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설계 실습 9.

LPF 와 HPF 설계
전자전기공학부 20186928 박준서

제출날짜 2021.11.07

요약: 커패시터로 RC 직렬 LPF 를 설계하고, RC 회로의 파형에서 주파수가 10kHz 일 때 입력 전압은


V 출력
1.04V, 출력전압은 888mV, 저항 전압은 116mV 가 나온다. 의 측정값은 0.885 고 이론값은 0.875
V 입력
로으로 1.14%의 작은 오차를 보여줘 비교적 실험이 잘 됬다. XY 모드로 파형을 관찰하였을 때
기울어진 타원 모양의 파형이 보였다. LPF 에 입력정현파의 주파수를 100kHz 까지 변화시켰을 때
측정값과 이론값은 5%이내의 작은 값을 보여서 실험이 잘 되었고, 높은 주파수에서 손실되는
전압때문에 측정값과 이론값의 오차가 커진다. linear(H)-log(주파수) 그래프에서 주파수가 커질수록
주파수 응답이 작아지는 형태를 볼 수 있었다. 인덕터로 RL 직렬 HPF 를 설계하고, RL 회로의
V 출력
파형에서 주파수가 10kHz 일 때 입력 전압은 1.03V 고, 의 측정값은 0.501V 고 이론값은 0.508V
V 입력
로 2.94%의 작은 오차율을 보였다. XY 모드로 파형을 관찰하였을 때 기울어진 타원 모양의 파형이
나타났다. HPF 에 입력정현파의 주파수를 100kHz 까지 변화시켰을 때 오차율은 평균적으로 8.472%
의 큰 오차율이 나왔고, 낮은 주파수에서 노이즈가 발생하여 측정값과 이론값의 오차가 매우 크게
나왔다. linear(H)-log(주파수) 그래프에서 주파수가 커질수록 주파수 응답이 커지는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실습에서는 실제 LPF 와 HPF 가 주파수에 따라 값이 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그것을
이용하면 유용하게 쓸 수 있다는 생각을 하였다. 그리고 HPF 에서 매우 큰 오차가 나와서 완벽히 잘
된 시험이라고 하기 어려울 것 같다.

1. 서론
이번 실험은 RC, RL 회로를 설계하여 주파수를 확인하는 실험이다. LFP 나 HFP 의 설계는 원하는
주파수를 얻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번실험은

1. LPF 와 HPF 를 설계한다.

2. RC 회로의 파형을 확인한다.

3. RC 회로에서 주파수를 변화시켜 파형을 확인한다.

4. RL 회로의 파형을 확인한다.

5. RL 회로에서 주파수를 변화시켜 파형을 확인한다.

이 순서로 진행되었다.

2. 설계실습 결과
2.1

실험계획서에서 설계한 LPF, HPF 를 조교에게 확인받을 것.


LPF 와 HPF 회로를 설계했다.

2.2

(LPF) 가변저항을 설계한 저항으로 조절하라. 설계한 대로 RC 직렬 LPF 를 구성하고 주파수가 10


kHz 이고 Vpp 가 1 V 인 사인파를 인가하라. LPF 입력 전압, R 의 전압(출력)의 파 형을 측정,
제출하라. 가능한 한 정확하게 크기와 위상을 표시하라. LPF 입력 전압과 출력전압을 XY mode 로
관찰하여 파형을 그려라. 이론치와 계산치의 오차(%)는 얼마인가? 그 이유는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XY mode 로 관찰한 파형 저장, 제출하고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라.

주파수가 10 kHz 이고 Vpp 가 1 V 인 사인파를


인가하였을 때 LPF 입력 전압과 저항의 출력 전압 파형은 위 그림과 같다. CH1 은 Function generator,
CH2 는 커패시터, MATH 는 CH1-CH2 로 저항전압이다.

실험에서 오실로스코프의 측정갑은 입력전압 1.04V, 출력전압 888mv, 저항전압은 116mv 가 나온다.
위 사진의 파형은 XY 모드로 관찰한 파형이다. 위상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ϕ 만큼 기울어진 타원
형태의 파형이 나온다. 만약 위상차가 나지 않았다면 타원 모양의 파형이 나왔을 것이다.

V 출력
측정값의 을 구해 보면 0.885 가 나오고, 이론값은
V 입력

| |
| |
V 출력 1 1
= = =0.875
V 입력 1+ j ωRC 2 ∙ π ∙10 4 이 나와야 한다. 오차율은 1.14%가 나오게 된다.
1+ j 5
1.132 ∙10
오차가 발생한 이유로는 회로에 많은 선이 연결되어서 노이즈가 발생하였고, 오실로스코프의
측정값이 일정하지 않고 계속 변하였기 때문이다.

2.3 RC 회로의 파형

1 Vpp 인 입력정현파의 주파수를 100 kHz 까지 변화시키면서 그래프를 그릴 수 있도록 LPF 의


출력전압의 최대값을 측정하여 기록하라. LPF 의 출력전압의 크기를 주파수의 함 수로 하여
linear(H)-log(주파수) 그래프로 그려서 제출하라. 같은 그래프에 실험에 사용된 소자의 값으로
계산한 계산치도 같이 그려라(EXCEL 사용). 잘 맞는가? 오차가 있으면 어느 주파수에서 어느
정도인가? 그 이유는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주파수(kHz) 이론값(mV) 측정값(mV) 오차율(%)


1 999.98 1007 0.702
5 957.20 1000 4.471
8 914.30 936 2.373
10 855.70 888 3.775
15 740.67 752 1.530
20 637.72 640 0.358
30 482.73 496 2.749
40 382.05 392 2.604
50 314.00 312 0.637
60 265.69 264 0.636
70 229.90 240 4.762
80 202.42 200 1.196
90 183.72 192 4.507
100 163.15 168 2.973

LPF 주파수

1200
1000
800
600
400
200
0
1 5 8 10 15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이론값 (mV) 측정값 (mV)

주파수 별로 출력전압의 최대값을 측정하면 위의 표의 값이 나오게 된다. 이 값들을 출력전압의


최대값의 이론값과 비교하여 오차를 구하면, 모든 주파수에서 오차율이 5%미만으로 나오는 것이
확인된다. 그리고 주파수가 커지면서 오차가 커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주파수가 커지면서 도체
내부의 손실전압이 커져서 전달되는 전압의 값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그 아래 그래프는 LPF 의
출력전압의 최대값의 크기를 주파수의 함수로 하여 그린 linear(H)-log(주파수) 그래프이다. 그래프를
보면 이론값과 측정값이 거의 일치하며 낮은 오차율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2.4RL 회로의 파형

(HPF) 가변저항을 설계한 저항으로 조절하라. 설계한 대로 RL 직렬 HPF 를 구성하고 주 파수가 10


kHz 이고 Vpp 가 1 V 인 사인파를 인가하라. HPF 입력 전압, R 의 전압(출력)의 파형을 측정,
제출하라. 가능한 한 정확하게 크기와 위상을 표시하라. HPF 입력 전압과 출력전압을 XY mode 로
관찰하여 파형을 그려라. 이론치와 계산치의 오차(%)는 얼마인 가? 그 이유는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XY mode 로 관찰한 파형 저장, 제출하고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라.
주파수가 10 kHz 이고 Vpp 가 1 V 인 사인파를 인가하였을 때 HPF 입력 전압과 저항의 출력 전압
파형은 위 그림과 같다. CH1 은 Function generator, CH2 는 인덕터, MATH 는 CH1-CH2 로
저항전압이다. 실험에서 오실로스코프의 측정갑은 입력전압 1.03V 가 나온다. 이론값은

| |
V 출력 1
= =0.508
V 입력 R 이고 측정값은 0.501V 이기 때문에 오차가 2.94%를 갖는다. 오차가
1+ j
ωL
발생한 원인은 노이즈가 발생하였고, 오실로스코프의 측정값이 일정하지 않고 계속 변하였기
때문이다.

위 사진의 파형은 XY 모드로 관찰한 파형이다. 위상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ϕ 만큼 기울어진 타원


형태의 파형이 나온다

2.5RL 회로의 파형
Vpp 가 1 V 인 입력정현파의 주파수를 100 kHz 까지 변화시키면서 그래프를 그릴 수 있 도록 HPF 의
출력전압의 최대값을 측정하여 기록하라. HPF 의 출력전압의 크기를 주파수의 함수로 하여
linear(H)-log(주파수) 그래프로 그려서 제출하라. 같은 그래프에 실험에 사용된 소자의 값으로
계산한 계산치도 같이 그려라(EXCEL 사용). 잘 맞는가? 오차가 있으면 어느 주파수에서 어느
정도인가? 그 이유는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L 의 저항성분을 무시한다면 설계와 실험사이에 어느
정도의 오차가 날 것인가?

주파수(kHz) 이론값(mV) 측정값(mV) 오차율(%)


1 67.60 72 6.509
3 210.70 168 25.417
5 338.07 272 20.265
10 583.47 488 19.543
15 733.80 640 12.783
20 820.79 744 9.355
30 907.12 880 2.990
40 944.44 944 0.047
50 963.69 984 2.108
60 974.05 1000 2.664
70 980.48 1020 3.012
80 985.40 1030 4.526
90 987.82 1030 4.270
100 989.28 1040 5.127

HPF 주파수
1200

1000

800

600

400

200

0
1 3 5 10 15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이론값 (mV) 측정값 (mV)

위의 표를 보면 20kHz 보다 작은 낮은 주파수에서 약 25%까지 커지는 매우 큰 오차율을 볼 수 있다.


이것의 이유는 주파수가 낮으면 노이즈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래프에서 우리는 주파수의
크기가 커지면 출력전압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인덕터의 L 값은 주파수에 따라 변해서
측정할 때 다른 주파수를 쓰게 되면 이론값도 달라져 오차가 발생된다. 그리고 인덕터의 저항성분을
무시하게 되면 오차가 줄어들 것이다.

3. 결론
커패시터를 이용해 RC 직렬 LPF 를 설계하였다. 주파수가 10kHz 이고 Vpp 가 1V 인 사인파를
인가하게 되면, RC 회로의 파형에서 입력 전압은 1.04V 이고, 출력전압은 888mV 이며, 저항 전압은
V 출력
116mV 가 나오게 된다. 의 측정값은 0.885 가 나오고 이것은 이론값인 0.875 와 비교하면 1.14%
V 입력
의 작은 오차를 보였다. 이것은 회로에서 노이즈가 발생하였고, 오실로스코프의 측정값이 일정하지
않고 변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XY 모드로 파형을 관찰하였을 때 커패시터 전압이 전원전압보다
늦게 되어 XY 모드로 파형을 확인하면 기울어진 모양의 타원의 파형을 확인할 수 있다.

LPF 에서 입력정현파의 주파수를 100kHz 까지 변화시키며 측정값을 구하면, 모든 측정값의 오차는


이론값과 5%미만으로 작은 오차가 나왔다. 그리고 높은 주파수에서는 상대적으로 오차가 크게
나왔다. 이것은 주파수가 커지면서 손실전압이 커져서 전달되는 전압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linear(H)-log(주파수) 그래프에서 주파수가 커질수록 전압이 작아지는 형태를 확인했다.

인덕터를 이용해 RL 직렬 HPF 를 설계하였다. 주파수가 10kHz 이고 Vpp 가 1V 인 사인파를 인가하게


V 출력
되면, RL 회로의 파형에서 입력 전압은 1.03V 이되고, 의 측정값은 0.501V 가 나오고 이것은
V 입력
이론값인 0.508V 와 비교하면 2.94%의 작은 오차를 보였다. 오차는 노이즈가 발생하였고,
오실로스코프의 측정값이 계속 변하여서 발생하였다. XY 모드로 파형을 하면 기울어진 타원 모양의
파형이 나온다. 기울어진 만큼 위상차가 생겨 인덕터 전압이 전원전압보다 빠르게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HPF 에서 입력정현파의 주파수를 100kHz 까지 변화시키며 측정값을 구하여 이론값과 비교해보면,


평균 8.472%의 큰 오차가 나온다. 낮은 주파수에서는 25.417%의 큰 오차율까지 나오는데, 이것은
주파수가 낮으면 노이즈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linear(H)-log(주파수) 그래프에서 주파수가
커질수록 전압이 커지는 형태를 확인했다. 인덕터의 값은 주파수에따라 변하기 때문에 측정할 때
다른 주파수를 쓰게 되면 이론값도 달라져 오차가 발생할 것이다. 그리고 인덕터의 저항성분을
무시하게 되면 오차가 줄어들 것이다.

이번 실험을 통해 LPF, HPF 이 주파수에 따라 값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것을


이용하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커패시터와 인덕터의 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성질을 알아불 수 있었다. 그리고 LPF 에서는 전반적으로 작은 오차가 나왔지만, HPF 에서는 큰
오차가 나와 완벽히 잘 된 시험은 아닌 것 같다.

4.감사의 글

비대면 상황에서도 실습을 진행해주신 교수님과 조교님께 감사드립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