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비상(김진완)

중2
7.Art Around Us

1. 사역동사
1) 사역동사는 ‘(목적어)가 ~하게 하다’의 뜻을 가지는 동사를 말한다.
2) let, make, have, (help)가 있고, 목적격보어의 자리에 항상 동사원형이 쓰인다. (단, help는 to 부정사도 가능)
3) 즉, 5형식 문장 「주어+동사+목적어+목적격보어」에 쓰이는데, 목적격보어가 동사원형이여야 하므로
「make/have/let + 목적어 + [동사원형]」의 형태이다.

[교과서 예문으로 확인하기]


It will make you wonder about the painting more.
make는 사역동사이므로 목적어 you 뒤에 동사원형 wonder이 왔다.

<해석> 그림에 대해 좀 더 궁금해 하게 될 겁니다.

I'll let you enter the palace.


사역동사 let의 목적보어로 동사원형 enter가 쓰였다.

<해석> 나는 너를 궁전에 들어오게 할게.

I'll have people serve you some cookies and tea.


사역동사 have의 목적보어로 동사원형 serve가 쓰였다.

<해석> 나는 사람들을 시켜 자네에게 과자와 차를 가져다주게 하겠네.

2. 간접의문문
1) 의문사가 이끄는 절이 다른 문장의 요소로 쓰이는 경우를 말한다. 주로 주어, 목적어, 보어의 명사절의 자리에 온다.
2) 직접의문문의 경우, 「의문사 + 동사 + 주어」 순으로 사용하지만, 간접의문문은 「의문사 + 주어 + 동사」 순서로 주어,
동사의 위치가 일반적인 의문문과 다르다.
3) 직접의문문을 간접의문문으로 바꿀 경우, 직접의문문에 쓰인 do/does/did를 없애고, 주어에 따라 동사의 수와 시제를
맞춰야 한다.

[교과서 예문으로 확인하기]


What do you think the artist is trying to tell us?
생각을 나타내는 동사 think가 쓰인 의문문에 간접의문문이 포함되면, 간접의문문의 의문사가 문장의 맨 앞으로
이동한다. 간접의문문의 어순인 ‘주어(the artist)+동사(is trying)’은 그대로 따른다.

<해석> 너희들은 그 예술가가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려고 한다고 생각하니?

So, can you see where Icarus is?


의문사(where)+주어(Icarus)+동사(is)의 어순으로 쓰였다.

<해석> 그러면 이카루스가 어디에 있는지 보이나요?

Who do you think he is painting?


생각을 나타내는 동사 think가 쓰인 의문문에 간접의문문이 포함되면, 간접의문문의 의문사가 문장의 맨 앞으로
이동한다. 간접의문문의 어순인 ‘주어(he)+동사(is painting)’은 그대로 따른다.

<해석> 이제 여러분은 그가 누구를 그리고 있다고 생각하나요?

I410-ECN-0199-2019-001-000244125
- 1 -
STEP3. 교과서 속 문법 7. Art Around Us_비상(김진완)

Many visitors 1)glance at one painting 2)for only 3)a few seconds 4)before they
move on.

1) glance at
'~을 힐끗 보다’의 의미를 갖는 표현이다.
2) 전치사 for
'~하는 동안’의 의미를 가지는 전치사이다.
for 뒤에는 기간의 길이를 나타내는 숫자 표현이 오고, 동일한 의미의 전치사 during 뒤에는 특정한 기간을 나타내는 명사가 온다.
3) a few
'약간의, 몇몇의’라는 의미를 가지며 셀 수 있는 명사의 복수형 앞에 쓰인다. 여기서 seconds는 반드시 복수형으로 써야 옳다.
4) 접속사 before
‘~전에’의 의미를 가지며 접속사로 쓰일 경우 주어와 동사를 가진 절을 이끈다.

<해석> 많은 방문객들은 이동하기 전에 그림 한 점을 몇 초간만 힐끗 봅니다.

But you might miss the important details of paintings 1)since 2)it is hard to
notice 3)them right away.

1) 접속사 since
'~때문에’의 의미를 가지는 접속사이며 뒤에 이유를 포함한 절이 이어진다.
2) 가주어 it
it은 가주어이며, 진주어는 to notice them right away이다.
3) 대명사 them
본문에서 them은 the important details of paintings를 가리킨다.

<해석> 하지만 그림의 중요한 세부 사항들을 즉시 알아채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여러분들은 그것들을 놓칠 수 있어요.

Do you see two legs 1)that are sticking out of the water near the ship?

1) 주격 관계대명사
선행사 two leg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that이 쓰였다.
선행사가 사물이므로 이는 which로 바꾸어 쓸 수 있다.
선행사가 복수형이므로 관계사절의 동사는 are가 쓰였음에 유의하자.

<해석> 배 근처에 물 밖으로 나와 있는 두 다리가 보이지요?

I410-ECN-0199-2019-001-000244125
- 2 -
STEP3. 교과서 속 문법 7. Art Around Us_비상(김진완)

It will 1)make you wonder 2)about the painting more.

1) 사역동사
make, have, let은 사역동사로 5형식 [주어+동사+목적어+목적보어]에 쓰이고, 이때 목적보어 자리에는 동사원형이 온다.
위 문장에서는 사역동사 make의 목적보어로 동사원형 wonder가 쓰였다.
2) 전치사 about의 쓰임
‘~에 대해서’라는 의미로 쓰이며, 본문에서는 ‘그 그림에 대해서’의 의미로 해석하면 된다.

<해석> 그림에 대해 좀 더 궁금해 하게 될 거에요.

1)What do you think 2)the artist is 3)trying to tell us?

1) 동사 think가 쓰인 간접의문문
문장의 동사가 think, believe, guess등의 생각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동사일 때는 간접의문문의 의문사를 문장 가장 앞으로 보낸다.
위 문장에서 의문사 what이 문두로 갔다.
2) 간접의문문의 어순
어떤 의문문이 다른 문장의 목적어나 보어로 쓰일 때 그 의문문을 간접 의문문이라고 한다.
간접의문문의 경우 평서문의 어순(주어+동사)으로 써줘야 한다.
3) try to
동사 try는 뒤에 to부정사가 오면 ‘~하기 위해 애쓰다’의 의미가 되고, 동명사가 오면 ‘시험 삼아 한번 해보다’의 의미로 쓰인다.
본문에서는 to 부정사가 왔으므로, ‘얘기하려고 하다’정도의 의미로 해석하면 된다.

<해석> 화가가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려 한다고 생각하나요?

1)Try to see 2)which direction the artist is 3)looking at.

1) 명령문
문장이 동사원형으로 시작하면 ‘~해라’의 의미를 가지는 명령문이 된다.
2) 간접의문문
의문사구(which direction)+주어(the artist)+동사(is)의 어순을 가진다.
3) look at
look은 전치사 at과 쓰여서 ‘~을 보다’의 의미로 쓰인다.

<해석> 화가가 어느 방향을 바라보고 있는지 보려고 노력해 보세요.

I410-ECN-0199-2019-001-000244125
- 3 -
STEP3. 교과서 속 문법 7. Art Around Us_비상(김진완)

1. zb1 ) 다음 우리말과 의미가 같도록 괄호 안의 말을 이 6. zb6) 괄호안의 단어를 이용하여 알맞은 말을 넣으시오.
용하여 문장을 완성하시오.
▪ She had her shoes (shine).
사장은 그의 비서에게 신문을 가져오도록 시켰다.
(have, bring, his secretary, the newspaper)
→ The bos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7. zb7 ) 다음 각 문장의 빈칸에 공통으로 알맞은 단어를
쓰세요.
2. zb2) 다음 괄호 안의 단어를 반드시 사용하여 우리말 뜻 ⓐ We _____ a good time yesterday.
에 맞게 영어 문장을 완성하시오. ⓑ I _____ my daughter write a letter.
(1) 부모님은 내가 밤늦도록 TV 보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 ⓒ They _____ a nice dinner last night.
신다. (let, watch)
My parents ________________ TV late at night.
(2) 부모님은 내가 숙제를 먼저 하도록 하신다. (have,
do)
My parents ________________ my homework
8. zb8 ) 다음 문장에서 어법상 어색한 부분을 찾아 바르게
고쳐 쓰시오.
first.
She let us to play board games after lunch.

3. zb3 ) 우리말과 같은 뜻이 되도록 빈칸을 채우세요.

이번 주 안으로 너에게 비행기 시간표를 알려줄게.


9. zb9 ) <보기>에 주어진 단어를 변형 없이 모두 한 번씩
= I'll _____ you _____ the flight schedule _____ 만 사용하여 빈 칸에 들어갈 문장을 영작하시오.
this _____.
<보기>
his / made / younger brother/ Jake / wash / the
dishes

4. zb4 ) 주어진 단어를 활용하여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세 (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요. (Jake는 그의 남동생에게 설거지를 시켰다.

내가 그녀의 여행 가방을 들어줄게요.


<보기>
→ Let me _____ her suitcase. (carry)
heard / the / he / voice / in / his / room /
made / noisy

(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5. zb5) 다음 우리말을 영어로 바꿀 때 밑줄에 알맞은 것을 (그는 시끄러운 방 안에서 그의 목소리가 들리게 했다.)
답안지에 쓰시오.

그는 그의 남동생이 그의 강아지를 씻기는 것을 도왔다.


→ He __________ his brother _______________.

I410-ECN-0199-2019-001-000244125
- 4 -
STEP3. 교과서 속 문법 7. Art Around Us_비상(김진완)

10.
zb1 0 ) <보기>에 주어진 의미에 맞게 영작하시오. (단, 16.
zb1 6 ) 다음 A의 말을 이용하여 대화의 빈칸에 간접의문
make를 사용한 7단어의 문장으로 완성할 것.) 문을 쓰시오.
<보기> A : What is her name?
그 간호사는 우리가 그 약을 먹게 만들었다. B : I don’t know _______________.

11.
zb1 1 ) 다음은 Mr. Robert에 대해 궁금한 것들을 묻고
답하는 대화이다. 대화의 빈칸을 완성하시오.

A : I don’t know _______________.


17.
zb1 7 ) 다음 두 문장을 한 문장으로 연결하여 쓰시오.

Do you know that? Ÿ I don't remember.

B : He is 30 years old. Ÿ What was Ann wearing at the party?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2. 다음은 Mr. Robert에 대해 궁금한 것들을 묻고


18.
zb1 2 )

답하는 대화이다. 대화의 빈칸을 완성하시오. zb18) 문장 (A), (B)를 합쳐서 주어진 뜻에 일치하는 문장
을 만드시오.
A : Tell me __________________________.
B : Yes, he likes pizza. (A) : Do you believe?
(B) : Who is his role model?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너는 그의 롤모델이 누구라고 믿고 있니?)
13.
zb1 3 ) 다음 괄호 안의 말을 바르게 배열하여 문장을 완
성하시오.

Frank asked us (we, about, what, talking, were).


→ Frank asked u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9.
zb19) 두 문장을 한 문장으로 바꾸시오.

Nobody knows. When did the car accident


happen?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4.
zb14) <예시>와 같이 주어진 문장을 이용하여 빈칸을 완
성하시오.
<예시>
What color do you like?
⇒ I'd like to know what color you like. 20.
zb20) 다음 두 문장을 연결하여 한 문장으로 만드시오.

▪ Could you tell me?


Why did he do such a thing? ▪ How many books did you buy?
⇒ Can you tell me 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5.
zb1 5 ) 우리말을 참고하여 괄호 안의 말을 바르게 배열하
세요.

한 남자가 나에게 버스정류장이 어디에 있는지 물었다.


(asked / a man / the bus stop / me / where /
wa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410-ECN-0199-2019-001-000244125
- 5 -
STEP3. 교과서 속 문법 7. Art Around Us_비상(김진완)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10) [정답] The nurse made us take the
1) 제작연월일 : 2019-07-01 medicine.
2) 제작자 : 교육지대㈜ [해설] ~하게 했다. 라는 의미이므로 사역동사를 써야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한다. 따라서 사역동사+목적어+동사원형으로 써야
최초 제작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한다.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콘
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로 복제하거
11) [정답] how old he is
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해설] 그의 나이를 말하고 있으므로, 나이를 묻는 내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용이 되어야 한다. How old is he를 간접의문문
으로 쓴다.

12) [정답] if[whether] he likes pizza


1) [정답] had his secretary bring the newspaper [해설] 그가 피자를 좋아한다고 했으므로, 피자를 좋아
[해설] 「have + 목적어 + 목적격보어」의 형태로 쓰며, 하는지 알려 달라는 내용이 되어야 한다. Does
have는 사역동사로 동사원형을 목적격 보어로 가 he like pizza?를 간접의문문으로 쓴다.
진다.
13) [정답] what we were talking about
2) [정답] (1) don’t let me watch (2) have me do [해설]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의 경우 간접의문문의 어
[해설] 사역동사는 ‘사역동사 + 목적어 + 동사원형’으 순인 「의문사 + 주어 + 동사」의 형태로 쓴다.
로 표현한다.
14) [정답] why he did such a thing
3) [정답] let, know, within, week [해설] 의문사가 있는 간접의문문이므로 ‘의문사+주어+
[해설] ‘알려주다’라는 의미는 「let+목적어+know」라고 동사’의 형태를 취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하면 되고, ‘이번 주 안으로, 이번 주 이내로’라는
표현은 within을 써서 나타낸다. in 다음에 시간 15) [정답] A man asked me where the bus stop
을 쓰면, ‘그 시간이 지나고 나서, 그 후에’라는 was.
뜻이 된다. [해설]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의문사(where) + 주어
(the bus stop) + 동사(was)」이다.
4) [정답] carry
[해설] 사역동사(let, make, have)+목적어+원형부정사 16) [정답] what her name is
[해설]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의문사 + 주어 + 동사」이다.
5) [정답] helped, wash his dog
[해설] wash, to wash 둘 다 가능하다. 17) [정답] I don't remember what Ann was
wearing at the party.
6) [정답] shined [해설] 간접의문문은 「의문사 + 주어 + 동사」의 어순
[해설] 사역동사 ‘have + 목적어 + 목적격보어’ 형태 으로 의문사 ‘what', 주어 ‘Ann’, 동사 ‘was
로 이루어져있다. 목적어 her shoes가 빛나게 되 wearing'의 순으로 작성하고 부사구인 'at the
도록 다른 사람에게 시킨 것이므로 수동의 의미를 party'는 문장의 끝에 쓴다.
가진 과거분사 shined가 들어가는 것이 적절하다.
18) [정답] Who do you believe his role model
7) [정답] had is?
[해설] ⓐ (시간을) 보내다, 과거를 나타내는 [해설] 간접의문문이 do you think/ guess/
yesterday가 나오므로 동사도 과거 시제를 사용 believe/ suppose로 시작하는 의문문의 일부로
ⓑ have(사역동사)+목적어+동사원형 : …에게 ~하 쓰이는 경우, 간접의문문의 의문사를 문장의 맨
도록 시키다 ⓒ had : (식사, 음식을) 먹다 앞에 두어야 한다.

8) [정답] to play → play 19) [정답] Nobody knows when the car accident
[해설] 사역동사 let은 목적격 보어로 동사원형을 가지 happened.
므로 to play를 play로 고쳐야 한다. [해설]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의문사+주어+동사’이다.

9) [정답] (1) Jake made his younger brother 20) [정답] Could you tell me how many books
wash the dishes. (2) He made his voice you bought?
heard in the noisy room. [해설]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의문사 + 주어 + 동사’이
[해설] (1),(2) 모두 사역동사 + 목적어 + 동사원형을 다. 동사의 시제에 유의한다.
사용하여 영작해야 한다.

I410-ECN-0199-2019-001-000244125
- 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