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8

정답과

해설
정답과 해설

2-1  1. ⑴ Ñ'¶10 ⑵ Ñ®;5@; ⑶ Ñ'¶0.3


I. 제곱근과 실수 2. ⑴ Ñ'7 ⑵ '7
1. ⑴ 10의 제곱근은 '¶10과 -'¶10, 즉 Ñ'¶10

1 제곱근의 뜻과 성질 ⑵ ;5@;의 제곱근은 ®;5@; 와 -®;5@;, 즉 Ñ®;5@;


⑶ 0.3의 제곱근은 '¶0.3과 -'¶0.3, 즉 Ñ'¶0.3
따라 풀면

개념 익히기 본문 | 9, 11 쪽
2. ⑴ 7의 제곱근은 '7과 -'7, 즉 Ñ'7
1-1  ⑴ 6, -6 ⑵ ;4!;, -;4!; ⑶ 0.7, -0.7 ⑷ ;3!;, -;3!; ⑵ 제곱근 7 ⇨ 7의 양 의 제곱근: '7

⑴ 6Û`=36, (-6)Û`=36이므로
36의 제곱근은 6, -6

2-2  ⑴ Ñ'8 ⑵ Ñ®;2#; ⑶ Ñ'¶0.5


⑵ {;4!;}Û`=;1Á6;, { -;4!; }`Û =;1Á6;이므로
⑴ 8의 제곱근은 '8과 -'8, 즉 Ñ'8

;1Á6;의 제곱근은 ;4!;, -;4!; ⑵ ;2#;의 제곱근은 ®;2#; 과 -®;2#;, 즉 Ñ®;2#;

⑶ 0.5의 제곱근은 '¶0.5 와 -'¶0.5, 즉 Ñ'¶0.5


⑶ 0.7Û`= 0.49 , ( -0.7 )Û`=0.49이므로
0.49의 제곱근은 0.7, -0.7

2-3  ⑴ Ñ'¶13 ⑵ '¶13


⑷ {-;3!;}Û`= ;9!; 이고 {;3!;}Û`=;9!;, {-;3!;}Û`=;9!;이므로
⑴ 13의 제곱근은 '¶13과 -'¶13, 즉 Ñ'¶13
⑵ 제곱근 13 ⇨ 13의 양의 제곱근: '¶13
{-;3!;}Û`의 제곱근은 ;3!; , -;3!;

3-1  1. ⑴ 6 ⑵ ;4!; ⑶ 0.2 ⑷ 8


1-2  25, 25, -5
2. ⑴ 2a ⑵ 2a
25의 제곱근 ⇨ 제곱하여 25 가 되는 수
1. ⑴ ('6)Û`=6
⇨ xÛ`= 25 를 만족하는 x의 값
⇨ 5Û`=25, (-5)Û`=25이므로 ⑵ {-®;4!; }Û`= ;4!;
25의 제곱근은 5, -5
⑶ "Ã0.2Û`=0.2
⑷ "Ã(-8)Û`= 8

2. ⑴ a>0일 때, 2a>0이므로
1-3  ⑴ 9, -9 ⑵ ;2!;,-;2!; ⑶ 0.1, -0.1 ⑷ 8, -8
"Ã(2a)Û`= 2a
⑴ 9Û`=81, (-9)Û`=81이므로 ⑵ a>0일 때, -2a<0이므로
81의 제곱근은 9, -9 "Ã(-2a)Û`=-(-2a)= 2a

⑵ {;2!;}Û`=;4!;, {-;2!;}Û`=;4!;이므로

;4!;의 제곱근은 ;2!;, -;2!;


3-2  ⑴ 7 ⑵ ;5@; ⑶ 0.4 ⑷ 13

⑶ 0.1Û`=0.01, (-0.1)Û`=0.01이므로 ⑴ ('7)Û`=7


0.01의 제곱근은 0.1, -0.1 ⑵ {-®;5@; }Û`=;5@;

⑷ (-8)Û`=64이고 8Û`=64, (-8)Û`=64이므로 ⑶ "Ã0.4Û`=0.4


(-8)Û`의 제곱근은 8, -8 ⑷ "Ã(-13)Û`=13

2 I. 제곱근과 실수
3-3  ⑴ <, -2a ⑵ >, -2a 02 ⑤
⑴ a<0일 때, 2a<0이므로 셀파 제곱근을 구하려는 수를 먼저 간단히 한다.
"Ã(2a)Û`=-2a ① '¶49=( 49의 양의 제곱근)=7이고 7의 양의 제곱근은 '7이다.
② (-3)Û`=9이므로 -3은 9의 음의 제곱근이다.
⑵ a<0일 때, -2a>0이므로
또 음수의 제곱근은 없으므로 -9의 제곱근은 없다.
"Ã(-2a)Û`=-2a
③ (-7)Û`=49이고 49의 음의 제곱근은 -7이다.
④ '¶81=9이고 9의 제곱근은 Ñ3이다.
⑤ (제곱근 25)='¶25=5이다.
4-1 ⑴< ⑵< ⑶> ⑷>
따라서 옳은 것은 ⑤이다.
⑴ 5<10이므로 '5 < '¶10

⑵ ;2!;=;6#;, ;3@;=;6$;이고 ;6#;<;6$;이므로 ®;2!; < ®;3@;

⑶ 3='9이고 '9>'8이므로 3 > '8


03  ⑴ -4 ⑵ -2
⑷ 4='¶16이고 '¶15 < '¶16이므로 셀파 양수 a에 대하여 a의 제곱근 ⇨ Ñ'a, 제곱근 a ⇨ 'a
-'¶15>-'¶16 ∴ -'¶15 > -4 ⑴ (-6)Û`=36의 양의 제곱근은 '¶36=6이므로 a=6

®É;8!1^; =;9$;의 음의 제곱근은 -®;9$;=-;3@;이므로 b=-;3@;

4-2 ⑴< ⑵> ⑶> ⑷> ⑸< ⑹< ∴ ab=6_{-;3@;}=-4


⑴ 7<14이므로 '7<'¶14
⑵ '¶256=16의 양의 제곱근은 '¶16=4이므로 a=4
⑵ ;4!;=;2°0;, ;5!;=;2¢0;이고 ;2°0;>;2¢0;이므로 (-8)Û`=64의 음의 제곱근은 -'¶64=-8이므로 b=-8
제곱근 4는 4의 양의 제곱근이므로
®É;2°0; >®É;2¢0; ∴ ®;4!; >®;5!;
'4=2 ∴ c=2
∴ a+b+c=4+(-8)+2=-2
⑶ 13<17이므로 '¶13<'¶17 ∴ -'¶13>-'¶17
오답 피하기
⑷ ;5#;=;1»5;, ;3@;=;1!5);이고 ;1»5;<;1!5);이므로 121=11Û`, 144=12Û`, 169=13Û`, 196=14Û`, 225=15Û`, 256=16Û`,
289=17Û`, 324=18Û`, 361=19Û`은 외워 두면 편리하다.
®É;1»5; <®É;1!5);, 즉 ®;5#; <®;3@;

∴ -®;5#; >-®;3@;

⑸ 6='¶36이고 '¶35<'¶36이므로 '¶35<6


04  '¶34`cm
⑹ 5='¶25이고 '¶25>'¶24이므로 셀파 제곱근을 이용하여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구한다.
-'¶25<-'¶24 ∴ -5<-'¶24 정사각형 ABCD의 넓이가 4`cmÛ`이므로 정사각형 ABCD의 한
변의 길이는 '4=2`(cm)이다.

보고 또 보고
∴ BCÓ=2`cm
유형 익히기- 확인 문제 본문 | 12~19 쪽 정사각형 GCEF의 넓이는 9`cmÛ`이므로 정사각형 GCEF의 한 변
의 길이는 '9=3`(cm)이다.
01  20 ∴ CEÓ=FEÓ=3`cm
셀파 x가 a의 제곱근이면 xÛ`=a이다. 따라서 직각삼각형 BEF에서
a가 11의 제곱근이므로 aÛ`=11 BFÓ Û`=BEÓ Û`+FEÓ Û`=(BCÓ+CEÓ)Û`+FEÓ Û`
b가 9의 제곱근이므로 bÛ`=9 =(2+3)Û`+3Û`=34
∴ aÛ`+bÛ`=11+9=20 ∴ BFÓ='¶34`(cm) (∵ BFÓ>0)

1. 제곱근의 뜻과 성질 3
정답과 해설

05  ⑴ -15 ⑵ ;1¤1; ⑶ 1.2 09  ⑴ a ⑵ 4a-b


셀파 "Ã(양수)Û`=(양수), "Ã(음수)Û` =-(음수)임을 이용하여 근호 (' )를 없앤
셀파 a>0일 때, "aÛ`=a, -"aÛ`=-a
다.
⑴ -'¶225=-"15Û`=-15
⑴ a<0일 때, 2 a<0이므로 "Ã(2a)Û`=-2a
-3a>0이므로 "Ã(-3a)Û`=-3a
⑵ ®É;1£2¤1;=¾Ð{;1¤1;}Û`=;1¤1;
∴ "Ã(2a)Û`-"Ã(-3a)Û`=-2a-(-3a)=-2a+3a=a

⑶ '¶1.44="1.2Û`=1.2 ⑵ a>0일 때, -a<0이므로 "Ã(-a)Û`=-(-a)=a


"25aÛ`="Ã(5a)Û`이고 5a>0이므로 "25aÛ`=5a
b<0일 때, "4bÛ`="Ã(2b)Û`이고 2b<0이므로 "4bÛ`=-2b
06 ①
-3b>0이므로 "Ã(-3b)Û`=-3b
셀파 a>0일 때, ('a)Û`=(-'a)Û`=a, "aÛ`="Ã(-a)Û`=a
∴ -"Ã(-a)Û`-"4bÛ`+"25aÛ`+"Ã(-3b)Û`
① ('7)Û`=7 ② (-'3)Û`=3 =-a-(-2b)+5a+(-3b)
③ -('6)Û`=-6 ④ "Ã(-5)Û`=-(-5)=5 =-a+2b+5a-3b
⑤ '¶16="4Û`=4 =4a-b
따라서 가장 큰 수는 ①이다.

07 ⑴5 ⑵1 ⑶1 ⑷1 10 ⑴0 ⑵5
a-b (a¾b)
셀파 제곱근의 성질을 이용하여 근호를 없애고 계산한다. 셀파 "Ã(a-b)Û`=[ 임을 이용한다.
-(a-b) (a<b)
⑴ "Ã(-2)Û`=2, (-'3)Û`=3이므로
 -1>0이므로 "Ã(a-1)Û`=a-1
⑴ a>1일 때, a
"Ã(-2)Û`+(-'3)Û`=2+3=5
1-a<0이므로 "Ã(1-a)Û`=-(1-a)
⑵ '¶64="8Û`=8, "Ã(-7)Û`=7이므로 ∴ "Ã(a-1)Û`-"Ã(1-a)Û`=a-1-{-(1-a)}
'¶64-"Ã(-7)Û`=8-7=1 =a-1+1-a=0

 +2>0이므로 "Ã(a+2)Û`=a+2
⑵ -2<a<3일 때, a
⑶ ¾Ð{-;3!;}Û`=;3!;, "Ã(-9)Û`=9, "Ã(-2)Û`=2이므로
a-3<0이므로 "Ã(a-3)Û`=-(a-3)
∴ "Ã(a+2)Û`+"Ã(a-3)Û`=a+2-(a-3)
¾Ð{-;3!;}Û`_"Ã(-9)Û`-"Ã(-2)Û`=;3!;_9-2=1
=a+2-a+3=5

⑷ ('¶1.5)Û`=1.5, ('3)Û`=3, "Ã(-2)Û`=2이므로


('¶1.5)Û`Ö('3)Û`_"Ã(-2)Û`=1.5Ö3_2=1
11 ②
셀파 두 수 모두 근호가 있는 꼴로 만든 후 대소를 비교한다.

08 ②
① 6='¶36이고 37>36이므로
셀파 a>0일 때 ('a)Û`=a, (-'a)Û`=a, "aÛ`=a, "Ã(-a)Û`=a
'¶37>'¶36   ∴ '¶37>6
a>0일 때
② ;2!;=®;4!;이고 ;6!;<;4!;이므로 ®;6!;<®;4!;, 즉 ®;6!;<;2!;
① ('a)Û`=a
② -"aÛ`=-a ∴ -®;6!; >-;2!;
③ -a<0이므로 "Ã(-a)Û`=-(-a)=a
③ 2.5='Ä6.25이고 6.25>6이므로
④ (-'a)Û`=a 'Ä6.25>'6   ∴ 2.5>'6
⑤ -(-"aÛ`)=-(-a)=a ④ (양수)>(음수)이므로 '3>-'5
따라서 그 값이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②이다. ⑤ "Ã(-3)Û`='9이고 9>8이므로 '9>'8, 즉 "Ã(-3)Û`>'8
참고 a>0일 때, "Ã(-a)Û`=-(-a)=a로 계산할 수도 있고, ∴ -"Ã(-3)Û`<-'8
"(-a)Û`="aÛ`=a로 계산할 수도 있다. 따라서 두 수의 대소 관계가 옳지 않은 것은 ②이다.

4 I. 제곱근과 실수
12 3 풀고 또 풀고
제곱근의 성질
셀파 5<'¶3xÉ6의 각 변을 제곱하여 x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집중 연습 본문 | 20 쪽
5<'¶3xÉ6에서 5Û`<('¶3x)Û`É6Û` ∴ 25<3xÉ36
1  ⑴ -2 ⑵ -1 ⑶ -5 ⑷ 6.5
이 부등식의 각 변을 3으로 나누면 :ª3°:<xÉ12 ⑸ 2 ⑹ 1 ⑺ -2 ⑻ -1

이때 x는 자연수이므로 x=9, 10, 11, 12 ⑴ ('2)Û`+(-'3)Û`-('7)Û`=2+3-7=-2

따라서 a=12, b=9이므로 a-b=3 ⑵ (-'2)Û`-'¶49+"Ã(-4)Û`=2-7+4=-1


⑶ (-'7)Û`-'¶16_(-'3)Û`=7-4_3=7-12=-5

⑷ "Ã(-4)Û`Ö®É{;3@;}Û`+(-'¶0.5)Û`=4Ö;3@;+0.5
13  ⑴ 15 ⑵ 3
셀파 소인수분해한 수에 어떤 수를 곱하거나 어떤 수로 나누어 소인수의 지수 =4_;2#;+0.5
가 모두 짝수가 되도록 만든다.
=6+0.5=6.5
⑴ 60을 소인수분해하면 60=2Û`_3_5
'¶60x="Ã2Û`_3_5_x 가 자연수가 되려면 ⑸ "Ã(-8)Û`_"4Û`Ö(-'¶16)Û`=8_4Ö16
2Û`_3_5_x=(자연수)Û`이어야 하므로 =32Ö16=2
x=3_5_(자연수)Û` 꼴이어야 한다. ⑹ "Ã(-12)Û`Ö(-'6)Û`_®É{-;2!;}Û`=12Ö6_;2!;
즉 x=3_5_1Û`, 3_5_2Û`, 3_5_3Û`, y
따라서 구하는 가장 작은 자연수 x의 값은 3_5_1Û`=15이다. =2_;2!;=1

⑵ 108을 소인수분해하면 108=2Û`_3Ü` ⑺ -{®;3@; }Û`Ö®É{-;6!;}Û`Ö(-'2)Û`=-;3@;Ö;6!;Ö2


108 2Û`_3Ü` 2Û`_3Ü`
®É =¾Ð 이 자연수가 되려면 =(자연수)Û`이
x x x =-;3@;_6_;2!;
어야 하므로 x는 108의 약수이면서 x=3_(자연수)Û` 꼴이어야
=-2
한다.
즉 x=3_1Û`, 3_2Û`, 3_3Û`=3Ü`, 2Û`_3Ü` ⑻ "12Û`Ö('4)Û`-®É{-;5$;}Û`_'¶25=12Ö4-;5$;_5
따라서 구하는 가장 작은 자연수 x의 값은 3이다. =3-4=-1
108
다른 풀이 ®É 이 자연수가 되려면 108=2Û`_3Ü`의 약수 중
x
제곱수 1Û`, 2Û`, 3Û`, 2Û`_3Û`을 생각한다.
108 108 2  ⑴ 2a ⑵ 5a ⑶ 4a ⑷ -3a
=1Û`일 때 x=2Û`_3Ü`, =2Û`일 때 x=3Ü`,
x x ⑸ -2a+4 ⑹ 6 ⑺ -2x+5 ⑻ -1
108 108 ⑴ a>0일 때, -a<0이므로
=3Û`일 때 x=2Û`_3, =2Û`_3Û`일 때 x=3
x x
"ÅaÛ`+"Ã(-a)Û`=a+{-(-a)}=2a
따라서 구하는 가장 작은 자연수 x=3이다.
⑵ a<0일 때, -3a>0, 8a<0이므로
"Ã(-3a)Û`-"Ã(8a)Û`=-3a-(-8a)
=-3a+8a=5a
14  ⑴ 11 ⑵ 4
셀파 ⑴ 25+x>25이므로 25보다 큰 제곱수를 생각한다. ⑶ "Ã81aÛ`="Ã(9a)Û`이고
⑵ 20-x<20이므로 20보다 작은 제곱수를 생각한다. a>0일 때, 9a>0, -5a<0이므로
⑴ 25+x>25이므로 25+x는 25보다 크고 (자연수)Û` 꼴이어야 "Ã81aÛ`-"Ã(-5a)Û`="Ã(9a)Û`-"Ã(-5a)Û`
한다. 즉 25+x=36, 49, 64, y =9a-{-(-5a)}
∴ x=11, 24, 39, y =9a-5a=4a
따라서 구하는 가장 작은 자연수 x의 값은 11이다. ⑷ "49aÛ`="(7a)Û`이고
⑵ 20-x<20이므로 20-x는 20보다 작고 (자연수)Û` 꼴이어야 a<0일 때, 4a<0, 7a<0이므로
한다. 즉 20-x=16, 9, 4, 1 -"Ã(4a)Û`+"Ã49aÛ`=-"Ã(4a)Û`+"Ã(7a)Û`
∴ x=4, 11, 16, 19 =-(-4a)+(-7a)
따라서 구하는 가장 작은 자연수 x의 값은 4이다. =4a-7a=-3a

1. 제곱근의 뜻과 성질 5
정답과 해설

⑸ a<2일 때, a-2<0, 2-a>0이므로 03 ④


"Ã(a-2)Û`+"Ã(2-a)Û`=-(a-2)+(2-a) 셀파 a의 제곱근 ⇨ Ñ'a, 제곱근 a ⇨ 'a (단, a>0 )
=-a+2+2-a ② (제곱근 16)='¶16=4
=-2a+4 ③ (-3)Û`=9의 제곱근은 Ñ3이다.
⑹ -4<x<2일 때, x-2<0, x+4>0이므로 ④ 0.4의 음의 제곱근은 -'¶0.4이다.
"Ã(x-2)Û`+"Ã(x+4)Û`=-(x-2)+(x+4)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x+2+x+4
=6
⑺ "Ã4xÛ`="Ã(2x)Û`이고
0<x<5일 때, 2x>0, -3x<0, x-5<0이므로
04  ⑴ '¶0.4, '¶90 ⑵ ®É;8@1%;, ®É;9$0);, -'¶64
"Ã4xÛ`-"Ã(-3x)Û`+"Ã(x-5)Û`
셀파 근호 안의 수가 어떤 수의 제곱이면 근호를 없앨 수 있다.
=2x-{-(-3x)}+{-(x-5)}
=2x-3x-x+5 '¶49=7, ®É;8@1%;=;9%;, ®É;9$0);=®;9$;=;3@;, -'¶64=-8
=-2x+5
'¶0.4, '¶90은 근호 안의 수가 어떤 수의 제곱이 아니므로 근호를 없
⑻ -1<x<2일 때, x-2<0, 3-x>0이므로
앨 수 없다.
"Ã(x-2)Û`-"Ã(3-x)Û`=-(x-2)-(3-x)
⑴ ㉠에 도달하는 수는 근호를 없앨 수 없는 '¶0.4, '¶90이다.
=-x+2-3+x
⑵ ㉡에 도달하는 수는 근호를 없앨 수 있는
=-1
'¶49, ®É;8@1%;, ®É;9$0);, -'¶64이고
참고 -1<x<2일 때, -2<-x<1이므로

이 중 1보다 작은 수는 ®É;8@1%;, ®É;9$0);, -'¶64이다.


3-2<3-x<3+1, 즉 1<3-x<4

05 9
셀파 a>0일 때, a의 양의 제곱근 ⇨ 'a, a의 음의 제곱근 ⇨ -'a
실력 키우기 본문 | 21~23 쪽  a의 값 구하기 [40 %]
(-13)Û`=169이므로 169의 양의 제곱근은
01 ⑤
셀파 x가 a의 제곱근(a>0) ⇨ xÛ`=a ⇨ x=Ñ'a
'¶169=13 ∴ a=13

x가 11의 제곱근이므로 xÛ`=11 또는 x=Ñ'¶11  b의 값 구하기 [40 %]


따라서 x와 11 사이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⑤이다. '¶256=16이므로 16의 음의 제곱근은
-'¶16=-4 ∴ b=-4

 a+b의 값 구하기 [20 %]


따라서 a+b=13+(-4)=9

02 ④
셀파 제곱하여 음수가 되는 수는 없으므로 음수의 제곱근은 없다.

① 0의 제곱근은 0뿐이다.
06 ⑤
② "Ã(-3)Û`=3의 제곱근은 Ñ'3이다.
a>0일 때, ('a)Û`=(-'a)Û`=a, "ÅaÛ`="Ã(-a)Û`=a
③ (-4)Û`=16의 제곱근은 Ñ4이다.
셀파

① ('6)Û`=6 ② (-'6)Û`=6
④ -"7Û`=-7은 음수이므로 -"7Û`의 제곱근은 없다.
③ "6Û`=6 ④ "Ã(-6)Û`=6
⑤ ;3@;의 제곱근은 Ñ®;3@;이다. ⑤ -"Ã(-6)Û`=-6
따라서 제곱근을 구할 수 없는 수는 ④이다. 따라서 그 값이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⑤이다.

6 I. 제곱근과 실수
07 ⑤ 11  7개
셀파 제곱근의 성질을 이용하여 근호를 없앤 후 계산한다. 셀파 부등식의 각 변을 제곱하여 모두 근호를 포함하지 않는 꼴이 되도록 만든다.

① '¶16-'9+'¶36=4-3+6=7 3<'Äx-2É4이므로 9<x-2É16


② ('4)Û`-"Ã(-6)Û`+'¶81=4-6+9=7 각 변에 2를 더하면 11<xÉ18
③ ('3)Û`-"Ã(-2)Û`-'9=3-2-3=-2 따라서 이를 만족하는 자연수 x는 12, 13, 14, 15, 16, 17, 18의 7개
④ ('5)Û`+(-'¶14)Û`-"Ã(-2)Û`=5+14-2=17 이다.
⑤ "Ã(-7)Û`+'¶16-(-'5)Û`=7+4-5=6
따라서 옳은 것은 ⑤이다.
12 ③
셀파 근호 안의 수가 제곱수가 되도록 하는 x의 값을 구한다.

08 ② 48을 소인수분해하면 48=2Ý`_3


셀파 "aÛ`=-a임을 이용하여 a의 부호를 구한다. '¶ 48n="à 2Ý`_3_n이 자연수가 되려면 2Ý`_3_n=(자연수)Û`
a+0이고 "aÛ`=-a이므로 a<0 꼴이어야 하므로 n=3_(자연수)Û` 꼴이어야 한다.
① -a>0이므로 "Ã(-a)Û`=-a ∴ n=3_1Û`, 3_2Û`, 3_3Û`, 3_4Û`, 3_5Û`, y
② 5a<0이므로 "Ã(5a)Û`=-5a 따라서 '¶48n이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n의 값이 아닌 것은
③ "Ã4aÛ`="Ã(2a)Û`이고 2a<0이므로 "Ã4aÛ`=-2a ③`36이다.
④ -9a>0이므로 "Ã(-9a)Û`=-9a
⑤ "Ã16aÛ`="Ã(4a)Û`이고 4a<0이므로
-"Ã16aÛ`=-(-4a)=4a
13  73
셀파 36+x>36이므로 36보다 큰 제곱수를 생각한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②이다.
 ㈎를 만족하는 x의 값 구하기 [50 %]
㈎에서 'Ä36+x 가 자연수가 되려면 36+x는 36보다 크고 (자연수)Û`

09  ⑴ >, < ⑵ -b 꼴이어야 하므로


셀파 a-b>0, ab<0임을 이용하여 a, b의 부호를 구한다. 36+x=49, 64, 81, 100, …
∴ x=13, 28, 45, 64, …
 a, b의 부호 구하기 [30 %]
⑴ ab<0에서 a>0, b<0 또는 a<0, b>0  ㈏에서 x의 값의 범위 구하기 [30 %]
이때 a-b>0에서 a>b이므로 a > 0, b < 0 ㈏에서 5<'§x<7이므로 25<x<49

 주어진 식 간단히 하기 [70 %]  ㈎, ㈏를 모두 만족하는 x의 값의 합 구하기 [20 %]


⑵ "4bÛ`="Ã(2b)Û`이고 a>0, b-a<0, 2b<0이므로 따라서 ㈎, ㈏를 모두 만족하는 자연수 x는 28, 45이므로
"aÛ`-"Ã(b-a)Û`+"4bÛ`=a-{-(b-a)}+(-2b) 그 합은 28+45=73
=a+b-a-2b=-b

14  47
10 ④ 셀파 근호 안의 수가 제곱수가 되도록 하는 x, y의 값을 각각 구한다.

셀파 a>0, b>0일 때, a<b이면 'a<'b임을 이용한다. 'Ä42-x가 자연수가 되려면 42-x는 42보다 작고 (자연수)Û` 꼴이
① 7='¶49이고 49>48이므로 '¶49>'¶48   ∴ 7>'¶48 어야 하므로
② 2='4이고 3<4이므로 '3<'4   ∴ '3<2 42-x=1, 4, 9, 16, 25, 36
③ 12='¶144이고 144>13이므로 '¶144>'¶13   ∴ 12>'¶13 ∴ x=41, 38, 33, 26, 17, 6
따라서 x의 값 중 가장 큰 값은 41이므로 a=41
④ ;4#;=®É;1»6;이고 ;2!;<;1»6;이므로 ®;2!; <®É;1»6;
54를 소인수분해하면 54=2_3Ü`
;1¥6;
∴ ®;2!; <;4#; ®É:°]¢:=¾Ð
2_3Ü`
이 자연수가 되려면
2_3Ü`
=(자연수)Û`이어야 하
y y
⑤ 6='¶36이고 5<36이므로 '5<'¶36, 즉 '5<6 므로 y는 54의 약수이면서 2_3_(자연수)Û` 꼴이어야 한다.
∴ -'5>-6 따라서 y의 값 중 가장 작은 값은 2_3=6이므로 b=6
따라서 두 수의 대소 관계가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 a+b=41+6=47

1. 제곱근의 뜻과 성질 7
정답과 해설

15  ⑴ '5>2 ⑵ 0
셀파 제곱근의 대소 관계를 이용하여 먼저 '5-2와 2-'5의 부호를 판단한
2 무리수와 실수
다. 따라 풀면

 '5와 2의 대소 비교하기 [40 %] 개념 익히기 본문 | 27, 29 쪽


⑴ 2='4이고 5>4이므로 '5>'4, 즉 '5>2
1-1 유리수: ㉠, ㉢, ㉣, ㉤, 무리수: ㉡
 주어진 식 간단히 하기 [60 %] ㉠ -1은 정수이므로 유리수이다.
⑵ '5>2이므로 '5-2>0, 2-'5<0 ㉡ '1Œ0은 근호를 없앨 수 없으므로 무리수 이다.
∴ "Ã('5-2)Û`-"Ã(2-'5)Û`='5-2-{-(2-'5)} ㉢ 3.14는 유한 소수이므로 유리수이다.
='5-2+2-'5=0 ㉣ -'8Œ1=-"Å9Û`= -9 이므로 유리수 이다.
㉤ 3.H8은 순환 소수이므로 유리수 이다.
따라서 유리수는 ㉠, ㉢, ㉣, ㉤이고 무리수는 ㉡이다.

1-2 ⑴ ㉣ ⑵ ㉣, ㉧ ⑶ ㉢, ㉣, ㉤, ㉦, ㉧ ⑷ ㉠, ㉡, ㉥
㉠ '3은 근호를 없앨 수 없으므로 무리수이다.
16  ⑴ 15`cmÛ` ⑵ '¶15`cm
㉡ '2Œ4는 근호를 없앨 수 없으므로 무리수이다.
셀파 제곱근을 이용하여 정사각형 ABCD의 한 변의 길이를 구한다.
㉢ 0.1234는 유한소수이므로 유리수이다.
⑴ 정사각형 ABCD의 넓이는 처음 색종이의 넓이의 ;2!;이므로 ㉣ '¶100="10Û`=10이므로 자연수이다.

;2!;_30=15`(cmÛ`) ㉤ ®;9$;=®É{;3@;}2`=;3@;이므로 유리수이다.

㉥ -'¶6.4는 근호를 없앨 수 없으므로 무리수이다.


⑵ ABÓ Û`=15이고 ABÓ>0이므로 ABÓ='¶15`(cm) ㉦ 8.H1H5는 순환소수이므로 유리수이다.
㉧ '¶25="5Û`=5이므로 3-'¶25=3-5=-2이므로 정수이다.
⑵ 정수는 양의 정수(자연수), 0, 음의 정수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정수인 것은 ㉣, ㉧이다.
⑶ 정수, 유한소수, 순환소수는 유리수이므로 유리수인 것은 ㉢,

17  19 ㉣, ㉤, ㉦, ㉧이다.
셀파 '§x보다 작은 자연수를 구할 때는 x와 가장 가까운 (자연수)Û` 꼴인 수를 찾
⑷ 유리수가 아닌 수가 무리수이므로 무리수인 것은 ㉠, ㉡, ㉥이다.
아 '§x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1='1<'2<'3<'4=2이므로
2-1 ⑴◯ ⑵× ⑶× ⑷◯
⑴ '1Œ1은 무리수 이므로 실수이다.
N(1)=N(2)=N(3)=1
⑵ '4= 2 와 같이 "Ã(제곱수)는 유리수 이다.
2='4<'5<'6<'7<'8<'9=3이므로
N(4)=N(5)=N(6)=N(7)=N(8)=2 ⑶ 0.H3=;9#;= ;3!; 과 같이 무한소수이지만 유리수 인 것도 있다.
3='9<'¶10<'¶16=4이므로 ⑷ 실수는 유리수와 무리수로 구분되므로 무리수가 아닌 실수는
N(9)=N(10)=3 모두 유리수 이다.
∴N
 (1)+N(2)+N(3)+y+N(10)
=1_3+2_5+3_2=19 2-2 풀이 참조
수의 정수가
분류 자연수 정수 아닌 유리수 무리수 실수

유리수
15 ◯ ◯ × ◯ × ◯
'§36=6 ◯ ◯ × ◯ × ◯
-;5@; × × ◯ ◯ × ◯

0.H4=;9$; × × ◯ ◯ × ◯

'7 × × × × ◯ ◯

8 I. 제곱근과 실수
보고 또 보고
3-1 ⑴ '5 ⑵ -'5 유형 익히기- 확인 문제 본문 | 30~33 쪽
직각삼각형 OAB에서 OBÓ="Ã2Û`+1Û`= '5
⑴ OPÓ=OBÓ이고 점 P는 기준점 O(0)에서 오른쪽으로 '5만큼 떨 01 '¶8.1, "Å8Ü`, '2-1
어진 점이므로 점 P에 대응하는 수는 0+ '5 = '5 셀파 근호가 있는 수는 먼저 근호를 없앨 수 있는지 확인한다.

⑵ OQÓ=OBÓ이고 점 Q는 기준점 O(0)에서 왼쪽으로 '5만큼 떨


•"0.H1=®;9!;=;3!;이므로 "0.H1은 유리수이다.
어진 점이므로 점 Q에 대응하는 수는 0- '5 = -'5
'1Œ6 '1Œ6
•'¶16=4이고 - =-;7$;이므로 - 은 유리수이다.
7 7
•'¶8.1은 근호를 없앨 수 없으므로 무리수이다.
•3.14는 유한소수이므로 유리수이다.
3-2 ⑴ '2 ⑵ '2, 1+'2 ⑶ '2, 1-'2 •"Å8Ü`에서 8Ü`=(2Ü`)Ü`=2á`이므로 8Ü`은 제곱수가 아니다. 즉 근호를
⑴ 직각삼각형 ABC에서 ACÓ="Ã1Û`+1Û`='2 없앨 수 없으므로 무리수이다.
⑵ 점 P는 기준점 A(1)에서 오른쪽으로 '2만큼 떨어진 점이므로 •'2는 무리수이고 1은 유리수이므로 '2-1은 무리수이다.

•®É{;7@;}2`=;7@;이므로 유리수이다.
점 P에 대응하는 수는 1+'2
⑶ 점 Q는 기준점 A(1)에서 왼쪽으로 '2만큼 떨어진 점이므로
점 Q에 대응하는 수는 1-'2 따라서 무리수인 것은 '¶8.1, "Å8Ü`, '2-1이다.

4-1 ⑴< ⑵> ⑶< ⑷> 02 ㉢, ㉣


⑴ (음수)<0이므로 -'2<0 셀파 주어진 내용이 거짓인 예가 있는지 확인한다.

⑵ (양수)>(음수)이므로 '7` > -'5 ㉠ '4는 근호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이지만 '4=2이므로 유리수

⑶ ;2%;=®É:ª4°:이고 '8=®É:£4ª:이므로 |®É:ª4°:|<|'8|


이다.

㉡ ;3!;은 정수가 아닌 유리수이지만 ;3!;=0.H3이므로 순환소수로 나


⑶ ∴ ;2%; < '8
㉡ 타낼 수 있다.
⑷ -1=-'1이고 |-®;3!; |=®;3!;, |-'1|='1 ㉡ 즉 정수가 아닌 유리수는 유한소수 또는 순환소수로 나타낼 수
있다.
⑶ ®;3!; <'1이므로 |-®;3!; | < |-'1|
㉣ 무리수는 유리수가 아닌 수이므로 무리수는 ;aB; 꼴로 나타낼 수

⑶ ∴ -®;3!;` > -1 ㉡ 없다. (단, a+0, a, b는 정수)


따라서 옳은 것은 ㉢, ㉣이다.

4-2 ⑴> ⑵< ⑶> ⑷<


⑴ 음수끼리는 절댓값이 클수록 작다. 03 ④

⑴ |-'5|='5, |-'1Œ2|='1Œ2이고 '5<'1Œ2이므로


셀파 색칠한 부분에 속하는 수는 무리수이므로 보기에서 무리수인 것을 찾는
다.
⑴ |-'5|<|-'1Œ2| ∴ -'5>-'1Œ2
⑵ 양수끼리는 절댓값이 클수록 크다. ① (-'5)Û`=5이므로 유리수이다.
② '9-2=3-2=1이므로 유리수이다.
⑴ '7=®É:¤9£:, ;3*;=®É:¤9¢:이므로 |®É:¤9£:|<|®É:¤9¢:|
③ '¶169="13Û`=13이므로 유리수이다.
⑴ ∴ '7<;3*; ④ "1.H6=®;3%;이므로 무리수이다.
⑶ -4=-'1Œ6이고 |-'1Œ6|='1Œ6, |-'1Œ8|='1Œ8 1.H6=
16-1
=:Á9°:=;3%;

⑤ -®É;1@6%;=-®É{;4%;}2`=-;4%;이므로 유리수이다.
9
⑴ '1Œ6<'1Œ8이므로 |-'1Œ6|<|-'1Œ8|
⑴ ∴ -4>-'1Œ8
⑷ (음수)<(양수)이므로 -'1Œ0<1+'2 따라서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 즉 무리수에 속하는 수는 ④이다.

2. 무리수와 실수 9
정답과 해설

04 1-'6 '5+3
08 '6, '8, '5+0.5, ®É:Á2Á:,
셀파 정사각형 ABCD의 한 변의 길이를 구한다.
2
3='9와 '5=2.236을 이용하여 '5와 3 사이에 있는 수를 찾는다.
정사각형 ABCD의 넓이는 6이므로 BCÓ Û`=6
셀파

∴ BCÓ='6 (∵ BCÓ>0) •3='9이므로 '5<®É:Á2Á:<'6<'8<'9<'1Œ0


이때 PCÓ=BCÓ='6이므로 점 P는 기준점 C(1)에서 왼쪽으로 '6
만큼 떨어진 점이다. •따라서 '6, '8, ®É:Á2Á:은 '5와 3 사이에 있는 수이고, '1Œ0은 3보
따라서 점 P에 대응하는 수는 1-'6이다. •다 큰 수이다.
•'5+0.5=2.236+0.5=2.736이므로 '5<'5+0.5<3
따라서 '5+0.5는 '5와 3 사이에 있는 수이다.
05 '5+3 2.236+3 '5+3
② • = =2.618이므로 '5< <3
2 2 2
'5+3
셀파 서로 다른 두 실수 사이에는 무수히 많은 유리수와 무리수가 있다.
•따라서 은 '5와 3 사이에 있는 수이다.
① 모든 무리수는 각각 수직선 위의 한 점에 대응하므로 수직선 위 2
에 '1Œ1에 대응하는 점을 나타낼 수 있다. 3-'5 3-2.236 3-'5
• = =0.382이므로 <'5
② '4<'5<'9, 즉 2<'5<3이므로 2와 '5 사이에는 정수가 없 2 2 2
3-'5
다. •따라서 는 '5와 3 사이에 있는 수가 아니다.
2
③ 두 정수 0과 1 사이에는 정수가 없다.
LECTURE 두 실수 a, b 사이에 있는 수
④ ;1Á0;과 ;1¦0; 사이에는 무수히 많은 유리수가 있다.
a+b
⑤ 1에 가장 가까운 무리수는 정할 수 없다. ⑴ 두 실수 a, b의 평균:
2
따라서 옳은 것은 ②이다. ⇨ a, b를 나타내는 두 점을 이은 선분의 중점의 좌표이므로 a와
b 사이에 있다.
⑵ a, b의 차보다 작은 양수를 a, b 중 작은 수에 더하거나 큰 수에서

06 -2-'2: A, '6-2: E, -3+'1Œ7: F 뺀수


셀파 -'2, '6, '¶17이 각각 연속한 어떤 두 정수 사이에 있는지 알아본다. 예 '3=1.732, '8=2.828이라 할 때, '8-'3=1.096

'1<'2<'4에서 1<'2<2이므로 -2<-'2<-1


1.096

'3 '8
이 부등식의 각 변에 -2를 더하면 -4<-2-'2<-3
따라서 -2-'2에 대응하는 점이 있는 구간은 A이다. ⇨ '3+0.1, '3+1, '8-1은 '3과 '8 사이에 있다.
'4<'6<'9에서 2<'6<3
이 부등식의 각 변에서 2를 빼면 0<'6-2<1
따라서 '6-2에 대응하는 점이 있는 구간은 E이다.
'1Œ6<'1Œ7<'2Œ5에서 4<'1Œ7<5
이 부등식의 각 변에 -3을 더하면 실력 키우기 본문 | 34~35 쪽
1<-3+'1Œ7<2
01 2개
따라서 -3+'1Œ7에 대응하는 점이 있는 구간은 F이다.
셀파 근호가 있는 수는 먼저 근호를 없앨 수 있는지 확인한다.

•'9=3이므로 유리수이다.
•(-'1Œ0)Û`=10이므로 유리수이다.
07 '1Œ2-2: C, -3+'7: B, -3+'7<'1Œ2-2
•'5는 근호를 없앨 수 없으므로 무리수이다.
셀파 수직선에서 오른쪽에 있는 수가 왼쪽에 있는 수보다 크다.
•'5-2는 (무리수)+(유리수)이므로 무리수이다.
'9<'1Œ2<'1Œ6, 즉 3<'1Œ2<4이므로 1<'1Œ2-2<2 •0.H67H1은 순환소수이므로 유리수이다.
⇨ '1Œ2-2에 대응하는 점은 C이다. •0.7은 유리수이다.
'4<'7<'9, 즉 2<'7<3이므로 -1<-3+'7<0
•-®É;1£2;=-®;4!;=-;2!;이므로 유리수이다.
⇨ -3+'7에 대응하는 점은 B이다.
따라서 주어진 수직선에서 점 C가 점 B보다 오른쪽에 있으므로 •3.H1H4는 순환소수이므로 유리수이다.
-3+'7<'1Œ2-2 따라서 무리수는 '5, '5-2의 2개이다.

10 I. 제곱근과 실수
02 ④ 06  ㉠, ㉣
셀파 실수 중 유리수가 아닌 수는 무리수임을 이용한다. 셀파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구한다.

① (유리수)+(유리수)=(유리수)이므로 a+1은 유리수이다. ㉠ ADÓ="Ã2Û`+1Û`='5


② a=1일 때, 'a=1이므로 유리수이다. ㉡ EFÓ="Ã3Û`+1Û`='1Œ0이므로 EFGH=('1Œ0)Û`=10
③ (유리수)_(유리수)=(유리수)이므로 3a는 유리수이다. ㉢ APÓ=ADÓ='5이므로 점 P에 대응하는 수는 -3-'5
④ (무리수)+(유리수)=(무리수)이므로 '2+a는 무리수이다. ㉣ EQÓ=EFÓ='1Œ0이므로 점 Q에 대응하는 수는 1+'1Œ0
⑤ a=0일 때, '3a=0이므로 유리수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 ㉣이다.
따라서 항상 무리수인 것은 ④이다.

07 9
셀파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를 구한다.
03  ②, ③
셀파 '3은 무리수이다. 직각삼각형 ABC에서 ACÓ="Ã1Û`+3Û`='1Œ0
이때 CPÓ=CAÓ='1Œ0이고 점 C에 대응하는 수가 -1이므로
① 순환소수가 아닌 무한소수이다.
점 P에 대응하는 수는 -1+'1Œ0
② ('3)Û`=3이므로 유리수이다.
따라서 a=-1, b=10이므로 a+b=9
③ '1<'3<'4, 즉 1<'3<2이므로
③ '3은 1과 2 사이의 무리수이다.
④ 유리수가 아니므로 기약분수로 나타낼 수 없다.
⑤ 수직선 위의 한 점에 대응시킬 수 있다. 08  ㉠, ㉡

따라서 '3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②, ③이다.


셀파 수직선은 실수, 즉 유리수와 무리수에 대응하는 점만으로 완전히 메울 수
있다.

‌유리수와 무리수에 대응하는 점만으로 수직선을 완전히 메울



수 있다.
04  43 ‌서로 다른 두 유리수 사이에는 무수히 많은 무리수가 있다.

셀파 "Ã(제곱수)는 유리수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 ㉡이다.
'
 x가 유리수가 되도록 하는 x의 개수 구하기 [50 %]
x가 (자연수)Û` 꼴이면 'x는 유리수가 된다.
50 이하인 자연수 중 (자연수)Û` 꼴인 수는 09  ⑴ 풀이 참조 ⑵ 8개
1Û`, 2Û`, 3Û`, 4Û`, 5Û`, 6Û`, 7Û`의 7개이다. 셀파 •-1-'2는
‌ -1에 대응하는 점에서 왼쪽으로 '2만큼 떨어진 점에 대

'
응하는 수이다.
 x가 무리수가 되도록 하는 x의 개수 구하기 [50 %]
•‌2+'1Œ3은 2에 대응하는 점에서 오른쪽으로 '1Œ3만큼 떨어진 점에 대응
따라서 'x가 무리수가 되도록 하는 x의 개수는
하는 수이다.
50-7=43
 주어진 두 수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기 [70 %]

F

05  ㉠ '1Œ7, 2'2 ㉡ -2.85, ;9!;


B
 ㉢ '4, 2Þ`, 6 ㉣ (-1)Ü`, -'2Œ5
P C A D E Q
셀파 근호가 있는 수는 근호를 없앨 수 있는지 확인하고, 거듭제곱은 계산한다. -3 -2 -1 0 1 2 3 4 5 6
§
'4=2, 2Þ`=32, (-1)Ü`=-1, -'2Œ5=-5
-1-'2 2+'13
Ú -1-'2를
‌ 수직선 위에 나타내기
㉠ 유리수가 아닌 수는 무리수이므로 주어진 수 중 무리수는
Ú  수직선
‌ 위에 점 A가 -1에 대응하도록 ∠C=90ù,
'1Œ7, 2'2
ACÓ=1, BCÓ=1인 직각삼각형 ABC를 그린다.
㉡ 정수가 아닌 유리수이므로 주어진 수 중 정수가 아닌 유리수는
이때 ABÓ="Ã1Û`+1Û`='2
㉡ -2.85, ;9!;
Ú점
‌ A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ABÓ인 원이 수
㉢ 주어진 수 중 자연수는 '4, 2Þ`, 6 직선과 만나는 점을 찾으면 점 A의 왼쪽에 있는 점 P에
㉣ 음의 정수이므로 주어진 수 중 음의 정수는 (-1)Ü`,-'2Œ5 대응하는 수가 -1-'2이다.

2. 무리수와 실수 11
정답과 해설

⑴ Û 2+'1Œ3을 수직선 위에 나타내기


Ú  수직선 위에 점 D가 2에 대응하도록 ∠E=90ù, DEÓ=3,
3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곱셈과 나눗셈
FEÓ=2인 직각삼각형 DEF를 그린다. 따라 풀면

이때 DFÓ="Ã3Û`+2Û`='1Œ3 개념 익히기 본문 | 39, 41 쪽


Ú  점 D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DFÓ인 원이 수직
1-1 ⑴ '¶66 ⑵ 10'6 ⑶ '6 ⑷ 2'6
선과 만나는 점을 찾으면 점 D의 오른쪽에 있는 점 Q에
대응하는 수가 2+'1Œ3이다. ⑴ '6 '¶11="Ã6_ 11 =" 66

 두 수 -1-'2와 2+'1Œ3 사이에 있는 정수의 개수 구하기 [30 %] ⑵ 2'2_5'3=(2_5)_"Ã2_ 3 =10" 6


⑵ ⑴의 그림에서 -1-'2와 2+'1Œ3 사이에 있는 정수는 -2,
'¶18
=" 6
-1, 0, 1, 2, 3, 4, 5의 8개이다. 18
⑶ =®Â
'3 3

10  ⑴ 1, 2, C
⑷ 6'¶12Ö3'2=
6
®Â:Á2ª:= 2 '6
 ⑵ -'8 : A, 1+'2 : D, 3-'1Œ3 : B 3
 ⑶ 가장 큰 수: 1+'2, 가장 작은 수: -'8
셀파 a<'x<a+1 ⇨ a+b<'x+b<a+1+b

  안에 알맞은 것 구하기 [20 %] 1-2 ⑴ '¶14 ⑵ 6 ⑶ 20'¶22 ⑷ ;2!; ⑸ 2 ⑹ ;3$;


⑴ '9<'1Œ0<'1Œ6, 즉 3<'1Œ0<4이므로
⑴ '2 '7='Ä2_7='¶14
⑴ 1 <'1Œ0-2< 2
⑴ 따라서 '1Œ0-2에 대응하는 점은 C 이다. ⑵ '3_2'3=(1_2)_'Ä3_3=2_'9=2_3=6

 나머지 세 수에 대응하는 점을 각각 구하기 [50 %] ⑶ 5'2_4'¶11=(5_4)_'Ä2_11=20'¶22


⑵ 2<'8<3이므로 -3<-'8<-2
'7
⑴ 따라서 -'8에 대응하는 점은 A이다. ⑷ =®É;2¦8;=®;4!;=;2!;
'¶28
⑴ 1<'2<2이므로 2<1+'2<3
⑴ 따라서 1+'2에 대응하는 점은 D이다.
⑸ '¶20Ö'5=®É:ª5¼:='4=2
⑴ 3<'1Œ3<4이므로 -4<-'1Œ3<-3
⑴ ∴ -1<3-'1Œ3<0
4'8
⑴ 따라서 3-'1Œ3에 대응하는 점은 B이다. ⑹ 4'8Ö2'¶18= =;2$;®É;1¥8;=2®;9$;=2_;3@;=;3$;
2'¶18
 네 수 중 가장 큰 수와 가장 작은 수 구하기 [30 %]
⑶ 주어진 그림에서 가장 큰 수는 점 D에 대응하는 수이고
'7
2-1 ⑴ 6'3 ⑵ ⑶ -'¶75 ⑷ ®Â:Á4Á:
가장 작은 수는 점 A에 대응하는 수이므로 10
⑴ 가장 큰 수는 1+'2이고, 가장 작은 수는 -'8이다. ⑴ '¶108="Ã 6 Û`_3= 6 '3

'7 '7
⑵ '¶0.07=®Â;10&0;= =
11  ②, ③ "Ã 10 Û` 10
셀파 '6과 '7의 값을 이용하여 '6과 '7 사이에 있는 수를 찾는다.

① '6+0.2=2.449+0.2=2.649이므로 '6+0.2>'7 ⑶ -5'3=-"à 5 Û`_3=-" 75


② '7-0.01=2.646-0.01=2.636이므로 '6<'7-0.01<'7
'¶11
'6+'7 2.449+2.646 '6+'7 =¾¨ :Á4Á:
11
=®Â
=2.5475이므로 '6<


2
=
2 2
<'7 2 2 `Û
'7-'6 2.646-2.449 '7-'6
④ = =0.0985이므로 <'6
2 2 2
3+'7 3+2.646 3+'7 '7 '3

2
=
2
=2.823이므로
2
>'7 2-2 ⑴ 5'7 ⑵ 4'6 ⑶
5

5
따라서 '6과 '7 사이에 있는 수는 ②, ③이다. ⑴ '¶175="Ã5Û`_7=5'7

12 I. 제곱근과 실수
⑵ '¶96="Ã4Û`_6=4'6 4-1 ⑴ 3.225 ⑵ 3.479
⑴ 아래 제곱근표에서 왼쪽의 수 10의 가로줄과 위쪽의 수 4 의
'7 '7 '7
⑶ ®Â;2¦5;= = = 세로줄이 만나는 곳에 있는 수인 3.225 이다.
'¶25 "5Û` 5
∴ '¶10.4=3.225
'3
⑷ '¶0.12=®Â;1Á0ª0;=¾¨ 2Û`_3 =
2'3 ⑵ 아래 제곱근표에서 왼쪽의 수 12 의 가로줄과 위쪽의 수 1
=
10Û` 10 5 의 세로줄이 만나는 곳에 있는 수인 3.479 이다.
∴ '¶12.1=3.479

수 0 1 2 3 4 5
2-3 ⑴ '¶80 ⑵ -'¶18 ⑶ ®;9&; ⑷ ®Â:¦4°:
10 3.162 3.178 3.194 3.209 3.225 3.240
⑴ 4'5="Ã4Û`_5='¶80 11 3.317 3.332 3.347 3.362 3.376 3.391
12 3.464 3.479 3.493 3.507 3.521 3.536
⑵ -3'2=-"Ã3Û`_2=-'¶18

'7 '7
⑶ = =®;9&;
3 "3Û`
4-2 ⑴ 1.109 ⑵ 1.158
5'3 "Ã5Û`_3 ⑴ 아래 제곱근표에서 왼쪽의 수 1.2의 가로줄과 위쪽의 수 3의 세
⑷ = =®Â:¦4°:
2 "2Û` 로줄이 만나는 곳에 있는 수인 1.109이다.
∴ '¶1.23=1.109
⑵ 아래 제곱근표에서 왼쪽의 수 1.3의 가로줄과 위쪽의 수 4의 세
'¶10 '¶21
3-1 ⑴ '2 ⑵ ⑶ 로줄이 만나는 곳에 있는 수인 1.158이다.
15 6
∴ '¶1.34=1.158
2 2_ '2
⑴ = = '2 0 1 2 3 4
'2

'2_ '2
1.0 1.000 1.005 1.010 1.015 1.020

'2_ '5
1.1 1.049 1.054 1.058 1.063 1.068
'2 '¶10
⑵ = = 1.2 1.095 1.100 1.105 1.109 1.114
3'5 3'5_ '5 15
1.3 1.140 1.145 1.149 1.153 1.158

'7 '7 '7_ '3 '¶21


⑶ = = =
'¶12 2'3 2'3_ '3 6

3'5 '¶30
⑴ '5, '5, ⑵ '¶10, '¶10,
보고 또 보고
3-2 5 10 유형 익히기- 확인 문제 본문 | 42~48 쪽
'¶42
⑶ '6, '6, ⑷ '2, '2, '2
12
01 1. -3'¶15 2. ;3@;
3 = 3_ '53'5
⑴ = 셀파 a>0, b>0, c>0이고 l, m, n이 유리수일 때
'5 '5_ '5 5
l'a_m'b_n'c=lmn'Äabc

'3 '3_ '¶10 '¶30 1. 3'5_(-2'2)_®;8#;=3_(-2)_®É5_2_;8#;


⑵ = =
'¶10 '¶10_ '¶10 10 '¶15
=-6_®É:Á4°:=-6_
2
'7 '7_ '6 '¶42 =-3'¶15
⑶ = =
2'6 2'6_ '6 12
2. 5_'6_'a=5'¶6a, '2_'¶50='Ä100=10이므로
5'¶6a=10, '¶6a=2, 6a=4
4_ '2
⑷ 4 = 4 = = '2 ∴ a=;3@;
'8 2'2 2'2_ '2

3.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곱셈과 나눗셈 13


정답과 해설

02 2 05  ;2!;
셀파 나눗셈을 모두 역수의 곱셈으로 바꾸어 좌변을 먼저 계산한다.
셀파 분모를 유리화하여 a, b의 값을 각각 구한다.
'¶18 '3 '¶15 '¶18 '5 '8 2'3 2'3 '3 '3_'2 '6
Ö Ö = _ _
2'2 '5 '8 2'2 '3 '¶15 -
'8
=-
2'2
=-
'2
=-
'2_'2
=-
2
이므로

=;2!;®É:Á2¥:_;3%;_;1¥5; a=-;2!;
2'2
=;2!;'8= ='2 6
=
6
=
3
=
3_'3
=
3'3
='3이므로
2 '¶12 2'3 '3 '3_'3 3
따라서 'k='2이므로 k=2 b=1

∴ a+b=-;2!;+1=;2!;

06  ;2%;
03  1. 7 2. 60
근호 안의 수를 소인수분해하였을 때, aÛ`b 꼴이면 a를 근호 밖으로 꺼낸
셀파 나눗셈을 역수의 곱셈으로 바꾼다.
셀파
1 2'¶32
{- }_(-'¶60)Ö
다.
'3 '¶80
1. '¶54="Ã3Û`_6=3'6이므로 a=3
근호 안의 제곱인 인수를
근호 밖으로 꺼낸다.
1 8'2
'3 ={- }_(-2'¶15)Ö
®Â;4»8;=®Â;1£6;=®Â 3 = 이므로 b=4 '3 4'5
4Û` 4 나눗셈을 역수의 곱셈으로 바꾼다.
1 4'5
∴ a+b=3+4=7 ={- }_(-2'¶15)_
'3 8'2 근호 밖의 수끼리, 근호 안의

2. '¶12="Ã2Û`_3=2'3
수끼리 계산한다.
=(-1)_(-2)_;2!;_®É;3!;_15_;2%;
'¶18="Ã3Û`_2=3'2
5 5'2
'¶50="Ã5Û`_2=5'2 =®Â:ª2°:= =
'2 2
∴ '¶12_'¶18_'¶50=2'3_3'2_5'2 분모의 유리화
=(2_3_5)_'Ä3_2_2 ∴ k=;2%;
=(2_3_5)_2'3
=60'3
∴ a=60

풀고 또 풀고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곱셈과 나눗셈
집중 연습 본문 | 45 쪽

3'5 '¶30
1  ⑴ 6'2 ⑵ -2'¶31 ⑶
4

12
04  1. 2 2. ;5!; '7 '¶10
⑸ ⑹
5 20
셀파 근호 밖의 양수를 제곱하여 근호 안으로 넣는다.
⑴ '¶72="Ã6Û`_2=6'2
1. -2'¶10=-"Ã2Û`_10=-'¶40이므로 a=40
'5 '5 '5 ⑵ -'¶124=-"Ã2Û`_31=-2'¶31
= = =®Â;10%0;=®Â;2Á0;이므로 b=;2Á0;
10 "Ã10Û` 'Ä100
⑶ ®Â;1$6%;=¾¨ 3Û`_5 =
3'5
∴ ab=40_;2Á0;=2 4Û` 4
'¶30
⑷ ®Â;1£4¼4;=¾¨ 30 =
'7 '7 '7 12Û` 12
2. 5 = = =®Â;2¦5;이므로
"Ã5Û` '¶ 25
'7
⑸ '¶0.28=®Â;1ª0¥0;=¾¨ 2Û`_7 =
2'7
=
'Ä0.08+k=®Â;2¦5;에서 0.08+k=;2¦5; 10Û` 10 5

1 '¶10
∴ k=;2¦5;-0.08=;2¦5;-;2ª5;=;2°5;=;5!; ⑹ '¶0.025=®Â;10@0%0;=®Â;4Á0;= =
2'¶10 20

14 I. 제곱근과 실수
⑹ '¶72_'¶108Ö'¶48=6'2_6'3Ö4'3
2  ⑴ '¶162 ⑵ -'¶99 ⑶ ®;5$; ⑷ -®;3$;
1
=6'2_6'3_
⑴ 9'2="Ã9Û`_2='¶162

4'3
⑵ -3'¶11=-"Ã3Û`_11=-'¶99 =9'2

'¶20 '¶20
⑶ = =®Â;2@5);=®;5$; ⑺ '¶39Ö'¶13Ö®;3!;='¶39_
1
5 "5Û` '¶13
_'3='3_'3=3

2'3 "Ã2Û`_3
⑷ - =- =-®É:Á9ª:=-®;3$;
3 "3Û` '2 '¶10 '2 '¶10 '2
⑻ _ Ö®Â;1ª5;= _ Ö
3 '3 3 '3 '¶15
'2 '¶10 '¶15
= _ _
3 '3 '2
8'3 '5 '¶10 '¶50 5'2
3  ⑴ ⑵ ⑶ -5'6 ⑷ = =
3 3 5 3 3
7'6 '¶10
⑸-
9

8 2 '¶11 3'¶11 2 '5 3'¶11
⑼ Ö _ = _ _
8'3 '5 '5 '2 '5 '¶11 '2
8 8_'3
⑴ = =
'3 '3_'3 3 =
6
=
6_'2
'2 '2_'2
5 5_'5 5'5 '5 6'2
⑵ = = = = =3'2
3'5 3'5_'5 15 3
2
10'3 10'3_'2 10'6
⑶ - =- =- =-5'6
'2 '2_'2 2 ⑽ 4'¶48Ö2'¶75Ö'¶12Ö'3=16'3Ö10'3Ö2'3Ö'3
1 1 1
'6 '2 '2_'5 '¶10 =16'3_ _ _
⑷ = = = 10'3 2'3 '3
'3 '5 '5 '5_'5 5

14'6 7'6 =16_;1Á0;_;2!;_®É3_;3!;_;3!;_;3!;


14 14_'6
⑸ - =- =- =-
3'6 3'6_'6 18 9
=;5$;_;3!;=;1¢5;
'5 '5_'2 '¶10
⑹ = =
4'2 4'2_'2 8

07  14.53
셀파 각 어림한 값에서 만나는 가로줄과 세로줄을 확인한다.
'¶15 '5 어림한 값 2.724는 제곱근표에서 7.4의 가로줄과 2의 세로줄이 만
4  ⑴ 5'3 ⑵ -15'6 ⑶ -'2 ⑷
3

5
나는 곳에 있는 수이므로 a=7.42
5'2
⑹ 9'2 ⑺ 3 ⑻ ⑼ 3'2 ⑽ ;1¢5; 또 어림한 값 2.666은 제곱근표에서 7.1의 가로줄과 1의 세로줄이
3
⑴ '5_'¶15='¶5_15='¶75="Ã5Û`_3=5'3 만나는 곳에 있는 수이므로 b=7.11
∴ a+b=7.42+7.11=14.53
⑵ -'¶27_'¶50=-3'3_5'2=-3_5_'¶3_2=-15'6
4'3 2
⑶ '¶48Ö(-2'6)=4'3Ö(-2'6)= =-
-2'6 '2
08  ⑴ 76.81 ⑵ 242.9 ⑶ 0.7681 ⑷ 0.2429
2_'2 2'2
=- =- =-'2 1 1
'2_'2 2 셀파 근호 안의 수를 5.9_{10n 또는
10n
} 또는 59_{10n` 또는 n } 꼴로
10
10'5 변형한다. (단, n은 짝수)
⑷ 5'¶20Ö2'¶75=10'5Ö10'3=
10'3 '¶5.9=2.429, '¶59=7.681일 때
'5 '5_'3 '¶15 ⑴ 'Ä5900='Ä59_100=10'¶59=10_7.681=76.81
= = =
'3 '3_'3 3
⑵ 'Ä59000='Ä5.9_10000=100'¶5.9=100_2.429=242.9
3 '2 3 '2 1 3 '¶59 7.681

'5
_
'3
Ö'6=
'5
_
'3
_
'6
=
3'5 ⑶ 'Ä0.59=®É;1°0»0;= = =0.7681
10 10
1 '5 '5 5.9 '¶5.9 2.429
= = = ⑷ 'Ä0.059=®É = = =0.2429
'5 '5_'5 5 100 10 10

3.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곱셈과 나눗셈 15


정답과 해설

09  ⑴ 3b-2a ⑵
ab 02 ④
5
셀파 Ú 근호 안의 제곱인 인수는 근호 밖으로 꺼낸다.
셀파 근호 안의 수가 자연수이면 소인수분해하고, 소수이면 분수로 고쳐 생각
Û 근호 밖의 양수는 제곱하여 근호 안으로 넣는다.
한다.
① 4'2="Ã4Û`_2='¶32 ∴ =32
'5=a, '7=b이므로
② 'Ä175="Ã5Û`_7=5'7 ∴ =5
⑴ '¶63-'¶20="Ã3Û`_7-"Ã2Û`_5
③ 'Ä270="Ã3Û`_30=3'¶30 ∴ =30
=3'7-2'5
'5 '5
=3b-2a ④ = =®Â;4°9; ∴ =49
7 "7Û`
'¶140 "Ã2Û`_5_7
⑵ '¶1.4=®É;1!0$0);= ⑤ 'Ä0.18=®Â;1Á0¥0;=¾¨ 3Û`_2 =
= 3'2
∴ =3
10 10 10Û` 10
2'5_'7
= =:5õ: 따라서 안에 들어갈 수가 가장 큰 것은 ④이다.
10

03  139
셀파 a>0, b>0일 때, a'b="aÛ`b임을 이용한다.
10  :Á5¥:  a, b, c의 값 구하기 [70`%]
셀파 먼저 삼각형의 넓이를 구한다. 5'6="Ã5Û`_6='¶150이므로 a=150
-'¶126=-"Ã3Û`_14=-3'¶14이므로 b=-3, c=14
(삼각형의 넓이)=;2!;_'¶162_2'¶12
 a-b-c의 값 구하기 [30`%]
=;2!;_9'2_4'3 ∴ a-b-c=150-(-3)-14=139
=18'6
따라서 직사각형의 넓이가 18'6이므로 직사각형의 세로의 길이를
x라 하면
18'6='¶150_x
04 ③
셀파 분모에 있는 제곱근을 분자, 분모에 모두 곱한다.
18'6 18'6
∴ x= = =:Á5¥:
'¶150 5'6 1 '3 '3
① = =
'3 '3_'3 3
'3 '3_'5 '¶15
② = =
'5 '5_'5 5
6 6_'2 6'2
③ = = =3'2
'2 '2_'2 2
'¶11 '¶11_'3 '¶33
④ = =
49~50 쪽 '3 '3_'3
실력 키우기 본문 |
3
3 3_'5 3'5
01 ② ⑤
2'5
=
2'5_'5
=
10
셀파 a>0, b>0일 때,
따라서 분모를 유리화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a
'a_'b='¶ab, 'aÖ'b= =®;bA;
'b
'¶10
① =®Â:Á5¼:='2
'5
② '3_'6='Ä3_6='¶18=3'2 05  ㉡, ㉠, ㉣, ㉢
셀파 주어진 수의 분모를 같게 하여 대소를 비교한다.
③ ®;7$;_®;2&;=®Â;7$;_;2&;='2
'5 '5_'7 '¶35
㉠ = =
1 '7 '7_'7 7
④ -'¶75Ö'3=-5'3Ö'3=-5'3_ =-5
'3 5 5_'7 5'7 '¶175
㉡ = = =
'7 '7_'7 7 7
⑤ ®;5#;Ö®Â;2£5;=®Â;5#;_:ª3°:='5
'5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②이다. 7

16 I. 제곱근과 실수
'¶25 ④ 'Ä61300="Ã6.13_10000=100'¶6.13이고
㉣ ;7%;=
7 '¶6.13=2.476이므로
'5 '¶25 '¶35 '¶175 'Ä61300=100_2.476=247.6
이때 '5<'¶25<'¶35<'¶175이므로 < < <
7 7 7 7
62.4 'Ä62.4
따라서 주어진 수를 크기가 큰 것부터 차례대로 나열하면 ㉡, ㉠, ⑤ 'Ä0.00624=®É =
10000 100
㉣, ㉢이다. 이때 주어진 제곱근표에서 'Ä62.4의 값을 구할 수 없으므로
'Ä0.00624를 어림한 값은 구할 수 없다.

06 5
셀파 나눗셈은 역수의 곱셈으로 바꿔 계산한 후 분모를 유리화한다.
09 ③
 a의 값 구하기 [40`%] 셀파 근호 안의 수를 10 또는 ;1Á0;의 거듭제곱을 곱한 꼴로 나타낸다.
1
4'5Ö2'¶18_3'6=4'5_ _3'6 ① '¶310='Ä3.1_100=10'¶3.1=10_1.761=17.61
2'¶18
② 'Ä3100='Ä31_100=10'¶31=10_5.568=55.68
6'5 6'¶15
= = =2'¶15 '¶31
'3 3 ③ '¶0.31=®É;1£0Á0;= =
5.568
=0.5568
10 10
∴ a=2
'¶31 5.568
④ 'Ä0.0031=®É;10£0Á00;= = =0.05568
 b의 값 구하기 [40`%] 100 100
4 4 1 24 24'3 3.1 '¶3.1 1.761
_3'8Ö'2= _3'8_ = = =8'3 ⑤ 'Ä0.00031=®É = = =0.01761
'3 '3 '2 '3 3 10000 100 100
∴ b=3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 a+b의 값 구하기 [20`%]


∴ a+b=2+3=5

10 ⑤
셀파 주어진 수를 '3과 '5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3'6 ① '¶48="Ã4Û`_3=4'3=4a
07 
2 '5
② 'Ä0.05=®É;10%0;= =;1õ0;
셀파 주어진 계산을 등식으로 나타낸다. 10
㈎에 알맞은 수를 A라 하면 ③ 'Ä125="5Ü`=('5)Ü`=bÜ`
'6 '¶27 "3Ü` ('3)Ü`` aÜ`
8 ④ ®É:ª5¦:= = = =

'5
_
'¶45
=4 '5 '5 '5 b

'5 8 8 ⑤ '¶45="Ã3Û`_5=('3)Û`_'5=aÛ`b
A_ _ =4, A_ =4
'6 '¶45 3'6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8 3'6 3'6
∴ A=4Ö =4_ =
3'6 8 2

11  2'3
셀파 넓이의 비가 a:b이면 닮음비는 'a:'b이다.
08 ⑤
 △AEF와 △ABC의 넓이의 비 구하기 [40`%]
셀파 근호 안의 수를 10 또는 ;1Á0;의 거듭제곱을 곱한 꼴로 나타낸다.
 EBCF=;3!;△AEF이므로
① 'Ä6.04=2.458
② 'Ä611="Ã6.11_100=10'Ä6.11이고 'Ä6.11=2.472이므로
△ABC=△AEF+ EBCF
'Ä611=10_2.472=24.72 =△AEF+;3!; △AEF
6.3 '¶6.3
③ 'Ä0.063=®É = 이고 '¶6.3=2.510이므로 =;3$; △AEF
100 10
2.510
'Ä0.063= =0.2510 ∴ △AEF:△ABC=1:;3$;=3:4
10

3.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곱셈과 나눗셈 17


정답과 해설

 △AEF와 △ABC의 닮음비 구하기 [30`%]


따라서 △AEF와 △ABC는 닮음비가 '3:'4, 즉 '3:2인
4 근호를 포함한 식의 덧셈과 뺄셈
닮은 도형이다. 따라 풀면

 EFÓ의 길이 구하기 [30`%]


개념 익히기 본문 | 55, 57 쪽
'3:2=EFÓ:4에서 2 EFÓ=4'3
9'5 '3
∴ EFÓ=2'3 1-1  ⑴ 13'2 ⑵ 2'6 ⑶
5
⑷-
12
참고 오른쪽 그림과 같이 BCÓ∥EFÓ일 때 A ⑴ 7'2+6'2=(7+6)'2= 13 '2
△AEF와 △ABC에서
⑵ 4'6-2'6=(4- 2 )'6= 2 '6
∠A는 공통,
E F 4'5 5 '5+4'5 9 '5
⑶ '5+
∠AEF=∠B (동위각)
= =
이므로 B C 5 5 5
4
△AEF»△ABC (AA 닮음) 2'3 3'3 8 '3- 9 '3 '3
⑷ - = =-
3 4 12 12

'5
12  688일 1-2  ⑴ 9'7 ⑵ -4'3 ⑶ '2 ⑷
4
셀파 주어진 값을 이용할 수 있도록 근호 안의 수를 바꾼다.
⑴ 4'7+5'7=(4+5)'7=9'7
N=0.2_"RÜ`에서 R=228을 대입하면
⑵ '3-5'3=(1-5)'3=-4'3
N=0.2_"228Ü`
=0.2_228_'¶228 2'2 '2 2'2+'2 3'2
⑶ + = = ='2
=0.2_228_'¶2.28_100 3 3 3 3
=0.2_228_10'¶2.28 '5 '5 2'5-'5 '5
⑷ - = =
=456_'¶2.28 2 4 4 4
=456_1.510=688.56
따라서 화성의 일 년은 688일이다.
2-1  ⑴ 3'2+2'¶10 ⑵ '6-'2 ⑶ 2'2

⑴ '2(3+2'5)='2_3+'2_2'5
=3'2+ 2'¶10

'¶18-'6 '¶18 '6


⑵ ('¶18-'6)Ö'3= = - ='6- '2
'3 '3 '3

6
⑶ 5'2- =5'2- 3 '2= 2 '2
'2

'6
2-2  ⑴ '¶30+'¶70 ⑵ 4-'5 ⑶ 5'3 ⑷
6
⑴ '¶10('3+'7)='¶30+'¶70

'¶48-'¶15 '¶48 '¶15


⑵ ('¶48-'¶15)Ö'3= = -
'3 '3 '3
='¶16-'5=4-'5

9
⑶ 2'3+ =2'3+3'3=5'3
'3

'3 '2 '6 '6 3'6-2'6 '6


⑷ - = - = =
'2 '3 2 3 6 6

18 I. 제곱근과 실수
3-1 ⑴> ⑵< ⑶< ⑵ 3<'¶10<4이므로 '¶10의 정수 부분은 3이고
⑴ 5-'6-'6=5-2'6 '¶10의 소수 부분은 '¶10-3이다.
이때 5='¶25, 2'6='¶24이므로 5-2'6 > 0 ⑶ 1<'2<2이므로 3<2+'2<4
∴ 5-'6 > '6 따라서 2+'2의 정수 부분은 3이고
⑵ 2'7-7-(1-'7)=2'7-7-1+'7 2+'2의 소수 부분은 (2+'2)-3='2-1
=3'7-8 ⑷ 1<'3<2이므로 0<'3-1<1
이때 3'7='¶63, 8=¿¹ 64 이므로 3'7-8 < 0 따라서 '3-1의 정수 부분은 0이고
∴ 2'7-7 < 1-'7 '3-1의 소수 부분은 '3-1-0='3-1
⑶ 5'3-3'2-('2+2'3)=5'3-3'2-'2-2'3
=3'3-4'2
이때 3'3=¿¹ 27 , 4'2=¿¹ 32 이므로 3'3-4'2 < 0
∴ 5'3-3'2 < '2+2'3 보고 또 보고

유형 익히기- 확인 문제 본문 | 58~62 쪽

01  ⑴ -2'2+2'5 ⑵ 4'¶10-9'6
3-2 ⑴> ⑵< ⑶< ⑷>
셀파 근호 안의 수가 같은 것끼리 모아서 계산한다.
⑴ 4-'3-2=2-'3
⑴ 2'2+3'5-4'2-'5=(2-4)'2+(3-1)'5
이때 2='4이므로 2-'3>0
=-2'2+2'5
∴ 4-'3>2
⑵ 6'¶10-10'6-2'¶10+'6=(6-2)'¶10+(-10+1)'6
⑵ 2'5-3-'5='5-3
=4'¶10-9'6
이때 3='9이므로 '5-3<0
∴ 2'5-3<'5
⑶ 7-'3-(3'3+1)=7-'3-3'3-1=6-4'3
02  ⑴ 5'5 ⑵ -'3 ⑶ '¶10 ⑷ 2'2+4'3
이때 6='¶36, 4'3='¶48이므로 6-4'3<0
셀파 먼저 "aÛ`b=a'b임을 이용하여 근호 안의 수를 가장 작은 자연수로 만
∴ 7-'3<3'3+1
⑷ '3+'2-(3'2-'3)='3+'2-3'2+'3
든다.

=2'3-2'2 ⑴ '¶20+'¶45=2'5+3'5=5'5

이때 2'3='¶12, 2'2='8이므로 2'3-2'2>0 ⑵ 2'¶12-'¶75=2_2'3-5'3

∴ '3+'2>3'2-'3 =4'3-5'3=-'3
⑶ '¶40-'¶90+2'¶10=2'¶10-3'¶10+2'¶10
='¶10

4-1  ⑴ 정수 부분: 2, 소수 부분: '5-2 ⑷ 3'8+'¶18-'¶98+'¶48=3_2'2+3'2-7'2+4'3

⑵ 정수 부분: 3, 소수 부분: '3-1 =6'2+3'2-7'2+4'3

⑴ 2<'5<3이므로 '5의 정수 부분은 2 이고 =2'2+4'3

'5의 소수 부분은 '5- 2 이다.


⑵ 1<'3<2이므로 3<2+'3<4
따라서 2+'3의 정수 부분은 3 이고 03  ⑴ 6+2'2 ⑵ 5'5-7'2
2+'3의 소수 부분은 (2+'3)- 3 = '3-1 셀파 분배법칙을 이용하여 괄호를 풀고 계산한다.

⑴ 2'3('3+'6)-4'2=6+2'¶18-4'2
=6+6'2-4'2
4-2  ⑴ 정수 부분: 2, 소수 부분: '7-2 =6+2'2
⑵ 정수 부분: 3, 소수 부분: '¶10-3 ⑵ 3('¶45-'¶50)+2'2(4-'¶10)
⑶ 정수 부분: 3, 소수 부분: '2-1 =3(3'5-5'2)+2'2(4-'¶10)
⑷ 정수 부분: 0, 소수 부분: '3-1 =9'5-15'2+8'2-2'¶20
⑴ 2<'7<3이므로 '7의 정수 부분은 2이고 =9'5-15'2+8'2-4'5
'7의 소수 부분은 '7-2이다. =5'5-7'2

4. 근호를 포함한 식의 덧셈과 뺄셈 19


정답과 해설

04  ⑴ '3 ⑵ 4'2 07  ⑴ 1 ⑵ '3+3


셀파 분모를 유리화한 후 계산한다. 셀파 근호 안의 수와 가까운 (자연수)Û` 꼴인 수를 찾아 무리수의 정수 부분을 찾

'¶30+3 ('¶30+3)_'3 는다. 이때 (무리수의 소수 부분)=(무리수)-(정수 부분)이다.


⑴ -'¶10= -'¶10
'3 '3_'3 ⑴ '4<'7<'9, 즉 2<'7<3이므로
'¶90+3'3 1<'7-1<2
= -'¶10
3 따라서 '7-1의 정수 부분은 1이고 소수 부분은
3'¶10+3'3 ('7-1)-1='7-2이다.
= -'¶10
3
∴ a='7-2
='¶10+'3-'¶10
'¶25<'¶28<'¶36, 즉 5<'¶28<6이므로
='3
'¶28의 정수 부분은 5이고 소수 부분은 '¶28-5이다.
5'2-'¶10 2'5-10 ∴ b='¶28-5=2'7-5
⑵ -
'5 '2 ∴ 2a-b=2('7-2)-(2'7-5)
(5'2-'¶10)_'5 (2'5-10)_'2 =2'7-4-2'7+5
= -
'5_'5 '2_'2 =1
5'¶10-'¶50 2'¶10-10'2
= - ⑵ 2'3='¶12이고 '9<'¶12<'¶16, 즉 3<'¶12<4이므로
5 2
'¶12의 정수 부분은 3이고 소수 부분은 '¶12-3이다.
5'¶10-5'2 2'¶10-10'2
= - ∴ a=3, b='¶12-3=2'3-3
5 2
='¶10-'2-'¶10+5'2 ∴ '3a-b=3'3-(2'3-3)='3+3
=4'2
오답 피하기
⑵ 2 '3의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을 구하기 위해 1<'3<2임을 이용하여
2<2'3<4로 풀지 않도록 한다.
05  ⑴ 8'6-7'3 ⑵ 5-5'6 이 경우 2'3을 연속하는 두 정수 사이의 수로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정
셀파 분모를 유리화하고 괄호를 푼다. 수 부분이 2인지, 3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6 6'3 즉 a'b 꼴의 무리수의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은 a'b 꼴을 "aÛ`b 꼴로 바


⑴ 2'¶54- +'3(2'2-5)=6'6- +2'6-5'3 꾼 후 "aÛ`b를 연속하는 두 정수 사이의 수로 나타내야만 구할 수 있다.
'3 3
54=3Û`_6
=6'6-2'3+2'6-5'3
=8'6-7'3

4 5
⑵ '¶75 {'3- }- ('¶12-'¶18)
'2 '3
5'3 08  4050+750'6
=5'3 ('3-2'2 )- (2'3-3'2 )
3
셀파 (사다리꼴의 넓이)=;2!;_{(윗변의 길이)+(아랫변의 길이)}_(높이)
=15-10'6-10+5'6
=5-5'6 주어진 사다리꼴의 윗변의 길이는 40'3, 아랫변의 길이는
50('2+'3), 높이는 30'3이므로 그 넓이는

;2!;_{40'3+50('2+'3)}_30'3
06  -2
셀파 주어진 식을 전개한 후 무리수 부분이 0이 되게 한다. =;2!;_(40'3+50'2+50'3)_30'3
1 a
'¶24 { -'6}- ('¶27-3) =;2!;_(90'3+50'2)_30'3
'2 '3
1 a'3
=2'6 { -'6 }- (3'3-3) =15'3(90'3+50'2)
'2 3
=4050+750'6
=2'3-12-3a+a'3
=(-12-3a)+(2+a)'3
무리수 부분이 0일 때 유리수가 되므로
2+a=0   ∴ a=-2

20 I. 제곱근과 실수
09  1. ⑤ 2. B<C<A ⑸ '¶27-2'3+'¶48=3'3-2'3+4'3
셀파 두 실수 A, B에 대하여 A-B의 부호를 조사한다. =(3-2+4)'3=5'3

1. ① '¶10+1-4='¶10-3='¶10-'9>0 ⑹ '¶48+4'2-'¶50-'¶12=4'3+4'2-5'2-2'3
∴ '¶10+1>4 =2'3-'2
② 4-'¶19-(-1)=5-'¶19='¶25-'¶19>0
⑺ '¶27+'¶147-5'¶20-'¶125=3'3+7'3-10'5-5'5
∴ 4-'¶19>-1
=10'3-15'5
③ '5+1-('5+'2)=1-'2='1-'2<0
∴ '5+1<'5+'2 ⑻ '¶48-
6
+5'3=4'3-2'3+5'3
'3
④ 2-'2-(-'2+'3)=2-'2+'2-'3
=(4-2+5)'3=7'3
=2-'3='4-'3>0
∴ 2-'2>-'2+'3 6
⑼ 6'2-'¶75- +'¶27=6'2-5'3-3'2+3'3
'2
⑤ '¶15-'¶17-(-'¶17+4)='¶15-'¶17+'¶17-4
=3'2-2'3
='¶15-4='¶15-'¶16<0
∴ '¶15-'¶17<-'¶17+4 ⑽ '¶27-'¶45-
6 10
+ =3'3-3'5-'3+2'5
2'3 '5
따라서 대소 관계가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2'3-'5
2. A-B='5+'3-(3'3-'5)
='5+'3-3'3+'5
=2'5-2'3='¶20-'¶12>0
이므로 A>B
A-C='5+'3-2'3='5-'3>0이므로 A>C
2  ⑴ '6 ⑵ '3 ⑶ 4'3 ⑷ 6'2 ⑸ 6-4'2
B-C=3'3-'5-2'3='3-'5<0이므로 B<C
5'6
∴ B<C<A ⑹ -2'2 ⑺ 2'6-4'2 ⑻ - ⑼ -5-3'5
6
⑽ -'6-7'2
⑴ 2'¶24-'¶18_'3=4'6-3'2_'3
=4'6-3'6='6

⑵ '¶15_'5-8'6Ö2'2='¶75-4'3
=5'3-4'3
='3

1
⑶ '¶18Ö -'¶12=3'2_'6-2'3
'6
=3'¶12-2'3
풀고 또 풀고 =6'3-2'3=4'3
근호를 포함한 식의 덧셈과 뺄셈
집중 연습 본문 | 63 쪽
6
⑷ '¶72+ -'3_'6=6'2+3'2-'¶18
'2
1  ⑴ 6'2 ⑵ -4'5 ⑶ 6'2-'3 ⑷ 3'3+'7
=6'2+3'2-3'2
⑸ 5'3 ⑹ 2'3-'2 ⑺ 10'3-15'5
=6'2
⑻ 7'3 ⑼ 3'2-2'3 ⑽ 2'3-'5
⑴ 3'2+5'2-2'2=(3+5-2)'2=6'2 2 '5 2 2
⑸ '¶27_ -'¶40Ö =3'3_ -2'¶10_
'3 2 '3 '5
⑵ 6'5-3'5-7'5=(6-3-7)'5=-4'5
=6-4'2
⑶ 5'2-4'3+'2+3'3=(5+1)'2+(-4+3)'3
⑹ '2(3-'5)+'5('2-'¶10)
=6'2-'3
=3'2-'¶10+'¶10-'¶50
⑷ 4'3-2'7+3'7-'3=(4-1)'3+(-2+3)'7 =3'2-'¶10+'¶10-5'2
=3'3+'7 =-2'2

4. 근호를 포함한 식의 덧셈과 뺄셈 21


정답과 해설

⑺ '3('2-'6)+('¶42-'¶14)Ö'7 03 ④
'¶42 '¶14 셀파 "aÛ`b 꼴은 a'b 꼴로 고치고, 분모에 무리수가 있으면 분모를 유리화한 후
='6-'¶18+ -
'7 '7 계산한다.
='6-3'2+'6-'2
③ 2'¶48-'3=8'3-'3=7'3
=2'6-4'2 6 2 6 2
④ + = + ='2+'2=2'2
'¶18 '2 3'2 '2
'3-'2 '2+'3 3-'6 2+'6

'3
-
'2
=
3
-
2 ⑤ '2('¶50-'¶10)='¶100-'¶20=10-2'5
'6 '6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1- -1-
3 2
2'6 3'6
=- -
6 6 04 5
5'6
=- 셀파 분모를 유리화하고 분배법칙을 이용하여 괄호를 푼다.
6
 주어진 식 간단히 하기 [70 %]
10 4 6
⑼ +'5(1-'5)-3'¶20=2'5+'5-5-6'5
'5 + -'2(1-'6)=2'2+2'3-'2+'¶12
'2 '3
=-5-3'5 =2'2+2'3-'2+2'3
2 3 ='2+4'3
⑽ (3-4'3)-2{ +'6 }
'6 '2
'6
 a+b의 값 구하기 [30 %]
3'2
= (3-4'3)-2{ +'6} 따라서 a=1, b=4이므로 a+b=5
3 2
='6-4'2-3'2-2'6
=-'6-7'2
05  -6
셀파 주어진 식을 간단히 하여 a+b'¶m (a, b는 유리수, '¶m은 무리수) 꼴로
나타낸다.

2(4-x'2)-'3(x'3+4'6)=8-2x'2-3x-4'¶18
=8-3x-2x'2-12'2
=8-3x+(-2x-12)'2
무리수 부분이 0일 때 유리수가 되므로
-2x-12=0 ∴ x=-6
실력 키우기 본문 | 64~65 쪽

01  2x-3y
06 2
셀파 "aÛ`b=a'b임을 이용하여 근호 안의 수를 간단히 한 후 근호 안의 수가 같
셀파 1<'2<2임을 이용하여 4-'2의 정수 부분을 구한다.
은 것끼리 계산한다.
 4-'2를 연속하는 두 정수 사이의 수로 나타내기 [30 %]
2'¶18+3'¶12-'¶32-3'¶27=6'2+6'3-4'2-9'3
1<'2<2이므로 -2<-'2<-1
=2'2-3'3
∴ 2<4-'2<3
이때 '2=x, '3=y이므로
(주어진 식)=2x-3y  a, b의 값 구하기 [30 %]
따라서 4-'2의 정수 부분은 2이고
소수 부분은 (4-'2)-2=2-'2
∴ a=2, b=2-'2
02 ②
셀파 주어진 식에 A, B를 대입한 후 분배법칙을 이용한다.  주어진 식의 값 구하기 [40 %]
1 1 1 1
'5('5-3'3)-'3(2'3-2'5) ∴ a+ +
'a b-2
=2+ +
'2 (2-'2)-2
=5-3'¶15-6+2'¶15 1 1
=2+ - =2
=-1-'¶15 '2 '2

22 I. 제곱근과 실수
07  7a+7 10  3'¶10
셀파 'a의 소수 부분은 'a-( 'a의 정수 부분)임을 이용한다. 셀파 근호 밖의 양수를 제곱해서 근호 안으로 넣은 후 ab의 값을 대입한다.

1<'3<2이므로 '3의 정수 부분은 1이고 a>0, b>0이고 ab=5이므로


소수 부분은 '3-1이다.
a¾Ð:¥aõ:+b¾Ð:ªb:=¾Ð +¾Ð
8aÛ`b 2abÛ`
∴ a='3-1 a b
'¶147=7'3이고 '3=a+1이므로 ='¶8ab+'¶2ab

'¶147=7'3=7(a+1)=7a+7 ='Ä8_5+'Ä2_5
='¶40+'¶10
=2'¶10+'¶10
=3'¶10

08  36'3
셀파 ‌직육면체 모양의 상자의 가로의 길이, 세로의 길이, 높이를 각각 구한다.
11  ⑴ P(-1+'5), Q(-1-'5) ⑵ 2'5
셀파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ABÓ, ADÓ의 길이를 먼저 구한다.
 만들어지는 직육면체 모양의 상자의 가로의 길이, 세로의 길이, 높이를 각
⑴ APÓ=ABÓ="Ã1Û`+2Û`='5,
각 구하기 [70 %]
AQÓ=ADÓ="Ã2Û`+1Û`='5
만들어지는 직육면체 모양의 상자의
이때 점 P는 점 A(-1)에서 오른쪽으로 '5 만큼 떨어진 점이
(가로의 길이)='¶108-2'3=6'3-2'3=4'3,
므로 P(-1+'5)
(세로의 길이)='¶75-2'3=5'3-2'3=3'3,
또 점 Q는 점 A(-1)에서 왼쪽으로 '5 만큼 떨어진 점이므로
(높이)='3
Q(-1-'5)
 상자의 부피 구하기 [30 %] ⑵ PQÓ=-1+'5-(-1-'5)=2'5
따라서 상자의 부피는 4'3_3'3_'3=36'3
다른 풀이 ⑵ PQÓ=APÓ+AQÓ='5+'5=2'5

12  ⑴ '3`m, 2'3`m, 3'3`m ⑵ 18'3`m


셀파 각 정사각형 모양의 화단의 한 변의 길이를 구한다.
09  ㉡, ㉢
⑴ 넓이가 3`mÛ`인 정사각형 모양의 화단의 한 변의 길이는 '3`m
넓이가 12`mÛ`인 정사각형 모양의 화단의 한 변의 길이는
셀파 두 실수 a, b에 대하여 a-b의 부호를 조사한다.

㉠ 2-('7-1)=2-'7+1=3-'7='9-'7>0 '¶12=2'3`m
∴ 2>'7-1 넓이가 27`mÛ`인 정사각형 모양의 화단의 한 변의 길이는
㉡ ('¶24+1)-(3+'6)=2'6+1-3-'6 '¶27=3'3`m
='6-2 ⑵ 다음 그림에서
='6-'4>0
∴ '¶24+1>3+'6
c`m

b`m 3'3`m
㉢ ('¶75+2)-(3+'¶48)=5'3+2-3-4'3
a`m
='3-1
='3-'1>0 '3`m 2'3`m 3'3`m

∴ '¶75+2>3+'¶48 a+b+c=3'3`(m)
㉣ (2'3-3'2)-(-'¶18+'3)=2'3-3'2+'¶18-'3 따라서 필요한 울타리의 길이는
=2'3-3'2+3'2-'3 2('3+2'3+3'3)+3'3+a+b+c
='3>0 =2_6'3+3'3+3'3
∴ 2'3-3'2>-'¶18+'3 =12'3+6'3
따라서 대소 관계가 옳은 것은 ㉡, ㉢이다. =18'3`(m)

4. 근호를 포함한 식의 덧셈과 뺄셈 23


정답과 해설

⑵ (x-5)Û`=xÛ`-2_x_5+5Û`=xÛ`-10x+25
II.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⑶ (x+2y)Û`=xÛ`+2_x_2y+(2y)Û`=xÛ`+4xy+4yÛ`
⑷ (3x-2y)Û`=(3x)Û`-2_3x_2y+(2y)Û`=9xÛ`-12xy+4yÛ`

5 다항식의 곱셈
3-1  ⑴ aÛ`-16 ⑵ 4aÛ`-9bÛ` ⑶ 4aÛ`-1 ⑷ bÛ`-aÛ`
따라 풀면
서 ⑴ (a+4)(a-4)=aÛ`-4Û`=aÛ`-16
개념 익히기 본문 | 69, 71 쪽 ⑵ (2a+3b)(2a-3b)=(2a)Û`-(3b)Û`=4aÛ`- 9bÛ`
⑶ (-2a+1)(-2a-1)=( -2a )Û`-1Û`= 4aÛ` -1
1-1  ⑴ xy+2x-y-2 ⑵ 5xÛ`-7xy+2yÛ`
⑷ (-a+b)(a+b)=( b -a)(b+a)= bÛ` -aÛ`
⑴ (x-1)(y+2)
=x_y+x_2+(-1)_y+( -1 )_2
=xy+2x-y- 2
3-2  ⑴ 9-xÛ` ⑵ aÛ`-4bÛ` ⑶ 4aÛ`-bÛ` ⑷ 4bÛ`-9aÛ`
⑵ (x-y)(5x-2y)
⑴ (3-x)(3+x)=3Û`-xÛ`=9-xÛ`
=x_5x+x_( -2y )+(-y)_5x+(-y)_(-2y)
⑵ (a+2b)(a-2b)=aÛ`-(2b)Û`=aÛ`-4bÛ`
=5xÛ`- 2xy -5xy+2yÛ`
⑶ (-2a+b)(-2a-b)=(-2a)Û`-bÛ`=4aÛ`-bÛ`
=5xÛ`- 7xy +2yÛ`
⑷ (3a-2b)(-3a-2b)=(-2b+3a)(-2b-3a)
=(-2b)Û`-(3a)Û`=4bÛ`-9aÛ`

1-2  ⑴ 3xy+4x-6y-8 ⑵ 2ab-4a+5b-10


⑶ 2aÛ`+10a+8 ⑷ 6xÛ`-xy-yÛ`
⑴ (x-2)(3y+4)=x_3y+x_4+(-2)_3y+(-2)_4
4-1  ⑴ xÛ`+6x+8 ⑵ xÛ`-2x-3
⑶ xÛ`+xy-2yÛ` ⑷ 12xÛ`+7x+1
=3xy+4x-6y-8
⑴ (x+2)(x+4)=xÛ`+(2+ 4 )x+2_4
⑵ (2a+5)(b-2)=2a_b+2a_(-2)+5_b+5_(-2)
=xÛ`+ 6 x+8
=2ab-4a+5b-10
⑵ (x+1)(x-3)=xÛ`+{1+( -3 )}x+ 1 _(-3)
⑶ (a+1)(2a+8)=a_2a+a_8+1_2a+1_8
=xÛ`- 2 x-3
=2aÛ`+8a+2a+8
⑶ (x-y)(x+2y)=xÛ`+{(-y)+ 2y }x+( -y )_2y
=2aÛ`+10a+8
=xÛ`+ xy - 2yÛ`
⑷ (2x-y)(3x+y)
⑷ (3x+1)(4x+1)
=2x_3x+2x_y+(-y)_3x+(-y)_y
⑶ =(3_ 4 )xÛ`+(3_1+1_ 4 )x+1_ 1
=6xÛ`+2xy-3xy-yÛ`
⑶ = 12 xÛ`+7x+1
=6xÛ`-xy-yÛ`

2-1  ⑴ xÛ`+10x+25 ⑵ xÛ`-4xy+4yÛ` 4-2  ⑴ xÛ`+x-2 ⑵ xÛ`-5x+6 ⑶ xÛ`+3xy-10yÛ`


⑷ 5xÛ`+22x+8 ⑸ 12xÛ`-13x+3
⑶ 4xÛ`+12xy+9yÛ`
⑴ (x-1)(x+2)=xÛ`+{(-1)+2}x+(-1)_2
⑴ (x+5)Û`=xÛ`+ 2 _x_5+5Û`
=xÛ`+x-2
=xÛ`+ 10x +25
⑵ (x-2)(x-3)=xÛ`+{(-2)+(-3)}x+(-2)_(-3)
⑵ (x-2y)Û`=xÛ`-2_x_ 2y +(2y)Û`
=xÛ`-5x+6
=xÛ`- 4xy + 4yÛ`
⑶ (x-2y)(x+5y)=xÛ`+{(-2y)+5y}x+(-2y)_5y
⑶ (2x+3y)Û`=(2x)Û`+2_ 2x _3y+(3y)Û
=xÛ`+3xy-10yÛ`
`=4xÛ`+ 12xy + 9yÛ`
⑷ (x+4)(5x+2)=(1_5)xÛ`+(1_2+4_5)x+4_2
=5xÛ`+22x+8
2-2  ⑴ xÛ`+8x+16 ⑵ xÛ`-10x+25 ⑸ (3x-1)(4x-3)
⑶ xÛ`+4xy+4yÛ` ⑷ 9xÛ`-12xy+4yÛ` =(3_4)xÛ`+{3_(-3)+(-1)_4}x+(-1)_(-3)
⑴ (x+4)Û`=xÛ`+2_x_4+4Û`=xÛ`+8x+16 =12xÛ`-13x+3

24 II.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풀고 또 풀고
곱셈 공식을 이용한 전개 4  ⑴ 5xÛ`+13x+6 ⑵ 6xÛ`+7x-20
집중 연습 본문 | 72 쪽 ⑶ 8aÛ`-30a-27 ⑷ 24xÛ`-50xy+14yÛ`

1  ⑴ 9xÛ`+30x+25 ⑵ 16aÛ`+16ab+4bÛ`  ⑸ ;1Á5;aÛ`-5a+90


 ⑶ ;4!;aÛ`-3ab+9bÛ` ⑷ aÛ`-6ab+9bÛ` ⑴ (5x+3)(x+2)=(5_1)xÛ`+(5_2+3_1)x+3_2
 ⑸ 49xÛ`+28xy+4yÛ` =5xÛ`+13x+6
⑴ (3x+5)Û`=(3x)Û`+2_3x_5+5Û` ⑵ (3x-4)(2x+5)
=9xÛ`+30x+25 =(3_2)xÛ`+{3_5+(-4)_2}x+(-4)_5
⑵ (4a+2b)Û`=(4a)Û`+2_4a_2b+(2b)Û` =6xÛ`+7x-20
=16aÛ`+16ab+4bÛ` ⑶ (4a+3)(2a-9)

⑶ {;2!;a-3b}2`={;2!;a}2`-2_;2!;a_3b+(3b)Û`
=(4_2)aÛ`+{4_(-9)+3_2}a+3_(-9)
=8aÛ`-30a-27
⑹ {;2!;a-3b}2`=;4!;aÛ`-3ab+9bÛ` ⑷ (6x-2y)(4x-7y)
=(6_4)xÛ`+{6_(-7y)+(-2y)_4}x+(-2y)_(-7y)
⑷ (-a+3b)Û`={-(a-3b)}Û`=(a-3b)Û`
=24xÛ`-50xy+14yÛ`
=aÛ`-2_a_3b+(3b)Û`
=aÛ`-6ab+9bÛ` ⑸ {;3!;a-10}{;5!;a-9}
⑸ (-7x-2y)Û`={-(7x+2y)}Û`
={;3!;_;5!;}aÛ`+[;3!;_(-9)+(-10)_;5!;]a+(-10)_(-9)
=(7x+2y)Û`
=(7x)Û`+2_7x_2y+(2y)Û` =;1Á5;aÛ`-5a+90
=49xÛ`+28xy+4yÛ`

2  ⑴ 25-aÛ` ⑵ 4xÛ`-25yÛ` ⑶ 64-9aÛ` ⑷ ;1»6;xÛ`-yÛ`

⑴ (5+a)(5-a)=5Û`-aÛ`=25-aÛ`

⑵ (2x-5y)(2x+5y)=(2x)Û`-(5y)Û`=4xÛ`-25yÛ`
보고 또 보고

유형 익히기- 확인 문제 본문 | 73~78 쪽
⑶ (3a+8)(-3a+8)=(8+3a)(8-3a)
=8Û`-(3a)Û`=64-9aÛ`
01 3

⑷ {-;4#;x-y}{-;4#;x+y}={-;4#;x}2`-yÛ`=;1»6;xÛ`-yÛ`
셀파 분배법칙을 이용하여 전개한다.

(x+2y)(3x-y+1)

3  ⑴ xÛ`+5x+6 ⑵ xÛ`-13x+30 =x_3x+x_(-y)+x_1+2y_3x+2y_(-y)+2y_1


⑶ xÛ`-5x-6 ⑷ xÛ`-2xy-3yÛ` =3xÛ`-xy+x+6xy-2yÛ`+2y
⑴ (x+3)(x+2)=xÛ`+(3+2)x+3_2 =3xÛ`+5xy-2yÛ`+x+2y
=xÛ`+5x+6 따라서 xy의 계수는 5, yÛ`의 계수는 -2이므로 그 합은
5+(-2)=3
⑵ (x-3)(x-10)
=xÛ`+{(-3)+(-10)}x+(-3)_(-10) 다른 풀이 (x+2y)(3x-y+1)에서
=xÛ`-13x+30 xy항이 나오는 부분만 전개하면
x_(-y)+2y_3x=-xy+6xy=5xy
⑶ (x+1)(x-6)=xÛ`+{1+(-6)}x+1_(-6)
또 yÛ`항이 나오는 부분만 전개하면
=xÛ`-5x-6
2y_(-y)=-2yÛ`
⑷ (x-3y)(x+y)=xÛ`+{(-3y)+y}x+(-3y)_y 따라서 xy의 계수는 5, yÛ`의 계수는 -2이므로 그 합은
=xÛ`-2xy-3yÛ` 5+(-2)=3

5. 다항식의 곱셈 25
정답과 해설

02 ④ 06 ①
셀파 (a+b)Û`=aÛ`+2ab+bÛ`, (a-b)Û`=aÛ`-2ab+bÛ`을 이용하여 전개한다. 셀파 ‌좌변을 곱셈 공식을 이용하여 전개한다.

① (x+3)Û`=xÛ`+2_x_3+3Û`=xÛ`+6x+9 ① (-x-4y)Û`‌=(x+4y)Û`=xÛ`+2_x_4y+(4y)Û`
② (2a-1)Û`=(2a)Û`-2_2a_1+1Û`=4aÛ`-4a+1 =xÛ`+8xy+16yÛ`
③ (3a+2b)Û`=(3a)Û`+2_3a_2b+(2b)Û`=9aÛ`+12ab+4bÛ` ① ∴ =16
④ {;2!;x-2}2`={;2!;x}2`-2_;2!;x_2+2Û`=;4!;xÛ`-2x+4 ② (-2x+1)Û`‌=(2x-1)Û`=(2x)Û`-2_2x_1+1Û`
=4xÛ`-4x+1
⑤ (-2x+3)Û`‌=(2x-3)Û`=(2x)Û`-2_2x_3+3Û`
① ∴ =4
=4xÛ`-12x+9
③ ‌(-x+3)(-x-3)=(-x)Û`-3Û`=xÛ`-9
① ∴ =9
03  -9 ④ ‌(x-4)(x-6)‌=xÛ`+(-4-6)x+(-4)_(-6)
셀파 (a+b)(a-b)=aÛ`-bÛ`을 이용하여 전개한다. =xÛ`-10x+24
2(x+2)(x-2)-(2x-1)(2x+1) ① ∴ =10
=2(xÛ`-2Û`)-{(2x)Û`-1Û`} ⑤ ‌(2x-1)(3x+2)
=2(xÛ`-4)-(4xÛ`-1) =(2_3)xÛ`+{2_2+(-1)_3}x+(-1)_2
=2xÛ`-8-4xÛ`+1 =6xÛ`+x-2
=-2xÛ`-7 ① ∴ =1
따라서 xÛ`의 계수는 -2, 상수항은 -7이므로 그 합은 따라서 안에 들어갈 수 중 가장 큰 것은 ①이다.
(-2)+(-7)=-9

07  xÛ`-2x-8
04  1 . ;3$; 2. 12x-3 셀파 ‌(직사각형의 넓이)=(가로의 길이)_(세로의 길이)

셀파 (x+a)(x+b)=xÛ`+(a+b)x+ab를 이용한다. 새로 만든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는 x-4, 세로의 길이는 x+2이

1. (x-4)(x+A)‌=xÛ`+(-4+A)x+(-4)_A 므로
=xÛ`+(A-4)x-4A (새로 만든 직사각형의 넓이)‌=(x-4)(x+2)
상수항이 x의 계수의 2배이므로 -4A=2(A-4) =xÛ`+(-4+2)x+(-4)_2
=xÛ`-2x-8
6A=8   ∴ A=;3$;

2. (x+5)(x+1)-(x-4)(x-2)
08  24xÛ`-30x+9
=xÛ`+(5+1)x+5_1
셀파 ‌길을 제외한 화단을 이동하여 붙여 생각한다.
=-{xÛ`+(-4-2)x+(-4)_(-2)}
=xÛ`+6x+5-(xÛ`-6x+8)
길로 나누어진 두 화단을 붙이면 아래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사각

=xÛ`+6x+5-xÛ`+6x-8
형이 된다.
6x`m 6x`m
=12x-3
3`m 3`m

4x`m 4x`m
05 8
셀파 ‌(ax+b)(cx+d)=acxÛ`+(ad+bc)x+bd를 이용한다. 3`m 3`m

(3x-5)(4x+A) 이때 길을 제외한 화단은 가로의 길이가 (6x-3)`m, 세로의 길이


=(3_4)xÛ`+{3_A+(-5)_4}x+(-5)_A 가 (4x-3)`m인 직사각형이다.
=12xÛ`+(3A-20)x-5A ∴ (길을
‌ 제외한 화단의 넓이)
12xÛ`+(3A-20)x-5A=12xÛ`+Bx-35에서 =(6x-3)(4x-3)
3A-20=B, -5A=-35 =(6_4)xÛ`+{6_(-3)+(-3)_4}x+(-3)_(-3)
∴ A=7, B=3_7-20=1 =24xÛ`+(-18-12)x+9
∴ A+B=7+1=8 =24xÛ`-30x+9

26 II.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09  ⑴ 6xÛ`+5xy+yÛ`+5x+2y+1 02  22
⑵ 1-xÛ`-2xy-yÛ` 셀파 곱셈 공식을 이용하여 좌변을 전개한 후 우변과 비교한다.
셀파 ⑴ y+1=A로 놓는다. ⑵ x+y=A로 놓는다. (5x+A)Û`=25xÛ`+10Ax+AÛ`이므로
⑴ y+1=A로 놓으면 25xÛ`+10Ax+AÛ`=25xÛ`+Bx+4에서
(2x+y+1)(3x+y+1) 10A=B, AÛ`=4
=(2x+A)(3x+A) ∴ A=2 (∵ A>0), B=10_2=20
=6xÛ`+5Ax+AÛ` ∴ A+B=2+20=22
A 대신 y+1을 대입한다.
=6xÛ`+5(y+1)x+(y+1)Û`
=6xÛ`+5xy+5x+yÛ`+2y+1
=6xÛ`+5xy+yÛ`+5x+2y+1

⑵ (1-x-y)(1+x+y)={1-(x+y)}(1+x+y)
03 ④
셀파 (a+b)(a-b)=aÛ`-bÛ`을 이용한다.
x+y=A로 놓으면
(a+3b)(a-3b)=aÛ`-9bÛ`
(주어진 식)
① (a+3b)(-a-3b)=(a+3b){-(a+3b)}=-(a+3b)Û`
=(1-A)(1+A)=1-AÛ`
A 대신 x+y를 대입한다.
=-(aÛ`+6ab+9bÛ`)=-aÛ`-6ab-9bÛ`
=1-(x+y)Û`
② (3b+a)(3b-a)=9bÛ`-aÛ`
=1-(xÛ`+2xy+yÛ`)
③ (-a+3b)(a+3b)=(3b-a)(3b+a)=9bÛ`-aÛ`
=1-xÛ`-2xy-yÛ`
④ (-a+3b)(-a-3b)=(-a)Û`-9bÛ`=aÛ`-9bÛ`
⑤ (3b-a)(-3b+a)=(3b-a){-(3b-a)}=-(3b-a)Û`
=-(9bÛ`-6ab+aÛ`)=-aÛ`+6ab-9bÛ`
10 1
셀파 상수항의 합이 같아지도록 일차식을 두 개씩 짝 지어 전개한다. 따라서 (a+3b)(a-3b)와 전개식이 같은 것은 ④이다.

상수항의 합: 1+(-2)=-1

(x+1)(x+2)(x-2)(x-3)
+1)( +2)( -2)( -3)
상수항의 합: 2+(-3)=-1
04  a=8, b=-256
={(x+1)(x-2)}{(x+2)(x-3)}
(a+b)(a-b)=aÛ`-bÛ`을 이용하여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전개한다.
=(xÛ`-x-2)(xÛ`-x-6)
셀파

xÛ`-x=A로 놓는다.  좌변 전개하기 [60 %]


=(A-2)(A-6)
(x-2)(x+2)(xÛ`+4)(xÝ`+16)=(xÛ`-4)(xÛ`+4)(xÝ`+16)
=AÛ`-8A+12
A 대신 xÛ`-x를 대입한다. =(xÝ`-16)(xÝ`+16)
=(xÛ`-x)Û`-8(xÛ`-x)+12
=x¡`-256
=xÝ`-2xÜ`+xÛ`-8xÛ`+8x+12
=xÝ`-2xÜ`-7xÛ`+8x+12  a, b의 값 구하기 [40 %]
따라서 a=-2, b=-7, c=8, d=12이므로 ∴ a=8, b=-256
a-b+c-d=-2-(-7)+8-12=1

05 ⑤
실력 키우기 본문 | 79~81 쪽 셀파 곱셈 공식을 이용하여 좌변을 전개한다.

01  -5 ① (x+3)(x-5)=xÛ`-2x-15 ∴ =2
셀파 xy항만 나오도록 전개한다. ② (x-6)(x+4)=xÛ`-2x-24 ∴ =2

③ (x+6){x-;3!;}=xÛ`+:Á3¦:x-2 ∴ =2
(x-y+1)(3x+ay+2)에서 xy항이 나오는 부분만 전개하면
④ (x+2y)(x-4y)=xÛ`-2xy-8yÛ` ∴ =2
x_ay-y_3x=axy-3xy=(a-3)xy
⑤ {-x+;4#;y}{-x+;4!;y}=xÛ`-xy+;1£6;yÛ` ∴ =1
이때 xy의 계수는 -8이므로 a-3=-8
∴ a=-5 따라서 안의 수가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⑤이다.

5. 다항식의 곱셈 27
정답과 해설

06 ③ 11  32xÛ`+32x-2
셀파 ab=10임을 이용하여 정수 a, b의 값을 각각 구한다. 셀파 ‌밑면의 가로, 세로의 길이가 각각 a, b이고 높이가 c인 직육면체의 겉넓이

(x+a)(x+b)=xÛ`+(a+b)x+ab이므로
는 2(ab+bc+ac)

xÛ`+(a+b)x+ab=xÛ`+cx+10에서 a+b=c, ab=10 2{(3x+4)(2x-1)+(2x-1)(2x+1)+(3x+4)(2x+1)}


이때 ab=10을 만족하는 두 정수 a, b의 순서쌍 (a, b)는 =2(6xÛ`+5x-4+4xÛ`-1+6xÛ`+11x+4)
(1, 10), (2, 5), (5, 2), (10, 1), (-1, -10), (-2, -5), =2(16xÛ`+16x-1)=32xÛ`+32x-2
(-5, -2), (-10, -1)
이고 c의 값은
12 ④
(1, 10), (10, 1)일 때, c=1+10=11
셀파 두 사다리꼴을 대각선을 따라 이동시킨다.
(2, 5), (5, 2)일 때, c=2+5=7
주어진 그림에서 두 사다리꼴을 대각 x y
(-1, -10), (-10, -1)일 때, c=-1-10=-11
선을 따라 이동하면 오른쪽 그림과 같
(-2, -5), (-5, -2)일 때, c=-2-5=-7 x-y
으므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따라서 c의 값이 될 수 없는 것은 ③ -3이다.
(x+y)(x-y)=xÛ`-yÛ`

07 2
셀파 곱셈 공식을 이용하여 전개한 후 ( x의 계수)=(상수항)+6임을 이용한다. 13  ‌⑴ -2xÛ`+3xy-yÛ`-15x+10y-25
 주어진 식 전개하기 [50 %] ⑵ xÛ`-6xy+9yÛ`+4x-12y+4
(2x+a)(3x-8)=6xÛ`+(3a-16)x-8a
셀파 공통부분을 치환하여 전개한다.

⑴ (-x+y-5)(2x-y+5)=(-x+y-5){2x-(y-5)}
 a의 값 구하기 [50 %]
y-5=A로 놓으면
이때 ( x의 계수)=(상수항)+6이므로 3a-16=-8a+6
(주어진 식)‌=(-x+A)(2x-A)
11a=22   ∴ a=2
=-2xÛ`+3Ax-AÛ`
A 대신 y-5를 대입한다.
=-2xÛ`+3(y-5)x-(y-5)Û`
08 ④ =-2xÛ`+3xy-15x-(yÛ`-10y+25)
셀파 곱셈 공식을 이용하여 전개한 후 x의 계수를 비교한다. =-2xÛ`+3xy-yÛ`-15x+10y-25
① (1+3x)Û`=1+6x+9xÛ`이므로 x의 계수는 6 ⑵ (x-3y+2)Û`에서 x+2=A로 놓으면
② (2x-3)Û`=4xÛ`-12x+9이므로 x의 계수는 -12 (주어진 식)‌=(A-3y)Û`=AÛ`-6Ay+9yÛ`
A 대신 x+2를 대입한다.
③ (5x+7)(-5x+7)=49-25xÛ`이므로 x의 계수는 0 =(x+2)Û`-6(x+2)y+9yÛ`
④ (x+9)(x-2)=xÛ`+7x-18이므로 x의 계수는 7 =xÛ`+4x+4-6xy-12y+9yÛ`
⑤ ‌(3x-2)(5x+1)=15xÛ`-7x-2이므로 x의 계수는 -7 =xÛ`-6xy+9yÛ`+4x-12y+4
따라서 x의 계수가 가장 큰 것은 ④이다.

14  143
09  3 x+5 셀파 (x+1)(x+4), (x+2)(x+3)으로 각각 묶어서 전개한다.
셀파 곱셈 공식을 이용하여 전개한 후 동류항끼리 계산한다.
 공통부분이 나오도록 전개하기 [50 %]
2(x+1)Û`-(x-1)(2x+3)‌=2(xÛ`+2x+1)-(2xÛ`+x-3) (x+1)(x+2)(x+3)(x+4)
=2xÛ`+4x+2-2xÛ`-x+3 ={(x+1)(x+4)}{(x+2)(x+3)}
=3x+5 =(xÛ`+5x+4)(xÛ`+5x+6)

 xÛ`+5x의 값 구하기 [20 %]

10 ③ 이때 xÛ`+5x-7=0에서 xÛ`+5x=7
셀파 P+Q와 P+R를 a, b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 답 구하기 [30 %]
P+Q=(a+b)(a-b), P+R=aÛ`-bÛ` ∴ (x+1)(x+2)(x+3)(x+4)‌=(xÛ`+5x+4)(xÛ`+5x+6)
이때 Q=R이므로 P+Q=P+R =(7+4)_(7+6)
∴ (a+b)(a-b)=aÛ`-bÛ` =11_13=143

28 II.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15  75
6 곱셈 공식의 활용
셀파 (x+a)(x+b)=xÛ`+(a+b)x+ab를 이용한다.

 A, B의 값 구하기 [40 %] 따라 풀면

(x-3)(x+A)=xÛ`+(A-3)x-3A이므로 개념 익히기 본문 | 85, 87 쪽


A-3=0, 3A=B
1-1  ⑴ 2601 ⑵ 9025 ⑶ 3591 ⑷ 1023
∴ A=3, B=3_3=9
⑴ 51Û`=(50+ 1 )Û`=50Û`+2_50_1+1Û`
 C, D의 값 구하기 [40 %] =2500+100+ 1 = 2601
(x+C)(x+8)=xÛ`+(8+C)x+8C이므로 ⑵ 95Û`=(100- 5 )Û`=100Û`-2_100_5+5Û`
8+C=-1, 8C=D =10000- 1000 +25
∴ C=-9, D=8_(-9)=-72 = 9025
⑶ 63_57=( 60 +3)( 60 -3)=60Û`-3Û`
 A+B+C-D의 값 구하기 [20 %]
= 3600 -9= 3591
∴ A+B+C-D=3+9+(-9)-(-72)=75
⑷ 31_33=( 30 +1)( 30 +3)
=30Û`+(1+3)_30+1_3
= 900 +120+3= 1023

16  ㉠: 9xÛ`-12xy+4yÛ`, ㉡: xÛ`-4yÛ`
셀파 ㉠은 C에서 출발한 결과이고, ㉡은 A에서 출발한 결과이다.
1-2  ⑴ ㉡, 2304 ⑵ ㉠, 5184 ⑶ ㉢, 8099 ⑷ ㉣, 11124
Ú A에서 출발하는 경우 ⑴ 48Û`=(50-2)Û`=50Û`-2_50_2+2Û`
(x+2y)(x-2y)=xÛ`-(2y)Û`=xÛ`-4yÛ` =2500-200+4=2304
Û C에서 출발하는 경우 ⇨ ㉡ (a-b)Û`=aÛ`-2ab+bÛ` 이용
(-3x+2y)Û`=9xÛ`-12xy+4yÛ` ⑵ 72Û`=(70+2)Û`=70Û`+2_70_2+2Û`
∴ ㉠: 9xÛ`-12xy+4yÛ`, ㉡: xÛ`-4yÛ` =4900+280+4=5184
⇨ ㉠ (a+b)Û`=aÛ`+2ab+bÛ` 이용
⑶ 91_89=(90+1)(90-1)=90Û`-1Û`
=8100-1=8099
17  4x+9 ⇨ ㉢ (a+b)(a-b)=aÛ`-bÛ` 이용
셀파 전개도에서 마주 보는 면을 찾아 식을 세운 후 곱셈 공식을 이용하여 전개 ⑷ 103_108=(100+3)(100+8)
한다. =100Û`+(3+8)_100+3_8
다음 전개도를 접을 때, 같은 색으로 칠해진 부분끼리 서로 마주 보 =10000+1100+24
는 면이 된다. =11124
⇨ ㉣ (x+a)(x+b)=xÛ`+(a+b)x+ab 이용
x+3

x+2 1+x 2x+1 1-x 2-1  ⑴ 27-10'2 ⑵ 1 ⑶ -4-'2 ⑷ 5'6


⑴ (5-'2)Û`=5Û`-2_5_'2+( '2 )Û`

-x+2 =25-10'2+2= 27-10'2


⑵ (3-2'2)(3+2'2)=3Û`-( 2'2 )Û`=9-8= 1

즉 주어진 전개도를 접어서 만든 정육면체에서 서로 마주 보는 면 ⑶ ('2+2)('2-3)


은 x+2와 2x+1, -x+2와 x+3, 1+x와 1-x이다. =('2)Û`+{2+( -3 )}'2+2_( -3 )
∴ A+B+C = -4-'2
∴ =(x+2)(2x+1)+(-x+2)(x+3)+(1+x)(1-x) ⑷ ('6+4)(2'6-3)
∴ =2xÛ`+5x+2+(-xÛ`-x+6)+1-xÛ` =(1_2)('6)Û`+{1_(-3)+ 4 _2}'6+ 4 _(-3)
∴ =4x+9 = 5'6

6. 곱셈 공식의 활용 29
정답과 해설

2-2 ⑴ 18+8'2 ⑵ 9-6'2 ⑶ 9 4-1 ⑴5 ⑵1


⑷ 9+4'6 ⑸ 11-5'¶10 ⑴ aÛ`+bÛ`=(a+b)Û`- 2ab =3Û`-2_2=9- 4 = 5
⑴ ('2+4)Û`=('2)Û`+2_'2_4+4Û` ⑵ (a-b)Û`=(a+b)Û`- 4ab =3Û`-4_2=9- 8 = 1
=2+8'2+16 =18+8'2
⑵ ('3-'6)Û`=('3)Û`-2_'3_'6+('6)Û`
=3-2'¶18+6=9-2'¶18
=9-6'2 4-2 ⑴ 33 ⑵ 41

⑶ (3'5+6)(3'5-6)=(3'5)Û`-6Û`=45-36=9
a+b=5, ab=-4이므로
⑴ aÛ`+bÛ`=(a+b)Û`-2ab=5Û`-2_(-4)=25+8=33
⑷ ('3+'2)('3+3'2)
⑵ (a-b)Û`=(a+b)Û`-4ab=5Û`-4_(-4)
=('3)Û`+('2+3'2)'3+'2_3'2
=25+16=41
=3+4'2_'3+6=9+4'6
⑸ ('5-2'2)(3'5+'2)
='5_3'5+'5_'2-2'2_3'5-2'2_'2
=15+'¶10-6'¶10-4=11-5'¶10 4-3 ⑴ 20 ⑵ 24
a-b=4, ab=2이므로
⑴ aÛ`+bÛ`=(a-b)Û`+2ab=4Û`+2_2=16+4=20
⑵ (a+b)Û`=(a-b)Û`+4ab=4Û`+4_2=16+8=24
7+2'¶10
3-1 ⑴ '3-'2 ⑵
3

'2 '2_( '6-2 ) '¶12-2'2


⑴ = =
'6+2 ('6+2)_('6-2) 6-4
2'3 -2'2
= = '3-'2
2

'5+'2 ('5+'2)_( '5+'2 ) ('5+'2)Û`


⑵ = =
'5-'2 ('5-'2)_( '5+'2 ) 5-2
보고 또 보고
5+2'¶10+2 7+2'¶10
= = 유형 익히기- 확인 문제 본문 | 88~91 쪽
3 3
01 ③
셀파 주어진 수가 정수이면 10의 배수를, 주어진 수가 소수이면 정수를 기준
으로 하여 곱셈 공식을 이용한다.
1+'6
3-2 ⑴- ⑵ 5'2-3'5 ⑶ '6+2 ① 502Û`=(500+2)Û` ⇨ (a+b)Û`
5
5+'¶21 ② 9.8Û`=(10-0.2)Û` ⇨ (a-b)Û`
⑷ ⑸ 10-7'2
2 ③ 105_98=(100+5)(100-2) ⇨ (x+a)(x+b)
1 1_(1+'6) 1+'6 1+'6 ④ 6.1_6.8=(6+0.1)(6+0.8) ⇨ (x+a)(x+b)
⑴ = = =-
1-'6 (1-'6)(1+'6) 1-6 5 ⑤ 298_302=(300-2)(300+2) ⇨ (a+b)(a-b)
'5 '5_('¶10-3) '¶50-3'5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⑵ = = =5'2-3'5
'¶10+3 ('¶10+3)('¶10-3) 10-9
'2 '2_('3+'2) '6+2
⑶ = = ='6+2
'3-'2 ('3-'2)_('3+'2) 3-2
'7+'3 ('7+'3)Û` 7+2'¶21+3
⑷ = = 02 -7+4'5
'7-'3 ('7-'3)('7+'3) 7-3
셀파 (a+b)(a-b)=aÛ`-bÛ`과 (a-b)Û`=aÛ`-2ab+bÛ`을 이용한다.
10+2'¶21 5+'¶21
=
4
=
2 ('3+1)('3-1)-('5-2)Û`
2-'2 (2-'2)(3-2'2) 6-7'2+4 ={('3)Û`-1Û`}-{('5)Û`-2_'5_2+2Û`}
⑸ = =
3+2'2 (3+2'2)_(3-2'2) 9-8 =(3-1)-(5-4'5+4)
=10-7'2 =2-9+4'5=-7+4'5

30 II.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03  1. ⑴ '¶17-4 ⑵ '7+2 ⑶
4+'¶10
⑷ 2-'3 ⑵ ⑴에서 xÛ`+ 1 =11이므로
xÛ`
다른 풀이
3
2. 8
{x+;[!;}2`=xÛ`+ 1 +2=11+2=13
셀파 곱셈 공식 (a+b)(a-b)=aÛ`-bÛ`을 이용하여 분모를 유리화한다. xÛ`
1 '¶17-4 '¶17-4
1. ⑴ = = ='¶17-4
'¶17+4 ('¶17+4)('¶17-4) 17-16
3 3('7+2) 3('7+2)
⑵ = = ='7+2
'7-2 ('7-2)('7+2) 7-4
06  ⑴ -5 ⑵ 27
'2 '2(2'2+'5)
⑶ = 셀파 xÛ`+5x-1=0의 양변을 x로 나눈다.
2'2-'5 (2'2-'5)(2'2+'5)
4+'¶10 4+'¶10 ⑴ xÛ`+5x-1=0의 양변을 x로 나누면
= =
8-5 3
x+5-;[!;=0   ∴ x-;[!;=-5
'6-'2 ('6-'2)Û`
⑷ =
'6+'2 ('6+'2)('6-'2) ⑵ xÛ`+ 1 ={x-;[!;}2`+2
xÛ` ⑴에서 x-;[!;=-5
6-2'¶12+2 8-4'3
=
6-2
=
4 =(-5)Û`+2
=2-'3 =25+2=27

2-'3 '3
2. +
2+'3 2-'3
(2-'3)Û` '3(2+'3)
= +
(2+'3)(2-'3) (2-'3)(2+'3) 07 1
4-4'3+3` 2'3+3` 셀파 x, y의 분모를 각각 유리화한 후 x+y, xy의 값을 구한다.
= +
4-3 4-3
1 '5-1 '5-1 '5-1
x= = = =
=7-4'3+2'3+3=10-2'3 '5+1 ('5+1)('5-1) 5-1 4
따라서 a=10, b=-2이므로 a+b=10+(-2)=8 1 '5+1 '5+1 '5+1
y= = = =
'5-1 ('5-1)('5+1) 5-1 4
이때
'5-1 '5+1 2'5 '5
x+y= + = =
4 4 4 2
04  37
'5-1 '5+1 ('5-1)('5+1)
셀파 x-y와 xy의 값이 주어졌으므로 xÛ`+yÛ`=(x-y)Û`+2xy를 이용한다. xy= _ =
4 4 16
x-y=5, xy=12이므로 5-1
= =;1¢6;=;4!;
xÛ`+yÛ`=(x-y)Û`+2xy=5Û`+2_12=49 16
'5
∴ xÛ`-xy+yÛ`=xÛ`+yÛ`-xy=49-12=37 ∴ xÛ`+xy+yÛ`=(x+y)Û`-xy={ }2`-;4!;=;4%;-;4!;=1
2
다른 풀이 xÛ`-xy+yÛ`=xÛ`-2xy+yÛ`+xy
=(x-y)Û`+xy
=5Û`+12=37
08  1. -3 2. 7
셀파 x-a='b로 변형한 후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한다.

1. x=3+'2에서 x-3='2이므로 (x-3)Û`=('2)Û`


05  ⑴ 11 ⑵ 13 xÛ`-6x+9=2   ∴ xÛ`-6x=-7
xÛ`+ ={x-;[!;}2`+2, {x+;[!;}2`={x-;[!;}2`+4를 이용한다. ∴ xÛ`-6x+4=-7+4=-3
1
셀파
xÛ`

x-;[!;=3이므로 2. x=
2
=
2('3+1)
=
2('3+1)
='3+1
'3-1 ('3-1)('3+1) 2
⑴ xÛ`+ 1 ={x-;[!;}2`+2=3Û`+2=11 x-1='3이므로 (x-1)Û`=('3)Û`
xÛ`
xÛ`-2x+1=3   ∴ xÛ`-2x=2
⑵ {x+;[!;}2`={x-;[!;}2`+4=3Û`+4=13
∴ xÛ`-2x+5=2+5=7

6. 곱셈 공식의 활용 31
정답과 해설

실력 키우기 본문 | 92~93 쪽 05 ②
셀파 곱셈 공식 (a+b)(a-b)=aÛ`-bÛ`을 이용하여 분모를 유리화한다.
01  80.99
1 '2-1
곱셈 공식 (a+b)(a-b)=aÛ`-bÛ`을 이용한다. ㉠ = ='2-1
'2+1
셀파
('2+1)('2-1)
8.9_9.1=(9-0.1)(9+0.1)=9Û`-0.1Û` '3 '3('3+'2)
㉡ =
=81-0.01=80.99 '3-'2 ('3-'2)('3+'2)
='3('3+'2)=3+'6
'6+'2 ('6+'2)Û` 6+2'¶12+2
㉢ = =
'6-'2 ('6-'2)('6+'2) 6-2
8+4'3
= =2+'3
02  ⑴ x+1 ⑵ 1001 4
셀파 1004=1000+4, 997=1000-3임을 이용한다. 1 2-'5 2-'5
㉣ = = =-2+'5
 주어진 식을 x를 사용하여 나타내기 [70`%] 2+'5 (2+'5)(2-'5) -1

1004_997+12 (1000+4)(1000-3)+12 따라서 옳은 것은 ㉠, ㉢이다.


⑴ =
1000 1000
(x+4)(x-3)+12
=
x
xÛ`+x-12+12 xÛ`+x
= = =x+1  ⑴ -;2!; ⑵ 5 ⑶ -10
x x 06
셀파 먼저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xy의 값을 구한다.
 주어진 식의 값 구하기 [30`%]
1004_997+12 ⑴ (x+y)Û`=(x-y)Û`+4xy이므로 (-2)Û`=6+4xy
⑵ =1000+1=1001
1000
4xy=-2 ∴ xy=-;2!;

⑵ xÛ`+yÛ`=(x+y)Û`-2xy=(-2)Û`-2_{-;2!;}=4+1=5

03 xÛ`+yÛ`
⑶ ;[};+;]{;= =5Ö{-;2!;}=5_(-2)=-10
③
셀파 제곱근을 문자로 생각하고 곱셈 공식을 이용한다.
xy

① ('3+1)Û`=3+2'3+1=4+2'3
② ('5-2)Û`=5-4'5+4=9-4'5
③ ('6+'2)('6-'2)=6-2=4
④ ('7+2)('7-3)=7+{2+(-3)}'7-6=1-'7 07  ⑴ 18 ⑵ 322

={x-;[!;}2`+2를 이용한다.
1
⑤ (2'2-'5)(2'2+'3)=8+2'6-2'¶10-'¶15 셀파 xÛ`+
xÛ`
따라서 옳은 것은 ③이다.
⑴ xÛ`+ 1 ={x-;[!;}2`+2=4Û`+2=16+2=18
xÛ`

⑵ xÝ`+ 1 ={xÛ`+ 1 }2`-2=18Û`-2=324-2=322


xÝ` xÛ`
04 ⑴6 ⑵2
셀파 a+b'c ( a, b는 유리수, 'c는 무리수)가 유리수이려면 b=0이어야 한다.

 a의 값 구하기 [70`%]
⑴ A=(3-2'2)(a+4'2)=3a+12'2-2a'2-16 08  ⑴ 4 ⑵ 22
=3a-16+(12-2a)'2 셀파 xÛ`-4x+1=0의 양변을 x로 나눈다.
이때 A가 유리수이므로 12-2a=0
 x+;[!;의 값 구하기 [40`%]
2a=12 ∴ a=6
⑴ xÛ`-4x+1=0의 양변을 x로 나누면
 A의 값 구하기 [30`%]
x-4+;[!;=0 ∴ x+;[!;=4
⑵ a=6이므로 A=3a-16=3_6-16=2

32 II.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 xÛ`+
1
의 값 구하기 [30`%] 12  13
xÛ`

⑵ xÛ`+ 1 ={x+;[!;}2`-2=4Û`-2=16-2=14
셀파 (2-'5)102=(2-'5)100(2-'5)Û`임을 이용한다.

xÛ` (2+'5)100(2-'5)102
=(2+'5)100(2-'5)100(2-'5)Û`
 주어진 식의 값 구하기 [30`%]
={(2+'5)(2-'5)}100(2-'5)Û`
∴ xÛ`+2x+;[@;+ 1 =xÛ`+ 1 +2{x+;[!;} ={2Û`-('5)Û`}100(2-'5)Û`
xÛ` xÛ`
=14+2_4=22 =(4-5)100(2-'5)Û`
=(-1)100(2-'5)Û`
=(2-'5)Û`
=4-4'5+5=9-4'5
09  -1 따라서 a=9, b=-4이므로 a-b=9-(-4)=13
셀파 x, y의 분모를 각각 유리화한다.
개념 다시 보기
1 2-'2 2-'2 2-'2
x= = = = 지수 법칙
2+'2 (2+'2)(2-'2) 4-2 2
m이 자연수일 때

② {;bA;}m` =
1 2+'2 2+'2 2+'2
y= = = = am
2-'2 (2-'2)(2+'2) 4-2 2 ① (ab)m=ambm
bm
이때
2-'2 2+'2
x+y= + =;2$;=2
2 2
2-'2 2+'2 (2-'2)(2+'2) 4-2
xy= _ = = =;2!;
2 2 4 4 13  1-'5
∴ xÛ`+yÛ`-8xy=(x+y)Û`-10xy=2Û`-10_;2!;=4-5=-1 셀파 x에 1, 2, 3, 4를 각각 대입하여 f(1), f(2), f(3), f(4)를 구한다.

f(1)='2-'1='2-1, f(2)='3-'2
f(3)='4-'3=2-'3, f(4)='5-'4='5-2

∴ 1 - 1 + 1 - 1
f(1) f(2) f(3) f(4)
10 0
1 1 1 1
'a의 정수 부분을 n이라 하면 'a의 소수 부분은 'a-n이다. = - + -
셀파
'2-1 '3-'2 2-'3 '5-2
1<'2<2이므로 -2<-'2<-1 ∴ 1<3-'2<2 '2+1 '3+'2
= -
따라서 3-'2의 정수 부분은 1이고 3-'2의 소수 부분은 ('2-1)('2+1) ('3-'2)('3+'2)
3-'2-1=2-'2이므로 x=2-'2 2+'3 '5+2
+ -
(2-'3)(2+'3) ('5-2)('5+2)
x=2-'2에서 x-2=-'2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2+1-('3+'2)+2+'3-('5+2)
(x-2)Û`=(-'2)Û`
='2+1-'3-'2+2+'3-'5-2
xÛ`-4x+4=2 ∴ xÛ`-4x+2=0
=1-'5

11 8
셀파 6=7-1이므로 곱셈 공식 (a+b)(a-b)=aÛ`-bÛ`을 이용한다.

6_(7+1)_(7Û`+1)_(7Ý`+1)+2=7Œ`+1에서
6_(7+1)_(7Û`+1)_(7Ý`+1)+2
=(7-1)_(7+1)_(7Û`+1)_(7Ý`+1)+2
=(7Û`-1)_(7Û`+1)_(7Ý`+1)+2
=(7Ý`-1)_(7Ý`+1)+2
=(7¡`-1)+2=7¡`+1
따라서 7¡`+1=7Œ`+1이므로 a=8

6. 곱셈 공식의 활용 33
정답과 해설

7 다항식의 인수분해 3-1  1. ⑴ (x+4)(x-4) ⑵ (x+3y)(x-3y)


2. (x+3)(x+9)
따라 풀면
서 1. ⑴ xÛ`-16=xÛ`- 4 Û`=(x+4)(x- 4 )
개념 익히기 본문 | 97, 99 쪽 ⑵ xÛ`-9yÛ`=xÛ`-( 3y )Û`=(x+ 3y )(x-3y)
2. xÛ`+12x+27=(x+3)(x+ 9 )
1-1  1. 1, x, y, x+y, xy, x(x+y), y(x+y), xy(x+y)
x 3 3x
2. ⑴ x(x+y) ⑵ ab(a+b-ab) x 9 9x +
1. xy(x+y)의 인수는 12x
1 , x, y, x+y, xy, x(x+y), y(x+y) , xy(x+y)
2. ⑴ xÛ`+xy= x _x+ x _y= x (x+y)
⑵ aÛ`b+abÛ`-aÛ`bÛ 3-2  ⑴ (4+b)(4-b) ⑵ 5x, (5x+y)(5x-y)
+a_b b -a_a_b_b
=a_a_b+a_b_
a_b+ a_b ⑶ 3y, (2x+3y)(2x-3y)
= ab (a+b- ab ) ⑴ 16-bÛ`=4Û`-bÛ`=(4+b)(4-b)
⑵ 25xÛ`-yÛ`=(5x)Û`-yÛ`=(5x+y)(5x-y)
⑶ 4xÛ`-9yÛ`=(2x)Û`-(3y)Û`=(2x+3y)(2x-3y)

1-2  ⑴ x, y, xÛ`, xy ⑵ x, x-y, x(x-y)


⑴ xÛ`y의 인수는 1, x, xÛ`, y, xy, xÛ`y 3-3  ⑴ -4, -4x / (x+1)(x-4)
⑵ x(x-y)의 인수는 1, x, x-y, x(x-y) ⑵ 1, x, 4, 4x / (x+1)(x+4)
⑴ xÛ`-3x-4=(x+1)(x-4)
x 1 x
x -4 -4x +

1-3  ⑴ a, a(1+2b) ⑵ 4y, 4y(4xÛ`-3y) -3x


⑶ ab, ab(a+2-3b) ⑷ 2q, 2q(pÛ`+2pq+3) ⑵ xÛ`+5x+4=(x+1)(x+4)
⑴ a+2ab=a+2_a_b=a(1+2b)
a a x 1 x
⑵ 16xÛ`y-12yÛ`=4_4_
=4_4_x_x_y-4_3_y_y
y-4_3_ y x 4 4x +
=4y(4xÛ`-3y) 5x
⑶ aÛ`b+2ab-3abÛ`=a_a_b+2_a_b-3_a_b_b
a_b a_b a_b
=ab(a+2-3b)
⑷ 2pÛ`q+4pqÛ`+6q
4-1  (x-2)(3x-1)
3xÛ`-7x+2=(x-2)(3x-1)
=2_ q+2_2_ q+2_3_q
=2_p_p_q+2_2_p_q_q+2_3_q
x -2 -6x
=2q(pÛ`+2pq+3)
3x -1 -x +
-7x

2-1  ⑴ (x+5)Û` ⑵ (7x-1)Û`


4-2  ⑴ x, -1, -x, 7x / (x+2)(4x-1)
⑴ xÛ`+10x+25=xÛ`+2_x_5+ 5 Û`=(x+ 5 )Û`
⑵ 2x, 2y, 4xy / (2x-3y)(3x+2y)
⑵ 49xÛ`-14x+1=( 7x )Û`-2_ 7x _1+1Û`=( 7x -1)Û`
⑴ 4xÛ`+7x-2=(x+2)(4x-1)
x 2 8x
4x -1 -x +

2-2  ⑴ (x+1)Û` ⑵ (x-3)Û` ⑶ (2x+1)Û` ⑷ (x-8y)Û` 7x


⑴ xÛ`+2x+1=xÛ`+2_x_1+1Û`=(x+1)Û` ⑵ 6xÛ`-5xy-6yÛ`=(2x-3y)(3x+2y)
⑵ xÛ`-6x+9=xÛ`-2_x_3+3Û`=(x-3)Û` 2x -3y -9xy
⑶ 4xÛ`+4x+1=(2x)Û`+2_2x_1+1Û`=(2x+1)Û` 3x 2y 4xy +
⑷ xÛ`-16xy+64yÛ`=xÛ`-2_x_8y+(8y)Û`=(x-8y)Û` -5xy

34 II.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풀고 또 풀고 ⑵ xÛ`+7x-30=xÛ`+{10+(-3)}x+10_(-3)
다항식의 인수분해
집중 연습 본문 | 100 쪽 =(x+10)(x-3)

참고 xÛ`+7x-30
1  ⑴ 6ab(2a-3b) ⑵ ab(3a-b+2)
x 10 10x
⑶ (x+y)(x+z) ⑷ (a+b)(c+2) x -3 -3x +
⑸ (x-y)(a-b) 7x
⑴ 12aÛ`b-18abÛ`=6ab_2a-6ab_3b=6ab(2a-3b) ∴ xÛ`+7x-30=(x+10)(x-3)
⑵ 3aÛ`b-abÛ`+2ab=ab_3a-ab_b+ab_2
⑶ xÛ`-2xy-35yÛ`=xÛ`+{5y+(-7y)}x+5y_(-7y)
=ab(3a-b+2)
=(x+5y)(x-7y)
⑶ x(x+z)+y(x+z)=(x+z)(x+y)=(x+y)(x+z)
⑷ 2(a+b)+c(a+b)=(a+b)(2+c)=(a+b)(c+2) 참고 xÛ`-2xy-35yÛ`
⑸ a(x-y)+b(y-x)=a(x-y)-b(x-y) x 5y 5xy
x -7y -7xy +
=(x-y)(a-b)
-2xy
∴ xÛ`-2xy-35yÛ`=(x+5y)(x-7y)

⑷ xÛ`-17xy+72yÛ`
2  ⑴ (a+6)Û` ⑵ (x-7)Û` ⑶ {x-;5!;}Û`
=xÛ`+{(-8y)+(-9y)}x+(-8y)_(-9y)
⑷ (3x+1)Û` ⑸ (2x-5)Û` =(x-8y)(x-9y)
⑴ aÛ`+12a+36=aÛ`+2_a_6+6Û`=(a+6)Û`
참고 xÛ`-17xy+72yÛ`
⑵ xÛ`-14x+49=xÛ`-2_x_7+7Û`=(x-7)Û` x -8y -8xy
x -9y -9xy +
⑶ xÛ`-;5@;x+;2Á5;=xÛ`-2_x_;5!;+{;5!;}Û`={x-;5!;}Û` -17xy
⑷ 9xÛ`+6x+1=(3x)Û`+2_3x_1+1Û`=(3x+1)Û` ∴ xÛ`-17xy+72yÛ`=(x-8y)(x-9y)

⑸ 4xÛ`-20x+25=(2x)Û`-2_2x_5+5Û`=(2x-5)Û` ⑸ xÛ`+xy-42yÛ`
=xÛ`+{7y+(-6y)}x+7y_(-6y)
=(x+7y)(x-6y)

3  ⑴ (a+8)(a-8) ⑵ (x+9y)(x-9y) 참고 xÛ`+xy-42yÛ`


7xy
⑶ {;2!;x+;3!;}{;2!;x-;3!;} ⑷ (3a+7b)(3a-7b)
x 7y
x -6y -6xy +
⑴ aÛ`-64=aÛ`-8Û`=(a+8)(a-8) xy
∴ xÛ`+xy-42yÛ`=(x+7y)(x-6y)
⑵ xÛ`-81yÛ`=xÛ`-(9y)Û`=(x+9y)(x-9y)

⑶ ;4!;xÛ`-;9!;={;2!;x}Û`-{;3!;}Û`={;2!;x+;3!;}{;2!;x-;3!;}

⑷ 9aÛ`-49bÛ`=(3a)Û`-(7b)Û`=(3a+7b)(3a-7b)
5  ⑴ (3x+1)(3x+2) ⑵ (x-4y)(5x+9y)

`⑶ (x-3y)(3x+2y)

4  ⑴ (x-4)(x-9) ⑵ (x+10)(x-3) ⑴ 9xÛ`+9x+2


⑶ (x+5y)(x-7y) ⑷ (x-8y)(x-9y) 3x 1 3x
⑸ (x+7y)(x-6y) 3x 2 6x +
⑴ xÛ`-13x+36=xÛ`+{(-4)+(-9)}x+(-4)_(-9) 9x
=(x-4)(x-9) ∴ 9xÛ`+9x+2=(3x+1)(3x+2)
⑵ 5xÛ`-11xy-36yÛ`
참고 xÛ`-13x+36
x -4y -20xy
x -4 -4x
x -9 -9x + 5x 9y 9xy +
-13x -11xy
∴ xÛ`-13x+36=(x-4)(x-9) ∴ 5xÛ`-11xy-36yÛ`=(x-4y)(5x+9y)

7. 다항식의 인수분해 35
정답과 해설

⑶ 3xÛ`-7xy-6yÛ` 05  ⑴ x+4 ⑵ 2x-7


x -3y -9xy 셀파 근호 안의 식을 완전제곱식으로 인수분해한다.
3x 2y 2xy +
⑴ 0<x<4일 때, x>0, x-4<0이므로
-7xy
2"xÛ`+"ÃxÛ`-8x+16=2"xÛ`+"Ã(x-4)Û`
∴ 3xÛ`-7xy-6yÛ`=(x-3y)(3x+2y)
=2x-(x-4)
=2x-x+4
=x+4
⑵ 2<x<5일 때, x-2>0, x-5<0이므로
보고 또 보고
"ÃxÛ`-4x+4-"ÃxÛ`-10x+25
유형 익히기- 확인 문제 본문 | 101~107 쪽 ="Ã(x-2)Û`-"Ã(x-5)Û``
=(x-2)-{-(x-5)}
01 ②
셀파 2, x, x-3뿐만 아니라 이들 인수끼리의 곱도 인수이다. =(x-2)+(x-5)
=2x-7
2x(x-3)의 인수는
1, 2, x, x-3, 2x, 2(x-3), x(x-3)=xÛ`-3x, 2x(x-3)
이므로 인수가 아닌 것은 ②`xÛ`이다.

06  a=7, b=2, c=5


02  ⑴ -2aÛ`(ax-4y) ⑵ (x+y)(2x+3y)
셀파 공통인수를 찾아서 묶은 후 aÛ`-bÛ`=(a+b)(a-b)를 이용한다.
셀파 ⑴ 공통인수 -2aÛ`으로 묶어 인수분해한다.
⑵ 공통인수 x+y로 묶어 내고 남은 것들을 간단히 한다.
28xÛ`-175yÛ`=7(4xÛ`-25yÛ`)=7{(2x)Û`-(5y)Û`}
=7(2x+5y)(2x-5y)
⑴ -2aÜ`x+8aÛ`y=-2aÛ`(ax-4y)
또는 2aÛ`(-ax+4y) ∴ a=7, b=2, c=5
(-2aÛ`)_(-4y)

⑵ (x+y)Û`+x(x+y)+2y(x+y)
=(x+y){(x+y)+x+2y}=(x+y)(2x+3y)

07 3
03  ㉠, ㉢, ㉣
셀파 인수분해와 전개를 이용하여 a, b의 값을 구한다.
셀파 Û`Ñ2█+█Û` 꼴인지 확인한다.
xÛ`+ax+12=(x-3)(x+b)에서
㉠ 4xÛ`+12x+9=(2x)Û`+2_2x_3+3Û`=(2x+3)Û`
12=-3b, a=-3+b
㉡ xÛ`-25xy-10yÛ`은 Û`Ñ2█+█Û` 꼴로 나타낼 수 없다.
∴ b=-4, a=-3+(-4)=-7
㉢ 25xÛ`-20xy+4yÛ`=(5x)Û`-2_5x_2y+(2y)Û`
∴ b-a=-4-(-7)=-4+7=3
=(5x-2y)Û`

㉣ yÛ`+y+;4!;=yÛ`+2_y_;2!;+{;2!;}Û`={y+;2!;}Û`

따라서 완전제곱식으로 인수분해할 수 있는 것은 ㉠, ㉢, ㉣이다.

08  -2

04  109 셀파 좌변을 인수분해한 후 우변과 비교한다.

셀파 완전제곱식이 될 조건을 이용한다. 8xÛ`+10xy+3yÛ`


2x y 4xy
xÛ`+18x+a가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4x 3y 6xy +
a={:Á2¥:}Û`=9Û`=81 10xy
4xÛ`+bx+49가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4xÛ`=(2x)Û`, 49=7Û`이므로 ∴ 8xÛ`+10xy+3yÛ`=(2x+y)(4x+3y)
b=2_2_7=28 (∵ b>0) 따라서 a=1, b=3이므로
∴ a+b=81+28=109 a-b=1-3=-2

36 II.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09 ③ 12  ⑴ xÛ`-6x+8 ⑵ (x-2)(x-4)
셀파 인수분해 공식을 이용하여 각 다항식을 인수분해한다. 셀파 인수분해한 식을 전개하여 제대로 본 계수와 상수항을 찾는다.

① xÛ`+2x=x(x+2) 고은이는 상수항은 제대로 보았으므로


② xÛ`+4x+4=(x+2)Û` 고은이가 인수분해한 식 (x-1)(x-8)=xÛ`-9x+8에서
③ 3xÛ`-6=3(xÛ`-2) 처음 이차식의 상수항은 8이다.
④ xÛ`-5x-14=(x+2)(x-7) 민수는 x의 계수는 제대로 보았으므로
⑤ 3xÛ`+5x-2=(x+2)(3x-1) 민수가 인수분해한 식 (x-3)Û`=xÛ`-6x+9에서
따라서 x+2를 인수로 갖지 않는 것은 ③이다. 처음 이차식의 x의 계수는 -6이다.
따라서 처음 이차식은 xÛ`-6x+8이고, 이 식을 인수분해하면
xÛ`-6x+8=(x-2)(x-4)

참고 고은이는 x의 계수를 잘못 보았으므로 고은이가 인수분해한 식을 전


10 ⑤
개하였을 때 상수항은 고은이가 제대로 본 값이다. 또 민수는 상수항을 잘못 보
셀파 두 다항식을 각각 인수분해하여 공통인수를 찾는다.
았으므로 민수가 인수분해한 식을 전개하였을 때 x의 계수는 민수가 제대로
4xÛ`+11xy+6yÛ` 본 값이다.
x 2y 8xy 이때 xÛ`의 계수가 1이라는 조건이 없다면 고은이의 식에서 xÛ`의 계수와 상수
4x 3y 3xy + 항을, 민수의 식에서 xÛ`의 계수와 x의 계수를 알 수 있다.
11xy
∴ 4xÛ`+11xy+6yÛ`=(x+2y)(4x+3y)
12xÛ`+25xy+12yÛ`
3x 4y 16xy
4x 3y 9xy +
25xy
13  3x+4
셀파 주어진 10개의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과 새로운 직사각형의 넓이가 같음
∴ 12xÛ`+25xy+12yÛ`=(3x+4y)(4x+3y)
을 이용한다.
따라서 두 다항식의 일차식인 공통인수는 ⑤ 4x+3y이다.
주어진 10개의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은
xÛ`+xÛ`+x+x+x+x+x+1+1+1=2xÛ`+5x+3
=(x+1)(2x+3)
이때 새로운 직사각형의 넓이는 10개의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과 같
11  ⑴ -24 ⑵ 3
셀파 ⑴ 일차식인 다른 한 인수를 x+p로 놓는다.
다.
⑵ 다항식 2xÛ`+bx-2는 x+2를 인수로 가진다. 따라서 새로운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는 각각
x+1, 2x+3 또는 2x+3, x+1이므로 구하는 합은
⑴ 다항식 xÛ`+5x+a가 x-3을 인수로 가지므로 일차식인 다른
(x+1)+(2x+3)=3x+4
한 인수를 x+p로 놓으면
xÛ`+5x+a=(x-3)(x+p)
=xÛ`+(p-3)x-3p
따라서 5=p-3, a=-3p에서 p=8, a=-24
⑵ 다항식 2xÛ`+bx-2가 x+2로 나누어떨어지므로 x+2는 이
다항식의 인수이다. 14  x+2
이때 2xÛ`+bx-2에서 xÛ`의 계수가 2이므로 일차식인 다른 한 셀파 (사다리꼴의 넓이)

인수를 2x+p로 놓으면 =;2!;_{(윗변의 길이)+(아랫변의 길이)}_(높이)


2xÛ`+bx-2=(x+2)(2x+p)
=2xÛ`+(p+4)x+2p 사다리꼴의 높이를 A라 하면

따라서 b=p+4, -2=2p에서 p=-1, b=3 xÛ`+4x+4=;2!;_{(x+1)+(x+3)}_A

참고 다항식 A가 ax+b(a+0)로 나누어떨어진다. (x+2)Û`=(x+2)_A


⇨ 다항식 A가 ax+b(a+0)를 인수로 가진다. ∴ A=x+2
⇨ A=(ax+b)_(다항식) 꼴로 인수분해된다. 따라서 사다리꼴의 높이는 x+2이다.

7. 다항식의 인수분해 37
정답과 해설

 주어진 식 간단히 하기 [60 %]


실력 키우기 본문 | 109~111 쪽
∴ "Ã(3a)Û`+"ÃaÛ`-2ab+bÛ`-"Ã(7b)Û`
01 ④ ="Ã(3a)Û`+"Ã(a-b)Û`-"Ã(7b)Û`
a<0, a-b<0, b>0
셀파 전개의 뜻을 이용한다. =-3a-(a-b)-7b
④ ㉡은 전개의 과정이므로 분배법칙을 이용한다. =-3a-a+b-7b
=-4a-6b

02  46
셀파 인수분해와 전개를 이용하여 a, b, c의 값을 구한다. 06 ②
axÛ`-28x+b=(2x+c)Û`이므로 셀파 공통인수로 묶어 낸 후 인수분해 공식을 이용한다.

a=2Û`, -28=2_2_c, b=cÛ` 50xÛ`-2yÛ`=2(25xÛ`-yÛ`)


∴ a=4, c=-7, b=(-7)Û`=49 =2{(5x)Û`-yÛ`}
∴ a+b+c=4+49+(-7)=46 =2(5x+y)(5x-y)

03 ④
07 ③
셀파 완전제곱식이 되기 위한 조건을 이용한다.
셀파 (x+4)Û`-x-6을 전개한 후 인수분해한다.
① xÛ`+12x+ 에서 12x=2_x_6이므로 =6Û`=36 (x+4)Û`-x-6=xÛ`+8x+16-x-6
② 4xÛ`- x+25에서 4xÛ`=(2x)Û`, 25=5Û`이므로 =xÛ`+7x+10
x=2_2x_5=20x (∵ >0) ∴ =20 =(x+2)(x+5)
③ 9xÛ`+ x+1에서 9xÛ`=(3x)Û`, 1=1Û`이므로 이때 (x+2)(x+5)=(x+a)(x+b)이므로
x=2_3x_1=6x (∵ >0) ∴ =6 a=2, b=5 또는 a=5, b=2
④ xÛ`-14x+ 에서 14x=2_x_7이므로 =7Û`=49 ∴ a+b=7
⑤ xÛ`- x+81에서 81=9Û`이므로
x=2_x_9=18x (∵ >0) ∴ =18
따라서 안의 수가 가장 큰 것은 ④이다.
08 5
셀파 인수분해와 전개를 이용하여 a, b의 값을 구한다.

04  ②, ⑤ 12xÛ`+17x+a=(3x+5)(4x+b)이므로
셀파 aÛ`xÛ`+bxy+cÛ`yÛ`이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b=Ñ2ac이어야 한다. a=5b, 17=3b+20
17=3b+20에서 3b=-3 ∴ b=-1
4xÛ`+(2a-6)xy+25yÛ`이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a=5b=5_(-1)=-5
4xÛ`=(2x)Û`, 25yÛ`=(5y)Û`이므로
∴ ab=(-5)_(-1)=5
(2a-6)xy=Ñ2_2x_5y=Ñ20xy
2a-6=Ñ20
Ú 2a-6=20에서 2a=26 ∴ a=13
Û 2a-6=-20에서 2a=-14 ∴ a=-7 09 ③
따라서 상수 a의 값은 -7 또는 13이다. 셀파 인수분해 공식을 이용하여 좌변을 인수분해한다.

① 2xÛ`-4x+2=2(xÛ`-2x+1)=2(x-1)Û`
② xÛ`-3yÛ`은 유리수의 범위에서 인수분해할 수 없다.
05  -4a-6b ③ xÛ`+11x+30=(x+5)(x+6)
셀파 근호 안의 식을 인수분해한다. ④ 4xÛ`-24xy+12yÛ`=4(xÛ`-6xy+3yÛ`)
 a, b의 부호 구하기 [40 %] ⑤ ax-bx+y(a-b)=x(a-b)+y(a-b)
a-b<0이므로 a<b =(a-b)(x+y)
또 ab<0이므로 a<0, b>0 따라서 인수분해를 바르게 한 것은 ③이다.

38 II.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10 ④ 13  x+2
셀파 각 다항식을 인수분해한다. 셀파 주어진 9개의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과 새로운 정사각형의 넓이가 같음을

2xÛ`+2x-4=2(xÛ`+x-2)
이용한다.

=2(x+2)(x-1) 주어진 9개의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은


xÛ`-5x-14=(x+2)(x-7) xÛ`+x+x+x+x+1+1+1+1=xÛ`+4x+4
따라서 주어진 두 다항식의 공통인수인 것은 ④`x+2이다. =(x+2)Û`
이때 새로운 정사각형의 넓이는 주어진 9개의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과 같다.
따라서 새로운 정사각형의 넓이가 (x+2)Û`이므로 구하는 한 변의
길이는 x+2이다.
11  15
셀파 x-3이 공통인수이므로 두 다항식은 모두 x-3을 인수로 가진다.

 a의 값 구하기 [40 %]
xÛ`+ax-36=(x-3)(x+m)으로 놓으면  ⑴ aÛ`-bÛ` ⑵ (a+b)(a-b)
14
xÛ`+ax-36=xÛ`+(m-3)x-3m ⑶ aÛ`-bÛ`=(a+b)(a-b)
따라서 a=m-3, -36=-3m이므로 셀파 [그림 2]의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를 각각 구한다.
m=12, a=9
 [그림 1]의 도형의 넓이 구하기 [40 %]
 b의 값 구하기 [40 %] ⑴ [그림 1]의 도형의 넓이는 aÛ`-bÛ`
3xÛ`-7x-b=(x-3)(3x+n)으로 놓으면
 [그림 2]의 직사각형의 넓이 구하기 [40 %]
3xÛ`-7x-b=3xÛ`+(n-9)x-3n
⑵ [그림 2]의 직사각형은 가로의 길이가 a+b, 세로의 길이가
따라서 -7=n-9, b=3n이므로
a-b이므로 그 넓이는 (a+b)(a-b)
n=2, b=6
 ⑴, ⑵에서 알 수 있는 인수분해 공식 말하기 [20 %]
 a+b의 값 구하기 [20 %]
⑶ [그림 1]의 도형과 [그림 2]의 직사각형의 넓이가 같으므로
∴ a+b=9+6=15
aÛ`-bÛ`=(a+b)(a-b)

12 8 15  2x+5
셀파 A, B가 제대로 본 계수와 상수항을 확인한다. 셀파 두 도형 A, B의 넓이가 같음을 이용한다.

 A가 인수분해한 식에서 상수항 구하기 [30 %] 도형 A의 넓이는


A는 상수항은 제대로 보았으므로 (2x+3)Û`-2Û`=4xÛ`+12x+5=(2x+1)(2x+5)
(x+3)(x-4)=xÛ`-x-12 이때 도형 A의 넓이와 직사각형 B의 넓이가 같고
에서 처음 이차식의 상수항은 -12이다. 직사각형 B의 세로의 길이가 2x+1이므로 직사각형 B의 가로의
길이는 2x+5이다.
 B가 인수분해한 식에서 x의 계수 구하기 [30 %]
B는 x의 계수는 제대로 보았으므로
(x+6)(x-10)=xÛ`-4x-60
에서 처음 이차식의 x의 계수는 -4이다.
16  11, 13
 처음 이차식 인수분해하기 [20 %] 셀파 ab=30을 만족하는 a, b의 순서쌍 (a, b)를 구한다.
따라서 처음 이차식은 xÛ`-4x-12이므로 바르게 인수분해하면
xÛ`+cx+30=(x+a)(x+b)이므로 ab=30
xÛ`-4x-12=(x+2)(x-6)
ab=30을 만족하는 a, b의 순서쌍 (a, b)는
 a-b의 값 구하기 [20 %] (3, 10), (5, 6)
따라서 a=2, b=-6(∵ a>b)이므로 따라서 c=a+b이므로 상수 c의 값은
a-b=2-(-6)=8 3+10=13 또는 5+6=11

7. 다항식의 인수분해 39
정답과 해설

8 인수분해 공식의 활용 2-2 ⑴ a(a+5) ⑵ (x+y+1)Û`


⑶ (a+b+1)(a-b-7)
1. 여러 가지 식의 인수분해 ⑷ (x+2y-5)(x+5y-14)
서 ⑴ (a+1)Û`+3(a+1)-4
따라 풀면 a+1=A로 놓는다.
개념 익히기 본문 | 115, 117 쪽 =AÛ`+3A-4
인수분해한다.
=(A-1)(A+4) `
A 대신 a+1을 대입한다.
1-1 ⑴ b(a-3)Û` ⑵ (x+y)(x+4)(x-4) ={(a+1)-1}{(a+1)+4}
⑴ aÛ`b-6ab+9b =a(a+5)
공통인수로 묶는다.
=b(aÛ`-6a+9)
=b(a- 3 )Û`
인수분해한다. ⑵ (x+y)Û`+2x+2y+1
=(x+y)Û`+2(x+y)+1
⑵ (x+y)xÛ`-16(x+y) x+y=A로 놓는다.
공통인수로 묶는다. =AÛ`+2A+1
=(x+y)(xÛ`- 16 ) 인수분해한다.
인수분해한다. =(A+1)Û`
=(x+y)(x+ 4 )(x- 4 ) A 대신 x+y를 대입한다.
=(x+y+1)Û`

⑶ (a-3)Û`-(b+4)Û`
1-2
a-3=A, b+4=B로 놓는다.
⑴ 5(x-y)Û` ⑵ b(2a+b)(2a-b) =AÛ`-BÛ`
인수분해한다.
⑶ 2yÛ`(x-1)Û` ⑷ 3ab(a-1)(a-3) =(A+B)(A-B) A 대신 a-3,
B 대신 b+4를
⑴ 5xÛ`-10xy+5yÛ` ={(a-3)+(b+4)}{(a-3)-(b+4)}
공통인수로 묶는다. 대입한다.
=5(xÛ`-2xy+yÛ`) =(a-3+b+4)(a-3-b-4)
인수분해한다.
=5(x-y)Û` =(a+b+1)(a-b-7)
⑵ 4aÛ`b-bÜ`
공통인수로 묶는다. ⑷ (x+1)Û`+7(x+1)(y-3)+10(y-3)Û` x+1=A, y-3=B로
=b(4aÛ`-bÛ`)
=AÛ`+7AB+10BÛ` 놓는다.
=b{(2a)Û`-bÛ`} 인수분해한다.
인수분해한다. =(A+2B)(A+5B) A 대신 x+1,
=b(2a+b)(2a-b) B 대신 y-3을
={(x+1)+2(y-3)}{(x+1)+5(y-3)} 대입한다.

⑶ 2xÛ`yÛ`-4xyÛ`+2yÛ` =(x+1+2y-6)(x+1+5y-15)
공통인수로 묶는다.
=2yÛ`(xÛ`-2x+1) =(x+2y-5)(x+5y-14)
인수분해한다.
=2yÛ`(x-1)Û`

⑷ 3aÜ`b-12aÛ`b+9ab
공통인수로 묶는다.
=3ab(aÛ`-4a+3)
인수분해한다.
=3ab(a-1)(a-3)

2-1 ⑴ (x-1)(x-7) ⑵ 3x(x+2y)


⑴ (x-3)Û`-2(x-3)-8
x-3=A로 놓는다.
⑴ =AÛ`-2A-8 3-1 ⑴ (y-z)(x+1) ⑵ (3x+y+1)(3x-y-1)
인수분해한다.
⑴ =(A+2)(A- 4 ) ⑴ xy-xz+y-z
( 2항)+( 2항)으로 묶는다.
A 대신 x-3을 대입한다.
⑴ ={(x-3)+2}{(x-3)- 4 } =(xy-xz)+(y-z)
각 묶음 안에서 공통인수로 묶는다.
⑴ = (x-1)(x-7) = x (y-z)+(y-z)
인수분해한다.
=(y- z )( x +1)
⑵ (2x+y)Û`-(x-y)Û`
2x+y=A, x-y=B로 놓는다.
⑴ =AÛ`-BÛ` ⑵ 9xÛ`-yÛ`-2y-1
인수분해한다. ( 1항)+( 3항)으로 묶는다.
⑴ =(A+ B )(A- B ) ` A 대신 2x+y, =9xÛ`-(yÛ`+2y+1)
B 대신 x-y를 AÛ`-BÛ` 꼴로 만든다.
⑴ ={(2x+y)+( x-y )}{(2x+y)-( x-y )} 대입한다. =( 3x )Û`-(y+1)Û`
인수분해한다.
⑴ =(2x+y+x-y)(2x+y-x+y) ={ 3x +(y+1)}{ 3x -(y+1)}
⑴ = 3x(x+2y) =(3x+y+1)( 3x-y-1 )

40 II.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보고 또 보고
3-2 ⑴ (a-b)(a+1) ⑵ (x-2y)(a+b) 유형 익히기- 확인 문제 본문 | 118~120 쪽
⑶ (x-2y+1)(x-2y-1)
⑷ (a+b-4)(a-b+4) 01 ⑴ 2x(y+3)(y-4) ⑵ a(2a+b)(3a-2b)
⑴ aÛ`-ab+a-b 셀파 먼저 공통인수로 묶고 인수분해한다.
( 2항)+( 2항)으로 묶는다.
=(aÛ`-ab)+(a-b) ⑴ 2xyÛ`-2xy-24x=2x(yÛ`-y-12)
각 묶음 안에서 공통인수로 묶는다.
=a(a-b)+(a-b) =2x(y+3)(y-4)
인수분해한다.
=(a-b)(a+1)
⑵ 6aÜ`-aÛ`b-2abÛ`=a(6aÛ`-ab-2bÛ`)
2a -2b -3ab
⑵ ax-2ay+bx-2by =a(2a+b)(3a-2b) 3a -2b -4ab >³`+
( 2항)+(2항)으로 묶는다. 4-ab
=(ax-2ay)+(bx-2by)
각 묶음 안에서 공통인수로 묶는다.
=a(x-2y)+b(x-2y)
인수분해한다.
=(x-2y)(a+b)

⑶ xÛ`-4xy+4yÛ`-1
( 3항)+( 1항)으로 묶는다.
=(xÛ`-4xy+4yÛ`)-1
AÛ`-BÛ` 꼴로 만든다.
02 ⑴ (a-5)(a-6) ⑵ 3(3x-4y+3)Û`
=(x-2y)Û`-1Û` ⑶ (x+y-5)(x+y+2)
인수분해한다.
=(x-2y+1)(x-2y-1) ⑷ (3a-2b-1)(3a-2b+2)
셀파 공통부분을 한 문자로 치환한다.
⑷ aÛ`-bÛ`+8b-16
( 1항)+( 3항)으로 묶는다.
=aÛ`-(bÛ`-8b+16) ⑴ a-2=A로 놓으면
AÛ`-BÛ` 꼴로 만든다.
=aÛ`-(b-4)Û` (a-2)Û`-7(a-2)+12

={a+(b-4)}{a-(b-4)}
인수분해한다. =AÛ`-7A+12

=(a+b-4)(a-b+4) =(A-3)(A-4)
={(a-2)-3}{(a-2)-4}
=(a-5)(a-6)

⑵ 3x-4y=A로 놓으면
3(3x-4y)Û`+18(3x-4y)+27
4-1 (x-2)(x+2y-3) =3AÛ`+18A+27
xÛ`+2xy-5x-4y+6 차수가 가장 낮은 문자 y에 대하여 =3(AÛ`+6A+9)
=2xy-4y+xÛ`-5x+6 내림차순으로 정리한다.
=3(A+3)Û`
=2y( x-2 )+( x-2 )(x-3) =3{(3x-4y)+3}Û`
=(x-2)(2y+x-3) =3(3x-4y+3)Û`
= (x-2)(x+2y-3)
⑶ x+y=A로 놓으면
(x+y)(x+y-3)-10
=A(A-3)-10
=AÛ`-3A-10
=(A-5)(A+2)
4-2 y+2, y-4, x+y+2, x-y+4
=(x+y-5)(x+y+2)
xÛ`-yÛ`+6x+2y+8
=xÛ`+6x-yÛ`+2y+8 ⑷ 3a-2b=A로 놓으면
=xÛ`+6x-(yÛ`-2y-8) (3a-2b-2)(3a-2b+3)+4
=xÛ`+6x-(y+2)(y-4) =(A-2)(A+3)+4
x y+2 -(y+2)x
=(AÛ`+A-6)+4
x -(y-4) -(y-4)x ³>`+
6x =AÛ`+A-2
={x+( y+2 )}{x-( y-4 )} =(A-1)(A+2)
=( x+y+2 )( x-y+4 ) =(3a-2b-1)(3a-2b+2)

8. 인수분해 공식의 활용 41
정답과 해설

03 ⑴ (5a+2b)(3a+4b) ⑵ (2x+y+4)Û`` ⑵ 9xÛ`+4yÛ`-12xy-36=(9xÛ`-12xy+4yÛ`)-36


셀파 치환해야 하는 대상이 2개이면 각각 A, B로 치환한다. =(3x-2y)Û`-6Û`
⑴ 4a+3b=A, a-b=B로 놓으면 =(3x-2y+6)(3x-2y-6)
(4a+3b)Û`-(a-b)Û`
=AÛ`-BÛ`
=(A+B)(A-B) 06 2x+y+3
={(4a+3b)+(a-b)}{(4a+3b)-(a-b)} 셀파 차수가 가장 낮은 문자 y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해한다.
=(4a+3b+a-b)(4a+3b-a+b) 문자 y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5a+2b)(3a+4b) xÛ`+xy+3x+y+2=(x+1)y+xÛ`+3x+2
=(x+1)y+(x+1)(x+2)
⑵ (2x+1)Û`+(2x+1)(2y+6)+(y+3)Û`
=(x+1)(y+x+2)
=(2x+1)Û`+2(2x+1)(y+3)+(y+3)Û``
=(x+1)(x+y+2)
2x+1=A, y+3=B로 놓으면
∴ (두 일차식의 합)=(x+1)+(x+y+2)=2x+y+3
(주어진 식)=AÛ`+2AB+BÛ`
(주어진 식)=(A+B)Û`
(주어진 식)=(2x+1+y+3)Û`
=(2x+y+4)Û`
풀고 또 풀고
여러 가지 식의 인수분해
집중 연습 본문 | 121 쪽

04 ⑴ (x+1)(x-1)Û` ⑵ (x-1)(y-1)
1 ⑴ 2a(b-2)Û` ⑵ (x-1)(x+2)(x-2)
셀파 공통인수가 있는 두 항씩 묶어 인수분해한다. ⑶ (x+1)(a+5)(a-2) ⑷ (x+y)(2x+3y)
⑴ xÜ`-xÛ`-x+1=xÛ`(x-1)-(x-1) ⑴ 2abÛ`-8ab+8a=2a(bÛ`-4b+4)
=(x-1)(xÛ`-1) =2a(b-2)Û`
=(x-1)(x+1)(x-1)
⑵ (xÛ`+1)(x-1)-5(x-1)=(x-1){(xÛ`+1)-5}
=(x+1)(x-1)Û`
=(x-1)(xÛ`-4)
⑵ xy+1-x-y=xy-x-y+1 =(x-1)(x+2)(x-2)
=x(y-1)-(y-1)
⑶ (x+1)aÛ`+3(x+1)a-10(x+1)
=(y-1)(x-1)
=(x+1)(aÛ`+3a-10)
=(x-1)(y-1)
=(x+1)(a+5)(a-2)
다른 풀이 ⑵ xy-y와 1-x로 묶어서 인수분해해도 된다.
⑷ (3x+2y)(x+y)-(x-y)(x+y)
⑵ xy+1-x-y=xy-y+1-x
=(x+y){(3x+2y)-(x-y)}
=y(x-1)-(x-1)
=(x+y)(3x+2y-x+y)
=(x-1)(y-1)
=(x+y)(2x+3y)

05 ⑴ (x-y+1)(-x+y+1)
⑵ (3x-2y+6)(3x-2y-6) 2 ⑴ (a+b-3)(a+b+7) ⑵ (a+2b-8)(a+2b+2)
셀파 완전제곱식이 되는 항 3개를 묶는다. ⑶ 3x(x-6) ⑷ (4x+y)(-x+5y)
⑴ 1-xÛ`+2xy-yÛ`=1-(xÛ`-2xy+yÛ`) ⑸ 3x(-2x+7y)
=1Û`-(x-y)Û` ⑴ a+b=A로 놓으면
={1+(x-y)}{1-(x-y)} (a+b)Û`+4(a+b)-21=AÛ`+4A-21
=(1+x-y)(1-x+y) =(A-3)(A+7)
=(x-y+1)(-x+y+1) =(a+b-3)(a+b+7)

42 II.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⑵ a+2b=A로 놓으면 ⑸ 4xÛ`-yÛ`-10yz-25zÛ`=4xÛ`-(yÛ`+10yz+25zÛ`)
‌(a+2b)(a+2b-6)-16‌=A(A-6)-16 =(2x)Û`-(y+5z)Û`
=AÛ`-6A-16 ={2x+(y+5z)}{2x-(y+5z)}
=(A-8)(A+2) =(2x+y+5z)(2x-y-5z)
={(a+2b)-8}{(a+2b)+2}
⑹ 2bc-bÛ`-cÛ`+aÛ`=aÛ`-(bÛ`-2bc+cÛ`)
=(a+2b-8)(a+2b+2)
=aÛ`-(b-c)Û`
⑶ 2x-3=A, x+3=B로 놓으면 ={a+(b-c)}{a-(b-c)}
‌(2x-3)Û`-(x+3)Û` =(a+b-c)(a-b+c)
=AÛ`-BÛ`
다른 풀이 ⑴ ab+5a+b+5=ab+b+5a+5
=(A+B)(A-B)
=b(a+1)+5(a+1)
={(2x-3)+(x+3)}{(2x-3)-(x+3)}
=(a+1)(b+5)
=(2x-3+x+3)(2x-3-x-3)
=3x(x-6) ⑵ xy-4x+ay-4a=xy+ay-4x-4a
=y(x+a)-4(x+a)
⑷ x+2y=A, 3x-y=B로 놓으면
=(x+a)(y-4)
‌2(x+2y)Û`+(x+2y)(3x-y)-(3x-y)Û`
=2AÛ`+AB-BÛ` ⑶ ac+bd-ad-bc=ac-bc+bd-ad
=(A+B)(2A-B) =c(a-b)-d(a-b)
={(x+2y)+(3x-y)}{2(x+2y)-(3x-y)} =(a-b)(c-d)
=(x+2y+3x-y)(2x+4y-3x+y)
=(4x+y)(-x+5y)

⑸ x+y=A, x-2y=B로 놓으면


2(x+y)Û`+5(x+y)(2y-x)-3(x-2y)Û`
4  ‌⑴ (x+3)(2x+y-5) ⑵ (x-2)(x+y-3)
=2(x+y)Û`-5(x+y)(x-2y)-3(x-2y)Û`
⑶ (x-y-2)(2x+y-3) ⑷ (a-2b)(a-2b-3)
=2AÛ`-5AB-3BÛ`
⑴ 2xÛ`+xy+x+3y-15‌=(x+3)y+2xÛ`+x-15
=(A-3B)(2A+B)
=(x+3)y+(x+3)(2x-5)
={(x+y)-3(x-2y)}{2(x+y)+(x-2y)}
=(x+3)(2x+y-5)
=(x+y-3x+6y)(2x+2y+x-2y)
=(-2x+7y)3x ⑵ xÛ`+xy-5x-2y+6‌=(x-2)y+xÛ`-5x+6
=3x(-2x+7y) =(x-2)y+(x-2)(x-3)
=(x-2)(x+y-3)

3  ‌⑴ (b+5)(a+1) ⑵ (y-4)(x+a) ⑶ ‌2xÛ`-xy-yÛ`+y-7x+6


⑶ (c-d)(a-b) ⑷ (a+b+7)(a-b+7) =2xÛ`-(y+7)x-(yÛ`-y-6)
⑸ (2x+y+5z)(2x-y-5z) =2xÛ`-(y+7)x-(y+2)(y-3)
⑹ (a+b-c)(a-b+c) 2x -(y+2) -2(y+2)x +
2x (y-3) (y-3)x>³ +
⑴ ab+5a+b+5=a(b+5)+(b+5)=(b+5)(a+1) -(y+7)x +
⑵ xy-4x+ay-4a=x(y-4)+a(y-4)=(y-4)(x+a) ={x-(y+2)}{2x+(y-3)}
⑶ ac+bd-ad-bc=ac-ad+bd-bc =(x-y-2)(2x+y-3)
=a(c-d)-b(c-d)
‌aÛ`-4ab+4bÛ`-3a+6b‌=(a-2b)Û`-3(a-2b)

=(c-d)(a-b)
=(a-2b)(a-2b-3)
⑷ aÛ`+14a+49-bÛ`=(a+7)Û`-bÛ`
={(a+7)+b}{(a+7)-b}
=(a+b+7)(a-b+7)

8. 인수분해 공식의 활용 43
정답과 해설

보고 또 보고

2. 인수분해 공식의 활용 유형 익히기- 확인 문제 본문 | 124~125 쪽

01

따라 풀면
12
개념 익히기 본문 | 123 쪽
셀파 근호 안의 수를 인수분해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1-1 ⑴ 9600 ⑵ 400 A="Ã52Û`-48Û`="Ã(52+48)(52-48)


⑴ 인수분해 공식 aÛ`-bÛ`= (a+b)(a-b) 를 이용하면 ='Ä100_4='Ä400="Ã20Û`=20
98Û`-2Û` B='Ä0.36_0.23+0.36_0.77
=(98+ 2 )(98- 2 ) ="Ã0.36_(0.23+0.77)
1
= 100 _ 96 = 9600 ='¶0.36="Ã0.6Û`=0.6
⑵ 인수분해 공식 aÛ`+2ab+bÛ`= (a+b)Û` 을 이용하면 ∴ AB=20_0.6=12
13Û`+2_13_7+7Û`
=(13+ 7 )Û`
= 20 Û`= 400 02 8'3
셀파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하여 간단히 한 후 대입한다.

xÜ`y-xyÜ`=xy(xÛ`-yÛ`)=xy(x+y)(x-y)
1-2 ⑴ ㉣, 10600 ⑵ ㉢, 100 이때
⑴ ㉣ aÛ`-bÛ`=(a+b)(a-b)를 이용하면 2 2_('3+1) 2('3+1)
x= = = ='3+1,
㉢ 103Û`-3Û`=(103+3)(103-3) '3-1 ('3-1)('3+1) 2
=106_100=10600 2 2_('3-1) 2('3-1)
y= = = ='3-1
⑵ ㉢ aÛ`-2ab+bÛ`=(a-b)Û`을 이용하면 '3+1 ('3+1)('3-1) 2
㉢ 18Û`-2_18_8+8Û`=(18-8)Û` 이므로
=10Û`=100 xy=('3+1)('3-1)=3-1=2,
x+y='3+1+'3-1=2'3,
x-y='3+1-('3-1)=2
2-1 ⑴ 10000 ⑵ 4'5Œ5 ∴ xÜ`y-xyÜ`=xy(x+y)(x-y)=2_2'3_2=8'3
⑴ xÛ`-6x+9
인수분해
=(x- 3 )Û`
=(103- 3 )Û`
x의 값 대입
03 10
=100Û`= 10000 셀파 값을 구하려는 식을 인수분해한 후 x+y, x-y의 값을 각각 대입한다.

⑵ xÛ`-yÛ` xÛ`-6x+9-yÛ`=(x-3)Û`-yÛ`
인수분해
=(x+y)(x- y ) x, y의 값
=(x-3+y)(x-3-y)
={('5Œ5+1)+('5Œ5-1)}{('5Œ5+1)-('5Œ5-1)} 각각 대입 =(x+y-3)(x-y-3) x+y=8, x-y=5를
대입한다.
=2'5Œ5_ 2 =(8-3)(5-3)
= 4'5Œ5 =5_2=10

2-2 ⑴ 6, 6, 10000 ⑵ y, '2-1, 4 04 100p`cmÛ`


⑴ xÛ`+12x+36 셀파 반지름의 길이가 r, 중심각의 크기가 xù인 부채꼴의 넓이는 p_rÛ`_
x
인수분해
360
=(x+ 6 )Û`
x의 값 대입
=(94+ 6 )Û` (한지 부분의 넓이)=(큰 부채꼴의 넓이)-(작은 부채꼴의 넓이)
=100Û`= 10000 (한지 부분의 넓이)=p_17.5Û`_;3!6$0$;-p_7.5Û`_;3!6$0$;
⑵ xÛ`-2xy+yÛ`
인수분해
(한지 부분의 넓이)=p_;3!6$0$;_(17.5Û`-7.5Û`)
=(x- y )Û`
x, y의 값 각각 대입
={('2+1)-( '2-1 )}Û` (한지 부분의 넓이)=p_;5@;_(17.5+7.5)(17.5-7.5)
=('2+1-'2+1)Û`
=2Û`= 4 (한지 부분의 넓이)=p_;5@;_25_10=100p`(cmÛ`)

44 II.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실력 키우기 본문 | 127~129 쪽 05  ①, ③
셀파 공통부분이 생기도록 두 항씩 묶어 인수분해한다.
01 ③
xÛ`y+xÛ`-4y-4=xÛ`(y+1)-4(y+1)
셀파 공통인수로 먼저 묶어 내고 인수분해 공식을 이용한다.
=(y+1)(xÛ`-4)
(a-b)xÛ`+5(a-b)x+6a-6b =(y+1)(x+2)(x-2)
=(a-b)xÛ`+5(a-b)x+6(a-b) 이므로 xÛ`y+xÛ`-4y-4의 인수가 아닌 것은 ①, ③이다.
=(a-b)(xÛ`+5x+6)
=(a-b)(x+2)(x+3)

02  ⑴ ㉡ ⑵ (2a+3)(a-2) 06  2y
셀파 치환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한다. 셀파 ( 2항)과 ( 2항) 또는 ( 3항)과 ( 1항)으로 나누어 인수분해한다.

 처음으로 잘못된 부분 말하기 [50 %]  A 구하기 [40 %]

⑴ 2AÛ`-5A-3=(2A+1)(A-3)이므로 xÛ`-4x-yÛ`+4y=xÛ`-yÛ`-4x+4y
처음으로 잘못된 부분은 ㉡이다. =(x+y)(x-y)-4(x-y)
=(x-y)(x+y-4)
 주어진 식을 바르게 인수분해하기 [50 %]
∴ A=x+y-4
⑵ 2(a+1)Û`-5(a+1)-3
=2AÛ`-5A-3  B 구하기 [40 %]

=(2A+1)(A-3) xÛ`-yÛ`-8x+16=xÛ`-8x+16-yÛ`
={2(a+1)+1}{(a+1)-3} =(x-4)Û`-yÛ`
=(2a+3)(a-2) =(x-4+y)(x-4-y)
=(x+y-4)(x-y-4)
∴ B=x-y-4
03 5
 A-B를 간단히 하기 [20 %]
셀파 공통부분을 A로 치환한다.
∴ A-B=x+y-4-(x-y-4)
(x-y-2)(x-y+2)+3x-3y
=x+y-4-x+y+4
={(x-y)-2}{(x-y)+2}+3(x-y)
=2y
x-y=A로 놓으면
(주어진 식)=(A-2)(A+2)+3A
=AÛ`+3A-4
=(A-1)(A+4)`
07  ④, ⑤
=(x-y-1)(x-y+4)`
셀파 ④는 공통인수 xy, ⑤는 공통인수 xÛ`으로 묶어 낸 후 인수분해한다.
따라서 a=1, b=4이므로 a+b=1+4=5
① (x-y)Û`-2x+2y=(x-y)Û`-2(x-y)
=(x-y)(x-y-2)
04 2 ② xÛ`-16+25yÛ`-10xy=(xÛ`-10xy+25yÛ`)-16
셀파 치환한 후 AÛ`-BÛ` 꼴의 인수분해 공식을 이용한다. =(x-5y)Û`-4Û`
2x-y=A, x+3y=B로 놓으면 =(x-5y+4)(x-5y-4)
(2x-y)Û`-16(x+3y)Û` ③ (x-3)Û`-4yÛ`=(x-3)Û`-(2y)Û`
=AÛ`-16BÛ`=AÛ`-(4B)Û` =(x-3+2y)(x-3-2y)
=(A+4B)(A-4B) =(x+2y-3)(x-2y-3)
={(2x-y)+4(x+3y)}{(2x-y)-4(x+3y)} ④ xÜ`y-10xÛ`y+25xy=xy(xÛ`-10x+25)
=(2x-y+4x+12y)(2x-y-4x-12y) =xy(x-5)Û`
=(6x+11y)(-2x-13y) ⑤ xÝ`-16xÛ`=xÛ`(xÛ`-16)
=-(6x+11y)(2x+13y) =xÛ`(x+4)(x-4)
따라서 a=11, b=13이므로 b-a=13-11=2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 ⑤이다.

8. 인수분해 공식의 활용 45
정답과 해설

08  10 11  ;2!0!;
셀파 x, y의 차수가 같으므로 한 문자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다. 셀파 인수분해 공식 aÛ`-bÛ`=(a+b)(a-b)를 이용한다.

문자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1 1 1 1


{1- }{1- }{1- }y{1- }
xÛ`+6x+2xy+yÛ`+6y-16 2Û` 3Û` 4Û` 10Û`
=xÛ`+(2y+6)x+yÛ`+6y-16 =[1Û`-{;2!;}2` ][1Û`-{;3!;}2` ][1Û`-{;4!;}2` ]y[1Û`-{;1Á0;}2` ]
=xÛ`+(2y+6)x+(y-2)(y+8)
x y-2 (y-2)x + ={1-;2!;}{1+;2!;}{1-;3!;}{1+;3!;}{1-;4!;}{1+;4!;}
x y+8 (y+8)x >³+
(2y+6)x +
=(x+y-2)(x+y+8)  y{1-;1Á0;}{1+;1Á0;}
따라서 a=1, b=2, c=1, d=8이므로
=;2!;_;2#;_;3@;_;3$;_;4#;_;4%;_y_;1»0;_;1!0!;
a+b-c+d=1+2-1+8=10

=;2!;_;1!0!;=;2!0!;

12  '3

09 ③ 셀파 문자에 값을 바로 대입하지 말고 주어진 식을 변형한다.

셀파 가장 적합한 인수분해 공식을 찾는다. xÛ`+2xy+yÛ` (x+y)Û` x+y


= =
xÛ`-yÛ` (x+y)(x-y) x-y
"Ã26Û`-24Û`‌="Ã(26+24)(26-24)
이때 x+y='6+'2+'6-'2=2'6,
‌
='Ä50_2
x-y='6+'2-('6-'2)=2'2
='¶100=10
x+y 2'6
따라서 ③ aÛ`-bÛ`=(a+b)(a-b)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편리하 이므로 = ='3
x-y 2'2
다.

13 ①
셀파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한 후 a+b, a-b의 값을 각각 대입한다.

aÜ`-bÜ`+aÛ`b-abÛ`‌=aÛ`(a+b)-bÛ`(a+b)
=(a+b)(aÛ`-bÛ`)
10 4
=(a+b)(a+b)(a-b)
셀파 수를 문자로 생각하고 인수분해 공식을 이용한다.
=(a-b)(a+b)Û` a+b=3, a-b=7을
394Û`+4_394-12 대입한다.
에서 =7_3Û`
198Û`-4
=63
 분자 계산하기 [35 %]
(분자)‌=394Û`+4_394-2_6
=(394-2)(394+6)
=392_400
14  ⑴ 5 ⑵ x=3, y=1
 분모 계산하기 [35 %] 셀파 6xÛ`-xy-yÛ`=50의 좌변을 인수분해하여 2x-y의 값을 구한다.

(분모)‌=198Û`-2Û`=(198+2)(198-2)  2x-y의 값 구하기 [50 %]


=200_196 ⑴ 6xÛ`-xy-yÛ`=50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 주어진 식 계산하기 [30 %] 6xÛ`-xy-yÛ`=(2x-y)(3x+y)
394Û`+4_394-12 392_400 (2x-y)(3x+y)=50에서
∴ = =4
198Û`-4 200_196 3x+y=10이므로 2x-y=5

46 II.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 x, y의 값 구하기 [50 %] 18  ;1Á6;
3x+y=10 yy ㉠
⑵ 연립방정식 [ 에서 셀파 xÛ`-2xy+yÛ`=(x-y)Û`이므로 ax+bx-ay-by=1의 좌변을 인수
2x-y=5 yy ㉡ 분해하여 x-y의 값을 구한다.
㉠+㉡을 하면 5x=15   ∴ x=3
ax+bx-ay-by=1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x=3을 ㉡에 대입하면 2_3-y=5   ∴ y=1
x(a+b)-y(a+b)=(a+b)(x-y)
(a+b)(x-y)=1에서 a+b=4이므로

4(x-y)=1   ∴ x-y=;4!;

∴ xÛ`-2xy+yÛ`=(x-y)Û`={;4!;}2`=;1Á6;
15  2x+3
셀파 도형 A의 넓이와 직사각형 B의 가로의 길이를 이용하여 직사각형 B의
세로의 길이를 구한다.

도형 A의 넓이는
(3x+5)Û`-(x+2)Û`
={(3x+5)+(x+2)}{(3x+5)-(x+2)}
19  4400p`cmÜ`
=(4x+7)(2x+3)
셀파 (원기둥의 부피)=(밑넓이)_(높이)임을 이용하여 식을 세우고 인수분해
이때 도형 A의 넓이와 직사각형 B의 넓이가 같고 직사각형 B의 가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로의 길이가 4x+7이므로 직사각형 B의 세로의 길이는 2x+3이
(구하는 부피)=(바깥쪽 원기둥의 부피)-(안쪽 원기둥의 부피)
다.
(구하는 부피)=p_15.5Û`_20-p_4.5Û`_20
(구하는 부피)=p_20_(15.5Û`-4.5Û`)
(구하는 부피)=p_20_(15.5+4.5)(15.5-4.5)

16 6 (구하는 부피)=p_20_20_11
셀파 공통부분이 생기도록 일차식을 두 개씩 묶어 전개한다. (구하는 부피)=4400p`(cmÜ`)

(x-1)(x+1)(x+3)(x+5)-9
=(x-1)(x+5)(x+1)(x+3)-9
=(xÛ`+4x-5)(xÛ`+4x+3)-9
xÛ`+4x=A로 놓으면
(주어진 식)‌=(A-5)(A+3)-9
=AÛ`-2A-24
=(A+4)(A-6)
=(xÛ`+4x+4)(xÛ`+4x-6)
=(x+2)Û`(xÛ`+4x-6)
따라서 a=2, b=4이므로 a+b=6

17  ⑴ 17_5_3 ⑵ 17
셀파 aÛ`-bÛ`=(a+b)(a-b)를 반복적으로 이용한다.

⑴ 2¡`-1=(2Ý`)Û`-1Û`
⑴ 2¡`-1=(2Ý`+1)(2Ý`-1)
⑴ 2¡`-1=(2Ý`+1){(2Û`)Û`-1Û`}
⑴ 2¡`-1=(2Ý`+1)(2Û`+1)(2Û`-1)
⑴ 2¡`-1=(2Ý`+1)(2Û`+1)(2+1)(2-1)
⑴ 2¡`-1=17_5_3
‌⑴에서 2¡`-1은 10과 20 사이의 소수인 17로 나누어떨어짐을

알 수 있다.

8. 인수분해 공식의 활용 47
정답과 해설

2-1  ⑴ x=-1 또는 x=7 ⑵ x=-2 또는 x=3


III. 이차방정식 ⑴ (x+1)(x-7)=0에서 x+1=0 또는 x-7 =0
∴ x=-1 또는 x= 7
⑵ xÛ`-x=6을 정리하면 xÛ`-x-6=0
9 이차방정식의 풀이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x+ 2 )(x-3)=0
따라서 x+ 2 =0 또는 x-3=0이므로

따라 풀면
x= -2 또는 x=3
개념 익히기 본문 | 133, 135 쪽

1-1  1. ⑴ xÛ`-x-2=0, 이차방정식이다.


⑵ -3x+5=0, 이차방정식이 아니다. 2-2  ⑴ x=0 또는 x=4 ⑵ x=-;3@; 또는 x=;2%;
2. x=1
⑶ x=-1 또는 x=4 ⑷ x=3 또는 x=-;3$;
1. ⑴ xÛ`-2=x에서 우변에 있는 x를 이항하면 xÛ`-x-2 =0
⇨ 이차방정식 이다 . ⑴ 2x(x-4)=0에서 x=0 또는 x-4=0
⑵ 5+xÛ`=xÛ`+3x에서 우변에 있는 xÛ`, 3x를 이항하면 ∴ x=0 또는 x=4
5+xÛ`-xÛ`-3x=0 ⑵ (3x+2)(2x-5)=0에서 3x+2=0 또는 2x-5=0
∴ -3x+5 =0 ∴ x=-;3@; 또는 x=;2%;
⇨ 이차방정식 이 아니다 .
⑶ xÛ`-3x-4=0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2. 이차방정식 xÛ`+x-2=0에 (x+1)(x-4)=0
x=-1을 대입하면 (-1)Û`+(-1)-2=-2+0 따라서 x+1=0 또는 x-4=0이므로
x=0을 대입하면 0Û`+0-2=-2 + 0 x=-1 또는 x=4
x=1을 대입하면 1Û`+1-2 = 0 ⑷ 3xÛ`-5x-12=0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따라서 이차방정식 xÛ`+x-2=0의 해는 x= 1 (x-3)(3x+4)=0
따라서 x-3=0 또는 3x+4=0이므로

x=3 또는 x=-;3$;

1-2  ㉠, ㉢
㉠ xÛ`-x=-1에서 xÛ`-x+1=0 ⇨ 이차방정식이다.
㉡ xÛ`-6x-3 ⇨ 등호가 없으므로 이차방정식이 아니고 이차식이 3-1  ⑴ x=-4 ⑵ x=5 ⑶ x=;7!;
다.
⑴ 2(x+4)Û`=0에서 x+4=0
㉢ x(x-1)=0에서 xÛ`-x=0 ⇨ 이차방정식이다.
∴ x= -4
㉣ -2xÛ`=x-2xÛ`에서 -x=0 ⇨ 이차방정식이 아니다.
⑵ xÛ`-10x+25=0에서 (x- 5 )Û`=0
따라서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인 것은 ㉠, ㉢이다.
x-5=0 ∴ x= 5
⑶ 49xÛ`+1=14x에서 49xÛ`-14x+1=0
( 7 x-1)Û`=0, 7x-1=0

1-3 ⑴◯ ⑵_ ⑶◯ ∴ x= ;7!;


⑴ (x-1)(x+2)=0에 x=-2를 대입하면
(-2-1)_(-2+2)=-3_0=0
이므로 x=-2는 해이다.
⑵ xÛ`-4x-12=0에 x=2를 대입하면 3-2 ⑴_ ⑵◯
2Û`-4_2-12=-16+0 ⑴ (x-2)Û`=4에서 xÛ`-4x=0
이므로 x=2는 해가 아니다. x(x-4)=0 ∴ x=0 또는 x=4
⑶ 2xÛ`+x-1=0에 x=-1을 대입하면 따라서 중근을 갖지 않는다.
2_(-1)Û`+(-1)-1=0 ⑵ x(x-2)=-1에서 xÛ`-2x+1=0
이므로 x=-1은 해이다. (x-1)Û`=0 ∴ x=1

48 III. 이차방정식
3-3  ⑴ x=-3 ⑵ x=;2%; ⑶ x=6 ⑷ x=-;4!; ⑵ xÛ`-10x+7=0에서 xÛ`-10x=-7

}2`=25를 더하면 xÛ`-10x+25=-7+25


⑴ (x+3)Û`=0에서 x+3=0 -10
∴ x=-3 양변에 {
2
⑵ 3(2x-5)Û`=0에서 2x-5=0 ∴ x=;2%; (x-5)Û`=18, x-5=Ñ'¶18
⑶ xÛ`-12x+36=0에서 (x-6)Û`=0 ∴ x=5Ñ'¶18=5Ñ3'2
x-6=0 ∴ x=6 ⑶ -xÛ`-8x+3=0의 양변을 -1로 나누면 xÛ`+8x-3=0
⑷ 16xÛ`+8x+1=0에서 (4x+1)Û`=0 xÛ`+8x=3

4x+1=0 ∴ x=-;4!; 양변에 {;2*;}2`=16을 더하면 xÛ`+8x+16=3+16

(x+4)Û`=19, x+4=Ñ'¶19
∴ x=-4Ñ'¶19
⑷ 3xÛ`+12x-3=0의 양변을 3으로 나누면 xÛ`+4x-1=0
1Ñ'5
4-1  1. ⑴ x=Ñ2 ⑵ x= 2. x=4Ñ'¶19 xÛ`+4x=1

양변에 {;2$;}2`=4를 더하면 xÛ`+4x+4=1+4


3
1. ⑴ xÛ`=4에서 x=Ñ'4= Ñ2
⑵ (3x-1)Û`=5에서 3x-1=Ñ '5
(x+2)Û`=5, x+2=Ñ'5
1Ñ'5
3x=1Ñ '5 ∴ x= ∴ x=-2Ñ'5
3

2.  상수항을 우변으로 이항한다. ⇨ xÛ`-8x=3


]2`, 즉 { }2`=16을 더한다.
( x의 계수) -8
 양변에 [
2 2
⇨ xÛ`-8x+ 16 =3+ 16
 (완전제곱식)=(상수) 꼴로 고친다. ⇨ (x-4)Û`= 19
 제곱근을 이용하여 해를 구한다.
풀고 또 풀고
⇨ x-4=Ñ'¶19 ∴ x= 4Ñ'¶19 집중 연습
이차방정식의 풀이
본문 | 136 쪽

1  ⑴ x=-5 또는 x=5 ⑵ x=-2 또는 x=4

4-2  ⑴ x=Ñ'¶10 ⑵ x=Ñ'5 ⑶ x=-5 또는 x=-6 ⑷ x=-2 또는 x=;3!;


3Ñ'7
⑶ x=3Ñ'5 ⑷ x=
2 ⑸ x=-;2!; 또는 x=;3!; ⑹ x=;2#; ⑺ x=-;3$;
⑴ xÛ`=10에서 x=Ñ'¶10 ⑴ xÛ`-25=0에서 (x+5)(x-5)=0
⑵ 3xÛ`-15=0에서 3xÛ`=15 x+5=0 또는 x-5=0 ∴ x=-5 또는 x=5
xÛ`=5 ∴ x=Ñ'5 ⑵ xÛ`-2x-8=0에서 (x+2)(x-4)=0
⑶ (x-3)Û`=5에서 x-3=Ñ'5 ∴ x=3Ñ'5 x+2=0 또는 x-4=0 ∴ x=-2 또는 x=4
⑷ (2x-3)Û`-7=0에서 (2x-3)Û`=7 ⑶ xÛ`+11x+30=0에서 (x+5)(x+6)=0
2x-3=Ñ'7, 2x=3Ñ'7 x+5=0 또는 x+6=0 ∴ x=-5 또는 x=-6

∴ x=
3Ñ'7 ⑷ 3xÛ`+5x-2=0에서 (x+2)(3x-1)=0
2
x+2=0 또는 3x-1=0 ∴ x=-2 또는 x=;3!;

⑸ 6xÛ`+x-1=0에서 (2x+1)(3x-1)=0

4-3  ⑴ x=1Ñ'5 ⑵ x=5Ñ3'2 2x+1=0 또는 3x-1=0 ∴ x=-;2!; 또는 x=;3!;


⑶ x=-4Ñ'¶19 ⑷ x=-2Ñ'5
⑹ 4xÛ`-12x+9=0에서 (2x-3)Û`=0
⑴ xÛ`-2x-4=0에서 xÛ`-2x=4

}2`=1을 더하면 xÛ`-2x+1=4+1


-2 2x-3=0 ∴ x=;2#;
양변에 {
2 ⑺ 9xÛ`+24x+16=0에서 (3x+4)Û`=0
(x-1)Û`=5, x-1=Ñ'5
3x+4=0 ∴ x=-;3$;
∴ x=1Ñ'5

9. 이차방정식의 풀이 49
정답과 해설

2  ⑴ x=Ñ2'3 ⑵ x=Ñ2'5 ⑸ ① 5xÛ`-10x+2=0의 양변을 5로 나누면 xÛ`-2x+;5@;=0


'2
⑶ x=2Ñ'¶10 ⑷ x=5Ñ
2 xÛ`-2x=-;5@;

}2`=1을 더하면 xÛ`-2x+1=-;5@;+1


⑴ xÛ`-12=0에서 xÛ`=12 ∴ x=Ñ'¶12=Ñ2'3 -2
양변에 {
2
⑵ ;2!;xÛ`-10=0에서 ;2!;xÛ`=10
(x-1)Û`=;5#;
xÛ`=20 ∴ x=Ñ'¶20=Ñ2'5
⑶ (x-2)Û`=10에서 x-2=Ñ'¶10 '¶15
∴ x=2Ñ'¶10 ② (x-1)Û`=;5#;에서 x-1=Ñ®;5#;=Ñ
5
⑷ 2(x-5)Û`=1에서 (x-5)Û`=;2!; '¶15
∴ x=1Ñ
5
'2 '2
x-5=Ñ®;2!;=Ñ ∴ x=5Ñ
2 2
1 1_'2 '2
분모의 유리화: ®;2!;= = =
'2 '2_'2 2

보고 또 보고

유형 익히기- 확인 문제 본문 | 137~144 쪽

01 ④
3  ⑴ ① (x+1)Û`=2 ② x=-1Ñ'2 셀파 먼저 등식인지 확인하고, axÛ`+bx+c=0에서 a+0인지 확인한다.
⑵ ① (x-2)Û`=3 ② x=2Ñ'3
① xÛ`-2x-5는 등식이 아니므로 방정식이 아니다.
⑶ ① (x+3)Û`=13 ② x=-3Ñ'¶13
② 2xÛ`=2xÛ`+2에서 -2=0
'6
⑷ ① (x-2)Û`=;2#; ② x=2Ñ ⇨ 미지수가 없으므로 방정식이 아니다.
2
'¶15 ③ 3xÛ`+4x-1=x+3xÛ`에서 3x-1=0
⑸ ① (x-1)Û`=;5#; ② x=1Ñ
5 ⇨ x에 대한 일차방정식이다.
⑴ ① xÛ`+2x-1=0에서 xÛ`+2x=1
④ ;2!;xÛ`=5x-6에서 ;2!;xÛ`-5x+6=0
양변에 {;2@;}2`=1을 더하면 xÛ`+2x+1=1+1
⇨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이다.
(x+1)Û`=2 ⑤ xÛ`-3x=(x+2)(x-1)에서 xÛ`-3x=xÛ`+x-2
② (x+1)Û`=2에서 x+1=Ñ'2 ∴ x=-1Ñ'2 ∴ -4x+2=0
⑵ ① xÛ`-4x+1=0에서 xÛ`-4x=-1 ⇨ x에 대한 일차방정식이다.

}2`=4를 더하면 xÛ`-4x+4=-1+4


-4
양변에 { 따라서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인 것은 ④이다.
2
(x-2)Û`=3
② (x-2)Û`=3에서 x-2=Ñ'3 ∴ x=2Ñ'3
⑶ ① xÛ`+6x-4=0에서 xÛ`+6x=4 02  a+2
양변에 {;2^;}2`=9를 더하면 xÛ`+6x+9=4+9 셀파 axÛ`+bx+c=0이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이려면 a+0이어야 한다.

(x+3)Û`=13 (a+1)xÛ`-2x=3xÛ`+x-1에서 (a-2)xÛ`-3x+1=0

② (x+3)Û`=13에서 x+3=Ñ'¶13 ∴ x=-3Ñ'¶13 이 방정식이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이 되려면 xÛ`의 계수가 0이 아니


어야 하므로 a-2+0 ∴ a+2
⑷ ① 2xÛ`-8x+5=0의 양변을 2로 나누면 xÛ`-4x+;2%;=0

xÛ`-4x=-;2%;

}2`=4를 더하면 xÛ`-4x+4=-;2%;+4


-4
양변에 { 03 ③
2
[ ] 안의 수를 각 방정식의 x에 대입하여 등식이 성립하면 해이다.
(x-2)Û`=;2#;
셀파

① xÛ`+x-1=0에 x=1을 대입하면


'6
② (x-2)Û`=;2#;에서 x-2=Ñ®;2#;=Ñ 1Û`+1-1=1+0
2
'6 '3 '3_'2 '6 ② xÛ`-4x-12=0에 x=2를 대입하면
분모의 유리화: ®;2#;= = =
2Û`-4_2-12=-16+0
∴ x=2Ñ '2 '2_'2 2
2

50 III. 이차방정식
③ 2xÛ`+x-1=0에 x=-1을 대입하면 xÛ`+ax+2a-2=0에 a=1을 대입하면
2_(-1)Û`+(-1)-1=0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xÛ`+x=0이므로 x(x+1)=0
④ 2xÛ`+8x+6=0에 x=-2를 대입하면 x=0 또는 x+1=0  
2_(-2)Û`+8_(-2)+6=-2+0 ∴ x=0 또는 x=-1
⑤ x(x-1)=3에 x=1을 대입하면 1_(1-1)=0+3 따라서 다른 한 근은 x=0이다.
따라서 [ ] 안의 수가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해인 것은 ③이다.

04 ⑴2 ⑵1 08  -8
셀파 x=p가 이차방정식의 해이다. 셀파 먼저 이차방정식 xÛ`-3x-10=0의 해를 구한다.
⇨ x=p를 이차방정식에 대입하면 등식이 성립한다. 이차방정식 xÛ`-3x-10=0에서 (x+2)(x-5)=0
⑴ 이차방정식 axÛ`-7x+3=0의 한 근이 x=3이므로 x+2=0 또는 x-5=0  
axÛ`-7x+3=0에 x=3을 대입하면 a_3Û`-7_3+3=0 ∴ x=-2 또는 x=5 -2<5이므로 두 근 중 작은 근은 x=-2이다.

9a-18=0   ∴ a=2 따라서 이차방정식 xÛ`-2x+a=0의 한 근이 x=-2이므로


⑵ 이차방정식 2xÛ`+(a+2)x-2a=0의 한 근이 x=-2이므로 (-2)Û`-2_(-2)+a=0
2xÛ`+(a+2)x-2a=0에 x=-2를 대입하면 8+a=0   ∴ a=-8
2_(-2)Û`+(a+2)_(-2)-2a=0
8-2(a+2)-2a=0
-4a+4=0   ∴ a=1
09 ⑤
셀파 이차방정식을 풀어 중근을 갖는 것을 찾는다.

05  33 ① (x+4)(x-4)=0에서 x+4=0 또는 x-4=0


셀파 AB=0이면 A=0 또는 B=0임을 이용한다. ∴ x=-4 또는 x=4
(x-7)(x+4)=0에서 x-7=0 또는 x+4=0 ② xÛ`-4x+3=0에서 (x-1)(x-3)=0
∴ x=7 또는 x=-4 x-1=0 또는 x-3=0   ∴ x=1 또는 x=3
따라서 a=7, b=-4이므로 aÛ`-bÛ`=49-16=33 ③ xÛ`-49=0에서 (x+7)(x-7)=0
x+7=0 또는 x-7=0   ∴ x=-7 또는 x=7
④ xÛ`=4x에서 xÛ`-4x=0, x(x-4)=0
06  ⑴ x=-1 또는 x=-4 ⑵ x=2 또는 x=-;2#; x=0 또는 x-4=0   ∴ x=0 또는 x=4
셀파 주어진 이차방정식을 axÛ`+bx+c=0 (a+0) 꼴로 정리한다. ⑤ xÛ`-10x+25=0에서 (x-5)Û`=0
⑴ xÛ`+5x+3=-1에서 xÛ`+5x+4=0 x-5=0   ∴ x=5
(x+1)(x+4)=0, x+1=0 또는 x+4=0 따라서 중근을 갖는 이차방정식은 ⑤이다.
∴ x=-1 또는 x=-4 참고 (이차식)=0 꼴로 정리하였을 때 이차식이 완전제곱식인 것은 ⑤뿐
⑵ x(2x-1)=6에서 2xÛ`-x=6 이다.
2xÛ`-x-6=0, (x-2)(2x+3)=0
x-2=0 또는 2x+3=0  

∴ x=2 또는 x=-;2#;
10  -;4#;, 1

셀파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지면 ⇨ (완전제곱식)=0 꼴이다.

07  a=1, x=0 이차방정식 xÛ`-4kx+k+3=0이 중근을 가지려면

}2`=k+3이어야 하므로 4kÛ`=k+3


xÛ`+ax+2a-2=0에 x=-1을 대입한다. -4k
셀파 {
2
이차방정식 xÛ`+ax+2a-2=0에 x=-1을 대입하면
4kÛ`-k-3=0, (k-1)(4k+3)=0  
(-1)Û`+a_(-1)+2a-2=0
∴ k=1 또는 k=-;4#;
a-1=0   ∴ a=1

9. 이차방정식의 풀이 51
정답과 해설

11  -5
15  ⑴ x=
-1Ñ'¶33
⑵ x=-1Ñ'¶11
4
셀파 x=-1을 두 이차방정식에 각각 대입한다.
셀파 ⑴ 이차방정식의 좌변을 완전제곱식으로 고친다.
xÛ`+ax-3=0에 x=-1을 대입하면
⑵ 이차방정식의 양변에 2를 곱한다.
(-1)Û`+a_(-1)-3=0
-a-2=0 ∴ a=-2 ⑴ xÛ`+;2!;x-2=0에서 xÛ`+;2!;x=2

양변에 ¦ ¥`={;4!;}2`, 즉 ;1Á6;을 더하면


2xÛ`-x+b=0에 x=-1을 대입하면 ;2!; 2
2_(-1)Û`-(-1)+b=0 2

xÛ`+;2!;x+;1Á6;=2+;1Á6;, {x+;4!;}2`=;1#6#;
;2!;Ö2=;2!;_;2!;=;4!;
3+b=0 ∴ b=-3
∴ a+b=-2+(-3)=-5
'¶33
x+;4!;=Ñ®É;1#6#;=Ñ
4
'¶33 -1Ñ'¶33
∴ x=-;4!;Ñ =
4 4
3Ñ2'3 3'2
12  ⑴ x= ⑵ x=-3Ñ ⑵ ;2!;xÛ`+x-5=0의 양변에 2를 곱하면 xÛ`+2x-10=0
4 2
(x+p)Û`=q (q>0)에서 x=-pÑ'q xÛ`+2x=10

양변에 {;2@;}2`=1을 더하면 xÛ`+2x+1=10+1


셀파

⑴ (4x-3)Û`=12에서 4x-3=Ñ'¶12=Ñ2'3
3Ñ2'3
4x=3Ñ2'3 ∴ x= (x+1)Û`=11, x+1=Ñ'¶11
4
⑵ 2(x+3)Û`-9=0에서 2(x+3)Û`=9 ∴ x=-1Ñ'¶11
3'2
(x+3)Û`=;2(;, x+3=Ñ®;2(;=Ñ
2
3'2
∴ x=-3Ñ
2
®;2(;=
3
=
3_'2
'2 '2_'2
=
3'2
2 16  ②, ④
셀파 xÛ`-5x+3=0에 x=a를 대입한다.

① xÛ`-5x+3=0에 x=a를 대입하면 등식이 성립하므로


aÛ`-5a+3=0
② aÛ`-5a=-3이므로 5a-aÛ`=3 ∴ 4+5a-aÛ`=7
13  ①, ②
③ aÛ`-5a=-3이므로 양변에 2를 곱하면 2aÛ`-10a=-6
(x+p)Û`=q가 서로 다른 두 근을 가질 조건은 q>0이다.
④ aÛ`-5a=-3이므로 양변에 3을 곱하면 3aÛ`-15a=-9
셀파

2(x+2)Û`=k+3이 서로 다른 두 근을 가질 조건은 ∴ 3aÛ`-15a+10=1


k+3>0 ∴ k>-3 ⑤ aÛ`-5a+3=0에서 a+0이므로 양변을 a로 나누면
따라서 조건을 만족하는 상수 k의 값으로 옳지 않은 것은
a-5+;Œ#;=0 ∴ a+;Œ#;=5
① -5, ② -3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②, ④이다.

14  13
실력 키우기 본문 | 145~147 쪽
셀파 먼저 xÛ`의 계수를 1로 만든 후 (완전제곱식)=(상수) 꼴로 나타낸다.

3xÛ`-12x+1=0의 양변을 3으로 나누면 xÛ`-4x+;3!;=0


01 ④
셀파 등식에서 우변의 모든 항을 좌변으로 이항하여 정리하였을 때,
xÛ`-4x=-;3!; axÛ`+bx+c=0(a+0) 꼴인 것을 찾는다.

}2`=4를 더하면 xÛ`-4x+4=-;3!;+4


-4 ① xÛ`+2x+3은 등식이 아니므로 방정식이 아니다.
양변에 {
2 ② 4xÛ`=(2x+1)Û`에서 4xÛ`=4xÛ`+4x+1
∴ (x-2)Û`=:Á3Á: ∴ -4x-1=0 ⇨ x에 대한 일차방정식이다.
③ xÜ`+2x-3=0은 좌변에 xÜ`항이 있으므로 x에 대한 이차방정
따라서 p=2, q=:Á3Á:이므로 p+3q=2+3_:Á3Á:=13
식이 아니다.

52 III. 이차방정식
④ 9xÛ`+x=3(x+1)Û`에서 9xÛ`+x=3(xÛ`+2x+1)  a, b의 값 각각 구하기 [30`%]
9xÛ`+x=3xÛ`+6x+3   ∴ 6xÛ`-5x-3=0 a-b=-3 yy ㉠
⑵ [
⇨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이다. 3a-b=-1   yy ㉡
⑤ xÛ`+3x=(x+2)(x-3)에서 xÛ`+3x=xÛ`-x-6 ㉠-㉡을 하면 -2a=-2   ∴ a=1
∴ 4x+6=0 ⇨ x에 대한 일차방정식이다. a=1을 ㉠에 대입하면 1-b=-3   ∴ b=4
따라서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인 것은 ④이다.
 4a-b의 값 구하기 [20`%]
⑶ 4a-b=4_1-4=0

02 ⑤
셀파 주어진 식을 axÛ`+bx+c=0 꼴로 정리한다.
05 ④
4xÛ`-x+5=m(x-2)Û`에서 4xÛ`-x+5=m(xÛ`-4x+4) 셀파 AB=0이면 A=0 또는 B=0임을 이용하여 해를 구한다.
4xÛ`-x+5=mxÛ`-4mx+4m
① (2x-1)(3x+2)=0에서 2x-1=0 또는 3x+2=0
∴ (4-m)xÛ`+(4m-1)x+5-4m=0
이 방정식이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이 되려면 xÛ`의 계수가 0이 아니 ∴ x=;2!; 또는 x=-;3@;

어야 하므로 4-m+0   ∴ m+4 ② (1-2x)(2+3x)=0에서 1-2x=0 또는 2+3x=0


따라서 조건을 만족하는 m의 값이 될 수 없는 것은 ⑤ 4이다. ∴ x=;2!; 또는 x=-;3@;

③ (2-4x){;3@;+x}=0에서 2-4x=0 또는 ;3@;+x=0

03  ③, ④ ∴ x=;2!; 또는 x=-;3@;
셀파 보기의 이차방정식에 x=-1을 대입하였을 때, 등식이 성립하면 해이다.
④ (4x-2)(6x-4)=0에서 4x-2=0 또는 6x-4=0
① xÛ`=2에 x=-1을 대입하면 (-1)Û`=1+2
② (x-1)Û`=0에 x=-1을 대입하면 (-1-1)Û`=4+0 ∴ x=;2!; 또는 x=;3@;
③ xÛ`-2x-3=0에 x=-1을 대입하면
(-1)Û`-2_(-1)-3=0 ⑤ {x-;2!;}{x+;3@;}=0에서 x-;2!;=0 또는 x+;3@;=0

④ (x+1)(x-1)=0에 x=-1을 대입하면 ∴ x=;2!; 또는 x=-;3@;


(-1+1)_(-1-1)=0
따라서 해가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④이다.
⑤ xÛ`-8x-7=0에 x=-1을 대입하면
(-1)Û`-8_(-1)-7=2+0
따라서 x=-1을 해로 갖는 이차방정식은 ③, ④이다.
06 ④
셀파 주어진 이차방정식을 axÛ`+bx+c=0 꼴로 만든 후 인수분해를 이용하
여 푼다.
a-b=-3
04 ⑴[ ⑵ a=1, b=4 ⑶ 0 (x+6)(x-2)=7x-8에서 xÛ`+4x-12=7x-8
3a-b=-1
셀파 x=-1과 x=-3을 각각 대입하면 등식이 성립한다.
xÛ`-3x-4=0, (x+1)(x-4)=0
∴ x=-1 또는 x=4
 a, b에 대한 연립방정식 세우기 [50`%]
⑴ 이차방정식 axÛ`+bx+3=0의 해가 x=-1 또는 x=-3이므
로 axÛ`+bx+3=0에 x=-1을 대입하면
a_(-1)Û`+b_(-1)+3=0 07 6
a-b+3=0, 즉 a-b=-3 셀파 먼저 이차방정식 xÛ`+4x-12=0을 풀어 조건을 만족하는 해를 찾는다.

axÛ`+bx+3=0에 x=-3을 대입하면 xÛ`+4x-12=0에서 (x-2)(x+6)=0


a_(-3)Û`+b_(-3)+3=0 ∴ x=2 또는 x=-6 두 근 중 음수인 근은 x=-6이다.

9a-3b+3=0, 즉 3a-b=-1 따라서 이차방정식 xÛ`+ax+a-6=0의 한 근이 x=-6이므로


a-b=-3 (-6)Û`+a_(-6)+a-6=0
∴[
3a-b=-1 -5a+30=0   ∴ a=6

9. 이차방정식의 풀이 53
정답과 해설

08  2개 따라서 두 이차방정식을 동시에 만족하는 x의 값이 x=-4이므로


셀파 각 이차방정식을 푼다. 2xÛ`+ax-2+a=0의 한 근은 x=-4이다.
㉠ xÛ`-9=0에서 (x+3)(x-3)=0 2xÛ`+ax-2+a=0에 x=-4를 대입하면
∴ x=-3 또는 x=3 2_(-4)Û`+a_(-4)-2+a=0
-3a=-30   ∴ a=10
㉡ 4xÛ`+4x+1=0에서 (2x+1)Û`=0   ∴ x=-;2!;

㉢ xÛ`=-x에서 xÛ`+x=0, x(x+1)=0


∴ x=0 또는 x=-1
㉣ 2xÛ`+2=4x에서 2xÛ`-4x+2=0, xÛ`-2x+1=0
11 ①
(x-1)Û`=0   ∴ x=1
셀파 제곱근을 이용하여 이차방정식의 해를 구한다.
㉤ xÛ`-25=10x에서 xÛ`-10x-25=0
(x+a)Û`=b에서 x+a=Ñ'b   ∴ x=-aÑ'b
즉 (완전제곱식)=0 꼴로 나타낼 수 없으므로 중근을 갖지 않는
이때 x=2Ñ'3이므로 -a=2, b=3
다.
따라서 a=-2, b=3이므로 a+b=1
㉥ 2(x-3)Û`=5에서 (x-3)Û`=;2%;
'¶10 '¶10
x-3=Ñ®;2%;=Ñ    ∴ x=3Ñ
2 2
따라서 중근을 갖는 이차방정식은 ㉡, ㉣의 2개이다.
12 3
셀파 (x+p)Û`=q가 해를 가질 조건을 이용한다.

 k의 값 구하기 [40`%]
k-2
09 9 3(x-5)Û`=k-2에서 (x-5)Û`=
3
셀파 이차방정식 xÛ`-6x+2k+1=0이 중근을 가질 조건을 이용한다. k-2
이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지려면 =0
3
 k의 값 구하기 [40`%]
k-2=0   ∴ k=2
이차방정식 xÛ`-6x+2k+1=0이 중근을 가지므로

}2`=2k+1, 9=2k+1
-6  a의 값 구하기 [40`%]
{
2 k-2
(x-5)Û`= 에 k=2를 대입하면 (x-5)Û`=0이므로
2k=8   ∴ k=4 3
x=5   ∴ a=5
 이차방정식 (k-3)xÛ`+(k-1)x-18=0의 해 구하기 [40`%]
(k-3)xÛ`+(k-1)x-18=0에 k=4를 대입하면  a-k의 값 구하기 [20`%]

xÛ`+3x-18=0, (x+6)(x-3)=0 ∴ a-k=5-2=3


∴ x=-6 또는 x=3

 두 근의 차 구하기 [20`%]
따라서 두 근의 차는 3-(-6)=9
참고 두 수의 차는 양수이므로 (큰 수)-(작은 수)를 계산한다.
13  -3
셀파 먼저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xÛ`의 계수를 1로 만든다.

4xÛ`-8x+1=0의 양변을 4로 나누면 xÛ`-2x+;4!;=0

xÛ`-2x=-;4!;

}2`=1을 더하면 xÛ`-2x+1=-;4!;+1


10  10
-2
양변에 {
셀파 인수분해를 이용하여 두 이차방정식의 해를 각각 구한다. 2
xÛ`+3x-4=0에서 (x-1)(x+4)=0 ∴ (x-1)Û`=;4#;
∴ x=1 또는 x=-4
3xÛ`+14x+8=0에서 (x+4)(3x+2)=0 따라서 p=-1, q=;4#;이므로

∴ x=-4 또는 x=-;3@; 4pq=4_(-1)_;4#;=-3

54 III. 이차방정식
14 ③ Ú m=1일 때 y Û

셀파 완전제곱식을 이용하여 이차방정식을 푼다. 2x+y-2=0, 즉 y=-2x+2 y=3x-3

3xÛ`-15x+6=0의 양변을 3으로 나누면 xÛ`-5x+2=0 이 직선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제3사분 O x

xÛ`-5x=-2 면을 지나지 않는다.

}2`=:ª4°:를 더하면 xÛ`-5x+:ª4°:=-2+:ª4°: Û m=-;3@;일 때


-5
양변에 { Ú
2

{x-;2%;}2`=:Á4¦:, x-;2%;=Ñ
y=-2x+2
'¶17 2x-;3@;y-2=0, 즉 y=3x-3
2
이 직선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제3사분면을 지난다.
'¶17 5Ñ'¶17
∴ x=;2%;Ñ = 따라서 조건을 만족하는 상수 m의 값은 1이다.
2 2
2 2
다른 풀이 2x+my-2=0에서 y=- x+
m m
15  -3 이때 원점을 지나지 않는 일차방정식의 그 y

셀파 이차방정식에 근을 대입하여 a의 값을 먼저 구한다. 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제3사분면을


 a의 값 구하기 [30`%] 지나지 않으려면
xÛ`+ax-2=0에 x=2를 대입하면 2Û`+2a-2=0 (기울기)<0, ( y절편)>0이므로
O x
2+2a=0   ∴ a=-1 2 2
- <0, >0   ∴ m>0
m m
 다른 한 근과 b의 값 구하기 [50`%] 2x+my-2=0에 x=mÛ`, y=m-1을
즉 xÛ`-x-2=0에서 (x+1)(x-2)=0이므로 대입하면
x=-1 또는 x=2 2mÛ`+m(m-1)-2=0, 3mÛ`-m-2=0
따라서 xÛ`-x-2=0의 다른 한 근은 x=-1이다. (m-1)(3m+2)=0   ∴ m=1 또는 m=-;3@;
xÛ`+bx-3=0에 x=-1을 대입하면
그런데 m>0이므로 m=1
(-1)Û`+b_(-1)-3=0
-2-b=0   ∴ b=-2

 a+b의 값 구하기 [20`%]


∴ a+b=(-1)+(-2)=-3
18  ⑴ -1 ⑵ 5 ⑶ '¶21 ⑷ -2'¶21
셀파 aÛ`-5a+1=0을 변형한다.

16  ;1Á8; 이차방정식 xÛ`-5x+1=0의 한 근이 x=a이므로


셀파 중근을 가질 조건을 이용하여 a, b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다. aÛ`-5a+1=0
⑴ aÛ`-5a+1=0에서 aÛ`-5a=-1
모든 경우의 수는 6_6=36

xÛ`+2ax+b=0이 중근을 가지려면 b={:ª2:}2`=aÛ`


⑵ a+0이므로 aÛ`-5a+1=0의 양변을 a로 나누면

b=aÛ`을 만족하는 a, b의 순서쌍 (a, b)는 (1, 1), (2, 4)의 2가지 a-5+;Œ!;=0   ∴ a+;Œ!;=5

따라서 구하는 확률은 ;3ª6;=;1Á8; ⑶ {a-;Œ!;}2`={a+;Œ!;}2`-4=5Û`-4=25-4=21


a>1이므로 ;Œ!;<1   ∴ a>;Œ!;
이때 a>;Œ!;이므로 a-;Œ!;='¶21

17 1 ⑷ aÛ`-5a=-1, a-;Œ!;='¶21이므로
셀파 일차방정식이 지나는 점의 좌표를 일차방정식에 대입하여 m의 값을 구한
후 그래프를 그려 본다. (aÛ`-5a-1){a-;Œ!;}=(-1-1)_'¶21=-2'¶21

일차방정식 2x+my-2=0의 그래프가 점 (mÛ`, m-1)을 지나므


로 2mÛ`+m(m-1)-2=0
3mÛ`-m-2=0, (m-1)(3m+2)=0

∴ m=1 또는 m=-;3@;

9. 이차방정식의 풀이 55
정답과 해설

⑷ 3xÛ`+4x-1=0에서 a=3, b'=2, c=-1이므로 근의 공식에


10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과 활용 각각 대입하면

1.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 x=
-2Ñ"Ã2Û`-3_(-1)
3
=
-2Ñ'7
3

따라 풀면 참고 x의 계수가 짝수일 때의 근의 공식을 이용하면 분모, 분자를 약
개념 익히기 본문 | 151, 153 쪽 분하는 과정이 생략되어 계산이 간단해진다.

3Ñ'¶17
1-1  x=
4
2xÛ`-3x-1=0에서 a=2, b=-3, c=-1이므로 근의 공식에 -3Ñ'¶13
각각 대입하면
2-1  ⑴ x=
2
⑵ x=-3 또는 x=5

4Ñ'¶10
-( -3 )Ñ"Ã( -3 )Û`-4_2_(-1) 3Ñ'¶17 ⑶ x=
x= = 2
2_2 4
⑴ (x+2)Û`=x+5에서 괄호를 풀면 xÛ`+4x+4=x+5
xÛ`+3x-1 =0
-3Ñ"Ã3Û`-4_1_(-1) -3Ñ'¶13
∴ x= =
2_1 2

⑵ 0.1xÛ`-0.2x-1.5=0의 양변에 10 을 곱하면


1Ñ'¶21-5Ñ'¶17 xÛ`-2x-15 =0
1-2  ⑴ x=
2
⑵ x=
4 (x+3)(x-5)=0 ∴ x=-3 또는 x= 5
-2Ñ'7
⑶ x=1Ñ'6 ⑷ x=
3 ⑶ ;6!;xÛ`-;3@;x+;4!;=0의 양변에 분모의 최소공배수 12 를 곱하면
⑴ xÛ`-x-5=0에서 a=1, b=-1, c=-5이므로 근의 공식에
2xÛ`-8x+3 =0
각각 대입하면
-(-4)Ñ"Ã(-4)Û`-2_3 4Ñ'¶10
-(-1)Ñ"Ã(-1)Û`-4_1_(-5) 1Ñ'¶21 ∴ x= =
x= = 2 2
2_1 2

⑵ 2xÛ`+5x+1=0에서 a=2, b=5, c=1이므로 근의 공식에 각


각 대입하면
-5Ñ"Ã5Û`-4_2_1 -5Ñ'¶17
2-2  ⑴ x=Ñ2'6 ⑵ x=-3Ñ'¶15
x= = -3Ñ'¶29 -2Ñ'¶19
2_2 4 ⑶ x= ⑷ x=
2 3
⑶ xÛ`-2x-5=0에서 a=1, b=-2, c=-5이므로 근의 공식 2Ñ3'6
⑸ x=-1 또는 x=-;3@; ⑹ x=
에 각각 대입하면 5
⑴ (x+2)(x-2)=20에서 괄호를 풀면 xÛ`-4=20
-(-2)Ñ"Ã(-2)Û`-4_1_(-5) 2Ñ'¶24
x=
2_1
=
2 xÛ`=24 ∴ x=Ñ'¶24=Ñ2'6

=
2Ñ2'6
=1Ñ'6 ⑵ xÛ`+18=6(4-x)에서 괄호를 풀면 xÛ`+18=24-6x
2
xÛ`+6x-6=0
⑷ 3xÛ`+4x-1=0에서 a=3, b=4, c=-1이므로 근의 공식에 -3Ñ"Ã3Û`-1_(-6)
∴ x= =-3Ñ'¶15
각각 대입하면 1
-4Ñ"Ã4Û`-4_3_(-1) -4Ñ'¶28 ⑶ 0.2xÛ`+0.6x-1=0의 양변에 10을 곱하면
x= =
2_3 6 2xÛ`+6x-10=0
-4Ñ2'7 -2Ñ'7
= = -3Ñ"Ã3Û`-2_(-10) -3Ñ'¶29
6 3 ∴ x= =
2 2
x의 계수가 짝수일 때의 근의 공식 이용
⑷ 0.3xÛ`+0.4x=0.5의 양변에 10을 곱하면 3xÛ`+4x=5
다른 풀이

⑶ xÛ`-2x-5=0에서 a=1, b'=-1, c=-5이므로 근의 공식


3xÛ`+4x-5=0
에 각각 대입하면
-2Ñ"Ã2Û`-3_(-5) -2Ñ'¶19
x=-(-1)Ñ"Ã(-1)Û`-1_(-5)=1Ñ'6 ∴ x= =
3 3

56 III. 이차방정식
⑸ ;2!;xÛ`+;6%;x+;3!;=0의 양변에 분모의 최소공배수 6을 곱하면 ⑵ 6을 중근으로 갖고 xÛ`의 계수가 ;2!;인 이차방정식은

3xÛ`+5x+2=0 ;2!;(x- 6 )Û`=0이므로 ;2!;xÛ`- 6 x+18=0


(x+1)(3x+2)=0 ∴ x=-1 또는 x=-;3@;

⑹ ;2!;xÛ`-;5@;x-1=0의 양변에 분모의 최소공배수 10을 곱하면

5xÛ`-4x-10=0

∴ x=
-(-2)Ñ"Ã(-2)Û`-5_(-10)
4-2  ⑴ 2, 5 / 2xÛ`-14x+20=0
5
⑵ 1, 6 / xÛ`+5x-6=0
2Ñ'¶54 2Ñ3'6
=
5
=
5 ⑶ 3, 2 / 3xÛ`+12x+12=0
⑴ 두 근이 2, 5이고 xÛ`의 계수가 2인 이차방정식은
2 (x-2)(x- 5 )=0이므로 2(xÛ`-7x+10)=0
∴ 2xÛ`-14x+20=0
3-1 ⑴2 ⑵0
⑵ 두 근이 1, -6이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⑴ xÛ`-2x-5=0에서 a=1, b=-2, c=-5이므로
(x-1){x-(-6)}=0, 즉 (x- 1 )(x+ 6 )=0이므로
bÛ`-4ac=(-2)Û`-4_1_(-5)=24>0
xÛ`+5x-6=0
따라서 근의 개수는 2 이다.
⑶ -2를 중근으로 갖고 xÛ`의 계수가 3인 이차방정식은
⑵ 2xÛ`+x+5=0에서 a=2, b=1, c=5이므로
3{x-(-2)}Û`=0, 즉 3 (x+ 2 )Û`=0이므로
bÛ`-4ac=1Û`-4_2_5=-39 < 0
3(xÛ`+4x+4)=0 ∴ 3xÛ`+12x+12=0
따라서 근의 개수는 0 이다.

3-2  ⑴ 13, 2 ⑵ 0, 1 ⑶ -4, 0 ⑷ 73, 2


⑴ xÛ`-5x+3=0에서 a=1, b=-5, c=3이므로
bÛ`-4ac=(-5)Û`-4_1_3=13>0
보고 또 보고
따라서 이차방정식 xÛ`-5x+3=0의 근의 개수는 2이다. 유형 익히기- 확인 문제 본문 | 154~159 쪽
⑵ xÛ`+6x+9=0에서 a=1, b=6, c=9이므로
01  1. 6 2. 7
bÛ`-4ac=6Û`-4_1_9=0
셀파 근의 공식을 이용하여 해를 구한 후 주어진 근과 비교한다.
따라서 이차방정식 xÛ`+6x+9=0의 근의 개수는 1이다.
1. 3xÛ`+7x+3=0에서 a=3, b=7, c=3이므로 근의 공식에 각
⑶ xÛ`+2x+2=0에서 a=1, b=2, c=2이므로 각 대입하면
bÛ`-4ac=2Û`-4_1_2=-4<0 -7Ñ"Ã7Û`-4_3_3 -7Ñ'¶13
따라서 이차방정식 xÛ`+2x+2=0의 근의 개수는 0이다. x=
2_3
=
6
A=-7, B=13이므로 A+B=-7+13=6
⑷ x(3x-5)=4에서 3xÛ`-5x-4=0
3xÛ`-5x-4=0에서 a=3, b=-5, c=-4이므로 2. xÛ`+8x+k+1=0에서 a=1, b'=4, c=k+1이므로 근의 공
bÛ`-4ac=(-5)Û`-4_3_(-4)=73>0 식에 각각 대입하면
따라서 이차방정식 x(3x-5)=4의 근의 개수는 2이다. -4Ñ"Ã4Û`-1_(k+1)
x= =-4Ñ'Ä15-k
1
이때 x=-4Ñ2'2이므로 'Ä15-k=2'2='8
15-k=8 ∴ k=7
4-1  ⑴ 4xÛ`-8x-12=0 ⑵ ;2!;xÛ`-6x+18=0
다른 풀이 x=-4Ñ2'2에서 x+4=Ñ2'2
⑴ 두 근이 -1, 3이고 xÛ`의 계수가 4인 이차방정식은 양변을 제곱하면 (x+4)Û`=(Ñ2'2)Û`
4{x-(-1)}(x-3)=0, 즉 4(x+1)( x-3 )=0이므로 xÛ`+8x+16=8 ∴ xÛ`+8x+8=0
4(xÛ`-2x- 3 )=0 ∴ 4xÛ`-8x- 12 =0 k+1=8에서 k=7

10.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과 활용 57


정답과 해설

02  -;2!; 풀고 또 풀고
복잡한 이차방정식의 풀이
집중 연습 본문 | 156 쪽
셀파 곱셈 공식을 이용하여 괄호를 풀고 axÛ`+bx+c=0 꼴로 정리한 후 푼다.

(3x-2)(3x+2)=(x-2)Û`에서 괄호를 풀면 1  ⑴ x=8 또는 x=-3 ⑵ x=-3Ñ2'3


9xÛ`-4=xÛ`-4x+4 1Ñ'¶41 -1Ñ'7
⑶ x= ⑷ x=
8xÛ`+4x-8=0, 2xÛ`+x-2=0 4 2
-5Ñ'¶13
-1Ñ"Ã1Û`-4_2_(-2) -1Ñ'¶17 ⑸ x= ⑹ x=;5!; 또는 x=-1
∴ x= = 6
2_2 4
⑴ xÛ`-5x-24=0에서 a=1, b=-5, c=-24이므로
-1+'¶17 -1-'¶17
따라서 두 근의 합은 + =-;4@;=-;2!; -(-5)Ñ"Ã(-5)Û`-4_1_(-24)
4 4 x=
2_1
-(-5)Ñ'¶121 5Ñ11
= =
2 2
-6
∴ x=:Á2¤: 또는 x= , 즉 x=8 또는 x=-3
2
-13Ñ'¶61 3Ñ'¶57
03  ⑴ x=
6
⑵ x=
12 ⑵ xÛ`+6x-3=0에서 a=1, b'=;2^;=3, c=-3이므로
셀파 양변에 같은 수를 곱하여 계수를 정수로 바꾼다. x=-3Ñ"Ã3Û`-1_(-3)=-3Ñ'¶12=-3Ñ2'3
⑴ 0.15xÛ`+0.65x+0.45=0의 양변에 100을 곱하면 ⑶ 2xÛ`-x-5=0에서 a=2, b=-1, c=-5이므로
15xÛ`+65x+45=0이고 양변을 5로 나누면 -(-1)Ñ"Ã(-1)Û`-4_2_(-5) 1Ñ'¶41
3xÛ`+13x+9=0 x=
2_2
=
4
-13Ñ"Ã13Û`-4_3_9 -13Ñ'¶61
∴ x=
2_3
=
6 ⑷ 2xÛ`+2x-3=0에서 a=2, b'=;2@;=1, c=-3이므로
-1Ñ"Ã1Û`-2_(-3) -1Ñ'7
⑵ ;2#;xÛ`-;4#;x-;2!;=0의 양변에 4를 곱하면 x= =
2 2
6xÛ`-3x-2=0 ⑸ 3xÛ`+5x=-1에서 3xÛ`+5x+1=0
3Ñ'¶57
3xÛ`+5x+1=0에서 a=3, b=5, c=1이므로
-(-3)Ñ"Ã(-3)Û`-4_6_(-2)
∴ x= =
2_6 12
-5Ñ"Ã5Û`-4_3_1 -5Ñ'¶13
x= =
2_3 6
⑹ 5xÛ`=1-4x에서 5xÛ`+4x-1=0

5xÛ`+4x-1=0에서 a=5, b'=;2$;=2, c=-1이므로


04  ⑴ x=-4 또는 x=4 ⑵ x=0 또는 x=1
-2Ñ"Ã2Û`-5_(-1) -2Ñ'9 -2Ñ3
셀파 ⑴ x+1=A로 놓는다. ⑵ 2x+1=A로 놓는다. x= = =
5 5 5
⑴ (x+1)Û`-2(x+1)-15=0에서 x+1=A로 놓으면
∴ x=;5!; 또는 x=-1
AÛ`-2A-15=0
(A+3)(A-5)=0 ∴ A=-3 또는 A=5
x+1=-3 또는 x+1=5 -1Ñ'¶22
∴ x=-4 또는 x=4
2  ⑴ x=2Ñ'7 ⑵ x=
3
-5Ñ'¶10
⑶ x= ⑷ x=5
오답 피하기 3
A=-3 또는 A=5를 구하고, x=-3 또는 x=5라고 답하지 않는다. -4Ñ'¶26 4Ñ'¶37
⑸ x= ⑹ x=
치환을 이용하여 문제를 풀었을 때는 원래 구하고자 한 값을 다시 구해야 2 3
한다. -1Ñ'¶41 -9Ñ3'¶13
⑺ x= ⑻ x=
4 2
⑵ (2x+1)Û`-4(2x+1)+3=0에서 2x+1=A로 놓으면
⑼ x=5 또는 x=-;3@; ⑽ x=3 또는 x=-;2!;
AÛ`-4A+3=0
(A-1)(A-3)=0 ∴ A=1 또는 A=3 ⑴ (x-1)Û`=2x+4에서 괄호를 풀면 xÛ`-2x+1=2x+4

2x+1=1 또는 2x+1=3 xÛ`-4x-3=0


2x=0 2x=2 -(-2)Ñ"Ã(-2)Û`-1_(-3)
∴ x=0 또는 x=1 ∴ x= =2Ñ'7
1

58 III. 이차방정식
⑵ (x+3)(x-1)=4-2xÛ`에서 괄호를 풀면  ⑴ x=-3 ⑵ x=-5 또는 x=-;3%;
3
xÛ`+2x-3=4-2xÛ`, 3xÛ`+2x-7=0
-1Ñ"Ã1Û`-3_(-7) -1Ñ'¶22 ⑶ x=7 또는 x=:Á5¤: ⑷ x=;3$; 또는 x=;6!;
∴ x= =
3 3 ⑴ (x+5)Û`-4(x+5)+4=0에서 x+5=A로 놓으면
⑶ 0.3xÛ`+x+0.5=0의 양변에 10을 곱하면 AÛ`-4A+4=0, (A-2)Û`=0
3xÛ`+10x+5=0 ∴ A=2
-5Ñ"Ã5Û`-3_5 -5Ñ'¶10 x+5=2이므로 x=-3
∴ x= =
3 3
⑵ 3(x+2)Û`+8(x+2)-3=0에서 x+2=A로 놓으면
⑷ 0.01xÛ`-0.1x+0.25=0의 양변에 100을 곱하면 3AÛ`+8A-3=0, (A+3)(3A-1)=0
xÛ`-10x+25=0
∴ A=-3 또는 A=;3!;
(x-5)Û`=0   ∴ x=5
x+2=-3 또는 x+2=;3!;이므로 x=-5 또는 x=-;3%;
⑸ ;4!;xÛ`+x-;8%;=0의 양변에 분모의 최소공배수 8을 곱하면
⑶ 5(x-3)Û`-21(x-3)+4=0에서 x-3=A로 놓으면
2xÛ`+8x-5=0
5AÛ`-21A+4=0, (A-4)(5A-1)=0
-4Ñ"Ã4Û`-2_(-5) -4Ñ'¶26
∴ x= =
2 2 ∴ A=4 또는 A=;5!;

⑹ ;2!;xÛ`-;3$;x-;6&;=0의 양변에 분모의 최소공배수 6을 곱하면 x-3=4 또는 x-3=;5!;이므로 x=7 또는 x=:Á5¤:

3xÛ`-8x-7=0
(3x-2)Û` 3x-2
-(-4)Ñ"Ã(-4)Û`-3_(-7) 4Ñ'¶37 ⑷ - -1=0에서 3x-2=A로 놓으면
∴ x= = 3 6
3 3 AÛ` A
- -1=0
3 6
xÛ`-x
⑺ 0.6xÛ`- =1의 양변에 5를 곱하면 양변에 분모의 최소공배수 6을 곱하면
5
3xÛ`-(xÛ`-x)=5 2AÛ`-A-6=0, (A-2)(2A+3)=0
2xÛ`+x-5=0 ∴ A=2 또는 A=-;2#;
-1Ñ"Ã1Û`-4_2_(-5) -1Ñ'¶41
∴ x= = 3x-2=2 또는 3x-2=-;2#;이므로 3x=4 또는 3x=;2!;
2_2 4

⑻ ;6!;xÛ`+;2#;x=1.5의 양변에 6을 곱하면 xÛ`+9x=9 ∴ x=;3$; 또는 x=;6!;

xÛ`+9x-9=0
-9Ñ"Ã9Û`-4_1_(-9)
∴ x=
2_1
-9Ñ'¶117 -9Ñ3'¶13
= =
2 2

(x+2)(x+5) x(2x-3)
⑼ = 의 양변에 4를 곱하면 05  ①, ⑤
4 2
(x+2)(x+5)=2x(2x-3) 셀파 이차방정식 axÛ`+bx+c=0에서 bÛ`-4ac<0이면 근이 없다.
xÛ`+7x+10=4xÛ`-6x, 3xÛ`-13x-10=0 ① xÛ`+1=0에서 0Û`-4_1_1=-4<0이므로 근이 없다.
(x-5)(3x+2)=0   ∴ x=5 또는 x=-;3@; ② xÛ`-8x=0에서 (-8)Û`-4_1_0=64>0이므로 서로 다른
두 근을 가진다.

x(x+1)
+
7-x
=0.3(xÛ``-x)+1.6의 양변에 20을 곱하면 ③ xÛ`-4x+4=0에서 (-4)Û`-4_1_4=0이므로 중근을 가진
5 4
다.
4x(x+1)+5(7-x)=6(xÛ`-x)+32
④ 2xÛ`-4x-2=0에서 (-4)Û`-4_2_(-2)=32>0이므로
4xÛ`+4x+35-5x=6xÛ`-6x+32
서로 다른 두 근을 가진다.
2xÛ`-5x-3=0, (x-3)(2x+1)=0
⑤ xÛ`+2x+3=0에서 2Û`-4_1_3=-8<0이므로 근이 없다.
∴ x=3 또는 x=-;2!; 따라서 근이 없는 이차방정식은 ①, ⑤이다.

10.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과 활용 59


정답과 해설

06 6 09  ⑴ 4-'2 ⑵ a=-8, b=14


셀파 이차방정식 axÛ`+bx+c=0이 중근을 가질 조건 bÛ`-4ac=0을 이용한 셀파 계수가 유리수인 이차방정식에서 한 근이 p+q'¶m이면 다른 한 근은
다. p-q'¶m이다. (단, p, q는 유리수, '¶m은 무리수)

이차방정식 xÛ`-(k+1)x+2k-1=0이 중근을 가지려면 ⑴ 이차방정식 xÛ`+ax+b=0은 계수가 모두 유리수이고,


{-(k+1)}Û`-4_1_(2k-1)=0 한 근이 4+'2이므로 다른 한 근은 4-'2이다.
kÛ`+2k+1-8k+4=0, kÛ`-6k+5=0 ⑵ 두 근이 4+'2, 4-'2이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k-1)(k-5)=0   ∴ k=1 또는 k=5 {x-(4+'2)}{x-(4-'2)}=0, xÛ`-8x+14=0
따라서 모든 상수 k의 값의 합은 1+5=6 ∴ a=-8, b=14

다른 풀이 ⑵ 이차방정식 xÛ`+ax+b=0의 한 근이 4+'2이므로


x=4+'2
x-4='2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x-4)Û`=('2)Û`
xÛ`-8x+16=2, xÛ`-8x+14=0
∴ a=-8, b=14
07  1. k>12 2. -2Ék<2 또는 k>2
셀파 이차방정식 axÛ`+bx+c=0이
•서로 다른 두 근을 가지면 bÛ`-4ac>0
•중근을 가지면 bÛ`-4ac=0
•근이 없으면 bÛ`-4ac<0

1. 이차방정식 xÛ`-6x-3+k=0의 근이 없으려면


(-6)Û`-4_1_(-3+k)<0 10  x=-6 또는 x=2
36+12-4k<0, -4k<-48 셀파 두 근 -3, 4를 이용하여 상수항을, 두 근 -7, 3을 이용하여 x의 계수를
∴ k>12 구한다.

-3, 4를 두 근으로 하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2. 이차방정식 (k-2)xÛ`+4x-1=0이 근을 가지려면
(x+3)(x-4)=0   ∴ xÛ`-x-12=0
4Û`-4_(k-2)_(-1)¾0
이때 용민이는 상수항은 제대로 보았으므로 처음 이차방정식의 상
16+4k-8¾0, 4k¾-8
수항은 -12이다.
∴ k¾-2
-7, 3을 두 근으로 하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그런데 k+2이므로 -2Ék<2 또는 k>2
(xÛ`의 계수)+0 (x+7)(x-3)=0   ∴ xÛ`+4x-21=0
이때 희진이는 x의 계수는 제대로 보았으므로 처음 이차방정식의
x의 계수는 4이다.
따라서 처음 이차방정식은 xÛ`+4x-12=0이므로
(x+6)(x-2)=0에서 x=-6 또는 x=2
08  1. a=-2, b=-1 2. 16
셀파 xÛ`의 계수가 a이고 두 근이 a, b인 이차방정식은 a(x-a)(x-b)=0

1. xÛ`의 계수가 3이고 두 근이 1, -;3!;인 이차방정식은

3(x-1){x+;3!;}=0, 3{xÛ`-;3@;x-;3!;}=0

∴ 3xÛ`-2x-1=0
∴ a=-2, b=-1

2. xÛ`의 계수가 9이고 중근이 x=-;3@;인 이차방정식은

9[x-{-;3@;}]Û`=0, 즉 9{x+;3@;}Û`=0

9{xÛ`+;3$;x+;9$;}=0   ∴ 9xÛ`+12x+4=0

따라서 a=12, b=4이므로 a+b=16

60 III. 이차방정식
2. 이차방정식의 활용 보고 또 보고

유형 익히기- 확인 문제 본문 | 162~164 쪽

따라 풀면

개념 익히기 본문 | 161 쪽 01 10, 12, 14


셀파 연속하는 세 짝수를 x-2, x, x+2로 놓고, 방정식을 세운다.
1-1 6, 7
연속하는 세 짝수를 x-2, x, x+2라 하면 (단, x-2>0)
x>2

연속하는 두 자연수 중 작은 수를 x라 하면 큰 수는 x+1 이다.


(가장 큰 짝수의 제곱)=(나머지 두 짝수의 제곱의 합)-48이므로
3_(작은 수의 제곱)=2_(큰 수의 제곱)+10이므로
(x+2)Û`=(x-2)Û`+xÛ`-48
3xÛ`=2( x+1 )Û`+10
xÛ`+4x+4=xÛ`-4x+4+xÛ`-48
괄호를 풀고 정리하면 xÛ`-4x- 12 =0
xÛ`-8x-48=0, (x+4)(x-12)=0
(x+ 2 )(x-6)=0 ∴ x= -2 또는 x=6
∴ x=-4 또는 x=12
그런데 x는 자연수이므로 x=6
그런데 x는 x>2인 자연수이므로 x=12
따라서 두 자연수는 6, 7이다.
따라서 조건을 만족하는 세 짝수는 10, 12, 14이다.

1-2 ⑴ xÛ`+(x+1)Û`=145 ⑵ x=-9 또는 x=8 ⑶ 8, 9 02 십삼각형


⑴ 연속하는 두 자연수 중 작은 수가 x이므로 큰 수는 x+1이다. n(n-3)
셀파 이차방정식 =65를 푼다.
연속하는 두 자연수를 각각 제곱한 합이 145이므로 2

xÛ`+(x+1)Û`=145 n(n-3)
=65에서 nÛ`-3n-130=0
⑵ xÛ`+(x+1)Û`=145에서 xÛ`+xÛ`+2x+1=145 2
(n+10)(n-13)=0
2xÛ`+2x-144=0, xÛ`+x-72=0
∴ n=-10 또는 n=13
(x+9)(x-8)=0 ∴ x=-9 또는 x=8
그런데 n은 자연수이므로 n=13
⑶ x는 자연수이므로 x=8
따라서 구하는 다각형은 십삼각형이다.
따라서 구하는 두 자연수는 8, 9이다.

03 14권
2-1 6`cm 셀파 반 학생 수를 x명이라 하고, 전체 공책 수는 일정하다는 것을 이용하여 방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를 x`cm라 하면 정식을 세운다.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2_{(가로의 길이)+(세로의 길이)} 반 학생 수를 x명이라 하면 한 학생이 받는 공책은 (x-3)권이다.
이므로 20=2_{x+(세로의 길이)} 이때 (학생 수)_(한 학생이 받는 공책 수)=(전체 공책 수)이므로
x+(세로의 길이)=10 ∴ (세로의 길이)=( 10-x )`cm x(x-3)=238
이때 직사각형의 넓이가 24`cmÛ`이므로 x( 10-x )=24 xÛ`-3x-238=0, (x+14)(x-17)=0
xÛ`- 10 x+24=0, (x- 4 )(x-6)=0 ∴ x=-14 또는 x=17
∴ x= 4 또는 x=6 그런데 학생 수는 자연수이므로 x=17
따라서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더 길다고 했으므로 직사각 따라서 한 학생이 받는 공책 수는
형의 가로의 길이는 6`cm이다. x-3=17-3=14(권)

2-2 ⑴ x(x+5)=84 ⑵ x=-12 또는 x=7 ⑶ 12 04 8초 후


⑴ 가로의 길이가 x이면 세로의 길이는 x+5이고 셀파 지면에 떨어졌을 때 물 로켓의 높이는 0`m이다.

직사각형의 넓이가 84이므로 x(x+5)=84 물 로켓이 지면에 떨어졌을 때 물 로켓의 높이는 0`m이므로
⑵ x(x+5)=84에서 xÛ`+5x=84 80+30t-5tÛ`=0
xÛ`+5x-84=0, (x+12)(x-7)=0 tÛ`-6t-16=0, (t+2)(t-8)=0
∴ x=-12 또는 x=7 ∴ t=-2 또는 t=8
⑶ x는 양수이므로 x=7 그런데 t>0이므로 t=8
따라서 직사각형의 세로의 길이는 7+5=12 따라서 물 로켓이 지면에 떨어지는 것은 쏘아 올린 지 8초 후이다.

10.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과 활용 61


정답과 해설

05  9`cm 실력 키우기 본문 | 165~167 쪽


셀파 처음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를 x`cm라 하면 세로의 길이는 (x-6)`cm
이다. 01 ④

처음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를 x`cm라 하면 셀파 완전제곱식을 이용한 이차방정식의 풀이 방법으로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


식을 유도한다.
세로의 길이는 (x-6)`cm이다.
x-6>0이므로 x>6
이차방정식 axÛ`+bx+c=0의 양변을 a로 나누면
이때 변화된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는 (x-4)`cm,
세로의 길이는 2(x-6)`cm이고 xÛ`+;aB;x+;aC;=0

변화된 직사각형의 넓이가 처음 직사각형의 넓이보다 3`cmÛ`만큼 상수항을 우변으로 이항하면 xÛ`+;aB;x=-;aC;
늘어났으므로
좌변을 완전제곱식으로 고치면
(x-4)_2(x-6)=x(x-6)+3
2(xÛ`-10x+24)=xÛ`-6x+3, xÛ`-14x+45=0 xÛ`+;aB;x+{;2Ãõa;}Û`=-;aC;+{;2Ãõa;}Û`

{x+;2Ãõa;}Û`=
(x-5)(x-9)=0 ∴ x=5 또는 x=9 bÛ`-4ac
그런데 x>6이므로 x=9 4aÛ`
따라서 처음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는 9`cm이다. x+;2Ãõa;=Ñ;2Áa;_"ÃbÛ`-4ac (단, bÛ`-4ac¾0)

-bÑ"ÃbÛ`-4ac
∴ x=
2a
따라서 알맞지 않은 것은 ④이다.

06  10`m
셀파 꽃밭의 세로의 길이를 x`m, 가로의 길이를 2x`m로 놓을 수 있다.

꽃밭의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 2x`m

이의 비가 2:1이므로 꽃밭의 세 02 ②
x`m
로의 길이를 x`m, 가로의 길이를 셀파 x의 계수가 짝수인 근의 공식을 이용하여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해를 구하
2`m
2x`m라 하자. 여 비교한다.

길을 제외한 꽃밭의 넓이는 가로의 길이가 2x`m, 세로의 길이가 3xÛ`-4x+a=0에서


(x-2)`m인 직사각형의 넓이와 같으므로 2x(x-2)=30 -(-2)Ñ"Ã(-2)Û`-3_a 2Ñ"Ã4-3a
x= =
x(x-2)=15, xÛ`-2x-15=0 3 3
bÑ'¶19
(x+3)(x-5)=0 ∴ x=-3 또는 x=5 이때 x= 이므로 b=2, 4-3a=19
3
그런데 x>0, x-2>0에서 x>2이므로 x=5
4-3a=19에서 -3a=15 ∴ a=-5
따라서 꽃밭의 가로의 길이는 10`m이다.
∴ a+b=-5+2=-3
LECTURE 도로를 제외한 땅의 넓이

다음 도형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서로 같다.


① x
=
 '¶14
x
03
② x x x
셀파 곱셈 공식을 이용하여 괄호를 풀고 axÛ`+bx+c=0 꼴로 정리한 후 푼다.
x =x = 6xÛ`-3+4x=8(x-1)(x+1)에서 6xÛ`-3+4x=8(xÛ`-1)
x 6xÛ`-3+4x=8xÛ`-8, 2xÛ`-4x-5=0
-(-2)Ñ"Ã(-2)Û`-2_(-5) 2Ñ'¶14
∴ x= =
2 2
2+'¶14
따라서 a= 이므로
2
2+'¶14
2a-2=2_ -2=2+'¶14-2='¶14
2

62 III. 이차방정식
04  A=1, B=7 ② 2xÛ`-5x+1=0에서 (-5)Û`-4_2_1=17>0이므로
셀파 이차방정식의 계수를 정수로 만든다. 근의 개수는 2이다.
③ xÛ`-4x-1=0에서 (-4)Û`-4_1_(-1)=20>0이므로
xÛ` xÛ`-x-2
이차방정식 - =;1£0;x+0.8의 양변에 10을 곱하면 근의 개수는 2이다.
5 2
2xÛ`-5(xÛ`-x-2)=3x+8 ④ xÛ`+6x+5=0에서 6Û`-4_1_5=16>0이므로
2xÛ`-5xÛ`+5x+10=3x+8 근의 개수는 2이다.
3xÛ`-2x-2=0 ⑤ 9xÛ`-6x+1=0에서 (-6)Û`-4_9_1=0이므로
-(-1)Ñ"Ã(-1)Û`-3_(-2) 1Ñ'7 근의 개수는 1이다.
∴ x= =
3 3 따라서 근의 개수가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⑤이다.
AÑ'¶B
이때 x= 이므로 A=1, B=7
3

05  ;2&; 08  x=1 또는 x=-;7%;

셀파 x+;2!;=A로 놓고, 이차방정식을 푼다. 셀파 이차방정식 axÛ`+bx+c=0에서 bÛ`-4ac=0이면 중근을 가진다.

이차방정식 xÛ`-8x+k=0이 중근을 가지므로


 공통부분을 A로 놓고, A의 값 구하기 [50 %]
(-8)Û`-4_1_k=0
이차방정식 2{x+;2!;}Û`-5{x+;2!;}-3=0에서
64-4k=0   ∴ k=16
x+;2!;=A로 놓으면 2AÛ`-5A-3=0 이차방정식 (16-9)xÛ`-2x=16-11, 즉 7xÛ`-2x-5=0을 풀
(A-3)(2A+1)=0   ∴ A=3 또는 A=-;2!; 면 (x-1)(7x+5)=0

∴ x=1 또는 x=-;7%;
 x의 값 구하기 [30 %]

즉 x+;2!;=3 또는 x+;2!;=-;2!;

∴ x=;2%; 또는 x=-1
09  kÉ-1
 a-b의 값 구하기 [20 %] 셀파 이차방정식 axÛ`+bx+c=0이 근을 가질 조건은 bÛ`-4ac¾0

이때 a>b이므로 a=;2%;, b=-1 이차방정식 xÛ`-2x+2+k=0이 근을 가지려면


(-2)Û`-4_1_(2+k)¾0
∴ a-b=;2%;-(-1)=;2&;
-4-4k¾0, -4k¾4
∴ kÉ-1

06 4
셀파 x-y=A로 놓고, 이차방정식을 푼다.

(x-y)(x-y-1)=12에서 x-y=A로 놓으면


10  3xÛ`+21x+30=0
A(A-1)=12, AÛ`-A-12=0
셀파 이차방정식 xÛ`+5x+4=0의 두 근 a, b를 먼저 구한다.
(A+3)(A-4)=0   ∴ A=-3 또는 A=4
즉 x-y=-3 또는 x-y=4  a, b의 값 각각 구하기 [50 %]

그런데 x>y이므로 x-y>0 xÛ`+5x+4=0에서 (x+1)(x+4)=0이므로


∴ x-y=4 x=-1 또는 x=-4
∴ a=-4, b=-1 (∵ a<b)

 a-1, b-1을 두 근으로 하고 xÛ`의 계수가 3인 이차방정식 구하기 [50 %]


07 ⑤
따라서 a-1=-5, b-1=-2이므로 -5, -2를 두 근으로 하고
셀파 이차방정식 axÛ`+bx+c=0에서 bÛ`-4ac의 부호를 조사한다.
xÛ`의 계수가 3인 이차방정식은
① 2xÛ`-1=0에서 0Û`-4_2_(-1)=8>0이므로 3(x+5)(x+2)=0, 3(xÛ`+7x+10)=0
근의 개수는 2이다. ∴ 3xÛ`+21x+30=0

10.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과 활용 63


정답과 해설

11  3-2'2 15  10세
1 셀파 동생의 나이를 x세라 하면 형의 나이는 (x+4)세이다.
셀파  의 분모를 유리화한다.
3-2'2
형과 동생의 나이의 차가 4세이므로 동생의 나이를 x세라 하면 형
1 3+2'2 3+2'2
= = =3+2'2 의 나이는 (x+4)세이다.
3-2'2 (3-2'2)(3+2'2) 9-8
즉 이차방정식 xÛ`+mx+n=0의 계수가 모두 유리수이고, 동생의 나이의 제곱의 2배는 형의 나이의 제곱보다 4세만큼 더 많

한 근이 3+2'2이므로 다른 한 근은 3-2'2이다. 으므로 2xÛ`=(x+4)Û`+4


2xÛ`=xÛ`+8x+20, xÛ`-8x-20=0
(x+2)(x-10)=0   ∴ x=-2 또는 x=10
12  x=-4 또는 x=2
그런데 x>0이므로 x=10
셀파 잘못 본 이차방정식을 각각 구하여 x의 계수와 상수항을 구한다.
따라서 동생의 나이는 10세이다.
 a의 값 구하기 [35 %]
-3, 1을 두 근으로 하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x+3)(x-1)=0    ∴ xÛ`+2x-3=0
이때 지훈이는 x의 계수는 제대로 보았으므로 처음 이차방정식의 16  4초
x의 계수는 2이다.   ∴ a=2 셀파 물체의 높이가 160`m가 되는 것은 몇 초 후인지 구한다.

 b의 값 구하기 [35 %] 쏘아 올린 물체의 t초 후의 높이가 (60t-5tÛ`)`m이므로


-2, 4를 두 근으로 하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물체의 높이가 160`m일 때, t의 값을 구하면
(x+2)(x-4)=0    ∴ xÛ`-2x-8=0 60t-5tÛ`=160
이때 유리는 상수항은 제대로 보았으므로 처음 이차방정식의 상수 tÛ`-12t+32=0 4초 8초
항은 -8이다.   ∴ b=-8 (t-4)(t-8)=0
∴ t=4 또는 t=8
 xÛ`+ax+b=0의 해 구하기 [30 %] 160`m
따라서 처음 이차방정식은 xÛ`+2x-8=0
즉 이 물체가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160`m인 지점을 지날 때는 쏘아 올린
(x+4)(x-2)=0   ∴ x=-4 또는 x=2
지 4초 후 또는 8초 후이다.
따라서 물체가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160`m 이상인 지점을 지나는
13 3 것은 8-4=4(초) 동안이다.
셀파 기호의 뜻에 맞게 이차방정식을 세운다.

a★b=ab+a+b이므로
(x-2)★(x+1)=(x-2)(x+1)+x-2+x+1
=xÛ`-x-2+x-2+x+1 17  ⑴ -2xÛ`+40x ⑵ 8`cm 또는 12`cm
=xÛ`+x-3 셀파 빗금 친 부분이 직사각형임을 이용하여 이차방정식을 세운다.

∴ xÛ`+x-3=4x+1, 즉 xÛ`-3x-4=0  빗금 친 부분의 넓이를 x에 대한 이차식으로 나타내기 [40 %]


(x+1)(x-4)=0   ∴ x=-1 또는 x=4 ⑴ 물받이의 높이를 x`cm(x>0)
따라서 모든 실수 x의 값의 합은 -1+4=3 라 하면 빗금 친 부분의 가로의
길이는 (40-2x)`cm,

14  28 세로의 길이는 x`cm이므로


x cm x cm
넓이는 (40-2x) cm
셀파 연속하는 두 홀수를 x, x+2로 놓는다.
(40-2x)_x=-2xÛ`+40x
연속하는 두 홀수를 x, x+2라 하면 (단, x>0 )
두 홀수의 제곱의 합이 394이므로 xÛ`+(x+2)Û`=394  물받이의 높이 구하기 [60 %]
xÛ`+xÛ`+4x+4=394, 2xÛ`+4x-390=0 ⑵ -2xÛ`+40x=192에서 2xÛ`-40x+192=0
xÛ`+2x-195=0, (x-13)(x+15)=0 xÛ`-20x+96=0, (x-8)(x-12)=0
∴ x=13 또는 x=-15 ∴ x=8 또는 x=12
이때 x>0이므로 x=13 이때 40-2x>0에서 x<20이므로 0<x<20
따라서 연속하는 두 홀수는 13, 15이므로 그 합은 28이다. 따라서 물받이의 높이는 8`cm 또는 12`cm이다.

64 III. 이차방정식
18  x=1, a=7
셀파 세로에 있는 세 식의 합과 대각선에 있는 세 식의 합이 같음을 이용하여 x IV. 이차함수
의 값을 먼저 구한다.

오른쪽 표에서 가로, 세로, 대각선에 있 15 a


는 세 수의 합이 모두 같으므로 xÛ` 2x+7 11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
15+xÛ`+11=15+(2x+7)+3 3
1. 이차함수
11
xÛ`+26=2x+25, xÛ`-2x+1=0
(x-1)Û`=0 ∴ x=1 따라 풀면

따라서 세로에 있는 세 수의 합은 15+1Û`+11=27이므로 개념 익히기 본문 | 171 쪽


대각선에 있는 세 수의 합은 a+(2_1+7)+11=27
즉 a+9+11=27 ∴ a=7 1-1  ⑵, ⑷
⑴ y=(x에 대한 일차식)이므로 y는 x에 대한 일차함수이다.

⑵ y=(x에 대한 이차식 )이므로 y는 x에 대한 이차함수이다.

19  4초 후 또는 6초 후 ⑶ y=xÛ`-(x+xÛ`)=xÛ`-x-xÛ`=-x, 즉 y= -x
셀파 x초 동안 점 P는 3x`cm 움직이고 점 Q는 2x`cm 움직인다. ⇨ y는 x에 대한 일차함수 이다.
점 P가 1초에 3`cm씩 이동하므 A 3x`cm P D
⑷ y=(x+1)(x+2)=xÛ`+3x+2, 즉 y= xÛ`+3x+2
로 x초 동안 이동한 거리는 2x`cm
⇨ y는 x에 대한 이차함수 이다.
20`cm Q
3x`cm이다. 즉 APÓ=3x`cm
또 점 Q가 1초에 2`cm씩 이동하
B 30`cm C
므로 x초 동안 이동한 거리는
2x`cm이다. 즉 DQÓ=2x`cm
1-2 ⑴◯ ⑵_ ⑶_ ⑷_
이때 △PQD=;2!;_PDÓ_DQÓ이고 xÛ`
⑴ y=- +5=-;3!;xÛ`+5 ⇨ y는 x에 대한 이차함수이다.
3
x초 후에 △PQD의 넓이가 72`cmÛ`가 되므로

72=;2!;_(30-3x)_2x ⑵ y= 1 +2에서 xÛ`이 분모에 있으므로 이차함수가 아니다.


xÛ`
3xÛ`-30x+72=0, xÛ`-10x+24=0
⑶ y=x(x-2)-xÛ`=xÛ`-2x-xÛ`=-2x, 즉 y=-2x
(x-4)(x-6)=0 ∴ x=4 또는 x=6
⇨ y는 x에 대한 일차함수이다.
따라서 두 점 P, Q가 동시에 출발한 지 4초 후 또는 6초 후에 삼각
형 PQD의 넓이가 72`cmÛ`가 된다. ⑷ y=-2xÜ`-3에서 우변의 최고차항이 xÜ`항이므로 이차함수가
아니다.

20  ⑴ (x-6)자
⑵ 큰 정사각형: 18자, 작은 정사각형: 12자
셀파 작은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x-6)자이다. 2-1  ⑴ 2 ⑵ 17
⑴ f(1)=3_ 1 Û`-2_ 1 +1=3-2+1= 2
⑴ 큰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x자이면
큰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작은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보 ⑵ f(-2)=3_( -2 )Û`-2_( -2 )+1=12+4+1= 17
다 6자만큼 길므로 작은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x-6)자
이다.
⑵ 두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이 468평방자이므로
xÛ`+(x-6)Û`=468, xÛ`-6x-216=0
2-2  ⑴ 7 ⑵ 12 ⑶ 19
(x+12)(x-18)=0 ∴ x=-12 또는 x=18 ⑴ f(2)=2_2Û`+2-3=8+2-3=7
그런데 x>0이므로 x=18
⑵ f(-3)=2_(-3)Û`+(-3)-3=18-3-3=12
따라서 큰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18자이고, 작은 정사각형
의 한 변의 길이는 18-6=12(자)이다. ⑶ f(2)+f(-3)=7+12=19

11.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 65


정답과 해설

보고 또 보고 2. ⑴ f(x)=-2xÛ`+x-k에서 f(3)=-12이므로
유형 익히기- 확인 문제 본문 | 172~173 쪽 f(3)=-2_3Û`+3-k=-12
-15-k=-12 ∴ k=-3
01  1. ③, ⑤ 2. ④
⑵ f(x)=-2xÛ`+x+3이므로
셀파 x와 y 사이의 관계식이 y=axÛ`+bx+c(a+0) 꼴이면 y는 x에 대한 이
차함수이다.
f(-1)=-2_(-1)Û`+(-1)+3=0

1
1. ① y= ⇨ xÛ`이 분모에 있으므로 이차함수가 아니다.
xÛ`
② y=x(x+1)-xÛ`=x ⇨ y는 x에 대한 일차함수이다.
(x-1)Û`
③ y=- =-;4!;xÛ`+;2!;x-;4!;
4
⇨ y는 x에 대한 이차함수이다.

④ y=2(x+2)Û`-xÜ`=-xÜ`+2xÛ`+8x+8
⇨ 우변의 최고차항이 xÜ`항이므로 이차함수가 아니다.
2.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
⑤ y=-{x-;2!;}2`-1=-xÛ`+x-;4%;

따라 풀면
⇨ y는 x에 대한 이차함수이다. 개념 익히기 본문 | 175, 177 쪽
따라서 y가 x에 대한 이차함수인 것은 ③, ⑤이다.
1-1  ㉠, ㉢
2. ① y=300x ⇨ y는 x에 대한 일차함수이다. ㉠ y=xÛ`에 x=-1을 대입하면 y=(-1)Û`= 1 이므로
② (원의 둘레의 길이)=2p_(반지름의 길이)이므로 점 (-1, 1)을 지난다.
y=2px ⇨ y는 x에 대한 일차함수이다. ㉡ 원점을 지나고 아래 로 볼록한 곡선이므로 제1사분면, 제 2 사
③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 분면을 지난다.
=2_{(가로의 길이)+(세로의 길이)}이므로 실제로 이차함수 y=xÛ`의 그래프를 그려 보 y y=xÛ
y=2{x+(x+1)}=4x+2 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제1사분면, 2사분면
⇨ y는 x에 대한 일차함수이다. 을 지나고 제3사분면, 제4사분면은 지나지
④ (삼각형의 넓이)=;2!;_(밑변의 길이)_(높이)이므로 않는다. O x
㉢ x의 값이 1에서 3까지 증가할 때, y의 값은 1
y=;2!;_x_2x=xÛ` ⇨ y는 x에 대한 이차함수이다. 에서 9 까지 증가 한다.
(거리) 700 따라서 옳은 것은 ㉠, ㉢이다.
⑤ (시간)= 이므로 y=
(속력) x
⇨ y는 x에 대한 이차함수가 아니다.
따라서 y가 x에 대한 이차함수인 것은 ④이다.
1-2  ⑴ 아래 ⑵ y축 ⑶ 감소 ⑷ 증가
이차함수 y=xÛ`의 그래프는
02 ⑤ ⑴ 원점을 지나고 아래로 볼록한 곡선이다.
셀파 y=axÛ`+bx+c 꼴로 정리한 후 a+0일 조건을 구한다. ⑵ y축에 대칭이다.
y=3xÛ`-kx(x-1)+2=(3-k)xÛ`+kx+2 ⑶ x<0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은 감소한다.
이 식이 x에 대한 이차함수가 되려면 3-k+0 ∴ k+3 ⑷ x>0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은 증가한다.

03  1. 4 2. ⑴ -3 ⑵ 0
2-1  풀이 참조
셀파 1. f(x)=-xÛ`+4x+6에 x 대신 2, 0을 각각 대입한다.
x의 값이 -3, -2, -1, 0, 1, 2, 3일 때, y의 값을 구하면 다음 표
2. f(3)=-12를 이용하여 상수 k의 값을 먼저 구한다.
와 같다.
1. f(2)=-2Û`+4_2+6=10
f(0)=-0Û`+4_0+6=6 x -3 -2 -1 0 1 2 3

∴ f(2)-f(0)=10-6=4 y -9 -4 -1 0 -1 -4 -9

66 IV. 이차함수
위의 표에서 얻어지는 순서쌍 (x, y)를
O
y
4-1  ⑴ ㉠, ㉣, ㉥ ⑵ ㉥ ⑶ ㉠, ㉤
좌표로 하는 점을 좌표평면 위에 나타 -4 -2 2 4x y=axÛ`에서
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2 ⑴ 아래로 볼록한 그래프는 a > 0이므로 아래로 볼록한 그래프는
따라서 x의 값이 실수일 때, 이차함수 -4 ㉠ y=;2!;xÛ`, ㉣ y=3xÛ`, ㉥ y=4xÛ`
y=-xÛ`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 -6
⑵ a의 절댓값이 클 수록 그래프의 폭이 좁아진다.
이 이 점들을 모두 지나는 곡선 이다.
-8
이때 |;2!;|=|-;2!;|<|-;3@;|<|-2|<|3|<|4|이므로 그

래프의 폭이 가장 좁은 그래프는 ㉥ y=4xÛ`이다.


⑶ x축에 서로 대칭인 두 그래프는 a의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서로
반대 이므로

2-2  ⑴ 위 ⑵ y축 ⑶ 증가 ⑷ 감소 ㉠ y=;2!;xÛ`, ㉤ y=-;2!;xÛ`


이차함수 y=-xÛ`의 그래프는
⑴ 원점을 지나고 위로 볼록한 곡선이다.
⑵ y축에 대칭이다.
⑶ x<0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은 증가한다. 4-2  ⑴ 0, 0 ⑵ x=0 ⑶ 위 ⑷ 증가 ⑸ 감소
⑴ 꼭짓점의 좌표는 (0, 0)이다.
⑷ x>0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은 감소한다.
⑵ 축은 y축이므로 축의 방정식은 x=0이다.

⑶ y=axÛ`에서 a=-;3@;<0이므로 그래프는 위로 볼록하다.

⑷ y=axÛ`에서 a<0이므로

3-1  풀이 참조 x<0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은 증가한다.


⑸ y=axÛ`에서 a<0이므로
이차함수 y=;2!;xÛ`의 그래프는 y y=xÛ
y=;2!;xÛ
x>0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은 감소한다.
y=xÛ`의 그래프 위의 각 점에 대하
6

4
여 y좌표를 ;2!; 배로 하는 점을 지 Y;2!; Y;2!;
2
나는 곡선이다.
-4 -2 O 2 4x
따라서 이차함수 y=;2!;xÛ`의 그래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풀고 또 풀고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 그리기
집중 연습 본문 | 178 쪽

1  풀이 참조
3-2  ⑴ 풀이 참조 ⑵ 풀이 참조
⑴ y=;4!;xÛ`에서 xÛ`의 계수가 ;4!;로 양수이므로
⑴ 이차함수 y=4xÛ`의 그래프는 y

y=2xÛ y
y=2xÛ`의 그래프 위의 각 점에 대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한 모양이다.
12 Y2
하여 y좌표를 2배로 하는 점을 지
8 또 x=2일 때, y=;4!;_2Û`=1이므로 점
나는 곡선이다. 1
(2, 1)과 꼭짓점 (0, 0)을 지나는 곡선을
따라서 이차함수 y=4xÛ`의 그래프
4
Y2 O 2 x
y축에 대칭이 되도록 그린다.
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4 -2 O 2 4x
⑵ 이차함수 y=-2xÛ`의 그래프는 -4
⑵ y=-;4!;xÛ`에서 xÛ`의 계수가 -;4!;로 음수이므로
y=2xÛ`의 그래프 위의 각 점에 대 -8 y
그래프는 위로 볼록한 모양이다. O 2
하여 x축에 대칭인 점을 지나는 곡 -12 x
선이다. 또 x=2일 때, y=-;4!;_2Û`=-1이므 -1

따라서 이차함수 y=-2xÛ`의 그래



로 점 (2, -1)과 꼭짓점 (0, 0)을 지나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는 곡선을 y축에 대칭이 되도록 그린다.

11.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 67


정답과 해설

⑶ y=;3@;xÛ`에서 xÛ`의 계수가 ;3@;로 양수이므로 y 02 ⑤


6 셀파 y=axÛ`에서 a<0인 경우이므로 그래프는 꼭짓점이 원점이고 위로 볼록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한 모양이다.
한 포물선이다.
또 x=3일 때, y=;3@;_3Û`=6이므로
① 꼭짓점의 좌표는 (0, 0)이다.
점 (3, 6)과 꼭짓점 (0, 0)을 지나는
O 3 x ② y=axÛ`에서 a=-3<0이므로 위로 볼록한 포물선이다.
곡선을 y축에 대칭이 되도록 그린다. ③ y축에 대칭이다.
④ y=-3xÛ`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y
⑷ y=-;3!;xÛ`에서 xÛ`의 계수가 -;3!;로 음수이므로 O 1
같이 원점을 지나고 위로 볼록한 포물 x
y
그래프는 위로 볼록한 모양이다. 선이므로 제3, 4사분면을 지난다.
또 x=3일 때, y=-;3!;_3Û`=-3이
O 3 ⑤ x>0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
x 증가 감소
-3
은 감소한다.
므로 점 (3, -3)과 꼭짓점 (0, 0)을
-3 따라서 y=-3xÛ`의 그래프에 대한 설명
지나는 곡선을 y축에 대칭이 되도록
으로 옳은 것은 ⑤이다.
그린다.

⑸ y=3xÛ`에서 xÛ`의 계수가 3으로 양수이 y

므로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한 모양이다. 3


또 x=1일 때, y=3_1Û`=3이므로 점
(1, 3)과 꼭짓점 (0, 0)을 지나는 곡선
을 y축에 대칭이 되도록 그린다. O 1 x

⑹ y=-;2#;xÛ`에서 xÛ`의 계수가 -;2#;으로 음수이므로 03 ③


y 셀파 y=axÛ`의 그래프는 y=-2xÛ`의 그래프보다 폭이 넓고, y=-;3@;xÛ`의 그
그래프는 위로 볼록한 모양이다. O 2
래프보다 폭이 좁다.
또 x=2일 때, y=-;2#;_2Û`=-6이
x

y=axÛ`의 그래프는 y=-2xÛ`의 그래프보다 폭이 넓고,


므로 점 (2, -6)과 꼭짓점 (0, 0)을
y=-;3@;xÛ`의 그래프보다 폭이 좁으므로 |-;3@;|<|a|<|-2|
지나는 곡선을 y축에 대칭이 되도록 -6
그린다. 그런데 a<0이므로 -2<a<-;3@;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가 위로 볼록하다.
참고 지나는 점을 구할 때, x좌표와 y좌표가 정수가 되는 점을 찾는다. 따라서 상수 a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③ -1이다.

04  -12
셀파 주어진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꼭짓점이 원점이고 점 (3, -3)을
보고 또 보고
지나는 포물선이다.
유형 익히기- 확인 문제 본문 | 179~180 쪽
꼭짓점이 원점인 포물선이므로 그래프를 나타내는 이차함수의 식
01 6 을 y=axÛ`(a+0)으로 놓자.
셀파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가 점 (p, q)를 지난다. 이 그래프가 점 (3, -3)을 지나므로 -3=a_3Û`
⇨ y=axÛ`에 x=p, y=q를 대입하면 등식이 성립한다.
9a=-3 ∴ a=-;3!;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가 점 (1, 2)를 지나므로
2=a_1Û` ∴ a=2 따라서 f(x)=-;3!;xÛ`이므로
y=2xÛ`의 그래프가 점 (2, b)를 지나므로 b=2_2Û`=8
f(6)=-;3!;_6Û`=-12
∴ b-a=8-2=6

68 IV. 이차함수
실력 키우기 본문 | 181~183 쪽 오답 피하기
답은 반드시 k+-1, k+2를 모두 써 주어야 한다.
01 ②, ④ 만약 k+-1, k+2 중 어느 하나만 답으로 한다면 그것은 틀린 답이 된다.
셀파 우변의 괄호를 풀어 정리하였을 때, y=(x에 대한 이차식)이면 y는 x에 예를 들어 k+-1만을 답으로 할 경우, k=2인 경우 주어진 함수는
대한 이차함수이다. y=3x이므로 일차함수가 된다.
① y=2x-1 ⇨ y는 x에 대한 일차함수이다.
xÛ`
② y=- +3=-;4!;xÛ`+3 ⇨ y는 x에 대한 이차함수이다.
4

③ y= 3 ⇨ xÛ`이 분모에 있으므로 이차함수가 아니다. 04 3


xÛ`
셀파 y=6일 때, x의 값을 구한다.
④ y=x(x-1)=xÛ`-x ⇨ y는 x에 대한 이차함수이다.
y=xÛ`-x에 y=6을 대입하면 6=xÛ`-x
⑤ y=2xÛ`-2x(x+1)=2xÛ`-2xÛ`-2x=-2x
xÛ`-x-6=0, (x+2)(x-3)=0
⇨ y는 x에 대한 일차함수이다.
∴ x=-2 또는 x=3
따라서 y가 x에 대한 이차함수인 것은 ②, ④이다.
그런데 x>0이므로 입력한 x의 값은 3이다.

02 ②
셀파 x와 y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다. 05 -9
① y=5x ⇨ y는 x에 대한 일차함수이다. 셀파 f(1)=3을 이용하여 상수 a의 값을 먼저 구한다.
② (정사각형의 둘레의 길이)=4_(한 변의 길이)이므로 f(x)=-xÛ`+3x+a에서 f(1)=3이므로
x=4_(한 변의 길이) ∴ (한 변의 길이)=;4{; f(1)=-1Û`+3_1+a=3

따라서 정사각형의 넓이는 y={;4{;}2`=


2+a=3
xÛ`
∴ a=1
16 따라서 f(x)=-xÛ`+3x+1이므로
⇨ y는 x에 대한 이차함수이다. f(-2)=-(-2)Û`+3_(-2)+1=-9
③ (정육면체의 부피)=(한 모서리의 길이)Ü`이므로
y=xÜ` ⇨ y는 x에 대한 이차함수가 아니다.
④ y=4x ⇨ y는 x에 대한 일차함수이다.
06 4
⑤ (사다리꼴의 넓이)=;2!;_{(윗변의 길이)+(아랫변의 길이)} 셀파 y=axÛ`의 그래프가 점 (2, 2)를 지남을 이용하여 상수 a의 값을 먼저 구
_(높이) 한다.

이므로 y=;2!;_{x+(x+2)}_4=4x+4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가 점 (2, 2)를 지나므로

⇨ y는 x에 대한 일차함수이다. 2=a_2Û` ∴ a=;2!;

y=;2!;xÛ`의 그래프가 점 (-4, b)를 지나므로


따라서 y가 x에 대한 이차함수인 것은 ②이다.

b=;2!;_(-4)Û`=8
03 k+-1, k+2
∴ ab=;2!;_8=4
셀파 y=axÛ`+bx+c 꼴로 정리한 후 a+0임을 이용한다.

y=axÛ`+bx+c 꼴로 나타내기 [50`%]


y=k(k-1)xÛ`+3x-2xÛ`
=(kÛ`-k)xÛ`+3x-2xÛ` 07 ④
=(kÛ`-k-2)xÛ`+3x 셀파 a의 부호에 따라 그래프의 볼록한 방향이 다르다.

상수 k의 조건 구하기 [50`%] ① y축에 대칭인 포물선이다.


이때 y=(kÛ`-k-2)xÛ`+3x가 x에 대한 이차함수가 되려면 ② 꼭짓점의 좌표는 (0, 0)이다.
kÛ`-k-2+0이어야 한다. ③ a>0이면 아래로 볼록하다.
(k+1)(k-2)+0 ∴ k+-1, k+2 ④ |a|<|2a|이므로 y=2axÛ`의 그래프보다 폭이 넓다.

11.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 69


정답과 해설

⑤ a<0이면 그래프의 원점을 제외한 부분은 모두 x축보다 아래 11 ③


쪽에 그려진다. 셀파 그래프가 아래로 볼록하므로 y=axÛ`에서 a>0이다.
따라서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④ y=axÛ`에서 그래프가 아래로 볼록하므로 a>0
이다.
a>0인 것 중 ;4#;<1<2이므로 그래프의 폭이 가장 넓은 것은

③ y=;4#;xÛ`이다.

08 ⑤
셀파 y=axÛ`에서 a의 부호와 절댓값을 비교한다.

① y=axÛ`에서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은 a>0이므로 ㉠, ㉢이다.


12 ⑤
② y=axÛ`에서 |a|의 값이 같으면 그래프의 폭이 같으므로 ㉡과 셀파 y=axÛ`에서 a의 부호는 그래프의 모양을 결정하고, a의 절댓값은 그래프
㉢은 폭이 같다. 의 폭을 결정한다.
③ |a|의 값이 작을수록 그래프의 폭이 넓어진다. y=4axÛ`의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하므로 4a>0
이때 |-;5!;|<|;3!;|<|-4|=|4|이므로 폭이 가장 넓은 그 또 y=2xÛ`의 그래프보다 폭이 넓으므로 4a<2

래프는 ㉣이다. 즉 0<4a<2이므로 0<a<;2!;


④ y=axÛ`에서 a의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서로 반대이면 x축에 서
따라서 상수 a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⑤ ;4!;이다.
로 대칭이므로 ㉡과 ㉢은 x축에 서로 대칭이다.
⑤ y=axÛ`에서 제1사분면과 제2사분면을 지나는 그래프는 a>0
LECTURE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에서 a의 의미
이므로 ㉠과 ㉢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a의 부호 a의 절댓값
⇩ ⇩
그래프의 모양 결정 그래프의 폭 결정
a>0: 아래로 볼록 ( ) a의 절댓값이 클수록
09 ㉡과 ㉥, ㉢과 ㉣ a<0: 위로 볼록 ( ) 그래프의 폭이 좁아진다.
셀파 y=axÛ`에서 a의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서로 반대이면 x축에 서로 대칭
이다.

그래프가 x축에 서로 대칭이면 xÛ`의 계수의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반대이므로 ㉡과 ㉥, ㉢과 ㉣의 그래프가 각각 x축에 서로 대칭이 13 12
다. 셀파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원점을 꼭짓점으로 하므로 식을 y=axÛ`(a+0)으
로 놓는다.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나타내는 식을 y=axÛ`(a+0)으로 놓으면


;3%; 이 그래프가 점 (3, 3)을 지나므로 3=a_3Û`
10
셀파 이차항의 계수의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서로 반대이면 두 이차함수의 그 9a=3 ∴ a=;3!;
래프는 x축에 서로 대칭이다.
y=;3!;xÛ`의 그래프가 점 (-6, k)를 지나므로
x축에 서로 대칭인 그래프가 나타내는 식 구하기 [40`%]
y=-3xÛ`의 그래프와 x축에 서로 대칭인 그래프가 나타내는 식은 k=;3!;_(-6)Û`=12
y=3xÛ`이다.

a의 값 구하기 [40`%]
이 그래프가 점 (a-1, -a+1)을 지나므로 14 y=-4xÛ`
-a+1=3(a-1)Û`, 3aÛ`-5a+2=0 셀파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꼭짓점이 원점이고 점 {;2!;, 1}을 지난다.
(a-1)(3a-2)=0 ∴ a=1 또는 a=;3@; 주어진 그래프를 나타내는 이차함수의 식을 y=axÛ`(a+0)으로

모든 a의 값의 합 구하기 [20`%] 놓으면 y=axÛ`의 그래프가 점 {;2!;, 1}을 지나므로 1=a_{;2!;}2`

따라서 모든 a의 값의 합은 1+;3@;=;3%; ;4!;a=1 ∴ a=4

70 IV. 이차함수
즉 주어진 그래프를 나타내는 이차함수의 식은 y=4xÛ`이다. 17  ⑴ A{-a, ;2!;aÛ`}, B(-a, -aÛ`), C(a, -aÛ`),
따라서 y=4xÛ`의 그래프와 x축에 서로 대칭인 그래프를 나타내는
이차함수의 식은 y=-4xÛ`이다. D{a, ;2!;aÛ`}

⑵ ;3$;

셀파 점 D의 좌표를 이용하여 나머지 세 점 A, B, C의 좌표를 각각 구한다.

⑴ 점 D의 x좌표를 a라 하면 D{a, ;2!;aÛ`}

이차함수 y=;2!;xÛ`의 그래프는 y축에 대칭이므로


15 2
셀파 그래프가 볼록한 방향으로 xÛ`의 계수의 부호, 그래프의 폭으로 xÛ`의 계수
A{-a, ;2!;aÛ`}
의 절댓값을 결정한다.
또 y=-xÛ`에 x=a를 대입하면 y=-aÛ`
 포물선 ㉠을 나타내는 이차함수의 식 구하기 [50`%]
∴ C(a, -aÛ`)
포물선 ㉠은 아래로 볼록하므로 xÛ`의 계수가 양수이다. 즉 포물선
이차함수 y=-xÛ`의 그래프는 y축에 대칭이므로
㉠의 식은 y=;2!;xÛ`, y=2xÛ` 중 하나이다. B(-a, -aÛ`)
이때 아래로 볼록한 두 포물선 중 포물선 ㉠의 폭이 더 넓으므로 포
⑵ ABCD가 정사각형이므로 ADÓ=CDÓ에서
물선 ㉠의 식은 xÛ`의 계수의 절댓값이 더 작은 y=;2!;xÛ`이다.
a-(-a)=;2!;aÛ`-(-aÛ`)
 a의 값 구하기 [50`%]
2a=;2#;aÛ`, 3aÛ`-4a=0
따라서 포물선 y=;2!;xÛ`이 점 (a, 2)를 지나므로
a(3a-4)=0   ∴ a=0 또는 a=;3$;
2=;2!;aÛ`, aÛ`=4   ∴ a=2 (∵ a>0)
그런데 a>0이므로 a=;3$;

따라서 점 D의 x좌표는 ;3$;이다.

16  ⑴ Q(4, 16) ⑵ R(8, 16) ⑶ ;4!;


셀파 점 Q(k, 16)이면 점 R(2k, 16)이다.

 점 Q의 좌표 구하기 [40`%]
⑴ 점 Q의 x좌표를 k라 하면 이차함수 y=xÛ`의 그래프 위의 점 Q
의 y좌표가 16이므로
Q(k, 16)
이때 이차함수 y=xÛ`의 그래프가 점 Q(k, 16)을 지나므로
16=kÛ`   ∴ k=4 (∵ k>0)
∴ Q(4, 16)

 점 R의 좌표 구하기 [40`%] y y=xÛ y=axÛ


⑵ PQÓ=QRÓ이므로 P Q R
16 y=16
PRÓ=2PQÓ=2_4=8
즉 점 R의 x좌표는 8이므로
R(8, 16)
O 4 8 x
 a의 값 구하기 [20`%]
⑶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가 점 R(8, 16)을 지나므로

16=a_8Û`, 64a=16   ∴ a=;4!;

11.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 71


정답과 해설

12 이차함수 y=a(x-p)Û`+q의 그래프 2-1 그래프: 풀이 참조


꼭짓점의 좌표: (1, 0), 축의 방정식:x=1
따라 풀면
서 이차함수 y=2(x-1)Û`의 그래프 y=2x2 y
6
개념 익히기 본문 | 187, 189 쪽 는 이차함수 y=2xÛ`의 그래프를 y=2(x-1)2
4
x 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
1-1 그래프: 풀이 참조
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
2

꼭짓점의 좌표 (0, -1), 축의 방정식: x=0


다. 이때 꼭짓점의 좌표는 (1, 0), -4 -2 O 2 4x
이차함수 y=;2!;xÛ`-1의 그래프는 y
6 y=;2!;x
2
축의 방정식은 x= 1 -2

이차함수 y=;2!;xÛ`의 그래프를 y축 4

2
의 방향으로 -1 만큼 평행이동한 y=;2!;x2-1
2-2 ⑴ y=;2!;(x-5)Û` ⑵ y=-3(x+4)Û`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다. -4 -2 O 2 4x
이때 꼭짓점의 좌표는 (0, -1), -2 ⑴ 이차함수 y=;2!;xÛ`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5만큼 평행이동
축의 방정식은 x= 0
-5)Û`
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이차함수의 식은 y=;2!;(x-5)Û

⑵ 이차함수 y=-3xÛ`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


이동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이차함수의 식은
-(-4)}Û`=-3(x+4)Û`
y=-3{x-(-4)}Û

1-2 ⑴ y=;3!;xÛ`+1 ⑵ y=-4xÛ`-2

⑴ 이차함수 y=;3!;xÛ`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


2-3 ⑴ 그래프: 풀이 참조

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이차함수의 식은 y=;3!;xÛ`+1 꼭짓점의 좌표 (-3, 0), 축의 방정식 x=-3


⑵ 그래프 풀이 참조
⑵ 이차함수 y=-4xÛ`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 꼭짓점의 좌표 (2, 0), 축의 방정식 x=2
이동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이차함수의 식은 y=-4xÛ`-2 ⑴ 이차함수 y=-(x+3)Û`의 그래 y
2
프는 이차함수 y=-xÛ`의 그래프 -4 -2 O
2 4 x
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 -2
이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4
같다. -6
이때 꼭짓점의 좌표는 (-3, 0),
1-3 ⑴ 그래프: 풀이 참조 ⑴ y=-x2 ⑵

꼭짓점의 좌표 (0, 2), 축의 방정식 x=0 축의 방정식은 x=-3

⑵ 그래프 풀이 참조 ⑵ 이차함수 y=-(x-2)Û`의 그래프는 이차함수 y=-xÛ`의 그래


꼭짓점의 좌표 (0, -3), 축의 방정식 x=0 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위의 그림과
⑴ 이차함수 y=-;3@;xÛ`+2의 그래프 y
2
같다. 이때 꼭짓점의 좌표는 (2, 0), 축의 방정식은 x=2
-2 O 2
는 이차함수 y=-;3@;xÛ`의 그래프를 -4 4x
-2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3-1 그래프: 풀이 참조
-4 꼭짓점의 좌표: (-1, 1), 축의 방정식 x=-1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때 꼭짓점의 좌표는 (0, 2), -6 이차함수 y=2(x+1)Û`+1의 y y=2x2
y=-;3@;x2
축의 방정식은 x=0 ⑵ ⑴ 그래프는 y=2xÛ`의 그래프를 x 6

축의 방향으로 -1 만큼, y축 y=2(x+1)2+1


4
⑵ 이차함수 y=-;3@;xÛ`-3의 그래프는 이차함수 y=-;3@;xÛ`의 그 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2
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위의 그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다.
-4 -2 O 2 4x
림과 같다. 이때 꼭짓점의 좌표는 (-1, 1) ,
이때 꼭짓점의 좌표는 (0, -3), 축의 방정식은 x=0 축은 방정식은 x= -1

72 IV. 이차함수
3-2  ⑴ y=;3@;(x+3)Û`-5 ⑵ y=-4(x+1)Û`+2 a>0일 때, p, q의 부호에 따른 이차함수 y=a(x-p)Û`+q의
LECTURE 그래프의 개형
⑴ 이차함수 y=;3@;xÛ`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① a>0
a>0, p
p>0, q>0 ② a>0, p<0, q>0

방향으로 -5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이차함수의 y y

-(-3)}Û`-5=
식은 y=;3@;{x-(-3)}Û -5=;3@;(x+3)Û`-5
q q

⑵ 이차함수 y=-4xÛ`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


O p x p O x

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이차함수의 ③ a>0, p<0, q<0 ④ a>0, p>0, q<0
-(-1)}Û`+2=-4(
식은 y=-4{x-(-1)}Û +2=-4(x+1)Û`+2 y y

p O O p
q x q x

3-3  ⑴ 그래프: 풀이 참조
꼭짓점의 좌표 (2, 1), 축의 방정식 x=2
⑵ 그래프: 풀이 참조
꼭짓점의 좌표 (-1, -3), 축의 방정식 x=-1
⑴ 이차함수 y=-2(x-2)Û`+1의 그 y

래프는 이차함수 y=-2xÛ`의 그래


O
-4 -2 2 4x
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2
풀고 또 풀고 이차함수 y=a(x-p)Û`+q의
그래프 그리기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 -4 집중 연습 본문 | 191 쪽
로 오른쪽 그림과 같다. -6
이때 꼭짓점의 좌표는 (2, 1), 1  ⑴ 풀이 참조 ⑵ 풀이 참조 ⑶ 풀이 참조 ⑷ 풀이 참조

⑴ y=;3!;xÛ`-5에서 xÛ`의 계수가 ;3!;>0이므로


2
y=-2x ⑵ ⑴
축의 방정식은 x=2

⑵ 이차함수 y=-2(x+1)Û`-3의 그래프는 이차함수 y=-2xÛ`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이다.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 또 x=3일 때, y=;3!;_3Û`-5=-2
3
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위의 그림과 같다. O x
이므로 점 (3, -2)와 꼭짓점
이때 꼭짓점의 좌표는 (-1, -3), 축의 방정식은 x=-1 -2
(0, -5)를 지나는 곡선을 축 x=0
에 대칭이 되도록 그리면 오른쪽 그
-5
림과 같다.

⑵ y=-3xÛ`+2에서 xÛ`의 계수가 -3<0이므로


4-1  a<0, p<0, q>0
그래프는 위로 볼록한 포물선이다. y
y=a(x-p)Û`+q에서
2
또 x=1일 때,
그래프의 모양이 위로 볼록하므로 a < 0
y=-3_1Û`+2=-1이므로 1
꼭짓점 (p, q)가 제2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p < 0, q > 0 O x
점 (1, -1)과 꼭짓점 (0, 2)를 지
-1
나는 곡선을 축 x=0에 대칭이 되도
록 그리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⑶ y=;2!;(x-3)Û`에서 xÛ`의 계수가 ;2!;>0이므로


4-2  ⑴ >, >, < ⑵ <, >, > y x=3
y=a(x-p)Û`+q의 그래프에서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이다.
⑴ 그래프의 모양이 아래로 볼록하므로 a>0 또 x=5일 때, y=;2!;_(5-3)Û`=2
꼭짓점 (p, q)가 제4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p>0, q<0 2
이므로 점 (5, 2)와 꼭짓점 (3, 0)을
⑵ 그래프의 모양이 위로 볼록하므로 a<0 지나는 곡선을 축 x=3에 대칭이 되 O 3 5 x
꼭짓점 (p, q)가 제1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p>0, q>0 도록 그리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12. 이차함수 y=a(x-p)Û`+q의 그래프 73


정답과 해설

⑷ y=-;4#;(x+1)Û`에서 xÛ`의 계수가 -;4#;<0이므로 보고 또 보고

유형 익히기- 확인 문제 본문 | 192~197 쪽
그래프는 위로 볼록한 포물선이다. y
또 x=1일 때,
-1 1 01  ㉠, ㉢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하여 완전히 포갤 수 있으려면 xÛ`의 계수가
y=-;4#;_(1+1)Û`=-3이므로
O x 셀파
같아야 한다.
점 (1, -3)과 꼭짓점 (-1, 0)을
지나는 곡선을 축 x=-1에 대칭이 -3 y=;3@;xÛ`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하여 완전히 포개지려면 xÛ`의 계수가

되도록 그리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3@;이어야 하므로 ㉠, ㉢이다.


x=-1

02  ⑴ 없다. ⑵ 제3, 4사분면 ⑶ 제3사분면


셀파 그래프를 그려 본다.
2  ⑴ 풀이 참조 ⑵ 풀이 참조 ⑶ 풀이 참조 ⑷ 풀이 참조
⑴ y=-xÛ`+3에서 xÛ`의 계수가 -1<0이므로
⑴ y=;2!;(x+2)Û`-1에서 xÛ`의 계수가 ;2!;>0이므로 그래프는 위로 볼록한 포물선이다.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이다. 또 x=2일 때, y=-2Û`+3=-1이므로 y
3
또 x=0일 때, 점 (2, -1)과 꼭짓점 (0, 3)을 지나는 곡
x=-2 y
O 2
선을 축 x=0에 대칭이 되도록 그리면 오
y=;2!;_(0+2)Û`-1=1이므로 점 -1 x
1 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지나지 않는 사
(0, 1)과 꼭짓점 (-2, -1)을 지나 -2
O x 분면은 없다.
는 곡선을 축 x=-2에 대칭이 되 -1
⑵ y=2(x-1)Û`에서 xÛ`의 계수가 2>0이므로
도록 그리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이다.
⑵ y=-;4!;(x-2)Û`-1에서 xÛ`의 계수가 -;4!;<0이므로 또 x=0일 때, y=2_(0-1)Û`=2이므로 점 y

(0, 2)와 꼭짓점 (1, 0)을 지나는 곡선을 축


그래프는 위로 볼록한 포물선이다.
x=1에 대칭이 되도록 그리면 오른쪽 그림과 2
또 x=0일 때, y
같다. 따라서 제3, 4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O 1 x
y=-;4!;_(0-2)Û`-1=-2이므 O 2
⑶ y=3(x-1)Û`-2에서 xÛ`의 계수가 3>0이므로
x
-1
로 점 (0, -2)와 꼭짓점 (2, -1)을 -2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이다. y
지나는 곡선을 축 x=2에 대칭이 되
또 x=0일 때, y=3_(0-1)Û`-2=1이므로
도록 그리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x=2
점 (0, 1)과 꼭짓점 (1, -2)를 지나는 곡선을
1
⑶ y=(x-1)Û`+2에서 xÛ`의 계수가 1>0이므로
1
축 x=1에 대칭이 되도록 그리면 오른쪽 그림 O x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이다. y x=1 과 같다. 따라서 제3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2

또 x=0일 때, y=(0-1)Û`+2=3이
3
므로 점 (0, 3)과 꼭짓점 (1, 2)를 지
2
나는 곡선을 축 x=1에 대칭이 되도
록 그리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03 ②
1 x
이차함수 y=axÛ`+q의 그래프의 성질을 이용한다.
O
셀파

⑷ y=-(x+1)Û`+2에서 xÛ`의 계수가 -1<0이므로 y=2xÛ`-3에서

그래프는 위로 볼록한 포물선이다. y ① xÛ`의 계수가 2>0이므로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이다.


y
또 x=0일 때, y=-(0+1)Û`+2=1 2 ② 축의 방정식은 x=0이다.
④ y=2xÛ`-3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
1
이므로 점 (0, 1)과 꼭짓점 (-1, 2)를 -1 O x O 1
지나는 곡선을 축 x=-1에 대칭이 되 으므로 제1, 2, 3, 4사분면을 모두 지난다. x
-1
도록 그리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②이다.
-3
x=-1

74 IV. 이차함수
04  -2 ④ y=-;2!;(x-4)Û`-1의 그래프는 오른쪽 y
O 4
셀파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을 구한 후, 그래프가 지나는 점의 좌표를 대입한 x
그림과 같으므로 제3, 4사분면을 지난다. -1
다.
⑤ x>4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은
y=-;3!;xÛ`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q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 감소한다.
-9
따라서 옳은 것은 ③, ⑤이다.
의 식은 y=-;3!;xÛ`+q

이 그래프가 점 (3, -5)를 지나므로 x=3, y=-5를 대입하면

-5=-;3!;_3Û`+q, -5=-3+q
08  -4
∴ q=-2 셀파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을 구한 후, 그래프가 지나는 점의 좌표를 대입한
다.

y=-2xÛ`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


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y=-2(x-1)Û`-2
05 ④
이 그래프가 점 (2, k)를 지나므로 x=2, y=k를 대입하면
셀파 이차함수 y=a(x-p)Û`의 그래프의 성질을 이용한다.
k=-2_(2-1)Û`-2=-2_1-2=-4
y=-3(x+1)Û`에서
① xÛ`의 계수가 -3<0이므로 위로 볼록한 포물선이다.
② 축의 방정식은 x=-1이다.
09  a=5, b=-4, c=5
③ 꼭짓점의 좌표는 (-1, 0)이다. 셀파 x 대신 x-1, y 대신 y+3을 대입하여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을 구한다.
④ y=-3(x+1)Û`과 y=3xÛ`에서 xÛ`의 계수의 절댓값이
y=-2(x-4)Û`-1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
|-3|=|3|이므로 두 그래프의 폭은 서로 같다.
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⑤ y=-3(x+1)Û`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y
-1 y=-2(x-1-4)Û`-1-3, 즉 y=-2(x-5)Û`-4
과 같으므로 x>-1일 때, x의 값이 증가 O x
이때 꼭짓점의 좌표는 (5, -4)이므로 a=5, b=-4
하면 y의 값은 감소한다.
축의 방정식은 x=5이므로 c=5
따라서 옳은 것은 ④이다. -3

10  a=-2, b=-3
셀파 이차함수 y=a(x+b)Û`+1의 그래프에서 축의 방정식은 x=-b이다.

y=a(x+b)Û`+1의 그래프에서 축의 방정식이 x=-b이므로


06  -27
셀파 포물선의 축의 방정식 ⇨ x=(꼭짓점의 x좌표) -b=3   ∴ b=-3
y=a(x-3)Û`+1의 그래프가 점 (4, -1)을 지나므로
y=-3xÛ`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x=4, y=-1을 대입하면 -1=a_(4-3)Û`+1
식은 y=-3(x-p)Û` 축의 방정식: x=p
-1=a+1   ∴ a=-2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x=-4이므로 p=-4
즉 y=-3(x+4)Û`의 그래프가 점 (-1, k)를 지나므로
x=-1, y=k를 대입하면
k=-3_(-1+4)Û`=-3_9=-27
11  x<3
셀파 축 x=p를 기준으로 증가, 감소가 바뀐다.

y=-;2#;xÛ`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07  ③, ⑤ -1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y=-;2#;(x-3)Û`-1


이차함수 y=a(x-p)Û`+q의 그래프의 성질을 이용한다.
셀파
이때 xÛ`의 계수가 음수이므로 그래프는 위로 y
O 3
y=-;2!;(x-4)Û`-1에서 볼록하고 축의 방정식은 x=3이다. 따라서 그 -1 x
증가
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x의 값이 증
① xÛ`의 계수가 -;2!;<0이므로 위로 볼록한 포물선이다.
감소
가할 때, y의 값도 증가하는 x의 값의 범위는
② 축의 방정식은 x=4이다. x<3이다. x=3

12. 이차함수 y=a(x-p)Û`+q의 그래프 75


정답과 해설

12 ⑴ a>0, p>0, q<0 ⑵ 제3, 4사분면 03 ④


셀파 이차함수 y=a(x+p)Û`+q의 그래프에서 꼭짓점의 좌표는 (-p, q)이 셀파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그려 본다.
다. ① y ② y=(x+2)Û`
O y
⑴ 주어진 이차함수 y=a(x+p)Û`+q의 그래프가 아래로 볼록하 x
-3 4
므로 a>0 (-, -)

꼭짓점 (-p, q)가 제3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p<0, q<0 ∴ p>0, q<0 -2 O x
y=-xÛ`-3
⑵ 이차함수 y=q(x+a)Û`-p의 그래프는 xÛ`의 계수 q가 음수이
③ y=;3!;(x+3)Û`+1 ④ y=2(x+1)Û`-5
y
므로 위로 볼록하다. y
-1
또 -a<0, -p<0이므로 꼭짓점 y O x
(-, -) 4
(-a, -p)가 제3사분면 위에 있다. 따라 O x

서 y=q(x+a)Û`-p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1 -3


-3 O x
림과 같으므로 제3, 4사분면을 지난다. -5

⑤ y
1
O x
-2

-5

y=-3(x-1)Û`-2

따라서 이차함수의 그래프 중 모든 사분면을 지나는 것은 ④이다.

실력 키우기 본문 | 199~201 쪽

01 ③, ⑤
셀파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하여 완전히 포갤 수 있으려면 xÛ`의 계수가 04 3
같아야 한다. 셀파 꼭짓점의 좌표가 (0, 4)임을 이용한다.
y=3(x-2)Û`-5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하여 완전히 포개지려면 xÛ` 꼭짓점의 좌표가 (0, 4)이므로 주어진 그래프는 y=-xÛ`의 그래프
의 계수가 3이어야 한다. 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그래프를 평행이동하여 포갤 수 없는 것은 xÛ`의 계수가 3이 즉 y=-xÛ`+4의 그래프가 점 (-1, k)를 지나므로
아닌 ③, ⑤이다. k=-(-1)Û`+4=3

05 ;3!;
02 -2
셀파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을 구하여 비교한다. 셀파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
의 꼭짓점의 좌표는 (p, 0)이다.
이차함수 y=-;2!;xÛ`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축의 방
꼭짓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p의 값 구하기 [40`%]
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이차함수의 식은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평행이동한
y=-;2!;(x-p)Û`+3 그래프의 식은 y=a(x-p)Û`이고 꼭짓점의 좌표가 (p, 0)이므로
p=-2
이것이 y=a(x+2)Û`-q와 같으므로 a=-;2!;, -p=2, -q=3
점 (1, 3)을 지남을 이용하여 a의 값 구하기 [60`%]
∴ a=-;2!;, p=-2, q=-3 이때 y=a(x+2)Û`의 그래프가 점 (1, 3)을 지나므로

∴ ap+q=-;2!;_(-2)+(-3)=-2 3=a_(1+2)Û`, 9a=3 ∴ a=;3!;

76 IV. 이차함수
06  ㉠, ㉣ 10 0
셀파 a>0일 때와 a<0일 때로 구분하여 생각한다. 셀파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을 구하여 비교한다.

㉠ 이차함수 y=a(x-3)Û`의 그래프는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 이차함수 y=a(x-2)Û`+b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
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이다. 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이차함수
㉡ a=2이면 이차항의 계수가 양수이므로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 의 식은 y=a(x-3-2)Û`+b-1, 즉 y=a(x-5)Û`+b-1
이다. 이것이 y=-(x+c)Û`+3과 같으므로
㉢ 꼭짓점의 좌표는 (3, 0)이다. a=-1, c=-5, b-1=3
㉣ a<0이면 위로 볼록한 포물선이고 축의 방정식이 x=3이므로 ∴ a=-1, b=4, c=-5
x>3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은 감소한다. ∴ a-b-c=-1-4-(-5)=0
따라서 옳은 것은 ㉠, ㉣이다.

07  a=2, p=-4, q=-5 11  -2


셀파 축의 방정식이 x=-4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가 -4이다. 셀파 꼭짓점의 좌표와 그래프가 지나는 한 점의 좌표를 이용한다.

y=a(x-p)Û`+q의 그래프에서 꼭짓점의 좌표는 (p, q)이다.  p, q의 값 각각 구하기 [40`%]

이때 축의 방정식이 x=-4이고, 꼭짓점의 y좌표가 -5이므로 이차함수 y=a(x-p)Û`+q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p, q)이
p=-4, q=-5 꼭짓점의 좌표: (-4, -5) 고, 주어진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가 (2, -3)이므로
즉 y=a(x+4)Û`-5의 그래프가 점 (-2, 3)을 지나므로 p=2, q=-3
3=a_(-2+4)Û`-5, 4a-5=3  a의 값 구하기 [40`%]
4a=8   ∴ a=2 y=a(x-2)Û`-3의 그래프가 점 (-1, 0)을 지나므로
0=a_(-1-2)Û`-3

9a=3   ∴ a=;3!;
08 1
 apq의 값 구하기 [20`%]
셀파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를 직선의 방정식에 대입한다.

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 구하기 [40`%] ∴ apq=;3!;_2_(-3)=-2

y=-;4#;(x-p)Û`+3p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p, 3p)

 p의 값 구하기 [60`%]
점 (p, 3p)가 직선 y=-x+4 위에 있으므로
12 ③
3p=-p+4, 4p=4
셀파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그려 본다.
∴ p=1
① y ② y=(x+3)Û` y
3
9

O x
09 ④
셀파 이차함수 y=a(x-p)Û`+q의 그래프의 성질을 이용한다.
y=-2xÛ`+3
① xÛ`의 계수가 -5로 음수이므로 위로 볼록한 포물선이다. -3 O x

② 꼭짓점의 좌표는 (4, 2)이다. y


③ ④ y=;3!;(x-3)Û`+4
③ x=0을 y=-5(x-4)Û`+2에 대입하면
y
-3
O x
y=-5_(0-4)Û`+2=-78 -2 7
즉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0, -78)이다.
4
⑤ y=-5xÛ`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Á2£;;
2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이다. 3 x
O
y=-;2!;(x+3)Û`-2
따라서 옳은 것은 ④이다.

12. 이차함수 y=a(x-p)Û`+q의 그래프 77


정답과 해설

⑤ y
1 15 1
셀파 삼각형에서 세 꼭짓점의 좌표를 구한다.
-2 O x
꼭짓점 C의 좌표 구하기 [30`%]

-3 y=-(x-2)Û`+1의 그래프에서 꼭짓점 y


C
1
y=-(x+2)Û`+1
의 좌표가 (2, 1)이므로 C(2, 1)
1 3
O A 2 B x
따라서 x>-3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은 감소하는 것은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x축이 만나는 두 점 A,
y=-(x-2)2+1
③이다. B의 좌표 구하기 [30`%]
y=-(x-2)Û`+1에 y=0을 대입하면 0=-(x-2)Û`+1
xÛ`-4x+3=0, (x-1)(x-3)=0
∴ x=1 또는 x=3
∴ A(1, 0), B(3, 0)

△ABC의 넓이 구하기 [40`%]


13 ①
∴ △ABC=;2!;_ABÓ_|(점 C의 y좌표)|=;2!;_(3-1)_1=1
셀파 주어진 그래프의 모양과 꼭짓점의 위치를 생각한다.

이차함수 y=a(x-p)Û`+q의 그래프가 위로 볼록한 포물선이므로


a<0
꼭짓점 (p, q)가 제1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p>0, q>0
16 5
셀파 y=a(x-p)Û`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평행이동하면
⇨ y=a(x-m-p)Û`

y=;2!;(x-2)Û`의 그래프는 y=;2!;(x+3)Û`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

으로 5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ABÓ=5


14 ①
셀파 주어진 일차함수의 그래프에서 a, b의 부호를 각각 구한다.

주어진 일차함수 y=ax+b의 그래프가 오른쪽 위로 향하므로


a>0
또 y축과 x축 아래쪽에서 만나므로 b<0 17 16

이차함수 y=a(x-b)Û`의 그래프에서 점 A의 x좌표를 a(a>0)로 놓고, 두 점 B, D의 좌표를 a에 대한 식으로


셀파
나타낸다.
Ú a>0이므로 아래로 볼록하고
Û 꼭짓점의 좌표가 (b, 0)이고 b<0이므로 꼭짓점은 x축의 음의 점 A의 좌표를 A(a, -aÛ`+6) y
-aÛ`+6 y=xÛ`-6
부분 위에 있다. (a>0)이라 하면 두 점 B, D의 좌

따라서 이차함수 y=a(x-b)Û`의 그래프의 개형으로 알맞은 것은 표는 B A

①이다. B(-a, -aÛ`+6), D(a, aÛ`-6) -a a


O x
이때 ABCD가 정사각형이므로
C D
LECTURE 일차함수 y=ax+b의 그래프와 a, b의 부호 ABÓ=ADÓ에서
a-(-a)=-aÛ`+6-(aÛ`-6) y=-xÛ`+6
① y ② y aÛ`-6
O x 2a=-2aÛ`+12, aÛ`+a-6=0
b
b (a+3)(a-2)=0 ∴ a=-3 또는 a=2
O x
그런데 a>0이므로 a=2
a>0, b>0 a>0, b<0
∴ A(2, 2), B(-2, 2), D(2, -2)
③ y ④ y
따라서 ABÓ=4, ADÓ=4이므로
b O x
x
ABCD=ABÓ_ADÓ=4_4=16
b
O
참고 정사각형의 네 변의 길이는 모두 같으므로 ABÓ=BCÓ를 이용하여 식
a<0, b>0 a<0, b<0 을 세워 넓이를 구해도 된다.

78 IV. 이차함수
13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 2-1  a>0, b<0, c>0
그래프가 아래로 볼록하므로 a > 0
1.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 축이 y축의 오른쪽에 있으므로 ab < 0 ∴b <0
서 y축과의 교점이 원점보다 위쪽에 있으므로 c > 0
따라 풀면

개념 익히기 본문 | 205 쪽

1-1  y=2(x-1)Û`+1, 그래프: 풀이 참조


y=2xÛ`-4x+3 2-2  ⑴ >, >, > ⑵ <, >, =

=2(xÛ`-2x)+3 ⑴ 그래프가 아래로 볼록하므로 a>0

=2(xÛ`-2x+1-1)+3 ⑴ 축이 y축의 왼쪽에 있으므로 ab>0 ∴ b>0

=2(x-1)Û`+ 1 y ⑴ y축과의 교점이 원점보다 위쪽에 있으므로 c>0

⇨ 꼭짓점의 좌표는 (1, 1 ) ⑵ 그래프가 위로 볼록하므로 a<0


3
⇨ 축의 방정식은 x= 1 ⑴ 축이 y축의 오른쪽에 있으므로 ab<0 ∴ b>0

⇨ y축과의 교점의 좌표는 (0, 3 ) 1


⑴ y축과의 교점이 원점이므로 c=0

따라서 이차함수 y=2xÛ`-4x+3의 O 1 x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x=1

풀고 또 풀고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 그리기
집중 연습 본문 | 206 쪽
1-2  ⑴ y=;3!;(x-3)Û`-4, 그래프: 풀이 참조

 ⑵ y=-2(x+2)Û`+2, 그래프: 풀이 참조 1  ⑴ 풀이 참조 ⑵ 풀이 참조 ⑶ 풀이 참조
⑷ 풀이 참조 ⑸ 풀이 참조 ⑹ 풀이 참조
⑴ y=;3!;xÛ`-2x-1
⑴ y=xÛ`+2x+3=(xÛ`+2x+1-1)+3=(x+1)Û`+2
⑴ y=;3!;(xÛ`-6x)-1 ① 꼭짓점의 좌표: (-1, 2)
② 축의 방정식: x=-1
⑴ y=;3!;(xÛ`-6x+9-9)-1 ③ y축과의 교점의 좌표: (0, 3)

⑴ y=;3!;(x-3)Û`-4 ④ 그래프 y

y x=3
⑴ ⇨ 꼭짓점의 좌표는 (3, -4) 3
2
축의 방정식은 x=3
y축과의 교점의 좌표는 (0, -1) O 3 x
-1 -1 O x
따라서 이차함수 y=;3!;xÛ`-2x-1 x=-1
-4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⑵ y=2xÛ`-8x+6=2(xÛ`-4x+4-4)+6=2(x-2)Û`-2
⑵ y=-2xÛ`-8x-6 ① 꼭짓점의 좌표: (2, -2)
=-2(xÛ`+4x)-6 ② 축의 방정식: x=2
=-2(xÛ`+4x+4-4)-6 ③ y축과의 교점의 좌표: (0, 6)
y
④ 그래프 yx=2
=-2(x+2)Û`+2 2
-2 6
⑴ ⇨ 꼭짓점의 좌표는 (-2, 2)
O x
축의 방정식은 x=-2
y축과의 교점의 좌표는 (0, -6) 2
O x
따라서 이차함수 y=-2xÛ`-8x-6 -2
-6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x=-2

13.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 79


정답과 해설

⑶ y=;2!;xÛ`-x+1=;2!;(xÛ`-2x+1-1)+1=;2!;(x-1)Û`+;2!; 보고 또 보고

유형 익히기- 확인 문제 본문 | 207~210 쪽
① 꼭짓점의 좌표: {1, ;2!;}
01  -3
② 축의 방정식: x=1
셀파 주어진 식을 y=a(x-m)Û`+n 꼴로 고쳤을 때, 축의 방정식은 x=m이
③ y축과의 교점의 좌표: (0, 1)
다.
④ 그래프 y x=1
y=;2!;xÛ`+2px+10=;2!;(xÛ`+4px+4pÛ`-4pÛ`)+10

;2!;
1 y=;2!;(x+2p)Û`-2pÛ`+10
O 1 x 이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은 x=-2p이고
이것이 x=6과 같으므로 -2p=6 ∴ p=-3

⑷ y=-xÛ`-4x-5=-(xÛ`+4x+4-4)-5=-(x+2)Û`-1
① 꼭짓점의 좌표: (-2, -1)
02 6
② 축의 방정식: x=-2 셀파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는 y=0을 대입하여 구한다.
③ y축과의 교점의 좌표: (0, -5)
④ 그래프 y y=-;2!;xÛ`-x+4에 y=0을 대입하면 -;2!;xÛ`-x+4=0
-2 O
x ;2!;xÛ`+x-4=0, xÛ`+2x-8=0
-1
(x+4)(x-2)=0 ∴ x=-4 또는 x=2
-5 따라서 그래프와 x축이 만나는 두 점 A, B의 좌표는
x=-2 A(-4, 0), B(2, 0) 또는 A(2, 0), B(-4, 0)이므로
ABÓ=2-(-4)=6

⑸ y=-2xÛ`+6x=-2{xÛ`-3x+;4(;-;4(;}=-2{x-;2#;}2`+;2(; LECTURE 두 점 (a, 0), (b, 0) 사이의 거리

두 점 (a
(a, 0), (b, 0) 사이의 거리를 구할 때는 두 점의 y좌표가 같
① 꼭짓점의 좌표: {;2#;, ;2(;}
으므로 두 점의 x좌표, 즉 a, b의 차를 구하면 된다.

② 축의 방정식: x=;2#; 이때 x축을 수직선으로 생각하면 a, b 중에서 오른쪽에 있는 수가


큰 수이고 왼쪽에 있는 수가 작은 수이므로
③ y축과의 교점의 좌표: (0, 0)
(오른쪽에 있는 수)`-(왼쪽에 있는 수)
④ 그래프 y
;2(; 가 두 점 (a, 0), (b, 0) 사이의 거리가 된다.

O
x
;2#;
03  제2사분면
x=;2#; 셀파 그래프의 모양, 꼭짓점의 좌표, y축과의 교점의 좌표를 확인한다.

y=-2xÛ`+8x-4에서 xÛ`의 계수가 -2로 음수이므로 그래프는


⑹ y=-;3!;xÛ`+2x+2=-;3!;(xÛ`-6x+9-9)+2=-;3!;(x-3)Û`+5 위로 볼록한 포물선이다.
또 y=-2xÛ`+8x-4=-2(xÛ-4x+4-4)-4
① 꼭짓점의 좌표: (3, 5)
=-2(x-2)Û`+4
② 축의 방정식: x=3
이므로 꼭짓점의 좌표는 (2, 4)이고,
③ y축과의 교점의 좌표: (0, 2) y
y=-2xÛ`+8x-4에 x=0을 대입하면
④ 그래프 y 4
5
y=-4이므로 y축과의 교점의 좌표는
(0, -4)이다. 2 x
2 O
따라서 y=-2xÛ`+8x-4의 그래프는 오른쪽
O 3 x -4
그림과 같으므로 이 그래프가 지나지 않는 사
x=3 분면은 제2사분면이다.

80 IV. 이차함수
04  -1 08  제2사분면
셀파 그래프가 증가, 감소하는 범위는 축을 기준으로 나누어진다. 셀파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보고 a, b, c의 부호를 구한다.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가 위로 볼록하므로 a<0


y=;4!;xÛ`+2kx+1=;4!;(xÛ`+8kx+16kÛ`-16kÛ`)+1
축이 y축의 왼쪽에 있으므로 ab>0
y=;4!;(x+4k)Û`-4kÛ`+1 이때 a<0이므로 b<0
이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은 x=-4k이다. y축과의 교점이 원점보다 위쪽에 있으므로 c>0
x=4를 기준으로 y의 값의 증가, 감소가 바뀌므로 주어진 이차함 ∴ ;aB;>0, -c<0
수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은 x=4이다.
즉 y=;aB;x-c의 그래프는 기울기가 양수이 y
따라서 -4k=4이므로 k=-1
고 y절편이 음수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O x

오른쪽 위로 향하는 직선이고, y절편이 원점


05  ㉠, ㉢ 보다 아래쪽에 있다.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그려 본다.
따라서 일차함수 y=;aB;x-c의 그래프가 지나지 않는 사분면은
셀파

y=xÛ`-3x+1={xÛ`-3x+;4(;-;4(;}+1 y
제2사분면이다.

y={x-;2#;}2`-;4%; 1
;2#;
이므로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O x

㉠ |1|<|-2|이므로 y=-2xÛ`의 그래 -;4%;

프보다 폭이 넓다.

㉡ 꼭짓점의 좌표는 {;2#;, -;4%;}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 ㉢이다. 2. 이차함수의 식 구하기



따라 풀면

개념 익히기 본문 | 213 쪽
06  m=3, n=3
셀파 주어진 두 이차함수의 식을 각각 y=a(x-p)Û`+q 꼴로 고친다. 1-1  ⑴ y=-xÛ`+4x-1 ⑵ y=2xÛ`-12x+17

y=-3xÛ`-6x-1=-3(x+1)Û`+2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 ⑶ y=2xÛ`-4x+5 ⑷ y=-xÛ`-x+2

로 m만큼, y축의 방향으로 n만큼 평행이동하면 ⑴  이차함수의 식을 y=a(x-2)Û`+ 3 으로 놓는다.

y=-3(x-m+1)Û`+2+n ⑴  의 식에 x=1, y=2를 대입하면

이 그래프가 y=-3xÛ`+12x-7=-3(x-2)Û`+5의 그래프와 ⑴  2=a+ 3 ∴ a= -1

일치하므로 -m+1=-2, 2+n=5 ⑴  ∴ y=-(x-2)Û`+3=-xÛ`+4x-1

∴ m=3, n=3
⑵  이차함수의 식을 y=a(x- 3 )Û`+q로 놓는다.
⑴  의 식에 두 점 (1, 7), (2, 1)의 좌표를 각각 대입하면
⑴  7=4a+q …… ㉠, 1 =a+q …… ㉡
07  24
셀파 주어진 이차함수의 식에 y=0을 대입하여 두 점 A, B의 x좌표를 구하고,
⑴  ㉠-㉡을 하면 3a=6 ∴ a= 2
x=0을 대입하여 점 C의 y좌표를 구한다. ⑴  a=2를 ㉡에 대입하면 1=2+q ∴ q=-1

y=xÛ`+2x-8에 x=0을 대입하면 y ⑴  ∴ y=2(x-3)Û`-1=2xÛ`-12x+17

y=-8 ∴ C(0, -8) -4 O 2


A B x ⑶  이차함수의 식을 y=axÛ`+bx+ 5 로 놓는다.
y=xÛ`+2x-8에 y=0을 대입하면
⑴  의 식에 두 점 (-1, 11), (4, 21)의 좌표를 각각 대입하면
xÛ`+2x-8=0, (x+4)(x-2)=0
⑴  11=a-b+5, 즉 a-b= 6 …… ㉠
∴ x=-4 또는 x=2
⑴  21=16a+4b+5, 즉 4a+b=4 …… ㉡
즉 A(-4, 0), B(2, 0)이므로 -8 C
⑴  ㉠+㉡을 하면 5a=10 ∴ a=2
ABÓ=2-(-4)=6
⑴  a=2를 ㉠에 대입하면 2-b=6 ∴ b= -4
∴ △ACB=;2!;_ABÓ_OCÓ=;2!;_6_8=24 ⑴  ∴ y=2xÛ`-4x+5

13.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 81


정답과 해설

⑷  이차함수의 식을 y=a(x-1)(x+ 2 )로 놓는다. ⑵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점 (0, 1)을 지나므로 구하는 이차함수의
⑴  의 식에 x=2, y=-4를 대입하면 식을 y=axÛ`+bx+1로 놓고 이 식에 두 점 (-1, 6), (3, 10)
⑴  -4= 4 a ∴ a= -1 의 좌표를 각각 대입하면
⑴  ∴ y=-(x-1)(x+2)=-xÛ`-x+2 6=a-b+1, 즉 a-b=5 …… ㉠
10=9a+3b+1, 즉 3a+b=3 …… ㉡
㉠+㉡을 하면 4a=8 ∴ a=2
a=2를 ㉠에 대입하면 2-b=5 ∴ b=-3
1-2  ⑴ y=2xÛ`-4x+6 ⑵ y=xÛ`+4x+5
∴ y=2xÛ`-3x+1
 ⑶ y=-xÛ`+4x-1 ⑷ y=;3!;xÛ`+2x+:Á3¢:

⑴ 구하는 이차함수의 식을 y=a(x-1)Û`+4로 놓고 ⑶ 구하는 이차함수의 식을 y=a(x+3)(x-1)로 놓고


이 식에 x=2, y=6을 대입하면 이 식에 x=0, y=-6을 대입하면
6=a+4 ∴ a=2 -6=-3a ∴ a=2
∴ y=2(x-1)Û`+4=2xÛ`-4x+6 ∴ y=2(x+3)(x-1)=2xÛ`+4x-6

⑵ 구하는 이차함수의 식을 y=a(x+2)Û`+1로 놓고 ⑷ 구하는 이차함수의 식을 y=a(x-2)(x-3)으로 놓고


이 식에 x=0, y=5를 대입하면 이 식에 x=4, y=6을 대입하면
5=4a+1 ∴ a=1 6=2a ∴ a=3
∴ y=(x+2)Û`+1=xÛ`+4x+5 ∴ y=3(x-2)(x-3)=3xÛ`-15x+18

⑶ 구하는 이차함수의 식을 y=a(x-2)Û`+q로 놓고


이 식에 두 점 (0, -1), (3, 2)의 좌표를 각각 대입하면
-1=4a+q …… ㉠, 2=a+q …… ㉡
㉠-㉡을 하면 3a=-3 ∴ a=-1 보고 또 보고

a=-1을 ㉡에 대입하면 2=-1+q ∴ q=3 유형 익히기- 확인 문제 본문 | 214~215 쪽


∴ y=-(x-2)Û`+3=-xÛ`+4x-1
01 2
셀파 꼭짓점의 좌표가 (-3, -2) ⇨ 이차함수의 식을 y=a(x+3)Û`-2로
⑷ 구하는 이차함수의 식을 y=a(x+3)Û`+q로 놓고
놓는다.
이 식에 두 점 (-1, 3), (1, 7)의 좌표를 각각 대입하면
꼭짓점의 좌표가 (-3, -2)이므로 이차함수의 식을
3=4a+q …… ㉠, 7=16a+q …… ㉡
y=a(x+3)Û`-2로 놓자.
㉠-㉡을 하면 -12a=-4 ∴ a=;3!;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점 (0, 1)을 지나므로
a=;3!;을 ㉠에 대입하면 3=;3$;+q ∴ q=;3%; 1=a_(0+3)Û`-2, 9a-2=1

9a=3 ∴ a=;3!;
∴ y=;3!;(x+3)Û`+;3%;=;3!;xÛ`+2x+:Á3¢:
따라서 구하는 이차함수의 식은

y=;3!;(x+3)Û`-2, 즉 y=;3!;xÛ`+2x+1

1-3  ⑴ y=-xÛ`+6x-5 ⑵ y=2xÛ`-3x+1 따라서 a=;3!;, b=2, c=1이므로


⑶ y=2xÛ`+4x-6 ⑷ y=3xÛ`-15x+18
3a+b-c=3_;3!;+2-1=2
⑴ 구하는 이차함수의 식을 y=axÛ`+bx-5로 놓고
이 식에 두 점 (5, 0), (2, 3)의 좌표를 각각 대입하면
0=25a+5b-5, 즉 5a+b=1 …… ㉠
3=4a+2b-5, 즉 2a+b=4 …… ㉡ 02  a=-1, b=2, c=3
㉠-㉡을 하면 3a=-3 ∴ a=-1 셀파 축의 방정식이 x=1 ⇨ 이차함수의 식을 y=a(x-1)Û`+q로 놓는다.

a=-1을 ㉡에 대입하면 축의 방정식이 x=1이므로 이차함수의 식을 y=a(x-1)Û`+q로


-2+b=4 ∴ b=6 놓자.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점 (3, 0)을 지나므로
∴ y=-xÛ`+6x-5 0=a_(3-1)Û`+q ∴ 4a+q=0 yy`㉠

82 IV. 이차함수
또 점 (0, 3)을 지나므로 실력 키우기 본문 | 216~218 쪽
3=a_(0-1)Û`+q ∴ a+q=3 yy`㉡
㉠-㉡을 하면 3a=-3 ∴ a=-1 01 ④
a=-1을 ㉡에 대입하면 -1+q=3 ∴ q=4 셀파 y=axÛ`+bx+c를 y=a(x-p)Û`+q 꼴로 변형한다.

따라서 구하는 이차함수의 식은 y=-2xÛ`+12x-5=-2(x-3)Û`+13


y=-(x-1)Û`+4, 즉 y=-xÛ`+2x+3 이므로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3, 13), 축의 방정식은 x=3이
∴ a=-1, b=2, c=3 다.
참고 x축과 만나는 두 점은 축에 서로 대칭이므로 x축과 만나는 두 점 중 따라서 p=3, q=13, r=3이므로 p+q+r=19
한 점의 좌표와 축이 주어지면 다른 한 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 축은 x=1이고 x축과 만나는 한 점의 x좌표가 3이므로 x축과 만
나는 다른 한 점의 x좌표를 m이라 하면
02  ;5!;
1-m=3-1 ∴ m=-1
셀파 꼭짓점의 좌표를 구하여 y=2x+1에 대입한다.

y=xÛ`-4kx+4kÛ`-k+2=(x-2k)Û`-k+2
이므로 꼭짓점의 좌표는 (2k, -k+2)
03 1
셀파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가 점 {0, -;3!;}을 지남을 이용하여
이때 이 꼭짓점이 직선 y=2x+1 위에 있으므로
x=2k, y=-k+2를 y=2x+1에 대입하면
c의 값을 먼저 구한다.
-k+2=2_2k+1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가 점 {0, -;3!;}을 지나므로
-5k=-1 ∴ k=;5!;
c=-;3!;

즉 y=axÛ`+bx-;3!;의 그래프가 점 (-1, -3)을 지나므로


03  -4
-3=a-b-;3!;, 즉 a-b=-;3*; …… ㉠ 셀파 y=0일 때의 x의 값, x=0일 때의 y의 값을 구한다.

또 점 (2, 1)을 지나므로 y=4xÛ`+4x-3에 y=0을 대입하면 4xÛ`+4x-3=0

1=4a+2b-;3!;, 즉 4a+2b=;3$; …… ㉡ (2x-1)(2x+3)=0 ∴ x=;2!; 또는 x=-;2#;

y=4xÛ`+4x-3에 x=0을 대입하면 y=-3


㉠_2+㉡을 하면 6a=-4 ∴ a=-;3@;
따라서 p=;2!;, q=-;2#;, r=-3 또는 p=-;2#;, q=;2!;, r=-3이
a=-;3@;를 ㉠에 대입하면 -;3@;-b=-;3*; ∴ b=2
므로 p+q+r=-4
∴ a+b+c=-;3@;+2+{-;3!';}=1

04 ⑤
04  (4, -2) 셀파 그래프의 모양, 꼭짓점의 위치, y축과의 교점의 위치를 확인한다.
셀파 그래프가 x축과 두 점 (2, 0), (6, 0)에서 만난다. ① y=-xÛ`+10x-15=-(x-5)Û`+10 y
⇨ 이차함수의 식을 y=a(x-2)(x-6)으로 놓는다. 10
의 그래프는 위로 볼록하고, 꼭짓점의 좌표
x축과 두 점 (2, 0), (6, 0)에서 만나므로 이차함수의 식을 는 (5, 10), y축과의 교점의 y좌표는 -15이 x
O 5
y=a(x-2)(x-6)으로 놓자. 다. 따라서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점 (0, 6)을 지나므로 로 제1, 3, 4사분면을 지난다. -15

6=12a ∴ a=;2!;
② y=-xÛ`+4x-3=-(x-2)Û`+1 y
1
따라서 구하는 이차함수의 식은 의 그래프는 위로 볼록하고, 꼭짓점의
O 2 x
y=;2!;(x-2)(x-6), 즉 y=;2!;xÛ`-4x+6 좌표는 (2, 1), y축과의 교점의 y좌표
는 -3이다. 따라서 그래프는 오른쪽
이 식을 표준형으로 고치면 y=;2!;(x-4)Û`-2 -3
그림과 같으므로 제1, 3, 4사분면을
따라서 구하는 꼭짓점의 좌표는 (4, -2)이다. 지난다.

13.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 83


정답과 해설

③ y=;2!;xÛ`-2x+1=;2!;(x-2)Û`-1 y 07 5
셀파 주어진 식을 y=a(x-p)Û`+q 꼴로 고친 후 평행이동을 생각한다.
의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하고, 꼭짓점 1
2
의 좌표는 (2, -1), y축과의 교점의 y O x 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 구하기 [50 %]
-1
좌표는 1이다. 따라서 그래프는 오른쪽 y=-xÛ`+6x-9=-(x-3)Û`
그림과 같으므로 제1, 2, 4사분면을 지 이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
난다. 이동하면 y=-(x+2-3)Û`+3   ∴ y=-(x-1)Û`+3

④ y=2xÛ`+4x=2(x+1)Û`-2 y 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와 축의 방정식 구하기 [30 %]

의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하고, 꼭짓점의 따라서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1, 3), 축의 방정식
좌표는 (-1, -2), y축과의 교점의 y좌 -1 은 x=1이므로
O x
표는 0이다. 따라서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 a+b+c의 값 구하기 [20 %]
-2
과 같으므로 제1, 2, 3사분면을 지난다. a=1, b=3, c=1   ∴ a+b+c=5
⑤ y=3xÛ`-6x-1=3(x-1)Û`-4 y
1
의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하고, 꼭짓점의 O x
좌표는 (1, -4), y축과의 교점의 y좌표는
-1 08 3
셀파 축의 방정식, x축,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를 각각 구한다.
-1이다. 따라서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y=-xÛ`-2x+3=-(x+1)Û`+4 y
같으므로 모든 사분면을 지난다. -4
이므로 점 P의 좌표는 P(-1, 0) A(0,`3)
따라서 이차함수의 그래프 중 모든 사분면을 지나는 것은 ⑤이다.
y=-xÛ`-2x+3에 x=0을 대입하면
-3 -1 1
y=3   ∴ A(0, 3) B P O C x
y=-xÛ`-2x+3에 y=0을 대입하면
0=-xÛ`-2x+3, xÛ`+2x-3=0
(x+3)(x-1)=0   ∴ x=-3 또는 x=1
05 ② ∴ B(-3, 0), C(1, 0)
셀파 y=a(x-p)Û`+q 꼴로 변형하여 그래프를 그려 본다. 따라서 삼각형 ABP의 넓이는

y=;3!;xÛ`+2x+1 y ;2!;_BPÓ_OAÓ=;2!;_{-1-(-3)}_3=3

y=;3!;(x+3)Û`-2 -3 1 참고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축에 대칭이므로 x축과 만나는 두 점은 축으로


O x 부터 같은 거리에 있다.
이므로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2 ① x축과 만나는 두 점이 B(-3, 0), C(1, 0)일 때 축의 방정식은
따라서 x<-3일 때, x의 값이 증가하
-3+1
➊ x= , 즉 x=-1이므로 축과 x축이 만나는 점 P의 좌표는
면 y의 값은 감소한다. 2
➊ P(-1, 0)이 된다.

 PÓ=PCÓ=;2!;BCÓ이므로 △ABP의 넓이는 △ABC의 넓이의 ;2!;임을


②B

➊ 이용해도 된다.

06  ②, ④
09 ④
셀파 y=a(x-p)Û`+q 꼴로 변형하여 그래프를 그려 본다. 셀파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a, b, c의 부호를 구한다.

y=;4!;xÛ`+x-1 y y=axÛ`+bx+c의 그래프가 아래로 볼록하므로 a>0


축이 y축의 오른쪽에 있으므로 ab<0   ∴ b<0
y=;4!;(x+2)Û`-2 -2
O x 또 y축과의 교점이 원점보다 아래쪽에 있으므로 c<0
-1
이므로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2 따라서 y=cxÛ`+bx+a에서 c<0이므로 그래프는 위로 볼록하고
② x축과 두 점에서 만난다. cb>0이므로 축이 y축의 왼쪽에 있다.
④ 모든 사분면을 지난다. 또 a>0이므로 y축과의 교점이 원점보다 위쪽에 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②, ④이다. 따라서 y=cxÛ`+bx+a의 그래프의 개형으로 알맞은 것은 ④이다.

84 IV. 이차함수
10  a=1, b=6, c=11 13  k¾-2
셀파 y=2xÛ`+12x+20에서 꼭짓점의 좌표를 먼저 구한다. 셀파 그래프가 x축과 만난다.

y=2xÛ`+12x+20=2(x+3)Û`+2이므로 ⇨ 그래프와 x축이 만나는 점은 1개 또는 2개이다.

구하는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3, 2)이다. y=-2xÛ`+4x+k=-2(x-1)Û`+2+k


즉 구하는 이차함수의 식을 y=a(x+3)Û`+2로 놓을 수 있다. 이므로 꼭짓점의 좌표는 (1, 2+k)
또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점 (-2, 3)을 지나므로 이때 y=-2(x-1)Û`+2+k의 그래프는 위로 볼록하므로 x축과
3=a+2 ∴ a=1 만나려면 꼭짓점이 x축 위에 있거나 x축보다 위쪽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구하는 이차함수의 식은 따라서 꼭짓점의 y좌표가 0 이상이어야 하므로
y=(x+3)Û`+2, 즉 y=xÛ`+6x+11 2+k¾0에서 k¾-2
∴ b=6, c=11
LECTURE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위치와 x축과 만나는 점의 개수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의 위치에 따라 x축과 만나는


점이 몇 개인지 정해진다. 이 개수는 꼭짓점의 y좌표의 부호를 이용
하여 구한다.
a>0일 때,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가
11  (3, 2)
① x축과 만나지 않으려면 ①
셀파 조건 ㈎, ㈐에서 이차함수의 식을 세운다.
(꼭짓점의 y좌표)>0 ②
조건 ㈎, ㈐에 의하여 이차함수의 식을 y=-(x-3)Û`+q로 놓을 ③
② x축과 한 점에서 만나려면
수 있다.
(꼭짓점의 y좌표)=0 x
조건 ㈏에 의하여 이 그래프가 점 (1, -2)를 지나므로
③ x축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a>0일 때
-2=-4+q ∴ q=2
(꼭짓점의 y좌표)<0
즉 구하는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식이 y=-(x-3)Û`+2이므로 꼭
짓점의 좌표는 (3, 2)이다.

12 1
셀파 세 점의 좌표가 주어졌으므로 이차함수의 식을 y=axÛ`+bx+c에서 생
각한다.

 주어진 세 점을 지나는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식 구하기 [60 %]


14  -6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점 (0, 5)를 지나므로 구하는 이차함수의 식
셀파 x축과 만나는 두 점은 축에 서로 대칭임을 이용한다.

y=xÛ`-5x+k={x-;2%;}2`-:ª4°:+k
을 y=axÛ`+bx+5로 놓을 수 있다.
이때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점 (-1, 8)을 지나므로
;2&; ;2&;
8=a-b+5 ∴ a-b=3 …… ㉠
이므로 축의 방정식은 x=;2%; -1 6
또 점 (2, -19)를 지나므로 A M B x

-19=4a+2b+5 ∴ 2a+b=-12 …… ㉡ 이때 ABÓ=7이므로

㉠+㉡을 하면 3a=-9 ∴ a=-3 x축과 축이 만나는 점을 M이라 하면

a=-3을 ㉠에 대입하면 -3-b=3 ∴ b=-6 AMÓ=;2&;, BMÓ=;2&;

 k의 값 구하기 [40 %] 따라서 점 A의 x좌표는 ;2%;-;2&;=-1, x=;2%;


따라서 세 점 (-1, 8), (0, 5), (2, -19)를 지나는 이차함수의 그
래프의 식은 y=-3xÛ`-6x+5이고 점 B의 x좌표는 ;2%;+;2&;=6
이 그래프가 점 (k, -4)를 지나므로 -4=-3kÛ`-6k+5 ∴ A(-1, 0), B(6, 0)
kÛ`+2k-3=0, (k-1)(k+3)=0 y=xÛ`-5x+k의 그래프가 점 A(-1, 0)을 지나므로
∴ k=1 또는 k=-3 0=(-1)Û`-5_(-1)+k
그런데 k는 양수이므로 k=1이다. 6+k=0 ∴ k=-6

13.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 85


정답과 해설

15  2a ⑤ y=axÛ`+bx+c에 x=;2#;을 대입하면 y=;4(;a+;2#;b+c


셀파 주어진 그래프에서 a, b, c의 부호를 확인한다.
⑤ 이때 x=;2#;일 때의 y의 값은 양수이므로 ;4(;a+;2#;b+c>0
 a, b, c의 부호 구하기 [30 %]
y=axÛ`+bx+c의 그래프가 아래로 볼록하므로 a>0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①, ④이다.
축이 y축의 오른쪽에 있으므로 ab<0 ∴ b<0
또 y축과의 교점이 원점보다 아래쪽에 있으므로 c<0

 a-b, b+c, c-a의 부호 구하기 [30 %]


a>0, b<0, c<0에서 a-b>0, b+c<0, c-a<0

 제곱근의 성질을 이용하여 "Ã(a-b)Û`-"Ã(b+c)Û`+"Ã(c-a)Û` 을 간단히


17  ⑴ y=-3xÛ`+24x+60 ⑵ 10초 후
하기 [40 %] 셀파 y를 x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 후 y=0일 때의 x(x>0)의 값을 구한다.
∴ "Ã(a-b)Û`-"Ã(b+c)Û`+"Ã(c-a)Û`
⑴ 꼭짓점의 좌표가 (4, 108)이므로 y=a(x-4)Û`+108로 놓을
=(a-b)-{-(b+c)}-(c-a)
수 있다.
=a-b+b+c-c+a=2a
이 그래프가 점 (0, 60)을 지나므로 60=16a+108
개념 다시 보기 16a=-48 ∴ a=-3
"a`Û 의 성질
"aÛ
" ∴ y=-3(x-4)Û`+108 =-3xÛ`+24x+60
① a¾0일 때, "aÛ`=a a의 부호에 관계없이 "aÛ`은 항상 ⑵ 물 로켓이 지면에 떨어질 때 y=0이므로
② a<0일 때, "aÛ`=-a 음이 아닌 값을 가져야 한다. 0=-3xÛ`+24x+60, 즉 xÛ`-8x-20=0
(x+2)(x-10)=0 ∴ x=-2 또는 x=10
그런데 x>0이므로 x=10
따라서 물 로켓을 쏜 지 10초 후에 지면에 떨어진다.

16  ①, ④
셀파 x에 적당한 값을 대입하여 부호를 확인한다.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축을 중심으로 대칭이다.

이때 축의 방정식은 x=;2!;이고 y 18  30
셀파 각 점의 좌표를 구한 후 ACDB를 적당한 부분으로 나누어 넓이를 구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한 점의 x좌표
한다.
가 -1이므로 다른 한 점의 x좌표는 2 -1 O 2
x  네 점 A, B, C, D의 좌표 구하기 [60 %]
;2#; ;2!; ;2#;
이다.
y=xÛ`-4x-5=(x-2)Û`-9에서 꼭짓점 D의 좌표는 D(2, -9)
① y=axÛ`+bx+c의 그래프가 위로
y=xÛ`-4x-5에 x=0을 대입하면 y=-5 ∴ C(0, -5)
볼록하므로 a<0
y=xÛ`-4x-5에 y=0을 대입하면 xÛ`-4x-5=0
축이 y축의 오른쪽에 있으므로 ab<0 ∴ b>0
(x+1)(x-5)=0 ∴ x=-1 또는 x=5
또 y축과의 교점이 원점보다 위쪽에 있으므로 c>0
∴ A(-1, 0), B(5, 0)
즉 a<0, b>0, c>0이므로 abc<0
② y=axÛ`+bx+c에 x=-1을 대입하면 y=a-b+c  ACDB의 넓이 구하기 [40 %]
이때 꼭짓점 D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y
이때 x=-1일 때의 y의 값은 0이므로 a-b+c=0
-1 O 2 5
③ y=axÛ`+bx+c에 x=1을 대입하면 y 발을 E라 하면 E(2, 0)
A E B x
y=a+b+c ∴ ACDB
이때 x=1일 때의 y의 값은 양수이므 -1 2
=△ACO+OCDB C
x -5
로 a+b+c>0 O ;2!; 1 ;2#; =△ACO+(OCDE+△EDB)
-9
④ y=axÛ`+bx+c에 x=2를 대입하면 ∴ =;2!;_1_5+;2!;_(5+9)_2+;2!;_3_9 D
y=4a+2b+c
이때 x=2일 때의 y의 값은 0이므로 4a+2b+c=0 ∴ =;2%;+14+;;ª2¦;;=30

86 IV. 이차함수
19 4
셀파 두 그래프는 평행이동한 관계임을 이용한다.

y=2xÛ`+12x+18=2(x+3)Û`, y=2xÛ`+4x+2=2(x+1)Û`에서
y=2xÛ`+4x+2의 그래프는 y=2xÛ`+12x+18의 그래프를 x축
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아래의 그림에서 빗
금 친 두 부분의 넓이가 같으므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직사각형
ACOB의 넓이와 같다.
y=2xÛ`+12x+18 y y=2xÛ`+4x+2

A B(0,`2)

C
-3 -2 -1 O x

y=2xÛ`+4x+2에 x=0을 대입하면 y=2이므로 B(0, 2)


y=2xÛ`+4x+2에 y=2를 대입하면 2=2xÛ`+4x+2
2xÛ`+4x=0, 2x(x+2)=0
∴ x=0 또는 x=-2
∴ A(-2, 2), C(-2, 0)
이때 COÓ=2, BOÓ=2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ACOB=2_2=4

13.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 87


Memo

You might also like