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보도일시 2017. 6. 22.

(목) 12:00

배포일시 2017. 6. 21.(수) 14:00


보도자료 담당부서 통계데이터허브국 행정통계과
과 장: 은희훈(042-481-3675)
담 당 자
사 무 관: 윤은경(042-481-3656)

일자리행정통계를 통해 본

임금근로일자리별
소득(보수) 분포 분석

동 자료는‘공공누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 러 두 기

□ 본 자료는 2015년 기준 일자리행정통계를 통해 일자리별 소득


분포를 분석하여 시험작성한 자료입니다.

ㅇ 건강보험(직장), 국민연금(사업장), 직역연금(공무원․군인․사학․별정


*
우체국연금)에 가입한 임금근로자 가 점유한 약 1,500만개 일자리에
대한 세전소득(보수)을 분석하였습니다.
* 일용근로자, 특수형태종사자, 건강보험‧국민연금에 미가입한 취약근로자,
비임금근로자(자영업자 포함)가 제외되었습니다.

ㅇ ‘일자리’는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취업자’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주중에는 회사를, 주말에는
학원 강사를 할 경우 취업자는 한 사람이나 일자리는 두 개로
계산됩니다.

□ 자료이용 시 유의사항

ㅇ (작성제외) 건강보험, 국민연금, 직역연금에 가입하지 않은 일자리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 취약근로자, 비임금근로자 등 소득은 향후 소득DB를 확대하여 추가 예정

ㅇ (소득)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국민연금 사업장가입자, 직역연금


가입자 자료의 개인별 월평균 세전소득(보수)을 활용하였습니다.

ㅇ (산업분류)『제9차 한국표준산업분류』를 적용하였으며, 기업이 복수의


산업활동을 하는 경우는 주된 산업활동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ㅇ 수록된 자료는 반올림한 값으로 통계표 내의 합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보도자료는 통계청 홈페이지(http://kostat.go.kr)에 게시하였습니다.


※ 통계청은 국세청 등 소득자료 보유기관과 협의하여 소득DB를 사업‧연금‧
재산‧이전 소득까지 단계적으로 확대(2~4년 소요 예상)하고, 신규지표 개발,
소득구간별 분석 등에 활용할 예정
목 차

□ 요약 ································································································· 1

□ 분석 결과

1. 소득(보수) 분포 ·················································································· 3

2. 근로자 특성별 소득(보수) 분포

가. 성별 소득(보수) ············································································· 4

나. 연령별 소득(보수) ········································································· 5

다. 근속기간별 소득(보수) ································································· 6

3. 기업 특성별 소득(보수) 분포

가. 종사자규모별 소득(보수) ····························································· 7

나. 산업대분류별 소득(보수) ····························································· 8


일자리별 소득(보수) 분포 분석 (요약)

1. 소득(보수) 분포

□ (소득 분포) 건강보험, 국민연금, 직역연금에


가입한 임금근로자의 2015년 월평균
소득은 329만원, 중위소득은 241만원임

ㅇ 중위소득의 50% 이상~150% 미만인


임금근로자는 56.4%를 점유

2. 근로자 특성별 소득(보수) 분포

□ (성별) 남자의 평균소득은 390만원, 중위소득은 300만원이며,


여자의 평균소득은 236만원, 중위소득은 179만원임

□ (연령별) 연령별 평균소득은 50대(386만원), 40대(383만원), 30대(319만원),


60세 이상(256만원), 29세 이하(215만원) 순으로 나타남

- 1 -
□ (근속기간별) 근속기간이 길수록
소득이 높게 나타남

ㅇ 20년 이상 근속한 경우 평균
소득은 678만원이며, 1년 미만
근속한 경우 213만원임

3. 기업 특성별 소득(보수) 분포

□ (종사자규모별) 50인 미만 기업체의 근로자 평균소득은 238만원이며,


50~300인 미만 기업체 근로자는 312만원, 300인 이상 기업체
근로자는 432만원임

□ (산업대분류별) 금융 및 보험업이 578만원으로 가장 높으며,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546만원),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427만원)
순으로 높게 나타남

ㅇ 숙박 및 음식점업(173만원)이 가장 낮으며,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199만원),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28만원),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238만원) 순으로 낮게 나타남

- 2 -
일자리별 소득(보수) 분포 분석

1. 소득(보수) 분포

◇ 건강보험, 국민연금, 직역연금에 가입한 임금근로자의 월평균소득은 329만원,


중위소득은 241만원

□ 건강보험, 국민연금, 직역연금에 가입한 임금근로자의 2015년 소득을


집계하면, 월평균소득은 329만원, 중위소득은 241만원임

ㅇ 중위소득의 50% 이상~150% 미만인


임금근로자는 56.4%를 점유

- 중위소득의 150% 이상인 임금근로자는


30.2%이며, 중위소득의 50% 미만인
임금근로자는 13.4%를 점유

<소득층 분포>
(단위 : %)
중위소득의
중위소득의 50% 미만 중위소득의 150% 이상
50% 이상 ~ 150% 미만

13.4 56.4 30.2

ㅇ 소득구간별로 보면, 150~250만원 미만이 28.4%로 가장 많고,


85~150만원 미만이 19.4%, 250~350만원 미만이 16.6%로 나타남
<소득구간별 분포>
(단위 : %)

85만원 85~150 150~250 250~350 350~450 450~550 550~650 650만원


미만 만원 미만 만원 미만 만원 미만 만원 미만 만원 미만 만원 미만 이상

4.0 19.4 28.4 16.6 11.8 6.6 4.6 8.6

- 3 -
2. 근로자 특성별 소득(보수) 분포

가. 성별 소득(보수)

◇ 남자의 평균소득은 390만원, 중위소득은 300만원


◇ 여자의 평균소득은 236만원, 중위소득은 179만원

□ 남자의 평균소득은 390만원, 중위소득은 300만원이며, 여자의 평균


소득은 236만원, 중위소득은 179만원임

<성별 소득구간 분포>


(단위 : %, 만원)
구분 계 남자 여자

계 100.0 100.0 100.0

85만원 미만 4.0 2.4 6.6

85~150만원 미만 19.4 12.9 29.0

150~250만원 미만 28.4 24.1 35.0

250~350만원 미만 16.6 19.2 12.8

350~450만원 미만 11.8 14.9 7.2

450~550만원 미만 6.6 8.2 4.2

550~650만원 미만 4.6 6.0 2.4

650만원 이상 8.6 12.3 3.0

평균소득 329 390 236

중위소득 241 300 179

- 4 -
나. 연령별 소득(보수)

◇ 연령별로는 50대, 40대, 30대, 60세 이상, 29세 이하 순으로 평균소득이


높게 나타남

□ 연령별 평균소득은 50대(386만원), 40대(383만원), 30대(319만원), 60세


이상(256만원), 29세 이하(215만원) 순으로 나타남
<연령별 소득구간 분포>

<연령별 소득구간 분포>


(단위 : %, 만원)

구분 계 29세 30대 40대 50대 60세


이하 이상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85만원 미만 4.0 4.2 2.0 3.2 5.2 10.4

85~150만원 미만 19.4 22.2 12.2 17.4 20.8 38.6

150~250만원 미만 28.4 47.6 28.2 21.6 23.8 27.6

250~350만원 미만 16.6 16.4 25.2 14.4 11.8 8.4

350~450만원 미만 11.8 6.0 17.0 14.0 9.8 3.8

450~550만원 미만 6.6 2.2 7.2 10.4 5.8 2.2

550~650만원 미만 4.6 0.8 3.6 6.6 7.2 1.8

650만원 이상 8.6 0.4 4.6 12.4 15.6 7.0

평균소득 329 215 319 383 386 256

중위소득 241 190 276 300 250 152

- 5 -
다. 근속기간별 소득(보수)

◇ 근속기간이 길수록 소득이 높게 나타남

□ 20년 이상 근속한 경우 평균소득은 678만원이며, 1년 미만 근속한


경우 213만원임

<근속기간별 소득구간 분포>


(단위 : %, 만원)
1년 1년~ 3년~ 5년~ 10년~ 20년
구분 계
미만 3년 미만 5년 미만 10년미만 20년미만 이상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85만원 미만 4.0 7.0 4.6 2.8 2.6 1.2 0.6

85~150만원 미만 19.4 30.4 23.4 16.6 12.2 5.4 2.6

150~250만원 미만 28.4 38.0 36.0 29.2 21.0 10.6 3.2

250~350만원 미만 16.6 14.0 18.6 22.2 22.0 13.0 3.4

350~450만원 미만 11.8 6.0 8.6 13.8 18.8 22.2 11.2

450~550만원 미만 6.6 1.8 3.4 6.2 9.2 16.6 16.6

550~650만원 미만 4.6 1.0 2.0 3.4 5.2 10.2 21.4

650만원 이상 8.6 1.8 3.4 5.8 9.0 20.6 41.0

평균소득 329 213 262 319 375 511 678

중위소득 241 170 205 255 315 436 607

- 6 -
3. 기업 특성별 소득(보수) 분포

가. 종사자규모별 소득(보수)

◇ 종사자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50~300인 미만, 50인 미만 기업체 순으로


근로자의 평균소득이 높게 나타남

□ 종사자 규모별 평균 소득을 보면, 50인 미만 기업체 근로자는 238만원이며,


50~300인 미만 기업체 근로자는 312만원, 300인 이상 기업체 근로자는
432만원임

<종사자규모별 소득구간 분포>


(단위 : %, 만원)
구분 계 50인 미만 50~300인 미만 300인 이상

계 100.0 100.0 100.0 100.0

85만원 미만 4.0 5.6 4.2 2.4

85~150만원 미만 19.4 30.8 14.8 9.6

150~250만원 미만 28.4 34.4 31.8 20.4

250~350만원 미만 16.6 15.4 22.2 15.0

350~450만원 미만 11.8 6.6 13.0 16.6

450~550만원 미만 6.6 2.8 5.2 11.2

550~650만원 미만 4.6 1.4 3.0 8.8

650만원 이상 8.6 3.0 5.6 16.0

평균소득 329 238 312 432

중위소득 241 180 246 367

- 7 -
나. 산업대분류별 소득(보수)

◇ 산업대분류별 평균소득은 금융 및 보험업이 578만원으로 가장 높고,


숙박 및 음식점업이 173만원으로 가장 낮음

□ 산업대분류별 평균소득은 금융 및 보험업이 578만원으로 가장 높으며,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546만원),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427만원) 순으로 높게 나타남

ㅇ 숙박 및 음식점업(173만원)이 가장 낮으며,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


지원서비스업(199만원),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28만원),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238만원) 순으로 낮게 나타남

<산업대분류별 소득>
(단위 : 만원)
평균 중위 평균 중위
구분 구분
소득 소득 소득 소득

계 329 241 부동산업 및 임대업 240 172

광업 411 355 전문, 과학 및 351 259


기술서비스업

사업시설관리 및
제조업 353 281 사업지원서비스업 199 167

공공행정, 국방 및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546 487 427 392
사회보장행정

건설업 363 247 교육 서비스업 381 321

보건업 및 사회복지
도매 및 소매업 267 199 서비스업 228 160

예술, 스포츠 및
운수업 302 254 276 207
여가관련서비스업

숙박 및 음식점업 173 145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238 187


기타개인서비스업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395 312 기타* 258 216

금융 및 보험업 578 439

* 농업, 임업 및 어업, 하수폐기물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국제 및 외국기관

- 8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