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영어 천재(김태영)

고1
7. Beyond Earth

1. 미래진행형
1) 미래 진행형은 ‘…하고 있을 것이다’라는 의미로 조동사 will에 현재진행형인 be + -ing를 붙여서 쓴다.
2) 주로 미래의 어떤 때에 진행 중일 동작이나 상태를 표현하거나, 확정적으로 일어날 미래의 예정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교과서 예문으로 확인하기]


She will be watching movies when you get home tonight.
당신이 오늘 밤 집으로 간 “미래”의 시점에, 그녀가 영화를 “보고 있는 중”일 것임을 나타내기 위해 미래진행형
will be watching을 사용하였다.

<해석> 당신이 오늘 밤 집에 갔을 때, 그녀는 영화를 보고 있을 것이다.

I’ll be writing to Susie, and I’ll tell her about him.


내가 Susie에게 편지를 쓸 것은 이미 정해진 확정적인 미래의 예정이므로 미래진행형 will be writing을 사용하
였다.

<해석> 나는 (어차피) Susie에게 편지를 쓰기로 되어 있으니, 나는 그녀에게 그에 대해 말할 것이다.

2. What 강조 용법
1) 문장 안에서 특정한 정보를 강조할 때 [What ... is/was ~.] 구문을 사용한다.
2) 이때 What 다음에 오는 부분은 전제이며, is/was 다음에 오는 부분이 강조된다.
3) 강조를 받는 부분이 복수일 때에는 be동사를 are/were로 쓰는 것에 유의한다.

[교과서 예문으로 확인하기]


What you have to do is clean your desk.
원래 문장은 'You have to clean your desk.'이며, 이때 (to) clean your desk를 강조하기 위해 해당 구문을
활용할 수 있다.

<해석> 네가 해야하는 것은 너의 책상을 정리하는 것이야.

I don’t want to win the race. What I want to do is finish it.


원래 문장은 'I want to finish it.'이며, 이때 (to) finish it을 강조하기 위해 해당 구문을 활용할 수 있다.

<해석> 나는 경주에서 이기는 것을 원하지 않아. 내가 원하는 것은 완주하는 것이야.

I410-ECN-0199-2017-001-000057208
- 1 -
STEP2. 교과서 속 문법 7. Beyond Earth_천재(김태영)

1)Thinking he is dead, the rest of the crew gets aboard a spaceship 2)called
Hermes 3)and leaves Mars.

1) 분사구문
해당 부분은 원래 As[Because] the rest of the crew thinks he is dead로 쓴다.
이를 분사구문으로 만들기 위해 접속사와 주절의 주어와 같은 종속절의 주어를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종속절의 시제와 주절의 시제가 같으므로 현재분사 Thinking으로 바꾸는 것이 적절하다.
2) 명사를 수식하는 과거분사
수식 받는 명사 a spaceship이 헤르메스(Hermes)라고 ‘불리는’ 수동의 의미이므로 과거분사 called가 적절하다.
과거분사가 명사를 뒤에서 수식할 때, 보통 [주격 관계대명사 + be동사]가 생략된 것으로 본다.
3) 병렬구조
등위접속사 and, but, or 등이 이어주는 문장 성분은 서로 같은 형태로 병렬구조를 이룬다.
위 문장에서는 주어 the rest of the crew에 수일치 하는 현재시제 동사 gets와 leaves가 서로 병렬구조를 이룬다.

<해석> 그가 죽었다고 생각하고, 나머지 팀원들은 ‘헤르메스(Hermes)’라고 불리는 우주선을 탑승하고 화성을 떠난다.

1)If I cut down on my meals, it will last 2)much longer. I am going to 3)start
limiting them right now.

1) 조건절을 이끄는 접속사 if


위 문장은 단순 조건문으로 조건이 만족한다면 특정한 결과가 일어날 때, 즉 실제 일어날 가능성이 있을 때 사용한다.
‘만약 …한다면, ~할 것이다’라는 의미이며, [If + 주어 + 동사(현재시제), 주어 + will + 동사원형]으로 쓴다.
2) 비교급 강조
비교급을 강조하는 표현으로 ‘훨씬’이라는 의미의 much, still, far, a lot, even이 있다.
3) to부정사와 동명사 모두를 목적어로 갖는 동사
start, begin, like, love 등의 동사들은 to부정사와 동명사 모두를 목적어로 갖는다.
따라서 위 문장의 경우 start to limit으로 바꾸어 쓸 수 있다.

<해석> 만약 내가 식사량을 줄인다면, 훨씬 더 오래 버틸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지금 바로 식사량 제한을 시작할 것이다.

I will be able to 1)dig them out with a day or so of work. 2)If I do so today, I
3)will be driving at least one of them at this time tomorrow.

1) 이어동사(구동사)
동사와 전치사(부사)가 함께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를 이어동사 혹은 구동사라고 한다.
이때 목적어가 대명사인 경우, [동사 + 대명사 + 전치사(부사)]의 어순으로 쓰이는 것에 유의한다.
2) 조건절을 이끄는 접속사 if
위 문장은 조건문으로 실제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일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이때 종속절의 동사가 현재시제이므로 will do so가 아닌 do so로 쓰는 것에 유의한다.
3) 미래 진행형
‘…하고 있을 것이다’라는 의미의 미래 진행형이 사용되었다.
미래 진행형은 미래에 진행 중인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거나, 현재로 보아 그렇게 되기 마련인 미래를 표현한다.

<해석> 하루쯤 일을 하면 파낼 수 있을 것이다. 오늘 그렇게 한다면, 나는 내일 이맘때 두 대 중 적어도 한 대는 운전하고 있을


것이다.

I410-ECN-0199-2017-001-000057208
- 2 -
STEP2. 교과서 속 문법 7. Beyond Earth_천재(김태영)

1)Whatever I do, I will have plenty of electric power. 2)What I have to do is


sweep them off every few days.

1) 복합관계대명사 whatever
whatever는 ‘무엇이라도’라는 양보의 의미를 나타내는 복합관계대명사이다.
이는 no matter what으로 바꾸어 쓸 수 있다.
2) what 강조 용법
what 강조 용법은 ‘~한 것은 (다름 아닌) …이다’라는 의미로 문장 안에서 특정한 부분을 강조할 때 사용한다.
what 이후 부분은 전제이고 be동사 이후 부분이 강조되기 때문에, 이 문장에서는 sweep them이하가 강조되고 있다.

<해석> 내가 무엇을 하든, 전력은 충분 할 것이다. 내가 해야 할 일은 며칠에 한 번씩 태양광 전지의 모래를 쓸어 내는 것 뿐이다.

If anything goes wrong with it, there is a spare 1)I can use. But it is only for
emergency use 2)while I repair the main one.

1)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밑줄 친 부분은 a spare를 선행사로 취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절이다.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주격 관계대명사와 달리 단독으로 생략이 가능한 것에 유의한다.
2) 접속사 while
이 문장에서 while은 ‘~하는 동안 내내’이라는 뜻의 접속사로 사용되었다.
while은 접속사이기 때문에 뒤에 완전한 문장의 절이 이어지며, 비슷한 뜻의 전치사 during은 명사(구)가 이어진다.

<해석> 그것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내가 사용할 수 있는 여분의 장비가 있다. 그러나 그것은 주 산소 발생기를 수리하는 동안 사용
하는 비상용 장비일 뿐이다.

I 1)have been thinking about 2)how to survive. It is 3)not entirely hopeless.

1) 현재완료 진행형
현재완료 진행형은 [have/has been + -ing]의 형태로 쓰며, 과거부터 현재까지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음을 강조할 때 사용된다.
2) 의문사 + to부정사
[의문사 + to부정사]는 명사구로서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의문사 + 주어 + should + 동사원형]으로 바꾸어 쓸 수 있다.
3) 부분부정
always, entirely와 같이 전체를 나타내는 말과 부정어와 함께 쓰이면 ‘(항상, 완전히) ~인 것은 아니다’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해석> 나는 어떻게 하면 살아남을지 계속 생각하고 있다. 희망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
1) 제작연월일 : 2020년 09월 01일
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
2) 제작자 : 교육지대㈜
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일부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터 5년간 보호됩니다.

I410-ECN-0199-2017-001-000057208
- 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