 어음보증은 주채무가 무효일 경우에 당연히 무효이다.
④ 어음보증은 반드시 엄격한 요식성을 가진다.
⑤ 어음보증인은 불특정 어음소지인에게 채무를 이행하여야 한다.

정답 : ③
③ 어음행위독립의 원칙에 의해 어음보증은 담보된 채무가 그 방식에 흠이 있는 경우 외에는
어떠한 사유로 무효가 되더라도 그 효력을 가진다(어음법 제32조 제2항, 제77조 제3항).
① 어음보증은 어음금액의 일부에 대하여도 할 수 있다. 따라서 보증인은 보증채무의 범위를
원래의 채무 중 일부로 정할 수 있다.
② 어음보증인은 피보증인과 함께 소지인에 대해서 합동책임을 진다(어음법 제32조 제1항 참
조). 소지인이 보증인에게 보증채무의 이행을 청구할 경우 보증인은 민법상 최고·검색의 항변
권을 가지지 못한다는 것이다.
④ 어음보증은 방식의 제한이 있는 요식행위이다.
⑤ 민법상 보증인은 특정채권자에게만 책임이 있으나, 어음보증인은 불특정 어음소지인에게
책임이 있다.

16. 다음 중 금융기관과 거래처 사이에 이루어지는 증서대출의 법률적 성질로 볼 수 없는 것


은?
① 소비대차계약
② 요물계약
③ 유상계약
④ 불요식계약
⑤ 쌍무계약

- 12 -
정답 : ②
① ‘증서대출’이란 대출신청자와 금융기관이 민법상의 금전소비대차약정을 체결하고 대출을
실행하는 형식의 대출을 말한다.
② 소비대차계약은 당사자 사이의 합의만으로 성립하는 ‘낙성계약’으로 대출신청인으로부터
채권서류에 서명날인하게 하여 금융기관이 그 증서를 받는 것은 계약의 성립에 관한 증거확보
수단이며, 채무자에게 대출금을 지급하는 것은 계약의 이행행위일 뿐이므로 채권증서를 받는
업무행위와 대출금을 교부하는 업무행위의 측면에서 보면 증서대출계약은 낙성계약이다.
③ 금융기관에 통용되는 금전소비대차계약은 금융기관이 채무자로부터 자금의 사용대가인 이
자를 취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 측면에서 ‘유상계약’이다.
④ 증서대출계약은 구두나 서면 등 일정한 방식을 요건으로 하지 않는 ‘불요식계약’이다.
⑤ 증서대출계약은 당사자가 서로 상대방에 대하여 의무를 부담하는 ‘쌍무계약’이다.

17. 다음 중 어음채권 행사 관련 주의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백지보충권을 받아 어음요건을 빠짐없이 기록한다.
② 어음채권의 소멸시효기간이 도과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③ 어음채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완성된 어음을 발행인에게 지급제시하여야 한다.
④ 지급제시 기간 내에 지급제시가 없다면 모든 어음배서인에 대한 소구권을 잃게 된다.
⑤ 재판상의 청구에 있어서는 소장의 송달 또는 지급명령의 송달이 있어도 어음의 지급제시와
동일한 효력은 없다.

정답 : ⑤
⑤ ‘지급제시’란 어음의 소지인이 발행인에 대하여 현실의 어음을 제시하고 어음금의 지급을
청구하는 행위를 말한다. 지급제시는 원칙적으로 완전한 어음 자체를 현실로 제시하여야 하
나, 예외적으로 재판상의 청구에서는 어음 자체를 제시하지 않더라도 소장 또는 지급명령의
송달이 있는 때에 적법한 지급제시가 있는 것으로 본다(대판 1958.12.28, 4291민상38).
① ‘백지어음’이란 어음행위자가 후일 어음소지인으로 하여금 어음요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보충시킬 의사로써 고의로 이를 기재하지 않고 어음이 될 서면에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여 어
음행위를 한 미완성의 어음을 말한다. 통설은 백지어음은 어음의 요건이 갖추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어음으로서의 효력은 없고, 백지보충권과 장차 그 보충권의 행사로 완전한 어음이 될
수 있다는 기대권을 표창하는 특수한 유가증권이라고 한다. 따라서 백지보충권을 받아 어음요
건을 빠짐없이 기록하는 식으로 행사한다.
② 어음채권의 소멸시효기간(3년, 어음법 제70조 제1항)이 도과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③ 백지어음의 경우 어음채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완성된 어음을 발행인에게 지급제시하여야
한다.
④ 소지인이 소구권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지급제시 기간 내에 적법한 지급제시를 해야 하고,
지급제시 기간 내에 지급제시가 없다면 모든 어음배서인에 대한 소구권을 잃게 된다.

- 13 -
18. 리스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설비의 소유권 이전 없이 사용권만 가지고 만기일에 설비를 반환하는 계약이다.
② 금융리스는 거액의 자금조달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③ 설비의 유지 관리 책임은 금융리스의 경우 임차인, 운용리스의 경우에는 임대인에게 있다.
④ 리스자산은 (가)압류의 목적물이 될 수 있다.
⑤ 운용리스는 설비임대, 렌탈 등으로 서비스적 성격이 강하다.

정답 : ④
① 전통적 의미에 있어서 리스는 임대차계약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비를 리스한다
함은 설비의 소유권 이전 없이 사용권만 가지고 만기일에 설비를 반환하기로 하는 계약이다.
② 리스는 금융리스와 운용리스로 구별된다. ‘금융리스’란 리스이용자가 일반적으로 특정한 기
계 설비 등의 구입을 위한 자금조달이 불가능한 경우에 리스회사가 그 물건의 구입자금을 융
통하여 주는 대신에 이 물건을 직접 구입한 후 리스이용자에게 그 물건을 임대하여 이용하게
하며 리스이용자가 금융비용 및 계약비용과 함께 일정기간 동안 분할하여 리스회사에게 지급
하게 하는 계약으로서 금융의 융통적 성질을 갖는다. 금융리스는 거액의 자금조달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③ 설비의 유지 관리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가 하는 점도 금융리스와 운용리스에서 확연히 구
별되는바, 금융리스의 경우 임차인, 운용리스의 경우에는 임대인에게 있다.
④ 리스물건의 소유권은 임대인 즉, 리스회사에 있다. 자금융통의 기능이 강한 금융리스라 할
지라도 리스물건의 소유권은 여전히 리스회사에 있게 된다. 따라서 리스자산을 (가)압류의 목
적물로 할 수 없게 된다.
⑤ ‘운용리스’란 금융리스를 제외한 모든 형태의 리스를 말하는바, 서비스 제공적 성격이 강하
다. 예컨대, 복사기 렌탈, 자동차 렌탈, 정수기 렌탈 등이 전형적인 운용리스이다.

19. 다음 중 법률적 성격상 연체이자의 의미로 옳은 것은?


① 정상이자
② 지연배상금
③ 정상이자 + 지연배상금
④ 기발생이자
⑤ 정상이자 + 지연배상금 + 기발생이자

정답 : ②
여신실무에서 사용하는 ‘연체이자’라고 불리는 것은, 비록 이자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고 그
액이 일정한 이율과 기간에 의하여 산출된다는 점에서 이자와 유사하지만, 그 법적 성질은 이
자가 아니라 지연배상금이다. 연체이자는 원본사용의 대가가 아니라 차주의 채무불이행으로
인하여 채권자가 그만큼의 자금을 이용할 기회를 상실함으로써 입은 손해를 배상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 14 -
20. 어음교환규약에 따른 부도사유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어음이 지급제시 되었으나 어음발행인이 당좌거래계정의 예금 잔액이 부족한 경우에는 예
금부족으로 인한 부도이다.
② 어음발행인이 지급은행과 당좌거래계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어음이 지급제시된 경우에는
무거래로 인한 부도이다.
③ 형식요건을 흠결한 어음이 교환 제시되면 지급은행은 원칙적으로 형식불비를 사유로 부도
반환하게 된다.
④ 어음발행인이 사고신고서를 접수하여 사전에 지급위탁을 취소 요청할 수 있는 경우는 어음
의 분실, 도난, 피사취이며 계약 불이행을 사유로는 사고신고를 할 수 없다.
⑤ 법원의 명령에 의하여 지급을 거절하게 되면 법적으로 가해진 지급제한으로 부도반환된다.

정답 : ④
④ 어음발행인이 사고신고서를 접수하여 사전에 지급위탁을 취소 요청할 수 있는 경우는 어음
의 분실, 도난, 피사취, 계약불이행을 사유로 사고신고를 할 수 있다. 즉, 분실 또는 도난된
어음에 대하여 발행인이 어음금을 지급할 수 없음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고 이를 사유로 사고
신고를 하면 지급사무를 처리하는 은행은 이에 따라 부도 반환한다. 정당한 계약상의 의무에
기하여 정상적으로 어음·수표를 발행 인수하였으나 후일 상대방이 계약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다면 계약불이행이 되고, 처음부터 기망을 당하여 계약체결에 이르렀거나 어음·수표를 발
행하였다면 사취가 된다.
①②③ 이 3가지는 어음교환규약에 정형화된 부도사유 11가지 중 하나에 해당되는 내용의 설
명이다.
⑤ 당좌예금에 대하여 제3자의 신청에 의하여 법원이 가압류 또는 압류명령을 송달하면 당좌
예금은 지급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즉, 법원의 명령에 의하여 지급을 거절하게 되면 법적으
로 가해진 지급제한으로 부도반환된다.

21. 다음 사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따름)

[사례] S보증보험은 거래 고객 甲이 A은행에서 대출을 받음에 있어 만일 甲이 대출금을


상환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S보증보험이 그 지급을 대신하기로 하는 계약을 甲과
체결하고, 보험증권을 발급하여 A은행이 이를 수령하였다.

① S보증보험과 甲사이의 계약은 제3자를 위한 계약이다.


② 甲이 A은행의 명의로 S보증보험과 계약을 체결하여야 그 효과가 제3자인 A은행에 미친다.
③ A은행이 수익의 의사표시를 한 때에는 S보증보험과 甲은 A은행의 동의 없이는 계약을 변
경하지 못한다.
④ S보증보험과 甲사이의 계약은 A은행이 입게 되는 손해의 전보를 S보증보험이 인수하는 것
을 내용으로 하는 손해보험에 해당한다.

- 15 -
⑤ S보증보험과 甲사이의 계약은 실질적으로 보증의 성격을 가지고 보증계약과 같은 효과를
목적으로 한다.

정답 : ②
① 사례의 법률관계는 지급보증계약이다. ‘지급보증’이란 은행이 거래처(지급보증 신청인)의
위탁에 따라 그 거래처가 제3자에 대하여 부담하는 채무를 보증하여 주는 거래이다. 법적성질
은 제3자를 위한 계약이다. 따라서, S보증보험과 甲사이의 계약은 제3자를 위한 계약이다.
② 금융기관은 거래처의 부탁에 따라 그 거래처가 제3자에 대하여 부담하는 채무를 담보하기
위하여 지급보증서를 발급하는 형식을 취한다. 따라서, 사례의 계약체결의 당사자는 甲과 S보
증보험이므로 甲은 자신의 명의로 S보증보험과 계약을 체결하여야 하며, 그 효과가 제3자인
A은행에 미친다.
③ 제3자를 위한 계약에서 제3자가 수익의 의사표시를 하여 제3자의 권리가 생긴 후에는 당
사자는 이를 변경 또는 소멸시키지 못한다(민법 제541조). 따라서 A은행이 수익의 의사표시를
한 때에는 S보증보험과 甲은 A은행의 동의 없이는 계약을 변경하지 못한다.
④ S보증보험과 甲사이의 계약은 A은행이 입게 되는 손해의 전보를 S보증보험이 인수하는 것
을 내용으로 하는 손해보험에 해당한다.
⑤ S보증보험과 甲사이의 계약은 실질적으로 보증의 성격을 가지고 보증계약과 같은 효과를
목적으로 한다.

22. 갑은 을의 토지를 임차하여 공장을 지어 운영하고 있다. 갑은 공장건물 1동, 기계, 재고상
품을 담보로 공장의 운전 자금을 은행에서 대출받고자 한다. 갑이 이용할 수 있는 물적 담보
수단을 모두 고른 것은?

㉠ 공장재단저당 ㉡ 동산양도담보 ㉢ 근저당


㉣ 공동저당 ㉤ 연대보증

① ㉠, ㉡
② ㉠, ㉡, ㉢
③ ㉡, ㉢
④ ㉢, ㉣
⑤ ㉠, ㉢, ㉣

정답 : ②
㉢ 우선 갑이 운영하는 공장부지는 을의 소유이고 공장건물은 자신의 소유이고 토지와 건물은
별개의 부동산이므로 갑의 공장건물1동은 근저당권의 목적이 될 수 있다.
㉠ 한편 공장 소유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공장으로 공장재단을 설정하여 저당권의 목적으
로 할 수 있는데(공장및광업재단저당법 제10조 제1항), 공장재단은 공장재단등기부에 소유권
보존등기를 함으로써 설정하고(동법 제11조 제1항), 공장재단을 1개의 부동산으로 본다(동법
제12조 제1항). 여기서 ‘공장재단’이란 공장에 속하는 일정한 기업용 재산으로 구성되는 일단
의 기업재산으로서 공장및광업재단저당법에 따라 소유권과 저당권의 목적이 되는 것을 말한다

- 16 -
(동법 제2조 제2호). 공장 소유자가 공장에 속하는 건물에 설정한 저당권의 효력은 그 건물에
부합된 물건과 그 건물에 설치된 기계, 기구, 그 밖의 공장의 공용물에 미친다(동법 제4조, 제
3조). 따라서 갑의 공장건물과 기계는 공장재단저당의 목적이 될 수 있다.
㉡ ‘양도담보’라 함은 채권의 담보로서 담보목적물의 소유권을 채권자에게 이전하고 채권의
변제시 담보목적물의 소유권을 원래의 소유자에게 회복시키는 방법으로 채권을 담보하는 형태
의 계약을 말한다. 양도담보의 목적물로 할 수 있는 재산권은 부동산, 동산, 채권 등 제한이
없는바, 재산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서 양도성이 있으면 된다. 따라서 갑의 재고상품은 동산양
도담보의 목적이 될 수 있다.
㉤ 지문에서 명백하게 물적 담보수단을 고르라고 하였으므로 연대보증이 들어가는 지문은 답
이 될 수 없다.
㉣ 또한 갑의 부동산은 공장건물 1개동뿐이므로 2개 이상의 부동산을 전제로 하는 공동저당
은 설정할 수가 없으므로 이것이 들어가는 지문 역시 정답이 될 수 없다.

23. 다음 중 근저당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근저당의 채권최고액에는 이자가 포함되어 있다.
② 피담보채권이 일시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근저당권은 소멸되지 않는다.
③ 채권최고액을 초과한 부분에 대하여 근저당권자는 우선변제 받을 권리가 없다.
④ 채권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라도 근저당권자는 담보권을 실행하여 우선변제를 받을 수 있
다.
⑤ 근저당권자는 법원을 통하여 등기라는 공시를 하여야 한다.

정답 : ④
④ ‘근저당권’이란 장래의 채권을 위한 담보로서 저당권의 부종성 완화에 의해서 인정된 담보
제도이다(민법 제357조 참조). 즉, 근저당권은 계속적인 채권·채무관계로부터 발생하는 장래
증감, 변동하는 불특정의 채권을 장래의 결산기에 일정한 한도액까지 담보하기 위해 설정하는
저당권이다. 피담보채권이 확정되기 전에는 이미 발생한 개별 채권이 변제로 소멸하여도 근저
당권은 소멸하지 않는다. 그러나 현재 및 장래 증감, 변동하는 채무를 담보하는 근저당권의
성질상 어느 시점에 가서는 피담보채권이 확정되어야 한다. 즉, 피담보채권이 확정되지 않으
면 근저당권을 실행할 수 없다.
② 그러나, 확정전에는 피담보채권이 일시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근저당권은 소멸되
지 않는다.
⑤ 근저당권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당사자 사이의 설정계약 외에 근저당권자는 법원을 통하여
등기라는 공시를 하여야 한다. 여기서 법원은 구체적으로는 ‘법원등기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① 근저당권을 등기함에 있어서 근저당권임을 명시하고 채권최고액을 반드시 명시하여야 한
다. 채권최고액의 담보범위는 이자를 포함한다.
③ 원본과 이자가 채권최고액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만 담보권의 효력이 미친다. 즉, 채권최
고액을 초과한 부분에 대하여 근저당권자는 우선변제 받을 권리가 없다.

- 17 -
24. 양도담보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양도담보설정자는 목적물을 처분할 수 없다.
② 환매나 재매매의 예약은 본등기라 할 수 있는 점에서 같다.
③ 목적물의 점유·이용 여부는 양도담보의 설정요소가 아니다.
④ 동산·부동산 뿐만 아니라, 양도 가능한 것이면 모두 양도담보의 목적으로 할 수 있다.
⑤ 양도담보의 목적물임을 알고 채권자로부터 이를 매수한 자도 유효하게 소유권을 취득한다.

정답 : ②
① ‘양도담보’라 함은 채권의 담보로서 담보목적물의 소유권을 채권자에게 이전하고 채권의
변제시 담보목적물의 소유권을 원래의 소유자에게 회복시키는 방법으로 채권을 담보하는 형태
의 계약을 말한다. 따라서, 양도담보설정자는 대외적으로 담보목적물의 소유자가 아니므로 이
를 처분할 수 없다.
⑤ 그리고 대외적으로는 채권자가 소유자이므로 양도담보의 목적물임을 알고 채권자로부터 이
를 매수한 자도 유효하게 소유권을 취득한다.
③ 양도담보목적물의 점유·이용 여부는 양도담보의 설정요소가 아니므로 양도담보설정자는 당
사자간의 합의로 목적물을 이용할 수 있다.
④ 양도담보의 목적물로 할 수 있는 재산권은 부동산, 동산, 채권 등 제한이 없는바, 재산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서 양도성이 있으면 된다.
② 넓은 의미의 양도담보는 담보제공자가 필요한 자금을 획득하는 방법에 따라 매매의 형식
(구체적으로 환매 또는 재매매의 예약)을 이용하는 매도담보와 소비대차의 형식을 이용하는
좁은 의미의 양도담보로 나뉜다. ‘환매’란 매도인이 매매계약과 동시에 매수인과의 특약으로
환매권을 보류한 경우에, 일정한 기간 내에 그 환매권을 행사하여 그 매매목적물을 도로 찾는
것을 말하고(민법 제590조), ‘재매매의 예약’이란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물건이나 권리를 매도
한 후 다시 그 물건이나 권리를 매수할 것을 예약하는 것이다. 환매특약의 등기는 권리취득을
위한 소유권이전등기에 대한 부기등기의 형식으로 이루어지고(부동산등기법 제52조 제6호, 제
53조), 재매매예약의 경우 예약완결권을 가등기 할 수 있다(동법 제88조, 제3조).

25. 다음은 담보물권의 공통적인 성질과 효력에 관하여 기술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담보물권의 특성으로는 부종성, 수반성, 물상대위성, 불가분성이 있다.
② 담보물권은 일반적으로 부종성이라는 특성을 가지나, 근저당권에서는 부종성이 다소 완화
된다.
③ 물상대위성이란 담보물권의 목적물이 멸실·훼손·공용징수·매매됨으로써 성립한다.
④ 담보물권의 효력으로는 유치적 효력, 우선변제적 효력, 수익적 효력이 있다.
⑤ 물상대위성은 우선변제적 효력이 있는 담보물권에 인정되므로 질권이나 저당권에 적용된
다.

정답 : ③,④ (복수정답인정)

- 18 -
① 담보물권의 특성으로는 부종성, 수반성, 물상대위성, 불가분성이 있다.
② 담보물권은 일반적으로 부종성이라는 특성을 가지나, 근저당권에서는 부종성이 다소 완화
된다.
③ ‘물상대위성’이란 약정담보물권에 있어서 그 목적물이 멸실·훼손 또는 공용징수로 인하여
보험금청구권, 손해배상청구권, 보상금청구권 등 금전채권으로 변하게 되는 때에 보험금청구
권, 손해배상청구권, 보상금청구권 등에 담보물권의 효력이 미치는 성질을 말한다(민법 제342
조, 제370조 참조). 매매는 우선변제적 효력을 여전히 유지하게 되어(추급효) 물상대위성이 인
정될 사유가 아니다.
④ 담보물권은 채권의 존재만 소명되면 절차(부동산 임의경매 등)에 따라 담보목적물을 처분
할 수 있는 처분적 효력, 채무자로부터 주관적 가치가 많은 물건을 빼앗음으로써 심리적 압박
을 가하여 채무의 변제를 촉구하는 유치적 효력, 채무불이행의 경우에 그 목적물의 교환가치
로부터 우선변제를 받는 방법인 우선변제적 효력, 주택의 소유권이 이전되더라도 저당권의 효
력은 담보목적물에 계속 미치는 추급효가 있다. 수익적 효력은 담보권자인 채권자가 담보목적
물로 생기는 수익으로 채무변제에 충당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우리 민법이 인정하는 담보
물권(유치권, 질권, 저당권)에는 수익적 효력을 갖는 경우는 없다(신용관리협회 이의제기 검토
결과 복수정답인정).
⑤ 물상대위성은 우선변제적 효력이 있는 약정담보물권에 인정되므로 질권이나 저당권에 적용
되고, 법정담보물권인 유치권은 유치권자가 경매청구권을 가지지만, 그 매각대금으로부터 우
선변제를 받을 권능은 가지지 못하므로 물상대위성을 인정할 여지가 없다.

- 19 -
[제3과목] 신용관리실무(25문제)

26. 다음 중 신용거래능력판단정보(신용정보주체의 신용거래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로


옳은 것은?
① 개인의 직업·재산·채무·소득의 총액 및 납세실적
② 금융거래 등 상거래와 관련하여 그 거래의 종류, 기간, 금액 및 한도 등에 관한 사항
③ 금융거래 등 상거래와 관련하여 발생한 연체, 부도, 대위변제 등에 관한 사항
④ 생존하는 개인의 성명, 연락처, 성별, 국적 등에 관한 사항
⑤ 부정한 방법에 의한 신용질서 문란행위와 관련된 금액 및 발생·해소의시기 등에 관한 사항

정답 : ①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신용정보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신용정보”란 금융거래 등 상거래에 있어서 거래 상대방의 신용을 판단할 때 필요한 다음
각 목의 정보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정보를 말한다.
가. 특정 신용정보주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나. 신용정보주체의 거래내용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
다. 신용정보주체의 신용도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
라. 신용정보주체의 신용거래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
마. 그 밖에 가목부터 라목까지와 유사한 정보

신용정보법 시행령 제2조(정의)


①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 제1호 각 목 외의 부
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정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정보를 말한다. 다
만, 다른 법령에 따라 공시(公示) 또는 공개된 정보나 다른 법령에 위반됨이 없이 출판물 또는
방송매체나 국가·지방자치단체 또는 공공기관(「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2조 제3
호의 기관 중 국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를 제외한 기관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의 인
터넷 홈페이지 등의 공공매체를 통하여 공시 또는 공개된 정보는 제외한다.
4. 법 제2조 제1호 라목의 신용정보주체의 신용거래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 : 금융거래
등 상거래에서 신용거래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정보
가. 개인의 직업·재산·채무·소득의 총액 및 납세실적
나. 기업 및 법인의 연혁·목적·영업실태·주식 또는 지분보유 현황 등 기업 및 법인의 개황(槪
況), 대표자 및 임원에 관한 사항, 판매명세·수주실적 또는 경영상의 주요 계약 등 사업의 내
용, 재무제표(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기업의 경우에는 연결재무제표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
등 재무에 관한 사항과 감사인(「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2조 제7호에 따른 감
사인을 말한다. 이하 같다)의 감사의견 및 납세실적

- 20 -
27. 다음은 신용정보회사의 금지사항에 대한 설명이다. 금지사항이 아닌 것만 고른 것은?

㉠ 신용정보에 관한 조사 의뢰를 강요하는 행위


㉡ 금융거래 등 상거래관계 외의 사생활 등을 조사하는 행위
㉢ 채권추심회사가 그 업무를 하기 위하여 특정인의 소재 및 연락처를 알아내는 행위
㉣ 정보원, 탐정, 그 밖에 이와 비슷한 명칭을 사용하는 행위

① ㉠, ㉡, ㉣
② ㉢
③ ㉡, ㉣
④ ㉡
⑤ ㉠, ㉡

정답 : ②
신용정보법 제40조(신용정보회사등의 금지사항)
신용정보회사등은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되며, 신용정보회사등이 아니면 제4호
본문의 행위를 업으로 하거나 제5호의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의뢰인에게 허위 사실을 알리는 일
2. 신용정보에 관한 조사 의뢰를 강요하는 일
3. 신용정보 조사 대상자에게 조사자료 제공과 답변을 강요하는 일
4. 특정인의 소재 및 연락처(이하 “소재등”이라 한다)를 알아내거나 금융거래 등 상거래관계
외의 사생활 등을 조사하는 일. 다만, 채권추심업을 허가받은 신용정보회사가 그 업무를 하기
위하여 특정인의 소재등을 알아내는 경우 또는 다른 법령에 따라 특정인의 소재등을 알아내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5. 정보원, 탐정, 그 밖에 이와 비슷한 명칭을 사용하는 일
6. 삭제 <2013. 5. 28.>
7. 개인신용정보 또는 개인식별정보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전자적 매체나 방식을 이용하여
영리목적의 광고성 정보를 전송하는 행위에 이용하는 일.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
당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가. 신용정보주체로부터 별도의 동의를 받은 경우
나. 기존에 체결한 금융거래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다.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

28. 신용정보회사가 수집·조사할 수 없는 정보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국가의 안보 및 기밀에 관한 정보
② 기업의 영업비밀 또는 독창적인 연구개발 정보
③ 확실하지 아니한 개인신용정보
④ 채권추심 목적으로 신용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
⑤ 개인의 정치적 사상, 종교적 신념, 그 밖에 신용정보와 관계없는 사생활에 관한 정보

- 21 -
정답 : ④
신용정보법 제16조(수집·조사 및 처리의 제한)
① 신용정보회사등은 다음 각 호의 정보를 수집·조사하여서는 아니 된다.
1. 국가의 안보 및 기밀에 관한 정보
2. 기업의 영업비밀 또는 독창적인 연구개발 정보
3. 개인의 정치적 사상, 종교적 신념, 그 밖에 신용정보와 관계없는 사생활에 관한 정보
4. 확실하지 아니한 개인신용정보
5. 다른 법률에 따라 수집이 금지된 정보
6.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정보
② 신용정보회사등이 개인의 질병에 관한 정보를 수집·조사하거나 타인에게 제공하려면 미리
제32조 제1항에 따른 해당 개인의 동의를 받아야 하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목적으로만 그
정보를 이용하여야 한다.

29. 다음 중 「신용정보법」상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하는 자는?


① 업무정지 기간에 업무를 한 신용정보회사
② 신용정보집중기관이 아니면서 신용정보공동전산망을 구축한 자
③ 금융위원회의 허가 또는 인가 없이 신용정보업을 한 자
④ 모집업무수탁자가 불법취득신용정보를 모집업무에 이용하였는지 등을 확인하지 아니한 신
용정보제공·이용자
⑤ 위임직채권추심인으로 금융위원회에 등록하지 아니하고 채권추심업무를 한 자

정답 : ③
신용정보법 제50조(벌칙) (징역형 또는 벌금형)
(1)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제1항)
업무상 알게 된 타인의 신용정보 및 사생활 등 개인비밀을 업무 목적 외에 누설·이용한 신용정보업관
련자(제42조 제1항)나 누설된 개인비밀을 취득하여 누설된 것임을 알면서도 그 개인비밀을 타인에게
제공·이용하는 자(제3항)
(2)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제2항)
① 신용정보업 허가 또는 인가 규정(제4조 제2항 또는 제10조 제1항)을 위반하여 허가 또는 인가를 받지
아니하고 제4조 제1항 각 호의 업무를 한 자(제1호)
②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제4조 제2항 또는 제10조 제1항에 따른 허가 또는 인가를 받
은 자(제2호)
③ 수집·조사 및 처리의 제한 규정(제16조)을 위반한 자(제3호)
④ 위탁받은 업무 범위를 초과하여 제공받은 신용정보를 이용한 자(제17조 제6항)(제4호)
⑤ 권한 없이 신용정보전산시스템의 안전보호 규정(제19조 제1항)에 따른 신용정보전산시스템의 정
보를 변경·삭제하거나 그 밖의 방법으로 이용할 수 없게 한 자 또는 권한 없이 신용정보를 검색·복제
하거나 그 밖의 방법으로 이용한 자(제5호)

- 22 -
⑥ 무허가 채권추심업자에 대한 업무위탁의 금지 규정(제27조의2)을 위반하여 채권추심회사 외의
자에게 채권추심업무를 위탁한 자(제5의2호)
⑦ 개인신용정보의 제공·활용에 대한 동의 규정(제32조 제1항 또는 제2항)을 위반한 자(제34조에 따라
준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제6호)
⑧ 개인신용정보의 이용 규정(제33조)을 위반한 자(제34조에 따라 준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제7호)
⑨ 신용정보회사등과 신용정보업관련자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신용정보를 타인에게 제공한 자(제42조
제4항)(제8호)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제3항)
① 허가 등의 취소와 업무의 정지 규정(제14조 제2항)에 따른 업무정지 기간에 업무를 한 자(제1호)
② 신용정보집중기관이 아니면서 신용정보집중기관 규정(제25조 제6항)에 따른 공동전산망을 구축한
자(제2호)
③ 신용정보회사등의 금지사항 규정(제40조 제1호부터 제5호까지)의 어느 하나를 위반한 자(제3호)
④ 자기의 명의를 빌려주어 타인으로 하여금 채권추심업을 하게 한 채권추심회사(제41조 제1항)(제4
호)
⑤ 모집업무수탁자의 모집경로 확인 규정(제41조의2 제1항)을 위반하여 모집업무수탁자가 불법취득
신용정보를 모집업무에 이용하였는지 등을 확인하지 아니한 자(제5호)
(4)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제4항)
① 지배주주의 변경승인 규정(제9조 제1항)을 위반하여 승인 없이 주식을 취득한 자(제1호)
② 승인 없이 취득한 주식의 처분 명령 규정(제9조 제2항)에 따른 명령을 위반하여 승인 없이 취득한
주식을 처분하지 아니한 자(제2호)
③ 일정한 요건을 갖추지 아니한 자에게 신용정보의 처리를 위탁한 자 및 그 위탁을 받은 자(제17조
제2항 위반)(제3호)
④ 신용정보주체에게 불이익을 줄 수 있는 오래된 신용정보를 삭제하지 아니한 신용정보회사(제18조
제2항 위반)(제4호)
⑤ 신용정보 업무처리기록의 보존에 관한 제한 규정(제20조 제2항)을 위반한 자(제5호)
⑥ 위임직채권추심인으로 금융위원회에 등록하지 아니하고 채권추심업무를 한 자(제27조 제3항 위
반)(제6호)
⑦ 소속 채권추심회사 외의 자를 위하여 채권추심업무를 한 위임직채권추심인(제27조 제4항 위반)(제
7호)
⑧ 추심채권이 아닌 채권을 추심하거나 등록되지 아니한 위임직채권추심인, 다른 채권추심회사의 소
속으로 등록된 위임직채권추심인 또는 업무정지 중인 위임직채권추심인을 통하여 채권추심업무를 한
자(제27조 제5항 위반)(제8호)
⑨ 영업정지 중에 채권추심업무를 한 자(제27조 제7항 위반)(제9호)

30. 다음은 「신용정보법」 상 신용정보회사등과 그 밖의 신용정보 이용자의 손해배상책임과 관


련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 신용정보회사등이나 그 밖의 신용정보 이용자(수탁자를 포함한다)가 고의 또는 중대한

- 23 -
과실로 이 법을 위반하여 개인신용정보가 누설되거나 분실·도난·누출·변조 또는 훼손되
어 신용정보주체에게 피해를 입힌 경우에는 해당 신용정보주체에 대하여 그 손해의 (
) 배를 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배상할 책임이 있다.
∙ 신용정보회사등이나 그 밖의 신용정보 이용자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이 법의 규정을 위
반하고, 개인신용정보가 분실·도난·누출·변조 또는 훼손된 경우 신용정보주체는 구체적
피해액 입증 없이도 ( ) 이하의 범위에서 상당한 금액을 손해액으로 하여 배상을 청
구할 수 있다.

① 5 – 500만원
② 3 – 300만원
③ 10 - 1,000만원
④ 5 – 300만원
⑤ 3 - 500만원

정답 : ②
신용정보법 제43조(손해배상의 책임)
① 신용정보회사등과 그 밖의 신용정보 이용자가 이 법을 위반하여 신용정보주체에게 피해를
입힌 경우에는 해당 신용정보주체에 대하여 손해배상의 책임을 진다. 다만, 신용정보회사등과
그 밖의 신용정보 이용자가 고의 또는 과실이 없음을 증명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신용정보회사등이나 그 밖의 신용정보 이용자(수탁자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가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이 법을 위반하여 개인신용정보가 누설되거나 분실·도난·누출·변조
또는 훼손되어 신용정보주체에게 피해를 입힌 경우에는 해당 신용정보주체에 대하여 그 손해
의 3배를 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배상할 책임이 있다. 다만, 신용정보회사등이나 그 밖의 신
용정보 이용자가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이 없음을 증명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③ 법원은 제2항의 배상액을 정할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1. 고의 또는 손해 발생의 우려를 인식한 정도
2. 위반행위로 인하여 입은 피해 규모
3. 위반행위로 인하여 신용정보회사등이나 그 밖의 신용정보 이용자가 취득한 경제적 이익
4. 위반행위에 따른 벌금 및 과징금
5. 위반행위의 기간·횟수 등
6. 신용정보회사등이나 그 밖의 신용정보 이용자의 재산상태
7. 신용정보회사등이나 그 밖의 신용정보 이용자의 개인신용정보 분실·도난·누출 후 해당 개인
신용정보 회수 노력의 정도
8. 신용정보회사등이나 그 밖의 신용정보 이용자의 피해구제 노력의 정도
④ 채권추심회사 또는 위임직채권추심인이 이 법을 위반하여 채무자 및 그 관계인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에는 그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다만, 채권추심회사 또는 위임직채권추심인이 자
신에게 고의 또는 과실이 없음을 증명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⑤ 제4조 제1항의 업무를 의뢰받은 신용정보회사가 자신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의뢰인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에는 그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⑥ 제17조 제2항에 따라 신용정보의 처리를 위탁받은 자가 이 법을 위반하여 신용정보주체에
게 피해를 입힌 경우에는 위탁자는 수탁자와 연대하여 손해배상책임을 진다.

- 24 -
⑦ 위임직채권추심인이 이 법 또는 「채권의 공정한 추심에 관한 법률」을 위반하여 채무자나
채무자의 관계인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채권추심회사는 위임직채권추심인과 연대하여 손해배
상책임을 진다. 다만, 채권추심회사가 자신에게 고의 또는 과실이 없음을 증명한 경우에는 그
러하지 아니하다.

신용정보법 제43조의2(법정손해배상의 청구)


① 신용정보주체는 다음 각 호의 모두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 내에
신용정보회사등이나 그 밖의 신용정보 이용자(수탁자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에게
제43조에 따른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대신 300만원 이하의 범위에서 상당한 금액을 손해액으
로 하여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신용정보회사등이나 그 밖의 신용정보 이용자
는 고의 또는 과실이 없음을 입증하지 아니하면 책임을 면할 수 없다.
1. 신용정보회사등이나 그 밖의 신용정보 이용자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이 법의 규정을 위반한
경우
2. 개인신용정보가 분실·도난·누출·변조 또는 훼손된 경우
② 법원은 제1항에 따른 청구가 있는 경우에 변론 전체의 취지와 증거조사의 결과를 고려하여
제1항의 범위에서 상당한 손해액을 인정할 수 있다.
③ 제43조에 따른 청구를 한 자는 법원이 변론을 종결할 때까지 그 청구를 제1항에 따른 청
구로 변경할 수 있다.

31. 대출금 1,500만원이 연체되어 (일반)신용정보관리규약에 따라 2015. 5. 20. 연체정보가


등재된 후 2016. 10. 20. 연체대출금 전액이 상환되었다면 연체정보의 기록보존기간으로 적절
한 것은?
① 2016. 10. 20. 상환 즉시 삭제
② 2017. 10. 20.까지 보존
③ 2018. 10. 20.까지 보존
④ 2019. 10. 20.까지 보존
⑤ 2020. 10. 20.까지 보존

정답 ②
일반신용정보관리규약에 따르면 신용도판단정보 중 연체정보는 일정기간 보존하게 되어 있는
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해제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다음 각 호의 기간동안 보존
1. 등록금액 1천만원을 초과하는 정보의 경우 다음 각 목에 따라 보존
가. 등록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90일 이내에 해제된 경우 보존기간 없음
나. 채무를 변제하지 아니한 기간. 다만, 채무를 변제하지 아니한 기간이 1년을 초과하는
경우 1년
2. 등록금액 1천만원 이하인 정보의 경우에는 보존기간 없음. 다만, 해제사유 제19호 다목에
따라 해제된 경우 1년

- 25 -
• 사안의 경우 대출금이 1천만원을 초과하고 채무를 변제하지 아니한 기간이 1년을 초과한 경
우이므로 1년동안 보존하므로 2016. 10. 20.에 연체대출금이 전액상환되었다면 2017. 10.
20.까지 연체정보의 기록을 보존하게 된다.

32. (일반)신용정보관리규약에 따른 연체정보 등록사유에 해당하는 자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5만원 이상의 할부금융 대금을 3개월 이상 연체한 자
② 5만원 이상의 카드론 대금을 3개월 이상 연체한 자
③ 5만원 이상의 신용카드 대금을 3개월 이상 연체한 자
④ 분할상환방식의 개인주택자금 대출금을 9개월 이상 연체한 자
⑤ 5만원 이상의 학자금 대출금을 3개월 이상 연체한 자

정답 : ⑤
일반신용정보관리규약상 신용도판단정보 중 연체정보의 등록사유는 다음과 같은바, 5만원 이
상의 학자금 대출금은 6개월 이상 연체한 경우 연체정보의 등록사유에 해당한다.
④는 금액과 무관하게 등록한다고 설명한 것이 아니라 단지 금액 기준을 명확히 언급하지 않
을 뿐이므로 이의제기에 따른 복수정답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등록 해제사유
구분 등록사유 보존기간 등록시기 비고
코드 (해제코드)
1 대출원금, 이자 등을 3개월 0101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
이상 연체한 자 당하는 경우
2. 분할상환방식의 개인주택자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제사유가 발생한
금대출금을 9개월 이상 연체
한 자(다만, 만기 경과시에 0102 해당하는 경우(이하 “채무 날로부터 다음 각 호
자변제”라 한다)(01) 의 기간동안 보존
는 3개월 이후 등록한다) 가. 채무자(관련인을 포함
한다)가 채무를 변제한 경 1.원을등록금액 1천만
3. 신용보증기금이 보증한 청년 우(기일경과어음미결제정 보의 경우 다음 정각
초과하는
창업대출의 대출원금, 이자 보, 무보증회사채상환불이
등을 6개월 이상 연체한 자 0114 행정보, 무담보미수채권정 목에 따라 보존
가. 등록사유가
(다만, 만기 경과시에는 3 연체기산일 보는 제외한다) 발생한 날로부터
개월 이후 등록한다.) 현재 남은 나. 금융기관이 정한 본인 90일 이내에 해제
대출원금이 5 부담액을 정리한 경우(관련 된없음경우 보존기간 사유발생
대출금 4. 학자금 대출 등의 대출원금, 만원 이상(특 인정보에 한한다) 일로부터7
연 체 한 자(다만,6개월
이자 등을 이상 연체
만기 경과시에
수채권 제 다. 기일경과어음을 결제 하지 나. 채무를 변제 영업일 이
한 경우(기일경과어음미결 다만,아니한 기간.
외)으로서 해 내
는 3개월 이후 등록한다). 당 기간 경과 채무를 변제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시등록 제정보에 한한다) 하지 아니한 기간
해당하는 경우 재등록(등록 라. 만기도래 지급제시 무 이 1년을 초과하
사유발생일은 당초사유발생 보증 회사채를 상환한 경우 는 경우 1년
일로 한다) (무보증회사채상환불이행정 2. 등록금액 1천만
1. 대학의 학적 조사결과 0115 보에 한한다)
졸업후 24개월이 경과한
자로서 연체가 해소되지 않 마. 무담보미수채권을 상환 원경우에는이하인 정보의
보존기
은 경우 한 경우(무담보미수채권정 간 없음. 다만, 해
2. 중소기업(「중소기업기 보에 한한다) 제사유 제19호다
본법」제2조에 해당하는 기 2. 보증인(관련인을 제외한 목에 따라 해제된
업에 한하다. 이하 같다) 다)이 채무을 변제한 경우 경우 1년
재직으로 인한 연체정보 해 (이하 “보증인변제”라 한
제자로서 24개월이 경과한
시점에 연체가 해소되지 않 다)(02)

- 26 -
3. 금융기관이 채권을 법적절
차 등에 의해 회수한 경우
(이하 “강제회수”라 한
은 경우 다)(03)
3. 중소기업 재직으로 인한 4. 금융기관이 채권을 감면,
연체정보 해제자 중 국민건 면제, 포기한 경우(이하
강보험공단 확인 결과 24개 “손실처리”라 한다)(04)
월이 경과하기 전 중소기업 5. 개별 금융기관의 신용회복
을 퇴직한 자로서 연체가
해소되지 않은 경우 지원이 있는 경우(신용회복
지원의 효력이 미치는 채무
에 관련된 정보에 한한
다)(06)
6. 채무자변제 및 손실처리
(07)
5. 농림축산식품부지원 학자금 7. 보증인변제 및 손실처리
융자사업의 대출원금 또는 (08)
교육부지원 무상학자금대여 8. 강제회수 및 손실처리
사업의 대출원금 등을 10 (09)
개월 이상 연체한 자 (농림 9. 신용회복위원회의 신용회
축산식품부 융자의 경우 복지원 확정이 있는 경우
‘10년도, ’11년도 대출건 (신용회복지원 확정의 효력
및 2015.12.31. 이전 발 이 미치는 채무에 관련된
생한 연체) 정보에 한한다)(10)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재등록(등록 10. 신용회복지원(한마음금
사유발생일은 당초사유발생 0116 융)이 있는 경우(신용회복
일로 한다) 지원(한마음금융)의 효력이
1. 중소기업 재직으로 인한 미치는 채무에 관련된 정보
연체정보 해제자로서 24개 에 한한다)(11)
월이 경과한 시점에 연체가 1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
해소되지 않은 경우
2. 중소기업 재직으로 인한 에 해당하는 경우(12)
연체정보 해제자 중 국민건 가. 회생계획인가결정이 있
강보험공단 확인 결과 24개 는 경우(회생계획인가결정
월이 경과하기 전 중소기업 의 효력이 미치는 채무에 사유발생 한국장
을 퇴직한 자로서 연체가 관련된 정보에 한한다) 일로부터7 학
해소되지 않은 경우 나. 변제계획인가결정이 있 영업일 이 재단에
는 경우(변제계획인가결정 내 한함
의 효력이 미치는 채무에
6. 농림축산식품부 지원 학자금 관련된 정보에 한한다)
융자사업의 대출원금 등을 12. 소멸시효가 완성된 경우
6개월이상 연체한 자 (13)
(2016.1.1. 이후 발생한 13. 파산면책결정이 있는 경
연체. 다만, ‘10년도, ’11년 우(파산면책결정의 효력이
도 대출 건 제외) 미치는 채권에 관련된 정보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에 한한다)(14)
해당하는 경우 재등록(등록 14. 개인의 사망 또는 법인
사유발생일은 당초사유발생
일로 한다)
1. 중소기업 재직으로 인한 0117 15.의 채권을
청산(15)
금융기관이 아닌
연체정보 해제자로서 24개 자에게 양도한 경우(16)
월이 경과한 시점에 연체가 16. 채권을 금융기관에 양도
해소되지 않은 경우 한 경우(17)
2. 중소기업 재직으로 인한 17.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
연체정보 해제자 중 국민건
강보험공단 확인 결과 24개 에 해당하는 경우로 하되
월이 경과하기 전 중소기업 해제한 기간은 합산하여
을 퇴직한 자로서 연체가 36개월을 초과할 수 없음
해소되지 않은 경우 (등록코드0115에 한한

- 27 -
6의2. 근로복지공단이 신용보증
또는 융자 결정한 학자금 대 0118
출 등의 대출원금, 이자 등
을 3개월 이상 연체한 자
7. 5만원 이상의 카드론대금을 3개월 이상 0103
연체한 자
신카 용드 8. 5만원 이상의 신용카드대금을 3개월 이상 0104
대연 금체 연체한 자 해제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다음 각 호
다)(99) 의 기간동안 보존
가. 대학의 학적 조사결과 1. 등록금액 5백만
졸업후 24개월이 경과하지 원을 초과하는 정
않은 자 보의 경우 다음 각
나. 중소기업 재직자(신청 목에 따라 보존
자에 한하며, 동 사유로 해 발생한 등록사유가
가.
날로부터
제한 기간은 합산하여 24 90일 이내에 해제
개월을 초과할수 없음) 된 경우 보존기간 사유발생
18. 중소기업 재직자(신청자 없음 일로부터7
에 한하며, 동 사유로 해제 하지나. 채무를 변제 영업일 이
할금 부융 한 기간은 합산하여 24개 다만,아니한 기간. 내
9. 5만원 이상의 할부금융대금을 3개월 이상 0105 월을 초과할 수 없음)(등록 하지 아니한 변제 채무를
기간
대연 금체 연체한 자 코드0116 및 0117에 한 이 1년을 초과하
한다)(99) 는 경우 1년
19.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
에 해당하는 경우(99) 2. 등록금액 5백만
가. 기타 채무가 소멸되거 원경우에는 이하인 정보의
보존기
나 채무의 이행을 재판상 간 없음. 다만,
청구할 수 없게 된 경우(보 제사유 제19호다해
전처분등으로 채무의 이행 목에 따라 해제된
을 재판상 청구할 수 없게 경우 1년
된 경우는 제외한다)
나. 채무의 상환을 유예한
경우
10. 매입외환 부도대전 미결제액 다. 등록사유 발생일로부터 해제사유가 발생한
7년이 경과한 경우 날로부터 다음 각 호
매입 을 취급점의 부도 또는 차기 의 기간동안 보존
외환 통지접수일에 3영업일을 가산 0106
연체 한 날로부터 3개월 이상 보유 1. 등록금액 1천만
하고 있는 자(추심후지급 부도 연체기산일 원을 초과하는 정
포함) 현재 남은 보의 경우 다음 각
대출원금이 5 목에 따라 보존 사유발생
만원 이상(특 가. 등록사유가 일로부터7
수채권
11. 외환관련 수수료 및 기한부 외)으로서 해 제 발생한 날로부터 영업일 이
수입신용장에 의한 이자의 미 당시등록
기간 경과 90일 이내에 해제 내
외환 된 경우 보존기간
관련 결제액을 취급점의 부도 또는 0107 없음
차기 통지접수일에 3영업일 나. 채무를 변제
연체 하지 아니한 기간.
을 가산한 날로부터 3개월 다만, 채무를 변제
이상 보유한 자 하지 아니한 기간
이 1년을 초과하

- 28 -
해 외 12. 해외대출금을 3개월 이상 연
대출금 체한 자 0108
연체
는 경우 1년
기일 2. 등록금액 1천만 종금사
경 과 13. 만기일경과어음을1개월이상 원 이하인 정보의 및 은행
어 음 미결제한자 0109 경우에는 보존기 종금계
간 없음. 다만, 해 정 CP
미결제 제사유 제19호다 에한함
목에 따라 해제된
경우 1년
무보증 14. 만기도래하여 지급제시된 무
회사채 보증회사채에 대하여 상환약 0110
상 환 정금의 지급을불이행한자
불이행
무담보 15. 무담보미수채권을 3개월 이상 보존기간 없음. 다 증권사
미 수 보유한 자 0111 만, 해제사유제19호 및 한국
채권 다목에 따라 해제된 증권금융
경우 1년 에한함

해제사유가 발생한
부 실 16.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인수한 부 날로부터 다음 각 호
채 권 실채권차주 0112 의 기간동안 보존
인수 1. 등록금액 1천만
원을 초과하는 정
보의 경우 다음 각
목에 따라 보존
가. 등록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연체기산일
현재 남은 90일 이내에 해제
대출원금이 5 된 경우 보존기간 사유발생
만원 이상(특 없음 일로부터7
수채권 제 나. 채무를 변제 영업일 이
외)으로서 해 하지 아니한 기간. 내
당 기간 경과 다만, 채무를 변제
시등록 하지 아니한 기간
이 1년을 초과하
부 실 17. 정리금융공사가 인수한 부실 는 경우 1년
채 권 채권차주 0113 2. 등록금액 1천만
차주 원 이하인 정보의
경우에는 보존기
간 없음. 다만, 해
제사유 제19호다
목에 따라 해제된
경우 1년

- 29 -
33. 부동산등기부(등기사항증명서)상 등기권리 순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A 부동산등기부(등기사항증명서)상 2018. 1. 20. 을구란의 근저당 등기가 설정되었고
2018. 1. 25. 갑구란에 가압류가 기입되었다면 근저당 등기가 앞선다.
② B 부동산등기부(등기사항증명서)상 을구란에 저당권이 1순위 등기, 전세권이 2순위 등기인
경우 순위등기가 앞선 저당권이 우선한다.
③ C 부동산등기부(등기사항증명서)상 갑구란에 2018. 5. 25.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 가등기가
설정되고, 을구란에 2018. 5. 30. 저당권이 설정된 경우, 가등기권자가 2018. 6. 15. 본등기
를 한 경우 중간처분등기인 저당권은 직권으로 말소된다.
④ 부기등기 순위는 주등기 순위에 의한다.
⑤ D 부동산등기부(등기사항증명서)상 갑구란의 가처분 등기와 을구란의 저당권 등기의 접수
일자가 동일하면 동일순위로 한다.

정답 : ⑤
같은 부동산에 관하여 등기한 권리의 순위는 법률에 다른 규정이 없으면 등기한 순서에 따른
다(부동산등기법 제4조 제1항).
① 따라서, A 부동산등기부(등기사항증명서)상 2018. 1. 20. 을구란의 근저당 등기가 설정되
었고 2018. 1. 25. 갑구란에 가압류가 기입되었다면 근저당 등기가 앞서고,
② B 부동산등기부(등기사항증명서)상 을구란에 저당권이 1순위 등기, 전세권이 2순위 등기인
경우 순위등기가 앞선 저당권이 우선한다.
⑤ 그리고, 등기의 순서는 등기기록 중 같은 구(區)에서 한 등기 상호간에는 순위번호에 따르
고, 다른 구에서 한 등기 상호간에는 접수번호에 따른다(동법 제4조 제2항). 따라서, D 부동산
등기부(등기사항증명서)상 갑구란의 가처분 등기와 을구란의 저당권 등기의 접수일자가 동일
하면 다른 구에서 한 등기 상호간이므로 접수번호에 따라 순위를 정한다.
③ 가등기에 의한 본등기를 한 경우 본등기의 순위는 가등기의 순위에 따른다(동법 제91조).
그리고, 등기관은 가등기에 의한 본등기를 하였을 때에는 대법원규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가등기 이후에 된 등기로서 가등기에 의하여 보전되는 권리를 침해하는 등기를 직권으로 말소
하여야 한다(동법 제92조 제1항). 따라서 C 부동산등기부(등기사항증명서)상 갑구란에 2018.
5. 25.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 가등기가 설정되고, 을구란에 2018. 5. 30. 저당권이 설정된 경
우, 가등기권자가 2018. 6. 15. 본등기를 한 경우 중간처분등기인 저당권은 직권으로 말소된
다.
④ 부기등기(附記登記)의 순위는 주등기(主登記)의 순위에 따른다. 다만, 같은 주등기에 관한
부기등기 상호간의 순위는 그 등기 순서에 따른다(동법 제5조).

34. 다음 중 「부정수표단속법」상의 부정수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금융기관과의 수표계약 없이 발행한 수표
② 가공인물의 명의(가설명의)로 발행한 수표
③ 배서를 금지한 수표

- 30 -
④ 금융기관에 등록된 것과 다른 서명 또는 기명날인으로 발행한 수표
⑤ 금융기관으로부터 거래정지처분을 받은 후에 발행한 수표

정답 : ③
부정수표단속법 제2조(부정수표 발행인의 형사책임)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부정수표를 발행하거나 작성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수표금액의 10배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가공인물의 명의로 발행한 수표
2. 금융기관(우체국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과의 수표계약 없이 발행하거나 금융기관으로부터
거래정지처분을 받은 후에 발행한 수표
3. 금융기관에 등록된 것과 다른 서명 또는 기명날인으로 발행한 수표
② 수표를 발행하거나 작성한 자가 수표를 발행한 후에 예금부족, 거래정지처분이나 수표계약
의 해제 또는 해지로 인하여 제시기일에 지급되지 아니하게 한 경우에도 제1항과 같다.
③ 과실로 제1항과 제2항의 죄를 범한 자는 3년 이하의 금고 또는 수표금액의 5배 이하의 벌
금에 처한다.
④ 제2항과 제3항의 죄는 수표를 발행하거나 작성한 자가 그 수표를 회수한 경우 또는 회수
하지 못하였더라도 수표 소지인의 명시적 의사에 반하는 경우 공소를 제기할 수 없다.

35. 100,000원권 수표 5매를 분실한 A가 취하여야 할 조치로서 옳은 것은?


① 공시송달
② 공시최고
③ 공정증서(집행증서) 작성
④ 이득상환청구권 행사
⑤ 비용상환청구권 행사

정답 : ②
수표를 분실하면 관할법원에 공시최고 및 제권판결신청을 해야 하는데, 구체적인 수표 분실시
처리절차는 다음과 같다.

- 31 -
① 지급지은행에 분실신고 및 지급정지 신청
② 관할경찰서에 분실신고 → 분실신고접수증
③ 관할법원에 공시최고 및 제권판결 신청
→ 신청서 1부, 목록 10통, 첨부서류
→ 인지대 및 송달료(3회분) 납부
④ 사건번호 부여 및 신문공고료 납부서 발급
→ 신문공고료 납부
→ 접수증명원 발급
⑤ 공시최고 → 통상 3개월
⑥ • 권리신고자가 있는 경우 → 권리청구신청
→ 분실자와 습득자 중 누가 진정한 권리자인지 재판으로 다툼
• 권리신고자가 없는 경우 → 제권판결신청 → 제권판결문을 은행에 제시하고 수표금을 청구함.

36. A는 2010. 5. 20. B로부터 변제기를 2013. 5. 19.로 정하고 이자 없이 5,000만원을 차용


하였다. A는 채권자들의 빚 독촉을 피하여 몇년 간 잠적하여 있다가 B가 A의 소재를 알아 내
고 A를 찾아가 채무변제를 요구하자, A는 다른 채권자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B에 대한 채무
만을 변제하기는 곤란하다고 변명하면서 좀 더 참아 줄 것을 요청하였다. 다음 중 B의 채권상
담 기법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B는 A로부터 2015. 2. 15. “2016. 12. 30.까지 금 5,000만원을 변제한다”라는 지불각서를
받았다.
② B가 A를 상대로 채권 방문상담을 한다면 “인식 → 탐색 → 설득·타협 → 촉구 → 변제”의
단계로 진행하면 된다.
③ A는 2014. 2.부터 2015. 1.까지 매월 50만원씩 1년 동안 B에게 채무를 변제를 하였으나
그 후 A는 변제를 중단하였다. B가 A를 상대로 소를 제기하고 A가 변론기일에 소멸시효완성
을 주장한다면 B는 A가 1년 동안 600만원을 지급한 것이 채무승인에 해당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④ A가 변제의사는 있지만 변제능력이 없거나 부족하다면 B는 신속히 소를 제기하여 권리를
확정하는 방법보다는 A가 변제능력이 생길 때까지 기다린다.
⑤ A가 변제의사는 있지만 변제능력이 없거나 부족하다면 B는 채무감면 등 적합한 변제방안
을 모색할 수 있다.

정답 : ④
④ 채권회수는 두 가지 요소에 의하여 결정된다. 하나는 변제의사이고, 또 하나는 변제능력이
다. 이 두 가지 요소를 결합하면 총 4가지의 유형이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변제의사는 있지
만 변제능력이 없거나 부족한 채무자가 대부분이다. 변제능력이 없는 채무자에 대해서는 채무
자의 경제능력이 회복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다만, 추후 변제능력이 회복되면 바로 강제집
행 등 법적인 조치를 할 수 있는 준비는 해두어야 한다. 따라서 A가 변제의사는 있지만 변제
능력이 없거나 부족하다면 A가 변제능력이 생길 때까지 기다리면서 B는 신속히 소를 제기하

- 32 -
여 권리를 확정해 두어야 한다.
⑤ 아울러 채무자가 변제능력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변제능력이 회복될 때까지 변제를 유예
하거나 채무감면을 통하여 회수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A가 변제의사는 있
지만 변제능력이 없거나 부족하다면 B는 채무감면 등 적합한 변제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① B는 A로부터 2015. 2. 15. “2016. 12. 30.까지 금 5,000만원을 변제한다”라는 지불각서를
받은 것은 채무자의 변제능력이 부족하여 일정기간 변제기간을 유예한 것으로 타당하다.
② 방문상담은 채무자와 서로 대면하여 상담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진지한 상담이 가능하고 채
무자의 심리나 사고, 행동의 변화를 즉시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방문
상담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사전에 방문목적, 상담전략 등을 치밀하게 준비하여야
한다. B가 A를 상대로 채권 방문상담을 한다면 “인식 → 탐색 → 설득·타협 → 촉구 → 변제”
의 단계로 진행하면 된다.
③ 시효중단사유로서 승인은 시효이익을 받을 자가 시효의 완성으로 말미암아 권리를 상실하
게 될 상대방 또는 그 대리인에 대하여 그 권리가 존재함을 인식하고 있다는 뜻을 표시하는
행위이다. 판례에 따르면 채무자의 일부변제는 채무승인에 해당한다(대판 1996.1.23, 95다
39854). A는 2014. 2.부터 2015. 1.까지 매월 50만원씩 1년 동안 B에게 채무를 변제를 하였
으나 그 후 A는 변제를 중단하였다. 따라서 B가 A를 상대로 소를 제기하고 A가 변론기일에
소멸시효완성을 주장한다면 B는 A가 1년 동안 600만원을 지급한 것이 채무승인에 해당한다
고 주장할 수 있다.

37. 다음은 어음 또는 수표의 소멸시효와 관련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지급기일이 있는 약속어음의 발행인에 대한 소멸시효기간은 만기일로부터 3년이다.
② 수표 소지인의 발행인에 대한 소구권의 소멸시효기간은 제시기간 경과 후 6개월이다.
③ 약속어음 소지인의 배서인에 대한 소구권 소멸시효기간은 거절증서 작성일로부터 1년이다.
④ 수표 소지인의 배서인에 대한 소구권의 소멸시효기간은 제시기간 경과 후 6개월이다.
⑤ 약속어음이 소멸시효가 완성된 경우, 채무자 또는 소구의무자에 대한 어떠한 청구도 할 수
없다.

정답 : ⑤
① 어음법 제77조 제1항 제8호, 제70조 제1항
② 수표법 제51조 제1항
③ 어음법 제77조 제1항 제8호, 제70조 제2항
④ 수표법 제51조 제1항
⑤ 환어음 또는 약속어음에서 생긴 권리가 절차의 흠결로 인하여 소멸한 때나 그 소멸시효가
완성한 때라도 소지인은 발행인, 인수인 또는 배서인에 대하여 그가 받은 이익의 한도내에서
상환을 청구할 수 있다(어음법 제79조). 따라서 약속어음이 소멸시효가 완성된 경우, 채무자
또는 소구의무자에 대한 어떠한 청구도 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 33 -
38. 다음 중 유효한 어음 또는 수표로 옳은 것은?
① 어음상에 지급기일(만기)이 기재되지 않은 어음
② “물건을 납품하면 지급함”이라는 조건부지급 문구가 기재되어 있는 어음
③ 어음금액을 “100만원 또는 200만원”이라고 기재한 어음
④ 발행인이 선택적(홍길동 또는 홍놀부)으로 기재된 어음
⑤ 발행인이 법인인 경우 “팔팔 주식회사 (인)”이라고만 기재하고 날인한 경우

정답 : ①
① 어음상에 만기가 적혀 있지 아니한 경우 (무효가 아니라) 일람출급의 환어음으로 본다(어음
법 제2조 제1호).
② 어음상 지급약속 문언은 단순해야 하며 어떠한 조건부 지급약속이나 지급방법을 제한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단, 어음이 소지인이 발행인의 직접 상대방일 때는 유효하며 발행인에
대한 청구가 가능하다. 따라서 “물건을 납품하면 지급함”이라는 조건부지급 문구가 기재되어
있는 어음은 무효이다.
③ 어음상의 금액은 단일금액으로 단순하게 기재하여야 한다. 즉 어음금액은 선택적, 불확정
적, 유동적 기재 등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어음금액을 “100만원 또는 200만원”이라고 기재한
어음은 무효이다.
④ 발행인을 중첩적으로 기재할 수는 있으나, 선택적으로 기재할 수는 없다. 따라서 발행인이
선택적(홍길동 또는 홍놀부)으로 기재된 어음은 무효이다.
⑤ 법인의 어음·수표행위는 그 대표기관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그 방식은 법인의 명
칭, 대표자격, 대표기관의 기명날인의 세 가지 요소가 갖추어져야 한다. 즉, “A주식회사 대표
이사 甲”이라고 기재하고 甲의 인장을 찍거나 서명을 하는 것이 정확한 방식이다. 그러나 일
반적으로 “A주식회사 대표이사 甲” 또는 甲의 이름 없이 “A주식회사 대표이사”라고 새겨진
직인을 사용하며 유효한 것으로 본다. 따라서 발행인이 법인인 경우 “팔팔 주식회사 (인)”이라
고만 기재하고 날인한 경우는 무효이다.

39. 다음은 신용관리 담당자의 채권회수를 위한 상담과 관련된 설명이다.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채무자와의 상담은 주로 채무를 감면받거나 장기간 유예받고자 하는 채무자를 설득하거나
변제의지를 고취시키는 활동이 중심이 된다.
② 상담관리는 그 방법에 따라 서면상담관리, 전화상담관리, 방문상담관리로 분류할 수 있다.
③ 방문상담을 하기 전에 사전준비사항을 점검하고 상담을 통하여 얻고자 하는 목적을 명확히
한다.
④ 전화상담은 채무자 관찰과 심리파악이 용이하고 장시간의 진지한 상담이 가능하다는 장점
이 있다.
⑤ 반송우편물은 반송사유를 파악하여 채무자에 대한 정보로 활용한다.

- 34 -
정답 : ④
④ 채무자 관찰과 심리파악이 용이하고 장시간의 진지한 상담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 상담
방법은 방문상담관리이다.
③ 방문상담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사전에 방문목적, 상담전략 등을 치밀하게 준비
하여야 한다. 즉, 방문상담을 하기 전에 사전준비사항을 점검하고 상담을 통하여 얻고자 하는
목적을 명확히 한다.
⑤ 서면관리실무는 안내장, 통고서, 통보서, 독촉장, 민원서류 및 대외공문, 협조문, 내용증명
등을 이용하여 서면을 통해 독촉하는 추심행위이다. 문서를 반드시 내용증명 등의 등기우편으
로 보내야 하는 것은 아니나, 내용증명으로 보내면 채무자에게 송달되지 않으면 반송사유를
기재하여 반송우편물이 오는데, 그 반송사유(폐문부재, 주소불명, 수취인부재, 수취인불명, 이
사불명 등)에 따라 채무자에 대한 정보로 활용이 가능하다.

40. 사업자등록증을 통한 행불추적 방법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사업자등록증상 사업자의 휴·폐업 여부를 확인하고 방문상담시에는 그 사유를 파악해야 한
다.
② 사업장 방문을 통하여 부도원인, 거래처, 총채무 및 다른 채권자들의 연락처 등을 파악하
고 부도 전 마지막으로 급여를 지급받은 직원과 면담하여 채무자의 행방을 탐문한다.
③ 사업자등록증 주소지의 부동산등기부(등기사항증명서)등본을 발급받아 소유여부를 확인한
다.
④ 사업자등록증 명의가 배우자 또는 이해관계인으로 되어 있으면서 실제로는 채무자가 운영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거래처 확인을 통하여 사업자 명의자와 실제 운영자를 확인하는 것
이 필요하다.
⑤ 탈세의 혐의가 있을 때에는 세무서에 고발한다고 가족이나 주변인들에게 협박하여 탐문한
다.

정답 : ⑤
⑤ 탈세의 혐의가 있을 때에는 채권자도 세무서에 고발할 수 있다는 것을 가족이나 주변인들
에게 암시하여 우회적으로 행불 추적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명시적으로 협박하여 탐문
해서는 안된다.
① 부가세 납세의무자는 사업장별로 각각 세무서에 등록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업자등록증
을 추적단서로 활용한다. 채권발생시점과 달리 세무서 등록사업자가 휴업인지 폐업인지를 확
인하고 방문추적시 휴·폐업 사유부터 파악하여야 한다.
② 사업장 방문을 통하여 부도원인, 거래처, 총채무 및 다른 채권자들의 연락처 등을 파악하
고 부도 전 마지막으로 급여를 지급받은 직원과 면담하여 채무자의 행방을 탐문한다.
③ 사업자등록증 주소지의 부동산등기부(등기사항증명서)등본을 발급받아 소유여부를 확인한
다. 아울러 사업자등록증상의 주소지와 채무자 주민등록초본상의 주소지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방문추적시 사업장과 자택방문의 사전정보로 활용한다.
④ 사업자등록증 명의가 배우자 또는 이해관계인으로 되어 있으면서 실제로는 채무자가 운영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때에는 거래처 확인이 필수적이다.

- 35 -
41. 채권자 A는 채무자 B에게 금 5,000만원을 빌려 주고 변제기에 위 금원을 지급받지 못하
였다. B는 위 주소지에 주소만 두고 거주하지 않아 우편물이 송달되지 않는 등 행방을 알 수
없었다. 다음은 행불자에 대한 추적 및 회수방법 등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
은?
① 위장전입한 채무자는 대체로 집주인과 이해관계인일 가능성이 높다.
② 채무자가 거주하였던 집의 집주인 등과의 면담시 채무자의 개인정보 유출에 각별히 유의하
여야 한다.
③ 위장전입자의 경우 주소지 부동산등기부(등기사항증명서)등본상의 소유주와 면담하여 채무
자가 거주하지 않는 이유 및 전입배경을 파악한다.
④ 주민등록초본상 직권말소된 경우는 채무자가 거주하지 않고 있는 사실이 인정되므로 집주
인 면담은 고려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⑤ 수시로 주민등록초본을 발급하여 새로운 주소이전 여부를 파악한다.

정답 : ④
④ 주민등록초본상 직권말소된 경우는 집주인과 면담을 통해 주민등록 직권말소 및 불이익을
강조하고 집주인의 반응(직권말소 승낙여부, 거부사유, 심리상태 등)을 보고 채무자와 집주인
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설득 및 추적한다.
① 자력에 의한 변제능력이 상실되거나 변제의사가 결여된 채무자가 의도적으로 채무독촉회피
를 목적으로 주민등록 주소지를 위장전입하는 것이며 대체로 집주인과 이해관계인일 가능성이
높다.
② 채무자가 거주하였던 집의 집주인 등과의 면담시 집주인은 통상 제3자이므로 채무자의 연
체사실이나 개인정보 유출에 각별히 유의하여야 한다.
③ 위장전입자의 경우 주소지 부동산등기부(등기사항증명서)등본상의 소유주와 면담하여 채무
자가 거주하지 않는 이유 및 전입배경을 파악한다.
⑤ 장기 행불자인 경우 주민등록 직권말소를 관할 동사무소에 의뢰하여 채무자의 새로운 주소
이전 여부를 파악하고, 이후 수시로 주민등록초본을 발급하여 새로운 주소이전 여부를 파악한
다.

42. 다음은 유동화전문회사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유동화전문회사의 회계는 금융감독원이 정하는 회계처리기준에 의해 처리하여야 한다.
② 유동화전문회사는 본점 외의 영업소를 설치할 수 없다.
③ 유동화전문회사는 직원을 고용할 수 없다.
④ 유동화전문회사는 자산유동화계획의 수행에 필요한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⑤ 유동화전문회사는 금융기관에서 발생한 부실채권을 매각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설립된 특수
목적회사(Special Purpose Company)로 채권매각과 원리금 상환이 끝나면 자동으로 없어지
는 일종의 페이퍼 컴퍼니이다.

- 36 -
정답 : ①
① ‘유동화전문회사’라 함은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설립되어 자산유동화 업무를
영위하는 회사를 말한다(동법 제2조 제5호). 유동화전문회사의 회계는 금융위원회가 정하는
회계처리기준에 의하여 처리하여야 한다(동법 제22조 제2항).
② 유동화전문회사는 본점 외의 영업소를 설치할 수 없다(동법 제20조 제2항 전단).
③ 유동화전문회사는 직원을 고용할 수 없다(동법 제20조 제2항 후단).
④ 유동화전문회사는 자산유동화계획의 수행에 필요한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동법 제22조 제
1항 제4호).
⑤ 유동화전문회사는 금융기관에서 발생한 부실채권을 매각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설립된 특수
목적회사로 채권매각과 원리금 상환이 끝나면 자동으로 없어지는 일종의 페이퍼 컴퍼니이다.
금융기관 거래기업이 부실하게 되어 대출금 등 여신을 회수할 수 없게 되면 이 부실채권을 인
수, 국내외의 적당한 투자자들을 물색해 팔아넘기는 중개기관 역할을 한다. 유동화전문회사는
외부평가기관을 동원, 부실채권을 현재가치로 환산해 이에 해당하는 자산유동화증권(ABS)을
발행하는 등 부실채권 매각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동원한다. 유동화전문회사가 발행하는 자산
유동화증권은 주간사와 인수사를 거쳐 기관 및 일반투자자들에게 판매된다. 투자자들은 만기
때까지 채권에 표시된 금리만큼의 이자를 받고 만기에 원금을 되돌려 받는다. 이 과정에서 유
동화전문회사는 자산관리와 자산매각 등을 통해 투자원리금을 상환하기 위한 자금을 마련하고
이 작업이 끝나면 자동 해산된다.

43. 다음 중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 따른 개인회생 신청을 할 수 있는 기준금


액으로 옳은 것은?
① 담보채무 10억원, 무담보채무 5억원 이하
② 담보채무 5억원, 무담보채무 5억원 이하
③ 담보채무 5억원, 무담보채무 3억원 이하
④ 담보채무 10억원, 무담보채무 10억원 이하
⑤ 담보채무 3억원, 무담보채무 5억원 이하

정답 : ①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 따른 개인회생 신청을 할 수 있는 기준금액은 담보채무
10억원, 무담보채무는 5억원 이하이다. 즉, 동법 제579조 제1호에서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
다.

1. “개인채무자”라 함은 파산의 원인인 사실이 있거나 그러한 사실이 생길 염려가 있는 자로


서 다음 각목의 금액 이하의 채무를 부담하는 급여소득자 또는 영업소득자를 말한다.
가. 유치권·질권·저당권·양도담보권·가등기담보권·「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에 따른
담보권·전세권 또는 우선특권으로 담보된 개인회생채권은 10억원
나. 가목 외의 개인회생채권은 5억원

- 37 -
44. 대부업자가 개인이나 「중소기업기본법」에 따른 소기업(小企業)에 해당하는 법인에 대부를
하는 경우 그 이자율은 연 100분의 27.9 이하의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율을 초과할
수 없다. 이와 관련하여 현행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율”에 해당하는 것은? ★2018년 기출
① 연 44%
② 연 30%
③ 연 25%
④ 연 27.9%
⑤ 연 24%

정답 : ⑤
2016년 3월 3일 개정된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제8조 제1항은
“대부업자가 개인이나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 제2항에 따른 소기업(小企業)에 해당하는 법인
에 대부를 하는 경우 그 이자율은 연 100분의 27.9 이하의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율
을 초과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이에 따라 2017년 8월 29일 개정된 「동법 시행령」 제5조
제2항은 “법 제8조 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율’이란 연 100분의 27.9를 말한다.”고
규정하였으나, 금융이용자의 금리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2017년 11월 7일에 다시 “연 100분
의 24”로 낮추는 개정을 하였다.

45. 다음은 채무자가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 의한 개인회생절차에 따라 변제를


완료하고 면책을 받았을 때의 효력을 설명한 것이다.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면책의 효력은 법원의 면책결정이 있는 날로부터 즉시 발생한다.
② 채무자의 보증인, 그 밖에 채무자와 더불어 채무를 부담하는 자의 변제책임도 면제된다.
③ 개인회생채권자 목록에 기재되지 아니한 청구권에 관하여는 책임이 면제되지 아니한다.
④ 채무자의 면책결정이 확정된 이후에 보증인이 채권자에게 채무를 변제한 경우 보증인은 채
무자를 상대로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다.
⑤ 벌금·과료·형사소송비용·추징금 및 과태료 등은 면책대상이 될 수 있는 채무이다.

정답 : ③
③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625조 제2항 제1호
① 면책의 결정은 확정된 후가 아니면 그 효력이 생기지 아니한다(동법 제625조 제1항).
② 면책은 개인회생채권자가 채무자의 보증인 그 밖에 채무자와 더불어 채무를 부담하는 자에
대하여 가지는 권리와 개인회생채권자를 위하여 제공한 담보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동법
제625조 제3항).
④ ‘면책’이란 채무에 관하여 책임이 면제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채무의 소멸과는 다른
개념이다. 이와 같은 경우를 ‘자연채무’라고 하는데, 자연채무의 효력에 관하여는 일반적으로
채무자가 이를 임의로 이행한다면 이는 유효한 채무의 변제가 되어 부당이득으로 돌려달라고
할 수 없게 되고, 또 상계의 자동채권으로 하거나, 경개 또는 준소비대차의 기초로 삼을 수

- 38 -
있다고 하며, 보증이나 담보도 유효하게 성립한다고 본다. 따라서, 채무자의 면책결정이 확정
된 이후에 보증인이 채권자에게 채무를 변제한 경우 이는 유효한 변제이나 보증인은 면책결정
이 확정된 채무자를 상대로 구상권을 행사할 수 없다.
⑤ 벌금·과료·형사소송비용·추징금 및 과태료 등은 면책대상이 될 수 없는 채무이다(동법 제
625조 제2항 제3호).

46. 다음은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 의한 개인(소비자)파산절차에 관한 설명이


다. 옳지 않은 것은?
① 채권자도 신청할 수 있으나, 채무자가 신청하는 자기파산이 대부분이다.
② 관할법원은 원칙적으로 채무자의 주소지를 관할하는 지방법원 본원의 관할에 전속한다.
③ 파산신청은 관할법원에 일정사항을 기재한 서면으로 한다.
④ 파산재단이 파산절차비용에 충당하기에 부족하다고 인정되면 파산법원은 채무자에 대하여
파산선고를 함과 동시에 파산폐지결정을 한다.
⑤ 면책은 파산채권자가 채무자의 보증인에 대하여 가지는 권리에 영향을 미친다.

정답 : ⑤
⑤ 면책은 파산채권자가 채무자의 보증인 그 밖에 채무자와 더불어 채무를 부담하는 자에 대
하여 가지는 권리와 파산채권자를 위하여 제공한 담보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67조).
① 채권자도 신청할 수 있으나, 채무자가 신청하는 자기파산이 대부분이다(동법 제294조 제1
항 참조).
② 파산사건은 원칙적으로 채무자의 보통재판적이 있는 곳을 관할하는 회생법원의 관할에 전
속한다(동법 제3조 제1호). 2017년 3월 1일에 서울회생법원이 설치되면서 개정(2016/12/27)
된 조문이다. 이전에는 “관할법원은 원칙적으로 채무자의 주소지를 관할하는 지방법원 본원의
관할에 전속한다.”고 규정하였는데, 서울을 제외한 다른 지역은 아직도 지방법원 본원의 관할
에 속한다.
③ 파산신청은 관할법원에 일정사항을 기재한 서면으로 한다(동법 제302조 제1항).
④ 파산재단이 파산절차비용에 충당하기에 부족하다고 인정되면 파산법원은 채무자에 대하여
파산선고를 함과 동시에 파산폐지결정을 한다(동법 제317조 제1항).

47. 채무자가 개인(소비자) 파산선고를 받은 경우 그 지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사법상의 불이익으로서 민법상 후견인, 유언집행자가 될 수 없다.
② 합명회사, 합자회사 사원의 퇴사원인이 되고, 주식회사, 유한회사의 이사인 경우 위임관계
가 종료되어 당연 퇴임하게 된다.
③ 공무원, 변호사, 공증인, 공인회계사, 공인노무사, 세무사, 변리사 등이 될 수 없거나, 그
직을 계속 수행할 수 없다.
④ 대통령,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의 선거권 및 피선거권도 상실된다.

- 39 -
⑤ 파산을 선고받은 채무자가 전부 면책을 받지 못하거나 면책결정이 취소된 경우 또는 면책
신청이 각하되거나 기각된 경우에 한하여 채무자의 신원증명업무를 관장하는 등록기준지 시·
구·읍·면장에게 파산선고 사실이 통지되어 신원조회 시 파산선고 사실이 나타나게 된다.

정답 : ④
④ 개인채무자가 파산선고를 받더라도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상실하는 것은 아니다.
① 사법상의 불이익으로서 민법상 후견인, 유언집행자, 수탁자가 될 수 없다. 다만 권리능력,
행위능력 및 소송능력은 제한받지 않는다.
② 합명회사, 합자회사 사원의 퇴사원인이 되고, 주식회사, 유한회사의 이사인 경우 위임관계
가 파산선고로 종료되어 당연 퇴임하게 된다.
③ 국가/지방공무원법, 변호사법, 공인회계사법, 공인노무사법, 세무사법, 변리사법 등 개별
법률에 결격사유규정이 있어, 공무원, 변호사, 공증인, 공인회계사, 공인노무사, 세무사, 변리
사 등이 될 수 없거나, 그 직을 계속 수행할 수 없다.
⑤ 파산선고 사실은 신원증명사항의 하나로 되어 있다(행정안전부예규 제756호). 따라서 파산
법하의 실무는 채무자에 대한 파산선고가 확정되면 지체없이 법원사무관 등이 파산선고 결정
등본을 첨부하여 신원증명업무를 관장하는 등록기준지 시·구·읍·면장에게 파산선고 확정통지를
하였다. 실무상 등록기준지에 파산선고 확정 통지 후 면책결정이 확정되면 복권을 위해 불과
몇 개월 만에 다시 등록기준지에 면책결정 확정 통보를 반복하여 왔다. 그런데 파산선고로 인
한 각종 법률상 제한은 파산선고가 있었다는 사실이 아니라 파산선고 후 복권되지 아니한 자
에게만 가해지는 것이고, 면책은 당연복권사유라는 점을 참작하여 파산선고가 확정되더라도
면책신청이 각하·기각되거나 면책불허가결정이 내려지거나 면책취소의 결정이 확정된 때에 한
하여 통보하는 것으로 개인파산예규를 개정하였다(개인파산예규 제6조).

48. 다음은 소액사건 재판절차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소액사건심판법은 원칙적으로 제1심 절차에만 적용되며 항소심, 상고심에서는 적용이 되지
않는다.
② 금전 기타 대체물이나 유가증권의 일정한 수량의 지급을 목적으로 하는 청구에 있어서 채
권자는 소액사건심판법의 적용을 받을 목적으로 청구를 분할하여 그 일부만을 청구할 수 없
다.
③ 당사자의 배우자·직계혈족 또는 형제자매는 법원의 허가 없이 소송대리인이 될 수 없다.
④ 피고가 이행권고결정서의 등본을 송달받은 날부터 2주일내에 이의신청이 있는 때에는 법원
은 지체없이 변론기일을 지정하여야 한다.
⑤ 확정된 이행권고결정은 별도의 집행문을 부여받을 필요 없이 강제집행이 가능하다.

정답 : ③
③ 당사자의 배우자·직계혈족 또는 형제자매는 법원의 허가없이 소송대리인이 될 수 있다(소
액사건심판법 제8조 제1항).
① 소액사건심판법은 원칙적으로 제1심 절차에만 적용되며 항소심, 상고심에서는 적용이 되지
않는다(동법 제2조 제1항, 동규칙 제1조의2).

- 40 -
② 금전 기타 대체물이나 유가증권의 일정한 수량의 지급을 목적으로 하는 청구에 있어서 채
권자는 소액사건심판법의 적용을 받을 목적으로 청구를 분할하여 그 일부만을 청구할 수 없다
(동법 제5조의2 제1항).
④ 피고가 이행권고결정서의 등본을 송달받은 날부터 2주일내에 이의신청이 있는 때에는 법원
은 지체없이 변론기일을 지정하여야 한다(동법 제5조의4 제3항).
⑤ 확정된 이행권고결정은 별도의 집행문을 부여받을 필요 없이 강제집행이 가능하다(동법 제
5조의8 제1항 본문 참조).

49. 다음은 지급명령 관련 설명이다.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서류만으로 심사하여 형식상 하자가 없는 경우 지급명령을 결정한다.
② 지급명령결정문 송달 불가 시 주소보정명령에 따라 채권자는 주소보정을 실시한다.
③ 채무자가 지급명령을 송달받은 날부터 3주 이내에 이의신청을 한 때에는 지급명령은 그 범
위안에서 효력을 잃는다.
④ 채무자가 지급명령에 대하여 적법한 이의신청을 한 경우에는 지급명령을 신청한 때에 이의
신청된 청구목적의 값에 관하여 소가 제기된 것으로 본다.
⑤ 지급명령에 대하여 이의신청이 없거나, 이의신청을 취하하거나, 각하결정이 확정된 때에는
지급명령은 확정판결과 같은 효력이 있다.

정답 : ③
③ 채무자가 지급명령을 송달받은 날부터 2주 이내에 이의신청을 한 때에는 지급명령은 그 범
위안에서 효력을 잃는다(민사소송법 제470조 제1항).
① 지급명령은 금전 및 기타 대체물이나 유가증권의 일정 수량의 지급을 목적으로 하는 청구
권에 관하여 채무자가 다툼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채권자의 신청으로 서면심리만으
로 채무자를 심문하지 않고 지급명령을 발하는 절차로서 채권자에게 간이, 신속하게 집행권원
을 얻게 하는 판결절차의 대용의 특별소송절차이다.
② 지급명령결정문 송달 불가시 주소보정명령에 따라 채권자는 주소보정을 실시한다. 채권자
는 법원으로부터 채무자의 주소를 보정하라는 명령을 받은 경우에 소제기신청을 할 수 있다
(동법 제466조 제1항).
④ 채무자가 지급명령에 대하여 적법한 이의신청을 한 경우에는 지급명령을 신청한 때에 이의
신청된 청구목적의 값에 관하여 소가 제기된 것으로 본다(동법 제472조 제2항).
⑤ 지급명령에 대하여 이의신청이 없거나, 이의신청을 취하하거나, 각하결정이 확정된 때에는
지급명령은 확정판결과 같은 효력이 있다(동법 제474조).

50. 다음 중 소장 및 각종 신청서 작성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소장에 반드시 기재하여야 할 필요적 기재사항은 당사자 및 법정대리인의 표시, 청구취지
와 청구원인이다.
② 채권가압류 또는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또는 전부명령) 결정문이 제3채무자에게 송달된 후

- 41 -
제3채무자에 대한 진술최고서를 신청하여야 한다.
③ 재산명시신청시 채권자, 채무자 표시, 집행권원의 표시, 신청취지와 신청사유, 채무자가 이
행하지 아니하는 금전채무액은 필요적 기재사항이다.
④ 부동산가압류신청시 청구채권의 표시, 그 청구채권이 일정한 금액이 아닌 때에는 금전으로
환산한 금액, 가압류의 이유가 될 사실의 표시를 적어야 한다.
⑤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신청서에 압류할 채권의 종류와 액수를 밝혀야 한다.

정답 : ②
② 채권가압류 또는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또는 전부명령) 신청시 동 결정문이 제3채무자에게
송달되기 전에 진술최고신청을 하여야 하는바, 채권가압류 또는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또는
전부명령) 신청시에 제3채무자에 대한 진술최고신청을 함께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① 소장에는 당사자와 법정대리인, 청구의 취지와 원인을 적어야 한다(민사소송법 제249조 제
1항).
③ 재산명시신청시 채권자, 채무자 표시, 집행권원의 표시, 신청취지와 신청사유, 채무자가 이
행하지 아니하는 금전채무액은 필요적 기재사항이다(민사집행규칙 제25조 제1항).
④ 부동산가압류신청시 청구채권의 표시, 그 청구채권이 일정한 금액이 아닌 때에는 금전으로
환산한 금액, 가압류의 이유가 될 사실의 표시를 적어야 한다(민사집행법 제279조 제1항).
⑤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신청서에 압류할 채권의 종류와 액수를 밝혀야 한다(민사집행법 제
225조).

- 42 -
[제2과목] 채권관리방법(25문제)

51. 임의회수와 강제회수의 장점 또는 단점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 집행비용이 절감된다.
㉡ 원만한 해결로 기업의 이미지 실추를 방지하고 거래처와 거래의 지속이 가능해진다.
㉢ 채무자가 재산을 도피하기 위하여 지연작전을 쓰는 데 말려들기 쉽다.
㉣ 인간관계의 최면에 빠져 사후집행의 불가능을 초래하기 쉽다.

① 모든 지문은 강제회수의 장점에 관한 설명이다.


② ㉢, ㉣의 지문은 임의회수의 단점에 관한 설명이다.
③ ㉠, ㉢의 지문은 강제회수의 단점에 관한 설명이다.
④ ㉡, ㉣의 지문은 강제회수의 장점에 관한 설명이다.
⑤ ㉠, ㉣의 지문은 임의회수의 장점에 관한 설명이다.

정답 : ② 임의회수와 강제회수의 장단점은 다음 표와 같다.

구분 장 점 단 점

① 인간관계의 최면에 빠져 사후집행의 불


① 집행비용이 절감된다.(㉠)
가능을 초래하기 쉽다.(㉣)
② 원만한 해결로 기업의 이미지 실추를 방지하
② 채무자가 재산을 도피하기 위하여 지연
임의 고 거래처와 거래의 지속이 가능하다.(㉡)
작전을 쓰는데 말려들기 쉽다.(㉢)
회수 ③ 대책여부에 따라 은닉재산까지 회수자원으로
③ 판단착오가 발생하기 쉽다.
함으로써 회수를 최대한으로 할 수 있다.
④ 과거 경영상태의 회복을 기대하는 거래
④ 종결과정의 시간이 짧다.
처의 기원을 현실로 착각할 수 있다.
① 많은 집행경비가 소요된다.
① 판단의 오류가 적다.
② 시간이 오래 걸린다.
② 채권의 보전이 용이하다.
강제 ③ 타 채권자의 배당참가로 배당여력의 감
③ 채무자가 책임재산을 분산하거나 도피시키는
회수 소를 배제할 수 없다.
것을 막을 수 있다.
④ 향후 채무자와 거래관계가 단절될 가능
④ 인력과 노력의 소모가 적다.
성이 높다.

52. 다음 중 상계적상 요건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양채권이 서로 대립하고 있을 것
② 대립하는 채권이 동종의 목적을 가진 채권일 것
③ 수동채권은 반드시 변제기가 도래하고 있을 것
④ 채권의 성질상 상계가 금지되는 경우가 아닐 것
⑤ 법률상 상계가 금지되는 경우가 아닐 것

정답 : ③
상계가 유효하기 위해서는 대립하는 채권에 관하여 일정한 요건을 갖추어야 하는데 이를 ‘상

- 43 -
계적상’이라고 한다. 상계적상의 요건은 ⅰ) 양채권이 서로 대립하고 있을 것(①), ⅱ) 대립하
는 채권이 동종의 목적을 가진 채권일 것(②), ⅲ) 양채권이 변제기에 있을 것, ⅳ) 채권의 성
질상 상계가 금지되는 경우가 아닐 것(④), ⅴ) 법률상 상계가 금지되는 경우가 아닐 것(⑤) 이
다. 이중 ⅲ)요건에 대하여 원칙적으로 양채권이 변제기에 있어야 하는데, 특히 자동채권은 반
드시 변제기에 있어야 한다. 변제기가 도래하지 않은 채권을 자동채권으로 하여 상계를 허용
한다면, 상대방은 이유 없이 기한의 이익을 상실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수동채권은
채무자가 기한의 이익을 포기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변제기가 도래하고 있어야 하는 것은 아
니다.

53. 다음은 채권양도와 채무인수에 관한 설명이다.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채무인수에 의하여 전채무자가 채권자에 대해 가졌던 모든 항변권은 그대로 인수인에게 이
전한다.
② 채무인수가 있어도 전채무자의 채무에 대한 보증이나 제3자가(물상보증인) 제공한 담보는
원칙적으로 소멸하지 않는다.
③ 채권양도가 유효하면 그 채권에 부종하고 있었던 이자채권, 위약금채권, 보증채권 등의 종
된 권리는 당사자 사이에 특별한 약정이 없는 한 당연히 양수인에게 이전한다.
④ 채무인수라 함은 어떤 채무가 그 동일성이 유지된 상태에서 인수인에게 이전되는 계약, 다
시 말해 채무는 변경되지 않고 채무자만 변경되는 계약을 말한다.
⑤ 채권양도라 함은 양도인이 채권의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그 채권을 양수인에게 법률행위로
써 이전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②
④ ‘채무인수’라 함은 어떤 채무가 그 동일성이 유지된 상태에서 인수인에게 이전되는 계약,
다시 말해 채무는 변경되지 않고 채무자만 변경되는 계약을 말한다.
① 채무인수에 의하여 전채무자가 채권자에 대해 가졌던 모든 항변권은 그대로 인수인에게 이
전한다. 따라서 인수인은 전채무자의 항변할 수 있는 사유로 채권자에게 대항할 수 있다(민법
제458조).
② 전채무자의 채무에 대한 보증이나 제3자가 제공한 담보는 채무인수로 인하여 소멸한다. 그
러나 보증인이나 제3자가 채무인수에 동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민법 제459조).
⑤ ‘채권양도’라 함은 양도인이 채권의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그 채권을 양수인에게 법률행위
로써 이전하는 것을 말한다.
③ 채권양도는 처분행위로서 이른바 준물권계약의 성질을 갖는다. 그리고 채권양도가 유효하
면 채권은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양수인에게 이전된다. 따라서 그 채권에 부종하고 있었던 이
자채권, 위약금채권, 보증채권 등의 종된 권리는 당사자 사이에 특별한 약정이 없는 한 당연
히 양수인에게 이전한다. 그리고 이전한 채권은 동일성을 유지하므로 그 채권에 붙어 있는 각
종의 항변도 그대로 존속한다.

- 44 -
54. 다음 중 지시채권의 양도방식으로 옳은 것은?
① 의사표시만으로 한다.
② 배서만으로 한다.
③ 교부만으로 한다.
④ 의사표시와 배서가 있어야 한다.
⑤ 배서와 교부가 있어야 한다.

정답 : ⑤
특정인 또는 그가 지시한 자에게 변제하여야 하는 증권적 채권을 지시채권이라고 한다. 어음,
수표, 화물상환증, 창고증권, 선하증권 등이 이에 해당하는데, 지시채권은 그 증서에 배서하여
양수인에게 교부하는 방식으로 양도할 수 있다(민법 제508조). 배서와 교부는 양도행위의 성
립요건이다.

55. 다음은 변제와 관련한 설명이다.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금전채무 등에 있어서 우리 민법은 법률에 특별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지참채무를
원칙으로 한다.
② 채무자가 한 개 또는 수 개의 채무의 비용 및 이자를 지급할 경우에 변제자가 그 전부를
소멸하게 하지 못한 급부를 한 때에는 비용, 이자, 원본의 순서로 변제에 충당하여야 한다.
③ 법률상 변제하는 데에 이해관계 있는 연대채무자, 보증인, 물상보증인, 담보부동산의 제3취
득자는 채무자의 의사에 반하여서도 변제할 수 있다.
④ 지참채무는 채무자의 주소 또는 영업소에서 이행해야 하는 채무를 말한다.
⑤ 이해관계 없는 제3자는 채무자의 의사에 반하여 변제하지 못한다.

정답 : ④
④ 변제의 장소는 당사자의 의사표시 또는 채무의 성질에 의하여 정해진다. ‘지참채무’란 채권
자의 주소 또는 영업소에서 이행하는 채무를 말한다.
① 민법은 특별한 규정이 없다면 지참채무를 원칙으로 한다.
② ‘변제충당’이란 채무자가 한 채권자에 대하여 동종의 목적을 가지는 수 개의 채무를 부담
하거나 또는 한 채무의 변제로서 수 개의 급부를 하여야 할 경우, 혹은 채무자가 한 개 또는
수 개의 채무에 관하여 원본 이외의 이자나 비용을 지급해야 할 경우에 변제로서 제공한 급부
가 그 채무를 전부 소멸시킬 수 없을 경우 그 변제를 어느 채무의 변제에 충당할 것인가를 지
정하는 것을 말한다. 채무자가 한 개 또는 수 개의 채무의 비용 및 이자를 지급할 경우에 변
제자가 그 전부를 소멸하게 하지 못한 급부를 한 때에는 비용, 이자, 원본의 순서로 변제에
충당하여야 한다(민법 제479조 제1항).
⑤ 이해관계 없는 제3자(예컨대, 채무자의 배우자)는 채무자의 의사에 반하여 변제하지 못한
다.
③ 법률상 변제하는 데에 이해관계 있는 연대채무자, 보증인, 물상보증인, 담보부동산의 제3취
득자는 채무자의 의사에 반하여서도 변제할 수 있다.

- 45 -
56. 다음 중 채권자대위권의 행사가 허용되는 것은?
① 혼인취소권
② 공무원연금청구권
③ 아직 구체화되지 않은 위자료청구권
④ 사용자에 대한 산업재해보상청구권
⑤ 손해배상청구권

정답 : ⑤
채권자대위권의 성립요건 중 대위의 객체에 대한 요건을 묻는 문제이다. 우선 채권의 공동담
보에 적합한 채무자의 권리, 즉 재산권[예컨대, 손해배상청구권(⑤)]은 모두 원칙적으로 대위행
사의 목적인 권리에 해당하는 반면, 혼인취소권(①) 등 가족법상 권리와 같은 비재산권은 대위
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 그리고 권리자 자신이 권리를 행사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여야 비로
소 그 권리행사가 의미를 가지게 되는 권리, 즉 행사상의 일신전속권[예컨대, 친족간의 부양청
구권, 상속회복청구권과 같은 신분권, 아직 구체화되지 않은 위자료청구권(③), 계약의 청약
및 승낙권, 산업재해보상청구권(④) 등]은 대위의 목적으로 되지 못한다(민법 제404조 제1항
단서). 나아가 명문규정이 없지만 채권의 공동담보로 되지 못하는 압류금지채권[예컨대, 임금
청구권, 공무원연금청구권(②) 등]도 대위행사할 수 없다는 것이 다수설이다. 또한 재산권의
행사를 위하여 소송 기타 공법상의 행위를 필요로 하는 경우 채권자는 채무자가 가진 공법상
의 권리, 즉 등기청구권이나 민사소송법상의 권리 등도 채권자대위권의 객체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채무자와 제3자 사이에 소송이 계속된 후에 소송수행상의 개개의 행위를 대위하
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이 다수설과 판례(대결 1961.9.26, 4294민재항559)의 입장이다.

57. 변제공탁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채권자에 대한 공탁통지나 채권자의 수익의 의사표시가 있는 때에, 공탁의 효력이 발생하
여 변제가 있었던 것과 같게 되어 채무가 소멸하게 된다.
② 본래의 급부청구권에 채권자의 선이행의무가 있거나 동시이행의 항변권이 붙어 있는 경우
에는 채권자는 자기의 급부를 하지 않고서는 공탁물을 수령하지 못한다.
③ 채무자가 채권자에 대하여 동시이행의 항변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래의 채
권에 부착하고 있지 않은 조건을 붙여서 한 공탁은 그 조건뿐만 아니라, 공탁 전부가 무효로
된다.
④ 공탁을 하는 자는 변제자이며, 채무자에 한하지 않고 제3자도 할 수 있다.
⑤ 일부의 공탁은 일부의 제공이 특히 유효한 제공이 되지 않는 한, 공탁원인 자체가 성립하
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 공탁은 무효가 된다.

정답 : ①
① 채권자에 대한 공탁통지나 채권자의 수익의 의사표시가 있는 때 공탁의 효력이 생기는 것
이 아니라, 공탁공무원의 수탁처분과 공탁물보관자의 공탁물수령으로 공탁의 효력이 발생하여

- 46 -
변제가 있었던 것과 같게 되어 채무는 소멸한다.
② 본래의 급부청구권에 채권자의 선이행의무가 있거나 동시이행의 항변권이 붙어 있는 경우
에는 채권자는 자기의 급부를 하지 않고서는 공탁물을 수령하지 못한다(민법 제491조 참조).
③ 채무자가 채권자에 대하여 동시이행의 항변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래의 채
권에 부착하고 있지 않은 조건을 붙여서 한 공탁은 그 조건뿐만 아니라, 공탁 전부가 무효로
된다(대판 2002.12.6, 2001다2846).
④ 공탁을 하는 자는 변제자이며, 채무자에 한하지 않고 제3자도 할 수 있다.
⑤ 일부의 공탁은 일부의 제공이 특히 유효한 제공이 되지 않는 한, 공탁원인 자체가 성립하
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 공탁은 무효가 된다. 따라서 채무자는 공탁한 부분에 상당하는 채무
를 면하지 못한다. 판례도 채무의 일부변제제공은 채무의 본지에 따른 이행의 제공이라 할 수
없으므로 채무 일부의 공탁은 변제의 효력이 없다(대판 1984.9.11, 84다카781)고 판시하고 있
다.

58. 가압류의 결정 내지 집행 이후의 상황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채무자는 가압류의 결정 내지 집행에 대하여 가압류를 결정한 법원의 상급법원에 이의를
신청할 수 있다.
② 채무자의 이의신청을 수리한 법원은 채권자와 채무자의 소환 없이 서면으로 하급법원이 내
린 가압류 결정의 인용 또는 취소를 결정한다.
③ 채무자가 가압류에 의한 이의신청을 하면서, 채권자에게 제소명령을 내려줄 것을 신청하는
것은 법원의 재량권을 침해하는 것이므로 허용되지 않는다.
④ 채무자는 채권자의 청구금액을 공탁하고 이를 증명함으로써, 가압류 집행의 정지를 청구하
거나 이미 집행된 가압류의 취소를 청구할 수 있다.
⑤ 채무자가 채권자와 화해하여 집행을 취소하겠다는 합의를 얻어낸 때에는 법원의 가압류 취
소결정이 없더라도 가압류된 물건에 대한 봉인 등의 표시를 제거할 수 있다.

정답 : ④
④ 가압류명령에는 가압류의 집행을 정지시키거나 집행한 가압류를 취소시키기 위하여 채무자
가 공탁할 금액을 적어야 한다(민사집행법 제282조). 즉, 법원은 가압류결정을 할 때 채무자가
채권자의 청구금액을 공탁하고 이를 증명하여 가압류의 집행을 정지시키거나 집행한 가압류의
취소를 청구할 수 있음을 기재하는데, 이를 ‘해방공탁’이라고 한다.
① 채무자는 가압류의 결정 내지 집행에 대하여 가압류를 결정한 법원에 이의를 신청할 수 있
다.
② 보전처분에 대한 이의는 지급명령에 대한 이의와 같이 심급에서의 불복신청으로서 변론 또
는 당사자 쌍방이 참여할 수 있는 심문을 거쳐 다시 보전처분신청의 당부를 심리 판단하여 달
라는 신청으로 보는 것이 통설이다.
③ 보전처분이 발령되어 유효하게 존속함에도 불구하고 채권자가 본안소송을 제기하지 않는
이상 채무자는 보전처분의 발령법원에 본안의 제소명령을 신청할 수 있다. 따라서 채무자가
가압류에 의한 이의신청을 하면서, 채권자에게 제소명령을 내려줄 것을 신청하는 것은 법원의
재량권을 침해하는 것이 아니어서 허용된다.

- 47 -
⑤ 채무자가 채권자와 화해하여 집행을 취소하겠다는 합의를 얻어낸 때라도 법원의 가압류 취
소결정이 있어야 가압류된 물건에 대한 봉인 등의 표시를 제거할 수 있다.

59. 다음 중 보전처분집행의 특색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당사자의 승계가 있는 경우에도 승계집행문이 필요하지 않다.
② 보전처분을 명하는 재판에는 가집행선고를 붙일 필요가 없다.
③ 채무자에게 송달하기 전에도 집행할 수 있다.
④ 재판의 고지 또는 송달 후 2주일 내에 집행에 착수하여야 한다.
⑤ 2주일의 기간 내에 집행하지 않으면 보전처분은 그 집행력을 잃는다.

정답 : ①
① 강제집행과 달리 보전명령의 집행에는 원칙적으로 집행문의 부여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는
것인데 예외적으로 민사집행법 제292조 제1항의 규정에 따라 보전명령이 발령후 그 집행이
이루어지기 전에 채권자 또는 채무자의 승계가 있어 그 승계인에 대하여 또는 승계인이 집행
을 함에는 승계집행문을 받아야 하고 위 승계에는 일반승계 이외에 특정승계도 포함된다.
②③ 가압류에 대한 재판의 집행은 채무자에게 재판을 송달하기 전에도 할 수 있다(민사집행
법 제292조 제3항). 가처분절차에는 가압류절차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동법 제301조 본문).
따라서 보전처분을 명하는 재판에는 가집행선고를 붙일 필요가 없다.
④⑤ 가압류에 대한 재판의 집행은 채권자에게 재판을 고지한 날부터 2주를 넘긴 때에는 하지
못한다(동법 제292조 제2항). 즉, 재판의 고지 또는 송달 후 2주일 내에 집행에 착수하여야
한다. 2주일의 기간 내에 집행하지 않으면 보전처분은 그 집행력을 잃는다.

60. 상속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갑이 사망하면 그 자녀들과 갑의 아내가 공동으로 상속을 받고, 갑의 자녀들이 없다면 갑
의 부모들과 아내가 공동으로 상속을 받게 된다.
② 갑이 사망하고 갑에게 자녀들도 없고 부모들이 없다면 갑의 조부모들이 있다해도 갑의 아
내가 단독으로 상속을 받게 된다.
③ 갑의 자녀 을이 갑의 사망 전에 이미 사망하였는데, 을에게 처 병과 아들 정이 있는 경우
에는 을이 살아 있었다면 가질 상속분을 병과 정이 대습상속하게 된다.
④ 4촌 이내의 방계혈족에게도 상속이 인정된다.
⑤ 10억원의 부동산을 남기고 사망한 A에게 자녀 B, 동생 C가 있는 경우 자녀 B가 상속을
포기하지 않는 한 동생 C에게는 상속이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 : ②
①②④ 상속은 혈족상속과 배우자상속 2종류가 있다. 그런데 배우자는 언제나 상속인으로 되
지만(민법 제1003조), 혈족상속에 관하여 민법은 피상속인의 관계에 따라 순위(피상속인의 직
계비속>피상속인의 직계존속>피상속인의 형제자매>피상속인의 4촌 이내의 방계혈족)를 정하고

- 48 -
있다(민법 제1000조 제1항). 따라서 갑이 사망하면 그 자녀들과 갑의 아내가 공동으로 상속을
받고, 갑의 자녀들이 없다면 갑의 부모들과 아내가 공동으로 상속을 받게 된다. 아울러, 갑이
사망하고 갑에게 자녀들도 없고 부모들이 없더라도 갑의 조부모들이 있다면 이역시 직계존속
이므로 갑의 조부모들과 갑의 아내가 공동으로 상속을 받게 된다. 그리고 선순위상속인이 모
두 없다면 4촌 이내의 방계혈족에게도 상속이 인정된다.
⑤ 상속인으로 될 자가 수인인 경우에, 그들의 순위가 다르면 최선순위자만이 상속인으로 되
고, 그들이 동순위라면 공동상속을 한다(민법 제1000조 제2항). 따라서 10억원의 부동산을 남
기고 사망한 A에게 자녀 B, 동생 C가 있는 경우 1순위 상속인인 자녀 B가 상속을 포기하지
않는 한 3순위 상속인인 동생 C에게는 상속이 일어나지 않는다.
③ 대습자의 상속인에 대한 기대를 보호함으로써 공평을 기하기 위하여 대습상속이라는 제도
가 인정된다. 즉, 상속인이 될 직계비속 또는 형제자매가 상속개시 전에 사망하거나 결격자가
된 경우에 그 직계비속이나 배우자가 있는 때에는 그 직계비속이나 배우자가 사망하거나 결격
된 자의 순위에 갈음하여 상속인이 된다(민법 제1001조, 제1003조 제2항). 따라서 갑의 자녀
을이 갑의 사망 전에 이미 사망하였는데, 을에게 처 병과 아들 정이 있는 경우에는 을이 살아
있었다면 가질 상속분을 병과 정이 대습상속하게 된다.

61. 다음은 판결의 효력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판결을 집행권원으로 하여 피고의 재산에 대해 강제집행을 신청할 수 있는 효력을 확정력
이라 한다.
② 법원이 판결을 일단 선고하면 혹시 그 판결에 잘못된 판단이 있더라도 이를 변경하거나 철
회할 수 없는 효력이 발생하는데 이를 기속력이라 한다.
③ 판결을 한 법원은 기속력 때문에 스스로 한 판결을 변경할 수 없으나 명백한 오기, 계산착
오 등의 경우에는 이를 결정에 의해 간단히 고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를 판결의 경정이
라 한다.
④ 청구각하 판결의 경우 원고는 다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⑤ 기판력이란 형식적으로 확정된 판결이 후소 법원에 대하여 가지는 구속력을 말하는 것으로
서 판결에 기판력이 생기면 그 판결의 정당성에 대하여 어느 당사자도 더 이상 다툴 수 없게
된다.

정답 : ①
판결이 선고되면 기속력, 형식적 확정력, 실질적 확정력(기판력). 집행력, 형성력 등 효력이 발
생한다.
② 법원이 판결을 일단 선고하면 혹시 그 판결에 잘못된 판단이 있더라도 이를 변경하거나 철
회할 수 없는 효력이 발생하는데 이를 ‘기속력’이라 한다.
③ 판결을 한 법원은 기속력 때문에 스스로 한 판결을 변경할 수 없으나 명백한 오기, 계산착
오 등의 경우에는 이를 결정에 의해 간단히 고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를 ‘판결의 경정’
이라 한다.
⑤ 판결의 확정에 의하여 당사자에 대한 관계에서 생기는 효력이 ‘형식적 확정력’이고, 형식적
으로 확정된 판결이 후소 법원에 대하여 가지는 구속력을 말하는 것으로서 판결에 기판력이

- 49 -
생기면 그 판결의 정당성에 대하여 어느 당사자도 더 이상 다툴 수 없게 되는 효력을 ‘실질적
확정력(기판력)’이라 한다.
① 판결을 집행권원으로 하여 피고의 재산에 대해 강제집행을 신청할 수 있는 효력을 ‘집행
력’이라 한다.
④ 소송판결도 소송요건의 흠으로 소가 부적법하다는 판단에 기판력이 생기는 것이고, 소송물
인 권리관계의 존부에 미치지 않는다. 예컨대 재판권이나 당사자적격 등의 소송요건의 흠으로
소각하판결을 받은 후에 그 흠을 그대로 둔 채 재소하면, 전소판결의 기판력에 의하여 각하된
다. 그러나 예컨대 대표권의 흠을 이유로 소각하의 소송판결을 받아 확정된 뒤 새로 대표자를
선임보완하여 재소하는 경우 기판력에 저촉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청구각하 판결의 경우 원고
는 다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62. 다음은 관할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따름)


① 피고가 자연인인 때에는 그 사람의 주소지 법원에 관할권이 있다.
② 피고가 국가인 경우에는 국가를 대표하는 관청 또는 대법원이 있는 곳의 법원에 관할권이
있다.
③ 재산권에 관한 소를 제기하는 경우에는 거소지 또는 의무이행지의 법원에도 관할권이 있
다.
④ 부동산에 관한 소를 제기하는 경우에는 부동산이 있는 곳의 법원에 관할권이 있다.
⑤ 어느 하나의 사건에 관하여 보통재판적과 특별재판적이 모두 있는 경우 특별재판적이 우선
한다.

정답 : ⑤
⑤ 소재지를 달리하는 같은 종류의 법원사이에 재판권(특히 제1심사건)의 분담관계를 정해 놓
은 것을 ‘토지관할’이라고 하고, 토지관할의 발생원인이 되는 인적·물적인 관련지점을 ‘재판적’
이라고 한다. 재판적은 다른 분류기준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모든 소송사건에 대하여 공통적으
로 적용되는 ‘보통재판적’과 특별한 종류·내용의 사건에 대해서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특별재
판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원고는 경합하는 관할법원 중 아무데나 임의로 선택하여 소제기할
수 있으며, 특별재판적이 보통재판적에 우선하는 것이 아니다. 하나의 법원에 소제기하였다고
해서 다른 법원의 관할권이 소멸되지 아니하며 이미 한 법원에 소제기하였는데 다른 관할법원
에 소제기하면 중복소송으로 부적법해질 뿐이다.
① 사람의 보통재판적은 그 주소에 따라 정한다. 다만, 대한민국에 주소가 없거나 주소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거소에 따라 정하고, 거소가 일정하지 아니하거나 거소도 알 수 없으면 마
지막 주소에 따라 정한다(민사소송법 제3조). 따라서 피고가 자연인인 때에는 그 사람의 주소
지 법원에 관할권이 있다.
② 국가의 보통재판적은 그 소송에서 국가를 대표하는 관청 또는 대법원이 있는 곳으로 한다
(동법 제6조). 따라서 피고가 국가인 경우에는 국가를 대표하는 관청(법무부 소재지) 또는 대
법원이 있는 곳의 법원(서울중앙지방법원)에 관할권이 있다.
③ 재산권에 관한 소를 제기하는 경우에는 거소지 또는 의무이행지의 법원에 제기할 수 있다
(동법 제8조). 즉, 재산권에 관한 소를 제기하는 경우에는 거소지 또는 의무이행지의 법원에도

- 50 -
관할권이 있다.
④ 부동산에 관한 소를 제기하는 경우에는 부동산이 있는 곳의 법원에 제기할 수 있다(동법
제20조). 즉, 부동산에 관한 소를 제기하는 경우에는 부동산이 있는 곳의 법원에 관할권이 있
다.

63. 민사소송절차상의 송달과 관련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공시송달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원고가 피고의 주소를 알지 못하는 사실과 그것이 원고에게
과실없는 것임을 소명하여야 한다.
② 집행관 특별송달은 집행관이 하는 송달로서, 법원에 대한 특별송달허가의 신청 → 집행관
에게 송달의 촉탁 → 수수료의 납부절차를 거쳐서 한다.
③ 소장 송달이 불가능한 경우 법원은 원고에 대하여 피고에게 송달될 주소 및 송달방법을 제
출할 것을 명하는 이른바 주소보정명령을 한다.
④ 집행관 특별송달 신청서를 작성할 때에는 주간특별송달, 야간 및 공휴일 특별송달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는지 기재하여야 한다.
⑤ 이행권고결정은 공시송달의 방법에 의하여도 된다.

정답 : ⑤
⑤ 당사자의 주소등 행방을 알기 어려워 송달장소의 불명으로 통상의 송달방법에 의해서는 송
달을 실시할 수 없게 되었을 때에 하는 송달을 ‘공시송달’이라고 한다. 화해권고결정, 조정에
갈음하는 결정, 이행권고결정, 지급명령의 송달은 공시송달에 의할 수 없다.
① 공시송달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원고가 피고의 주소를 알지 못하는 사실과 그것이 원고에게
과실없는 것임을 소명하여야 한다(민사소송법 제194조 제2항 참조).
② 집행관 특별송달은 집행관이 하는 송달로서, 법원에 대한 특별송달허가의 신청 → 집행관
에게 송달의 촉탁 → 수수료의 납부절차를 거쳐서 한다. 이 수수료는 집행관에게 지급하는 금
액이다.
④ 집행관 특별송달 신청서를 작성할 때에는 송달가능한 시간대를 참작하여 주간특별송달, 야
간 및 공휴일 특별송달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는지 명백히 기재하여야 한다.
③ 소장 송달이 불가능한 경우 법원은 원고에 대하여 피고에게 송달될 주소 및 송달방법을 제
출할 것을 명하는 이른바 주소보정명령을 한다. 여기에도 일정한 기간이 정해져 있으며, 원고
는 이 기간 내에 주소보정의 신청을 하여야 한다.

64. 부동산경매에 있어서 배당요구를 하지 않아도 당연히 배당받을 수 있는 채권자에 속하지


않는 자는?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따름)
① 배당요구종기까지 경매신청을 한 압류채권자
② 경매 개시결정등기 후에 가압류를 한 채권자
③ 첫 경매 개시결정등기 전에 등기된 가압류채권자
④ 첫 경매 개시결정등기 전에 등기된 우선변제권자

- 51 -
⑤ 첫 경매 개시결정등기 전의 국세체납처분에 의한 압류권자

정답 : ②
‘배당요구’란 다른 채권자에 의하여 개시된 집행절차에 참가하여 동일한 재산의 매각대금에서
변제를 받으려는 집행법상의 행위로서 다른 채권자의 강제집행절차에 편승한다는 점에서 종속
적인 것이다. 배당요구를 하지 않아도 당연히 배당에 참가할 수 있는 자는 배당요구종기까지
경매신청을 한 압류채권자[이중경매신청인(①)], 첫 경매 개시결정등기 전에 등기된 가압류채
권자(③), 첫 경매 개시결정등기 전에 등기된 우선변제권자[저당권, 전세권, 임차권자 등(④)/
체납처분에 의한 압류권자(⑤)], 종전 등기기록상 권리자이다. 한편 배당요구를 하여야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자는 집행력 있는 정본을 가진 채권자, 첫 경매 개시결정등기 후에 가압류를 한
채권자(②), 민법·상법상, 그 밖의 법률에 의한 우선변제청구권이 있는 채권자, 조세 기타 공과
금채권자이다. 첫 경매 개시결정등기 후에 가압류를 한 채권자는 경매신청인에게 대항할 수
없고 집행법원도 가압류사실을 알 수가 없으므로 배당요구의 종기까지 배당요구를 하여야만
배당을 받을 수 있다.

65. 채권자취소권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따름)


① 취소채권자의 채권은 금전채권이어야 하며 특정채권의 보전을 목적으로 행사할 수 없다.
② 질권·저당권과 같은 물적담보에 의하여 담보되는 채권은 우선변제를 받는 한도에서 적극재
산·소극재산에서 공제되어야 하므로 담보물의 가액이 부족되는 한도에서만 채권자는 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다.
③ 채권자는 채무자의 악의뿐만 아니라 수익자와 전득자의 악의도 입증하여야 한다.
④ 채권자취소권의 채권은 원칙적으로 사해행위가 있기 이전에 발생한 것이어야 한다.
⑤ 사해행위취소소송은 채권자가 취소원인을 안 날로부터 1년, 법률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5년
내에 행사하여야 한다.

정답 : ③
‘채권자취소권’이란 채무자가 채권자를 해침을 알면서 자기의 일반재산을 감소시키는 법률행
위를 한 경우에, 채권자가 그 법률행위를 취소하고 재산을 원상으로 회복하는 것을 내용하는
권리를 말한다. 채권자취소권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객관적 요건으로서 채무자가 채권자를 해
하는 법률행위를 하였을 것과 주관적 요건으로서 채무자, 수익자 또는 전득자가 사해행위의
사실을 알고 있었을 것이 필요하다. 객관적 요건 중 피보전채권은 금전채권이어야 하며 특정
채권의 보전을 목적으로 행사할 수 없다(①). 또한 물적담보에 의하여 담보되는 채권은 담보물
의 가액이 부족한 한도 내에서만 채권자취소권이 발생한다(②).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은
원칙적으로 사해행위가 있기 전에 발생한 것이어야 한다(대판 2002.4.12, 2000다43352)(④).
주관적 요건으로서 채무자가 사해행위의 당시에 그것에 의하여 채권자를 해하게 됨을 알고 있
었어야 한다. 이러한 채무자의 악의에 대한 입증책임은 채권자에게 있다. 아울러 수익자 또는
전득자 역시도 사해행위시 또는 전득시에 채권자를 해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어야 한다. 채
권자가 채무자의 악의를 입증하면 수익자와 전득자의 악의는 추정되므로, 수익자와 전득자 스
스로가 선의를 입증하여야 한다(③). 사해행위취소소송은 채권자가 취소원인을 안 날로부터 1

- 52 -
년, 법률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5년내에 행사하여야 한다(민법 제406조 제2항)(⑤).

66. 다음 중 집행문 부여 요건으로 옳은 것은?


① 집행권원의 송달
② 집행권원상의 조건성취
③ 집행문과 증명서의 송달
④ 담보제공증명서의 송달과 그 등본의 송달
⑤ 반대급부의 이행 또는 이행의 제공

정답 : ②
강제집행을 하려면 집행문이 부기된 집행권원의 정본, 즉 집행력 있는 정본이 있어야 한다.
‘집행문’이라 함은 집행권원에 집행력이 있는 것과 집행당사자를 공증하기 위하여 공증공무원
이 집행권원의 정본의 말미에 부기하는 공증문언을 말한다. 집행문부여기관이 조사해야 할 요
건은 ⅰ) 확정판결이나 집행증서가 형식적 요건을 구비하고 있을 것, ⅱ) 집행권원이 집행력을
유효하게 발생할 수 있을 것, ⅲ) 그 내용의 집행이 가능할 것, ⅳ) 집행권원의 내용상 이행의
무가 조건에 걸려 있을 때에는 그 조건이 성취되었을 것(②), ⅴ) 집행문의 부여를 여러 통 청
구하였을 때 그 필요성의 유무 등이다.

67. 다음 중 집행권원이 아닌 것은?


① 확정된 종국판결
② 소송상 화해조서
③ 청구의 인낙조서
④ 소송비용액 확정결정
⑤ 중재판정

정답 : ⑤
‘집행권원’이라 함은 일정한 사법상의 이행청구권의 존재 및 범위를 표시하고 그 청구권에 집
행력을 정한 공정의 문서인데, 중재판정에 대한 집행판결이 집행권원이고 중재판정만으로는
집행권원이 될 수 없다. 현행법상 집행권원으로 인정되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 53 -
① 확정된 종국판결(①)
판결 ② 가집행의 선고가 있는 종국판결
③ 외국법원의 판결에 대한 집행판결
소송상 화해조서(②)
청구의 인락조서(③)
민사집행법과
민사소송법에 항고로만 불복할 수 있는 재판 소송비용액 확정결정(④) 등
규정된 것 확정된 지급명령
확정된 이행권고결정
확정된 화해권고결정
가압류명령, 가처분명령 민사집행법 제291조, 제301조
집행증서 금전소비대차공정증서, 어음공정증서 등

① 중재판정에 대한 집행판결(⑤)
② 파산채권표
③ 회사정리채권자표, 회사정리담보권자표
④ 조정조서와 조정에 갈음하는 결정
기타 법률에 ⑤ 비송사건절차의 비용의 재판
규정된 것 ⑥ 당사자가 예납하지 아니한 비용의 수봉 결정
⑦ 변협징계위원회의 과태료의 결정
⑧ 회사정리절차에 있어서 발기인 등에 대한 주금납입청구권 또는 그 책임에
기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사정의 재판
⑨ 언론중재위원회의 중재화해조서와 중재조서
⑩ 비송사건절차법상의 과태료의 재판에 대한 검사의 명령
⑪ 이의신청에 대한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재결

68.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재산명시명령을 송달받은 채무자가 거짓의 재산목록을 제출한 때에는 법원은 결정으로 20
일 이내의 감치에 처한다.
② 금전의 지급을 명한 집행권원이 확정된 후 6월 이내에 채무를 이행하지 아니하는 때에는
채권자는 채무자를 채무불이행자명부에 등재하도록 신청할 수 있다.
③ 확정판결을 받은 채권자가 재산명시절차를 거친 이후 재산명시를 실시한 법원에 재산조회
를 신청할 수 있다.
④ 채무자가 제출한 재산목록만으로 집행채권의 만족을 얻기에 부족한 경우에는 재산조회를
신청할 수 있다.
⑤ 법원은 재산조회신청을 심리한 결과 재산조회신청이 정당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신청을
인용하는 별도의 결정서를 작성하지 아니하고 결정내역 용지에 날인한 후에 재산조회를 실시
한다.

정답 : ①
① ‘재산명시절차’란 일정한 집행권원에 의한 금전채무를 부담하는 채무자가 그 채무를 이행

- 54 -
하지 아니하는 경우에 법원이 그 채무자로 하여금 강제집행의 대상이 되는 재산과 그 재산의
일정한 기간 내에 처분상황을 명시한 재산목록을 작성, 제출하게 하여 그 재산관계를 공개하
고 그 진실성에 관하여 선서하게 하는 법적 절차이다(민사집행법 제61조). 재산명시명령을 받
은 채무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ⅰ) 재산명시기일에 불출석하거나, ⅱ) 재산목록의 제출을 거부
하거나, ⅲ) 선서를 거부하는 경우에는 법원은 결정으로 20일 이내의 감치에 처한다(동법 제
68조 제1항). 채무자가 거짓의 재산목록을 제출한 때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
하의 벌금에 처한다(동법 제68조 제9항).
② ‘채무불이행자명부’라 함은 채무를 일정기간 내에 이행하지 아니하거나 재산명시절차에서
감치 또는 처벌대상이 되는 행위를 한 채무자에 관한 일정사항을 법원의 재판에 의하여 등재
한 후 일반인의 열람에 제공하기 위해 법원에 비치하는 명부를 말한다. 채권자는 채무자가
ⅰ) 금전의 지급을 명한 집행권원이 확정된 후 6월 이내에 채무를 이행하지 아니하는 때(다만,
가집행의 선고가 붙은 판결 또는 가집행의 선고가 붙어 집행력을 가지는 집행권원의 경우는
제외한다) 혹은 ⅱ) 채무자가 재산명시절차에서 재산명시기일에 불출석하거나, 재산목록의 제
출 또는 선서를 거부한 때, 거짓의 재산목록을 적어낸 때 중 하나에 해당하면 그 채무자를 채
무불이행자명부에 올리도록 신청할 수 있다(동법 제70조 제1항).
③ ‘재산조회제도’는 개인의 재산 및 신용정보에 관한 전산망을 관리하는 공공기관, 금융기관,
단체 등에 대하여 재산명시를 신청한 채권자에게 채무자명의의 재산을 쉽게 조회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재산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채권자의 권리를 찾아주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확
정판결을 받은 채권자가 재산명시절차를 거친 이후 재산명시를 실시한 법원에 재산조회를 신
청할 수 있다.
④ 재산조회 신청사유는 ⅰ) 재산명시절차에서 채권자가 법 규정에 의한 주소보정명령을 받고
도 민사소송법상 공시송달의 요건에 해당하는 사유로 인하여 채권자가 이를 이행할 수 없었던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 ⅱ) 재산명시절차에서 채무자가 제출한 재산목록의 재산만으로는 집행
채권의 만족을 얻기에 부족한 경우, ⅲ) 채무자가 재산명시절차에서 재산명시기일에 불출석하
거나, 재산목록의 제출 또는 선서를 거부한 때, 거짓의 재산목록을 적어낸 때 이다.
⑤ 법원은 재산조회신청을 심리한 결과 재산조회신청이 정당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신청을
인용하는 별도의 결정서를 작성하지 아니하고 결정내역 용지에 날인한 후에 재산조회를 실시
한다(재산조회결정의 필요성).

69. 집행문의 부여절차 없이 강제집행할 수 있는 경우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확정된 지급명령에 기한 강제집행
② 확정된 이행권고결정에 기한 강제집행
③ 가집행선고가 있는 판결에 기한 강제집행
④ 가압류명령의 집행
⑤ 가처분명령의 집행

정답 : ③
집행문은 원칙적으로 모든 집행권원에 요구된다. 확정판결의 경우뿐만 아니라 가집행선고가
있는 판결(③), 집행판결, 집행증서 등에도 필요하다. 그러나 다음의 경우에는 집행절차의 간

- 55 -
이성 및 신속성의 요구에 따라 예외적으로 집행문의 부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확정
된 지급명령에 의한 강제집행(①), 확정된 이행권고결정에 기한 강제집행(②), 가압류, 가처분
명령을 집행(④,⑤)하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집행절차 중의 부수적 집행이기 때문에 별
도의 집행문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에는 채권압류명령에 기한 채권증서의 인도집
행, 강제관리개시결정에 기한 부동산의 점유집행과 같은 경우이다. 또한 과태료의 재판, 확정
된 배상명령은 집행력 있는 민사판결정본과 동일한 효력이 있으므로 집행문이 필요하지 않다.
다만, 위와 같이 집행문의 부여를 요하지 아니하는 집행권원이라도 집행에 조건이 붙여진 경
우, 당사자의 승계가 있는 경우, 수통의 집행문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집행문이 필요하다.

70. 다음 중 채무불이행자명부등재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등재신청은 구술 또는 서면으로 할 수 있다.
② 금전의 지급을 명한 집행권원이 확정된 후 6월 이내에 채무를 이행하지 않을 때에도 신청
할 수 있다.
③ 이해관계인에 한해 채무불이행자명부의 열람 또는 복사 신청이 가능하다.
④ 채무불이행자명부는 채무자의 주소지를 관할하는 지방법원에 비치한다.
⑤ 강제집행이 용이하다고 인정할 만한 명백한 사유가 있는 때에는 법원은 등재신청을 각하한
다.

정답 : ②
‘채무불이행자명부’라 함은 채무를 일정기간 내에 이행하지 아니하거나 재산명시절차에서 감
치 또는 처벌대상이 되는 행위를 한 채무자에 관한 일정사항을 법원의 재판에 의하여 등재한
후 일반인의 열람에 제공하기 위해 법원에 비치하는 명부를 말한다. 채권자는 채무자가 ⅰ)
금전의 지급을 명한 집행권원이 확정된 후 6월 이내에 채무를 이행하지 아니하는 때(다만, 가
집행의 선고가 붙은 판결 또는 가집행의 선고가 붙어 집행력을 가지는 집행권원의 경우는 제
외한다) 혹은 ⅱ) 채무자가 재산명시절차에서 재산명시기일에 불출석하거나, 재산목록의 제출
또는 선서를 거부한 때, 거짓의 재산목록을 적어낸 때 중 하나에 해당하면 그 채무자를 채무
불이행자명부에 올리도록 신청할 수 있다(민사집행법 제70조 제1항).
① 등재신청은 서면으로 하여야 한다.
③ 채무불이행자명부나 그 부본은 누구나 제한 없이 일정수수료를 내고 열람하거나 복사할 것
을 신청할 수 있다(동법 제72조 제4항).
④ 채무불이행자명부는 등재결정을 한 법원에 비치한다(동법 제72조 제1항).
⑤ 등재신청에 정당한 이유가 없거나 쉽게 강제집행을 할 수 있다고 인정할 만한 명백한 사유
가 있는 때에는 법원은 결정으로 이를 기각하여야 한다(동법 제71조 제2항).

- 56 -
71. 다음은 부동산에 대한 집행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부동산에 대한 강제집행은 그 부동산이 있는 곳의 관할 지방법원으로 한다.
② 부동산이 여러 지방법원에 관할구역이 있는 때에는 각 지방법원에 관할권이 있으나, 이 경
우 법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때에는 사건을 다른 관할 지방법원으로 이송할 수 있다.
③ 관할권 없는 법원에 강제경매신청을 한 경우 법원은 직권으로 관할의 유무를 조사한 후 관
할권이 없다고 인정되면 신청을 각하한다.
④ 강제경매절차는 법관의 감독을 받아 사법보좌관이 업무하며, 강제관리는 지방법원 단독판
사가 담당한다.
⑤ 법원은 경매개시결정을 한 뒤에 바로 집행관에게 부동산의 현상, 점유관계, 차임 또는 보
증금의 액수, 그 밖의 현황에 관하여 조사하도록 명하여야 한다.

정답 : ③
① 부동산에 대한 강제집행은 그 부동산이 있는 곳의 지방법원이 관할한다(민사집행법 제79조
제1항).
② 부동산이 여러 지방법원에 관할구역이 있는 때에는 각 지방법원에 관할권이 있다. 이 경우
법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때에는 사건을 다른 관할 지방법원으로 이송할 수 있다(동법 제79
조 제2항).
③ 관할권 없는 법원에 강제경매신청을 한 경우에는 법원은 직권으로 관할의 유무를 조사한
후 관할권이 없다고 인정되면 관할지방법원에 이송하여야 하며 신청을 각하하여서는 아니된
다.
④ 강제경매절차는 법관의 감독을 받아 사법보좌관이 업무하며(법원조직법 제54조 제2항 제2
호), 강제관리는 지방법원 단독판사가 담당한다.
⑤ 법원은 경매개시결정을 한 뒤에 바로 집행관에게 부동산의 현상, 점유관계, 차임 또는 보
증금의 액수, 그 밖의 현황에 관하여 조사하도록 명하여야 한다(민사집행법 제85조 제1항).

72. 부동산경매절차에 있어서의 매수대금지급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매각허가결정이 확정되면 법원은 매수대금의 지급기한을 정하고 이를 매수인과 차순위매수
신고인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② 채권자가 매수인인 경우에는 매각결정기일이 끝날 때까지 법원에 신고하고 배당받아야 할
금액을 제외한 대금을 배당기일에 낼 수 있다.
③ 매수인은 매각허가결정 확정 후에 법원이 정한 기한까지 매각대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④ 매수인이 경매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하는 시기는 매각대금을 다 내고 그에 따른 소유권이
전등기가 이루어진 때이다.
⑤ 차순위매수신고인에 대한 매각허가결정이 있은 때에는 매수인은 매수신청의 보증의 반환을
청구할 수 없다.

정답 : ④
④ 매수인은 매각대금을 다 낸 때에 매각의 목적인 권리를 취득한다(민사집행법 제135조).
① 매각허가결정이 확정되면 법원은 대금의 지급기한을 정하고 이를 매수인과 차순위매수신고

- 57 -
인에게 통지하여야 한다(동법 제142조 제1항).
② 채권자가 매수인인 경우에는 매각결정기일이 끝날 때까지 법원에 신고하고 배당받아야 할
금액을 제외한 대금을 배당기일에 낼 수 있다(동법 제143조 제2항).
③ 매수인은 매각허가결정 확정 후에 법원이 정한 기한까지 매각대금을 지급하여야 한다(동법
제142조 제2항).
⑤ 차순위매수신고인에 대한 매각허가결정이 있은 때에는 매수인은 매수신청의 보증을 돌려줄
것을 요구하지 못한다(동법 제137조 제2항).

73. 압류한 유체동산의 매각절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집행관은 금전을 압류한 경우 반드시 그 금전을 공탁하여 채권자들에게 배당하여야 한다.
② 부부가 공유하는 유체동산을 압류하여 매각하는 경우에 배우자는 매각기일에 출석하여 우
선매수할 것을 신고할 수 있다.
③ 금·은붙이는 시장가격 이상의 금액으로 일반 현금화의 규정에 따라 매각하여야 한다.
④ 객관적인 시장거래가격이 있는 유가증권은 집행관이 매각하는 날의 시장가격에 따라 적당
한 방법으로 매각할 수 있다.
⑤ 법원은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집행관에게 위임하지 않고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압류물을 매
각하게 하도록 명할 수 있다.

정답 : ①
① 매각대금으로 배당에 참가한 모든 채권자를 만족시킬 수 있으면 집행관은 채권자들에게 변
제금을 교부하고 나머지가 있으면 채무자에게 교부함으로써 배당절차는 끝이 난다. 매각대금
으로 채권자를 모두 만족시킬 수 없더라도 매각허가된 날로부터 2주 이내에 채권자 사이에 배
당협의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협의의 내용에 따라 집행관이 배당금을 교부함으로써 배당절차는
끝이 난다. 매각대금으로 배당에 참가한 모든 채권자를 만족하게 할 수 없고 매각허가된 날로
부터 2주 이내에 채권자 사이에 배당협의가 이루어지지 아니한 때에는 매각대금을 공탁하고
(민사집행법 제222조 제1항), 집행관은 집행절차에 관한 서류를 붙여 그 사유를 법원에 신고
하여야 한다(동조 제3항). 이때부터 배당절차는 법원이 실시하게 된다.
② 부부가 공유하는 유체동산을 압류하여 매각하는 경우에 배우자는 매각기일에 출석하여 우
선매수할 것을 신고할 수 있다(동법 제206조 제1항).
③ 금·은붙이는 시장가격 이상의 금액으로 일반 현금화의 규정에 따라 매각하여야 한다. 시장
가격 이상의 금액으로 매수하는 사람이 없는 때에는 집행관은 그 시장가격에 따라 적당한 방
법으로 매각할 수 있다(동법 제209조).
④ 집행관이 유가증권을 압류한 때에는 시장가격이 있는 것은 매각하는 날의 시장가격에 따라
적당한 방법으로 매각하고 그 시장가격이 형성되지 아니한 것은 일반 현금화의 규정에 따라
매각하여야 한다(동법 제210조).
⑤ 법원은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직권으로 또는 압류채권자, 배당을 요구한 채권자 또는 채무
자의 신청에 따라 일반 현금화의 규정에 의하지 아니하고 다른 방법이나 다른 장소에서 압류
물을 매각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집행관에게 위임하지 않고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압류물을
매각하게 하도록 명할 수 있다(동법 제214조 제1항).

- 58 -
74. 다음은 추심명령과 전부명령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추심명령을 얻은 채권에 대하여 그 후에 다시 전부명령을 신청할 수도 있다.
② 추심명령이나 전부명령의 관할법원은 둘 다 압류명령의 집행법원과 동일한 지방법원이다.
③ 채무자에 대한 송달은 전부명령의 효력발생요건이 아니고 추심명령의 효력발생요건이다.
④ 추심명령이나 전부명령의 신청에 관한 재판에 대하여는 둘 다 즉시항고할 수 있다.
⑤ 추심명령은 확정이 되지 않아도 효력이 발생하는 반면 전부명령은 확정이 되어야 효력이
발생한다.

정답 : ③
③ 채무자에 대한 송달은 추심명령의 효력발생요건이 아니고 전부명령의 효력발생요건이다(민
사집행법 제229조 제4항, 제227조 제2항, 제3항).
① 추심명령과 전부명령을 동시에 신청할 수는 없으나 압류된 채권중 일부에 관하여는 추심명
령을, 다른 일부에 관하여는 전부명령을 신청할 수 있고, 전부명령을 신청하면서 그것이 허용
되지 않는 경우에 대비하여 예비적으로 추심명령을 신청하는 것도 허용된다. 또 추심명령을
얻은 채권에 대하여 그 후에 다시 전부명령을 신청할 수도 있으나 전부명령을 받은 채권에 대
하여는 추심명령을 신청할 여지가 없다. 추심명령과 전부명령의 어떤 것을 신청하는 것인지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에는 채권자가 불이익을 입을 위험이 적은 추심명령의 신청으로 볼 것이
다.
② 추심명령이나 전부명령의 관할법원은 둘 다 압류명령의 집행법원과 동일한 지방법원이다
(동법 제224조 참조).
④ 추심명령이나 전부명령의 신청에 관한 재판에 대하여는 둘 다 즉시항고할 수 있다(동법 제
229조 제6항).
⑤ 추심명령은 확정이 되지 않아도 효력이 발생하는 반면 전부명령은 확정이 되어야 효력이
발생한다(동법 제229조 제7항 참조).

75. 다음 중 부동산 경매절차에서 「민사집행법」 제90조에서 정한 이해관계인이 아닌 자는?


① 등기부에 기입된 부동산 위의 권리자
② 채무자
③ 부동산 위의 권리자로서 그 권리를 증명한 사람
④ 소유자
⑤ 집행력 있는 정본 없이 배당요구를 한 채권자

정답 : ⑤ 「민사집행법」에는 경매절차의 이해관계인을 ⅰ) 압류채권자와 집행력 있는 정본에


의하여 배당을 요구한 채권자, ⅱ) 채무자(②)및 소유자(④), ⅲ) 등기부에 기입된 부동산 위의
권리자(①), ⅳ) 부동산 위의 권리자로서 그 권리를 증명한 사람(③) 으로 규정하고 있다(동법
제90조).

- 59 -
[제4과목] 고객관리 및 민원예방(25문제)

76. 다음은 신용관리 담당자의 마음가짐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채무자에게 관행이나 약관 등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하고 자진 변제하도록 유도한다.
② 연체자도 최초에는 중요한 고객이었음을 염두에 둔다.
③ 채무변제를 하지 못하는 사유를 정확히 파악하는 능력을 갖추도록 노력한다.
④ 채무자의 채무변제를 도울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생각한다.
⑤ 회수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추후에도 불량고객으로 되리라는 것을 염두에 둔다.

정답 : ⑤
신용관리 담당자는 다음과 같은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
(1) 늘 감사하는 마음으로 응대한다.
(2) 연체자도 최초에는 중요한 고객이었음을 염두에 둔다(②).
(3) 채무변제를 못하는 사유를 정확히 파악하는 능력을 갖추려고 노력한다(③).
(4) 역지사지, 고객 배려의 따뜻한 마음으로 응대한다.
(5) 회수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추후 정상고객으로 회복하게 되리라는 것을 염두에 둔다(⑤).
(6) 채무자에게 관행이나 약관 등을 충분히 설명하고 자진 변제하도록 유도한다(①).
(7) 원활한 변제를 위해 채무자에게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는가를 생각한다(④).
(8) 성의를 가지고 응대한다.

77. 다음은 신용관리 담당자의 연체관리를 위한 전화응대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가장 적절하
지 않은 것은?
① 고객의 변명이나 하소연도 가능한 경청하여 들어준다.
② 처음 연락될 때에는 가능한 강력하고 극단적인 방법으로 기선을 제압하여야 한다.
③ 처음과 마지막은 감성적으로 응대한다.
④ 약속은 복창하고, 메모하며, 확인한다.
⑤ 감사전화는 고객과의 유대를 깊게 하여 연체 반복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정답 : ②
신용관리 담당자의 연체관리를 위한 전화응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연체고객도 서비스를 받을 자격이 있다.
(2) 고객의 변명이나 하소연은 끝까지 들어준다(①).
(3) 기본적으로 이성적으로 응대하되, 처음과 마지막은 감성적으로 응대한다(③).
(4) 약속은 복창하고 메모하며 확인한다(④).
(5) 감사전화가 필요하다(⑤).

- 60 -
(6) 극단적인 방법은 마지막이다(②).

78. 다음 중 신용관리 담당자의 부정행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상급 직원의 명령을 어기고 업무규정을 우선적으로 적용하여 처리하는 행위
② 규범에 반하거나 사심을 가지고 부당하게 처리하는 행위
③ 직무 및 직위를 이용하여 사적 이익을 추구하거나 거래처에 피해를 입히는 행위
④ 횡령, 유용, 회사물품의 절도 및 무단반출 행위
⑤ 채무자에 대한 신용정보를 유출하는 행위

정답 : ①
상급 직원의 명령이 부당하다면 회사와 고객의 이익을 위해 업무규정을 우선적으로 적용하여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용관리 담당자의 부정행위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 광의의 부정행위
① 직장인으로서 기업의 목적인 이윤동기에 배치되는 행위
② 맡은 바 임무와 역할에 최선을 다하지 않는 불성실한 일체의 행위
(2) 협의의 부정행위
① 규범에 위배되며 사심을 가지고 부당하게 처리하는 행위
② 직무 및 직위를 이용하여 사적 이익을 추구하거나 거래처 폐해 등의 행위
③ 횡령, 유용, 회사물품의 절도 및 무단반출, 사내정보 유출 등의 범법행위
④ 고의 또는 자의로 최선을 다하지 않아 회사에 손실을 발생시키는 업무태만, 업무해태 행위

79. 인사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인사는 상대방을 위한 것이다.
② 인사란 만남의 첫걸음이며 마음가짐의 외적 표현이다.
③ 인사란 인간관계가 시작되는 신호이다.
④ 인사는 상대방에 대한 존경심과 친절을 나타내는 형식이다.
⑤ 상대방이 느낄 수 있는 첫번째 감동이다.

정답 : ①
① 인사는 받는 사람에게는 물론, 하는 사람에게도 기쁨을 주고 보람을 주는 기본적인 예절이
다. 인사는 상대방을 위한 것이 아닌, 나 자신을 위한 것임을 명심하고 내가 먼저 한다는 자
세가 중요하다.
②,③ 인사시 시선은 상대방의 눈에 맞춘 다음, 인사말을 밝고 분명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사
는 만남의 첫걸음이며, 마음가짐의 외적 표현으로 인간관계가 시작되는 신호이다.
④,⑤ 인사는 상대방에 대한 존경심과 친절을 나타내는 형식이며 상대방이 느낄 수 있는 첫

- 61 -
감동이다. 인사는 내가 먼저 하고 눈을 마주치며 밝게 그리고 말을 곁들여서 상대방에게 맞는
인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엘리베이터 안이나 복도 또는 계단에서 인사하는 경우나 자주 대
할 때에는 가벼운 인사, 즉 목례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화장실에서는 인사하지 않으며, 단
눈이 마주칠 경우에는 목례를 하는 것이 좋고, 양손에 무거운 짐을 들고 있거나 교육 또는 회
의를 하는 경우나 중요한 상담을 하고 있을 경우, 위험한 작업이나 복잡한 계산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인사를 생략해도 좋다. 즉, 도저히 인사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하지 않아도 좋다. 오히려 인사하
느라 일의 안정성을 잃는 것보다는 열심히 일에 몰두하는 것이 상대방을 편하게 할 수 있기 때
문이다.

80. 고객 반대시 대응화법 중 다음의 대화에 해당하는 화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고객이 회수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이야기를 계속할 때 다른 화제로 전환하는 방법


∙ 고객 : 연체를 정리해야 하는데 돈이 없어요.
∙ 신용관리 담당자 : 얼마 전 뉴스를 보셨어요?....

① 질문법
② 실례법
③ 간접부정법
④ 직접부정법
⑤ 묵살법

정답 : ⑤ 고객 반대시 대응화법은 다음 표와 같다.


질문법 고객의 반대를 역으로 이용하여 질문하는 방법
연체금을 변제하지 않았을 때 연체자가 받게 되는 불이익의 실례를 들어 설명하는
실례법
방법으로 회수에 유효한 수단이 됨.
고객의 입장을 고려하여 정면에서 부정하지 않고 기분을 맞춰준 후 변제를 하도록
간접부정법
유인하는 방법
고객의 반대에 정면으로 반격하는 화법으로 고객의 성격에 따라 역효과가 날 수
직접부정법
있으므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함.
묵살법 고객이 회수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이야기를 계속할 때 다른 화제로 전환하는 방법

81. 다음 중 신용관리 담당자가 갖추어야 할 기본예절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명함은 일반적으로 방문한 사람이 먼저 건네는 것이 예의이다.
② 엘리베이터 안내인이 없는 경우에는 자신이 먼저 타 버튼을 조작하고 손님이나 상사를 안
내한다.
③ 고객과 상사를 소개할 경우에는 고객에게 상사를 소개한 후 상사에게 고객을 소개한다.
④ 인사는 상대방을 위한 것이므로 상대방의 기분과 반응을 살핀 후에 한다는 자세가 중요하

- 62 -
다.
⑤ 미소 짓는 표정은 상대방에게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고 상대방을 편안하고 즐겁게 해줄 수
있다.

정답 : ④
④ 인사는 상대방을 위한 것이 아닌, 나 자신을 위한 것임을 명심하고 내가 먼저 한다는 자세
가 중요하다.
① 명함을 건넬 때는 일반적으로 아랫사람이 먼저 건네는 것이 기본이며, 상대가 다수인 경우
지위가 높은 사람부터 명함을 교환한다. 또한 방문을 했을 경우에는 방문한 사람이 먼저 건네
는 것이 예의이다.
② 엘리베이터 안내인이 있는 경우에는 손님이나 상사가 먼저 타고 내리며, 안내인이 없는 경
우에는 자신이 먼저 타 버튼을 조작하고 손님이나 상사를 안내한다.
③ 고객에게 상사를 소개할 경우에는 고객에게 상사를 먼저 소개한 후 상사에게 고객을 소개
하고 고객에게 좌석에 앉을 것을 권유한다. 고객, 상사, 담당자 모두가 초면인 경우에는 상사
가 먼저 고객에게 자기소개를 한 후 담당자는 상사로부터 소개받기를 기다리고 담당자는 상사
와 같이 고객에게 앉을 것을 권유한다.
⑤ 미소를 지으면 자기 자신이 즐거워지고(마인드컨트롤), 상대방을 편안하고 즐겁게 해주며
(감정이입), 조깅을 한 것만큼 건강증진의 효과가 있다. 또한 업무능률의 신바람(상승) 효과를
불러오고, 상대방에게 좋은 이미지(호감)를 심어준다.

82. 다음의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 ( )은(는) 마케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쌍방향성의 전기통신장치를 체계적으로 활


용하는 다이렉트 마케팅 분야이다.
∙ ( )은(는) 고객을 직접 대면하지 않고서도 그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① 텔레마케팅(Telemarketing)
② 스토리텔링
③ 메타커뮤니케이션
④ 교차대화
⑤ 교류대화

정답 : ①
① ‘텔레마케팅’은 마케팅의 목표 달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객의 정보를 바탕으로 쌍
방향성의 전기통신장치를 체계적으로 활용하는 다이렉트 마케팅의 한 분야이다. 고객과 직접
대면하지 않고서도 그와 유사한 효과를 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높은 보급률, 낮은 코스트,
쌍방향성, 높은 생산성, 즉시성, 융통성, 타 매체와의 연계성이 있다.
② ‘스토리텔링’은 고객이 염려하거나 부담스러워하는 사안에 직면하여 고객의 마음을 읽고
쉬운 이야기를 통해 부드럽게 해결책을 제시하는 방법이다.

- 63 -
③ 말이 아닌 시선, 동작, 몸짓, 태도 따위의 비언어적 의사전달을 통틀어 ‘메타커뮤니케이션
(metacommunication)’이라 한다. 일상생활에서 언어에 의한 커뮤니케이션보다 메타커뮤니케
이션을 통한 의사소통의 비중이 훨씬 크다고 한다. 따라서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하기 위하
여 말에 앞서 표정관리가 더욱 중요하다고 하므로, 표정훈련을 통해 자연스러운 미소를 만들
어야 한다. 시선은 상대방의 눈에 맞추고 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뚫어지게 쳐다본다는 느
낌을 주는 것은 좋지 않다.
④ ‘교차대화’는 서로의 기대와 다른 자아상태로 대화가 이어진다면 원만한 대화가 이루어지
지 않으며 대화가 논쟁이 되고 끝내 단절된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교차대화는 하지 않는다.
대화의 흐름을 멈추게 하고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를 저해하고 고객과의 관계에도 악영향을
주게 되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⑤ ‘교류대화’는 이른바 ‘상보대화’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이는바, 대화가 서로 기대했던 자극
과 반응으로 이어진다면 원만한 대화가 이루어지며 이를 상보대화라고 한다. 상보대화를 성립
시키려면 상대가 말하려는 의도나 말하는 내용을 잘 파악하여 대화의 방향을 맞춰야 한다. 상
대의 말을 솔직하게 수용하고 솔직하게 되돌려 준다. 즉, 상대의 말을 곡해한다든지 과소평가하면 상보
대화가 되기 어렵다. 또한 상대의 말을 긍정하며 반복해 본다.

83. 신용관리 담당자의 태도 및 직업윤리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채권추심업무 수행을 위하여 채무자의 소재를 탐지하는 행위는 신용관리 담당자의 대표적
인 부정(不正)행위이다.
② 감정은 의도와 상관없이 얼굴표정에 나타나게 되나 꾸준한 노력과 훈련으로 온화한 얼굴표
정과 미소 짓는 습관이 몸에 배도록 할 수 있다.
③ 전문용어를 많이 쓰고 외래어를 남발하거나 자기 이야기만 하는 일방적인 대화는 바람직하
지 않다.
④ 말하기는 언어적 요소뿐만 아니라 말하는 사람의 제스처, 표정, 시선 맞추기 같은 비언어
적 요소도 중요하다.
⑤ 법령을 준수하고 공정하고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투명하게 직무를 수행한다.

정답 : ①
① 채권추심 목적달성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범위 안에서 채무자에 대한 소재파악을 실시하
여야 하며, 이 과정에서 합리적이고 공정한 수단을 사용하여야 한다(신용정보법 제15조 제1
항). 따라서 채권추심업무 수행을 위하여 채무자의 소재를 탐지하는 행위는 신용관리 담당자
의 정당한 행위이다.
②④ 말하기는 언어적 요소뿐만 아니라 말하는 사람의 제스처, 표정, 시선 맞추기 같은 비언
어적 요소도 중요하다. 말이 아닌 시선, 동작, 몸짓, 태도 따위의 비언어적 의사전달을 통틀어
‘메타커뮤니케이션(metacommunication)’이라 한다. 일상생활에서 언어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보다 메타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의사소통의 비중이 훨씬 크다고 한다. 따라서 감정은 의도와
상관없이 얼굴표정에 나타나게 되나 꾸준한 노력과 훈련으로 온화한 얼굴표정과 미소 짓는 습
관이 몸에 배도록 할 수 있다.
③ 상보대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전문용어를 많이 쓰고 외래어를 남발하거나 자기 이야기

- 64 -
만 하는 일방적인 대화는 바람직하지 않다.
⑤ 신용관리 담당자는 법령을 준수하고 공정하고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투명하게 직무를 수행
한다.

84.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용어로 적절한 것은?

∙ 고정된 개념이 아닌 언제나 변화하는 변형된 개념이다.


∙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사전기대보다 사용실감이 크거나 높은 것을 말한다.
∙ 신뢰성, 접근성, 안전성, 신용도, 편의성, 직원의 기본자질과 태도 등에 의해 결정된다.

① TA(Transactional Analysis : 교류분석)이론


② 역활연기법
③ 고객만족(Customer Satisfaction)
④ 감성지수(Emotional Quotients)
⑤ MOT(Moment of Truth)

정답 : ③
‘고객만족’은 고정된 개념이 아닌 언제나 변화하는 변형의 개념(Transformational Concept)이다. 고
객의 ‘사전기대’가 기준이 되기 때문에 고객마다 그 기준이 다르며 고객이라 하더라도 때와
장소에 따라 기준이 변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에 따라, 시대에 따라 서비스의 방법과 기술은 변
하며 그렇기 때문에 고객만족이란 미리 알 수도, 조절할 수도, 신뢰할 수도 없는 과정이다. 고객만
족은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사전기대(Expection)보다 사용실감(Perception)이 크거나
높은 것을 말한다. 고객은 기대(생각)했던 것보다 잘한다(좋다)고 느끼면 만족하고 반대의 경우
불만족스러워 하거나 그저 그렇다고 느낀다. 고객만족을 결정하는 10가지 요소는 (1) 신뢰성,
(2) 접근성, (3) 신용도, (4) 기본자질, (5) 안전성, (6) 태도, (7) 대화방법, (8) 편의성, (9) 고
객 이해도, (10) 신속한 대응 이다.

85. 고객의 성향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고객은 자기중심적이다.
② 고객은 보이지 않는 보고카드를 가지고 있다.
③ 고객은 불만을 회사에게 말한다.
④ 고객은 제1선 사원과 접촉한다.
⑤ 고객은 회사의 가장 중요한 자산이다.

정답 : ③
고객만족을 위해서는 고객의 성향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하는바, 고객은 다음과 같은 성
향을 갖는다.
1. 고객은 자기중심적이다(The customer is self-centered)(①). 고객은 자기가 안고 있는 문제해결에
만 관심이 있다.

- 65 -
2. 고객은 보이지 않는 보고카드(Invisible Report Card)를 가지고 있다(②).
3. 고객은 불만을 회사에 말하지 않는다(③).
4. 고객은 제1선 사원(Frontline People)과 접촉한다(④).
5. 고객은 회사의 가장 중요한 자산이다(⑤).

86. 다음은 TA이론에 따른 신용관리 담당자의 특징이다.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AC가 높은 신용관리 담당자 : CP나 FC의 고객과의 상담에서는 상담을 리드한다.
② CP가 높은 신용관리 담당자 : 고객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하기보다 연체되는 고객의 잘못
을 지적하는 편이다.
③ NP가 높은 신용관리 담당자 :“힘드셨겠어요.”, “제가 좀 도와드리고 싶네요.” 등 상대방의
상황이나 어려움에 동감하는 말투를 자주 사용한다.
④ A가 높은 신용관리 담당자 : 다른 신용관리 담당자 보다 정확한 업무지식을 가지고 있는
편으로 실제 고객과의 상담시 조치하게 될 절차에 관한 이야기를 많이 하는 편이다.
⑤ FC가 높은 신용관리 담당자 : 개인적인 기분에 따라 상담하는 태도가 많이 다른 경우가
많다.

정답 : ①
‘TA’란 Transactional Analysis의 약자로 우리나라에서는 교류분석 또는 대화분석이라고 번
역되고 있다. 미국의 정신의학자 에릭 번이 개발한 TA이론에 의하면 사람의 자아상태의 특성
에 따라 그 유형을 부모(P ; Parent), 성인(A ; Adult), 어린이(C ; Child)의 자아상태로 분류하
고 다시 부모의 자아상태는 엄격한 부모 마음(CP ; Critical Parent)과 보호적인 부모 마음(NP ;
Nurturing Parent), 어린이 자아상태는 자유로운 어린이 마음(FC ; Free Child)과 순응하는 어린
이 마음(AC ; Adapted Child)을 가진 사람으로 유형을 나누어 보고 있다. TA이론에 따른 신용
관리 담당자의 특징과 주의사항은 다음 표와 같다.

- 66 -
구 분 특 징 주의사항

고객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하기


지나치게 고압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고객
CP높은 보다는 연체되는 고객의 잘못을
의 태도나 상황에 관계 없이 항상 경어를 사용하도록 조심
담당자 지적하고 연체납입을 강요하는
한다.
편이다.(②)
고객의 입장에서 지나치게 수용적인 입장을 가진다면 고객
고객에게 전화를 걸어 연체독촉 의 상황을 많이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객관적인 입장을 가
NP높은 을 위한 상담의 시간보다 고객의 지려고 노력한다. 불가능한 부분을 억지로 고객을 위해 희
담당자 이야기를 들어주는데 시간을 많 생하거나 혜택을 주려 노력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지나치게
이 할애하는 편이다.(③) 관용적인 태도는 고객의 습관적인 연체를 불러일으키기 쉬
운 부분이기 때문에 취하지 않도록 한다.
고객의 연체에 대해서 체계적인
데이터를 갖고 연체가 지속될수 고객이 신용관리 담당자가 지나치게 냉정하고 차갑다고 느
A높은
록 얼마의 수수료가 늘어나는지 낄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의 상황에 따라 적극적으로 경청하
담당자
등의 설명을 하는 신용관리 담당 고 적절히 맞장구를 치는 태도가 필요하다.
자가 많다.(④)
개인적인 기분에 따라 상담하는 고객과 기분 좋게 통화를 하는 것, 즉 주관적인 생각보다는
FC높은
태도가 크게 다른 경우가 많다. 고객에 대한 객관적인 사실을 알아낼 수 있도록 상담에 집
담당자
(⑤) 중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외향적인 고객과 상담시 신용관리담당자가 오히려 고객에게
연체상황이 힘든 고객에게 고객 이끌려 상담을 효과 없이 끝내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
의 연체사실을 알리는 것조차 난 담하기 전에 고객과의 과거 상담기록과 상황 등을 꼼꼼하게
AC높은
처하게 생각한다. 따라서 고객과 점검한 후 상담에 임하고 전달해야 할 부분에 대하여서는 좀
담당자
의 상담에서 상담을 리드하기 어 더 큰 목소리로 명확하고 자신감 있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준
렵다.(①) 비하여야 한다. 우물쭈물 하지 말고 “NO”라고 해야 할 것은
분명하게 “NO”라고 이야기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87. 다음은 고객과 생산적인 대화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가장 적절한 것은?

“연체 금액이 많은데 연체가 계속되고 있어서 걱정됩니다. 고객님”


“지난 번에도 약속한 날짜에 입금되지 않았고, 이번에도 입금되지 않았습니다. 어려우신지
는 알지만 3일 이내에 입금되지 않으면 부득이 담보물을 임의처분할 예정임을 알려드립니
다.”
“며칠째 전화를 계속 받지 않으시어 다른 일이 있는지 걱정했습니다.”

① “너 전달법(You-Message)”
② 스토리텔링
③ “나 전달법(I-Message)”
④ 교차대화
⑤ 교류대화

정답 : ③
대화가 서로 기대했던 자극과 반응으로 이어진다면 원만한 대화가 이어지며 이를 ‘상보대화’

- 67 -
라 한다. 상보대화를 하면 고객과 생산적인 대화를 할 수 있는데, 상보대화를 위한 기본스킬
로서 ‘나’ 전달법과 ‘너’ 전달법이 있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표와 같다.
구분 ‘나’ 전달법 ‘너’ 전달법

나를 주어로 하여 고객의 행동에 대한 자신의 생 너를 주어로 하여 고객의 행동을 표현하는 대화


정의
각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 방식
•의사표현:연체금액은 많은데 계속 연체가 되
예 •의사표현:왜 연체금액 해결을 못하세요?
고 있어서 걱정입니다.
① 고객에게 나의 입장과 감정을 전달함으로써
① 상대에게 문제가 있다고 표현함으로써 상호
상호이해를 도울 수 있다.
관계를 파괴하게 된다.
② 고객에게 개방적이고 솔직하다는 느낌을 전달
② 고객에게 일방적으로 강요, 공격, 비난하는
결과 하게 된다.
느낌을 전달하게 된다.
③ 고객은 나의 느낌을 수용하고 자발적으로
③ 고객은 변명하려 하거나 반감, 저항, 공격성을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도를 지니
보이게 된다.
게 된다.

문제의 사례는 상보대화의 기본스킬 중 ‘나’ 전달법의 예시이다.

88. 고객관리와 관련하여 MOT(Moment of Truth)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I/T 기술의 발달로 MOT는 다양하게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② MOT 경영은 관리자에게만 실질적인 권한을 부여한다.
③ MOT 서비스 수준은 “제방(둑)원리”(저수지 물의 높이는 제방의 높이가 아니라 뚫린 구멍
의 높이와 같다)가 적용된다.
④ 고객접점 서비스는 고객과 많이 접하는 서비스업인 경우 더욱 중요하다.
⑤ 간부나 관리자의 서비스 수준이 아무리 높다고 해도 제1선 접점사원에 의해 그 회사의 서
비스 수준이 결정된다.

정답 : ②
② ‘MOT(Moment of Truth)’란 고객이 조직의 일면과 접촉하여 그 서비스 품질에 관하여 무
엇인가 인상을 얻을 수 있는 사건 모두를 말한다. 이는 ‘진실의 순간’, ‘평가의 순간’으로 칭하
며 어떤 일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결정적인 순간을 말한다. 제품을 구성하는 하나하나의 원자
와 마찬가지로 서비스라는 상품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제1선 종업원만이 MOT
를 관리할 수 있는 유일한 관리자이다.
⑤ 즉, 간부나 관리자의 서비스 수준이 아무리 높다고 해도 제1선 접점사원에 의해 그 회사의
서비스 수준이 결정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MOT를 직접 취급하고 있는 제1선 종업원을 신뢰
하고 지원할 수밖에 없다.
① 기존에는 대면접촉에 의한 MOT에서 I/T기술 발달에 따른 e-mail이나 인터넷 발달 등으
로 다양한 MOT경로가 발생하였다.
③ MOT 서비스 수준은 “제방(둑)원리”(저수지 물의 높이는 제방의 높이가 아니라 뚫린 구멍
의 높이와 같다)가 적용된다. 즉 제방의 높이가 아무리 높다 하더라도 수문이나 뚫린 구멍으
로 물은 새어나가기 마련이다.
④ 고객접점 서비스는 고객과 많이 접하는 서비스업인 경우 더욱 중요하다.

- 68 -
89. 「채권추심 및 대출채권 매각 가이드라인」(2017년 「채권추심 가이드라인」은 「채권추심 및
대출채권 매각 가이드라인」으로 변경)의 목적과 성격 등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금융회사등이 채권추심 과정에서 준수하여야 할 내부통제기준을 업무단계별로 제시하였다.
② 금융회사등의 채권 매각 프로세스를 규율함으로써 불법·불공정한 채권추심행위를 사전에
예방함을 목적으로 한다.
③ 채권추심 및 대출채권 매각 가이드라인은 「금융규제 운영규정」에 따른 행정지도로 강제성
이나 법적 구속력을 가지지 않는다.
④ 사회통념상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불법·부당한 채권추심 행위에 대한 사례를 나열하고 있
으나, 이러한 사례가 반드시 관련법규에 위반된다고 단정할 수 없다.
⑤ 채권추심회사는 채권자와 채권추심위임계약이 종결되면 종결 이전에 발생한 불법·부당행위
에 대하여 책임이 없다.

정답 : ⑤
금융감독원은 2018년 5월에 기존의 「채권추심 가이드라인」을 「채권추심 및 대출채권 매각 가
이드라인」으로 변경하였다.
①② 동 가이드라인은 금융회사등이 채권추심 과정에서 준수하여야 하는 내부통제기준을 업무
단계별로 제시하고 금융회사등의 채권 매각 프로세스를 규율함으로써 불법·불공정한 채권추심
행위를 사전에 예방함을 목적으로 한다(제1조).
③ 이 가이드라인은 「금융규제 운영규정」 제2조 제4호에 따른 금융행정지도로 강제성이나 법
적 구속력을 가지지 아니한다(제5조 제1항).
④ 따라서 사회통념상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불법·부당한 채권추심 행위에 대한 사례를 나열
하고 있으나, 이러한 사례가 반드시 관련법규에 위반된다고 단정할 수 없다(동조 제2항). 이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 것만으로 감독당국 및 사법당국의 제재대상이 되지 아니함을 보장하지
아니하며, 채권추심 과정에서 발생하는 개별적 행위의 법위반 여부는 최종적으로 사법당국에
서 판단하는 사항이다(동조 제3항).
⑤ 금융회사는 채권을 매각하더라도 채권매각 이전에 발생하는 불법·부당행위에 대하여 책임
이 있으며, 채권추심회사는 채권자와 채권추심위임계약이 종결되더라도 종결 이전에 발생하는
불법·부당행위에 대하여 책임이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동조 제4항).

90.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용어로 적절한 것은?

고객 및 상품에 대한 정보가 기업내에 흩어져 있으면 그것은 죽은 정보이다. 기업내 모든


고객정보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되어 전 부서에 피드백되고 활용될 때, 고객만족형 상
품 및 서비스가 개발되고 실천될 수 있다.

① MOT(Moment of Truth)

- 69 -
② 아웃(OUT)바운드
③ CD(Customer Delight)
④ T/M(Telemarketing)
⑤ VOC(Voice of Customer)

정답 : ⑤
‘VOC(Voice of Customer) 시스템’은 고객의 소리를 통합, 기업활동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설
계해 주는 시스템이다. 고객 및 상품에 대한 정보가 기업 내에 흩어져 있으면 그것은 죽은 정
보이다. 기업내 모든 고객정보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되어 전 부서에 피드백되고 활용될
때, 고객 만족형 상품 및 서비스가 개발되고 실천될 수 있다. VOC 시스템의 구성은 다음 표
와 같다.
고객이 쉽게 의견을 제공할 수 있는 창구(상담, A/S, 고객엽서, PC통신)를 개설하여 고
VOC 채널
객의 소리를 수집한다.
VOC 시스템 고객정보 축적·통합·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고객의 소리를 분석한다.
VOC 활용 분석된 고객의 정보를 바탕으로 각 부문에 신속한 피드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다.

91. 다음의 채권추심 금지행위 중 “협박”에 해당하는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채무자를 괴롭힐 목적으로 계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전화벨을 울리게 하는 행위
② 채무자에게 폭언을 수차례 반복하는 행위
③ 비밀을 폭로하겠다고 하여 채무자에게 공포심을 일으키는 행위
④ 채무자의 의사를 제압함에 충분한 다수인이 채무자의 거주지, 직장 등을 방문하여 공포 분
위기를 조성하는 행위
⑤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거나 조치가 불가능한 가상의 법적 조치를 취할 예정임을 언급하는
행위

정답 : ③
「채권의 공정한 추심에 관한 법률」 제9조 제1호는 ‘채무자 또는 관계인을 폭행·협박·체포 또
는 감금하거나 그에게 위계나 위력을 사용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그 위반시 제재내용과
관련사례는 다음과 같다.
위반시 제재내용 관련사례

∙ 구타 행위, 뺨을 때리는 행위
∙ 돌을 던지는 행위, 얼굴에 침을 뱉는 행위
∙ 거짓 소식을 전하여 채무자를 기절시키거나 심한 충격을 받게 하는 행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 고함을 질러 채무자를 놀라게 하는 행위
이하의 벌금, 폭행
∙ 채무자에게 폭언을 수차례 반복하는 행위(②)
채권추심업 허가
∙ 채무자를 괴롭힐 목적으로 계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전화벨을 울리게 하
취소 가능
는 행위(①)
∙ 채무자의 손이나 옷을 세차게 잡아당기는 행위
∙ 채무자를 때릴 듯이 손발이나 물건을 휘두르거나 던지는 행위 등

- 70 -
∙ ‘당신 부모한테 채무사실을 알리기 전에 빨리 빚 갚아라’라고 압력을 가
하는 방법 등으로 채무사실을 채무자의 관계인 또는 제3자에게 알리거
나 공표하겠다고 하여 채무자에게 공포심을 유발하는 행위
∙ ‘빚 빨리 안 갚으면 평생 후회하게 해주겠다’고 음성녹음을 남기는 행위
∙ ‘채무를 갚지 않으면 아이들 학교 못 다니게 하겠다’, ‘아이들 등·하교길
협박
조심하라’고 언급하는 행위
∙ 독촉장 발송시 채무자에게 공포심을 일으키는 문구나 단어를 사용하는
행위
∙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여 채무자를 위협하는 행위
∙ 비밀을 폭로하겠다고 하여 채무자에게 공포심을 일으키는 행위(③)
∙ 채무자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수족을 포박하는 행위
체포
∙ 경찰관을 사칭하여 연행하는 행위
∙ 사무실이나 집 밖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문 앞을 가로막는 행위
∙ 승용차에 태워 내리지 못하도록 속도를 내어 달리는 행위
감금
∙ 상대방으로 하여금 공포심을 유발시켜 집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행위
∙ 전화 연락시 채무자의 관계인, 경찰서, 법원, 변호사, 법무사 등으로 발
신번호를 위장하여 연락하는 행위
∙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거나 조치가 불가능한 가상의 법적 조치를 취할
예정임을 언급하는 행위(⑤)
* 채무자의 관계인(특히, 친족)에게 가압류 또는 가처분을 하겠다고 언
급하는 행위
* 채무자의 정당한 항변(소멸시효 등)에 대해 이유 없다고 언급하는 행
위계를 위
사용하는 행위 ∙ 채무 미변제시 형사처벌 대상, 재산 몰수, 상속인에게 자동적 포괄승계
등 그 결과를 오도하는 표현을 사용하는 행위
∙ 잔존채무액 등을 속여서 채무이행의무가 있는 것처럼 가장하는 행위
∙ 법적인 집행권원이 없으면서도 채무를 변제하지 않을 경우 곧바로 압류
⋅경매 등 강제집행신청이나 재산관계명시신청 등을 취하겠다고 언급
하는 행위
* 확정된 종국판결, 가집행 선고가 있는 종국판결, 확정된 지급명령, 가
압류명령, 가처분명령, 집행증서 등

∙ 채무자의 사업장 출입을 방해하는 행위


∙ 채무자의 의사를 제압함에 충분한 다수인이 채무자의 거주지, 직장 등
위력을 을 방문하여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는 행위(④)
사용하는 행위 ∙ 채무자의 근무 장소에서 고함을 지르고 난동을 부리는 행위
∙ 정당한 사유 없이 근무처를 방문하여 장시간 머물면서 불안감을 조성하
는 행위

- 71 -
92. 다음의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채권추심회사는 채무자에 대한 수임사실을 통보한 경우 그 통보내역을 기록ㆍ유지하여야


한다. 위 내용에도 불구하고 채무자가 수임사실 통지가 필요 없다고 동의한 경우 채권추심
회사는 서면(「전자문서 및 전자거래기본법」 제2조 제1호의 전자문서를 포함한다)이나 음성
녹음 등 채무자의 의사를 확인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확보하여야 하며, 이를 해당 채권추
심 종료 후 ( ) 동안 보관하여야 한다.

① 6개월
② 1년
③ 2년
④ 3년
⑤ 5년

정답 : ④
「채권추심 및 대출채권 매각 가이드라인」 제25조는 ‘수임사실 통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규
정하고 있다.

제25조(수임사실 통지)
① 채권추심회사는 채권추심법 제6조에 따라 채권추심에 착수하기 전까지 수임사실을 서면으
로 채무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이때, 서면에는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 제2조 제1호
의 전자문서(정보처리시스템에 의하여 전자적 형태로 작성, 송신・수신 또는 저장된 정보)가 포
함된다.
② 채권추심회사는 우편으로 수임사실을 통지하는 경우 우편배송에 소요되는 기간(3영업일 내
외)을 감안하여 사전에 통지서를 발송하여야 한다. 다만, 채권추심법 제6조 제2항 내지 제3항
에 따라 채무발생의 원인이 되는 계약에 기한의 이익에 관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채무자가
기한의 이익을 상실한 후에, 채무발생의 원인이 되는 계약이 계속적인 서비스 공급 계약인 경
우에는 서비스 이용료 납부지체 등 채무불이행으로 인하여 계약이 해지된 즉시 통지하여야 한
다.
③ 채권추심회사는 수임사실 통지시 채권추심법 제6조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하여
<별표10>과 같이 통지하여야 한다.
1. 채권추심회사의 명칭 및 연락처(채권추심업 종사자의 성명, 연락처를 포함하되, 채권추심업
종사자가 별도로 지정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채무자가 연락할 수 있는 대표담당자를 지정하여
그 성명과 연락처를 기재)
2. 채권자의 성명・명칭, 채무금액, 채무불이행 기간 등 채무에 관한 사항
3. 입금계좌번호, 계좌명 등 입금계좌 관련 사항(입금계좌는 원칙적으로 채권자 명의의 계좌를
기재하되, 채권자와 서면 등으로 합의하는 경우 채권추심회사 명의의 계좌를 기재할 수 있으
며, 이 경우 채권추심위임계약 등 합의에 관한 명확한 근거자료를 확보하여야 한다. 또한, 변
제금을 채권추심업 종사자의 개인 계좌로 입금하거나 현금으로 납부할 수 없음을 명기하여야
한다.)
④ 채권추심회사는 채무자에 대한 수임사실을 통보하는 경우 그 통보내역을 기록・유지하여야

- 72 -
한다.
⑤ 제1항에도 불구하고 채무자가 수임사실 통지가 필요 없다고 동의하는 경우 채권추심회사는
서면(「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 제2조 제1호의 전자문서를 포함한다)이나 음성녹음 등
채무자의 의사를 확인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확보하여야 하며, 이를 해당 채권추심 종료 후 3
년 동안 보관하여야 한다.
⑥ 채권추심회사는 수임사실을 우편으로 통보하는 경우, 「우편법」 제1조의2에 따라 통상우편
물의 발송 등 제3자에 의한 발송방법을 이용하여야 하며, 전자문서로 통보하는 경우에는 전송
오류나 해킹 등이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채권추심회사가 수임사실을 통보하
였음에도 불구하고 채무자로부터 수령한 사실이 없다는 이의가 제기되는 경우 기존의 수임사
실 통보사항(통보한 일자 및 방법, 내용 등)을 즉시 채무자에게 발송하여야 한다.

93. 다음 중 채무변제 촉구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금융회사등은 채무자에 대한 변제촉구시 관계법규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라 합리적이고 공
정한 방법을 사용하여야 하며, 그 과정에서 불법·부당한 행위나 민원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
하여야 한다.
② 충분한 입증자료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 채권추심에 착수할 수 없다.
③ 채무의 상세내역이 포함된 채무확인서를 제시하지 못할 경우 채권추심을 즉시 중단하여야
한다.
④ 금융회사등의 임직원은 채무변제 촉구를 위하여 채무자나 관계인을 방문하고자 하는 경우
에는 전화, 우편, 문자메시지 등으로 채무자와 일시와 장소를 협의하여야 한다. 수신거부 등
채무자와의 연락이 되지 않을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⑤ 채권추심회사가 채권추심을 할 때에는 채권추심회사의 명의로 채무자에게 연락하거나 우편
물을 발송하여야 하며, 법원·검찰·경찰 소속 직원 등으로 가장하거나 오인할 수 있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 : ④
「채권추심 및 대출채권 매각 가이드라인」 제27조는 ‘채무변제 촉구’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규
정하고 있다.

제27조(채무변제 촉구)
① 금융회사등은 채무자에 대한 변제촉구시 관계법규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라 합리적이고 공
정한 방법을 사용하여야 하며, 그 과정에서 불법・부당한 행위나 민원이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유의하여야 한다.(①)
② 금융회사등은 채무자와 접촉하기 전에 채권의 부실발생 시점, 추심대상 금액, 부실발생 이
후 일부 상환금액 및 시점 등 추심대상 채권에 대한 충분한 입증자료를 갖추어야 하며, 충분
한 입증자료를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채권추심에 착수할 수 없다.(②)
③ 금융회사는 채무자가 요청하는 경우 채권추심법 제5조 제1항에 따라 서면 등으로 채무확
인서를 제시하여야 하고, 채권추심회사는 채권자가 발급하는 채무확인서를 제시하여야 한다.
채무확인서에는 원금, 이자, 비용, 변제기, 채권의 발생연월일, 소멸시효기간(금융회사의 채권

- 73 -
인 경우 해당 채권의 소멸시효 완성 여부) 등 채무의 상세내역이 포함되어야 한다. 채무의 상
세내역이 포함된 채무확인서를 제시하지 못하는 경우 채권추심을 즉시 중단하여야 한다.(③)
④ 금융회사등임직원은 채무변제 촉구를 위하여 채무자를 방문하고자 하는 경우 일시와 장소
를 채무자와 전화, 우편, 문자메시지 등으로 협의하여야 한다. 다만, 수신거부 등 채무자와 연
락이 닿지 아니하거나 채무자가 고의적으로 2회 이상 방문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협의 없이 방
문할 수 있다.(④)
⑤ 금융회사등임직원은 제4항에 따른 방문시 신용정보법 제27조 제8항에 따른 종사원증 등
신분을 나타내는 신분증을 제시하여야 하며 언행과 복장 등에 관한 기본적인 예의를 갖추어야
한다.
⑥ 금융회사등임직원은 전화를 이용하여 변제촉구를 하는 경우, 전화 상대방에 대한 본인 확
인을 철저히 하여야 하며, 채무자의 정보유출 등으로 인한 민원이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주의
하여야 한다.
⑦ 금융회사등은 채무자에게 독촉장, 협조문 등 서면으로 변제를 촉구하는 일체의 행위를 하
는 경우 <별표11>에 따라 회사에서 공식적으로 제작하는 서식, 문구 등을 사용하여야 하며,
<별표12>의 문구가 포함되지 아니하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채무자 외의 자가 그 내용을
알지 못하도록 밀봉하여 발송하여야 하며, 봉투 겉면에 발신인과 수신인에 관한 표시 외에 혐
오감을 주는 지나친 원색(예 : 붉은색)을 사용하거나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있는 표시를 하여서
는 아니 된다. 아울러, 금융회사등임직원이 임의로 서식, 문구 등을 수정하여 개별적으로 발송
하지 아니하도록 내부통제 체제를 운영하여야 한다.
⑧ 채권추심회사는 채권추심회사의 명의로 채무자에게 연락하거나 우편물을 발송하여야 하며,
법원・검찰・경찰 소속 직원 등으로 가장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⑤)
⑨ 금융회사등은 변제촉구 등을 위한 서면통지서가 반송되는 경우 그 사유를 파악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하며, 채무자가 명백히 거주하지 아니함에도 불구하고 반복적으로 발송하여
실거주자에게 불편을 초래하여서는 아니 된다. 또한, 전자우편(E-mail)이나 이동전화 문자서
비스를 통하여 변제를 촉구하는 경우 채무자가 알려준 전자우편주소나 이동전화번호를 이용하
여야 하며, 새로이 파악한 전자우편 주소나 이동전화번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채무자(또는
채무자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은 자)가 사용하는지 여부를 사전 확인한 후 변제를 촉구하는 내
용을 발송하여야 한다.
⑩ 금융회사등은 채무변제를 위하여 유체동산(TV, 냉장고, 휴대폰 등 가전제품 포함) 압류절
차를 진행하는 경우 <별표13>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압류 가능한 최저 채무액기준을 설정하여 무분별한 압류를 방지
2.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압류를 지양
3. 유체동산 압류와 관련한 내부통제 강화

- 74 -
94. 다음 중 채권추심회사가 채권추심을 중지하여야 하는 사유가 아닌 것은?
① 채무자가 채무존재사실을 부인하여 소송을 제기하는 경우
② 채무자가 한정후견 개시 심판을 받아 결정된 경우
③ 채무자에 관한 개인회생절차 개시결정 또는 중지명령 사실을 확인하는 경우
④ 채무자가 사망하여 그 상속인의 상속포기나 한정승인 사실을 확인하는 경우
⑤ 채무자가 채권소멸시효 완성에 따라 추심중단을 요청하는 경우

정답 : ②
「채권추심 및 대출채권 매각 가이드라인」 제8조는 ‘추심관련 내부통제’에 대하여 규정하는데,
“채무자가 한정후견 개시 심판을 받아 결정된 경우”는 채권추심회사가 채권추심을 중지하여야
하는 사유에 해당되지 않는다. 동조 제16항에는 ‘채권추심을 중지하여야 하는 사유’와 관련하
여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제8조(추심관련 내부통제)
⑯ 금융회사등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채권추심을 중지하여야 한
다.
1. 채무자의 국민행복기금 채무조정 신청 접수 사실을 확인하는 경우(국민행복기금신용지원협
약 제13조 제1항 및 운영세칙 제7조에 따라 채무자의 신용지원 여부 확정시까지)
2. 채무자가 채무존재사실을 부인하여 소송을 제기하는 경우(①)
3. 채무자로부터 신용회복위원회의 신용회복지원 신청 사실을 통지받고 전산상으로 사실관계
가 확인되는 경우(신용회복지원협약 제7조)
4. 채무자에 관한 개인회생절차 개시결정 또는 중지명령 사실을 확인하는 경우(「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600조 제1항 및 제593조 제1항)(③)
5. 채무자가 사망하여 그 상속인의 상속포기나 한정승인 사실을 확인하는 경우(④)
6. 채무자가 중증환자 등으로 사회적 생활부조를 필요로 하는 경우
7. 채무자가 소멸시효 완성에 따라 추심중단을 요청하는 경우(⑤)
8. 채무자가 원금, 이자, 비용, 변제기, 채권의 발생연월일, 소멸시효 기간(단, 금융회사의 대
출채권인 경우 해당 채권의 소멸시효 완성 여부) 등 채무의 상세내역이 포함된 채무확인서를
요청하였음에도 제시하지 못하는 경우

95. 다음은 「채권추심법」 제6조 제1항의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


은?

채권추심자가 채권자로부터 채권추심을 위임받은 경우에는 채권추심에 착수하기 전까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사항을 채무자에게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다만, 채무자가 통
지가 필요 없다고 동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채권추심자의 성명·명칭 또는 연락처(채권추심자가 법인인 경우에는 채권추심담당자
의 성명, 연락처를 포함한다)
2. 채권자의 성명·명칭, 채무금액, ( ) 등 채무에 관한 사항

- 75 -
3. 입금계좌번호, 계좌명 등 입금계좌 관련 사항

① 추심수수료율
② 방문예정일자
③ 소멸시효 완성여부
④ 연체이율
⑤ 채무불이행 기간

정답 : ⑤
「채권의 공정한 추심에 관한 법률(약칭:채권추심법)」 제6조에는 ‘수임사실 통보’에 관하여 규
정하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6조 (수임사실 통보)


① 채권추심자(제2조 제1호 라목에 규정된 자 및 그 자를 위하여 고용, 도급, 위임 등 원인을
불문하고 채권추심을 하는 자를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가 채권자로부터 채권추심을 위
임받은 경우에는 채권추심에 착수하기 전까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사항을 채무자에게 서면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 제2조 제1호의 전자문서를 포함한다)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다만, 채무자가 통지가 필요 없다고 동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채권추심자의 성명·명칭 또는 연락처(채권추심자가 법인인 경우에는 채권추심담당자의 성
명, 연락처를 포함한다)
2. 채권자의 성명·명칭, 채무금액, 채무불이행 기간 등 채무에 관한 사항
3. 입금계좌번호, 계좌명 등 입금계좌 관련 사항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채무발생의 원인이 된 계약에 기한의 이익에 관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
는 채무자가 기한의 이익을 상실한 후 즉시 통지하여야 한다.
③ 제1항에도 불구하고 채무발생의 원인이 된 계약이 계속적인 서비스 공급 계약인 경우에는
서비스 이용료 납부지체 등 채무불이행으로 인하여 계약이 해지된 즉시 통지하여야 한다.

96. 다음은 금융거래시 유의사항이다.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신용카드를 분실하거나 도난 당한 경우에는 이를 아는 즉시 카드사(또는 거래은행)에 신고
한다.
② 스팸메일 또는 문자메시지 등 불특정다수인에게 특별히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며 접근하는
대출광고는 대출사기일 가능성이 있다.
③ 연체, 대위변제, 대지급, 부도 등에 의한 신용도 판단정보 등록사유로 등록된 자는 여권이
나 비자 발급시에 제약을 받는다.
④ 자신의 소득수준에 비하여 과도한 채무를 보유하면 신용도 산정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
다.
⑤ 백화점, 통신회사 등 비금융권 채무를 연체하는 경우에도 신용등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
다.

- 76 -
정답 : ③
‘연체자’란 연체, 대위변제, 대지급, 부도 등에 의한 신용거래정보가 등록된 자와 금융질서문
란자로 등록된 자를 말한다. 연체자는 일정한 불이익을 받는데, 비자는 우리나라가 발급하는
것이 아니라 가고자 하는 나라에서 입국허가를 받는 것으로 비자 발급은 나라마다 제약을 받
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연체자는 기본적으로 여권 발급시 신용불량 정보를 확인하지는 않으
므로 여권을 발급받을 수 있다. 즉, 여권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접수시 먼저 경찰청 신원조사
를 하게 되는데 신원조사 결과 ‘적합’이 되는 경우라면 연체자라도 여권발급이 가능하다. 참고
로 여권법에는 여권의 발급 또는 재발급을 거부할 수 있는 사유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
다.

여권법 제12조(여권의 발급 등의 거부ㆍ제한)


① 외교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에 대하여는 여권의 발급 또는 재발
급을 거부할 수 있다.
1. 장기 2년 이상의 형(刑)에 해당하는 죄로 인하여 기소(起訴)되어 있는 사람 또는 장기 3년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죄로 인하여 기소중지되거나 체포영장ㆍ구속영장이 발부된 사람 중 국
외에 있는 사람
2. 제24조부터 제26조까지에 규정된 죄를 범하여 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지 아니하
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되지 아니한 사람
3. 제2호 외의 죄를 범하여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지 아니하거나 그 집
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되지 아니한 사람
4. 국외에서 대한민국의 안전보장ㆍ질서유지나 통일ㆍ외교정책에 중대한 침해를 야기할 우려
가 있는 경우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가. 출국할 경우 테러 등으로 생명이나 신체의 안전이 침해될 위험이 큰 사람
나. 「보안관찰법」 제4조에 따라 보안관찰처분을 받고 그 기간 중에 있으면서 같은 법 제22조
에 따라 경고를 받은 사람
② 외교부장관은 제1항 제4호에 해당하는 사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려고 할 때에는 미리 법
무부장관과 협의하고 제18조에 따른 여권정책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③ 외교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에 대하여는 그 사실이 있는 날부터
1년 이상 3년 이하의 기간 동안 여권의 발급 또는 재발급을 제한할 수 있다.
1. 제1항 제2호에서 규정하는 죄를 범하여 그 형의 집행을 종료하거나 그 형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사람
2. 외국에서의 위법한 행위 등으로 국위(國威)를 크게 손상시킨 사실이 재외공관 또는 관계
행정기관으로부터 통보된 사람
④ 외교부장관은 제1항이나 제3항에 따라 여권의 발급 또는 재발급이 거부되거나 제한된 사
람에 대하여 긴급한 인도적 사유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에
따른 여행목적에만 사용할 수 있는 여권을 발급할 수 있다.

더불어 연체자의 불이익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금융거래상 불이익
① 대출시 자격제한을 받게 된다.
② 기존 대출금을 상환해야 한다.

- 77 -
③ 각종 신용카드 사용에 제약을 받거나 금지된다.
④ 각종 신용카드 발급시 제약을 받게 된다
⑤ 가계, 당좌예금 개설 금지 및 해지 처리된다.
⑥ 연대보증인 자격이 상실된다.
⑦ 신용카드 가맹점 신청시 제약을 받을 수 있다.
⑧ 금융거래시 대출이자 부담이 커지게 된다.
⑨ 배우자의 신용거래정보 보유로 본인의 신용거래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
(2) 생활에 있어서의 불편
① 회사 취직시 제약을 받을 수 있다.
② 각종 생활용품의 신용 구매시 제약을 받게 된다.
③ 본적지 및 거주지의 관공서에 비치된 채무불이행자 명부에 등재될 수 있다.
④ 비자 발급시 제약을 받을 수 있다.
(3) 기타 재산상의 불이익
① 급여 및 퇴직금에 대해서 가압류될 수 있다.
② 모든 재산상의 법적인 권리에 대하여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97. 신용정보업에서 발생하는 민원의 영향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위임사(채권자)의 이미지가 훼손된다.
② 수임사(채권추심회사)의 이미지가 훼손된다.
③ 위임사와 수임사간의 결속력은 강화된다.
④ 민원의 처리를 위해 신용관리 담당자의 시간적인 비용이 소요된다.
⑤ 수임사의 수임업무 범위 및 업무재량권 등이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

정답 : ③
‘민원’이란 “주민이 행정기관에 대하여 어떤 행정 처리를 요구하는 일”이라고 사전은 정의하
고 있고, 일반적으로는 “고객의 불만” 또는 “금융분쟁 조정 요청” 등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국민이 행정기관에 대해 어떤 행정 처리를 요구하거나 “국민의 청원”인 민원(Civil application,
civil affairs)과는 구별된다. 신용카드와 관련하여서는 부당한 추심행위에 대한 구제 요청이나
명의도용, 신용카드 부정발급, 대환 대출, 보증인 부당입보, 금융제도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인
한 민원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신용관리에 관련한 민원이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선
처를 호소하는 경우나 기타 악의에 의한 채무회피성 민원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민원이 미치
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1) 위임사(채권자)
① 감독기관의 위임사 평가 및 위임사 내부 평가에 반영된다.
② 위임사(채권자)의 이미지를 훼손시킨다.
(2) 수임사(정보사)
① 수임관계의 존속을 위협받는다.
② 수임사(채권추심회사)의 이미지가 훼손된다.

- 78 -
③ 업무 수임 범위의 축소 등 재량권이 축소(업무 통제)된다.
④ 감독기관의 중점 감독·검사 대상이 된다.
(3) 신용관리 담당자
① 민원처리에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
② 담당자의 과실에 의한 민원발생시 불이익이 초래된다.

98. 다음의 건축물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주택으로 쓰는 층수(지하층은 제외한다)가 3개 층 이하일 것. 다만, 1층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필로티 구조로 하여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부분을 주택 외의 용도로 쓰는
경우에는 해당 층을 주택의 층수에서 제외한다.
∙ 1개 동의 주택으로 쓰이는 바닥면적(부설 주차장 면적은 제외한다)의 합계가 660제곱미
터 이하일 것
∙ 19세대(대지 내 동별 세대수를 합한 세대를 말한다) 이하가 거주할 수 있을 것

① 다세대주택
② 다가구주택
③ 연립주택
④ 다중주택
⑤ 아파트

정답 : ②
‘주택’이란 세대의 구성원이 장기간 독립된 주거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 및 그 부속토지를 말하며,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으로 구분한다(주택법 제2조
제1호). ‘단독주택’은 1세대가 하나의 건축물 안에서 독립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주택을 말하며, 그 종류와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주택법 제2조 제2호). ‘공동주택’은 건
축물의 벽·복도·계단이나 그 밖의 설비 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각 세대가
하나의 건축물 안에서 각각 독립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주택을 말하며, 그 종류
와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주택법 제2조 제3호). 공동주택의 종류는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이 있다(주택법 시행령 제3조 제1항 각호). 건축법 시행령 [별표1]에는 단독주택과
공동주택 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상세히 규정하고 있다.

1. 단독주택[단독주택의 형태를 갖춘 가정어린이집·공동생활가정·지역아동센터 및 노인복지시


설(노인복지주택은 제외한다)을 포함한다]
가. 단독주택
나. 다중주택 : 다음의 요건을 모두 갖춘 주택을 말한다.
1) 학생 또는 직장인 등 여러 사람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
2) 독립된 주거의 형태를 갖추지 아니한 것(각 실별로 욕실은 설치할 수 있으나, 취사시설
은 설치하지 아니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3) 1개 동의 주택으로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330제곱미터 이하이고 주택으로 쓰는 층

- 79 -
수(지하층은 제외한다)가 3개 층 이하일 것
다. 다가구주택(②) : 다음의 요건을 모두 갖춘 주택으로서 공동주택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
을 말한다.
1) 주택으로 쓰는 층수(지하층은 제외한다)가 3개 층 이하일 것. 다만, 1층의 전부 또는 일
부를 필로티 구조로 하여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부분을 주택 외의 용도로 쓰는 경
우에는 해당 층을 주택의 층수에서 제외한다.
2) 1개 동의 주택으로 쓰이는 바닥면적(부설 주차장 면적은 제외한다. 이하 같다)의 합계가
660제곱미터 이하일 것
3) 19세대(대지 내 동별 세대수를 합한 세대를 말한다) 이하가 거주할 수 있을 것
라. 공관(公館)

2. 공동주택[공동주택의 형태를 갖춘 가정어린이집·공동생활가정·지역아동센터·노인복지시설(노


인복지주택은 제외한다) 및 「주택법 시행령」 제3조 제1항에 따른 원룸형 주택을 포함한
다]. 다만, 가목이나 나목에서 층수를 산정할 때 1층 전부를 필로티 구조로 하여 주차장
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로티 부분을 층수에서 제외하고, 다목에서 층수를 산정할 때 1
층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필로티 구조로 하여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부분을 주택 외
의 용도로 쓰는 경우에는 해당 층을 주택의 층수에서 제외하며, 가목부터 라목까지의 규
정에서 층수를 산정할 때 지하층을 주택의 층수에서 제외한다.
가. 아파트 :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5개 층 이상인 주택(①)
나. 연립주택 : 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2개 이상의 동을 지하주차장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동으로 본다) 합계가 660제곱미터를 초과하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③)
다. 다세대주택 : 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 합계가 660제곱미터 이하이고, 층수가 4
개 층 이하인 주택(2개 이상의 동을 지하주차장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동으로 본
다)(④)
라. 기숙사 : 학교 또는 공장 등의 학생 또는 종업원 등을 위하여 쓰는 것으로서 1개 동의
공동취사시설 이용 세대 수가 전체의 50퍼센트 이상인 것(「교육기본법」 제27조 제2항에
따른 학생복지주택을 포함한다)

3. 기타 : 제1종 근린생활시설, 제2종 근린생활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의료시설, 교육연구시설, 노유자시설, 수련시설, 운동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위락시설, 공장, 창고시설,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자동차관련시설, 동물 및 식물 관
련시설, 자원순환 관련시설, 교정 및 군사시설, 방송통신시설, 발전시설, 묘지 관련시설,
관광 휴게시설, 장례시설, 야영장 시설

- 80 -
99. 다음 중 민원예방의 과제로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법적절차 등 업무에 관한 전문지식 습득은 고객에 대한 서비스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② 채무자와 상담시 신용관리 담당자 개인의 생각이나 의견은 일체 배제하고 회사의 입장만
이야기한다.
③ 고객의 지적·경제적 수준에 따라 대응의 수준을 달리 한다.
④ 채무자에 대한 회수기법은 언제나 누구에게나 일관되게 적용한다.
⑤ 채무자는 고객이며 수익의 원천이라는 인식이 요구된다.

정답 : ③,⑤ (복수정답인정)
민원 처리의 기본 원칙은 예방이 최우선이며 이를 위한 담당자의 인식의 전환 및 교육이 병행
되어야 한다. 민원 예방을 위한 최우선적인 예방책은 담당자 자신이 담당한 업무에 대해 고객
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그 업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는 것이다. 민원예방의 과제
는 다음과 같이 분설할 수 있다.

1. 고객에 대한 인식의 전환
(1) 채무자는 고객이라는 생각으로 채무자가 회사와 나의 수익의 원천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2) 고객의 지적, 경제적 수준에 맞게 적절한 대응을 한다.
(3) 인격을 존중하는 기본자세를 준수한다.
2. 고객 응대의 기본자세
(1) 고객 응대시 기본예절을 준수(최초 인사, 끝 인사 등)한다.
(2) 공감대를 형성하는 진지한 언어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공감적 경청을 한다.
3. 전문지식의 함양
(1) 법적 절차 등 업무에 관한 전문지식을 습득한다.
(2) 채무자별로 적절한 회수기법 적용능력을 키운다.
4. “신용관리업은 서비스업이다”라는 의식 공유
(1) 담당자의 전문지식 습득이 서비스 향상의 기본이다.
(2) 담당자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에 회사의 기본방침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100. 다음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건폐율 :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
② 용적률 :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물의 연면적의 비율
③ 거소 : 일정하지 아니한 기간 동안 일시적으로 머무는 곳
④ 주소 : 생활의 근거되는 곳으로서 동시에 두 곳 이상의 주소가 있을 수 없음
⑤ 거소 : 주소를 알 수 없으면 거소를 주소로 본다.

정답 : ④
④ 생활의 근거가 되는 곳을 주소로 한다(민법 제18조 제1항). 주소는 동시에 두 곳 이상 있

- 81 -
을 수 있다(동조 제2항).
③ ‘거소’란 일정하지 아니한 기간 동안 일시적으로 머무는 곳으로,
⑤ 주소를 알 수 없으면 거소를 주소로 본다(동법 제19조).
① ‘건폐율’이란 토지 위에 건축할 수 있는 바닥의 면적으로 예컨대 대지면적 1,000㎡이고 건
축면적이 400㎡라면 건폐율은 40%이다.
② ‘용적률’이란 토지 위에 건축물의 연면적, 즉 건물의 높이를 어느 정도까지 지을 수 있는지
를 나타낸다. 예컨대 대지면적 1,000㎡이고 총 3층건물의 층별 건축면적이 400㎡라면 연면적
은 1,200㎡이므로 용적률은 120%가 된다.

- 82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