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6

연구기획 2023-008

모듈러주택 건설 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I N S T I T U T E
Development of Structural System and
Core Construction Method for
Revitalization of Modular Housing

&HOU S I NG
L AND

김민준 / 천영수 / 안영성 / 노준오


연구기획 2023-008호

모듈러주택 건설 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지은이
LH : 김민준ㆍ천영수ㆍ안영성ㆍ노준오

발행인 김홍배
발행처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편 집 김민준

주소 (우)34047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539번길 99


전화 042) 866-8678
전자우편 @lh.or.kr
홈페이지 http://lhri.lh.or.kr

∙ 이 출판물은 우리 공사의 업무상 필요에 의하여 연구ㆍ검토한 기초자료로써 공사나 정부의 공식적인
견해와 관계가 없습니다.
∙ 우리 공사의 승인 없이 연구내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연구기획 2023-008

모듈러주택 건설 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Development of Structural System and Core Construction
Method for Revitalization of Modular Housing
참여연구진

연구총괄
김민준 LH 토지주택연구원 책임연구원

공동연구진
천영수 LH 토지주택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안영성 LH 토지주택연구원 연구원
노준오 LH 공공주택기획처 차장

위탁용역연구기관
㈜아이맥스트럭처 (용역책임: 윤병익)

연구심의위원(가나다순)
강병직 LH 공공주택기획처 부장
김승훈 한밭대학교 교수
김일환 LH 공공주택견적단 부장
이득행 충북대학교 교수
이주연 LH 공공주택기획처 차장
진규남 LH 토지주택연구원 건설안전연구실 실장
연구요약
□ 연구배경 및 목적

◦ 최근 일련의 감염병 팬데믹 및 건설현장의 인력부족으로 인한 양질의 수요자


맞춤형 공동주택의 공급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 시점에서, 탈현장(Off-Site
Construction 이하 OSC공법) 건설공법은 공동주택 건설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음.
◦ 모듈러 주택은 OSC공법의 한 종류로, 공장생산을 통한 공동주택의 품질을 확보
하면서 공정 및 현장관리가 용이하고, 공기단축을 통하여 적기에 공동주택의 보
급이 가능하여 국내·외적으로 미래건설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음.
◦ 특히, 국토교통부와 LH에서도 “스마트 건설기술”과 “미래주택 트랜드 선도 등”과
관련하여 실무적인 차원에서도 모듈러 주택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활발
히 이루어지고 있음.
◦ LH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LH 모듈러 시스템(이하 LHMB)를 개발하였으나,
이는 주택 부에 한정된 것으로, 기존에 알려진 모듈러 주택의 장점인 공기단축을
극대화 하면서 안전 및 품질확보를 위해서는 코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함.
◦ 모듈러 주택의 코어 시스템은 지진 및 풍하중 등 외부하중을 부담하므로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갖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야 함. 특히, 코어 내부의 구조안정성 뿐만
아니라, 주택 부와 코어부의 접합부의 구조안정성을 갖추어야 함.
◦ 이 연구는 12층 이하 중‧저층 모듈러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소규모 공공임대주택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 및 사업기반 마련을 위한 연구로서,
목적과 부합하는 모듈러 구조시스템 검토, 적정 코어 시스템 제안, 제안된 공법
적용에 따른 구조안정성 검토 및 경제성 분석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단, 모
듈러 주택 부의 구성방식은 LHMB의 적층식 모듈로 한정함.

연구요약 ∙ 1
□ 연구 주요 내용

1) 모듈러 공법의 국내․외 연구 동향 및 특성


◦ 모듈러 주택의 특성 및 국내외 연구 동향
- 모듈러 주택은 주택법 제51조에 따른 공업화주택의 인정을 받는 건축물이며,
공장생산 후 현장에서의 조립을 통하여 시공성이 극대화 된 탈현장(OSC) 건축
공법의 하나임.
- 모듈러 공법으로 국내․외에서 건설되는 건축물은 주거요소 및 비주거요소 등
폭 넓게 적용중 이며, 특히 미국 및 영국의 경우 모듈러 공법에 대한 다양한
기술개발을 통하여 고층 부까지 모듈러 공법을 적용중임.
◦ 모듈러 공법의 주택 부 및 코어 부 특성
- 모듈러 주택 부를 구성하는 공법은 모듈러 모듈을 적층하여 쌓아 올리는 적층형
(LHMB)과 별도의 구조프레임에 모듈러 모듈을 삽입하는 인필형 시스템이 있음.
- 모듈러 코어부 공법은 대부분 RC코어 위주로 건설되고 있으며, 시공성 및 구조
성능 향상을 위한 철골코어, 하이브리드시스템, PC코어 등에 대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

2) 모듈러 주택의 코어 시스템 제안


◦ 모듈러 주택의 지진력 저항시스템을 반영한 코어시스템 제안
- 철골 보­기둥으로 구성되는 모듈러 주택부 모듈의 특성 상 현행 기준(KDS 41
17 00)의 지진력 저항시스템은 건물골조와 이중골조, 철근콘크리트 보통 전단벽
골조 상호 작용시스템으로 설계가 가능함.
- LHMB의 지진력 저항시스템은 건물골조, 이중골조, 철근콘크리트 보통 전단벽
골조 상호 작용 시스템이 적용 가능하여, 이 연구에서는 주택 부 모듈의 지진력 저항
시스템과 최적의 조합을 갖는 코어 부의 지진력 저항시스템을 선정하였음.
- 이 연구에서는 LHMB를 사용한 12층 이하 중‧저층 모듈러 공동주택의 구조안정성을
확보하고 모듈러 공법의 장점인 공기단축 및 시공성의 극대화를 실현하고자 철골
코어 시스템과 PC코어 시스템 제안하였음.

2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3) 모듈러 주택의 코어시스템 개발
◦ 연구대상 (기존 RC구조 공동주택을 모듈러 공법으로 전환설계)
- LHMB를 적용한 7층 규모의 편측 코어형 모듈러 공동주택 1개동
- 공동주택 평면 형상은 일자(ㅡ)형이며, 6호 조합(9모듈)의 26m2(42호) 규모
◦ 제안된 모듈러 코어 시스템의 내부 접합부 설계
- 철골코어와 PC코어 시스템의 특성에 따른 내부 접합부 설계 및 구조검토
- 철골코어 시스템은 LHMB와 동일하게 철골 보­기둥 시스템으로 전단마찰접합과
모멘트 접합을 이용하여 코어 구조요소(베이스 플레이트, 전실용 슬래브, 철골
계단 등)의 접합부를 설계하였음.
- PC코어 시스템은 완전 PC부재로 구성되어 운반 및 양중을 고려하여 부재 분할을
계획하였으며, 부재 분할에 따라 발생하는 접합부(벽체+슬래브 및 슬래브+슬래브)
접합은 PCI기준에 따라 정착용 고정앵글 및 전단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접합부를
설계하였음.

4) 제안된 모듈러 주택 코어 시스템 검토


◦ 모듈러 주택 부와 코어 부의 접합부 상세 검토
- 주택 부와 코어 부 간의 접합부는 LHMB의 접합 상세를 우선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접합부 위치는 시공성을 고려하여 주택부 모듈과 코어부 모듈의 접합면을 기준으로
최외측 2개소 씩 4개소를 대상으로 선정하였음.
- 제안된 코어 시스템(철골코어 및 PC코어)에서 LHMB의 접합 상세를 사용하였을 때,
주택 부와 코어 부 접합상세의 구조안정성을 확보함을 알 수 있었음.
◦ 모듈러 코어 시스템 특성에 따른 구조안정성 검토
- 연구대상 주택(7층, 9모듈)에 제안된 철골코어 시스템을 적용하여 구조 안전성을
검토한 결과, 주택 부 세대 벽에 추가적인 구조보강(가새 시스템)을 수행하여
LHMB에 적용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모듈러 코어 시스템 특성에 따른 확장성 검토
- PC코어 시스템은 코어의 강성이 커 연구대상 주택(7층 9모듈)의 구조안정성을

연구요약 ∙ 3
확보하고도 3개 모듈의 수평적 확장(7층 12모듈)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음.
- 12층으로 수직 확장 검토결과, 철골코어 시스템은 주택 부 2개 모듈, PC코어
시스템은 5개 모듈 조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음. 이는 고층으로 갈수록 주택
부에 작용하는 비틀림 하중에 대한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주택 부에 추가적인
보강을 통하여 수평 및 수직 확장성을 확보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5) 경제성 검토
◦ 제안된 코어시스템의 경제성 검토
- 주택부 모듈을 제외한 코어부 모듈만을 대상으로 현행 RC코어 시스템과 공사비를
비교하여 경제성 검토를 수행함.
- 총 공사비를 토대로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RC코어 대비 철골코어 시스템은 1.14배,
PC코어 시스템은 6.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철골코어 시스템은 철골공사의 재료비 및 경비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 대하여 RC
코어 시스템 대비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철강재의 가격에 따라 향후 경제성이
확보 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음.
- PC코어의 경제성 검토는 1개 동만을 대상으로 하여 PC부재의 물량이 작았으며, PC
부재 제작비, 설치비, 운반비, PC Shop 등의 추가적인 공사비가 발생하므로 경제성
확보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남.
◦ 모듈러 코어 시스템 경제성 향상 방안 제언
- 철골코어 시스템은 RC코어 대비 경제성이 낮게 나타났으나, 철골 코어 부를
주택 부와 함께 통합으로 제작한다면 총공사비 측면에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PC코어 시스템은 모듈러 주택의 건설 활성화를 통하여 표준화 도서의 확정, PC
부재 물량확보, 거푸집 재사용율에 따라 경제성 저하는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경제성 상승효과는 모듈러 주택의 현장 및 기타 여건을
고려하여야 함.

4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다각화되는 주택사업의 신속한 추진 및 주택공급의 효율화를 위한 모듈러주택
활용사업에 대한 기술역량 확립
◦ 소형주택 수요와 공사기간 단축에 필요한 미래형 기술 선도
◦ 모듈러주택의 활성화로 공사가 추진하는 스마트건설시스템 확대에 기여

주제어 모듈러, 모듈러 공동주택, 철골코어, PC코어, 구조시스템

연구요약 ∙ 5
차 례
제1장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 연구배경 및 목적 ························································································ 3
1.1 연구 배경 ··································································································· 3
1.2 연구 목적 ··································································································· 5
1.3 연구대상 및 범위 ······················································································· 5
2. 연구 내용 및 방법 ························································································ 6
2.1 주요 연구 내용 ······················································································· 6
2.2 연구 수행 방법 ·························································································· 6
3. 관련 연구 현황 조사 ····················································································· 8
3.1 LH내부수행연구 현황 및 차별성 ······························································ 8
3.2 외부수행 연구와의 차별성 ········································································ 9

제2장 모듈러 주택의 코어시스템 제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1. 일반사항 ··································································································· 13
1.1 모듈러 주택의 정의 및 특성 ···································································· 13
1.2 모듈러 주택의 모듈 특성 ········································································· 15
1.3 모듈러 주택의 건설 동향 ······································································· 19
2. 모듈러 주택의 구조시스템 검토 ······························································· 22
2.1 LH모듈러 주택 구조시스템 ····································································· 22
2.2 지진력저항시스템 검토 ··········································································· 23
3. 지진력 시스템을 반영한 모듈러 코어시스템 제안 ····································· 30
3.1 지진력 저항시스템 선정 ·········································································· 30
3.2 모듈러 코어시스템 제안 ·········································································· 33
4소결 ······································································································· 34

차례∙ 1
제3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개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1. 일반사항 ····································································································· 39
1.1 연구대상 건물 개요 ················································································· 40
1.2 대상건물 도면 ·························································································· 41
2. 철골코어 시스템의 내부 접합부 설계 ··················································· 45
3. PC코어 시스템의 내부 접합부 설계 ··························································· 51
3.1 PC부재 분할계획 ················································································ 51
3.2 PC코어 내부 접합부 설계 ······································································· 54
4소결 ······································································································· 60

제4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1. 일반사항 ····································································································· 63
1.1 해석적 연구개요 ······················································································· 63
1.2 해석 모델링 ····························································································· 65
2. 모듈러 주택 부와 코어 부의 접합부 상세 검토 ··································· 67
2.1 일반사항 ··································································································· 67
2.2 철골코어 시스템 ······················································································ 68
2.3 PC코어 시스템 ························································································ 72
3. 모듈러 코어 시스템 특성에 따른 구조안전성 검토 ································ 75
3.1 일반사항 ··································································································· 75
3.2 철골코어 시스템 ···················································································· 76
3.3 PC코어 시스템 ······················································································· 88
3.4 제안 코어 시스템의 비교 ······································································ 96
4. 소 결 ······································································································ 97

2 ∙ 공동주택의 전기설비 다변화에 따른 고조파 실태 분석


제5장 코어의 유형에 따른 경제성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1

1. 일반사항 ··································································································· 101


2. 코어의 유형에 따른 공사비 검토 ······························································ 102
2.1 RC 코어 시스템 ··················································································· 102
2.2 철골 코어 시스템 ················································································· 107
2.3 PC 코어 시스템 ···················································································· 111
3. 코어의 유형에 따른 경제성 비교 ···························································· 113
4. LHMB 코어 시스템 제언 ········································································· 115
4.1 구조적 측면 ························································································· 115
4.2 경제성 측면 ···························································································· 116
5. 소결 ·········································································································· 117

제6장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1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7

차례∙ 3
표차례

[표 1.1] LH내부수행 연구 목록 ··································································· 8


[표 1.2] 외부수행 연구 목록 ······································································· 10
[표 2.1] 모듈러 주택의 정의 ········································································ 14
[표 2.2] 국내외 모듈러 주택 현황 ······························································ 19
[표 2.3] 모듈러 코어 시스템의 분류 ··························································· 21
[표 2.4] 지진력저항시스템에 대한 설계계수 ·············································· 27
[표 2.5] 지진력저항시스템 선정 ·································································· 31
[표 3.1] 연구대상 공동주택 개요 ································································ 40
[표 3.2] 연구대상 동 정보 ·········································································· 40
[표 3.4] PC부재 일람표 ··············································································· 52
[표 3.5] 접합부 설계 횡하중 산정 ······························································ 55
[표 3.6] 코어 내부 슬래브 저항 하중 산정 결과 ······································· 57
[표 4.1] 해석에 사용된 하중조건 ································································ 64
[표 4.2] 철골코어의 접합부 설계 부재력 ··················································· 68
[표 4.3] PC코어의 접합부 설계 부재력 ······················································ 72
[표 4.4] PC코어의 접합부 설계 부재력 ······················································ 76
[표 5.1] 코어의 유형에 따른 총 공사비 비교 (단위: 천원) ······················ 114
[표 5.2] 코어의 유형에 따른 항목별 비교 (단위: 천원) ··························· 114

4 ∙ 공동주택의 전기설비 다변화에 따른 고조파 실태 분석


그림차례

[그림 1.1] 노동생산성-생산성 증가율(자료: McKinsey(2017)) ···················· 3


[그림 1.2] 모듈러 건축시장예측 결과(자료: 대한건설정책연구원(2011)) ······ 4
[그림 1.3] 세종 UR1, UR2 모듈러 공동주택(2022) ········································ 4
[그림 2.1] 모듈러 주택의 특성 ··································································· 14
[그림 2.2] 모듈러 주택의 장․단점 ··································································· 14
[그림 2.2] 모듈러 주택 부의 특성(계속) ···················································· 17
[그림 2.3] LHMB 시스템 ·············································································· 23
[그림 2.4] 지진력저항시스템의 종류 ···························································· 26
[그림 2.5] 제안된 코어 시스템 ····································································· 33
[그림 3.1] 연구대상 구조평면도 ····································································· 41
[그림 3.2] 연구대상 건축도면(정면도 및 우측면도) ······································ 42
[그림 3.2] 연구대상 건축도면(종단면도 및 횡단면도_계속) ························· 42
[그림 3.2] 연구대상 건축도면(계단실 평면도_계속) ···································· 43
[그림 3.2] 연구대상 건축도면(코어평면도_계속) ········································· 44
[그림 3.2] 연구대상 건축도면(주택 부-코어 시스템 접합부 상세도_계속) ·· 44
[그림 3.3] 철골코어 기준층 평면도 ······························································· 46
[그림 3.4] 베이스 플레이트 설계 일람표 ····················································· 47
[그림 3.5] 각 부재 접합부 일람표 ······························································· 48
[그림 3.6] 슬래브 일람표 ············································································· 49
[그림 3.7] 계단 일람표 ··················································································· 50
[그림 3.8] PC부재 분할 계획 ········································································· 51
[그림 3.9] PC부재 접합부 상세 ····································································· 53
[그림 3.10] PC코어 접합부 위치 ···································································· 53
[그림 3.11] PCI DESIGN HANDBOOK 예시(자료: PCI DESIGN HANDBOOK –7th) ·· 54

차례∙ 5
[그림 3.12] 슬래브 횡방향 저항 및 전단벽체의 분포 ··································· 56
[그림 3.13] 다이어프래임 설계 방법(자료: PCI DESIGN HANDBOOK –7th) ·· 57
[그림 3.14] 접합부 설계 횡하중 산정 ···························································· 58
[그림 3.15] 접합부 설계 결과 ········································································ 59
[그림 4.1] 재료 상세 특성 ·············································································· 65
[그림 4.2] 평면 모델링 ··················································································· 66
[그림 4.3] 주택 부와 코어부 접합부 상세 ····················································· 67
[그림 4.4] 해석결과(축력도) ········································································· 68
[그림 4.4] 해석결과(전단력도_계속) ···························································· 68
[그림 4.4] 해석결과(모멘트도_계속) ···························································· 68
[그림 4.5] 접합부 검토 결과 ·········································································· 70
[그림 4.6] 접합부 위치(철골 및 PC코어 시스템 공통) ·································· 71
[그림 4.7] 해석결과(축력도) ········································································· 72
[그림 4.7] 해석결과(전단력도_계속) ····························································· 73
[그림 4.7] 해석결과(모멘트도_계속) ····························································· 73
[그림 4.8] 접합부 검토 결과 ·········································································· 74
[그림 4.9] 해석모델링(철골코어 7층) ··························································· 76
[그림 4.10] 고유치 해석결과(철골코어 7층-9모듈) ······································ 77
[그림 4.11] 내진 해석결과(철골코어 7층-9모듈) ·········································· 78
[그림 4.12] 내풍 해석결과(철골코어 7층-9모듈) ·········································· 79
[그림 4.13] 해석모델링(철골코어 7층-6모듈) ··············································· 80
[그림 4.14] 고유치 해석결과(철골코어 7층-6모듈) ······································· 81
[그림 4.15] 내진 해석결과(철골코어 7층-6모듈) ·········································· 82
[그림 4.16] 내풍 해석결과(철골코어 7층-6모듈) ·········································· 83
[그림 4.17] 해석모델링(철골코어 12층-2모듈) ·············································· 84
[그림 4.18] 고유치 해석결과(철골코어 12층-2모듈) ····································· 85
[그림 4.19] 내진 해석결과(철골코어 12층-2모듈) ········································ 86

6 ∙ 공동주택의 전기설비 다변화에 따른 고조파 실태 분석


[그림 4.20] 내풍 해석결과(철골코어 12층-2모듈) ········································ 87
[그림 4.21] 해석모델링(PC코어 7층-12모듈(확장)) ····································· 88
[그림 4.22] 고유치 해석결과(PC코어 7층-12모듈) ······································· 89
[그림 4.23] 내진 해석결과(PC코어 7층-12모듈) ·········································· 90
[그림 4.24] 내풍 해석결과(PC코어 7층-12모듈) ··········································· 91
[그림 4.25] 해석모델링(PC코어 12층-5모듈) ················································ 92
[그림 4.26] 고유치 해석결과(PC코어 12층-5모듈) ······································· 93
[그림 4.27] 내진 해석결과(PC코어 12층-5모듈) ·········································· 94
[그림 4.28] 내풍 해석결과(PC코어 12층-5모듈) ·········································· 95
[그림 5.1] 연구대상 기준 평면(RC 코어) ····················································· 102
[그림 5.2] RC 코어 부재 일람표(슬래브) ···················································· 103
[그림 5.2] RC 코어 부재 일람표(보 및 벽체_계속) ····································· 104
[그림 5.2] RC 코어 부재 일람표(계단 배근도_계속) ··································· 105
[그림 5.3] RC 코어 시스템 공사비 검토 결과 ············································· 106
[그림 5.4] 철골코어 시스템 골구도 ···························································· 107
[그림 5.5] 철골코어 시스템 공사비 검토결과(철골공사) ····························· 109
[그림 5.5] 철골코어 시스템 공사비 검토결과(콘크리트공사_계속) ·············· 110
[그림 5.6] PC 코어 시스템 공사비 검토 결과 ············································· 112

차례∙ 7
서론
제1장

L AND
&HOU S I NG
I N S T I T U T E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1.1 연구 배경

현재 건설산업의 생산성은 출생률 저하 및 근로자의 고령화와 같은 인구사회적


문제 및 감염병 팬데믹으로 인하여 [그림 1.1]과 같이 건설 산업의 생산성 감소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임.
현행 공동주택 건설산업은 노동집약적이고 현장중심(On-Site)에 의존하고 있어
생산성 제고를 위한 기술집약적이고 탈현장(Off-Site) 방식으로의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한 상황에 직면하였음.
탈현장 건설기술(OSC공법)중 하나인 모듈러 공법은 스마트 건설기술을 활용하여
공정 및 현장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택지의 활용의 범용성(소규모 택지 가능),
공기단축을 통한 주택의 적기공급 등의 장점을 가져, 국내·외적으로 공동주택 건설
의 미래지향적인 기술로서 큰 관심을 얻고 있음.

[그림 1.1] 노동생산성-생산성 증가율(자료: McKinsey(2017))

제1장 서 론 ∙ 3
또한 모듈러 공법은 공장생산을 통한 현장작업의 최소화로, 생산방식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4차산업혁명 및 ESG시대에 적극대응 가능한 친환경 스마트 건설산업의
다양한 장점을 보유하고 있음.
[그림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한건설정책연구원(2011)의 자료를 살펴보면,
모듈러 건축시장은 2020년 이후 증가세로 들어서는 것으로 예측되었음. 따라서
국토교통부 및 LH에서는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 및 미래주택 트랜드 선도를 위하여
실무적인 차원에서도 모듈러 주택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그림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OSC모듈러 공동주택(세종 UR1, UR2)” 등 실제 실증사업을 수행중임.

[그림 1.2]모듈러 건축시장예측 결과(자료: 대한건설정책연구원(2011))

[그림 1.3] 세종 UR1, UR2 모듈러 공동주택(2022)

4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현재 건설되는 대부분의 모듈러 공동주택은 주택부 모듈에 시공 및 양중에 유리
한 철골구조를 사용하고, 공동주택 코어부를 철근콘크리트구조(이하 RC코어)로
건설하여 주택부의 하중을 부담시키는 구조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음.
모듈러 공동주택의 코어부를 RC코어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의 양생기간이
필요하므로, 모듈러 공동주택의 최대장점인 공기단축의 효율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음.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모듈러 공법의 장점인 공기단축을 극대화하고 구조안정성을
확보한 모듈러 공동주택의 코어 시스템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음. 이를
통하여 모듈러 공동주택의 건설 활성화를 위한 LH의 안정적인 사업 토대를 마련하고
실부부서를 적극 지원코자 함.

1.2 연구 목적

이 연구는 12층 이하 중‧저층의 LHMB 적용 모듈러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한


소규모 공공임대주택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 및 사업기반 마련을
위한 연구로서, 목적과 부합하는 모듈러 공동주택 구조시스템 검토, 적정 코어 구조
시스템 제안, 제안된 코어 시스템의 구조안정성 및 경제성 검토를 목적으로 하고 있음.

1.3 연구대상 및 범위

연구대상은 LH의 7층 규모의 모듈러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하며, 모듈의 구성


방식은 LHMB 적층식 모듈로 한정함.
연구범위는 다음과 같음.
◦ 모듈러 공법의 특성 및 국내․외 현황조사
◦ 모듈러 주택의 코어 시스템 제안
◦ 모듈러 주택의 코어 시스템 개발
◦ 모듈러 주택의 코어시스템 구조안정성 검토
◦ 제안된 모듈러 코어공법의 경제성 검토

제1장 서 론 ∙ 5
2. 연구 내용 및 방법

2.1 주요 연구 내용

◦ 모듈러 공법의 특성 및 국내․외 현황조사


- 국내․외 건설되는 모듈러 건축물 사례조사 및 특성 분석
- 모듈러 공법의 주택 부 및 코어 부 특성 조사
◦ 모듈러 공동주택의 코어 시스템 제안
- 모듈러 주택부의 지진력 저항시스템 조사 및 검토
- 현행 KDS기준의 지진력 저항시스템을 반영한 코어시스템 제안
◦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개발
- 모듈러 코어 시스템의 내부 접합부 설계(분할 및 접합)
- 모듈러 코어 시스템의 내부 접합부 구조안정성 검토
◦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검토
- 모듈러 주택 부 모듈과 코어 부 모듈의 접합부 검토
- 제안된 코어 시스템의 구조안전성 및 확장성 검토
◦ 제안된 모듈러 코어공법의 경제성 검토
- 제안된 코어공법의 실무적용을 위한 공사비 검토
- 현행 RC코어 공법과 비교한 제안된 코어공법의 경제성 검토

2.2 연구 수행 방법

◦ 문헌조사
- 모듈러 공법 및 코어 시스템에 대한 선행연구자료 검토
- 모듈러 건축물의 건설 사례를 중심으로 사용된 코어 시스템 검토
◦ 모듈러 공동주택의 코어 시스템 제안 및 구조안정성 검토
- 모듈러 공동주택 지진력저항(구조시스템)시스템의 현행 기준 조사
- 코어 시스템의 상세 제안 및 구조안정성 검증을 위한 해석적 연구 수행

6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 모듈러 공동주택의 경제성 검토
- 현행 RC코어 공법과 제안 코어 시스템의 공사비 비교를 통한 경제성 분석
- 전문가를 대상으로 제안된 코어공법의 모듈러 주택의 적용에 대한 유효성 및
경제성 관련 자문 실시

제1장 서 론 ∙ 7
3. 관련 연구 현황 조사

3.1 LH내부수행연구 현황 및 차별성

[표 1.1]과 같이 LH내부에서는 2018년부터 총 8건의 모듈러 주택과 관련된


연구가 수행되었음. 기 수행된 연구 중 “공동주택형 LH모듈러 구조시스템 개발
(2018完)”, “LH형 모듈러주택의 모델개발 및 품질확보 방안 연구(2020完)”은 모듈러
주택의 구조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지만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인 모듈러
주택의 적정 코어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음.
“모듈러주택 공정관리 표준화기법 발굴에 관한 연구(2019完)”와 “모듈러주택
공사비 특성 분석 및 내역체계 수립(2022完)”은 모듈러 주택의 적정 공기 및
공사비에 관련한 연구를 수행하였지만 코어시스템에 따른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음.
위에서 언급된 4건의 연구는 이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기초자료 및 참고자료
역할을 하였으며, 이외에 나머지 연구는 모듈러 주택에 대한 정책과 유지관리에 대한
연구로 이 연구와는 주 대상과 범위가 다른 차별성을 보임.

[표 1.1] LH내부수행 연구 목록

기 수행연구 연구목적 연구내용

공동주택형 LH모듈러 중저층 모듈러주택의 중 저층 모듈러 구조시스템 개발을 위한


구조시스템 개발 건설을 위한 보-기둥 접합부 구조성능 규명,
(2018) 모듈러구조시스템 개발 구조설계지침 개발 및 내진성능평가

모듈러 공장제작 및
모듈러주택 공정관리 현장조립 프로세스와 작업
LH형 모듈러주택의 효율적인 사업추진을
표준화기법 발굴에 관한 소요기간을 분석하여
위해 비모듈러 및 모듈러 부문에 대
연구 모듈러주택 건설공사에
한 적정 공사기간(안)을 제안
(2019) 활용 가능한 공사기간
산정기준(안)을 제안
모듈러주택 건설사업의
모듈러주택 건설사업 수행체계 검토 및
효과적인 수행에 필요한
주요 사업 사례 분석, 공공 건설공사
모듈러주택 최적 발주방식 제도적 장치와 사내
특성을 고려한 모듈러주택
및 발주업무 지침 마련 기반을 “발주제도”
최적 발주방식 검토,
(2020) 중심으로 논의함으로써
최적 발주방식을 적용한 모듈러주택
건설생산체계 전환과
발주지침 및 도서 개발
건설자동화 실현에 기여

8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LH형 모듈러주택의 모듈러주택의 안전과
모듈러 구조시스템 개발, 표준공정 및
모델개발 및 품질확보 품질확보를 담보하기 위한
공기정립, 적정 품질 및 주거성능 확보를
방안 연구 요소기술을 개발하고
위한 개선방안과 활성화방안 마련 연구
(2020) 관련 지침을 마련

가족구성 변화를 고려한 2~3인 가구 대표면적 46㎡주택 평면 제시,


가족구성 변화를 고려한
가변형 모듈러 모듈러 건축기반 BIM설계도 작성(BIM
46㎡ 모듈러 주택의
주택모델 연구 라이브러리 활용), 모듈의 조합으로 건물
가변형 평면계획 제시
(2021) 생성 방법 제안

공공부문 모듈러주택 건설
전반에 투입되는 공사비의
모듈러주택 공사비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모듈러주택 공사비 특성 특 성을 검토하고, 필요한
사례 분석, 모듈러주택 건설 공사비의 특성
분석 및 내역체계 수립 기준을 개발함으로써
분석, 모듈러주택의 특성을 고려한
(2022) 모듈러공법의 합리적
내역체계 구축
적용, 사업추진과
시장확대 기반 제공

재난지원을 위한 모듈러주택 사업모델


재난지원을 위한 국유지를 활용한 기획, 재난지원을 위한 이동형
모듈러주택 사업모델 연구 재난지원용 모듈러주택 모듈러주택의 프로토타입 계획, 시범사업의
(2022) 사업모델 개발 타당성 분석, 관리운영 및 순차적 확대
방안

모듈러 주택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모듈러주택 수선 및 공동주택의 유지관리와 관련된 법적 근거
유지관리 항목 및
유지관리 매뉴얼 개발 및 내용을 파악, 모듈러 주택에 적합한
기법, 수선주기 및 방법
(2022) 유지관리 항목 및 방법을 도출
등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고 매뉴얼을 제시

3.2 외부수행 연구와의 차별성

[표 1.2]와 같이 연구자료 DB사이트인 DBpia 및 AURIC에서 “모듈러구조” 및


“코어시스템”으로 검색한 결과, 이 연구의 주요 대상인 모듈러 건축물의 코어에
관련된 구조적인 연구는 최근 5년간(2018년~2022년) 국·내외를 포함하여 6건이
검색되었음.
외부수행 연구의 내용을 분석하여 모듈러 건축물의 구조시스템과, 코어공법에
대한 경향을 파악 할 수 있으며, 이 연구에서 수행한 모듈러 공동주택의 전산해석을
위한 참고자료로 사용 할 수 있었음.

제1장 서 론 ∙ 9
[표 1.2] 외부수행 연구 목록

저 자 제 목 발표지 및 연도 내용

대한건축학회
중고층 모듈러 공공주택 실증사업 용인영덕 경기행복주택
부윤섭 외 학술대회 논문집
추진현황 실증사업 추진 경과
2022.10

대한건축학회
모듈러 구조의 중고층화를 위한 거대 거대가새를 활용한 모듈러
김동건 외 학술대회 논문집
가새의 횡력저항 성능평가 구조시스템 제시
2020.10

대한건축학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전단 벽체 수평 모듈러 주택의 코어를 PC벽체로
이상섭 외 논문집
접합부의 이력 거동 활용하기 위한 구조성능검토
2020.06

Structural
Precast reinforced concrete shear PC벽체의 수평 및 수직접합부
Singhal 외 Concrete
walls: State of the art review 공법소개
2019.

대한건축학회
모듈러 구조시스템 내부 접합부의 모듈러 구조시스템의 내부
이강민 외 학술대회 논문집
강축 및 약축 방향에 대한 실험연구 접합부 구조실험연구
2018.10

한국구조물진단
모듈러 접합부를 대상으로
접합부 강성을 고려한 합성 모듈러 유지관리공학회
김진구 외 전산해석을 수행하여
시스템의 내진 성능평가 논문집
내진성능평가
2018.03

10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제2장
모듈러 주택의 코어시스템 제안

L AND
&HOU S I NG
I N S T I T U T E
제2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제안

1. 일반사항

1.1 모듈러주택의 정의 및 특성

모듈러 주택은 주택법 제51조1)에 따른 공업화주택의 인정을 받는 건축물을 의미


하며, 모듈의 주요 구조부분 전부 또는 일부를 성능 및 생산기준에 따라 공장에서
선 생산 후 현장으로 이동하여 조립하는 방식을 의미함.
위와같은 모듈러 공법을 사용하여 공동주택을 건설 할 경우에는「주택건설기준 등
에 관한 규칙」,「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등의 관련 기준을 충족하여야 함.
국내 모듈러 주택에 대한 정책 및 건설을 담당하는 기관은 아래 [표2.1]과 같이
모듈러 주택을 정의하고 있음. [표2.1]에서 공통적으로 정의한 내용은 “공장생산”과
“조립”으로, 이를 통하여 [그림 2.1]2)과 같이 모듈러 주택의 특성인 “공장생산 후
현장 조립”을 알 수 있음.
모듈러 주택은 현장타설(현행 RC구조) 주택 공법에 비하여 공장생산이 이루어지므로
다음 [그림 2.2]과 같이 공기단축, 경제성, 확장성 등에 유리한 측면이 있으며, 모듈러
주택의 주재료인 강재는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 측면에서 우수함.
그러나, 주재료인 강재의 특성 상 화재에 취약할 수 있으며, 현장 여건 및 주택의
특성에 따라 운송 및 조립에 불리할 가능성이 있음. 또한 고층 모듈러 주택 시공 시
추가적인 구조보강이 필요 할 가능성이 있음.
적기에 안정적으로 공동주택을 공급할 수 있는 친환경 스마트 건설시스템으로 모듈러
공법이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공기단축(시공성)과 구조안정성, 그리고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모듈러 공법(코어, 내화)의 개발이 필요함.

주택법 법률 제 호 일부개정
포스코 모듈러건축 소개자료 영문

제2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제안 ∙ 13


[표 2.1] 모듈러 주택의 정의

구분 내용

블록 형태의 모듈러 유닛 구조체에 창호와 외벽체, 전기배선 및 배관, 욕실


국토교통부
주방기구 등 70% 이상의 부품을 공장에서 선 조립하는 주택

공장 생산된 모듈러 유닛을 현장으로 운반, 조립하는 주택으로 유닛 구조체와


SH
창호 및 외벽체, 전기배선 및 배관, 욕실 주방기구 등
서울주택도시공사
70% 이상의 부품을 공장에서 선 조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택자재와 부품 및 구조체 등을 공업화 공법으로 조립 생산하는 주택

[그림 2.1] 모듈러 주택의 특성

장점 공기 단축 경제성 확장성

모듈러 주택모듈 공장생산으로 인한


(공장생산) 다양한 사업조건에
부대경비 절감 및
+골조 공사(현장생산) 따른 모듈 배치 용이
품질 제고 가능
동시 진행 가능

단점 안전성 내화성 운송 및 조립

철골프레임으로 내화성능은 현행기준 현행 도로체계에


구성된 모듈러 모듈은 12층 2시간 내화를 맞춘 설계의 한계 및
수평하중에 취약 만족시켜야 함 조립 난이도 상승

[그림 2.2] 모듈러 주택의 장․단점

14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1.2 모듈러 주택의 모듈 특성

현재 국내에서 건설되는 모듈러 주택은 크게 [그림 2.2]와 같이 각각의 1개의 모듈을


쌓아 조립하는 적층식과 외부에 구조프레임을 설치하고 구조프레임 내부에 모듈을 끼워
넣는 인필(infill)식으로 구분됨.
적층식 모듈은 공장에서 박스형태의 모듈을 제작하고, 슬래브, 벽체 및 천장 패널,
전기 및 건축설비, 내외부 마감재 등 모듈의 80%이상을 공장에서 선 제작 후 현장
조립하는 공법임.
인필식 모듈은 공장에서 선 제작된 박스형태의 모듈을 현장에서 철골 또는 RC외피
구조물에 삽입하는 공법임. 국내에서는 인필식 모듈에 비하여 적층식 모듈이 널리 사용
되고 있음.
일반적으로 모듈러 주택의 구조형식은 강재인 철골구조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사용재료에 따라 PC구조, 목구조 등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음.
현행 모듈러 공동주택은 [그림 2.2]와 같이 주택부 모듈과 코어부의 이중골조 형태로
구성되며, 주택부 모듈은 앞서 기술한 주택 부로 건설하고 코어부는 RC코어를 사용하여
건설하고 있음.
공업화주택의 성능 및 생산기준(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3조)3)에 따르면,
모듈러 주택부(공동주택)의 구조안전 성능은 구조부분과 접합부 부분으로 구성됨.
기준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듈러 주택은 공업화주택을 만족하면서 구조부분과
접합부의 구조안전성능을 만족하여야 함을 알 수 있음.
철골구조 모듈러주택은 대부분 보-기둥의 경량 철골 라멘구조로 구성되며, 보와
기둥의 접합 방식은 구조안전성과 경량화를 확보함을 목적으로 볼트접합(고력볼트
포함), 용접접합 등으로 이루어짐. 철골 라멘구조는 보와 기둥이 상부의 중력하중을
기초로 전달하고, 벽체는 비구조재인 건식벽체를 사용하여 주택 부의 경량화에 유리함.
PC구조 모듈러 주택은 PC벽식구조 또는 PC라멘구조로 구성되며, 최근에는 박스형
PC모듈러 주택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중임.

3)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칙, 국토교통부령 제 1139호, 2022. 8. 4., 일부개정

제2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제안 ∙ 15


PC부재의 접합부는 기존 LH 연구결과4)와 같이 연결되는 부재에 따라 벽식 구조의
접합부와 라멘구조의 접합부로 구분 가능함. PC부재의 접합은 습식접합(현장타설 콘크
리트)이나 건식접합(볼트체결)을 이용하고 있음. PC구조는 구조안정성에 유리하나
양중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분할 및 PC부재의 제작에 대한 계획 수립이 중요함.

4) LH토지주택연구원, 미래수요대응형 LH 공동주택 건식공법 적용방안 1편: LH PC구조 공동주택 구조 설계


및 시공지침(안)

16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인필식 모듈
적층식 모듈(라멘구조)

[그림 2.2] 모듈러 주택 부의 특성(계속)

제2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제안 ∙ 17


※ 공업화주택의 성능 및 생산기준(제 13조 관련)
나. 공동주택(「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2호가목부터 다목까지의 공동주택을 말하며, 같은
표 제1호 나목 및 다목의 단독주택을 포함한다)
1) 구조안전성능
가) 구조부분:「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2조제1호에 따른 구조부재의 구조
안전성능은「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등 관련 건축물의 설계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나) 접합부: 벽판·바닥판·지붕판 등 주요 구조부재 간의 수평·수직 접합부는 해당 구조
설계 및 공사시방에 있어서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2) 내화 및 방화성능
가) 구조부분의 내화성능:「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3조에
따른 내화구조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나) 내부 마감재의 방화성능:「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5조
부터 제7조까지의 규정에 따른 재료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4) 환기성능
창문, 출입구, 그 밖의 개구부의 면적은「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17조에 따른 창문 등의 기준에 적합하고, 부엌, 욕실 및 화장실은 「주택건설
준 등에 관한 규정」 제44조에 따른 배기설비·환기설비 설치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5) 열환경성능
가) 단열성능: 주택 각 부위의 단열성능은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시행
규칙」 제7조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열 손실방지 기준에 적합
하여야 한다. 다만, 「주택법」 제15조제1항의 주택건설사업계획의 승인을
얻어 건설하는 경우에는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64조제3항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단열성능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나) 결로방지성능
(1) 결로방지성능은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14조의3에 따라 국토교통부
장관이 고시하는 결로방지를 위한 설계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2) 외벽, 최상층 반자, 최하층 바닥 및 냉교부, 비난방실과 난방실 사이의 벽체, 접합
부위 등에는 결로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6) 음환경성능
가) 세대간 경계벽의 소음차단성능: 세대간 경계벽의 구조는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14조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경계벽의 구조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나) 바닥충격음의 차단성능: 상하층 간의 바닥의 경량충격음 및 중량충격음의 기준은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14조의2제2호에 따른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8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1.3 모듈러 주택의 건설 동향

국내의 모듈러 공법은 단독주택, 군시설, 학교시설 등을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최근 근로자 기숙사, 저층의 공동주택 등 주거요소 전반에 걸쳐 확대 적용되고 있는
추세임. 더 나아가 일반상업지구, 복합문화공간 등 다양한 비주거 부분까지 확대
적용중임.
국외의 경우, 영국과 미국은 모듈러 공법의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모듈러
공법의 장점(공기단축, 품질확보, 친환경)을 활용하여 주거 및 비주거 부분까지 폭
넓게 적용되고 있음. 특히 영국과 미국은 모듈러의 고층화 및 장스팬화 등의 기술
개발을 활발히 수행하여 저층에서부터 초고층까지 다양한 규모의 모듈러 공동주택을
건설하였음.
아래 표[2.2]는 국내외 모듈러 공동주택의 국내외 건설현황을 나타낸 것임.

[표 2.2] 국내외 모듈러 주택 현황

SH 서울가양 LH 천안두정 GH 용인영덕 My Micro Ten degrees8)


구분
모듈러주택5) 모듈러주택 모듈러주택6) NY7) (영국)

용도 공동주택 공동주택 공동주택 공동주택 공동주택

준공년도 2017 2019 2023 2015 2020

지하 1층 지하1층
층수 지상 6층 지상 10층 지상 44층
지상 6층 지상13층

모듈러 시스템 적층 적층 적층 적층 적층

코어시스템 RC코어 RC코어 RC코어 RC코어 RC코어

사진

도시 속 새로운 집 모듈러 새로운 주택의 미래로 실현되다 서울주택도시공사 도시연구원


경기주택도시공사 용인영덕 모듈러 주택 상품 품평회 자료

제2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제안 ∙ 19


[표 2.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국내의 경우 6층에서 최대 13층의 중·저층의 공동
주택을 대상으로 모듈러 공법이 적용중이며, 영국의 경우 지상 44층의 고층으로
모듈러 주택이 건설된 사례가 있음.
[표 2.2]에 조사된 국·내외 사례와 현재 건설되는 공동주택용 모듈러 주택은
철골 프레임으로 구성된 주택부 모듈과 RC코어로 이루어져 있음.
현재의 RC코어 시스템은 현장에 코어부를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선
시공 후 모듈러 주택 부 반입하여 조립 하는 코어시스템으로, 이는 구조적으로
주택부 모듈의 횡하중의 대부분을 RC코어에서 부담하는 방식임. 습식 생산공정이
필수적인 RC코어는 모듈러 공법의 최대 장점인 공기단축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임.
최근 모듈러 주택의 공기단축 및 시공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표2.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시스템을 철골코어, 하이브리드시스템(철골+RC), PC코어시스템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철골코어 시스템은 철골 보-기둥 구조로 구성된 코어부와 모듈러 주택 부를
동시에 현장 반입 조립하는 시스템으로, 부족할 우려가 있는 모듈러 주택의 구조
성능을 가새시스템을 이용하여 보강 할 수 있음.
하이브리드 코어시스템은 기존 RC코어시스템과 동일하게 철골 모듈과 RC코어로
모듈러 주택을 건설하나, 모듈러 주택의 수평 및 수직 확장에 용이하도록 철골 가새
시스템을 도입하여 구조적인 보강을 한 시스템임.
PC코어시스템은 PC부재(벽체, 기둥, 슬래브)로 구성된 PC코어부와 철골 모듈이
접합되어 모듈러 주택을 건설하는 공법임. 공장에서 선 제작된 PC부재를 현장 반입
하여 코어 조립 후 주택 부와 건식으로 접합되는 시스템임.

홈페이지
홈페이지
조봉호 국제모듈러포럼 대한경제 외

20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표 2.3] 모듈러 코어 시스템의 분류

구분 특징 비고

현행 RC공법과 동일하게
모듈러 모듈 조립
현장에서 철근조립과
RC코어 전(前)
콘크리트타설을 수행하는
선 시공
습식공법

구조물의 횡하중 저항능력을


모듈러 모듈 조립과
철골코어 보유한 철골 브레이스를
함께 시공
이용한 코어형식

RC코어로 모듈러 주택의 모듈러 모듈 조립


하이브리드 횡하중을 지지하고 추가적인 전(前) 선 시공
시스템 모듈러 모듈의 횡하중을 건축평면 형상에 따라
수평/수직의 철골 가새로 저항 추가적인 모듈배치 가능

벽체, 슬래브 등 PC부재를


모듈러 모듈 조립
공장에서 선 제작 후
PC코어 전(前) 선 시공, 모듈
현장으로 반입하여
조립과 함께 시공 가능
건식접합으로 이루어진 코어

제2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제안 ∙ 21


2. 모듈러 주택의 구조시스템 검토

2.1 LH모듈러 주택 구조시스템

LH에서는 2020년 “LH형 모듈러주택의 모델개발 및 품질확보 방안 연구” 를


수행하여 [그림 2.3]10)과 같이 철골 라멘구조의 LH모듈러 구조시스템(이하
LHMB)을 개발하였음.
LHMB는 주요 구조부재인 보와 기둥을 내진성능 확보에 유리한 강재를 사용하고
지진력 저항시스템을 건물골조 또는 이중골조 시스템으로 구성하였음. [그림 2.3]과
같이 LHMB는 주택 부 골조를 구성하는 보와 기둥의 접합부를 블록형태로 용접접
합하고, 주택 부 간의 접합은 시공오차에 대응 가능한 볼트․너트 체결형의 접합 블록
을 사용하였음.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LHMB는 내진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나, 각 모듈을
모듈러 공동주택에 적용할 경우, 공동주택의 특성(형상 및 코어의 위치, 층수)에
따라 지진하중이나 풍하중 등 횡하중에 취약 할 수 있음.
현행 모듈러 주택의 횡하중은 코어부가 저항하도록 설계하므로, LHMB를 사용한
공동주택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건축구조설계기준에 부합하는 지진력 저항시스템을
반영한 코어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 필요함.
이에 이 연구에서는 LHMB에 적합한 코어 시스템을 제안하기에 앞서 모듈러
공동주택에 적용가능한 현행 건축구조기준을 조사하여 지진력 저항시스템을 검토
하였음.

천영수 외 형 모듈러주택의 모델개발 및 품질확보 방안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22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a) 단위 모듈유닛 (b) 상․ 하 모듈 적층개념도

(c) 상․ 하 모듈 접합방법 (d) 너트조립체

[그림 2.3] LHMB 시스템

2.2 지진력저항시스템 검토

모듈러 주택은 주택법 51조 및 기타 법령을 준용하여 건설하여야 하므로, 모듈러


주택의 구조시스템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국가건설기준센터의 건축물 내진설계기준
(KDS 41 17 00)의 지진력 저항시스템(구조시스템)을 검토해야함.
KDS 41 17 00은 건축법과 주택법에 따라 건축하거나 대수선 및 유지·관리하는
건축물 및 건물외구조물의 구조체와 부구조체 및 비구조요소의 내진설계에 적용되

제2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제안 ∙ 23


므로, 모듈러 주택의 유닛 모듈과 코어부 모두 KDS 41 17 00을 만족해야 함.
강도설계와 변위설계를 통하여 수행되는 내진설계의 요구연성도는 구조물의 밑면
전단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 여기서 구조물의 연성도는 구조물의 설계, 사용
재료, 철근상세, 내력비, 구조시스템 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며, 내진설계에서는
연성도를 바탕으로 반응수정계수(R)를 결정함.
KDS 41 17 00에서는 [표 2.4]와 같이 반응수정계수(R)을 건물의 사용재료와
구조시스템 관점에서 다르게 구분하고 있음. 여기서 반응수정계수(R)은 구조시스템을
구성하는 부재의 강성과 연성능력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구조시스템에 따라 다르게
규정됨.
지진력저항시스템의 종류는 크게 다음 [그림 2.4]와 같음.

모멘트골조시스템

모멘트골조시스템은 [그림 2.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보-기둥 구조


(Rahmen)를 의미하며 각 부재가 접합부에서 일체가 되도록 견고하게 접합한 구조
임. 이 시스템은 모든 외력(횡력, 축력 등)을 보와 기둥을 통하여 저항함. KDS 41
17 00에서는 보통모멘트, 중간모멘트, 특수모멘트골조로 구분하여 각 골조별로 반
응 수정계수(R)을 다르게 정의함. 반응수정계수(R)이 클수록(특수모멘트골조) 철
근상세 등을 고려하여 구조물이 연성능력을 갖도록 함.

내력벽시스템

내력벽시스템은 [그림 2.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수직부


재인 벽체를 통하여 외력(축력 및 횡력)에 저항함. 내력벽 시스템은 슬래브, 벽체,
기초로 이루어져, 모멘트골조(기둥, 보)시스템에 비하여 구조물의 자중이 큼. 벽체는
지진하중에 저항하도록 면내 횡강성 및 강도를 보유해야함. KDS 41 17 00에서는
보통전단벽과 특수전단벽으로 구분하여 각 골조별로 반응수정계수(R)을 다르게
정의함. 특수전단벽의 경우 연결보 및 경계요소의 철근상세를 고려하여 연성능력을 갖춤.

24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건물골조시스템

건물골조시스템은 [그림 2.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력은 보, 기둥, 슬래브로


구성된 골조시스템이 저항하고 횡력은 코어를 구성하는 전단벽이나 가새골조 등이
저항하는 지진력저항시스템임. KDS 41 17 00에서는 전단벽시스템을 보통전단벽과
특수전단벽으로 구분하고, 가새골조시스템은 크게 편심가새와 중심가새로 구분하여
각 골조별로 반응수정계수(R)을 다르게 정의함. 건물골조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골조
부는 축력을 저항하고 코어부는 횡력을 저항하지만, 설계방식에 따라 자유도가 있음.

이중골조시스템

이중골조시스템은 [그림 2.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멘트골조와 전단벽(코어)이


외력에 저항하도록 구성된 지진력저항시스템임. 서로 다른 두 개의 구조시스템으로
합성된 이중골조시스템은 외력을 축력과 횡력으로 분리하여 다음과 같이 고려함.

- 축력은 주로 골조시스템이 저항
- 이중골조시스템에서 골조(모멘트골조)는 최소 25%이상의 설계지진력을 저항
- 이중골조시스템 전체의 횡력 저항은 모멘트골조와 전단벽 또는 모멘트골조와
가새골조 각각의 횡력저항능력의 합으로 각각의 횡력저항능력은 횡강성에
비례하여 발휘됨.
KDS 41 17 00에서는 이중골조시스템을 중간모멘트와 특수모멘트 상세로 구분하여
각 상세별로 반응수정계수(R)을 다르게 정의함.

제2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제안 ∙ 25


(a) 모멘트골조시스템 (b) 내력벽시스템

(c) 건물골조시스템 (d) 이중골조시스템

[그림 2.4] 지진력저항시스템의 종류

26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표 2.4] 지진력저항시스템에 대한 설계계수
시스템의 제한과
설계계수
높이(m) 제한
기본 지진력저항시스템1) 시스템 내진
반응 변위 내진 내진
초과 설계
수정 증폭 설계 설계
강도 범주 A
계수  계수   범주 C 범주 D
계수   또는 B
1. 내력벽시스템

1-a. 철근콘크리트 특수전단벽 5 2.5 5 - - -

1-b. 철근콘크리트 보통전단벽 4 2.5 4 - - 60

1-c. 철근보강 조적 전단벽 2.5 2.5 1.5 - 60 불가

1-d. 무보강 조적 전단벽 1.5 2.5 1.5 - 불가 불가

1-e. 구조용 목재패널을 덧댄


6 3 4 - 20 20
경골목구조 전단벽

1-f. 구조용 목재패널 또는 강판시트를


6 3 4 - 20 20
덧댄 경량철골조 전단벽

2. 건물골조시스템

2-a. 철골 편심가새골조
8 2 4 - - -
(링크 타단 모멘트 저항 접합)

2-b. 철골 편심가새골조
7 2 4 - - -
(링크 타단 비모멘트 저항접합)

2-c. 철골 특수중심가새골조 6 2 5 - - -

2-d. 철골 보통중심가새골조 3.25 2 3.25 - - -

2-e. 합성 편심가새골조 8 2 4 - - -

2-f. 합성 특수중심가새골조 5 2 4.5 - - -

2-g. 합성 보통중심가새골조 3 2 3 - - -

2-h. 합성 강판전단벽 6.5 2.5 5.5 - - -

2-i. 합성 특수전단벽 6 2.5 5 - - -

2-j. 합성 보통전단벽 5 2.5 4.5 - - 60

2-k. 철골 특수강판전단벽 7 2 6 - - -

2-l. 철골 좌굴방지가새골조
8 2.5 5 - - -
(모멘트 저항 접합)

제2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제안 ∙ 27


2-m. 철골 좌굴방지가새골조
7 2 5.5 - - -
(비모멘트 저항 접합)

2-n. 철근콘크리트 특수전단벽 6 2.5 5 - - -

2-o. 철근콘크리트 보통전단벽 5 2.5 4.5 - - 60

2-p. 철근보강 조적 전단벽 3 2.5 2 - 60 불가

2-q. 무보강 조적 전단벽 1.5 2.5 1.5 - 불가 불가

2-r. 구조용 목조패널을 덧댄 경골목구조


6.5 2.5 4.5 - 20 20
전단벽

2-s. 구조용 목재패널 또는 강판시트를


6.5 2.5 4.5 - 20 20
덧댄 경량철골조 전단벽

3. 모멘트-저항골조 시스템

3-a. 철골 특수모멘트골조 8 3 5.5 - - -

3-b. 철골 중간모멘트골조 4.5 3 4 - - -

3-c. 철골 보통모멘트골조 3.5 3 3 - - -

3-d. 합성 특수모멘트골조 8 3 5.5 - - -

3-e. 합성 중간모멘트골조 5 3 4.5 - - -

3-f. 합성 보통모멘트골조 3 3 2.5 - - -

3-g. 합성 반강접모멘트골조 6 3 5.5 - - -

3-h. 철근콘크리트 특수모멘트골조 8 3 5.5 - - -

3-i. 철근콘크리트 중간모멘트골조 5 3 4.5 - - -

3-j. 철근콘크리트 보통모멘트골조 3 3 2.5 - - 30

4. 특수모멘트골조를 가진 이중골조시스템

4-a. 철골 편심가새골조 8 2.5 4 - - -

4-b. 철골 특수중심가새골조 7 2.5 5.5 - - -

4-c. 합성 편심가새골조 8 2.5 4 - - -

4-d. 합성 특수중심가새골조 6 2.5 5 - - -

4-e. 합성 강판전단벽 7.5 2.5 6 - - -

4-f. 합성 특수전단벽 7 2.5 6 - - -

28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4-g. 합성 보통전단벽 6 2.5 5 - - -

4-h. 철골 좌굴방지가새골조 8 2.5 5 - - -

4-i. 철골 특수강판전단벽 8 2.5 6.5 - - -

4-j. 철근콘크리트 특수전단벽 7 2.5 5.5 - - -

4-k. 철근콘크리트 보통전단벽 6 2.5 5 - - -

5. 중간모멘트골조를 가진 이중골조시스템

5-a. 철골 특수중심가새골조 6 2.5 5 - - -

5-b. 철근콘크리트 특수전단벽 6.5 2.5 5 - - -

5-c. 철근콘크리트 보통전단벽 5.5 2.5 4.5 - - 60

5-d. 합성 특수중심가새골조 5.5 2.5 4.5 - - -

5-e. 합성 보통중심가새골조 3.5 2.5 3 - - -

5-f. 합성 보통전단벽 5 3 4.5 - - 60

5-g 철근보강 조적 전단벽 3 3 2.5 - 60 불가

6. 역추형 시스템

6-a. 캔틸레버 기둥 시스템 2.5 2.0 2.5 - - 10

6-b. 철골 특수모멘트골조 2.5 2.0 2.5 - - -

6-c. 철골 보통모멘트골조 1.25 2.0 2.5 - - 불가

6-d. 철근콘크리트 특수모멘트골조 2.5 2.0 1.25 - - -

7. 철근콘크리트 보통 전단벽-골조
4.5 2.5 4 - - 60
상호작용 시스템

8. 6의 역추형 시스템에 속하지 않으면서


강구조기준의 일반규정만을 만족하는 3 3 3 - - 60
철골구조시스템

9. 6의 역추형시스템에 속하지 않으면서


철근콘크리트구조기준의 일반규정만을 3 3 3 - - 30
만족하는 철근콘크리트구조 시스템

10. 지하외벽으로 둘러싸인 지하구조시스템 3 3 2.5

1) 시스템별 상세는 각 재료별 설계기준 및 또는 신뢰성 있는 연구기관에서 실시한 실험, 해석 등의


입증자료를 따른다.

제2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제안 ∙ 29


3. 지진력 시스템을 반영한 모듈러 코어시스템 제안

3.1 지진력 저항시스템 선정

앞 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LHMB를 사용한 모듈러 주택은 모듈러 주택 부와


코어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횡하중에 저항하도록 지진력 저항시스템을 선정하는 것
이 필요함.
이에, 이 연구에서는 모듈러 주택의 지진력 저항시스템으로 구조안정성 및 시공성을
고려한 건물골조시스템, 이중골조시스템, 철근콘크리트 보통 전단벽-골조 상호작용
시스템을 선정하였음.(KDS 41 17 00 기준 참고)
선정된 지진력 저항시스템의 특징은 [표 2.5]와 같으며, 코어부가 주택 부의
전단력 대부분을 저항하거나(건물골조), 주택 부와 코어부가 합성(이중골조, 전단벽-
골조 상호작용)되어 지진력을 저항하는 시스템임.
철근콘크리트 보통 전단벽-골조 상호작용 시스템은 보통 전단벽과 보통 모멘트
골조가 같이 사용되는 구조로 전단벽(코어부)의 전단강도는 각 층에서 최소한 설계 층
전단력의 75% 이상이어야 하고, 골조(모듈러 주택 부)는 각 층에서 최소한 설계 층
전단력의 25%를 저항할 수 있어야 함.

30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표 2.5] 지진력저항시스템 선정

시스템의 제한과
설계계수
높이(m) 제한

기본 지진력저항시스템1) 시스템 내진
반응 변위 내진 내진
초과 설계
수정 증폭 설계 설계
강도 범주 A
계수  계수   범주 C 범주 D
계수   또는 B

2. 건물골조시스템

2-a. 철골 편심가새골조
8 2 4 - - -
(링크 타단 모멘트 저항 접합)

2-b. 철골 편심가새골조
7 2 4 - - -
(링크 타단 비모멘트 저항접합)

2-c. 철골 특수중심가새골조 6 2 5 - - -

2-d. 철골 보통중심가새골조 3.25 2 3.25 - - -

2-e. 합성 편심가새골조 8 2 4 - - -

2-f. 합성 특수중심가새골조 5 2 4.5 - - -

2-g. 합성 보통중심가새골조 3 2 3 - - -

2-h. 합성 강판전단벽 6.5 2.5 5.5 - - -

2-i. 합성 특수전단벽 6 2.5 5 - - -

2-j. 합성 보통전단벽 5 2.5 4.5 - - 60

2-k. 철골 특수강판전단벽 7 2 6 - - -

2-l. 철골 좌굴방지가새골조
8 2.5 5 - - -
(모멘트 저항 접합)

2-m. 철골 좌굴방지가새골조
7 2 5.5 - - -
(비모멘트 저항 접합)

2-n. 철근콘크리트 특수전단벽 6 2.5 5 - - -

2-o. 철근콘크리트 보통전단벽 5 2.5 4.5 - - 60

2-p. 철근보강 조적 전단벽 3 2.5 2 - 60 불가

제2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제안 ∙ 31


2-q. 무보강 조적 전단벽 1.5 2.5 1.5 - 불가 불가

2-r. 구조용 목조패널을 덧댄 경골목구조


6.5 2.5 4.5 - 20 20
전단벽

2-s. 구조용 목재패널 또는 강판시트를


6.5 2.5 4.5 - 20 20
덧댄 경량철골조 전단벽

4. 특수모멘트골조를 가진 이중골조시스템

4-a. 철골 편심가새골조 8 2.5 4 - - -

4-b. 철골 특수중심가새골조 7 2.5 5.5 - - -

4-c. 합성 편심가새골조 8 2.5 4 - - -

4-d. 합성 특수중심가새골조 6 2.5 5 - - -

4-e. 합성 강판전단벽 7.5 2.5 6 - - -

4-f. 합성 특수전단벽 7 2.5 6 - - -

4-g. 합성 보통전단벽 6 2.5 5 - - -

4-h. 철골 좌굴방지가새골조 8 2.5 5 - - -

4-i. 철골 특수강판전단벽 8 2.5 6.5 - - -

4-j. 철근콘크리트 특수전단벽 7 2.5 5.5 - - -

4-k. 철근콘크리트 보통전단벽 6 2.5 5 - - -

5. 중간모멘트골조를 가진 이중골조시스템

5-a. 철골 특수중심가새골조 6 2.5 5 - - -

5-b. 철근콘크리트 특수전단벽 6.5 2.5 5 - - -

5-c. 철근콘크리트 보통전단벽 5.5 2.5 4.5 - - 60

5-d. 합성 특수중심가새골조 5.5 2.5 4.5 - - -

5-e. 합성 보통중심가새골조 3.5 2.5 3 - - -

5-f. 합성 보통전단벽 5 3 4.5 - - 60

5-g 철근보강 조적 전단벽 3 3 2.5 - 60 불가

7. 철근콘크리트 보통 전단벽-골조
4.5 2.5 4 - - 60
상호작용 시스템

32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3.2 모듈러 코어시스템 제안

이 연구에서 선정된 모듈러 주택의 지진력 저항시스템은 주택 부와 코어부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외부 횡하중에 저항하는 시스템으로, 주택 부와 코어부의 접합상세가
중요하며, 코어부는 주택 부의 하중을 최대한 부담하는 시스템이여야 함.
현행 대다수 공동주택 용도의 모듈러 주택은 코어부를 RC구조로 시공하고 있어
구조안정성 확보 측면에서 유리하나, 모듈러 공법의 최대 장점인 시공성(공기단축)
저하가 발생 할 우려가 있으므로, 구조안정성 및 시공성을 확보하며 선정된 지진력
저항시스템에 부합하는 모듈러 코어 시스템을 제안하였음.
이 연구에서는 LHMB 모듈러 주택에 적용 가능한 코어 시스템으로 [그림 2.5]와
같이 LHMB와 동일한 철골 라멘구조의 철골코어 시스템과 RC구조와 동등한 구조
성능을 가지는 전단벽형 PC코어 시스템(이하 PC코어 시스템)을 제안하였음.
제안된 코어시스템은 모듈러 공법의 장점인 공기단축에 효율적이며, 선정된 지진력
저항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 특히 PC코어
시스템은 시공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완전 PC형태로 제안하였음.

(a) 철골코어 시스템11) (b) PC코어 시스템

[그림 2.5] 제안된 코어 시스템

제2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제안 ∙ 33


4. 소 결

제 2장에서는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하여 모듈러 주택의 정의 및 특성을 알아보


고, 모듈러 주택에 사용되는 코어 시스템의 종류를 분류하였음. 또한 LHMB 모듈러
주택의 최적인 지진력 저항시스템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코어 시스템을 제안하였음.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음.

1. 적기에 안정적으로 공동주택을 공급할 수 있는 친환경 스마트 건설시스템으로


모듈러 공법이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공기단축과 구조안정성, 그리고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모듈러 공법의 개발이 필요함.

2. 국내외 모듈러 주택은 주거뿐만 아니라 비주거 부분까지 확대 적용중이며,


특히 국외에서는 모듈러의 고층화 기술개발 및 장스팬화 등을 적용하여 저층에
서부터 초고층까지 다양한 종류로 모듈러 주택을 건설중임.

3. 현행 모듈러 주택은 대부분의 횡하중을 코어부가 저항하도록 설계하므로, 주택부


모듈은 주로 철골 라멘구조형식이고 코어부는 RC코어를 사용하여 이중골조
형식으로 건설하고 있음. 습식공정인 RC코어는 모듈러 공법의 최대 장점인
공기단축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임.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철골코어, PC코어,
하이브리드 코어 등 다양한 모듈러 코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

4. LH의 모듈러 주택 부인 LHMB를 공동주택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진력 저항


시스템을 반영한 코어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 필요함. 이 연구에서는 모듈러
주택의 지진력 저항시스템으로 구조안정성 및 시공성을 고려한 건물골조시스템,
이중골조시스템, 철근콘크리트 보통 전단벽-골조 상호작용 시스템을 선정하였음.

34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5. 이 연구에서는 선정된 지진력 저항시스템을 만족시키면서 구조안정성 및 공기
단축에 유리한 모듈러 코어시스템을 제안하였음. 제안된 코어시스템은 철골코어,
PC코어 시스템으로, 모두 공장생산이 가능하여 구조안정성 및 공기단축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제2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제안 ∙ 35


제3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개발

L AND
&HOU S I NG
I N S T I T U T E
제3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개발

1. 일반사항

이 장에서는 LHMB를 적용한 모듈러 주택의 코어 시스템 상세를 개발하기 위하여


제 2장에서 제안된 철골코어 시스템과 PC코어 시스템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음.
제안된 코어 시스템의 실제 현장 적용을 위하여 LH 7층 규모의 모듈러 주택 1개동
(이하 연구대상 건물)을 선정하였으며, 연구대상 건물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설계 목적을
가진 상세를 개발하였음.
① LHMB와의 최적 구조안정성 확보
- 12층 이하 중․저층 모듈러 주택의 구조안정성 확보를 위한 설계
② 모듈러 공법의 최대 장점인 공기단축 극대화
- 습식접합을 최소화하여 공기단축이 가능한 설계

위의 설계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코어 시스템의 내부 접합부 설계를 수행


하여 구조안정성 및 공기단축을 검토하였음.
LHMB는 내진성능을 갖춘 강재를 사용하여 구조안정성 확보에 유리하나, 주택
단위의 모듈러 주택 부의 외부하중(지진하중, 풍하중 등)은 코어 부에서 저항하는 시
스템으로, 코어 부의 구조 설계는 코어 시스템의 특성에 맞게 이루어져야함. 이에
다음과 같은 설계방향을 가지고 코어 시스템의 특성에 맞게 설계를 수행하였음.

① 철골코어 시스템: LHMB와 동일한 내진성능을 갖춘 강재를 사용하여 보와 기둥의


철골 라멘조로 구성함. 주요 구조부재가 강재와 강재의 접합방식으로 구성되므로,
현행 강구조설계기준(KDS 41 31 00 :2022)을 준용하였음.
② PC코어 시스템: PC부재 사이의 습식접합부가 필수적인 Half PC공법 대신,
건식접합이 가능한 완전 PC공법으로 구성하고, 해외의 PCI기준(PCI DESIGN

제3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개발 ∙ 39


HANDBOOK)을 준용하여 PC코어 내부의 접합부를 설계하였음.
PC코어 시스템은 공장 제작 여건과 현장에서의 조립 여건을 고려하여 PC부재
분할계획을 정립하여 설계하였음.

1.1 연구대상 건물 개요

연구대상 건물은 [표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22년 LH 토지주택연구원에서


기 수행된 “모듈러주택 공사비 특성 분석 및 내역체계 수립”12) 연구 중 전환 설계된
(RC구조 공동주택 → 모듈러 공동주택) OO군에 위치한 마을정비형 임대주택임.
[표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상 7층의 2개의 공동주택 중 1개동을 연구대상으
로 선정하였으며, 평면유형은 26m2 type이며,(전환설계 전 24m2(14호)와 29m2(28
호)), 편복도식의 일자형태의 모듈러 주택으로 6호 조합으로 총 42세대임.
연구대상 건물의 주택 부 모듈러 모듈은 LHMB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기초와 코
어는 일반 RC공동주택의 건설공사와 동일하게 적용되었음.
[표 3.1] 연구대상 공동주택 개요

구분 내용
대지위치 ○○도 ○○군 ○○리 일원
대지면적 7,754m2
지역·지구 2종 일반주거지역
용도 공동주택(아파트 및 부대복리시설)
주거유형 영구임대, 국민임대, 행복주택
규모 100세대, 2개동, 지상 7층

[표 3.2] 연구대상 동 정보

지상
구분 형태 층수 세대수 평면유형 평면형식 조합 코어
연면적
RC 24m2(14호)
(전환설계 전) 일자형 29m2(28호)
7층 42호 1,953m2 편복도식 6호 RC
모듈러 (ㅡ)
26m2(42호)
(전환설계 후)

모듈러주택 공사비 특성 분석 및 내역체계 수립 송상훈 외

40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1.2 대상건물 도면

코어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사용된 연구대상건물의 도면은 [그림 3.2]와 같이 구조평면도,


단면도, 주택부와 코어 시스템의 접합상세도 등임.

[그림 3.1] 연구대상 구조평면도

제3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개발 ∙ 41


[그림 3.2] 연구대상 건축도면(정면도 및 우측면도)

[그림 3.2] 연구대상 건축도면(종단면도 및 횡단면도_계속)

42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그림 3.2] 연구대상 건축도면(계단실 평면도_계속)

제3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개발 ∙ 43


[그림 3.2] 연구대상 건축도면(코어평면도_계속)

[그림 3.2] 연구대상 건축도면(주택 부-코어 시스템 접합부 상세도_계속)

44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2. 철골코어 시스템의 내부 접합부 설계

철골코어 시스템의 구조요소에는 LHMB와 동일하게 내진 성능확보에 유리한 H형


강을 사용하였으며, 코어를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보, 기둥, 전실용 슬래브,
계단 등으로 구분하여 접합부를 설계하였음.
모듈러 주택의 기초와 연결되는 철골코어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그림 3.4]와 같이
250mm×250mm×25t 사각 철판이며, 4-M16의 J형 앵커를 사용하여 기초에 고정
하여 설계하였음. 베이스 플레이트와 기둥은 용접으로 접합됨.
철골코어 시스템의 보와 기둥은 부재별로 고장력 볼트를 이용하여 [그림 3.5]와
같이 전단마찰접합과 모멘트 접합을 이용하여 설계하였음.
철골코어 시스템의 전실용 슬래브는 [그림 3.6]과 같이 현장에서 사용되는 철근
트러스 상판을 사용하여 설계하였음. 철근트러스상판은 슬래브 거푸집과 일체화로
제작되어 모듈러 주택의 장점인 공기단축에 효과적임. 전실용 슬래브는 철근트러스
상판 연결 후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하여 별도의 접합부 없이 일체화 되는 것으로
보아, 별도의 접합부 검토는 수행하지 않았음.
철골코어의 계단은 [그림 3.7]과 같이 철골구조로 설계하였음. 설계 시 Type A와
Type B의 두가지 안을 도출하였으나, 시공성을 고려하여 Type A로 적용하였음.
계단의 접합은 시공성을 고려하여 볼트접합이 아닌 용접 접합으로 계획하였음.

제3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개발 ∙ 45


[그림 3.3] 철골코어 기준층 평면도

46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그림 3.4] 베이스 플레이트 설계 일람표

제3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개발 ∙ 47


[그림 3.5] 각 부재 접합부 일람표

48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그림 3.6] 슬래브 일람표

제3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개발 ∙ 49


[그림 3.7] 계단 일람표

50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3. PC코어 시스템의 내부 접합부 설계

3.1 PC부재 분할계획

PC부재는 공장생산 후 현장까지의 운송과 현장에서의 양중을 위하여 분할계획을


면밀하게 검토하여야 함. 이 연구에서는 모듈러 주택 부와 PC코어를 동일한 양중
장비로 양중하기 위하여, PC부재의 분할계획을 수립하였음.
이 연구에서는 [그림 3.8] 및 [표 3.4]와 같이 양중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도로 폭 및 운반 장비의 부담을 고려하여 PC부재 1개의 자중을 10ton 내외, PC
부재의 크기는 단변 기준으로 3m, 장변 기준으로 10m 이하로 계획하였음.
PC부재는 연구대상 평면을 기초로 코어를 구성하는 벽체(PW1~PW5)와 슬래브
(PS1~PS3) 및 계단 참(PS4, PS5)으로 분할하였음.
PC구조의 접합부는 분할 상세에 따라 [그림 3.9(a)]와 같은 접합부가 발생함.13)
제안된 PC코어 시스템 중 벽체+벽체, 벽체+기초 접합부는 [그림 3.9(b)]와 같이
현재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상세와 동일하게 계획하여 이 연구에서 제외하고,
[그림 3.10]과 같이 슬래브+슬래브, 벽체+슬래브 내부 접합부를 설계하였음.

[그림 3.8] PC부재 분할 계획

토지주택연구원 미래수요대응형 공동주택 건식공법 적용방안 편 구조 공동주택 구조


설계 및 시공지침 안

제3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개발 ∙ 51


[표 3.4] PC부재 일람표

구분 크기 형상

PW1 외부벽체, X방향 5.65m×3.0m×0.2m

PW2 내부벽체, X방향 2.50m×3.0m×0.2m

PW3 외부벽체, Y방향 8.83m×3.0m×0.2m

PW4 내부벽체, X방향 2.30m×3.0m×0.2m

PW5 내부벽체, Y방향 2.35m×3.0m×0.2m

PS1 슬래브 5.25m×1.84m

PS2 슬래브 5.25m×1.84m

PS3 슬래브 2.75m×2.35m

PS4 계단 참 2.20m×2.60m

PS5 계단 참 1.40m×2.60m

52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a) 접합부 위치

(b) 벽체+벽체 접합 상세

[그림 3.9] PC부재 접합부 상세

[그림 3.10] PC코어 접합부 위치

제3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개발 ∙ 53


3.2 PC코어 내부 접합부 설계

(1) 접합부 설계 횡하중 산정

PC코어 시스템 접합부의 구조설계는 모듈러 주택 부의 횡하중(풍하중, 지진하


중)을 효과적으로 저항하도록 [그림 3.11]과 같이 PCI 기준에 따라 수행하였음.
모듈러 주택의 횡하중은 슬래브를 통해 PC코어 시스템으로 전달되므로 슬래브는
횡하중을 저항하는 보 역할을 함. 실제 횡하중은 전단벽과 슬래브의 강성비에
따라 배분되나, 이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건물의 형상이 직사각형의 형상이므로
슬래브의 전단력 저항은 무시하고 횡하중이 슬래브의 각 위치에서 등분포하중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음.

(a) 슬래브 횡하중 저항 산정을 위한 구조계획(일반적 도면)

(b) 슬래브 횡하중 저항 산정 예시

[그림 3.11] PCI DESIGN HANDBOOK 예시(자료: PCI DESIGN HANDBOOK –7th)

54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위의 절차를 토대로 슬래브의 저항 하중을 산정하고 그에 따른 슬래브 접합부의
수평전단력을 산정하였음. 슬래브의 횡하중(풍하중, 지진하중) 산정결과는 다음
[표 3.5]와 같음.
부재 설계 시에는 건축구조기준에 따라 수직하중과 횡하중의 하중조합을 적용
하여 가장 불리한 하중으로 설계하는 것이 원칙이나, PC코어 시스템의 슬래브 저항의
경우 수직하중에 대한 기여는 없음. 따라서 PC코어의 슬래브의 접합부 설계는
수직하중을 0으로 가정하고 횡하중에 대하여 수행하였음.
PC코어 시스템에 작용 가능한 횡하중인 풍하중과 지진하중에 대한 계수하중을
고려하여 비교한 결과 [표 3.5]와 같이 지진하중이 크므로 지진하중에 대하여
접합부를 설계하였음.
이 연구에서는 [그림 3.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래브의 저항 하중 산정을
위하여, 산정된 지진하중이 모듈러 주택 평면 전체에 균등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건물의 폭으로 나누어 등분포하중으로 치환하였음.
연구대상 평면 코어의 편심 배치로 인하여 건축물 Y방향은 횡하중에 따른
비틀림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불리하므로, 건축물 Y방향에 대한 슬래브 저항 하중을
산정하였음. 건축물의 Y방향에 대한 PC코어 시스템 벽의 배치가 X7과 X8열에
편심으로 배치하므로 슬래브 저항은 X7과 X8에 지점을 가지는 1방향 내민보의
거동을 하게 됨을 알 수 있음.

[표 3.5] 접합부 설계 횡하중 산정

구분 층하중(최대값) 계수하중 등분포하중 선정

풍하중 110.1kN 143.1kN 4.05kN/m

지진하중 234.1kN 234.1kN 6.62kN/m ●

제3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개발 ∙ 55


[그림 3.12] 슬래브 횡방향 저항 및 전단벽체의 분포

56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정역학 이론 및 [그림 3.13]의 PCI DESIGN HANDBOOK에 의하여 건축물
X7열과 X8열의 모멘트와 전단력을 산정하면 다음 [표 3.6]과 같음.
[그림 3.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부의 벽체와 슬래브 접합부는 슬래브
저항의 모멘트에 의하여 인장과 압축이 벽체와 슬래브에 수평전단력으로 작용하
게 됨. 이 때, 상하면의 벽체가 대칭으로 위치하므로 슬래브 저항의 폭에 대하여
우력으로 작용하여 다음 (식 3.1)으로 334.8kN의 값을 얻었음.

[그림 3.13] 다이어프래임 설계 방법(자료: PCI DESIGN HANDBOOK –7th)

[표 3.6] 코어 내부 슬래브 저항 하중 산정 결과

구분 X7 X8 선정
지점반력 -773.41kN 539.31kN
전단력 -574.74kN -539.31kN ●
모멘트 2980.06kN·m

제3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개발 ∙ 57


    (3.1)

슬래브와 슬래브의 접합부는 휨/전단 이론에 의하여 다음 (식 3.2)로 수평전단력을


산정할 수 있으며 94.0kN의 값을 얻었음.

    
     
(3.2)

(2) 접합부 설계

접합부 설계하중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벽체+슬래브와 슬래브+슬래브의 접합


부를 비교하였을 경우, 벽체+슬래브의 수평전단력이 크게 발생하여 구조적으로
불리하므로 334.8kN에 대하여 [그림 3.14] 및 [그림 3.15]와 같이 접합부를
설계하였음.
1. Forces
(1) Applied Force
ㆍ Vuy = 167kN

2. Check Bearing Strength of Bolt ( Web, Shear )


(1) Design Force
ㆍ Vu = 167kN
(2) Calculate Bearing Strength of Bolt
General ( mm ) Section ( kN ) Plate ( kN )
SN x y Lc Rn Rn.MAX Lc Rn Rn.MAX
01 60.00 40.00 96.00 173 173 96.00 195 195
02 -60.00 40.00 28.00 110 173 28.00 124 195
ㆍ Rn = 1.2 Lc t Fu < 2.4 d t Fu
ㆍ øRn.SEC = 213kN
ㆍ øRn.PL = 239kN
ㆍ øRn = min( øRn.SEC , øRn.PL ) = 213kN ( Section Governing )
(3) Check Bearing Strength
ㆍ Vu / øRn = 0.788 < 1.000 → O.K
(4) Check Plate
ㆍ tpl = 9.000mm Zpl = 90,000mm³
ㆍ h g = 200mm Ag = 1,800mm²
ㆍ h e = 152mm Ae = 1,368mm²
ㆍ øVn1 = 1.00 x 0.60 Fy Ag = 297kN
ㆍ øVn2 = 0.75 x 0.60 Fu Ae = 252kN
ㆍ øVn = min( øVn1 , øVn2 ) = 252kN
ㆍ Vu / øVn = 0.663 < 1.000 → O.K

[그림 3.14] 접합부 설계 횡하중 산정

58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그림 3.15]와 같이 벽체+슬래브와 슬래브+슬래브의 접합부에는 고정앵글 및
전단플레이트를 설치하여 고장력 볼트 접합을 계획하였으며, 고정앵글과 전단
플레이트의 정착을 위하여 슬래브 내부에 정착철근을 계획하였음.

(a) 벽체+슬래브 접합상세

(b) 슬래브+슬래브 접합상세

[그림 3.15] 접합부 설계 결과

제3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개발 ∙ 59


4. 소 결

제 3장에서는 제 2장에서 제안된 모듈러 코어 시스템의 상세를 개발하기 위하여,


구조안정성 및 공기단축 성능을 확보하도록 각 코어의 특성에 맞는 내부 접합부
설계를 수행하였음.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음.

1. 제안된 코어 시스템의 상세 개발을 위하여 LH 7층 규모의 모듈러 주택 1개동을


선정하였으며, 평면유형은 26m2 type, 편복도식의 일자형태의 모듈러 주택으로
6호 조합으로 총 42세대임.

2. 철골코어 시스템은 주요 구조부재가 LHMB와 동일한 철골 라멘구조로, 현행


강구조설계기준(KDS 41 31 00 :2022)을 준용하여 접합부를 설계하였음.

3. 철골코어 시스템의 구조요소에는 LHMB와 동일하게 내진 성능확보에 유리한


H형강을 사용하였으며, 코어를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보, 기둥, 전실용
슬래브, 계단 등으로 구분하여 접합부를 설계하였음. 각 접합은 특성에 맞게
전단마찰접합과 모멘트 접합, 그리고 용접을 계획하였음.

4. PC코어 시스템은 공장 제작과 현장 조립 여건을 고려한 완전 PC공법으로


구성하고, PCI 기준(PCI DESIGN HANDBOOK)을 준용하여 PC코어 내부의
접합부를 설계하였음.

5. PC코어 시스템 접합부의 구조설계는 횡하중(풍하중, 지진하중)을 효과적으로


저항하도록 벽체+슬래브, 슬래브+슬래브를 대상으로 수행되었음. 그 결과,
각 접합부에는 고정앵글 및 전단플레이트를 이용한 고장력 볼트 접합을
설계하고, 고정앵글과 전단플레이트의 정착을 위하여 슬래브 내부에 정착철근을
계획하였음.

60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제4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검토

L AND
&HOU S I NG
I N S T I T U T E
제4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검토

1. 일반사항

이 장에서는 개발된 모듈러주택 코어 시스템의 구조안정성 검토를 위하여 범용전산


해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음.

① 모듈러 주택부와 코어 시스템 간의 접합부 상세 검토


- 연구대상 평면(7층, 6호조합, 편측코어)을 기준으로 코어 시스템의 특성에
따른 기존 LHMB 접합부 상세 검토
② 모듈러 코어 시스템 특성에 따른 구조안전성 검토
- 연구대상 평면(7층, 6호조합, 편측코어)을 기준으로 코어 시스템의 특성에
따른 모듈러 주택의 구조안전성 검토
③ 모듈러 코어 시스템 특성에 따른 확장성 검토
- 연구대상 평면(7층, 6호조합, 편측코어)을 기준으로 코어 시스템 특성에 따른 주택부
수직 및 수평 확장성 검토

1.1 해석적 연구개요

이 연구에서는 현재 공동주택의 해석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범용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해석의 신뢰성을 확보하였으며, 사용된 설계법, 규준, 사용재료, 하중조건
([표 4.1])은 다음과 같음.

① 적용 구조설계법
- 철골구조(모듈러 주택 부 및 철골코어 시스템): 하중저항계수설계법
- 철근콘크리트구조(PC코어 시스템): 강도설계법

제 4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검토 ∙ 63
② 구조설계 규준, 규격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국토교통부령 제688호, 2020. 2. 12., 일부개정)
- 건축물 설계하중 KDS 41 12 00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설계기준 KDS 14 20 62
- 콘크리트구조 설계(강도설계법) 일반사항 KDS 14 20 01
- 건축물 내진설계기준 KDS 41 17 00
- 건축물 강구조 설계기준 KDS 41 30 10
- PCI DESIGN HAND BOOK 7th(참고기준)
③ 사용재료
- 콘크리트(재령 28일 기준)
현장타설 콘크리트 :   = 24MPa
PC 콘크리트 :   = 30MPa
- 철골(KS D 3866)
건축구조용 강재 SHN355   = 325MPa 이상
- 철근(KS D 3504 SD400S)
  = 500MPa (HD13 이하), 600MPa (HD16 이상)

[표 4.1] 해석에 사용된 하중조건

구분 내용
건축구조기준 설계하중(KDS 41 12 00)에 따름
고정하중
골조의 자중과 마감재 설비 하중 등을 고려
건축구조기준 설계하중(KDS 41 12 00)에 따름
적재하중
각 실별 용도에 따라 산정
건축구조기준 설계하중(KDS 41 12 00)에 따름
풍하중
기본풍속 : 24m/s, 지반조도 : C, 중요도계수: Iw = 1.0
건축물 내진설계기준(KDS 41 17 00)에 따름
: 지역계수 S = 0.14(지진구역 Ⅱ)
: 중요도 계수 IE = 1.2
: 지반계수 S = S4 (가정)
지진하중 : 횡력저항시스템 = 건물골조시스템 - 철근콘크리트 보통전단벽
: 중간모멘트골조 상세적용 : 지하1층 기둥 ~ 지붕층 바닥
: 반응수정계수 R = 5.0(지하구조 R=3.0)
: 내진설계범주 = C
: 내진해석법 = 동적해석법

64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1.2 해석 모델링

해석에 사용된 재료의 상세 특성은 [그림 4.1]에 나타내었으며, 모델링은 제 3장에


수록된 각 코어 특성별 구조평면도를 참고하여 진행하였음.

(a) 강재(철골) (b) PC부재

(c) RC부재
[그림 4.1] 재료 상세 특성

제 4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검토 ∙ 65
(a) 개발된 코어 시스템 평면(철골코어 시스템)

(b) 평면 모델링 형상

[그림 4.2] 평면 모델링

66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2. 모듈러 주택 부와 코어 부의 접합부 상세 검토

2.1 일반사항

모듈러 주택의 횡력 저항시스템 특성상 주택 부 횡하중은 슬래브를 통하여 주


횡력 저항요소인 코어 부로 전달되므로 주택 부와 코어의 접합부 일체화가 중요함.
모듈러 주택 부 주요 구조부재는 공장에서 제작되므로 접합부 연결성능을
확보 할 수 있으나, 주택 부와 코어 부의 접합부는 각각 별개로 현장에서 조립
시공 되므로 이에 대한 설계 및 구조성능 검토가 필요함.
이 연구에서 수행한 접합부(주택 부와 코어 부)의 검토는 [그림 4.3]과 같이
LHMB에 적용된 상세를 준용하여 검증하였으며, 검증방법은 다음과 같음.
단, 제안된 코어 시스템 내부 접합부는 제 3장에서 검토하였으므로 제외함.

① 시공성을 고려한 접합부 검토


- 실제 현장 작업성 제고를 위하여 접합 작업 가능 위치 선정
② 구조안정성을 고려한 접합부 검토
- 연구대상 평면을 기준으로 코어 시스템의 특성에 따른 LHMB 접합 시스템 검토

(a) 접합부 평면 상세 (b) 접합부 단면 상세

[그림 4.3] 주택 부와 코어부 접합부 상세

제 4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검토 ∙ 67
2.2 철골코어 시스템

(1) 접합부 검토를 위한 부재력 산정

첫 번째 단계로 LHMB 접합부상세와 동일하게 코어와 세대모듈을 고정하여


해석을 수행하여 주택 부와 코어 부의 접합부 부재력을 확인하였음. 해석결과는
다음 [표 4.2] 및 [그림 4.4]와 같음.
[그림 4.4]와 같이 모듈러 주택 부의 슬래브(다이어프램)를 통해 전달되는
휨모멘트는 주택 부와 코어 부 접합부에서 우력모멘트로 전달되어 접합부에 축력
으로 작용하고, 전단력은 전단력과 편심에 의한 모멘트로 작용하게 됨.
해석결과, 접합부의 부재력은 [표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7층에서 우력에 의한
축력이 지배적이며 전단력과 모멘트는 상대적으로 작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표 4.2] 철골코어의 접합부 설계 부재력

구분 축력 전단력 모멘트

7F 81kN 22.1kN 5.8kN·m

[그림 4.4] 해석결과(축력도)

68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그림 4.4] 해석결과(전단력도_계속)

[그림 4.4] 해석결과(모멘트도_계속)

제 4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검토 ∙ 69
(2) 접합부 검토 결과

주택 부와 코어부의 접합부에는 축력, 전단력, 모멘트의 세가지 하중이 모두


동시에 작용하게 되므로, 이 연구에서는 [그림 4.5]와 같이 축력과 전단력의
합력을 산정하여 접합부를 검토하였음.
접합부의 검토는 [표 4.2]의 해석 강도를 바탕으로 LHMB 접합부에 적용된 볼트의
강도 및 플레이트의 강도를 직접 비교하였음.
[그림 4.5]와 같이 주택 부와 철골코어 시스템의 접합부 검토 결과, LHMB
접합부 볼트 및 플레이트의 강도는 철골코어 시스템에 작용하는 부재력([표 4.2])을
상회하여 안전측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음.
따라서 LHMB 접합부 상세는 이 연구에서 제안된 철골코어 시스템과 연구대상
모듈러 주택 부 접합에 적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음.

[그림 4.5] 접합부 검토 결과

70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또한, 실제 현장에서의 접합부 시공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모듈러 주택 부와
제안된 코어 시스템의 개수 및 위치를 산정한 결과, [그림 4.6]과 같이 접합부
외곽 2개소(총 4개소)를 접합부 위치로 제안하였음. (철골코어 및 PC코어시스템 동일)
접합부 제안위치는 공장에서 제작된 모듈러 주택 부의 해체를 최소화하면서
작업자의 시공성을 확보 할 수 있는 위치라 판단됨.

(a) 1차안 (b) 최종안

접합부

(c) 접합위치(평면)

[그림 4.6] 접합부 위치(철골 및 PC코어 시스템 공통)

제 4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검토 ∙ 71
2.3 PC코어 시스템

(1) 접합부 검토를 위한 부재력 산정

연구대상 주택 부와 PC코어 시스템의 접합부 검토는 2.1절의 철골코어 시스템과


동일하게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해석결과는 다음 [표 4.3] 및 [그림 4.7]과 같음.
해석결과, [그림 4.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PC코어 시스템에서도 주택 부
슬래브(다이어프램)를 통해 전달되는 휨모멘트가 접합부에서 우력 모멘트로 전달
되므로 축력으로 작용하고, 전단력은 전단력과 편심에 의한 모멘트로 작용하게 됨.
따라서 PC코어 시스템의 접합부 설계 부재력은 [표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4층
에서 우력에 의한 축력이 지배적으로 나타났으며, 전단력과 모멘트는 상대적으로
작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표 4.3] PC코어의 접합부 설계 부재력

구분 축력 전단력 모멘트
4F 239kN 25.7kN 7.2kN·m

[그림 4.7] 해석결과(축력도)

72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그림 4.7] 해석결과(전단력도_계속)

[그림 4.7] 해석결과(모멘트도_계속)

제 4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검토 ∙ 73
(2) 접합부 검토 결과

주택 부와 PC코어 시스템 접합부의 검토는 LHMB 접합부의 접합부 강도와


[표 4.3]의 부재력 비교를 통하여 이루어졌음.
[그림 4.8]의 접합부 검토 결과, LHMB 접합부 강도는 주택 부와 코어 부
접합부에 작용하는 부재력을 상회하여 안전측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음.
따라서 LHMB 접합부 상세는 PC코어 시스템에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음.

1. Forces
(1) Applied Force
ㆍ Vuy = 240kN

2. Check Bearing Strength of Bolt ( Web, Shear )


(1) Design Force
ㆍ Vu = 240kN
(2) Calculate Bearing Strength of Bolt
General ( mm ) Section ( kN ) Plate ( kN )
SN x y Lc Rn Rn.MAX Lc Rn Rn.MAX
01 100 70.00 173 260 260 173 283 283
02 -100 70.00 112 260 260 112 283 283
ㆍ Rn = 1.2 Lc t Fu < 2.4 d t Fu
ㆍ øRn.SEC = 390kN
ㆍ øRn.PL = 425kN
ㆍ øRn = min( øRn.SEC , øRn.PL ) = 390kN ( Section Governing )
(3) Check Bearing Strength
ㆍ Vu / øRn = 0.617 < 1.000 → O.K
(4) Check Plate
ㆍ tpl = 12.00mm Zpl = 607,500mm³
ㆍ hg = 450mm Ag = 5,400mm²
ㆍ he = 396mm Ae = 4,752mm²
ㆍ øVn1 = 1.00 x 0.60 Fy Ag = 891kN
ㆍ øVn2 = 0.75 x 0.60 Fu Ae = 877kN
ㆍ øVn = min( øVn1 , øVn2 ) = 877kN
ㆍ Vu / øVn = 0.274 < 1.000 → O.K

[그림 4.8] 접합부 검토 결과

74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3. 모듈러 코어 시스템 특성에 따른 구조안전성 검토

3.1 일반사항

일반적으로 구조형식에 관계없이 횡하중 저항 요소인 공동주택의 코어는 중심에


배치하거나 대칭으로 배치하여 강성과 질량의 중심이 같도록 하는 것이 가장 유리
하지만, 현장조건 및 건축계획적인 면을 고려하여 코어의 배치가 결정되는 경우가
많음. 특히 모듈러 주택은 코어의 위치에 따라 횡하중 저항성능에 큰 차이를 보여
코어의 위치가 중요함.
제 3장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연구대상 모듈러 주택의 코어위치는 편심으로
배치되어 건물 전체가 횡하중에 대하여 비틀림에 취약한 특징을 갖고 있음. 이는
코어의 중심 배치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불리함.
이에 이 연구에서는 제안된 철골코어와 PC코어 시스템을 대상으로 편심코어를
가진 연구대상 모듈러 주택의 구조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였음. 먼저 연구대상 주택을
대상으로 구조안정성 검토를 선행하여 수행 후(7층), 구조안정성을 갖춘 수평·수직의
확장 조합을 확인하였음.
수평적 확장 조합은 7층을 기준으로 구조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수평적으로 확장
가능한 모듈의 수를 확인하였으며, 수직 확장 조합은 모듈러 주택 12층에 대하여
구조안전성을 가지며 배치 가능한 수평 모듈의 수를 확인하였음.
모듈 확장시 구조안전성은 대상 부지의 풍하중과 지진하중에 대하여 검토하였으
며, 안전성 검토 기준은 지진하중에 대한 층간변형각(0.015hsx)과 최대층간변위
(H/500)로 설정하였음.

제 4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검토 ∙ 75
3.2 철골코어 시스템

(1) 연구대상 7층 해석결과

제안된 철골코어 시스템의 구조안정성 검토를 위하여 연구대상인 7층을 대상으로


전산해석을 수행하였음. 해석을 위한 모델링은 철골코어 시스템 구조 평면도에 준하여
[그림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작되었음.

[그림 4.9] 해석모델링(철골코어 7층)

[그림 4.10]은 철골코어 시스템을 적용한 모듈러 주택의 고유치를 해석한 결과임.
이 연구에서는 고유치 해석을 통하여 자유진동상태에서의 고유 특성, 고유진동수,
모드형상을 파악하여 7층 모듈러 주택의 고유 동적특성을 확인하였음.
[그림 4.10]의 고유치 해석결과 1차모드는 Y방향으로(1.3482sec), 2차모드는
X방향으로(0.787sec) 나타났음.

76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1차 모드 2차 모드 3차 모드

(a) 고유치 해석결과

(b) 해석결과 표

[그림 4.10] 고유치 해석결과(철골코어 7층-9모듈)

제 4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검토 ∙ 77
지진하중에 대한 층간변형각 전산해석결과는 [그림 4.11]에 나타내었음. 해석
결과 층간변형각은 X방향으로 0.0030, Y방향으로 0.0077로 나타나 관련 기준의
층간 허용변형각(0.015)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X-DIR Y-DIR
(a) 내진 해석결과

<X-DIR>

<Y-DIR>
(b) 해석결과 표

[그림 4.11] 내진 해석결과(철골코어 7층-9모듈)

78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그림 4.12]와 같이 내풍 변위 검토결과 최대변위가 X방향으로 3.1mm, Y방향으
로 49.9mm로 나타나 기준의 허용변위 42.0mm(H/500)를 만족하지 못함. 이는 주택
부 최외곽 세대의 외벽에서 비틀림 하중으로 인한 변위 증폭이 발생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됨. 이에 연구대상 평면에서 비틀림 거동을 줄이기 위해 주택 부 수평 모듈수를
변경하여 재 해석을 실시하였음.(기존 주택 부 9모듈(6호) → 6모듈)

X-DIR Y-DIR

(a) 내풍 해석결과

<X-DIR>

<Y-DIR>
(c) 내풍 해석결과

[그림 4.12] 내풍 해석결과(철골코어 7층-9모듈)

제 4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검토 ∙ 79
(2) 구조안정성 확보를 위한 재검토

전산해석 결과, 연구대상 평면과 동일한 주택 부 9모듈(6호)은 풍하중에 대한


허용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음. 이에, [그림 4.13]과 같이 주택 부 수평 모듈을 축소
하여 검토하였음.

[그림 4.13] 해석모델링(철골코어 7층-6모듈)

[그림 4.14]의 고유치 해석결과 1차 모드는 Y방향으로(1.1748sec), 2차 모드는


X방향으로(0.7133sec) 으로 나타났음. [그림 4.15]의 층간변형각 검토결과 최대
층간변형각은 X방향으로 0.0028, Y방향으로 0.0065로 나타나 허용변형각(0.015)을
만족하였음. 또한 [그림 4.16]의 풍하중에 대한 횡변위 검토결과 최대변위가 X방향
으로 3.7mm, Y방향으로 38.5mm로 나타나 허용변위 42.0mm(H/500)를 만족함.
위와 같은 결과로 철골코어 시스템을 적용한 연구대상 모듈러 주택은 7층의 경우
6개 모듈이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 연구대상 평면과
같이 9모듈을 적용할 경우, 주택 부 세대 최외곽에 브레이스를 추가로 설치하여
비틀림 하중을 제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됨.

80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1차 모드 2차 모드 3차 모드

(a) 고유치 해석결과

(b) 해석결과 표

[그림 4.14] 고유치 해석결과(철골코어 7층-6모듈)

제 4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검토 ∙ 81
X-DIR Y-DIR
(a) 내진 해석결과

<X-DIR>

<Y-DIR>
(b) 해석결과 표

[그림 4.15] 내진 해석결과(철골코어 7층-6모듈)

82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X-DIR Y-DIR

(a) 내풍 해석결과

<X-DIR>

<Y-DIR>

(c) 내풍 해석결과

[그림 4.16] 내풍 해석결과(철골코어 7층-6모듈)

제 4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검토 ∙ 83
(3) 철골코어 12층 해석결과

철골코어 시스템을 적용한 모듈러 주택의 수직 확장에 따른 구조안정성 검토를


수행하기 위하여 [그림 4.17]과 같이 12층을 대상으로 전산해석을 수행하였음.

[그림 4.17] 해석모델링(철골코어 12층-2모듈)

철골코어 시스템을 적용한 12층의 모듈러 주택에서는 수평으로 2모듈이 구조적


안정성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음. [그림 4.18]의 고유치 해석결과 1차 모드는 Y방향
으로(1.4318sec), 2차 모드는 X방향으로(1.3222sec)으로 나타났음. [그림 4.19]의
층간변형각 검토결과 최대 층간변형각은 X방향으로 0.0032, Y방향으로 0.0041로
나타나 허용변형각(0.015)을 만족하였음. 또한 [그림 4.20]의 풍하중에 대한 횡변
위 검토결과 최대변위가 X방향으로 29.66mm, Y방향으로 50.90mm로 나타나 허용
변위 72.0mm(H/500)를 만족함.
해석결과, 모듈러 주택의 12층은 2모듈이 구조적으로 가능하나 모듈을 추가할
경우, 모듈에 브레이스를 설치하여 구조적안정성을 확보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됨.

84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1차 모드 2차 모드 3차 모드

(a) 고유치 해석결과

(b) 해석결과 표

[그림 4.18] 고유치 해석결과(철골코어 12층-2모듈)

제 4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검토 ∙ 85
X-DIR Y-DIR
(a) 내진 해석결과

<X-DIR>

<Y-DIR>

(b) 해석결과 표

[그림 4.19] 내진 해석결과(철골코어 12층-2모듈)

86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X-DIR Y-DIR

(a) 내풍 해석결과

<X-DIR>

<Y-DIR>

(c) 내풍 해석결과

[그림 4.20] 내풍 해석결과(철골코어 12층-2모듈)

제 4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검토 ∙ 87
3.3 PC코어 시스템

(1) 연구대상 7층 해석결과

제안된 PC코어 시스템의 구조안정성 검토를 위하여 연구대상인 7층을 대상으로


전산해석을 수행하였음. 해석을 위한 모델링은 PC코어 시스템 구조 평면도에 준하여
제작되었으며, 연구대상 평면과 동일한 규모를 갖는 9모듈(6호)에 대한 해석결과는
허용 기준과 비교하여 안전 측으로 나타났음. 이에 [그림 4.21]과 같이 허용 기준을
만족할 때 까지 수평 주택 부 모듈을 확장하여 구조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수평 12
모듈(8호 조합)까지 확장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음.

[그림 4.21] 해석모델링(PC코어 7층-12모듈(확장))

[그림 4.21]은 PC코어 시스템을 적용한 모듈러 주택의 고유치를 해석한 결과임.
철골코어 시스템의 구조안정성 검토와 동일하게 고유치 해석을 통하여 7층-12모듈
(확장) 모듈러 주택의 고유 동적특성을 확인하였음.
[그림 4.22]의 고유치 해석결과 1차모드는 Y방향으로(1.1207sec), 2차모드는
X방향으로(0.526sec) 나타났음.

88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1차 모드 2차 모드 3차 모드

(a) 고유치 해석결과

(b) 해석결과 표

[그림 4.22] 고유치 해석결과(PC코어 7층-12모듈)

제 4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검토 ∙ 89
지진하중에 대한 층간변형각 전산해석결과는 [그림 4.23]에 나타내었음. 해석
결과 최대 층간변형각은 X방향으로 0.0020, Y방향으로 0.0061로 나타나 관련 기준의
층간 허용변형각(0.015)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X-DIR Y-DIR
(a) 내진 해석결과

<X-DIR>

<Y-DIR>
(b) 해석결과 표

[그림 4.23] 내진 해석결과(PC코어 7층-12모듈)

90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그림 4.24]와 같이 내풍 변위 검토 결과 최대변위가 X방향 0.94mm, Y방향
39.8mm로 나타나 기준의 허용변위 42.0mm(H/500)를 만족하였음. 이를 토대로,
연구대상 7층 모듈러 주택에 PC코어 시스템을 적용하였을 경우, 특별한 구조 보강
없이 수평으로 주택 부 모듈을 확장 할 수 있어 세대 수 확보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됨.

X-DIR Y-DIR
(a) 내풍 해석결과

<X-DIR>

<Y-DIR>
(c) 내풍 해석결과

[그림 4.24] 내풍 해석결과(PC코어 7층-12모듈)

제 4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검토 ∙ 91
(2) PC코어 12층 해석결과

PC코어 시스템을 적용한 모듈러 주택의 수직 확장에 따른 구조안정성 검토를


수행하기 위하여 [그림 4.25]와 같이 12층을 대상으로 전산해석을 수행하였음.

[그림 4.25] 해석모델링(PC코어 12층-5모듈)

PC코어 시스템을 적용한 12층의 모듈러 주택에서는 수평으로 5모듈이 구조적


안정성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음. [그림 4.26]의 고유치 해석결과, 1차 모드는 Y방향
으로(1.3851sec), 2차 모드는 X방향으로(1.0200sec) 나타났음. [그림 4.27]의 층간
변형각 검토결과, 최대 층간변형각은 X방향으로 0.0023, Y방향으로 0.0044로 나타나
허용변형각(0.015)을 만족함. 또한 [그림 4.28]의 풍하중에 대한 횡변위 검토결과
최대변위가 X방향으로 8.08mm, Y방향으로 60.99mm로 나타나 기준상의 허용변위
72.0mm(H/500)를 만족함.

92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1차 모드 2차 모드 3차 모드

(a) 고유치 해석결과

(b) 해석결과 표

[그림 4.26] 고유치 해석결과(PC코어 12층-5모듈)

제 4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검토 ∙ 93
X-DIR Y-DIR
(a) 내진 해석결과

<X-DIR>

<Y-DIR>
(b) 해석결과 표

[그림 4.27] 내진 해석결과(PC코어 12층-5모듈)

94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X-DIR Y-DIR

(a) 내풍 해석결과

<X-DIR>

<Y-DIR>

(c) 내풍 해석결과

[그림 4.28] 내풍 해석결과(PC코어 12층-5모듈)

제 4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검토 ∙ 95
3.4 제안 코어 시스템의 비교

제안된 코어 시스템의 구조해석결과를 비교하여 [표 4.4]에 나타내었음. PC코어


시스템은 철골코어 시스템에 비하여 연구대상 모듈러 주택에 적용하였을 경우, 수평
및 수직 확장성 확보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PC코어 시스템이 철골코어
시스템에 비하여 강성이 큰 것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라 판단됨.
철골코어 시스템을 모듈러 주택에 적용할 경우, 주택 부 모듈을 브레이스 등으로
보강하여 수직 및 수평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모듈러 주택의 하중
계수, 코어의 위치 등 구조적 고려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

[표 4.4] PC코어의 접합부 설계 부재력

구분 모드 층간변형각 내풍 수평 변위 비고
1차:
Y축(1.3482sec) X축:0.0030 X축:3.1mm 내풍 수평 변위
7층-9모듈
2차: Y축:0.0077 Y축:49.9mm 불만족
X축(0.787sec)
1차:
연구대상 대비
철골 Y축(1.1748sec) X축:0.0028 X축:3.7mm
7층-6모듈 수평 3모듈
코어 2차: Y축:0.0065 Y축:38.5mm
축소
X축(0.7133sec)
1차:
수직 확장에
Y축(1.4318sec) X축:0.0032 X축:29.66mm
12층 따른 수평 모듈
2차: Y축:0.0041 Y축:50.90mm
축소
X축(1.3222sec)
1차:
연구대상 대비
Y축(1.1207sec) X축:0.0020 X축:0.94mm
7층-12모듈 수평 3모듈
2차: Y축:0.0061 Y축:39.8mm
확장
PC X축(0.526sec)
코어 1차:
수직 확장에
Y축(1.3851sec) X축:0.0023 X축:8.08mm
12층-5모듈 따른 수평 모듈
2차: Y축:0.0044 Y축:60.99mm
축소
X축(1.0200sec)

96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4. 소 결

제 4장에서는 제안된 철골코어 및 PC코어 시스템의 구조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7층 규모의 모듈러 주택을 대상으로 주택 부와 코어 부의 접합부 검토, 전체 구조물의
구조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였음. 검토결과는 다음과 같음.

1. 주택 부와 코어 부의 접합부는 제안된 코어 시스템의 특성에 관계없이 기존


LHMB 접합상세를 사용하더라도 구조적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시공성 및
구조안정성을 고려하여 주택 부와 코어 부 접합 위치를 선정한 결과, 접합부
외곽 2개소(총 4개소)를 접합부 위치로 제안하였음.

2. 철골코어 시스템은 7층(9모듈)의 LHMB 모듈러 주택에 적용하였을 때, 비틀림에


영향을 크게 받아 풍하중에 대한 횡변위 허용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으나, 주택
부 세대 최외곽에 추가적인 브레이스 등의 보강을 수행한다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3. PC코어 시스템은 7층(9모듈)의 LHMB 모듈러 주택에 적용하였을 때, 코어의


강성이 커 구조안정성을 확보하고도 7층(12모듈) 조합으로 3개 모듈의 확장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음.

4. 철골코어 시스템과 PC코어 시스템의 수직 확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2층으로


수직 확장했을 때의 구조성능 검토를 수행한 결과, 철골코어 시스템은 주택 부
2개 모듈, PC코어 시스템은 5개 모듈 조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음.

제 4장 모듈러주택의 코어시스템 검토∙ 97


제5장
코어의 유형에 따른 경제성 분석

L AND
&HOU S I NG
I N S T I T U T E
제5장 코어의 유형에 따른 경제성 분석

1. 일반사항

모듈러 공동주택은 기존 RC 공동주택에 비하여 공기단축 측면에서는 우수하나,


현장여건에 따라 경제성 측면에서는 불리한 경우가 발생 할 수 있음. 모듈러 주택의
건설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기단축을 최우선으로 하되, 경제성까지 보유한 공법을
개발해야 함.
이 장에서는 이 연구에서 제안된 코어 시스템의 유형에 따른 경제성 분석을 수행
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공기단축 및 경제성을 확보한 LHMB 적용가능
코어 시스템에 대한 근거자료를 다음과 같이 마련하였음.

① 경제성 검토 방법
- 연구대상의 코어 시스템인 RC코어를 기준으로 제안된 철골코어, PC코어
시스템의 공사비를 비교
② 경제성 검토 범위
- 코어 부에 상관없이 주택 부는 LHMB의 기본상세를 적용하였으므로 공사비
산정에서 제외하고, 코어 부 만을 검토

코어의 유형에 따른 경제성 분석은 전문 견적기관에 의뢰하여 전문성을 확보하였


으며, 이 연구에서 제시된 코어의 구조평면도와 부재 일람표를 바탕으로 공사비를
산정하였음.

제5장 코어의 유형에 따른 경제성 분석 ∙ 101


2. 코어의 유형에 따른 공사비 검토

2.1 RC 코어 시스템

연구대상의 모듈러 주택의 코어는 RC 코어 시스템으로 [그림 5.1]에 나타낸 바와


같음. 검토를 위하여 [그림 5.2]에 나타난 것과 같이 RC 코어의 슬래브, 계단, 벽체,
보 일람표 등을 정리하였음.

[그림 5.1] 연구대상 기준 평면(RC 코어)

102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a) RC 코어 슬래브 상부근 배근도

(b) RC 코어 슬래브 하부근 배근도

[그림 5.2] RC 코어 부재 일람표(슬래브)

제5장 코어의 유형에 따른 경제성 분석 ∙ 103


(a) 보 일람표

(b) 벽체 일람표

[그림 5.2] RC 코어 부재 일람표(보 및 벽체_계속)

104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그림 5.2] RC 코어 부재 일람표(계단 배근도_계속)

[그림 5.3]에 나타낸 바와 같이 RC 코어 시스템의 공사비는 철근콘크리트타설,


거푸집, 철근 작업 등 현장작업을 재료비, 노무비, 경비로 구분하여 검토되었음.
7층의 모듈러 주택 RC 코어 시스템을 기준으로 재료비 68,624,224원(총 공사비의
48.2%), 노무비 73,003,053원(51.3%), 경비 734,444원(0.5%)로 총 142,361,721원이
계상되었음.
이는 연구진행 시기인 2022년 하반기를 기준으로 산정된 결과이며, 실제 현장 여건
및 공사시기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제5장 코어의 유형에 따른 경제성 분석 ∙ 105


[그림 5.3] RC 코어 시스템 공사비 검토 결과

106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2.2 철골 코어 시스템

이 연구에서 제안된 철골코어 시스템의 경제성 분석은 RC코어 시스템과 동일한


평면을 구현(7층-9모듈)하여 수행되었음. 제 4장의 구조안정성 검토 결과, 연구대상
(7층-9모듈)의 구조성능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주택 부에 철골 브레이스를 보강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이에 [그림 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택 부 최 외곽 벽체
부분에 철골 브레이스를 추가하였으며, 공사비 산정 시 추가적인 철골 브레이스의 물
량을 고려하여 반영하였음.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주택 부에 대한 공사비 산정은 수행하지 않았으므로 철골
브레이스의 추가적인 부대비용(노무비, 경비)등은 고려되지 않았음.
철골코어 시스템의 경제성 분석을 위한 철골코어 시스템의 슬래브, 계단, 벽체, 보
일람은 제 3장에 기술한 바와 같음.

[그림 5.4] 철골코어 시스템 골구도

제5장 코어의 유형에 따른 경제성 분석 ∙ 107


이 연구에서 제안된 철골코어 시스템은 강재로 이루어진 보-기둥과 철근트러스
상판을 이용한 슬래브로 구성되어 있어, [그림 5.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골공사와
철근콘크리트공사로 구분하여 공사비 검토를 수행하였음.
철골코어 시스템의 공사비는 RC 코어 시스템의 공사비와 동일하게 각 공사에 대하
여 재료비, 노무비, 경비로 구분하여 검토되었음.
7층의 모듈러 공동주택 철골 코어 시스템을 기준으로 철공공사의 경우 재료비
83,198,302원(총 공사비의 59%), 노무비 47,373,356원(33%), 경비 11,483,495원
(8%)로 총 142,055,153원이 계상되었음.
철골코어의 슬래브인 철근트러스상판 공사는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기준으로 재료
비 16,523,189원(총 공사비의 81%), 노무비 3,614,469원(18%), 경비 287,082원(1%)
로 총 20,424,740원이 계상되었음.
철골코어의 총공사비를 분석한 결과, 재료비 99,721,491원(총 공사비의 61%),
노무비 50,987,825원(31%), 경비 11,770,577원(7%)로 총 162,479,893원이 계상되었음.
이는 연구진행 시기인 2022년 하반기를 기준으로 산정된 결과이며, 실제 현장 여건
및 공사시기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108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그림 5.5] 철골코어 시스템 공사비 검토결과(철골공사)

제5장 코어의 유형에 따른 경제성 분석 ∙ 109


[그림 5.5] 철골코어 시스템 공사비 검토결과(콘크리트공사_계속)

110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2.3 PC 코어 시스템

제안된 PC 코어 시스템은 일반적인 현장타설 공법이 수반되는 Half PC공법이 아닌


완전 PC공법으로 제안되었음. 이에 PC 코어 시스템의 공사비는 PC 부재 공사비 외에
이 연구에서 제안된 PC 코어 내부 접합상세에 따라 공사비가 산정되었음.
현재 일반적인 PC건축물의 공사비는 철근콘크리트 공사와는 달리 콘크리트 m3 당
단가를 기준으로 산정하고 있어, 이 연구에서도 이를 준용함.
경제성 분석에 사용된 PC코어 시스템의 평면도와 추가적인 코어 내부 접합상세 등의
일람은 제 3장에 기술한 바와 같음.
[그림 5.6]에 나타낸 바와 같이 PC 코어 시스템의 공사비는 7층을 기준으로 재료비
304,200,000원(총 공사비의 34%), 노무비 409,500,000원(46%), 경비 182,520,000원
(20%)로 총 896,220,000원이 계상되었음.
이는 연구진행 시기인 2022년 하반기를 기준으로 산정된 결과이며, 실제 현장 여건
및 공사시기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제5장 코어의 유형에 따른 경제성 분석 ∙ 111


[그림 5.6] PC 코어 시스템 공사비 검토 결과

112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3. 코어의 유형에 따른 경제성 비교

이 장에서 수행된 RC코어, 철골코어, PC코어 시스템의 경제성 비교를 통하여 구조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경제성이 있는 모듈러 공동주택의 코어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표 5.1] 및 [표 5.2]에 총 공사비 및 항목별 공사비를 비교하였음.
[표 5.1]의 총 공사비 비교 분석결과 RC코어 시스템이 가장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RC코어 시스템 대비 철골코어 시스템의 경우 1.14배, PC코어 시스템의 경우 6.3배의 총
공사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표 5.2]의 각 항목별 비교를 통하여 철골코어 시스템은 철골공사의 재료비 및 경비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 대하여 RC코어 시스템 대비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철강재의
가격에 따라 향후 경제성이 확보 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음.
PC코어 시스템은 모든 항목에서 RC코어 시스템 대비 경제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경비 부분에서 큰 차이를 보였음. PC코어 시스템의 공사비 항목 중 경비는 운반비, PC
Shop 등의 부대비용이 포함된 비용임.
PC부재의 단가는 PC부재 제작을 위한 거푸집 비용, PC부재 개구부의 유무에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PC부재의 물량 및 표준화에 따라 공사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일반적으로 PC 공법 적용 시 PC부재의 표준화를 통하여 개별 부재별 비용을 최소화
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이번 연구에서는 1개동의 코어 부만을 검토함으로써
PC부재의 물량 및 표준화가 극히 제한되어 PC공법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조건으로
이러한 결과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됨.
모듈러 주택의 건설 활성화를 통하여 PC 코어의 표준화 도서가 확정되고 지속적인
거푸집의 재사용이 가능할 경우 경제성 저하는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경제성 상승효과는 현장 및 기타 여건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므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제5장 코어의 유형에 따른 경제성 분석 ∙ 113


[표 5.1] 코어의 유형에 따른 총 공사비 비교 (단위: 천원)

RC대비
구분 품명 재료비 노무비 경비 합계
비교
68,624 73,003 734 142,361
RC코어 RC공사 1
(48.2%) (51.3%) (0.5%) (100%)
83,198 47,373 11,483 142,055
철골공사 0.99
(59%) (33%) (8%) (100%)
16,523 3,614 287 20,424
철골코어 RC공사 0.14
(81%) (18%) (1%) (100%)
99,721 50,987 11,770 162,479
소계 1.14
(61%) (31%) (7%) (100%)
304,200 409,500 182,520 896,220
PC코어 PC공사 6.3
(34%) (46%) (20%) (100%)

[표 5.2] 코어의 유형에 따른 항목별 비교 (단위: 천원)

RC대비 RC대비 RC대비


구분 품명 재료비 노무비 경비
비교 비교 비교
68,624 73,003 734
RC코어 RC공사 1 1 1
(48.2%) (51.3%) (0.5%)
83,198 47,373 11,483
철골공사 1.21 0.65 15.64
(59%) (33%) (8%)
16,523 3,614 287
철골코어 RC공사 0.24 0.05 0.39
(81%) (18%) (1%)
99,721 50,987 11,770
소계 1.45 0.70 16.04
(61%) (31%) (7%)
304,200 409,500 182,520
PC코어 PC공사 4.43 5.61 248.6
(34%) (46%) (20%)

114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4. LHMB 코어 시스템 제언

4.1 구조적 측면

철골 및 PC코어 시스템은 12층 이하의 중·저층 LHMB 모듈러 주택에 적용하고자


제안되었으며, 7층 규모의 편심코어를 모듈러 주택을 대상으로 주택 부와 코어 부의
접합부 검토, 전체 구조물의 구조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였음.
제안된 철골코어 시스템은 LHMB와 동일한 강재 및 볼트 접합으로 구성되어 시공
범용성 및 공기단축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철골코어의 계단실 및 전실에도
기존의 철근트러스상판을 이용하여 구조적 안정성과 공기단축의 효과를 기대하였음.
PC코어 시스템은 코어를 구성하는 PC부재의 효과적인 분할 계획을 통하여 공장
제작과 운반의 편의성을 제고하였으며, 현장에서의 크레인 양중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음. 또한 PCI Design Handbook을 준용하여 PC부재의 접합부
상세를 제안하여 구조적인 안정성 및 시공성을 제고하였으며, 주택 부와 PC코어 부의
접합은 기존 LHMB 접합상세를 사용하여도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음.
제안된 코어 시스템을 적용한 7층 규모의 모듈러 주택의 구조안전성 검토 결과,
철골코어 시스템은 주택 부에 추가적인 브레이스 보강을 통하여 구조안정성을 만
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C코어 시스템은 연구대상의 구조성능 만족시킴과 동
시에 수평(12모듈)로 확장 가능함을 확인하였음.
철골코어 시스템과 PC코어 시스템의 수직 확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2층으로
수직 확장했을 때의 구조성능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주택 부 모듈의 수평
조합은 철골코어 시스템의 경우 2 모듈, PC코어 시스템의 경우 5모듈 조합이 가능
한 것으로 나타났음.
제안된 코어 시스템의 수직 확장은 주택 부에 추가적인 브레이스를 보강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통하여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모듈러 주택의 형태,
하중특성(지반, 위치에 따른 하중계수 등), 코어의 위치를 반영한 명확한 구조설계에
의하여 진행되어야 함.

제5장 코어의 유형에 따른 경제성 분석 ∙ 115


4.2 경제성 측면

이 연구에서 제안 및 개발된 철골코어와 PC코어 시스템은 기존 LH모듈러 주택인


LHMB에 적용되어 구조적 안정성 및 공기단축 효과를 제고할 수 있으나, 기존 RC코어에
비하여 경제성 측면에서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음.
철골코어 시스템은 RC코어 시스템에 비하여 강재를 사용하므로 재료비가 비싼 것으로
확인되어 재료비 외 노무비와 경비 부분의 절감을 통하여 경제성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모듈러 주택 부 제작 업체에서 철골코어 시스템을 함께 제작한다면
시공성과 함께 경제성 부분에서도 효과를 보일 것으로 판단됨.
PC코어 시스템은 공장생산으로 인하여 거푸집 비용이 크게 발생하나, 거푸집 개발을
통하여 거푸집 재사용율을 높인다면 제작 단가가 낮아질 것으로 판단됨. 또한 PC코어 전
용 평면을 개발하여 PC부재의 규격화를 모색한다면 제작 및 운송비 단가가 낮아질 것으
로 예상됨.
PC코어 시스템의 장기적인 경제성 확보를 위해서는 PC부재를 생산하는 거푸집 및
주요자재를 지급자재로 제공하고 연간 발주 물량을 확정하여 PC업체와의 업무협력
(MOU)과 연간단위 계약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함.
현재 모듈러 주택의 코어는 RC코어가 대부분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된 철골코어와 PC
코어 시스템의 경제성 향상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한다면 구조적 안정성 및 시공성,
그리고 경제성을 확보한 중·저층 모듈러 주택의 코어시스템으로 널리 사용될 것으로
판단됨.

116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5. 소결

제 5장에서는 이 연구에서 제안된 코어 시스템의 유형에 따른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공기단축 및 경제성을 확보한 LHMB적용
가능 최적 코어 시스템에 대한 근거 자료를 마련하였음.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음.

1. 총 공사비 비교 분석결과 RC코어 시스템이 가장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철골코어 시스템의 경우 1.14배, PC코어 시스템의 경우 6.3배의 총 공사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2. 각 항목별 비교를 통하여 철골코어 시스템은 철골공사의 재료비 및 경비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 대하여 RC코어 시스템 대비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철강재의 가격에 따라 향후 경제성이 확보 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음.

3. PC코어 시스템은 모든 항목에서 RC코어 시스템 대비 경제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경비 부분에서 큰 차이를 보였음. 이는 PC부재 제작을 위한 거푸집 비용,
운반비, 현장 조립비 등이 반영된 결과이며, 특히 PC부재의 물량 및 표준화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됨.

4. 일반적으로 PC 공법 적용 시 PC부재의 표준화를 통하여 개별 부재별 비용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이번 연구에서는 1개동의 코어 부만을
검토함으로써 PC부재의 물량 및 표준화가 극히 제한되어 PC공법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조건으로 이러한 결과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됨.

제5장 코어의 유형에 따른 경제성 분석 ∙ 117


결론
제6장

L AND
&HOU S I NG
I N S T I T U T E
제6장 결론

이 연구에서는 12층 미만의 중·저층의 LHMB 모듈러 주택의 건설 활성화를 위한 코어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주요 연구내용은 모듈러 주택의 코어시스템 사례 분석, 모듈러
주택의 코어 시스템 제안, 제안된 코어 시스템의 구조안정성 검토, 개발된 코어시스템의
경제성 분석 등임.
모듈러 주택의 코어 시스템 분석은 국내외 사례 등을 조사하여 얻었으며, 모듈러 주택의
코어 시스템은 관련 기준 및 법령에 준하여 철골코어와 PC코어 시스템으로 제안되었음.
각 코어 시스템의 구조안정성 검토는 수치 및 전산해석을 이용하여 코어 시스템 내부
접합부 상세 개발, 주택 부와 코어 부 접합부 상세 검토, 제안된 코어를 적용한 7층
규모 모듈러 주택의 구조안정성 및 확장성 검토 등을 수행하여 이루어졌음.
또한, 각 코어의 적용을 통한 모듈러 주택의 건설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RC코어 시스템과 제안된 코어 시스템의 공사비 검토를 통한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였음.
이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음.

1) 모듈러 주택의 특성 및 코어 시스템 제안

1. 국내외 사례를 조사한 결과, 모듈러 공법은 주거뿐만 아니라 비주거 부분까지
확대 적용중이며, 특히 국외에서는 모듈러의 고층화 기술개발 및 장스팬화 등을
적용하여 저층에서 초고층까지 다양한 종류로 모듈러 주택을 건설중임. 현행
코어 시스템은 RC코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철골코어, 하이브리드 시스템,
PC코어 등의 활성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임.

2. 시공성 및 구조안정성을 갖춘 LHMB 적용 가능 최적 코어 시스템의 제안을


위하여 지진력 저항시스템은 현행 구조기준을 반영한 건물골조 시스템, 이중
골조시스템, 철근콘크리트 보통 전단벽-골조 상호작용 시스템을 선정하였음.

제6장 결론 ∙121
3. 이 연구에서는 선정된 LHMB의 지진력 저항시스템을 만족시키면서 구조
안정성 및 공기 단축에 유리한 모듈러 코어 시스템을 제안하였음. 제안된
코어 시스템은 철골코어, PC코어 시스템으로, 모두 공장생산이 가능하여 구조
안정성 및 공기단축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2) 모듈러 주택의 코어 시스템 상세 제안

1. 철골코어 시스템은 LHMB와 동일하게 내진 성능확보에 유리한 H형강을


사용하였으며, 코어를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보, 기둥, 전실용 슬래브,
계단 등으로 구분하여 부재 및 접합부를 설계하였음. 각 접합은 특성에
맞게 전단마찰접합과 모멘트 접합, 그리고 용접으로 계획하였음.

2. PC코어 시스템은 공장 제작과 현장 조립 여건을 고려한 완전 PC공법으로


분할 및 양중계획을 수립함. PC코어 내부 접합부(벽체+슬래브, 슬래브+슬래브)의
구조설계는 PCI 기준을 준용하였으며, 각 접합부에는 고정앵글 및 전단플레이트를
이용한 고장력 볼트 접합을 설계하고, 고정앵글과 전단플레이트의 정착을 위하여
슬래브 내부에 정착철근을 계획하였음.

3) 모듈러 주택의 코어 시스템 구조안정성 검토

1. 구조안정성 검토결과, LHMB 주택 부와 제안된 코어 부의 접합부는 기존


LHMB 접합상세를 사용하더라도 구조적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시공성 및
구조안정성을 고려하여 주택 부와 코어 부 접합 위치를 선정한 결과, 접합부
외곽 2개소(총 4개소)를 접합부 위치로 제안하였음.

2. 철골코어 시스템은 7층(9모듈)의 LHMB 모듈러 주택에 적용하였을 때, 비틀림에


영향을 크게 받아 풍하중에 대한 횡변위 허용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으나,
주택 부 모듈의 축소로 구조안정성 확보가 가능하였음. 제안된 철골코어 시스템은

122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모듈러 주택 특성에 맞추어 주택 부에 추가적인 브레이스 등의 보강을 수행한
다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3. PC코어 시스템은 7층(9모듈)의 LHMB 모듈러 주택에 적용하였을 때, 코어의


강성이 커 구조안정성을 확보하고도 7층(12모듈) 조합으로 3개 모듈의 확장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음.

4. 철골코어 시스템과 PC코어 시스템의 12층의 수직 확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성능 검토를 수행한 결과, 철골코어 시스템은 주택 부 2개 모듈, PC코어
시스템은 5개 모듈 조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음. 향후 모듈러 주택의 특성에
맞추어 주택 부에 구조적 보강을 수행한다면 제안된 코어 시스템을 활용하고도
수직 및 수평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4) 코어시스템의 유형에 따른 경제성 분석

1. 연구대상의 RC코어, 제안된 철골코어, PC코어의 총 공사비의 비교 분석결과,


RC코어 시스템이 가장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RC코어 시스템 대비
철골코어 시스템의 경우 1.14배, PC코어 시스템의 경우 6.3배의 총 공사비가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2. 각 항목별 비교를 통하여 철골코어 시스템은 철골공사의 재료비 및 경비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 대하여 RC코어 시스템 대비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철강재의 가격에 따라 향후 경제성이 확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되며, 모듈러 주택 부 제작업체에서 철골코어 시스템을 함께 제작한다면
경제성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3. PC코어 시스템은 모든 항목에서 RC코어 시스템 대비 경제성이 낮게 나타났음.


이는 PC부재 제작을 위한 거푸집 비용, 운반비, 현장 조립비 등이 반영된

제6장 결론 ∙123
결과이며, 특히 PC부재의 물량 및 표준화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됨.

4. 일반적으로 PC 공법 적용 시 PC부재의 표준화를 통하여 개별 부재별


비용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이번 연구에서는 1개동의
코어 부만을 검토함으로써 PC부재의 물량 및 표준화가 극히 제한되어 PC
공법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조건으로 이러한 결과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됨.

5. 이 연구에서 제안된 PC코어 시스템은 모듈러 주택의 건설 활성화를 통하여 표준화


도서가 확정되고 지속적인 거푸집의 재사용이 가능할 경우 경제성 저하는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경제성 상승효과는 현장 및 기타 여건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므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124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참고문헌

L AND
&HOU S I NG
I N S T I T U T E
참고문헌

Precast/Prestressed Concrete Institute(PCI)(2010), PCI Design Handbook 7th


유일한 외(2011), 전문건설업 발전을 위한 공업화건축 활성화 방안, 대한건설정책
연구원
McKinsey&Company(2017), Reinventing Construction: A Route to Higher
Productivity
김진구 외(2018) 접합부 강성을 고려한 합성 모듈러 시스템의 내진 성능평가,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이강민 외(2018), 모듈러 구조시스템 내부 접합부의 강축 및 약축 방향에 대한 실험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천영수 외(2018) 공동주택형 LH모듈러 구조시스템 개발, LH토지주택연구원
손정락 외(2019), 모듈러주택 공정관리 표준화기법 발굴에 관한 연구, LH토지
주택연구원
이범식 외(2019),미래수요대응형 LH 공동주택 건식공법 적용방안 1편: LH PC구조
공동주택 구조 설계 및 시공지침(안), LH토지주택연구원
국가건설기준센터(2019), 국가건설기준 구조설계기준(KDS 14), 국토교통부
국가건설기준센터(2019), 국가건설기준 표준시방서(KCS 14), 국토교통부
SH도시연구원(2019), 도시 속 새로운 집, 모듈러 새로운 주택의 미래로 실현되다,
SH서울주택도시공사
Singhal et. al(2019), Precast reinforced concrete shear walls: State of the
art review, Structural Concrete
이상섭 외(202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전단 벽체 수평 접합부의 이력 거동, 대한
건축학회논문집
김동건 외(2020), 모듈러 구조의 중고층화를 위한 거대가새의 횡력저항 성능평가,
대한건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참고문헌∙ 127
송상훈 외(2020), 모듈러주택 최적 발주방식 및 발주업무 지침 마련, LH토지주택연
구원
천영수 외(2020), LH형 모듈러주택의 모델개발 및 품질확보 방안 연구, LH토지주
택연구원
이정윤(2020), KDS-2020 국가건설기준 철근콘크리트구조, 동화기술
이지은 외(2021), 가족구성 변화를 고려한 가변형 모듈러 주택모델 연구, LH토지주
택연구원
국토안전원(2021), ‘기존 시설물(건축물) 내진성능 평가 및 향상 요령(개정)’ 국
토교통부
송상훈 외(2022), 모듈러주택 공사비 특성 분석 및 내역체계 수립 , LH토지주택연
구원
이지은 외(2022), 재난지원을 위한 모듈러주택 사업모델 연구, LH토지주택연구원
전명훈 외(2022), 모듈러주택 수선 및 유지관리 매뉴얼 개발, LH토지주택연구원
부윤섭 외(2022), 중고층 모듈러 공공주택 실증사업 추진현황, 대한건축학회 학술
대회 논문집
국가건설기준센터(2022), 건축물 설계하중(KDS 41 12 00), 국토교통부
국가건설기준센터(202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설계기준 (KDS 14 20 62), 국토교통부
국가건설기준센터(2022), 콘크리트구조 설계(강도설계법) 일반사항 (KDS 14 20 01), 국
토교통부
국가건설기준센터(2022), 건축물 내진설계기준 (KDS 41 17 00), 국토교통부
국가건설기준센터(2022), 건축물 강구조 설계기준 (KDS 41 30 10), 국토교통부
경기주택도시공사 외, 용인영덕 모듈러 주택 상품 품평회 자료, 2022
조봉호(2022), Smart Construction Day 2022 with 국제모듈러포럼, e대한경제 외
HTA 모듈러, https://www.hta.co.uk/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law.go.kr/
포스코 A&C, https://www.poscoanc.com/kr
narchitects, https://narchitects.com/work/carmel-place/

128 ∙ 모듈러주택 건설활성화를 위한 구조시스템 및 코어공법 개발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