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4

감수해주신 환이쌤과 석봉준 원장님께 감사드립니다.

저자 : 송상화(Songsam)
감수 : 박장환(환이쌤), 석봉준
발행처 : 쌤북(SsamBook)
초판 발행 : 2022년 10월 17일
주소 : 경기도 시흥시 서울대학로 264번길 25(배곧동), 아브뉴프랑 센트럴 블루 416호
전화 : 031-410-4619, 010-2010-4619
홈페이지 : https://ssambook.co.kr
ISBN :979-11-92368-48-1 (PDF)
정가 : 무료 배포
Copyright© 송상화 2022년, Printed in Korea
저작의 허락 없이 일부 혹은 전부를 인용 및 복제하거나 발췌하는 것을 금합니다.
잘못 만들어진 책은 교환해 드립니다.
교환 및 환불처리 등 구입 철회는 홈페이지나 전화로 문의 바랍니다.
교재의 대부분은 네이버의 마루부리와 나눔 그리고 경기천년 글꼴을 사용했습니다.
송샘의

어법루틴
최근 6개년 어법 유형을 분석하여
19개의 유형으로 나누고, 기본 개념과
유형별 풀이 루틴을 제시했습니다.
6월, 9월, 수능 어법 17문제를
루틴대로 풀고 고득점 하길 바랍니다.
SsamBook 5

수능 어법 유형을 맞춰야 하는 이유?


5
수능에서 어법은 1문제라 포기해도 그만이라고 생각하는 학생이 너무 많습니다. 왜 그럴까요?
학생 입장에선 가성비가 떨어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그러나 1~2등급을 원한다면
빈칸 추론을 잘 푸는 것 보다는 어법이 훨씬 적은 노력으로 빠르게 득점할 수 있습니다.
수능 출제 유형을 파악하고 루틴을 지켜서 연습하면 빠르고 정확하게 풀 수 있을 것입니다.

수능 어법 유형 통계(2017~2022년)
수능 어법을 동사 변형, 관계사, 품사, 대명사로 네 가지 나눌 수 있습니다. 분류 기준은 제 주관적
인 판단이며 편의를 위한 것으로 다른 견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분석 대상은 수능을 출제하는 한
국교육과정평가원의 6월, 9월, 수능이며 22년은 6월과 9월만 다뤘습니다. 전체 17문항 5개의 선택
지로 총 85개의 밑줄 어법 유형을 분석했습니다.

품사
15%
대명사 동사변형
동사변형
15% 관계사
52%
관계사 대명사
18% 품사

번호 모의고사 동사변형 관계사 대명사 품사


1 17년 6월 2 1 1 1
2 17년 9월 2 1 1 1
3 18년 대수능 3 1 1
4 18년 6월 2 1 1 1
5 18년 9월 1 1 1 2
6 19년 대수능 3 1 1
7 19년 6월 3 1 1
8 19년 9월 3 1 1
9 20년 대수능 2 1 1 1
10 20년 6월 2 1 2
11 20년 9월 3 1 1
12 21년 대수능 2 1 1 1
13 21년 6월 3 1 1
14 21년 9월 2 1 2
15 22년 대수능 4 1
16 22년 6월 3 1 1
17 22년 9월 4 1
합계 44 15 13 13
정답개수 9 4 1 3

Copyright 2022 Song Sang Hwa 모든 자료는 저작자의 허가없이 배포할 수 없습니다.
SsamBook

송샘이 분석한 수능 어법 세부 분석(2017~2022년)

Copyright 2022 Song Sang Hwa 모든 자료는 저작자의 허가없이 배포할 수 없습니다.
6
SsamBook 7
어법 문제를 풀 때 반드시 지켜야할 루틴
1. 연습할 때 항상 무엇을 묻는 문제인지 생각한다.
문제를 풀 때 밑줄을 친 이유가 무엇인지 향상 생각하는 습관을 만든다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해서
문제를 쉽게 풀 수 있게 됩니다.
Each daughter cell is smaller than the mother cell, and except for unusual cases, each grows until
s v c
it becomes as large as the mother cell ②was. (22년 대수능)
이 문제는 동사에 밑줄이 있습니다. 생각해 볼 것은 앞에 동사가 있는지, 주어의 수와 시제는 맞는지 뒤에
단어가 없으니 대동사인지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as long as로 보아 대동사로 볼 수도 있으나, 이전에
모세포가 큰 만큼의 의미로 large가 생략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각각의 딸세포는 모 세포보다 더 작으며,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각 모세포의 크기만큼 커질 때까지 자란다.)

2. 밑줄 친 단어의 문장을 한 단위로 봐야한다.


밑줄 친 단어의 앞과 뒤만 보면 함정에 빠질 수 있습니다. 수능 문제에서 단순한 배경지식을
물어보는 문제는 거의 출제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문장 안에서 단어의 역할을 확인해야 합니다.
But for such communication to occur, there must be strong guarantees ③which those <who
v s 관계사절의 S
receive the signal> will be better off believing it.
관계사절의 V C
there 구문으로 there는 장소부사기 때문에 도치되어 주어가 동사 뒤에 있습니다. 관계대명사에 밑줄이
있으므로 앞에 선행사를 먼저 파악해야 합니다. 선행사가 있고 뒤 문장이 완전하므로 접속사 that이 와야
합니다. (그러나 그러한 의사소통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신호를 받는 자가 그것을 믿는 것이 더 좋을 것이라는
강력한 보장이 있어야 한다.)

3.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 등 문장의 구성요소를 분석한다.


수능 어법 문제는 분석을 하는 동시에 풀리는 문제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습관적으로 분석해야 하며
분석된 것을 바탕으로 해석해서 풀어야 합니다.
But knowing and not telling does not give him that feeling of “superiority that, so to say, latently
S(주절의 주어) V I.O D.O(that절) S종속절의 주어
contained in the secret, fully ④ actualizing itself only at the moment of disclosure.”(19년 9월)
V 종속절의 동사필요

직접 목적어가 되는 that절을 분석해보면 주어만 있고 동사가 없습니다. 절(clause)에는 주어와 동사가 필요하
므로 동사가 있는지 확인하는 문제입니다. 중간에 수식어만 제외하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알면서 말하지 않는 것은 ‘말하자면 그 비밀 속에 보이지 않게 들어 있다가 폭로의 순간에만 완전히 실현되
는 우월감’ 이라는 그 기분을 그에게 주지 못한다.)

4. 수식어는 반드시 제외하고 푸는 습관을 가져라!


수식어가 문제로 출제되는 경우 외에서 수식구와 절, 삽입구와 절은 어법 문제를 풀 때는 방해물에 지나지
않습니다. 반드시 제거하고 문제를 풀어야 합니다.
<As far as communication between humans is concerned>, such commonality <of interests> ①is
< > 부사절로 수식어 S 전치사+명사 수식어 V
rarely achieved; even a pregnant mother has reasons to mistrust the chemical signals sent by her
fetus. (21년 9월) 정말 수식어만 제외하면 답이 쉽게 보이죠, 그렇습니다. 앞에 부사절과 뒤에 형용사구만
제거하니 주어와 동사의 수가 일치됨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인간 사이의 의사소통에 관한 한, 관심사의
그런 공통성은 좀처럼 이루어지지 않는데, 심지어 임산부도 태아가 보내는 화학적 신호를 믿지 못할 이유가 있다. )
SsamBook 8

준동사는?
준동사는 ‘동사에 준하는 것’ 으로 다시 말하면 동사였던 것이라고 생각하면 좋겠습니다.
동사는 주어와 목적어 또는 보어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준동사도 역시 그러합니다.

준동사의 생성 과정은 다음 도표를 보면 쉽게 이해가 될 것입니다. 두 문장이 합쳐질 때, 두번째 문


장의 주어는 앞에 주어와 같으면 생략, 그렇지 않으면 의미상주어를 써야 합니다. 두번째 동사는
동사로 다시 쓸 수 없으므로 결합된 문장에서 명사, 형용사, 부사의 역할을 하게 되는 데, 그것에
알맞은 부정사, 동명사, 분사로 형태가 바뀌어 쓰여집니다.

본 주어와 삭

같으면

본 주어와 다르면 → 의미상 주어


부정사 : for+명사, of+명사
동명사 : 소유격, 목적격

주어(S) 1문장 본동사(V) 주어(S) 2문장 동사(V)

명사 부정사

형용사 동명사 동

부사 분사

A. 동사변형(17문항 중 9문항 정답)

15
8 7 6 4 2 1 1
분사 수 준동사 병렬 문장원칙 대동사 시제 도치

동사 변형을 세분화 하면 분사(현재분사/과거분사), 동사의 수, 준동사(부정사 or 동명사),


동사의 병렬, 문장 원칙(동사 1개 여부), 대동사, 시제, 도치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SsamBook 9

1. 동사변형 - 분사(85개 밑줄 중 15개 출제)


준동사 중 하나인 분사는 현재분사와 과거분사로 나뉘며,
현재분사는 진행형에서 동사와 같이 쓰이고,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는 형용사로 주로 쓰이며 능동적
입니다. 과거분사는 완료 시제와 수동태에서 동사로 쓰이고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는 형용사로 수동
적입니다.
Ssam’s Routine
명사와 분사의 위치는 명사를 분사가 앞 뒤에서 수식할 수 있습니다.

분사
명사(주어) 분사
(동사) (동사)

Tips)명사를 주어, 분사를 동사로 해석합니다.


주어가 할 수 있으면 능동(현재분사, ~ing), 할 수 없으면 수동(과거분사 ~ed)

분사 routine 1) 명사를 수식할 때 능동/수동을 묻는 문제


These thieving bees sneak into the nest of an (unsuspecting/ unsuspected) “normal” bee
s v o
(known as the host), lay an egg near the pollen mass being gathered by the host bee for her
own offspring.(17년6월)
(해설)뒤에 있는 명사(normal bee)가 할 수 있으면 능동으로 ‘보통’ 벌이 눈치를 못 채고 있다는 것으로 현재
분사가 적절합니다. 만약 ‘보통’ 벌이 할 수 없다면 ‘눈치를 못 채게 된’ 수동의 의미로 문맥상 부적절합니다.
(도둑질하는 이런 벌은 이상한 낌새를 못 챈 (숙주라 알려진) ‘보통’ 벌의 집으로 슬며시 들어가서 숙주 벌이 자기
자신의 새끼를 위해 모으고 있는 꽃가루 덩어리 근처에 알을 낳고,)

Exercise 1)
When considered in this light, the visual preoccupation of early humans with the nonhuman
creatures (inhabited/inhabiting) their world becomes profoundly meaningful. (20년 대수능)

Exercise 2)
Scientists who experiment on themselves can, functionally if not legally, avoid the restrictions
(associated/associating) with experimenting on other people. (21년 대수능)
SsamBook 10

Ssam’s Routine
동사의 능동 or 수동을 묻는 문제는 뒤에 목적어를 먼저 확인한다.
뒤에 목적어가 있으면 능동(현재분사), 목적어가 없으면 수동(과거분사)이다.

Tips) 뒤에 명사가 있어도 수동인 경우에 주의해야 합니다.

 4형식 수동

Some people give one or two charities substantial amounts.


One or two charities are given substantial amounts by some people.
(간접 목적어를 주어로 만든 수동으로 뒤에 직접 목적어가 남아 있습니다.)

Substantial amounts is given one or two charities by some people,


(직접 목적어를 주어로 만든 수동으로 뒤에 간접 목적어가 남아 있습니다.)

4형식이 의심되는 문제는 ‘ ~에게 ~(해)주다’ 가능한지 직접 해보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each’는 ‘~에게 ~을 가르치다’ 가 되므로 4형식이 가능한 동사라고 생각하시며 됩니다.

간접 목적어와 직접 목적어는 의미가 다를 수 밖에 없으므로 수동태가 되어도 주어와 목적어가 비슷한


의미가 아닙니다. (One or two charities vs substantial amounts)

 5형식 수동

We elected him the chairman of study club. 과 같이 목적격 보어가 명사인 경우에 수동으로 바
뀌면, He was elected the chairman of study club by us. 수동태지만 뒤에 명사가 나오므로
목적어로 착각하게 됩니다. 그러나 He = the chairman으로 수동태로 바뀌면서 목적어가 주어가 되
므로 목적격 보어가 주격 보어가 된 경우입니다.

분사 routine 2) 동사에서 능동/수동을 묻는 문제


The independent self may be more (driven/driving) to cope by appealing to a sense of
s v
agency or control.(20년6월)
(해설) 뒤에 목적어를 확인해보면 to부정사가 목적어가 될 수 도 있습니다. 그러나 부사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니 확인해야 합니다. 우선 목적어로 보고 해석하면 (독립적인 자아가 주체 의식이나 통제 의식에 의해서

호소하는 것을 유도한다 .???) 뒤에 by가 나옴으로 능동적인 해석은 어색합니다. 그러므로 수동적으로 해야
적절하고 부정사가 원인으로 해석되어 부사적으로 쓰입니다.
(독립적 자기는 주체 의식이나 통제 의식에 호소함으로써 대처하도록 더 많이 유도될 수도 있다.)

Exercise 1)
An ethical issue is an identifiable problem, situation, or opportunity that requires a person to choose
from among several actions that may (be evaluated/evaluate) as right or wrong, ethical or
unethical.(22년 9월)
SsamBook 11

Ssam’s Routine
분사구문은 분사의 원래 주어를 확인해야 합니다.
분사구문은 원래 부사절을 부사구로 바꾼 것입니다. 그러므로 부사절의 주어를 파악해야
능동과 수동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분사 구문에서 주어는 주절의 주어와 같으면 생략되고, 같지 않으면 그냥 쓰면 됩니다.

<During this time>, the cell absorbs water, sugars, amino acids, and other nutrients,
S V O
assembling them <into new>, living protoplasm. (22년 대수능 변형)

분사구문인 assembling에 앞에 아무것도 없으므로 주어는 주절의 주어(the cell)과 같습니다.


뒤에 목적어가 있고 능동으로 해석되므로 현재분사로 적어야 합니다. (이 기간 동안, 세포는 물, 당,
아미노산, 그리고 다른 영양소들을 흡수하고 그것들을 새로운 살아있는 원형질로 조합한다.)

분사 rountine3) 분사구문에서 능동/수동을 묻는 문제


A cell is “born” as at win when its mother cell divides, (produced/producing) two daughter
S V
cells. (22년 대수능)(해설) 분사 앞에 주어가 없으므로 주어는 주절의 주어와 같은 A cell입니다.
뒤에 목적어가 있으므로 능동(producing)으로 적어야 합니다.
(세포는 모세포가 분열할 때 쌍둥이로 '탄생'하여, 두 개의 딸세포를 생성한다.)

Exercise 1)
Many people offer an equal split to the partner, (being left/leaving) both individuals happy and willing
to trust each other in the future. (18년 9월)

Exercise 2)
Divide an ecosystem into parts by creating barriers, and the sum of the productivity of the parts will
typically be found to be lower than the productivity of the whole, other things (equal/equaling/ being
equal) (22년 6월)

2. 동사변형 - 동사의 수 (8개) Ssam’s Routine

동사의 수를 묻는 문제는 당연히 주어를 찾아야 합니다.


주어를 찾기 어려운 지문은 수식구나 절이 많고 병렬인 문장이 많습니다. 주어를 쉽게 찾는 방법은
수식어, 삽입구나 절 등을 삭제하고 보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분석한다면 쉽게 답을 찾을 수 있는
문제입니다.

동사의 수를 묻는 문제는 자주 출제되나 정답으론 출제되지 않았습니다.


SsamBook 12
동사의 수 routine) 부사구나 절, 삽입구나 절, 분사 구문 등 모든 수식어는 삭제하고 보자!
Psychologists <who study giving behavior> (have/has) noticed that some people give
S V O, that절
substantial amounts to one or two charities(18년 대수능)
(해설)주어가 Psychologists 고 주어를 수식하는 관계사절이 있습니다. 삭제한다면 주어가 쉽게 찾고
복수동사(have)를 선택할 것입니다.
Exercise 1)
Speculations about the meaning and purpose of prehistoric art (relies/rely) heavily on analogies
drawn with modern-day hunter-gatherer societies. (20년 대수능)

Exercise 2)
The provision of timely, constructive feedback to participants on performance (is/are) an asset that
some competitions and contests offer.(20년 9월)

3. 동사의 변형 - 준동사 (7개) Ssam’s Routine

부정사는 ‘~할 일’, ‘~하려고 하는’의 의미로 앞으로 할 것입니다.


동명사는 ‘~해온 일’, ‘~하고 있는 일’의 의미로 과거나 지금 하고 있는 것입니다.

부정사는 ‘정할 수 없는’(infinitive)의 뜻으로 문장에서 명사, 형용사, 부사의 역할을


합니다. 그럼 명사적으로 쓰인 경우만 제외하면 모두 수식으로 쓰인다는 것으로
어법에서 중요한 것은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하는 부정사 입니다.

동명사는 동사가 명사가 된 것으로 당연히 명사의 역할을 하므로 주어, 목적어, 보어로
쓰일 수 있습니다.

동명사와 부정사를 선택하는 문제는 어디서 나올까요?


목적격 보어, 명사 뒤에서 형용사 수식, 전치사 다음 동명사, 동사의 목적어, 비교 대상 등
에 나올 수 있습니다.

준동사 routine) 부정사~할 일/ 동명사 ~해 온일, 해석하고 선택하자!


To begin with a psychological reason, the knowledge of another ’s personal affairs can
S
tempt the possessor of this information (to repeat/repeating) it as gossip because as
V O O.C
unrevealed information it remains socially inactive. (19년 9월)
(해설) 목적어인 ‘이 정보의 소유자’가 앞으로 반복을 하도록 시도하는 것이므로 목적격 보어로 부정사가
적절합니다. (심리적인 이유부터 시작하자면, 다른 사람의 개인적인 일에 대해 아는 것은 이 정보를 가진 사람이
그것을 뒷공론으로 반복하도록 부추길 수 있는데, 왜냐하면 숨겨진 정보로서는 그것이 사회적으로 비활동적인
상태로 남기 때문이다.)
SsamBook 13
Exercise 1)
In some circumstances, it may pave the way for genetic variants (to take/taking) hold in the
population of a species and eventually allow the emergence of a new species in place of the old
one.(18년 9월)

Exercise 2)
Safe passages, for example, enable migratory species (to survive/surviving). (22년 6월)

4. 동사의 변형 – 병렬 (6개) Ssam’s Routine

수능에서는 쉽게 드러나는 병렬 문제는 절대로 출제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반드시 해석을 하면서 풀어야 합니다.
대부분 병렬은 동사나 동사 변형으로 출제 됩니다. 주어를 찾아서 해석해야 문맥에 맞는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6번 출제 중에 2번 정답으로 출제되었으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Tips) 병렬은 등위접속사나 상관접속사에의해 연결된 것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구조적으


로 같은 형태라는 것입니다. 즉, 명사(구,절)+접속사+명사(구,절), 동명사+접속사+동명
사, 동사+접속사+동사, 전치사구+접속사+전치사구 등 구조적으로 형태가 같음

동사 병렬 routine) 병렬의 대상을 찾고 주어를 확인하자!


For example, we might hear a song <on the radio> <for the first time> that catches
S V O
our interest and (decide/decides) we like it.(19년 6월)
(해설) decide라면 hear의 병렬이고 decides라면 catches의 병렬입니다. we가 hear의 주어이고 catches는
선행사 a song이 주어입니다. 문맥상 뒤에 we like it의 명사절로 보아 주어는 a song이 맞습니다.
그러므로 decides가 적절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라디오에서 우리의 관심을 끄는 노래를 처음 듣고, 그 노래가 마음에 든다고 결정을 내릴 수 있다.)

Exercise 1)
After the cell has grown to the proper size, its metabolism shifts as it either prepares to divide
or matures and (differentiate/differentiates) into a specialized cell. (22년 대수능)
SsamBook 14

5. 동사의 변형 - 문장 원칙 (4개) Ssam’s Routine

문장의 원칙은 간단합니다. 문장에서 주절의 주어와 동사는 1개라는 것입니다.


출제 빈도는 높지 않지만 나오면 모두 정답으로 나왔습니다.

동사 변형 9개 정답 중 무려 4개가 문장 원칙입니다. 분석에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더 느끼


게 됩니다. 출제 유형은 동사가 나온 후 동사가 다시 나오는 경우, 종속절에 동사가 필요한
경우입니다.

문장의 원칙 routine) 분석해서 먼저 주어와 동사를 찾아라!


This overstated, often fictionalized version of nature is no more real <- and yet no less real
S V C
-> <to them than the everyday nature right outside their doors>, (waits/waiting) to be
discovered in a child’s way, at a child’s pace. (17년 9월)
(해설) 동사에 밑줄친 문제로 앞서 나온 부연 설명한 부분과 전치사+명사를 제거하면 동사가 나올 수 없습니
다. 비교 대상이 분사구문으로 주어는 the everyday nature로 볼 수 있으니 능동(현재 분사)이 적절합니다.
(이렇게 과장되고 자주 허구화된 형태의 자연은 바로 문밖에서 아이들의 방식과 속도로 발견되기를 기다리는 일상
의 자연보다 그들에게 더 현실적이지 않지만, 덜 현실적이지도 않다.)

Exercise 1)
With this form of agency comes the belief that individual successes (depend/depending) primarily
on one’s own abilities and actions, and thus, whether by influencing the environment or trying to
accept one’s circumstances, the use of control ultimately centers on the individual.
(20년 6월)

6. 동사의 변형 – 대동사 (2개) Ssam’s Routine

일반동사의 대동사는 do/does/did이고, 조동사의 대동사는 조동사입니다. 그러므로


수동태의 be와 완료의 have도 대동사로 쓰입니다. to 부정사는 to는 대부정사 to만
쓰면 됩니다. 정답으로 출제 가능성 높습니다. 가장 가능성 있는 출제 유형은 be동사와
일반 동사의 대동사 파악 유형입니다.

대동사 routine) 비교 대상에서 동사를 파악하자!


Never before and never since has the quality of monumentality been achieved as fully as it
V S V
(did/was) in Egypt. (19년 대수능)
(해설) 앞에 부정 부사가 나와 도치된 문장입니다. 뒤에 as가 나오고 주어와 대동사가 나오는데 비교 대상은
be achieved로 일반동사 대동사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문맥상 이전 내용으로 과거 시제가 적절합니다.
(그 전에도 그 이후에도, 기념비성이라는 특성이 이집트에서처럼 완전히 달성된 적은 한 번도 없었다.)
SsamBook 15

7. 동사의 변형 – 시제 (1개) Ssam’s Routine

시제 문제는 근거가 명확해야 하므로 시간 부사와 논리적 전후 상황을 확인합니다.


동사의 시제는 1번 출제 되었지만 정답으로 출제 되기 어렵습니다.
출제 가능성 있는 유형은 주절 보다 앞 선 종속절의 시제를 묻는 대과거 유형입니다.

시제 routine) 시간 부사, 구, 절을 찾아라!


A special harmony (emerges/emerged) that we missed before.(19년 6월)
S V O
(해설) 이 문장만으로는 답을 확답하기 어렵습니다. 앞 뒤 전후를 보아 하며 이글의 문맥상은 이전에
놓친 것이 이제 나타났다는 의미로 현재형이 적절합니다. (우리가 전에 놓쳤던 특별한 화음이 나타난다.)

8. 동사의 변형 – 도치 (1개) Ssam’s Routine

도치 문제는1번 출제 되었지만 정답으로 출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앞으로 정답 가능성이 높은 유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출제 가능성 있는 유형은 부정어 도치, only <when s+v> V+S 입니다.

도치 routine) only+ 부사절 +V+S, 뒤에 부사절은 도치되지 않음, 주절의 도치를 확인하자!
Only <when the information is repeated> can its possessor (turns/turn) the fact that he
V S V O
knows something into something socially valuable like social recognition, prestige, and
notoriety.(19년 9월) (해설) 도치는 주로 부사나 보어가 앞으로 나온 경우 이뤄집니다. 명확한 근거를
찾을 수 있는 문제는 부정어나 only정도라고 생각합니다. 이 경우 부사절이나 삽입구 등을 넣어 혼동을
주는 것을 조심해야 합니다.)
(그 정보를 소유한 사람은 그 정보가 반복될 때만 자신이 무언가를 알고 있다는 사실을 사회적 인지, 명성 그리고
악명과 같은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어떤 것으로 바꿀 수 있다.)
SsamBook 16

B. 관계사 (15문항 중 4문항 정답)

7
5
3

관계대명사 WHAT 관계부사

관계사/ 접속사 선택 문제 Ssam’s Routine

관계사 문제는 관계대명사/접속사, 관계대명사/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관계부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다음 Routine을 익힌다면 지신감이 붙을 것입니다.

1. 선행사가 있는 경우

선행사(O)  what(X) 동격(뒤 문장 완전, 구성요소가 모두 있음)

 that(O) 관계대명사(뒤 문장 불완전, 주어나 목적어가 없음)

 which(O) 관계대명사(뒤 문장 불완전, 주어나 목적어가 없음)

 why, how, when, where(O) 관계부사(뒤 문장 완전)

2. 선행사가 없는 경우

선행사(X)  what(O) 관계대명사(뒤 문장 불완전, 주어나 목적어가 없음)

 that(O) 접속사(뒤 문장 완전, 구성요소가 모두 있음)

 which(X)

 관계 부사는 선행사가 모두 생략 가능합니다. (뒤 문장 완전함)

단! the way와 how는 둘 중 하나는 반드시 적어야 합니다.

3. 수동태에서 선행사는?
수동태는 목적어가 주어가 되는 것으로 선행사가 주어로 되므로 원칙은 수식하는
관계사절이 따라가야 하지만 길어서 그냥 두는 경우 선행사가 주어가 됩니다.
그러므로 수동태인 경우 주어를 선행사로 봐야 합니다.

The mechanic was praised(that/what/which) was good at repairing electric cars by


the car owner. (그 정비사는 차주에게 전기차를 잘 수리했다고 칭찬을 받았다.)
수동태 문장입니다. 목적어가 주어가 된 경우로 정비사를 선행사로 보고 that을 써야 적절합니다.
which는 쓸 수 없으며, what을 쓰는 경우 문맥상 어색한 문장이 됩니다.
SsamBook 17

9. 관계사 - 관계대명사 (7개) Ssam’s Routine

관계대명사에서는 모두 격(格)에 관한 문제가 출제 되었고


소유격에 관한 문제가 한 번 정답으로 출제 되었습니다. 출제 가능성 높은 유형은 역시
소유격에 관한 문제와 what과 관계부사에 쓰임에 관한 문제입니다.
관계대명사 routine) 뒤 문장에서 부족한 구성요소인 주어나 목적어, 소유격을 찾아라!
Clepto means “thief” in Greek, and the term cleptoparasite refers specifically to an
S V O S V
organism (that/what) lives off another by stealing its food. (17년 6월)
(해설) 선행사가 있으므로 what은 쓸 수 없으며 관계사절에 주어가 없으므로 주격 관계대명사를 써야합니다.
사람이 아니므로 that이나 which를 쓸 수 있습니다.
(‘clepto’는 그리스어로 ‘도둑’을 의미하여 ‘cleptoparasite’라는 용어는 구체적으로 먹이를 훔침으로써 다른
것에 기생하는 생물을 가리킨다.)

Exercise 1)
The dual expressions of this tendency are anthropomorphism (the practice of regarding animals as
humans) and totemism (the practice of regarding humans as animals), both of (them/which) spread
through the visual art and the mythology of primitive cultures.(20년 대수능)

Exercise 2)
There are systems <that turn over in minutes>, and there are others (who/which) rhythmic time
extends to hundreds of years. (22년 6월)

10. 관계사 - What (5개) Ssam’s Routine

what에서 명심해야 할 것은 선행사가 없고, 뒤 문장이 불완전하다는 것입니다.


5번 출제에 무려 정답으로 2번 출제된 유형으로 다른 어법과 결합된 형태로 나옵니다.

What routine) 선행사가 없고 뒤 문장 불완전하다. (의문사로 쓰여도 불완전)


It’s all part of (which/what) Robert Pyle first called “the extinction of experience.”(17년 9월)
S.V 관계사절S V O.C
(해설) 뒤에 of 다음에 which가 오면 소유격 처럼 보이나 선행사가 없으므로적절하지 않으며,
선행사가 없고 뒤 문장이 불완전한 what이 적절합니다.)
(그것은 모두 Robert Pyle이 처음으로 ‘경험의 소멸’ 이라고 불렀던 것의 일부이다.)
SsamBook 18
Exercise 1)
Experimental results derived from a single subject are, therefore, of limited value; there is no way to
know (that/what) the subject’s responses are typical or atypical of the response of humans as a
group. (21년 대수능)

Exercise 2)
Then the next time we hear it, we hear a lyric we didn’t catch the first time, or we might notice
(that/what) the piano or drums are doing in the background. (19년 6월)

11. 관계사 - 관계부사 (3개) Ssam’s Routine

전치사+관계대명사는 관계부사와 바꿔 쓸 수 있으며 뒤 문장이 완전합니다


출제 가능성이 높은 유형은 선행사(생략) + 관계부사 뒤 문장 완전한 것입니다.
3번 출제 중에 정답으로 1번 나왔으니 매우 중요합니다.

관계 부사 routine) 선행사가 있거나 생략되었는지 보고 뒤 문장이 완전한지 확인하자!


Competitive activities can be more than just performance showcases (where/which)
S V C
the best is recognized and the rest are overlooked. (20년 9월)
관계사절S V
(해설) 관계사절의 수동태로 뒤 문장이 완전하므로 관계부사인 where를 써야 합니다.
(경쟁을 벌이는 활동은 최고는 인정받고 나머지는 무시되는, 단지 수행 기량을 보여주는 공개 행사 그 이상일
수 있다.)

Exercise 1)
The great markers of Stonehenge point <to the spots on the horizon (where/which) the sun rises
at the solstices and equinoxes ― the dates we still use to mark the beginnings of the seasons.
(21년 6월)

C. 대명사 (13문항 중 1문항 정답)

6
4
1 1 1
인칭과 수 재귀대명사 가주어, 가목적어 비인칭 격
SsamBook 19

12. 대명사 – 인칭과 수 (6개) Ssam’s Routine

대명사를 볼 때 항상 선행사를 파악하는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


6번 출제 되었으나 단독으로 정답이 된 경우는 없습니다.

대명사의 인칭 routine) 선행사를 파악해서 확인하라!


When the egg of the thief hatches, it kills the host’s offspring and then eats the pollen
S V O
meant for (its/their) victim. (17년 6월)
(해설) 문맥상 선행사는 it(the egg of the thief)로 보아야 하므로 소유격은 its가 적절합니다.
(그 도둑의 알이 부화하면, 그것은 숙주의 새끼를 죽이고, 그러고 나서 자기의 희생자를 위해 마련된 꽃가루를 먹는다.)

Exercise 1)
Many modern structures exceed (that/those) of Egypt in terms of purely physical size.(19년 대수능)

Exercise 2)
They can also sidestep most of the ethical issues involved: nobody, presumably, is more aware of an
experiment’s potential hazards than the scientist who devised (it/them).(21년 대수능)

13. 대명사 - 재귀대명사 (4개) Ssam’s Routine

주어를 목적어로 하는 재귀대명사는 주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제 가능성 있는 유형은 자신을 목적어로 쓰는데 목적격을 쓰거나, 수를 맞추지 않은 것


입니다. 그러나 정답으로 출제된 적은 없습니다.

재귀대명사 routine) 주어가 자신을 목적어로 쓰는 지 파악하자!


Knowing that they are giving makes (them/themselves) feel good, regardless of the impact
S V O O.C
of their donation. (18년 대수능)
(해설) 주어가 Knowing로 시작하는 동명사구로 목적어는 대명사를 써도 됩니다. 재귀대명사를 써야 하는
경우는 they가 주어가 되어야 합니다. (그들이 내는 기부가 끼치는 영향에 관계없이, 자신들이 기부를 하고 있다
는 것을 아는 것이 그들로 하여금 기분 좋게 만든다.)

Exercise 1)
In the practice of totemism, he has suggested, an unlettered humanity “broods upon
(itself/themselves) and its place in nature.” (20년 대수능)
SsamBook 20

14. 대명사 – 가주어, 가목적어(1개) Ssam’s Routine

가주어 it과 가목적어 it으로 받을 수 있는 것은 부정사와 명사절의 that뿐입니다.


출제 가능성은 역시 부정사의 가주어나 가목적어 입니다. 정답으로 출제 되지 않았습니다.

가주어routine) 뒤에 부정사나 that(명사)절이 있는지 확인하자!


People have shown again and again that people reject unfair offers even if (it/that) costs
S V O절
them money to do so. (18년 6월 변형)
(해설)단수 대명사로 선행사로 쓸 수 있는 것이 없으며 뒤에 부정사(진주어)로 보아 가주어가 적절합니다.)
(사람들은 불공정한 제안을 거부하는 것이 자신에게 돈이 든다고 해도 그렇게 한다는 것을 반복해서 보여 주었다.)

15. 대명사 – 비인칭 주어 (1개) Ssam’s Routine

시간의 비인칭 주어 문제는 도치되어 나옵니다. 출제 가능성 있는 유형은 단독으로 낼 수


는 없으니 특수한 구문과 결합되어 나오며 정답으로 출제되었습니다.

비인칭 주어 routine) 뒤에 시간, 날씨, 명암, 거리, 요일 , 날짜 등이 나오는지 확인하자!


Sometimes, the longer (it/that) takes for a work of art to reveal all of its subtleties to us,
S V 의미상주어
the more fond of that thing ― whether it’s music, art, dance, or architecture ― we become.
(19년 6월) (해설) the 비교급 구문으로 long을 앞으로 도치했습니다. 그러므로 it takes+시간+의미상 주어
+부정사 구문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때 it은 시간을 나타내는 비인칭 주어입니다.
(때때로 예술 작품이 우리에게 그것의 중요한 세부 요소들을 모두 드러내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그것이
음악이든, 미술이든, 춤이든, 또는 건축이든 간에 우리는 그것을 더 좋아하게 된다.)

16. 대명사 – 격(格) (1개) Ssam’s Routine

대명사의 격을 묻는 문제도 단독으로 출제하기 어려우며 문장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함께 물어보고 있습니다. 출제 가능성 있는 유형은 소유격의 수나 인칭에 관한 문제입니다.

격(格) routine) 명사나 대명사의 소유격 or 관계대명사 소유격이 필요한지 구분하자!


Early astronomy provided information about when to plant crops and gave humans
S V O V I.O
(their/whose) first formal method of recording the passage of time. (21년 6월)
D.O
(해설) 동사의 병렬로 gave가 쓰이고 다음에 간접 목적어 직접 목적어가 나와야 하는 4형식 동사입니다.
뒤에 관계사가 나올 수 없으며 동사가 없으므로 더욱 나올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소유격이 적절합니다.
(초기 천문학은 언제 작물을 심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고 인간에게 시간의 흐름을 기록하는 그들 최초
의 공식적인 방법을 제공했다.)
SsamBook 21

D. 품사 (13문항 중 3문항 정답)

7
4
2
접속사 부사 형용사 보어

문장의 구성 요소와 품사의 쓰임 Ssam’s Routine

S VOC M 부사(구, 절), 삽입구, 절


관계사절(목적어 제외),
;, :, - -, (부연 구,절)
제한적 형용사(구, 절)
명사 명사 명사
대명사 동사 대명사 형용사
접속사, 전치사, 감탄사

구성요소 S(주어), V(동사), O(목적어), C(보어와) 구성요소가 아닌 M(수식어)


와 품사와의 관계를 나타낸 표입니다. . 어법 문제에서 먼저 해야 할 것은 수식어를
파악하고 제외시키는 것입니다.

품사의 관계와 순서

부사
형용사, 부사 역할(수식)
제한적
형용사 명사(S) + 동사(V) 부사 전치사 set 명사

서술적
제한적 형용사
형용사

형용사의 위치
보통 형용사는 명사 앞에 나오나 -thing, -body, -one로 끝나는 명사는 뒤에서
수식합니다.
제한(한정)적 용법의 형용사 : 모두 수식이며 명사의 앞과 뒤에서 수식합니다.
서술형 용법의 형용사 : 2형식 동사의 주격 보어역할을 하는 형용사입니다.

부사의 위치
동사를 꾸밀 때는 동사의 앞 또는 뒤에 가능합니다. 일반 동사는 앞에, be동사는 뒤에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문장의 맨 앞에 나와서 전체 문장을 강조하기 합니다.
형용사를 꾸미는 부사는 ‘부사+형용사+명사’의 어순이 일반적입니다.
SsamBook 22

17. 품사 – 접속사 (7개) Ssam’s Routine

7개 중 정답으로 3개가 나올 만큼 매우 중요합니다. 앞에 관계사/접속사 선택 문제를

공부해주세요. 출제 가능성 있는 유형은 관계사/접속사 선택 문제입니다.

접속사 routine) 선행사가 있는지 없는지 찾아라!


((What/That) cell metabolism and structure should be complex) would not be surprising,
S V
but actually, they are rather simple and logical.(22년 대수능)
(해설) 주어로 쓰인 명사절이 주어+동사+보어로 완전하므로 what은 쓸 수 없으며 that을 접속사로
써야 합니다.
(세포의 물질대사와 구조가 복잡할 것임은 놀라운 것이 아니겠지만, 실제로 그것들은 꽤 간단하고 논리적이다.)

Exercise 1)
People from more individualistic cultural contexts tend to be motivated to maintain self-focused
agency or control (as/than) these serve as the basis of one’s self-worth.(20년 6월)

18. 품사 - 부사 (4개) Ssam’s Routine

부사는 어순이 중요합니다. '부사+형용사+명사’ 출제 가능성 있는 유형은 형용사, 동사,


준동사 수식하는 부사입니다. 정답으로 나온 적은 없습니다.

부사 routine) 무엇을 수식하는 지 해석해서 찾아라!


Nonetheless, experimenting on oneself remains (deep/deeply) problematic. (21년 대수능)
S V C
(해설) remains는 형용사 보어를 취하는 2형식 동사입니다. 보어를 꾸며주는 부사가 필요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실험하는 것은 여전히 문제가 심각하다.)

Exercise 1)
The provision of that type of feedback can be interpreted as shifting the emphasis to demonstrating
superior performance but not (necessary/necessarily) excellence. (20년 9월)
SsamBook 23

19. 품사 - 형용사 보어 (1개 ) Ssam’s Routine

형용사는 보어는 주격 보어와 목적격 보어로 쓰이고 주어와 목적어의


성질과 상태를 나타냅니다.

주격 보어로 쓰이는 경우 다음 동사에 주로 쓰이는데 우리말로는 부사로 해석될 수


있으니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A.(be, become), B.(get, grow, keep, remain, go, turn),


C(feel, smell, sound, taste), D.(look, seem, appear)

2형식에서 형용사를 보어로 취하는 동사가 5형식 동사로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경우가 많으니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형용사 보어 routine) 형용사 보어를 취할 수 있는 동사인지 확인해라!


The messages have to be kept, <on the whole>, (honest/honestly).(21년 9월)
S V
(해설) keep은 형용사 보어를 취하는 동사로 주어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가 적절합니다.
(메시지는 전체적으로 정직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

다음 쪽에 2017년~2022년까지
6월, 9월 수능어법 17문제가 제공 됩니다.
앞서 제시한 예시도 나옵니다. 알려드린 루틴으로
문제를 푼다면 수능에 좋은 결과가 있을 것입니다..

꼭!! 기본적인 루틴을 지켜서 풀어 주시기 바랍니다.


잘 이해가 되지 않으신 다면 유튜브(쌤북의 송샘)와
네이버 블로그, 카페(쌤북)에 송샘의 강의를 보세요.
한 문제가 1등급을 가르니 어법 문제로
좋은 결과 얻기를 바랍니다.
1.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2.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17년 6월) 1) (17년 9월) 2)
Though most bees fill their days visiting flowers and The lack of real, direct experience in and with nature has
collecting pollen, some bees take advantage of the hard caused many children to regard the natural world as mere
work of others. These thieving bees sneak into the nest of abstraction, that fantastic, beautifully filmed place ① filled
an ① unsuspecting “normal” bee (known as the host), lay with endangered rainforests and polar bears in peril. This
an egg near the pollen mass being gathered by the host overstated, often fictionalized version of nature is no
bee for her own offspring, and then sneak back out. When more real ― and yet no less real ― to them than the
the egg of the thief hatches, it kills the host’s offspring everyday nature right outside their doors, ② waits to be
and then eats the pollen meant for ② its victim. discovered in a child’s way, at a child’s pace. Consider
Sometimes called brood parasites, these bees are also the University of Cambridge study which found that a
referred to as cuckoo bees, because they are similar to group of eight-year-old children was able to identify ③
cuckoo birds, which lay an egg in the nest of another bird substantially more characters from animations than
and ③ leaves it for that bird to raise. They are more ④ common wildlife species. One wonders whether our
technically called cleptoparasites. Clepto means “thief” in children’s inherent capacity to recognize, classify, and
Greek, and the term cleptoparasite refers specifically to order information about their environment ― abilities once
an organism ⑤ that lives off another by stealing its food. essential to our very survival ― is slowly devolving to
In this case the cleptoparasite feeds on the host’s facilitate life in ④ their increasingly virtualized world. It’s
hard-earned pollen stores. all part of ⑤ what Robert Pyle first called “the extinction
* brood parasite: (알을 대신 기르도록 하는) 탁란 동물 of experience.”
* peril: 위험 ** devolve : 퇴화하다

출제자의 의도 출제자의 의도

동사 변형 : 분사, 명사와의 관계가 능동 or 수동 ①



bee를 주어로 볼 때 할 수 있으므로 능동
대명사 : 대명사의 수, 선행사 인칭과 수는?
② ②
선행사 파악, ‘부화한 도둑의 새끼 벌’
동사 변형 : 동사의 수. 병렬로 연결된 것?
③ ③
관계사 병렬로 선행사를 파악
품사 : 부사, 무엇을 수식하는지 파악?
④ ④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 필요
관계사 : 선행사, 뒤에 문장에 부족한 것?
⑤ ⑤
주어가 없으므로 주격 관계대명사가 적절
관계사 which의 동사가 병렬로 이어지는지 해
근거 석해서 파악해야 하며, 앞에 동사의 수가 단수 근거
인지 복수 인지 확인해야 함

- 1 -
3.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4.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3)(17년 11월, 18년 대수능)[3점] 4)(18년 6월)
Psychologists who study giving behavior ① have noticed Humans are so averse to feeling that they’re being
that some people give substantial amounts to one or two cheated ①that they often respond in ways that seemingly
charities, while others give small amounts to many make little sense. Behavioral economists ― the economists
charities. Those who donate to one or two charities seek who actually study ②what people do as opposed to the
evidence about what the charity is doing and ② what it is kind who simply assume the human mind works like a
really having a positive impact. If the evidence indicates calculator ― have shown again and again that people
that the charity is really helping others, they make a reject unfair offers even if ③it costs them money to do
substantial donation. Those who give small amounts to so. The typical experiment uses a task called the
many charities are not so interested in whether what they ultimatum game. It’s pretty straightforward. One person in
are ③ doing helps others ─ psychologists call them warm a pair is given some money ― say $10. She then has the
glow givers. Knowing that they are giving makes ④ them opportunity to offer some amount of it to her partner. The
feel good, regardless of the impact of their donation. In partner only has two options. He can take what’s offered
many cases the donation is so small ─ $10 or less ─ that or ④refused to take anything. There’s no room for
if they stopped ⑤ to think, they would realize that the negotiation; that’s why it’s called the ultimatum game.
cost of processing the donation is likely to exceed any What typically happens? Many people offer an equal split
benefit it brings to the charity. to the partner, ⑤leaving both individuals happy and willing
to trust each other in the future.

* averse to: ~ 을 싫어하는 ** ultimatum: 최후통첩

출제자의 의도 출제자의 의도

① ①

② ②

③ ③

④ ④

⑤ ⑤

근거 근거

- 2 -
5.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6.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18년 9월)(5) (18년 11월, 19년 대수능)([3점] 6)
Not all organisms are able to find sufficient food to “Monumental” is a word that comes very close to ①
survive, so starvation is a kind of disvalue often found in expressing the basic characteristic of Egyptian art. Never
nature. It also is part of the process of selection ①by before and never since has the quality of monumentality
which biological evolution functions. Starvation helps filter been achieved as fully as it ②did in Egypt. The reason for
out those less fit to survive, those less resourceful in this is not the external size and massiveness of their
finding food for ②themselves and their young. In some works, although the Egyptians admittedly achieved some
circumstances, it may pave the way for genetic variants amazing things in this respect. Many modern structures
③to take hold in the population of a species and exceed ③those of Egypt in terms of purely physical size.
eventually allow the emergence of a new species in place But massiveness has nothing to do with monumentality. An
of the old one. Thus starvation is a disvalue that can help Egyptian sculpture no bigger than a person’s hand is more
make ④possible the good of greater diversity. Starvation monumental than that gigantic pile of stones ④that
can be of practical or instrumental value, even as it is an constitutes the war memorial in Leipzig, for instance.
intrinsic disvalue. ⑤What some organisms must starve in Monumentality is not a matter of external weight, but of
nature is deeply regrettable and sad. The statement “inner weight.” This inner weight is the quality which
remains implacably true, even though starvation also may Egyptian art possesses to such a degree that everything
sometimes subserve ends that are good. in it seems to be made of primeval stone, like a mountain
*implacably 확고히 **subserve 공헌하다 range, even if it is only a few inches across or ⑤carved
in wood.
* gigantic: 거대한 ** primeval: 원시 시대의

출제자의 의도 출제자의 의도

① ①

② ②

③ ③

④ ④

⑤ ⑤

근거 근거

- 3 -
7.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8.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19년 6월)[3점] 7) (19년 9월)[3점] 8)
An interesting aspect of human psychology is that we tend To begin with a psychological reason, the knowledge of
to like things more and find them more ①appealing if another ’s personal affairs can tempt the possessor of this
everything about those things is not obvious the first time information ① to repeat it as gossip because as
we experience them. This is certainly true in music. For unrevealed information it remains socially inactive. Only
example, we might hear a song on the radio for the first when the information is repeated can its possessor ② turn
time that catches our interest and ②decide we like it. the fact that he knows something into something socially
Then the next time we hear it, we hear a lyric we didn’t valuable like social recognition, prestige, and notoriety. As
catch the first time, or we might notice ③what the piano long as he keeps his information to ③ himself, he may
or drums are doing in the background. A special harmony feel superior to those who do not know it. But knowing
④emerges that we missed before. We hear more and and not telling does not give him that feeling of
more and understand more and more with each listening. “superiority that, so to say, latently contained in the
Sometimes, the longer ⑤that takes for a work of art to secret, fully ④ actualizing itself only at the moment of
reveal all of its subtleties to us, the more fond of that disclosure.” This is the main motive for gossiping about
thing ― whether it’s music, art, dance, or architecture ― well-known figures and superiors. The gossip producer
we become. assumes that some of the “fame” of the subject of gossip,
* subtleties: 중요한 세부 요소[사항]들 as ⑤ whose “friend” he presents himself, will rub off on
him.
* prestige: 명성 ** notoriety: 악명 *** latently: 잠재적으로

출제자의 의도 출제자의 의도

① ①

② ②

③ ③

④ ④

⑤ ⑤

근거 근거

- 4 -
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10.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
(19년 11월, 20년 대수능)9) 은? (20년 6월) 10)
Speculations about the meaning and purpose of prehistoric People from more individualistic cultural contexts tend to
art ①rely heavily on analogies drawn with modern-day be motivated to maintain self-focused agency or control
hunter-gatherer societies. Such primitive societies, ②as ① as these serve as the basis of one’s self-worth. With
Steven Mithen emphasizes in The Prehistory of the this form of agency comes the belief that individual
Modern Mind, tend to view man and beast, animal and successes ② depending primarily on one’s own abilities
plant, organic and inorganic spheres, as participants in an and actions, and thus, whether by influencing the
integrated, animated totality. The dual expressions of this environment or trying to accept one’s circumstances, the
tendency are anthropomorphism (the practice of regarding use of control ultimately centers on the individual. The
animals as humans) and totemism (the practice of independent self may be more ③ driven to cope by
regarding humans as animals), both of ③which spread appealing to a sense of agency or control. However,
through the visual art and the mythology of primitive people from more interdependent cultural contexts tend to
cultures. Thus the natural world is conceptualized in be less focused on issues of individual success and
terms of human social relations. When considered in this agency and more motivated towards group goals and
light, the visual preoccupation of early humans with the harmony. Research has shown ④ that East Asians prefer
nonhuman creatures ④inhabited their world becomes to receive, but not seek, more social support rather than
profoundly meaningful. Among hunter-gatherers, animals seek personal control in certain cases. Therefore, people
are not only good to eat, they are also good to think ⑤ who hold a mor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may
about, as Claude Lévi-Strauss has observed. In the prefer to cope in a way that promotes harmony in
practice of totemism, he has suggested, an unlettered relationships.
humanity “broods upon ⑤itself and its place in nature.” * self-construal: 자기 구성
* speculation: 고찰 ** analogy: 유사점
*** brood: 곰곰이 생각하다

출제자의 의도 출제자의 의도

① ①

② ②

③ ③

④ ④

⑤ ⑤

근거 근거

- 5 -
11.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 12.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
은? (20년 9월)[3점] 11) 은? (20년 11월, 21년 대수능)[3점] 12)
Competitive activities can be more than just performance Regulations covering scientific experiments on human
showcases ① which the best is recognized and the rest subjects are strict. Subjects must give their informed,
are overlooked. The provision of timely, constructive written consent, and experimenters must submit their
feedback to participants on performance ② is an asset proposed experiments to thorough examination by
that some competitions and contests offer. In a sense, all overseeing bodies. Scientists who experiment on
competitions give feedback. For many, this is restricted to themselves can, functionally if not legally, avoid the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participant is an award- or restrictions ① associated with experimenting on other
prizewinner. The provision of that type of feedback can people. They can also sidestep most of the ethical issues
be interpreted as shifting the emphasis to demonstrating involved: nobody, presumably, is more aware of an
superior performance but not ③ necessarily excellence. experiment’s potential hazards than the scientist who
The best competitions promote excellence, not just devised ② it. Nonetheless, experimenting on oneself
winning or “beating” others. The emphasis on superiority remains ③ deeply problematic. One obvious drawback is
is what we typically see as ④ fostering a detrimental the danger involved; knowing that it exists ④ does
effect of competition. Performance feedback requires that nothing to reduce it. A less obvious drawback is the
the program go beyond the “win, place, or show” level of limited range of data that the experiment can generate.
feedback. Information about performance can be very Human anatomy and physiology vary, in small but
helpful, not only to the participant who does not win or significant ways, according to gender, age, lifestyle, and
place but also to those who ⑤ do. other factors. Experimental results derived from a single
*foster: 조장하다 **detrimental: 유해한 subject are, therefore, of limited value; there is no way to
know ⑤ what the subject’s responses are typical or
atypical of the response of humans as a group.
* consent: 동의 ** anatomy: (해부학적) 구조
*** physiology: 생리적 현상

출제자의 의도 출제자의 의도

① ①

② ②

③ ③

④ ④

⑤ ⑤

근거 근거

- 6 -
13.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 14.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
은?(21년 6월) 13) 은?(21년 9월) 14)
Most historians of science point to the need for a reliable Accepting whatever others are communicating only pays
calendar to regulate agricultural activity as the motivation off if their interests correspond to ours ― think cells in a
for learning about what we now call astronomy, the study body, bees in a beehive. As far as communication between
of stars and planets. Early astronomy provided information humans is concerned, such commonality of interests ① is
about when to plant crops and gave humans ① their first rarely achieved; even a pregnant mother has reasons to
formal method of recording the passage of time. mistrust the chemical signals sent by her fetus.
Stonehenge, the 4,000-year-old ring of stones in southern Fortunately, there are ways of making communication
Britain, ② is perhaps the best-known monument to the work even in the most adversarial of relationships. A prey
discovery of regularity and predictability in the world we can convince a predator not to chase ② it. But for such
inhabit. The great markers of Stonehenge point to the communication to occur, there must be strong guarantees
spots on the horizon ③ where the sun rises at the ③ which those who receive the signal will be better off
solstices and equinoxes ― the dates we still use to mark believing it. The messages have to be kept, on the whole,
the beginnings of the seasons. The stones may even have ④ honest. In the case of humans, honesty is maintained
④ been used to predict eclipses. The existence of by a set of cognitive mechanisms that evaluate ⑤
Stonehenge, built by people without writing, bears silent communicated information. These mechanisms allow us to
testimony both to the regularity of nature and to the accept most beneficial messages ― to be open ― while
ability of the human mind to see behind immediate rejecting most harmful messages ― to be vigilant.
appearances and ⑤ discovers deeper meanings in events. * fetus: 태아 ** adversarial: 반대자의 *** vigilant: 경계하는
* monument: 기념비 ** eclipse: (해 달의) 식(蝕) ***
testimony: 증언

출제자의 의도 출제자의 의도

① ①

② ②

③ ③

④ ④

⑤ ⑤

근거 근거

- 7 -
15.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 16.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
은? (21년 11월, 22년 대수능)[3점] 15) 은? (22년 6월)[3점] 16)
Like whole individuals, cells have a lifespan. During their Ecosystems differ in composition and extent. They can be
life cycle (cell cycle), cell size, shape, and metabolic defined as ranging from the communities and interactions
activities can change dramatically. A cell is “born” as at of organisms in your mouth or ① those in the canopy of a
win when its mother cell divides, ① producing two rain forest to all those in Earth’s oceans. The processes
daughter cells. Each daughter cell is smaller than the ② governing them differ in complexity and speed. There
mother cell, and except for unusual cases, each grows are systems that turn over in minutes, and there are
until it becomes as large as the mother cell ② was. others ③ which rhythmic time extends to hundreds of
During this time, the cell absorbs water, sugars, amino years. Some ecosystems are extensive (‘biomes’, such as
acids, and other nutrients and assembles them into new, the African savanna); some cover regions (river basins);
living protoplasm. After the cell has grown to the proper many involve clusters of villages (micro-watersheds);
size, its metabolism shifts as it either prepares to divide others are confined to the level of a single village (the
or matures and ③ differentiates into a specialized cell. village pond). In each example there is an element of
Both growth and development require a complex and indivisibility. Divide an ecosystem into parts by creating
dynamic set of interactions involving all cell parts. ④ barriers, and the sum of the productivity of the parts will
What cell metabolism and structure should be complex typically be found to be lower than the productivity of the
would not be surprising, but actually, they are rather whole, other things ④ being equal. The mobility of
simple and logical. Even the most complex cell has only a biological populations is a reason. Safe passages, for
small number of parts, each ⑤ responsible for a distinct, example, enable migratory species ⑤ to survive.
well-defined aspect of cell life. *canopy 덮개 **basin 유역
*metabolic 물질대사의 **protoplasm 원형질

출제자의 의도 출제자의 의도

① ①

② ②

③ ③

④ ④

⑤ ⑤

근거 근거

- 8 -
17.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
은? (22년 9월)17)
Recognizing ethical issues is the most important step in
understanding business ethics. An ethical issue is an
identifiable problem, situation, or opportunity that requires
a person to choose from among several actions that may
① be evaluated as right or wrong, ethical or unethical. ②
Learn how to choose from alternatives and make a
decision requires not only good personal values, but also
knowledge competence in the business area of concern.
Employees also need to know when to rely on their
organizations’ policies and codes of ethics or ③ have
discussions with co-workers or managers on appropriate
conduct. Ethical decision making is not always easy
because there are always gray areas ④ that create
dilemmas, no matter how decisions are made. For
instance, should an employee report on a co-worker
engaging in time theft? Should a salesperson leave out
facts about a product’s poor safety record in his
presentation to a customer? Such questions require the
decision maker to evaluate the ethics of his or her choice
and decide ⑤ whether to ask for guidance.

출제자의 의도

근거

- 9 -
평가원 어법 문제 해설(17년~22년) 2) : ② (17년 9월)
(지문 해석)
1) : ③ (17년 6월)
자연 속에서 그리고 자연과 함께하는 진정한 직접적인 경험의
(지문 해석)
결핍은 많은 아이들로 하여금 자연계를 환상적이고 아름답게
대부분의 벌은 꽃을 방문하고 꽃가루를 모으면서 하루를 보내
영화화된 장소가 멸종위기에 빠진 열대우림과 위기에 빠진 북
지만, 몇몇 벌은 다른 벌의 힘든 노동을 이용한다. 도둑질하는
극곰으로 채워져 있는 단순한 추상적인 것으로 간주하게 해왔
이런 벌은 이상한 낌새를 못 챈 (숙주라 알려진) ‘보통’ 벌의 집
다. 이렇게 과장되고 자주 허구화된 형태의 자연은 바로 문밖에
으로 슬며시 들어가서 숙주 벌이 자기 자신의 새끼를 위해 모으
서 아이들의 방식과 속도로 발견되기를 기다리는 일상의 자연
고 있는 꽃가루 덩어리 근처에 알을 낳고, 그러고 나서 슬그머
보다 그들에게 더 현실적이지 않지만, 덜 현실적이지도 않다.
니 도로 나온다. 그 도둑의 알이 부화하면, 그것은 숙주의 새끼
여덟 살 난 한 집단의 아이들이 흔한 야생의 종보다 가상의 캐
를 죽이고, 그러고 나서 자기의 희생자를 위해 마련된 꽃가루를
릭터를 상당히 더 많이 구별해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한 케임브
먹는다. 가끔 탁란(托卵) 동물로 불리는 이 벌은 뻐꾸기 벌이라
리지 대학의 연구를 고려해보라. 사람들은 우리 아이들이 자신
고 불리기도 하는데, 다른 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놓고 그 알을
들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분류하며, 체계화 할 내재
그 새가 기르도록 두는 뻐꾸기와 유사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더
적 능력, 즉, 한때 바로 우리의 생존에 필수적이었던 능력이 서
전문적으로는 cleptoparasite라 불린다. ‘clepto’는 그리스어로
서히 퇴화하여 점점 더 가상화된 세계에서의 삶을 용이하게 하
‘도둑’을 의미하여 ‘cleptoparasite’라는 용어는 구체적으로 먹
고 있는지 궁금해 한다. 그것은 모두 Robert Pyle이 처음으로
이를 훔침으로써 다른 것에 기생하는 생물을 가리킨다. 이 경우
‘경험의 소멸’이라고 불렀던 것의 일부이다.
그 cleptoparasite는 숙주가 애써서 얻은 꽃가루 비축물을 먹고
산다.
(평가원 해설)
②번이 정답이다. 이 문장은 주어가 This~version od
(평가원 해설)
nature, 동사가 is로 이어지는 완전한 문장 구조인데, 접속사
③, 두 개의 동사구인 lay an egg in the nest of another 도 없이 동사 waits가 또 나올 수 없다.
bird와 leaves it for that bird to raise가 and로 연결되어
관계사 which(=cuckoo birds)의 술어 역할을 해야 한다. 따 ①은 place를 수식하는 과거분사 filled는 뒤에 목적어가 없
라서 관계사 which의 선행사가 복수이므로 leaves를 leave 는 것으로 보아 옳다.
로 바꿔야 한다. ③은 뒤에 형용사 more를 수식하므로 부사의 쓰임이 옳다.
④는 ‘우리 아이들’을 지칭하므로 복수 지칭어 their이 옳다.
① 형용사 unsuspecting이 명사구인 “normal” bee를 수 ⑤는 선행사 없이 뒤에 call의 목적어가 없는 관계대명사가
식하고 있으므로, 형용사 unsuspecting의 쓰임은 적절하다. 쓰여야하므로 what이 옳다.
② its는 부화한 ‘도둑’의 새끼 벌을 가리킨다. 따라서 그것
을 its로 대신한 것은 적절하다. ④ 수동태형의 동사인 are
called를 수식해야 하므로 부사구인 more technically를 사
용한 것은 적절하다. ⑤ 관계절 안에서 주어 역할을 하고 선
행사인 an organism을 수식하는 관계절을 이끄는 관계사로
that을 사용한 것은 적절하다.

- 10 -
3) : ② (17년 11월, 18년 수능) 4) : ④ (18년 6월)
(지문 해석) (지문 해석)
기부하는 행위를 연구하는 심리학자들은 어떤 사람들은 한두 인간은 속고 있다고 느끼는 것을 매우 싫어해서 흔히 겉보기에
자선단체에 상당한 액수를 기부하는 반면에, 어떤 사람들은 많 는 거의 말이 되지 않는 방식으로 반응한다. 인간의 마음이 계
은 자선단체에 적은 액수를 기부한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한두 산기처럼 작동한다고 단순히 가정하는 부류의 사람들과는 대조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사람들은 그 자선단체가 무슨 일을 하고 적으로 사람들이 하는 행동을 실제로 연구하는 경제학자들인
있는가와 그것이 실제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는가에 관 행동경제학자들은, 사람들은 불공정한 제안을 거부하는 것이 자
한 증거를 찾는다. 자선단체가 정말로 다른 사람들을 도와주고 신에게 돈이 든다고 해도 그렇게 한다는 것을 반복해서 보여 주
있다는 것을 증거가 보여줄 경우 그들은 상당한 기부금을 낸다. 었다. 대표적인 실험은 최후통첩 게임이라고 불리는 과업을 이
많은 자선단체에 적은 액수를 내는 사람들은 그들이 하고 있는 용한다. 그것은 매우 간단하다. 짝을 이루는 두 사람 중 한 사람
일이 다른 사람들을 돕는지에는 그렇게 많은 관심을 갖지 않는 이 얼마간의 돈, 가령 10달러를 받는다. 그러고 나서 그 사람은
다. 심리학자들은 그들을 따뜻한 불빛 기부자라고 부른다. 그들 자기 짝에게 그 돈의 일부를 주는 기회를 가진다. 그 짝에게는
이 내는 기부가 끼치는 영향에 관계없이, 자신들이 기부를 하고 두 가지의 선택권만 있다. 그는 주어지는 것을 받거나, 아무것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 그들로 하여금 기분 좋게 만든다. 많은 도 받지 않겠다고 거절할 수 있다. 협상의 여지는 없고, 그런 이
경우 기부금은 10달러 이하의 매우 적은 금액이어서, 그들이 곰 유로 그것은 최후통첩 게임이라 불린다. 대체로 어떤 일이 일어
곰이 생각해 보면, 기부금을 처리하는 비용이 그것이 자선단체 나는가? 많은 사람은 짝에게 똑같이 나눈 몫을 제안하며, 그것
에 가져다주는 모든 이점을 넘어서기 쉽다는 것을 깨달을 것이 은 두 사람을 모두 행복하게 하고 장래에 서로를 기꺼이 신뢰하
다. 게 한다.

(평가원 해설) (평가원 해설)


② 뒤에 핵심 요소를 모두 갖춘 절이 이어지고 있으므로 ④, 문맥상 or를 기준으로 동사 원형 take와 병렬 관계를 이
what은 올 수 없다. 문맥상 ‘~인지’의 의미가 되어야 하므로 루어 can에 이어져야 하므로 refuse로 고쳐야 한다.
what을 whether로 고쳐야 한다.
① ‘매우 ~해서 …하다’는 「so ~ that ...」 구문이 사용되
① 주어의 핵이 복수인 Psychologists이므로 복수형인 have 었으므로, that은 적절하다.
는 어법상 적절하다. ② study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관계절을 이끌어야 하므로,
③ be동사 are와 연결되어 현재진행형으로 쓰인 doing이므 선행사가 포함된 관계사 what은 적절하다.
로 어법상 적절하다. ③ ‘~하면 A에게 B의 비용이 든다’는 의미의 「it costs A
④ they는 대명사이므로 them은 어법상 적절하다. B to do 」가 사용되었으므로, it은 적절하다.
⑤ stop 다음에 목적의 의미를 지닌 to부정사를 사용하여 ⑤ offer an equal split to the partner와 동시에 일어나는
‘~하기 위하여 멈추다, 곰곰이 ~하다’의 의미를 전달하고 있 일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을 이끌고 있으므로, leaving은 적절
으므로 어법상 적절하다. 하다.

- 11 -
5) : ⑤ (18년 9월) 6) : ② (18년 11월, 19년 수능)
(지문 해석) (지문 해석)
모든 유기체가 생존에 충분한 먹이를 구할 수는 없으므로, 기아 기념비적’이라는 말은 이집트 예술의 기본적인 특징을 표현하는
는 자연에서 흔히 발견되는 일종의 반가치(反價値)이다. 그것은 데 매우 근접하는 단어이다. 그 전에도 그 이후에도, 기념비성
또한 생물학적 진화가 기능하게 되는 선택 과정의 일부이기도 이라는 특성이 이집트에서처럼 완전히 달성된 적은 한 번도 없
하다. 기아는 살아남기에 덜 적합한 것들, 즉 자신과 자신의 새 었다. 이에 대한 이유는 그들 작품의 외적 크기와 거대함이 아
끼 들을 위한 먹이를 찾는 수완이 모자라는 것들을 걸러 내는 니다―비록 이집트인들이 이 점에 있어서 몇 가지 대단한 업적
데 도움을 준다. 몇몇 상황에서 기아는 유전적 변종들이 종의 을 달성했다는 것이 인정되지만, 많은 현대 구조물은 순전히 물
개체군을 장악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고 결국에는 이전의 종을 리적인 크기의 면에서는 이집트의 구조물들을 능가한다. 그러나
대신하여 새로운 종이 출현할 수 있게 할지도 모른다. 따라서 거대함은 기념비성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 예를 들어, 겨우 사
기아는 더 큰 다양성이 주는 이익을 가능하게 하는 데 도움이 람 손 크기의 이집트의 조각이 Leipzig의 전쟁 기념비를 구성하
될 수 있는 반가치이다. 기아가 고유한 반가치가 되는 바로 그 는 그 거대한 돌무더기보다 더 기념비적이다. 기념비성은 외적
순간, 실용적인, 즉 도구적인 가치를 지닐 수 있다. 일부 유기체 무게의 문제가 아니라 ‘내적 무게’의 문제이다. 이 내적 무게가
들이 자연에서 기아를 겪어야 한다는 것은 매우 유감스럽고 슬 이집트 예술이 지닌 특성인데, 이집트 예술은 그 안에 있는 모
프다. 기아가 때로 좋은 목적에 공헌할 수도 있기는 하지만, 그 든 작품이 단지 폭이 몇 인치에 불과하거나 나무에 새겨져 있을
말은 여전히 확고하게 진실이다. 지라도, 마치 산맥처럼 원시 시대의 돌로 만들어진 것처럼 보일
정도이다.
(평가원 해설)
⑤‘~라는 것’이라는 뜻을 표현하려면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 (평가원 해설)
사 that을 써야 한다. 뒤에 필수적인 구성 성분을 모두 갖춘 ②, it은 the quality of monumentality를 가리키고 문맥상
완전한 절이 왔으므로 what은 쓸 수 없다. 그것이 달성되었다는 의미로 was achieved를 대신할 수 있
게 did를 was로 고쳐야 한다.
① 관계대명사 which의 선행사는 the process of selection
이다. by which는 결국 function에 연결되어 function by ① 전치사 to에 이어지는 동명사로 어법에 맞는 표현이다.
the process of selection(선택의 과정에 의해 기능하다)이 ③ 앞에 있는 복수 명사인 structures를 대신하는 those로
라는 의미를 표현하기 때문에 올바른 표현이다. 어법에 맞는 표현이다.
② those less resourceful과 동일한 대상을 가리키므로 재 ④ that gigantic pile of stones를 수식하는 관계절을 이끄
귀대명사 themselves는 올바른 표현이다. 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어법에 맞는 표현이다.
③ to take hold ~는 앞선 의미상의 주어 for genetic ⑤ even if it is에 이어지는 표현으로 carved는 어법에 맞
variants와 함께 그 앞의 명사 the way을 수식하는 형용사 는 표현이다.
적 용법으로서 올바른 표현이다.
④ the good of greater diversity는 동사 make의 목적어
이며 possible이 목적격 보어이다. 목적어가 상대적으로 길
어서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가 도치된 형태이므로 올바른 표
현이다.

- 12 -
7) : ⑤ (19년 6월) 8) : ④ (19년 9월)
(지문 해석) (지문 해석)
인간 심리의 흥미로운 일면은, 우리가 처음으로 어떤 것들을 경 심리적인 이유부터 시작하자면, 다른 사람의 개인적인 일에 대
험할 때 그것들에 대한 모든 것이 분명하지 않은 경우에 그것들 해 아는 것은 이 정보를 가진 사람이 그것을 뒷공론으로 반복하
을 더 좋아하고 그것들이 더 매력적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 도록 부추길 수 있는데, 왜냐하면 숨겨진 정보로서는 그것이 사
다는 것이다. 이것은 음악에 있어서 분명히 사실이다. 예를 들 회적으로 비활동적인 상태로 남기 때문이다. 그 정보를 소유한
어 우리는 라디오에서 우리의 관심을 끄는 노래를 처음 듣고, 사람은 그 정보가 반복될 때만 자신이 무언가를 알고 있다는 사
그 노래가 마음에 든다고 결정을 내릴 수 있다. 그러고 나서 다 실을 사회적 인지, 명성 그리고 악명과 같은 사회적으로 가치
음에 그것을 들을 때, 우리는 처음에 알아차리지 못한 가사를 있는 어떤 것으로 바꿀 수 있다. 자신의 정보를 남에게 말하지
듣거나, 배경에서 피아노나 드럼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아챌 않는 동안은, 그는 그것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보다 자신이 우월
수 있다. 우리가 전에 놓쳤던 특별한 화음이 나타난다. 우리는 하다고 느낄 수도 있다. 그러나 알면서 말하지 않는 것은 ‘말하
점점 더 많은 것을 듣게 되고, 매번 들을 때마다 점점 더 많이 자면 그 비밀 속에 보이지 않게 들어 있다가 폭로의 순간에만
이해하게 된다. 때때로 예술 작품이 우리에게 그것의 중요한 세 완전히 실현되는 우월감’이라는 그 기분을 그에게 주지 못한다.
부 요소들을 모두 드러내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그것 이것이 잘 알려진 인물과 우월한 사람에 대해 뒷공론을 하는 주
이 음악이든, 미술이든, 춤이든, 또는 건축이든 간에 우리는 그 요 동기이다. 뒷공론을 만들어 내는 사람은 자신이 그의 ‘친구’
것을 더 좋아하게 된다. 라고 소개하는 그 뒷공론 대상의 ‘명성’ 일부가 자신에게 옮겨
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평가원 해설)
⑤ ‘~가 …하는 데 (시간)이 걸리다’라는 의미의 「it takes (평가원 해설)
시간 for ~ to do 」에서 시간에 해당하는 표현인 long이 ④, that feeling of superiority를 선행사로 하는 주격 관계
앞으로 나가 「the 비교급, the 비교급」의 일부를 이룬 것 대명사 that이 이끄는 관계절의 동사가 나와야 할 자리이므
이므로 that을 it으로 바꿔야 한다. 로, actualizing을 actualizes로 고쳐 써야 한다. 관계대명사
that과 관계절의 동사(actualizes) 사이에 두 개의 구가 삽입
① 「find+목적어+목적격 보어」의 구조에서 목적격 보어 되어 있어서 정확한 구조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로 쓰인 형용사 appealing은 적절하다.
② decide we like it은 hear a song on the radio for the ① ‘tempt + 목적어 + to부정사’는 ‘~가 …하도록 부추기
first time that catches our interest와 and로 연결되어 다’라는 뜻이다.
might에 이어지므로, 동사원형 decide는 적절하다. ② Only when ~ repeated가 문두로 나가면서 조동사 can
③ what은 notice의 목적어로 쓰인 명사절을 이끌고 있으므 과 주어 its possessor가 도치된 구조이므로, can에 이어지
로 적절하다. 는 동사원형 turn은 어법상 적절하다.
④ A special harmony를 주어로 하는 동사 emerges는 적 ③ keep ~ to oneself는 ‘~을 남에게 말하지 않다[비밀로
절하다. 뒤에 이어지는 that we missed before는 A special 간직하다]’라는 뜻이다. 주어인 he와 그 대상이 같으므로
harmony를 수식하는 관계절이다. himself를 쓰는 것은 어법상 적절하다.
⑤ the subject of gossip을 선행사로 하여, 관계절 속의
“friend”를 수식하며 관계절을 이끌고 있으므로, 소유격 관
계대명사 whose는 어법상 적절하다.

- 13 -
9) : ④ (19년 11월, 20년 수능) 10) : ② (20년 6월)
(지문 해석) (지문 해석)
선사 시대 예술의 의미와 목적에 대한 고찰은 현대의 수렵 채집 더 개인주의적인 문화 환경의 출신자들은 자신에게 초점을 맞
사회와의 사이에서 끌어낸 유사점에 많은 것을 의존한다. 춘 주체성이나 통제력을 유지하려는 동기를 가지는 경향이 있
Steven Mithen이 ‘The Prehistory of the Modern Mind’에서 는데, 이는 이러한 것들이 자아 존중감의 토대 역할을 하기 때
강조하듯이, 그런 원시 사회는 인간과 짐승, 동물과 식물, 생물 문이다. 이러한 형태의 주체성의 결과로 개인의 성공이 주로 자
체의 영역과 무생물체의 영역을 통합적이고 살아 있는 총체에 신의 능력과 행동에 달려 있다는 믿음이 생기며, 따라서 환경에
대한 참여자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이런 경향이 표현된 두 가 영향을 미침에 의해서든, 자신의 상황을 받아들이려고 노력함에
지가 ‘의인화’(동물을 인간으로 간주하는 관행)와 ‘토테미즘’(인 의해서든, 통제력의 사용은 궁극적으로 개인에게 집중된다. 독
간을 동물로 간주하는 관행)인데, 이 두 가지는 원시 문화의 시 립적 자기는 주체 의식이나 통제 의식에 호소함으로써 대처하
각 예술과 신학에 널리 퍼져 있다. 따라서 자연의 세계는 인간 도록 더 많이 유도될 수도 있다. 그러나 더 상호의존적인 문화
의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개념화 된다. 이런 측면에서 고려될 환경의 출신자들은 개인의 성공과 주체성의 문제에 덜 집중하
때, 초기 인류가 자신들의 세계에 살고 있는 인간 이외의 생명 며, 집단의 목표와 화합 쪽으로 더 많은 동기를 가지는 경향이
체들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집착한 것은 깊은 의미를 띠게 된다. 있다. 연구에 의하면, 동아시아인들은 어떤 경우에 개인적인 통
인류학자인 Claude Levi-Strauss가 말했듯이 수렵 채집인들에 제를 추구하기보다는, 오히려 더 많은 사회적인 지원을, 추구하
게 동물은 먹기 좋은 대상일 뿐만 아니라, ‘생각해 보기에도 좋 지는 않되, 받는 것을 선호한다. 그러므로 더 상호의존적인 자
은’ 대상이다. 토템 신앙의 풍습에서 문맹의 인류는 “자연 속에 기 구성을 지닌 사람들은 관계 속에서 화합을 증진하는 방식으
서의 자신과 자신의 위치에 대해 곰곰이 생각한다. ”라고 그는 로 대처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말했다.
(평가원 해설)
(평가원 해설) ②, the belief를 설명하는 that이 이끄는 동격절에서 주어인
④, 주절의 술어동사인 becomes가 뒤에 있으므로 the individual successes 다음에 술어 동사가 이어져야 하므로
nonhuman creatures를 수식하는 분사구가 이어져야 하는 depending을 depend로 고쳐야 한다,
데, 뒤에 분사의 목적어인 their world가 있으므로,
inhabited를 능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현재분사인 inhabiting ① 이유를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as는 어법에
으로 고쳐야 한다. 맞다.
③ 주어인 The individual self가 유도되는 대상이므로 수동
① 복수 명사인 Speculations가 주어이므로 rely는 어법에 태가 되도록 과거분사인 driven을 쓰는 것이 어법에 맞다.
맞다. ④ has shown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
② ‘~하듯이’라는 의미로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이므로 as 사로 that은 어법에 맞다.
는 어법에 맞다. ⑤ 선행사인 people을 수식하는 관계절을 이끌고, 관계절에
③ 앞에 있는 anthropomorphism ( the practice of 서 주어 역할을 하므로 who는 어법에 맞다.
regarding animals as humans) and totemism (the
practice of regarding humans as animals)를 가리키는 관
계사이므로 which는 어법에 맞다.
⑤ 주어인 an unlettered humanity와 동일한 대상이므로 재
귀대명사 itself는 어법 에 맞다.

- 14 -
11) : ① (20년 9월) 12) : ⑤ (20년 11월. 21년 수능)
(지문 해석) (지문 해석)
경쟁을 벌이는 활동은 최고는 인정받고 나머지는 무시되는, 단 인간 피험자에 관한 과학 실험을 다루는 규정은 엄격하다. 피험
지 수행 기량을 보여주는 공개 행사 그 이상일 수 있다. 참가자 자는 충분한 설명에 입각한 서면으로 된 동의를 해야 하고, 실
에게 수행 기량에 대한 시기적절하고 건설적인 피드백을 제공 험자는 자신들의 계획된 실험을 제출해 감독 기관에 의한 철저
하는 것은 일부 대회와 경연이 제공하는 자산이다. 어떤 의미에 한 정밀 조사를 받아야 한다. 자신을 실험하는 과학자들은, 법
서는, 모든 대회가 피드백을 제공한다. 많은 경우에, 이것은 참 률적으로는 아니지만, 기능적으로 다른 사람을 실험하는 것과
가자가 상을 받는지에 관한 정보에 제한된다. 그런 유형의 피드 관련된 규제를 피할 수 있다. 그들은 또한 관련된 윤리적인 문
백을 제공하는 것은 반드시 탁월함은 아닌, 우월한 수행 기량을 제도 대부분 피할 수 있다. 실험을 고안한 과학자보다 그것의
보여주는 것으로 강조점을 이동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최 잠재적인 위험을 더 잘 알고 있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그
고의 대회는 단순히 승리하는 것이나 다른 사람을 ‘패배시키는 럼에 도 불구하고, 자신을 실험하는 것은 여전히 문제가 심각하
것’만이 아니라, 탁월함을 장려한다. 우월성에 대한 강조는 우리 다. 한 가지 명백한 문제점은 (실험에) 수반되는 위험이다. 위험
가 일반적으로 유해한 경쟁 효과를 조장하는 것이라고 간주하 이 존재한다는 것을 안다고 해서 위험이 줄어드는 것은 결코 아
는 것이다. 수행 기량에 대한 피드백은 프로그램이 ‘이기거나, 니다. 덜 명백한 문제점은 실험이 만들어 낼 수 있는 데이터의
입상하거나, 또는 보여주는’ 수준의 피드백을 넘어설 것을 요구 제한 된 범위이다. 인체의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는 성별, 나이,
한다. 수행 기량에 관한 정보는 이기지 못하거나 입상하지 못하 생활 방식, 그리고 기타 요인에 따라 사소하지만, 의미 있는 방
는 참가자뿐만 아니라 이기거나 입상하는 참가자에게도 매우 식으로 각기 다르다. 따라서, 단 한 명의 피험자로부터 얻어진
도움이 될 수 있다. 실험 결과는 가치가 제한적이며, 피험자의 반응이 집단으로서의
인간 반응의 전형적인 것인지 이례적인 것인지 알 방법이 없다.
(평가원 해설)
①, 밑줄 친 부분 다음에 the best is recognized와 the (평가원 해설)
rest are overlooked가 and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데, 둘 다 ⑤, know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을 유도해야 하는
주어와 수동태(be p.p.)의 구조를 가진 완전한 형태의 절이 데, 완전한 형태의 절이 이어지고 문맥상 의문을 나타내고
므로, 관계대명사 which를 관계부사 where로 고쳐야 하며, 있으므로 what을 whether로 고쳐야 한다.
where는 performance showcases를 수식한다.
① 분사구의 수식을 받는 명사구인 the restrictions가
② 주어 The provision of timely, constructive feedback associate가 나타내는 동작의 대상이므로 과거분사
to participants on performance에서 핵은 of timely, associated는 어법상 적절하다.
constructive feedback to participants on performance의 ② 앞서 언급된 an experiment를 대신하는 대명사 it은 어
수식을 받는 provision이므로, 단수 형태의 동사 is는 어법 법상 적절하다.
상 적절하다. ③ 형용사 problematic을 수식하므로 부사 deeply는 어법상
③ not necessarily는 ‘반드시 ~은 아닌’이라는 부분 부정의 적절하다.
뜻으로, not necessarily와 excellence 사이에 ④ 동명사구인 knowing that it exists가 문장의 주어이므로
demonstrating이 생략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므로, 술어 동사를 단수로 수 일치시킨 does는 어법상 적절하다.
demonstrating을 수식하는 necessarily는 어법상 적절하다.
④ ‘을 ···으로 간주하다’라는 뜻의 ‘ee ~ as ...’에서 전치사
as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표현이 필요하므로, 동명사구를 이
끄는 fostering은 어법상 적절하다.
⑤ 바로 앞에 나온 win or place를 대신하는 대동사로 쓰인
do는 어법상 적절하다.

- 15 -
13) : ⑤ (21년 6월) 14) : ③ (21년 9월)
(지문 해석) (지문 해석)
대부분의 과학 역사가들은 별과 행성에 대한 연구, 즉 우리가 다른 사람들이 전달하고 있는 것이 무엇이든 그것을 받아들이
현재 천문학이라 부르는 것에 대해 배우고자 하는 동기로 농업 는 것은 그들의 관심사가 우리의 관심사와 일치할 때에만 성공
활동을 규제하기 위한 신뢰할 만한 달력의 필요성을 지적한다. 하는데, 체내의 세포, 벌집 속의 벌을 생각해 보라. 인간 사이의
초기 천문학은 언제 작물을 심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 의사소통에 관한 한, 관심사의 그런 공통성은 좀처럼 이루어지
했고 인간에게 시간의 흐름을 기록하는 그들 최초의 공식적인 지 않는데, 심지어 임산부도 태아가 보내는 화학적 신호를 믿지
방법을 제공했다. 영국 남부에 있는 4,000년된 고리 모양을 하 못할 이유가 있다. 다행히도, 가장 적대적인 관계에서도 의사소
고 있는 돌들인 스톤헨지는 아마도 우리가 살고있는 세계에서 통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먹잇감은 포식자에게
규칙성과 예측 가능성을 발견한 가장 잘 알려진 기념비일 것이 자신을 쫓지 말도록 설득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의사소통이
다. 스톤헨지의 커다란 표식은 우리가 계절의 시작을 표시하기 일어나기 위해서는, 신호를 받는 자가 그것을 믿는 것이 더 좋
위해 여전히 사용하는 날짜인 지점(至點)과 분점(分點)에 을 것이라는 강력한 보장이 있어야 한다. 메시지는 전체적으로
서 태양이 뜨는 지평선의 장소를 가리킨다. 그 돌들은 심지어 정직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인간의 경우, 정직성은 전달된
(해 • 달의) 식(蝕)을 예측하는데 사용되었을지도 모른다. 글 정보를 평가하는 일련의 인지 기제에 의해 유지된다. 이러한 기
이 없던 시절 사람들이 세운 스톤헨지의 존재는 자연의 규칙성 제는 우리가 가장 유익한 메시지를 받아들이며(개방적이면서),
뿐만 아니라 눈앞에 보이는 모습의 이면을 보고 사건에서 더 깊 반면에 가장 해로운 메시지를 거부할(경계할) 수 있게 해 준다.
은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 인간의 정신적 능력을 말없이 증언해 strong guarantees와 동격 관계를 이루는 절을 유도하는 접속
준다. 사가 필요하므로 which를 that으로 바꾸어야 한다.

(평가원 해설) (평가원 해설)


⑤, both ~ and ...」표현으로 연결되는 구조에서 and에 의 ③, strong guarantees와 동격 관계를 이루는 절을 유도하
해 see와 함께 to에 연결되어 the ability of the human 는 접속사가 필요하므로 which를 that으로 바꾸어야 한다.
mind 를 수식해야 문맥이 통하므로, discovers 를 discover
로 고쳐야 한다. ① 주어를 이루는 명사구의 핵이 commonality이므로 단수
형태의 동사 is는 어법상 적절하다.
① 복수 명사인 humans의 소유격 대명사를 나타내므로, ② A prey를 대신하는 대명사로 it을 사용한 것은 적절하다.
their는 어법상 적절하다. ④ 수동태로 전환되기 이전의 동사 keep의 목적격 보어 역
② 주어 Stonehenge, the 4,000-year-old ring of stones 할을 해야 하므로 형용사 honest를 사용한 것은 적절하다.
in southern Britain, 에서 the 4,000-year-old ring of ⑤ 분사의 수식을 받는 information이 전달하는 동작
stones in southern Britain은 Stonehenge를 부연 설명하는 (communicate)의 대상이므로 과거분사를 사용한 것은 적절
동격어구 이므로, 단수 형태의 동사 is는 어법상 적절하다. 하다.
③ 밑줄 친 부분 다음에 주어 (the sun), 동사(rises), 부사
구(at the solstices and equinoxes)가 모두 있는 완전한 형
태의 절이 왔으므로, the spots on the horizon 을 수식하
는 관계절을 이끄는 관계부사 where는 어법상 적절하다.
④ The stones는 use의 행위를 당하는 대상이므로, 완료형
과 결합한 been used는 어법상 적절하다.

- 16 -
15) : ④ (21년 11월, 22년 수능) 16) : ③ (22년 6월)
(지문 해석) (지문 해석)
개체 전체와 마찬가지로, 세포도 수명을 가지고 있다. 그것의 생태계들은 구성과 범위에 있어 차이가 있다. 그것[생태계]들은
생명 주기(세포 주기) 동안에, 세포의 크기, 모양, 물질대사 활 여러분의 입안에 있는 유기체들의 군집과 상호작용 혹은 열대
동이 극적으로 변할 수 있다. 세포는 모세포가 분열할 때 쌍둥 우림의 덮개 안에 있는 그것[유기체들의 군집과 상호작용]들에
이로 '탄생'하여, 두 개의 딸세포를 생성한다. 각각의 딸세포는 서부터 지구의 바다에 있는 모든 그것[유기체들의 군집과 상호
모 세포보다 더 작으며,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각 모세포 작용]들까지의 범위에 이르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것들을
의 크기만큼 커질 때까지 자란다. 이 기간 동안, 세포는 물, 당, 지배하는 과정들은 복잡성과 속도의 면에서 차이가 있다. 몇 분
아미노산, 그리고 다른 영양소들을 흡수하고 그것들을 새로운 안에 바뀌는 시스템도 있고, 규칙적으로 순환하는 시간이 수백
살아있는 원형질로 조합한다. 세포가 적절한 크기로 성장한 후, 년까지 연장되는 시스템도 있다. 어떤 생태계는 광범위하고(아
그것은 분열할 준비를 하거나 혹은 성숙하여 특화된 세포로 분 프리카 사바나 같은 ‘생물군계’), 어떤 생태계는 지역들에 걸쳐
화하면서 그것의 물질대사가 변화한다. 성장과 발달 둘 다 모든 있으며(강의 유역), 많은 생태계가 마을 군집을 포함하고(작은
세포 부분을 포함하는 일련의 복잡하고 역동적인 상호 작용을 분수령들), 다른 생태계들은 단 하나의 마을 차원으로 국한된다
필요로 한다. 세포의 물질대사와 구조가 복잡할 것임은 놀라운 (마을 연못). 각각의 사례에는 불가분성이라는 요소가 있다. 어
것이 아니겠지만, 실제로 그것들은 꽤 간단하고 논리적이다. 가 떤 생태계를 장벽을 만들어 부분들로 나누면, 그 부분들의 생산
장 복잡한 세포조차도 그저 몇몇 부분만을 가지고 있는데, 각각 성의 총합은 일반적으로, 다른 것이 동일하다면, 전체의 생산성
은 세포 생명의 뚜렷하고, 명확한 측면을 맡고 있다. 보다 더 낮다는 것이 발견될 것이다. 생물학적 개체군의 이동성
이 한 가지 이유이다. 예를 들어, 안전한 통행은 이동하는 생물
(평가원 해설) 종들을 생존하게 한다.
④, '~라는 것'이라는 뜻의 문장의 주어 역할을 하는 would
앞까지의 부분이 절의 모든 중요 구성 요소를 지니고 있으 (평가원 해설)
③, 선행사인 others를 수식하는 관계절을 이끌면서 뒤에 있
므로 What을 쓸 수 없으며 That으로 바꾸어야 한다.
는 rhythmic time을 수식할 수 있는 소유격 관계대명사가
필요하므로, which를 whose로 고쳐야 한다.
① 주절의 주어를 의미상 주어로 하는 분사구문 producing
~을 쓴 것은 어법상 적절하다.
① 앞에 있는 the communities and interactions of
② as the mother cell was large에서 large가 생략된 것으
organisms를 대신하는 대명사로 those는 어법상 적절하다.
로 볼 수 있다.
② 앞에 있는 The processes를 수식하는 분사구를 이끄는
③ 「either A or B」구조에서 A와 B에 오는 말은 병렬 구
현재분사로 governing은 어법상 적절하다. ④ other things
조를 이루어야 하므로 prepares와 마찬가지로 matures and
를 의미상의 주어로 하면서 조건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을 만
differentiates ~을 쓴 것은 어법상 적절하다.
드는 being은 어법상 적절하다. ⑤ 「enable+목적어+to부
⑤ each being responsible ~의 분사구문에서 being이 생
정사」 구문으로 enable 다음에 목적격 보어로 쓴 to
략된 것으로 볼 수 있다.
survive는 어법상 적절하다.

- 17 -
17) : ③ (22년 9월)
(지문 해석)
윤리적 문제를 인식하는 것은 비즈니스 윤리를 이해하는 데 가
장 중요한 단계이다. 윤리적 문제는 옳거나 그르다고, 윤리적
또는 비윤리적이라고 평가될 수 있는 여러 가지 행동들 가운데
에서 한 사람이 선택하기를 요구하는 식별 가능한 문제, 상황
또는 기회이다. 대안 중에서 선택하고 결정을 내리는 방법을 배
우는 것은 훌륭한 개인적 가치관뿐만 아니라 관계가 있는 비즈
니스 분야에 대한 지식 역량도 필요로 한다. 또한 직원들은 언
제 자신이 속한 조직의 정책과 윤리 강령에 의존할지 혹은 언제
동료 또는 관리자와 적절한 행동에 대해 논의해야 할지를 알아
야 한다. 윤리적 의사결정이 항상 쉬운 것은 아닌데, 왜냐하면
결정이 어떻게 내려지든 딜레마를 만드는 회색 영역이 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직원은 시간 훔치기를 하는 동료에 대해
보고해야 하는가? 판매원은 고객에게 프레젠테이션을 할 때 어
떤 제품의 안전 상태가 좋지 않다는 기록에 대한 사실을 생략해
야 하는가? 그러한 질문은 의사결정자가 자신이 선택한 윤리를
평가하여 지침을 요청할 것인지 말지의 여부를 결정할 것을 요
구한다.

(평가원 해설)
② Learn은 술어 동사 requires의 주어 역할을 할 수 없으
므로 주어 역할을 할 수 있는 동명사 Learning 등으로 고쳐
야 한다.

① 선행사인 several actions는 evaluate라는 행위의 대상이


므로 수동태인 be evaluated는 어법상 적절하다.
③ rely on과 or로 연결되어 to에 이어지는 구조이므로 어
법상 적절하다.
④ create의 주어 역할을 하면서 gray areas를 수식하는 관
계절을 이끄는 주격 관계대명사 that은 어법상 적절하다.
⑤ ‘whether + to 부정사’는 ‘~할 것인지’라는 뜻으로
decide의 목적어 역할을 하므로 어법상 적절하다.
[Words and Phrases]
ethical 윤리적인 identifiable 식별 가능한 alternative 대안
policy 정책 dilemma 딜레마, 진퇴양난 time theft 시간 훔
치기(근무하지 않은 시간에 대하여 급여를 타는 행위)

- 18 -
Copyright 2022 Song Sang Hwa 모든 자료는 저작자의 허가없이 배포할 수 없습니다.
송샘의

어법루틴

최근 6개년 학력 평가원의
어법 유형을 분석
19개의 유형으로 분류
유형별 풀이 루틴을 제시
6월,9월, 수능 어법 17문제와 해설 제공
루틴으로 풀고 고득점 하길 바랍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