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

蹴雌 )

품사 파트 ~

활용여부 의미 기능

명사
미품사의
I 쟁의 ? 교과성 여러 단어들의 공통된 성질들을 대표하는 명청 체언 대명사
[
:

우진이 태어날 때부터 지니는 성질 ( 불변성 ) 무사


F 단어의 개수 =
품사의 개수 ( 조상 역시 단어이니까 ! ] 관계언 조사
불변에
관형사
수식언
크민품사의 분류 ( 마기능 ] 체언수식언관계언들립언용언 부사
[ 매 의미 ) 명사 대명사 수사관형사 불사 조사 감탄사 동사형용사 감탄사독립언
[ b와 활용여부 ] 가변에 불변에 동사
가변에 용언
형용사
[ 체인 ] →
공통성질 4가지 ① 조사 결합가능
활용불가능( ↓ 불변에


m
관형어의 꾸멈을 받음

4 실질적인 뜻이 있음 도 : 어조 + 실질형태소)
F 의존명사의구조 :관형 + 의조명사 정
단위성 의존명사 (ex ~ 개 ~
자주 버이가 가장 빈출 !
… -

F 품사통용 ( 의존명사 Vs 조사 조사 : 띄어쓰기 시 관형에 형태 X C시 마음뿐이지


,철무만큼 1 너뿐서
. 서대로이 마음대로 / 나만큼
[ 의존명사 :

. .
띄어 쓰기 매 관형어형태 0 x 먹는대로 / 할 만큼 들기만 할 뿐이다
→ 대명사 심화 이인침 대명 사 저 나
'의 낮춤말

[ 제희

우리 :
=
복부 자습말

복수
나의 개념만 손재 !
'
② 7 인청
2
우리 x 우리 엄마 우리 아빠 ' → on 의

ex 우리나라 기인성 2 인칭국인침


ex 우리는 안 갈래 기인국인청만 포함
al 포함
(+ 맥락파악 필요]
로 맥락사


m
당신 3 인징 당신 =
재귀대명사
[ 2 인청 당신 상대방을 가리컬 때 ex 당신 누구세요

[ 부부 사이에서의 높임막 사당신과 결혼해서


맞써 싸울 때 ex 당신 뭐야 ?
다행이야

헷갈리는 대명사 형태 T ( + 가 ' [ 이형태 > 누구라가기


→ )내 TV ) 누가
'
=

나 +의 < 축약형 ? 누구 '


'
[ 의
+

] 뒤

네 ( 너스 " 가 < 이형태 >


' '
서 나의 < 축약형>
t

제제 ' [ 이형태 )
+

매 가

(제 +의
'

[ 축약형 ,

F 부정칭 대명사

v. 미지칭
돼명사에 다 미지진에
여기가 어디야 →

대상 정해지지 X
대상은 정해져이 정명시
어디든지 함께 가자부
F 품사통용 ; 지시대명사 .
지시관형사 관
V도 I 뒤에 조사이

:
뒤에 조사 X

서통용: 수사 . 수관형사 [
무설관뒤에조사ㆍ뒤에
: 조사X , 명사이 [ 수식해줘야 ]
p 관계인 택조사 특별한 역할1문장 성분이 부여
=

I조사 J →
공통 성질 4가지 ① 자립성은 없지만 단어로 인정됨 .

② 활용불가능 1불변에
p 특별한 의미 부여 (문법적 기능 N
③ 격조사에 체언 뒤에만 1접속조사 이 체언 뒤에만 1 보가사 >
~
에 가능
암기필수 ☆ ④ 조사게리 결합가능기보조사를 제외하면 ) 생략 가낳다
→ :
주격 조사 =
에가 께서 에서 서
:
목적격조사 =
위를
:
본격조사 =
이사 → 뒤에 되다 아 아니다가 와야 함
:
서순격 조사 =
아내가 뱬 에
:
관형격조사의
:
부사 격조사에게 에서 (의료 와1과 .

: 호격조사 =
아야 에이시여

접속0 =
( AND ) 와 1과 .

(에며 (에랑 에다)


. -

하고 t ( OR) 이자

D =
만 1단독) ,
도망죄 , 부터 (시작 ) s 마저 (극단 ) '
까지 ( 범위 )
'
와 琨跆 ) 이 만큼 (범위 정도) '
마다 년일) , 조차 (극단) 썔 딴뒤 위는 (화제 제사 강조 대조)

I 관형사I 체언을 수식하는 성질을 가짐에 관형이만 가능)


ex . 너는 예뿌 사람이다.
.


관형사 <
관형이 ( 문장성분이 관형이에 귀속) 蔬 사이지만 관형이

3가지 공통성걸 ① 체언 , 주로 명사 수식
② 조사 결합이 불가능 !
☆☆☆ 30 활용 불가능 ( 불변에
→ 암기필수 관형사 옛헌 순 새 첫 1이그제 한두세석전1다를 딴 여느 어느 어떤1은 온갖 모든 무슨 갖은
:

→ 종류 =
지시관형사무관형사 성상관형사

I부사 ) 용언 관형어부사아 문장전체를 수식하는 성질을 가짐 10매 부사이만 가히 때는 예쁘게 웃는구나 .

부사 ( 부사에 문장성분이 부 사이에 귀속)


蘇卜이지만 부사이

3가지 공통성걸 ① 주로 용인을 수식하지만 다른 부사아 관형사 역시 수식이
② 격조사 결합이 불가능
③ 활용 불가능 ( 불변에

종류 성분부사 상징부사지시부사 성상부사 부정부사
=

[ 문장부사 =
양대부사 접속부사

I용언J → 3가지 공통성걸 ① 활용가능마변에


② 부사이의 꾸밈을 받음
③ 주로 서술어로 쓰이나 어미의 활용에 따라 다른 문장성분으로 사용가능
n


어간 t 이미 구조
m. ww → 의미는 변화 X
변하지 X 毗占
* 동사 vs 형용사 구분 이E탄형 이미 사는구나> 동사 사구나 > 형용사 =
, =

② 현재형어미
산다사다가 동사이 불가능시 형용사
※ 낚시주의 :
늙다 (동사 ) vs . 젊다 (형용사) 9
운동하다 (동사 ) vs 조용하다 (형용사)
t) 있다 동사 ex 그럼 난 여기 있는다
I 형용사와 나는 돈이
~
.

있다 (있는다 .
불가능이
매에 자연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사 :
아멈이 밝다 n 해가 못다 . 꽃이 파나

E용에 → 용언의 구성형태 본용언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는 용인


:

( 보조용언 홀로 쓰이지 X 문법적 의미를 가짐 반드시 본용언 뒤에 붙어 의미를 더해주는 용언


: ,
.

①용언 단독 : 본용언
② 본 용언 t
본용인 띄어 씀이 원칙 =
와 집어 먹었다 (뒤를 제기시 의미변화0 ) 마 (6세 삽입시 성립이
본용언 t 보조용인 띄어 써야 하나 붙여씀 역시 허용 에 막아내다 l 막아 내다 (뒤를 제거시 의미변화시 4세 삽입 시 성립 시
속함
④ 본용언 t 보조용에 의존명사 양 척 체만 법듯이 t 하다 아 싶다 > '
.

온듯하or 비가 올센E나 / 잘난 천t한다 / 그만할 ttl 그만둘 만햰


와 비가

批屹맞춤법 보조용언의 띄어쓰기 :

" 제 47항 보조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

다만 앞 용언에 조사가 붙을 경우 다 잘도 놀이 나는구나 ! / 책을 읽어도이보고 .

mi 보아라 / 강물에 떠내려가버렸다


앞 용언이 합성동사인 경우 에 덤벼들이 1mm .
.

중간에 조사가 들어간 경우 다 .

그가 올 細하다 .
/ 잘난 체퇴한다 .

에는 반드시 띄어 써야 한다 .

t 헷갈리는 보조용인 대표 예시 뺘 암기필수 )


i) 가다 1오대진행 ) 에 쉬어가면 일해라 / 어두워 왔다
지대다 < 반복 정도가 심하마 와 웃어 댄스
'

에 두다 (상태 유지 > 에 적어 두I
☆ 4) 보다 1듯하다 ( 추측 > 와 그런가 趾佳 듯햲
☆데 싶다 <희망함> 에 자고 趾
☆ 이 있다 〈 상태지속 > 와 서인대 흐르고 있단
7) 하다 땅 위 ) 에 살아야 한다
☆ 8) 두대보유 ) 와 넣어 두뗸
☆ 에 나나 세대 버리다 < 종결 완료> ex . 뛰고 쁘 생각하나 1잡아 낸다 / 떠나 叱避
10) 되다때동 > 에 성공하게 되뗸
☆ 11 ) 보다 씨도> 에 먹어 보다 / 도착했나 보단
12) 보이다 〈짐작 > 와 예뻐 보인다
☆ 메 아니하대않다기말에 못하다 쏂) 와 주지 못했으니 먹지 말터아가 1가지 아니햱
14) 주다1드리다 做訓 ex 잡아 준다 1도와 드쨴

M) 하다 l 만들다 <사동 ) 에 즐겁게 한다 l 먹게 唯遡


대마H종류정리

/ 이말이미1종결어마평사의민정유명령감탄
-

전성어미 명사형 관형사형부사형


:

연결어미 : 대동적 종속적 보조적 문장or단어를 연결시키는 이미


높임쮀 공손 낸홍언땅인
선이말이미I 시제
-

☆☆ 과거현재미래 :

T암기필수어미 10대등적연결어야고에의며 . -

거나뒤지제의나지만
⑧ 종속적 연결이먀고기의면애에서제의려고가의니까 . -

는데
⑦ 보조적 연결이먀아1아까지고
④ 명사형전성이마의미에

부사형 전성어미의가도록
⑥ 관형사형전성어미 동사 과거 ex .
먹은음식
.

(으가
형용사 현재 에예빨사람
-

는 동사 현재 와가는 사람 푸르던
던 동t형 과거회상 와
같던 사상 1텟하늘
기의고 동t형 미래 와할일1조용할밤

때제선빨이미F까매에사 현재
미래 켔
:

:
-

는사


높임선이말이미I주체 1의사 다먹대컉으사나
: -

공손옵가와 에가다까시옵다

[용언의 활용지그규칙활용 형태변화없는경우


형태변화있지만 규칙적인 활용으로 인정하는 경우
↳ 딸랶으탈락동음탈락 탈락 !
脘咸炸이
전불규칙활용에 讐雄
"
씖어까서 ,

" 이간불규칙해해간 불규칙 이징 지어


=
6다이간 불규칙 ex .
뭐어
ter

물이 ( 매미의 의미 )
'
=
비이간 불규칙 에펽아자와
'
=
르해간 불규칙 ex
후뢒의 흘러 .

뛰어간 불규칙 e 崎땞→퍼


불규칙 에해아세어사7하여서
'
2) 이미불규칙
'
=
여 이미 w w w.

불규칙
'
=
레이미 ex .
이릐아세어사' 이르러서w w w. n

너라 이미 불규칙 와이라사라 → 오너라


' '
=
ex .

n e r ve

게이간이미불규칙 ㅎ 艱먹 와파람합악선L이스서파래서
형태소파틔
II형태소뜻을 지닌 가장 작은 말의 단위
# 각 요소들을 최대한 쪼개가' 10활용가능한 단어
'
→ 가장 먼저 해야할까이간어미 쪼개기 다내기다
② 활용형 & 축약형짼저풀이쓰고 기본형부터 따지기 에 먹혔다 컉해었다
⑦ 실질형식11자립의존 →
모두 쪼갠 후에 종류따제1문장 상태에서 덤비기시
(쪼개기 기준 ) 명사 대명사 수사 He접사
'

관형사부사 조사 이미들.1종결연결전성이 높임시제공뫼


감탄사 동사 형용사 어간 怏 )
p 형용사
와훨나빔명사 다먹히었1다녀종결어미 n
이런식으로 따질수 있어야 함 !
관승사형전성이미 에쒜崧쒜쎄
매동 )
선이말의미

전 분류기준에 자립성의 유무 T의존명사포함 ! !

#
자립형태솨체언1명사대명사수사) ,
수식언1관형사부사) 감탄사 ,

# 의존형태소 =
용언의 이간어이미어조사어접사
분류기준에 실질의미의 유무
실질형태소 용언의 이러체언1명사대명사수사개수식언만형사부사 ) 감탄사 m.
,

형식형태야 용언의 어메조사 접사 '

+매기이라 실질적인 의미를 지니는 부분


↳ 분류 체언형태의 이조베언수식업감탄사가속함
( 용언형태의 이러주어건보기에서 형식형태소를 모두 제외시키고 남은것을 찾음
와먹해다
와멤쌀얘가형식형태소이니까
실쒈형태모
남은 먹이이조 (단체보은먹하이다 ! )
卨嶠결이미지들다형식
.

남은 먹이이로

전이형태 같은 의미꺙을 가지고 있으나 다른 형태를 가진 형식형태소들


:

* 분류 음운론적이형태 하나의 형태소가 다른 음운환경에서 다른 형태를 갖고 있는 것


-
:

(
다 이사무격조사보격조사 ) 9위를 ( 목적격조사 )
.

팦말의 받침유무에 따라 아 모음조화에 따라 결정됨


형태론적이형태 특정한 어간 뒤에서만 폐가 실행되는 이형태 :

다 .
하여 , -

왜라 .
.ee

팔이 어렵자 그냥 이미불규먹임 ( 그냥 이렇게만 알고 있어도 수능은 문제시 .


단어 파트 ~

〖 단어 자립하고 분리하여 쓸 수 있는 말 ∴ 자립성이 분리성0


:

딴마사는 분쟁은 있지만 자립성서 단어로 인정 ! )


단일 에어근시 )
[ 복합이
[ 합성어 101조만
2개 1시
石斟 쓰는 것이 원칙 .

( 접사 & 어로 있음 )
파생이

知恥 이조에 붙어 특정한 뜻을 더하거나 한정메해하는 부분


.

* 분류 결합하는 위치에 따라 접두사 10매 한정적 접사 가능)


-

유무에 따라1품사변화
접미사 (둘다 이에
접사 어로의 품사 바꾸지 烱珝 미에 가히 !홶적 :

지배적 접사 이조의 품사 바꿈 (0매 접미사만 가능 ) :

썡사파생접사 부사파생접사 이 둘이 제일 빨 i 그 외에도 관형사파생1조사 파생

牝回 파생이 → 경우 1001조 t 접사 (접미사)


와 선생님이 어깨뗌다 .
슬픔이 공부힘다어 차라Re 욕심뀐01개 가위쮐 많⑨ 어른몜다 , 이

→ 경우 ② 접사 (접두사가 이로
다B산구 D군소리7 拇峨사과똄보다 똅다 呼砒 凹跆 쨤缸卜 이

→ 경우 30 접사 t 접사
a.
周一岫 啣弱 n

t 매에 <하이 돠 〉 용언의 어근인가 접미사인가 ? ,


단독으로 쓰일 경우 동사 ex 선생님이 된다 공부를 한 .
.

→ 명 사이로 아부사이로 뒤에 붙을 경우
지배적 접미사 에 사용된다 형성된다 공부한다 순수한다 =

.
.
.

[한글 맞춤법 접미사의 표가 :

제 19항 이간에 이나 F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과


" '
이 나 흔히
' '
가 붙어서 부사로 된 것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혀 적는다 .

17 이 가 붙어 명사로 된 것 깊이 열이 이 높이 먹이어 미닫이 , 쇠붙이


' '
다 .
7

에 坮仰 이 건원 얼음이 臨結 졸음이 앎
붙어 명사로 된 것 다 .
"

메이어가 붙어 부사로 된 것 다 깊이 , 길이 7 높이 같이 실없이 종이 .


s , ,

"

14) 해가 붙어 부사로 된 것 다 밝히어 익히어 작히 .

다만 이간에 이 나 음이 붙어서 명사로 바뀐 것이라 하더라도


' '
, 그 이간의 뜻과 멀이건 것은
원형을 밝혀 적지 아니한다 .

와목거리 1뫵) 이 거름 ( 비료) n 治膿) 이 노름(도박 )


목걸이 걸坮 굘坮 놀띰

< 붙임 개간에 어간의 원형을


"
이 나 쒐 이외의
"
모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다른 품사로 바뀐 것은 그

밝혀 적지 아니한다 .
11 ) 명사로 바뀐 것너머 귀머거리 마개 마중이 무덤이 나머지 와 ' ' ,

미 부사로 바뀐 것 ex 너무 도로 비로소 자주이 차마 .


이 이 '

메조사로 바뀐 것 와나마 ' 부터 조차 ,

西 합성어 →
분류 기준 10 :
합성법에 따라
통사적 합성어 체언 t 체언 에돌1다리 - ,
시냇물이 이제껏
첫사랑이 새해한1번

饌蠶
관형사베언 다 .

전성어미가 명사 에 譏熢
覽鸞鸞灐 .

목적이 t 서술어 다 .

雖다
부사에 서술이 다
앞서다
-

용언의 어간 t 보조적 연결어미 용언 +


ext가다
*
비통신적합성이 용언의 ext1n 松揶凸 덮뺩
어간기관鄕避 ) + 명사

f 부시.tl許變舌 ) t 명사 에 貽艸 雌哺 척척1박사
용언의 어간기술어미쩂) t 용인 에 뛰놀다 왜내리다 날뛰다 높부르다 . . "


분류기준 20의미관계에 따라
t 대등 (병렬) 합성어 앞뒤 이조의 의미가 대등하게 결합한 것 :

다 . 남녀 ,
흑백 "
안팎 1만t 밖 ) 이
앞뒤 이
마소빨사니 어
화살빨쌸) 이
부모의 강약이 형제 ,
높푸드다 여닫다 7 오가다 " 이 자막까지 한두이 몇몇
1종쉬유목) 합성어 앞 이글의 의미가 뒤 이근에 종속되어 나타나는 것 ㅑ 수식관계)
:

에 창문 꽃밭에 종이컵이 낮잠이 돌다리 ' 밤나무


.

시냇물이 손수건이 책가방이 손수레 " 7 고무신이
뛰가다뗴어서 가다 ) 얕보다 얕게 보다 ) 이

☆ t 융합 합성이 어근과 어근이 결합하여 제 3의 의미를 생성하는 것

다 춘추 (어르신의 연세 ) 이 연세 (어르신의 나이에 이 새직 ( 나라 또는 조정을 이르는 말 ) 이


.

뺴치언제내어 모순 ( 두 사실이 이치상 어긋남) 이 蠅幽없이 헛된 말 ) 바늘방석 (불안한 자리) 이 이

돌이이다 (죽다의 높임말1 7 보리고개 ( 식량사정이 어려울 때) 미緘밉게 보이는 것) 이 이

蹴어려움이나 위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惻卦매우 어지럽거나 못쓰게 된 모양을 이르는 말 ) ,

산수 명치 ) 이 내외 (남자와 여자1부부) 쥐꼬리 (아주 작은 1조금) 미주알고주알 (아주 사소한 부분) , 이 ,

회자 (다른 사람의 입에 오르내리다)


ii) 합성어와 구의 판별 ☆ 姚川 논란이 되는 합성어 파생이 1설명 추가 필요).

작은형1합성에 작은 형 (구) →
날짐승
서물성 막은해서물성X 서열성0 →
날고기
와 형이 작다 (N 와형이 작다 10) →
열쇠
' '
분리성
'
작은 세형 분리 X 분리 0 →
들것
a. 작은 우리 형 (N ex 작은 우리 형이
.

의미특수화 맏형이 아닌 형 키가 작은 형
(특수화) (일반화)

음운파트 ~

晧怠 말의 뜻을 구별해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
음소 자음 모음 (마디마디 쪼개기 가능)
(
=

원소 억양 장O단음I' 약간 내신스러운 Tip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장음


:
= .
-

+
음절 발음할 때 한 번에 낼 수 있는 소리의 단위 →
최소의 발음 단위
↳ 표기가 아닌 발음 기준이기 때문에 음절 자체는 뜻을 지니지 ✗

최소 모음 하나만으로도 음절이 될 수 있다
.
가장 복잡한 마음 + 跆十 자음 ' 이다

② 자음 : 소리를 낼 때 이
발음 기관 (목 안 입안 혀 등) 에서 공기의 흐름이 장애를 받고 나오는 소리
↳ 분류기준 ① 소리의 세기에 따라 예사소리 1평음가 주 두 불사조

1
) 때로 응용
된소리 명음가 꾸 뚜 뿔 싸쪼
거센소리 1격음) =
피카츄 털
↳ 분류기준 ② 조음위치에 따라
-

입술소리 (跆) =
뭘봐 → ㅮ 빺

f
잇몸소리 (叩坮) =
뉴 드레스 → t I 땬 2 ^ 쓰
-

센 입천장소리 (경구개믐 ) =
짱 →
즈 쪤
-

여린 입천장소리 (연구개믐 ) =
아기 → 07 쯔
l 목청소리
跆浩 → ㅎ

↳ 분류기준 ⑦ 조음방법에 따라 -

파열음 =
바다가 → 目毗 ㄷ ㄸ E 7 N ㅋ

痴二
-

마찰음 =
호소 → ㅎ ㅅ ㅆ

N ㅉ ㅊ
-

파 晧二 줘 →
.

비음 =
n.ro
1 합쳐서 노란 양말 E울림소리)

十唎 초성 종성에서의 60' 소리 ? 초성→ 음가 1소리먌) ✗ →


음운인정 X
( 종성
,
E와 종성 이 인정 ! 음운 재임
' '
이 양 ≈>
오로지
→ 인정 ○

田跆 소리를 낼 떄 발음 기관에서 공기의 흐름이 별다른 장애를 받지 않고 나오는 소리

岷跆 입술이 고정 0 → 분류가능한 이유=

혀의 앞뒤 전설모음 후설모음
" 모양 평문 원문 평문 원문 이렇게 외우면 편하대요 ~

혀높이 "

고 모음 1 T1 - T ㅋ l 吉 방
중모음 ㅔ ㅚ t t 0t 중
저모음 H t ¥ 0 t
미 이중모음 입술과 혀의 위치가 변함 → 분류 불가능
=

상향 이중모음 1대 계열 t 단모음 ㅑ ㅖ ㅒ
詳跆 ㅕ ㅛ ㅠ

(

반모음 w 다시 계열 + 단모음 →
ㅘ ㅙ ㅝ ㅞ
하향 이중모음 단모음 t 반모음 III] 계열 → -1
:

↳ 축약 M 하나의 음운으로 인정됨


☒ 음운변동 :
어떤 음운이 농이는 환경에 따라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교체 (대치 ) < MY → MY > 음운의 무 변화 ✗
'

( 탈락 ( MY XY >
음운의무 1
→ -

첨가 < XY → MY > 음운의 수시

축약 ( M마개에 음운의수이

[ 교체 ) 에 음절의 끝소리규칙 대표음7개 가다 口曰 0

① 대표음 이외의 자음을 받침으로i스진 받침으로 가진 받침 글자가 단독으로 발음할 때



무조건 대 대표음 와
敭島 .

② 대표은 이외의 자음을 받침으로 가진 글자 t 자음으로 시작하는 글자


→ T0 대표음 e 偶뜨뀹劫뗸 여긴 된소리되기
,

⑦ 대표음 이외의 자음을 받침으로 가진 글자 t 모음으로 시작하는 실질형태소


나라
↳ 만약 형식형태소 (조사접사에게 이면?
→ T0 대표음 t 연음 ( 받침 발음이 그대로 뒤에 올라감 )
연음 ⑥ 연음 에니 ! ! !
啣凸꽵먄욟깂뜂 음운변동으로 인정시 꾬위✓쪪 凹玎
" >

마) 비음화 받침 세도비이 뒤에 오는 비음 새미의 영향으로 10th ㅁ]


:
으로 발음되는 현상
① 앞말받침 뒷말첫소리 →
앞말받침 뒷말첫소리
O가 너
⊕ ⊕

이멈는다_뗨는다]
뻅 ⑤t




玭籠方鼈邨
② 앞말받침 뒷말첫소리 →
앞말받침 뒷말첫소리
가 얼 에뺨는t0

.

⑧ 마 ⊕

다 나
③ 앞말받침 뒷말첫소리 →
앞말받침 뒷말첫소리 와 頓必銅




⊕ ④
鎚 IT 慽


에유음화 : 유음서의 앞뒤에서 비음사7이 유음대로 발음되는 현상
① 앞말받침 뒷말첫소리 앞말받침 뒷말첫소리 ex 찰이Th

.

ㄹ ④ 근 ⑧
② 앞말받침 뒷말첫소리 →
앞말받침 뒷말첫소리
④ ㄹ ② ㄹ
에 .

합라산_땹라쐬
[ 교체 ]
-
04 )
구개음화 받침 모음 형식형태소와 : [ 티터이 <1) 반모음
나 ( tJ ) ) 로 시작되는 만남을
구개음 [ 지치적으로 발음되는 현상
⑦ 앞말받침 < [7+ < 17 모음 ( 1 야버디 예기 ) 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
⇒ 연음 후 구개음화
ex굳이& 구디 >
ㅇ 구지 해돋이 3 해도리
이 ? 해도 + plus ]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 경우
연음 구개음화 지연음 구개음화
F 복합이 (합파에서는 SCiE 3 +<

1> 로 시작하는
? 치가
② 앞말 받침 < E> + K4 모음으로 시작하는 영식형태소 단어 가첨가이다 . ex밭이랑
받니랑? 받아랑 >


연음 후 구개음화 음끝한음절
안에서는 일어나지 X 비음화
고반니랑
?

. 밭이 들이다 훈티다 e> 훈체다


□ 데리량 견디다임
eX ' 바티 > > 다견디다
바치연음
일려음화 연음
?

구개음화 음절

앞말받침<
⑬ IE > t < i > 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

연음 후 구개음화
ex

대된소리되기 (경음화 :
예사소리 에더비 시하 " 가 된소리 Ln 띠 빠짜 ) 로 발음되는 현상
받침소리[
① 7. 2
i바 ] + 예사소리 - → TO 된소리

음끝 →

와국밥 e
0 > 국랩 옷고름 e Q > e
> 올고름 온꼬름
접사
이간

받침소리다 . 미 ) + 이미의 예사리- > TO 된소리 어로
먹에서
x 신다

10 > O
신따 다만, 피동사동의 접미사 가는 된 소리X대 . 110
신기다 > 신끼다X

m
관형사형어미 여 ) 고 + 예사소리 → TO 된소리
홀 면음
대 . 할것을 할 것을0 ? 할꺼
Q ㅇ 다
다만에 끊이서 말할 때에는 예사모리로 발음

4 -
t의 2어로 시작되는 어미의 경우에 뒤의 예사소리 →
TO 펀소리


× -할지라도할찌과도
할수록 > 할수록 e

어한자이에서
" 고 받침 t 예사소리 →
TO 된소리



"
ex 갈등 > 갈뜸 일시 ? >
일싸
e

며 아사릿소기 현상에 의한 된소니되기 (경금화


사음운변파 사있지현상할때름이두음법칙ㆍ발음
표기개 처음절에서만 발생 +
)
-

방색에 F 한자이에서만 < 표기 + [ 발음] 모두변화ex녀자 ~> 여자 [ 여자 ]


+

( 천자음 ] 언가 " 중성 이어야여



최성 최성이 없어지는 것이나 마찬가지 !
"
조성
1 "
↓π TDoo .

ex 녀자 >
여자 량심 양심
"
초성어
② + 중성 이야 더 . Ya ㅠ
이외의 모음 > 초성 TO 일어

ex .로동→ 노동 래일내일
FB 특징 우리말 단어에선 발생 X 마 녀석 거리을
[…
모음 아 받침에 렬률 두음법칙발
# 일반적 출석률 출성률기출성률인
be × alchanaexoo
비률 ] 비율 ( 발음 + 표기

:
w

00
비음화 비음화
선률
선율화>
I탈락107자음군단문화 음절 끝의 겹받침 중 :
하나가 탈락하고 하나만 발음되는 현상
10겹받침의 무조건 앞W매자음만 발음뗴자음 탈락 ! )
a.
삶떎 몫쨦
② 단선미러코페의 경우 뒷자음을 발음한다 .

"
菹닥 爲대웨潘塡따 鄭占
음끋 된소리대기명음해 '
된소리대기명음해

오사궴담갤다 尙玭
G원칙다리
⑦ 間跆 안버의 경우 딱이 4가지만 예에
예의 二功 →
밟어넓적-7넓둥근샓까
④ 어간받침 6대t에으로 시작하는 어미 → 다]

a.
말멞 >
말게D뼨 된소리대기명음해
,

아) 자음탈락 두 형태소가 서로 만날 때 음절의 끝자음이 그뒤에 오는자음이나 모음의 영향으로 자음이


:

탈락되는 현상
이탈락 용언의 어간 말자음 한이 몇몇 어미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땠고 걍규칙활용 )
=
합성어나 파생어에서 앞말의 끝소리 인이 아다 . "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 (발웨표기에

飡娟
" →
소나무 嘴十 단아여닫이 斐珂 샙→부삽 , et t)
예외에물쌀+물살
항탈락 -

용언의 어간말 자음방지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 접미사 강탈락 발생 -

! 외낭송은대위 垈步이다때이다 ) 智陣炯 끌레 ,

탈락 유음화 ㅎ
마음군단문화서
빵이 포함된 겹받침 아하고하중 하나가 탈락하고 하나만 탈락되는 현상하달락
에모음탈락 ( 발음+표기 >
① 으어 탈락세칙활용 말하는 것이다 a. 뜨t -01 →

② 아이이탈락1동음탈락 ) =
역시 규칙활용 이나서 -
+ -

아) 나서

I축약1에자음축약 에댄서과 양이 서로 만나 거센소리인 페키헤티이


:
'
되는 현상
셰센소리되기 ) 이꿥기단고킥다 쟴ㅶ스圃다
지모음축예발음 堀川 헷갈리면 안되는게
10첨가 단모음t단모음 →
단모음t이중모음 *
투표기모두에 인정 .

^
되 어 되 여 에피에피여

탈락한 跆十 단모음 →
단모음 체중모음서 ,
반모음첨가 !
큼e 아서 커
⑨ 축약 -
단모음딴모음 -
단모음
사 이 새 깨리가 가까워짐세개 이런식 .

40교체 -
단모음t단모음 →
이중모음
오 아 와 축약이라고 착각하지 말기 ☆
ㅗ + t →
ㅘ I다이므로 ↳ 로 교체된 게 맞다 !
E점가] 이가 첨가 :
복합어에서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모은 이 나
' "
반모음이 로 시작할 때
아이 소리가 덧나는 현상
에 사잇소리현상 佃跆 >
① 된소리되가합성에이러어리
(
앞말1앞이리의 끝소리가 울림소리 ( 口 가 러
뒷 말 첫소리가 예사소리 (19대 베이지
, 0, 모음전체)

와길史馬卜 韓市贓 l
예외 ) 고래 기름 > 고래기름 까스인대로도 발음이 편하면 걍 평범하게 적는다
※ 주의 이웃맵 > 이웃집 > 이웹 > 이 욷찝 예선 걍 평범한 된소리되기가 일어남 m

만t -

고> 안고 > 안모 → 얘 역시 이러이조이 아니기 때문에 사이시옷 X 걍 된소리되기임


.

② 배가 합성에 파생에 복합에

f 앞말에 받침
뒷말의 첫소리가
0

" 며 " ㅶ ( I 반모음 계열)


와 콩뗫 > 콩엿 澗初 콩녇 페에 음운변동 순서 매센소리되기 ② 냼가 ⑨ 웙 ④ 나머지

⑨ L첨가 합성어첨가
f 앞말의 끝소리가 모음 ( 받침 N
뒷말의 첫소리가 ↳ 口

ex .

이t 뭬 焰瑥
예에 머리빨 > 머리말 , 예사발 > 예사 말에 굳이 음운변동을 하지 않아도 발음이 편하면 하지 ✗
④ 나첨가 합성어
앞말의 끝소리가 모음
(
뒷말의 첫소리가 17 門仙 ㅠ
a. 깨t잎 깻잎> 깬닢짼닙

一揷 절로 된 다음의 결합을 인정 !
EXTRA 1 사이시옷 표기 : 표기상으로 사이시옷이 들어감 예에 셋방 찻잔 횟수 숫자 툇간이 곳간
' ' ' 이

et
* 7조건 합성어 (단어 한자에 한자어결합은 제외 )

( 앞말이 跆毗 종성시
⑦ 중 하나라도 만족해야 함 뒤 명사 된소리 "
두가지 V0 모두 사용이다
.

① 뒤 명사 →
된소리 ex 나 뭐가자자 무가지 璣浦가지 i 나뭇가지 사용 가능 蝗咐

(
.

앞 명사가 소리 와
잇몸
⑤ 앞명사 마 뒤 명사 → 나며 이 깻잎
문장파트
A문장 생각이나 감정을 완결된 내용으로 표현하는 최소의 언어형식
의미상
완결된 내용

(

구성상 주어서순의 관계를 갖춤딴이 담화 상황에서는 예외와 불이야 ! )


형식상 문장 끝에 마침표를 찍음

*
문장의 구성단위이나 둘 이상의 이점이 모여 이루어진 의미 단위 1구와 동일하게)
주어와 서술이 관계를 형성함 1구와는 달리) ( 문장과 동일하게 )
=

안은문장 먼체문장 ) 속에서 한 성분으로 역할 (문장과는 달리)


=


랴 둘 이상의 어절이 모여 하나의 단어와 동등한 기능을 하는 단위
=
자체 내에서 주어서 서술이 관계 형성 불가능 !
⑨ 어쨔 뛰어쓰기 단위와 일치 문장을 구성하는 기본단위 .

'
문장성분 과 일치딴이 조사어미 등 문법적 기능을 하는 요소들은 단어와 결합해
하나의 어절을 이룬다)
와 문장 나는 그음식이 참 좋다 .

절 그 음식이 참 좀다 .

구 그 음식이 참 좋다
어절 나는 그 음식이 참 좋다

전 문장성분 : 문장 안에서 일정한 문법기능을 담당하는 구성단위


t 분류기준10 주성봐주어 서술이 목적이 보이

f 부무성봐관형어부사이
독립성분 독립이
=

p 관형사t의존명사꼴일때 말하는거 다 .

한 마리

嘶呪 필수관형이
②[ 필수성분추어 목적이 서술이 필수관형이 필수부사에 보이
수의 성봐관형에 부사이독립이

I 주성분110주에 문장에서 동작막요이이나 상태 (성질) 의 주체 →


무엇이 아 누가
실현형태 체언 t 주격조사 철수가 1책이 1 아버지께서 세부화에 교육정책을 발표했다

(
↳ 에
.

체언 t 보조사역조사 생략한 경위 ex . 나는 다만
체인 단독 ( ) 첖 집에 잘 갔니 ? 4개 생략 )
"

② 목적에 타동사가 쓰인 문장에서 서술에동작상태의 대상 지 무엇을 아 누구를


실현형태 제언 t 목적격조사 ex 노래를 l 꽃을
'

!
.

체언 t 보조사 ( ) 철수가 墾 매우 잘 춘다 (도아 만 가히


"

.

체언 단독 ( ) "
와 영희는 딸기 좋아하는데
⑨ 보어 불완전 서술이 에다 아니다 가 요구하는
:
.
"
2개의 문장성분 中 주어를 제외한 성분

실현형태 보격조사 에 철수는 가-수가 아니다

恐山 p세단 보이자리여도 부사격조사가


.

체에 보조사 (川 ex . 너는 친구_도 아니야 .


붙으면 부사이임
( )
'

제언 단독
"

민들레가 홀쓰되었네 다 물이 얼음-이 되다
.
보어 →

물이 순은음으로 되다 →
부시의
I 주성분]④ 서술어 : 문장에서 주이의 동작막용) 상태 (성질) 등을 풀이하는
이 기능

실현형태 동사 형용사 체에 서술격조사
= , , "
체인 단독 '
서술절
↳ 철수는 학생이다 崧和사 생략 5영희는 1다리가 길다)

철수가 수석헆

I부속성분H관형이 : 체언을 꾸며주는 문장성분 체언 없이 단독으로 쓰일 수 X


↳ 실현형태 관형사단독 와 새 옷1 첫 식사

! 체언 t 관형격 조사
체언 단독 멱조사 생략 )
떜 생활에 만족한다
용언의 관형사형 다 그녀는 옌쁟 목소리를 가졌다 10만t 관형사형 전성어미)
.
다 . 영희의 손
와 그는

.
.

② 부사어 : 용언
관형이 다른 부사이를 꾸며주거나 문장단어를 이어주는 문장성분

실현형태 부사 단독이 체에 부사격조사 ' 세언단독이 부새보조사 용언의 부사형 10만 t 부사형 전성어미)
= 이

멱조사 생략) 이 꽃은 연희쥐 ! 배도 참 잘도 놀다


h
쨢에 잘라 주세요 .
.

I독립성분) 독립이 문장의 다른 성분과 직접적인 관계 없이 독립적으로 쓰이는 문장성분


:

↳ 실현형태

i
蠶箝箭哲毖籠斐嚥
체언 단독 멱조사 생략 ) 와 철수이 열심히 공부해 !
제시에주로 체인 단독) 와 褪 이는 듣기만 해도 가슴 설레는 말이다 .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문장성분의 개수 (수능에 암기할 필요는 X 알아만 둬라 이


EXTRA)) 서술어의 자릿수 : 서술어가 .

① 한 자라 주에 서술이 다 뾰이 붉다 산의 내린다 .

② 두 자리 주에 목적에 서술이 다 竺喧 종아해


(
.

주에 보이 t 되대아니다 (서술어 ) 와 물의 일원이 되다 .

주에 필수부사에 서술이 다 쁘 너의 달다 17쁘가 학-교에 가다 .

. .

⑦ 세 자리 주에 필수부사에 목적에 서술이 다 나는 흥스에게 책은 주었다 .

☆ 빈출에 ☆ 에가 위를 N로 삼다mn ~

제가 쒀를 세게 짮
때가 달1를 세게 말하다
세가 쒸를 에 tum
une

에가 살살 와1과 의논하다 ~

~
에가 뭐를 간 여기다mm
안위한난문항임
째에 와
쀩멈은순간 譽評 .
이런 거 헷갈리지 말것 !

퍂관형이
주어
↳ 관형에 의존명사 t 주격조사 형태 .

매에 하나의 용언 다양한 자릿수에 가다 세월이 간다


떎 : 나는
+ →
.

집에 간다 .
t 필수부사의 빈출유형 10걑다닮다등 www.n
비교대상이 필요한 서술이 앞 다 나는 너와 다르다 .

mr
.

② 넘다두다 등
낙착떨어지는아도착하는) 지점이 필요한 서술이 앞 www.nnnmnnnvwmnnn
다 .
편지를 우체통에
www.n
넣었다
.

③ 수여동사 ( 주고받는 ) 목적이 앞 다 내가 나에게 선물을 주다 .


.

④ 베어에의뢰 형식의 부사이 다 나는 그말을 교훈으로 삼았다 .


결혼하다 싸우다 등 상대가 필요한 서술이 앞 왜철수가 영희와 이별했다
.

. m n
www.r

回 문장의 구조 池付二 주에 서술에 연결어미의 종류에 따라 명칭에다


홑문장 One set p 얘네는 A품사파터아에 굳이 안해도개
(겹문장의대5대 이어진 대등적 연결어미 (and .at
문장1대등적으로
(
-

종속적으로 ~
종속적 연결어미 ( 90같은게
안리안은 문장 역할에 따라 명칭 결정
必侈 .rs 얘의 얘는 전성어미
하이때어본용언t보조용인 구조 66T을 안은 문장
=
서술어1개로 본다 . 명사절부사정관형절인용절서술절

I이어진문장10대등적으로 이어진 문장 나열대조선택의 의미

( 앞절과 뒤 절의 의미상 관계
앞서뒤 바꾸기 가능

대등 독립적

"

囑鼈 :괎器翟땂쐁챯쑎몄샚쒏 2든메세나 다 .
바다에 개든지서내 집에서 쉬렴
.

페에이과는 대등연결종무연결보조연결 이미 셋다 있음 구분 어떻게 ? .

나열때에의 의미

悖到
.

0무지 시간적 선후관계0 (항상 민자자중이 있음 ) .

보조에 용언과 용언을 연결해준다 와철수는 밥을 먹곤 있다 .


.

② 종속적으로 이어진 나머지 의미

( If)
문장1나열대조선택의 앞절과 뒤 절의 의미상 관계 종속주종적
앞서 뒤 바꾸기 불가능1의미변화 생김)

* 종류 T ) 체의면 이제든 와래이 되면서뒤 더 열심히 해야한다


츞합 이유
.

i) ( ) 하아세이서에의니까 '
대 9 ~
107므로
a) 양보 .
이의2망정이이의2지라도 이의2지언정 ,

이의되목적 ) =
재계의려고 이해고자 .

제일
장난질 .tl 동시성 =
짜9 짜마자 "
며 "
면서 에나는 밥을 먹으며 책을 읽는다 .

네상황배경가간데사가데 " 1의니 와 돌아가보니 열려있었다 .


딴꾀 안은 문장10명사절 : 역할이 주어 보어 목적이 부사이인 절
명사형전성어미 에 '

(그녀가 그 일을 하기는 어렵다
[
.

"음 "
우리는 (그가 범인임1을 알고 있다
"
ex .
.

+ 매에 야냐11의냐 " "는가시의 마에 아는지시의 네어 등의 종결어마7명사절로 인정 !


에이제부터 네가 어떻게 하느냐 ( 혜는제에 따라 인생이 달라질 것이다 .

⑧ 관명절 역할이 관혐의인 절


:

관형사형 전성어미 위의 나는 시의 자던
'
ex .
이 책은 (내가 就幷췺다 .

姚川 동격관형절 vs 관계관형절 .

관형절의 꾸밈을 받는 체언이 관명절 전체의 내용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경우


訖二
관관형절의 꾸밈을 받는 체언이 관명절 속의 한 문장성분이 되는 경우
에철수가 온다는뿐을 들었다 뺘 철수가 온다
동격관형
읽워츠쁘다 ( 이것위내가
쌾 읽었고 이것은 책이다 .
내가
.

.
: 관계관형질
⑦ 부사절 역할이 부 사이인 절
:

"
와 그가 배꼽이 빠지도록 웃었다
I부사형 전성어미 6에 사도록
부사 파생접미사 이 이 비가 (소리도
없이 내린다 1없이가 완전한 부사이긴 하지만 부사절 인정 ! )
"
.
.


鄕玉 역할이 서술절인 절
* 절표지 (ex 전성어미 ) 가 따로 없음 앞에 나오는 주어를 에가 대신 뵈는 으로 나타내는 경우 多
' ' '
.
,

왜 코끼리는 고가 길다 炷 서술어
.

낱주다 풙어막은 서술이


※ 서술어가 되대아니다인 경위 ex .

나는 바보가 아니다 꺙 .
홑문장 서순절도 뭣도 아님 -
.

66
직접 인용절 큰 따옴표 이에 라괴하고 로 연결
99
⑦ 인용절 =
사용 ,
"

(
.

"
ex .
네가 어제 난 할 수 있어 라고 말했잖아 .

'
간접 인용절 작은 따옴표 = 6 9
or 아예 따옴표 X 9
고 /라고 이로 연결 .

ex . 네가 이제 < 넌 할 수 있다고> 말했잖아 .

酬岾표현주체 높임 주에 :

f 객체 높임 : 목적어 . 부사에
청자 높임 : 청자 小
'

① 주체 높입법 실현방법 -

선어말어미 이의 새 이 엄마가 시장에 가시다


.

높임주격조사 '
께서
'
와 선생께서 신경쓸 일은 아니오 .

특수어휘 계시다/ 잡수시다/ 주무시다 / 편찮으시다 / 돌아가시다 / 드시다생신101세 /진지 / 댁


=

v1 접미사 앰7 ex 선생님mm나 잡수다 역시 특수어휘 잡수다 t 사) 잡수시다


.
"
.
-

먹다 /마시다의 특수어화 들다 뼈를 또 높이면 班呻託 맥락


단어 계시다 ' 주무시다의 6세는 선어말어미 " 걍 있는거임
* 종류 직접 말 그대로 직접 1위 4가지 )
[
.

간접 주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에 대해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어 간접M


특수어휘x만 왜 할머니는 귀가 '
츠베다 .
교장선생님의 말씀이 있으시겠습vs니다 (계시겠습니다 N .
절­
"
주체논임심화 높임말 직접 a. 계시다이주무사나 드시다이 잡수시다 ⇒ 주체 높임에 한정된것
( 간접 와진자말씀생함약주 댁에 연세 병환 치아 ⇒ 아무높임이나 상관X
(
,

, :

鄕乞 직접 ex 제4) 저희우리) ,

[
.

Yi
화자를 t 간접 와말씀 내 말씀좀들이봐요 ! 와 같이 낮춤역시 가는
맹자를 4하는효과 졸고뻔고) .pt높임
② 객체높입법 실현방법 특수어휘리뵙다 모시다드리다 여쭙대예주대 ex.lt 할머니뫤고 먼저가
( 높임의부사격조사에
.

"
와 내가 섬n샌地① 드린 선물
* 객체놉임심화 : (아버지께서) (할아버지께 과일을 드리D었습니다 .

맛V v1 하십시오제
-
'

주체 객체 객체높임 주체논임 +상대뇦임


(특수어휘) ( 선어말어미)

i 할아버지께서 과일을 드셨다 印必砒 ) .

i. 빼주세뇐임
들다 辛咫小
30상대높입법 실현방법대말이며 申魂門 사용

|
구분

해쩨뼮11의문법-2명쨻-t햢쮡
다 다지가느냐 이라사라 이여라 자 테구나
하게세 는가마나 게
격식
하오세 -

오 -
오 -

1세오 빼다 기회주려
하십시오체 해다 배가 쉽시오 "
跳卜 X

에아마자군
비격식
이외아요이지와세요에서와군요
뻉서다네옵니다
의문 니는가옵니까
.

명령어라지오십시오
청웨자셉시다십시다
감탕주나을면구려
t해폐의 분조사 6왜 vs 연결어미 6왜차열대조의 의미g의
외종아해@ 와지건 산이 이건들이다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